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536B1 - 즉각적 용접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즉각적 용접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536B1
KR800000536B1 KR760000074A KR760000074A KR800000536B1 KR 800000536 B1 KR800000536 B1 KR 800000536B1 KR 760000074 A KR760000074 A KR 760000074A KR 760000074 A KR760000074 A KR 760000074A KR 800000536 B1 KR800000536 B1 KR 800000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ing
oxygen
scarping
workpiece
sky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0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거스트 엥겔 스티븐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지. 그리어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지. 그리어,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지. 그리어
Priority to KR76000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53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Gas Bur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즉각적 용접을 위한 장치
제1도는 지느러미가 생기지 않은 즉각적인 스카아핑을 하기위한 장치의 일부분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의 2-2선에 따른 스카아핑기의 산소 노즐관의 입구이다.
제3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제1도의 3-3선에 따라 위로부터 본 모습으로써 반응의 순차를 도시한 것이다.
제7도는 원격제어 목적의 캔틸레버(cantilever)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카아핑 장치의 투시도이다.
제8도는 제7도에서 도시한 장치의 수정형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로서 단 한번 통과하는 사이에 대상물의 면 전체에 걸쳐서 즉각적이고 선택적인 스카아핑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 스카아핑 장치이다.
제10도는 제9도에서 도시한 스카아핑 장치에서 사용되는 스카아핑 산소 노즐관의 앞면이다.
제11도는 제9도를 위에서 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방식이 단 1회의 통과중인 작업편의 표면 전체에 걸쳐서 즉각적이고 선택적인 복수 스카아핑을 어떻게 하느냐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카아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편의 표면에 있는 금속을 열화학적으로 제거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그런 용접을 즉각적으로 할 수 있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본 설명서를 통해서 사용되는 이 “즉각적”이라는 용어는 스카아핑기에 대하여 1분당 6-45m의 통상적인 스카아핑 속도로 움직이는 작업편의 표면에서 열화학적인 반응을 즉각적으로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최저이동 속도(6m/분)는 대상물이 차거운 상태에 있을 때 채택되며 대상물이 뜨거운 상태에 있을 때는 분당 45m의 이동속도가 채택된다. 일반적으로 예열 화염을 비교적 좁은 면적에 가하여 용융점이나 인화점까지 가열시킨 다음 스카아핑 반응을 시작하여 용융된 금속 작업편에 고속의 스카아핑 산소를 비스듬한 각도로 공급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스카아핑 산소 화염은 두 가지 목적을 가지는 데 첫째는 금속에 열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며, 둘째는 반응이 일어난 금속을 불어 냄으로써 스카아핑 반응을 위한 깨끗한 금속표면을 노출시키게 하기 위함이다.
수동 스카아핑 방식에서는 신속한 스카아핑을 위하여 금속봉이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는데 예를 들면 미국특허 2,205,890호에서 그 실예가 소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스카아핑 작업편은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스카아핑이 이루어지며, 작업하는 사람은 그 자신의 개인적 기술에 따라 스카아핑 산소화염의 사용시간 및 화염과 스카아핑봉의 각도를 조절하지 않으면 안되었었다.
와이어봉으로써 기계화된 스카아핑 반응을 일으키는 방식은 미국 특허 2,309,096호에서 소개되어 있는데 그것 역시 스카아핑 대상물이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만 실시 가능한 것이었다. 즉각적인 순간 스카아핑은 이 분야에서 알려져 있기는 하였으나,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복잡하고 경비가 많이 드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므로 결국 실용성이 결여된 것이었다.
