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395Y1 - 표준 자기 테이프 카셋트(Cassette)용 콘테이너 - Google Patents

표준 자기 테이프 카셋트(Cassette)용 콘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395Y1
KR800000395Y1 KR2019800001013U KR800001013U KR800000395Y1 KR 800000395 Y1 KR800000395 Y1 KR 800000395Y1 KR 2019800001013 U KR2019800001013 U KR 2019800001013U KR 800001013 U KR800001013 U KR 800001013U KR 800000395 Y1 KR800000395 Y1 KR 800000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slide
housing
contain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1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액커레트 피터
Original Assignee
이든 인벤션 앤드 디벨롭먼트 어브 노벨티스 에이지
피터 헬브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든 인벤션 앤드 디벨롭먼트 어브 노벨티스 에이지, 피터 헬브링 filed Critical 이든 인벤션 앤드 디벨롭먼트 어브 노벨티스 에이지
Priority to KR2019800001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3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3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23Containers for magazines or cassettes
    • G11B23/0233Containers for a single cassette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표준 자기 테이프 카셋트(Cassette)용 콘테이너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표면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개요도.
제2도는 제1도와 제3도의 선 Ⅱ-Ⅱ상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와 제2도의 선 Ⅲ-Ⅲ상의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와 제2도의 선 Ⅳ-Ⅳ상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서 표면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개요도.
제6도는 제5도에서의 화살표 Ⅵ방향에서 본 개요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로서 표면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개요도.
제8도는 제7도의 선 Ⅷ-Ⅷ상의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의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부분평면도.
본 고안은 표준자기테이프 카셋트용 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 레코더 분야에서, 제조업자들이 카셋트의 일정한 형태에 합의를 보아 왔으므로, 그 카셋트형머신(machine)의 판매는 실질적으로 증가되었다. 이 널리 사용되는 카셋트를 이후부터는 "표준 자기 테이프 카셋트"나, 간단히 "카셋트"라고 하겠다.
이 카셋트는 그 형태가 평행 육면체이나, 상부와 하부에 자기테이프가 노출되어 있는 카셋트의 길이 방향으로 대략 사다리꼴의 두터운 부분을 하고 있다.
이 종류의 카셋트는 대부분 플라스틱 재질로 된 여러 종류의 케이스에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 카셋트를 넣기 위한 콘테이너는 공지되어 있다. 독일특허명세서 제22, 48, 408호에 축재용 콘테이너가 기술되어 있다.
공지된 콘테이너는 다섯개의 벽으로 된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한편 더 길고 더 좁은 쪽이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에는 카셋트의 "개방" 길이단이 놓여지는 전면을 갖고 있는 캐리어 슬라이드가 있다. 하우징속에는 카셋트의 테이프릴의 중심이 놓여질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면은 보상안내레일과 계합되고 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내부로 돌출되는 안내홈이 있다.
스프링은 하우징의 후벽과 슬라이드의 후벽 사이에서 긴장된다. 슬라이드를 하우징내로 넣으면, 그때에 스프링은 긴장된다. 이 슬라이드는 수동으로 해제될 수 있는 록킹장치에 의하여 하우징내에 보지될 수 있다. 이 해제가 실시될 때 풀려진 스프링은 슬라이드가 열려진 상태로 될 때까지 외부로 슬라이드를 밀어내며, 이 이동은 정지장치에 의하여 억제된다. 이 열려진 상태에서 카셋트가 삽입되고 또 제거된다. 유사한 다수의 콘테이너는 홈과 스프링의 조합을 이용한 콘테이너의 블록으로 쌓아 올려질 수 있다.
이들 형태의 콘테이너가 다루기에 매우 쉽지만, 이들은 많은 콘테이너들에 필요한 간격이 불필요하게 크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 콘테이너의 내부치수는 카셋트의 두터운 부분의 두께와 일치하며, 이 콘테이너의 적절한 외부치수는 이 내부치수, 캐리어 슬라이드의 지지표면의 두께, 안내레일의 두께, 하우징커버의 두께 및 하우징의 저면의 두께를 부가하므로서 계산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 기술한 두께치수를 감소시킨 표준자기 테이프 카셋트를 수용하기 위한 콘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콘테이너는 최소한 세개의 벽, 즉 카셋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놓이는 한벽과, 두개의 측벽을 갖는다.
