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4035A - 무기염 함유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 - Google Patents

무기염 함유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4035A
KR20240104035A KR1020230191127A KR20230191127A KR20240104035A KR 20240104035 A KR20240104035 A KR 20240104035A KR 1020230191127 A KR1020230191127 A KR 1020230191127A KR 20230191127 A KR20230191127 A KR 20230191127A KR 20240104035 A KR20240104035 A KR 20240104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te
base glass
glass
dental
particl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스케 다나카
마사노리 고토
Original Assignee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104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40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31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on-metallic elements or compounds thereof, e.g. carbon
    • A61K6/833Glass-ceramic compo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2Material properties using colour effect, e.g. for identification purposes

Abstract

장기 보존에 있어서도 일정한 페이스트 성상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유기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도 소성시 탄화나 기포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를 제공한다. 치과 보철 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를, 평균 입자 직경 D50이 1∼20㎛인 기재 유리(a),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1∼50㎚인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 100∼300℃의 끓는점을 갖는 유기 용제(c), 및 무기염(d)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기염 함유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DENTAL PORCELAIN PASTE CONTAINING INORGANIC SALT}
본 발명은 인공치 등의 치과 보철 장치에 사용되며, 장기 보존에 있어서도 일정한 페이스트 성상을 유지하여, 조작성이 우수한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인레이, 크라운, 브릿지 등의 치과 보철 장치 제작을 위한 재료로서, 알루미나나 지르코니아 등의 산화 세라믹스나, 장석계 유리나 규산리튬 유리 등의 유리 세라믹스 등, 알레르기성이 적고, 강도나 심미성이 우수한 코어 재료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CAD/CAM 기술의 발전에 수반하여, 재료 단체로 치과 보철 장치의 형상을 확보하는 용이한 기술이 주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산화 세라믹스는 멀티 레이어화 기술이 진보하고 있지만, 여전히 투명성이 낮다는 것, 유리 세라믹스는 높은 투명성이 있지만, 천연치 고유의 부분적인 색조 재현이 어렵다는 것이 과제이다. 이 때문에, 재료 단체로 심미성을 담보하기에는, 재료 특성이 불충분하다는 것이 현 상황이다. 치과 보철 장치에 천연치와 동등한 심미성을 부여하기 위해, 광택이나 투명성, 착색을 보완하는 병용 재료가 필요하다.
산화 세라믹스나 유리 세라믹스의 코어 재료에 광택이나 투명성, 착색을 부여하는 재료는, 일반적으로 유리, 유리 세라믹스, 산화 세라믹스 재료 등이 선택된다. 이 재료는 통상, 분말상의 기재 유리를 소부시 소실하는 액 성분으로 연화하고 페이스트화하여 사용한다. 이 경우, 시술자의 기량에 좌우되지 않도록, 미리 도포에 적합한 점성의 페이스트상(슬러리화)으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기술에 사용하는 연화액의 예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193492호에는,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은 에스테르 화합물을 5wt% 이상 포함하고, 또한 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은 유기 용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연화액을 단순히 기재 유리와 혼합한 페이스트는, 장기 보존에 있어서의 변화가 현저하여, 페이스트의 침강, 액분리, 유리와 액의 경시적 친화성에 의한 조도(점성)의 저하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시적 변화는 정밀한 작업을 갖는 치과 기공 작업에 있어서, 작업 효율의 악화나 일정한 작업성 유지가 어려워진다.
이러한 경시적 변화는 페이스트 중의 입자 존재 상태의 변화가 원인이고, 구체적으로는, 입자의 응집이나, 입자 및 응집물의 침강 등이 발생한다. 이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페이스트 중의 입자를 분산시키기 위한 유기 고분자 분산제를 별도로 첨가하여, 장기 보존에 있어서도 일정한 페이스트 성상을 유지시키는 방법도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079019호에는, 사용시 건조·고화하기 어려운 치과용 페이스트상 도재가 개시되어 있다.
