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339B1 - 파일러트 퍼들에 의해서 순간 스카아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파일러트 퍼들에 의해서 순간 스카아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339B1
KR840002339B1 KR1019800001423A KR800001423A KR840002339B1 KR 840002339 B1 KR840002339 B1 KR 840002339B1 KR 1019800001423 A KR1019800001423 A KR 1019800001423A KR 800001423 A KR800001423 A KR 800001423A KR 840002339 B1 KR840002339 B1 KR 840002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pilot
stream
scarping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564A (ko
Inventor
어거스트 엔젤 스티븐
Original Assignee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에드워어드 지. 그리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121,606 external-priority patent/US4287005A/en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에드워어드 지. 그리어 filed Critical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30002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06Machines, apparatus, or equipment specially designed for scarfing or desur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08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by applying additional compounds or means favouring the 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proced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일러트 퍼들에 의해서 순간 스카아핑하는 방법
제1도는 파일러트 퍼들을 떠받칠 수 있고 이를 미리 선택된 폭으로 갑자기 팽창시킬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스카아핑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1a도는 1A-1A선을 따라 절단된 제1도의 장치에 대한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제2도는 2-2선을 따라 절단된 제1도의 장치에 대한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 및 2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스포트 스카아핑 커트들이 작업물의 표면상에 만들어질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다.
제4-6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일러트 산소 노즐의 여러 가지 형태들을 나타낸다.
제7도는 "집단통과(gang pass)"배열로 나란히 부착된 여러 개의 스카아핑 유니트들을 사용할 때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스포트 스카아핑 커트들을 나타낸다.
제8도는 산소 및 연료기체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프로그램된 본 발명에 따른 스카아핑 기계에 의해서 만들어진 "집단통과" 스카아핑 커트들을 나타낸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종래의 스카아핑 장치를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부(副)조립물을 나타낸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특정한 형태에 따라 금속 작업물의 표면상에서의 파일러트 산소의 열 화학적인 반응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은 스카아핑(scarfing) 산소 기체의 스트림을 사용하여 작업물(workpiece)의 표면상의 결합부분이 제거되는, 금속 작업물의 스카아핑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면, 스카아핑 장치와 작업물이 보통의 스카아핑 속도로 서로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작업물 표면의 면적들을 스포트(spot)스카아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카아핑 커트(cut)는 통상적으로 우선 작업물 표면상의 금속 밴드(band)를 그것의 산소-점화온도로 미리 가열시킴으로써 개시된다.
밴드의 폭은 보통 원하는 스카아핑 커트의 폭과 동일하다. 그 다음 스카아핑 산소의 스트림이 미리 가열된 밴드상에 부딪치며 스카아핑 산소 스트림과 작업물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이 야기되고, 이에 의해서 원하는 스카아핑 커트가 얻어진다. 20초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지 모르는 이와 같은 종래의 공정의 예열단계 도중에 작업물과 스카아핑 장치 사이에는 상대적인 운동이 전혀 없을 수도 있으며, 이는 상대적인 운동으로 해서 밴드가 원하는 온도로 예열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상대적인 운동이 전혀 없을 수도 있는 이러한 기간으로 해서 개별적인 결함부분들을 스포트 스카아핑하기 위한 그와 같은 종래의 작업개시가 비실제적이 되며 그 이유는 예열을 위한 상대적인 운동을 자주 중단시킬 필요성으로 해서 만약 여러 개의 결함부분들이 스카아핑되어야 한다면 스포트 스카아핑 작업을 너무 지연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더우기 만약 작업물 위로 집단통과(gang pass)시키기 위해서 여러 개의 스카아핑 유니트들이 나란히 배열된다면, 한 유니트를 가동시키기 위해서 상대적인 운동을 정지시키는 한편 또 다른 유니트는 스카아핑 커트를 만들게 되는 작업으로 해서 커트를 만드는 유니트의 스카아핑 스트림이 아무런 상대적인 운동도 없는 기간도중 작업물에 허용하기 어려운 깊은 홈을 만들게 된다. 미국 특허 제3,991,985호와 3,996,503호 그리고 4,038,108호에는 예열을 위해 정지함이 없이 스카아핑 반응을 순간적으로 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되어 있다. 이들 발명들은 기술상에 중요한 진보점들을 제공하지만, 반면 이들은 비교적 값비싸고 복잡한 장치를 요구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특허 제3,991985호와, 3,996,503호의 장치들은 와이어 공급 메카니즘(wire feeding mechanism)을 요구하며, 미국특허 제4,038,108호의 장치는 레이저(laser)를 요구한다.
더우기, 이들 발명들은 모두 스카아핑 커트가 만들어질 때마다 새로운 반응을 개시하고, 이에 의해서 와이어 공급기(wire feeder) 또는 레이저의 빈번한 사용이 불가피함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물과 장치 사이에 보통의 상대적인 이동 속도를 중단시키지 않고 또한 와이어 공급기 또는 레이저를 사용함이 없이 작업물의 표면을 스포트 스카아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게 명백할 이들 목적들은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며 이러한 목적들중 한 가지는 다으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하에 설명된 사항으로 구성된 금속 작업물의 표면을 스포트 스카아핑하기 위한 방법이다.
(a)최소한 산소-점화온도를 가진 잘업물의 일부분상에 파일러트(piolt) 산소 기체의 스트림을 충돌시키고, 상기한 파일러트 산소 기체의 스트림은 원하는 스카아핑 커트의 폭보다도 더 좁게 한다.
(b)작업물의 표면상에서 선택된 통로를 따라 용융금속의 파일러트 퍼들(puddle)을 연속적으로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한 작업물과 파일러트 산소 기체의 스트림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을 야기시킨다.
(c)상기한 퍼들이 작업물의 표면상의 스포트 스카아핑될 영역에 도달할 때 미리 선택된 폭으로 퍼들을 전개(spread)시키기 위해서 고강도의 산소 기체 스트림으로써 상기한 파일러트 퍼들과 접촉시킨다.
(d)전개된 퍼들상에 스카아핑 산소 기체의 스트림을 충돌시킴으로써 상기한 영역을 스카아핑하고, 상기한 스카아핑 산소 기체의 스트림은 파일러트 산소 스트림보다 폭이 더 넓게 한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하에 설명된 사항으로 구성된 금속 작업물의 표면을 스포트 스카아핑하기 위한 방법이다.
