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340B1 - 2-카보알콕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 벤즈이미다졸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카보알콕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 벤즈이미다졸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340B1
KR790001340B1 KR7500704A KR750000704A KR790001340B1 KR 790001340 B1 KR790001340 B1 KR 790001340B1 KR 7500704 A KR7500704 A KR 7500704A KR 750000704 A KR750000704 A KR 750000704A KR 790001340 B1 KR790001340 B1 KR 790001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zenesulfonic acid
phenylester
amino
benzimidazole
di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뢰베 하인츠
우르바니츠 요셉
뒤벨 디터
키르쉬 라인하르트
Original Assignee
칼 엔데만, 한스위르겐 슐체-스타이넨
훽스트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엔데만, 한스위르겐 슐체-스타이넨, 훽스트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엔데만, 한스위르겐 슐체-스타이넨
Priority to KR750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340B1/ko

Links

Landscapes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카보알콕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 벤즈이미다졸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구충제로서 유용한 2-카보알콕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 5(6)-위치에 알킬, 아실, 페녹시 및 페닐티오기를 가지고 있는 2-카보알콕시-아미노-벤즈 이미다조릴 유도체는 구충작용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P. Actor 등 Nature 215권, 321페이지(1967); 독일 특허공개 제2,029,637호, 제 2,264,690호, 제2,363,348호).
본 발명은 구조식(1)의 2-카보알콕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구조식에서
R1은 탄소수 1내지 4의 알킬이고,
R2및 R3는 각각 수소, 수산기, 탄소수 1내지 4의 알콕시, 할로겐, 3불화메틸, 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알콕시 부분이 탄소수 1내지 4인 카보알콕시 혹은 시아노기이다. 구조식(1)의 화합물에서 특히 좋은 것은 R1이 메틸이고, R2및 R3가 각각 수소인 것이다.
R1및 R2, R3로 표시된 알킬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2급부틸, 3급부틸을 의미하고, R2및 R3로 표시된 알콕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를 의미한다.
R3및 R3의 할로겐원자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를 의미하고 카보알콕시는 카보메톡시, 카보에톡시, 카보프로폭시, 카보프로폭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조식(1)의 2-카보알콕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 벤즈이미다졸의 제조방법은 구조식(2)의 0-페닐렌 디아민 유도체와
Figure kpo00002
(가) pH 1-6, 좋기로는 pH 2-5에서 구조식(3)의 알킬-S-메틸-티오우레아 카복실레이트와 축합시키거나,
Figure kpo00003
(나) pH 1-6, 좋기로는 pH 2-5에서 구조식(4)의 시안 아마이드 카복실레이트와 축합시키거나,
Figure kpo00004
(다) 구조식(5)의 N-디클로로메틸렌 카바민산 에스테르를 염기존재하에 -10내지 +40℃에서 반응시키거나,
Figure kpo00005
(라) 구조식(6)의 비스-아릴(혹은 알킬)-티오메틸렌-아미노-포르메이트를 반응시킨다.
Figure kpo00006
여기서 R1, R2, R3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R4및 R5는 같거나 다르며, 각각 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탄소수 3내지 5의 알케닐, 사이클로헥실,
혹은 구조식(7) 또는 (8)의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나 벤질로서
Figure kpo00007
여기서,
X 및 X'는 각각 달리 할로겐이나 메틸, 니트로이거나
혹은 R4및 R5는 2내지 3개 메틸렌그룹을 가지는 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n은 0이나 1, 2이다.
반응은 다음의 반응도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Figure kpo00008
제조방법(가)에 따라, 구조식(9)의 S-메틸-티오우레아 설페이트를 우선 구조식(10)의 클로로포르미에이트와 수중에서 혼합하고 강염기, 예를들면 25% 수산화나트륨액을 낮은 온도, 좋기로는 0℃로 유지시키면서 적가시킨다. 생성된 구조식(3)의 알킬-S-메틸-티오우레아 카복실레이트를 분리시킬 필요가 없다.