미국특허 3,216,876호에서는 금속 분말을 사용하여 즉각적인 용접을 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며 또 로보스코 씨에 의한 미국특허 제2,513,425호에는 에너지를 가한 전극을 사용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고 이 방식은 미국특허 3,658,599에서 스벤슨씨도 발명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금속분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분말을 공급하는 장치가 쉽게 마모될 뿐 아니라 금속 분말의 경비가 매우 많이 들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상업적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전기를 이용하는 즉각적 스카아핑 방법도 역시 그 경비문제와 또 복잡한 장치로 인하여 경제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본 발명이 있기 이전까지는 사실상 움직이는 작업편에 대하여 금손분말을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전기에너지를 가한 금속봉 또는 도자기전극을 사용하지 않고는 즉각적 스카아핑 방식은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분말이나 전력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작업편에 즉각적인 스카아핑을 할 수 있는 간편하고도 확실한 스카아핑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분말이나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금속작업편에 지느러미가 없는 즉각적인 부분 스카아핑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대상물의 표면을 단 한번 통과하는 사이에 정상적인 스카아핑 속도로 움직이는 작업편의 표면을 즉각적이고 선택적으로 스카아핑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적인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작업편의 표면에 그 표면의 전체 폭에 걸쳐서 통상적인 순간 스카아핑을 실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으며 철금속 작업편의 표면에 즉각적이고 열 화학적인 스카아핑을 가능케하는 이 장치의 각 구성성분의 작동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와이어(wire)를 공급해주고, 그 와이어의 끝을 대상물의 표면상의 미리 선택한 장소에 접하게 해 주는 장치.
나. 와이어의 끝을 가열함으로써 산소인화 온도에 달하게 하는 장치.
다. 고압의 산소 개스를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 파이프로서 분출물의 중앙축이 용접 대상처의 뒷쪽 1-15cm 떨어진 곳의 표면에 부딪치게 되며 또 그 화염의 축과 대상물의 표면이 구성하는 각기 30°-80°가 되도록 하였으며 스카아핑처의 뒤나 측면으로부터 분출되도록 한 것.
라. 스카아핑 산소개스를 대상물의 표면에 대해서 예리한 각도로 분출케 하기 위한 노즐로서 그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산소 기류가 스카아핑할 부분의 바로 뒤에서 분출되어 나가도록 한것.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한 즉각적이라는 용어는 대상물과 스카아핑기가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있다가 뜨거운 와이어와 스카아핑 작업편간의 순간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순간에 열화학적 스카아핑이 개시될때 사용된다. 그러나, 그 접촉순간에 종래방법에서와 같이 용융체가 형성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정상적인 스카아핑 속도로 즉시 시작되어 스카아핑 개시 절차가 작업편과 스카아핑 장치간의 상대적 이동과 더불어 실시된다. 만일 상대적 이동이 뜨거운 와이어와의 접촉순간에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산소 기류는 극히 짧은 시간내에 대상물의 표면에 구멍을 파놓게 될 것이다. 물론 상대적 이동은 작업편을 움직이고 스카아핑 장치를 고정시켜 줌으로써도 가능하며 그 반대로 하여도 가능한 것이다.
용융된 용해물이 미리 정한 폭으로 퍼지게되면 즉각적인 스카아핑은 완료되고 분출되는 산소는 그 후에도 분출되어 나오도록 둠으로서 스카아핑 반응을 하게끔하거나 또는 분출을 중단시킴으로써 다른 산소기류가 작업편의 표면에 대해서 예리한 각도로 분출됨으로써 스카아핑 반응작업을 인계 맡아서 하게끔 할 수도 있다.
스카아핑하려는 작업편의 형태여하에 따라서 스카아핑 산소노즐의 형태여부가 결정된다.
즉각적이고 지느러미가 없는 국부스카아핑은 용해물에 대해서 점차 분출속도가 작아지는 칼날 같은 산소기류를 집중시킴으로서 가능하며 그때 노즐의 끝에 가서는 산소가 완전히 분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런 노즐을 사용하면 스카아핑되는 곳은 노즐관의 폭보다 좁다. 이런 스카아핑은 미국특허출원 607,888호에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본 발명에서 참작되어 있다.
