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8541A - 신규한 벤조[d][1,2,3]트리아진 유도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벤조[d][1,2,3]트리아진 유도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8541A
KR20240128541A KR1020230105538A KR20230105538A KR20240128541A KR 20240128541 A KR20240128541 A KR 20240128541A KR 1020230105538 A KR1020230105538 A KR 1020230105538A KR 20230105538 A KR20230105538 A KR 20230105538A KR 20240128541 A KR20240128541 A KR 20240128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ethyl
triazin
benzo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연
김현진
이연희
김은영
송재영
차동훈
김해리
안영찬
이선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에스앤티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에스앤티,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에스앤티
Publication of KR2024012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854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251/00
    • C07D25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251/00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hree nitrogen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e.g. chlorazanil, mel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10Spiro-condensed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벤조[d][1,2,3]트리아진 유도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신규한 벤조[d][1,2,3]트리아진 유도체는 우수한 SOS1의 GTP 치환 억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 SOS1 매개 질환 및 암과 같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다.

Description

신규한 벤조[d][1,2,3]트리아진 유도체 및 이의 용도 {New benzo[d][1,2,3]triazi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벤조[d][1,2,3]트리아진 유도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OS1의 GTP 치환 억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 SOS1 매개 질환 및 암과 같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벤조[d][1,2,3]트리아진 유도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RAS family 단백질 (KRAS, NRAS, HRAS)은 small GTPase로 GTPase activating proteins (GAPs)에 의해 GDP-bound inactive conformation인 ‘RAS (off)’ 상태, 그리고 구아닌 뉴클레오티드 교환 요소들(guanine nucleotide exchange factors, GEFs)에 의해 GTP-bound active conformation 인 ‘RAS (on)’ 사이를 끊임없이 사이클링한다. 세포 표면에 있는 receptor tyrosine kinases (RTKs)가 리간드 (ligand)와 결합 (binding) 하면 RAS family 단백질은 여러 가지 다른 세포와 조직에서 세포의 생존, 증식 (proliferation), 분화 (differentiation), 이동 (mig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들을 조절하는 RAF-MEK-ERK 그리고 PI3K-ARK-mTOR pathways를 활성화시키는 필수 신호전달조절자이다.(도 1 참조)
RAS GTPase는 오랫동안 중요한 oncogene으로 알려져 있는데 인간 암 종의 30% 이상이 RAS 변이로 인한 RAS signaling의 과도한 활성으로 진행된다. 특히 KRAS 변이는 가장 치명적인 몇몇 암 종 에서 높은 빈도로 일어난다 (췌장암 ~96%, 대장암 ~52%. 폐암 ~32%). 이렇게 암과 연관된 KRAS 변이는 G12, G13, Q61아미노산 잔기에서 일어나며 이 중에서도 G12 잔기가 변이가 가장 자주 일어나는 잔기이다. KRAS변이는 intrinsic GTPase활성 뿐 아니라 GAPs에 의한 GTPase 활성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암세포에서는 GTP-bound active KRAS population 증가로 인해 RAS signaling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암 세포를 지속적으로 성장하게 한다. 따라서 RAS 저해제 개발을 통해 RAS-driven 암 성장을 저해하려는 노력이 오랫동안 있어왔다. 하지만 RAS는 GTP에 대한 affinity가 picomolar로 높고 potential binding pocket이 없기 때문에 RAS를 직접 저해하는 저해제 개발이 어려웠다. 따라서 KRAS 발현을 조절한다거나 KRAS processing을 저해한다거나 상위 또는 하위 signaling molecules을 저해하여 KRAS를 간접적으로 타겟팅하는 저해제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2021년 KRASG12C 변이를 직접적으로 저해하는 covalent KRAS 저해제인 sotorasib (AMG51)과 adagrasib (MRTX84)가 최초의 KRAS 표적 치료제로 FDA 승인을 받았다. (도 2 참조).
이러한 KRASG12C 표적 저해제들이 KRASG12C 변이를 가진 암에서 효능을 보였지만 이러한 암은 KRAS-driven malignancies의 약 15% 정도만 차지한다. 따라서 G12 잔기에 Cys nucleophile이 없는 다른 종류의 oncogenic KRAS 변이도 타겟팅할 수 있고 KRASG12C 저해제의 획득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신약개발이 여전히 미 충족 수요로 남아있다.
최근 RAS GTPase의 GDP/GTP exchange를 촉진하는 GEF중 가장 잘 알려진 SOS1이 다양한 RAS-driven 암 종의 치료에 중요한 타겟으로 대두되고 있다. 즉, RAS에 GTP를 탑재하는 SOS1를 저해한다면 RAS를 GDP-bound inactive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RAS-driven 암 종의 특징인 하위 signaling pathways의 과도한 활성과 그에 따른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난 10 년은 SOS1에 binding 해서 RAS활성을 조절하는 저분자 저해제의 개발에 상당한 노력이 있어왔다.(Roman C. Hilling et al, 2019; Macro H Hofmann et al, 2021; Ramharter J et al, 2021; John M et al, 2022)
이전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재까지 개발된 SOS1 저해제가 거의 모든 주요 KRAS oncogenic 변이에 대해 전임상 효능을 보여준다고 알려져 있고, 이는 SOS1 저해제가 치료할 수 있는 KRAS-driven 암 종이 KRASG12C 변이를 넘어 pan-KRAS 변이로 확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OS1 catalytic site에 binding하여 SOS1을 직접적으로 저해함으로써 다중의 KRAS 변이를 동시에 타겟팅 하는 최초의 SOS1 catalytic site inhibitor인 BI-1701963은 현재 advanced KRAS-mutated 암 환자를 대상으로 단독 그리고 MEK 저해제 trametinib (NCT04111458) 또는 topoisomerase 저해제 irinotecan (NCT04627142)과의 병용 Phase I 임상시험 중이다.
또한 이전의 발표된 연구는 SOS1의 catalytic site 뿐 아니라 allosteric site 또한 암 세포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SOS1의 positive feedback loop역할을 하는 allosteric site는 GDP-bound KRAS보다 GTP-bound KRAS에 더 강하게 결합하여 SOS1의 catalytic activity를 활성화시킨다. 이 연구는 특히 SOS1을 deletion하면 wild type KRAS를 가진 암세포가 아니라 KRAS 변이를 가진 암세포의 생존이 감소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인간의 SOS1 단백질은 Cdc25 homology domain을 가지고 있는 GEF family에 속하는 133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있는 multi-domain 단백질이다: N-terminal (1~550 아미노산)에는 HD (Histone-like Domain), DH (Dbl Homology) domain, PH (Pleckstrin Homology) domain 그리고 Helical Linker (HL)가 있고, central region (아미노산 550~1050)은 catalytic module로써 allosteric site를 가지고 있는 REM (Ras Exchange Motif) 과 RAS family 단백질에 specific activity를 보이는 catalytic site를 가지고 있는 CDC25H (homologous to Cell Division Cycle 25) domain이 있다. 약 30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C-terminal은 left-handed polyproline type II helix conformation 을 보이는 전체적 disordered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4개의 Proline-Rich (PR) motif를 가진 PR region이 있다. N-terminal과 C-terminal은 hinge역할을 하는 HL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HL은 SOS가 active, membrane-bound conformation과 auto-inhibited cytosolic conformation을 취하게 한다.
따라서, SOS1을 타겟팅 하는 PROTAC 개발을 통해 KRAS-driven 암 종에서 SOS1을 분해한다면 SOS1의 catalytic site와 allosteric site 기능을 원천 차단하기 때문에 catalytic site 또는 allosteric site 저해제보다 효과가 좋은 RAS-driven 암 종을 위한 항암제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SOS1 타겟팅은 KRAS 변이 암 종을 넘어서 EGFR과 NF1과 같은 GAPs 단백질의 변이를 가진 암 종에 대해서도 병용 가능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22-0130126 (SOS1 억제제, 2022.09.28.)에는 화학식 (1)의 프탈라진 또는 피리도[3,4-d]피리다진 유도체 화합물 및 이들의 제조합 인간 KRAS 내에서 GTP와 mantGDP의 SOS1-매개 뉴클레오티드의 교환 억제를 통해 SOS1 활성 증가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내 KRAS-매개 시그널링을 차단할 수 있는 항암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22-0090431 (SOS1 억제제로서의 [화학식 1]의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2022.06.29.)에는 SOS1의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RAS 패밀리 단백질 및/또는 RAC1에 SOS1 결합하는 것에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또는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국제공개특허 WO 2022-156792 (HETERCYCLIC COMPOUNDS AS SOS1 INHIBITORS, 2022.07.28.)에는 Formula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SOS1 매개 질환 및 암과 같은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국제공개특허 WO 2014-085528 (AZAQUINAZOLIN CARBOXAMIDE DERIVATIVES, 2014.06.05)에는 화학식 (1)의 azaquinazolin carboxamide 유도체 화합물 및 이들의 p70S6K 저해 및 AKT/PKB 키나아제 억제활성을 통한 증식성 질환 치료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기존 선행문헌의 개발된 화합물과 대비하여 본 발명의 신규한 벤조[d][1,2,3]트리아진 유도체 화합물이 우수한 SOS1의 GTP 치환 억제 활성 확인함으로써 SOS1 매개 질환 및 암과 같은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한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22-0130126, SOS1 억제제 (공개일 2022.09.28.) 한국공개특허 10-2022-0090431, SOS1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공개일 2022.06.29.) 국제공개특허 WO 2022-156792, HETERCYCLIC COMPOUNDS AS SOS1 INHIBITORS (공개일, 2022.07.28.) 국제공개특허 WO 2014-085528, AZAQUINAZOLIN CARBOXAMIDE DERIVATIVES (공개일 2014.06.05.)
John M et al, Design and Discovery of MRTX0902, a Potent, Selective, Brain-Penetrant, and Orally Bioavailable Inhibitor of the SOS1:KRAS Protein-Protein Interaction, J Med Chem, 65(14), 9678-9690 (2022) Macro H Hofmann et al, BI-3406, a Potent and Selective SOS1-KRAS Interaction Inhibitor, Is Effective in KRAS-Driven Cancers through Combined MEK InhibitionCancer Discov., 11(1), 142-157 (2021) Ramharter J et al, One Atom Makes All the Difference: Getting a Foot in the Door between SOS1 and KRAS, J Med Chem, 64(10), 6569-6580 (2021) Roman C. Hilling et al Discovery of potent SOS1 inhibitors that block RAS activation via disruption of the RAS-SOS1 interaction, Biochemistry, 116(7), 2551-2560 (2019)
본 발명자들은 SOS1 매개 질환 및 암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SOS1의 GTP 치환 억제 활성을 갖는 벤조[d][1,2,3]트리아진 유도체 화합물을 개발하고 이의 활성을 평가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C6-C12아릴, C4-C12헤테로아릴, C4-C12헤테로시클로알킬, C4-C12시클로알킬 및 C4-C12시클로알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디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옥소(=O), 니트로, 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메틸렌, 모노(C1-C3)알킬아미노메틸렌, 카르복실산, tert-부톡시카보닐, 디(C1-C3)알킬아민카보닐, 및 디C1-3알킬아미노C1-3알킬페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2는 수소 또는 C1-C6알킬로 치환되며;
R3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R4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하이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X는 -CH2-, -C(=O)-, -NH- 또는 -O-로 치환되며;
B는 아미노C1-C6알킬, C6-C12아릴, C4-C12헤테로아릴, C4-C12헤테로시클로알킬, 디아자스피로알칸, C4-C12시클로알킬, C4-12시클로알케닐 및 C4-12헤테로시클로알케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옥소(=O),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tert-부톡시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카보닐, 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C1-C3알킬, tert-부톡시카보닐피롤리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C1-C3알킬, 아미노, (tert-부톡시카보닐)(C1-3알킬)아미노, C1-3알킬옥시카보닐, 카르복실 및 C1-6알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제공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페닐, 나프탈레닐, 티오페닐, 시클로헥실 및 시클로헥세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디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옥소(=O), 니트로, 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메틸렌, 모노(C1-C3)알킬아미노메틸렌, 카르복실산, tert-부톡시카보닐, 디(C1-C3)알킬아민카보닐 및 디C1-3알킬아미노C1-3알킬페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2는 수소 또는 C1-C6알킬로 치환되며;
R3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R4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하이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X는 -CH2-, -C(=O)-, -NH- 또는 -O-로 치환되며;
B는 아미노C1-C6알킬, C6-C12아릴, C4-C12헤테로아릴, C4-C12헤테로시클로알킬, 디아자스피로알칸, C4-C12시클로알킬, C4-12시클로알케닐 및 C4-12헤테로시클로알케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옥소(=O),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tert-부톡시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카보닐, 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C1-C3알킬, tert-부톡시카보닐피롤리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C1-C3알킬, 아미노, (tert-부톡시카보닐)(C1-3알킬)아미노, C1-3알킬옥시카보닐, 카르복실 및 C1-6알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제공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페닐, 나프탈레닐, 티오페닐, 시클로헥실 및 시클로헥세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디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옥소(=O), 니트로, 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메틸렌, 모노(C1-C3)알킬아미노메틸렌, 카르복실산, tert-부톡시카보닐, 디(C1-C3)알킬아민카보닐 및 디C1-3알킬아미노C1-3알킬페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2는 수소 또는 C1-C6알킬로 치환되며;
R3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R4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하이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X는 -CH2-, -C(=O)-, -NH- 또는 -O-로 치환되며;
B는 페닐, 피페라진, 모르폴린, 피페리딘, 아미노C1-C6알킬, 아제티딘, 디아자스피로[3.3]헵탄, 피란, 테트라히이드로피란, 디하이드로피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옥소(=O),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tert-부톡시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카보닐, 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C1-C3알킬, tert-부톡시카보닐피롤리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C1-C3알킬, 아미노, (tert-부톡시카보닐)(C1-3알킬)아미노, C1-3알킬옥시카보닐, 카르복실 및 C1-6알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제공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페닐, 나프탈레닐, 티오페닐, 시클로헥실 및 시클로헥세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디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옥소(=O), 니트로, 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메틸렌, 모노(C1-C3)알킬아미노메틸렌, 카르복실산, tert-부톡시카보닐, 디(C1-C3)알킬아민카보닐 및 디C1-3알킬아미노C1-3알킬페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2는 수소 또는 C1-C6알킬로 치환되며;
R3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R4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하이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X는 -CH2-, -C(=O)-, -NH- 또는 -O-로 치환되며;
B는 페닐, 피페라진, 피페리딘, 아제티딘 및 디아자스피로[3.3]헵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옥소(=O),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tert-부톡시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카보닐, 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C1-C3알킬, tert-부톡시카보닐피롤리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C1-C3알킬, 아미노, (tert-부톡시카보닐)(C1-3알킬)아미노, C1-3알킬옥시카보닐, 카르복실 및 C1-6알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암은 비소세포 폐암(NSCLC), 흑색종, 삼중 음성 유방암(TNBC), 비인두암(NPC), 미세부수체 안정성 결장직장암(mssCRC), 흉선종, 카르시노이드, 위장관기질 종양(GIST), 전립선암, 유방암종, 림프종, 백혈병, 흑색종, 방광암종, 결장암, 피부 흑색종, 간세포암종, 자궁 내막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폐암, 신장암, 다형성 아교모세포종, 신경아교종,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비인두암, 설암, 췌장암, 식도암, 담관암종, 위암, 연조직 육종, 횡문근육종(RMS), 윤활막 육종, 골육종, 간상암, 및 유잉 육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내성 암 억제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다른 항암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병용투여를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항암제의 예로는 세포 신호 전달 억제제(크리조티닙(crizotinib), 다사티닙(dasatinib), 에르로티닙(erlotinib), 이마티닙(imatinib), 라파티닙(lapatinib), 닐로티닙(nilotinib), 파조파닙(pazopanib), 레고라페닙(regorafenib), 루소리티닙(ruxolitinib), 소라페닙(sorafenib), 수니티닙(sunitinib), 반데타닙(vandetanib), 베무라페닙(vemurafenib), 보수티닙(bosutinib), 게피티닙(gefitinib), 악시티닙(axitinib); 아파티닙(afatinib), 알리세르팁(alisertib), 다브라페닙(dabrafenib), 다코미티닙(dacomitinib), 디나시클립(dinaciclib), 도피티닙(dovitinib), 엔자스타우린(enzastaurin), 닌테다닙(nintedanib), 렌바티닙(lenvatinib), 리니파닙(linifanib), 린시티닙(linsitinib), 마시티닙(masitinib), 미도스타우린(midostaurin), 모테사닙(motesanib), 네라티닙(neratinib), 오란티닙(orantinib), 페리포신(perifosine), 포나티닙(ponatinib), 라도티닙(radotinib), 리고세르팁(rigosertib), 티피파르닙(tipifarnib), 티반티닙(tivantinib), 티보자닙(tivozanib), 트라메티닙(trametinib), 피마세르팁(pimasertib), 세디라닙(cediranib), 아파티닙(apatinib), 카보잔티닙(cabozantinib) 등), 유사분열 억제제(파클리탁셀, 빈크리스틴 및 빈블라스틴 등), 알킬화제(시스플라틴,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 크로마부실 및 카무스틴등), 항-대사제(메쏘트렉세이트 및 5-FU 등), 삽입 항암제(독소루비신, 액티노마이신, 안트라싸이클린, 블레오마이신 및 마이토마이신-C 등), 토포아이소머라제 억제제(에토포시드(etoposide), 이리노테칸(irinotecan), 라족산(razoxane), 소부족산(sobuzoxane), 테니포시드(teniposide), 토포테칸(topotecan); 아모나피드(amonafide), 벨로테칸(belotecan), 엘립티늄(elliptinium) 아세테이트, 보렉록신(voreloxin) 등), 면역요법제(인터루킨및 인터페론 등) 및 항-호르몬제(타목시펜 및 랄록시펜 등) 계열의 약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내성 암 억제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R)-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1);
(R)-6-모폴리노-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화합물 2);
(R)-6-(4-메틸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화합물 3);
(R)-(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일)메탄온(화합물 4);
tert-부틸 (R)-6-(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2,6-디아자스피로[3.3]헵탄-2-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 5);
(R)-6-(2,6-디아자스피로[3.3]헵탄-2-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6);
(R)-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2-온(화합물 7);
(R)-6-(4-(디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화합물 8);
tert-부틸 (R)-4-(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보닐)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 9);
(R)-피페리딘-4-일(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일)메탄온 염산염(화합물 10);
tert-부틸 (R)-(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화합물 11);
(R)-6-(4-아미노피페리딘-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12);
tert-부틸 (R)-메틸(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화합물 13);
(R)-6-(4-(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14);
tert-부틸 (R)-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화합물 15);
(R)-N6-(피페리딘-4-일)-N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6-디아민 염산염(화합물 16);
tert-부틸 3-(4-(4-(((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페닐)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 17);
6-(4-(피롤리딘-3-일)페닐)-N-((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18);
tert-부틸 (R)-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화합물 19);
(R)-6-(피페라진-1-일메틸)-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0);
tert-부틸 (R)-((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메틸)카르바메이트(화합물 21);
(R)-6-(아미노메틸)-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2);
(R)-6-(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3);
(R)-N-(1-(2-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4);
(R)-N-(1-(3-메톡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5);
N-(1-(3-클로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6);
(R)-N-(1-(3,4-디메톡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7);
메틸 (R)-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 28);
tert-부틸 (R)-2-(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일)아세테이트(화합물 29);
(R)-6-(아제티딘-3-일옥시)-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0);
(R)-N-(1-(나프탈렌-1-일)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1);
N-(1-(2,4-디클로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2);
N-(1-(2-브로모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33);
(R)-6-(피페라진-1-일)-N-(1-(m-톨릴)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4);
N-(1-(3-니트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5);
(R)-N-(1-(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6);
(R)-3-(1-((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일)아미노)에틸)벤조니트릴 염산염(화합물 37);
(R)-N-(1-(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8);
(R)-N-(1-(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9);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알데히드--(R)-7-메톡시-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1/1)(화합물 40);
(R)-7-메틸-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41);
(R)-8-메톡시-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42);
(R)-7-플루오로-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43);
(R)-N-(1-(3-브로모-2-메틸페닐)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44);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45);
(R)-4-(4-((1-(3-시아노-2-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아민 염산염(화합물 46);
(R)-N-(1-(4-(2-((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47);
(R)-8-클로로-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48);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7-메톡시-6-모폴리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화합물 49);
tert-부틸 4-(7-메톡시-4-(((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스-3-엔-1-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 50);
4-(7-메톡시-4-(((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스-3-엔-1-카복실산(화합물 51);
(R)-4-(7-메톡시-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산-1-카르복실산(화합물 52);
(R)-N-이소프로필-4-(7-메톡시-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산-1-카르복스아미드(화합물 53);
(R)-4-(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산-1-카르복실산(화합물 54);
(R)-4-(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N-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1-카르복스아미드(화합물 55);
(R)-N-(1-(3-(디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56);
(R)-6-(3,6-디히드로-2H-피란-4-일)-7-메톡시-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화합물 57); 및
(R)-7-메톡시-6-(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화합물 58);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하기 용어는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하기 의미를 가진다. 정의되지 않은 임의의 용어는 당해 분야에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상기 용어 "할로겐"은 플루오르(F), 염소(Cl), 브롬(Br), 요오드(I)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 "알킬"은 단일결합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1-메틸프로필 등이 있다.
