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344Y1 - 테이프 카세트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홀더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세트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344Y1
KR800000344Y1 KR2019800000374U KR800000374U KR800000344Y1 KR 800000344 Y1 KR800000344 Y1 KR 800000344Y1 KR 2019800000374 U KR2019800000374 U KR 2019800000374U KR 800000374 U KR800000374 U KR 800000374U KR 800000344 Y1 KR800000344 Y1 KR 800000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housing
spring
carri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0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액커레트 피터
Original Assignee
이든 인벤션 앤드 디벨롭먼트 어브 노벨디스 에이지
빌헬름 마이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든 인벤션 앤드 디벨롭먼트 어브 노벨디스 에이지, 빌헬름 마이스터 filed Critical 이든 인벤션 앤드 디벨롭먼트 어브 노벨디스 에이지
Priority to KR2019800000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23Containers for magazines or cassettes
    • G11B23/0233Containers for a single casset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카세트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홀더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의 측면도.
제2도는 화살표 Ⅱ의 방향에서 본 제1도에 따른 콘테이너의 평면도.
제3도는 제4도의 Ⅲ-Ⅲ선 단면의 형태로된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5도는 횡단면에서 본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의 다른 실시예 도면.
제6도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Ⅵ-Ⅵ선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Ⅷ-Ⅷ선 단면도.
본 고안은 마그네틱 테이프 카세트등과 같은 콘테이너 관한 것으로, 카세트가 삽입되는 6면중의 5면상에서 카세트를 둘러싸는 하우징으로서, 방출스프링을 누르고 삽입 위치에서 고정되고, 고정장치가 해제된 뒤, 방출스프링에 의해 제거 위치로 갈수 있는 하우징으로 된 것이다.
이러한 콘테이너는 이미 판매되고 있고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공지된 콘테이너는 카세트를 넣는 하우징내에 슬라이더가 있는 서랍형태로 구성된다.
슬라이더는 슬라이딩 이동에 대한 가이드가 필요하고, 만일 허용제조 오차가 정확하게 되지 않으면, 뻑뻑해지거나 느슨해진다. 더구나 일정 위치에서 카세트를 제거하기에 완전히 이상적인 것이 아니라, 만일 콘테이너들이 스택(stack)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면 카세트가 슬라이더 이동 방향에 평행으로 측단상에 정지하도록 배치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같이 콘테이너 혹은 콘테이너 스택이 불안전한 행태로 배치되었을 때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광범위한 제조오차를 갖는 콘테이너를 제조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스프링이 구축되어 있고 테이프 코일 축에 평행으로 축주위에서 카세트를 축으로 배치하고, 축회전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장치가 있고 제거 위치에서 카세트를 지지한다.
회전에 따라, 카세트는 한손으로 잡기 쉬운 위치로 이동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플레잉 장치에서 파지의 변화없이 카세트를 직접 뺄 수 있다. 이러한 정지는 카세트가 방출되는 것 혹은 만일 콘테이너의 위치가 불안정하면 떨어지거나 혹은 만일 자동차안과 같은 진동이 있는 장소에서 콘테이너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1도와 제2도에 따른 콘테이너는 상자형 하우징 1로 되는데, 두개의 큰 측면 8, 9는 여러가지 유사한 콘테이너를 싸는 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단면에서 도브테일(dovetail)형으로된 지지대 10이 카바벽 9위에 주조되고, 반면에 반대쪽 카바벽 8은 지지대 10에 일치하는 홈 11을 갖추고 있다. 지지대 10과 홈 11은 콘테이너가 일렬몸체 10, 11과 비교배치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게 한다.
스투드(stud) 24로 연결된 하우징 1에는 스프링 3에 의해 밖으로 방출되는 캐리어 2가 있다. 이 캐리어는 한조각의 방출주조 프라스틱 부품이다. 이것은 베이스스트립 4, 두개의 측면 스트립 6, 7, 지지스트립 12와 후크스트립 13을 포함한다.
측면스트립 6상에 주조되어 측면스트립 6에서 밖으로 돌출된 여분위치에 두개의 텅(tongue) 14, 15가 있고 이들은 그위에 캠 16과 결합하여 카세트 5의 테이프 리일 구멍으로 향해진다.
캐리어가 하우징내로 회전될때 캠 16의 비스듬한 표면은 카바벽 9의 하부단 17과 만나 캠이 내부로 밀고 카세트의 테이프 리일을 확보한다.