만일 대상물의 전 표면에 산재하고 있는 스카아핑 작업점을 단한번에 통과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국부스카아핑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이 발명에 의한 장치를 쓰면 단지 지느러미가 없는 스카아핑이 될 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스카아핑 작업편들이 서로 중복되지 않고 또한 스카아핑 작업편간에 구릉이나 홈을 남기지 않고 스카아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카아핑을 하기 위해서는 노즐의 양쪽 끝에 가서는 산소기류의 강도가 점차로 줄어들며 끝에 가서는 완전히 기류가 없어지게 되어 기류 분출관의 폭보다도 스카아핑 작업편의 폭이 항상 좁게될 수 있는 상기의 노즐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 스카아핑을 가능케 하기 위한 노즐은 미국특허출원 제607,887호에서 소개된 바 있고 그 내용 전체는 본 발명에서 참조되어 있다. 이런 스카아핑 장치가 정상적인 스카아핑 속도로 작업편의 표면을 통과하게 되면, 이 스카아핑 장치는 목적한 곳에서 임의로 가동을 중단시키거나 또는 가동을 재개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편의 표면에 있는 어떤 스카아핑 대상점도 한번 통과하는 사이에 스카아핑이 가능하다. 만일 재래식 스카아핑을 해야할 경우라면 칼날과 같은 스카아핑 산소기류를 재래식 네모진 노즐로부터 분출시켜서 작업편에 향하도록 하면 된다. 이때의 노즐은 전체의 폭에 걸쳐서 기류의 세기가 균일하다. 이러한 경우 즉각적인 스카아핑은 작업편의 위에서 스카아핑 장치가 작업편과 접하게 되는 순간에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며 작업편과 스카아핑기의 상대적 이동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그 이동 속도를 늦추게 할 필요가 없다.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것이 꼭 필요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의 즉각적인 스카아핑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스카아핑기가 대상물에 접하는 순간에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제1도에서 와이어(1)은 와이어를 곧게 만드는(4)를 통하여 와이어를 공급하는 장치(5)와 와이어의 유도관(9)를 통하여 점 A에서 작업편(W)의 표면에 접하면 그곳에서 스카아핑 반응이 일어난다. 와이어 공급장치(5)는 공급물 구동모우터(6)에 고착되어 있고 그 모우터는 받침대(7)에 부착되어 있다.
와이어(1)은 구동바퀴(8)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구동되며 모우터(6)의 작동에 따라 약 5cm의 와이어가 앞으로 나가서 점 A에서 표면에 접하도록 된다. 산소 분출 파이프(2)는 1-5cm의 둥근 노즐이며, 그것은 5-35cm폭의 용해물을 만든다. 분출파이프(2)는 분출 끝 부분에서 목적물의 표면에 대해서 산소분출(30)이 점 A의 뒤 약 5cm에 있는 스카아핑 대상점 B의 표면에 닿게되어 있다. 스카아핑기(3)은 상부와 하부의 철편(12와 13)으로 구성되었고 그것은 사전에 혼합하거나 사후에 혼합한기류 분출구(14와 15)를 각각 달고 있으며 가스의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만일 사후에 혼합시킨 예비 가열화염이 사용될 경우에는 (14)와 (15)의 분출구가 연료 가스의 분출 목적으로 사용되며 스카아핑 산소기류 노즐관(16)으로부터 나오는 산소의 저속 기류와 혼합되어 인화 연소되며 산소 노즐관은 예비 가열관(12)와 (13)의 안쪽벽(17, 18)로써 형성되고 이 노즐(16)의 스카아핑관 입구(19)에서 끝난다. 지느러미가 없는 선택적인 스카아핑을 하기 위하여 관입구(19)는 제2도에서 도시한 모양으로 만들어지는데 산소와 연료 케스는 공급파이프(20)과 (21)을 통하여 스카아핑기(3)으로 공급된다.
제1도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첫째로 예비 가열화염이 스카아핑기(3)으로부터 분출되고 그것은 예비가열 구멍(14)와 (15)를 통해서 나오는 연료개스와 혼합되어 인화되며 선(22)로 표시한 이들 예비 가열화염은 대상물의 표면에 부딪친 뒤 위쪽으로 굴절되면서 외어어(1)의 끝 부분을 밝은 적색으로 가열시키며 이때 이 와이어 끝 부분은 산소인화 온도에 달한다. 만일 스카아핑할 부분이 점 A바로 앞에 도달하면 와이어 공급모우터(6)이 작동되고 와이어(1)의 끝 부분은 A점에서 작업편의 표면에 단단히 접하게 되며 그와 동시에 고압 산소가 분출관(2)을 통하여 분출되어 B점을 때리며 작업편의 표면에 접하고 있는 뜨거운 와이어 끝을 녹이면서 스카아핑 반응이 즉각적으로 일어나서 스카아핑 대상점에 용융물을 생성케 한다. 이때 와이어(1)은 그 이상의 용융을 막기 위하여 후퇴하고 분출파이프(2)에서 나오는 산소화염은 용융물을 빠른 속도로 그 폭만큼 확장시키며 그 후 분출을 멈추고 분출관(19)로 부터 나오는 스카아핑 산소 기류가 작업편의 C점을 향하여 세차게 분출되어 나와서 스카아핑 작업을 계속하도록 되어 있다.
