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294B1 - 수세식 변기용 자동식덮개 승강 및 수세장치 - Google Patents

수세식 변기용 자동식덮개 승강 및 수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294B1
KR800001294B1 KR7702303A KR770002303A KR800001294B1 KR 800001294 B1 KR800001294 B1 KR 800001294B1 KR 7702303 A KR7702303 A KR 7702303A KR 770002303 A KR770002303 A KR 770002303A KR 800001294 B1 KR800001294 B1 KR 800001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otor
cam
toilet sea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 유-시앙
Original Assignee
류 유-시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 유-시앙 filed Critical 류 유-시앙
Priority to KR7702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세식 변기용 자동식덮개 승강 및 수세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덮개를 들어올려 수세시키는 장치의 부분 절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측면도.
제3a도 및 (b)도는 캠세트 조립체와 그들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와 측면도.
제4a,b,c도는 덮개와 변좌링의 작동을 위한 구동-피구동 기어세트의 관계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측면도들.
제5도는 수세를 위한 폴리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장치의 회로도.
제7도는 본 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8도, 9도, 10도는 해당각 회로도와 관련하여 다른 상태하에 작동하는 전동장치의 각각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수세식변기용의 덮개 자동승강 및 수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변기에 사용하는데 적합하게 되어있고, 모우터, 전동기어, 캠수단을 통해 링크 및 견인끈과 연결된 제어회로로 구성되어 덮개와 변좌링을 개폐하고 덮개가 닫혀진 후 자동적으로 변기를 수세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변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사용하는 손으로 덮어 및 변좌링을 들어올려야 하고 사용후 손으로 이것들을 다시 닫힌 상태로 하여, 수세핸들을 눌러야 한다. 이것은 여러 각계의 동작을 필요로 하는 번거로운 일이다.
많은 경우에, 소변기가 없을 경우, 남자는 소변을 보기 위해 수세식변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변좌링을 들어 올리지 않아서, 그 변좌링에 오줌얼룩이 남아있게하여 다른 사람이 사용하기전에 그 변좌링을 깨끗이 해야 한다.
변기에 있는 내용들은 냄새가 고약하므로, 사용후 손으로 덮개를 닫고 변기를 수세해야 한다. 때때로 좋지 않은 기분 때문에, 사용자는 고의로 덮개를 닫지 않을때도 있다. 구동동작을 없애기 위해, 대부분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많은 장치들이 발표되어 왔으나, 작동의 불편 즉, 보통 뚜껑을 들어올리고 닫는 동작과 수세시키는 동작이 별도로 행해져서 실제적으로 사용되지 못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전기적으로 작동하여 자동으로 변기의 덮개를 들어올려 수세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손이나 발로 단한번 버튼을 누름으로써 변좌링과 함께 또는 덮개 단독으로 들어올리거나 닫히게 할 수 있고, 덮개를 닫은 후, 자동적으로 뒤이어 수세가 일어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수세식변기에 사용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고 개개의 상품으로 판매될 수 있는 자동덮개 승강 및 수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버튼을 누름으로서 작동되는 전기작동식 덮개승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 2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덮개를 들어올려 수세시키는 장치는 주판(主板) 2의 하부 좌측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저속모우터 1을 가지고 있다. 그 저속모우터의 모우터샤프트 101은 판2의 우측부분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구동기어 3이 그 샤프트상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 101위에서 판 2위에 회전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는 샤프트 4가 판 2의 우측으로 나와 있다. 샤프트 4위에는 주(主) 구동기어-캠 세트 5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캠 세트 5의 기어부분 51은 구동기어 3과 맞물려 있다. 판 2의 윗부분에는 샤프트 6이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그의 일단이 판 2의 우측으로 나와 있고 그의 타단은 판 2에 볼트 67a에 의해 고정된 보조판 2a위에 지지되어 있다. 큰 기어-캠 또는 피동기어-캠 세트 7이 샤프트 6의 우측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기어세트 7의 기어부분 71은 구동기어-캠 세트 5의 기어부분 51과 맞물려 있다. 한편,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세트 5,7의 캠부분은 연합된 관련성을 갖고 있다.
