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1930A -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누수 증후군 개선, 예방,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누수 증후군 개선, 예방,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21930A KR20240121930A KR1020230014300A KR20230014300A KR20240121930A KR 20240121930 A KR20240121930 A KR 20240121930A KR 1020230014300 A KR1020230014300 A KR 1020230014300A KR 20230014300 A KR20230014300 A KR 20230014300A KR 20240121930 A KR20240121930 A KR 202401219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stinal
- composition
- extract
- fruit
- prebiotic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5000013406 prebiotic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08000011580 syndromic diseas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40000006432 Carica papaya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44000189799 Asimina trilob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5000006264 Asimina trilob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150000004666 short chain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21391 short chain fatty acid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4675 intestinal mucosal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09467 Carica papay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41000219000 Popul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5000009200 high fat die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41001608472 Bifidobacterium long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44000199885 Lactobacillus bulgaric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5000013960 Lactobacillus bulgaric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29940009291 bifidobacterium longum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3870 intestinal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29940004208 lactobacillus bulgaricus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41000186016 Bifidobacterium bifid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40002008 bifidobacterium bifidum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3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4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29920001202 Inul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1
- JYJIGFIDKWBXDU-MNNPPOADSA-N inul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C@]1(OC[C@]2(OC[C@]3(OC[C@]4(OC[C@]5(OC[C@]6(OC[C@]7(OC[C@]8(OC[C@]9(OC[C@]%10(OC[C@]%11(OC[C@]%12(OC[C@]%13(OC[C@]%14(OC[C@]%15(OC[C@]%16(OC[C@]%17(OC[C@]%18(OC[C@]%19(OC[C@]%20(OC[C@]%21(OC[C@]%22(OC[C@]%23(OC[C@]%24(OC[C@]%25(OC[C@]%26(OC[C@]%27(OC[C@]%28(OC[C@]%29(OC[C@]%30(OC[C@]%31(OC[C@]%32(OC[C@]%33(OC[C@]%34(OC[C@]%35(OC[C@]%36(O[C@@H]%37[C@@H]([C@@H](O)[C@H](O)[C@@H](CO)O%37)O)[C@H]([C@H](O)[C@@H](CO)O%36)O)[C@H]([C@H](O)[C@@H](CO)O%35)O)[C@H]([C@H](O)[C@@H](CO)O%34)O)[C@H]([C@H](O)[C@@H](CO)O%33)O)[C@H]([C@H](O)[C@@H](CO)O%32)O)[C@H]([C@H](O)[C@@H](CO)O%31)O)[C@H]([C@H](O)[C@@H](CO)O%30)O)[C@H]([C@H](O)[C@@H](CO)O%29)O)[C@H]([C@H](O)[C@@H](CO)O%28)O)[C@H]([C@H](O)[C@@H](CO)O%27)O)[C@H]([C@H](O)[C@@H](CO)O%26)O)[C@H]([C@H](O)[C@@H](CO)O%25)O)[C@H]([C@H](O)[C@@H](CO)O%24)O)[C@H]([C@H](O)[C@@H](CO)O%23)O)[C@H]([C@H](O)[C@@H](CO)O%22)O)[C@H]([C@H](O)[C@@H](CO)O%21)O)[C@H]([C@H](O)[C@@H](CO)O%20)O)[C@H]([C@H](O)[C@@H](CO)O%19)O)[C@H]([C@H](O)[C@@H](CO)O%18)O)[C@H]([C@H](O)[C@@H](CO)O%17)O)[C@H]([C@H](O)[C@@H](CO)O%16)O)[C@H]([C@H](O)[C@@H](CO)O%15)O)[C@H]([C@H](O)[C@@H](CO)O%14)O)[C@H]([C@H](O)[C@@H](CO)O%13)O)[C@H]([C@H](O)[C@@H](CO)O%12)O)[C@H]([C@H](O)[C@@H](CO)O%11)O)[C@H]([C@H](O)[C@@H](CO)O%10)O)[C@H]([C@H](O)[C@@H](CO)O9)O)[C@H]([C@H](O)[C@@H](CO)O8)O)[C@H]([C@H](O)[C@@H](CO)O7)O)[C@H]([C@H](O)[C@@H](CO)O6)O)[C@H]([C@H](O)[C@@H](CO)O5)O)[C@H]([C@H](O)[C@@H](CO)O4)O)[C@H]([C@H](O)[C@@H](CO)O3)O)[C@H]([C@H](O)[C@@H](CO)O2)O)[C@@H](O)[C@H](O)[C@@H](CO)O1 JYJIGFIDKWBXDU-MNNPPOADSA-N 0.000 description 21
- 229940029339 inulin Drug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0529 probi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6041 probio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5000018291 probiotic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4347 intestinal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8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FTSSQIKWUOOEGC-RULYVFMPSA-N fructooligosaccharide Chemical compound OC[C@H]1O[C@@](CO)(OC[C@@]2(OC[C@@]3(OC[C@@]4(OC[C@@]5(OC[C@@]6(OC[C@@]7(OC[C@@]8(OC[C@@]9(OC[C@@]%10(OC[C@@]%11(O[C@H]%12O[C@H](CO)[C@@H](O)[C@H](O)[C@H]%12O)O[C@H](CO)[C@@H](O)[C@@H]%11O)O[C@H](CO)[C@@H](O)[C@@H]%10O)O[C@H](CO)[C@@H](O)[C@@H]9O)O[C@H](CO)[C@@H](O)[C@@H]8O)O[C@H](CO)[C@@H](O)[C@@H]7O)O[C@H](CO)[C@@H](O)[C@@H]6O)O[C@H](CO)[C@@H](O)[C@@H]5O)O[C@H](CO)[C@@H](O)[C@@H]4O)O[C@H](CO)[C@@H](O)[C@@H]3O)O[C@H](CO)[C@@H](O)[C@@H]2O)[C@@H](O)[C@@H]1O FTSSQIKWUOOEGC-RULYVFMPSA-N 0.000 description 8
- 229940107187 fructooligosaccharide Drugs 0.000 description 8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29940039696 lactobacillus Drugs 0.000 description 7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871 intestin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307 Dextra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41000186606 Lactobacillus gasseri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306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50 formula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4000005709 gut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4000291564 Allium cep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408747 Lepomis gibbos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CSNNHWWHGAXBCP-UHFFFAOYSA-L Magnes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Mg+2].[O-][S+2]([O-])([O-])[O-] CSNNHWWHGAXBC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44000021685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071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061458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754 Vitis X bourqu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333 Vitis X labrus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7244 Zea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29940089639 cornsilk Drug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13 intestinal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991 processed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236 pumpkin see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231 zea mays s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41000186000 Bifido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472 Leucaena leucocephal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643 Leucaena leuco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419 a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7 crude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58 endo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12 general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DPJRMOMPQZCRJU-UHFFFAOYSA-M thiam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C1=C(CCO)SC=[N+]1CC1=CN=C(C)N=C1N DPJRMOMPQZCRJ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YBJHBAHKTGYVGT-ZKWXMUAHSA-N (+)-Biotin Chemical compound N1C(=O)N[C@@H]2[C@H](CCCCC(=O)O)SC[C@@H]21 YBJHBAHKTGYVGT-ZKWXMUAHSA-N 0.000 description 2
- GVJHHUAWPYXKBD-UHFFFAOYSA-N (±)-α-Tocopherol Chemical compound OC1=C(C)C(C)=C2OC(CCCC(C)CCCC(C)CCCC(C)C)(C)CCC2=C1C GVJHHUAWPYXK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73529 Aconitum nape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2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726100 Asimi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6010070545 Bacterial transloc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44000018436 Coriandr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12 FEMA 460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2559 Inflammatory bowe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XUJNEKJLAYXESH-REOHCLBHSA-N L-Cysteine Chemical compound SC[C@H](N)C(O)=O XUJNEKJLAYXESH-REOHCLBHSA-N 0.000 description 2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2