고분자 재료를 용해시킨 점도가 50,000∼1,500,000cps인 유기 용제를 7∼45중량부와 잔부의 도재 분말로 100중량부가 되도록 혼합되어, 페이스트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소성시 유기 고분자 성분의 영향에 의한 탄화나 기포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미리 페이스트상으로 해 두는 기술이 유용한 한편, 장기 보존에 있어서 일정한 페이스트 성상이 유지될 수 없거나, 혹은 일정한 페이스트 성상을 유지하기 위해, 광택이나 투명성, 색조를 폐해하는 리스크가 있는 안정화 성분을 첨가하지 않으면 안되는 과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장기 보존에 있어서도 일정한 페이스트 성상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유기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도 소성시 탄화나 기포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치과 보철 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로서, 평균 입자 직경 D50이 1∼20㎛인 기재 유리(a),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1∼50㎚인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 100∼300℃의 끓는점을 갖는 유기 용제(c), 및 무기염(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균 입자 직경 D50」이란, 입자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미디언 직경(중위 직경)이다. 기재 유리의 평균 입자 직경은, 예를 들면, 레이저 회절·산란법, 동적 광산란법, 원심 침강법, 전기적 검지체법, 체가름법, 광자 상관법 등을 이용한 측정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 유리(a)는, 어느 측정법에 있어서 평균 입자 직경 D50이 1∼20㎛이면 되고, 특히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있어서 평균 입자 직경 D50이 1∼20㎛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이란, 응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전체 입자 직경의 평균값이다.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은, 예를 들면, 가스 흡착법, 수은 압입법, 가스 침투법, 버블 포인트법 등을 이용한 측정으로 얻어진 비표면적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는, 어느 측정법에 있어서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1∼50㎚이면 되고, 특히 가스 흡착법에 있어서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1∼50㎚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장기 보존에 있어서도 일정한 페이스트 성상을 유지하고, 또한 유기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도 소성시의 탄화에 의한 흑변이나 기포에 의한 백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치과 보철 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로서, 평균 입자 직경 D50이 1∼20㎛인 기재 유리(a),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1∼50㎚인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 100∼300℃의 끓는점을 갖는 유기 용제(c), 및 무기염(d)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기재 유리(a) 100질량부에 대해, 1∼15질량부의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 15∼90질량부의 유기 용제(c), 및 0.05∼1.0질량부의 무기염(d)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무기 재료인 착색재(e) 및/또는 형광재(f)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에 있어서는, 기재 유리(a)의 최대 입자 직경 D100이 200㎛ 이하일 수 있다.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예를 들면, 코어 재료 상에 도포 혹은 축성하고, 1회 이상 소성하여 사용한다. 이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치과 보철 장치의 형상, 광택, 색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코어 재료」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나 지르코니아 등의 산화 세라믹스나, 장석계 유리나 규산리튬 유리 등의 유리나 유리 세라믹스 등으로 할 수 있다.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를 소성하기 위한 온도(이하, 소성 온도)는, 일반적으로 650∼1000℃의 온도 영역이 선택된다. 650℃ 미만에서 소성한 경우에는, 유기 용제의 소성이 부족해서 탄화하여, 원하는 색조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1000℃보다 높은 온도에서 소성한 경우, 코어 재료 자체나 치과 보철 장치에 부여된 도재 페이스트의 도포면에 변형이나 늘어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를 소성하기 위한 적절한 소성 온도(이하, 적정 소성 온도)는,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를 구성하는 기재 유리(a)의 적정 소성 온도로부터 큰 폭으로 괴리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즉, 기재 유리의 적정 소성 온도와 동일한 온도에서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를 소성했을 때, 소성 후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의 도포면에 소성 부족(광택의 소실)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페이스트화에 의해, 소성성이나 물성 등의 기재 유리 본래의 특성을 잃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의 적정 소성 온도란, 소성 후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층 표면에 광택을 부여할 수 있는 온도를 의미하는 것이고, 온도 영역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 유리의 적정 소성 온도란, 소성 후의 기재 유리층 표면에 광택을 부여할 수 있는 온도를 의미하는 것이고, 온도 영역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 유리(a)의 적정 소성 온도는, 650∼1000℃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적정 소성 온도의 범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정 소성 온도가 650℃ 미만인 기재 유리는, 심미성이나 생체 안전성의 관점에서 제조가 곤란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적정 소성 온도가 1000℃를 초과하는 기재 유리는, 코어 재료 자체나 치과 보철 장치에 부여된 도재 페이스트의 도포면에 변형이나 늘어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1회만 소성해도 된다.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또한,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를 축성하여 소성한 후, 추가로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를 축성하여 소성하는 등, 복수회에 걸쳐 소성할 수 있다. 이러한 소성은 승온 속도 10∼100℃/분, 소성 온도 영역 100∼1200℃에 있어서, 진공 소성을 할 수 있는 치과 기공용 포슬린 소성로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기재 유리(a)는 소성하여 얻어진 치과 보철 장치의 기재가 되는 유리 성분이고, 소성에 의해 용융, 코어 재료와 고착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재 유리(a)는 소성에 의해 코어 재료에 고착하는 것이면,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재 유리(a)의 평균 입자 직경 D50은 1∼20㎛이고, 2∼15㎛로 할 수 있으며, 추가로 4∼10㎛로 할 수 있다. 평균 입자 직경 D50이 1㎛보다 작으면, 페이스트화했을 때 유리 입자끼리가 응집하여, 조도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평균 입자 직경이 20㎛보다 크면, 페이스트화했을 때 기재 유리가 침강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균 입자 직경 D50」이란, 미디언 직경(중위 직경), 즉, D50/㎛를 의미한다. 여기서 D50/㎛의 값이 X인 것은, 해석되는 체적 중의 50%의 입자의 입자 직경이 X㎛를 하회하는 직경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평균 입자 직경 D50」은 다른 평균법(개수, 길이, 체적, 면적 등의 산술 평균)이나 모드 직경(최빈 입자 직경) 등과는 상이한 것이다.