(a)최소한 산소-점화온도를 가진 작업물의 일부분상에 파일러트 산소 기체의 스트림을 충돌시키고 이에 의해서 열화학적인 반응을 야기시킨다.
(b)작업물의 표면상에서 선택된 통로를 따라 약 10-30mm의 폭을 가진 용융금속의 파일러트 퍼들을 연속적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작업물과 파일러트 산소 기체의 스트림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을 야기시킨다.
(c)퍼들이 작업물상에 스포트 스카아핑되는 영역에 도달할 때, 약 100-300mm의 미리 선택된 폭으로 퍼들을 전개시키기 위해서 스카아핑 산소 기체 스트림의 강도보다 더 높은 제1강도를 가진 산소 기체의 스트림으로써 파일러트 정련물과 접촉시킨다.
(d)퍼들이 미리 선택된 폭으로 전개될 때 상기한 (c)단계의 산소 기체 스트림의 제1강도를 스카아핑 산소 기체 스트림의 강도에 달하는 제2강도로 감소시킨다. 그리고,
(e)전개된 퍼들상에 스카아핑 산소 기체의 스트림을 충돌시킴으로써 상기한 영역을 스카아핑한다. 파일러트 산소 기체의 스트림이 그 위로 충돌되는 작업물의 일부분은 그것의 용융온도를 갖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스포트 스카아핑 장치는 이하에 설명된 장치들의 조합물로 되어 있다.
(a)금속작업물 표면의 일부분을 최소한 그것의 산소 점화 온도로 상승시키기 위한 장치.
(b)파일러트 퍼들을 형성하고 연속적으로 떠받치기(sustain)위해서 상기한 가열된 부분에 대해서 점화용 산소기체의 스트림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러한 장치는 원하는 스포트 스카아핑 커트의 폭보다 더좁게 산소의 스트림을 배출시킬 수 있다.
(c)상기한 퍼들을 미리 선택된 폭으로 전개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러한 장치는 상기한 파일러트 퍼들에 조정된 고 강도의 산소 기체 스트림을 배출시킬 수 있다.
(d)상기한 파일러트 퍼들보다 더 넓은 스포트 스카아핑 커트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러한 장치는 전개된 퍼들에 조정된 스카아핑 산소 기에의 스트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구성된 금속작업물을 스포트 스카아핑하기 위한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a)(i)하부 표면을 가진 상부 예열 블록과 (ii)상부 예열 블록의 하부 표면 아래에 위치되어 있고 이로부터 작업물 표면에서 스카아핑 강도로 얇은 층의 산소 기체 스트림을 조정하기 위한 슬로트(slot)형의 노즐을 형성하도록 위치된 하부 예열 블록으로 구성된 스카아핑 유니트.
(b)작업물 표면상에 파일러트 퍼들을 형성하도록 파일러트 산소 기체의 스트림을 배출시키기 위해서 작업물 표면과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조정된 중앙축을 가진 파일러트 산소 노즐 장치.
(c)스카아핑 산소 강도보다 더 높은 제 1강도를 가지고 작업물 표면상의 파일러트 퍼들에서 조정된 산소기체의 스트림을 배출시키기 위해서 작업물 표면과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조정된 중앙축과 4π로부터 약 25까지의 형태 인자(shape factor)를 가진 배출 오리피스가 부착된 취관(吹管)장치, 그리고,
(d)(c)의 산소 기체 스트림의 제1강도를 스카아핑 산소 강도에 이르는 제2강도로 감소기키는 장치.
본 발명은 매우 폭이 좁은 파일러트 퍼들일 저강도의 산소 기체 스트림과 함께 보통의 스카아핑 속도에서 움직이는 작업물의 표면상에 떠받쳐질 수 있으며, 파일러트 퍼들의 크기는 파일러트 퍼들에서 고강도의 산소 스트림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스카아핑 커트의 최대폭으로 급속히 팽창될 수 있다고 예견된다. 파일러트 퍼들이 원하는 폭으로 팽창된 후에, 스포트 스카아프되는 것이 요구되는 적업물의 영역이 스카아핑 산소 기체의 스트림으로서 스카아프된다. 파일러프 퍼들을 떠받치는데 있어서, 즉 작업물의 표면상에 선택된 통로를 따라 용융금속의 파일러트 퍼들을 연속적으로 생성하는데 있어서, 매우 폭이 좁고 얕은 커트가 작업물의 표면상에 만들어질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파일러트 퍼들"은 너무 작아서 금속이 거의 소모되지 않으며 또한 파일러트 커트 자체는 바람직하지 않은 표면 결합부분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를 통해서 사용되는 "산소의 고강도 스트림"이라는 용어는 스카아핑 산소 스트림의 강도보다 더 큰 강도를 가진 산소의 스트림을 의미한다. 파일러트 퍼들을 이와 같은 스트림과 접촉시킴으로써 퍼들의 폭은 미리 선택된 폭으로 갑자기 넓혀질 것이며, 좋기로는 원하는 스카아핑 커트의 폭으로 넓혀질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파일러트 산소의 스트림"이라는 용어는 그 폭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스카아핑 커트의 폭보다 더 좁은 산소 기체의 스트림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는 "스카아핑 산소의 스트림"이라는 용어는 열화학적으로 결합부분들을 상기한 표면으로부터 제거시킬 목적으로 스카아핑 산소 강도를 가진 산소 기체의 스트림을 의미한다.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2도는 본 발명의 추천되는 장치 형태를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스카아핑 유니트 U는 헤드(1), 슈(shoe)(2), 상부 예열판(3) 및 하부 예열판(4)로 구성되어 있다. 슬로트형의 스카아핑 노즐(9)는 이로부터 시트(sheet) 형태의 스카아핑 산소의 스트림이 배출되는 것으로서, 상부 예열판(3)의 하부 표면(8)로부터 떨어져 있고 그 아래에 위치된 하부 예열판(4)의 상부 표면(7)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슈(2)는 작업물 W의 표면상에 얹혀져 있으며, 작업 표면과 스카아핑 유니트 U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킨다. 산소 및 연료 기체는 각각 파이프(5)와 (6)에 의해서 유니트 U로 공급되며 이후에 기술상에 숙련된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종래의 유통장치 및 유동조절장치(완전히 나타내지는 않았음)에 의해서 여러가지 적합한 노즐들로 공급된다. 상부 예열 블록(3)에서의 배출구(10)과 (16)의 열(列)들(제2도 참조)은 각각 연료 기체와 산소를 방출한다. 하부 예열 블록(4)에서의 배출구(11)의 열은 연료 기체를 방출한다.
