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2737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2737A
KR20240102737A KR1020220185091A KR20220185091A KR20240102737A KR 20240102737 A KR20240102737 A KR 20240102737A KR 1020220185091 A KR1020220185091 A KR 1020220185091A KR 20220185091 A KR20220185091 A KR 20220185091A KR 20240102737 A KR20240102737 A KR 20240102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compound
linear polarization
dichroic dy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5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형
황정임
김현승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8/478,13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215412A1/en
Publication of KR2024010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2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light irradiation, e.g. linearly polarised light photo-polymerisation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고, 광학 적층체는 다기능층을 포함하고, 다기능층은 액정 화합물 및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을 포함하는 액정 혼합물을 함유하고, 다기능층의 하부에는 액정 화합물이 함유되되,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가 포함되지 않고, 다기능층의 상부에는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가 함유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CD)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 구현, 응답 속도, 시야각,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 CR)도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연구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각 화소 영역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유기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데, 유기 발광 소자는 양극(anode)과 음극(cathode) 사이에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고 전기장을 가함으로 빛을 내는 소자로서,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고, 가볍고 플렉서블한(flexible) 기판 상부에도 제작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최근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외부의 광 반사에 의한 시인성 확보를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측면에 편광판(polarizer)을 적용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외광 시인성은 ACR(Ambient Contrast Ratio)로 정의되는데, 현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ACR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원형 편광판(circular polarizer)을 적용하고 있다.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형성된 기판 상에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한 후, 그 상부에 복수 개의 유기막과 무기막으로 이루어진 멀티 패시베이션층(multi passivation)을 보호층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배리어층(barrier film)과 원형 편광판(circular polarizer)을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을 통해 부착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작하고 있다.
원형 편광판(circular polarizer)의 경우 복수 개의 광학 필름(film)이 적층되어 접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름(film) 형태로 제작되므로 박형으로의 제작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 박형의 원형 편광판(circular polarizer)의 경우 약 150㎛ 수준의 두께를 갖는다.
원형 편광판(circular polarizer)을 적용한 플렉서블(flexible) 구현을 위한 플라스틱(plastic)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경우, 원형 편광판(circular polarizer)의 박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3R 이하의 낮은 곡률을 구현할 경우 원형 편광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스트레스(stress)가 하부의 유기 발광 소자 상의 멀티 패시베이션층(multi passivation)의 무기막 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무기막에 전달되면서 크랙(crack)을 유발시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불량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원형 편광판(circular polarizer)을 적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하게 되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 벤딩(bending) 또는 폴딩(folding)과 같은 플렉서블(flexible) 구현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또한, 원형 편광판(circular polarizer)은 가격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재료비에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두께가 감소된 박형 구조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기능층을 제조하는 공정을 단순화하여 SCM(supply chain management) 구조가 개선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적층체는 다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층은 액정 화합물 및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을 포함하는 액정 혼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다기능층의 하부에는 액정 화합물이 함유되되 상기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가 포함되지 않고, 상기 다기능층의 상부에는 상기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가 함유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선편광 특성과 위상 지연 특성을 모두 갖는 다기능층을 구비함으로써, 초박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총 두께가 감소됨에 따라, 신뢰성 환경에서의 수축에 유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선편광판과 위상 지연층을 최종적으로 합지하는 공정을 배제시킴으로써, 복잡도가 개선된 SCM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조 공정에서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다기능층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기능층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다기능층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다기능층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표시 장치의 층 구조물들의 적층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a 및 도 5a의 코팅층을 잉크젯 프린팅으로 도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접속' 또는 '연결'로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개의 구성 요소 사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하여 접속' 또는 '연결' 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면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은 영상이 구현되는 패널로서,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소자와 구동 회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표시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인 것으로 가정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로부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배선 및 구동 I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부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게이트 드라이버 IC 및 데이터 드라이버 IC 등과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100)에서 표시 패널(110)은 기판을 포함한다. 기판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중에서 하나인 절연성의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물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기판의 하부에 백 플레이트와 같은 지지 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는 기판이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외부의 습기, 열, 충격 등으로부터 기판 상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을 보호한다. 백 플레이트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yl-butadiene-styr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판의 하부에 백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경우, 이들을 합착하기 위해 기판과 백 플레이트 사이에 점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점착층으로는 광투명점착제, 감압 점착제 및 광투명레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10) 상에는 광학 적층체(130)가 배치된다. 표시 패널(110)과 광학 적층체(130) 사이에 점착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점착층(120)은 광투명 점착제, 광투명 레진 또는 감압 점착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학 적층체(130)는 표시 패널(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100)의 외부에서 입사되는 외부광에 대한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광학 적층체(130)는 기재층(131), 다기능층(132) 및 보호층(133)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131), 다기능층(132) 및 보호층(133)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광학 적층체(130)는 굴곡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적층체(130)의 적어도 일부는, 굴곡성 테스트에 따라, 크랙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광학 적층체(130)는 기재층(131)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광학 적층체(130)를 이루는 각 층에 대해 설명한다.