- DFPAKSUCGFBDDF-UHFFFAOYSA-N Nicotinamide Chemical compound NC(=O)C1=CC=CN=C1 DFPAKSUCGFBD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SEAGSNCFSA-N Rebaudioside A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6[C@H](O)[C@@H](O)[C@H](O)[C@@H](CO)O6)[C@H](O)[C@@H](CO)O5)(C4)CC3)CC2)CCC1 HELXLJCILKEWJH-SEAGSNCF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470 Theobroma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866 Ziziphus nummul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23019 aconi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2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375 bacterial trans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dextri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71 dressin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UHFFFAOYSA-N entered according to Sigma 01432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C)(C(=O)OC4C(C(O)C(O)C(CO)O4)O)C3CCC2(C2)CC(=C)C21OC(C1OC2C(C(O)C(O)C(CO)O2)O)OC(CO)C(O)C1OC1OC(CO)C(O)C(O)C1O HELXLJCILKEWJ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774 essential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2 fish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VBPIULPVIDEAO-LBPRGKRZSA-N folic acid Chemical compound C=1N=C2NC(N)=NC(=O)C2=NC=1CNC1=CC=C(C(=O)N[C@@H](CCC(O)=O)C(O)=O)C=C1 OVBPIULPVIDEAO-LBPRGKRZ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28 food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510 functional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LPLVUJXQOOQHMX-UHFFFAOYSA-N glycyrrhetinic ac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C1CC(C2C(C3(CCC4(C)CCC(C)(CC4C3=CC2=O)C(O)=O)C)(C)CC2)(C)C2C(C)(C)C1OC1OC(C(O)=O)C(O)C(O)C1OC1OC(C(O)=O)C(O)C(O)C1O LPLVUJXQOOQ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YRUBYNTXSDKQT-UHFFFAOY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2(C)C1CCC3(C)C2C(=O)C=C4C5CC(C)(CCC5(C)CCC34C)C(=O)O)OC6OC(C(O)C(O)C6OC7OC(O)C(O)C(O)C7C(=O)O)C(=O)O UYRUBYNTXSDK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993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90 intestinal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41476 lactose 100 m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43 magnes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41 magnesium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872 mr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590 normal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03 rebaudioside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264 seaso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OAAWQZATWQOTB-UHFFFAOYSA-N taurine Chemical compound NCCS(O)(=O)=O XOAAWQZATWQO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92 thaum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36 thauma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1148471 unidentified anaerobic 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HSINOMROUCMIEA-FGVHQWLLSA-N (2s,4r)-4-[(3r,5s,6r,7r,8s,9s,10s,13r,14s,17r)-6-ethyl-3,7-dihydroxy-10,13-dimethyl-2,3,4,5,6,7,8,9,11,12,14,15,16,17-tetradecahydro-1h-cyclopenta[a]phenanthren-17-yl]-2-methyl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12C)C[C@@H](O)C[C@H]1[C@@H](CC)[C@@H](O)[C@@H]1[C@@H]2CC[C@]2(C)[C@@H]([C@H](C)C[C@H](C)C(O)=O)CC[C@H]21 HSINOMROUCMIEA-FGVHQWLL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88751 Album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027 Album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81440 Anno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50425 Asimina angust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4053 Bacterial toxa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6125 Bacter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DCSYEGIMSA-N Beta-La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DCSYEGIMSA-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874 Chronic Fatigue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31522 Citrus pyriform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UHFFFAOYSA-N D-Lyxoflavin Natural products OCC(O)C(O)C(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61 Dunnett's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244 Dysbi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487 Endotox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62 Food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60003951 Immunoglob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2678 Intestinal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1 L-cyste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78 L-cyste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4036 Lact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376 Magnolial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720 Malnutri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13 Malto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74 Malt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21 Multiple Trau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VBPIULPVIDEAO-UHFFFAOYSA-N N-Pteroyl-L-glutaminsaeure Natural products C=1N=C2NC(N)=NC(=O)C2=NC=1CNC1=CC=C(C(=O)NC(CCC(O)=O)C(O)=O)C=C1 OVBPIULPVIDEA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KYBYDHXWVHEJW-UHFFFAOYSA-N N-[1-oxo-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an-2-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MKYBYDHXWVHE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662 Non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8277 Prostaglandin G/H synthas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50003243 Prostaglandin G/H synthas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984 Roden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VMHLLURERBWHNL-UHFFFAOYSA-M Sod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Na+].CC([O-])=O VMHLLURERBWHN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BCKXLBQYZLBQEK-KVVVOXFISA-M Sodium ole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CCCCCC([O-])=O BCKXLBQYZLBQEK-KVVVOXFISA-M 0.000 description 1
- 102000000591 Tight Junction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2321 Tight Junction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222 Tox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779 Vitamin B1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71 Vitamin B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15 allerg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78 anti-diab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36 aqueou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0 aqueous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22 bacterio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16 benton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3 bile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85 bio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58 bio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16 bio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75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APWYRCQGJNNSJ-UBKPKTQASA-L calcium D-pantothenic acid Chemical compound [Ca+2].OCC(C)(C)[C@@H](O)C(=O)NCCC([O-])=O.OCC(C)(C)[C@@H](O)C(=O)NCCC([O-])=O FAPWYRCQGJNNSJ-UBKPKTQASA-L 0.000 description 1
- 229940037769 calcium carbonate 100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FUFJGUQYACFECW-UHFFFAOYSA-L calcium hydrogen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OP([O-])([O-])=O FUFJGUQYACFEC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079 calcium pantothe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85 cell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87 chromatography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DJOLVPMNUYSCM-WZHZPDAFSA-L cobalt(3+);[(2r,3s,4r,5s)-5-(5,6-dimethylbenzimidazol-1-yl)-4-hydroxy-2-(hydroxymethyl)oxolan-3-yl] [(2r)-1-[3-[(1r,2r,3r,4z,7s,9z,12s,13s,14z,17s,18s,19r)-2,13,18-tris(2-amino-2-oxoethyl)-7,12,17-tris(3-amino-3-oxopropyl)-3,5,8,8,13,15,18,19-octamethyl-2 Chemical compound [Co+3].N#[C-].N([C@@H]([C@]1(C)[N-]\C([C@H]([C@@]1(CC(N)=O)C)CCC(N)=O)=C(\C)/C1=N/C([C@H]([C@@]1(CC(N)=O)C)CCC(N)=O)=C\C1=N\C([C@H](C1(C)C)CCC(N)=O)=C/1C)[C@@H]2CC(N)=O)=C\1[C@]2(C)CCC(=O)NC[C@@H](C)OP([O-])(=O)O[C@H]1[C@@H](O)[C@@H](N2C3=CC(C)=C(C)C=C3N=C2)O[C@@H]1CO FDJOLVPMNUYSCM-WZHZPDAF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35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112 corn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136 cultur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00 dicalc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5079 dicalcium phosphate anhydro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16 die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28 die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6 dro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40 dysbi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19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0 ferrous 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1 ferrous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04 fo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2 fo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4 fo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32 food allerg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WIGCFUFOHFEKBI-UHFFFAOYSA-N gamma-tocopher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1CCC2C(C)C(O)C(C)C(C)C2O1 WIGCFUFOHFEK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11 gastric ac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6 gastrointestinal cont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3 gelatin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727 gluc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07 health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66 host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8358 immunoglob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41 in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72 injectable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788 innate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27 intestinal barri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58 intestinal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61 intraarteri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5 intramuscular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7 intramuscular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2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8 intraperitoneal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3 intraven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BAUYGSIQEAFULO-UHFFFAOYSA-L iron(2+) sulf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Fe+2].