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181B1 - 전압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압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181B1
KR800000181B1 KR750000372A KR750000372A KR800000181B1 KR 800000181 B1 KR800000181 B1 KR 800000181B1 KR 750000372 A KR750000372 A KR 750000372A KR 750000372 A KR750000372 A KR 750000372A KR 800000181 B1 KR800000181 B1 KR 800000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winding
coupled
voltage sour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센트 피쳐랄드 쥬니어 윌리암
Original Assignee
엠 에스 윈터스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 에스 윈터스,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엠 에스 윈터스
Priority to KR75000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181B1/ko

Links

Imag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압 공급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편향장치의 계통도
제2a도 내지 제2f도는 제1도의 여러점에 나타나는 파형도
본 발명은 교류선전압이나 축전지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수평 편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류선전압원이나 축전지로 동작할 수 있는 휴대용 텔레비죤 수상기에서, 편향장치직류동작전압은 통상전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수평출력단에 동작전류를 인가하기 위하여 수평출력변압기의 권선을 통하여 인가된다. 수평 편향 장치가 동작함에 따라 수평출력변압기의 일차 권선내에 흐르는 전류는 수평출력 변압기의 이차권선에 전압변화를 유도한다. 이 유도된 전압변화는 다른 수상기 회로에 부수적인 직류동작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정류되고 여파된다.
수상기가 축전지모우드로 동작할 때, 부수적인 직류동작 전압이 똑같은 방식으로 다른 수상기 회로에공급되어, 수평 편향장치의 동작에 의해 수평출력 변압기 일차권선내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수평출력변압기의 이차권선내에 전압변화가 유도된다. 이 전압변화는 다른 수상기에 다른 전압으로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만들기 위해 정류되고 여파된다.
그러므로, 수상기가 축전지동작모우드 인가 교류선 동작모우드 인가에는 관계없이, 전력은 이차권선으로부터 계속해서 유도되고 이차권선의 저항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한 손실이 계속 발생한다. 그러나, 수상기가 축전지 모우드로 동작할 때, 축전지 동작 모우드에서 이러한 불필요한 손실이 일어나면 전지상의 부수적인 전력배출때문에 동작시간이 감소하므로 이러한 손실을 회피하는 것이 첫째문제이다.
따라서 수상기가 축전지 모우드로 동작할 때 이차 권선내의 전력손실을 최소화하는 장치를 개발해야한다. 또한, 수상기가 축전지 공급 모우드로 동작할때보다는 교류선 모우드에서 이러한 손실이 수상기의 동작에 덜 심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장치들은 수상기가 교류선 모우드로 동작할때 이차권선으로부터 다른수상기회로에 대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죤 수상기는 제1교류선 유도전압원과 제2저전압 직류전압원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제2저전압 직류전압원은 편향 발생기, 제1차권선, 정류장치, 여파 및 축적장치, 및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직류전압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제1차권선은 편향 발성기내로 흐르는 전류에 따라 그 양단에 유도된 전압변동을 갖기 위하여 편향 발생기에 결합된다. 정류장치는 전압변화를 정류하기 위해 권선에 결합된다. 여파 및 축적장치는 정류전압변동을 여파하고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고, 스위칭 장치는 수상기가 직류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제2전압과 같은 직류전압을 여파 및 축적장치의 단자에 갖추기 위해서 제1전압원으로부터 동작할 때, 여파 및 축적장치에 권선 및 정류장치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위칭 장치는 수상기가 제2전압원으로 동작하게 되어 정류장치에 바이어스를 걸어주므로서 권선 내에 유도된 전압변화의 정류를 방지하고 또한 권선내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하여 전류흐름으르 인한 권선내의 전력손실을 방지하도록, 권선 및 정류장치에 제2전압원을 결합하기 위해 스위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a도에 도시한 수평 펀향 속도신호 10은 수평 편향 출력 트랜지스터 20의 베이스 전극 5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20의 에미터는 접지에 결합되며, 그 콜렉터는 댐퍼(damper)다이오드 35의 캐소드, 귀선 캐패시터 22의 단자, 수평 편향 권선 24의 단자, 및 수평 출력 변압기 30의 권선 30b의 단자 F에 결합된다.