기재 유리의 최대 입자 직경 D100/㎛는, 200㎛ 이하로 할 수 있고, 175㎛ 이하로 할 수 있으며, 100㎛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최대 입자 직경 D100」이란, 해석되는 체적 중의 입자 직경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200㎛보다 큰 입자를 포함하면, 조작성이 열악하고, 소성 후의 도포면이 균일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나아가서는, 페이스트화했을 때, 기재 유리가 침강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기재 유리의 제조 방법은, 당해 업자가 보유하는 일반적인 유리 조성물의 제조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제한없이 실시 가능하다. 일반적인 제조 방법으로는, 목적으로 하는 유리 조성물이 얻어지도록 각종 무기 화합물을 배합하고, 유리 용융로를 이용하여 1300∼1500℃에서 용융한다. 용융한 융액을 수중에 흐르게 하고 급냉하여(퀀치) 유리 프릿을 얻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해 얻는 기재 유리를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도를 조정하기 위해, 유리 프릿을 분말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분말상으로 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먼저 기술한 유리 프릿을, 회전 볼 밀, 진동 볼 밀, 유성 밀, 제트 밀, 비즈 밀, 롤 크러셔, 조 크러셔 등의 분쇄기로 분쇄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기재 유리의 입도를 균일하게 조정하기 위해, 기재 유리의 분쇄에 더해, 필요에 따라 체나 수파 등을 이용하여, 분급을 행해도 된다.
기재 유리(a)의 연화점(Ts)은 450∼650℃로 할 수 있다. 연화점(Ts)이 450∼650℃인 기재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650∼850℃에서의 소성이 가능해져, 850℃보다 높은 온도에서 소성하면 변형될 우려가 있는 이규산리튬계 유리 세라믹스로 제작된 코어 재료에 대한 적용이 가능해진다.
기재 유리(a)의 배합량은 원하는 페이스트의 성상이 얻어지도록, 적절히 배합할 수 있지만, 기재 유리(a)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기재 유리(a) 이외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기재 유리(a) 유래의 광택이나 투명성이 불충분해지고, 페이스트 성상의 유지가 어려워지는 등의 경향이 있다. 또한, 기재 유리(a)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페이스트화가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기재 유리(a)는, 치과용 도재로서 사용할 수 있고, 평균 입자 직경 D50이 1∼20㎛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유리 중에 결정을 포함하는 유리 세라믹스여도 된다. 결정을 포함함으로써,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의 열팽창 계수의 조정이나, 기계적 성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기재 유리(a)로는, 예를 들면, SiO2를 주성분(함유량이 가장 많은 성분)으로 하는 유리 또는 유리 세라믹스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유리는 SiO2 이외에, Al2O3, B2O3, ZnO, K2O, Na2O, Li2O, ZrO2, CaO, MgO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아모르퍼스 타입의 칼륨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아모르퍼스 타입의 칼륨보로실리케이트 유리, 결정 타입의 칼륨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결정 타입의 플루오로아파타이트 유리, 결정 타입의 리튬실리케이트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유리(a)는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의 주성분(함유량이 가장 많은 성분)이고,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 그 자체의 재료적 특성이나 물성을 결정하는 성분이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기재 유리(a)의 용출량, 굽힘 강도, 열팽창 계수는, 치과용 도재로서 사용하기 위해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기재 유리(a)는, 예를 들면, ISO6872:2015 /Amd.1:2018의 「Dentistry-Ceramic materials」에 준거한 용출량이 50㎍/㎠ 이하로 할 수 있고, 35㎍/㎠ 이하로 할 수 있으며, 20㎍/㎠ 이하로 할 수 있다. 용출량을 50㎍/㎠ 이하로 함으로써, 당해 ISO 규격의 요구값을 만족하는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기재 유리(a)는, 예를 들면, ISO6872:2015 /Amd.1:2018의 「Dentistry-Ceramic materials」에 준거한 굽힘 강도가 50MPa 이상으로 할 수 있고, 80MPa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100MPa 이상으로 할 수 있다. 굽힘 강도를 50MPa 이상으로 함으로써, 당해 ISO 규격의 요구값을 만족하는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기재 유리(a)는, 예를 들면, ISO6872:2015 /Amd.1:2018의 「Dentistry-Ceramic materials」에 준거한 열팽창 계수가 7.0∼14.0×10-6K-1의 범위이고, 7.5∼11.0×10-6K-1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예를 들면, 산화 세라믹스나 유리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는 코어 재료의 상부에 대한 고착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된다. 이들 코어 재료의 열팽창 계수는, 약 10.0∼11.0×10-6K-1이기 때문에, 기재 유리 및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의 열팽창 계수를 이보다 조금 낮은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치과 보철 장치 제작시의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은 1∼50㎚이고, 5∼45㎚로 할 수 있으며, 7∼40㎚로 할 수 있다. 소수성 미립자 실리카(b)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50㎚보다 크면, 페이스트 조도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1㎚보다 작은 소수성 미립자 실리카는, 미립자 실리카 자체의 제조가 곤란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는 표면 처리재에 의한 표면 처리에 의해 소수화되어 있다. 