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767B1 - 아아크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아아크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767B1
KR800000767B1 KR750000274A KR750000274A KR800000767B1 KR 800000767 B1 KR800000767 B1 KR 800000767B1 KR 750000274 A KR750000274 A KR 750000274A KR 750000274 A KR750000274 A KR 750000274A KR 800000767 B1 KR800000767 B1 KR 800000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welding
current
current collect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꼬 와다나베
도꾸지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스기사와 히데오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기사와 히데오,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쇼 filed Critical 스기사와 히데오
Priority to KR75000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76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아크 용접장치
제1도는 종래의 상향 경사(上向傾斜)연결의 용접방법을 모재(母材)와 평행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표시도이며,
제2도는 제 1도의 Ⅱ - Ⅱ선 단면도이다.
제3도는 종래의 횡향 경사 연결의 경우이며, 모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것이다.
제4도는 제 3도의 Ⅳ - Ⅳ선 단면도이다.
제5도는 종래의 복합 경사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장치의 1실시예를 표시한다.
제7도는 본 발명장치에 사용하는 통전체(通電體) 받침쇠 및 모재와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장치의 통전체의 위치조정기구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장치의 용접선의 경사각 검출체를 나타낸 표시도이다.
제11,12도는 본 발명장치에 사용하는 자성체(磁性體)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아아크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용접의 진행에 따라서, 받침쇠를 슬라이드(slide)시켜서 이 받침쇠의 개선(開先)에 면하지 않은 부분에 이 받침쇠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통전체를 배치하고 이 통전체를 수냉하면서 전류를 흐르게 하고, 아아크의 방향제어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아아크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향 또는 항향경사나 횡향(橫向)경사등 이른바 경사연결의 용접에 있어서 특히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아아크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경사 연결은 각종 구조물에 적용되고 있으며 가령 탱커(tanker)의 측외판(側外板)에서는 경사연결의 용접길이의 합계는 수직연결의 용접길이의 합계와 거의 같은 정도이다. 이와같이 경사 연결은 수직연결등과 같은 정도의 용접량이 되는데에도 불구하고 아직 건전한 연결부를 얻기에 충분한 용접방법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종래에는 경사연결은 주로 일렉트로 가스 아아크(electro gas arc)용접방법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다. 이 일렉트로 가스 아아크 용접방법은 용접되는 모재의 개선면(開先面)을 표리 (表裏) 한쌍의 수냉된 구리받침으로 싸고 용융지(溶融地)의 상방으로부터 시이일드 가스(sealed gas)를 송급하면서 와이어를 용융지에 연속적으로 모내고, 와이어 선단과 용융지 사이에 아아크를 발생시켜서 그 열에 의하여 와이어와 모재와를 용융하면서 행하는 것으로서,이 용접법의 특성때문에 그 적용 경사각도는 고작 15° 정도에 멈추고 이것보다도 경사각도가 큰 것에 있어서는 실직적으로 자동용접할 수는 없고, 이 각도보다도 작은 것일지라도 또한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어 건전한 용접연결부는 얻어지지 않는다.
