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552Y1 - 자동판매기의 가감산계수부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가감산계수부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552Y1
KR800000552Y1 KR2019800000129U KR740000130U KR800000552Y1 KR 800000552 Y1 KR800000552 Y1 KR 800000552Y1 KR 2019800000129 U KR2019800000129 U KR 2019800000129U KR 740000130 U KR740000130 U KR 740000130U KR 800000552 Y1 KR800000552 Y1 KR 800000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reset
output
hard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0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기찌 하야시
유다까 요꼬우다
마사유끼 다무라
신이찌 고바야시
가즈유끼 아까이
세이우 사까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닛뽕 코인코
오까다 미노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닛뽕 코인코, 오까다 미노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닛뽕 코인코
Priority to KR2019800000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552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가감산계수부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선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사용하는 동작제어용의 각 펄스의 파형을 나타낸 타이밍 챠트.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의 가감산계수부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계수부의 리세트제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투입경화금액을 가산계수하여 이 가산계수치로부터 설정판매가격을 감산계수하여 거스름돈 액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다하는 것이 가감산계수부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가감산계수부는 다수의 플립플롭(flip flop)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전원 투입시 또는 대기상태(이하 대기상태라 함은 경화가 투입되지 않고, 일련의 계수동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는 상태를 말함)에 있어서의 노이즈등에 의해 이 플립플롭회로가 함부로 반전되기 쉬우며, 오동작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어 있었다. 특히 자동판매기는 가두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가감산계수부는 복잡한 노이즈의 영향을 받아서 오계수될 염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가감산계수부를 항상 리세트해 두어 소음등에 의한 오계수(誤計數)가 이루어 지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종류외 리세트제어로서는 일본국 특허출원공고 소 47(서기 1972)-6542호(계수장치) 및 소 50-958호(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경화계수기의 설정장치) 등에 기재된 기술이 있지만 이것은 상시 대기 상태로 설정해 놓고(리세트하고), 제1경화의 투입후 소정시간을 지연해서 리세트를 해제하고, 제2경화이후로 계수동작을 행하고, 계수종료후 다시 리세트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제1경화를 계수할 수 없기 때문에 제2경화투입시예 제1경화분을 가산계수하여야 하며, 그 때문에 계수회로를 특별한 구성으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1매의 경화(예컨대 100일본극 화폐 엔 1매, 이하 엔이라 칭함)로 판매가 이루어지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한 종래장치는 적합하지 않다. 본 고안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대치상태에 있어서는 항상 가감산계수부를 리세트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리세트신호를 가감산계수부에 상시 가하고, 제1경화가 투입됨과 동시에 상기 리세트신호를 소거하여 제1경화의 계수를 가능토록 하고, 이후 일련의 가감산계수동작이 종료할 때까지 리세트신호를 계속 소거토록 한 자동판매기의 가감산계수부제어장치를 제공코저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리세트신호를 발생하고, 경화(제1경화)의 투입에 의거하여 리세트신호를 소거함과 동시에 가감산계수부에서 이 투입경화의 계수를 행하게 하고, 이 계수에 의해서 가감산계수부의 계수 내용이 초기치(初期値)(0)이내의 값으로 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리세트신호의 소거를 유지함으로써 계속해서 계수동작을 가능토록 하고, 판매 등을 위한 일련의 가감산계수동작이 종료하여 계수내용이 0이 되면 상기 리세트신호의 소거의 유지를 해제하여 다시 리세트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1경화부터 계수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고안을 첨부도면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가감산계수부제어장치에 해당하는 것이 대기시 리세트제어부인 RG3이다. (S1), (S2), (S3)는 투입경화를 금종별로 검출하는 투입경화검출스위치이다. 예를 들면 스위치(S1)은 100엔, (S2)는 50엔, (S3)는 10DPS경화의 투입을 각각 검출하는 것으로 이들 경화의 투입에 응해서 각 스위치(S1)∼(S2)가 작동하는 마이너스전원-VC에 의한 낮은 제벨의 신호가 각 채터링방지회로(1), (2), (3)에 인가된다. 이하 높은 레벨의 신호를 1, 낯은 리벨의 신호를 0으로 하여 설명한다. 각 채터링방지회로 (1)∼(3)의 출력은 노어회로(5), (6), (7)을 통해서 플립플롭(8), (9), (10)에 각기 인가된다.