또한 이것은 카셋트의 길이단을 보호하는 전면과 카셋트의 상부나 하부에 접하는 지지면을 갖는 캐리어 슬라이드를 포함한다. 안내장치는 폐쇄위치로부터 캐리어 슬라이드의 슬라이딩운동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캐리어 슬라이드는 록킹장치에 의하여 하우징내에 보지되고, 이 록킹장치는 수동으로 해체되어, 슬라이드가 콘테이너내로 이동될 때 긴장되었던 탄성재의 힘으로 열려진다.
캐리어 슬라이드에 대한 안내장치는 카셋트의 가장 두꺼운 부분으로 부터 두껍지 않는 면적으로 이동된다. 또, 카셋트의 상부 및 하부에 대하여 놓여지는 콘테이너의 부분은 카셋트를 꺼내기에 적절한 면적으로 거의 빈틈없게 전면판이나 캐리어 슬라이드 위로 안내된다. 그러나 두꺼운 부분이 발생하는 지점에서, 이를 부분은 두꺼운 부분을 고정시킨다. 이 콘테이너의 두께는 여러 카셋트들이 블럭을 구성할때, 서로 접하는 카셋트들이 두꺼운 면에서 서로 마찰되지 않도록 하는 양만큼 카셋트보다 두텁게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개요도이다.
이 실시예는 상부벽(102), 하부벽(103), 측벽(104), (105)와 후벽(106)으로 된 평행육면체로 된 하우징(101)을 갖는 콘테이너이다.
하우징(101)에서, 캐리어 슬라이드(107)은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며, 전면(108), 저면(109), 후면(110), 측면(111), (112)로 구성된다. 이 저면(109)은 두개의 직립부(113)을 갖고 있고 여기에 카셋트의 테이프릴 중심(도시하지 않음)이 놓인다. 나선스프링(114)는 하우징의 후부벽(106)과 슬라이드의 후면(110) 사이에 놓이고, 하우징의 상부벽(102)의 내부측에 있는 리브(rib)(115)에 의하여 옆으로 굽어지는 것을 막는다.
슬라이드가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하우징의 저부벽(104) 내의 홈(117)에 결합되는 두개의 돌출부(116)가 있다.
이 축면(111)과 (112)는 이들 축면의 안내기능을 막지 않고 카셋트를 보지하기 쉽도록 너치(notch)(118)을 갖는다. 이 슬라이드의 후면(110)에는 각을 이루는 단부(120)으로 된 스프링암(119)가 돌출되어 있고, 한편 하우징의 측벽(104)에는 록커 암(rocker arm)(121)이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107)의 저면에는 카셋트의 두터운 부분과 똑같은 크기의 개구(122)가 있다. 제3도에서와 같이 하우징의 두께는 카셋트의 최대 두께와 같으며, 하우징의 상하면(102), (104)와 얇은 부분에 의하여 증가된다.
하우징과 슬라이드는 플라스틱재료로 만들며, 사출성형처리에 의해서 양호하게 만들어진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스프링암(119)는 금속으로 되어 있으나, 선택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 수 있으며, 그때에 슬라이드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내로 카셋트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테이프릴 중심은 직립부(113) 상에 놓이며, 슬라이드의 전면(108)은 이 슬라이드를 하우징(101) 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받게 된다. 이동하는 동안, 이 슬라이드는 측벽(111), (112)에 의하여 안내되며, 스프링(114)는 압축된다. 이 슬라이드의 이동의 최종부분에서, 스프링암(119)의 단부(120)은 록커암(121)의 경사면(123)에 부딪쳐 상부로 구부러지고, 그후에 이것은 록커암 스텝(124) 위로 미끄러져서, U자형 슬로트(125)의 후단을 향하여 하방으로 걸린다.
다음 슬라이드의 전면(108)상의 압력이 감소한다면, 나선스프링(114)는 슬라이드를 순방향으로 밀지만, 이 이동은 록커암(121)의 U자형 슬로트(125)에 있는 스프링암 단부(120)에 의하여 제한된다.
카셋트를 꺼낼 때는, 스프링암의 단부(120)이 록커암(121)의 U자형 슬로트(125)의 단부에서 풀어지도록, 다시 전면(108)에 압력을 가하여, 하방향 및 외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일단 전면(108)이 풀어지면, 나선스프링(114)는 제1도에 도시한 위치로 슬라이드를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스프링암(119)는 그 단부(120)이 경사면(123)의 바로 밑을 따라 미끄러질 때 약간 하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제4도는 록크된 위치에서 스프링암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와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상하벽(202), (203), 측벽(204), (205), 후벽(206)을 갖는 하우징(201)과 캐리어 슬라이드(207)을 포함한다. 이 슬라이드의 전면(208)은 이 전면(208)과 직각을 이루는 저면(209)을 갖는다.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저면은 2개의 돌출부(213)이 있고, 여기에 카셋트의 테이프릴 중심(도시하지 않음)이 놓여진다. 또, 슬라이드(207)은 후면(210)을 갖고 있고, 나선스프링(214)는 여기에 대항하여 작용한다. 이 나선스프링(214)는 리브(215)에 의하여 굴곡되지 않도록 된다. 슬로트(217)은 슬라이드(207)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돌출부(216)과 결합된다.
