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112B1 - 내연기관의 실외연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실외연소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112B1
KR800000112B1 KR7403558A KR740003558A KR800000112B1 KR 800000112 B1 KR800000112 B1 KR 800000112B1 KR 7403558 A KR7403558 A KR 7403558A KR 740003558 A KR740003558 A KR 740003558A KR 800000112 B1 KR800000112 B1 KR 800000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engine
main
solenoid
thrott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사카우라타로오
토오루 하타나카
카츠이치 시로야마
Original Assignee
카와시마 키요시
혼다키켄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시마 키요시, 혼다키켄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카와시마 키요시
Priority to KR740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3/00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 F02B23/02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 F02B23/04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the combustion space being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3/00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실외연소 방지장치
도면은 본 발명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의 요부를 종단하여 표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연소실을 주연소실과 여기에 토오치노즐을 설치하여 연통되는 내부에 점화 플러그를 가지는 부연소실로 구성되고, 부연소실에 공급된 농후 혼합 공기에 전기 점화하여 생성된 화염에 의하여, 주연소실에 공급된 희박 혼합공기를 연소하여, 총합 공기연료비가 이른 공기연료비보다 희박한 혼합 공기에 의하여 운전이 가능한 형태의 내연기관의 실외 연소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내연 기관의 부연소실에 연통되는 부흡기 통로 내벽에서는, 농후 혼합기가 접촉하므로 통상 운전중에 비교적 다량의 연료가 부착되고, 이 부착 연료가 엔진의 감속시에 흡기 부압의 급격한 증가에의하여 부연소실에 일거에 유입되어, 그 곳에서 전기 착화되기 쉬운 정도의 과농 혼합공기가 일시적으로 생성되기때문에 실화가 발생되어 그 과농 혼합 공기가 배기통로로 배출될때 그 배기통로내의 고열부에 접촉되어 폭발하며 연소하는 소위 실외 연소 현상을 일으키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전기 점화식 내연기관에 있어서 그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으므로 종래, 그 엔진의 흡기통로에 2차 공기통로를 접속하여 그 2차 공기통로에 흡기부압이 과도하게 된 때에만 열리는 부압 상응 작동 밸브를 설치하고 엔진 감속시 혼합공기의 과농화를 방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지만, 이같은 형태의 장치를 상기와 같은 엔진의 부흡기통로에 사용한 결과, 부연소실에서는 흡기가 절대적 적어서 부압 상응작동 밸브의 상응 압력의 오차에 따라 발생되는 2차 공기의 공급시기 변동에 의하여 부연소실의 혼합공기 농도가 적당히 보정되지 않는 때가 종종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같은 점을 감안하여 엔진이 저속일때 부연소실내의 혼합공기 농도가 과농하게 되는 일정 시간만 부흡기통로에 2차 공기를 공급하여 혼합공기 농도를 전기 착화할 수 있는 값으로 확실하게 보정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실외 연소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효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1은 내연기관 본 체이고, 그 헤드부 2에는, 실린더 3에 연통되는 주연 소실 4와 주연소실에 토오치노즐 5를 설치하며 연통되는 주연소실 4에 비하여 용적이 작은 부연소실 6이 형성되며, 그 부연소실 6에 점화플러그 7의 전극이 위치되어있다.
주연소실 4에는 주흡기 통로 8 및 배기통로 9를 또한 부연소실 6에는 부흡기통로 10을 각각 설치하여, 이러한 개구부에 주흡기밸브 11배기밸브 12 및 부흡기밸브 13을 설치한다. 이들 밸브는 공지의 밸브작동장치(도시하지않았음)에 의하여 알맞는 시간에 개폐된다.
주 및 부흡기밸브 8,10의 상류에는 희박혼합 공기 생성용 주기화기 14 및 농후 혼합공기 생성용 부기화기 15가 각각 연결되고, 주기화기 14의 주드로틀 밸브(throttle valve) 16과 부기화기 15의 부드로틀 밸브 17는 연동장치 18에 의하여 연결되고, 주드로틀 밸브 16의 작동레버 19에 도시하지 않은 가속기에 연결된 조작와이어 20이 연결되어있다. 따라서 작동레버 19를 조작함에 따라, 주, 부드로틀 밸브 16,17을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다.
부흡기통로 10에는, 부드로틀 밸보 17 하류에 오리피스 21을 가지는 공기취입관 22를 부설하고, 2차 공기 취입과에 2차 공기도관 23을 연결시켜 그 선단에 공기입구 24를 가지는 밸브함 25를 연결하고, 그 밸브함 25에는 전자개폐밸브 26이 장치된다.