스카아핑 장치(3)으로부터 분출되어 나오는 예비가열화염이 점화된 뒤 스카아핑이 끝날 때까지의 모든 작동을 상기한 순서로 작업하는 사람에 의하거나 또는 전자 신호 방식에 의해서 자동화시킬 수 있다. 스카아핑 작용이 끝난 후 예비 가열화염은 그대로 남아 있고 따라서 그 다음분의 스카아핑을 또한 즉각적으로 계속할 수 있게 한다.
이 장치를 작동시키는 또 하나의 방법은 스카아핑 산소화염과 산소분출을 동시에 가동시키는 것으로써 이 때에 산소 분출관에서 나오는 산소는 용융물을 형성 내지 확산시켜 열화학반응을 조절하며 그 뒤 산소분출이 중단되면 스카아핑 산소기류가 즉각적으로 그 역활을 인계받게 된다.
제2도는 제1도의 스카아핑기에 사용된 용접 노츨관(19)으로서 지느러미 없는 스카아핑을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형의 스카아핑 노즐은 미국특허출원 607,888에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여하튼 그런 노즐의 특색은 스카아핑 통로가 노즐자체의 넓이보다 좁다는 것이다. 이것은 지느러미 없는 스카아핑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꼭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노즐을 둘 이상 연결시켜서 사용할 때에는 스카아핑 통로간에 스카아핑 되지 않는 면을 남기게 되므로 부적당한 것이다. 따라서 그런 노즐은 독립적인 지느러미가 없는 스카아핑에만 유용하다.
제1도의 2-2선에 따라서 자른 부분인 제2도는 상, 하 두개의 예열용 철편(12,13)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상, 하양부에는 예비가열 연료개스 분출구(14,15)가 있다.
산소노즐관(19)는 스카아핑을 하게될 경우 분출되는 산소가 점차적으로 화력이 약해지므로 대상물의 표면에 대해서도 약한 힘을 주게 된다.
제1도에 있어서 점 A와 B간의 거리는 약 5cm이고, 이 거리는 1-15cm까지 변경시킬 수 있으며, 보통 5-10cm의 거리가 가장 적합한 것이다. 점 A와 B사이의 간격은 용접하고자 하는 표면에 산소가 공급되는 각 α에 따라서 좌우되며, 이 각이 크면 클수록 두 점간의 거리는 좁아진다 각 α는 30°-80°정도이며, 보통 50°-60°가 적합하고, 만약 각 α가 30°이면 두 점간의 거리는 최대거리 즉 약 15cm가 되어야 하고, 그 각이 80°이면 두 점간의 거리는 최소거리 1cm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A,B 두 점은 어떤 일이 있어도 서로 겹쳐서는 않되며, 돌출물(30)은 스카아핑 작업편의 표면에서 와이어(1)의 돌출을 저해하지 않아야 한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즉각적인 스카아핑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한편, 점 C는 B점보다 약간 더 뒤에 위치하여야 하며, 그 거리는 점에서 0-15cm라야 한다. 도면 3-6은 본 발명에서 고안된 장치에 의하여 즉각적인 스카아핑이 진행되어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실시예이다.
이 도면 3-6에서 도시된 과정은 약 1.5초 사이에 진행되는 반응이라는 것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제3도는 와이어(1)의 뜨거운 끝 부분이 점 A에 접한때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위치는 움직이고 있는 작업편 위에 있는 스카아핑통로 바로 앞이다. 화살표는 작업편 W가 매분 15cm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방향을 가르키고 있다. 이와 동시에 산소 분출파이프(2)로부터 나오는 산소가 작업편의 표면에 접한 와이어의 뜨거운 끝 부분에서 인화를 일으킨다. 그로서 점 A주변의 (23)부분이 용해되고 즉각적인 스카아핑이 시작되는 것이다.
제4도는 제3도 작동 후 약 0.5초 때 그 부분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강철작업편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계속 움직여 나감에 따라 용해물(24)는 부채꼴 모양으로 산소분출관(2)의 작동에 의해서 퍼지게 된다.
