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2202Y1 - 집합 제어반의 반출 가능한 유니트 용기 - Google Patents

집합 제어반의 반출 가능한 유니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2202Y1
KR790002202Y1 KR740004713U KR740004713U KR790002202Y1 KR 790002202 Y1 KR790002202 Y1 KR 790002202Y1 KR 740004713 U KR740004713 U KR 740004713U KR 740004713 U KR740004713 U KR 740004713U KR 790002202 Y1 KR790002202 Y1 KR 790002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tainer
unit
control panel
uni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4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지 고바야시
고레유끼 다께다니
마사에 야마시따
Original Assignee
마에다 시찌노신
후지덴끼 세이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에다 시찌노신, 후지덴끼 세이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에다 시찌노신
Priority to KR740004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2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2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2202Y1/ko

Link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집합 제어반의 반출 가능한 유니트 용기
제1도는 종래의 제어반에 있어서의 반출이 가능한 단위 유니트 용기부분을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다른 구성으로된 반출 가능한 단위 유니트 용기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실체 배열도.
제5도는 제4도의 회로 결선도.
제6도 및 제7도는 각각 본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본 고안은 집합 제어반의 반출(搬出)이 가능한 유니트 용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집합 제어반에 사용되는 반출이 가능한 유니트 용기는 일반적으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적인 기구 부착 유니트 용기 A와 같은 것으로서 집합 제어반의 표면을 형성하는 도어 B와 한조로 사용되거나, 또는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집합 제어반의 표면일부를 형성하는 패널(1)과 배면패널(2)이 중간에 기구 부착패널(3)을 설치하여, 용기내부를 좌우 2부분으로 구획하고, 기구 부착 패널(3)의 양측에 기구를 배열하는 것 등이었다.
즉 전자는 (제1도에 표시한것) 유니트내에 기구가 평면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집합 제어반의 표면에서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 관리유지와 점검도 용이하며, 구조도 간단하게 할수 있는 반면에, 기구가 평면적으로 부착되므로, 이들 유니트의 기구 부착면과, 표면 도아와의 간격은, 각종 부착기구들중, 규격이 제일큰 기구에 의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기구 부착면의 혼잡성에도 불구하고 공간의 이용율은 낮아지지 않을수 없을뿐더러, 표면 도어와 유니트 용기 사이에 부설되는 기구(예를 들면 주 차단기 조작 핸들 등)가 있는 경우, 해당부위의 치수는 매우 정밀하게 해야되며 여러가지의 구조체에 그 영향을 주게된다. 더구나 , 기구가 평면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서, 기구 하나의 고장이 인접한 다른 기구에 파급되기 쉽고, 생각지도 않는 커다란 고장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기구 상호간에 격자판등을 설비하는 것은, 유니트 용기를 커지게 할 뿐만 아니라, 또한 가격이 상승된다. 또, 후자는(제2도에 표시한것) 용기 내부를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전자에 비교하여 공간의 이용율은 향상되고, 집합 제어반의 표면 일부를 유니트 용기의 표면패널에도 가지고 있으므로 그위에 부착되는 기구와 용기내에 부착되는 기구 사이에 관련성이 있더라도, 그 조정은 간단하며, 유니트 용기와 제어반의 상자체간의 관련 치수를 매우 정밀하게 하지않아도 되며 전기 배선도 유니트의 수용기구 사이에서만 배선하고 상자체 즉에는 다만 그들의 출력 및 입력 배선만 하면 되므로, 작업성이 좋아진다. 그러나, 그 반면, 기구는 제어반 표면에 대하여 각각 좌우로 90° 엇갈리게 부착되므로, 주로 전면에서 조작하게되는 주 차단기의 조작핸들을 주 차단기에 결합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고, 또한 표면 패널이 고착되어 있으므로, 내부 기구의 관리유지, 점검에 관하여는, 반드시 유니트 용기의 태반을 제어반 상자체 밖으로 인출하여 작업을 행하게 되므로, 그로 인하여 용기 전체의 중량을 지지하는데 충분히 견고한 레일 인출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장치를 유니트 용기와 상자체의 사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유니트 용기와 집합 제어반의 상자체의 치수를 더욱 정밀하게 해야되며 또한 레일 인출 장치도 상당히 고가로 되므로 집합 제어반의 가격을 상승시키게 된다.