후크스트립은 측방 결각(도시되지 않음)에 따라 캐리어의 나머지에 대해 내부로 쉽게 편향되고 외부상의 홈표면 18이 결합된다. 부가하여 브록킹 표면인 후크신장부 19가 후크스트립의 유단에서 외부로 돌출한다. 후크 신장부 19에 따른 고정 걸림 21은 하우징 1의 횡벽 20의 내부에 있다.
카세트 5를 빼려면 손으로 홈표면 18을 누르고 후크신장이 걸림 21에서 해제되게 한다. 스프링 3의 영향에 따라, 이때 캐리어 2는 하우징 1을 회전 방출시키고 반면에 정지틀(도시되지 않음)은 축회전 이동이 90°로 제한되게 한다.
하우징 1에서 나오자 마자 캠 15는 원래위치(제2도의 점선표시)로 복귀하고 카세트 5의 테이프 리일축을 풀어준다. 따라서 카세트는 별다른 장애없이 캐리어에서 빼낼 수 있다. 후크스트립 13, 베이스스트립 4, 측면스트립 6, 7은 멈춤쇠로 작용하여 카세트 6, 7이 걸리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카세트를 저장하기 위해, 캐리어내에서 교대되고 제2도에 실선과 같은 고정위치로 그 다음 것이 되돌아온다. 지지스트립 12는 개방시 다시 카세트를 밖으로 방출시키는 멈춤쇠 표면으로써 작용한다.
제3도와 제4도에 따른 실시예도 역시 두개의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제1도와 제2도에 따른 실시예의 것과 같은 기능을 하는 개별 부품들은 같은 번호를 사용한다.
이 콘테이너는 서로 이동할 수 있는 세개의 부품 하우징 1이, 캐리어 102, 견인스프링 103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 101은 개방 상자형으로 한쪽이 길고 좁으며 베이스 104, 측벽 106, 107, 카바벽 108, 109로 되어 있다. 카바벽은 스택에서 여러 유사한 콘테이너의 접속을 위한 장치가 있는데, 예에서 둘 이상의 지지대 110이 카바벽 110에 주조되고, 하나에 평행이고 또한 베이스에 평행으로 이동하고, 반면에 카바벽 108은 지지대 110에 따른 홈 111을 갖는데, 이것은 또 다른 콘테이너의 지지대 110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긴구멍 119는 카바벽 108의 내부에 주조된다.
캐리어는 정면스트립 113, 측면스트립 114와 베이스판 115로 구성되는데 이 베이스판은 일편 투입주조 프라스틱 부품으로 각 케이스에서 90°로 돌출된다. 하우징 역시 일편 프라스틱 부품이다. 측면스트립 114의 유단 가장자리 116과 하우징 101의 측벽 106이상의 정박점 117사이에는 스프링 103이(제4도 참조) 눌려져 있는데 이것은 하우징의 카바벽 108과 캐리어의 베이스판 115사이에 있다. 스프링 103에서 가장 먼 베이스판 115의 측면상에 카세트 105에 대한 여백이 있고, 베이스판 115에 반대쪽 정면 스트립 113의 가장자리에 지지스프링 118이 있는데 필요하면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베이스판 115에 평행 평면으로 이동한다.
베이스판 115는 긴구멍 119내에 알맞는 돌출부 12상에 주조된다. 콘테이너가 닫혀진 상태에서 베이스판의 팁(tip) 120은 하우징 101의 베이스 104에 대해 누르고 있고, 돌출부 120은 긴구멍 119에 대해 "B"위치에 있다. 만일 캐리어가 이때 이 위치에서 해제되면 스프링 103에 영향을 받아 제3도의 점선 위치로 이동되고 또한 이 이동은 외부로 이동되는데 돌출부 112와 긴구멍 119는 이때 "A"위치에 있게 된다. 돌출부에 대해 카바벽 108과 캐리어상의 긴 구멍상에 있는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때 위치 "A"와 "B"는 서로 교대되고 기능은 변화한다.
고정레버 121은 베이스판 115상에 주조된다. 결절부 122에 따라 고정레버 121은 쉽게 편향되고(제4도 화살표) 또한 기계적인 고정장치를 해제하는데 이 장치는 세부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며 콘테이너가 닫힐때 다시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텅 123, 124는 베이스나의 외부로 구부러지고, 각각의 텅은 카세트 105의 테이프 리일구멍과 일렬로 배열된 캠 125을 이동시킨다. 캠 125는 반원형이고 카세트가 캐리어에 대해 이동할때 쉽게 밀어내게 할수있고 떨어지거나 삽입되는 것을 방지된다.