상기한 샤프트 6위, 판 2와 보조판 2a사이에,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전동 기어세트 8A, 금속휘일 10a와 다른 전동기어 세트 9A는 설치되어 있다. 기어세트 8A는 착석시의 동작을 위한 구동 기어세트이고, 기어세트 9A는 덮개덮는 동작을 위한 구동 기어세트이며, 휘일 10a는 안정장치이다. 기어세트 8A, 9A 차륜 10a는 샤프트 6과 함께 회전한다. 샤프트 6과 평행한 중앙 샤프트 11은, 일단이 판 2에 지지되고 타단이 보조판 2a를 통과하여 왼쪽으로 나와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 11위에 상기한 구동 기어세트 8A와 맞물려 있는 피구동기어세트 8B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세트 8B가 구동되면 샤프트 11이 회전한다. 기어세트 8B의 중공(中空) 허브(hub) 84의 죄측단에 상기한 구등 기어세트 9A와 맞물려 있는 피구동기어세트 95가 회전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기어세트 9B에는, 샤프트 11과 함께 왼쪽으로 나와있고 거기서 회전하도록 되어있는 중공 허브 94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세트 9A가 회전하면, 상기 세트 9B가 샤프트 11위에 있는 중공 허브 84의 주위에서 회전한다.
기어세트 8B와 9B사이, 허브 84위에, 플라스틱 또는 고무제의 휘일 10b가 느슨하게 취부되어 있고 금속휘일 10a와 맞물려 있다. 8A, 8B와 9A, 9B사이의 동작관계는 후술할 것이다.
스트링(string) 풀리 보유판 2b는 주 판 2에 볼트 67b로 고정되어 있다(제2도). 수세용 풀리-캠 조립체 12의 2개의 돌출하여 있는 샤프트 단부 121-121가 얹히는 슬로트 21-21이 판 2위의 해당 위치와 판 2b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풀리-캠 조립체 12의 기어부분 122는 -기어-캠 7의 기어 부분과 맞물려 있다. 견인 끈 13의 일단이 풀리-캠 조립체 12의 풀리부분 123상에 취부되어 있고, 타단은 판 2C상에 장착된 하부 가이드풀리 14a과 상부 가이드 풀리 14b의 주위에 감겨 있다. 그리하면, 상기 끈 13의 상기 타단은 샤프트 11과 평행하게 되어있는 긴 관 15내로 판 2C상의 슬리브 28 통해 들어가 있다. 끈 13의 상기 타단은 긴 관 15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되어있는 작동로드 16의 내측단에 매어있다. 슬리브 28과 로드 16사이에서, 관 15의 내부에 끈 13을 감고있는 스프링 17이 설치되어 있다.
풀리 조립체 12가 기어 7에 의해 구동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끈 13이 스프링 17에 저항하면서 감김으로써 로드 16은, 풀리 조립체 12가 기어 7과 맞물림이 풀립립과 동시에 스프링 17의 힘에 의해 원위치로 가게끔 될 때까지 관 15내로 당겨진다. 너클 조인트(knuckle joint) 16a의 일단은 로드 16의 외측단에 축선회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타단은 링크(link) 18에 고정되어 있다. 그 링크는 물탱크 A의 측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하여 있고 그 링크의 상단이 수세손잡이 19에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 11의 아래에 그와 평행히 위치되어 있는 고정판 20은 수세식변기에 전체장치 D를 고정시키기 위해 판 2a에서 왼쪽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다. 슬로트 201-201이 그 판 20상에 형성되어 있다.
변좌링과 변기의 덮개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202-202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판의 슬로트 201-201을 통과하게끔 할 수 있다.
관 2상의 큰 기어-캠 7의 좌측 하측부 아래에, 기어-캠 7의 캠부분인 72a와 72b에 의해 작동되는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 MS1과 MS2가 설치되어 있다(제2도). 다른 마이크로스위치 MS3는 기어-캠 7의 우측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캠부분 72a에 의해 작동한다. 콘덴서 C는 판 2의 왼쪽 아랫 부분에 띠쇠로 고정되어있다. 도면에서, 본 장치의 케이스는 22로 도시되어 있고 23은 전원에 연결된 전선이며, 24는 덮개, 25는 변좌링, SW는 작동 스위치, S1은 덮개와 변좌링을 위한 스위치 버튼이고, S2는 덮개만을 위한 스위치버튼이고, S3는 변좌링만을 위한 스위치버튼이며, P는 플러그(plug)이다.
