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180B1 - 편 향 장 치 - Google Patents

편 향 장 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180B1
KR800000180B1 KR7500373A KR750000373A KR800000180B1 KR 800000180 B1 KR800000180 B1 KR 800000180B1 KR 7500373 A KR7500373 A KR 7500373A KR 750000373 A KR750000373 A KR 750000373A KR 800000180 B1 KR800000180 B1 KR 800000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upled
deflection
wind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렌 루즈 다비드
Original Assignee
엠. 에스 윈터스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 에스 윈터스,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엠. 에스 윈터스
Priority to KR7500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96Circuit elements other than coils, reactors or the like, associated with the tube
    • H01J2229/964Circuit elements other than coils, reactors or the like, associated with the tube associated with the deflection system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 향 장 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편향장치의 개요도.
제2a도 내지 제2g도는 제1도 회로의 여러점에서 얻은 파형도.
본 발명은 교류선 전압이나 축전지로 작동시킬 수 있는 편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전지나 교류선 전압원으로 동작될 수 있는 휴대용 텔레비젼 수신기는 일반적으로 체강변압기(step-down transformer)로부터 얻은 비교적 낮은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동작 전압을 나타낸다. 이 수신기가 선전압 모우드로 동작될 때, 이 변환된 교류선 전압은 정류 및 여과될 축전지 전압과 같은 직류동작 전압을 나타내도록 정류 및 여과될 수 있다.
이 직류동작전압은 보통 수평출력 변압기의 권선을 통해 전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수평편향출력단에 공급된다. 수평 편향장치가 낮은 전위원으로 동작되는 것 같이, 수평출력변압기의 1차권선에 유도된 전류는 수평 출력변압기의 다른쪽 권선에서 전압변화를 유도시킬 수 있다. 이 유도된 전압변화는 다른 수신기회로에 직류 동작전압을 공급하도록 정류되고 여과될 수 있다.
수신기가 축전지 모우드로 동작될 때, 축전지로부터 같은 직류동작 전압이 수평출력 변압기의 같은점에 공급되고, 수평편향장치의 작용에 의하여 수평출력 변압기의 1차권신에 유도되어 흐르는 전류는 다른 수신기 회로의 동작에 필요한 다른 전위로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만들기 위해 정류되고 여과된 비슷한 전압변화를 만든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면 값이 비싸고 용적이 큰 체강변압기를 교류선 전압원을 축전지 공급전압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 사용해야 한다. 정류된 교류선 전위로부터 수평출력 변압기에 직접 공급될 축전지 전위로 직접 전압을 낮추기 위한 시도를 해왔다. 그러나, 이것은 정류된 교류선 전압이 축전지나 선으로 동작하는 휴대용 텔레비젼 수신기에 사용될 전위로 되기 위해서는 상당히 낮아져야 하기 때문에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 이러한 전압을 낮추는 방법은 저항소자로 흐르는 전류 때문에 전력손실을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정류되고 여과된 제1교류선 전압원이나 낮은 제2직류 전압원으로 선택적으로 동작할수 있는 편향장치는, 편향권선, 편향전류발생기, 스윗칭 장치 및 최소한 제1권선을 갖고 있는 변압기를 포함한다. 편향전류 발생기는 소인선 및 귀선 기간을 갖고 있는 편향전류를 발생하기 위해서 편향권선이 결합된다. 이 변압기의 제1권선은 편향전류 발생기와 제1 및 제2전압원에 결합되고, 이 제1 및 제2전압원은 소인선 기간동안 제1 및 제2공급전압과 같은 전압들을 제1 및 제2점에서 각각 여기시키기 위해서 변압기의 제1 및 제2점에 각각 결합된다. 또 제2공급원은 최소한 소인선 기간의 일부분동안 제2점에 제2공급원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1상태와 최소한 귀선기간의 일부분동안 제2점에서 제2공급원을 감결합시키기 위한 제2상태를 갖고 있는 스위칭 장치를 통하는 제2점에 결합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2a도의 수평편향 속도 신호 10은 수평편향 출력 트랜지스터 20의 베이스 전극 5에 결합된다. 이 트랜지스터 20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이것의 콜렉터는 귀선 캐패시터(capacitor) 22의 한단자, 수평편향권선 24의 한단자 및 수평출력 변압기 30의 권선 30b의 탭(tap) F에 결합된다. 귀선 캐패시터 22의 나머지 단자는 접지되고 편향권선 24의 나머지 단자는 S형 캐패시터 25의 한단자에 결합되고 이 S형 캐패시터25의 나머지 단자는 접지된다.