상기 용어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X)에 의해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플루오로메틸 등을 포함하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 "시클로알킬"은 고리모양의 단일결합의 포화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을 포함하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 "시클로알케닐"은 3개 이상의 탄소 원자로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 즉 C=C를 포함하는 비방향족 탄소계 고리이다. 시클로알케닐의 예는 시클로프로페닐, 시클로부테닐,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펜타디에닐, 시클로헥세닐, 시클로헥사디에닐, 노르보르네닐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 "헤테로시클로알킬"은 N, O, 또는 S와 같은 헤테로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고리모양의 단일결합의 포화탄화수소기를 말하며, 고리에 포함된 헤테로원자의 수 및 종류, 및 탄소수에 따라 아지리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폴린일, 아제티딘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디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등을 포함하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 "헤테로시클로알케닐"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시클로알케닐 기의 한 유형이며 용어 "시클로알케닐"의 의미내에 포함되는데, 여기서 고리의 탄소 원자 중 적어도 하나는 질소, 산소, 황 또는 인과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헤테로원자로 치환된다. 시클로알케닐 기 및 헤테로시클로알케닐 기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아릴"은 공유 파이 전자계를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링을 가지고 있는 방향족치환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페닐, 벤질, 나프탈렌 등을 포함하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 "헤테로아릴"은 N, O, 또는 S와 같은 헤테로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방향족 고리화합물을 말하며, 고리에 포함된 헤테로원자의 수 및 종류, 및 탄소수에 따라 피롤일, 퓨란일, 피리딘일, 피리미딘일, 피란일 등을 포함하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라세미 형태 및 광학적인 활성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화합물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프로드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라세미 형태 및 광학적인 활성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화합물 및 입체이성질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같은 분자 화학식을 가졌으나 그 성질이 다르거나 이들의 원자에 결합하는 순서 또는 공간적으로 이들 원자의 배열이 다른 화합물들은 "이성체(isomer)"라는 용어로 지칭한다. 공간에서 이들 원자들의 배열이 다른 이성체는 "입체이성체(stereoisomers)"라는 용어로 지칭한다. 편좌우이성체(diastereomers)는 광학이성체가 아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이랄 센터(chiral center)에 반대의 배열 형태를 가진 입체이성체이다. 서로 겹쳐질 수 있는 거울상(mirror image)이 아닌 비대칭 센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입체이성체(stereoisomer)는 "광학이성체(enantiomers)라는 용어로 지칭한다. 한 화합물이 비대칭 센터를 가질 때, 예를 들어, 만약 한 탄소 원자가 네 개의 다른 그룹들과 결합했을 때, 한 쌍의 광학이성체가 가능하다. 한 광학이성체는 이의 비대칭 센터 또는 센터들의 절대적인 배열에 의해 규명될 수 있으며, 칸(Cahn), 인골드(Ingold) 및 프레로그(Prelog)의 R- 및 S-서열 법칙으로 서술되거나 분자들이 편광 빛(polarized light)의 평면을 도는 방식에 따라 우회전성(dextrorotatory) 또는 좌회전성(levorotatory)(즉, 각각 (+) 또는 (-)-이성체로서)으로 지정된 방식에 따라 서술될 수 있다. 카이랄 화합물은 각 개별적인 광학이성체로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동일분량의 광학이성체를 포함하고 있는 혼합물은 "라세미 혼합물(racemic mixture)”이라고 불린다. 본 발명은 화학적으로 가능할 때는 언제든지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라세미체, 시스 이성질체, 트랜스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바람직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한 화학식 1의 염 또는 복합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염의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무기산(예.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질산 등)으로 형성되는 산 부가 염, 및 아세트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호박산, 말산, 푸마르산, 말레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타닌산, 파모산, 알긴산, 폴리글루타민산, 나프탈렌 술폰산, 나프탈렌 디술폰산, 및 폴리-갈락투론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된 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당업자에게 알려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사차 염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특히,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O-알킬, 톨루엔술포네이트, 메틸술포네이트, 술포네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카르복실레이트(예를 들어, 벤조에이트, 숙시네이트, 아세테이트, 글리코레이트, 말리에이트(maleate), 말레이트(malate), 푸마레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시나모에이트, 만델로에이트 및 디페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프로드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유도체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시켜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라비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광물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안정화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저치환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탈크 같은 활택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유동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의 인다졸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멸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과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시간, 투여경로, 약물의 흡수, 분포 및 배설률, 사용되는 다른 약물의 종류 및 처방자의 판단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 ㎎/㎏/일 내지 대략 2000 ㎎/㎏/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 ㎎/㎏/일 내지 500 ㎎/㎏/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한 벤조[d][1,2,3]트리아진 유도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신규한 벤조[d][1,2,3]트리아진 유도체는 우수한 SOS1의 GTP 치환 억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 SOS1 매개 질환 및 암과 같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다.
도 1은 SOS1 생물학적 기전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KRAS 표적 치료제로 FDA 승인약물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벤조트리아진 유도체 합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 확인>
본 발명 화합물 1 내지 59의 합성과정 및 이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제조예 1
화합물 1: ( R )-6-(피페라진-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6-브로모벤조[ d ][1,2,3]트리아진-4(1 H )-온의 제조
아질산나트륨 (295 mg, 4.28 mmol, 2.0 eq.)을 0.5 N 염산 (15 mL)에 녹이고 0 °C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2-아미노-5-브로모벤즈아미드 (460 mg, 2.139 mmol, 1.0 eq.)을 DMF (1.5 mL)에 녹이고 반응물에 천천히 적가한 뒤 0 °C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pH 9-10이 될 때까지 30% 암모니아수를 적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를 0.5 N 염산으로 pH 2가 될 때까지 산성화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여 화합물 1-1 433 mg을 9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31 (d, J = 2.2 Hz, 1H), 8.24 (dd, J = 8.6, 2.3 Hz, 1H), 8.12 (d, J = 8.6 Hz, 1H).
[단계-2] ( R )-6-브로모-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1-1 (1 g, 4.42 mmol, 1.0 eq.),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0.837 g, 4.42 mmol, 1.0 eq.), PyBOP (3.45 g, 6.64 mmol, 1.5 eq.), DIPEA (2.312 mL, 13.27 mmol, 3.0 eq.)을 DMSO (30 mL)에 녹이고 50 °C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4:6(v/v)로 정제하여 화합물 1-2 620 mg을 3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8.43 (d, J = 2.0 Hz, 1H), 8.05 (d, J = 8.8 Hz, 1H), 7.96 (dd, J = 8.8, 1.9 Hz, 1H), 7.71 (s, 1H), 7.64 (d, J = 7.7 Hz, 1H), 7.43 (d, J = 7.8 Hz, 1H), 7.37-7.30 (m, 2H), 5.83 (p, J = 7.1 Hz, 1H), 1.70 (d, J = 7.0 Hz, 3H).
[단계-3] tert- 부틸 ( R )-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1-2 (450 mg, 1.133 mmol, 1.0 eq.),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22 mg, 2.266 mmol, 2.0 eq.), Pd2(dba)3 (51.9 mg, 0.057 mmol, 0.05 eq.), X-Phos (64.8 mg, 0.136 mmol, 0.12 eq.), KOtBu(칼륨 tert-부톡사이드) (381 mg, 3.40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0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1-3 458 mg을 8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92 (d, J = 9.3 Hz, 1H), 7.78 (s, 1H), 7.74 (d, J = 7.1 Hz, 1H), 7.71 (dd, J = 9.3, 2.6 Hz, 1H), 7.55-7.50 (m, 2H), 7.48 (d, J = 2.7 Hz, 1H), 5.72 (q, J = 7.0 Hz, 1H), 3.66-3.60 (m, 4H), 3.52-3.48 (m, 4H), 1.73 (d, J = 7.0 Hz, 3H), 1.50 (s, 9H).
[단계-4] ( R )-6-(피페라진-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1)의 제조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화합물 1-3 (460 mg, 0.915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2.288 mL, 9.15 mmol, 10.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1 420 mg을 10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8.15 (d, J = 9.4 Hz, 1H), 8.06 (d, J = 2.7 Hz, 1H), 7.99 (dd, J = 9.5, 2.6 Hz, 1H), 7.88-7.83 (m, 2H), 7.63-7.55 (m, 2H), 5.61 (q, J = 7.0 Hz, 1H), 4.09-4.04 (m, 4H), 3.50-3.46 (m, 4H), 1.86 (d, J = 7.0 Hz, 3H).
제조예 2
화합물 2: ( R )-6-모폴리노-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상기 제조예 1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1-2 (40 mg, 0.101 mmol, 1.0 eq.), 모르폴린(17.55 mg, 0.201 mmol, 2.0 eq.), Pd2(dba)3 (4.61 mg, 5.04 μmol, 0.05 eq.), X-Phos (5.76 mg, 0.012 mmol, 0.12 eq.), KOtBu (33.9 mg, 0.302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5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2 34 mg을 8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 4 ) δ 7.93 (dd, J = 9.3, 2.3 Hz, 1H), 7.79-7.76 (m, 1H), 7.76-7.70 (m, 2H), 7.56-7.52 (m, 1H), 7.52-7.47 (m, 2H), 5.73 (q, J = 7.0 Hz, 1H), 3.92-3.84 (m, 4H), 3.50-3.42 (m, 4H), 1.73 (d, J = 7.1 Hz, 3H).
제조예 3
화합물 3: ( R )-6-(4-메틸피페라진-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상기 제조예 1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1-2 (30 mg, 0.076 mmol, 1.0 eq.), 1-메틸피페라진 (15.13 mg, 0.151 mmol, 2.0 eq.), Pd2(dba)3 (3.46 mg, 3.78 μmol, 0.05 eq.), X-Phos (4.32 mg, 9.06 μmol, 0.12 eq.), KOtBu (25.4 mg, 0.227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5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3 24 mg을 7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92 (dd, J = 9.4, 1.7 Hz, 1H), 7.77 (s, 1H), 7.76-7.74 (m, 1H), 7.74-7.72 (m, 1H), 7.55-7.49 (m, 3H), 5.72 (q, J = 7.0 Hz, 1H), 3.54 (t, J = 5.1 Hz, 4H), 2.67 (t, J = 5.1 Hz, 4H), 2.40 (s, 3H), 1.73 (d, J = 7.1 Hz, 3H).
제조예 4
화합물 4: ( R )-(테트라히드로-2 H -피란-4-일)(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일)메탄온
상기 제조예 1 [단계-4]에서 수득한 화합물 1 (30 mg, 0.068 mmol, 1.0 eq.), 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실산 (10.68 mg, 0.082 mmol, 1.2 eq.), EDCI (19.66 mg, 0.103 mmol, 1.5 eq.), HOBt (13.85 mg, 0.103 mmol, 1.5 eq.), DIPEA (0.036 mL, 0.205 mmol, 3.0 eq.)을 DMF (1.5 mL)에 녹이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물에 물을 적가하였고 이를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 25 mg을 7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92 (d, J = 9.3 Hz, 1H), 7.77 (s, 1H), 7.74 (d, J = 7.3 Hz, 1H), 7.70 (dd, J = 9.3, 2.6 Hz, 1H), 7.55-7.50 (m, 2H), 7.49-7.47 (m, 1H), 5.72 (q, J = 7.0 Hz, 1H), 4.01-3.95 (m, 2H), 3.87-3.77 (m, 4H), 3.58-3.55 (m, 2H), 3.54-3.48 (m, 4H), 3.07-2.99 (m, 1H), 1.87-1.77 (m, 2H), 1.73 (d, J = 7.1 Hz, 3H), 1.70-1.64 (m, 2H).
제조예 5
화합물 6: ( R )-6-(2,6-디아자스피로[3.3]헵탄-2-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 R )-6-(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2,6-디아자스피로[3.3]헵탄-2-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5)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1-2 (30 mg, 0.076 mmol, 1.0 eq.), tert-부틸 2,6-디아자스피로[3.3]헵탄-2-카르복실레이트 (29.9 mg, 0.151 mmol, 2.0 eq.), Pd2(dba)3 (3.46 mg, 3.78 μmol, 0.05 eq.), X-Phos (4.32 mg, 9.06 μmol, 0.12 eq.), KOtBu (25.4 mg, 0.227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5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5 34 mg을 8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 4 ) δ 7.85 (d, J = 9.0 Hz, 1H), 7.77 (s, 1H), 7.76-7.71 (m, 1H), 7.56-7.47 (m, 2H), 7.09 (dd, J = 9.0, 2.4 Hz, 1H), 6.99 (d, J = 2.3 Hz, 1H), 5.70 (q, J = 7.0 Hz, 1H), 4.21 (s, 4H), 4.17 (s, 4H), 1.72 (d, J = 7.1 Hz, 3H), 1.46 (s, 9H).
[단계-2] ( R )-6-(2,6-디아자스피로[3.3]헵탄-2-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6)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5 (27 mg, 0.052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131 mL, 0.525 mmol, 10.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6 26 mg을 10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8.08 (d, J = 9.1 Hz, 1H), 7.90-7.85 (m, 1H), 7.83-7.78 (m, 2H), 7.61-7.53 (m, 2H), 7.50-7.47 (m, 1H), 5.59-5.51 (m, 1H), 4.34-4.28 (m, 2H), 4.28-4.23 (m, 2H), 4.13-4.08 (m, 2H), 4.08-4.06 (m, 1H), 3.57-3.55 (m, 1H), 1.88-1.84 (m, 1H), 1.84-1.79 (m, 2H).
제조예 6
화합물 7: ( R )-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2-온
[단계-1] ( R )-6-브로모-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단계-2]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7-1을 수득하였다.
[단계-2] ( R )-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2-온(화합물 7)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7-1 (15 mg, 0.038 mmol, 1.0 eq.)을 1,4-다이옥산 (1 mL)에 녹이고 피페라진-2-온 (3.78 mg, 0.038 mmol, 1.0 eq.), Pd2(dba)3 (1.729 mg, 1.888 μmol, 5 mol%), 잔트포스 (2.185 mg, 3.78 μmol, 10 mol%), 탄산세슘 (24.61 mg, 0.076 mmol, 2.0 eq.)을 넣고, 80 °C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이를 증류수와 에틸아세테이트로 녹이고,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 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90:10(v/v))로 정제하여 화합물 7 7.8 mg를 5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8.38 (s, 1H), 8.13 (d, J = 8.9 Hz, 1H), 8.07 (dd, J = 9.2, 2.0 Hz, 1H), 7.80 (s, 1H), 7.76 (d, J = 7.2 Hz, 1H), 7.57-7.50 (m, 2H), 5.81-5.73 (m, 1H), 3.91 (t, J = 5.4 Hz, 2H), 3.67 (s, 2H), 3.26 (t, J = 6.0 Hz, 2H), 2.06-1.99 (m, 1H), 1.74 (d, J = 6.8 Hz, 3H).
제조예 7
화합물 8: ( R )-6-(4-(디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단계-1] ( R )-6-브로모-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단계-2]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1-2를 수득하였다.
[단계-2] ( R )-6-(4-(디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화합물 8)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단계-3]에서 tert-부틸 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 대신 N,N-디메틸피페리딘-4-아민 (9.68 mg, 0.076 mmol, 2.0 eq.)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8 9.5 mg을 5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7.89 (d, J = 9.3 Hz, 1H), 7.77 (s, 1H), 7.76-7.68 (m, 2H), 7.54-7.46 (m, 3H), 5.72 (q, J = 7.2 Hz, 1H), 4.21 (d, J = 13.0 Hz, 2H), 3.00 (t, J = 12.7 Hz, 2H), 2.72-2.62 (m, 1H), 2.44 (s, 6H), 2.1-2.03 (m, 2H), 1.73 (d, J = 7.0 Hz, 3H), 1.69-1.59 (m, 2H).
제조예 8
화합물 10: ( R )-피페리딘-4-일(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일)메탄온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 R )-4-(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보닐)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9)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단계-4]에서 수득한 화합물 1 (30 mg, 0.068 mmol, 1.0 eq.), 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 (18.81 mg, 0.082 mmol, 1.2 eq.), EDCI (19.66 mg, 0.103 mmol, 1.5 eq.), HOBt (13.85 mg, 0.103 mmol, 1.5 eq.), DIPEA (0.036 mL, 0.205 mmol, 3.0 eq.)을 DMF (1.5 mL)에 녹이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물에 물을 적가하였고 이를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9 29 mg을 6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92 (d, J = 9.3 Hz, 1H), 7.77 (s, 1H), 7.74 (d, J = 7.3 Hz, 1H), 7.71 (dd, J = 9.3, 2.6 Hz, 1H), 7.55-7.50 (m, 2H), 7.48 (d, J = 2.6 Hz, 1H), 5.72 (q, J = 7.0 Hz, 1H), 4.12 (d, J = 13.3 Hz, 2H), 3.87-3.77 (m, 4H), 3.61-3.48 (m, 4H), 3.00-2.93 (m, 1H), 2.93-2.79 (m, 2H), 1.78-1.74 (m, 2H), 1.74-1.71 (m, 3H), 1.67-1.57 (m, 2H), 1.47 (s, 9H).
[단계-2] ( R )-피페리딘-4-일(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일)메탄온 염산염 (화합물 10)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9 (25 mg, 0.041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81 mL, 0.325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10 22 mg을 9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8.11 (d, J = 9.4 Hz, 1H), 7.93 (dd, J = 9.5, 2.6 Hz, 1H), 7.85-7.80 (m, 3H), 7.62-7.55 (m, 2H), 5.58 (q, J = 7.0 Hz, 1H), 3.98-3.92 (m, 4H), 3.88-3.83 (m, 4H), 3.50-3.44 (m, 2H), 3.25-3.20 (m, 1H), 3.20-3.17 (m, 1H), 3.17-3.13 (m, 1H), 2.08-2.00 (m, 2H), 2.00-1.89 (m, 2H), 1.83 (d, J = 7.0 Hz, 3H).
제조예 9
화합물 12: ( R )-6-(4-아미노피페리딘-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 R )-6-브로모-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화합물 1-1 (300 mg, 1.327 mmol, 1.0 eq.)을 DMSO (1 mL)에 녹이고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251 mg, 0.560 mmol, 1.0 eq.), PyBOP (1036 mg, 1.991 mmol, 1.5 eq.), DIPEA (0.695 ml, 3.98 mmol, 3.0 eq.)을 넣은 뒤, 50 °C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하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MPLC (헥산:에틸 아세테이트=7:3(v/v))로 정제하여 화합물 1-2 222 mg를 4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8.69 (d, J = 2.0 Hz, 1H), 8.15 (dd, J = 8.8, 1.9 Hz, 1H), 8.01 (d, J = 9.0 Hz, 1H), 7.80 (s, 1H), 7.75 (d, J = 6.9 Hz, 1H), 7.56-7.48 (m, 2H), 5.76 (q, J = 7.1 Hz, 1H), 1.73 (d, J = 6.9 Hz, 3H).
