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892Y1 - 박리층부(剝離層付)양면 점착테이프의 접착기 - Google Patents

박리층부(剝離層付)양면 점착테이프의 접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892Y1
KR790001892Y1 KR7400094U KR740000094U KR790001892Y1 KR 790001892 Y1 KR790001892 Y1 KR 790001892Y1 KR 7400094 U KR7400094 U KR 7400094U KR 740000094 U KR740000094 U KR 740000094U KR 790001892 Y1 KR790001892 Y1 KR 790001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resser
adhesive laye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오 아미야
쥬우조 아끼야마
게이사부로 도자와
사부로 다나까
마사오 무라가미
따다스 가와시마
마사루 가와끼다
Original Assignee
모리다 아끼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다 아끼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다 아끼오
Priority to KR7400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8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65H35/0033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ffixing it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 B65H2701/3772Double-sided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박리층부(縛離層付)양면 점착테이프의 접착기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
제1도는 테이프의 일부 확대측면도.
제2도-제6도는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
제2도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일부 절결측면도.
제4도는 제3도 IV-IV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 V-V선 단면도.
제6a도-제6e도는 테이프 압착조작을 설명하는 요부의 확대단면도.
제7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측면도.
제8a도-제8e도는 박리지부(縛離紙付) 양면 점착테이프의 압착작용을 설명하는 확대단면도.
본 고안은, 양면 점착성이 있는 점착층을 박리층에 적층(積層)한 박리층부(縛離層付) 양면 점착테이프를 수납(收納)하고, 이 테이프를 순차로 풀어내면서 그 점착층을 피접착체면에 순차로 접착하도록 한 박리층부 양면 점착테이프의 접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접착기에 의한 테이프 접착작용을 제8a도-제8d도에 의해 설명하면 우선 제8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압착자(壓着子)(51)에 의하여 양면 점착테이프(52)를 그 박리층(이하 박리지라고 함)(53)측에서 압압하여 그 점착층(54)을 피접착체면(55)에 압착한다. 다음 이상태로 제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압착자(51)을 피접착체면(55)를 따라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접착체면(55)에 대한 점착층(54)의 달라붙는 성질을 이용하여 테이프(52)를 화살표 (b)방향으로 순차로 뽑아내면서 그 점착층(54)를 피접착체면(55)에 순차로 압착한다. 상기 테이프 압착후는 제8c도에 도시함과 같이 테이프 압착자(51)를 박리지(53)과 함께 피접착체면(55)에서 잡아떼어서 점착층(54)를 제8d도에 보는 바와 같이 끊어서 테이프 접착 조작이 끝나는 것인데, 이 경우 제8d도와 같이 점착층(54)이 끊길 때에 그 접착층(54)는 테이프 압착자(51)의 바로 밑에서 절단되지 않고, 약간이기는 하나 이 테이프 압착자(51)의 바로 밑보다는 반드시 테이프가 풀리는 방향 후방측에 가까운 위치(56)에서 절단된다. 이 때문에 다음에 테이프 압착시에는 제8e도와 같이 테이프 압착자(51)로 테이프(52)를 피접착체면(565)에 압착할 때에 점착층(54)를 피접착체면(55)에 달라붙음이 없으니까, 테이프 압착자(51)를 상술한 바와 같이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상술한 바와 같은 테이프가 풀리는 작용은 생기지 않아 원하는 테이프접착을 시킬 수 없다. 