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379B1 - 2, 6-안트라퀴노닐렌안미딘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 6-안트라퀴노닐렌안미딘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379B1
KR800000379B1 KR7602042A KR760002042A KR800000379B1 KR 800000379 B1 KR800000379 B1 KR 800000379B1 KR 7602042 A KR7602042 A KR 7602042A KR 760002042 A KR760002042 A KR 760002042A KR 800000379 B1 KR800000379 B1 KR 800000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ed
stirred
water
diaminoanthraquinone
wa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앨버어트 랭쥬니어 스탠리
프랑크 화비오 포올
양이린
채드윅크 머독크 키이쓰
린 휘일드즈 토마스
Original Assignee
죤 에이 헤이간
아메리칸 사이아나밋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에이 헤이간, 아메리칸 사이아나밋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죤 에이 헤이간
Priority to KR7602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379B1/ko

Links

Landscapes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6-안트라퀴노닐렌안미딘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신규한 다음 일반식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알킬, 측쇄알킬, 싸이클로알킬(C1-C15), 이성환상의 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이고 :
R2는 치환된 아미노(
Figure kpo00002
) 로서
이때 R3와 R4는 수소, 페닐, 치환된 페닐, 알킬 또는 측쇄 알킬이며, R3와 R4는 함께 이성환을 형성할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결정고체로서 디메틸포름아미드와 디메틸설폭사이드에 가용성이며 클로로포름과 알콜 및 아세톤에는 덜가용성이다. 염(모노 및 디)은 물에 용이하게 용해하며 알콜에는 잘 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1몰)을 포스포러스옥시클로라이드(1,5-3몰)과 N, N-디알킬아미드 또는 N-알킬아미드 (2-6 또는 그 이상의 몰)로부터 형성된 착염과 함께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용제내에서(아민 1몰당 약 1-3ℓ의 용제 비율로)25-70℃의 온도로 약 1-24시간동안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N, N-디알킬아미드나 N-알킬아미드의 용제용액에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5∼20℃에서 가한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0∼실온에서 30분∼6시간동안 교반한다.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을 가하고 반응혼합물을 25-70℃에서 1-24시간동안 교반한다.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주가하고 염기성으로 만든다. 생성되는 결정을 여과 수집하고 적당한 용제나 클로로포름/헥산과 같은 용제혼합물로 부터 재결정시킨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온혈동물의 맹장 및 간의 아메바 감염을 치료함에 유효하다. 상기 활성을 나타내는 두가지 시험은 다음과 같다.
유기체
두가지 시험에서 사용된 유기체는 국립보건소의 Entamoeba histolytica 200μ종이다. 이 종족과 미확인된 배설물 식물균을 37℃에서 Cleveland-collier 매제내에서 배양시킨다. 이 매제는 간감염한천기재에 말의 혈청 : 염수혼합물(1 : 6)을 겹쳐서 구성시켰으며, 여기에 수mg의 살균된 쌀가루를 가한 것이다. 아메바는 매주 2회씩 새로운 매제에 옮긴다.
암컷의 알비노 위스타쥐의 맹장감염
개복수술중 다수의 아메바를 함유하는 푸울상의 덮개 0.25ml를 마취된 새끼쥐의 맹장에 주입한다. 치료는 접종후일에 시작한다. 화합물은 0.2% 한천 수용액에 용해 또는 현탁시키고 위관으로 위에 도입시키는 방식으로 1일 1회 5일간 연속으로 투여한다. 아메바를 접종시킨지 6일후에 쥐를 죽여서 각쥐의 맹장벽을 훑은 액을 0.85% 염수 한방울과 혼합시키고 아메바를 현미경으로 시험한다. 아메바가 발견되지 않으면 쥐가 완치된 것으로 간주한다. 각개 섭생에 대한 완치 비율(완치된수/처리한수)을 계산하고, 치료하지 않은 감염된 대조표준에서 관찰된 비특이성 치유에 대하여 보정한다. 활성 사용량은 처리한 쥐중 50% 또는 그 이상을 치료시키는 최저양을 mg/kg/일로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의 결과가 ql교용으로 사용된 공지의 유효약품에서 얻어진 결과와 함께 다음표에 나타나 있다.