[O-]S([O-])(=O)=O BAUYGSIQEAFU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59 iron(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551 irritable bowel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9 large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3 liqu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540 macroph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ZLNQQNXFFQJAID-UHFFFAOYSA-L magne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Mg+2].[O-]C([O-])=O ZLNQQNXFFQJAI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95 magnes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1 magnes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27 male C57BL/6J mi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1 mal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824 mal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034 maltodext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7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02 monopotas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96 monopotass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77 mucosal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766 myalgic encephalomeyelitis/chronic fatigue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966 nicotinam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152 nicotinam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0 nicotin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1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182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380 nutritional deficienc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43 one-way ANOV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4443 oxytocics prostagland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17 path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90 physiolog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8 potass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35 potassium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QEEAPRPFLLJWCF-UHFFFAOYSA-K potassium citr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K+].[K+].[K+].[O-]C(=O)CC(O)(CC([O-])=O)C([O-])=O QEEAPRPFLLJWCF-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82 potassium cit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NSKLFRGEWLPPA-UHFFFAOYSA-M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OP(O)([O-])=O GNSKLFRGEWLPP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180 prostagland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42 retino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73 retinyl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0 ret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GNJRVVDBSJHIZ-QHLGVNSISA-N ret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C(/C)\C=C\C=C(/C)\C=C\C1=C(C)CCCC1(C)C QGNJRVVDBSJHIZ-QHLGVNSI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073 rheumatoid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32 sodium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281 sod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WXMKPNITSTVMEF-UHFFFAOYSA-M sodium benzoate Chemical compound [Na+].[O-]C(=O)C1=CC=CC=C1 WXMKPNITSTVME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99 sodium benzo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34 sodium benzo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RYYKJJJTJZKILX-UHFFFAOYSA-M sodium octadecano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CCCCCC([O-])=O RYYKJJJTJZKILX-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4 subcutane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9 subcutaneous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080 tau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78 tight junct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9 top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3 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65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08700012359 tox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92 trans-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63 vegetarian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3 vitamin B1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5 vitamin B1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203 vitamin b6 0.5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30 xanthan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93 xanthan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2509 xanthan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4 β-la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2—Prebiotics, ingredients ferment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y beneficial microflora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23—Bulgaricu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45—Gasseri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17—Bifidu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33—Longum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누수 증후군 개선, 예방,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장내 유용 미생물의 생육을 선택적으로 촉진하고, 이들로부터 유용 성분(단쇄지방산)의 생산을 촉진하여 숙주의 파괴된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장내 유용 미생물을 회복시키며, 증가된 장점막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장길이를 회복시키는 등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의 개선, 예방, 치료 효능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유도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및 장누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장내에는 1013-1014개의 세균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세균들은 인간이라는 숙주에서 소화흡수되는 많은 영양소나 침입하는 병원균에 대한 방어과정을 거치면서 숙주의 안정적인 생리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많은 변이를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안정화되었다. 그러나 최근 위생수준의 향상, 항생제 사용, 제왕절개 출산과 분유 사용, 단백질, 지방 및 설탕의 급격한 사용 증가, 보존제나 살충제 및 첨가제 등의 화학물질 사용, 식이 성분 중 MAC(Microbiota- accessible carbohydrates)의 감소, 고칼로리-저 영양소 가공식품 섭취 증가함에 따라 장내미생물총-환경 변화가 버거울만큼 빨리 변화하였고, 이런 부조화로 인해 장내미생물총의 건강함을 잃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감염질환 대신 비전염성 만성질환의 증가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장내 미생물의 총균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프리바이오틱 소재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하였고,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포포나무 열매가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장내 환경, 장내 유익균의 유용성분 생산능, 장길이, 장투과성을 개선하여 장누수 증후군에 대한 치료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누수 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 투과성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프리바이오틱 조성물은 장내 유해균 대비 장내 유익균을 상대적으로 증식시키는 프리바이오틱 활성을 가지며, 상기 장내 유익균은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장내 유해균은 대장균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장내 유익균으로부터 단쇄지방산(SCFA)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고지방 식이로 인한 파괴된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장내 유용 미생물을 회복시키며, 증가된 장점막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장길이를 회복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농도는 100 mg/kg 내지 1000 mg/kg일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투과성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장내 유용 미생물의 생육을 선택적으로 촉진하고, 이들로부터 유용 성분(단쇄지방산)의 생산을 촉진하여 숙주의 파괴된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장내 유용 미생물을 회복시키며, 증가된 장점막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장길이를 회복시키는 등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의 개선, 예방, 치료 효능을 갖는다.
또한,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장내 유용 미생물로부터 단쇄지방산 생산을 촉진함으로써, 장내 환경을 약산성이 되도록 유지시킴으로써, 병원성균에 의한 장 감염을 개선하고, 억제하며, 예방할 수 있다.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천연물 유래 물질이므로, 부작용이나 세포 독성에 대한 문제가 없다.
도 1은 글루코스, FOS 및 15종 식품유래 추출물(다래, 포포나무잎, 포도껍질, 무화과, 대파뿌리, 옥수수수염, 아이스플랜트, 늙은호박, 가지, 오이, 상추, 늙은호박씨, 토마토, 석창포 잎, 포포나무 열매(실시예 1))에 대한 프로바이오틱 활성 수치를 분석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2 내지 5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에 대한 실험군 1(0.1%), 실험군 2(0.5%), 양성대조군(Inulin) 및 정상군(Normal)의 프리바이오틱 활성 수치(prebiotic activity score)를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에 대한 결과이고, 도 3은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에 대한 결과이며, 도 4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에 대한 결과이며, 도 5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에 대한 것이다.