댐퍼 다이오드 35의 애노드는 접지에 결합된다. 귀선 캐패시터 22의 나머지 단자는 접지에 결합되며 편향권선 24이 나머지 단자는 S정형 캐패시터 25를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권선 30b의 나머지 단자는 직류 차단 캐패시터 27의 단자에 결합되며, 직류 차단 캐패시터 27의 다른 단자는 접지에 접속된다.
체강(step-down)변압기 70의 일차권선 70a의 한 단자는 접지에 결합된다. 일차권선 70a의 접지단자는 스위치 60의 한단자에도 결합된다. 스위치 60은 위치 G에 있을 때, 교류선의 접지단자에 결합된다. 권선70a의 나머지 단자는 스위치 60의 한 단자에 결합된다.
스위치 60이 위치 G에 있을 때, 스위치 60의 이 단자는 교류선의 나머지 단자에 결합된다. 체강 변압기 70의 이차권선 70b는 그 한단자가 접지에 결합된다. 권선 70b의 나머지 단자는 정류 다이오드 61의 애노드에 결합된다.
다이오드 61의 캐소드는 축적 캐패시터 63을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다이오드 61의 캐소드는 필터(filter)저항기 65의 한 단자에도 결합된다. 저항기 65의 나머지 단자는 필터 캐패시터 64의 한 단자와 전류제한 저항기 67의 한단자에 결합된다. 캐패시터 64의 나머지 단자는 접지에 결합된다. 저항기 67의 나머지 단자는 차단 다이오드 66의 애노드에 결합되며, 그 캐소드는 권선 30b상의 점 E에 결합된다.
수평 출력 변압기 30의 고압권선 30a는 단자 F에 결합되며 고압권선 30a의 나머지 단자는 고압 정류기 다이오드 40의 애노드에 결합된다. 고압정류기 40의 캐소드는 키네스코프(Kinescope) 50에 결합된다.
권선 부분 30c와 권선 부분 30d는 변압기 30의 이차권선을 구성한다. 수평 출력 변압기 30의 권선부분 30c는 정류기 다이오드 32의 캐소드에 결합된 단자를 포함하고 있다. 다이오드 32의 애노드는 접지에 결합된다. 권선 부분 30c의 나머지 단자인 단자C는 스위치 60의 또 다른 단자에 결합된다. 축적 캐패시터37은 스위치 60의 다른 단자와 접지전위사이에 결합된다. 스위치 60의 다른 단자는 축전지 39의 정극성단자에 결합되고, 축전지 39의 부극성 단자는 접지에 결합된다.
단자 C는 차단 다이오드 31의 애노드에 결합되며 그 캐소드는 권선 30b의 점 E에 결합된다. 수평출력변압기 30의 권선 부분 30d는 C점에 결합된 단자릍 포함하며 그 나머지 단자는 정류다이오드 36의 애노드에 결합된다. 다이오드 36의 캐소드는 단자 A가 있는 축적캐패시터 38의 단자에 결합된다. 캐패시터 38의 나머지 단자는 점 C에 결합된다.
교류전압으르 동작하는 제1도의 수평편향장치의 동작은 스위치 60이 위치 G에 왔을 때 시작된다. 스위치가 이 위치에 있을 때, C점은 축적 캐패시터 37을 통하여 접지되고 교류선은 체강 변압기 70의 일차권선 70a양단에 결합된다. 교류선 주파수에서의 치강 전압변화는 정류기 다이오드 61와 애노드에 결합된다. 반파 정류전선 전압은 캐패시터 63에 축적된다. 직류 동작전압은 필터저항기 65를 통하여 제2여파 및 축적 캐패시터 64에 공급된다. 캐패시터 64는 축적지 39의 전위인 직류 동작전압을 전류 제한 저항기 67과 순방향 바이어스된 차단 다이오드 66을 통하여 수평 출력 변압기 권선 30b의 단자 E에 인가 한다. 저항기67은 키네스코프 50의 애노드에서 접지를 아아크 접지(arcing)한 경우의 과전류에 대해 수평출력 변압기30을 보호한다.