각 플립플롭(8), (9), (10)의 출력은 노어회로(17), 인버어터(18), 플립플롭(11) 및 플립플롭(12)을 통해서 펄스제어부 PC에 인가된다. 각 플립플롭(8)∼(10)은 노어회로(5)-(7)로부터 가해지는 신호 1을 일시 기억하여 제2도에 나타낸 소정주기의 워어킹펄스 WP에 따라 기억된 신호 1을 송출한다. 다른 플립플롭(11), (12)도 마찬가지로 일시 기억한 신호 1을 워어킹펄스 WP에 따라서 송출한다. 플립플롭(13)의 출력은 인버어터(19)를 통해서 낸드회로(14), (15), (16)에 각각 인가되어, 낸드회로(14)-(16)의 다른 입력측에는 플립롭롭(8), (9), (10)의 출력이 각각 가해진다. 이 낸드회로(14), (15), (16)의 각 출력측은 상기 노어회로(5), (6), (7)를 통해서 각각 플립플롭(8), (9), (10)에 인가된다.
즉 플립플롭(8), (9), (10)에 일시 기억된 신호 1은 낸드회로(14), (15), (16)를 통해서 다시 기억되어 자기 유지되겠끔 되어있다. 플립플롭(12)에서 신호 1이 출력되었을 때 낸드회로(14)-(16)의 조건이 성립되지 않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자기유지를 해제된다.
검출스위치(S1)∼(S2)가 작봉하여 신호 0이 노어회로(5)-(7)에 인가되어서부터 3와드째(펄스 WP가 세번 가해진다)에 플립플롭(12)으로부터 신호 1이 출력되어 자기유지가 해제되고 통상 4와드째에 플립플롭(8)-(10)의 출력은 신호 0이 된다.
펄스 제어부 PC는 검출스위치(S1)∼(S2)의 작동에 응하여 소정의 펄스신호를 형성하는 것으로, 플립플롭(12)으로부터의 출력과 각 플립플롭(8), (9), (10)으로부터의 출력신호 1(접속상태는 도시치 않음) 및 미리 가해져 있는 펄스 DT1, DT5, DT10에 의거하여 투입경화의 금종에 응한 펄스신호를 형성한다. 이 펄스 신호는 가감산계수부 AS에 가해져서 투입경화의 가산계수가 행해진다. 가감산계수부 AS에서는 가산외에 판매가격 및 거스름돈 액수 또는 반환금액등의 감산계수가 행하여진다.
리세트신호 송출부 RG4에는 전원투입시 리세트제어부 RG1, 대기 상태확인제어부 RG2및 대기시 리세트 제어부 RG3로부터의 출력이 각각 라인(L1), (L2), (L3)을 통해서 인가된다. 각 라인(L1)∼(L3)중 어느 하나가 신호 0일 경우, 낸드회로(36)의 출력은 신호 1이 되며 인버어터(37)로부터 신호 0이 리세트신호 RC로서 출력된다. 이 신호 0에 의해 가감산계수부 AS 및 펄스제어부 PC가 강제적으로 리세트된다. 또 각 라인(L1)∼(L2)가 모두 신호 1일 경우, 리세트신호 송출부 RG4로부터는 신호 1이 출력되며 이 신호 1에 의해서 가감산계수부 AS 및 펄스제어부 PC는 세트된다. 가감산계수부 AS가 리세트된다는 것은 계수동작이 억지(抑止)되어 계수치가 확실히 0으로 유지된다는 것이며 노이즈등에 의하여 잘못 계수되는 일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세트된다는 젓은 계수동작이 행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는 것이다. 다음에 각 제어부 RG1∼RG3에 대해서 상술한다.
전원투입시 리세트제어부 RG1은 전원투입후 클로크펄스가 안정된 발진을 개시하기까지의 일정시간동안 라인 L1에 신호 0을 송출하며, 리세트신호 RC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발생시키는 것이다.
1예를 들면, 콘덴서 C1측에 부전원-VC를 접속했을 때 시정수회로(20)의 출력을 인버어터(21), (22)를 통해서 MO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이하 모스 트랜지스터라고 함) MOS1의 게트에 가해, 그 드레인출력측은 인버어터(23)의 입력축에 접속된다. 또한 인버어터(21)의 출력측은 모스 트랜지스터 MOS3의 게이트에 접속되며 그 드레인측에는 부전원-VC가 접속된다. 또, 모스 트랜지스터 MOS2의 소오스측은 모스 트 랜지스터 MOS2의 드레인측에 접속되며, 모스 트랜지스터 MOS2의 게이트에는 워어킹펄스 WP가 인가된다. 또 모스 트랜지스터 MOS2의 소오스측은 인버어터(23)의 입력측에 접속됨과 동시에 어느접지된 콘덴서(24)에 접속된다. 이리하여 인버어터(22)의 출력이 라인 L1을 통해서 낸드회로(36)에 가해지고 있다.