후면(210)은 리브(215) 주위에 절단면을 갖고 있다. 슬라이드의 저면(209)은 카셋트의 두꺼운 부분의 형태와 크기에 맞는 개구(222)가 있다. 슬라이드용 안내장치는 더 두꺼운 부분의 외부에 배치된다.
저면(209)의 외부단(226)과 (227)은 릿지(ridge)(228), (229)과 저벽(203) 간에 형성된 홈에 각각 안내된다. 릿지(228)과 (229)는 각각 측벽(204)과 (205)에 형성된다. 릿지(228)는 슬라이드의 저면(229)가 균일한 두께이기는 하지만, 저부벽(2030으로부터의 거리가 릿지(229)에 있어서보다 더 크다. 이에 대한 이유는 제2실시예에서 사용한 슬라이드록킹형에 있다. 단부(226) 다음과 릿지(228)의 하부의 홈내에 놓여질 저면(209)에는 하방으로 돌출부(230)이 있고, 전면 외부에는 돌출부(231)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가 충분히 홈안에 진입되어 있을 때, 돌출부(230)은 저부벽(203)에 있는 개구(233)의 록킹단(232)의 뒤에 결합되어, 슬라이드를 록킹위치에서 유지시킨다.
콘테이너를 열기 위해서는 돌출부(231)에 하방으로부터 약간 압력을 주므로서 록크상태에서 풀린다. 단부 (226)은 홈내에 틈을 가지므로, 이 슬라이드는 록킹단(232)로부터 돌출부(230)을 해제시킬 수 있는 충분한 량으로 돌려진다. 반대로, 릿지(229) 하부의 홈은 단부(227)이 정확히 안내되어 고장나지 않도록 크기가 정해져 있다.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상부벽(302), 저부벽(303), 측벽(304), (305), 후부벽(306)을 갖는 하우징(301)과, 전면(308)과 후면(310)을 갖는 캐리어 슬라이드(307)을 포함한다.
나선 스프링(314)는 제1실시예의 스프링(114)와 대응하고, 유사한 방법으로 안내된다. 돌출부(316)과 함께 슬로트(317)은 슬라이드의 외부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정지배열로서 제공된다. 또, 슬라이드의 측면(311)과 (312)는 선반(309a)와 관련하여 슬라이드를 안내하는데 사용한다.
저부벽(303)은 슬라이드를 록킹하기 위한 정지를 하도록, 상부벽(302) 보다 짧은 길이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307)의 저면(309)의 길이는 저부벽(303)의 길이와 같고, 여기에서 슬라이드의 전면(308)이 연결되는 만큼 연장된다. 이 연장은 (302)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저면(309)에 관련해서 세워져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카셋트의 두꺼운 부분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홈(321)이 설치되어 있다. 캐치(catch)(322)는 슬로트(332)에 의한 연장부와 전면(308)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그 상부측면에는 돌출부(223)이 있고 하우징의 상부벽(302)에서 이 돌출부(223)과 록킹단부(224)와 결합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7도, 제8도, 제8a도의 실시예와 슬라이드와 하우징은 각 경우에서 각각 일편으로 형성된 플라스틱재료의 사출성형부분이다. 콘테이너내의 카셋트의 위치는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콘테이너의 개폐의 기능은 상기 설명으로서 명백할 것이다. 카셋트의 제거는 제8a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세개의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선반(309a)는 슬라이드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캐리어 슬라이드의 저면이 두껍지 않은 카셋트를 표면에 밀접하게 놓여진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두꺼운 부분에서 저면은 이 부분을 수용하기 위하여 단계적인 측면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반대측면에 있는 하우징벽은 카셋트의 덜 두꺼운 부분에 대하여 직접 놓여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나선형 스프링이 옆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리브에 대한 공간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제3도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콘테이너는 종래 구조에 관련해서 슬라이드나 하우징 벽 두께에 의해 감소되고 부가적으로 카셋트의 두꺼운 부분에 나타나는 안내장치의 두께에 의하여 감소되지만, 그 두께를 더 감소시킬 수가 있다.
