KR800002098Y1 - 기물(器物) 세척기 - Google Patents

기물(器物)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2098Y1
KR800002098Y1 KR7906994U KR790006994U KR800002098Y1 KR 800002098 Y1 KR800002098 Y1 KR 800002098Y1 KR 7906994 U KR7906994 U KR 7906994U KR 790006994 U KR790006994 U KR 790006994U KR 800002098 Y1 KR800002098 Y1 KR 800002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otor
water
washing tank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6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용
Original Assignee
김재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의 filed Critical 김재의
Priority to KR7906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2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2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20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0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means of an impeller in the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6Agitation of cleaning liquid by impeller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물(器物) 세척기
제 1 도는 일부를 절개한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 설명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부 확대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배수 개폐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배수 개폐 작동 설명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개폐변 상하 작동 설명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전기 회로도.
본 고안은 그릇이나 용기 등의 기물(器物)의 세척 및 건조를 보다 용이하게 기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한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조 내의 틀체에 기물을 올려놓고 일정수위의 물을 유입시킨 후 전원을 공급하면 회전익이 물을 좌우로 와류시켜 기물을 세척하여 세척후에는 배수와 동시에 건조와 소독을 겸하고 누룽지 등의 딱딱한 찌꺼기는 세척대에서 회전 부러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거되게 할 뿐아니라 필요에 따라 세척용 부러쉬를 광택용 부러쉬로 교체하면 금속제 그릇 등의 광택용으로 사용되게한 것이여서 사용이 편리함과 동시에 건조와 소독 등의 일련 동작을 기계에 의하여 실시하므로 보다 위생적이며 설겆이 하는 시간을 별도로 활용할 수 있게한 기물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 가정에서는 식사후 설겆이 하는데는 일일이 그릇 등을 훔치거나 씻은 후 다시 맑은물로 씻고 기물에서 물을 제거후 마른행주로 일일이 딱아내는 등의 번거러움이 수반되었을뿐 아니라 비위생적이었으며 누룽지 등의 딱딱한 찌꺼기의 제거나 금속제 그릇의 광택을 내는데는 많은 노력과 시간을 소비하여야 되었던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기물의 세척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제거코져 안출한 것으로서 그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척기 본체(1)의 격판(2) 좌우에 세척조(3)과 작동실(4)를 분리 구성하되, 세척조(3) 내의 지지턱(5)에 받침대(6)(6'), 절결부(7)(7')와 전후에 걸림대(8)(8') 및 수저 수용실(9)이 형성된 틀체(10)를 재치하며, 중심부의 회전축(11) 상에 단면이형인 2조(4개)의 대칭형의 회전익(12)(12')을 축착하고 후단의 푸울리(13)에 타이머릴레이(Ry)에 의하여 좌우 반복 회전되는 모우터(M1)와 벨트(14)로 연동되게 하며, 저면 배수구(15)에 장입된 역 "△"형 개폐변(16)의 종봉(16')의 원공(17)에 단관(18)에서 패킹(19)과 복개 뚜껑(20)으로 밀폐된 