도관 Cp는 파일러트 산소 노즐(14)에 산소를 공급하며(제2도 참조), 이는 파일러트 퍼들을 떠받치기 위해서 폭이 좁은 파일러트 산소의 스트림을 방출한다. 파일러트산소 노즐(14)는 스카아핑 산소 슬로트 노즐(9)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도관 Cs는 파일러트 산소 노즐(14)의 바깥쪽에 위치한 스카아핑 산소 슬로트 노즐(9)의 각 부분들로 산소를 공급하며 밸브V3, V4는 각각 파일러트 산소와 스카아핑 산소의 유통을 조절한다. 스카아핑 유니트로 산소를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산소 공급관이 있을 수 있으며, 밸브V3와 V4는 스카아핑 유니트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취관(12)는 노즐(14)에 의해서 떠J받쳐진 파일러트 퍼들을 스카아핑 커브를 위해서 요구되는 폭으로 전개시키기 위해서 고강도의 산소 스트림을 방출한다. 이러한 장치 형태에 있어서 취관(12)는 예를 들어서 헤드(1)에 그것을 부착시키는 선반받이(80)에 의해서 스카아핑 유니트 U에 외부로 부착된다.
본 명세서와 청구 범위에 있어서 평면적인 기하학적 형태의 "형태인자"는 주변길이(perimeter)의 자승과 이러한 주변길이내의 면적과의 비율로서 정의되며, 예를 들어서 원에 대한 형태인자는 π2d2을 0.25πd2로 나눈 값, 즉 4π이다. 이후로 논의되는 전제로서, 취관(12)에서 방출되는 산소의 고강도 스트림은 그형태인자가 4π-25, 좋기로는 4π가 되도록 그것의 중앙축에 수직인 단면형태를 가져야 한다. 고강도 취관(12)의 방출 오리피스(70)은 따라서 4π-25 좋기로는 4π의 형태인자를 가져야 한다.
고 강도 취관(12)의 중앙축(71)의 연장선(72)는 작업물 W의 표면에 수직인 평면에 놓이며, 좋기로는 스카아핑 이동방향(제1도 및 10도에서의 화살표 A)에 평행한 평면에 놓인다. 연장선 (72)는 작업물 표면과의 약 30°와 80°사이의 예각 α임이 유리하며, 약 50°와 60°사이임이 좋다. 따라서 산소 기체의 고강도 스트림의 중앙축(이는 실질적으로 연장선(72)와 일치한다)은 마찬가지로 작업물 표면에 대해서 약 30°-80°(좋기로는 50°-60°)의 각을 이룬다.
파일러트 산소 노즐(14)의 중앙축(76)의 연장선(77)은 작업물의 표면에 수직이고, 스카아핑 이동의 방향에 평행인 평면에 놓이며, 이는 작업물 표면과 유리하기로는 약 15°-80°(좋기로는 30-35°)사이의 예각 β를 이룬다.
따라서 파일러트 산소의 폭이 좁은 스트림의 중앙축(이는 실제로 연장선(77)과 일치함)은 마찬가지로 작업물 표면에 대해서 약 15˚-80˚의 각(좋기로는 30˚-35˚)을 이룬다. 취관(12)의 중앙축(71)의 연장선(72)는 좋기로는 전술한 파일러트 노즐(14)의 중앙축(76)의 연장선(77)이 놓인 것과 실제로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산소의 고강도 스트림과 파일러트 산소의 폭이 좁은 스트림의 중앙축들이 놓이는 평면이 제2도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슬로트형의 노즐(9)의 측면 중앙선 C-C를 포함하는 평면과 실제로 일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부 예열 블록(3)은 Fuhrhop의 미국특허 제4,115,154호에 따라서 나중에 혼합되는 예열 화염을 생성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좋으며, 이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은 보 명세서에 참고로 상술된다.
장치의 작동은 제3도를 참조하면 가장 잘 이해되며, 거기에서는 제1도 및 2도에서 설명된 장치에 의해서 작업물의 표면상에 만들어진 전형적인 스포트 스카아핑 커트들이 나타나 있다. 제3도에서 스카아핑 커트들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것이다.
작업물 W의 말단부(20)은 스카아핑 유니트 U와 함께 레지스터(register)내로 이동되며(도면에 나타낸 것으로부터 작업물의 반대편 말단부에서) 작업물과 스카아핑 유니트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은 처음으로 그리고 스포트 스카아핑이 진행되는 동안의 시간에만 정지된다. 연료 및 산소기체는 배출구(10)과 (16)으로부터 방출되며 점화되어 작업물의 말단부(20)상의 작은 영역(21)상에 충돌하는 예열화염을 형성한다. 화염은(21)부분(제1도에서의 P)을 최소한 그것의 산소 점화온도로, 좋기로는 그것의 용융온도로 예열시킨다. 그 다음 가열된 부분(21)로 향해 조정된, 파일러트 산소의 폭이 좁은 스트림은 밸브 V3를 부분적으로 개방함으로써 파일러트 노즐(14)로부터 방출됨이 야기된다. 파일러트 산소는 작업물의 가열된 부분(21)과 발열반응하여 용융 퍼들을 형성한다. 보통의 스카아핑 속도로의 상대적인 운동이 스카아핑 유니트 U와 작업물 W 사이에 개시된다.
스카아핑 유니트는 화살표 A의 일반적인 방향으로 작업물 위로 통과한다. 파일러트 산소 스트림은 작업물 W의 표면상에 선택된 통로(22)를 따라 용융금속의 파일러트 퍼들을 연속적으로 생성한다. 노즐(16),(10)및(11)로부터 방출되는 점화기체에 의해서 형성된 화염은 비록 이와같은 화염이 필요치 않다 할지라도 파일러트 퍼들을 떠받치는데 도움을 주도록 사용될 수 있다.