도 6은 음성대조군(NC), 고지방식이군(HF), 양성대조군(PC), 4군(PFE-50) 및 5군(PFE-100)에 대한 장 투과성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음성대조군(NC), 고지방식이군(HFD), 양성대조군(PC), 4군(PFE-50) 및 5군(PFE-100)에 대한 장 투과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음성대조군(NC), 고지방식이군(HF), 양성대조군(PC), 4군(PFE-50) 및 5군(PFE-100)의 장 내 pH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9는 음성대조군(NC), 고지방식이군(HF), 양성대조군(PC), 4군(PFE-50) 및 5군(PFE-100)의 장 길이를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 그래프이다.
도 2 내지 5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에 대한 실험군 1(0.1%), 실험군 2(0.5%), 양성대조군(Inulin) 및 정상군(Normal)의 프리바이오틱 활성 수치(prebiotic activity score)를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에 대한 결과이고, 도 3은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에 대한 결과이며, 도 4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에 대한 결과이며, 도 5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에 대한 것이다.
도 6은 음성대조군(NC), 고지방식이군(HF), 양성대조군(PC), 4군(PFE-50) 및 5군(PFE-100)에 대한 장 투과성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음성대조군(NC), 고지방식이군(HFD), 양성대조군(PC), 4군(PFE-50) 및 5군(PFE-100)에 대한 장 투과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음성대조군(NC), 고지방식이군(HF), 양성대조군(PC), 4군(PFE-50) 및 5군(PFE-100)의 장 내 pH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9는 음성대조군(NC), 고지방식이군(HF), 양성대조군(PC), 4군(PFE-50) 및 5군(PFE-100)의 장 길이를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장내 유해균 대비 장내 유익균의 증진을 촉진하는 프리바이오틱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Prebiotic 또는 프리바이오틱' 이란, 체내에서 잘 소화되지 않는 식품 구성성분으로, 위장관 상부에서 가수분해나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제한된 특정 공생박테리아의 생육 또는 활성에 자극을 주어 장내 균총을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물질이다. 구체적으로 장내 유해균 대비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촉진하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장내 미생물 개선 또는 장내 균총 개선 효과를 갖는다.
상기 프리바이오틱 활성은 장내 유용 미생물인 프로바이오틱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하고, 효능을 높여 장건강을 개선하거나 장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장건강 개선 또는 장기능 개선'이란 장내 유익균 및 유해균의 균총을 조절하여 장내 환경을 정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작용을 의미하며 이는 장내 유익균의 균총을 증진시키고 유해균의 균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장의 밀착연접 장벽 기능을 강화시켜 장의 전반적인 기능을 개선 및 활성화 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장내 미생물 개선' 또는 '장내 균총 개선'이란 장내 유익균의 생장은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생장은 억제하여 장내 유익균과 유해균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포포나무는 목련목(Magnoliales) 포포나무과(Annon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 또는 관목으로, papaw, pawpaw, paw paw 등 이라고도 쓰이며, 아시미나 트릴로바(Asimina triloba) 등의 학명을 갖는 식물을 포함한다. 미국이 원산지로 대서양 연안에서 북쪽으로 뉴욕 주까지, 서쪽으로 미시간과 캔자스 주에 이르는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키가 12m까지 자라며, 늘어지는 잎은 넓고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가 30㎝에 이른다. 다른 아시미나속(Asimina)에 속하는 포포나무로는 아시미나 스페키오사(A. speciosa)와 아시미나 앙구스티폴리아(A. angustifolia) 등이 있다. 포포나무의 열매 부위가 항암, 항당뇨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프리바이오틱 또는 장누수 증후군과 관련된 연구는 미흡하다.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장내 유해균 대비 장내 유익균을 상대적으로 증식시키는 프리바이오틱 활성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장내 유익균은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장내 유해균은 대장균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장내 유익균'이란 숙주의 장내에 존재하던 유익균 및 섭취되어 장에 도달하였을 때 장내 환경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균주를 의미한다. 이들은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 소장까지 도달하여 장에서 증식하고 정착하며, 장관 내에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고, 독성이 없으며 비병원성인 조건을 만족하는 균을 의미한다. 즉,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장내 유익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속, 락토코쿠스 속, 비피도박테리움 속 및 박테로이데스 속 균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수용성 식이섬유인 이눌린보다 상기 4종의 장내 유익균에 대해 모두 현저히 높은 프리바이오틱 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장내 유익균 중에서 상기 4종의 균주 증식 효능이 필요한 경우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현대인들의 식습관(정제식품, 육식위주의 식사, 인스턴트 식품)과 생활습관(스트레스 및 수면 시간, 등)에 의해 장내환경이 무너진 경우, 특히 장내미생물총에서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의 유용균이 낮고, 유해균이 우세환경인 경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섭취함으로써 상기 4종의 균주가 우세하면서 유해균의 증식은 억제하는 이상적인 장내 환경으로 개선할 수 있다.
식품 소재에 따라, 유용성분은 서로 상이하며, 복합 탄수화물인 MAC도 서로 다르다. 따라서 어떤 미생물 종이냐에 따라서 섭취할 수 있는 MAC가 상이하다. 이에 본 발명의 후술하는 실험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14종의 종래 식품 추출물과 달리, 대장까지 가서 장내 미생물의 먹이가 되었을 때, 4종의 장내 유용미생물에 의해 섭취되어 증식을 촉진하고 단쇄지방산 생성을 촉진하는 이질적이고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장내 미생물 생태계에 작용하여 특정 유익균이 어떠한 강력한 요인이나 스트레스에 의해서 군집이나 기능에 변화를 겪는 불균형 상태(dysbiosis)인 것을, 이러한 자극을 극복할 수 있도록 생장을 촉진하고, 유익균으로부터 대사산물인 단쇄지방산 생성을 현저히 유도함으로써, 구성이나 기능이 원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여, 장내에서 유익균의 우수 군집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정한 상태로 장내 균총이 회복됨에 따라, 장내 환경이 약산성을 띄게 되므로, 유해균 뿐만 아니라 병원균의 증식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상기 포포나무 열매를 물, 탄소수 1 내지 4 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로서, 추출방법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또는 포포나무 열매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포포나무 열매 주정 추출물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포포나무 열매를 물, 탄소수 1 내지 4 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적어도 2회 이상 반복 추출한 것일 수 있다. 2회 추출시에도 추출수율이 1회 추출시에 비해 30% 가량 추가 확보되기 때문에 1회 추출 보다는 2회 이상 반복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제조시, 사용되는 포포나무 열매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그늘이나, 건조기를 사용하여 자연건조한 것을 파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건조 기간은 상기 포포나무 열매 내에 수분함량이 10~20% 미만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추출 원재료에 추출 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조추출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고분자 분획물,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하는' 또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의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의 프리바이오틱 활성 특히, 장내 유익균 증식 촉진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1 mg/ml 이상, 바람직하게는 5 mg/ml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g/ml 내지 100 mg/ml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이외에, 식품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포함한다.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은 단당류,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 예를 들어 말토스, 설탕, 유당 등; 올리고당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물엿, 사이클로덱스트린 등; 당알코올, 예를 들어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99 중량%, 0.5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2 내지 80 중량%, 3 내지 70 중량%, 4 내 지 60 중량%,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섭취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엑스제, 젤리 제형, 티백 제형 또는 음료 제형일 수 있다.