[단계-2] tert- 부틸 ( R )-(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 (화합물 11)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1-2 (15 mg, 0.038 mmol, 1.0 eq.)을 1,4-다이옥산 (1 mL)에 녹이고 tert-부틸 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 (15.13 mg, 0.076 mmol, 2.0 eq.), Pd2(dba)3 (1.729 mg, 1.888 μmol, 5 mol%), X-Phos (2.160 mg, 4.53 μmol, 12 mol%), KOtBu (12.71 mg, 0.113 mmol, 3.0 eq.)을 넣고, 110 °C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이를 증류수와 에틸아세테이트로 녹이고,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 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0:10(v/v))로 정제하여 화합물 11 7.9 mg를 4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7.89 (d, J = 9.3 Hz, 1H), 7.77 (s, 1H), 7.75-7.67 (m, 2H), 7.54-7.49 (m, 2H), 7.48 (s, 1H), 5.72 (q, J = 7.1 Hz, 1H), 4.08 (d, J = 13.4 Hz, 2H), 3.63 (t, 1H), 3.12 (t, J = 12.5 Hz, 2H), 2.00 (d, J = 12.7 Hz, 2H), 1.72 (d, J = 7.0 Hz, 3H), 1.64-1.51 (m, 2H), 1.45 (s, 9H).
[단계-3] (R)-6-(4-아미노피페리딘-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12)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11 (5.1 mg, 9.87 μmol)을 디클로로메탄 (0.5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5 mL, 10.0 eq.)를 넣은 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12 3.9 mg를 8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9.80 (s, 1H), 7.95 (s, 1H), 7.92-7.83 (m, 2H), 7.81-7.70 (m, 1H), 7.68-7.55 (m, 3H), 5.68 (q, J = 7.4 Hz, 1H), 3.25-3.15 (m, 3H), 2.07-1.97 (m, 4H), 1.75 (d, J = 7.0 Hz, 3H), 1.70-1.50 (m, 5H).
제조예 10
화합물 14: ( R )-6-(4-(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 R )-6-브로모-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단계-2]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1-2를 수득하였다.
[단계-2] tert- 부틸 ( R )-메틸(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 (화합물 13)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단계-3]에서 tert-부틸 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 대신 tert-부틸 메틸(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 (16.19 mg, 0.07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13 9.2 mg을 4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7.90 (d, J = 9.3 Hz, 1H), 7.77 (s, 1H), 7.76-7.69 (m, 2H), 7.57-7.47 (m, 3H), 5.72 (q, J = 7.1 Hz, 1H), 4.23 (d, J = 13.2 Hz, 2H), 4.19-4.01 (m, 1H), 3.05 (t, J = 12.7 Hz, 2H), 2.76 (s, 3H), 1.96-1.83 (m, 2H), 1.81-1.75 (m, 2H), 1.73 (d, J = 7.2 Hz, 3H), 1.47 (s, 9H).
[단계-3] ( R )-6-(4-(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의 제조 (화합물 14)
상기 제조예 1의 [단계-4]에서 tert-부틸 (R)-(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 대신 tert-부틸 (R)-메틸(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 (7.2 mg, 0.014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14 6.1 mg을 9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 6) δ 10.90 (s, 1H), 10.25 (s, 1H), 7.95 (d, J = 7.3 Hz, 1H), 7.92-7.86 (m, 2H), 7.80 (d, J = 8.0 Hz, 1H), 7.74 (d, J = 7.8 Hz, 1H), 7.67-7.57 (m, 2H), 6.51-6.46 (m, 1H), 3.22-3.11 (m, 3H), 2.55 (s, 3H), 2.18-2.12 (m, 2H), 2.00 (d, J = 6.5 Hz, 3H), 1.75 (d, J = 6.9 Hz, 1H), 1.69-1.54 (m, 3H).
제조예 11
화합물 16: ( R )- N 6-(피페리딘-4-일)- N 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6-디아민 염산염
[단계-1] ( R )-6-브로모-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단계-2]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1-2를 수득하였다.
[단계-2] tert- 부틸 ( R )-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5)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단계-3]에서 tert-부틸 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 대신 tert-부틸 4-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5.13 mg, 0.07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15 8.1 mg을 4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7.77 (d, J = 9.3 Hz, 2H), 7.74-7.69 (m, 1H), 7.54-7.50 (m, 2H), 7.32 (dd, J = 9.2, 2.3 Hz, 1H), 7.11 (s, 1H), 5.71 (q, J = 7.1 Hz, 1H), 4.13-4.05 (m, 2H), 3.80-3.68 (m, 1H), 3.06-2.98 (m, 2H), 2.12-2.04 (m, 2H), 1.72 (d, J = 7.0 Hz, 3H), 1.48 (s, 9H), 1.44-1.41 (m, 2H).
[단계-3] ( R )- N 6-(피페리딘-4-일)- N 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6-디아민 염산염 (화합물 16)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단계-4]에서 tert-부틸 (R)-(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 대신 tert-부틸 (R)-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7.0 mg, 0.014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16 6.0 mg을 9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 6) δ 10.69 (s, 1H), 8.97 (s, 1H), 8.88 (s, 1H), 8.04 (s, 1H), 8.01 (d, J = 7.0 Hz, 1H), 7.94 (d, J = 8.9 Hz, 2H), 7.63-7.56 (m, 2H), 7.56-7.49 (m, 1H), 5.62 (t, J = 7.3 Hz, 1H), 2.22-2.15 (m, 2H), 2.03-1.96 (m, 1H), 1.82 (d, J = 7.0 Hz, 3H), 1.79-1.67 (m, 4H), 1.35-1.26 (m, 2H).
제조예 12
화합물 18: 6-(4-(피롤리딘-3-일)페닐)- N -(( R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3-(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tert-부틸 3-(4-브로모페닐)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00 mg, 0.307 mmol, 1.0 eq.),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 (117 mg, 0.460 mmol, 1.5 eq.),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디클로로메탄(1:1) (25.03 mg, 0.031 mmol, 0.1 eq.), 아세트산칼륨 (90 mg, 0.920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2.0 mL)에 녹이고 100 °C 질소 대기 하에서 16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에틸아세테이트:헥산=2:8(v/v)로 정제하여 화합물 17-1 87 mg을 7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7.77 (d, J = 8.1 Hz, 2H), 7.25 (d, J = 8.1 Hz, 2H), 3.83-3.77 (m, 1H), 3.63-3.55 (m, 1H), 3.43-3.28 (m, 3H), 2.29-2.22 (m, 1H), 2.03-1.94 (m, 1H), 1.47 (s, 9H), 1.33 (s, 12H).
[단계-2] tert- 부틸 3-(4-(4-((( R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페닐)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17)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1-2 (30 mg, 0.076 mmol, 1.0 eq.),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17-1 (28.2 mg, 0.076 mmol, 1.0 eq.),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4.36 mg, 3.78 μmol, 0.05 eq.), 2 M 탄산칼륨 수용액 (114 μL)을 1,4-다이옥산 (1.0 mL)에 녹이고 10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17 38 mg을 6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 4 ) δ 8.64 (d, J = 1.8 Hz, 1H), 8.30 (dd, J = 8.7, 1.9 Hz, 1H), 8.12 (d, J = 8.7 Hz, 1H), 7.82-7.77 (m, 3H), 7.77-7.74 (m, 1H), 7.56-7.47 (m, 2H), 7.43 (d, J = 8.2 Hz, 2H), 5.77 (q, J = 7.0 Hz, 1H), 3.86-3.77 (m, 1H), 3.64-3.55 (m, 1H), 3.52-3.37 (m, 2H), 3.37-3.32 (m, 1H), 2.38-2.26 (m, 1H), 2.14-1.96 (m, 1H), 1.74 (d, J = 7.1 Hz, 3H), 1.49 (s, 9H).
[단계-3] 6-(4-(피롤리딘-3-일)페닐)- N -(( R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18)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17 (10 mg, 0.018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35 mL, 0.142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18 8.3 mg을 9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 4 ) δ 8.98 (d, J = 1.8 Hz, 1H), 8.54 (dd, J = 8.7, 1.8 Hz, 1H), 8.24 (d, J = 8.7 Hz, 1H), 7.99-7.94 (m, 2H), 7.92-7.84 (m, 2H), 7.67-7.61 (m, 2H), 7.61-7.57 (m, 2H), 5.88 (q, J = 7.0 Hz, 1H), 3.85-3.76 (m, 1H), 3.73-3.67 (m, 1H), 3.67-3.59 (m, 1H), 3.52-3.40 (m, 2H), 2.62-2.50 (m, 1H), 2.28-2.13 (m, 1H), 1.88 (d, J = 7.0 Hz, 3H).
제조예 13
화합물 20: ( R )-6-(피페라진-1-일메틸)-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 R )-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9)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1-2 (30 mg, 0.076 mmol, 1.0 eq.), 칼륨 (4-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메틸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46.3 mg, 0.151 mmol, 2.0 eq.), 팔라듐(II) 아세테이트 (3.39 mg, 0.015 mmol, 0.2 eq.), X-Phos (14.40 mg, 0.030 mmol, 0.4 eq.), 탄산세슘 (73.8 mg, 0.227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2 mL)와 증류수 (0.3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19 32 mg을 8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 4 ) δ 8.34 (s, 1H), 8.08-8.05 (m, 2H), 7.81 (s, 1H), 7.79-7.74 (m, 1H), 7.57-7.49 (m, 2H), 5.79 (q, J = 7.0 Hz, 1H), 3.77 (s, 2H), 3.51-3.42 (m, 4H), 2.51-2.43 (m, 4H), 1.74 (d, J = 7.0 Hz, 3H), 1.46 (s, 9H).
[단계-2] ( R )-6-(피페라진-1-일메틸)-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20)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19 (12 mg, 0.023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5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46 mL, 0.186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20 11 mg을 10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9.07 (s, 1H), 8.50 (d, J = 8.5 Hz, 1H), 8.20 (d, J = 8.5 Hz, 1H), 7.96-7.90 (m, 2H), 7.66-7.58 (m, 2H), 5.94 (q, J = 6.9 Hz, 1H), 4.70 (s, 2H), 3.67-3.60 (m, 8H), 1.91 (d, J = 6.9 Hz, 3H).
제조예 14
화합물 22: ( R )-6-(아미노메틸)-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 R )-((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메틸)카르바메이트 (화합물 21)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1-2 (30 mg, 0.076 mmol, 1.0 eq.), 칼륨 (((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35.8 mg, 0.151 mmol, 2.0 eq.), 팔라듐(II) 아세테이트 (3.39 mg, 0.015 mmol, 0.2 eq.), X-Phos (14.40 mg, 0.030 mmol, 0.4 eq.), 탄산세슘 (73.8 mg, 0.227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2 mL)와 증류수 (0.3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21 19 mg을 5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8.26 (s, 1H), 8.06 (d, J = 8.5 Hz, 1H), 7.96 (d, J = 8.3 Hz, 1H), 7.80 (s, 1H), 7.76 (d, J = 7.3 Hz, 1H), 7.57-7.50 (m, 2H), 5.78 (q, J = 7.0 Hz, 1H), 4.47 (s, 2H), 1.74 (d, J = 7.0 Hz, 3H), 1.47 (s, 9H).
[단계-2] ( R )-6-(아미노메틸)-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22)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21 (14 mg, 0.031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5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63 mL, 0.250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22 9.3 mg을 7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9.00 (s, 1H), 8.34 (dd, J = 8.6, 1.8 Hz, 1H), 8.22 (d, J = 8.6 Hz, 1H), 7.95-7.90 (m, 2H), 7.66-7.58 (m, 2H), 5.92 (q, J = 7.0 Hz, 1H), 4.46 (s, 2H), 1.91 (d, J = 6.9 Hz, 3H).
제조예 15
화합물 23: ( R )-6-(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 R )-4-((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단계-4]에서 수득한 화합물 1 (30 mg, 0.068 mmol, 1.0 eq.), tert-부틸 4-(요오도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22.23 mg, 0.068 mmol, 1.0 eq.), 탄산칼륨 (28.3 mg, 0.205 mmol, 3.0 eq.)을 DMF (1.5 mL)에 녹이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80 °C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반응물에 물을 적가하였다. 이를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23-1 5.1 mg을 1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92 (d, J = 9.3 Hz, 1H), 7.77 (s, 1H), 7.75-7.72 (m, 2H), 7.54-7.50 (m, 2H), 7.49-7.47 (m, 1H), 5.72 (q, J = 7.1 Hz, 1H), 4.11-4.04 (m, 2H), 3.56-3.50 (m, 4H), 2.86-2.70 (m, 2H), 2.65-2.59 (m, 4H), 2.31-2.26 (m, 2H), 1.85-1.76 (m, 3H), 1.73 (d, J = 7.1 Hz, 3H), 1.46 (s, 9H), 1.14-1.04 (m, 2H).
[단계-2] ( R )-6-(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3)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23-1 (6 mg, 10.00 μ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20 mL, 0.080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23 3.3 mg을 6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8.15 (d, J = 9.4 Hz, 1H), 8.06 (d, J = 2.6 Hz, 1H), 8.01 (dd, J = 9.4, 2.5 Hz, 1H), 7.88-7.83 (m, 2H), 7.63-7.56 (m, 2H), 5.62 (q, J = 7.0 Hz, 1H), 4.63-4.49 (m, 2H), 3.96-3.71 (m, 4H), 3.52-3.44 (m, 3H), 3.41-3.35 (m, 1H), 3.29-3.25 (m, 2H), 3.17-3.07 (m, 2H), 2.46-2.36 (m, 1H), 2.24-2.17 (m, 2H), 1.86 (d, J = 7.0 Hz, 3H), 1.66-1.56 (m, 2H).
제조예 16
화합물 24: ( R )- N -(1-(2-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4-(4-옥소-1,4-디하이드로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1-1 (500 mg, 2.212 mmol, 1.0 eq.),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824 mg, 4.42 mmol, 2.0 eq.), Pd2(dba)3 (101 mg, 0.111 mmol, 0.05 eq.), X-Phos (127 mg, 0.265 mmol, 0.12 eq.),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 (638 mg, 6.64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30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1: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24-1 290 mg을 4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1.87 (s, 1H), 8.05 (d, J = 9.1 Hz, 1H), 7.56 (d, J = 2.9 Hz, 1H), 7.48 (dd, J = 9.1, 2.9 Hz, 1H), 3.67-3.60 (m, 4H), 3.52-3.45 (m, 4H), 1.50 (s, 9H).
[단계-2] tert- 부틸 ( R )-4-(4-((1-(2-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24-1 (20 mg, 0.060 mmol, 1.0 eq.), (R)-1-(2-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24.53 mg, 0.121 mmol, 2.0 eq), PyBOP (62.8 mg, 0.121 mmol, 2.0 eq.), DIPEA (0.032 mL, 0.181 mmol, 3.0 eq.)을 DMSO (1.2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24-2 8.7 mg을 2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89 (d, J = 9.3 Hz, 1H), 7.72-7.70 (m, 1H), 7.69-7.67 (m, 1H), 7.53 (d, J = 7.9 Hz, 1H), 7.50 (d, J = 2.6 Hz, 1H), 7.28 (t, J = 7.9 Hz, 1H), 5.89 (q, J = 6.9 Hz, 1H), 3.66-3.58 (m, 4H), 3.52-3.46 (m, 4H), 2.63 (s, 3H), 1.67 (d, J = 6.9 Hz, 3H), 1.50 (s, 9H).
[단계-3] ( R )- N -(1-(2-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24)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24-2 (11 mg, 0.022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2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44 mL, 0.177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24 9.0 mg을 9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8.12 (d, J = 9.4 Hz, 1H), 8.07 (d, J = 2.6 Hz, 1H), 7.98 (dd, J = 9.5, 2.7 Hz, 1H), 7.85 (d, J = 7.9 Hz, 1H), 7.58 (d, J = 7.8 Hz, 1H), 7.34 (t, J = 7.9 Hz, 1H), 5.80 (q, J = 6.9 Hz, 1H), 4.09-4.05 (m, 4H), 3.50-3.47 (m, 4H), 2.64 (s, 3H), 1.79 (d, J = 6.9 Hz, 3H).
제조예 17
화합물 25: ( R )- N -(1-(3-메톡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 R )-4-(4-((1-(3-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6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24-1 (30 mg, 0.091 mmol, 1.0 eq.), (R)-1-(3-메톡시페닐)에탄-1-아민 (27.4 mg, 0.181 mmol, 2.0 eq), PyBOP (94 mg, 0.181 mmol, 2.0 eq.), DIPEA (0.047 mL, 0.272 mmol, 3.0 eq.)을 DMSO (1.2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25-1 13 mg을 3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85 (d, J = 9.2 Hz, 1H), 7.60 (dd, J = 9.3, 2.6 Hz, 1H), 7.39 (d, J = 2.6 Hz, 1H), 7.19 (t, J = 7.9 Hz, 1H), 7.05-7.01 (m, 2H), 6.77-6.73 (m, 1H), 5.63 (q, J = 7.0 Hz, 1H), 3.73 (s, 3H), 3.60-3.54 (m, 4H), 3.43-3.37 (m, 4H), 1.67 (d, J = 7.0 Hz, 3H), 1.49 (s, 9H).
[단계-2] ( R )- N -(1-(3-메톡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25)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25-1 (12 mg, 0.025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2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50 mL, 0.198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25 9.9 mg을 10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 4 ) δ 8.14 (d, J = 9.4 Hz, 1H), 8.06 (d, J = 2.6 Hz, 1H), 7.97 (dd, J = 9.3, 2.7 Hz, 1H), 7.32-7.24 (m, 1H), 7.13-7.07 (m, 2H), 6.88-6.82 (m, 1H), 5.50 (q, J = 6.9 Hz, 1H), 4.07-4.00 (m, 4H), 3.79 (d, J = 1.5 Hz, 3H), 3.49-3.45 (m, 4H), 1.82 (d, J = 6.9 Hz, 3H).
제조예 18
화합물 26: N -(1-(3-클로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4-(4-((1-(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6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24-1 (30 mg, 0.091 mmol, 1.0 eq.), 1-(3-클로로페닐)에탄-1-아민 (28.2 mg, 0.181 mmol, 2.0 eq), PyBOP (94 mg, 0.181 mmol, 2.0 eq.), DIPEA (0.047 mL, 0.272 mmol, 3.0 eq.)을 DMSO (1.2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26-1 11 mg을 2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91 (d, J = 9.3 Hz, 1H), 7.69 (dd, J = 9.3, 2.6 Hz, 1H), 7.50-7.47 (m, 2H), 7.41 (d, J = 7.5 Hz, 1H), 7.30 (t, J = 7.8 Hz, 1H), 7.24-7.21 (m, 1H), 5.65 (q, J = 7.0 Hz, 1H), 3.67-3.60 (m, 4H), 3.52-3.47 (m, 4H), 1.70 (d, J = 7.1 Hz, 3H), 1.50 (s, 9H).
[단계-2] N -(1-(3-클로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26)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26-1 (11 mg, 0.024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2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48 mL, 0.193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26 8.8 mg을 9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 4 ) δ 8.15 (d, J = 9.4 Hz, 1H), 8.03 (d, J = 2.6 Hz, 1H), 7.98 (dd, J = 9.3, 2.7 Hz, 1H), 7.59-7.55 (m, 1H), 7.51-7.46 (m, 1H), 7.41-7.35 (m, 1H), 7.34-7.27 (m, 1H), 5.57-5.48 (m, 1H), 4.08-4.01 (m, 4H), 3.49-3.45 (m, 4H), 1.82 (d, J = 7.0 Hz, 3H).
제조예 19
화합물 27: ( R )- N -(1-(3,4-디메톡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 R )-4-(4-((1-(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6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24-1 (30 mg, 0.091 mmol, 1.0 eq.), (R)-1-(3,4-디메톡시페닐)에탄-1-아민 (32.8 mg, 0.181 mmol, 2.0 eq), PyBOP (94 mg, 0.181 mmol, 2.0 eq.), DIPEA (0.047 mL, 0.272 mmol, 3.0 eq.)을 DMSO (1.2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27-1 15 mg을 3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87 (d, J = 9.2 Hz, 1H), 7.63 (dd, J = 9.3, 2.6 Hz, 1H), 7.41 (d, J = 2.6 Hz, 1H), 7.07 (d, J = 2.1 Hz, 1H), 7.01 (dd, J = 8.3, 2.1 Hz, 1H), 6.84 (d, J = 8.3 Hz, 1H), 5.61 (q, J = 7.0 Hz, 1H), 3.77 (d, J = 7.5 Hz, 6H), 3.60-3.53 (m, 4H), 3.43-3.38 (m, 4H), 1.67 (d, J = 7.0 Hz, 3H), 1.48 (s, 9H).