더구나, 유니트 용기내부는 단순히 두부분으로 구분되어 있을뿐으로 장치의 안정성의 향상에는 그다지 이바지하지 못하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한 기계사이에서의 고장의 파급이 감소되지 않는다.
이러한 내용을 제4도 및 제5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금, 전자개폐기 MC의 전원측 압착단자(27-1)~(27-3)의 사이, 또는 단자(28-1)(28~3)의 사이가 어떠한 이유로 해서 절연파괴가 일어나서, 여기서 단락현상이 발생했다고 할때, 전자개폐기 MC로부터 전원측에 가까이 결선되는 퓨우즈에는 아아크단락에 의한 고장전류가 흐르므로 퓨우즈 F는 녹아서 끊어진다.
그러나, 퓨우즈 F가 끊어지기 까지 흐르는 고장전류에 의하여, 압착단자(27-1)~(27-3)사이, 또는 단자(28-1)(28-3)사이의 아아크는 성장되고, 전자개폐기 M C 근방의 공기는 급속히 아아크 에너지에 의하여 이온화되어서 공기의 절연저항은 급속히 저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퓨우즈 F의 전원측 압착단자(23-1)~(23-3) 사이, 및 단자 (24-1)~(24-3) 사이에는 전원측 배선(20)을 거쳐서 정격(定格)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므로, 이부분에서도 대기중 방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만일, 이부분에서 아아크단락이 생기면, 제5도에 있어서 퓨우즈 F의 하측에서 일어나는 사고전류를 퓨우즈 F로 보호할려고 하는 역할을 다할 수 없게 되므로, 나아가서는 단자 (28-1)~(28-3) 사이에서 생긴 사고가 전원측에 파급하게 된다. 또한, 전자개폐기 MC의 다른쪽에는 부하측 배선(22)이 배설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조작이 용이하고, 보수및 점검이 편리하고, 유니트 용기의 공간적 이용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동시에, 용기내부를 주 차단기실, 주 접촉기실, 계전기실 등으로 구분하므로서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니트 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다음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 및 제7도에 있어서, (1)은 4변을 절곡시킨 유니트 용기의 전면패널이며, 제어반의 표면일부를 형성한다.(부호(1') 및 (1")도 같다). 이 전면 패널(1)은 유니트 용기의 골격프레임(2)의 전면에, L자형의 수직프레임 프레임(3)을 개재하여 부설되고, 또한 이탈가능하게 되어있다.
(2)는 유니트의 골조를 구성하는 골격 프레임이며, 하부 좌우에 ㄷ 형상을 한 골격 프레임(2-1),(2-2)를 놓고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같은 형상의 골격 프레임(2-3),(2-4)으로 형성된다. (3)은 이 골격 프레임(2)의 전면단부에 고착된 전면패널 (1)을 부착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4)는 유니트 용기의 전방기구부착 패널로서, 전면 패널 (1)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이 주 차단기실이 되도록 구성되며, 프레임(2)의 상방에 수직으로 고착된다. (5)는 유니트 용기의 후면단부에 위치하며, 패널(4)과 마찬가지로, 프레임(2)의 상방에 수직으로 고착된다. 패널(4) 및 (5)에는, ㄴ 자형의 취부편(7) 및 (8)이 설치되어 있고, 이 취부편(8)과 (8)을 개재하여 기구 부착패널(6)이 패널(4) 및 (5)로 둘러싸인 공간을 좌우 두부분으로 구획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된다. (6)은 좌측 용부착 패널(6-1)과, 우측용 부착 패널(6-2)로 형성되고, 유니트 용기의 후방부분을 두부분으로 분할하여 예를 들면, 우측구분내에는 주 접속기 및 CT 등의 주 회로 기구를, 또 좌측 구분내에는 장치의 제어 계전기류를 설치하는 등으로 구분되어 배열된다.
(9)는 주 차단기실 내에 무착하는 과부하 릴레이 또는 보조회로용 퓨우즈등을 부착하기 위해 패널(4)에 설치한 부착판이다.11은, 주 회로 차단기의 한예로서 배선용 브레이커를 표시한다.