모우터 1, 마이크로 스위치 MS1, MS2, MS3, 작동스위치 S, 콘덴서 C 등을 포함한 모든 전기적구성요소들의 작용은 후술한다.
또, 변좌링 25를 지지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보유아암 26이 샤프트 11위에 설치되어 있다(제1 및 2도). 중공 허브 94상에 덮개 24를 지지하고 작동시키기 위해 브라켓트 27의 일단이 제공되어 있고, 브라켓트 27의 타단은 샤프트 11의 좌측단에 회전자재하지 설치되어 있다.
제3도는 큰 기어-캠 세트 7과 작은 기어-캠 세트 5와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큰 기어-캠 세트 7에는, 작은 기어-캠 세트 5의 연속 기어부분 51과 맞물려 있는 불연속 기어부분 71이 있다. 또한, 그 기어부분 71은 부분 71a와 71b로 나누어져 있다. 기어부분 71a과 71b사이에 그리고 부분 71b의 단부에, 요홈부 73a, 73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기어부분 71a의 시작단부와 요홈부 73b의 말단부를 넘어 톱니 74a,74b가 나와 있다. 각 톱니 74a, 74b는 기어캠 7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톱퍼((Stopper)의 역할을 하도록 각기 배치되어 있다. 스톱퍼-톱니 74a와 74b 사이에는 톱니가 없는 2개부분 75a와 75b가 배치되어 있고, 그 부분들 사이에 다른 기어부분 76이 있다. 기어부분 71a, 71b에 비해 상당히 높이 올라와 있는 기어부분 76은 기어-캠 세트 7이 회전할때 폴리-캠조립체 12의 기어부분 122와 맞물린다. 기어부분 71a, 71b사이에는 마이크로스위치 MS1, MS2와 만나도록 기어-캠 세트 7의 여러측부에 캠부분 72a와 72b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캠 세트 7의 여러측부상의 요홈부 73a, 73b에 상응하는 위치에 톱니 77a, 77b가 배치되어 있다. 톱니 77a, 77b와 반대편의 같은 위치에 큰 기어-캠 세트 7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아크모양의 판 78a, 78b가 배치되어 있다.
작은 기어-캠 세트 5는 큰기어-캠 세트 7의 기어부분 71과 구동기어 3과 맞물려 있는 기어부분 51을 가지고 있다.
기어 51의 앞, 뒷면에는 캠 52a, 52b가 상기 톱니 77a, 77b와 각각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안내휘일 53a, 53b의 사이에 캠 52a가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아크모양의 판 78a, 78b와 충동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캠 52a, 52b의 상응하는 위치에 놋치(notch) 54a, 54b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안내휘일 53a와 53b 사이에 홈 54가 있어서 유동(遊動) 회전할 때 톱니 77a를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제5도에서 풀리부분 123과 기어부분 122로 구성된 수세용끈을 위한 풀리-캠 조립체는 판 2b상의 슬로트 21의 하단에 얹혀 있다. 기어부분 122에는 기어부분으로부터 나와있는 톱니가 없는 부분 124와, 그 톱니가 없는 부분이 시작하는 곳과 끝나는 경계부분에 배치된 2개의 톱니 122a가 있다. 풀리부분 123에는 홈 123′가 형성되어 있고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견인 끈 12의 한쪽끝이 그 홈안에서 배치되어 있다.