수평 편향 소인선 기간의 첫째 부분동안, 수평편향 출력 트랜지스터 20은 베이스인 점 5에 결합된 제2도의 전압파형 10의 부행부분에 의해 차단상태로된다. 전류는 소자 70,61,63,65,66,64및67로 구성된 직류전압 공급원으로부터 수평 출력변압기 30과 수평편향 권선 24를 통하여 흘러 S 정형(整形) 캐패시터25를 충전시킨다. 수평 편향 권선 24를 통하여 제1방향으로 대략 선형으로 감소하는 전류는, 캐패시터 25가 단자 E에 결합된 일정 직류전압 공급원으로부터 권선 30b 및 24의 인덕턴스(inductance)릍 통하여 충전됨에 따라 제2b도의 파형 11과 같이 표시된다. 수평 편향 소인전 기간의 중간에서, 트랜지스터 20은 그 베이스에 인가된 전압인 제2a도의 파형 10의 정행부분에 의해 포화상태로 구동된다.
트랜지스터 20이 콜렉터-에미터 통로를 통하여 도전상태로되면, 편향권선 24내의 전류 흐름은 반전되고 S정형 캐패시터 25가 권선 24와 트랜지스터 20의 콜렉터-에미터 통로를 통하여 방전하게 되므르 제2b도의 파형 11과 같이 거의 직선형태로 제2방향으로 증가하게된다.
제2a도의 파형 10의 부행 부분이 트랜지스터 20을 차단상태로 할때, S정형 캐패시터 25는 수평편향 소인선 기간의 끝까지 편향권선 24를 통하여 선형방식으로 방전을 계속한다. 전류가 트랜지스터 20내에서 갑자기 흐르지 않게되면, 편향 권선 24를 통하는 전류는 제2b도의 파형 11이 표시하는 바와같이 0쪽으로 제2방향으로 감소하게된다. 트랜지스터 20이 신속하게 오프되는 것은 수평 편향 귀선 기간이, 시작되는것을 표시한다. 트랜지스터 20 이 오프로됨에 따라, 이미 트랜지스터 20을 통하여 접지로 흘렸던 전류는 에너지가 권선 24와 30b내의 소인선 기간 전류로 설정되는 자계로부터 캐패시터 22로 전이되므로 귀선 캐패시터 22로 방전하기 시작한다.
제2e도의 파형 14와같이 소인선 기간동안 차단 다이오드 31과 66의 접합에서의 전압으로 크램프(Clamp)되는 E점의 전압은 E점이 현재 역바이어스된 다이오드 31과 66 때문에 직류 동작전위 공급원으로부터 감결합되므로 귀선기간동안 증가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점 F는 권선 24와 30b로부터 재생된 에너지가 귀선 캐패시터 22로 전이됨에 따라 제2c도의 파형12로 나타나는 바와같이, 대략 0소인선 기간 전압에서 접지에 대해 높은 정극성 값으로 증가한다. 고압권선 30a와 고압정류기 40의 접합에서의 귀선 펄스전압도 제2f도의 파형 1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지에 대해 피크 정극성값으르 증가하고 키네스코프 50으로 고압을 공급하도록 정류기 40내에서 정류된다.
이때 귀선 캐패시터 22가 방전하기 시작하여, 에너지는 수평 편향 권선 24와 수평 출력변압기 30으로 전달되어 내부에 자계를 개설정한다. 귀선 캐패시터 22는 권선 24와 수평출력 변압기 30의 인덕턴스로 발진중의 최초 반주기가 완전히 끝날 때까지 방전됨에 따라, 편향귀선 기간이 종료된다. 댐퍼 다이오드 35는 파형 12로 표시된 F점에서 접지전위에 대해 대략 0 볼트로 순방향 바이어스되므로, 댐퍼다이오드 35는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여 다이오드 35의 애노드가 결합된 F점을 접지전위로 크램핑(clamping)한다. 이때 그 다음에 연속되는 수평 편향 소인선 기간이 시작된다.