기재층(131)은 다기능층(132)의 제조나 운반시에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131)을 구비함으로써, 광학 적층체(130)의 보관 시 다기능층(132)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기재층(131)으로는 광학용으로 이용되는 투명 수지 필름이면, 특별한 한정 없이, 이용될 수 있다. 기재층(131)을 이루는 수지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쇄상 올레핀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폴리머계 등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피드계 수지; 폴리페닐렌옥시드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을 의미한다. (메타)아크릴로일, (메타)아크릴레이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기재층(131)의 두께는 광학 적층체(130)를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광학 적층체(130)의 박형화나 경량화를 위해, 강도나 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131)의 두께는 예를 들면, 통상 5㎛ 이상이고,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기재층(131)은 방현 기능, 반사 기능, 표면반사방지 기능, 위상차 필름으로서의 기능, 반사 기능과 투과 기능을 겸비하는 반투과반사 기능, 광확산 기능 등을 가질 수도 있다. 특히, 표면처리층(미도시)이 기재층(131)과 일체로 형성될 때, 기재층(131)은 전술한 방현 기능, 반사 기능 등을 가질 수 있다.
다기능층(132)은 액정 화합물과 색소가 혼합된 액정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다기능층(132)의 일부에는 액정 화합물과 색소를 함유하는 액정 혼합물이 경화되고, 다기능층(132)의 나머지에는 액정 화합물이 경화될 수 있다. 액정 혼합물이 경화된 일부는 선 편광부로 역할할 수 있고, 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나머지는 위상 지연부로 역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기능층(132)은 선 편광부와 위상 지연부를 포함한다. 선 편광부는 광을 일방향으로 선편광시킨다. 예를 들어, 선 편광부는 배향된 이색성 색소에 의하여 편광축과 일치하는 광은 투과시키고,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광은 흡수하여 광을 선편광시킨다. 위상 지연부는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며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킨다. 위상 지연부는 선 편광부를 투과한 광을 선편광 상태에서 원편광 상태로 바꿀 수 있다. 또한, 위상 지연부는 원편광 상태의 광을 선편광 상태로 바꿀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선 편광부 하부에 배치되는 위상 지연부는 λ/4 리타더이다. λ/4 리타더는 광의 위상을 λ/4만큼 지연시키는 광학층이다. 예를 들어, 선 편광부를 투과하여 λ/4 리타더로 제공된 광의 파장이 550nm인 경우, λ/4 리타더를 통과한 광은 137.5nm의 위상 지연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기능층(132)의 선 편광부는 위상 지연부의 편광축에 대해 ±45도의 편광축을 가질 수 있다. ±45도의 편광축 차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선 편광부를 이루는 액정 혼합물의 배향과 위상 지연부를 이루는 액정 혼합물의 배향은 상이할 수 있다. 선 편광부와 위상 지연부의 배향 차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다기능층(132)에 적용될 수 있는 액정 화합물과 이색성 색소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다기능층(132)이 이하의 예시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액정 화합물은 액정 관능기(liquid crystal functional group; A) 및 광 배향 관능기(photo alignment functional group; B)를 포함한다. 액정 화합물은 액정 관능기(A) 및 광 배향 관능기(B)를 동시에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중합체일 수 있다.