또한 일반 식품에 프리바이오틱 활성을 통해 장내 균총 개선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으며, 첨가가 가능한 식품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식품위생법 제7조에 따른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예시된 과자류, 빵 또는 떡류, 코코아 가공품류 또는 초콜릿류, 식육 또는 알가공품, 어육가공품, 두부류 또는 묵류, 면류, 다류, 커피,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장류, 조미식품, 드레싱류, 김치류, 젓갈류, 절임식품, 조림식품, 주류, 건포류, 기타 식품류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축산물위생관리법 제4조에 따른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축산물공전')에 예시된 유가공품, 식육가공품 및 포장육, 알가공품에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은 단독으로 "프리바이오틱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고, "장내 균총 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장내 환경 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법적 기준에 따라 제조(가공을 포함)한 식품(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호)을 말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국가마다 용어나 범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미국의 '식이 보충제(Dietary Supplement)', 유럽의 '식품 보충제(Food Supplemnet)', 일본의 '보건기능식품' 또는 '특정보건용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중국의 '보건식품'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따른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상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과 함께 프리바이오틱 활성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 투과성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장관은 장내 세균의 저장소로서 점막 장벽기능(intestinal barrier), 면역글로불린 분비 기능, 대식세포계 등을 포함한 일련의 방어체계를 이루고 있다. 장관 내 장점막층은 장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세균 및 독소 등이 혈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어벽 역할을 하며 상피세포층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 즉 장점막은 외부물질을 차단하는 장벽인 동시에 이들을 통과, 흡수시키는 이중적인 기능을 가진다.
장점막세포는 일정한 세포 사이의 간극을 유지하다가 소화 흡수 과정이 일어나는 동안 어떠한 자극이나 손상이 가해지면서 세포 사이의 틈으로 고분자 물질이 왕복할 수 있는 장점막 투과성이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장벽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혈액 내 고분자 물질이 장관내 관강으로 누수되거나 관강 내의 고분자 물질이 직접 혈액으로 들어가는 현상이 초래되는데 이를 ¨새는 장〃 즉 ¨leaky gut〃의 상태라고 말한다. 이때 나타나는 증상을 총괄하여 장 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 LGS)이라고 하며 노화, 알레르기, 다발성 외상,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대장질환, 만성피로 증후군, 과민성 증후군 등의 다양한 임상적 상태로 나타난다. 또한 장점막 투과성의 증가나 장점막의 손상으로 인해 병원체, 항원, 부패물질 등이 장점막 내로 유입되어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내독소가 혈류로 유입되어 장내세균 전위(bacterial translocation), 장관내독소혈증(intestinal endotoxemia) 등을 야기하여 각종 염증반응 및 면역 반응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장누수 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나 특히 고지방 식이에 의해서도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채식 위주의 식단에서 육류 위주의 고단백 고지방 식단이 급증하고 있고, 다이어트를 위해 탄수화물 대신 고지방식을 섭취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바, 장누수 증후군의 위험성 역시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물질의 탐색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장누수 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도를 갖는 것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장관의 투과성이 증가되는 것을, 개선, 예방, 완화, 억제 및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조성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는 장 투과성이 증가되어 혈액 내 고분자 물질이 장관내 관강으로 누수되거나 관강 내의 고분자 물질이 지접 혈액으로 들어가, 다양한 질환이 유발되는 장누수 증후군을 개선, 예방,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다. 장누수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란 장점막 세포 간극이 느슨해져 고분자 물질이 왕복할 수 있는 장점막 투과성이 증가되는 현상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장내 유용 미생물을 회복시키며, 장점막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장길이를 회복시키는 등의 장누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지방 식이로 인한 장누수 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도를 갖는 것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고지방 식이로 인한 파괴된 장내 환경이 개선되고, 장내 유용 미생물을 회복시키며, 고지방 식이로 인해 증가된 장점막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고지방 식이로 인해 감소된 장길이를 회복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장점막 투과성 혹은 장 투과성의 증가나 장점막의 손상으로 인해 병원체, 항원, 부패물질 등이 장점막 내로 유입되면,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내독소가 혈류로 유입되어 장내세균 전위, 장관내독소혈증 등을 야기하여 각종 염증반응 또는 면역 반응을 야기한다. 이러한 장 투과성 증가상태(increased intestinal permeability)는 이전부터 보완대체의학에서 세운 가설로 알려졌으나, 최근 내재면역분야의 성장발달에 힘입어 분자생물학적인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면서 증가된 장투과성과 여러 질병과의 관계가 증명되고 있다. 그리므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것보다 장 투과성을 항진시키는 것이 보다 근본적이고 앞선 약리효과라 볼 수 있다. 장 투과성 증가는 음식 알레르기로 인한 소화 능력 상실, 소장의 유해균 증가와 유익균 감소, 장내 산도 낮아짐, 알코올, 커피, 트랜스지방산, 설탕, 감미제 등 외부 유해물질 유입, 항생제 과사용, NSAID의 COX-1 억제, 프로스타글란딘의 점액분비억제, 영양불량과 스트레스에 의한 면역력 약화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장내 유용 미생물을 회복시키며, 장 상피세포 점막 투과성을 감소시켜, 증가된 장투과성 및 장내미생물 불균형으로 인한 장누수 증후군과 관련된 일련의 증상들을 치료하고, 개선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로, 유효성분인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외에 약학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학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학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 내지 10 g/㎏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g/kg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g/k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이외에, 식품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포함한다.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은 단당류,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 예를 들어 말토스, 설탕, 유당 등; 올리고당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물엿, 사이클로덱스트린 등; 당알코올, 예를 들어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장누수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99 중량%, 0.5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2 내지 80 중량%, 3 내지 70 중량%, 4 내 지 60 중량%,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섭취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엑스제, 젤리 제형, 티백 제형 또는 음료 제형일 수 있다.
또한 일반 식품에 장누수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으며, 첨가가 가능한 식품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식품위생법 제7조에 따른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예시된 과자류, 빵 또는 떡류, 코코아 가공품류 또는 초콜릿류, 식육 또는 알가공품, 어육가공품, 두부류 또는 묵류, 면류, 다류, 커피,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장류, 조미식품, 드레싱류, 김치류, 젓갈류, 절임식품, 조림식품, 주류, 건포류, 기타 식품류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축산물위생관리법 제4조에 따른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축산물공전')에 예시된 유가공품, 식육가공품 및 포장육, 알가공품에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은 단독으로 "장누수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고, "장점막 투과성 감소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장점막 투과성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법적 기준에 따라 제조(가공을 포함)한 식품(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호)을 말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국가마다 용어나 범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미국의 '식이 보충제(Dietary Supplement)', 유럽의 '식품 보충제(Food Supplemnet)', 일본의 '보건기능식품' 또는 '특정보건용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중국의 '보건식품'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따른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상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과 함께 장누수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누수 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장건강 정도 또는 염증성 장질환 정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g/kg 내지 10 g/k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PFE)
대한민국 경남 거창에서 생산한 포포나무 열매을 구매하였다. 준비된 포포나무 열매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수분함량이 10~20% 미만이 되도록 자연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포포나무 열매를 파쇄하여 분말화한 다음 열수(100 ℃ 증류수)와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3 시간동안 1차 추출하고, 1 : 10의 중량비로 열수를 다시 붓고 3 시간동안 2차 추출하였다. 상기 1차 추출물과 2차 추출물을 혼합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등액을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상기 감압 농축된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여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분말(건조시료대비 수율: 28.2%)을 제조하였다. 상기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분말은 -20 ℃에 보관하면서 실험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수득한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은 PFE(paw paw fruit extract)로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의 총식이섬유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총식이섬유 함량은 식품공전 고시 제2022-48호(2022.06.30)(제 8. 일반시험법 ▶ 2. 식품성분시험법 ▶ 2.1 일반성분시험법 ▶ 2.1.4 탄수화물 ▶ 2.1.4.3 식이섬유) - 가. 효소-중량법을 이용하여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연구센터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분석은 3회 반복하였다.