구형(21)의 좌측 횡간(22)을 삽설하되, 우측횡간(22')은 중심측(23)에서 절곡되는 절곡간(24)의 일단에 연설하며, 하단의 로우프(25)의 상단은 회동환(26)에 결착하여 핸들(27)의 좌우 회동으로 회동축(28) 상의 돌봉(28')이 고정단관(29)의 요구(30)(30') 상에서 고정되게 중심공(29')에 회동축(28)을 축삽하여 뒷쪽에서 와서 (31), 스프링(32) 및 너트(33) 순으로 나합되게 하며, 뚜껑(34)은 경첩(35)(35')에서 절곡 복개되게 하되, 내저면에 다수개의 통공(36)(36') 등이 천설된 돌출면을 형성하여 내부에 히타(H) 및 모우터(M2)를 장설하여 모우터(M2)축에 휀(37)을 축삽되게 하고, 작동실(4)의 모우터(M3)와 벨트(38)로 연동되는 푸울리(39)의 중심축상에 가요성 회동축(40)을 축착하되, 단부에는 세척용부러쉬(41)를 착탈되게 하며, 아래에 다수개의 횡간(42)(42')이 형성된 개폐식 세척대(43)를 경첩(44)(44')에서 절곡 개폐되게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SW1은 모우터(M1) 및 타이머릴레이(Ry)의 타이머 스위치, SW2는 히타(H) 및 모우터(M2)의 스위치, SW3은 모우터(M3)의 스위치 45, 45' 배수관, 46은 받침턱, 47, 47'는 통기공, 48은 스프링, 49는 입수관, 50, 50'는 기물, 51은 솥, 52는 니크롬선, 53은 절연체, 54는 파이프, 55는 고정편, 56, 56' 손잡이, 57은 협지구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척하고저 하는 그릇, 용기등의 기물(50)(50')을 틀체(10) 상하의 받침대(6)(6')에 올려놓고, 수저 수용실(9)에는 수저나 포우크, 나이프 등의 비교적 체적이 작은 물품을 수용한 후 상부 양쪽의 손잡이(56)(59')를 사용하여, 틀체(10)를 세척기 본체(1) 내의 세척조(3)에 장입하면, 틀체(10) 저면부가 아래의 지지턱(5)에서 안전하게 재치되며, 다음 수도 호우스를 사용하여 입수관(49)으로 일정한 수위가 되도록 물을 주입시킨 후 뚜껑(34)을 닫고 타이머 스위치(SW1)를 돌리면 모우터(M1)에 통전과 동시에 구동되면서 타이머릴레이(Ry)의 작동으로 일정간격으로 모우터(M1)의 회전이 좌우로 반복 회전되고, 이와 벨트(14)에 의하여 연동되는 푸울리(13)의 회전으로 방향이 다른 2조(4개)의 회전익(12)(12')이 역시 좌우로 반복회전되므로 세척조(3) 내의 물을 강하게 좌우로 와류시키면서 틀체(10)의 받침대(6)(6') 및 수저 수용실(9)에 수용된 기물(50)(50')와 수저등을 1차 세척하며, 이때 물에 세척제를 희석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세척후에는 자동적으로 타이머 스위치(SW1)에 의하여 전원이 단절되어 타이머릴레이(Ry)와 모우터(M1)의 동작이 정지됨과 동시에 회전익(12)(12')도 회전이 중지되고, 이어서 세척기 정면의 핸들(27)을 제 5 도의 도시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90도 회동시키면 회동축(28)은 스프링(32)의 탄력을 받으면서 돌봉(28')이 요구(30')에서 정지됨과 동시에 동일축상의 회동환(26)의 회동으로 로우프(25)가 윗쪽으로 당겨지면서 제 5 도의 점선도시 상태와 같이 세척조(3) 저면 우측의 절곡간(24)의 일단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중심축(23)을 기점으로 타단이 하락되면서 구형(21) 상의 우측 횡간(22')은 하락되고, 반대로 좌측횡간(22)의 상승으로 이에 연설된 종봉(16') 상부의 역 "△"형의 개폐변(16)이 상승되어 물은 배수관(45)을 통하여 배출되고, 배출후엔 핸들(27)을 반대로 회동시키면 스프링(48)이 절곡간(24)을 당겨 개폐변(16)은 원위치 되면서 폐쇄하는 것이다. 1차 배출작업이 끝나면 다시 2차로 상기한 입수와 세척 및 배수동작을 반복시켜 완전히 세척한 다음 스위치(SW2)를 "ON"시키면 히타(H)가 가열되고 동시에 휀(37)이 회전되어 가온된 열기가 뚜껑(34) 저면 돌출면의 통공(36)(36')을 통하여 세척조(3) 내에 공급되므로 세척조(3) 내의 그릇이나 용기 등의 기물(50)(50')에 열기를 가하여 건조와 동시에 소독을 겸하게 되는 것이며, 건조후에는 스위치(SW2)를 "OFF"시킨후 뚜껑(34)을 열고, 틀체(10)를 수직상으로 들어내어 기물(50)(50') 등을 다른 위치에 정돈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솥(51)이나 남비 등의 내면에 붙은 누나지나 딱딱한 찌꺼기 등은 제 1 도의 도시와 같이 작동실(4) 아래의 개폐식 세척대(43)를 화살표 방향으로 절곡한 후 세척대(43) 위의 횡간(42)(42') 상에서 세척하는 것인데, 먼저 스위치(SW3)를 "ON"시키면 모우터(M3)가 구동됨과 동시에 벨트(38)와 연설된 푸울리(39)의 회전으로 중심축상에 축설된 가요성 회동축(40) 단부의 세척용 부러쉬(41)가 회전되므로 세척용 부러쉬(41)를 사용하며 누룽지 등을 제거하며, 이때 사용된 물은 