즉, 통상 박리지(53)에는 접착층(54)의 박리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표면에 실리콘 박리처리등을 하여 미끈미끈한 면이 되게 한 종이나 또는 합성수지 필름과 같은 표면이 매끄러운 것이 사용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표면이 매끄럽고 피접착체면(55)에 대한 마찰력이 적은 박리지(53)을 테이프 압착지(51)에 의해 제8e도와 같이 피접착체면(55)에 늘르는 상태에서 이 테이프 압착자(51)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이 테이프 압착자(51)을 아무리 강하게 피접착체면(55)측에 누를지라도 이 박리지(53)은 피접착체면(55)에 대하여 미끄러질 뿐이고, 상술한 바와 같은 테이프의 풀리는 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박리지부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접착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지극히 곤란한 문제가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제품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현재 시판되어 있는 유일한 제품에 HERMA fix(상품명)라는 양면 점착테이프의 접착기가 있지만, 이것은 층간(層間) 박리가 용이한 특수 기재(基材)로 되어 있고 적당한 길이로 절선을 넣은 독특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전용기이며, 극히 일반적인 박리지부 양면 점착테이프는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기어 4개와 로울러 3개로 된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대형이며 고가인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함을 시정하려는 목적으로 고안된 것으로서, 양면 점착성의 점착층과 이 점착층을 적층한 박리층을 구비한 박리층이 붙은 양면 점착테이프를 테이프 수납부내에 수납하여, 이 테이프를 사익 점착층이 상기 박리층의 외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테이프 조출부(繰出部)에 풀어내고 이 테이프 조출부에 마련한 테이프 압착자고 테이프를 그 점착층 측에서 피접착체면에 압착시킴으로써 상기 테이프 압착자가 왕동(往動)위치에 왕동하고 또 상기 압착을 풀어줌으로써 테이프 압착자가 복동(復動)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이 테이프 압착자를 왕복운동이 자재토록 구성하고, 상기 테이프 조출부보다 테이프 수납부측에 위치하고 또 테이프 압착자의 왕복운동으로는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는 테이프 기준점에서 상기 테이프 압착자의 테이프 접촉점까지의 테이프 압착자의 복동 위치에서의 테이프 패스의 길이가, 테이프 압착자의 왕동위치에서의 상기 테이프 패스의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극히 일반적인 박리층부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고 또한 이 테이프를 거듭 원활, 확실하게 조출하면서 소망의 접착 조작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또 구조 및 제작이 간단하고 소형이고 염가인 것을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테이프 기준점은 테이프의 권경(卷徑)의 변화에 따라서 변하나 여기서 말하는 테이프 기준점은 테이프의 압착에서 비 압착으로 바뀔 때의 순간적 위치를 말한다. 또 테이프 압착용 테이프 접촉점으로서 폭이 있는 경우에는 테이프 수납부 가장 가까운 위치를 가리킨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먼저, 이 시릿예에서 사용되는 박리지부 양면 점착테이프(이하 간단히 테이프라 함)(1)을 제1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박리지(2)의 편면(片面)에 양면이 점착성이 있는 양면 점착층(3)을 적층한 테이프로서 통상 이 테이프(1)은 환상의 권심(4)에 감겨져 있다.
박리지(2)로서는 통상 표면에 시리콘 박리처리층을 형성한 종이재나 아니면 각종 합성수지 필름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점착층(3)으로서는 하나의 점착체층으로 된 것이나, 또는 기재의 양면에 엷은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도 좋다. 그리고 점착층(3)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비닐에테르계, 포리부타젠계 이소푸렌계의 합성수지계 점착제나, 천연고무, 합성고무등의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고무계 에치렌 초산 비닐계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3)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줄모양의 절단 예정부를 형성시켜 후술하는 점착층(3)의 절단을 용이케 구성할 수도 있다.
제2도-제6도는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테이프(1)를 수납하는 접착기(5)를 제2도-제5도에 의거 설명하면, 이 접착기(5)는 각각 프라스틱 모울드 성형된 본체(6)과 개체(蓋體)(7)로서 되어 있고 이 본체(6)와 개체(7)와는 상호로 성형된 환상요부(凹部)(8)와 그 환상요부(8)에 끼워 맞추는 환상철부(凸部)(9) 및 침상(針狀)철부(10)와 그 침상 철부(10)에 감합할 침상요부(11)등에 의한 상호 감합용의 요철부에 의해서 서로 감착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6)내에 마련된 원형상의 테이프 수납부(12)의 거의 중앙위치에는 테이프 지지환(支持環)(13)이 일체적으로 또 동심원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상술한 테이프(1)이 그 권심(4)에 의해 이 테이프지지환(13)에 