제4a-c도는 변좌링 구동을 위한 구동-피동기어세트 8A와 8B사이의 관계 및 덮개를 들어올리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피동기어세트 9A와 9B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구동기어세트 8A는 기어 81a, 하나의 톱니만을 가진 기어 82a, 부채꼴 모양의 톱니바퀴 831과 오목한 활모양 부분 832를 갖는 캠 83a로 되어 있다. 피동기어 83는 오목한 활모양부분 811과 두개의 돌기부 812를 가진 기어 81b와 하나의 톱니만을 가진 기어 82b와 두 돌기부 833사이에 오목한 활모양부분 834을 가진 캠 83b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기어 81a, 82a와 캠 83a는 기어 81b, 82b 및 캠 83b와 각각 상호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구동기어세트 9A는 세트 8A와 같은 방식으로, 기어 91a, 하나의 톱니만을 갖는 기어 92a, 부채꼴모양의 톱니바퀴 931과 오목한 활모양부분 932를 갖는 캠 93a로 구성되어 있다. 세트 8B와 마찬가지로 피동기어세트 9B는 오목한 활모양부분 911과 두 돌기부 912를 가진 기어 91b와, 하나의 톱니만을 가진 기어 92b와, 두 돌기부 933사이에 오목한 활모양부분 934를 갖는 캠 93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 91a, 92a와 캠 93a는 기어 91b, 92b, 캠 93b와 각각 상호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제6도는 모우터 1, 콘덴서 C, 마이크로스위치 MS1, MS2, MS3, 3개의 푸시버튼 S1, S2, S3로 이루어진 작동스위치 SW와 전원에 연결된 플러그 P를 갖는 본 발명장치의 회로도가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본 장치의 설치, 기능, 작동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7도는 설치예를 나타낸다. 전체장치 D는 변좌링과 덮개를 고정시켜 주는 볼트 202-202와 함께 고정판 20에 의해 변기 B의 뒷쪽에 고정되어 있다. 덮개 24와 변좌링 25는 샤프트 11상에 회전자재하게 장치되어 있고 지지브라켓 27과 보유아암 2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작동 스위치 SW는 장치 D의 케이스 22로부터 윗쪽으로 직립하여 있거나 또는 벽에 직립취부된 도관 29의 정부(頂部)에 설치될 수 있다.
장치가 부작동 상태에 있을 때 덮개 24와 변좌링은 모두 닫혀 있다. 제8a도에선 작은 기어 51과 큰기어 71사이의 관계를 볼 수 있다. 작은 기어 51은 큰 기어 71의 시작되는 끝부분에 맞물려 있고, 캠 72a,72b는 폐회로 상태에 있는 마이크로스위치와 각각 맞물려 있다. SW의 버튼 S2를 누르면, 제8d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전원 p, 스위치 SW, 마이크로스위치 MS, 콘덴서 C, 모우터 1에 의해 폐회로가 형성되고, 그리하여 모우터 1이 기어 3을 구동시켜 작은 기어-캠 세트 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작은기어 51은 기어부분 71a와 맞물려 있어 큰 기어-캠 세트 7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샤프트6에 장치되어 있는 극동기어 세트 8A와 9A가 회전한다. 제8b,c도에서 보면 구동기어 세트 8A의 기어 81a는 기어 81b의 오목한 활모양부분 811과 마주 대하고 있고 완전히 맞물려있지 않고 동시에 기어 82a와 기어 82b, 캠 83a와 캠 83b 역시 맞물려있지 않기 때문에, 기어세트 8B는 회전하지 않는다. 샤프트 11은 정지했으므로, 변좌링 25는 닫혀 있는다. 그러나, 구동기어세트 9A의 기어 91a는 피동기어세트 9B의 기어 91b와 맞물려 있고, 피동기어세트 9B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리하여, 피동기어세트 9B의 중공 허브 94상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트 27을 통해 덮개 24가 들어 올려진다. 그러는 동안에, 기어 91b의 오목한 활모양 부분 911이 기어 91a와 대면하게 되고, 제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 하나의 톱니를 가진 기어 92b가 역시 하나의 톱니만을 가진 기어 92a와 맞물리게 된다.
한편, 기어 7이 회전할때, 기어부분 76은 풀리-캠 조립체 12의 기어부분 122중에서 톱니가 없는 부분 124와 만나게 된다. 상기 풀리-캠 조립체 12는 슬로트 21내에 놓여서 판 2b의 슬로트 21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기어 76은 통과하는데 지장이 없으나, 톱니없는 부분 124를 스쳐 지나감으로써, 회전하지 않는 조립체 12의 상승운동을 일으키게 한다. 기어-캠 세트 7은 계속 회전한다.
작은 기어-캠 세트 5가 1전이상 회전하여 큰 기어-캠세트 7을 90°이상 회전시키면 덮개 24는 완전히 열린다. 그때 요홈부 73a는 작은 기어 51과 만나게 된다. 그러는 동안에, 제한판 78a와 함께 톱니 77a가 같은 위치로 오게되고 마이크로스위치 MS1과 MS2는 캠 72a, 72b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MS3는 캠 72a와 만난다(제9도). MS1이 “오프”상태에 있을 때 모우터 1은 회전의 단절에 기인하여 작동하지 못한다. 즉, 덮개 24를 들어올린후 전등장치가 정지되고, 변좌링 25는 앉을 수 있게 준비가 된다.