전자개폐 밸브 26은 밸브 함 25의 통로를 개폐하는 포펫트 밸브 27과 이것을 페쇄방향으로 밀어붙치는 폐쇄 스프링 28과 프펫트밸브 27을 개방시킬때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29에 의하여 폐쇄된 형태로 구성된다.
솔리노이드 29를 전원 30에 접속하는 회로 31에는, 제 1 및 제 2제어스위치 32,33을 직열로 개입시키고 또 입력신호를 받으면, 그순간부터 일정시간동안 출력전류를 발생시키는 안정 멀터 바이브레이터 34를 삽입시킨다. 제 1제어 스위치 32는 주드로틀 밸브 16의 폐쇄위치에서 작동레버 19에 의하여 폐쇄되고, 또 제2제어스위치 33은 엔진 회전 속도 검출기 35, 예를들면 엔진에 연결된 타코 발전기의 소정 고속회전 신호에 의하여 페쇄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하나의 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34는 제1 및 제2제어스위치 32,33과 함께 작동하여 엔진의 고속회전시에 주 드로를 밸브 16의 폐쇄를 검출하여 일정시간동안 솔레노이드 29를 작동시키는 통전장치 36이 구성되어있는 것으로서, 그 일정시간은 엔진의 감속시에 부연소실 6내에 과농 혼합공기가 발생하고 있는시간에 상응하고, 구체적으로는 앤진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감속 순간부터 0.2∼0.4초로 설정하는 것이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각등에 대하여 설명하면, 엔진의 흡입 행정중 주기화기 14에서 희박 혼합공기가 생성되고, 부기화기 15에서 능후 혼합 공기가 각각 생성되어, 그들은 주 및 부 흡기통로 8,10을 거쳐 주 및 부연소실 4,6에 흡입된다. 그리고 부연소실 6내의 농후 혼합공기는 엔진의 압축 챙정에서 구연소실 4에서 토오치느즐 5를 통하여 침입하는 희박 혼합공기에 의하여 적당하게 희석되어야 비로소 착화되기 쉬운 공기연료비로 되고, 따라서 그것은 압축행정 말기에서 점화플러그 7의 불꽃방전에 의하여 즉시 착화 연소되고 그 화염이 토오치노즐 5를 통하여 주연소실 4로 분출하여 그곳에 대기하는 희박 혼합공기를 연소시키고 엔진을 팽창 행정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여 엔진은 총합 공기면료비가 극히 회박한 혼합공기에 의하여 운전된다.
엔진이 고출력, 고속회전 상태로되면 제1제어스위치 32는 주, 부드로틀 밸브 16,17의 개방 정도를 감지하도록 개방되는데, 제2제어 스위치 33은 엔진회전 속도 검출기 35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으므로, 이때 엔진을 감속시키기 위하여 주 및 부 드로틀 밸브 16,17을 급속히 폐쇄시키면, 제 1 제어 스위치 32도 폐쇄되고 이렇게하여 회로 31이 폐회로 상태로 되어 하나의 안정 멀터 바이브레이터 34가 트리거 됨으로서, 일정시간동안 출력전류를 발생시켜 솔레노이드 29가 작동되고 포펫트 밸브 27이 개방된다. 밸브27의 개방이의하여 외기가 공기입구 24에서 2차 공기 도과 23으로 진입하여 오리피스에 의하여 적당히 측정되어 2차공기로서 부흡기통로 10에 공급되며, 그 공급은 부연소실 6내에 과농 혼합공기가 발생하고 있는 시간으로 한정됨에 따라 과농 혼합공기만이 희석되고 부연소실 6에 있어서 실화를 발생시키는 일이없다.