외감(外嵌)된 상태로 이 테이프 수납부(12)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본체(6)의 상기 테이프 수납부(12)에서 일측방으로 약간 기울어진 위치의 하면은 편평면(扁平面)(14)로 형성되어 있고, 이 편평면(14)에 테이프 조출부(15)가 개구(開口)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테이프 조출부(15)에는 테이프 압착자(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이프 압착자(16)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등으로 된 탄성판(17)의 하단(17a)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단(17)를 상기 본체(6)에 형성된 감합구(구)(18)내에 감합되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본체(6)에 고정된 탄성판(17)의 하단(17a)에 이 테이프 압착자(16)이 형성되어 잇다. 그리고 이 테이프 압착자(16)은 상기 편평면(14)보다 약간 하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이 테이프 압착자(16)은 테이프 폭과 같은 거의 원주상(圓柱狀)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주면(柱面)은 테이프(1)의 박리지(2)에 대한 마찰저항이 적도록 평활하게 만들던가 또는 포리에치렌, 태푸론등의 피복박막(19)으로 피복되어 있다. 또 이 테이프 압착자(16)에는 회전자재의 로울러본체(6)에 일체가 되게 돌설되어 있다. 또 탄성판(17)의 전방측 즉 스톱퍼핀(20)과는 반대측 위치에 스톱퍼부(21)이 본체(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판(17)은 그 상단(17b)를 지점으로 하여 스톱퍼핀(20)과 스톱퍼부(21)과의 사이에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상태로 있고, 이 탄성판(17)의 요동으로 테이프 압착자(16)이 편평면(14)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된다. 테이프 압착자(16)의 전방 위치에는 상기 테이프(12) 박리용의 쐐기형상부(22)가 상기 본체(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쐐기형상부(22)의 상면을 따라 상기 박리지(2)의 인출통로(2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쐐기형 상부(22)의 하면(22a)는 편평면(14)와 거의 평행된 면에 형성되고 또한 이 하면(22a)와 편평면(14)와의 사이에는 간극(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쐐기형상부(22)의 표면 및 스톱퍼핀(20)의 주면은 비점착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면은 각각 실리콘, 테푸론, TFE등의 피복박막(25)로 피복되어 있다. 또한 쐐기형상부(22)의 상단 근방부분에는 전기 인출통로(23)내를 향하여 돌출한 거의 수직상의 박리지 절단도(切斷刀)(26)이 쐐기형상부(22)부분에 형성된 감합구(27)내에 일부를 감합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수납부(12)와 테이프 조출부(15)의 사이에는 테이프 수납부(12)측을 향하여 끝이 넓어진 형의 테이프 삽통로(揷通路)(28)이 형성되어 있고, 테이프 수납부(12)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테이프(1)이 이 테이프 삽통로(28)내를 거쳐 탄성관(17)과 스톱퍼핀(20)사이의 통로(29)에서 테이프 조출부(15)의 테이프 압착자(16) 밑으로 인출되어 있다. 또 전회(前回)의 테이프 접착시에 점착층(3)에서 박리된 박리지(2)가 제3도와 같이 인출통로(23)를 통하여 비스듬히 위로 인출되어 있다.
상기의 통로(29)는 테이프 수납부(12)에 대한 테이프 교환시등 본체(6)에서 개체(7)을 떼어낸 상태에서는 염려있어 테이프 장전(裝塡)을 용이하게 하고 테이프 교환 후 등 본체(6)에 개체(7)를 감착하면 닫히게 된다. 즉 개체(7)을 본체(6)에 감착한 때에는 탄성판(17)의 상하 중간부가 그 전면(17C)측에 닿아서 이를 탄성에 항(항)하여 스톱퍼핀(20)측으로 눌르는 쐐기형돌기(30)이 개체(7)측에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따라서 개체(7)을 본체(6)에 감착하면 이 쐐기형돌기(30)에 의하여 탄성관(17)이 제3도 가상선(假想線)의 상태에서 제3도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부러져 스톱퍼핀(20)에 탄성적으로 닿아 상기통로(29)까 자동적으로 닫힌다. 그리하여 이 스톱퍼핀(20)과 탄성판(17)에 의하여 테이프 조출 브레이크기구(31)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 테이프 접착조작을 제6a도-제6e도에 의거 설명한다.
제6a도에 보는 바와 같이 테이프(1)은 미리 테이프 조출부(15)의 테이프 압착자(16) 밑에 인출되어 있고 또 통로(29)는 닫힌 상태에 있어 테이프(1)은 탄성판(17)과 스톱퍼핀(20)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어있다. 그리고 전회의 테이프 접착시에 점착층(3)이 박리된 박리지(2)가 인출통로(23)를 거쳐 비스듬히 위로 인출되어 있다. 이 경우 테이프압착자(16)는 테이프 조출방향(A)와는 역방향(B)으로 복동한다.