지금, 전원이 투입되면 일정 시간동안 시정수회로(20)의 출력은 저레벨이며 신호는 0이다. 따라서 인버어터(21)의 출력은 신호 1, 인버어터(32)의 출력은 신호 0이 되며, 모스 트랜지스터 MOS3가 "온"이 된다. 이에 의하여 인버어터(23)의 입력측은 고레벨(어스전압)이 되어 신호 1이 된다. 따라서 라인 L1을 통해서 낸드회로(36)에 신호 0이 인가되어, 인버어터(37)의 출력은 신호 0이 되며 가감산계수부 AS는 리세트된다. 또 인버어터(23)의 출력신호 0은 노어회로(31)에 가해진다. 노어회로(31)의 출력은 경화선별기(도시하지 않음)의 경화반환용 전자솔레노이드제어부 CA에 가해져 노어회로(31)의 출력이 신호 1일 경우, 이 솔레노이드 제어부 CA가 동작되어 투입경화를 직접 반환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시정수회로(20)의 출력이 신호 1에 복귀하면 인버어터(21)의 출력은 신호 0이 되며, 이것에 의해 모스 트랜지스터 MOS3가 "온"이 됩다. 또 클로크펄스(제2도의 ø1, ø2)의 발진이 안정화되면 이 클로크 펄스를분주한 워어킹펄스 WP가 발생되므로 이 펄스 WP에 의해서 모스 트랜지스터 MOS2는 "온"이 된 다. 또 모스 트랜지스터 MOS1은 인버어터(22)의 출력 1에 의해서 "오프"된다. 따라서 콘덴서(24)에는 마이너스전원-VC가 충전되고 인버어터(23)의 입력측은 신호 0이 되며 라인 L1을 통해서 낸드회로(36)에 신호 1이 인가된다. 따라서 전원투입시의 리세트신호 RC는 소거된다.
대기상태 확인제어부 RG2는 전원 투입후, 검출스위치(S1), (S2), (S3)의 불량에 의해 각스위치(S1)∼(S2)로부터 신호 0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는 것 및 가감산계수부 AS가 오계수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이상이 검출되면 라인(L2)을 통해서 낸드회로(36)에 신호 0을 보내어 리세트신호 RC를 발생 시킨다. 인버어터(18) 및 플립플롭(11), (12)의 출력이 노어회로(25)에 가해져 인버어터(26)를 통해서 노어회로(27)에 인가된다. 또 노어회로(27)의 다른 입력에는 가감산계수부 AS로부터 라인(LC)을 통해서 카운트신호가 가해진다. 카운트신호는 계수부 AS의 계수치가 0일 때 신호 0이며, 계수치가 0이외일 때에는 신호 1이다. 노어회로(27)의 출력은 오어회로(28)를 통해서 앤드회로(29)에 인가된다. 앤드회로(29)의 다른 입력에는 인버어터(23)의 출력과 제2도 도시의 클로크펄스 ø1이 인가된다. 앤드회로(29)의 출력은 앤드회로(30)에 인가되어 앤드회로(30)의 다른 입력에는 제2도 도시의 클로크펄스 ø2가 인가된다. 앤드회로(30)의 출력은 라인(L2)을 통해서 낸드회로(36)에 인가됨과 동시에 오어회로(28)에 인가된다. 또한 앤드회로(29), (30)에 인가되는 펄스 ø1, ø2는 듀우티 50ø의 2상 클로크이며 앤드회로(29) 및 (30)이 교대로 동작해서 오어회로(23)를 통해서 자기유지회로를 구성한다. 또 앤드회로(30)의 출력은 노어회로(31)에도 인가된다.
