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958B1 - 수평 편향회로(水平偏向回路) - Google Patents

수평 편향회로(水平偏向回路)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958B1
KR800000958B1 KR7603212A KR760003212A KR800000958B1 KR 800000958 B1 KR800000958 B1 KR 800000958B1 KR 7603212 A KR7603212 A KR 7603212A KR 760003212 A KR760003212 A KR 760003212A KR 800000958 B1 KR800000958 B1 KR 800000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transistor
excitation
horizontal deflection
outpu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도 오오이찌로오 하시
Original Assignee
요시야마 히로요시
주식회사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야마 히로요시, 주식회사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요시야마 히로요시
Priority to KR760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96Circuit elements other than coils, reactors or the like, associated with the tube
    • H01J2229/964Circuit elements other than coils, reactors or the like, associated with the tube associated with the deflection system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평 편향회로(水平偏向回路)
제1도는 댐퍼 다이오드가 없는 종래의 수평편향회로도
제2도는 댐퍼 다이오드가 없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편향 회로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댐퍼 다이오드가 없는 수평편향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이와같은 수평편향 회로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수평여진 트랜지스터(2)를 수평주기로 ON하는 것에 의해 수평출력 트랜지스터(3)의 OFF시점이 제어된다. 여진 트랜스(2)는 여진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 전류가 1차 권선(21)을 흐르는 것에 의해 축적된 에너지를 여진 트랜지스터(1)의 OFF기간에 수평출력트랜지스터(3)의 베이스 에미터 경로에 공급해서 출력 트랜지스터(3)을 ON으로 한다. 댐퍼 다이오드가 없는 수평편향회로에서는 수평귀선기간에 수평편향 코일(4), S자 보정 콘덴서(5), 공진콘덴서(6)로 구성된 공진회로에 축적된 공진 에너지가 수평주사기간 초기에 출력트랜지스터(3)의 베이스 콜렉터 다이오드를 지나서 방출된다.
즉, 수평주사기간 초기의 수평편향 전류는 출력 트랜지스터(3)의 베이스 콜렉터 접합에 의해 형성되는 베이스 콜렉터 다이오드를 통해 흐른다.
다이오드(8)는 이 전류가 여진 트랜스(2)의 2차 권선(22)을 통하여 흐르지 않게 하기위한 것이다.
만약 수평출력트랜지스터(3)가 정상동작을 개시하기전에 여진 트랜지스터(1)가 OFF로 되므로, 이때 여진 트랜스(2)의 1차권선(21)은 개방 상태로 되고 이 때문에 출력 트랜지스터(3)의 베이스에서 여진 트랜스(2)를 향하여 본 임피던스가 크고 수평편향전류의 직선성이 악화된다. 더욱이 수평편향 전류가 2차권선(22)을 통하여 흐른다고 하면, 1차권선(21)과 2차권선이 역극성 때문에 여진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에 부전압이 발생하고 콜렉터 에미터간에 역방향전압이 인가되어 여진 트랜지스터(1)의 특성 열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2차권선(22)의 양단간에 접속된 다이오드(8)는 상기 폐단을 제거하기 때문에 효과적이지만, 제1도의 구성은 다음에 기술하는 결점을 갖는다.
출력 트랜지스터(3)를 큰 베이스 전류가 흐르는 ON상태에서 OFF상태로 신속히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의 축적효과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순간적으로 큰 부전압을 출력트랜지스터(3)의 베이스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 순간적 부전압은 2차권선(22)이 역극성으로 감겨진 여진 트랜스(2)의 1차권선(21)에 흐르는 전류를 급격히 차단하는 것에 의해서 2차권선(22)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이용해서 얻고 있다.
그러나 음극이 출력트랜지스터(3)의 베이스에 양극이 어스에 접속된 다이오드(8) 때문에, 출력트랜지스터(3)의 베이스 전압은 다이오드(8)의 양극, 음극간의 순방향전압보다 작은 값이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수평 주사기간에서 수평귀선 기간으로 옮길 때 출력트랜지스터(3)의 콜렉전류의 강하에 시간이 걸린다. 한편, 이때 출력트랜지스터(3)의 콜렉터에는 수평귀선 펄스에 의한 고전압이 발생하므로 출력트랜지스터(3)에 의하여 큰 전력소비가 생긴다.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류의 하강 시간은 트랜지스터의 온도상승과 함께 길어지는 성질이 있으므로 제1도의 회로에서 출력트랜지스터(3)가 열폭주를 일으켜 파괴되는 수가 있다.
더욱이 공진 에너지는 다이오드(8)를 통해서 방출되기 때문에 공진 에너지는 여진 트랜스(2)에 공급되지 않으며, 여진 트랜지스터(1)에 공급되는 에너지는 1차권선(21) 및 저항(11)을 개재시켜 콜렉터에 접속된 직류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므로 저항(11)을 흐르는 전류가 크다.