구조식(10)의 클로로포르미에이트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메틸 클로로포르미에이트,
에틸 클로로포르미에이트,
프로필 클로로포르미에이트,
이소프로필 클로로포르미에이트,
부틸 클로로포르미에이트,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미에이트,
3급부틸 클로로포르미에이트.
상기 반응혼합물의 pH치는 초산이나 유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2내지 5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그다음 구조식(2)의 0-페닐렌디아민 유도체를 유리염기 자체로나 혹은 염산등의 산부가염 형태로 가한다. 후자의 경우, 완충제로서는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을 가하는 것이 좋다.
구조식(2)의 0-페닐렌 디아민 유도체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4-클로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3-클로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2-클로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2, 5-디클로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3, 5-디클로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4-디클로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3-브로모-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2-브로모-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4-브로모-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3-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2-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4-3급부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2, 4-디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2-클로로-4-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2-클로로-6-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3-클로로-4-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3-클로로-6-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3-클로로-4-카브에톡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4-클로로-3-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4-클로로-3, 5-디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3-3불화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4-메톡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3-메톡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2-메톡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4-프로폭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4-이소프로폭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4-부톡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4-이소부톡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반응 30분 내지 10시간동안에는 반응불질들을 30내지 100℃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좋다. 부산물로서 메틸멀갑탄이 얻어지며, 구조식(1)의 2-카보알콕시아미노-5(6) 페닐설포닐옥시-벤즈 이미다졸류는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여 침전된 산물을 여과하여 불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2-카보메톡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4-클로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3-클로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2-클로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2, 5-디클로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3, 5-디클로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4-디클로-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3-브로모-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2-브로모-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4-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3-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2-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4-3급부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2-클로로-4-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2-클로로-6-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3-클로로-4-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3-클로로-6-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3-클로로-4-카브에톡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4-클로로-2-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4-클로로-3-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4-클로로-3, 5-디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4-메톡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3-메톡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2-메톡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4-프로폭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4-이소프로폭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메톡시아미노-5(6)-(4-이소프로폭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에톡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프로폭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이소프로폭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부톡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이소부톡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카보-3부톡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제조방법(나)에 따라, (가)에서 사용한 구조식(10)의 클로로포르미에이트를 우선 구조식(11)의 시안아마이드의 칼슘염과 같은 염의 형태의 수용성 현탁액에 반응혼합물의 온도를 냉각하여 40내지 60℃로 유지시키면서 가한다. 어두운 색의 부산물을 여과하여 분리해낸후 여액에서 구조식(4)의 시안아마이드 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이리하여 얻은 구조식(4)의 시안아마이드 카복실 레이트를 구조식(2)의 0-페닐렌 디아민 유도체와 결합시키고, 혼합물의 pH치를 농염산등의 무기산을 가하여 1내지 6, 좋기로는 2내지 4로 조절한다. 반응을 완결시키기 위하여, 반응혼합물을 사용된 0-페닐렌디아민 유도체의 반응력에 따라 30분내지 10시간동안 30내지 100℃로 유지시키는 것이 좋다. 반응혼합물을 냉각시킨후 여과, 세척하여 침전된 구조식(1)의 반응산물을 분리해낸다.
구조식(2)의 O-페닐렌 디아민 유도체는 전술한 구조식(3)의 알킬-S-메틸티오우레아 카복실레이트와 같이 유리아민의 형태로나 혹은 염산이나 황산, 초산, 수산등의 무기 혹은 유기산으로 산부가염의 형태로 사용한다.
제조방법(다)에 따라, 구조식(2)의 O-페닐렌 디아민 유도체 1몰을 염기 2몰 존재하에 구조식(5)의 N-디클로로메틸렌 카바민산 에스테르 1몰과 반응시킨다.
염기로서는 알카리 금속이나 알카리토금속의 수산화물, 탄산염, 중탄산염, 혹은 3급유기염기로서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중탄산캄륨,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메틸피리딘류 등이 있다.