콘테이너 개방시, 점 120은 멈춤쇠에 따라 개방운동을 제한하고 카바벽 108상에 주조된 돌출부 127과 닿는다. 카세트는 하우징 101의 카바벽, 캐리어의 정면스트립 113, 테이프 리일축에 대한 지지캠 125에 의해 떨어지거나 뒤집히는 것이 방지된다.
본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의 제3실시예는 또한 두개의 중요부품, 즉 하우징 201과 캐리어 202으로 구성되는데, 그 모두는 일편 성형주조 플라스틱 부품이다.
하우징 201은 두개의 카바벽 208, 209, 베이스 204, 측벽 206으로 구성된다. 카바벽 208, 209는 여러 유사한 콘테이너를 스택킹하기 위한 장치를 갖추고 있고, 카바벽 209는 도브테일 측면을 가진 두개 이상의 지지대 210을 운반한다. 반면에 결합 홈 211은 카바벽 208에 형성된다. 결합은 이들을 함게 압착시키면 된다.
축벽 206은 길이 212를 따라 측면 절결부를 제공하므로 텅 213이 자유로 편향될 수 있도록 된다. 텅은 후크 신장부 214를 유단으로 이동하고 홈표면 215는 텅 213의 외부상에 형성된다.
캐리어 202는 스투드 216에 의해 하우징 201에 연결된다. 캐리어는 U형으로 결합된 세개의 스트립 217, 218, 219로 구성되고, 얇은 단면 220에 의해 보강되고 서로 연결된다. 스트립 217과 218사이의 구석 바깥에는 눈 221이 있는데, 이것은 이미 신장된 견인 스프링 222의 일단에 정지되고 그 타단은 하우징 201의 베이스 204와 측벽 206사이의 구석에서 223에 고정된다.
여기에는 나선형 스프링과 같은 고무 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6도는 캐리어 202의 스트립 217 혹은 하우징의 베이스 204를 절단하여 스프링에 대한 공간을 도시한 것이다.
콘테이너가 닫혀지고(제5도) 고정계단 225가 결합할때 후크 신장부 214와 일렬로된 구멍 224가 스트립 219의 유단으로 절입된다.
만일 저장하는 동안 카세트 205의 테이프 리일감개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면, 도시한 바와같이 보강횡판 220의 하나안에 절결부 226을 두므로써 자유로 편향될 수 있고 테이프 지지캠 229, 230을 갖는 텅 227, 228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이 형태는 거의 반원형이기 때문에 카세트를 제거하거나 삽입할때 또는 카세트의 테이프 리일 구멍내로 삽입될 때 빼낼 수 있다.
부품들의 제거위치는 제5도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과 횡판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카세트 205는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스트립 219의 돌출 방향으로는 쉽게 뺄 수 있다. 저장하려면 제5도의 점선과 같이 카세트가 삽입되고 캐리어는 스프링 222의 신장력에 의해 스투드 216주위에서 축회전하여 후크 신장부 214가 구멍 224로 들어갈 때까지 편향되고(일치된 경사표면 231은 이러한 목적으로 후크 신장부 214상에 주조된다) 다음에 스프링은 계단 225로 되돌아온다.
홈표면 215상에 약간만 힘을 가해도 콘테이너가 개방되므로 후크신장부 214는 자유롭고 캐리어 스프링은 스프링 222의 영향으로 인해 열린다.
개방운동을 제한하는 멈춤에 대한 특정 부분품은 필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개방상태에서 스투드 216은 스프링 222의 괘적방향으로 신장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캐리어는 개방중 이 위치 주위에서 일정진동자 운동을 수행하지만, 마침내 도시된 위치에 정착된다(제5도 점선) 그러므로, 이 실시예는 하우징, 캐리어, 카세트의 재질상에 약간의 변형을 준다. 더구나 공간 최대이용의 장점이 있으므로, 하우징과 캐리어에 대한 재질 소모는 최소로 유지된다.
그러나, 제7도와 제8도에 따른 실시예는 그 특별한 간편성에 특징이 있다. 이 경우 콘테이너는 상자형태로서 베이스 304, 측벽 306, 307과 카바벽 308, 309로 구성되는데 삽입 및 제거구멍은 베이스 304 반대쪽에 있다.