권선 30b 양단에 유도된 전압파형은 제2d도의 전압파형 13이 권선 30c와 30d양단에 나타나게한다. 권선30c와 30d는 점 C와 A에 제2d도의 파형 13의 정행 부분인 소인선 정류전압을 인가하도록 결합된다. 다이오드 32는 C점에 제 2d도의 파형 13의 정행부분의 소인선 정류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정류기이다. 자동이득제어 혹은 자동 주파수 제어와 같은 다른 텔레비죤 수상기 기능에 대한 정행펄스는 다이오드 32의 캐소드안인 J로 유도될 수 있다. 권선 30c양단에 나타나는 정류전압은 다른 텔레비죤 수상기 회로에 직류전압을 인가하는데 사용되는 축적 캐패시터 37내에 축적된다. 권선 30d양단의 전압은 다이오드 36에 의해 정류되어 캐패시터 38내에 축적되고 다른 수상기 회로에 대한 부수적인 직류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수상기가 교류선 동작 모우드 인가 축적지 동작 모우드 인가에 상관없이 다시 말해서, 스위치 60이 H위치인지 J위치 인지간에 상관없이 캐패시터 38내에 축적된 정류전압은 C점의 전압으로 승압된다.
제1도의 수상기가 스위치 60을 위치 H로 놓으므로서 교류선 전압공급원에서 분리될 때, 캐패시터 37은 회로에서 분리되고 직류동작전위는 축전기 39로부터 다이오드 31을 통하여, 수평 편향 시스템으로 공급된다. 축전지 39에서 인가된 직류 동작전압은 권선 70b에서 얻어진 정류되고 여파된 치강변압기에 의해 인가된것과 똑같다. 이 전압은 권선 30b상의 E점에 인가된다.
축전지 공급원 39에 의한 수평 편향 시스템의 동작은 스위치 60이 축전지 동작인 H위치로 있을 때 권선30C내에 유도된 전압변화가 정류다이오드 32를 순방향 바이어스시키는데 필요한 전압이하로 되도록 권선부분 30C가 선택되므로 정류되고 여파된 체강변압기 공급원에 의한 시스템 동작과는 다르다. 그러므로, 소인신 기간동안 권선 30C내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어 이 권선 30C로부터 전력이 유도되지 않는다. 소인선 기간동안 권선 30C내에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권선 30C의 저항성분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데 따른 전력손실이 없다. 반면에, 다른 수상기 회로동작을 위해 C점에 인가되는 전압은 축전지 39로부터 인가된다. 이때 캐패시터 38양단에 나타난 전압은 A점의 전압을 접지전위에 비교하여 나타내기위해 축전지전압에 추가된다. 어떤 경우에나 축전지 모우드로 수상기를 동작시키기위한 모든 전력이 축전지 39로부터 나와야하기 때문에, 권선부분 30C내의 전력분산을 방지하고 다이오드 32를 역바이어스 시킴으로써 편향 시스템내의 저항성분의 수가 감소되고 축전지 39를 재충전하는 것이 필요할 때까지 축전지모우드에서의 수상기의 동작시간이 길어진다.