제9도에 도시한 제4 실시예에서 카셋트의 덜 두꺼운 부분이 밀접하게 놓여지는 콘테이너의 양면은 카셋트의 두꺼운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간격을 갖고 있다.
이 콘테이너는 상부벽(402), 후부벽(406), 측벽(403), (404)를 갖는 하우징(401)을 포함하며, 저부벽은 존재하지 않는다. 캐리어 슬라이드(407)은 전면(408), 저면(409), 후면(410), 측면(411), (412)를 포함하며, 이것은 슬라이드에 서랍과 같은 구성을 제공한다. 저면(409)는 돌출부(413)을 이송한다. 후면(410)에는 리벳팅(rivetting) 등에 의해 고정된 판스프링(414)이 있다. 이 스프링은 후벽(406)에 대해 하우징(401) 내측으로 긴장된다. 하우징내에 슬라이드를 안내하기 위하여, 슬라이드의 각 측벽(411), (412)는 하우징의 대응측벽(403)과 (404)의 내부측면에 있는 대응 가이드 리브(419)와 관련된 가이드홈(420)을 갖고 있다. 하나 또는 양측벽(403), (404)내의 슬로트(417)은 측면(들)(411), (412)상의 대응돌출부(416)과 함께 한계 정지배열을 형성한다. 캐치(423)이 있는 록킹부(421)은 록킹매카니즘으로 작용한다. 이 록킹부는 절개부(422)로 인해 측벽(403)으로부터 탄력있게 구부러진다. 느슨한 상태에서, 캐치(423)은 전면(408)의 외부측면을 결합시킨다.
슬라이드(407)의 저면(409)와 하우징(401)의 상부벽(402)에는 각각 (426)과 (424)로 잘려져 잇어서 카셋트의 두꺼운 부분을 수용한다. 그러므로 슬라이드(407)의 저면(409)에는 개구(424)가 있고, 하우징의 벽(402)에는 홈(426)이 존재한다. 슬라이드가 완전히 하우징 내에 있을 때, 카셋트의 가장 중요한 부분, 즉 테이프릴의 중심부분과 전면(408)의 내부에 놓여지는 전면측면부분에서 카셋트가 보호된다. 전면(408)은 벽(402)의 가장자리(426a)를 결합시킨다. 카셋트의 두꺼운 부분은 노출되며, 콘테이너의 전 두께는 이 부분에서의 카셋트의 전두께보다 더 클 필요는 없다. 그러나, 여러개의 카셋트 콘테이너를 쌓아 올리기를 원한다면, 그 때에 이 두께는 카셋트의 두꺼운 부분이 직접 닿지 않도록 1/10㎜나 2/10㎜ 더 두껍게 선택 된다.
유사한 절개부(524)와 (526)이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다. 전술한 제4실시예의 판스프링(414)를 대신하여, 캐리어 슬라이드(507)의 후면으로부터 내부로 구부러지는 2개의 유연한 부재(530)이 배열되어 있다. 이 유연한 부재(530)은 판스프링(414)와 꼭같은 가능을 갖고 있으며, 슬라이드를 하우징(501)의 폐쇄 상태에서 열려진 상태로 밀어낸다. 이 슬라이드는 제5도 및 제6도에서 도시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우징에 안내된다. 록킹메카니즘은 다른 모든 실시예에서와 같이 카셋트의 가장 두꺼운 두께부분의 외부에 놓여진다. 저면의 돌출부(534)를 갖는 캐치(533)은 홈(532)에 의해 분리되고, 하우징은 록킹단(520)에 있는 대응홈(521)을 포함한다. 돌출부(516)은 저면(509)내의 홈(517)과 관련하여 슬라이드의 운동을 제한한다.
번호(501 내지 509)와 (513)의 성분은 전술 실시예에서의 같은 번호가 붙은 성분과 같다.
제11도와 제12도는 캐리어 슬라이드(607)이 개방프레임(frame)만으로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프레임은 천면(608), 측면(611), (612)(제5실시예에서와 같은) 후면대신에 탄력성있는 암(630) 및 슬라이드 내부전면에 직각으로 배열되고 카셋트의 두꺼운 부분 외부를 지지하는 두개의 탭(631)로 구성된다.