암컷에 골든쥐이 있어서의 간감염
약 25mm2인 아메바를 실은 흡수성 스펀지를 개복수술중 마취된 쥐의 중간 감염사이에 삽입한다. 처리하지 않은 쥐는 일qks적으로 접종한지 약 7일후 결과적인 감염에 의하여 죽는다. 처리는 수술마취로 부터 쥐가 회복되자마가 접종한 날에 시작한다. 시험화합물은 0.2%한cjs 수용액에 용해 또는 현탁시키고, 위관으로 위에 도입시킴으로서 5일간 연속하여 1일 1회 투여한다. 유효한 섭생은 치사를 방지한다. 생존 비율은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관찰된 비특정의 생존에 대하여 보정한다. 활성용량은 접종 14일후 생존함으로서 나타나는 처fl한 쥐의 50%또는 그 이상을 보호하는 최저량을 mg/kg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의 결과가 비교용의 공지된 유효 약품의 활성용량과 함께 다음표에 나타나있.
[표]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본 발명의 신규한 2,6-안트라퀴노닐렌 아미딘은 일일 체중 1kg당 약 0.5mg-40mg의 범위로 투여되는 경우, 온혈동물에 있어서 맹장과 간의 아메바성 감염을 개선하는데 유용하다. 적당한 결과를 얻기위한 바람직한 용량 섭생은 kg당 약 2mg-29mg이다. 따라서 약 70kg의 체중을 갖는 개체에 사용된 일일 용량은 약 35mg-2.8g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140mg-2.0g이다.
예컨대 적당한 경구용제제는 캡슐, 정제, 트로치, 현탁액, 시럽등으로 구성된다. 정제의 경우 주활성 성분은 통상의 성분, 즉 옥수수전분, 락토오즈, 슈크로즈, 솔비톨, 활석,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인산2칼슘, 껌 또는 비독성의 약리적 수용성 희석제나 담체와 같은 유사물질등과 혼합된다.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제제도 역시 본 발명에 의하여 기도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신규한 조성물이 투여용으로 통합된 액체 형태에는 면실유, 참기름, 낙화생유, 코코널유와 같은 식용유와 적당한 향취를 갖는 유탁액과, 엘릭서 및 유사한 약리적 매개체가 포함된다. 비경구용으로 살균된 현탁액이나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적당한 방부제를 함유하는 등장성 제제도 역시 주사용으로 바람직하다.
[실시예 1]
N, N'-(2, 6-안트라퀴노닐렌)-디-포름이미드산 디에틸에스텔 35.7g의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을 5방울의 농황산을 함유하는 100ml의 트리에틸-0-프르메이트와 혼합시킨다. 이 혼합물을 환류온도까지 가열하고, 알콜은 이것이 형성되는 대로 2시간에 걸쳐서 제거한다. 반응혼합물을 -10℃까지 냉각시키고 형성되는 고체는 여과 수집한 다음 2B알콜로 세척하고 공기 건조시킨다. 디메틸포름 아미드로 부터 재결정시키면 융점 235-250℃인 갈색의 결정이 생성된다.
[실시예 2]
N', N
Figure kpo00005
-(2, 6-안트라퀴노닐렌)비스-N, N-디에틸아세트아미딘
276.0g의 건조된 N,N-디에틸아세트아미드를 800ml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켜서 빙수욕내에서 5-10℃까지 냉각시킨 것에 87.4ml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10-15분간에 걸쳐서 적가한다. 빙수욕을 제거하고 생성되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95.2g의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을 가하고, 생성되는 혼합물을 가열하지 않고 1시간동안 교반한다음 7.5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1,000ml의 빙수에 주가한다. 수융액을 3,000ml까지 희석하고, 5N NaOH로 염기성으로 만든다. 형성되는 등황색 결정을 여과 수집한 다음 이 물질을 물로 세척하고, 공기 건조시킨다.