표면 처리재로는, 실란 커플링재 등을 들 수 있다. 실란 커플링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디페닐디에톡시실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폴리디메틸실록산,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트리메틸실라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메틸디클로로실란, 디메틸디클로로실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페닐트리클로로실란, 디페닐디클로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트리메틸브로모실란, 디 에틸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ω-(메타)아크릴옥시알킬트리메톡시실란((메타) 아크릴옥시기와 규소 원자 사이의 탄소수: 3∼12, 예,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 ω-(메타)아크릴옥시알킬트리에톡시실란((메타)아크릴옥시기와 규소 원자 사이의 탄소수: 3∼12, 예,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 등을 들 수 있다. 표면 처리 방법으로는 실란 커플링재와 미립자 실리카를 접촉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립자 실리카를 가열된 반응기 중에 투입하고, 실리카 1㎏당 실란 커플링재를 0.01∼0.5㎏이 되는 비율로 반응기 중에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에 의해 병류적으로 기송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라면,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 이외의 실리카, 예를 들면, 친수성 실리카가 포함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 이외의 실리카의 비율은, 실리카의 합계량의 0wt% 이상 50wt% 이하로 할 수 있고, 0wt% 이상 20wt% 이하로 할 수 있으며, 0wt% 이상 10wt%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 이외의 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는 원하는 페이스트 성상에 맞추어 적절히 배합할 수 있지만, 기재 유리(a) 100질량부에 대해, 1∼15질량부로 할 수 있고, 1.5∼6.0질량부로 할 수 있다.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페이스트 조도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가 소성되기 어려워져, 기재 유리의 적정 소성 온도에서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를 소성한 경우, 소성 부족에 의한 광택의 소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균일한 면으로의 도포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는,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1∼50㎚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흄드 실리카, 침전 실리카, 콜로이드상 무수 실리카, 실리카겔, Syloid, Aerosi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 용제(c)는, 끓는점이 100∼300℃인 것을 사용한다. 유기 용제의 끓는점이 100℃ 미만이면, 실온에서도 유기 용제가 휘발되어, 기공 작업 중에 있어서의 조작성의 악화, 장기적 페이스트 성상의 유지가 어려워진다. 유기 용제의 끓는점이 300℃를 초과하면, 소성시 연소하다 남아, 탄화나 기포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 용제(c)의 배합량은 기재 유리 100질량부에 대해, 15∼90질량부로 할 수 있고, 30∼60질량부로 할 수 있다. 유기 용제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페이스트화가 곤란해진다. 유기 용제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경시적인 조도 변화나 침강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 용제(c)는 끓는점이 100∼300℃이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프탈산디메틸, 프탈산디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계 용매;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 모노에테르계 용매; 2-페녹시에탄올, 벤질알코올 등의 방향족 알코올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제 중, 다가 알코올계 용매, 다가 알코올 모노에테르계 용매, 방향족 알코올 용매로 할 수 있고, 1,3-부탄디올, 프로필렌글리콜, 2-페녹시에탄올로 할 수 있다. 이들 유기 용제(c)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종 이상의 유기 용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끓는점은 사용하는 각각의 유기 용제의 끓는점에 첨가 비율을 곱하여 합계한 수치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 용제(c)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알코올류로 할 수 있다. 이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기재 유리와의 친화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기재 유리나 미립자 실리카 등의 입자에 흡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용제로서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유기 고분자성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기 고분자」란, 표면 처리 이외의 목적으로 별도로 첨가되는 성분 중, 분자량이 200 이상인 유기 성분을 나타낸다. 이러한 유기 성분은 휘발성이 부족하여, 소성 단계에서 잔류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유기 용제(c) 이외의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입자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첨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첨가재는 분산제나 계면 활성제, pH 조정제가 해당된다. 그러나, 치과용 도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소성 공정에서 잔류하면 심미성에 큰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첨가재는, 유기 용제에 용해하여, 소각 잔여물이 적은 무기염으로 할 수 있다.