제5도는 제3도의 작동 후 스카아핑통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스카아핑통로 (25)는 용해물을 나타내며, 그것은 산소 분출파이프(2)에서 분출된 산소의 계속적인 분출에 의하여 움직이고 있는 작업편 W위에 확산된 모양이다. 와이어(1)은 그때 이미 뒤로 후퇴되어 있고, 용해물이 최대 확산 폭인 약 25cm로 확산되면 분출파이프에서 나오는 산소는 끊어지고 스카아핑기(3)으로부터 나오는 스카아핑용 산소기류는 더욱 세차게 나오기 시작하면서 스카아핑반응을 진행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용해물에 대하여 열을 가하는 이 스카아핑용 산소 기류는 스카아핑통로(26)에서 스카아핑 작업을 계속하고, (26)의 곳에는 용해된 금속과 금속찌꺼기가 아직 스카아핑되지 않은 강철의 위에 놓여 있어 (25)의 용해물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반응이 진행되는 모습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 도면은 제3도 작동 후 약 1.5초 경과하였을때의 모습이다. 스카아핑통로(27)은 스카아핑되었고 스카아핑통로(28)는 용융되어 있으나, 스카아핑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스카아핑통로(29)에는 찌꺼기와 용융된 금속이 스카아핑되지 않은 강철의 표면에 놓여 있다. 금속의 표면이 스카아핑기 밑에서 이동해감에 따라서 3가지의 명백히 다른 단계가 이루어지는데 그 첫단계는 금속찌꺼기와 용융된 금속이 스카아핑되지 않은 강철면의 위에 있는 곳이고, 제2단계는 용해물만이 있는 곳이고 제3단계는 스카아핑된 곳이다. 제6도에서 도시된 상태의 순간은 와이어가 후퇴되었고, 산소분출은 중단되었으며, 전체 폭의 스카아핑이 스카아핑기(3)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스카아핑 노즐로부터의 화염 폭이 산소분출 파이프(2)로 인하여 확산된 용해물의 폭과 동일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은 중요한 일로서 이것은 특히 지느러미의 형성을 막기 위하여 중요한 것이다.
제7도는 제1도의 장치의 조감도인 바, 캔틸레버(cntilever)가 스카아핑 장치의 전후방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달려있고, 또 상대물의 폭에 따라서도 이동하게끔 장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수평으로 뻗은 봉(31)은 레일 위에 올려 놓인 통제탑(32)에 고착 되어있다. 통제탑(32)는 스카아핑 장치의 작동통제기를 달고 있는데, 와이어 공급장치(5)와 산소 분출기 연료공급파이프(20)과 (21)을 통해 산소분출 파이프에서 나오는 산소와 연료개스 공급장치 등을 작동시키는 장치가 들어있다. 통제탑(32)는 레일(33)위에서 대상물 W에 따라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으며, 레일의 한쪽에 고착된 톱니(34)는 모우터로서 부동되는 치차와 결합되고 치차는 통제탑(32)의 아래에 달려 있으며, 캔틸레버 전체는 통제탑과 함께(33)궤도에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스카이핑기(3) 분출파이프(2) 및 와이어 공급장치(5)로서 형성된 스카이핑 장치는 운반체(37)에 고착되어 있고, 운반체(37)은 판(38)에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며, 판(38)은 껍데기(40)에 고착되어 있다.
모우터(39)는 이 스카이핑 장치를 톱니와 치차의 결합으로서 상하로 통제적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되고 톱니는 판(38)에 고착되어 있다. 스카이핑 장치와 껍데기(40)은 대상물 W의 폭 전체에 따라서 모터에 의해 부동되는 치차(35)와 톱니(36)에 의해 기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었고 틀(31)에 고착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한 장치는 대상물의 표면에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스카이핑 대상치를 선택적으로 스카이핑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고, 스카이핑 대상점(41)은 본 스카이핑기로서 스카이핑한 대표적 스카이핑 통로이다.
제8도는 분출파이프(2)의 위치를 바꿔 놓은 것으로 이런 위치에서 분출파이프(2)는 B점을 향하여 우측으로부터 용해물을 좌측으로 확산시켜 스카이핑기(3)으로 향하게 한다. 이 구성은 용해물을 더욱 빨리 더욱 넓은 면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스카이핑 면적도 더욱 넓게 할 수 있는 특색이 있다.
