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641Y1 - 톱콤의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톱콤의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641Y1
KR790001641Y1 KR790004360U KR790004360U KR790001641Y1 KR 790001641 Y1 KR790001641 Y1 KR 790001641Y1 KR 790004360 U KR790004360 U KR 790004360U KR 790004360 U KR790004360 U KR 790004360U KR 790001641 Y1 KR790001641 Y1 KR 790001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er
plate
link
arm
top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04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야스노스게
Original Assignee
곤다 게이지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오속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곤다 게이지,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오속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곤다 게이지
Priority to KR790004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6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641Y1/ko

Links

Landscapes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톱콤의 작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톱 콤과 닙퍼플레이트의 동작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3도는 종래의 톱 콤과 닙퍼 플레이트의 동작관게를 나타내는 설명도
본 고안은 정소면기(精梳綿機)에 있어서의 톱 콤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4링크형 닙퍼기구(機構)로서 닙퍼지지 링크의 고정지축이 닙퍼의 하측에 있는 코우머(comber)기(機)에 있어서 톱 콤은 닙퍼에 직접 고정되어 그 닙퍼와 함께 전후진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닙퍼로부터 디텟칭 로울러로 받아지는 프리이스에 대하여 톱콤의 작용 깊이가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팁퍼의 전진시의 톱 콤 작용 개시시에는 얕고, 점차 깊어지는 궤적을 그리도록 일정화 되지 않고, 그 결과 확실한 정소면작용(코우밍작용)을 얻을 수가 없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결점을 감안해서 톱 콤을 닙퍼의 전후진운동과는 별도로 작동케 함으로써 프리이스에 대하여 톱 콤의 코우밍 작용시, 톱 콤의 작용 깊이를 닙퍼의 전진에 따라서 항상 일정하게 하여 확실한 톱 콤의 코우밍 작용을 할 수가 있는 톱 콤의 작동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술하며, 도면중 (1)은 정소면기의 기대(機合)프레임을 나타내며, (2)는 수평상으로 설치된 평판상(平板狀)의 닙퍼 프레임으로서 그 일단(도면의 우단)은 기대의 구동부(도시안함)에서 왕복 회동되는 닙퍼축(3)에 고착된 풋싱아암(4) 선단에 핀을 끼워서 회동 가능케 연접되고, 타단(도면에서의 좌단)은 기대의 일부에 장치된 실린더축(5)에 고착된 아암(60 선단에 핀을 끼워서 회동가능케 연접되어 있고, 그 닙퍼 프레임(2)은 닙퍼축(3)의 왕복회동에 의하여 약간의 원호(圓弧)를 그리고 전·후진 한다.
(7)은 닙퍼 프레임92)의 타단측부에 수평상으로 장설된 닙퍼 플레이트, (8)은 닙퍼 프레임(2)의 절결구(2a)에 회전 가능케 설치한 피이드 로울러로서, 닙퍼플레이트(7)의 상면에 접해서 프리이스를 그 닙퍼 플레이트(7) 선단부에 내보내는 것이다. (9)는 선단에 닙퍼 나이프(10)가 장설된 나이프아암으로서, 그 일던부가 닙퍼 플레이트(7)의 거의 중앙측부에 핀착(着)(11)됨과 동시에 일단은 링크(12)를 거쳐서 풋싱 아암(4)의 일부에 인접도어 있다.
이 나이프 아암(9)은 닙퍼 프레이(2)이 후진했을 때 닙퍼 나이프(10)를 닙퍼 플레이트(7) 선단에 접합시켜 전진했을 때 닙퍼플레이트(7)에서 멀러지도록 회동된다.
(13)은 상기 기대 프레임(1)의 도시 조단부에 현수 추락(樞着)(13a)된 된 톱 콤 레버로서, 그 하단부에는 침상(針狀)의 톱 콤(14)이 조절보울트(15)등에 의하여 수하상(垂下狀)으로 고정되고 이 톱콤(14)은 상기 닙퍼 플레이트(7)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16)은 상기 기대프레임(1) 상부에 축지된 회동축으로서, 취부(取付)아암(17)이 고착되고, 이 취부아암(17)의 하단은 상기 톱콤 레버(130의 거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핀착(着)(18)된 제1연결링크(19)와 회동 가능하게 핀(20)을 끼위서 연접되어 있다.
(21)은 상기회동축(16)에 고착된 제2연결링크로서, 그 일단은 거의 수평상으로 연출(延出)되어서 핀(21a)을 끼워서 수하상(垂下狀)으로 배설된 제3연결링크(22)의 상단에 연접되어 있고, 이 제3연결링크(22)는 그 하단이 상기 닙퍼축(3)에 고착된 연결아암(23)의 단부(端部)에 핀(24)을 끼위서 연접되어 있다. 이 톱콤(14)은 닙퍼축(3)의 왕복운동에 의해 톱콤 레버(13)와 함께 회동되는 것이다.