파일러트 퍼들이 스카아프될 결함부분을 포함하는 영역(23)에 도달했을 때, 다음과 같은 일련의 결과들이 상대적인 운동을 방해함이 없이 발생한다. 취관(12)는 파일러트 퍼들(22)상에 충돌하는 고강도의 산소 스트림을 방출하게 된다. 파일러트 퍼들은 갑자기 폭 X로 전개되며, 이는 원하는 스카아핑 커트의 폭과 동일한 미리 선택된 폭이다. 스카아핑 산소의 스트림은 동시에 개방밸브 V4, 그리고 완전히 개방된 밸브 V3에 의해서 슬로트 노즐(9)로부터 전개된 퍼들상에 방출되며 이로써 노즐(14)로부터의 산소 유량은 파일러트 산소강도로부터 스카아핑 강도로 증가된다. 상대적인 운동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계속됨에 따라, 영역(23)은 스카아프된다. 배출구(11)로부터 방출된 예열화염은 스카아핑반응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취관(12)로부터 방출된 산소기체의 고강도 스트림이 파일러트 퍼들을 미리 선택된 폭으로 전개시킨 후에 산소 기체의 고강도 스트림은 비록 그것이 스카아핑 산소 강도에서부터 제로(즉, 작동이 껴지는 것을 의미)까지 만족스럽게 감소될 수 있지만, 최소한 스카아핑 산소 강도로 감소되는 것이 유리하다.
환언하면 파일러트 퍼들은 그것을 미리 선택된 폭으로 전개시키기 위해서 스카아핑 산소 기체 스트림의 강도보다도 더 높은 제1강도를 가진 산소의 스트림과 접촉된다. 파일러트 퍼들이 미리 선택된 폭으로 전개되면 곧, 제1강도(즉, 고강도)는 제로에서부터 스카아핑 산소 기체의 강도에 이르는 범위의 제2강도로 감소된다. 취관(12)로부터 방출된 산소 기체의 고강도 스트림(즉, 제1강도), 스카아핑 산소 기체의 스트림, 그리고 파일러트 산소 기체의 스트림에 대한 유리한 강도들은 이후에 설명된다.
취관(12)로부터 방출되는 산소기체 스트림의 제1도 및 제2강도는 예를 들어서 밸브 V1(제1도)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밸브V1은 예를 들어서 기술상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타이머(timer),릴레이(relay) 및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들을 통해서 적절히 자동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이로써 파일러트 핵들이 스포트 스카아프될 영역에 도달하였을 때 조종자 또는 절합한 신호가 산소기체 고강도 스트림의 충돌을 제시시킬 것이며, 설명된 일련의 결과들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것이다.
산소 기체의 고강도 스트림은 파일러트 퍼들이 미리 선택된 폭으로 전개될 때 최소한 스카아핑 산소 스트림의 강도로 감소되거나 또는 그 작동이 꺼지어 버리게 되며, 이는 취관(12)로부터의 산소의 고강도 스트림이 계속해서 방출되므로써 부수적으로 이미 전개된 핵들을 더욱 전개시키고 스카아핑 커트의 측면 모서리에 원치 않은 핀(fin)을 생성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스카아핑 커트 표면상의 바람직하지 못한 홈 또는 요철 부분은 또한 이와같이 계속되는 방출로부터 기인하게 된다. 더욱이 산소기체를 사용하면 절약이 된다.
만약 실제로 균일한 표면을 가진 스카아핑 커트가 요구된다면, 고강도 산소 기체 스트림의 강도가 실질적으로 제로로 감소(즉 작동이 꺼짐)될 것이며, 슬로트형의 노즐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균일하고 시트형태인 스카아핑 산소의 스트림이 스카아핑을 위해서 사용될 것이다.
스카아핑 산소 기체의 방출은 파일러트 핵들을 미리 선택된 폭으로 전개할 때 개시될 수 있다. 또한 그대신에 스카아핑 산소 스트림이 산소 기체의 고강도 스트림으로서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산소 기체의 고강도 스트림은 더욱 크게 충돌될 것이고, 열화학적인 반응의 경로를 조절하게 될 것이며, 즉 용융금속의 파일러트 퍼들을 미리 선택된 폭으로 급속히 전개시킬 것이다. 그 다음 산소 기체의 고강도 스트림이 최소한 스카아핑 강도로 감소(즉 작동이 꺼짐)됨에 따라, 스카아핑 산소 스트림은 신속하게 반응을 인계받을 것이다.
스카아핑 커트(23)이 만들어진 후에, 노즐(9)의 스카아핑 산소는 폐쇄밸브 V4와 외부벅인 폐쇄밸브 V3에 의해서 잠겨질 것이며 이로써 노즉(14)로부터의 산소의 흐름은 파이러트 산소 스트림 강도로 감소된다. 고강도 취관(12)로부터 방출되는 산소 기체의 스트림은 또한 만약 이것이 잠겨 있지 않다면 잠기게 된다. 고온 또는 용융금속은 커트(23)의 모서리(23A)에 남게 된다. 노즐(14)로부터의 파일러트 산소는 고온 또는 용융모서리(23A)상에 충돌되며, 파일러트 퍼들은 통로(22)에 대해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선택된 통로(24)를 따라 떠받쳐진다. 파일러트 퍼들이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통로는 직선일 필요는 없으며, 작업 표면상의 어떠한 선택된 통로라도 따를 수 있다. 또 다른 결함을 가진 영역(25)에 도달했을 때, 파일러트 퍼들은 취관(12)로부터 방출된 산소의 고강도 스트림에 의해서 갑자기 전개되며, 영역(25)는 다시 완전히 개방된 밸브V3와 V4에 의해서 스카아프된다.
이러한 제2의 스카아핑 커트가 만들어진 후에, 파일러트 퍼들(26)은 스카아핑 유니트가 작업물 위로 통과할 때까지 노즐(14)로부터의 산소에 의해서 떠받쳐질 수 있다.
좋기로는 이후에 설명된 이유로써 본 발명의 실시에 부합하여 약 10-30mm폭의 파일러트 퍼들들이 미리 선택된 약 100-300mm폭으로 전개된다.
제1도와 2도에 나타낸 장치는 작업물 표면상에 어느 곳에라도 위치한 스포트 스카아프 결함부분들에게로 개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같은 부착의 실례는 미국특허 제3,991,985호의 제7도에서 볼 수 있다. 만약 개별적인 핀이 없는 커트가 요구된다면, 미국특허 제4,040,871호에서 설명된 스카아핑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가장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 노즐(14)로부터 방출된 파일러트 산소 기체 스트림의 강도 및 폭이 파일러트 퍼들을 떠받치기에 충분히 적절해야 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매우 미소한 양의 금속이 파일러트 퍼들이 지나가는 통로로부터 제기될 것이다. 제1도와 2도에 나타낸 장치로써, 파일러트 산소 노즐(14)의 방출구는 한쪽 변의 길이가 약 6mm인 정사각형임이 좋다.