분출파이프(2)를 좌측에 둘 수도 있다. 즉 B점의 뒤에 있는 곳으로부터 B점의 어느 쪽에서나 위치할 수 있고 다만 B점의 앞으로 가지 않게 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그런 분출 파이프를 2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7도의 분출파이프는 용융을 개시하는데 쓰이고 제8도의 분출파이프는 용융체를 퍼지게 한다. 제9도는 단 한번 통과하는 사이에 대상물 W의 전표면에 걸쳐서 즉각적인 스카이핑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노즐이 설치된 복수 스카이핑 장치이다.
스카이핑장치(51), 와이어공급장치(52) 및 분출파이프(53) 등은 모두 이동 운반체(54)에 고착되어 있고 이동장치(54)는 레일(55,56)에 올려 놓아졌고, 이들은 톱니와 치차의 작용으로서 이동하게 된다. 레일(55와 56)은 받침(57)위에 올려져 있다.
즉각적인 스카이핑 장치의 전체 구조물은 대상물 W의 길이에 따라 전장 움직일 수 있고 모든 폭이 스카이핑의 대상이 되므로, 정상적인 스카이핑 속도에서 어느 점에서나 선택적으로 스카이핑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9도에서 도시한 장치에서는 대상물이 움직이지 않고 스카이핑 장치가 움직이게 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스카이핑기를 움직이지 않게 하고 대상물을 로울러에 의해서 정상적인 스카이핑 속도로서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다. 제9도에서 소개한 바와 같은 장치로서 선택적 스카이핑을 할 경우에는 둘 내지 세 개의 스카이핑이 중복될 가능성이 있으나, 스카이핑 속도는 이때에 늦추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은 속도가 늦추어지면 옆의 스카이핑기에 의해서 진행되고 있는 스카이핑 작업에 지장이 생기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예열을 할 목적으로 스카이핑기를 늦추게되며 스카이핑 산소기류를 뿜고 있는 옆 스카이핑기에 의해서 작업편에 깊은 홈을 파게 된다. 따라서 한 번 통과하는 사이에 여러 곳에서 선택적인 스카이핑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스카이핑 속도만을 늦추어져서는 안되며, 일정한 속도를 유지할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장치를 사용할 때 있어서는 이웃하는 스카이핑기에 의해 스카이핑될 곳과 중복되어 스카이핑이 되지 않고 또한 지느러미나 구릉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그것은 제10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노즐을 가진 복식 스카이핑기를 가진 스카이핑산소 노즐연결방식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제10도는 제9도의 연결 스카이핑 노즐을 사용한 스카이핑기의 전면을 도시한 것으로 이들 노즐은 각각 미리 혼합한 액체개구출구(61)과(62)를 스카이핑 산소분출구(63)의 상하에 배열되어 있고 완(63)은 높이가 0.6cm, 폭이 20cm정도인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그 양끝은 끝벽장치(64)로서 부분적으로 가리워져 있으며, 그것은 밑끝에서 3cm, 높이 0.4cm이고 내부각 10°의 경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 벽끝장치(64)는 각 용접산소 분출구(63)의 양쪽 끝에 장치되어 있어 각 장치의 끝을 향하여 산소의 세력이 점점 약화되도록 하되 그 장치의 끝까지 완전히 산소를 두절시키는 일은 없게 하였으며, 제2도에서 도시한 형의 관에서는 관의 폭보다 넓지 않은 스카이핑을 하나, 제10도의 관(63)으로서는 관의 폭과 동일한 폭의 스카이핑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 장치는 이웃과의 스카이핑 사이에서 빈틈이나 중복되는 것이 없고 높은 구릉이나 지느러미를 생기지 않게 한다.
제11도는 제10도에서 도시한 장치가 작업편의 표면에서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작업편을 스카이핑하는 순차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용접기(71,72,74,75)는 각각 산소분출파이프(76), 와이어(77)를 가지고 있고, 또 연료 개스와 산소를 공급하는 통로(78)과 (79)가 장치되어 있는 것이다.