구분 | 평균 식이섬유 함량(%) | SD | RSD |
실시예 1의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 1.8 | 0.17 | 9.09 |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열수 추출물의 총식이섬유 함량은 1.8%로, 식이섬유 함량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 수 있다.
실험예 1. 15종의 식품 유래 추출물에 대한 프리바이오틱 활성 분석
15종의 식품을 선정하고, 프리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식품 소재를 스크리닝하고자 하였다. 프리바이오틱 활성 분석을 위해, 프로바이오틱 소재로 상용화된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를 ㈜메디오젠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균주는 MRS 배지를 이용하여 pH 6.5±0.2, 37 ℃에서 24시간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스크리닝을 위해, 다수의 시료에 대한 프리바이오틱 활성(prebiotic acticity score)을 빠르게 확인하기 위해, 종래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프로바이오틱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에 대한 증식효능을 하기 식 1에 따라 분석하였다.
프리바이오틱 활성 분석을 위해, 상기 프로바이오틱 미생물은 500 mL당 필수 영양성분으로 glucose 2 g/L, thiamin hydrochloride 0.0005g, calcium chloride 0.00735g, magnesium sulfate 0.123g를 조성으로 하는 M9 제한배지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바이오틱 미생물의 콜로니를 각각 MRS 고체배지(agar)에 도말하고, 37 ℃ 배양기에서 24-48 시간 1 차 배양한 다음, 이를 다시 MRS 액체배지(broth) 10 ㎖에 접종하여 37 ℃ 배양기에서 24-48 시간 2차 배양하여 유익균 배양액(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새로운 M9 제한배지에 유익균 배양액 5%(v/v)와 시료(글루코스, 이눌린 또는 15종 식품유래 추출물)를 접종하고, 0 시간, 24 시간마다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사용하여 6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이를 하기 식 1에 대입하여 프로바이오틱 활성 수치(prebiotic activity score)를 계산하였다.
시료로 1 mg/ml 글루코스(glucose), 1 mg/ml 프락토올리고당(FOS), 1 mg/ml 식품유래 열수 추출물(다래, 포포나무잎, 포도껍질, 무화과, 대파뿌리, 옥수수수염, 아이스플랜트, 늙은호박, 가지, 오이, 상추, 늙은호박씨, 토마토, 석창포 잎, 포포나무 열매(실시예 1))을 사용하였다. 이때, 식품유래 열수 추출물은 포포나무 열매 대신 다래, 포포나무잎, 포도껍질, 무화과, 대파뿌리, 옥수수수염, 아이스플랜트, 늙은호박, 가지, 오이, 상추, 늙은호박씨, 토마토 또는 석창포 잎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대조군(CON)은 시료로 M9 MB 배지를 사용한 것이다.
[식 1]
prebiotic activity score = [(probiot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24 h)-(probiot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0h)]
상기 식에서,
*) probiot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24 h는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에 시료(글루코스, FOS 또는 15종 식품유래 추출물)를 접종하고 24 시간이 지난 후, 측정한 흡광도이다.
*) probiot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0 h는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에 시료(글루코스, FOS 또는 15종 식품유래 추출물)를 접종하고 0 시간이 지난 후, 측정한 흡광도이다.
도 1은 글루코스, FOS 및 15종 식품유래 추출물(다래, 포포나무잎, 포도껍질, 무화과, 대파뿌리, 옥수수수염, 아이스플랜트, 늙은호박, 가지, 오이, 상추, 늙은호박씨, 토마토, 석창포 잎, 포포나무 열매(실시예 1))에 대한 프로바이오틱 활성 수치를 분석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mg/ml의 동일농도 식품유래 추출물에 대한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종래 프리바이오틱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FOS는 글루코스보다 더 높은 증식효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런 FOS보다 우수한 증식효능을 갖는 것은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뿐이였다.
특히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은 고폴리페놀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 널리 알려진 토마토 열수 추출물보다 프로바이오틱 미생물의 증식을 약 4배 이상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동일 재료인 포포나무 유래 잎보다도 1.6배 더 우수한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15종의 기능성 식품소재들 중에서 포포나무 열매가 현저한 프리바이오틱 활성을 가지므로 최종 선정하였다.
실험예 2.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의 장내균총 개선 효과(프리바이오틱 활성)
균주 및 배양방법
장내균총에 대한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프리바이오틱 활성(prebiotic acticity score) 분석을 실시하였다. 장내 유익균으로 인간 장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균주를 ㈜메디오젠, 생물자원센터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장내 유해균으로는 에세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을 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균주는 MRS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조건은 pH 6.5±0.2,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산소 요구성은 통성혐기성이고 동결건조보존 또는 세포현탁액 동결을 통해 균주를 보존하였다. 비피도박테리아속(Bifidobacteria) 균주는 5% 양의 혈액(sheep blood)과 0.05% L-시스테인(L-cysteine)이 포함된 TSA 배지를 사용하여, 37 ℃ 및 48-72 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편성 혐기성균으로 혐기조건에서 배양하였다. 통성 혐기성 균인 에세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균주는 TSA 배지로 37 ℃ 및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프리바이오틱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 분석
프리바이오틱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 분석을 위한 배양 배지는 500 mL당 필수 영양성분으로 glucose 2 g/L, thiamin hydrochloride 0.0005g, calcium chloride 0.00735g, magnesium sulfate 0.123g를 조성으로 하는 M9 제한배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각각의 유익균 및 유해균의 콜로니를 각각의 MRS 고체배지(agar)에 도말하고, 37 ℃ 배양기에서 24-48 시간 1 차 배양한 다음, 이를 다시 MRS 액체배지(broth) 10 ㎖에 접종하여 37 ℃ 배양기에서 24-48 시간 2차 배양하여 유익균 배양액(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또는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과 유해균(대장균)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새로운 M9 제한배지를 준비하고, 여기에 유익균 배양액(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또는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또는 유해균 배양액 5%(v/v)와 시료(글루코스, 이눌린 또는 PFE)를 접종하였다. 접종후 0 시간, 24 시간마다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사용하여 6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를 하기 식 2에 대입하여 프로바이오틱 활성 수치(prebiotic activity score)를 계산하였다.