구조식(5)의 N-디클로로메틸렌 카바민산 에스테르는 독일 특허공개 제1,932, 297호에 따라 디클로로메틸렌 카바민산클로라이드와 알콜을 에테르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벤젠, 톨루엔등의 불활성 유기 용매중에서 0내지 40℃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구조식(5)의 N-디클로로메틸렌 카바민산 에스테르류로서는 N-디클로로메틸렌 카바민산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이소프로필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n-부틸에스테르, 2급-부틸에스테르 등이 있다.
반응온도는 매우 다르나 -10°내지 +60℃, 좋기로는 0내지 30℃가 좋다.
제조방법(라)에 따라, 구조식(2)의 O-페닐렌 디아민 유도체 1몰과 구조식(6)의 비스-알킬(혹은 아릴)-티오메틸렌-아미노 포르미에이트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나 디옥산, 이소프로필에테르, 클로로포름과 같은 불활성 용매중에서 상승된 온도 특히 사용한 용매의 비등점에서 반응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용기중에서 이미노-티오카바민산 에스테르 염산염을 (가)에서 사용한 구조식(10)의 클로로포르미에이트와 반응시켜 비스-알킬(혹은 아릴)-티오메틸렌-아미노-포르메이트를 생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산결합제 예를들면 수산화나트륨이나 중탄산나트륨,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무기 혹은 유기염기를 사용한다. 반응매체로서는 에테르나 아세톤, 디옥산, 물,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벤젠, 사이클로헥산등의 극성 혹은 비극성 용매를 사용한다. 반응중의 온도는 20℃를 넘지 않게 해야한다. 비스-알킬(혹은 아릴)-티오 메틸렌-아미노-포르미에이트는 미국특허 제3,562,290호에 따라 디티오-이미노-카본산 에스테르와 구조식(10)의 클로로포르미에이트를 반응시켜 제조한다.
구조식(6)의 비스-알킬(혹은 아릴)-티오메틸렌-아미노-포르미에이트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있다.
비스-메틸티오-메틸렌-아미노-포름산-메틸에스테르,
비스-메틸티오-메틸렌-아미노-포름산-에틸에스테르,
비스-메틸티오-메틸렌-아미노-포름산-이소프로필에스테르,
비스-메틸티오-메틸렌-아미노-포름산-프로필에스테르,
비스-메틸티오-메틸렌-아미노-포름산-부틸에스테르,
비스-메틸티오-메틸렌-아미노-포름산-2급부틸에스테르,
비스-부틸티오-메틸렌-아미노-포름산-메틸에스테르,
메틸티오-부틸티오-메틸렌-아미노-포름산-메틸에스테르,
알릴티오-사이클로헥실티오-메틸렌-아미노-포름산-메틸에스테르,
메틸티오-페닐-티오-메틸렌-아미노-포름산-메틸에스테르,
메틸티오-(3, 4-디클로로-벤질-티오)-메틸렌-아미노-포름산-메틸에스테르,
메틸티오-2(2-클로로-4-메틸티오)-메틸렌-아미노-포름산-메틸에스테르,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구조식(2)의 O-페닐렌 디아민 유도체는 R2및 R3가 구조식(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식(12)의 아미노-니트로 유도체를 환원시켜 제조한다. 환원은 예를들면 라니-닉켈 및 에탄올이나 디메틸포름아이드와 같은 용매 존재하에 20내지 60℃에서 수소첨가시키거나 소디움 디티오나이트 같은 환원제로 처리하여 수행한다.
구조식(12)의 아미노-니트로 유도체는 R2및 R3가 구조식(1)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구조식(13)의 벤젠 설폰산 클로라이드를 불활성 용매에서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구조식(14)의 3-니트로-4-아미노-페놀과 반응시켜 수득한다.
본 발명의 2-카보알콕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 벤즈이미다졸류는 화학요법제로서 유용하고 사람과 동물의 기생충으로 인한 질병에 적합하다.