이 상태에서 제6b도에 보는 바와 같이 접착기(5)의 편평면(14)측을 피접착체면(32)에 압접하면 테이프 압착자(16)에 의하여 테이프(1)이 그 박리지(2)측에서 눌려서 그 점착층(3)이 피접착체면(32)에 압착된다. 그리고 그 테이프 압착력의 반력(反力)으로 탄성판(17) 및 테이프 압착자(16)이 제6b도 가성선의 상태에서 제6b도 실선의 상태로 된다. 즉 탄성판(17)이 그 탄성에 대항하여 스톱퍼부(21)측으로 휘어서 이 탄성판(17)과 스톱퍼핀(20)과의 사이의 통로(29)가 다시 열레 상술한 테이프의 누룸상태가 해제되고 테이프(1)의 점착층(3)부분의 스톱퍼핀 (20)으로부터 떠오름과 동시에 테이프 압착자(16)이 테이프 조출방향(A)측으로 왕동하고, 전회의 테이프 접착시에 절단된 점착층(3)의 전단이 이 테이프압착자(16)의 바로 밑에서 피접착체면(32)와의 사이에 확실하게 끼인다. 이때에 스톱퍼핀(20)의 주면이 비점착성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1)의 점착층(3)은 이 스톱퍼핀(20)에서 용이하게 이탈된다. 또 스톱퍼부(21)은 테이프 압착자(16)의 필요이상의 이동을 저지하고, 이 테이프 압착자(16)과 쐐기형상부(22a)의 쐐기 선단부(22b) 사이에 적당한 간극(33)을 유지한다. 즉 이 간극(33)이 너무 좁으면 테이프 압착자(16)과 쐐기선단부(22b)의 사이에서 박리지(2)가 끼여서 테이프의 조출이 불능케 된다.
다음 이 테이프 압착사애ㅌ인 채로 제6c도와 같이 접착기(5) 전체를 그 편평면 (14) 부분으로 피접착체면(32)위에서 끄는듯이 하여 테이프 압착자(16)을 제6c도 가상선의 상태에서 제6c도 실선의 상태와 같이 피접착체면(32)을 따라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상기의 테이프 압착에 의하여 점착층(3)이 피접착체면 (32)에 이미 압착되어 있으므로 이 점착층(3)의 피접착체면(32)에 대한 달라붙음에 의하여 테이프 압착자(16)의 상기 이동에 따라 테이프(1)이 테이프 수납부(12)내에서 테이프 조출부(15)로 순차로 조출되며, 이 조출된 테이프(1)은 테이프 압착자(16)에 의해 그 점착층(3) 부분에서 피접착체면(32)에 순차 압착되어 나간다. 그리고 이때 테이프 압착자(16)은 테이프(1)의 박리지(2)위를 매우 원활하게 미끄러져 나가면서 상술한 테이프조출 작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테이프 압착자(16)과 박리지(2)간의 마찰력이 크면 테이프 압착자(16)이 박리지(2)에 걸려서 테이프조출이 저해될 뿐 아니라 테이프 압착자(16)이 박리지(2)를 불규칙적으로 잡아당겨 점착층(3)이 불규칙적으로 끊어지는 등 동작이 불확실하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프 압착작용시에 순차 조출되어 불필요하게 된 박리지(2)는 쐐기형상부(22)부분에서 점착층(3)으로부터 박리되어 인출통로(23)을 거쳐 비스듬히 위로 인출된다. 이 경우 쐐기형상부(22)의 표면이 비점착성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박리지(2)는 쐐기형상부(22)에서 점착층(3)으로부터 확실하게 박리되면서 인출통로(23)로 원활히 사상방(斜上方)으로 인출된다.
박리지(2)에서 박리되어 피접착체면(32)에 압착된 점착층(3)은 접착기(5)의 상술한 이동에 따라서 이 접착기(5)에 대하여 쐐기형상부(22) 밑의 간극(24)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 경우 쐐기형상부 하면(22)의 편평면(14)에 대한 높이(d)는 박리지(2)의 두께(tr) 및 점착층(3)의 두께(ta)(제1도 참조)에 대하여 10tr>d>t의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가령()d<ta이면 압착된 점착층(3)이 쐐기형상부 하면(22a)에 접촉하여 손상되거나 쐐기형상부 하면(22a)에 부착되므로 동작이 불확실하게 된다.