경사연결을 대별하면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개선 그자체는 수직의 평면내에 있어서 모재가 경사되어 있는 것,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모재 그 자체는 수직의 평면내에 있어서 개선이 경사되어 있는것 또는 양자를 조합시킨 것 즉 모재와 개선이 모두 경사지고 있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제1도와 같은 이른바 상향경사 연결의 용접의 경우에는, 받침쇠(10),(11)간에 형성되는 용융지(12)의 표면적이 같은 판두께일지라도, 크게되는 결과 아아크가 전체에 걸쳐지기 곤란하고, 나아가 와이어 (13)의 용융지에 대한 입사각이 수직이 되질 않고 뒤쪽의 받침쇠(11)의 방향으로 향해서 입사(入射)하기 때문에 뒤쪽에만 아아크의 열량이 미치는 결과, 뒤쪽은 용입과대(容入過大)하게 되고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뒤쪽에는 언더커트(undercut)(14)가 생기며 반대로 표면쪽에는 오우버 랩(Overlap)(15)이 발생하거나 용입불량이 된다. 즉, 뒤측으로 향해서 발생하는 아아크에 의하여 고온의 용융금속과 용융슬래그(slag)는 뒷측으로 떠밀려 내려가서 뒷측의 모재를 세척하기때문에 용입은 뒷측에서 크게 되고 언더커트는 이로 인해서도 발생한다. 표면측에는 고온의 용융금속이나 용융슬래그가 퍼지질 못하기 때문에 용입불량이나 오우버랩이 생긴다. 또 표면측은 슬래그가 적게되고 용융금속과 구리받침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생기고 표면측 비이트 표면에는 거칠음이 생긴다. 하향경사 연결의 경우는 상기 상향경사 연결의 경우와 완전히 반대의 상태로 되며 역시 결함이 생긴다.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이른바 횡향경사 연결의 경우에는 하향경사 연결의 경우의 원인과 마찬가지로 상측의 부재(16)가 용입과대로 인한 언더커트(14)를 발생하며 하측의 부배(17)에는 용입불량이나 오우버랩이 발생한다.
상기 상향경사 연결과 황향경사 연결의 복합 연결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한바, 각 원인이 중복되어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결함이 발생한다. 즉, 표면측에 있어 하측에는 오우버랩(15)이 발생하고 기타의 모재의 용입부에는 언더커트(14)를 발생한다.
상기 결점에 비추어 경사연결의 용접의 경우에, 와이어 송입위치를 용입불량이나 오우버랩의 발생하는 자리쪽(예컨데 상향연결의 경우는 표면측)으로 근접시켜도 아아크의 방향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다시 제1도 및 제3도에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의 입사각을 용융지에 수직으로 해서 보내도록 하면, 강기 결함은 적어지긴 했으나 이 경우에는 용접적용 조건이 한정될 뿐만 아니라 또한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다.
아아크를 용융지면에 수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와이어를 용접선과 평행이 아니고 어떤 각도(예컨대, 연결의 경사가 45°라면, 용접선에 대하여 45° 경사시킨다)를 가지고 송급하지 않으면 안된다. 좁은 개선내에서 이것을 행하면 통전팁(tip)이 모재에 부딪히거나 구리받침에 부딪쳐서 실용상 곤란하다. 다시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측의 모재(16)는 용융되어서 중력에 의하여 용융지내에 낙하하고 새로운 면이 노출하기 때문에, 이것이 순차 반복되어서 용입은 크게되는데 대하여 하측의 모재(17)는 용융되면 용융부가 모재의 상측에 덮어져 버려서 모재의 새로운 면은 나오지 않기 때문에 결국 용입불량이 발생한다.
또, 하향접합 용접(下向接合溶接)은 여러 가지의 아아크 용접방법을 채용하여 행해지지만 아아크의 발생방향을 반드시 목적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그럴때에는 용입이 같지 않은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과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모재와 절연된 통전체를 용접개선 근방에 배치하고 용접시에 이통전체에 통전함으로써 아아크의 평향방향을 제어하면 좋지만 통전체중을 전류가 흐를때에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통전체의 단면적을 크게해서 전류밀도를 낮추어줄 필요가 있다.