특히 본 화합물은 침충(Haemonchus), 모양선충(Tricho strongylus), 사상선충(Ostertagia), 분선충(Strongyloides), 쿠퍼리아(Cooperia), 조직선충(Chabertia), 에소파고스토뮴(Oesophagostomum), 히요스트롱길루스(Hyostrongylus), 안킬로스토마(Ankylostoma), 회충(Askaris), 헤테라키스(Heterakis)등의 수 많은 기생충에 대하여 효과가 있다.
특히 반추동물의 위장관의 분선충에 대하여 강력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기생충에 동물이 오염되면 경제적 손실이 막중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주로 수의용 약품으로 사용된다.
구조식(Ⅰ)의 화합물은 0.5 내지 50mg/kg을 개개의 경우에 따라 1 내지 14일간 투여한다.
경구투여를 위해서는 활성물질과 전분, 셀룰로즈, 활석,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백당, 젤라틴, 탄산칼슘, 규산미세말, 카복시메틸 셀룰로즈등등의 부형제 및 첨가제를 결합시켜 정제나 당의정, 캅셀제, 산제, 과립제, 연고로 한다.
비경구투여를 위해서는 호마유나 피마자유, 혹은 합성트리글리세라이드에 임의로 산화방지제로서 토코페놀을 가하거나 또는/및 계면활성제로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를 가하여 유상용액으로 한다. 또한, 에톡실화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를 사용하여 임의로 증량제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나 카복시메틸셀룰로즈와 함께 수성 현탁액으로 한다.
수의용 약품으로서는 본 화합물을 2내지 20%(중량)함유하는 제제를 만들고, 사람에 대한 의약품으로서는 20내지 80% 함유하는 제제를 만드는 것이 좋다.
본 화합물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체중 약 30kg의 새끼 양에 침충(Haemonchus contortus) 및 모양선충(Trichostrongylus clubriformis)의 유충으로 각각 감염시켜 시험한다. 시험동물은 매일 철저하게 소제하는 상자에 넣어 기르고 명전기일(Prepatence period, 즉 기생충의 감염과 성숙사이의 기간, 충난이나 유충의 분비가 시작될때) 배설물 1g중의 충난의 수를 Wetzel에 따른 McMaster 방법으로 센다(Tier
Figure kpo00009
rz Hiche Umschau 6, 209-210(1951)). 이 직후에 양의 치료를 시작한다(한가지의 활성물질에 대해서 4내지 8마리, 적어도 2마리). 1%타일로즈 현탁액 10ml를 1회 투여하고 제7일, 제14일, 제28일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설물 1g중의 충난의 수를 세어 치료전에 대한 감소비율을 계산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2mg/kg의 낮은 용량으로 경구 뿐만 아니라 비경구투여로도 매우 탁월한 작용을 한다. 고로 본 화합물은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에 비해서 훨씬 우수하고, 특히 잘 알려진 5(6)-위치가 치환된 2-벤즈이미다조릴 카바메이트류의 어느것보다도 우수하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해준다.
[실시예 1]
S-메틸-티오우레아 설페이트 22.2g 이물 35ml와 메틸클로로 포르미에이트 10.2ml중에 있는 철저히 교반한 혼합물에 얼음으로 냉각하여 10℃가 넘지 않도록 하면서 25% 가성소다액 47.7g을 적가시킨다음 30분동안 교반을 계속한 후, 빙초산 17ml와 물 100ml를 가한다. 뒤이어 이소프로판올 100ml중에 벤젠설폰산 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 15.8g을 녹인 액을 가하고 2시간동안 환류시키면 잠시후 침전물이 생기기 시작한다. 그 침전물을 흡인 여과하여 메탄올로 조심스럽게 세척하고 다시 물로 세척시킨다. 이 조 생성물을 빙초산 메탄올로 두번 재결정화시켜 정제한다. 분해온도가 242℃인 9.6g의 순수한 2-카보메톡시아미노-5(6)-페닐 설포닐옥시 벤즈아미다졸을 수득하게 된다. 디메틸포름아마이드 200ml중의 벤젠설폰산 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 17.5g을 수소 50기압의 실온에서 특정 닉켈 촉매(소위 루어촉매)로 수소첨가하여 3, 4-디아미노-페닐 에스테르를 제조한다.