그러나 (d)가 지나치게 커서 예를 들어 (tr)의 10배 이상으로 되면, 이번에느 박리지(2)가 쐐기형상부 하면(22a) 밑에 끼어들어 이 경우도 동작이 불확실한 것이 된다. 그러므로 박리지(2)의 끈기(접착력)의 강도에도 다소 좌우되지만(d)를 3-5(tr)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 쐐기형상부(22)의 쐐기각(θ)는 상술한 박리지(2)의 박리작용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데, 이 쐐기각(θ)는, 70°θ10°로 형성되어 있다. 즉 박리지(2)의 절곡(折曲)성능의 한계로 (θ)를 70°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쐐기형상부(22)의 물리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θ)가 너무 작은 것도 문제이며 (θ)는 10°이상이 필요하게 된다. (θ)의 가장 적합한 범위는 30°-40°정도이다.
상기 테이프 압착후에는 제6d도와 같이 접착기(5) 전체를 들어올려서 테이프 압착자(16)을 박리지(2)와 함께 피접착체면(32)에서 떼어내어, 점착층(3)을 그림과 같이 끊어서 테이프 접착조작을 완료한다.
그리고 접착기(5)를 들어올린 순간에 테이프 압착자(16)은 무부하(無負荷)상태로 되므로 탄성판(17)은 스톱퍼핀(20) 측에 자동적으로 탄성복귀하여 탄성판(17) 및 테이프 압착자(16)은 제6d도 가상산의 상태에서 제6d도 실선의 상태로 된다. 즉 탄성판(17)이 스톱퍼핀(20)과의 사이에서 다시 테이프(1)을 탄성적으로 협착시킴과 동시에 테이프 압착자(16)이 테이프 조출방향(A)와는 반대방향(B)측으로 자동적으로 복동된다. 이 결과 테이프 압착자(16)은 테이프 (1)측 점착층(3)의 끊어지는 선단위치(34)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점착층(3)이 끊어질 때 점착층(3)은 일반적으로 테이프 압착시에 테이프 압착자(16)이 닿았던 부분 즉 제6d도 가상선의 위치에 있는 테이프 압착자(16)의 바로 밑에서 테이프 조출방향 후방측에 약간 기운 위치(34)에서 절단된다. 그리고 테이프 압착자(16)의 복동은 그 기운 위치(34)에서 절단된 점착층(3)측으로 이 테이프 압착자(16)을 끌어당기기 위한 것이다.
즉 제6d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 수납부(12)내에 위치한 테이프 압착자(16)의 왕복운동으로는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는 테이프기준점(P1)에서 테이프 압착자(16)의 테이프 접촉접(P2)까지의 테이프 압착자(16)의 상기 복동위치에 있어서의 테이프 패스(TP1)(제6d도 실선의 테이프 패스)의 길이가, 테이프 압착자(16)의 상기 왕동 위치에 있어서의 테이프 기준점(P1)과 테이프 압착자(16)의 테이프 접촉점(P3)까지의 테이프 패스(TP2)(제6d도 가상선의 테이프 패스)의 길이보다 작아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쌍방의 테이프 패스(TP1),(TP2)의 차는 테이프(1)의 구성(테이프의 두께등)이나 테이프 압착자(16)의 형상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mm 또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만약 상기와 같은 테이프 압착자(16)의 복동(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테이프 압착자(16)이 제6d도 실선의 위치에 고정된 채로 다음번의 테이프 압착조작이 이루어진 때에는, 이 테이프 압착자(16)은 테이프(1)의 점착층(3)이 없는 부분을 압압하게 되어 박리지(2)만을 피접착체면(32)으로 밀어 점착층(3)은 피접착체면(32)에 압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제6c도에 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압착자(16)을 이동시켜도 피접착체면(32)에 대한 박리지(2)의 마찰력이 적기 때문에 박리지(2)가 피접착체면(32)에 대하여 미끄러질 뿐 테이프(1)의 조출은 이루어지지 않고, 소망의 테이프 접착은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테이프 압착자(16)이 끊긴 점착층(3)의 선단위치(34)측에 자동적으로 복동되므로, 제6e도와 같이 다음의 테이프 접착을 하기 위하여 테이프 압착자(16)으로 테이프(1)을 피접착체면(32)에 압착한 때에, 점착층(3)은 테이프 압착자(16)에 의하여 피접착체면(32)에 확실하게 압착된다. 즉 상기복동에 의하여 테이프 압착자(16)은 테이프(1)의 점착층(3)이 있는 부분을 확실하게 압압하게 되므로 테이프 접착동작을 되풀이하여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테이프 접착시에 인출통로(23)에서 인출된 불필요한 박리지(2)는 절단도(26)부분에서 자유로이 끊어낼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테이프 접착시외에, 즉 접착기(5)를 피접착체면(32)에서 떨어져 있는 한, 브레이크 기구(31)의 작용에 의하여 테이프(1)은 스톱퍼핀(20)과 탄성판(17) 사이에 눌려 있으므로, 박리지(2)의 절단시에 이 박리지(2)에 테이프 조출방향(A)측에의 인장력(引長力)이 작용하여도 테이프의 불규칙적 조출은 일어나지 않고, 박리지(2)를 절단도(26)부분에서 항상 확실하고도 안전하게 절단할 수가 있다.