[단계-2] ( R )- N -(1-(3,4-디메톡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27)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27-1 (15 mg, 0.031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2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62 mL, 0.247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27 12 mg을 8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 4 ) δ 8.14 (d, J = 9.4 Hz, 1H), 8.08 (d, J = 2.6 Hz, 1H), 7.96 (dd, J = 9.6, 2.5 Hz, 1H), 7.25-7.22 (m, 1H), 7.14-7.08 (m, 1H), 6.97-6.91 (m, 1H), 5.54-5.45 (m, 1H), 4.07-4.00 (m, 4H), 3.86 (s, 3H), 3.81 (s, 3H), 3.49-3.45 (m, 4H), 1.83 (d, J = 6.9 Hz, 3H).
제조예 20
화합물 28: 메틸 ( R )-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카르복실레이트
상기 제조예 1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1-2 (30 mg, 0.076 mmol, 1.0 eq.), 메틸 피페리딘-4-카르복실레이트 (21.63 mg, 0.151 mmol, 2.0 eq.), Pd2(dba)3 (3.46 mg, 3.78 μmol, 0.05 eq.), X-Phos (4.32 mg, 9.06 μmol, 0.12 eq.), KOtBu (25.4 mg, 0.227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5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28 9.2 mg을 2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8.00 (d, J = 9.1 Hz, 1H), 7.79 (s, 1H), 7.77-7.74 (m, 2H), 7.58 (dd, J = 9.1, 2.6 Hz, 1H), 7.55-7.49 (m, 2H), 5.75 (q, J = 7.2 Hz, 1H), 4.02 (s, 3H), 1.74 (d, J = 7.1 Hz, 3H).
제조예 21
화합물 29: tert- 부틸 ( R )-2-(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일)아세테이트
상기 제조예 1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1-2 (30 mg, 0.076 mmol, 1.0 eq.), tert-부틸 2-(피페리딘-4-일)아세테이트 (30.1 mg, 0.151 mmol, 2.0 eq.), Pd2(dba)3 (3.46 mg, 3.78 μmol, 0.05 eq.), X-Phos (4.32 mg, 9.06 μmol, 0.12 eq.), KOtBu (25.4 mg, 0.227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5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29 6.4 mg을 1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89 (d, J = 9.3 Hz, 1H), 7.77 (s, 1H), 7.75-7.72 (m, 1H), 7.71 (dd, J = 9.3, 2.6 Hz, 1H), 7.55-7.49 (m, 2H), 7.46 (d, J = 2.6 Hz, 1H), 5.72 (q, J = 7.0 Hz, 1H), 4.13 (d, J = 12.5 Hz, 2H), 3.06-2.99 (m, 2H), 2.23 (d, J = 7.0 Hz, 2H), 2.09-2.00 (m, 1H), 1.90-1.84 (m, 2H), 1.72 (d, J = 7.1 Hz, 3H), 1.46 (s, 9H), 1.43-1.36 (m, 2H).
제조예 22
화합물 30: ( R )-6-(아제티딘-3-일옥시)-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 R )-6-브로모-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단계-2]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1-2를 수득하였다.
[단계-2] tert- 부틸 ( R )-3-((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옥시)아제티딘-1-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단계-3]에서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대신 tert-부틸 3-히드록시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 (13.08 mg, 0.07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0-1 3.3 mg을 1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8.08 (d, J = 9.1 Hz, 1H), 7.81-7.72 (m, 2H), 7.67-7.60 (m, 1H), 7.56-7.50 (m, 3H), 5.77 (q, J = 7.2 Hz, 1H), 4.51-4.45 (m, 2H), 4.11 (t, J = 8.2 Hz, 1H), 4.04-3.98 (m, 1H), 1.75 (d, J = 7.1 Hz, 3H), 1.47 (s, 6H), 1.44 (s, 3H).
[단계-3] ( R )-6-(아제티딘-3-일옥시)-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0)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단계-4]에서 화합물 1-3 대신 화합물 30-1 (10.0 mg, 0.02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0 8.1 mg을 9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8.22-8.15 (m, 2H), 7.93-7.88 (m, 2H), 7.85-7.81 (m, 1H), 7.61-7.56 (m, 2H), 5.76 (q, J = 7.2 Hz, 1H), 4.30-4.20 (m, 3H), 4.07-3.97 (m, 2H), 3.94-3.86 (m, 1H), 1.88 (d, J = 7.0 Hz, 3H).
제조예 23
화합물 31: ( R )- N -(1-(나프탈렌-1-일)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4-(4-옥소-1,4-디하이드로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화합물 1-1 (400 mg, 1.770 mmol, 1.0 eq.)을 1,4-다이옥산 (5 mL)에 녹이고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659 mg, 3.54 mmol, 2.0 eq.), Pd2(dba)3 (81 mg, 0.088 mmol, 5 mol%), X-Phos (101 mg, 0.212 mmol, 12 mol%),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 (510 mg, 5.31 mmol, 3.0 eq.)을 넣고, 110 °C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이를 증류수와 에틸아세테이트로 녹이고,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 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MPLC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31-1 281 mg를 4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11.88 (s, 1H), 8.05 (d, J = 9.1 Hz, 1H), 7.54 (d, J = 2.8 Hz, 1H), 7.45 (dd, J = 9.1, 2.9 Hz, 1H), 3.67-3.60 (m, 4H), 3.51-3.44 (m, 4H), 1.49 (s, 9H).
[단계-2] tert- 부틸 ( R )-4-(4-((1-(나프탈렌-1-일)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31-1 (30 mg, 0.091 mmol, 1.0 eq.)을 DMSO(다이메틸 설폭사이드) (1 mL)에 녹이고 (R)-1-(나프탈렌-1-일)에탄-1-아민 (31.0 mg, 0.181 mmol, 2.0 eq.), PyBOP (94 mg, 0.181 mmol, 2.0 eq.), DIPEA (0.047 ml, 0.272 mmol, 3.0 eq.)을 넣은 뒤, 50 °C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하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MPLC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3(v/v))로 정제하여 화합물 31-2 15.9 mg를 2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7.92 (d, 1H), 7.89-7.83 (m, 1H), 7.78 (d, J = 8.3 Hz, 1H), 7.70 (dd, J = 9.3, 2.5 Hz, 1H), 7.64 (d, J = 7.3 Hz, 1H), 7.59-7.51 (m, 1H), 7.49-7.38 (m, 4H), 6.47 (q, J = 7.2 Hz, 1H), 3.60-3.54 (m, 4H), 3.45-3.39 (m, 4H), 1.82 (d, J = 6.9 Hz, 3H), 1.48 (s, 9H).
[단계-3] ( R )- N -(1-(나프탈렌-1-일)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31)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31-2 (14 mg, 0.029 mmol)을 디클로로메탄 (0.5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5 mL)를 넣은 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31 12.0 mg를 9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8.21-8.12 (m, 2H), 8.00-7.96 (m, 2H), 7.93 (d, J = 8.3 Hz, 1H), 7.86 (d, J = 8.3 Hz, 1H), 7.74 (d, J = 7.3 Hz, 1H), 7.65 (d, J = 7.6 Hz, 1H), 7.61-7.57 (m, 1H), 7.53-7.47 (m, 2H), 6.35 (q, J = 7.1 Hz, 1H), 4.04-3.98 (m, 4H), 3.49-3.43 (m, 4H), 1.95 (d, J = 6.8 Hz, 3H).
제조예 24
화합물 32: N -(1-(2,4-디클로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4-(4-옥소-1,4-디하이드로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1-1을 수득하였다.
[단계-2] tert-부틸 (R)-4-(4-((1-(2,4-디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2]에서 (R)-1-(나프탈렌-1-일)에탄-1-아민 대신 1-(2,4-디클로로페닐)에탄-1-아민 (34.4 mg, 0.18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2-1 13.2 mg을 2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7.59-7.54 (m, 2H), 7.49-7.46 (m, 2H), 7.39 (d, J = 8.5 Hz, 1H), 7.31-7.25 (m, 1H), 5.90 (q, J = 7.1 Hz, 1H), 3.71-3.64 (m, 4H), 3.59-3.53 (m, 4H), 1.72 (d, J = 7.0 Hz, 3H), 1.52 (s, 9H).
[단계-3] N -(1-(2,4-디클로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32)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3]에서 화합물 31-2 대신 화합물 32-1 (12 mg, 0.024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2 8.8 mg을 8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8.16 (d, J = 9.7 Hz, 1H), 8.03-7.97 (m, 2H), 7.63 (d, J = 8.1 Hz, 1H), 7.54-7.49 (m, 1H), 7.34 (d, J = 8.4 Hz, 1H), 5.81 (q, J = 7.1 Hz, 1H), 4.08-4.03 (m, 4H), 3.50-3.46(m, 4H), 1.78 (d, 3H).
제조예 25
화합물 33: N -(1-(2-브로모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4-(4-옥소-1,4-디하이드로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1-1을 수득하였다.
[단계-2] tert- 부틸 4-(4-((1-(2-브로모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2]에서 (R)-1-(나프탈렌-1-일)에탄-1-아민 대신 1-(2-브로모페닐)에탄-1-아민 (36.2 mg, 0.18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3-1 30.8 mg을 6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7.93 (d, J = 9.3 Hz, 1H), 7.75 (d, 1H), 7.72-7.66 (m, 1H), 7.58 (d, J = 7.9 Hz, 1H), 7.56-7.52 (m, 1H), 7.48 (d, J = 8.0 Hz, 1H), 7.34-7.25 (m, 1H), 5.88 (q, J = 6.9 Hz, 1H), 3.68-3.59 (m, 4H), 3.57-3.48 (m, 4H), 1.70 (d, J = 6.9 Hz, 3H), 1.50 (s, 9H).
[단계-3] N -(1-(2-브로모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33)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3]에서 화합물 31-2 대신 화합물 33-1 (29 mg, 0.05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3 24.1 mg을 9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8.16 (d, J = 9.2 Hz, 1H), 8.03-7.98 (m, 2H), 7.78-7.69 (m, 1H), 7.66-7.59 (m, 2H), 7.58-7.51 (m, 1H), 5.80 (q, J = 7.2 Hz, 1H), 4.09-4.02 (m, 4H), 3.49-3.46 (m, 4H), 1.79 (d, J = 7.0 Hz, 3H).
제조예 26
화합물 34: ( R )-6-(피페라진-1-일)- N -(1-( m -톨릴)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4-(4-옥소-1,4-디하이드로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1-1을 수득하였다.
[단계-2] tert- 부틸 ( R )-4-(4-((1-( m -톨릴)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2]에서 (R)-1-(나프탈렌-1-일)에탄-1-아민 대신 (R)-1-(m-톨릴)에탄-1-아민 (24.48 mg, 0.18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4-1 33.0 mg을 8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7.91 (d, 1H), 7.73 (d, J = 2.5 Hz, 1H), 7.50 (s, 1H), 7.31-7.22 (m, 2H), 7.19 (t, J = 7.6 Hz, 1H), 7.04 (d, J = 7.5 Hz, 1H), 5.66 (q, J = 7.1 Hz, 1H), 3.65-3.59 (m, 4H), 3.53-3.46 (m, 4H), 2.31 (s, 3H), 1.69 (d, J = 6.9 Hz, 3H), 1.50 (s, 9H).
[단계-3] ( R )-6-(피페라진-1-일)- N -(1-( m -톨릴)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34)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3]에서 화합물 31-2 대신 화합물 34-1 (31 mg, 0.069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4 26.1 mg을 9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8.15 (d, J = 9.3 Hz, 1H), 8.04 (s, 1H), 7.97 (d, J = 9.8 Hz, 1H), 7.36 (s, 1H), 7.32 (d, J = 7.8 Hz, 1H), 7.27-7.22 (m, 1H), 7.11 (d, J = 7.5 Hz, 1H), 5.49 (q, J = 6.6 Hz, 1H), 4.06-3.99 (m, 4H), 3.48-3.45 (m, 4H), 2.34 (s, 3H), 1.81 (d, J = 6.9 Hz, 3H).
제조예 27
화합물 35: N -(1-(3-니트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4-(4-옥소-1,4-디하이드로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1-1을 수득하였다.
[단계-2] tert- 부틸 4-(4-((1-(3-니트로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2]에서 (R)-1-(나프탈렌-1-일)에탄-1-아민 대신 1-(3-니트로페닐)에탄-1-아민 (30.1 mg, 0.18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5-1 11.1 mg을 2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8.34 (s, 1H), 8.07 (d, J = 8.2 Hz, 1H), 7.93-7.85 (m, 2H), 7.69 (dd, J = 9.2, 2.5 Hz, 1H), 7.54 (t, J = 8.0 Hz, 1H), 7.46 (s, 1H), 5.72 (q, J = 7.2 Hz, 1H), 3.65-3.58 (m, 4H), 3.51-3.45 (m, 4H), 1.75 (d, J = 6.9 Hz, 3H), 1.49 (s, 9H).
[단계-3] N -(1-(3-니트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35)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3]에서 화합물 31-2 대신 화합물 35-1 (11.0 mg, 0.023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5 8.7 mg을 9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8.43 (t, J = 2.0 Hz, 1H), 8.19-8.13 (m, 2H), 8.06 (d, J = 2.6 Hz, 1H), 8.01-7.98 (m, 2H), 7.64 (t, J = 8.0 Hz, 1H), 5.65 (q, J = 7.0 Hz, 1H), 4.10-4.04 (m, 4H), 3.50-3.47 (m, 4H), 1.87 (d, J = 7.0 Hz, 3H).
제조예 28
화합물 36: ( R )- N -(1-(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4-(4-옥소-1,4-디하이드로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1-1을 수득하였다.
[단계-2] tert- 부틸 ( R )- N -(1-(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36-1)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2]에서 (R)-1-(나프탈렌-1-일)에탄-1-아민 대신 (R)-1-(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염산염 (31.9 mg, 0.109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6-1 9.1 mg을 1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8.11 (s, 1H), 8.09-8.05 (m, 2H), 7.96 (d, J = 9.5 Hz, 1H), 7.85 (s, 1H), 7.80-7.65 (m, 1H), 5.75 (q, J = 7.2 Hz, 1H), 3.70-3.62 (m, 4H), 3.58-3.51 (m, 4H), 1.76 (d, J = 7.1 Hz, 3H), 1.51 (s, 9H).
[단계-3] ( R )- N -(1-(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36)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3]에서 화합물 31-2 대신 화합물 36-1 (9.0 mg, 0.01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6 7.21 mg을 9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8.17 (s, 2H), 8.00-7.97 (m, 2H), 7.92 (s, 1H), 7.38-7.36 (m, 1H), 5.68 (q, J = 6.9 Hz, 1H), 4.07-4.01 (m, 4H), 3.51-3.45 (m, 4H), 1.86 (d, J = 7.0 Hz, 3H).
제조예 29
화합물 37: ( R )-3-(1-((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일)아미노)에틸)벤조니트릴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4-(4-옥소-1,4-디하이드로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1-1을 수득하였다.
[단계-2] tert- 부틸 4-(4-((1-(3-시아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2]에서 (R)-1-(나프탈렌-1-일)에탄-1-아민 대신 (R)-3-(1-아미노에틸)벤조니트릴 염산염 (19.84 mg, 0.109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7-1 13.7 mg을 3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7.91 (d, J = 9.3 Hz, 1H), 7.83 (t, J = 1.8 Hz, 1H), 7.81-7.75 (m, 1H), 7.70 (dd, J = 9.3, 2.6 Hz, 1H), 7.60-7.54 (m, 1H), 7.51-7.44 (m, 2H), 5.65 (q, J = 7.0 Hz, 1H), 3.66-3.58 (m, 4H), 3.51-3.45 (m, 4H), 1.71 (d, J = 7.1 Hz, 3H), 1.50 (s, 9H).
[단계-3] ( R )-3-(1-((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일)아미노)에틸)벤조니트릴 염산염 (화합물 37)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의 [단계-3]에서 화합물 31-2 대신 화합물 37-1 (13.0 mg, 0.02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37 11.1 mg을 9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δ 8.15 (d, J = 9.4 Hz, 1H), 8.05-8.02 (m, 1H), 7.99 (dd, J = 9.5, 2.9 Hz, 1H), 7.93 (t, J = 1.8 Hz, 1H), 7.88 (d, 1H), 7.68-7.65 (m, 1H), 7.58-7.54 (m, 1H), 5.57 (q, J = 6.8 Hz, 1H), 4.08-4.02 (m, 4H), 3.49-3.45 (m, 4H), 1.83 (d, J = 6.9 Hz, 3H).
제조예 30
화합물 38: ( R )-N-(1-(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 R )-4-(4-((1-(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31-1 (30 mg, 0.091 mmol, 1.0 eq.), (R)-1-(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탄-1-아민 (34.3 mg, 0.181 mmol, 2.0 eq), PyBOP (94 mg, 0.181 mmol, 2.0 eq.), DIPEA (0.047 mL, 0.272 mmol, 3.0 eq.)을 DMSO (1.2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38-1 22 mg을 4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89 (d, J = 9.3 Hz, 1H), 7.68 (dd, J = 9.4, 2.6 Hz, 1H), 7.59 (t, J = 7.4 Hz, 1H), 7.51-7.44 (m, 2H), 7.21 (t, J = 7.7 Hz, 1H), 7.00 (t, J = 54.9 Hz, 1H), 5.88 (q, J = 7.0 Hz, 1H), 3.65-3.59 (m, 4H), 3.51-3.46 (m, 4H), 1.73 (d, J = 7.0 Hz, 3H), 1.50 (s, 9H).
[단계-2] ( R )-N-(1-(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38)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38-1 (14 mg, 0.028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56 mL, 0.223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38 12 mg을 9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8.15 (d, J = 9.4 Hz, 1H), 8.08 (d, J = 2.6 Hz, 1H), 8.00 (dd, J = 9.5, 2.7 Hz, 1H), 7.80 (t, J = 7.5 Hz, 1H), 7.55 (t, J = 7.2 Hz, 1H), 7.30 (t, J = 7.8 Hz, 1H), 7.01 (t, J = 54.7 Hz, 1H), 5.82 (q, J = 7.0 Hz, 1H), 4.09 (t, J = 5.3 Hz, 4H), 3.48 (t, J = 5.3 Hz, 4H), 1.85 (d, J = 7.0 Hz, 3H).
제조예 31
화합물 39: ( R )- N -(1-(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 부틸 ( R )-4-(4-((1-(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31-1 (30 mg, 0.091 mmol, 1.0 eq.), (R)-1-(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37.5 mg, 0.181 mmol, 2.0 eq), PyBOP (94 mg, 0.181 mmol, 2.0 eq.), DIPEA (0.047 mL, 0.272 mmol, 3.0 eq.)을 DMSO (1.2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39-1 27 mg을 5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87 (d, J = 9.3 Hz, 1H), 7.71 (t, J = 7.4 Hz, 1H), 7.66 (dd, J = 9.3, 2.6 Hz, 1H), 7.54 (t, J = 7.6 Hz, 1H), 7.48 (d, J = 2.6 Hz, 1H), 7.24 (t, J = 7.8 Hz, 1H), 5.87 (q, J = 7.0 Hz, 1H), 3.65-3.58 (m, 4H), 3.51-3.45 (m, 4H), 1.73 (d, J = 7.0 Hz, 3H), 1.49 (s, 9H).
[단계-2] ( R )- N -(1-(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39)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39-1 (20 mg, 0.038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75 mL, 0.301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39 14 mg을 8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 δ 8.18-8.14 (m, 1H), 8.12-8.09 (m, 1H), 8.04-7.98 (m, 1H), 7.94 (t, J = 7.4 Hz, 1H), 7.63 (t, J = 7.6 Hz, 1H), 7.35 (t, J = 7.9 Hz, 1H), 5.83 (q, J = 7.1 Hz, 1H), 4.10 (t, J = 5.1 Hz, 4H), 3.48 (t, J = 5.3 Hz, 4H), 1.86 (d, J = 7.0 Hz, 3H).