제10도는 금속작업물 W의 표면상에서 진행되는 전형적인 파일러트 산소 열화학적 반응을 나타낸다. 파일러트 산소의 스프림 P는 예각으로 작업물과 충돌하며 반응대 R에서 고온의 발열반응을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서 용융철 및 용융산화철과 같은 용융금속 및 산화슬랙은 파일러트 산소 스트림의 충돌에 의해서 반응대 R로부터 앞쪽으로 계속적으로 밀리며, 작업물의 표면으로부터 Z로 표시된 깊이까지 금속을 제거시키게 된다. 전형적인 금속제거의 깊이는 1.5-2mm일 수 있다.
파일러트 퍼들을 미리 선택된 폭으로 전개시키기 위한 산소 기체의 고강도 스트림은 예를 들어서 R 뒤쪽으로 15cm에 이르는, 반응대 R의 뒤쪽으로(즉 화살표 A의 반대방향), 또는 반응대 R에서, 또는 반응대 R의 앞쪽인 용융금속 및 산화슬랙 S에서 작업물의 표면상에 충돌될 수 있다.
제10도는 고강도 취관(12)의 중앙축(71)의 연장선이, 취관(12)로부터 방출되는 산소 기체의 고강도 스트림(즉, 제1강도)이 반응대 R의 앞쪽으로(화살표A의 방향)파일러트 퍼들과 접촉하도록 조정된 본 발명의 장치 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장치 형태에 있어서, 취관(12)의 중앙축(71)과 그것의 연장선(72)는 파일러트 산소 노즐(14)(제10도에는 나타내지 않음)의 중앙축(76)과 그것의 연장선(77)의 앞쪽으로 작업물 표면과 교차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만약 작업물의 초기 온도가 760℃이하이면, 파일러트 산소 스트림 강도는 1cm2의 노즐 방출면적당 40-70SCMH의 범위, 좋기로는 약 65SCMH가 되어야 한다. 만약 작업물 온도가 760℃ 이상이면 파일러트 산소 스트림 강도는 1cm2의 노즐 방출면적당 30-45SCMH, 좋기로는 약 40SCMH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강도에서 제1도 및 2도에 보여진 바와 같이 배열된 6mm정사각형 파일러트 노즐은 약 1-20mm폭의 파일러트 퍼들을 생성할 것이다. 작업물과 파일러트 산소 노즐의 입구 사이의 거리가 크면 클수록 더욱 큰 파일러트 산소 스트림 강도가 요구된다. 파일러트 산소 노즐에 대한 여러가지 다른 배열들은 제4, 5, 6 및 9도에 대해서 이후에 논의된다.
초기 작업물 온도가 760℃ 이하일 때, 산소의 고강도 스트림은 1cm2의 노즐 방출 면적당 100-200SCMH의 강도를 가져야 함이 좋으며, 가장 좋기로는 약115SCMH/cm2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경우, 즉 초기 작업물온도가 760℃ 이하일 때, 20mm 직경의 취관으로부터 방출되는 115SCMH/cm2의 강도로써 파일러트 퍼들을 약 100mm의 폭으로 전개시킴이 발견되었다.
여러가지 응용사례에 대해서, 이러한 폭의 스포트 스카아핑 커트는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더 넓은 커트가 요구된다면, 115SCMH/cm2에서 방출하는 35mm 직경의 취관이 파이러트 퍼들을 약 200mm의 폭으로 전개할 것이며, 또는 45mm직경의 취관이 파일러트 퍼들을 약 300mm의 폭으로 전개시킬 것이다. 작업물온도가 760℃ 이상일 때 산소의 고강도 스트림의 강도는 1cm2의 노즐 방출면적당 70-150SCMH이어야함이 좋으며 95SCMH/cm2가 가장 좋다. 이러한 경우에, 즉 초기 작업물 온도가 760℃이상일 때, 20mm직경의 취관으로부터 방출되는 상기한 95SCMH/cm2의 강도는 파일러트 피들을 약 100mm의 폭으로 전개시킬 것이며, 만약 35mm 또는 45mm직경의 취관으로부터 방출된다면 이는 파일러트 퍼들을 각각 약 200mm 또는 300mm의 폭으로 전개시킬 것이다.
스카아핑 작업물이 760℃ 이하의 초기 온도를 가질 때 스카아핑 산소 스트림 강도는 1cm2의 노즐 방출면적당 40-100SCMH이 되어야 함이 좋으며 약 85SCMH/cm2가 가장 좋다. 초기 작업물온도가 760℃ 이상일 때, 스카아핑 산소 스트림 강도는 45-70SCMH/cm2이어야 함이 좋으며, 55SCMH/cm2가 가장 좋다.
파일러트 퍼들의 전개는 갑자기, 즉 거의 순간적으로 발생하며, 파일러트 퍼들의 폭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어서 만약 작업물과 스카아핑 장치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이 약 6m/min이고, 강철의 초기 온도가 760℃이하(코울드스틸)이며, 파일러트 퍼들이 10-30mm의 폭일경우, 35mm직경의 취관으로부터 방출되는 115SCMH/cm2의 강도를 가진 산소의 고강도 스트림은 파일러트 퍼들을 약 100mm의 간격 T(제3도)로 200mm의 선택된 폭(제3도에서의 치수 ×)으로 전개시킬 수 있으며 파일러트 퍼들을 선택된 폭으로 전개시키기 위한 시간 간격은 약 1초가 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만약 상대적인 운동이 약 20m/min로 증가된다면 파일러트 퍼들은 약 200mm의 간격 T(제3도)로 200mm의 폭(제3도에서의 치수 X)으로 전개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파일러트 퍼들을 선택된 폭으로 전개시키기 위한 시간 간격은 약 0.6초가 될 것이다. 이로써 냉간 강철상에서 극히 빠른 파일러트 퍼들의 전개가 이루어진다. 760℃ 이상의 초기온도를 가진 스카아핑강철(핫스틸)의 경우에는, 전개에 대한 치수 T 및 시간간격은 더 짧아질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취관(12)로부터 방출되는 고강도 산소 스트림은 그것의 형태인자가 4π와 약 25사이, 좋기로는 4π가 되도록 그것의 중앙축에 수직인 담면 형태를 가져야 한다.