무기염(d)은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를 소성하는 과정에서 휘발되거나, 또는 기재 유리(a)의 구성 성분과 동일한 금속 산화물로서 잔류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무기염(d)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기 용제(c)에 대한 용해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l, Zn, K, Na, Li, Ca, Mg로부터 선택되는 원소로 구성되는, 염화물, 질산염, 황산염, 탄산염, 및/또는 이들의 수화물 등이다. 추가적인 구체예로서, 염화알루미늄, 질산알루미늄, 염화아연, 질산아연, 염화칼륨, 황산칼륨,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염화리튬, 질산리튬, 염화칼슘, 질산칼슘, 황산칼슘, 질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및/또는 이들의 수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무기염(d)은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란, 15질량부의 유기 용제에 대해, 1.0질량부 이하의 무기염이 용해되는 성질이다. 이는 일반적인 용해도 측정 방법 등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5질량부의 유기 용제에 대해, 1.0질량부의 무기염을 첨가했을 때, 유기 용제에 무기염의 미용해부가 남지 않는 경우, 무기염은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는, 순식간에 일어날 필요는 없고, 초음파 진동이나 물리적 분쇄, 가열 등의 외력에 의해 용해 가능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무기염(d)의 배합량은 기재 유리(a) 100질량부에 대해, 0.05∼1.0질량부로 할 수 있고, 0.1∼0.5질량부로 할 수 있다. 무기염(d)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경시적인 조도 변화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다일레이턴시성이 강하게 발현하여, 조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기재 유리(a),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 유기 용제(c), 무기염(d)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페이스트의 경시적 조도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특히, 기재 유리(a) 100질량부에 대해,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를 1∼15질량부와, 무기염(d)을 0.05∼1.0질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기재 유리(a) 100질량부에 대해,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를 1.5∼6.0질량부와, 무기염(d)을 0.1∼0.5질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기재 유리(a) 100질량부에 대해,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를 1∼15질량부와, 유기 용제(c)를 15∼90질량부와, 무기염(d)을 0.05∼1.0질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기재 유리(a) 100질량부에 대해,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를 1.5∼6.0질량부와, 유기 용제를 30.0∼60.0질량부와, 무기염을 0.1∼0.5질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착색재(e) 및/또는 형광재(f)를 포함할 수 있다. 착색재(e)로는 예를 들면, 무기 재료로서, 통상 치과 재료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SiO2, Al2O3, CaO, TiO2, SnO, Cr2O3, MnO, Sb2O3, V2O5, ZnO, Fe2O3, W2O3, Co2O3, ZrO2 등의 금속 산화물을 복수 혼합하여 소성함으로써 제작된 착색재를 들 수 있다. 그 배합량은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 전체를 100.0wt%로 했을 때의 0.05∼40wt%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형광재(f)로는 예를 들면, 무기 재료로서, 통상 치과 재료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배합량은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 전체를 100.0wt%로 했을 때의 0.1∼5.0wt%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착색재(e) 및/또는 형광재(f)는 무기 재료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소각 가능한 유기 염료는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유기 고분자와 동일하게, 소성 단계에서 잔류하여, 기포 발생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의 제작은, 당해 업자가 보유하는 일반적인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한없이 실시 가능하다. 일반적인 제조 방법으로는, 목적으로 하는 페이스트 조성물이 얻어지도록, 기재 유리,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 유기 용제, 무기염, 착색재, 형광재를 배합하고, 교반 및/또는 탈포 기능을 구비한 장치로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얻는 방법이다. 교반 날개를 구비한 회전식 혼합기, 자전 공전 믹서, 뇌궤기, 롤 밀, 볼 밀, 니더 등을 이용한 공지의 혼련 방법에 의해 행해지고, 이들 방법을 단독 혹은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기재 유리의 평균 입자 직경 D50과 최대 입자 직경 D100, 결정의 유무, 적정 소성 온도,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의 평균 1차 입자 직경,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의 각종 평가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기재 유리의 평균 입자 직경 D50과 최대 입자 직경 D100의 측정 방법]
기재 유리의 평균 입자 직경 D50과 최대 입자 직경 D100은, 레이저 회절·산란법, 동적 광산란법, 원심 침강법, 전기적 검지체법, 체가름법, 광자 상관법 등을 이용한 측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리 분말의 입자 직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으로 측정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마이크로트랙 MT-3000II(마이크로트랙벨 제조)에 의해 측정했다.
[기재 유리의 결정 유무의 측정 방법]
기재 유리의 결정 유무는, X선 회절 장치에 의한 측정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X선 회절 장치 멀티플렉스(리가쿠 제조)를 이용하여, 주사 범위 10∼70°, 스캔 스피드 2.0°/분으로 측정했다.
[기재 유리의 적정 소성 온도의 측정 방법]
기재 유리를 1,3-부탄디올로 연화한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치과 기공용 붓을 이용하여 이 페이스트를 지르코니아제 판(10.0×10.0×2.0㎜)의 10.0×10.0㎜의 면에 0.2㎜의 두께로 도포했다. 치과 기공용 포슬린 소성로 에스테매트 슬림(소후 제조)을 이용하여, 진공 소성을 행했다. 소성물의 도포면에 광택이 발생하는 최저 온도를, 그 기재 유리의 적정 소성 온도로 했다. 표 2에 기재 유리의 적정 소성 온도를 나타낸다.
[기재 유리의 연화점 및 열팽창 계수의 측정 방법]
각 기재 유리를 증류수로 연화하고, 연화물을 실리콘제 봉 형상(6×6×25㎜) 형틀에 충전하며, 콘덴스와 흡수를 반복하여, 성형체를 제작했다. 제작한 성형체를 실리콘 형틀로부터 꺼내고, 치과 기공용 포슬린 소성로 에스테매트 슬림(소후 제조)을 이용하여, 진공 소성 1회, 대기 소성 1회 합계 2회 행했다. 얻어진 2회 소성물의 양단을 연마하여 평행면을 내고, 5×5×20㎜의 크기로 조정한 시료를 시험체로 하며, 열팽창계 TM8140C(리가쿠 제조)를 이용하여, ISO6872:2015 /Amd.1:2018의 「Dentistry-Ceramic materials」의 순서에 준거하여, 열팽창 계수 및 연화점을 측정했다.