액정 관능기(A)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관능기로서, 액정 화합물에 액정의 성질을 부여한다. 액정 화합물이 중합체인 경우, 액정 관능기(A)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작용기로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성 관능기에 의해 공중합된 후 나머지 관능기를 의미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액정성을 나타낼 수 있는 부위와 하나 이상의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메소겐(mesogen) 골격 등과 같은 액정성 부위와 말단에 형성된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같은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액정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말단에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액정 물질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광 배향 관능기(B)는 중합성 광 배향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관능기로서, 액정 화합물에 광 배향 성질을 부여한다. 액정 화합물이 중합체인 경우, 광 배향 관능기(B)는 중합성 광 배향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작용기로서, 중합성 광 배향 화합물의 중합성 관능기에 의해 공중합된 후 나머지 관능기를 의미한다.
중합성 광 배향 화합물은 광 배향성을 나타낼 수 있는 부위와 하나 이상의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성 광 배향 화합물은 광 배향성 물질로 이루어진 광 배향성 부위와 말단에 형성된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같은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광 배향성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중합성 광 배향 화합물은 말단에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광 배향성 물질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중합성 물질은 신나메이트(cinnamate)계 물질일 수 있고, 광이성화 물질은 아조계 물질일 수 있으며, 광분해성 물질은 시클로부탄 무수물(cyclobutane dianhydride: CBDA)을 포함하는 고리형 이미드(polyiminde)계 물질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합성 광 배향 화합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시클로올레핀계 폴리머, 실록산계 폴리머일 수 있고, 액정 관능기를 배향시킬 수 있도록 감광 부위가 아조 부위인 광 이성화형 폴리머, 신나메이트 부위 또는 칼콘 부위를 갖는 광 2 량화형 폴리머, 시클로부탄 부위를 갖는 광 분해형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광 2 량화형 폴리머로서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시클로올레핀계 폴리머, 실록산계 폴리머 등이 바람직하고, 이 폴리머의 측사슬에, 광 2 량화 부위로서 신나메이트 구조 혹은 칼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시클로올레핀계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액정 화합물에 UV를 조사하는 경우, 광 배향 관능기(B)의 화학 반응에 의해 광 배향 관능기(B)가 특정 방향으로 배향되어, 동일한 분자 내의 액정 관능기(A)를 한방향으로 배열시킨다. 예를 들어, 액정 화합물의 광 배향 관능기(B)가 광 이성화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광 이성화 반응에 의해 광 배향 관능기가 시스(cis) 또는 트랜스(trans)로 변경되면서 배향되어, 액정 관능기(A)를 한방향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
이색성 색소란, 분자의 장축 방향에서의 흡광도와 단축 방향에서의 흡광도가 다른 성질을 가지는 색소를 말한다. 이색성 색소는 염료, 안료, 또는 비-액정성의 이색성 색소일 수 있다. 이색성 색소는 일 예에서 중합기를 포함하나, 다른 예에서 중합기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색성 색소로는, 300nm 내지 700nm의 범위에 흡수 극대 파장(λMAX)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로는 예를 들면, 아크리딘 색소, 옥사진 색소, 시아닌 색소, 나프탈렌 색소, 아조 색소, 안트라퀴논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아조 색소로는, 모노아조 색소, 비스아조 색소, 트리스아조 색소, 테트라키스아조 색소, 스틸벤아조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이색성 색소는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라 수 있다. 또한, 가시광선 전역에서 흡수를 얻기 위해, 3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예를 들어, 3 종류 이상의 아조 색소)를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방향을 미리 정의한다.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직교한다.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모두 2차원 좌표계 상에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의 정의는 명세서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다기능층(132)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기능층(132)은 기재층(131) 상에 배치된다. 다기능층(132)은 제2 방향(DR2)으로 따라 순차적으로 위상 지연부(132a), 선 편광부(132b)가 배열될 수 있다. 위상 지연부(132a)와 선 편광부(132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액정 혼합물(LDM)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액정 혼합물(LDM)을 구성하는 성분들 간의 밀도차 또는 중량차로 인해, 액정 혼합물(LDM)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액정 화합물(LC)은 위상 지연부(132a)와 선 편광부(132b)에 걸쳐 존재될 수 있으나, 이색성 색소는 선 편광부(132b)에 대응되는 영역에만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방향(DR2)을 따라 위상 지연부(132a)와 선 편광부(132b)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구조의 다기능층(132)이 구성될 수 있다.