이와같은 단면 기하구조를 가진 고강도 산소 스트림은 전술한 약 1-30mm의 폭을 가진 파일러트 퍼들을 약 100-300mm의 미리 선택된 폭으로 급속히 전개시키기 위해서 요구된다. 가늘고 길게 연장된 방출 오리피스를 가진 고강도 위관과 같은 다른 단면 기하구조를 사용하던 본 발명에 따른 파일러트 퍼들의 급속한 전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모든 예열 배출구(10)과 (16)들은 예열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스카아핑 유니트는 단지 노즐(14) 근처에 위치한 예열 배출구만이 예열을 위해서 사용되도록 콘트롤 장치(나타내지 않았음)가 설치될 수 있다. 미리 혼합된 화염, 즉 스카아핑 유니트 내에서 혼합된 점화산소 및 연료 기체에 의해서 형성된 화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더욱 안전하기로는 산소 및 연료 기체가 유니트 외부에서 혼합되는 나중에 혼합된 화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허용되는 나중에 혼합되는 예열 방법 및 장치는 Allmang과 Lytle의 미국특허 제 3,231,431호와 3,752,460호에 설명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중에 혼합된 화염을 생성하는 데에는 Fuhrhop의 미국특허 제 4,115,154호의 방법이 좋다. 그러나 작업 표면의 일부분을 그것의 산소 점화온도 또는 용융온도로 가열시키는 어떠한 방법도 그것이 전기 아아크(arc)이던지 또는 어떤 다른 에너지 집중시스템이던지간에 사용될 수 있다.
제4-6도는 작업물의 표면에 파일러트 산소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또 다른 좋은 장치 배열들을 나타낸 것이다. 제4도에서 파일러트 산소 노즐(14A)는 상부 예열 블록(3)내에 위치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낸 장치는 하부 예열 블록(4) 내에 위치한 파일러트 산소 노즐(14B)를 가지고 있다.
제6도는 파일러트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 배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6도에서 파일러트 산소 노즐은 스카아핑 유니트의 외부와 상부 예열 블록(3)위에 위치한 파이프(14C)이다. 작업물 표면상에 적절히 위치한 가열된 부분에 파일러트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어떠한 노즐장치 배열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조립된 두 개 이상의 스카아핑 유니트들은 "집단통과", 즉 여러개의 스카아핑 유니트들에 의한 동시 병행통과를 이루기 위해서 서로 평행하게 작업물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배열된 노즐들은 미국특허 제3,991,985호의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상에 부착될 수 있다. 만약 핀이 없는 커트들이 요구되면 집단-통과-부착된 노즐들은 미국특허 제4,013,486호에 설명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집단-통과 장치 배열에 부착된 두 개 이상의 스카아핑 유니트들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을 시행하는 데 있어서 좋기로는 약 10-30mm의 폭을 가진 파일러트 퍼들이 전술한 바와 같이 산소 기체의 고강도 스트림에 의해서 접촉되고 약 100-300mm의 폭으로 급속하게 전개되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유리한 결과들이 얻어진다. 스포트 스카아핑 스타트는 작업물과 스카아핑 장치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을 중단할 필요 없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집단-통과 스포트 스카아핑에서는 특별히 중요하다.
약 10-30mm의 폭을 가진 매우 좁은 파일러트 퍼들은 작업물 표면상에 좋은 금속의 최소 손실을 가져온다. 파일러트 퍼들의 최소 폭은 약 10mm이며, 이는 더 좁은 폭의 파일러트 퍼들은 작업물 표면상에서 계속적으로 유지되기가 어렵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파일러트 퍼들의 최대폭은 약 30mm이며, 이는 더 큰 폭으로 하면 어떠한 보상적인 이점들도 없이 좋은 금속의 불필요한 낭비만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좁은 폭의 파일러트 퍼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라 형태인자가 4π와 약 25사이가 되도록 그것의 중앙축에 수직인 단면 형태를 가진 전술한 산소 기체의 고강도 스트림이 폭이 좁은 파일러트 퍼들을 약 100-300mm의 미리 선택된 폭으로 전개시키ㅋ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폭이 넓은 파일러트퍼들들은 불필요하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소 기체의 고강도 스트림을 사용하여서 파일러트퍼들을 약 100-300㎜의 폭으로 급속히 전개시키는 것은 파일러트 퍼들의 폭에 무관하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약 100-300mm의 전개된 퍼들폭은 실질적으로 전개된 퍼들의 폭을 가진 스카아핑 산소의 스트림을 방출하는 스카아핑 노즐장치에 의해서, 전개된 퍼들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폭을 가진 결함부분을 스카아프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만약 전개된 퍼들의 미리 선택된 폭보다 더 넓은 폭의 결함이 처리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 구성된 인접한 집단-부착된 스카아핑 장치들이 이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동시에 채택될 것이다. 약 100-300mm의 스카아핑 폭이 집단통과 스카아핑 장치 배열에 유리하며 이는 좁은 폭을 가진 결함부분들은 이에 인접한 좋은 금속의 불필요한 손실 없이도 스카아프될 수 있으며 반면 더 넓은 결함부분들은 요구되는 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집단-부착된 스카아핑 유니트를 사용함으로써 스카아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단-통과장치 배열에 부착된 스카아핑 유니트들과 사용하기에 쉽고 유리하게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물과 집단-통과 스카아핑 장치 배열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운동을 중단시킬 필요 없이, 그리고 간단하고 믿을 수 있는 방법으로 복잡한 장치가 필요없이, 집단-통과 스포트 스카아핑 장치 배열에서 흔히 그리고 유리하게 사용되는 스카아핑 폭을 가진 스카아핑 스타트를 성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작업물 표면상에서 좋은 금속의 손실을 최소로 하는 방법으로 그와같은 스타트를 성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고강도 산소 스트림에 의해서 폭이 좁은 파일러트 퍼들을 급속히 전개시키는 것이 또한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는 사실이 쉽게 인지될 것이다. 만약 전개 과정이 느리다면 전개 공정은 결함영역이 스카아프되기에 훨씬 앞서서 개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개 과정도중 좋은 금속이 낭비될 것이다.