여과하여 촉매를 분리하고 진공에서 용매를 제거한다. 벤젠설폰산 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잔유물을 더이상 정제하지 않고 직접 폐환반응에 사용한다. 벤젠설폰산 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아세톤 100ml중의 3-니트로-4-아미노-페놀 15.4g을 14ml의 트리에틸아민과 혼합시키고 30ml의 아세톤과 17.6g의 벤젠설폰산 클로라이드의 용액을 빙욕에서 20℃의 내부온도를 넘지않도록 교반하면서 적가한다. 실온에서 3시간동안 계속 교반하고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흡인 여과하여 분리시키고 여과물을 증발건조시킨다. 생성물을 50ml의 메탄올과 교반시키고 흡인여과 시킨다. 메탄올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융점이 140℃인 18.2g의 벤젠설폰산 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수득한다.
다음의 화합물들은 그 상응하는 유사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2) 4-클로로-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융점 137℃)와
4-클로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4-클로로)-페닐설포닐옥시)-벤즈아미다졸 융점 230℃(분해)
3) 3-클로로-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융점 154℃) 및 3-클로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3-클로로-페닐설포닐옥시)-벤즈아미다졸 융점 250℃(분해)
4) 2-클로로-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2-클로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2-클로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5) 2, 5-디클로로-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2, 5-디클로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2, 5-디클로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6) 3, 5-디클로로-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융점 170℃)와,
3, 5-디클로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3, 5-디클로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융점 280℃(분해)
7) 4-브로모-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4-브로모-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4-브로모-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8) 3-브로모-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융점 158℃)와
3-브로모-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3-브로모-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융점 242℃(분해)
9) 2-브로모-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2-브로모-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2-브로모-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10) 4-메틸-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융점 149℃)와
4-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4-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융점 237℃(분해)
11) 3-메틸-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융점 142℃)와
3-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3-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융점 250℃ (분해))
12) 2-메틸-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2-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2-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13) 4-3급부틸-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4-3급부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4-3급부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14) 2, 4-디메틸-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2, 4-디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2, 4-디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15) 2-클로로-4-메틸-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2-클로로-4-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2-클로로-4-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16) 2-클로로-6-메틸-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2-클로로-6-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2-클로로-6-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17) 3-클로로-4-메틸-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3-클로로-4-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3-클로로-4-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18) 3-클로로-6-메틸-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3-클로로-6-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3-클로로-6-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19) 4-클로로-2-메틸-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4-클로로-2-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4-클로로-2-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0) 4-클로로-3-메틸-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4-클로로-3-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4-클로로-3-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1) 4-클로로-3, 5-디메틸-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4-클로로-3, 5-디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4-클로로-3, 5-디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2)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융점 131℃)와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융점 215°B(분해)
23) 4-메톡시-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4-메톡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4-메톡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4) 3-메톡시-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3-메톡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3-메톡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5) 2-메톡시-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2-메톡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2-메톡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6) 4-프로폭시-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4-프로폭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 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4-프로폭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7) 4-이소프로폭시-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4-이소프로폭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4-이소프로폭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8) 4-부톡시-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4-부톡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4-부톡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29) 4-이소부톡시-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4-이소부톡시-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4-이소부톡시-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30) 3-시아노-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3-시아노-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메톡시아미노-5(6)-(3-시아노-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31) 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에톡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32) 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프로폭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33) 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이소프로폭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34) 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부톡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35) 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이소부톡시아미노-5(6)-페닐설포옥시-벤즈이미다졸
36) 벤젠설폰산-3-니트로-4-아미노-페닐에스테르와
벤젠설폰산-3, 4-디아미노-페닐에스테르를 통하여
2-카보 3급부톡시아미노-5(6)-페페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Claims (1)

  1. 하기 구조식(2)의 화합물을 구조식(3), (4), (5) 혹은 (6)의 화합물과 축합 반응시켜 구조식(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상기 구조식에서
    R1은 탄소수 1내지 4의 알킬기이고,
    R2및 R3은 각각 수소나 수산기, 탄소수 1내지 4의 알콕시, 할로겐, 3불화메틸, 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알콕시 부분에 탄소수 1내지 4인 카보알콕시 혹은 시아노기이며, R4및 R5은 같거나 다르며, 각각 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탄소수 3내지 5의 알케닐, 사이클로헥실, 혹은 구조식(7) 혹은 (8)의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나 벤질로서
    Figure kpo00012
    여기서
    X 및 X'는 각각 달리 할로겐, 메틸, 니트로기이거나 혹은 R4및 R5는 2내지 3개의 메틸렌그룹을 갖는 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n은 0이나 1, 2이다.