(25)는 상기 닙퍼 플레이트(7)의 전방에 장설되고, 또한 옹복 회동하는 보텀 디테칭 로울러(bottom detaching roller), (260은 그 로울러(25)의 상방에서 접하는 톱 디텟칭 로울러이다. 또 양 로울러(25)(26)의 접면은 닙퍼 를레이트(7)의 상면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되어 있고, 톱콤(14)의 하단은 닙퍼플레이트(7)의 전진증, 그 플레이트(7) 상면과 보텀 디텟칭 로울러(25) 및 톱 디텟칭 로울러(260의 전면과를 잇는 선, 소위 닙퍼플레이트(7)에서 양 로울로(25)(26)간에 보내지는 프리이스에서 톱콤(14)의 코우밍 작용시에 있어서, 하방에 임하도록 그 위치가 설정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에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금, 도시하는 상태, 즉 닙퍼-플레이트(7)가 닙퍼프레임(2)과 더불어 전진단에 위치하고, 또한 닙퍼 나이프(10)가 나이프아암(9)과더불어 닙퍼 플레이트(7) 상면에서 상방으로 멀어져 톱콤(14)이 톱콤 레버(13)와 더불어 보텀 및 톱 디뎃칭 로울러(25)(26)에 가장 접금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닙퍼축(3)을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소정 범위를 복회동(復回動)하면, 풋싱 아암(4)이 축(3)과 동 방황으로 회동하여 닙퍼프레임(2)을 P 화살표 방향으로 인장하는 것이 되어, 그 닙퍼 프레임(2)은 푸싱 아암(4) 및 아암(6)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에 의하여 P화살표 방향으로 약간의 원호운동 궤적을 취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닙퍼 플레이트(7)도 일체가 되어 이동하고, 보텀 및 톱 디뎃칭 로울러(25)9260에서 멀어지면서 후퇴한다. 그리고, 닙퍼 프레임(2)의 P화살표 방향에의 이동과 풋싱아암(40의 회동에 의하여, 나이프 아임(9)이 링크(12)를 거쳐서 반시계 방향에의 회동 작용을 받기 때문에, 나이프 아암(9)은 닙퍼 프레임(2)에 대하여 핀착(11)부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닙퍼 나이프(10)가 닙퍼 플레이트(7)의 선단에 당접된다. 이 닙퍼프레임(2)의 후퇴시에는 그 닙퍼 플레이트(7) 상면에서 피이드 로울러(8)의 회전에 의하여 보텀 및 톱 디텟칭 로울러(25)(26)간에 보내지고 았는 프리이스를 양 로울러(25)(26)의 정회전에 의해 전달하고, 닙퍼 나이프(10)와 닙퍼 플레이트(7)의 당접에 의해서 프리이스를 협지한다.
한편, 닙퍼 프레임(2)의 후퇴와 때를 맞추어 닙퍼축(3)의 화살표 반대방향에의 복히동과 함께 연결아암(23)이 동방향으로 회동되어, 제3연결링크(22)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제2연결링크(21)가 회동축(16)고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이회동축(16)과 동방향으로 회동하는 취부아암(17) 제1연결링크(19)를 거쳐서 톱콤레버(13)가 기대프레임(1)에 대하여 그 추착(13a)부를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톱콤(14)은 톱콤레버(13)와 함께 보텀 및 톱 디텟칭 로울러(25)(26)에서 사상방으로 후퇴(원호운동)된다. 이어서 닙퍼축(3)이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 푸싱아암(4)이 역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닙퍼 프레임(2)은 팁퍼 플레이트(7)와 함께 P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원호운동 궤적을 그리며 전진이동하여, 보텀 및 디텟칭 로울러(25)(26) 측에 접근한다. 그리고 닙퍼 프레임(2)의 전진에 따라서 닙퍼 나이프(10)와 함게 나이프아암(9)이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닙퍼나이프(10)를 닙퍼 플레이트(7) 상면으로부터 멀리 한다.
이 닙퍼 프레임(2)의 전진시에는, 새로운 코밍 전의 래프(lap)가 닙퍼 플레이트(7) 위에서피이드 로울러(8)에 의해 보내짐과 동시에 보텀 및 톱 디뎃칭 로울러(25)(26)측에 보내 진다.
한편, 닙퍼 프레임(2)의 전진과 때를 같이하여 닙퍼축(3)의 화살표 방향에의 회동에 의해서 제3연결링크(22)가 역으로 연결아암(23)을 거쳐서 하방으로 인장되기 때문에, 제2연결링크(21), 회동축(16), 연결아암(17)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제1연결링크(19)를 거쳐 톱콤 레버(13)가 주착부(13a)를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톱콤(14)은 톱콤 레버(13)와 함께 닙퍼 프레임(2)의 전진원호궤적과 반대의 원호궤적을 그리면서, 보텀 및 톱 디텟칭 로울러(25)(26)측에 사상방(斜上方)에서 접근하도록 전진된다.