그러므로, 다른 수상기 회로를 위한 바람직한 동작전압을 C와 A점에서 만들도록 시스템이 축전지 공급원으로 동작할 때 상술한 시스템을 수평 편향 장치내에서 이전 시키는데는 거의 전력 소모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C점에서의 전압을 발생시키는테 사용되는 수평 출력 변압기의 권선 30C를 비동작시키고 직접적으로 축전지로부터 전압을 인가하여 직류동작전압이 권선 30C에서 C점으로 인가될때 발생하는 변압기 손실을 제거하므로서 이루어진다. 이때 이 전압은 상술한 바와같이 권선 30이 양단의 전압변동을 정류하므로써 승압되어 다른 수상기회로 들에 다른 직류동작 전위를 인가한다. C점에서 정류전압을 발생시킬 때 발생하는 변압기 손실은 방지된다. 이러한 손실을 방지하는 것은 축전지 공급원으로부터 수상기를 동작시킬 때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Claims (1)

  1. 도면에 도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같이, 교류선으로 부터 얻은 제1전압원이나 저직류 전압의 제2전압원으로 선택적으르 동작되는 텔레비죤 수상기용 직류전압 공급장치에 있어서, 편향 발생장치; 상기 편향발생 장치에 결합되는 제1권선과, 직렬로 결합된 제1 및 제2권선 부분을 갖고있고 상기 편향발생 장치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따른 전압변화가 이 권선 양단에 유도되는 제2권선을 갖고있는 변압기; 상기 전압변화를 정류하기위해 상기 제1권선 부분에 접속된 정류장치;
    상기 정류된 전압변화를 여파하고 축적하기 위한 여파 및 축적장치; 및 제 1 및 제2위치를 갖고있는 스위칭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 장치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상기가 상기 제1전압원에 의해 동작되면, 상기 제2전압원의 전압과 같은 직류전압을 만들도록 상기 여파 및 축적장치에 상기 제1권선부분 및 상기정류장치를 결합시키고,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상기가 상기 제2전압원에 의해 동작되면, 전류가 상기 제1권선부분을 통하여 흐르지 못하게 하고 상기 제1권선 부분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로 인해 생기는 전력 손실을 방지하도록 상기 정류장치를 역바이어스하기 위하여 상기 정류장치와 상기 두개의 권선부분의 접합점에 상기 제2전압원을 접속시키며, 상기 제2권선 부분내에서 발생한 전압과 상기 제2전압원의전압을 함께 추가하도록 상기 제2권선 부분과 직렬로 상기 제2전압원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공급장치.
KR750000372A 1975-02-25 1975-02-25 전압 공급장치 KR800000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0372A KR800000181B1 (ko) 1975-02-25 1975-02-25 전압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0372A KR800000181B1 (ko) 1975-02-25 1975-02-25 전압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181B1 true KR800000181B1 (ko) 1980-03-10

Family

ID=1920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0372A KR800000181B1 (ko) 1975-02-25 1975-02-25 전압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18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2705A (en) Low loss synchronous rectifier for application to clamped-mode power converters
KR100420608B1 (ko) 저가형고전압플라이백전원장치
US6438009B2 (en) Reducing voltage transients across a MOSFET in a synchronous rectifier in a DC/DC converter
EP0188839B1 (en) Self-oscillating power-supply circuit
US4945465A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circuit
US4253137A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CA1154153A (en) Deflection and power supply circuit with reduced start-up drive
US4138715A (en) Resonant switching converter
SU1729305A3 (ru) Схема питани дл зар да батареи зар дным током
US4710859A (en) D.C. to D.C. converter with a switch-mode power supply
US4760512A (en) Circuit for reducing transistor stress and resetting the transformer core of a power converter
KR20000038038A (ko) 변압기 권선에 결합된 인덕터를 구비한 순방향 컨버터
US6301139B1 (en) Self-driven synchronous rectifier circuit for non-optimal reset secondary voltage
US4688164A (en) Direct-voltage converter for feeding an appliance with an inductive component
US3878326A (en) Voltage supply system
US4323957A (en) Voltage supression circuit for a voltage converter circuit
US4200813A (en) Circuit arrangement comprising a high-voltage power transistor
KR800000181B1 (ko) 전압 공급장치
US3453521A (en) Dc to dc converter regulator
WO1981001776A1 (en) Converter circuit providing isolation and load sensing
US4451772A (en) Passive clamp for on/off control of a capacitor charger
US4200824A (en) Circuit for providing saw-tooth current in a coil
JPS5925245B2 (ja) 給電回路
US5412332A (en) Drive circuit for a flyback converter with switching transistors in bridge arrangement
US4176302A (en) Vertical deflection output 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