다기능층(132)을 구성하는 위상 지연부(132a)와 선 편광부(132b) 사이에는 점착층, 또는 점착제가 배치되지 않는다. 위상 지연부(132a)와 선 편광부(132b)는 하나의 코팅층로부터 제조되는 것이며, 서로에 대해 점착제에 의해 본딩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위상 지연부(132a)는 이색성 색소들(D)과 액정 화합물(LC)이 혼합된 액정 혼합물(LDM)을 함유한다. 위상 지연부(132a)는 액정 혼합물(LDM)을 LPUV광(linearly polarized UV light)을 조사하는 배향 공정, 배향 공정 이후로서 소정의 온도로 경화시키는 베이킹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 편광부(132b)는 액정 화합물(LC)을 함유할 수 있다. 선 편광부(132b)는 액정 혼합물(LDM)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선 편광부(132b)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이색성 색소가 포함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선 편광부(132b)는 액정 혼합물(LDM), 바람직하게는 이색성 색소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액정 혼합물(LDM)에 대해 LPUV 광을 조사하는 배향 공정, 배향 공정 이후로서 소정의 온도로 경화시키는 베이킹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 과정에 비추어, 선 편광부(132b)를 구성하는 액정 화합물(LC)과 위상 지연부(132a)를 구성하는 액정 화합물(LC)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선 편광부(132b)와 위상 지연부(132a)는 액정 혼합물(LDM)을 함유하는 하나의 코팅층으로부터 방향을 달리 하여 제조되는 것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 화합물(LC)은 실질적으로 동일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선 편광부(132b)를 구성하는 액정 화합물(LC)과 이색성 색소들(D)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화합물(LC)과 이색성 색소들(D)은 제1 방향(DR1)을 따라 평면에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으며, 제2 방향(DR2)을 따라 수직으로 바라보았을 때 0도 또는 90도의 배향방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선 편광부(132b)를 구성하는 액정 화합물(LC)과 이색성 색소들(D)의 배향방향은 제1 배향방향으로 언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상 지연부(132a)를 구성하는 액정 화합물(LC)은 선 편광부(132b)의 제1 배향방향과 상이한 제2 배향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 지연부(132a)를 구성하는 액정 화합물(LC)은 제1 방향(DR1)을 따라 평면에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으며, 제2 방향(DR2)을 따라 수직으로 바라보았을 때, 선 편광부(132b)의 배향방향(예: 0도 또는 90도)와 45도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위상 지연부(132a)를 구성하는 액정 화합물(LC)의 배향방향은 제2 배향방향으로 언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 편광부(132b)는 이색성 색소들(D)로서, 제1 이색성 색소(D1), 제2 이색성 색소(D2) 및 제3 이색성 색소(D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색성 색소(D1)는 사이안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이색성 색소(D2)는 마젠타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제3 이색성 색소(D3)는 옐로우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제1 이색성 색소(D1), 제2 이색성 색소(D2) 및 제3 이색성 색소(D3)는 각각 서로 상이한 색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 편광부(132b)의 각 부분에 따라, 상기 선 편광부(132b)를 구성하는 제1 이색성 색소(D1), 제2 이색성 색소(D2) 또는 제3 이색성 색소(D3)의 농도비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선 편광부(132b)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이하 PVA)계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선 편광부(132b)는 종래의 일반적인 PVA 필름과는 상이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PVA 필름은 연신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제조 후 다른 층(예: 위상 지연층)사에 코팅될 수 있다. PVA 필름은 신뢰성 환경에서 고유의 수축력으로 인해 크랙(crack)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VA 필름와 위상 지연자(예: QWP(quarter-wave plate))를 직접 본딩시키는 경우, PVA 필름의 수축력을 지지하는 기재의 부재로 인해, PVA 필름은 고온, 고온다습, 또는 열충격 신뢰성에서 크랙을 야기할 수 있다. 