대조군(Normal)은 시료로 5 mg/ml 글루코스를 첨가한 군이고, 양성대조군(inulin)은 시료로 5 mg/ml 이눌린(inulin)을 첨가한 군이고, 실험군 1(PFE 0.1%)은 시료로 1 mg/ml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PFE, 실시예 1)을 첨가한 군이며, 실험군 2(PFE 0.5%)는 시료로 5 mg/ml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PFE, 실시예 1)을 첨가한 군이다.
[식 2]
상기 식에서,
*) probiot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24 h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배양액에 시료(이눌린 또는 PFE)를 접종하고 24 시간이 지난 후, 측정한 흡광도이다.
*) probiot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0 h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배양액에 시료(이눌린 또는 PFE)를 접종하고 0 시간이 지난 후, 측정한 흡광도이다.
*) probiotic log O.D. on glucose at 24h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배양액에 글루코스를 접종한 대조군의 24 시간 후 흡광도이다.
*) probiotic log O.D. on glucose at 0 h은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배양액에 글루코스를 접종한 대조군의 0 시간 후 흡광도이다.
*) enter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24 h는 대장균 배양액에 시료(이눌린 또는 PFE)를 접종하고 24 시간이 지난 후, 측정한 흡광도이다.
*) enter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0 h는 대장균 배양액에 시료(이눌린 또는 PFE)를 접종하고 0 시간이 지난 후, 측정한 흡광도이다.
*) enteric log O.D. on glucose at 24 h는 대장균 배양액에 글루코스를 접종한 대조군의 24 시간 후 흡광도이다.
*) enteric log O.D. on glucose at 0 h은 대장균 배양액에 글루코스를 접종한 대조군의 0 시간 후 흡광도이다.
pH 변화 분석
시료 첨가하기 전(Before)과 첨가하고 24시간 후(After) 배양액의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pH 변화는 pH meter(Orion star A211, Thermo Fisher Scientific)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하고 평균 수치를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프리바이오틱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 분석 결과
도 2 내지 5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에 대한 실험군 1(0.1%), 실험군 2(0.5%), 양성대조군(Inulin) 및 정상군(Normal)의 프리바이오틱 활성 수치(prebiotic activity score)를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에 대한 결과이고, 도 3은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에 대한 결과이며, 도 4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에 대한 결과이며, 도 5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에 대한 것이다.
도 2 내지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해균인 대장균 대비 유익균의 증식능력을 평가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PFE)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Normal)에 비하여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도박테리움 균주에 대하여 우수한 프리바이오틱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에 대해 우수한 prebiotic activity score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PFE)은 0.1 mg/ml(0.1%)보다 0.5 mg/ml(0.5%) 첨가되는 것이, 장기능 개선과 관련된 대표적인 기능성 소재인 이눌린(Inulin)에 비해,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의 프리바이오틱 활성이 각각 1.9배, 1.6배, 2배, 2배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본 발명의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4종의 장내 유익균에 대해 높은 증식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고, 양성대조군인 이눌린과 비교하였을 때는 0.5 mg/ml(0.5%) 첨가되는 경우 4종의 균주(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에 대해 유의적으로 현저히 높은 프리바이오틱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한 바,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내 유해균의 증식은 억제하면서 유익균의 증식을 높여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에 대한 프리바이오틱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pH 변화 분석 결과
실험군 1(0.1%), 실험군 2(0.5%), 양성대조군(Inulin) 및 정상군(Normal)에 대한 pH 변화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Normal) |
양성대조군 (Inulin) |
포포나무 열매 열수추출물(PFE) | ||||||
0.1% | 0.5% | |||||||
o h | 24 h | o h | 24 h | o h | 24 h | o h | 24 h | |
L. bulgaricus | 6.8±0.2 | 6.7±0.2 | 6.8±0.2 | 6.3±0.2 | 6.8±0.2 | 6.2±0.2 | 6.8±0.2 | 5.7±0.3 |
L. gasseri | 6.8±0.1 | 6.7±0.1 | 6.8±0.1 | 6.4±0.3 | 6.8±0.3 | 6.7±0.2 | 6.8±0.1 | 6.3±0.2 |
B. longum | 6.6±0.1 | 6.3±0.2 | 6.6±0.3 | 5.5±0.2 | 6.6±0.1 | 5.9±0.2 | 6.6±0.3 | 4.1±0.1 |
B. bifidum | 6.8±0.1 | 6.7±0.1 | 6.9±0.2 | 6.2±0.1 | 6.8±0.2 | 6.2±0.1 | 6.8±0.1 | 4.6±0.1 |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과 양성대조군은 배양 전(0 h), 배양 후(24 h) 유의적인 pH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양성대조군은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배양액에 대하여 유의적 감소가 확인되었으나, 이는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 0.1 mg/ml 농도와 동일한 정도의 수치인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1 mg/ml를 첨가한 경우에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배양액의 pH를 약산성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5 mg/ml를 첨가한 경우에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균주 배양액의 pH를 약산성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은 이눌린과 달리 유익균으로부터 단쇄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SCFA) 생산을 촉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은 이눌린에서는 기대할 수 없는, 장 상피세포의 에너지원, 면역계의 강화 및 대사 조절 등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은 환경 자체를 약산성으로 유지함으로써, 다른 프리바이오틱 소재와 달리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므로, 장내 균총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3.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의 장누수 증후군 치료 효과
실험동물
무균 환경에서 사육된 6주령의 수컷 C57BL/6J 마우스 45마리를 (주)중앙실험동물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마우스 사육조건은 온도 22 ± 2 ℃, 습도는 40-60%로 유지하였고, 명암 주기(Light and dark cycle)는 12시간 간격으로 조절하였다. 일주일간 적응기간을 가진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료의 투여 및 샘플링
시료의 투여를 위하여 마우스는 무작위로 9 마리씩 다섯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NC(normal group)은 정상식이를 먹은 음성대조군이고, HF(high fat diet group), 양성대조군 및 시료 투여 그룹은 Lard를 첨가하여 열량을 60 cal%를 증가시킨 고지방 사료(Modified AIN 76A purified rodent diet(60 cal% fat))를 자율적으로 급여하였다.
양성대조군(PC)은 이눌린(Inulin) 50 mg/kg을 매일 경구투여하였고, 시료 PFE-50은 실시예 1의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50 mg/kg를 매일 경구투여하였으며, 시료 PFE-100은 실시예 1의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100 mg/kg를 매일 경구투여하였으며, 음성대조군 및 HF는 같은 양의 증류수를 같은 기간동안 경구투여하였다. 총 8주 동안 매주 오전 10시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8주 실험기간이 끝나고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장 투과성과 장내 pH, 길이를 분석하였다.