제7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본체(6)에는 지점핀(37)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搖動)자재의 요동체(38)가 그 후단측에서 추지(樞支)되어 있다. 이 요동체(38)은 본체(6)에 일체적으로 돌설된 스프링받이 핀(39)에 권장(卷裝)된 권조(卷)스프링(40)에 의하여 일측방으로 부세(附勢)되어 있어 상기 본체(6)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누름(41)과의 사이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브레이크기구(31)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테이프 압착자(16)은 제1실시예와 같이 탄성판(17)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이 탄성판(17)은 상기 요동체(38)에 형성된 아래쪽을 향하여 끝이 넓어진 형상의 3각형 할구(割溝)(42)내에 감합됨과 동시에 그 상단(17b)가 이 요동체(38)에 고정되어 있다. 용동체(38)의 선단에는 손가락을 거는 부분(43)이 형성되고, 지점핀(37)을 중심으로 하는 제7도 시계방향의 요동체(38)의 요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부(44)가 본체(6)에 잉ㄹ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수납부(12)내에 테이프(1)의 장전시에는 먼저 손가락을 거는 부분(43)에 손가락을 걸고 요동체(38)을 제7도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점핀(37)을 중심으로 하여 권조스프링(40)에 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테이프 누룸(41)과 요동체(38)과의 사이에 통로(29)를 연다. 이 상태에서 테이프 수납부(12)내에 테이프 (1)을 장점하고 상기 통로(45)를 통하여 테이프(1)을 테이프 조출부(15)에 인출한다. 그 후 손가락을 거는 부분(43)에서 손가락을 떼면 요동체(38)은 권조스프링(40)에 의해 지점핀(37)을 중심으로 제7도 실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 반대쪽으로 요동하고, 테이프ㅣ(1)은 테이프누룸(41)과 요동체(38)와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끼여진다. 또 이 경우 ㅔ이프누룸(41)의 표면은 제1실시예와 같이 비점착성면에 형성되어 있고, 점착층(3)이 이 테이프 누룸(41)에 부터 버리는 일은 없다. 또한 전회의 테이프 접착시에 점착층(3)이 벗겨진 박리지(2)의 선단부분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요동체(38)과 쐐기형상상부(22)와의 사이에 형성된 인출통로(23)을 통하여 사상방으로 인출해둔다.