일반으로 동제품이 통전체를 사용하여 장시간 연속해서 사용하려면 전류가 큰 경우 통전체 단면적은 매우 크게 잡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너무 통전체의 단면적을 크게 잡는다던가 복수의 통전체를 설치하던가 하면 아아크 발생위치에 통전체를 근접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효율적인 아아크 편향방향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류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아아크의 편향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케하는 아아크 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언더커트나 오우버랩 등의 용접결점이 없는 용접부를 얻기 위한 아아크 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또는 기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는 용접의 진행에 따라서 슬라이드하는 받침쇠를 가진 아아크 용접장치에 있어서 이 받침쇠가 개선에 면하지 않은 부분에 이 받침쇠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통전체를 배치하고, 이 통전체를 수냉(水冷)하면서 이 통전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해서 이루어지는 아아크 용접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용접전류를 이 통전체중에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크 용접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 통전체의 아아크에 대한 위치 그리고/ 또는방향이 조정가능토록 한 아아크 용접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표면받침쇠 및 뒷면받침쇠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체를 가지며 이 검출체에 의한 검출치에 따라 이 통전체의 아아크에 대한 위치 그리고/또는 방향을 조정 가능케한 아아크 용접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용접선의 경사각도를 검출하는 검출체를 가지며, 이검출치에 따라 이 통전체의 아아크에 대한 위치 그리고/또는 방향을 조정가능케 한 아아크 용접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선에 면하지 않은 부분에 통전체를 압입하는 凹 구(構)를 가진 받침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크 용접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통전체의 받침쇠에 면하지 않은쪽에 자성체(磁性體)를 서치해서 이루어지는 아아크 용접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통전체의 받침쇠에 면하지 않은 쪽에 凹 형상의 자성체를 설치하고 있는 아아크 용접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장치는, 통전체중의 전류에 의해서 이른바 플레밍의 좌수의 법칙에 따르는 힘을 아아크에 작용시키고, 또 아아크는 자력선밀도의 희박한 부분을 지향한다고 하는 성격을 이용하여 아아크를 편향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통전체는 모재의 표면측이건 이면측이건 아무쪽에 있어서 좋고, 또한 양자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할수도 있다. 또 통전체는 용접선에 따라서 평행으로 용접선의 중앙에서부터 나누도록 모재의 동일면측에서 양쪽에 걸치도록 설치할 수가 있으며 용입불량부분 또는 용입과대부분에 기우린 상태로 배치해도 좋다. 통전체를 용접선과 거의 직교한 상태로 배치하면, 통전체를 용접선과 거의 평행토록 한 상태로 배치한 경우의 아아크 편향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아아크를 편향시킬 수가 있다.
또 통전체 중을 흐르는 전류는 용접전류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 용접전류와는 독립한 별개의 전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전류는 직류이거나 교류이거나 모두 좋다.
다시금 하향용접을 잠호용접 또는 미그(MIG)용접 등에서 행하는 경우는 통전체에 대한 급전을 변화시켜서, 아아크의 우이빙(weaving)을 시킬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상향경사 연결의 자동 아아크 용접장치(31)의 전체를 표시하고 있다. 이 장치(31)은 용접개선의 표면측에 장착한 용접대차(容接臺車)(32)와 이 대차(32)를 체인 (33)에 의하여 승강시키는 대차 인상장치(34)와 케이블(27)을 통하여 접지되어 있는 용접전원(26)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용접대차(32)에는 급전노즐(19) 및 와이어(13)를 공급하는 와이어리일(35),아아크 발생점의 표리를 접동하면서 상승하는 받침쇠(10),(11)는 이 받침쇠의 개선에 면하지 않은 부분에 이 받침쇠와 절연된 통전체(20a),(20b)등을 장치하고 있으며 복수의 마그네트 로울러(3q)로 용접모재의 측면을 승강한다.
이면측 통전체(20b)는 연결봉(37)에 의하여 용접대차(32)에 장착되어 있고 양 통전체(20a),(20b)는 각 각 부착구(38a),(38b)에 의하여 용접대차(32) 또는 연결봉(37)에 지지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통전체(20a)는 용접전원(26) 및 급전노즐(1q)에 접선되어 있다. 또 통전체는 용접전원 이외의 단독의 전원에 접속해도 좋다는 것은 물론이다. 이 부칙구(38)는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용접대차에 대하여 상하 위치 조정이나 회전이 자재로울 뿐아니라 받침쇠에 대한 거리조정도 자재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6도에는, 통전체(20)에 냉각수를 송급하는 장치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경사각의 큰 부재의 용접등에 있어서는 아아크를 충분히 편향시킬 필요가 있으며, 아아크를 효율적으로 편향시키기 위해서는 아아크 발생위치에 통전체를 가급적 근접시킴과 동시에 대전류를 통전체에 흐르게 하고 통전체를 복수개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통전체(20)를 다른 통전체나 받침쇠(10)와 절연재(2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절연함과 동시에, 통전체(20)의 중심부에 냉각수도(22)를 설치하여 이속에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써 통전체 자신의 단면적을 크게하지 않고 대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하여 통전체를 아아크 발생 위치에 접근시킬 수가 있다.