제7도는 작업물 W 위로 집단통과하기 위해서 나란히 부착된 3개의 유니트(31,32 및 33)들로 구성된 장치에 의해서 만들어진 스카아핑 커트들을 나타낸다. 스카아핑 유니트들(31),(32) 및 (33)은 제1어도와 2도에 나타낸 것들과 똑같이 조립구성되었으며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된다. 제7도는 스카아핑 공정이 완료된 후에 장치의 위치를 나타낸다. 스카아핑은 다음과 같이 일어난타.
작업물 W의 모서리(34)가 3개의 스카아핑 유니트들을 가진 레지스터에 위치한다. 모서리(34)의 부분(35) 및 (3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니트(31)과(32) 각각에 의해서 최소한 산소 점화온도로 가열된다. 결함부분을 포함한 영역(37)이 모서리(34)에 가까이 위치할 때, 배출구(10)과 (16)으로부터 방출되는 화염은 모서리(34)에서의 표면상의 밴드(38A)를 원하는 스카아핑 커트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38)에 걸쳐서 그것의 산소점화온도로 가열시킨다. 모든 3개의 유니트들은 동시에 그들의 작업물 경계 모서리(34) 표면의 그들 각자의 개별적인 부분들을 가열시킨다. 그다음 스카아핑 유니트(31)과 (32)의 파일러트 산소 스트림들과 유니트(33)의 스카아핑 산소 스트림이 작동되어 유니트들은 스카아핑 속도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작업물을 따라서 이동된다. 유니트(31)과 (32)로부터의 파일러트 산소 스트림들은 통로(39)와 (40)을 따라서 파일러트 퍼들을 떠받치며, 한편 유니트(33)은 스카아핑 산소의 스트림과 함께 스카아핑 커트(37)을 만든다. 영역(41)에 도달했을 때, 유니트(31)이 작동되어 그것의 고강도 취관으로써 파일러트 퍼들을 원하는 스카아핑 커트의 폭으로 급속히 전개시키며 영역(41)을 스카아프시킨다. 영역(41)이 스카아프된 후에 유니트(31)의 스카아핑 산소 스트림은 작동이 꺼지나, 파일러트 산소 스트림은 작동되어, 파일러트 퍼들을 통로(42)를 따라서 떠받치게 된다. 영역(37)이 스카아프된 후에 유니트(33)의 스카아핑 산소는 작동이 꺼지나, 파일러트 산소 스트림은 작동되어 파일러트 퍼들을 통로(43)을 따라 떠받치게 된다. 영역(44)에 도달했을 때, 유니트(33)은 그것의 파일러트 퍼들을 원하는 폭으로 급속히 전개시키며 영역(44)가 스카아프된다. 유니트(32)에 의해서 통과된 표면에는 아무런 결함부분이 없으므로 이 유니트는 전체 통과도중 아무런 스카아핑도 수행하지 않는다.
스카아핑 유니트들과 작업물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이 개시된 후에 이러한 운동은 전체통과에 걸쳐 원하는 스카아핑 속도에서 방해받지 않고 계속된다는 점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예를 들어서 커트(41)을 개시하기 위해서 운동이 중지되어야 한다면 유니트(33)의 스카아핑 산소는 영역(37)에서의 작업물에서 깊은 홈을 내게 될 것이다.
작업물과 스카아핑 장치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은 어떠한 선택된 통로를 따라서도 행하여질 수 있으며, 어떠한 원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이러한 운동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다른 한쪽 편이 정지한 동안 움직이거나 또는 둘 다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상기한 운동을 일으키는 장치들은 스카아핑 기계의 전체적인 부분 중의 한 구성요소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서 진술한 미국특허 제 3,991,985호의 제7도 및 9도에 보여진 바와 같다. 이에 대신해서 또는 상기한 장치와 결합해서 스카아핑 기계 외부의 상대적인 운동장치들에는 예를 들어서 스카아핑 장치에 대해서 작업물을 운동시키는 강철 밀의 로울 테이블이 채택될 수 있다.
제8도는 산소 및 연료 기체를 보존하도록 프로그램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여 스카아프된 작업물을 나타낸다.
모서리(50)에서 파일러트 퍼들을 개시하는 것 대신에 스카아핑 장치는 모서리(50)으로부터 "d" 간격의 스카아프되는 첫번 영역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그 곳에서 정지될 수 있다. 장치가 정지된 동안 유니트(31)과 (33)은 부분(51)과 (52)를 예열시키고 각 유니트의 파일러트 산소가 작동된다. 동시에 종래의 스카아핑스타트가 영역(53)을 예열시키고 스카아핑 산소를 작동시킴으로써 유니트(32)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 다음 집단통과장치와 작업물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은 즉각 개시되며, 통로(54)와 (55)를 따라 파일러트 퍼들을 떠받쳐주고 영역(56)에 걸쳐 스카아핑 커트를 만들어준다. 영역(56)이 스카아프된 후에 유니트(32)상의 스카아핑 산소는 작동이 꺼지며, 파일러트 산소가 작동되어 파일러트 퍼들을 통로(58)을 따라 떠받치게 된다. 결함부분을 지닌 영역(57)에 도달했을 때, 유니트(31)은 그것의 파일러트 퍼들을 전개시키고 결함부분을 스카아프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유니트(33)은 영역(60)에 도달되었을 때 그것을 스카아프시킨다.
영역(57)이 스카아프된 후에 유니트(31)은 완전히 작동이 꺼지며, 이는 유니트(31)로서 더욱 스카아프시킬 결함부분이 없기 때문이다. 영역에 도달하였을 때 이는 유니트(59)에 의해서 스카아프된다. 여러 가지 노즐들로부터 나오는 기체들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방법은 본 발명에 속하지 않는다 이와같은 프로그래밍은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조즐들로부터의 기체흐름을 개시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운전자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좋기로는 파일러트 퍼들을 개시시키고 떠받치기 위한 그리고 퍼들을 전개시키고 결함부분을 스카아프시키기 위한 연속 공정은 연쇄장치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수행될 것이다.