5개 군의 동물모델
1군(NC, 음성대조군) : 정상식이 섭취, 증류수 경구 투여
2군(HF, 고지방식이군) : 고지방식이 섭취, 증류수 경구 투여
3군(PC, 양성대조군) : 고지방식이 섭취, Inulin 50 mg/kg 경구 투여
4군(PFE-50) : 고지방식이 섭취, 실시예 1의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50 mg/kg 경구 투여
5군(PFE-100) : 고지방식이 섭취, 실시예 1의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100 mg/kg 경구 투여
장누수 증후군 효과 분석
1 내지 5군의 실험동물에 FITC-dextran 400 mg/kg을 경구투여한 후, 0, 2, 4시간 뒤에 미정맥 채혈을 진행하였다. 얻어진 100 ㅅL의 혈액을 원심분리(12,000 ×g, 10 min, 4 ℃)한 후, 상등액을 회수한 다음 microplate reader기를 이용하여 여기파장(excitation wavelength)은 485 nm, 방출파장(emission wavelength)은 535 nm로 설정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ITC-dextran의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농도를 산출하고, 시간대 별 FITC-dextran 농도를 곡선아래면적(AUC, area under the curve)으로 나타내었다.
장내 pH 및 길이 분석
1 내지 5군의 실험동물을 아이프란액을 이용하여 마취하고 복부와 흉강을 절개하여 각각의 실험동물로부터 장 조직을 적출하여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장에 멸균수 5 mL을 2회 주입하여 장내 내용물을 회수 후 pH 측정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실험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one-way ANOVA(Dunnett's test vs. HFD)를 사용하여 그룹 간 평균수치 유의차를 확인하였다.
도 6은 장 투과성 분석을 위해 음성대조군(NC), 고지방식이군(HF), 양성대조군(PC), 4군(PFE-50) 및 5군(PFE-100) 섭취 8주 후 공복상태에서 FITC-dextran을 경구투여하고 2, 5시간 후 혈액 중 이행되는 FITC-dextran의 양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오른쪽은 이를 정량화하여 장 투과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NC) 100%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고지방식이군(HF)은 고지방사료의 식이를 통해 장 투과성이 175%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를 통해 장누수 증후군이 야기되었다 볼 수 있다.
양성대조군(PC)은 고지방식이와 동시에 이눌린이 투여됨으로써, 장 투과성이 142%인 것으로 확인된 바,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33% 감소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PFE)의 경우, 50 mg/kg, 100 mg/kg 농도에서 각각 장투과성이 132%, 127%로 측정된 바,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43%, 48% 감소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PFE)은 농도 의존적으로 장 투과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은 고지방식이에 의해 증가하는 장 투과성을 억제하여 여러 질환을 유발하는 장누수 증후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특히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50 mg/kg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장누수 증후군에 대해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음성대조군(NC), 고지방식이군(HF), 양성대조군(PC), 4군(PFE-50) 및 5군(PFE-100)의 장 내 pH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로, 이에 따르면 정상적인 장 환경을 갖는 음성대조군(NC)의 pH는 6.9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강한 장의 pH가 7.0인 것을 감안한다면, 유사한 수치임을 알 수 있다.
반면, 고지방식이군(HF)의 장내 pH는 7.7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눌린이 첨가된 양성대조군(PC)은 pH 6.5의 약산성 조건으로 개선되었으며,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이 투여된 PFE-50, PFE-100 역시 pH 7.1, 7.0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음성대조군(NC) 수준으로, 고지방식이에 의해 산성조건으로 변하는 장내 환경을 억제하고 약산성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내독소를 생성하는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칼슘흡수를 촉진하는 등 장 기능을 개선하여 장누수 증후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특히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50 mg/kg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장누수 증후군 뿐만 아니라 장 기능에 대해서도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음성대조군(NC), 고지방식이군(HF), 양성대조군(PC), 4군(PFE-50) 및 5군(PFE-100)의 장 길이를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장기간 고지방 음식을 섭취하거나, 장내 염증이 발생하게 되면 장 환경이 무너져, 장 길이가 정상에 비해 짧아지게 된다. 본 실험에서도 고지방식이군(HF)이 음성대조군(NC)에 비해 장 길이가 15%정도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을 섭취한 경우 장길이가 유의적으로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는 바, 고지방식이에 의해 장환경이 무너지는 것을 억제하고 장길이 감소를 회복시키는 등 장누수 증후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특히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5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mg/kg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장누수 증후군에 대해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5.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포포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1)
-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바이오틱 조성물은 장내 유해균 대비 장내 유익균을 상대적으로 증식시키는 프리바이오틱 활성을 가지며,
상기 장내 유익균은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l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장내 유해균은 대장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장내 유익균으로부터 단쇄지방산(SCFA)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고지방 식이로 인한 파괴된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장내 유용 미생물을 회복시키며, 증가된 장점막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장길이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투여농도는 0.1 내지 10 g/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 포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투과성 개선용 식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4300A KR20240121930A (ko) | 2023-02-02 | 2023-02-02 |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누수 증후군 개선, 예방, 치료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4300A KR20240121930A (ko) | 2023-02-02 | 2023-02-02 |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누수 증후군 개선, 예방, 치료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21930A true KR20240121930A (ko) | 2024-08-12 |
Family
ID=9237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4300A KR20240121930A (ko) | 2023-02-02 | 2023-02-02 |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누수 증후군 개선, 예방,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21930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3968A (ko) | 2013-07-01 | 2015-01-12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 금은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내독소혈증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2023
- 2023-02-02 KR KR1020230014300A patent/KR20240121930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3968A (ko) | 2013-07-01 | 2015-01-12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 금은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내독소혈증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15134B1 (ko) | 장기능 개선용 발효 키위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979698B1 (ko) | 죽순 효소분해물 또는 죽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저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US12076356B2 (en) | Composition comprising Molokhia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improving gut microbiome or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intestinal inflammation, leaky gut syndrome, obesity, or metabolic disease | |
KR101614574B1 (ko) |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 |
KR101133208B1 (ko) | 식물성 유산균을 이용한 장개선과 변비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대두 발효조성물 제조방법 | |
KR102305931B1 (ko) | 혈액순환 개선 및 면역력 증진 효능을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 |
KR101602552B1 (ko) |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
KR101472190B1 (ko) |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피엠오08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변비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KR102536139B1 (ko) |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u15147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600884B1 (ko) |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102133473B1 (ko) | 고구마 줄기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 |
JPWO2016136624A1 (ja) | 免疫調節剤及びその用途 | |
KR102042151B1 (ko) |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 |
KR20240015980A (ko) | 고춧잎 추출물 및 돼지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40121930A (ko) | 포포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누수 증후군 개선, 예방, 치료용 조성물 | |
KR102244732B1 (ko) | 프로바이오틱 초산균인 아세토박터 파스테리아누스 mglv 및 이의 면역조절 효과 | |
KR102048434B1 (ko) | 무청 고분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 |
KR20220091428A (ko) |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20067467A (ko) |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80075763A (ko) | 마치현 주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간손상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 |
KR20200075724A (ko) |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 |
KR102036860B1 (ko) | 몰로키아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 |
KR102687185B1 (ko) | 폴리갈락트론산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 |
KR102388764B1 (ko) | 열처리 가공염을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 |
KR20240101493A (ko) | 천연물 혼합물을 포함하는 변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