즉 여진 회로의 전력효력효율이 나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출력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류를 급격히 감소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역방향의 베이스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수평편향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효율이 향상된 수평편향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평편향 코일으 가진 공진 회로에 축적된 에너지가 수평출력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콜렉터의 접합 다이오드를 통하여 방출될시, 여진 트랜스의 1차권선 양단간을 저 임피던스로 단락하는 수단을 설치, 이것에 의해 여진 트랜스의 2차권선의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도록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댐퍼 다이오드가 없는 수평편향 회로를 나타낸 제2도에 있어서는 다이오드(8´)가 여진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 에미터간에 여진 트랜지스터(1)의 도통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여진 트랜지스터(1) 또는 다이오드(8´)가 도통해 있는 한 1차권선(21)은 교류적으로 단락된다.
여진 트랜지스터(1)가 ON함과 동시에 출력 트랜지스터(3)는 OFF해서 수평귀선기간이 개시된다.
수평편향코일(4), S자 보정 콘덴서(5), 공진콘덴서(6)로 구성된 공진 회로에 의해 수평편향 코일(4)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수평주사종료시의 수치로부터 수평주사 개시시의 수치까지 되돌아 온다.
공진에 의해 수평편향코일(4)에 축적된 에너지가 2차권선(22) 및 출력트랜지스터(3)의 베이스 콜렉터 다이오드를 통해서 방출되기 시작할 때 수평귀선 기간은 종료되고 수평주사기간은 개시된다.
수평편향코일(4), S자보정 콘덴서(5), 공진콘덴서(6)로 구성된 공진 회로의 정수, 여진 트랜지스터(1)의 축적시간 등의 분산, 고전압부하 변동에 의한 공진 에너지의 분산 때문에, 여진 트랜지스터(1)를 ON으로 하기 위하여 베이스 전류는 통상 수평주사 개시후 출력트랜지스터(3)에 정상방향의 콜렉터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기전의 시점까지 공급된다.
역시 여진 트랜지스터(1)가 OFF된 이후라고 하더라도 수평편향 코일(4)에 축적된 에너지 때문에 수평출력 트랜지스터(3)의 콜렉터 전압이 부(負)로 되어 있는한, 정상 방향의 콜렉터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수평주사기간 초기의 수평편향전류는 수평편향 코일(4)에 축적되었던 에너지가 2차권선(22) 및 출력트랜지스터(3)의 베이스 콜렉터 다이오드를 통해서 방출되는 것에 의해 흐른다.
여진 트랜지스터(1)가 ON일 때 1차권선(21)은 여진 트랜지스터(1)와 콘덴서(12)에 의해 단락(shortcircuit)되므로 출력트랜지스터(3)의 베이스에서 여진 트랜스(2)를 향해 본 임피던스는 작다.
그러나 여진 트랜지스터(1)가 OFF한 후, 만약 다이오드(8´)가 설치되지 않으면, 1차권선(21)이 개방되고 출력트랜지스터(3)의 베이스에서 여진 트랜스(2)를 향해 본 임피던스가 커지므로 소망의 수평편향 전류를 얻을 수 없다. 제2도의 회로서는 출력 트랜지스터(3)의 OFF후리고 하더라도 출력트랜지스터(3)의 베이스 콜렉터의 전압을 흐르는 전류가 2차권선(22)을 통하여 흐를 때 1차권선(21)에 유기된 전압이 여진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에 부전압을 걸어주게 되므로 1차권선(21)에 유기되어진 전압에 의해 다이오드(8´)가 ON한다.
이 때문에 출력 트랜지스터(3)의 베이스로부터 여진 트랜스(2)를 본 임피던스는 여진 트랜지스터(1)가 OFF한 후라도 크게 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평편향 전류의 흐르는 경로의 임피던스가 작은 값을 갖게 되므로 직선성이 양호한 수평편향 전류를 얻을 수 있다.
또 여진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 전압은 다이오드(8´)에 의해어스전압보다 다이오드(8´)의 순방향전압 만큼 낮게 클랩핑되므로 특성열화를 야기하는 커다란 부전압이 여진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에 인가되지 않는다. 한편 다이오드(8´)는 출력트랜지스터(3)의 베이스로부터 분리되었으므로 출력트랜지스터(3)의 베이스가 접지전위에 클랩핑되는 현상이 제거되고, 이 결과 출력트랜지스터(3)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차권선(21)에 유기된 전압에 의하여 콘덴서(12)가 다이오드(8´)를 통하여 충전되므로, 수평편향 코일(4)에 축적된 에너지는 여진 트랜스(2)를 통하여 콘덴서(12)에 축적된다. 더우기 제1도에 있어서는 여진 트랜지스터(1)가 수평주사 개시후에도 베이스 전류가 계속적으로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ON해 있지만, 제2도에서는 수평주사 개시후 즉시로 다이오(8´)가 ON하여 콜렉터 전압이 에미터 전압보다 낮게 되므로 여진 트랜지스터(1)는 수평 주사 기간이 개시하면 OFF로 된다.
따라서 제2도에서는 여진 트랜지스터(1)가 ON하여 있는 기간이 제1도의 경우와 비교해서 짧다.
따라서 직류전원(10)으로부터 1차권선(1) 및 여진 트랜지스터(1)에 공급되는 에너지가 감소된다.
이것에 의해 직류전원(10)과 1차권선(1)과의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11)의 전력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여진 트랜지스터(1)의 전력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이오드(8´)를 여진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 에미간에 접속하는 대신에 제2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베이스 에미터간에 접속하여도 좋다.
이 경우 콘덴서(12)를 충전하는 전류는 점선으로 나타낸 다이오드(8˝) 및 여진 트랜지스터(1)의 베이스콜렉터 다이오드를 통해 흐른다.
더우기 여진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가 다이오드(8´)에 의해 다이오드(8´)의 순방향 전압만큼 0볼트 이하의 부전압으로 클램핑 되어 있는 동안 여진 트랜지스터(1)의 베이스에 접속되는 수평발진회로(도시하지않음)에서 나온 전류가 여진 트랜지스터(1)의 베이스 콜렉터 다이오드를 통하여 흘러 수평발진회로가 영향을 받는 경우에는, 1차권선(21)과 다이오드(8´)의 음극과의 접속점과 여진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간에 여진 트랜지스터(1)의 되통 방향과 같은 도통 방향으로 다이오드를 삽입하면 좋다.