[기재 유리의 용출량의 측정 방법]
각 기재 유리를 증류수로 연화하고, 연화물을 실리콘제 원반(φ12㎜×2㎜) 형틀에 충전하며, 콘덴스와 흡수를 반복하여, 성형체를 제작했다. 제작한 성형체를 실리콘 형틀로부터 꺼내고, 치과 기공용 포슬린 소성로 에스테매트 슬림(소후 제조)을 이용하여, 진공 소성을 행하여 10개의 소성물을 제작했다. 이 소성물의 양면을 평면 연마 후, 2회째의 대기 소성을 행했다. 이 시험체를 ISO6872:2015 /Amd.1:2018「Dentistry-Ceramic materials」의 순서에 준거하여, 시험을 행했다.
[기재 유리의 굽힘 강도의 측정 방법]
각 기재 유리를 증류수로 연화하고, 연화물을 실리콘제 봉 형상(3×6×25㎜) 형틀에 충전하며, 콘덴스와 흡수를 반복하여, 성형체를 제작했다. 제작한 성형체를 실리콘 형틀로부터 꺼내고, 치과 기공용 포슬린 소성로 에스테매트 슬림(소후 제조)을 이용하여, 진공 소성을 행하여 10개의 소성물을 제작했다. 얻어진 소성물의 전체면을 연마하여 평행면을 내고, 1.2×4×20㎜의 크기로 조정한 시료를 시험체로 하며, ISO6872:2015 /Amd.1:2018의 「Dentistry-Ceramic materials」의 순서에 준거하여, 만능 시험기(시마즈 제조)를 이용하여, 굽힘 강도를 측정했다.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의 측정 방법]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은, 가스 흡착법, 수은 압입법, 가스 침투법, 버블 포인트법 등을 이용한 측정으로 얻어진 비표면적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의 1차 입자 직경은, 가스 흡착법으로 측정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비표면적·세공 분포 측정 장치 「트라이스타II 3020」(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에 의해 측정했다.
[평가 1: 기재 유리의 적정 소성 온도에서의 소성성(흑변)]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를 치과 기공용 붓을 이용하여 지르코니아제 판(10.0×10.0×2.0㎜)의 10.0×10.0㎜의 면에 0.2㎜의 두께로 도포했다. 치과 기공용 포슬린 소성로 에스테매트 슬림(소후 제조)을 이용하여, 배합되는 기재 유리의 적정 소성 온도(최저 온도)에서 진공 소성을 행했다. 이 방법으로 제작한 소성물의 도포면의 소성성(흑변)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A: 투명성이 있는 유리층 상태. 색조를 갖는 실시예 4의 경우에는, 발색이 충분히 나타나 있는 상태.
B: 탄화에 의한 흑변이 발생하여, 유리층에 명도의 저하가 인정되는 상태.
[평가 2: 페이스트의 기포]
평가 1에서 제작한 소성물의 도포면 1개소를 100㎛×100㎛ 시야에서 관찰하여 평가했다.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A: 5㎛ 이상의 기포가 10개 미만 관찰된다.
B: 5㎛ 이상의 기포가 10개 이상 관찰된다.
[평가 3: 페이스트의 조도 및 변화량]
본 평가에서는, 페이스트 제작 후, 8㎖의 크림 용기에 5g 충전 후, 23℃에서 1일 및 14일간, 그리고 50℃에서 14일간 보관한 것을 사용했다.
평가를 실시하기 1시간 전에 23℃의 항온실에 방치했다. 유리판 상에 0.3±0.03g의 범위로 칭량하고, 위로부터 다른 유리판을 씌워, 20g 분동을 올렸다. 분동을 올리고 나서 30초 후에 분동을 들어내고, 원 형상으로 퍼진 페이스트를 조도 및 변화량의 측정 대상으로 했다. 측정 대상은 각 페이스트에 대해 2개로 하여, 그 최대 직경과 최단 직경을 측정했다. 2개의 측정 대상의 최대 직경 및 최단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합계 4개의 값의 평균값을 조도로 했다.
23℃에서 1일 보관한 페이스트의 조도를 초기값으로 하고, 23℃에서 14일간, 50℃에서 14일간 보관한 페이스트의 초기값으로부터의 조도 차이를 산출하여, 차이가 큰 쪽의 값을 변화량으로 했다.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AA: 변화량이 0∼2㎜이다. 페이스트의 조도는 경시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 변화량이 3∼4㎜이다. 페이스트의 조도는 경시적으로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B: 변화량이 5∼9㎜이다. 페이스트의 조도는 경시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 변화량이 10㎜ 이상이다. 페이스트의 조도는 경시적으로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평가 4: 페이스트의 침강]
본 평가는 페이스트 제작 후, 8㎖의 크림 용기에 5g 충전 후, 50℃에서 14일간 보관한 것을 사용했다.
