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487B1 - 의료용 붕대 - Google Patents
의료용 붕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790001487B1 KR790001487B1 KR760001817A KR760001817A KR790001487B1 KR 790001487 B1 KR790001487 B1 KR 790001487B1 KR 760001817 A KR760001817 A KR 760001817A KR 760001817 A KR760001817 A KR 760001817A KR 790001487 B1 KR790001487 B1 KR 7900014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age
- foam
- layer
- water
- adhesi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발명의 확대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2-2선에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은 3성분으로 형성된 개량된 의료용 붕대에 관한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말하면 반 연속기포 중합체의 유연성 포옴물질로 형성된 중간층의 일측에는 수불침투성 유연성 중합체 필름이 부착되고 다른 일측에는 압착 접착성 조성물층이 부착된 의료용 붕대에 관한 것이다.
껌상 접착성 조성물이 일측에 부착된 수불침투성 필름으로 형성된 신체표면에 사용되는 종래 붕대의 경우 접착성 조성물은 수불용성 점착성 껌상 탄성결합체와 혼합된 수용성 또는 수 팽창성 하이드로콜로이드의 혼합물이다.
또한 폴리우레탄과 같은 포옴의 쉬이트와 균일하게 분산된 모세관으로서 작용하는 섬유직포로 형성된 의료용 붕대는 일측에 압축 연속 기포폴리우레탄 포옴으로된 쉬이트와 압착성 접착제로 형성되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표시된 바와같이, 붕대(10)는 압착접착성 조성물층(11)과 반연속 기포(Semi-open cell) 중합체 포옴층(12)및 외측 중합체피막(13)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착접착성 조성물층(11)은 수용성 또는 수팽창성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하이드로콜로이드의 혼합물, 점착부여제 및 가소제 또는 용제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압착접착성 고무질 탄성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적당한 탄성 물질은 천연고무, 실리콘고무, 아크릴니트릴로고무, 폴리우레탄고무, 폴리이소부틸렌등과 같은 천연 또는 합성 점착성 껌상 물질이며, 10,000-11,700의 분자량과 81,000-99,000의 분자량을 가진 폴리이소부틸렌의 혼합물이 좋다. 적당한 하이드로콜로이드로서는 폴리비닐 알콜, 분말상 펙틴, 젤라틴, 소디움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고분자량의 카보왁스, 카복시폴리메틸렌 등이 있으며, 젤라틴과 소디움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혼합물이 좋다. 적당한 가소제 또는 용제로서 광유(鑛流)와 석유가 있으며 광유가 좋다.
점착부여제로서 적합한 것은 테르펜(terpene)수지이다. 점착성 껌상물질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에 대하여 결합재로서 작용함과 더불어 최종의 접착성 조성물에 점성, 탄성 및 유연성을 부여한다. 또한 접착성 조성물에는 붕대의 저장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또는 부딜화 하이드록시 아니솔과 같은 산화방지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하이드로콜로이드의 혼합물은 압착접착성 조성물의 약 30중량% 이상으로 함유해야 하며 접착성 조성물의 약 40-5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좋다. 접착성 조성물은 약 5-30mils의 두께, 적합하기로는 5-15mils의 두께로 변형시킬수 있다.
반 연속기포 탄성 또는 유연성 포옴층(12)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포옴, 스티렌-부타디엔포옴 및 특정한 고무-기제포옴 등과같은 각종의 탄성물질로 부터 형성될수 있다. 물론, 사용되는 탄성물질은 비독성이며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적합한 탄성물질은 선상 인치당 약 50-100개의 기포를 가진 유연성 폴리우레탄 포옴이며 선상 인치당 약 80개의 셀을 가진것이 가장 좋다. 반연속 이라함은 개방 또는 파열된 기포의 비율이 약 30-70%인것을 의미한다. 반연속 기포 포옴층은 약 20-50mils의 두께로 변경시킬수 있다.
외측 중합체의 탄성 또는 유연성 필름피막(13)은 유연성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천연고무 등과 같은 수불침투성 유연성 탄성 물질로 부터 형성될수 있다. 사용되는 탄성물질은 공기가 피부표면에 통과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다소 가스침투성인 것이 좋으며, 붕대를 제거하지 않고 피부의 덮여진 부분을 볼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충분히 반투명해야 한다. 특히 사용되는 탄성물질은 유연성 폴리우레탄이 좋다. 피막(13)은 전체 두께가 약 1.0-3.0mils, 적합하기로는 약 1.5-2.Omils가 되도록 단일층 또는 다수의 층으로 할 수 있다.