권선 30b의 나머지 단자는 한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축적 캐패시터 27의 나머지 단자에 결합된다. 권선30b와 캐패시터 27의 접합점은 전류 제한 저항기 67을 통하여 브로킹(blocking) 다이오드 66의 캐소드에 결합된다. 다이오드 66의 패소드는 한쪽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여파 및 축적캐패시터 64에 결합된다. 다이오드 66의 애노드는 평활저항기 65의 한 단자에 결합된다.
저항기 65의 나머지 단자는 축적캐패시터 63의 한단자와 정류다이오드 61의 캐소드에 결합된다. 캐패시터 63의 나머지 단자는 접지된다. 정류다이오드 61의 애노드는 스윗치 60의 한단자에 결합되고, 이 스윗치의 다른 단자는 접지된다.
수평출력변압기 30의 고압권선 30a는 한족단자가 단자 F에 결합된다. 고압권선 30a의 나머지 단자는 고전압 정류다이오드 40의 애노드에 결합된다. 고압정류기 40의 캐소드는 키네스코프(kinescope) 50에 결합된다.
수평출력 변압기 30의 권선 30c 정류 다이오드 32의 애노드에 결합된 한 단자를 갖고 있다. 권선 30c의 나머지 단자는 접지된다. 다이오드 32의 캐소드인 단자 C는 스윗치 60의 다른 단자에 결합된다. 축적 캐패시터 37은 스윗치 60의 다른 단자와 접지사이에 결합된다. 스윗치 60의 다른 단자는 축전지 39의 정극성 단자에 결합되고, 이 축전지의 부극성 단자는 접지된다. 단자 C는 댐퍼 다이오드(damper diode) 35의 애노드에도 결합되고, 이 댐퍼 다이오드 35의 캐소드는 권선 30b의 점E에 결합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스윗치 60이 G점에 있을 때, 교루선 전압용 수평편향장치가 동작한다. 스윗치가 G점에 있게 되면, 점 C는 축적 캐패시터 37를 통하여 접지되고, 교류선의 한쪽은 접지되고 다른쪽은 정류다이오드 61의 애노드에 결합된다. 반파정류선 전위는 캐패시터 63에 축적된다. 직류동각전압은 저항기65와 순방향 바이어스 브로킹 다이오드 66을 통하여 제2여파 및 축적 캐패시터 64에 공급된다. 캐패시터 64는 전류제한 저항기 67을 통하여, 축적캐패시터 27의 B+단자에 정류된 선전위로 직류동작전압을 공급한다. 또한, 캐패시터 64는 다른 수신기 회로에 직류동작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저항기 67은 키네스코프 50의 애노드로부터 접지로 아킹(arcing)하는 경우에 수평출력 변압기 30을 과전류로부터 보호한다. 수평편향 소인선 기간의 제1부분동안, 수평편향 출력 트랜지스터 20은 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점5에 인가된 제2a도의 전압파형 10의 부행부분에 의하여 차단된다. 전류는 S형 캐패시터 25를 충전시키기위해서 캐패시터 27 양단에 나타나는 정류 및 여과된 교류선 전압원으로부터 수평출력 변압기 30의 권선 30b와 수평편향권선 24를 통하여 흐른다. 캐패시터 25가 B+점의 일정전압원으로부터 권선 30b의 24의 인덕턴스를 통해 충전될 때, 수평편향권선 24를 통해 제1방향으로 대략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전류는 제2b도의 파형 11로 나타난다. 수평편향 소인선 기간의 중간에서, 트랜지스터 20은 제2a도의 파형 10의 정행부분, 즉 트랜지스터 20의 베이스에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포화상태로 구동된다. 트랜지스터 20이 이것의 콜렉터-에미터 통로를 통해 도전되기 시작할 때 편향권선 24에서의 전류흐름은 반대로 되고 S형 캐패시터 25가 권선 24와 트랜지스터 20의 콜렉터-에미터 통로를 통해 방전됨에 따라 제2b도의 파형 1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선형으로 제2방향으로 증가하기 시작한다.