엔진의 아이들링시, 또는 저속 회전시에는, 제2제어스위치 33이 개방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이 개방 위치에 있는 한, 주, 부드로틀 밸브 16,17의 개폐에 의한 제l제어 스위치 32가 개폐되더라도 하나의 안정멀티 바이브레이터 34에 입력신호가 공급되는 일이 없고, 전자개폐 밸브 26은 밸브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상과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각속시, 부연소실 6내에 과농 혼합공기가 발생하고 있는 시간에 정확하게 맞추어서 부흡기통로 10에 2차 공기를 공급시킬 수 있고, 이 2차 공기에의하여 과농혼합공기를 희석시킬뿐만 아니라 통상 농도의 혼합공기에는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으므로, 감속중 부면소실 6내의 혼합공기는 항상 적당한 공기연료비를 유지하여, 희박 혼합공기의 착화용 화염을 확실하게 생성시킬 수 있으며, 실화에의한 실외 연소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부흡기통로에 2차 공기를 공급하기위한 페쇄형 전자 개폐밸브의 솔레노이드의 전기회로에, 주 드로틀 밸브의 폐쇄상태를 검출하게 작동하는 제1제어스위치 엔진의 고속회전 상태를 검출하게 작동하는 제2 제어스위치 및 상기 두개의 제어스위치의 동시 작동때만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솔레노이드에 일정시간동안 전기를 통하게하는 시한 통전장치를 설치하였으므로, 엔진 감속때에는 부흡기통로에 과도의 흡기부압의 발생울 기다리는 일 없이 전자 개렌밸보를 개방하여 부흡기통로에 일정시간동안 2차공기를 공급할수 있고, 또한 제1제어 스위치는 부드토틀 밸브보다 움직임이 큰 주 드로틀 밸브에 의하여 작동되므로, 이 스위치의 작동자의 행정을 크계 설정하여 그로부더 진동등에 의한 틀린 동작을 회피하고, 그 결과 2차 공기의 공급제어가 정확하게 행하여지며, 부연소실을 갖춘 토오치검화식 엔진에 유효하게 사용되어 소기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

  1. 연소실을 주연소실과, 이것에 토오치노즐을 설치하여 연통되는 내부에 점화 플러그를 갖춘 부연소실로 구성되며, 그 주연소실에는 그곳에 희박한 혼합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고, 주드로틀 밸브를 갖춘 구흡기통로를 연결시키며, 또한 부연소실에는, 그곳에 농후 혼합 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고, 상기 주드로틀 밸브와 연동하는 부드로틀 밸브를 갖춘 부흡기통로를 연결시키며, 상기 주드로틀 밸브에 가속기 폐달과 연결된 작동레버를 연결시키는 내연기관에 있어서, 상기부흡기통로의 부연소실과 부 드로틀 밸브사이에 대기에 연통하는 2차 공기 롱로를 접속시킴과 동시에, 2차 공기통로에 폐쇄된 형태로 구성된 전자 개폐 밸브를 장치하고, 그 전자 개폐밸브의 솔레노이드로 이어지는 전기회로는 상기 주드로틀 밸브의 폐쇄상태를 검출하게 작동하는 제1제어스위치, 엔진의 고속회전 상태를 검출하게 작동하는 제2제어스위치 및 이러한 두개의 제어스위치의 동시 작동때만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솔레노이드에 일정시간동안 전기를 통하게 하는 시한 통전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된 실외 연소 방지장치.
KR7403558A 1974-09-10 1974-09-10 내연기관의 실외연소 방지장치 KR800000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3558A KR800000112B1 (ko) 1974-09-10 1974-09-10 내연기관의 실외연소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3558A KR800000112B1 (ko) 1974-09-10 1974-09-10 내연기관의 실외연소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112B1 true KR800000112B1 (ko) 1980-03-07

Family

ID=1920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3558A KR800000112B1 (ko) 1974-09-10 1974-09-10 내연기관의 실외연소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11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4626B1 (ko) 내연 기관의 연료 분사 및 점화 장치 및 방법
US3982507A (en) Afterburning preven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50113982D1 (de) Vorkammer-Zündkerze mit Zusatzkraftstoff zur Entflammung sehr magerer Kraftstoff-Luft-Gemische, insbesondere für Gasmotoren
US4079703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perated on injected fuel supplemented with hydrogen
US4209981A (en) Method and an apparatu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an engine exhaust gas purifying device
US4111010A (en) Automotiv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217869A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air-fuel ratio of an air-fuel mixture provide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US4061114A (en) Lean charge ignition system
KR800000112B1 (ko) 내연기관의 실외연소 방지장치
US4489686A (en) Torch ignition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104881A (en) Prevention of overheating of catalytic converter for engine exhaust gases
US4280467A (en) Air-fuel mixture ratio control using electrostatic force
JP3218323B2 (ja) 予混合気圧縮着火エンジンにおける燃料の着火性改善方法
GB1500882A (en) Method and an apparatu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an engine exhaust gas purifying device
JP3865494B2 (ja) 圧縮自着火機関
US3795230A (en) Primary air supp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099492A (en) Mixture correction system during rapid acceleration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US4036183A (en) Rotary piston engine
US4084548A (en) Rotary piston engine
GB61162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having airless injection of fuel
US4018196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6241077A (ja) 気体燃料エンジン
ES416464A1 (es)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motores de combustion interna.
JP3080079B2 (ja) 筒内噴射式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H08232664A (ja) トーチ点火式ガスエンジンの燃焼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