배수관(45')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고, 사용후에는 다시 스위치(SW3)를 "OFF"시킨 후 세척용 부러쉬(41)는 협지구(57)에 고정하고, 개폐식 세척대(43)를 반대로 경첩(44)(44')을 축으로 절곡하면 고정편(55)에 의하여 닫히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금속제 기물 등의 광택을 낼 경우에는 세척용 부러쉬(41)를 탈리하고, 광택용 부러쉬(도시없음)를 별도로 삽착하여 사용하면 보다 편리하게 광택을 낼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세척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하나하나의 기물을 세척하는 수공적인 범주에서 벗어나 기계적으로 세척과 헹굼 및 건조와 동시에 소독을 겸할 수 있고, 누룽지 등의 딱딱한 찌꺼기의 용이한 제거작업과 경우에 따라 광택을 낼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기 본체(1)의 격판(2) 좌우에 세척조(3)과 작동실(4)을 구성하되, 세척조(3)의 지지턱(5)에 틀체(10)를 재치하며, 회전축(11) 상에 단면이형인 회전익(12)(12')을 삽착하여 타이머 릴레이(Ry)로 동작되는 모우터(M1)와 연동되게 하고, 배수구(15)의 역 "△"형 개폐변(16)은 구형(21)의 좌우횡간(22)(22')과 절곡간(24) 및 로우프(25)에 의하여 회동환(26)의 회동 동작으로 개폐되며, 뚜껑(34) 내 저면에는 히타(H) 및 휀(37)이 축착된 모우터(M2)를 장설하고, 작동실(4)의 모우터(M3)와 연동되는 푸울리(39)의 중심축에 가요성 회동축(40)을 축설하여 단부에 세척용 부러쉬(41)를 착탈되게 하며, 아래에 횡간(42)(42')이 형성된 개폐식 세척대(43)를 절곡 개폐되게 구성한 기물 세척기.
KR7906994U 1979-11-21 1979-11-21 기물(器物) 세척기 KR800002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6994U KR800002098Y1 (ko) 1979-11-21 1979-11-21 기물(器物)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6994U KR800002098Y1 (ko) 1979-11-21 1979-11-21 기물(器物)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2098Y1 true KR800002098Y1 (ko) 1980-12-22

Family

ID=1921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6994U KR800002098Y1 (ko) 1979-11-21 1979-11-21 기물(器物)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20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79393A (en) Dishwashing, scouring, and polishing sink
US2797567A (en) Combination washing, rinsing, and drying machine
US2669240A (en) Dish cleaning sink
JP2007503877A (ja) 食器洗浄機および方法
US5570598A (en) Counter top clothes washer
US2663392A (en) Portable sink for campers' use
CA3131553A1 (en) Dishwash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00111398A (ko)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KR800002098Y1 (ko) 기물(器物) 세척기
US2574149A (en) Article carrier for washing machines and tray therefor
US2886837A (en) Self-cleaning eating table
US2307408A (en) Portable hand operated dishwasher
EP1316284B1 (en) Appliance for washing vegetables and molluscs
US2022220A (en) Dishwashing machine
US4522045A (en) Portable small-sized washing machine
JP2949170B2 (ja) 食器洗浄装置
JP2006238984A (ja) 調理・食卓用品の洗浄機
JPH01297005A (ja) 食器洗浄装置付き流し台
US1977977A (en) Dishwashing machine
KR200298708Y1 (ko) 고압순환식 육류구이판 세척기
US3330288A (en) Dishwasher
KR200171977Y1 (ko) 세척기
JPS6326134Y2 (ko)
JP4010309B2 (ja) 穀粒類の洗磨器
US2667883A (en) Dishwashing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