생성물을 450ml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여과하고 약 400ml의 헥산으로 침전시키고, 최종 생성물을 황색 결정으로서 얻는다. 융점 173-175℃
[실시예 3]
N', N
Figure kpo00006
-2, 6-안트라퀴노닐렌비스(N, N'-디메틸)프로피온아미딘
200ml의 아세토니트릴에 24.2g의 N,N-디메틸프로피온아미딘을 용해시켜 빙욕내에서 50-15℃로 냉각시킨 것에 21.6ml 포스포러스옥시클로라이드를 적가한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다음 23.8g의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을 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을 계속한다.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1ℓ의 빙수에 주가하고 교반한 다음 소성된 유리훤넬을 통하여 여과한다. 훤닐에 남아있는 물질을 물로 반복하여 추출하고 여액과 추출액을 합쳐서 5N-NaOH로 염기성화 시킨다. 형성된 등색의 결정을 여과 수집한다. 결정물질을 물로 세척하고 공기 건조시킨다. 다음에 생성물을 메틸셀로솔브로부터 재결정시켜서 동색의 결정을 얻는다. 융점 206°-209℃
[실시예 4]
N', N
Figure kpo00007
-2, 6-안트라퀴노닐렌비스(N,N-디에틸)벤즈 아미딘
600ml의 디에틸에텔에 75.2g의 디에틸아민을 녹인 용액에 56.3g의 염화벤조일을 100ml의 에텔에 녹인 용액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2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50ml의 물을 가하여 과량의 아민과 아민염산염을 용해시킨다. 에텔층을 물로 3회 더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킨다. 에텔을 진공에서 제거하여 N,N-디에틸벤즈아미드를 무색유로서 얻는다.
200ml아세토니트릴에 상기 생성물 23.8g을 용해 교반시켜 빙욕내에서 5°-10℃로 유지시킨 것에 36.8g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가한다. 빙수욕을 제거하고, 생성되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23.8g의 2,6-디아미노안트라퀴논을 가한 다음 이 혼합물을 60℃에서 10시간동안 교반한다.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600ml의 빙수에 주가하고, 5N-NaOH용액으로 염기성화 시킨다. 생성물이 등색의 결정으로서 형성되는바, 이것을 여과 수집하고 물로 세척한다. 생성물을 클로로포름/헥산으로 부터 재결정시켜 적등색 결정을 얻는다. 융점 243-246℃
[실시예 5]
2, 6-비스(α-피페리디노벤질리덴아미노)안트라퀴논
28.6g의 벤조일피페리딘을 150ml의 아세토니트릴에 교반 용해하여 빙수욕내에 5-10℃로 유지시킨 것에 18.4g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가한다. 빙수욱을 제거하고 생정되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11.9g의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을 가하고, 반응혼합물을 60℃에서 10시간동안 교반한다. 다음에 반응혼합물을 500ml 빙수에 주가하고, 5N-NaOH 용액으로 염기성으로 만든다. 생성물이 등색의 결정으로서 형성되는 바, 이것을 여과 수집하고 물로 세척한다. 다음에 생성물을 클로로포름/아세톤으로 부터 재결정시켜서 등색의 결정을 얻는다. 융점 264°-266℃
[실시예 6]
N', N
Figure kpo00008
-(2,6-안트로퀴노닐렌)비스-N-피페리디노-N-P-클로로벤질리덴
33.55g의 P-클로로벤조일 피페리딘을 100ml의 아세토니트릴에 교반용해하여 5°-15℃로 빙수욕에서 냉각시킨것에 10.8ml의 포스포러스옥시클로라이드를 30분간에 걸쳐서 가한다. 빙수욕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을 계속한다음 11.9g의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을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을 계속한 다음 60℃에서 20시간 교반한다.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500ml의 빙수에 조심하여 주가하고, 75ml의 10N-NaOH가하면서 1시간동안 교반을 계속한다. 적색고체를 여과로 수집하고 진공내 80℃에서 건조시킨다. 건조된 물질을 300ml의 클로로포름내에 슬러리화시키고 여과한다. 여액을 물로 4회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다음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킨다. 잔유물을 50ml의 메틸 알콜로 슬러리화 시키고, 여과하여 등색의 결정을 얻고 이것을 디에틸에텔로 세척한다. 생성물을 진공에서 건조시켜 등색의 결정을 얻는다. 융점 275°-277℃