평가를 실시하기 1시간 전에 23℃의 항온실에 방치한 후, 크림 용기 내의 페이스트를 플라스틱제 스패츌러로 섞어, 페이스트의 침강 유무를 확인했다.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A: 페이스트의 침강이 인정되지 않는다. 15초 섞어 페이스트가 균일한 상태가 된다.
B: 페이스트의 침강이 인정된다. 15초 섞어 페이스트가 균일한 상태가 된다.
C: 페이스트의 침강이 인정된다. 15초 이상 섞어도 덩어리가 남아, 페이스트가 균일한 상태가 되지 않는다.
[평가 5: 기재 유리의 적정 소성 온도에서의 소성성(광택)]
평가 1에서 제작한 소성물의 도포면의 소성성(광택)을 평가했다.
AA: 소성물의 도포면 표면에 광택이 발생하고, 균일한 도포면이 발생한 상태.
A: 소성물의 도포면 표면에 광택이 발생하지만, 얼룩진 도포면(붓의 도포 자국)이 전체에 발생한 상태.
B: 소성 부족에 의해, 소성물의 도포면 표면에 광택이 발생하지 않고, 얼룩진 도포면이 전체에 발생한 상태.
[기재 유리]
SiO2, Al2O3, K2O, Na2O, 및 그 밖의 성분(B2O3, Li2O, CaO, ZnO 등)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포함하는 유리 G1∼G3를 용융법으로 제작하고, 이를 일반적인 분쇄기로 분쇄하여, 기재 유리(a-1)∼(a-11)로 했다. 시판되고 있는 치과 세라믹스용 착색 재료인 빈티지 아트 유니버셜(소후 제조)의 AS(A셰이드 색조)를 기재 유리(a-12)로서 사용했다. 기재 유리(a-12)는 기재 유리 성분에 더해, 추가로 무기 재료로부터 선택되는 착색재(e) 및 무기 재료로부터 선택되는 형광재(f)가 포함된 것으로, 평균 입자 직경 D50이 5㎛이며, 최대 입자 직경 D100이 75㎛이고, 적정 소성 온도가 730℃이다. 각 기재 유리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Figure pat00001
<기재 유리(a-1)의 제조>
유리 G1을 비즈 밀 분쇄기로 D50이 0.5㎛가 될 때까지 분쇄했다.
<기재 유리(a-2)의 제조>
유리 G1을 비즈 밀 분쇄기로 D50이 1.0㎛가 될 때까지 분쇄했다.
<기재 유리(a-3)의 제조>
유리 G1을 비즈 밀 분쇄기로 D50이 2.0㎛가 될 때까지 분쇄했다.
<기재 유리(a-4)의 제조>
유리 G1을 진동 볼 밀 분쇄기로 D50이 4.0㎛가 될 때까지 분쇄했다.
<기재 유리(a-5)의 제조>
유리 G1을 진동 볼 밀 분쇄기로 D50이 6.0㎛가 될 때까지 분쇄했다.
<기재 유리(a-6)의 제조>
유리 G1을 진동 볼 밀 분쇄기로 D50이 10.0㎛가 될 때까지 분쇄했다.
<기재 유리(a-7)의 제조>
유리 G1을 볼 밀 분쇄기로 D50이 15.0㎛가 될 때까지 분쇄했다.
<기재 유리(a-8)의 제조>
유리 G1을 볼 밀 분쇄기로 D50이 20.0㎛가 될 때까지 분쇄했다.
<기재 유리(a-9)의 제조>
유리 G1을 볼 밀 분쇄기로 D50이 40.0㎛가 될 때까지 분쇄했다.
<기재 유리(a-10)의 제조>
유리 G2를 진동 볼 밀 분쇄기로 D50이 6.0㎛가 될 때까지 분쇄했다.
<기재 유리(a-11)의 제조>
유리 G3를 류사이트 결정이 석출되는 열처리 공정을 실시한 후, 제트 밀 분쇄기로 D50이 5.0㎛가 될 때까지 분쇄했다.
표 2에 각 기재 유리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미립자 실리카]
미립자 실리카로서, RX50(평균 1차 입자 직경 40㎚, 닛폰 에어로실사 제조), R974(평균 1차 입자 직경 12㎚, 닛폰 에어로실사 제조), R812(평균 1차 입자 직경 7㎚, 닛폰 에어로실사 제조), YA050C(평균 1차 입자 직경 50㎚,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마텍스사 제조), YA100C(평균 1차 입자 직경 100㎚,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마텍스사 제조), 및 친수성 미립자 실리카 #200(닛폰 에어로실사 제조)을 사용했다.
[유기 용제]
유기 용제로서,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글리세린, 벤질벤조산을 사용했다.
[물]
유기 용제 이외의 액체 성분으로서, 물을 사용했다.
[무기염]
무기염으로서, 상기 유기 용제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용해성을 갖는 염화칼슘, 염화아연, 및 질산칼슘·사수화물을 사용했다.