제조예 32
화합물 40: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알데히드--( R )-7-메톡시-6-(피페라진-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 ,3]트리아진-4-아민(1/1)
[단계-1] 2-아미노-5-브로모-4-메톡시벤즈아미드의 제조
2-아미노-5-브로모-4-메톡시벤조산 (500 mg, 2.032 mmol, 1.0 eq.), EDCI (467 mg, 2.438 mmol, 1.2 eq.), HOBt (329 mg, 2.438 mmol, 1.2 eq.)을 DMF (10 mL)에 녹이고 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28% 수산화암모늄 용액 (0.848 mL, 6.10 mmol, 3.0 eq)을 반응물에 천천히 적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40-1 460 mg을 9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77 (s, 1H), 6.90 (s, 2H), 6.36 (s, 1H), 3.77 (s, 3H).
[단계-2] 6-브로모-7-메톡시벤조[ d ][1,2,3]트리아진-4(3 H )-온의 제조
아질산나트륨 (498 mg, 7.22 mmol, 3.0 eq.)을 0.5 N 염산 (23 mL)에 녹이고 0 °C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40-1 (590 mg, 2.407 mmol, 1.0 eq.)을 DMF (6.0 mL)에 녹이고 반응물에 천천히 적가한 뒤 0 °C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pH 9-10이 될 때까지 30% 암모니아수를 적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를 0.5 N 염산으로 pH 2가 될 때까지 산성화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여 화합물 40-2 600 mg을 9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34 (s, 1H), 7.76 (s, 1H), 4.09 (s, 3H).
[단계-3] ( R )-6-브로모-7-메톡시-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40-2 (200 mg, 0.781 mmol, 1.0 eq.),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296 mg, 1.562 mmol, 2.0 eq.), PyBOP (813 mg, 1.562 mmol, 2.0 eq.), DIPEA (0.408 mL, 2.343 mmol, 3.0 eq.)을 DMSO (6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1: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0-3 274 mg을 8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8.73 (s, 1H), 7.79 (s, 1H), 7.74 (d, J = 7.2 Hz, 1H), 7.56-7.51 (m, 2H), 7.50 (s, 1H), 5.74 (q, J = 7.0 Hz, 1H), 4.09 (s, 3H), 1.71 (d, J = 7.1 Hz, 3H).
[단계-4] tert- 부틸 ( R )-4-(7-메톡시-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화합물 40-3 (35 mg, 0.082 mmol, 1.0 eq.),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30.5 mg, 0.164 mmol, 2.0 eq.), Pd2(dba)3 (3.75 mg, 4.10 μmol, 0.05 eq.), X-Phos (4.69 mg, 9.83 μmol, 0.12 eq.), KOtBu (27.6 mg, 0.246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5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0-4 24 mg을 5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77 (s, 1H), 7.73 (d, J = 7.1 Hz, 1H), 7.67 (s, 1H), 7.54-7.48 (m, 2H), 7.40 (s, 1H), 5.73 (q, J = 7.1 Hz, 1H), 4.06 (s, 3H), 3.66-3.58 (m, 4H), 3.25-3.19 (m, 4H), 1.72 (d, J = 7.1 Hz, 3H), 1.49 (s, 9H).
[단계-5]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알데히드--( R )-7-메톡시-6-(피페라진-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1/1) (화합물 40)의 제조
상기 [단계-4]에서 수득한 화합물 40-4 (11 mg, 0.021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이고, TFA (0.1 mL)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40 6.8 mg을 6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 4 ) δ 7.85 (s, 1H), 7.82-7.76 (m, 2H), 7.60-7.54 (m, 2H), 7.50 (s, 1H), 5.76 (q, J = 7.3 Hz, 1H), 4.11 (s, 3H), 3.62-3.56 (m, 4H), 3.49-3.44 (m, 4H), 1.77 (d, J = 6.9 Hz, 3H).
제조예 33
화합물 41: ( R )-7-메틸-6-(피페라진-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2-아미노-5-브로모-4-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
2-아미노-5-브로모-4-메틸벤조산 (500 mg, 2.173 mmol, 1.0 eq.), EDCI (500 mg, 2.61 mmol, 1.2 eq.), HOBt (352 mg, 2.61 mmol, 1.2 eq.)을 DMF (10 mL)에 녹이고 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28% 수산화암모늄 용액 (0.907 mL, 6.52 mmol, 3.0 eq)을 반응물에 천천히 적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41-1 454 mg을 9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79 (s, 1H), 7.73 (s, 1H), 7.09 (s, 1H), 6.65 (s, 3H), 2.20 (s, 3H).
[단계-2] 6-브로모-7-메틸벤조[ d ][1,2,3]트리아진-4(3 H )-온의 제조
아질산나트륨 (407 mg, 5.89 mmol, 3.0 eq.)을 0.5 N 염산 (16 mL)에 녹이고 0 °C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41-1 (450 mg, 1.964 mmol, 1.0 eq.)을 DMF (4.5 mL)에 녹이고 반응물에 천천히 적가한 뒤 0 °C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pH 9-10이 될 때까지 30% 암모니아수를 적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를 0.5 N 염산으로 pH 2가 될 때까지 산성화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여 화합물 41-2 438 mg을 9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31 (s, 1H), 8.19 (s, 1H), 2.57 (s, 3H).
[단계-3] ( R )-6-브로모-7-메틸-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41-2 (100 mg, 0.417 mmol, 1.0 eq.),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158 mg, 0.833 mmol, 2.0 eq.), PyBOP (434 mg, 0.833 mmol, 2.0 eq.), DIPEA (0.218 mL, 1.250 mmol, 3.0 eq.)을 DMSO (3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1: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1-3 112 mg을 6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8.70 (s, 1H), 7.99 (s, 1H), 7.79 (s, 1H), 7.74 (d, J = 7.0 Hz, 1H), 7.56-7.50 (m, 2H), 5.74 (q, J = 7.1 Hz, 1H), 2.63 (s, 3H), 1.71 (d, J = 7.0 Hz, 3H).
[단계-4] tert- 부틸 ( R )-4-(7-메틸-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화합물 41-3 (30 mg, 0.073 mmol, 1.0 eq.),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27.2 mg, 0.146 mmol, 2.0 eq.), Pd2(dba)3 (3.34 mg, 3.65 μmol, 0.05 eq.), X-Phos (4.17 mg, 8.75 μmol, 0.12 eq.), KOtBu (24.56 mg, 0.219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5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1-4 13 mg을 3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87 (s, 1H), 7.84 (s, 1H), 7.78 (s, 1H), 7.74 (d, J = 7.6 Hz, 1H), 7.56-7.48 (m, 2H), 5.74 (q, J = 7.1 Hz, 1H), 3.69-3.61 (m, 4H), 3.09-3.02 (m, 4H), 2.58-2.52 (m, 3H), 1.77-1.70 (m, 3H), 1.50 (s, 9H).
[단계-5] ( R )-7-메틸-6-(피페라진-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41)의 제조
상기 [단계-4]에서 수득한 화합물 41-4 (9 mg, 0.017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2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35 mL, 0.139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41 3.4 mg을 4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8.30-8.28 (m, 1H), 8.03 (s, 1H), 7.89-7.84 (m, 2H), 7.65-7.56 (m, 2H), 5.78 (q, J = 6.9 Hz, 1H), 3.53-3.48 (m, 8H), 2.67-2.63 (m, 3H), 1.86 (d, J = 7.0 Hz, 3H).
제조예 34
화합물 42: ( R )-8-메톡시-6-(피페라진-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2-아미노-5-브로모-3-메톡시벤즈아미드의 제조
2-아미노-5-브로모-3-메톡시벤조산 (500 mg, 2.032 mmol, 1.0 eq.), EDCI (467 mg, 2.438 mmol, 1.2 eq.), HOBt (329 mg, 2.438 mmol, 1.2 eq.)을 DMF (10 mL)에 녹이고 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28% 수산화암모늄 용액 (0.237 mL, 6.10 mmol, 3.0 eq)을 반응물에 천천히 적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42-1 477 mg을 9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84 (s, 1H), 7.40 (d, J = 2.1 Hz, 1H), 7.21 (s, 1H), 7.00 (d, J = 2.1 Hz, 1H), 6.42 (s, 2H), 3.81 (s, 3H).
[단계-2] 6-브로모-8-메톡시벤조[ d ][1,2,3]트리아진-4(3 H )-온의 제조
아질산나트륨 (405 mg, 5.88 mmol, 3.0 eq.)을 0.5 N 염산 (16 mL)에 녹이고 0 °C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42-1 (480 mg, 1.959 mmol, 1.0 eq.)을 DMF (4.5 mL)에 녹이고 반응물에 천천히 적가한 뒤 0 °C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pH 9-10이 될 때까지 30% 암모니아수를 적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를 0.5 N 염산으로 pH 2가 될 때까지 산성화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여 화합물 42-2 513 mg을 10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5.04 (s, 1H), 7.80 (d, J = 1.9 Hz, 1H), 7.77 (d, J = 2.0 Hz, 1H), 4.05 (s, 3H).
[단계-3] ( R )-6-브로모-8-메톡시-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42-2 (100 mg, 0.391 mmol, 1.0 eq.),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148 mg, 0.781 mmol, 2.0 eq.), PyBOP (406 mg, 0.781 mmol, 2.0 eq.), DIPEA (0.204 mL, 1.172 mmol, 3.0 eq.)을 DMSO (3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7:3(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2-3 46 mg을 2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 4 ) δ 8.16 (d, J = 1.7 Hz, 1H), 7.78 (s, 1H), 7.76-7.71 (m, 1H), 7.61 (d, J = 1.8 Hz, 1H), 7.57-7.48 (m, 2H), 5.74 (q, J = 7.1 Hz, 1H), 4.08 (s, 3H), 1.71 (d, J = 7.1 Hz, 3H).
[단계-4] tert- 부틸 ( R )-4-(8-메톡시-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 d ][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화합물 42-3 (40 mg, 0.094 mmol, 1.0 eq.),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34.9 mg, 0.187 mmol, 2.0 eq.), Pd2(dba)3 (4.29 mg, 4.68 μmol, 0.05 eq.), X-Phos (5.36 mg, 0.011 mmol, 0.12 eq.), KOtBu (31.5 mg, 0.281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5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2-4 25 mg을 5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 4 ) δ 7.75 (s, 1H), 7.71 (d, J = 7.0 Hz, 1H), 7.52-7.42 (m, 2H), 7.01-6.95 (m, 2H), 5.67 (q, J = 7.0 Hz, 1H), 4.01 (s, 3H), 3.63-3.54 (m, 4H), 3.50-3.42 (m, 4H), 1.70 (d, J = 7.1 Hz, 3H), 1.49 (s, 9H).
[단계-5] ( R )-8-메톡시-6-(피페라진-1-일)- N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 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42)의 제조
상기 [단계-4]에서 수득한 화합물 42-4 (12 mg, 0.023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2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45 mL, 0.180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42 9.3 mg을 8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 4 ) δ 7.85-7.81 (m, 2H), 7.61-7.55 (m, 2H), 7.53 (d, J = 2.3 Hz, 1H), 7.27 (d, J = 2.2 Hz, 1H), 5.66 (q, J = 7.0 Hz, 1H), 4.14 (s, 3H), 4.06 (t, J = 5.3 Hz, 4H), 3.47 (t, J = 5.3 Hz, 4H), 1.83 (d, J = 7.0 Hz, 3H).
제조예 35
화합물 43: (R)-7-플루오로-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6-브로모-7-플루오로벤조[d][1,2,3]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아질산나트륨 (444 mg, 6.44 mmol, 3.0 eq.)을 0.5 N 염산 (16 mL)에 녹이고 0 °C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2-아미노-5-브로모-4-플루오로벤즈아미드 (500 mg, 2.146 mmol, 1.0 eq.)을 DMF (4.5 mL)에 녹이고 반응물에 천천히 적가한 뒤 0 °C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pH 9-10이 될 때까지 30% 암모니아수를 적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를 0.5 N 염산으로 pH 2가 될 때까지 산성화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여 화합물 43-1 457 mg을 8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5.19 (s, 1H), 8.49 (d, J = 7.1 Hz, 1H), 8.24 (d, J = 8.8 Hz, 1H).
[단계-2] (R)-6-브로모-7-플루오로-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43-1 (100 mg, 0.410 mmol, 1.0 eq.),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155 mg, 0.820 mmol, 2.0 eq.), PyBOP (427 mg, 0.820 mmol, 2.0 eq.), DIPEA (0.214 mL, 1.229 mmol, 3.0 eq.)을 DMSO (3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3:7(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3-2 77 mg을 4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4) δ 8.86 (d, J = 6.7 Hz, 1H), 7.87 (d, J = 8.5 Hz, 1H), 7.80 (s, 1H), 7.77-7.73 (m, 1H), 7.58-7.50 (m, 2H), 5.76 (q, J = 7.1 Hz, 1H), 1.72 (d, J = 7.1 Hz, 3H).
[단계-3] tert-부틸 (R)-4-(7-플루오로-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43-2 (40 mg, 0.096 mmol, 1.0 eq.),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35.9 mg, 0.193 mmol, 2.0 eq.), Pd2(dba)3 (4.41 mg, 4.82 μmol, 0.05 eq.), X-Phos (5.51 mg, 0.012 mmol, 0.12 eq.), KOtBu (32.4 mg, 0.289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5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3-3 17 mg을 3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4) δ 7.84-7.79 (m, 1H), 7.79-7.73 (m, 2H), 7.73-7.67 (m, 1H), 7.57-7.48 (m, 2H), 5.75 (q, J = 7.0 Hz, 1H), 3.70-3.61 (m, 4H), 3.30-3.26 (m, 4H), 1.74 (d, J = 7.0 Hz, 3H), 1.50 (s, 9H).
[단계-4] (R)-7-플루오로-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43)의 제조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화합물 43-3 (13 mg, 0.025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2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50 mL, 0.200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43 7.1 mg을 6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4) δ 8.25 (d, J = 7.9 Hz, 1H), 8.17 (d, J = 12.3 Hz, 1H), 7.86 (s, 1H), 7.77 (d, J = 8.0 Hz, 1H), 7.71 (d, J = 7.8 Hz, 1H), 7.63 (t, J = 7.9 Hz, 1H), 6.25 (q, J = 6.8 Hz, 1H), 3.79-3.74 (m, 4H), 3.51-3.47 (m, 4H), 2.15 (d, J = 6.8 Hz, 3H).
제조예 36
화합물 44: (R)-N-(1-(3-브로모-2-메틸페닐)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S,E)-N-(1-(3-브로모-2-메틸페닐)에틸리덴)-2-메틸프로판-2-설핀아미드의 제조
1-(3-브로모-2-메틸페닐)에탄-1-온 (1 g, 4.69 mmol, 1.0 eq.)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 mL)에 녹여져있는 (S)-2-메틸프로판-2-술핀아미드 (0.683 g, 5.63 mmol, 1.2 eq.)에 녹이고 티타늄(IV) 에톡사이드 (4.92 ml, 23.47 mmol, 5.0 eq.), diglyme (0.666 ml, 4.96 mmol, 1.0 eq.)을 넣은 뒤, 80 °C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하고 이를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필터에 여과한 뒤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MPLC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4-1 1.20 g를 8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57 (t, J = 7.5 Hz, 1H), 7.27 (d, J = 7.6 Hz, 1H), 7.18-7.09 (m, 1H), 7.05-6.98 (m, 1H), 2.65 (s, 3H), 2.46 (d, J = 4.7 Hz, 3H), 2.40 (s, 3H), 2.29 (d, J = 19.9 Hz, 3H), 1.25 (s, 9H), 1.18 (d, J = 10.1 Hz, 9H).
[단계-2] (R)-N-(1-(3-브로모-2-메틸페닐)에틸)-2-메틸프로판-2-설핀아미드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44-1 (800 mg, 2.53 mmol, 1.0 eq.)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8 mL)에 녹이고 L-selectride (1.0 M in THF) (5.06 ml, 5.06 mmol, 2.0 eq.)을 -78 °C에서 넣은 뒤, -78 °C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포화 상태의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적가하고 이를 25 °C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씻어준 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MPLC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4-2 534 mg를 6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47 (d, J = 7.8 Hz, 1H), 7.41 (d, J = 7.9 Hz, 1H), 7.09 (t, J = 7.9 Hz, 1H), 4.82 (q, J = 6.7 Hz, 1H), 2.46 (s, 3H), 1.52 (d, J = 6.6 Hz, 3H), 1.20 (s, 9H).
[단계-3] (R)-1-(3-브로모-2-메틸페닐)에탄-1-아민 염산염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44-2 (300 mg, 0.943 mmol, 1.0 eq.)을 메탄올 (1.5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1.41 mL)를 넣은 후 0 °C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화합물 44-3 242 mg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64 (d, J = 7.3 Hz, 1H), 7.45 (d, J = 7.8 Hz, 1H), 7.24 (t, J = 8.0 Hz, 1H), 4.82 (q, J = 6.9 Hz, 1H), 2.51 (s, 3H), 1.60 (d, J = 6.7 Hz, 3H).
[단계-4] tert-부틸 (R)-4-(4-((1-(3-브로모-2-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tert-부틸 4-(7-메톡시-4-옥소-1,4-디하이드로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0 mg, 0.111 mmol, 1.0 eq.)을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1 mL)에 녹이고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화합물 44-3 (35.5 mg, 0.221 mmol, 2.0 eq.), PyBOP (115 mg, 0.221 mmol, 2.0 eq.), DIPEA (0.077 ml, 0.443 mmol, 4.0 eq.)을 넣은 뒤, 50 °C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하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MPLC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3(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4-4 6.9 mg를 2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67 (s, 1H), 7.45-7.40 (m, 2H), 7.39 (s, 1H), 7.02 (t, J = 7.9 Hz, 1H), 5.85 (q, J = 6.9 Hz, 1H), 4.06 (s, 3H), 3.66-3.58 (m, 4H), 3.25-3.17 (m, 4H), 2.58 (s, 3H), 1.65 (d, J = 6.9 Hz, 3H), 1.49 (s, 9H).
[단계-5] (R)-N-(1-(3-브로모-2-메틸페닐)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의 제조
상기 [단계-4]에서 수득한 화합물 44-4 (6.9 mg, 0.012 mmol)을 디클로로메탄 (0.5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5 mL)를 넣은 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44 6.01 mg를 9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8.06 (s, 1H), 7.54-7.49 (m, 3H), 7.13-7.06 (m, 1H), 5.89-5.84 (m, 1H), 4.13 (s, 3H), 3.69-3.66 (m, 4H), 3.48-3.45 (m, 4H), 2.60 (s, 3H), 1.76 (d, J = 6.7 Hz, 3H).
제조예 37
화합물 45: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부틸 4-(7-메톡시-4-옥소-3,4-디하이드로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2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40-2 (300 mg, 1.172 mmol, 1.0 eq.),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36 mg, 2.343 mmol, 2.0 eq.), Pd2(dba)3 (53.6 mg, 0.059 mmol, 0.05 eq.), X-Phos (67.0 mg, 0.141 mmol, 0.12 eq.), NaOtBu (338 mg, 3.51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8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6:4(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5-1 184 mg을 4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4) δ 7.59 (s, 1H), 7.56 (s, 1H), 4.08 (s, 3H), 3.61 (t, 4H), 3.20 (t, 4H), 1.49 (s, 9H).
[단계-2] tert-부틸 (R)-4-(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45-1 (50 mg, 0.138 mmol, 1.0 eq.),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56.5 mg, 0.277 mmol, 2.0 eq.), PyBOP (144 mg, 0.277 mmol, 2.0 eq.), DIPEA (0.072 mL, 0.415 mmol, 3.0 eq.)을 DMSO (1.5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5-2 36 mg을 4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4) δ 7.66 (s, 1H), 7.38 (s, 1H), 7.01-6.96 (m, 2H), 6.82-6.77 (m, 1H), 5.63 (q, J = 7.0 Hz, 1H), 4.05 (s, 3H), 3.67-3.58 (m, 4H), 3.24-3.18 (m, 4H), 1.67 (d, J = 7.0 Hz, 3H), 1.49 (s, 9H).
[단계-3]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45)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45-2 (14 mg, 0.026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51 mL, 0.205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45 11 mg을 8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4) δ 8.24 (s, 1H), 7.98-7.96 (m, 1H), 7.96-7.94 (m, 1H), 7.58 (s, 1H), 7.54 (s, 1H), 5.83 (q, J = 7.0 Hz, 1H), 4.16 (s, 3H), 3.78-3.70 (m, 4H), 3.50-3.44 (m, 4H), 1.89 (d, J = 7.1 Hz, 3H).