[실시예 7]
N', N
Figure kpo00009
-(2, 6-안트라퀴노닐렌)비스-N-디에틸-N-P-클로로벤질리덴
100ml의 아세트니트릴에 31.75g의 N,N-디에틸-P-클로로벤즈 아미드를 교반용해하여 빙수욕내에서 5°-15℃로 냉각시킨 것에 10.8ml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30분간에 걸쳐서 가한다. 빙수욕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을 계속한다음 11.9g의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을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을 계속한 다음 60℃에서 20시간동안 교반한다.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500ml의 빙수에 유의하여 주가하고, 교반을 1시간동안 계속하면서 75ml의 10N-NaOH를 서서히 가한다. 적색고체를 여과로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80℃진공에서 건조시킨다. 건조된 물질을 300ml 클로로포름내에 슬러리화시키고 여과한다. 여액을 물로 2회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진공에서 시럽이 될때까지 농축시킨다. 이 물질을 25ml의 메틸알콜로 슬러리화 시키고, 형성되는 등적색 결정을 여과로 수집한다. 생성물을 디에틸에텔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융점 253-255℃
이 물질을 25ml의 메틸알콜로 슬러리화 시키고, 형성되는 등적색 결정을 여과로 수집한다. 생성물을 디에틸에텔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융점 253°-255℃
[실시예 8]
N', N
Figure kpo00010
-2, 6-안트라퀴노닐렌 비스[N-이소프로필아세트아미딘]
600ml의 에텔에 99.2g의 이소프로필아민을 용해시킨 것에 -10℃ 메탄올-얼음욕에서 60g의 염화아세틸을 가한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 4시간 보유한다음 여과한다. 여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기름을 얻는다. 이 기름을 증류하면 N-이소프로필 아세트 아미드를 무색의 기름으로서 얻게된다.
23.8g의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과 36.8g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와 30.3g의 N-이소프로필아세트아미드와 200ml 아세토니트릴을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반응시켜서 생성물을 등색의 결정으로서 얻는다. 융점 264°-267℃
[실시예 9]
N', N
Figure kpo00011
-2, 6-안트라퀴노닐렌비스[N-메틸-아세트아미단]
21.8g의 N-메틸 아세트아미드와 23.8g의 2, 6-디아미노안트라 퀴논과 36.8g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와 200ml의 아세토니트릴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반응시키면 갈색조제의 생성물을 등색결정으로서 얻는다. 융점 266°-269℃
[실시예 10]
N', N"'-2, 6-안트라퀴노닐렌비스[N, N-디메틸 싸이클로프로판 카복사미딘]
300ml의 40% 디메틸아민 수용액을 500ml의 에텔에 녹인것에 52.0g의 싸이클로프로판 카복실산 클로라이드를 100ml 에텔에 녹인것을 10°-25℃에서 적가한다. 반응혼합물을 2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한다. 50ml의 물을 가한다. 에텔층을 분리시키고, 50ml의 물로 3회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 여과한다. 에텔을 제거하고 잔유물을 증류시켜 N,N-디메틸싸이클로프로판 카복사미드를 무색유로서 얻는다.
상기 생성물 34.0g과 2,6-디아미노안트라퀴논 23.8g과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36.8g과 아세토니트릴 200ml를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반응시킨다. 2-메톡시 에탄올로 부터 재결정시키면 생성물을 등색 결정으로서 얻는다. 융점 241°-243℃
[실시예 11]
N', N"'-2, 6-안트라퀴노닐렌비스[N, N-디에틸싸이클로프로판카복사미딘]
600ml의 에텔에 134ml의 디에틸아민을 녹인 것과 52.0g의 싸이클로프로판카복실산 클로라이드를 다음 실시예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반응시켜 N,N-디에틸싸이클로프로판카복사미드를 무색유로서 얻는다.