캐리어 슬라이드는 하우징(601)에 의하여 안내되기에 충분하도록 단단하다. 또한 하우징은 (633)과 같이 절개되어, 카셋트의 두꺼운 부분에 대한 공간을 제한한다. 이 하우징은 상부벽(602), 저부벽(603), 측벽(604), (605) 및 후부벽(609)를 갖고 있다.
정지배열로서 하우징의 측벽(604)는 슬라이드의 측면(611)상에 돌출부(615)가 안내되는 홈(606)을 갖고 있다. 하우징내에 슬라이드를 록킹하기 위하여, 이 슬라이드(611)은 측벽(604)의 개구(619) 내의 록킹단(618)과 관련된 돌출부(617)을 운반한다. 록킹메카니즘을 풀기 위하여, 캐치(620)은(슬라이드의 평면도를 도시한 제12도에 따라서) 왼편을 손가락으로 눌름으로서, 전체 슬라이드가 하우징으로 기울러지고 돌출부(617)이 개구시에 풀어진다. 이 경사에 필요한 공간은 슬라이드의 측면(611), (612)간의 거리보다 약간 더 넓게 하우징을 만들므로서 갖추어진다. 그러나, 왼쪽 측면(612)는 전면(608)까지 연장되지 않는 각이진 부분을 지지하는 면(640)을 갖고 있다.
다른 모든 실시예에서 주어진 바와같이, 제11도와 제12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슬라이드의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며, 이편 사출성형된다.

Claims (1)

  1. 도면에 도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평행육면체이고 길이단으로 부터 시작되는 대략 사다리꼴의 두꺼운 부분이 상하에 존재하는 표준자기테이프 카셋트를 수용하기 위해서, 최소한 세개의 벽, 즉 카셋트 상부 또는 하부에 놓이는 벽 및 두개의 측벽을 갖는 하우징과, 카셋트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표면과 카셋트의 길이단을 보호하기 위한 전면을 갖고 있고 하우징에서 폐쇄위치로 부터 캐리어 슬라이드의 슬라이딩 이동을 하기 위한 안내장치를 갖추고 있는 캐리어 슬라이드로 구성된 콘테이너에 있어서, 특히 캐리어 슬라이드는 록킹배열에 의해서 폐쇄하는 동안 압력이 가해지는 탄력있는 장치에 의한 개방상태에 유지되고, 안내장치는 카셋트의 두꺼운 부분 외부에 위치하고, 하우징의 상벽 및 저벽과 캐리어 슬라이드의 지지면은 카셋트의 두꺼운 부분을 수용하도록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자기 테이프 카셋트용 콘테이너.
KR2019800001013U 1980-02-19 1980-02-19 표준 자기 테이프 카셋트(Cassette)용 콘테이너 KR800000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1013U KR800000395Y1 (ko) 1980-02-19 1980-02-19 표준 자기 테이프 카셋트(Cassette)용 콘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1013U KR800000395Y1 (ko) 1980-02-19 1980-02-19 표준 자기 테이프 카셋트(Cassette)용 콘테이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50000730 Division 1975-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395Y1 true KR800000395Y1 (ko) 1980-04-04

Family

ID=1921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1013U KR800000395Y1 (ko) 1980-02-19 1980-02-19 표준 자기 테이프 카셋트(Cassette)용 콘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3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6255A (en) Container for standard magnetic tape cassette
EP0778567B1 (en) Disk cartridge
US4030601A (en) Holders for tape cassettes
US6981586B2 (en) Magnetic tape cassette storage case
US4113091A (en) Holders for tape cassettes
IE53812B1 (en) Tape cassette
US5130892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pack retained by a spring-loaded slider unit
EP0535978B1 (en) Magnetic tape cassette casing
US4323207A (en) Latch assembly for a video tape cassette
US5363960A (en) Container for magnetic tape cassette
JPS6077884A (ja) 磁気テ−プカセツトの収容器
JPS62500819A (ja) シ−トの束の収容器
US4054344A (en) Storage receptacle for magnetic tape cassette
US4055372A (en) Storage receptacle for magnetic tape cassette
KR800000395Y1 (ko) 표준 자기 테이프 카셋트(Cassette)용 콘테이너
US6109707A (en) Storage case for recording media
EP0529964A2 (en) Tape cassette
KR950000571B1 (ko) 자기테이프 카셋트
JP3331618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ケース
KR970005355B1 (ko) 자기테이프 카세트용 저장장치
JP3473872B2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
KR800000344Y1 (ko) 테이프 카세트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홀더
JP370312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の収納ケース
JP2557354Y2 (ja) テープカセット用収納ケース
JP3749981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の収納ケー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