이 상태로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접착기(5)의 편평면(14)를 피압착체면(32)측에 압접하면 우선 요동체(38)이 지점핀(37)을 중심으로 권조스프링(40)에 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요동하여 스톱퍼부(44)에 닿아 제7도 가삳ㅇ선 상태로 되고, 통로(29)가 열린다. 그리고 잇따른 압접작용에 의하여 이번에는 탄성판(7)이 3각형 할구(42)내에서 요동체(38)에 대하여 그 상단(17b)를 중심으로 하여 테이프 조출방향(A)측에 탄성에 향하여 휘어진다. 즉 테이프 압착자(16)은 제1실시예와 같이 테이프 조출방향(A)측으로 왕동되는데 이때의 테이프 압착자(16)의 왕동작용은 요동체(38)의 요동과 탄성판(17)의 탄성에 의한 휘임 작용에 의한 2단 작동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테이프 압착조작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테이프 압착후 접착기(5)를 제1실시예와 같이 피접착체면(32)에서 이탈시키면 요동체(38)이 권조스프링(40)에 의하여 제7도 실선의 상태로 복동하고, 테이프(1)은 다시 테이프 누룸(41)과 요동체(38)와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인다. 또 테이프 압착자(16)은요동체(38)의 복동작용과 탄성판(17)의 탄성복귀 작용으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테이프 조출방향(A)와는 반대방향(B)에 복동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압착자를 테이프 압착시에 왕동하고 압착을 해제한 때에 복동시키도록 왕복동이 자재토록 구성하고, 테이프 조출부보다 테이프 수납부측에 ㅜ이치하고 또 테이프 압착자의 왕복운동에 의해서는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는 테이프 기준점에서 테이프 압착자의 테이프 접촉점까지의 테이프 압착자의 복동 위치에 있어서의 테이프 패스의 길이가, 테이프 압착자의 왕동 위치에 있어서의 테이프패스의 길이보다 작게되도록 하여, 차회의 테이프 압착조작시에 테이프압착자가 반드시 테이프의 점착층이 있는 위치를 확실하게 압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일반적인 박리층부 양면 점착테이프를 계속 매우 원활 확실하게 뽑아내면서 소망의 접착조작을 확실하게 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테이프 압착자를 왕복동 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제작이 간단하여 소형이고 염가인 것이 얻엊진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점착성의 점착층(3)과 이 점착층을 적층한 박리층(2)을 각각 구비한 박리층부 양면 점착 테이프(1)를 테이프 수납부(5)내에 수납하고, 이 테이프를 상기 점착층(3)이 박리층(2)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테이프 조출부(15)에 조출하고, 이 테이프 조출부(15)에 마련한 테이프 압착자(16)으로 상기 테이프(1)을 그 점착층(3)측에서 피접착체면(32)에 압착시킴으로써 상기 테이프 압착자(16)이 왕동위치로 왕동하고 또 상기 압착을 풀어줌으로써 상기 테이프 압착자가 원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이 테이프 압착자를 왕복동이 자재토록 구성하고, 상기 테이프 조출부(15)보다 테이프 수납부(5)측에 위치하고 또 테이프 압착자(16)의 왕복동에 의해서는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는 테이프 기준점에서 테이프 압착자(16)의 테이프 접촉점까지의 상기 테이프 압착자(16)의 되돌아오는 위치에 있어서의 테이프 패스의 길이가, 상기 테이프 압착자의 상기 왕동위치에 있어서의 테이프 패스의 길이 보다 작도록 구성한 박리층부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접착기.
KR7400094U 1974-01-01 1974-01-01 박리층부(剝離層付)양면 점착테이프의 접착기 KR790001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94U KR790001892Y1 (ko) 1974-01-01 1974-01-01 박리층부(剝離層付)양면 점착테이프의 접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94U KR790001892Y1 (ko) 1974-01-01 1974-01-01 박리층부(剝離層付)양면 점착테이프의 접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892Y1 true KR790001892Y1 (ko) 1979-11-02

Family

ID=1919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94U KR790001892Y1 (ko) 1974-01-01 1974-01-01 박리층부(剝離層付)양면 점착테이프의 접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8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2956A (en) Pressure-sensitive tape applicating system
US5595626A (en) Tape dispenser
US2400435A (en) Dispensing device
JP4303998B2 (ja) 粘着テープカッター
CN105473477B (zh) 用于诸如双面胶带的胶带的施用装置
KR101288057B1 (ko) 테이프 송출 장치 및 테이프 부착기
US7255767B2 (en) Single hand operation adhesive tape dispenser
JPH05503278A (ja) テープ分配器
KR790001892Y1 (ko) 박리층부(剝離層付)양면 점착테이프의 접착기
US48244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tape product
US4978330A (en) Tab forming tape dispenser with tape passing over cutter
US6802354B2 (en) Hand-held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a total tape onto a substrate
KR800000358Y1 (ko) 테이프 접착기(接着器)
JP3998221B2 (ja) 転写具
US3348524A (en) Tape dispenser
JPS6213258B2 (ko)
US4944720A (en) Tab forming dispenser with tape passing under the cutter
JPH10330021A (ja) 粘着テ−プ貼付器
JP5260412B2 (ja) 両面テープ貼着方法
JP3566942B2 (ja) 錠剤押え
JP2736236B2 (ja) 粘着テープ貼付器
CN212558599U (zh) 一种双面胶胶带卷筒
JPH11322168A (ja) 粘着体転写装置
JP2001163509A (ja) 粘着テープの容器
JPH05193812A (ja) テープ貼付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