측벽 306은 321에서 내부로 유입되고 구멍 313을 이 범위에 갖는다. 반대로 절편스프링 303이 측벽내부에 부착되어 홈내에 들어가거나 리베트(rivet)로 고착되어 있다. 스프링 303의 유단은 내부 뒷쪽으로 굽혀지고, 비압축상태에서는 제1도의 점선형태를 갖는다.
카바벽 사이의 거리는 계산되므로, 카세트 305는 두꺼운 부분 314와 그들 사이에 맞추어진다.
측벽 306, 307사이의 거리가 계산되어 카세트 305는 측벽 306의 단 315와 측벽 307의 단 316사이에 삽입 구멍으로부터 압축된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단부 315, 316의 높이는 카세트의 크기보다 수미리미터 크다.
만일 카세트가 구멍으로 투입되면, 스프링 303은 직선으로 표시한 형태로 변형된다. 따라서 이것은 카세트 305의 측단에 압력을 주고, 이 카세트는 측벽 306을 따라 콘테이너 구멍으로 들어간다. 만일 카세트가 방출되면, 카세트는 스프링 303에 의해 좌측(제7도에서)으로 압축되고 구멍 313에서 그 구석 317에 의해 정지된다. 이것은 저장위치이다. 카세트를 제거하기 위해, 구석 318에 약간의 압력을 주면되고 카세트는 구멍 313에서 방출된다. 여기서 카세트는 점선 표시된 방출위치로 스프링 303에 의해 회전된다. 카세트의 회전운동은 각 카세트의 구석 320의 원형부 319에 의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바벽 308, 309는 압출과 고정으로 스택을 형성하도록 여러 유사한 콘테이너를 접속하도록 장치에 제공된다. 이 경우, 도브테일 단부를 가진 지지대 310은 카바벽 309에 주조되고 반면에 카바벽 308은 그 지지대에 따른 홈 311을 갖는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세트가 삽입되어 방출 스프링을 수축하고, 걸림고리가 서로 고정되고, 고정장치의 해제후에 방출 스프링에 의해 홀더 밖으로 카세트를 방출하는 육면중 다섯면으로 카세트를 싸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테이프 리일축과 평행한 스프링축에서 카세트를 회전하도록 배치하고, 방출위치에서 카세트를 지지하고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멈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테이프 카세트등을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홀더.
KR2019800000374U 1980-01-19 1980-01-19 테이프 카세트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홀더 KR800000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374U KR800000344Y1 (ko) 1980-01-19 1980-01-19 테이프 카세트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374U KR800000344Y1 (ko) 1980-01-19 1980-01-19 테이프 카세트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홀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50002402 Division 1975-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344Y1 true KR800000344Y1 (ko) 1980-04-02

Family

ID=1921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0374U KR800000344Y1 (ko) 1980-01-19 1980-01-19 테이프 카세트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3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1940A (en) Hinged storage container for tape cartridge with self-aligning walls
JPS5811016Y2 (ja) 電池箱取出し装置
US4113091A (en) Holders for tape cassettes
US4365713A (en) Cassette tape case magazine
US3995737A (en) Holders for tape cassettes
JPS59135676A (ja) 平板状記録媒体の容器
KR850003116Y1 (ko) 테이프 카셋트 수납통
EP0535978B1 (en) Magnetic tape cassette casing
CA2013817A1 (en) Optical disk case assembly
US4928825A (en) Cassette storage container
US4742415A (en) Magnetic tape cassette having a guided reel brake pawl
US4131197A (en) Container for a cassette containing a recording tape, particularly for a magnetic-tape cassette
EP0228600B1 (en) Tape cartridge
US6443304B1 (en) Cassette container
KR800000344Y1 (ko) 테이프 카세트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홀더
US5139146A (en) Container for magnetic tape cassettes with cassette lock
JP3313924B2 (ja) カードホルダー
JPS6317094Y2 (ko)
US3840142A (en) Miniature tape cartridges
KR800000395Y1 (ko) 표준 자기 테이프 카셋트(Cassette)용 콘테이너
SK279643B6 (sk) Zariadenie na ukladanie magnetofónových kaziet
JPH0620913B2 (ja) 記録担体用の直方体状の枢転可能なケース
JPH0518301Y2 (ko)
JP3534076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収納ケース
JPS6349904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