이 전진시대 톱콤(14)은 닙퍼 플레이트(7)에서 양 디텟칭 로울러(25)(26)에 보내지는 프리이스에 대하여 돌입하고, 코우밍작용을 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톱콤(14)은 제2도와 같이 닙퍼 플레이트(7)의 전진에 따라서 순차 사상방에서 양 디테칭 로울러(25)(26)측에 원호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여, 프리이스에 돌입하는 것이며, 이닙퍼 플레이트(7)의 전진에 따르는 톱콤(14)의 전진 이동상태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지금 닙퍼 플레이트(7)가 (가)의 위치로 전진하면 프리이스(F)에 대하여 톱콤(14)의 선단은 (가')에 위치하고, 닙퍼 플레이트(7)가 (나)의 위치로 전진하면 그때의 프리이스(F1)에 대하여 톱콤(14)의 선단은(나')에 위치하도록 닙퍼 플레이트(7)의 (다)(라)(마)의 위치로 전진함에 따라 프리이스(F2)(F3)(F4)에 대하여, 톱콤(14)의 선단은 (Y)에서 나타내는 원호궤적을 그리는 것이 되고, 닙퍼 플레이트(7)의 전진에 수반하는 프리이스에 대하여 거의 일정한 작용 깊이를 얻을 수 있음이 명백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닙퍼 플레이트의 전진 원호 궤적에 대하여 톱콤의 전진 이동시의 궤적을 사상방에서 디뎃칭 로울러 측으로 닙퍼 플레이트의 원호궤적과는 반대의 원호궤적을 그리도록, 닙퍼 플레이트의 작동구동축, 예컨대 닙퍼축과 톱콤과를 링크로 연결한 구조이기 때문에, 닙퍼 플레이트의 전진에 따라서 디텟칭 로울러에 보내지는 프리이스에 대하여, 톱콤의 선단에 있어서의 코우밍 작용 깊이를 톱콤의 코우밍 작용시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것은 톱콤에 의한 코우밍작용을 확실화를 도모하여 단섬유함유율이 적은 양질의 섬유를 얻을 수 있는 훌륭한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톱콤과 닙퍼 플레이트의 작동계를 별계통으로 하여 톱콤의 취부도 닙퍼 플레이트와 분리하였기 때문에, 섬유의 종류 혹은 후공정(後工程)에서의 방출번수(放出番數)에 따라서 디텟칭 로울러와 닙퍼 플레이트와의 게이지를 조정할 필요가 생겨도 톱콤은 그대로이고, 닙퍼 플레이트만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4링크형 닙퍼기구(機構)로서 닙퍼지지 링크의 고정 지축이 닙퍼의 하측에 있는 코우머(comber)기(機)에 있어서, 구동축에서 소망의 "아암"을 거쳐서 거의 원호상으로 전·후진되는 닙퍼 플레이트에 대하여, 톱콤을 구동축에서 다른 링크 전달 수단으로부터 사상방(斜上方)에서 디뎃칭 로울러를 향하여 원호상으로 전·후진하도록 연접하고, 이 링크 전달 수단은 톱콤이 닙퍼 플레이트의 전진원호궤적과는 반대의 전진 원호 궤적을 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콤의 작동장치.
KR790004360U 1979-07-24 1979-07-24 톱콤의 작동장치 KR790001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4360U KR790001641Y1 (ko) 1979-07-24 1979-07-24 톱콤의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4360U KR790001641Y1 (ko) 1979-07-24 1979-07-24 톱콤의 작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40000683 Division 1974-0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641Y1 true KR790001641Y1 (ko) 1979-09-25

Family

ID=1921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04360U KR790001641Y1 (ko) 1979-07-24 1979-07-24 톱콤의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6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974B1 (ko) 정소면기(精梳綿機)의 니퍼프레임 스윙방법 및 장치
US4088085A (en) Sewing device for producing form seams
EP0351371B1 (en) Top-comb drive mechanism for combing machine
KR790001641Y1 (ko) 톱콤의 작동장치
JP2013540907A (ja) コーミング機械に用いられるニッパユニット
US4281438A (en) Flat combing machine
US2572122A (en) Comber
US3040682A (en) Sewing machines
JPH02112418A (ja) コーマ
US3320643A (en) Independent swing motion apparatus for feed roller in rectilinear comber
US3094955A (en) Looper mechanism for a sewing machine
US2781556A (en) Textile combing machine
US4446802A (en) Automatic sewing machines
US2895177A (en) Textile combing machines
US1369532A (en) Combing-machine
US3400431A (en) Comber nipper feed system
US2663053A (en) Rectilinear combing machine for working textile fibers, founded on the heilmann principle
JP3537461B2 (ja) コーミング機械用のグリッパ装置
US3041675A (en) Supplying lap to the nippers of combing machines
US1051362A (en) Heilmann combing-machine.
JPS6047369B2 (ja) コ−マにおけるトツプコ−ムの作動装置
US2601054A (en) Looper mechanism for blind-stitch sewing machine
JPH05321044A (ja) 羊毛及び長繊維用直線コーマのニッパ挿入プレートの調節装置
US3435486A (en) Combing apparatus having provision for combing short fibers without waste
JPH0357970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