덧붙에 말하면 수직에 대해서 30° 상향경사의 경우 1개 이상의 통전체를 흐르는 전체전류가 1500A 필요하지만 만약 냉각수를 통하게 하지 않는 3개의 통전체로 아아크 편향을 하는 경우에는 1개당 500A의 전류가 필요하기 때문에 통전체 단면적을 크게할 필요가 있고, 단면적이 작으면 장시간의 사용에 견디어 내지 못할뿐더러 통전체를 다른 것과 절연하는 절연체의 기능약화가 현저하게 되어 장치의 내구성도 떨어지게 된다. 또 통전체를 아아크 발새위치에 충분히 접근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그 분량만큼 아아크 편향에 미치는 효과도 작게되고 충분하 아아크의 편향을 얼으려고 하면 더욱 큰 전류를 필요로 하며 경제성의 점에서도 바람직하지가 못하다. 더욱이 통전체의 중량과 스페이스가 크게되며 사용상태가 나쁘게 되고 이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때로는 스페이스가 없다는 이유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런데 통전체를 수냉하면 통전체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아크 발생위치에 통전체를 근접시킬 수 있으며 충분한 아아크 편향을 얻을 수가 있고 비수냉의 통전체와 마찬가지로 1500A의 전류가 필요한 경우에도 통전체를 3개로 하고, 1개당 500A가 되는 통전체의 단면적은 비수냉의 통전체의 단면적보다 작아도 충분하며 예컨대, 용접선의 경사각이 45°의 경우에도 충분한 용접이 달성되고 30°의 경우에는 전부가 900A 곧 1개당 300A의 전류를 통전체에 흐르게 한 것만으로 충분한 효과가 얻어졌다. 더욱이, 통전체의 단면적은 비수냉의 통전체 단면적의
Figure kpo00001
로서 좋다. 나아가 비수냉의 통전체를 사용한 경우의 다른 결점도 해소할 수 있었다.
여기에서 부언하건대, 1개당 2A의 통전체로 한다면 750개 필요하게 되고 통전체 1개의 중량은 적게 할수 있지만 수가 많기 때문에 그만큼 큰 스페이스가 요구되고 비수냉의 통전체에서는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뿐더러 사용에 견디어내지 못한다. 더욱 통전체중의 전류로서 용접전류를 사용하는 경우는 현재와 같이 용접능률을 중시하는 경우 600A 혹은 그 이상의 고전류를 사용하는 용접법이 많고 이와같은 경우 수냉의 통전체의 사용은 불가결한 것이다. 그런데 통전체를 흐르는 전류로서 용접전류를 사용하면 다른 전원의 경우에 비하여 설치비용이나 소비전력량 등의 면에서 유리한 것이다.
용접연결에는 예컨대 선측외판(船側外板)의 굽은 연결과 같이 경사각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45° 상향경사로부터 0°(수직)까지 연속하여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는 통전체의 위치를 아아크 위치에 대하여 변화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그것은 통전체의 부착위치 그리고/또는 부착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이 통전체중을 흐르는 전류가 아아크에 미치는 힘의 크기 그리고 /또는 그 힘의 작용방향을 바꾸고, 아아크의 편향방향 그리고/또는 편향강도를 제어함으로써 경사각도의 변화에 따르는 용접조건의 변화에 대응하여 용입형상을 일정하게 한다. 즉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표면측과 이면측의 구리받침(10),(11)의 냉각수온도를 냉각수 배출측에 있어서 냉각수온도 검출체(24a),(24b)에 의하여 검출하고 그 온도 차 또는 온도의 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통전체(20)의 위치를 변화시켜 아아크 편향강도를 제어함으로써 용입형상을 일정하게 한다. 용입형상은 앞 뒤 양받침쇠(10),(11)에 대한 입열량과 관계가 있으며 일반으로는 상대적으로 입열이 큰편이 큰 용입이 되는 것이다. 한편의 입열을 크게 하여 두는 것이 좋은 경우도 있지만, 그 경우에는 양받침쇠에 들어가는 입열의 차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통전체(20)의 위치를 조정하면 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양입열의 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통전체의 위치를 조정한다.