제2a도의 파형 10의 부행부분이 트랜지스터 20을 차단시킬 때 수평편향 소인선 기간끝까지 S형 캐패시터 25는 편형권선 24를 통해 선형방법으로 방전을 계속한다. 전류가 트랜지스터 20에서 갑자기 흐르지 않으면, 편향권선 24를 통하는 전류는 제2b도의 파형 1l과 같이 제2방향에서 영으로 감소하기 시작한다. 트렌지스터 20이 갑자기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은 수평편향 귀선 기간이 시작되는 것을 표시한다. 트랜지스터 20이 동작하지 않으면, 에너지가 권선 24와 30b로 흐르는 소인선 기간 전류에 의해 권선 30b와 24에 생긴 자장으로부터 소인선 커패시터 22에 전달되므로 이 트랜지스터를 통해 미리 접지로 흐른 전류는 귀선 캐패시터 22를 충전시키기 시작한다.
소인선 기간동안 권선 30a와 30b의 모든 점에서의 전압은 권선 30b의 접합점이 B+공급 캐패시터 27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B+공급전압 이상으로 증가한다. 제2e도의 파형 14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귀선 기간동안 점C의 전압으로 크램핑(clamping)되는 점 E의 전압파형은 점 E가 역바이어스된 다이오드 35에 의해 점 C로부터 감결합되므로 소인선 기간동안 상승한다. 권선 30a와 30b로부터 재생된 에너지가 귀선 캐패시터 22에 전달되므로, 점 F는 제2c도의 파형 1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에 대해 대략 영소인선 기간전압으로부터 높은 정극성 값으로 증가한다. 또한 고압권선 30a와 고압정류기 40의 접합점의 전압은 제2f도의 파형 1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에 대해 피이크 정극성값으로 증가하고 키네스코프 50에 고압을 공급하도록 정류기 40에서 정류된다.
이때에 귀선 캐패시터 22는 방전하기 시작하여 수평편향권선 24와 수평출력 변압기 30으로 에너지를 전달하고 거기에서 자장을 다시 형성한다. 귀선 캐패시터 22가 권선 24와 수평출력변압기 30의 인덕턴스를 갖는 발진의 제1반 주기끝에서 완전히 방전될 때, 댐퍼다이오드 35는 제2c도의 파형 12에 도시한 점 F에서 접지에 대해 대략 영전압에 의해서 다시 순방향 바이어스되고, 이 다이오드의 애노드가 결합된 보조공급 캐패시터 37로부터 전류를 도전하기 시작한다. 이때에 다음 연속되는 수평편향 소인선 기간이 시작된다.
권선 30b의 양단에 유도된 전압파형은 제2d도의 전압파형 13이 권선 30c의 양단에 나타나게 한다. 다이오드 32는 점 C에서 제2d도에 도시한 파형 13의 정행부분의 소인선 기간정류전압을 제공하는 정류기이다. 권선 30c는 점 C에서 축전지 39의 공급전압과 같은 정류된 전압을 제공하도록 선택한다. 정류된 전압은 수평편향 귀선 기간을 댐프하기 위하여 다른 텔레비젼 수신기회로에 직류전압을 제공하고, 다이오드 35를통해 댐퍼전류를 제공하는 축적 캐패시터 37내에 축적된다.