제조예 38
화합물 46: (R)-4-(4-((1-(3-시아노-2-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아민 염산염의 제조
[단계-1] (S,E)-N-(1-(3-브로모-2-메틸페닐)에틸리덴)-2-메틸프로판-2-설핀아미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36의 [단계-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44-1을 수득하였다.
[단계-2] (R)-N-(1-(3-브로모-2-메틸페닐)에틸)-2-메틸프로판-2-설핀아미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36의 [단계-2]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44-2을 수득하였다.
[단계-3] (R)-1-(3-브로모-2-메틸페닐)에탄-1-아민 염산염의 제조
상기 제조예 36의 [단계-3]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44-3을 수득하였다.
[단계-4] tert-부틸 (R)-(1-(3-브로모-2-메틸페닐)에틸)카바메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화합물 44-3 (242 mg, 0.966 mmol)을 디클로로메탄 (2 mL)에 녹이고 Boc2O (213 mg, 0.975 mmol, 1.01 eq.), DIPEA (0.337 ml, 1.932 mmol, 2.0 eq.)을 넣은 뒤, 0 °C와 상온 사이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MPLC (헥산:에틸 아세테이트=4: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6-1 214.2 mg를 7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42 (d, J = 7.9 Hz, 1H), 7.32 (d, J = 7.3 Hz, 1H), 7.05 (t, J = 7.9 Hz, 1H), 4.94 (q, J = 7.6 Hz, 1H), 2.45 (s, 3H), 1.41 (s, 7H), 1.32 (d, J = 6.9 Hz, 3H), 1.28 (s, 3H).
[단계-5] tert-부틸 (R)-(1-(3-시아노-2-메틸페닐)에틸)카바메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4]에서 수득한 화합물 46-1 (120 mg, 0.382 mmol)을 다이메틸폼아마이드 (1 mL)에 녹이고, Zn(CN)2 (53.8 mg, 0.458 mmol, 1.2 eq.), Pd(PPh3)4 (44.1 mg, 0.038 mmol, 10 mol%)를 넣은 후 microwave를 이용해 110 °C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하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MPLC (헥산:에틸 아세테이트=4: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6-2 24.0 mg를 2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63 (d, J = 7.9 Hz, 1H), 7.55 (d, J = 7.7 Hz, 1H), 7.34 (t, J = 7.8 Hz, 1H), 4.96-4.90 (m, 1H), 2.58 (s, 3H), 1.40 (s, 6H), 1.34 (d, J = 7.0 Hz, 3H), 1.29 (s, 3H).
[단계-6] (R)-3-(1-아미노에틸)-2-메틸벤조니트릴 2,2,2-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5]에서 수득한 화합물 46-2 (40 mg, 0.154 mmol)을 디클로로메탄 (0.3 ml)에 녹이고, TFA (0.1 ml)를 넣은 후 0 °C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포화상태의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고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화합물 46-3 40.0 mg를 9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8.33 (s, 2H), 7.83 (d, J = 3.4 Hz, 1H), 7.82 (d, J = 3.4 Hz, 1H), 7.53 (t, J = 7.8 Hz, 1H), 4.68 (q, 1H), 2.55 (s, 3H), 1.47 (d, J = 6.7 Hz, 3H).
[단계-7] tert-부틸 (R)-4-(4-((1-(3-시아노-2-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6의 [단계-4]에서 화합물 44-3 대신 상기 [단계-6]에서 수득한 화합물 46-3 (35.5 mg, 0.22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46-4 6.5 mg을 1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87-7.83 (m, 1H), 7.58 (s, 1H), 7.55-7.47 (m, 2H), 7.44-7.40 (m, 1H), 4.08 (s, 3H), 3.63-3.59 (m, 4H), 3.39 (q, J = 5.2 Hz, 1H), 3.35 (s, 3H), 3.21-3.18 (m, 4H), 1.50 (s, 3H), 1.49 (s, 9H).
[단계-8] (R)-4-(4-((1-(3-시아노-2-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아민 염산염(화합물 46)의 제조
상기 [단계-7]에서 수득한 화합물 46-4 (6.5 mg, 0.013 mmol)을 디클로로메탄 (0.5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5 mL)를 넣은 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46 3.2 mg를 5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90-7.87 (m, 1H), 7.71-7.66 (m, 2H), 7.63 (s, 1H), 7.52-7.48 (m, 1H), 5.88-5.85 (m, 1H), 4.10 (s, 3H), 3.98-3.94 (m, 1H), 3.51-3.48 (m, 4H), 3.45-3.42 (m, 4H), 3.32 (s, 3H), 1.27-1.25 (d, 3H).
제조예 39
화합물 47: (R)-N-(1-(4-(2-((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1-(4-브로모티오펜-2-일)에탄-1-온의 제조
1-(티오펜-2-일)에탄-1-온 (500 mg, 3.96 mmol, 1.0 eq.), AlCl3 (1.162 g, 8.72 mmol, 2.2 eq.)을 클로로포름 (3 mL)에 녹이고 사염화탄소(4.5mL)에 용해된 Br2 (0.215 mL, 4.20 mmol, 1.06 eq.)을 상온에서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얼음물과 티오황산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티오황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1:9(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7-1 763 mg을 9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7.58 (d, J = 1.4 Hz, 1H), 7.53 (d, J = 1.4 Hz, 1H), 2.55 (s, 3H).
[단계-2] (R,E)-N-(1-(4-브로모티오펜-2-일)에틸리덴)-2-메틸프로판-2-설핀아미드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47-1 (750 mg, 3.66 mmol, 1.0 eq.), (R)-2-메틸프로판-2-술핀아미드 (1.197 g, 9.87 mmol, 2.7 eq.)을 상온에서 티타늄(IV) 에톡사이드 (7.5 mL)에 녹이고 100 °C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얼음물을 적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1:9(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7-2 1.01 g을 8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1 - 7.37 (m, 2H), 2.70 (s, 3H), 1.29 (s, 9H).
[단계-3] (R)-N-((R)-1-(4-브로모티오펜-2-일)에틸)-2-메틸프로판-2-설핀아미드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47-2 (500 mg, 1.622 mmol, 1.0 eq.)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 mL)과 증류수 (0.1 mL) 혼합 용액에 녹이고, 수소화붕소나트륨 (174 mg, 4.61 mmol, 2.84 eq.)을 -50 °C에서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1: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7-3 488 mg을 9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7.54 (d, J = 1.6 Hz, 1H), 7.08 (d, J = 1.4 Hz, 1H), 5.95 (d, J = 7.5 Hz, 1H), 4.61 (p, J = 6.7 Hz, 1H), 1.48 (d, J = 6.8 Hz, 3H), 1.12 (s, 9H).
[단계-4] (R)-1-(4-브로모티오펜-2-일)에탄-1-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화합물 47-3 (440 mg, 1.416 mmol, 1.0 eq.)을 테트라히드로푸란 (4.5 mL)에 녹이고 12 N 염산 (0.1 mL) 을 첨가한 후 80 °C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pH 8이 될 때까지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7-4 207 mg을 7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7.42 (d, J = 1.5 Hz, 1H), 6.92 (t, J = 1.3 Hz, 1H), 4.20-4.14 (m, 1H), 1.30 (d, J = 6.5 Hz, 3H).
[단계-5] (R)-1-(4-(2-((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탄-1-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4]에서 수득한 화합물 47-4 (200 mg, 0.970 mmol, 1.0 eq.), (2-((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보론산 (261 mg, 1.456 mmol, 1.5 eq.), K2CO3 (402 mg, 2.91 mmol, 3.0 eq.), Pd(PPh3)4 (123 mg, 0.107 mmol, 0.11 eq.)을 1,4-다이옥산 (5 mL)과 증류수 (1 mL)가 혼합된 용액에 녹이고 100 °C 질소 대기 하에서 16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8:2(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7-5 130 mg을 5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7.46-7.41 (m, 1H), 7.37-7.33 (m, 1H), 7.33-7.31 (m, 1H), 7.30-7.26 (m, 2H), 7.07 (s, 1H), 4.39 (q, J = 6.5 Hz, 1H), 3.38 (s, 2H), 2.22 (s, 6H), 1.52 (d, J = 6.5 Hz, 3H).
[단계-6] (R)-6-브로모-N-(1-(4-(2-((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상기 제조예 32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40-2 (50 mg, 0.195 mmol, 1.0 eq.), 상기 [단계-5]에서 수득한 화합물 47-5 (102 mg, 0.391 mmol, 2.0 eq.), PyBOP (203 mg, 0.391 mmol, 2.0 eq.), DIPEA (0.102 mL, 0.586 mmol, 3.0 eq.)을 DMSO (1.5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7-6 48 mg을 4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8.68 (s, 1H), 7.52 (s, 1H), 7.48-7.43 (m, 1H), 7.36-7.33 (m, 3H), 7.28-7.26 (m, 1H), 7.23 (s, 1H), 6.05 (q, J = 7.0 Hz, 1H), 4.10 (s, 3H), 3.71 (s, 2H), 2.25 (s, 6H), 1.83 (d, J = 7.0 Hz, 3H).
[단계-7] tert-부틸 (R)-4-(4-((1-(4-(2-((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6]에서 수득한 화합물 47-6 (30 mg, 0.060 mmol, 1.0 eq.),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22.42 mg, 0.120 mmol, 2.0 eq.), Pd2(dba)3 (2.76 mg, 3.01 μmol, 0.05 eq.), X-Phos (3.44 mg, 7.22 μmol, 0.12 eq.), KOtBu (20.26 mg, 0.181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5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7-7 13 mg을 3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3 (d, J = 7.8 Hz, 1H), 7.67 (s, 1H), 7.66-7.62 (m, 1H), 7.51-7.48 (m, 2H), 7.48-7.46 (m, 1H), 7.43-7.41 (m, 1H), 7.41-7.37 (m, 1H), 7.22 (s, 1H), 6.05 (p, J = 6.6 Hz, 1H), 4.37-4.31 (m, 3H), 4.12-4.08 (m, 2H), 3.56-3.48 (m, 4H), 3.15-3.08 (m, 4H), 2.61 (d, J = 4.0 Hz, 3H), 2.57 (d, J = 4.5 Hz, 3H), 1.78 (d, J = 6.9 Hz, 3H), 1.42 (s, 9H).
[단계-8] (R)-N-(1-(4-(2-((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 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47)의 제조
상기 [단계-7]에서 수득한 화합물 47-7 (9.6 mg, 0.016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5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32 mL, 0.127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47 2.8 mg을 3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80 (s, 1H), 7.61-7.57 (m, 1H), 7.55-7.52 (m, 1H), 7.52-7.49 (m, 2H), 7.47-7.42 (m, 1H), 7.29 (s, 1H), 7.22 (s, 1H), 6.01 (q, J = 6.9 Hz, 1H), 4.44-4.40 (m, 2H), 4.11 (s, 3H), 3.57-3.52 (m, 4H), 3.48-3.43 (m, 4H), 2.73-2.66 (m, 4H), 2.65-2.61 (m, 2H), 1.88 (d, J = 6.9 Hz, 3H).
제조예 40
화합물 48: (R)-8-클로로-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2-아미노-5-브로모-3-클로로벤즈아미드의 제조
2-아미노-5-브로모-3-클로로벤조산 (500 mg, 1.996 mmol, 1.0 eq.), EDCI (459 mg, 2.395 mmol, 1.2 eq.), HOBt (324 mg, 2.395 mmol, 1.2 eq.)을 DMF (10 mL)에 녹이고 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28% 수산화암모늄 용액 (0.833 mL, 5.99 mmol, 3.0 eq)을 반응물에 천천히 적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48-1 491 mg을 9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8.03 (s, 1H), 7.75 (d, J = 2.3 Hz, 1H), 7.60 (d, J = 2.2 Hz, 1H), 7.45 (s, 1H), 6.84 (s, 2H).
[단계-2] 6-브로모-8-클로로벤조[d][1,2,3]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아질산나트륨 (406 mg, 5.89 mmol, 3.0 eq.)을 0.5 N 염산 (16 mL)에 녹이고 0 °C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48-1 (490 mg, 1.964 mmol, 1.0 eq.)을 DMF (4.5 mL)에 녹이고 반응물에 천천히 적가한 뒤 0 °C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pH 9-10이 될 때까지 30% 암모니아수를 적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를 0.5 N 염산으로 pH 2가 될 때까지 산성화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여 화합물 48-2 476 mg을 9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5.33 (s, 1H), 8.49 (d, J = 2.1 Hz, 1H), 8.25 (d, J = 2.1 Hz, 1H).
[단계-3] (R)-6-브로모-8-클로로-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48-2 (100 mg, 0.384 mmol, 1.0 eq.),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145 mg, 0.768 mmol, 2.0 eq.), PyBOP (400 mg, 0.768 mmol, 2.0 eq.), DIPEA (0.201 mL, 1.152 mmol, 3.0 eq.)을 DMSO (3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3:7(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8-3 62 mg을 3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4) δ 8.54 (d, J = 1.9 Hz, 1H), 8.12 (d, J = 1.9 Hz, 1H), 7.79 (s, 1H), 7.76-7.71 (m, 1H), 7.54-7.46 (m, 2H), 5.74 (q, J = 7.0 Hz, 1H), 1.72 (d, J = 7.1 Hz, 3H).
[단계-4] tert-부틸 (R)-4-(8-클로로-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화합물 48-3 (40 mg, 0.093 mmol, 1.0 eq.),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34.5 mg, 0.185 mmol, 2.0 eq.), Pd2(dba)3 (4.24 mg, 4.63 μmol, 0.05 eq.), X-Phos (5.30 mg, 0.011 mmol, 0.12 eq.), KOtBu (31.2 mg, 0.278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1.5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8-4 12 mg을 2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Methanol-d4) δ 7.78 (s, 1H), 7.77-7.72 (m, 1H), 7.65 (d, J = 2.4 Hz, 1H), 7.55-7.48 (m, 2H), 7.36 (d, J = 2.4 Hz, 1H), 5.70 (q, J = 6.9 Hz, 1H), 3.64-3.57 (m, 4H), 3.49-3.42 (m, 4H), 1.73 (d, J = 7.1 Hz, 3H), 1.50 (s, 9H).
[단계-5] (R)-8-클로로-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48)의 제조
상기 [단계-4]에서 수득한 화합물 48-4 (12 mg, 0.022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5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45 mL, 0.179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48 7.3 mg을 6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thanol-d4) δ 8.10 (d, J = 2.6 Hz, 1H), 7.97 (d, J = 2.6 Hz, 1H), 7.87-7.84 (m, 2H), 7.62-7.55 (m, 2H), 5.58 (q, J = 7.0 Hz, 1H), 4.06 (t, J = 5.4 Hz, 4H), 3.47 (t, J = 5.4 Hz, 4H), 1.84 (d, J = 7.0 Hz, 3H).
제조예 41
화합물 49: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7-메톡시-6-모폴리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단계-1] 7-메톡시-6-모폴리노벤조[d][1,2,3]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32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40-2 (50 mg, 0.195 mmol, 1.0 eq.), 모르폴린 (0.034 mL, 0.391 mmol, 2.0 eq.), Pd2(dba)3 (8.94 mg, 9.76 μmol, 0.05 eq.), X-Phos (11.17 mg, 0.023 mmol, 0.12 eq.), NaOtBu (56.3 mg, 0.586 mmol, 3.0 eq.)을 1,4-다이옥산 (2 mL)에 녹이고 11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7:3(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9-1 28 mg을 5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59 (s, 1H), 7.56 (s, 1H), 4.08 (s, 3H), 3.90-3.83 (m, 4H), 3.27-3.21 (m, 4H).
[단계-2]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7-메톡시-6-모폴리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화합물 49)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49-1 (25 mg, 0.095 mmol, 1.0 eq.),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38.9 mg, 0.191 mmol, 2.0 eq.), PyBOP (99 mg, 0.191 mmol, 2.0 eq.), DIPEA (0.050 mL, 0.286 mmol, 3.0 eq.)을 DMSO (1.5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49 20 mg을 4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65 (s, 1H), 7.40 (s, 1H), 7.01-6.97 (m, 2H), 6.80 (s, 1H), 5.64 (q, J = 7.0 Hz, 1H), 4.05 (s, 3H), 3.91-3.85 (m, 4H), 3.29-3.23 (m, 4H), 1.68 (d, J = 6.9 Hz, 3H).
제조예 42
화합물 51: 4-(7-메톡시-4-(((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스-3-엔-1-카복실산
[단계-1] 2-아미노-5-브로모-4-메톡시벤즈아미드의 제조
2-아미노-5-브로모-4-메톡시벤조산 (5.0 g, 20.32 mmol)을 다이메틸폼아마이드 (25 mL)에 녹이고 EDCl·HCl (4.67 g, 24.38 mmol), HOBt (3.73 g, 24.38 mmol)을 넣은 뒤 25 °C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시간 후, 반응물에 28% 암모니아수 (10.29 ml, 264 mmol)을 넣은 뒤, 25 °C에서 1 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씻어준 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화합물 50-1 4.868 g를 9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77 (s, 1H), 6.89 (s, 2H), 6.37 (s, 1H), 3.77 (s, 3H).
[단계-2] 6-브로모-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4(3H)-온의 제조
0.5 M 염산/다이메틸폼아마이드 용액에 NaNO2 (4.11 g, 59.6 mmol, 3.0 eq.)을 녹인 용액에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50-1 (4.868 g, 19.86 mmol)을 다이메틸폼아마이드 (15 mL)에 녹인 용액을 천천히 적가해준 뒤, 0 °C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30% 암모니아수를 천천히 넣어주며 pH 9.0에서 10.0으로 적정하고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pH 2.0까지 적정하여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필터하고 증류수로 씻어준 뒤 건조하여 화합물 50-2 4.35 g를 8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4.99 (s, 1H), 8.33 (s, 1H), 7.75 (s, 1H), 4.09 (s, 3H).
[단계-3] tert-부틸 4-(7-메톡시-4-옥소-3,4-디히드로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스-3-엔-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50-2 (360 mg, 1.406 mmol)을 1,4-다이옥산/물 (10:1)에 녹이고, Na2CO3 (373 mg, 3.51 mmol), Pd(PPh3)4 (81 mg, 0.070 mmol)를 넣은 후 120 °C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이를 증류수와 에틸아세테이트로 녹이고,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 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MPLC (헥산:에틸아세테이트=1: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50-3 212 mg를 4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96 (s, 1H), 7.56 (s, 1H), 5.91 (q, J = 2.1 Hz, 1H), 4.04 (s, 3H), 1.38-1.32 (m, 6H), 0.91 (s, 9H).
[단계-4] tert-부틸 4-(7-메톡시-4-(((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스-3-엔-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50)의 제조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화합물 50-3 (60 mg, 0.168 mmol)을 디메틸설폭사이드 (1 mL)에 녹이고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63.5 mg, 0.336 mmol, 2.0 eq.), PyBOP (175 mg, 0.336 mmol, 2.0 eq.), DIPEA (0.088 ml, 0.504 mmol, 4.0 eq.)을 넣은 뒤, 50 °C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하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MPLC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3(v/v))로 정제하여 화합물 50 71 mg를 8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8.13 (s, 1H), 7.79 (s, 1H), 7.75-7.70 (m, 1H), 7.54-7.50 (m, 2H), 7.40 (s, 1H), 5.96-5.89 (m, 1H), 5.74 (q, J = 7.0 Hz, 1H), 4.01 (s, 3H), 2.65-2.38 (m, 4H), 2.13-2.05 (m, 1H), 1.85-1.77 (m, 1H), 1.71 (d, J = 7.1 Hz, 3H), 1.49 (s, 9H).
[단계-5] 4-(7-메톡시-4-(((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스-3-엔-1-카복실산 (화합물 51)의 제조
상기 [단계-4]에서 수득한 화합물 50 (65 mg, 0.123 mmol)을 디클로로메탄 (0.5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5 mL)를 넣은 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51 31 mg를 5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01 (s, 2H), 6.96-6.91 (m, 3H), 6.80-6.73 (m, 1H), 5.21-5.15 (m, 1H), 5.02-4.94 (m, 1H), 3.25 (d, J = 2.1 Hz, 3H), 2.85 (s, 5H), 1.69 (s, 2H), 1.34 (d, J = 6.6 Hz, 2H), 1.18 (s, 2H).