(11')은, 브레이커(11)의 외부 조작 핸들이고, (12)는 주 회로용 전자개폐기 이며, (13)은 CT,(14)는 보조계전기, (15)는 제어전원 변압기등을 표시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6-1),(6-2) 위에 정연하게 구분되어 부설된다.(16)은 유니트용 기인출 핸들 겸 쇄정(鎖錠)장치이다.(17)은 프레임(3)에 부설된 패널(18)상에 설치된 신호등 및 조작 스위치류이고, 패널(1)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또 핸들(11')도 패널(1)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표면에 노출되어 있고, 따라서 패널(1)위에는 아무런기구도 부착되어 있지않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니트의 용기를 패널(4),(5),(6)에 의하여 세부분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분내에 주 차단기, 주 접촉기, 보조 계전기 등을 배치하였으므로, 1구획내에서 사고가 발생했다 하더라도 그사고로 말미암아 전원측의 단락 사고로 발전될 위험은 거의 없다. 또 보수, 점검작업은 유니트 용기를 제어반으로부터 전부 인출시킨 상태체서 행하는 것이지만, 떼어내는 전면패널(1)에는 아무 기구를 부착하지 않으므로, 유지관리가 편리하다. 또, 주요기기인 브레이커(11), 전자개폐기(12) 및 보조계전기(14)가 패널(4),(5),(6)에 의하여 보호되므로, 전기식 신뢰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니트 용기를 수납하는 집합제어반자체를 소형, 고성능으로 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집합 제어반의 유니트 용기에 있어서, 집합 제어반의 표면 일부를 형성하고 자유로 떼어낼수 있는 전면 패널(1)과, 용기의 골격프레임(2)에 수직으로 고착된 전방 기구부착 패널(4)와, 후방기구 부착 패널(5)에 의하여 용기내부를 전후 두부분으로 구획하고, 상기 부착패널(4) 및 (5)에 부착편(7),(8)을 개재하여 부설되는 기구 부착 패널( 6)을 설치하며, 이에 의하여 후측구분을 다시 푸부좌측부분과, 후부 우측부분으로 구분하여 합계 3구획을 구성하고,각기 3구획실내를, 주 차단기실, 주요기기실. 보조 계전기실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 제어반의 반출이 가능한 유니트 용기.
KR740004713U 1974-08-09 1974-08-09 집합 제어반의 반출 가능한 유니트 용기 KR790002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4713U KR790002202Y1 (ko) 1974-08-09 1974-08-09 집합 제어반의 반출 가능한 유니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4713U KR790002202Y1 (ko) 1974-08-09 1974-08-09 집합 제어반의 반출 가능한 유니트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2202Y1 true KR790002202Y1 (ko) 1979-12-29

Family

ID=1920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4713U KR790002202Y1 (ko) 1974-08-09 1974-08-09 집합 제어반의 반출 가능한 유니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22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83587A (en) Circuit breaker panels
US20080259531A1 (en) Dc switchgear provided with a commutation-type dc circuit breaker
US1902790A (en) Panel-board and panel-board construction
US2424345A (en) Switchgear
KR790002202Y1 (ko) 집합 제어반의 반출 가능한 유니트 용기
US4413306A (en) Tamper prevention housing for a watt-hour meter and overload protected switch
US3787713A (en) Service section switchboard with horizontally extending bus bar stack and means for mounting some circuit breakers with load terminals facing vertical wiring trough and other circuit breakers with load terminals facing horizontal wiring trough
US3348103A (en) Class 1, division 2, panel board
US4133994A (en) Cell of low-voltage feed and distribution cellular switchboard
CN219918046U (zh) 一种开关柜
US3205410A (en) Panel assembly comprising electric circuit breakers and fuses
JP2888865B2 (ja) 配電線の電力積算装置及び分電盤
JP2876372B2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CA2872199A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switchgear assembly, and mounting member therefor
RU2279746C1 (ru) Вводн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S6138326Y2 (ko)
JP3237743U (ja) 低圧配電盤
CN220934681U (zh) 一种高原型直流开关柜
AU2019202584B2 (en) Switchgear cabinet with improved arrangement of a short-circuit device
JPH051923Y2 (ko)
KR200398670Y1 (ko) 멀티타입 배선용 차단기 받침대를 갖는 분전반
JP2635700B2 (ja) 受電用ガス絶縁変圧器盤
KR200365193Y1 (ko) 발전기를 내장하는 배전반
RU39752U1 (ru)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JP2007037246A (ja) 配電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