KR7500704A 1975-04-04 1975-04-04 2-카보알콕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 벤즈이미다졸류의 제조방법 KR790001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704A KR790001340B1 (ko) 1975-04-04 1975-04-04 2-카보알콕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 벤즈이미다졸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704A KR790001340B1 (ko) 1975-04-04 1975-04-04 2-카보알콕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 벤즈이미다졸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340B1 true KR790001340B1 (ko) 1979-09-27

Family

ID=1920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704A KR790001340B1 (ko) 1975-04-04 1975-04-04 2-카보알콕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 벤즈이미다졸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34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4791A (en) Anthelmintically active 2-carbalkoxy-amino-benzimidazole-5(6)-phenyl ethers
KR910000045B1 (ko) 치환된 페닐설포닐옥시벤즈이미다졸 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US4002640A (en) 5(6)-Benzene ring substituted benzimidazole-2-carbamate derivatives having anthelmintic activity
US4216161A (en) 3,4-Diaminophenyl sulfonic acid esters
US3996368A (en) Anthelmintically active 2-carbalkoxyamino-5(6)-phenyl sulfonyloxy benzimidazoles
EP0420804A2 (de) Anthelmintika
US3928375A (en) Anthelmintically active 2-carbalkoxy-amino-benzimidazolyl-5(6)-amino-phenyl ethers
KR790001340B1 (ko) 2-카보알콕시-아미노-5(6)-페닐-설포닐옥시 벤즈이미다졸류의 제조방법
KR790001341B1 (ko) 2-카보알콕시아미노 벤즈이미다조릴-5(6)-설폰산 페닐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US4010272A (en) Anthelmintically active basically substituted 2-carbalkoxy-amino-benzimidazolyl-5(6)-phenyl ethers and -ketones
EP0420805A2 (de) Anthelmintika
US3984561A (en) Anthelmintically active 2-carbalkoxy-amino-benzimidazole-5(6)-phenyl ether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NZ201696A (en) 2-arylazo and 2-arylhydrazino-2-thiazoline derivatives and ecto-and endo-parasiticidal compositions
JPS5914027B2 (ja) 2−カルボアルコキシアミノ−5(6)−フエニルスルホニルオキシ−ベンズイミダゾ−ル化合物
NO763196L (no) Fremgangsm}te til fremstilling av antelmintisk virksomme 2-karbalkoksyamino-5(6)-fenyl-sulfonyloksy-benzimidazoler.
US4136174A (en) Benzimidazolecarbamates and method
CA1056828A (en) Preparation of 2,1,4-benzothiadiazine derivatives
CS196284B2 (cs) Způsob výroby fenylesterů 2-alkoxykarbonylaminobenzimidazol- -5(B)-ylsulfonové kyseliny
CS196280B2 (cs) Způsob výroby 2-alkoxykarbonylamÍJio-5(6)-íenylsulfonyloxybenziinidazolů
DE2332343A1 (de) 2-carbalkoxy-amino-benzimidazol-5(6)phenylaether,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in mitteln gegen helminthen
CS197256B2 (cs) Způsob výroby nových 2-brom-6/3,9a-dífluor-pregna-l,4-dien- -3,20-dionů nebo jejich 17,21-esterů, 17,21-alkylorthoesterů nebo 17,21- -cyklických acetalů nebo ketal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