붕대를 포장할때는 실리콘으로 피막된 이형지(離型紙)(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않음)의 조각을 접착성 조성물(11)의 노출면에 부착시킨다.
붕대(1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바, 즉 우선 하이드로콜로이드, 고무질 탄성 물질 접착부여제와 가소제 및 기타 임의 성분의 혼합물을 헵탄 또는 헥산과 같은 유기용제 중에서 형성하고, 이 결과의 접착성 슬러리를 이형지의 실리콘으로 피막된 부분에 도포한후 용제를 제거, 건조시킨 다음,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접착층의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다음, 이물질을 일측에 수불침투성 유연성 중합체의 탄성 필름피막을 갖는 반연속기포 유연성 중합체의 탄성 포옴의 적층물과 함께 압착시키면 붕대(10)가 얻어진다. 상기적층물의 형성방법은 미국특허 제3547753호에 발표되어 있다. 물론 기타 방법도 역시 상기와 같은 적층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실리콘으로 피막된 이형지를 함유한 붕대는 로울(Roll)의 형태로 권취하거나 개개 사이즈의 붕대로 절단하여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붕대는 종래의 것보다 여러가지 잇점이 있다. 접착층에 존재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는 땀과 같은 습기와 상처 삼출액을 흡수하고 이러한 습기를 피부 표면으로부터 연속기포 포옴의 층에 이동시켜 붕대의 측부를 통해서 증발시킬수 있다. 이점은 피부표면으로 부터 습기의 도출(逃出)이 불가능한 통상의 압착성 접착제를 갖는 붕대와 현저히 다르다. 이러한 습기의 축적은 항상 피부발진(發彦)과 자극을 유발시켜 결국에는 접착성을 약화시켜 붕대를 벗겨지게 한다.
본 발명 붕대의 접착층은 피부표면에서 습도를 조절하여 붕대를 장시간동안 소정위치에 견고하게 부착된채로 유지시키며 붕대를 바꾸어야 할 필요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해준다. 연속기포 포옴과 중합체 필름 피막의 적층물은 붕대에 유연성을 더 부여함으로써 완전히 자유로운 이동을 가능케 하여 안락감을 주며, 특히 스트레스(Stress)를 받는 무릎이나 팔꿈치와 같은 신체부위에서 피부에 붕대의 보지력(保持力)을 증가시킨다. 외측 중합체 필름 피막은 매끄러운 표면을 부여하여 붕대와 의복이나 침구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서 붕대가 우연히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필름 피막은 연속기포 포옴층을 강화하여 붕대를 파손없이 제거 및 벗겨낼수 있게한다.
공기는 연속기포 포옴의 측부를 통해서 통과할 수 있으며 접착층을 통하여 피부의 치료부위에 침투한다. 그러나 포옴이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종래의 붕대와는 달리, 접착층은 오염 및 세균감염을 방지하도록 상처 부위를 봉함한다.