사용후, 사용자는 앉은 자리에서 일어나, SW의 버튼 S1을 누르면 제9d도에서 보듯이 전원 P, SW의 버튼 S1, 마이크로스위치 MS2, 콘덴서 C, 모우터 1을 포함하는 역회로가 폐쇄된다. 반대방향으로 모우터1이 회전하게 되어 작은 기어-캠 세트 5는 전동기어 3을 통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9a도에서, 캠 52a의 톱니가 큰 기어-캠 세트 7의 톱니 77a와 맞물려 그 캠세트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알수 있다. 캠 52a가 톱니 77a를 밀어낼 때, 요홈부 73a는 작은기어 51과 만나는 위치에서 벗어나게 된다. 한편, 기어부분 71a는 기어 51과 다시 맞물리고, 기어-캠 세트 7이 계속해서 회전하고, 그에 따른 구동기어 세트 8A, 9A가 회전한다. 제9b도에서, 하나만의 톱니를 가진 기어 92a는 같은 모양의 92b 및 기어 91b, 93b를 구등시켜 그들의 맞물림이 풀릴때까지 그들이 회전하도록 한다. 그래서 기어 91b의 오목한 활모양부분 911은 자기위치에서 강제로 벗어나 기어 91b의 톱니가 기어 91a와 맞물리게 하여, 그 기어 91a는 기어 91b를 구동시켜 중공 허브 94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따라서 브라켓트 27이 덮개를 닫게 된다.
작은 기어-캠 세트 5가 반시계방향으로 약 1회전하여 큰 기어-캠 세트 7을 90°도 가량 회전시켜주면, 덮개 24가 완전히 덮힌다. 그때, 마이크로 스위치 MS2는 캠 72b에 외해 개방되고, 그러므로서 모우터회로를 단절시킨다. 한편, 스톱퍼 톱니 74a는 작은 기어 51과 맞물려 기어-캠 세트 7이 계속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 장치는 정지 상태로 되어 보통 상태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 기어-캠 세트 7이 그렇게 회전하는 동안, 기어부분 76은 처음에 수세용끈의 작용을 위한 풀리-캠 조립체 12의 기어부분 122의 톱니 122a와 만나서, 기어 122가 맞물리도록 한다. 풀리 12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끈 13을 감아서 로드 16을 스프링 17의 힘에 대항하여 관 15안으로 철회된다. 그러던 수세탱크 A의 손잡이 19는 너클조인트 16a와 링크 18을 통해 로드 16에 의해 잡아당겨기제 되어 작동수세가 일어나게 된다. 기어부분 76이 기어 122를 지나게되면, 손잡이 19는 스프링 51의 힘에 의해 원래 위치로 돌아간다.
안전휘일 10a, 10b는 서로 접촉하여 있고, 덮개 24가 열리거나 닫히거나 할 때 마찰하면서 회전한다. 그 안전장치는 덮개가 관성이나 중력 때문에 주행말기에 수세탱크와 충돌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변기를 남자의 소변기로서 사용하려 할 때는 버튼 S2를 누른 다음 SW의 버튼 S3를 누른다. 그러한 경우를, 제8도에 도시된 상태가 제9도에 도시된 상태로 변한후 전원 P,SW의 버튼 S3, 마이크로스위치 MS3, 콘덴서 C, 모우터 1을 포함하는 회로가 여전히 폐회로로 되게 버튼 S2를 누른다. 그러면 제9도의 상태에서 작은 기어-캠세트 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한다. 캠 52a는 톱니 77a와 만나고 큰 기어-캠 세트7을 조금 회전시켜 요홈부 73a가 작은 기어 51과 만나는 자리를 떠나게 된다. 기어부분 71b가 작은 기어 51과 맞물려서 기어-캠 세트 7이 기어-캠 세트 5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구동 기어 세트 8A와 9A가 회전한다. 제9도에서, 캠 72a가 마이크로스위치 MS2에서 벗어나고, 작은 기어 51이 한바퀴 이상 돌아 큰기어-캠 세트 7은 약 90°정도 회전시켜 줄 때까지 마이크로 스위치 MS3을 눌러 준다. MS3가 캠 72a에서 벗어난다. 한편 스톱퍼 톱니 74b는 작은 기어 51과 만나서 모우터와 전체 장치가 정지상태로 된다.