Claims (1)

  1. 수평출력 트랜지스터와, 수평출력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에미터간에 접속되어 수평편향 전류가 흐르는 수평편향 코일과 수평출력트랜지스터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여진 신호를 발생하는 여진수단과, 여진수단에서의 여진신호가 공급되는 1차권선 그리고 수평출력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에미터간에 접속된 2차권선을 가진 여진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수평 주사 초기의 수평 편향 전류가 수평출력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콜렉터의 접합다이오드 및 2차권선을 통해 흐르는 수평편향회로에 있어서, 수평주사초기에 2차권선에 흐르는 수평편향 전류에 의해 1차권선에 유기되는 전압에 대하여 1차권선을 단락시킬 수 있도록 저임피던스를 갖는 단락수단이 1차권선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편향 회로.
KR7603212A 1976-12-29 1976-12-29 수평 편향회로(水平偏向回路) KR800000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3212A KR800000958B1 (ko) 1976-12-29 1976-12-29 수평 편향회로(水平偏向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3212A KR800000958B1 (ko) 1976-12-29 1976-12-29 수평 편향회로(水平偏向回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958B1 true KR800000958B1 (ko) 1980-09-15

Family

ID=1920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3212A KR800000958B1 (ko) 1976-12-29 1976-12-29 수평 편향회로(水平偏向回路)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95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285B1 (ko)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장치
US4024437A (en) D.C. power supply circuit
US4757433A (en) Power supply
US4630186A (en) Power source circuit
EP0386989B1 (en) A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burst mode standby operation
US4835655A (en) Power recovery circuit
US4177393A (en) Drive circuit for a television deflection output transistor
US4654772A (en) Power supply for electrostatic air cleaner
JP2721925B2 (ja) スイッチモード電源
US3467882A (en) Scanning circuits operative with line voltage type of power supply
KR800000958B1 (ko) 수평 편향회로(水平偏向回路)
KR850001658B1 (ko) 텔레비전 음극선관용 편향장치
US4115725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KR20020070144A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JP2870945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4451772A (en) Passive clamp for on/off control of a capacitor charger
JPS639715B2 (ko)
US4134047A (en) Circuit for generating a saw-tooth current in a coil
US4176302A (en) Vertical deflection output circuit
JPH1122087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4698559A (en) Power amplifiers for driving inductive loads
US4419608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JP2893466B2 (ja) プッシュプルインバータ
JPS6031325Y2 (ja) 水平出力装置
JPS6319591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