전원 투입후 클로크펄스의 발진이 안정화하여 인버어터(23)에서 신호 1이 앤드회로(29)에 가해져 펄스 ø1, ø2도 각각 인가되었다고 치고, 이때 어느 하나의 검출스위치(S1)∼(S2)가 불량으로 신호 0을 발생하고 있다고 친다. 노어회로(25)의 출력은 0이며 인버어터(26)를 통해서 신호 1이 노어회로(27)에 인가된다. 따라서 오어회로(28)의 출력은 신호 0이며 앤드회로(29)의 조건은 성립되지 않는다. 따라서 앤드회로(30)도 또한 조건 불성립으로 신호 0을 출력한다. 이리하여 라인(L2)을 통해서 신호 0이 낸드회로(36)에 인가되어, 리세트신호 RC가 발생된다. 가감산계수부 AS가 오계수되어 라린 LC를 통해서 신호 1이 노어회로(27)에 가해지는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 상태에저 경화가 투입되었다고 해도 앤드회로(30) 외 신호 0이 노어회로(31)에 가해져 경화 반환용전자 솔레노이드제어부 CA가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경화는 반환된다. 계수부 AS가 오계수되어 있지 않고 각 스위치(S1)∼(S3)가 오동작되어 있지 않을 경우, 노어회로(27)의 양 입력은 신호 0이다. 따라서 앤드회로(29)의 조건이 성립하여, 앤드회로(30)의 조건도 성립한다. 이것에 의채 라인(L2)을 통해서 낸드회로(36)에 신호 1이 인가된다. 앤드회로(30)의 출력신호 1 은 오어회로(28)에 가해져 앤드회로의 출력신호 1은 자기유지된다. 따라서 전원투입후 일단 대기상태가 확인된 후는 각 스위치(S1)∼(S3)가 작동하여 계수부 AS에서 계수동작이 행해졌다고 해도 라인(L2)의 신호 1은 변하지 않는다.
대기시 리세트제어부 RC3는 경화가 투입되지 않고 일련의 가감산 계수동작이 행해지지 않을 경우는 끊임없이 라인(L3)을 통해서 신호 0을 낸드회로(36)에 가해 리세트신호 RC를 발생시켜 검출스위치(S1)∼(S3)의 어느 하나가 작동했을 경우 상기 리세트신호 RC를 소거하여 일련의 가감산계수동작이 종료하기까지는 리세트신호 RC를 발생시키지 않도륵 한 것이다.
인버어터(18)의 출력이 낸드회로(33)에 인가되어 낸드회로(33)의 다른 입력에는 플립플롭(11)의 출력이 인버어터(32)를 통해서 인가된다. 낸드회로(33)의 출력은 노어회로(34)를 통해서 플립플롭(13)에 인가된다. 플립플롭(13)은 입력신호를 일시 기억하여 제2도에 나타낸 펄스 DP에 따라 일시 기억한 신호를 읽어 내어, 라인(L3)을 통해서 낸드회로(36)에 가함과 동시에 낸드회로(35)에도 가한다. 낸드회로(35)의 다른 입력에는 가감산계수부 AS로부터 라인(LC)을 통해서 상기 카운트 신호 및 라인(LE)을 통해서 에러(error) 신호가 인가된다. 에러신호는 가감산계수부 AS에 있어서의 가역(可逆)카운터(도시하지 않음)의 계수치가 감산에 의해 0을 지나쳐서 부의 수치로 된 경우에 신호 0이 되며, 정상시는 신호 1이다. 낸드회로(35)의 출력은 노어회로(34)에 인가된다. 지금, 라인(L1), (L2)를 통해서 신호 1이 낸드회로(36)에 인가되고 있다고 하고, 경화가 투입되지 않는 것으로 친다. 인버어터(18)의 출력은 신호 0이며 인버어터(32)의 출력은 신호 8이다. 따라서 낸드회로(33)의 출력은 신호 1이며, 노어회로(34)의 출력은 신호 0이다. 따라서 플립 플롭(13)으로부터 신호 0이 라인(L2)을 통해서 낸드회로(36)에 인가되어, 리세트신호 RC가 발샐된다. 이리하여 가감산계수부 AS는 끊임없이 리세트된다.