상기 생성물 42.4g과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 23.8g과 36.8g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와 200ml의 아세토니트릴을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반응시킨다. 2-메톡시에탄올로 부터 재결정시키면 등색결정으로서 생성물을 얻는다. 융점 166°-168℃
[실시예 12]
N', N"'-2, 6-안트라퀴노닐렌비스[N, N-디메틸싸이클로부탄카복사미딘]
150ml의 아세토니트릴에 19.1g의 N, N-디메틸싸이클로부탄 카복실산을 녹인 것에 5-10℃에서 18.4g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가한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에 11.9g의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60℃에서 10시간동안 교반하고 600ml 빙수에 주가한다음 5N-NaOH로 염기성화 시켰다. 등색결정을 여과로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결정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감압하에서 클로로포름을 제거하였다. 잔유물을 메틸셀로솔브로부터 재결정시켜서 16.2g의 등색결정을 얻었다. 융점 209-211℃
[실시예 13]
2, 6-비스[(1-메틸-2-피롤리디닐리덴)아미노] 안트라퀴논
150ml의 CH3CN에 34.5g의 l-메틸-2-피롤리디논을 용해시킨 것에 18.4g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5-10℃에서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시켰다. 이 혼합물에 11.9g의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을 가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60℃에서 10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1,000ml의 빙수에 주가하고 5N-NaOH로 염기성화 시켰다. 이와 같이 얻어진 적색의 결정을 여과로 수집하여 물로 세척하였다. 메틸셀로솔브로부터 재결정시켜서 14.0g의 적색 결정을 얻었다. 융점 267-269℃
[실시예 14]
N', N
Figure kpo00012
-2, 6-안트라퀴노닐렌비스[N, N, 2-트리메틸프로피온아미딘]
23.3g의 N, N, 2-트리메틸프로피온아미드를 150ml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킨 것에 36.8g의 포스포러스 옥시폴로라이드를 5-10℃에서 가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시켰다. 다음에 23.8g의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60℃에서 10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600ml의 빙수에 주가한 다음 5N-NaOH로 염기성화시켰다. 등색의 결정을 여과로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결정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잔유물을 메틸셀로솔브로부터 재결정 시켜서 8.0g의 등색 결정을 얻었다. 융점 166-168℃
[실시예 15]
N', N
Figure kpo00013
-2, 6-안트라퀴노닐렌비스[N-에틸아세트아미딘]
26.1g의 N-에틸아세트아미드를 200ml의 아세토니트릴에 녹인것에 36.8g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5-10℃에서 가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l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23.8g의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10시간 교반한 다음 600ml의 빙수에 주가하여 5N-NaOH로 염기성화시켰다. 등색의 결정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감압하에서 클로로포름을 제거하였다. 최종적으르 CHCl3/헥산 혼합물로 재결정시켜서 10.5g의 등색 결정을 얻었다. 융점 271-273℃
[실시예 16]
N', N
Figure kpo00014
-2, 6-안트라퀴노닐렌비스[N, N-디메틸-3-디메틸 프로피온아미딘
19.4g의 N, N-디메틸피발아미드를 100ml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킨것에 18.4g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30분간에 걸쳐서 5-15℃에서 가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다음 60℃에서 1시간동안 유욕에서 가열하였다.
다음에 11.9g의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을 가하고 유욕의 온도를 20시간동안 78℃ 상승시켰다. 다음에 반응혼합물을 500ml의 빙수에 주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유상과 수용상으로 분리시켰다. 수용상을 유상으로부터 경사 분리시켜 여과하였다. 여액을 10N-NaOH 75ml로 염기성화 시켰다. 상단과 고체가 침전되었고, 이것을 수집하여 3회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융점이 158-160℃인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7]
N', N"'-2, 6-안트라퀴노닐렌비스[N, N-디메틸-P-클로로 벤즈아미딘]
27.6g의 N, N-디메틸-P-클로로벤즈아미드를 5-15℃로 빙수욕에서 냉각시킨 아세토니트릴 100ml에 용해시킨 것에 10.8ml의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30분간에 걸쳐서 가하였다. .