제조예 43
화합물 53: (R)-N-이소프로필-4-(7-메톡시-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 시클로헥산-1-카르복스아미드
[단계-1] 2-아미노-5-브로모-4-메톡시벤즈아미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42의 [단계-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50-1을 수득하였다.
[단계-2] 6-브로모-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42의 [단계-2]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50-2을 수득하였다.
[단계-3] tert-부틸 4-(7-메톡시-4-옥소-3,4-디히드로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스-3-엔-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2의 [단계-3]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50-3을 수득하였다.
[단계-4] tert-부틸 4-(7-메톡시-4-옥소-3,4-디히드로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화합물 50-3 (20 mg, 0.056 mmol)을 메탄올 (1 mL)에 녹이고 10% Pd/C (10 mg), 트리에틸아민 (0.039 ml, 0.280 mmol)을 넣은 뒤, 수소 가스 하에서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화합물 52-1 18.6 mg를 92% 수율로 수득하였다.
[단계-5] tert-부틸 (R)-4-(7-메톡시-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2의 [단계-4]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52-2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81-7.68 (m, 2H), 7.58-7.45 (m, 4H), 7.40 (t, J = 4.4 Hz, 1H), 5.76 (q, J = 7.1 Hz, 1H), 4.03 (s, 3H), 2.99 (s, 3H), 2.86 (s, 3H), 2.21-2.10 (m, 2H), 2.00-1.92 (m, 2H), 1.80-1.69 (m, 6H), 1.15 (d, J = 6.6 Hz, 3H).
[단계-6] (R)-4-(7-메톡시-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산-1-카르복실산 (화합물 52)의 제조
상기 제조예 42의 [단계-5]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52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04-6.97 (m, 2H), 6.97-6.84 (m, 4H), 5.03-4.93 (m, 1H), 2.85 (s, 3H), 1.57-1.52 (m, 2H), 1.36-1.30 (m, 2H), 1.03 (s, 1H), 0.98-0.92 (m, 7H), 0.87-0.85 (m, 3H).
[단계-7] (R)-N-이소프로필-4-(7-메톡시-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 시클로헥산-1-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53)의 제조
상기 [단계-6]에서 수득한 화합물 52 (20 mg, 0.042 mmol)을 다이메틸폼아마이드 (1 mL)에 녹이고 프로판-2-아민 (4.31 μl, 0.051 mmol, 1.2 eq.), EDCl·HCl (9.70 mg, 0.051 mmol, 1.2 eq.), HOBt 수화물 (7.75 mg, 0.051 mmol, 1.2 eq.), DIPEA (0.029 ml, 0.169 mmol, 4.0 eq.)을 넣은 뒤,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하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53 6.1 mg를 2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81-7.68 (m, 2H), 7.58-7.45 (m, 4H), 7.40 (t, J = 4.4 Hz, 1H), 5.76 (q, J = 7.1 Hz, 1H), 4.03 (s, 3H), 2.99 (s, 3H), 2.86 (s, 3H), 2.21-2.10 (m, 2H), 2.00-1.92 (m, 2H), 1.80-1.69 (m, 6H), 1.15 (d, J = 6.6 Hz, 3H).
제조예 44
화합물 55: (R)-4-(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N-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1-카르복스아미드
[단계-1] 2-아미노-5-브로모-4-메톡시벤즈아미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42의 [단계-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50-1을 수득하였다.
[단계-2] 6-브로모-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42의 [단계-2]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50-2을 수득하였다.
[단계-3] tert-부틸 4-(7-메톡시-4-옥소-3,4-디히드로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스-3-엔-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2의 [단계-3]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50-3을 수득하였다.
[단계-4] tert-부틸 4-(7-메톡시-4-옥소-3,4-디히드로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3의 [단계-4]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52-1을 수득하였다.
[단계-5] tert-부틸 (R)-4-(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3의 [단계-5]에서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대신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56.8 mg, 0.139 mmol, 2.0 eq.)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54-1 64.3 mg을 8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8.11 (s, 1H), 7.01-6.98 (m, 1H), 6.96-6.94 (m, 1H), 6.89 (t, J = 1.9 Hz, 1H), 6.81 (t, J = 1.9 Hz, 1H), 5.67 (q, J = 7.0 Hz, 1H), 4.42-4.32 (m, 1H), 4.05 (s, 3H), 1.86-1.73 (m, 4H), 1.72-1.65 (m, 4H), 1.60 (d, J = 6.8 Hz, 3H), 1.50 (s, 6H), 1.49 (s, 3H).
[단계-6] (R)-4-(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산-1-카르복실산 (화합물 54)의 제조
상기 제조예 43의 [단계-6]에서 화합물 52-2 대신 화합물 54-1 (63 mg, 0.115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54 56.5 mg을 9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6.94-6.89 (m, 1H), 6.58 (s, 2H), 6.54-6.48 (m, 2H), 5.14-5.02 (m, 1H), 3.33 (s, 3H), 1.62-1.52 (m, 1H), 1.26-1.17 (m, 1H), 1.12-0.95 (m, 8H), 0.86 (d, J = 6.9 Hz, 3H).
[단계-7] (R)-4-(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N-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1-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55)의 제조
상기 제조예 43의 [단계-7]에서 화합물 52 대신 화합물 54 (20 mg, 0.04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55 1.3 mg을 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87 (s, 1H), 7.82-7.73 (m, 1H), 7.58 (s, 1H), 7.41 (s, 1H), 6.86-6.83 (m, 2H), 5.76 (q, J = 6.2 Hz, 1H), 4.05 (s, 3H), 3.00 (s, 3H), 2.86 (s, 3H), 2.19-2.12 (m, 2H), 2.04-1.96 (m, 2H), 1.84-1.73 (m, 6H), 1.50 (d, J = 7.1 Hz, 3H).
제조예 45
화합물 56: (R)-N-(1-(3-(디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단계-1] tert-부틸 (R)-4-(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7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45-1 (100 mg, 0.277 mmol, 1.0 eq.),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113 mg, 0.553 mmol, 2.0 eq.), PyBOP (288 mg, 0.553 mmol, 2.0 eq.), DIPEA (0.145 mL, 0.830 mmol, 3.0 eq.)을 DMSO (3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56-1 133 mg을 8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7.68 (s, 1H), 7.41 (s, 1H), 7.01-6.96 (m, 2H), 6.83-6.78 (m, 1H), 5.63 (q, J = 7.0 Hz, 1H), 4.06 (s, 3H), 3.68-3.58 (m, 4H), 3.25-3.20 (m, 4H), 1.68 (d, J = 7.0 Hz, 3H), 1.50 (s, 9H).
[단계-2] tert-부틸 (R)-4-(4-((1-(3-(디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56-1 (30 mg, 0.055 mmol, 1.0 eq.)를 아세토니트릴 (1.5 mL)에 녹이고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0.055 mL, 0.548 mmol, 10.0 eq.)을 천천히 적가하고 10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이후 NaBH3CN (10.33 mg, 0.164 mmol, 3.0 eq.)을 반응물에 첨가하고 pH 7이 될 때까지 아세트산을 적가한 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물로 세척하였고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56-2 9.5 mg을 3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8.25 (d, J = 7.7 Hz, 1H), 7.72 (s, 1H), 7.44 (s, 1H), 7.07 (s, 1H), 7.00 (s, 1H), 6.76 (s, 1H), 5.68 (p, J = 7.1 Hz, 1H), 4.00 (s, 3H), 3.56-3.49 (m, 4H), 3.15-3.11 (m, 4H), 2.94 (s, 6H), 1.62 (d, J = 7.0 Hz, 3H), 1.43 (s, 9H).
[단계-3] (R)-N-(1-(3-(디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56)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56-2 (8.5 mg, 0.015 mmol, 1.0 eq.)을 디클로로메탄 (1.2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 N 염산 (0.030 mL, 0.118 mmol, 8.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화합물 56 7.9 mg을 10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9.53 (s, 1H), 9.33 (s, 2H), 8.13 (s, 1H), 7.54 (s, 1H), 7.26 (s, 1H), 7.12 (s, 1H), 6.81 (s, 1H), 5.69 (p, J = 7.7 Hz, 1H), 4.04 (s, 3H), 3.52-3.46 (m, 4H), 3.30-3.25 (m, 4H), 2.96 (s, 6H), 1.69 (d, J = 6.9 Hz, 3H).
제조예 46
화합물 57: (R)-6-(3,6-디히드로-2H-피란-4-일)-7-메톡시-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단계-1] 6-(3,6-디히드로-2H-피란-4-일)-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32 [단계-2]에서 합성한 화합물 40-2 (30 mg, 0.117 mmol)을 1,4-다이옥산/물 (10:1)에 녹이고, Na2CO3 (29.5 mg, 0.141 mmol, 2.5 eq.), Pd(PPh3)4 (6.77 mg, 5.86 μmol, 5 mol%)를 넣은 후 120 °C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이를 증류수와 에틸아세테이트로 녹이고,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 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MPLC (헥산:에틸아세테이트=1: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57-1 20.9 mg를 6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6.45 (s, 1H), 6.02 (s, 1H), 4.49 (t, J = 3.4 Hz, 1H), 2.74 (q, J = 2.8 Hz, 2H), 2.47 (s, 3H), 2.33 (t, J = 5.4 Hz, 2H), 0.98-0.93 (m, 2H).
[단계-2] (R)-6-(3,6-디히드로-2H-피란-4-일)-7-메톡시-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57-1 (30 mg, 0.116 mmol)을 디메틸설폭사이드 (1 mL)에 녹이고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43.8 mg, 0.231 mmol, 2.0 eq.), PyBOP (120 mg, 0.231 mmol, 2.0 eq.), DIPEA (0.061 ml, 0.347 mmol, 4.0 eq.)을 넣은 뒤, 50 °C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하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후 MPLC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3(v/v))로 정제하여 화합물 57 29.5 mg를 5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8.18 (s, 1H), 7.80-7.77 (m, 1H), 7.75-7.70 (m, 1H), 7.56-7.53 (m, 1H), 7.52-7.49 (m, 1H), 7.39 (s, 1H), 6.09-6.02 (m, 1H), 5.74 (q, J = 7.1 Hz, 1H), 4.35-4.28 (m, 2H), 4.01 (s, 3H), 3.95-3.85 (m, 2H), 2.60-2.50 (m, 2H), 1.71 (d, J = 7.1 Hz, 3H).
제조예 47
화합물 58: (R)-7-메톡시-6-(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단계-1] 6-(3,6-디히드로-2H-피란-4-일)-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46의 [단계-1]의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57-1을 수득하였다.
[단계-2] 7-메톡시-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벤조[d][1,2,3]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57-1 (40 mg, 0.154 mmol)을 메탄올/디메틸포름아마이드 (1:1)에 녹이고 10% Pd/C (30 mg)을 넣은 뒤, 수소 가스 하에서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화합물 58-1 26.4 mg를 6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6.53 (s, 1H), 6.03 (s, 1H), 2.54-2.52 (m, 1H), 2.52 (s, 3H), 2.51-2.48 (m, 1H), 2.10-2.01 (m, 2H), 1.85-1.77 (m, 1H), 0.31-0.21 (m, 4H).
[단계-3] (R)-7-메톡시-6-(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화합물 58)의 제조
상기 실시예 60의 [단계-2]에서 화합물 57-1 대신 화합물 58-1 (24 mg, 0.09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과정을 반복하여 화합물 58 13.3 mg을 2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3.47 (s, 1H), 8.17 (s, 1H), 7.61-7.56 (m, 2H), 7.48-7.42 (m, 3H), 7.27 (s, 1H), 7.25-7.15 (m, 3H), 7.03 (s, 2H), 3.98 (s, 3H).
제조예 48
화합물 59: (R)-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8-카르복스아미드 (비교물질)
[단계-1] 2-니트로이소프탈산의 제조
1,3-디메틸-2-니트로벤젠 (500 mg, 3.31 mmol, 1.0 eq.), 수산화 나트륨 (146 mg, 3.64 mmol, 1.1 eq.), 과망간산 칼륨 (2.091 g, 13.23 mmol, 4.0 eq.)을 증류수 (10 mL)에 녹이고 90 °C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한 뒤 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6 N 염산으로 pH 1-2이 될 때까지 산성화하였다.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화합물 59-1 264 mg을 3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4.17 (s, 2H), 8.19 (d, J = 7.8 Hz, 2H), 7.81 (t, J = 7.8 Hz, 1H).
[단계-2] 2-니트로이소프탈아미드의 제조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화합물 59-1 (143 mg, 0.677 mmol, 1.0 eq.), 염화티오닐 (1.483 mL, 20.32 mmol, 30.0 eq.)을 DMF (0.01 mL)에 녹이고 질소 대기 하에서 16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THF (10 μL)를 첨가하였다. 이후 0 °C에서 암모니아수를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하고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화합물 59-2 42.6 mg을 3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6 (s, 2H), 7.76 (s, 2H), 7.75-7.67 (m, 3H).
[단계-3] 2-아미노이소프탈아미드의 제조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화합물 59-2 (40 mg, 0.191 mmol, 1.0 eq.), 10% Pd/C (30 mg)을 DMF (0.5 mL)에 녹이고 25 °C 수소 대기 하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DMF로 세척하여 화합물 59-3 27.4 mg을 8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7.97 (s, 2H), 7.89-7.79 (m, 2H), 7.66 (d, J = 7.7 Hz, 2H), 7.23 (s, 2H), 6.49 (t, J = 7.7 Hz, 1H).
[단계-4] 4-옥소-3,4-디하이드로벤조[d][1,2,3]트리아진-8-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아질산나트륨 (16.57 mg, 0.167 mmol, 1.2 eq.)을 0.5 N 염산 (2 mL)에 녹이고 0 °C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화합물 59-3 (25 mg, 0.140 mmol, 1.0 eq.)을 DMF (0.6 mL)에 녹이고 반응물에 천천히 적가한 뒤 0 °C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여 화합물 59-4 17 mg을 6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5.18 (s, 1H), 8.48 (s, 1H), 8.33 (d, J = 4.1 Hz, 1H), 8.31 (d, J = 4.5 Hz, 1H), 8.00-7.96 (m, 1H), 7.96-7.92 (m, 1H).
[단계-5] (R)-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8-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상기 [단계-4]에서 수득한 화합물 59-4 (15 mg, 0.079 mmol, 1.0 eq.),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29.8 mg, 0.158 mmol, 2.0 eq.), PyBOP (82 mg, 0.158 mmol, 2.0 eq.), DIPEA (0.041 mL, 0.237 mmol, 3.0 eq.)을 DMSO (1.5 mL)에 녹이고 50 °C 질소 대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적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은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해당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v/v)로 정제하여 화합물 59 10 mg을 3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thanol-d4) δ 8.74 (d, J = 8.2 Hz, 1H), 8.57 (d, J = 8.2 Hz, 1H), 7.99 (t, J = 7.7 Hz, 1H), 7.81 (s, 1H), 7.77 (d, J = 6.9 Hz, 1H), 7.57-7.50 (m, 2H), 5.82 (q, J = 7.0 Hz, 1H), 1.75 (d, J = 6.6 Hz, 3H).
<실시예 2. SOS1의 GTP 치환 억제 활성 확인>
2-1. 재조합 단백질 발현 및 정제
6xHis-SOS1-avi (a.a. 546-1049) in pProEX HTB plasmid를 BL21(DE3) E. coli strain (enzynomics; CP110) 에 형질 전환하여 6xHis-SOS1-avi 과 발현 균주를 제작하였다. IPTG (isopropylthio-β-galactoside,sigma-aldrich;I6758) induction (OD600 (0.6), 17°C, IPTG 100 μM, 16시간)을 통해 세포 pellet을 확보한 후,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세포 pellet을 lysis buffer (50 mM Tris-HCl, pH 8.0 (Biosesang; TR2016-050-80), 0.5 M NaCl (Duchefa Biochemie; 7647-14-5)) 로 용해시킨 후, Ni-NTA agarose (QIAGEN, 30210) 를 사용하여 단백질을 1차 정제하였다. 이후 AKTA pure 25 M1 (Cytiva, 29018227), Superdex 200 Increase 10/300 GL (Cytiva; 17517501), running buffer (25 mM HEPES, pH 7.5 (Biosesang; HR2057-050-75), 0.15 M NaCl (Duchefa Biochemie; 7647-14-5), 1 mM DTT (Roche; 34873-12-3))를 이용하여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진행하였고, 순도 99% 이상의 단백질을 확보하여 -80˚C 에 보관하였다.
2-2. Thermal Shift Assay (TSA), 열 이동 분석법
본 실험은 재조합 단백질과 화합물의 상호작용에 의한 단백질의 녹는점 변화를 정성적으로 분석하는 실험법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반응 샘플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모든 반응 샘플은 duplication을 원칙으로 하며, 대조군 (100% DMSO)을 포함한다.
화합물은 최종 농도가 50 μM (3% DMSO)이 되도록 두 단계로 희석한다. 1단계는 10 mM 농도의 화합물을 100% DMSO (Sigma Aldrich; 276855)를 사용하여 1.5 mM 농도의 화합물로 희석한다. 2단계는 증류수를 이용하여 1.5 mM 농도의 화합물을 500 μM (30% DMSO)로 희석한다. 대조군의 경우, 최종 농도가 3% DMSO가 되도록 100% DMSO를 30% DMSO로 희석한다. SOS1 재조합 단백질은 -80˚C에서 꺼내 ice에서 녹이고, 실험에 필요한 well 수에 맞게 필요한 양을 계산하고 필요에 따라 증류수로 희석한다. GloMelt™ Dye, 200X (biotium; 33021-2)는 증류수를 이용하여 필요한 양에 맞게 16X로 희석한다. Assay buffer (Thermo Fisher scientific; 4461146)는 총 well 수에 맞게 필요한 양을 계산하고, 희석한 16X GloMelt™ Dye와 혼합한다. 희석한 화합물 2 μl, SOS1 재조합 단백질 10.5 μl, Assay buffer, dye 혼합물 7.5 μl를 차례로 96-well reaction plate (Applied Biosystems™; 4346907)에 넣고 섞는다. Adhesive film (Applied Biosystems™; 4360954)으로 plate를 덮은 후 원심분리 (1,000 rpm, 4˚C, 1분)한다. 원심분리를 완료한 plate를 QuantStudio™ 3 Real-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A28136)에 넣어 단백질의 녹는점 (Tm)을 측정하고, 데이터는 Protein Thermal Shift Software 1.4. (Applied Biosystems™; 4466037)로 분석하였다.
2-3.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assay, 표면 플라스몬 공명 분석
본 실험은 SOS1 재조합 단백질과 화합물의 결합친화도를 평가하는 평형해리상수 (Equilibrium dissociation constant, KD)를 도출하는 실험법으로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표면 플라스몬 공명 분석은 Biacore T200 SPR instrument (Cytiva; 28975001), Series S Sensor Chip CM5 (Cytiva; BR100530)를 이용하여 25°C에서 수행하였다. 먼저 SOS1 단백질을 Amine coupling 반응으로 sensor chip에 1000 ~ 2000 RU 고정하였고, running buffer는 10X HBS-N buffer (Cytiva; BR100670)를 1X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화합물은 두 단계로 희석하였으며, 640 nM (5% DMSO)를 최고 농도로 1/2 serial dilution하여 11 point로 준비하였다. 1단계로 1 mM 농도의 화합물을 100% DMSO로 25.6 μM 농도로 희석한다. 2단계는 25.6 μM 농도의 화합물을 1X HBS-EP buffer (Cytiva; BR100669)로 1280 nM (5% DMSO)로 희석한 후 kinetic running buffer (1X HBS-EP buffer (Cytiva; BR100669), 5% DMSO)를 이용하여 1/2 serial dilution하여 11 points (640, 320, 160, 80, 40, 20, 10, 5, 2.5, 1.25, 0.625 nM (5% DMSO))로 준비한다. 화합물을 주입하는 association, running buffer만 주입하는 dissociation 구간을 각각 300초로 flow rate은 30 μl/min으로 고정하여 kinetic assay를 수행하였다. Blank는 1X HBS-EP buffer, 5% DMSO를 사용하였고, regeneration buffer는 50 mM NaOH (Cytiva; BR100358)를 사용하였다. 모든 assay는 Biacore T200 Control Software로 수행하였으며, 데이터는 stoichiometry (단백질:화합물 = 1:1) 반응으로 분석 진행하였고, kinetic fitting 혹은 affinity fitting으로 Biacore T200 Evaluation Softwar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4. SOS1의 GTP 치환 억제 능력 평가
SOS1은 KRAS에 결합하는 Guanosine diphosphate (GDP)를 Guanosine triphosphate (GTP)로 교환시켜주는 Guanine nucleotide exchange factors (GEF) 단백질 중 하나이다. 이를 통해, SOS1은 활성화된 형태인 KRAS-GTP 결합구조를 유도하고 KRAS-GTP의 하위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 시켜 세포성장 및 분열을 촉진시킨다.