본 발명의 붕대의 접착층은 통상의 습기 차단용 압착성 접착제와는 달리 피부의 자극, 가려움증 또는 찰창(擦瘡)을 유발하지 않는다. 이 붕대는 상처치유후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 붕대의 3성분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고압살균 또는 감마선 조사와 같은 여러 방법에 의한 붕대의 멸균을 가능케한다. 붕대는 이를 제거할 필요없이 상처를 볼 수 있을 정도로 거의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붕대는 화상치료에도 유용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접착층은 상처를 봉함하여 감염위험을 방지하고, 연속기포 포옴은 충분한 공기와 수증기 전달을 가능케하는 한편 붕대에 유연성을 더 부여하며 붕대전체는 치료부위의 양호한 시도(視度)를 제공한다. 접착층은 하이드로콜로이드로 인해 화상 표면으로 부터의 삼출액(渗出液)을 흡수하여 이러한 물질이 포옴층의 측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분산되는 반연속기포 포옴의 상층무에 이동시킬 수 있다. 동시에 화상표면으로 부터 삼출액의 지나친 손실은 접착층 및 수불침투성 외측중합제필름 피막에 의해 조절된다. 접착층내의 하이드로 콜로이드는 화상 삼출액과 접촉될 때에 점액성으로 되므로 상해(傷害)피부의 표면에 피해없이 최소한의 아픔으로 붕대의 제거가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81,000-99,000의 평균분자량을 가진 폴리이소부틸렌 60kg, 소디움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54kg 및 젤라틴(100메쉬) 45kg을 혼련(混練)하여 고무의 세절편(細切片)이 분리상태로 유지되어 하이드로콜로이드에 의해 점결되지 않게 방지된 혼합물을 형성하고, 이 혼합물을 10,000-11,700의 평군 분자량을 가진 폴리이소부틸렌 54kg, 접착부여제(테르펜수지) 60kg, 산화방지제(부틸화 하이드록시톨록엔) 1.5kg 및 광유 25.5kg을 함유한 헵탄용액에 가하여 접착성 슬러리를 형성한 다음, 이 슬러리의 일부를 실리콘으로 피막된 이형지의 쉬이트에 주입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제2적층물은 약 2mils 두께의 유연성 폴리우레탄으로 피막된 약 30mils의 두께를 가진 반연속 기포 유연성 폴리우레탄포옴(이 포옴은 선상 인치당 약 80개의 기포를 가지며 셀의 약 30-70%가 파열되었음)으로 형성하였다.
다음 접착제 이형지 적층물과 유연성 폴리우레탄포옴 유연성 폴리우레탄 적층물을 함께 가압 로울러에 통과시켜 가볍게 압착되게하여(이때 포옴이 접착제와 접촉됨)붕대를 제조하였다.
Claims (1)
- 수용성 또는 수팽창성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혼합물, 접착부여제 및 가소제중에 분산시킨 고무질 탄성물질로 형성된 압착성 접착층(11), 이 접착층에 부착된 반연속기포 유연성 중합체 포옴층(12), 및 이 포옴층의 반대측부에 부착된 수불침투성 유연성 중합체 필름(13)의 3성분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붕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60001817A KR790001487B1 (ko) | 1976-07-27 | 1976-07-27 | 의료용 붕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60001817A KR790001487B1 (ko) | 1976-07-27 | 1976-07-27 | 의료용 붕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790001487B1 true KR790001487B1 (ko) | 1979-10-23 |
Family
ID=1920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60001817A KR790001487B1 (ko) | 1976-07-27 | 1976-07-27 | 의료용 붕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790001487B1 (ko) |
-
1976
- 1976-07-27 KR KR760001817A patent/KR790001487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972328A (en) | Surgical bandage | |
US4484574A (en) | Self-rolled foam tape without release layer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6103369A (en) | Multi-layered dressing | |
US6680113B1 (en) | Multi-layered dressing | |
CA2162591C (en) | Self-adhesive laminate | |
US2923298A (en) | Unitary non-adherent dressings | |
US7063859B1 (en) | Barrier film lined backing lay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topical administration of active agents | |
US5939339A (en) | Absorbent self adhering elastic bandage | |
US5478308A (en) | Wound packing and package therefor | |
US4341207A (en) | Wound dressing | |
US4743499A (en) | Hydrocolloid laminate | |
CA2022577C (en) | A continent ostomate bandage | |
GB1494643A (en) | First aid bandage | |
EP0230387A3 (en) | Foam bandage | |
US20110077608A1 (en) | Cushioned adhesive bandage | |
US6471986B1 (en) | Corn, callus and wart removing pads | |
JPH05184621A (ja) | ヒドロゲル包帯 | |
JPH07444A (ja) | 創傷用包帯 | |
ES2906065T3 (es) | Parche adhesivo que contiene un sistema de revestimiento de liberación mejorada | |
JPS5957654A (ja) | 低粘着性創傷用ドレツシング | |
JP4171108B2 (ja) | 皮膚貼付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H08187295A (ja) | 給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790001487B1 (ko) | 의료용 붕대 | |
JPH07136240A (ja) | アルギン酸塩集合体を使用した創傷被覆材 | |
JPH10314203A (ja) | 皮膚保護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