[유기 고분자염]
유기 고분자염으로서, 상기 유기 용제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용해성을 갖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분자량 5,000)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분자량 700,000)을 사용했다.
실시예 1∼31에서는, 페이스트의 소성성, 경시적인 조도 변화나 침강의 발생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에서는 이하의 문제가 발생했다.
비교예 1 및 2에서는, 기재 유리의 평균 입자 직경 D50이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큰 조도 변화나 경시적인 침강이 발생했다.
비교예 3 및 4에서는,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적절하지 않은 소수성 미립자 실리카나 친수성 미립자 실리카를 사용하기 때문에, 경시적인 침강이 발생했다.
비교예 5 및 10에서는, 무기염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큰 조도 변화가 발생했다.
비교예 6 및 7에서는, 유기 용제로서 에탄올만 또는 벤질벤조산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경시적인 침강이나, 도포면의 흑변이 발생했다.
비교예 8 및 9에서는, 유기 고분자 성분을 사용했기 때문에, 도포면의 흑변 및 기포가 발생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의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장기 보존에 있어서도 일정한 페이스트 성상을 유지하고, 또한 유기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도 소성시 탄화에 의한 흑변이나 기포에 의한 백탁을 억제한 페이스트가 되어, 종래 기술의 과제를 큰 폭으로 개선한 것이 되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발명의 구성요소가 단수 혹은 복수 중 어느 한쪽으로 설명된 경우, 또는, 단수 혹은 복수 중 어느 것으로도 한정되지 않고 설명된 경우라도, 문맥상 별도로 해석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당해 구성요소는 단수 또는 복수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을 상세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사항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범위에는, 어떠한 변경 또는 수정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는, 장기간 일정한 페이스트 성상을 유지할 수 있는 보존 안정성을 갖는 것이고, 도포성이나 심미성도 우수한 것이다. 따라서, 치과 분야의 수복 치료에 있어서, 다양한 치관 수복물에 대한 응용이 가능하다.

Claims (5)

  1. 치과 보철 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로서,
    평균 입자 직경 D50이 1∼20㎛인 기재 유리(a),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1∼50㎚인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
    100∼300℃의 끓는점을 갖는 유기 용제(c), 및
    무기염(d)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 유리(a) 100질량부에 대해,
    1∼15질량부의 소수화 미립자 실리카(b),
    15∼90질량부의 유기 용제(c), 및
    0.05∼1.0질량부의 무기염(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 재료인 착색재(e) 및/또는 형광재(f)를 추가로 포함하는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
  4. 제 2 항에 있어서,
    무기 재료인 착색재(e) 및/또는 형광재(f)를 추가로 포함하는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 유리(a)의 최대 입자 직경 D100이 200㎛ 이하인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
KR1020230191127A 2022-12-27 2023-12-26 무기염 함유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 KR202401040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210988 2022-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4035A true KR20240104035A (ko) 2024-07-0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90373B2 (ja) 塗布性に優れた歯科用陶材ペースト
JP6993093B2 (ja) Al2O3未含有のケイ酸リチウムガラス組成物
CN1394226A (zh) 填充剂及含该填充剂的牙科用复合材料
JP2009207743A (ja) アルミノシリケートガラスおよびセラミックス系歯冠陶材用の色調調整組成物
JP6859348B2 (ja) 歯科用ガラス、歯科用組成物
JP2017193492A (ja) ペースト状歯科用陶材
US6444597B1 (en) Dental paste-like porcelain
EP2538870B1 (en) Glass and/or glass ceramic particles containing composition for application on a dental article, process and use thereof
JP2009185001A (ja) 歯科用陶材組成物
Chitra et al. Unravelling the effects of ibuprofen-acetaminophen infused copper-bioglass towards the creation of root canal sealant
KR20240104035A (ko) 무기염 함유 치과용 도재 페이스트
JP2000139959A (ja) 歯科用陶材
CN116546939A (zh) 糊剂状齿科用玻璃组合物
JP5883859B2 (ja) 歯科複合材料用充填材
JP2009143839A (ja) グレーズ/ステイン用ガラス質粒子、グレーズおよびステイン
US11382839B2 (en) Ion sustained-release dental hydraulic temporary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JP2024094189A (ja) 無機塩含有歯科用陶材ペースト
CN107411974B (zh) 牙科复合树脂填料用的具有纳米结构的填料粉的制备方法
CN118252758A (en) Inorganic salt-containing dental Tao Caigao
JP2013507171A (ja) 二バインダシステムを含む簡略化された化学結合されたセラミック生体材料
JP2007269675A (ja) 歯科用グラスアイオノマーセメント用ガラス粉末
EP2996663B1 (en) Glass fillers for composites
JP2022077007A (ja) 機械練和に適した歯科用グラスアイオノマーセメント組成物
WO2024024661A1 (ja) 歯科用陶材ペースト
JP5653555B1 (ja) 二成分混和型イオン徐放性粘膜調整材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