이 실험에서는 시간 분해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 (time-resolved fluorescence energy transfer, TR-FRET)의 원리를 통해 GDP가 GTP로 치환된 KRAG G12C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여 SOS1 단백질의 활성도를 계산하고, 이에 대한 화합물들의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화합물들의 평가는 Aurora Biolabs (USA, California) 사에서 구매한 KRAS (G12C) Nucleotide Exchange Assay Kit’ (Cat# 5727-4122NK)를 활용하였고, 모든 과정은 kit에 제공된 단백질 및 실험 용액, 실험 절차에 따라서 진행하였다.
우선 SOS1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 564~1049, Cat# 7671)을 1 mM 디티오트레이톨 (DTT, dithiothreitol, Thermo, Cat# A39255)가 포함된 실험 용액 (Assay buffer, Cat# 5727-NK-B) 에 희석하여 4 μl 부피의 1 ng 의 단백질을 384-웰 플레이트 (SPL, Cat# 32384) 에 분주하였다. 이후 실시예 화합물들과 상온에서 30분 반응시켰고 이때 농도 설정은 다음과 같다.
단일 농도 평가를 통한 활성 스크리닝을 위해 화합물들을 500 nM과 50 nM 두가지 농도에서 평가하였다. 화합물을 Dimethyl Sulfoxide (DMSO, Sigma, Cat# D2660) 에 1 mM 농도 (100% DMSO)로 화합물을 희석한 후 실험 용액에 100 μM (10% DMSO) 농도로 희석하였다. 이후 100 μM 농도의 화합물을 DMSO가 10%로 포함된 실험용액에 연속적으로 1/20, 1/10으로 희석하여 각각 5 μM, 500 nM 농도로 설정하였다. 이후 전체 20 ul 부피에 2 ul 를 분주하여 최종 농도 500 nM, 50 nM (1% DMSO)로 SOS1 단백질과 반응시켰다.
활성도를 나타내는 IC50 평가를 위해 화합물들을 최고농도 10 μM 부터 연속적으로 1/3 비율로 희석하여, 총 11개 농도에서 평가하였다. 화합물을 DMSO에 1 mM 농도 (100% DMSO)로 화합물을 희석한 뒤 실험 용액에 100 μM (10% DMSO) 농도로 희석하였다. 이후 100 μM 농도의 화합물부터 DMSO가 10%로 포함된 실험용액에 연속적으로 1/3 비율로 희석하여 11개 농도를 설정하였다. 이후 전체 20 ul 부피에 2 ul를 분주하여 최종농도 10 μM (1% DMSO)부터 총 11개 농도의 화합물을 SOS1 단백질과 반응시켰다.
그리고 글루타티온 황 전달효소 (GST, Glutathione S-transferase)가 표지되고 GDP가 결합된 KRAS G12C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 2~169, Cat# 5727-4122G-G)을 실험용액에 희석하여 4 μl 부피의 2.5 ng 단백질을 분주하였다. 이어서 테르븀 (Terbium)이 결합된 항-GST 항체 (Cat# 37882)와 형광체가 결합된 GTP (Cat# 48735)를 각각 1:200, 1:40 의 비율로 실험용액에 희석하여 10 μL 분주하고 상온에서 20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BioTek Synergy Neo2 microplate reader 기기를 이용하여 TR-FRET 신호를 측정하였고, 이때 여기 (Excitation) 신호는 330 nm, 방출 (Emission) 신호는 620/665 nm로 설정하였다.
활성도(%) 도출을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실험군들의 측정값은 665 nm의 형광값을 620 nm의 형광값으로 나눈 비율 (FRET 비율)로 계산하였다. 이때 SOS1 및 KRAS G12C 단백질이 참여하지 않은 실험군의 FRET 비율을 0% (N), 화합물이 포함되지 않은 실험군의 FRET 비율을 100% (P)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실시예 화합물이 처리된 SOS1 단백질의 활성도(%) 는 하기의 계산식을 통해 도출하였다.
FRET 비율: 665 nm의 형광값 / 620 nm의 형광값
S: 화합물 첨가군의 FRET 비율
N: 단백질이 포함되지 않은 군의 FRET 비율
P: 화합물이 포함되지 않은 군의 FRET 비율
활성도 (%) = 100 x (S - N) / (P - N)
화합물들의 50% 활성 저해값 (IC50)은 Graphpad Prism 9.4.1을 이용해서 산출되었다.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벤조[d][1,2,3]트리아진 화합물은 우수한 SOS1 억제 활성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 화합물들 중 유의미한 ΔTm 값을 나타내는 화합물들을 선별하여 SOS1 억제 활성 값을 도출한 결과, 화합물 1, 12, 40, 45, 47, 49번이 대조군 화합물 (BI 3406) 대비 동등 혹은 우수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들의 구조와 AKT, P70S6K 단백질에 결합하는 저해제의 구조가 유사성이 있어, 비교물질(화합물 59)을 합성하여 SOS1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 결합하지 않는 것을 확인 하였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본 발명 화합물 1 2 g, 유당 1 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본 발명 화합물 1 100 ㎎, 미결정셀룰로오스 100 ㎎, 유당수화물 60 ㎎,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0 ㎎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 ㎎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 화합물 1 100 ㎎, 미결정셀룰로오스 100 ㎎, 유당수화물 60 ㎎,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0 ㎎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 ㎎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환제의 제조>
본 발명 화합물 1 90 ㎎, 찹쌀전분 5 ㎎ 및 정제수 5 ㎎ 및 흡습성을 저해하는 첨가제로서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옥수수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MCC)를 소량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00 ㎎의 환제를 만들었다.
<제제예 5.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 화합물 1 1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및 pH 조절제 적량을 혼합한 후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C6-C12아릴, C4-C12헤테로아릴, C4-C12헤테로시클로알킬, C4-C12시클로알킬 및 C4-C12시클로알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디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옥소(=O), 니트로, 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메틸렌, 모노(C1-C3)알킬아미노메틸렌, 카르복실산, tert-부톡시카보닐, 디(C1-C3)알킬아민카보닐, 및 디C1-3알킬아미노C1-3알킬페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2는 수소 또는 C1-C6알킬로 치환되며;
    R3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R4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하이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X는 -CH2-, -C(=O)-, -NH- 또는 -O-로 치환되며;
    B는 아미노C1-C6알킬, C6-C12아릴, C4-C12헤테로아릴, C4-C12헤테로시클로알킬, 디아자스피로알칸, C4-C12시클로알킬, C4-12시클로알케닐 및 C4-12헤테로시클로알케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옥소(=O),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tert-부톡시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카보닐, 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C1-C3알킬, tert-부톡시카보닐피롤리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C1-C3알킬, 아미노, (tert-부톡시카보닐)(C1-3알킬)아미노, C1-3알킬옥시카보닐, 카르복실 및 C1-6알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A는 페닐, 나프탈레닐, 티오페닐, 시클로헥실 및 시클로헥세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디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옥소(=O), 니트로, 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메틸렌, 모노(C1-C3)알킬아미노메틸렌, 카르복실산, tert-부톡시카보닐, 디(C1-C3)알킬아민카보닐 및 디C1-3알킬아미노C1-3알킬페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2는 수소 또는 C1-C6알킬로 치환되며;
    R3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R4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하이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X는 -CH2-, -C(=O)-, -NH- 또는 -O-로 치환되며;
    B는 아미노C1-C6알킬, C6-C12아릴, C4-C12헤테로아릴, C4-C12헤테로시클로알킬, 디아자스피로알칸, C4-C12시클로알킬, C4-12시클로알케닐 및 C4-12헤테로시클로알케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옥소(=O),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tert-부톡시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카보닐, 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C1-C3알킬, tert-부톡시카보닐피롤리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C1-C3알킬, 아미노, (tert-부톡시카보닐)(C1-3알킬)아미노, C1-3알킬옥시카보닐, 카르복실 및 C1-6알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A는 페닐, 나프탈레닐, 티오페닐, 시클로헥실 및 시클로헥세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디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옥소(=O), 니트로, 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메틸렌, 모노(C1-C3)알킬아미노메틸렌, 카르복실산, tert-부톡시카보닐, 디(C1-C3)알킬아민카보닐 및 디C1-3알킬아미노C1-3알킬페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2는 수소 또는 C1-C6알킬로 치환되며;
    R3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R4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하이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X는 -CH2-, -C(=O)-, -NH- 또는 -O-로 치환되며;
    B는 페닐, 피페라진, 모르폴린, 피페리딘, 아미노C1-C6알킬, 아제티딘, 디아자스피로[3.3]헵탄, 피란, 테트라히이드로피란, 디하이드로피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옥소(=O),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tert-부톡시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카보닐, 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C1-C3알킬, tert-부톡시카보닐피롤리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C1-C3알킬, 아미노, (tert-부톡시카보닐)(C1-3알킬)아미노, C1-3알킬옥시카보닐, 카르복실 및 C1-6알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A는 페닐, 나프탈레닐, 티오페닐, 시클로헥실 및 시클로헥세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디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옥소(=O), 니트로, 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메틸렌, 모노(C1-C3)알킬아미노메틸렌, 카르복실산, tert-부톡시카보닐, 디(C1-C3)알킬아민카보닐 및 디C1-3알킬아미노C1-3알킬페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R2는 수소 또는 C1-C6알킬로 치환되며;
    R3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R4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하이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며;
    X는 -CH2-, -C(=O)-, -NH- 또는 -O-로 치환되며;
    B는 페닐, 피페라진, 피페리딘, 아제티딘 및 디아자스피로[3.3]헵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치환되며;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옥소(=O),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C1-C6알킬, 할로C1-C6알콕시, 할로겐, tert-부톡시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 디(C1-C3)알킬아미노, 모노(C1-C3)알킬아미노,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카보닐, 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피페리디닐카보닐, tert-부톡시카보닐C1-C3알킬, tert-부톡시카보닐피롤리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C1-C3알킬, 아미노, (tert-부톡시카보닐)(C1-3알킬)아미노, C1-3알킬옥시카보닐, 카르복실 및 C1-6알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1);
    (R)-6-모폴리노-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화합물 2);
    (R)-6-(4-메틸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화합물 3);
    (R)-(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일)메탄온(화합물 4);
    tert-부틸 (R)-6-(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2,6-디아자스피로[3.3]헵탄-2-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 5);
    (R)-6-(2,6-디아자스피로[3.3]헵탄-2-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6);
    (R)-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2-온(화합물 7);
    (R)-6-(4-(디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화합물 8);
    tert-부틸 (R)-4-(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카르보닐)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 9);
    (R)-피페리딘-4-일(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일)메탄온 염산염(화합물 10);
    tert-부틸 (R)-(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화합물 11);
    (R)-6-(4-아미노피페리딘-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12);
    tert-부틸 (R)-메틸(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화합물 13);
    (R)-6-(4-(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14);
    tert-부틸 (R)-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화합물 15);
    (R)-N6-(피페리딘-4-일)-N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6-디아민 염산염(화합물 16);
    tert-부틸 3-(4-(4-(((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페닐)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 17);
    6-(4-(피롤리딘-3-일)페닐)-N-((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18);
    tert-부틸 (R)-4-((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화합물 19);
    (R)-6-(피페라진-1-일메틸)-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0);
    tert-부틸 (R)-((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메틸)카르바메이트(화합물 21);
    (R)-6-(아미노메틸)-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2);
    (R)-6-(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3);
    (R)-N-(1-(2-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4);
    (R)-N-(1-(3-메톡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5);
    N-(1-(3-클로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6);
    (R)-N-(1-(3,4-디메톡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27);
    메틸 (R)-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 28);
    tert-부틸 (R)-2-(1-(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리딘-4-일)아세테이트(화합물 29);
    (R)-6-(아제티딘-3-일옥시)-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0);
    (R)-N-(1-(나프탈렌-1-일)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1);
    N-(1-(2,4-디클로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2);
    N-(1-(2-브로모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 (화합물 33);
    (R)-6-(피페라진-1-일)-N-(1-(m-톨릴)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4);
    N-(1-(3-니트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5);
    (R)-N-(1-(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6);
    (R)-3-(1-((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일)아미노)에틸)벤조니트릴 염산염(화합물 37);
    (R)-N-(1-(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8);
    (R)-N-(1-(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39);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알데히드--(R)-7-메톡시-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1/1)(화합물 40);
    (R)-7-메틸-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41);
    (R)-8-메톡시-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42);
    (R)-7-플루오로-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43);
    (R)-N-(1-(3-브로모-2-메틸페닐)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44);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45);
    (R)-4-(4-((1-(3-시아노-2-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피페라진-1-아민 염산염(화합물 46);
    (R)-N-(1-(4-(2-((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47);
    (R)-8-클로로-6-(피페라진-1-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48);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7-메톡시-6-모폴리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화합물 49);
    tert-부틸 4-(7-메톡시-4-(((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스-3-엔-1-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 50);
    4-(7-메톡시-4-(((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스-3-엔-1-카복실산(화합물 51);
    (R)-4-(7-메톡시-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산-1-카르복실산(화합물 52);
    (R)-N-이소프로필-4-(7-메톡시-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산-1-카르복스아미드(화합물 53);
    (R)-4-(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시클로헥산-1-카르복실산(화합물 54);
    (R)-4-(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7-메톡시벤조[d][1,2,3]트리아진-6-일)-N-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1-카르복스아미드(화합물 55);
    (R)-N-(1-(3-(디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7-메톡시-6-(피페라진-1-일)벤조[d][1,2,3]트리아진-4-아민 염산염(화합물 56);
    (R)-6-(3,6-디히드로-2H-피란-4-일)-7-메톡시-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화합물 57); 및
    (R)-7-메톡시-6-(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N-(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조[d][1,2,3]트리아진-4-아민(화합물 58);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비소세포 폐암(NSCLC), 흑색종, 삼중 음성 유방암(TNBC), 비인두암(NPC), 미세부수체 안정성 결장직장암(mssCRC), 흉선종, 카르시노이드, 위장관기질 종양(GIST), 전립선암, 유방암종, 림프종, 백혈병, 흑색종, 방광암종, 결장암, 피부 흑색종, 간세포암종, 자궁 내막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폐암, 신장암, 다형성 아교모세포종, 신경아교종,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비인두암, 설암, 췌장암, 식도암, 담관암종, 위암, 연조직 육종, 횡문근육종(RMS), 윤활막 육종, 골육종, 간상암, 및 유잉 육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이성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내성 암 억제용 약학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다른 항암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병용투여를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항암제는 세포 신호 전달 억제제(크리조티닙, 다사티닙, 에르로티닙, 이마티닙, 라파티닙, 닐로티닙, 파조파닙, 레고라페닙, 루소리티닙, 소라페닙, 수니티닙, 반데타닙, 베무라페닙, 보수티닙, 게피티닙, 악시티닙, 아파티닙, 알리세르팁, 다브라페닙, 다코미티닙, 디나시클립, 도피티닙, 엔자스타우린, 닌테다닙, 렌바티닙, 리니파닙, 린시티닙, 마시티닙, 미도스타우린, 모테사닙, 네라티닙, 오란티닙, 페리포신, 포나티닙, 라도티닙, 리고세르팁, 티피파르닙, 티반티닙, 티보자닙, 트라메티닙, 피마세르팁, 세디라닙, 아파티닙, 카보잔티닙), 유사분열 억제제(파클리탁셀, 빈크리스틴 또는 빈블라스틴), 알킬화제(시스플라틴,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 크로마부실 또는 카무스틴), 항-대사제(메쏘트렉세이트 또는 5-FU), 삽입 항암제(독소루비신, 액티노마이신, 안트라싸이클린, 블레오마이신 또는 마이토마이신-C), 토포아이소머라제 억제제(에토포시드, 이리노테칸, 라족산, 소부족산, 테니포시드, 토포테칸, 아모나피드, 벨로테칸, 엘립티늄아세테이트, 보렉록신), 면역요법제(인터루킨 또는 인터페론) 및 항-호르몬제(타목시펜 또는 랄록시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항암제는 크리조티닙, 다사티닙, 에르로티닙, 이마티닙, 라파티닙, 닐로티닙, 파조파닙, 레고라페닙, 루소리티닙, 소라페닙, 수니티닙, 반데타닙, 베무라페닙, 보수티닙, 게피티닙, 악시티닙, 아파티닙, 알리세르팁, 다브라페닙, 다코미티닙, 디나시클립, 도피티닙, 엔자스타우린, 닌테다닙, 렌바티닙, 리니파닙, 린시티닙, 마시티닙, 미도스타우린, 모테사닙, 네라티닙, 오란티닙, 페리포신, 포나티닙, 라도티닙, 리고세르팁, 티피파르닙, 티반티닙, 티보자닙, 트라메티닙, 피마세르팁, 세디라닙, 아파티닙, 카보잔티닙, 에토포시드, 이리노테칸, 라족산, 소부족산, 테니포시드, 토포테칸, 아모나피드, 벨로테칸, 엘립티늄아세테이트, 및 보렉록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30105538A 2023-02-17 2023-08-11 신규한 벤조[d][1,2,3]트리아진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202401285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774 2023-0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8541A true KR20240128541A (ko) 2024-08-26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7928B2 (ja) 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有用なインドールカルボキシアミド
JP6945015B2 (ja) N2,n4−ジフェニルピリミジン−2,4−ジアミ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癌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薬学的組成物
ES2866152T3 (es) Derivados de tirosina amida como inhibidores de la Rho-quinasa
ES2902676T3 (es) Aminotriazolopiridinas como inhibidores de cinasa
CA2779105C (en) Kinase inhibitors
JP2020519589A (ja) G12c変異型rasタンパク質を阻害するヘテロアリール化合物
AU2016284654B2 (en) 2,3-dihydro-4h-1,3-benzoxazin-4-on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cholinergic muscarinic M1 receptor
JP7112567B2 (ja) 二環式betブロモドメイン阻害剤及びその使用
AU2020302338A1 (en) 2,3-dihydroquinazolin compounds as NAV1.8 inhibitors
EA034558B1 (ru) 4-ИМИДАЗО[1,5-a]ПИРИДАЗИН-1-ИЛ-БЕНЗАМИДЫ В КАЧЕСТВЕ Btk-ИНГИБИТОРОВ
JP6749422B2 (ja) プロテインキナーゼ阻害剤である新規な2,3,5−置換チオフェン化合物
TW201427953A (zh) 可作爲激酶調節劑之經雜芳基取代的吡啶化合物
WO2008039359A2 (en) Bicyclic pyrimidine kinase inhibitors
CN111566103B (zh) 作为激酶抑制剂的氨基咪唑并吡嗪
WO2016011979A1 (zh) 2,4-二取代7H-吡咯并[2,3-d]嘧啶衍生物、其制法与医药上的用途
KR20100134693A (ko) 2-아미노퀴나졸린 유도체
AU2019289398B2 (en) Tartrate of selective CDK9 inhibitor and crystal form thereof
JP2022058371A (ja) ヘテロアリール化合物および治療薬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ES2936481T3 (es) 1H-Indazol-carboxamidas como inhibidores de la proteína cinasa 1 que interactúa con el receptor (RIPK1)
WO2015144021A1 (zh) 取代氮杂环类衍生物、含其的药物组合物及其在抗肿瘤中的应用
EP2933248A1 (en) Novel renin inhibitor
CN113454082A (zh) 咪唑并吡啶基化合物及其用于治疗神经退行性疾病的用途
AU2019271952A1 (en) Substituted benzazinones as antibacterial compounds
CN112313207B (zh) 一种氰基取代吡啶及氰基取代嘧啶类化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CN112236422A (zh) 喹唑啉类化合物作为egfr三突变抑制剂及其应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