입열량 Q는
표면측에서 Q1=ℓ(T1·T1) Cal./sec.
이면측에서는 Q2=ℓ(T2·T2) Cal./sec.
단, Q1, Q2는 각 각 표면측 이면측 받침쇠에 들어가는 입열량으로 ℓ1, ℓ2(cc/sce)는 각각 표면측, 이면측받침쇠에 송급되는 냉각수량 T1, T2(G)°는 각각 표면측, 이면측 받침쇠로 부터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 T1, T2는 각각 표면측, 이면측 받침쇠에 송급되는 냉각수의 온도이다.
표면측, 이면측에 각각 부착된 냉각수의 유량조정기(25a),(25b)에 의하여 ℓ1=ℓ2로 하고 입구의 온도도 냉각수의 취입구를 동일하게 하면 T1=T2이므로 Q1-Q2=ℓ(T1·T2)ℓ이 일정하면 Q1-Q2∝ T1-T2따라서, 양온도차가 입열차로 볼 수가 있다.
또 비로 생각한다면
Figure kpo00002
이며 역시 온도를 측정하면 된다.
이와같이 하여 어떤 온도가 또는 비가 일정하게 되도록 통전체의 위치를 조정하지만, 그 기구의 1예로서는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표면측 이면측 받침쇠의 배수파이프중의 더모터플(thermo couple)(41),(42)에 의하여 온도를 검출하고 얻어진 신호를 포텐쇼미터(43),(44)로서 적당치로 레벨 조정하고, 그후 양편의 치차에 응하여 작동하는 지시기(45)를 설치하고 이 지시기(45)로 부터 나온 신호를 증폭기(46)에 의하여 증폭하여 모우터(47)를 구동하고 랙크피니온(48)에 의하여 통전체(20)를 이동시킨다.
또 간이장치로서는 수은온도계를 사용하여 온도계의 치를 사람이 읽어서 통전체를 이동시켜도 좋다.
제10도는 용접선의 경사각에 따라서 통전체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구를 표시한 도이며, 대차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52)내를 랙크(48p)가 이동자재하게 설치되고 이 랙크에 통전체(20)를 고정한다. 랙크(48p)를 구동하는 피니온(48p)은 레버(50)와 1체적이고 피니온의 회전중심의 축은 가이드(52)로부터 뻗은 아암(63)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축을 중심으로 하여 레버부착피니온과 각도지시침(49)이 독립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각도지시침(49)은 대차가 용접의 진행에 따라 변화하는 경사각에 따라서 회전하고,각도눈금판(51)에 표시된 각도를 가리킨다. 이때의 회전은 각도지시침(49)의 선단부가 항상 증력의 방향(하향)을 가리키도록 되어있으며 이 각도지시침(49)이 표시한 각도에 레버부착피니온(48R)의 레버(50)를 조작한다. 이에 의하여 각 경사각에 가장 적합한 통전체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
상기 동작기능을 다른 서어보기구(servo 機構)로 자동화해도 좋다. 이상으로, 상경사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제3도에 표시한 횡경사의 경우에는 아아크의 방향을 모재(17)측에 향해주도록 할 필요가 있으나 이 경우에는 회전자재하게 되어있는 통전체를 용접선에 대해서 90°로 한다.