큰 기어-캠 세트가 회전할 때 하나만의 톱니를 가진 기어 82a는 같은 모양의 기어 82b를 구동시킨 다음 기어 81a와 기어 81b를 맞물리게 하여 샤프트 11을 회전시킨다. 그리하여 보유 아암 26위에 지지되어있는 변좌링이 들어 올려진다. 기어 91a와 92a가 물려있진 않아서 결국 기어 92b는 중공 허브 94와 같이 정지 상태에 있는다. 따라서 덮개 24는 개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큰 기어-캠 7이 회전을 정지할 때까지 기어 92a의 오목한 활모양 부분 921밑에서, 기어 91a만이 유동회전한다. 구동 및 피동 기어세트 9A,9B는 동시에 정지한다. 한편, 큰 기어-캠 세트 7이 회전하는 동안, 기어부분 71a는 풀라-캠 조립체 12의 기어 122와 맞물리지 않아서 그 조립체 12가 돌지 않으며 따라서 수세기구가 작동하진 않는다. 기어-캠 세트 7이 정지하면, 캠 72a, 72b는 마이크로스위치 MS1, MS2, MS3와의 계합에서 벗어 나게 되고 회로도는 제10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변좌링 25를 들어올린후, 변좌링 25를 적시지 않고도 변기에 소변을 볼 수 있게끔 된다.
사용후, 사용자는 SW의 버튼 51을 누른다. 전원 P,SW의 버튼 S1, 마이크로스위치 MS2, 콘덴서 C, 모우터 1을 포함하는 역회로가 폐쇄되어 작은 기어-캠 세트 5를 기어 3의 전동에 의해 역회전시킨다. 기어-캠 세트 7은 캠 52b와 톱니 77b와의 맞물림으로서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 기어부분 71b와 작은기어 51이 맞물린 후 큰 기어-캠 세트 7은 작은 기어 51에 의해 구동되며, 기어-캠 세트 7이 약 90° 회전할 때까지 계속 회전한다. 오목한 활모양부분 73a는 다시 적은 기어 51과 마주보는 위치로 온다. 기어-캠 세트 7은 잠시 정지하나, 작은 기어-캠 세트 5는 모우터 1과 함께 계속 회전한다. 기어-캠 세트 7이제10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9도의 상태로 바뀌면, 기어 81a와 기어 82a의 맞물림을 통해 구동기어 세트 8A는 피동기어 세트 8B를 구동신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기어-캠 세트가 다시 90° 돌아서 잠시 정지할 때까지 샤프트 11의 회전에 의해 변좌링 25는 닫힌다. 즉 변좌링 25가 완전히 닫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세트 9A의 구동기어 91a는 기어세트 9B의 기어 91b와 맞물려 있지 않으므로 덮개 24는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캠 52a와 톱니 77a가 다신 맞물릴 때 까지 모우터를 계속 구동시켜 기어-캠 세트 5를 구동시키면, 오목한 활모양부분 73a는 우선 작은 기어-캠 세트 5에어 벗어나고, 기어부분 71a는 작은 기어 51과 맞물리게 된다. 큰 기어-캠 세트 7은 다시 회전하기 시작한다. 기어-캠 세트 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부분 76은 풀리-캠 조립체 12의 기어 122와 맞물리게 된다. 다음, 풀리 123은 끈 13을 감아서 상술한 바와같은 자동수세를 행한다. 구동기어 세트 8A, 9A와 피동기어 세트 8B, 9B의 동작은 덮개 24를 닫는 경우와 같으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겠다. 기어-캠 세트 7이 다시 90° 계속 회전하여 제8도에서와 같은 위치로 돌아가면, 마이크로 스위치 MS2가 열림으로써 모우터 1이 정지한다. 전체 장치는 정지상태로 된다.
덮개 24와 변좌링이 상술한 바와같이 닫히어 있을 때 판 78a, 78b와 같이 작동하는 작은 기어-캠 세트 5에 부착된 안내휘일 53a및 53b와, 기어 세트 9A, 9B의 기어 93a, 83b와 같이 작동하는 기어세트 8A,8B의 캠 83a, 83b는 기어 77a, 77b와 캠 52a, 52b 사이, 기어 82a, 92a와 기어 82b, 92b 사이의 맞물리는 곳의 위치를 적당히 안내해 줌으로써 순조로운 작동을 하게 한다.