결함 탐지장치는 결함부분들을 탐지하여 결함부분들을 자동적으로 작업물로부터 스카아프시킬 수 있는 연쇄장치로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작업물상의 결함부분들의 형태가 실제의 스카아핑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래밍 장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미국특허 제 3,996,503호 및 제 4,038,108호에 설명된 순간적인 개시방법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첫번째 스카아핑 커트는 상기한 특허에 의해서 설명된 와이어 또는 레이저중 한 방법에 의해서 개시될 수 있다. 커트가 만들어진 후에 파일러트 퍼들은 예를 들어서, 제3도의 통로(24)를 따라 떠받쳐졌던 파일러트 퍼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떠받쳐진다. 이어서 후속적인 스카아핑 커트들은 파일러트 퍼들을 산소의 고강도 스트림으로 전개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원하는 영역을 스카아프시킴으로써 만들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첫번째 스카아핑 커트에 앞선 예열시키기 위한 시간의 지연을 요구하지 않으며, 또한 후속적인 커트들을 개시하기 위한 와이어 공급기 또는 레이저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는다.
제9도는 종래의 스카아핑 장치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기에 유용한 부(副)-조립물을 나타낸다. U1은 작업물 표면의 일부분을 그것의 산소 점화온도로 예열시키기 위한 장치(나타내지 않았음)들을 가진 모든 종래의 스카아핑 유니트와 스카아핑 노즐(9)을 나타낸다. 부-조립물 S는 산소공급파이프 즉 공급원(130)에 연결되어 있다. 산소는 파이프(130)으로부터 파일러트 산소 노즐(14d)와 고강도 취관(12d)로 전달된다. 부-조립물은 이러한 경우에 노즐(12d)와 (14d)로부터 방출되는 산소 스트림이 유니티 U1에 의해서 예열된 작업물상의 스포트에 충돌하도록 스카아핑 유니트 U1상에 부착된 것이 보여진다. 장치는 다으과 같이 작동한다. 유니트 U1은 작업물 표면상의 스포트 P를 그것의 산소 점화온도로 예열시킨다. 밸브 V2는 단지 저강도의 산소 스트림만이 파일러트 산소 노즐(14d)로부터 흐르도록 하는 소형의 유통구만을 가지고 있다. 작은 파일러트 퍼들이 선택된 통로를 따라 떠받쳐진다.
산소의 고강도 스트림은 개방밸브 V1에 의해서 파일러트 퍼들상에 충돌되며 퍼들을 미리 선택된 폭으로 전개시킨다. 밸브 V1은 산소의 고강도 스트림이 노즐(12d)로부터 흐르도록 하는 대형의 유통구를 가지고 있다. 결함이 있는 영역은 노즐(9)로부터 방출된 스카아핑 산소의 스트림으로 스카아프된다.
물론 노즐(12d)와 (14d)는 분리된 공급 파이프들을 가질 수 있으며, 밸브 V1과 V2또는 산소의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다른 장치들은 부조립물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Claims (1)

  1. 본 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원하는 스카아핑 커트의 폭보다 더 좁은 파일러트 산소 기체의 스트림을 최소한 산소 점화온도를 가진 작업물의 일부분상에 충돌시키고 작업물 표면상의 선택된 통로를 따라 용융금속의 파일러트 퍼들을 계속적으로 생성하기 위해서 작업물과 파일러트 산소 기체의 스트림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을 야기시키고, 퍼들이 작업물 표면상에서 스포트 스카아프되는 영역에 도달했을 때, 퍼들을 약 10-20mm의 미리 선택된 폭으로 전개시키기 위해서 파일러트 퍼들을 산소기체의 고강도 스트림과 접촉시키고, 파일러트 산소 스트림보다 더 폭이 넓은 약 100mm-300mm폭의 스카아핑 산소 기체의 스크림을 전개된 퍼들상에 충돌시켜 상기한 영역을 스카아프시키고, 작업물 표면상의 선택된 통로를 따라 용융금속의 파일러트 퍼들을 계속 생성하기 위해서 선택된 영역이 스카아프된 후에 스카아핑 산소 기체의 스트림을 단절시키는 한편 작업물과 파일러트 산소의 스트림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을 계속 야기시키는 단계들로 구성되고, 작업물의 초기 온도가 760℃ 이하이고, 파일러트 산소 스트림의 강도가 1cm2의 노즐 방출면적당 40-70SCMH이며, 스카아핑 산소 스트림의 강도가 1cm2의 노즐 방출면적당 70-100SCMH이고, 산소의 고강도 스트림의 강도가 1cm2의 노즐 방출면적당 100-200SCMH임이 특징인 금속 작업물의 표면을 스포트 스카아핑하기 위한 방법.
KR1019800001423A 1980-03-04 1980-04-04 파일러트 퍼들에 의해서 순간 스카아핑하는 방법 KR840002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121,606 US4287005A (en) 1979-11-05 1980-03-04 Instantaneous scarfing by means of a pilot puddle
US121,606 1980-03-04
US121606 1980-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564A KR830002564A (ko) 1983-05-30
KR840002339B1 true KR840002339B1 (ko) 1984-12-20

Family

ID=22397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423A KR840002339B1 (ko) 1980-03-04 1980-04-04 파일러트 퍼들에 의해서 순간 스카아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3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564A (ko) 198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49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instantaneous scarfing cuts
US5304256A (en) Scarfing method
US2177276A (en) Heating, welding, desurfacing, or cutting process and apparatus
CA1323828C (en) Scarfing nozzles
KR840002339B1 (ko) 파일러트 퍼들에 의해서 순간 스카아핑하는 방법
JPH06198433A (ja) 金属溶削装置において使用のためのブロック組立体
US4243436A (en) Instantaneous scarfing by means of a pilot puddle
US3966503A (en) Method for making instantaneous scarfing starts
US4287005A (en) Instantaneous scarfing by means of a pilot puddle
US2178451A (en) Tube welding process and apparatus
US2510210A (en) Method of thermochemically cutting metal bodies
CA10915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instantaneous thermochemical start
US212517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moving metal from the surfaces of metallic bodies
CA1142067A (en) Instantaneous scarfing by means of a pilot puddle
US4103877A (en) Device for the flame treatment of a work-piece
US3216867A (en) Thermochemical scarfing process
KR810000530B1 (ko) 순간적인 열화학적 반응시발 방법
KR800000860B1 (ko) 즉각적 스카아핑 방식
US2349902A (en) Deseaming and desurfacing apparatus
SU1118281A3 (ru) Способ термохимической за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USRE32511E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instantaneous scarfing cuts
EP1075344B1 (en) Cutting
KR800000536B1 (ko) 즉각적 용접을 위한 장치
JPH10193098A (ja) 金属材料のガス切断方法及び装置
KR800000535B1 (ko) 연동식 배열로 사용하기 위한 스폿트 스카아핑 노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