다음에 경화가 투입되어 스위치(S1)가 작동되었다고 친다. 스위치(S1)의 경화검출신호는 플립플롭(8)에 기억되고, 워어킹펄스 WP에 의거하여 플립플롭에서 경화투입을 나타내는 신호 1이 출력되어 인버어터(18)를 통해서 낸드회로(33)에 신호 1이 인가된다. 이때 플립플롭(11)의 출력은 신호 0이므로 낸드회로(33)의 조건은 성립하고, 노어회로(34)를 통해서 신호 1이 플립플롭(13)에 가해진다. 펄스 DP에 응해서 플립플롭(13)에서 신호 1이 출력되어 낸드회로(36)의 조건은 성립한다. 따라서 인버어터(37)의 출력은 신호 1이 되어, 리세트신호 RC가 소거된다. 이것에 의해 가감산계수부 AS는 세트되며 계수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때 플립플롭(8)의 경화투입기억출력 1에 의거하여 펄스제어부 PC에서 계수펄스가 발생되고, 가감산계수부 AS에 있어서 투입경화의 가산계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라인(LC)의 신호는 1이 된다. 또 에러가 발생해 있지 않으면 라인(LE)의 신호도 1이며, 플립플롭(13)의 출력도 신호 1이기 때문에 낸드회로(35)의 조건은 성립되며 노어회로(34)의 다른 입력에 신호 0이 가해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 낸드회로(33)의 조건이 불성립이 되어도 플립플롭(13)에 신호 1이 인가되고, 라인(L2)의 신호 1은 자기유지된다. 판매의 종료에 수반해서 판매가격, 거스름액수 등의 감산계수가 종료하고, 라인(LC)의 카운트신호가 신호0이 되면 낸드회로(35)의 조건은 불성립이 된다. 따라서 플립플롭(13)의 자기유지는 해제되며, 라인(L3)의 신호가 0이 되고, 다시 리세트신호 RC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이므로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확실히 가감산계수부가 리세트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의 영향에 의해 잘못 계수되는 일은 없으며, 또 제1경화의 투입에 의거하여 즉시 리세트가 해제되기 때문에 제1투입경화에서 계수를 행할 수 있다.
즉, 제1경화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가감산계수부 AS의 리세트가 해제되고, 이때 제1경화검출신호는플립플롭(11) 및 (12)를 통해서 일정지간 지연되므로 상기 리세트가 해제된 후에 제1경화에 의한 계수펄스가 가감산계수부 AS에 가해진다. 따라서 가감산계수부 AS에 있어서 제1경화를 계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제2경화의 투입시에 제1경화의 계수를 한다고 하는 거치장스러운 제어가 본 고안에서는 전혀 불필요하다. 또, 종래의 리세트방식에저는 1매의 경화로 판매가 이루어지는 자동판매기에 적용할 수 없었지만, 본 고안은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투입경화를 검출하는 스위치와, 이 스위치로부터의 경화검출 신호를 일정기간 지연하여 가감산계수부로의 계수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와, 통상은 상기 가감산계수부를 리세트하는 리세트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경화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지연시간중에 상기 리세트신호를 소거하여 이 소거상태를 자기유지하고, 가감산계수부의 계수종료에 의해서 상기 자기유지를 해제하여 재차 리세트신호를 발생하는 리세트제어부를 갖춘 자동판매기의 가감산계수부 제어장치.
KR2019800000129U 1974-01-01 1974-01-01 자동판매기의 가감산계수부 제어장치 KR800000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129U KR800000552Y1 (ko) 1974-01-01 1974-01-01 자동판매기의 가감산계수부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129U KR800000552Y1 (ko) 1974-01-01 1974-01-01 자동판매기의 가감산계수부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552Y1 true KR800000552Y1 (ko) 1980-04-28

Family

ID=1919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0129U KR800000552Y1 (ko) 1974-01-01 1974-01-01 자동판매기의 가감산계수부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5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002B1 (ko) 경화 검출방법
US5748948A (en) Reset signal generator
US4752930A (en) Watch dog timer
KR880011997A (ko) 자동 이득 조절 시스템
US7312644B2 (en)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with fast drop response
US5440178A (en) Static test mode noise filter
KR800000552Y1 (ko) 자동판매기의 가감산계수부 제어장치
JPS62173692A (ja) 半導体集積回路
GB2075729A (en) Microprogramm control circuit
US4085311A (en) Memory device with error prevention of data during power failure
US5442310A (en) Circuitry and method for reset discrimination
US6903584B2 (en) Circuit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switch
KR890015285A (ko) 반도체집적회로의 오동작방지회로
US8762764B2 (en) Method to detect clock tampering
KR100316520B1 (ko) 오동작방지장치를내장한마이크로콘트롤러
JP2953761B2 (ja) 電源ノイズ検出回路
RU2212097C1 (ru) Генератор прямоугольных импульсов
KR100328849B1 (ko) 액정표시소자의모드선택회로
KR0161383B1 (ko)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버 콘트롤러에서 인덱스 주기 검출장치
US5861833A (en) Runaway prevention in a remote controller
JPS6222433B2 (ko)
JP3963135B2 (ja) 不揮発性メモリのテスト制御方法
JP3052312B2 (ja) 出力バッファ回路
RU2071170C1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ксации временных положений сигналов с флуктуирующими параметрами
KR810002131B1 (ko) 자동판매기의 투입경화(投入硬貨)검출제어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