전술한 기구에 의해, 덮개의 덮개 및 변좌링을 들어올리거나 닫게하고 또 덮개를 닫은 후 자동적으로 수세가 되게끔 하는 모든 동작은 버튼을 한번만 누름으로써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래서 훨씬 편리할뿐 아니라 깨끗하다. 또, 상기 장치는 기존의 어떤 변기에도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고 개개의 상품으로 판매될 수도 있다.

Claims (1)

  1. 변기, 수세탱크, 올리거나 닫거나 할 수 있는 덮개 및 변좌, 수세기구의 결합으로 되어 있고, 상기 수세기구의 작동뿐만 아니라 덮개 및 변좌의 들어 올려짐이나 닫힘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케이스안에 설치된 저속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자동적으로 연결되어 모우터에 의해 작동되는 수단, 상기 덮개를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상기 모우터 작동 수단과 덮개를 상호 연결시키는 덮개 작동수단과, 상기 변좌를 올리고 둘릴 수 있도록 상기 모우터 작동 수단과 변좌를 상호 연결시키는 변좌작동 수단과, 상기 모우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덮개 작동 수단이 덮개를 들어 올리는 덮개 올림회로를 통해 상기 모우터와 모우터 작동 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1수동스위치와 상기 변좌작동 수단이 변좌를 들어 올리는 변좌올림 회로를 통해 상기 모우터와 모우터 작동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2수동스위치와, 변좌가 들어 올려져 있을 경우 그 변좌를 닫고 덮개를 닫기 위해서 역동작으로 상기 모우터와 상기 모우터 작동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3수동 스위치로 구성된 전기제어 수단과, 상기 수세기구와 모우터 작동 수단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3스위치와 작동에 따라 상기 역동작시에만 상기 변기를 수세하도록 상기 모우터 작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수세 작동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변기용 자동식 덮개 승강 및 수세 장치.
KR7702303A 1977-09-30 1977-09-30 수세식 변기용 자동식덮개 승강 및 수세장치 KR800001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303A KR800001294B1 (ko) 1977-09-30 1977-09-30 수세식 변기용 자동식덮개 승강 및 수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303A KR800001294B1 (ko) 1977-09-30 1977-09-30 수세식 변기용 자동식덮개 승강 및 수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294B1 true KR800001294B1 (ko) 1980-10-26

Family

ID=1920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303A KR800001294B1 (ko) 1977-09-30 1977-09-30 수세식 변기용 자동식덮개 승강 및 수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451B1 (ko) * 2003-07-25 2006-08-25 강윤식 자동 커버/변좌개폐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451B1 (ko) * 2003-07-25 2006-08-25 강윤식 자동 커버/변좌개폐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5864A (en) Automatic lid-lifting and flushing device for water closet
KR800001294B1 (ko) 수세식 변기용 자동식덮개 승강 및 수세장치
CN111636536B (zh) 一种适应多年龄段人群的马桶
US4831670A (en) Automatic flushing apparatus for toilets
JP2008196300A (ja) 便器
CN109424025B (zh) 一种排水阀的拉线控制盒及具有其的马桶排水装置
KR200159636Y1 (ko) 양변기
CA1054306A (en) Automatic lid-lifting and flushing device for water closet
KR200180429Y1 (ko) 좌변기 중간덮개 개폐장치
GB1558892A (en) Control mechanism for automatic lid and seat lifting and flushing of a water-closet
JP2543274Y2 (ja) 水洗便器の洗浄水タンク装置
CN201024498Y (zh) 踏式座便器
CN2893009Y (zh) 如厕板循环消毒机以及分离的如厕板系统
CN212294917U (zh) 一种马桶的冲刷启动机构
JP2000291098A (ja) 便器洗浄タンク装置
CN216197419U (zh) 带门男士小便器
JPH03187429A (ja) 便器水洗装置
GB2134145A (en) Water closet
KR20230037812A (ko) 페달형 덮개 자동개폐 기능이 구성된 변기
JP2530314Y2 (ja) 簡易水洗便器
CN112617962A (zh) 一种长期便秘患者的直肠疏通医疗器械
KR20220033277A (ko) 페달을 이용한 자동 덮개 개폐 및 자동 물내림 기능이 구성된 변기
KR200406358Y1 (ko) 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JPH0139826Y2 (ko)
JPH0711683A (ja) 便器水洗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