그러므르 제1도의 편향장치가 교류선 전압 모우드로 동작할 때, 편향장치의 직류동작전류는 직류전압공급점 B+로부터 권선 30b틀 통하여, 권선 30b와 고압권선 30a의 집합점 F에 공급된다. 점 E에서의 제2e도의 파형 14의 전압은 점 B+에서의 전압이 직류동작 전류에 의해 100볼트 정도일 때, 소인선 기간동안 12볼트정도이다. 이와같이 점 F에서의 제2c도의 파형 12의 전압은 소인선 기간동안 대략 영볼트로 된다. 물론 수신기가 축전지 공급 모우드에서 교류선 모우드에서와 같이 동작하도록 편향장치가 축전지 공급모우드로 동작될 때에, 이들 소인선 기간전압은 변압기 권선 30b의 각각의 점에 나타난다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제1도의 편향장치가 스윗치 60을 H점에 놓으므로서 교류선 전압원으로부터 단선될 때, 캐패시터 37은 단선되고 직류동작 전위는 낮은 직류전압원인 축전지 39로부터 수평편향 장치에 공급된다. 직류동작 전위는 편향댐퍼 다이오드 35와 수평출력 변압기 권선 30b의 점 E를 통하여 편향장치에 공급된다. 수신기가 스윗치 60이 점 H에 있는 축전지 모우드로 동작될 때 댐퍼 다이오드 35를 통하여 편향장치에 공급되는 전류는 제2g도의 파형 18로서 도시된다. 장치가 축전지 모우드로 동작될 때 전류는 수평편향 소인선 기간에 걸쳐 댐퍼다이오드 35를 통해 수평편향장치에 공급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축전지 공급원 39은 장치가 교류선 모우드로 동작될 때 점 E에 제공되는 것과 똑같이 이점에 소인선기간전압을 유지시킨다.
이 소인선 기간전압은 제2e도의 파형 14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같이, 대략 영볼트인 동일 소인선 기간전압은 제2c도의 파형 12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점 F에 설정된다. 결과적으로, 점 E와 F에서의 전압은 수신기가 교류선 전압모우드로 동작하거나 축전지 모우드로 동작하든지간에 똑같다. 그러나, 교류선 전압모우드나 축전지 공급모우드로 동일하게 동작시키기 위해서, 정류되고 여파된 교류선 전압과 같은 직류전압이 B+ 공급캐패시터 27에 나타나야 한다.
이 결과를 성취시키기 위하여, 점 E 와 F사이의 권선 30b부분과 점 F와 B+사이의 권선 30b 부분의 권선비가, 수신기가 교류로 동작될 때 축전지 39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과 캐패시터 27양단의 B+공급전압의 비와 같게 선택된다.
이러한 권선비를 선택함으로서, 수평출력 변압기 30이 수평편향 소인선 기간동안 단자 E로부터 단자F로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야기되면, 점 E와 F사이에 나타나는 전압변화는 수신기가 정류된 교류선전압으로 동작될 때 B+공급 캐패시터 27 양단에 나타나는 직류전압의 진폭에 전달된다. 축전지 동작 모우드에서, 점E와 F사이의 수평출력 변압기 권선 30b부분은 파형 18로 도시된 바와 같은 소인선 기간동안 점 E로부터 점 F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구동된다. 이 전류는 측전지 동작 모우드에서 댐퍼 다이오드 35를 통하여 흐른다. 공급된 캐패시터 27 양단이 나타나는 전압은 캐패시터 27을 일정직류 전원으르 만들기위해서 이 캐패시터에 축적된다. 귀선 기간동안 점 F로부터 점 E 로 흐르는 전류는 댐퍼다이오드 35의 브로킹 동작에 의해 저지되어진다. 그러므로 변압기가 캐패시터 27을 방전시킬 우려는 없다. 그러므르 권선 30b와 소자 35,27 및 20은 스텝업 인버터(step-up inverter)로서 작동하여 파형 18로 도시된 직류를 반전시킨다. 이 전류는 축적 캐패시터 27 양단에 나타나는 일정한 B+전압인 높은 직류전압원에 스윗치 60이 H점에 있을 때 축전지 39에 의해서 공급된 제1전압으로 댐퍼다이오드 35로 흐른다. 그러므로 수신기가 캐패시터 27 양단에 나티난 정류되고 여과된 교류선 전압으로 동작되든지, 또는 축전지 공급원 39의 낮은전원으로 동작되든지간에 점 B+의 전압은 대략 같다.