제11,12도는 자성체를 사용한 용접부의 단면도이고 자성체 예컨대, 연강(軟鋼)이나 규소강판은 비자성체 예컨대 공기, 동 등에 비하여 500 - 1,000배의 비투자율(比透磁率)을 가지고 있으며 제11도와 같이 통전체(20)의 받침쇠(10)에 면하지 않은 측에 자성체(61)를 설치함으로써 통전체(20)가 만드는 자력선(62)을 아아크 발생위치에 유효하게 향하기 위해서 아아크 발생위치의 자속밀도는 크게 되고 아아크 편향을 크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자성체(61)를 상기와 같이 설치하면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작은 전류치로 큰 아아크 편향이 얼어지므로 경제적으로 유효할뿐 아니라 통전체의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보다 작은 스페이스로 충분하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하다.
또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자성체(61)의 형상을 凹형이나 V형으로 함으로써, 제11도에 표시한 효과를 다시 강력하게 한다. 즉 자성체(61)의 1단으로 부터 나온 자력선(62)이 아아크 발생위치에 있어서 밀도가 높게되고 자력선의 방향이나 통과위치를 자성체의 형상에 따라 콘트롤 할 수가 있다. 제1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받침쇠(10)의 개선에 면하지 않은 부분에 홈(71)을 설치하고, 이 홈부에 통전체(23)를 삽입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효율적인 아아크 편향 방향의 제어를 하므로써, 언더커트나 오우버랩 등의 용접결함이 없는 안정된 용입을 얼을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두 개의 모재 및 용접개선(Weldrng groove)에 인접하여 장착되도록 고안된 받침쇠(10,11)수단, 받침쇠(10,11)의 용접개선이 있는 반대측 가까이 이동가능하게 장치되고 받침쇠(10,11)와 절연된 통전체(20a,20b), 상기 용접개선 부근에서 아아크를 발생시키는 수단, 상기 아아크 방향에 영향을 주는 자장을 발생시키도록 통전체(20a,20b)에 전류를 가하는 수단 및 통전체(20a,20b)중앙에 냉각수도(22)를 배설하여 통전체(20a,20b)의 냉각수단을 구비하므로써 상기 아아크 방향에 영향을 주도록 통전체(20a,20b)를 용접아아크에 용이하게 접근시키기 위하여 통전체(20a,20b)의 단면적을 확장함이 없이 고전류가 통전체(20a,20b)를 통하여 흐를 수 있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모재의 용접개선 용접용 아아크 용접장치.
KR750000274A 1975-02-14 1975-02-14 아아크 용접장치 KR800000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0274A KR800000767B1 (ko) 1975-02-14 1975-02-14 아아크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0274A KR800000767B1 (ko) 1975-02-14 1975-02-14 아아크 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767B1 true KR800000767B1 (ko) 1980-08-08

Family

ID=1920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0274A KR800000767B1 (ko) 1975-02-14 1975-02-14 아아크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76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858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lay welding
Saedi et al. Arc and weld pool behavior for pulsed current GTAW
US3271554A (en) Overlay welding
US3924095A (en) Narrow-groove welding
KR800000767B1 (ko) 아아크 용접장치
CN219379288U (zh) 一种自动焊接设备
US4017709A (en) Arc welding machine
US3544752A (en) Multi-arc seam welding apparatus for thin metal sheet
JPH1058142A (ja) エレクトロガスアーク溶接方法
US4035605A (en) Narrow groove welding method, and welding apparatus for practicing the method
US2931886A (en) Apparatus for cladding
Jia et al. Rotating-tungsten narrow-groove GTAW for thick plates
JP3256089B2 (ja) 非消耗ノズル式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方法
GB1604044A (en) Welding with charged particle beams
JPH05337650A (ja) 消耗電極式アーク溶接方法
JPH0369629B2 (ko)
JPH08192273A (ja) 非消耗電極式アーク溶接装置
CA10931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c welding of metal plates from one side only
KR100431633B1 (ko) 전기저항 발열용접의 아래보기 자세 용접법 및 용접장치
US3423563A (en) Back-up shoe for moving-tube solid panel welder
JP3337331B2 (ja) 高速上向きmag溶接方法
JPH08206843A (ja) 抵抗溶接機用のガイドレール
Ukita et al. High-speed DCEN TIG welding of very thin aluminium sheets with magnetic arc control
JPS61172683A (ja) 狭開先用tig溶接ト−チ
JPS6321591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