빙수욕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을 계속한다음 11.9g의 2, 6-디아미노 안트라퀴논을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을 계속한다음 60℃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반응혼합물을 500ml의 혼합물에 유의하여 주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한 다음 75ml의 10N-NaOH를 서서히 가하였다. 등색결정을 여과로 수집하고 물로 세척한후 80℃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물질을 300ml의 클로로포름에서 슬러리화 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물로 2회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후 진공에서 시럽이 될때까지 농축시켰다. 이 물질을 25ml의 메틸알콜로 슬러리화시키고 형성된 적색 결정을 여과로 수집하였다. 생성물을 디에틸에텔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융점 296-298℃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2, 6-디아미노안트라퀴논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와 N, N,-디알킬아미드나 N-알킬아미드를 혼합시킴으로서 형성된 착염과 비활성 용제내에서 약 25-70℃의 온도로 약 l-24시간동안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일반식의 2,6-안트라퀴노닐렌아미딘류와 그 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5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알킬, 측쇄알킬, 싸이클로알킬, (C1-Cl5), 이성환상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이고,
    R2는 치환된 아미노(
    Figure kpo00016
    )로서, 이때
    R3와 R4는 수소, 페닐, 치환된 페닐, 알킬 또는 측쇄 알킬이고, R3와 R4가 함께 이성환을 형성할수 있다.
KR7602042A 1976-08-20 1976-08-20 2, 6-안트라퀴노닐렌안미딘류의 제조방법 KR800000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042A KR800000379B1 (ko) 1976-08-20 1976-08-20 2, 6-안트라퀴노닐렌안미딘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042A KR800000379B1 (ko) 1976-08-20 1976-08-20 2, 6-안트라퀴노닐렌안미딘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379B1 true KR800000379B1 (ko) 1980-05-12

Family

ID=19202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2042A KR800000379B1 (ko) 1976-08-20 1976-08-20 2, 6-안트라퀴노닐렌안미딘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37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50002B1 (de) Neue Diphosphonsäure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EP0224751B1 (de) Neue Diphosphonsäure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OA10239A (en) Distamycin a derivatives as anti-malarial agents
CZ284336B6 (cs) Kondenzované pyrazol-3-oxo-propannitrilové deriváty, způsoby jejich přípravy a farmaceutické prostředky, které je obsahují
DE69629341T2 (de) Pyrrolocarbazolderivate
DE69908371T2 (de) Thioethergruppen enthaltende distamycin-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antitumormittel
DD253821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yrrolo-benzimidozolen, pyrrolo-benzooxazolen und pyrrolo-benzthiozole
KR800000379B1 (ko) 2, 6-안트라퀴노닐렌안미딘류의 제조방법
AU4276693A (en) 7-disubstituted-methyl-4-oxo-3H,5H-pyrrolo(3,2-d)pyrim idine and pharmaceutical use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3632605A (en) Pyrroline derivatives
DD25860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neuer thieno(2,3-alpha)-imidazolderivate
EP0173933B1 (de) 1,6-Naphthyridin-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Arzneimittel
EP0505400B1 (de) N-substituierte naphthalimid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SU1364240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4,5,6,7-тетра-гидротиазоло-(5,4-с)-пиридина или и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мых солей
US4575514A (en) Anxiety allevi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loweralkyl-N-[amino(arylaminocarbonyl)-iminomethyl]-N-methylglycinates
EP0549645B1 (de) Neue 17- -östradiol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US4141992A (en) Cycloalkylcarboxyamidines and halobenzamidines as anti-amebic agents
GB1568723A (en) Sulphur-containing amino-dihydropyridin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medicaments
JP3045354B2 (ja) チオキサンテノン類およびその抗腫瘍剤
US4131676A (en) 2,6-Bis(1-morpholinoalkylideneamino)anthraquinones as anti-amebic agents
DE69911946T2 (de) Phosphonsäure-diester-derivate
US5726311A (en) 7-disubstituted-methyl-4-oxo-3H,5H-pyrrolo 3,2-d!pyrimidine and pharmaceutical use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EP0391850B1 (de) Ungesättigte Aminodicarbonsäurederivate
US4621097A (en) Saturated cycloalkyl[c] pyrrole-2(1H)-acetic acid amides and derivatives thereof
EP0020303A1 (de) Guanidin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pharmazeutische Präparate enthaltend solche Verbindu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