편향장치가 축전지 공급 모우드로 동작될 때 권선 30b의 모든 점에서의 소인선 기간전압은 편향장치가 교류선 전압 공급 모우드로 동작될 때와 똑같다. 그러므로써 이 두 모우드의 편향장치의 동작 차이가 제거된다. 수신기가 낮은 전압원인 축전지 39로 동작하든지 또는 소자 61,63,64,65,66,67 및 27을 통해 공급되는 정류되고 여과된 교류선 전압으로 동작하든지 간에, 캐패시터 27 양단에 유도된 B+직류전압은 다수 수신기회로에 공급될 수 있다.

Claims (1)

  1. 도면에 도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정류 및 여파에 의해 교류선에서 유도한 제1전 압원이나 분리된 낮은 직류전압원으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텔레비젼 편향장치에 있어서, 편향권선; 상기 편향권선과 직렬로 결합한 에너지 축적장치; 수인선 및 귀선 기간을 갖고 있는 편향전류를 상기 편향권선에서 발생시키기 위해 편향 속도로 동작하고 상기 직렬로 결합한 편향권선 및 에너지 축적장치 양단에 결합한-단일방향 도전 제어가능 스위칭 장치; 제1 및 제2전극을 포함하는 댐핑장치; 상기 스위치장치, 상기 제1전압원 및 상기 댐핑장치의 상기 제2전극에 결합된 제1권선을 최소한 갖고 있는 변압기를 포함하며, 상기제1전압원은 제1점에서 상기 변압기에 결합되고 상기 댐핑장치는 제2점에서 상기 변압기에 결합되며, 상기 댐핑장치의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소인선 기간동안 상기 제1 및 제2공급 전압과 같은 전압을 상기 제1및 제2점에서 각각 여기시키기 위해 상기 제2전압 공급원에 결합되고, 상기 댐핑장치는 상기 소인선 기간의 전체 기간동안 상기 제2점에 상기 제2공급원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1상태를 갖고 있고 상기 귀선 기간-동안 상기 제2점으로부터 상기 제2공무원을 분리시키기 위한 제2상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장치.
KR7500373A 1975-02-25 1975-02-25 편 향 장 치 KR800000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373A KR800000180B1 (ko) 1975-02-25 1975-02-25 편 향 장 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373A KR800000180B1 (ko) 1975-02-25 1975-02-25 편 향 장 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180B1 true KR800000180B1 (ko) 1980-03-10

Family

ID=1920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373A KR800000180B1 (ko) 1975-02-25 1975-02-25 편 향 장 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18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2705A (en) Low loss synchronous rectifier for application to clamped-mode power converters
US6438009B2 (en) Reducing voltage transients across a MOSFET in a synchronous rectifier in a DC/DC converter
US4937727A (en) Switch-mode power supply with transformer-coupled feedback
US4282460A (en) Deflection and power supply circuit with reduced start-up drive
JPS59216479A (ja) 電気集塵機用パルス電源
US5530385A (en) Control circuit for a semiconductor switch
US4710859A (en) D.C. to D.C. converter with a switch-mode power supply
CN1060894C (zh) 正向变换器
KR800000180B1 (ko) 편 향 장 치
US3878326A (en) Voltage supply system
JP473049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4193018A (en) Deflection circuit
JPH0681498B2 (ja) スナバ回路
JPS639715B2 (ko)
JPS5925245B2 (ja) 給電回路
US4200824A (en) Circuit for providing saw-tooth current in a coil
KR800000181B1 (ko) 전압 공급장치
US4451772A (en) Passive clamp for on/off control of a capacitor charger
US3938004A (en) Deflection system
JP3333614B2 (ja) ゲートターンオフサイリスタ制御装置
JP2666133B2 (ja) 電力変換装置
JPS5924216Y2 (ja) 電源回路
JP2000184710A (ja) トランス絶縁型dc−dcコンバータ
KR790000815B1 (ko) S c r 편향 회로를 가진 선 절연회로
US20050162873A1 (en) Flip-flop based self-oscillating power su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