작업편 W의 표면에 있는 산발적인 스카이핑 대상처(81,82,83,84,85)는 스카이핑기가 이동해감에 따라서 스카이핑기(74)에 의해서 스카이핑이 되며, 스카이핑처(84)의 앞부분(86)에서 작동이 시작되고 동(84)의 다른 끝부분(87)에 이르기까지 그 작동은 계속되어야 하며, 그곳에서 스카이핑기(74)의 작동은 일단 멈추고 이에 의해서 스카이핑(71,72)가 작동을 개시한다. 이 스카이핑가 작업편 위를 통과함에 따라서 스카이핑(72)는 스카이핑치(82)의 끝 부분에 도달할 때까지 작동을 계속하고 그곳에서 멈추며, 한편 스카이핑(71)는 계속 작동을 하고 스카이핑(74)는 스카이핑처(85)를 스카이핑하기 위하여 다시 발동되며, 스카이핑처(83)의 출발점에서 스카이핑기(73)이 발동되고, 스카이핑기(74)는 (85)의 끝에서 멈추며 스카이핑기(71)는 스카이핑 통로(81)의 끝에서 멈추고, 스카이핑기(73)는 스카이핑통로(83)의 끝에서 멈춘다. 스카이핑기(75)는 이 동안 완전히 멈추고 있는데, 그것은(75)가 통과하는 후면에는 스카이핑할 곳이 없기 때문이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마는 재래식의 용접을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

  1. 작업편과 스카이핑 장치와의 상대적인 운동을 하게 하는 장치와(54), 와이어(wire)를 공급하고, 와이어의 끝과 표면에 미리 선정된 점을 접촉시키기 위한 장치(4,5,9)와, 와이어의 끝 부분을 산소 점화 온도로 가열하는 장치(14)와, 중심부분이 미리 선정된 점과 약 1-15cm 떨어진 점에 부딪치도록 표면과 이루는 각이 30°-80°인 높은 강도의 산소제트 기류를 방출하기 위한 장치(2)와, 노즐로부터 방출되는 산소기류가 선정된 점의 뒷부분에 부딪히도록 표면과 예리한 각도로 스카이핑 산소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노즐장치(13)로 구성된 철금속 작업편의 표면에 즉각적인 열화학적 스카이핑을 하기 위한 장치.
KR760000074A 1976-01-12 1976-01-12 즉각적 용접을 위한 장치 KR800000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0074A KR800000536B1 (ko) 1976-01-12 1976-01-12 즉각적 용접을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0074A KR800000536B1 (ko) 1976-01-12 1976-01-12 즉각적 용접을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536B1 true KR800000536B1 (ko) 1980-06-21

Family

ID=1920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00074A KR800000536B1 (ko) 1976-01-12 1976-01-12 즉각적 용접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53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81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instantaneous thermochemical start
KR970008471B1 (ko) 스카핑 방법과 장치
CN115673483A (zh) 焊枪角度位置可调节的电弧焊接装置及焊接方法
KR800000536B1 (ko) 즉각적 용접을 위한 장치
US3966503A (en) Method for making instantaneous scarfing starts
CA10915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instantaneous thermochemical start
US3991985A (en) Apparatus for making an instantaneous scarfing start
KR800000860B1 (ko) 즉각적 스카아핑 방식
JP2844597B2 (ja) レーザ切断における切断用ノズルの構造とその切断方法
US212517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moving metal from the surfaces of metallic bodies
US4243436A (en) Instantaneous scarfing by means of a pilot puddle
SU1118281A3 (ru) Способ термохимической за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KR810000530B1 (ko) 순간적인 열화학적 반응시발 방법
KR810000732B1 (ko) 금속공작물의 순간적인 스카핑 커토방법
JPS58217220A (ja) 金属厚肉材の穴あけ方法
KR810000529B1 (ko) 순간적인 열화학 반응 시발장치
SU1263464A1 (ru) Способ образовани ванны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металла при начале огневой зачист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US4287005A (en) Instantaneous scarfing by means of a pilot puddle
EP1075344B1 (en) Cutting
USRE32511E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instantaneous scarfing cuts
CS207683B2 (cs) Přístroj pro zahájení mžikové termochemické reakce na povrchu odokujňovaného kovového obrobku
KR840002339B1 (ko) 파일러트 퍼들에 의해서 순간 스카아핑하는 방법
CA1142067A (en) Instantaneous scarfing by means of a pilot puddle
CS207682B2 (cs) Způsob vyvolávání mžikových startů termochemické reakce na povrchu odokujňovaného kovového obrobku
US2201960A (en) Nozzle for flame m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