크랙은 빛샘현상을 유발하며, 크랙이 발생된 부분에서는 블랙을 표현하기 어려워 표시 패널에서의 반사가 육안으로 시인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기능층(132)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다기능층(132) 중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다기능층(13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다기능층(132)은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D)과 액정 화합물(LC)을 함유할 수 있다.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D)로는 제1 이색성 색소(D1), 제2 이색성 색소(D2) 및 제3 이색성 색소(D3)가 있으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선 편광부(132b)에 함유된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D)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농도 구배를 형성할 수 있다. 농도 구배는 선 편광부(132b)의 제1 내지 제N 부분(N은 자연수)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선 편광부(132b)의 제1 내지 제N 부분이 정의될 수 있으며, 제N 부분은 선 편광부(132b)에 함유된 이색성 색소들(D)의 종류 수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N 부분에서 가장 높은 농도비를 갖는 이색성 색소들(D)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이 3인 경우, 제1 부분(DP1)에는 제1 이색성 색소(D1)의 농도비가 가장 높을 수 있고, 제2 부분(DP2)에는 제2 이색성 색소(D2)의 농도비가 가장 높을 수 있고, 제3 부분(DP3)에는 제3 이색성 색소(D3)의 농도비가 가장 높을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선 편광부(132b)는 선 편광부(132b)에 함유된 이색성 색소들(D)의 농도비에 기반하여, 복수의 부분들로 구획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선 편광부(132b)를 이루는 복수의 부분들 간의 경계는 선 편광부(132b)에 함유된 서로 다른 종류의 이색성 색소들(D)의 농도비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는 각 지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N 부분의 경계는 제1 내지 제N 이색성 색소의 농도비에 기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DP1)과 제2 부분(DP2) 간의 경계는 선 편광부(132b)에 함유된 제1 이색성 색소(D1)의 농도비와 제2 이색성 색소(D2)의 농도비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DP2)과 제3 부분(DP3) 간의 경계는, 제2 이색성 색소(D2)의 농도비와 제3 이색성 색소(D3)의 농도비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점일 수 있다.
이처럼, 농도비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는 지점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는 최고 농도비를 갖는 이색성 색소가 달라지게 되므로, 농도비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는 부분은 선 편광부(132b)의 각 부분들의 경계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분(DP1)에는 제1 이색성 색소(D1)의 농도가 가장 높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이색성 색소(D1)의 농도는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할수록 점점 더 작아진다. 이에 따라, 다기능층(132)은 제1 이색성 색소(D1)의 농도가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할수록 더 커지는 농도 구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부분(DP2)에는 제2 이색성 색소(D2)의 농도가 가장 높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이색성 색소(D2)의 농도는 상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할수록 커지고, 중심부로부터 하부를 향할수록 점점 더 작아진다. 이에 따라, 다기능층(132)은 제2 이색성 색소(D2)의 농도가 하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할수록 더 커지고, 중심부로부터 상부를 향할수록 더 작아지는 농도 구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부분(DP3)에는 제3 이색성 색소(D3)의 농도가 가장 높게 구성될 수 있다. 제3 이색성 색소(D3)의 농도는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할수록 점점 더 커진다. 이에 따라, 다기능층(132)은 제3 이색성 색소(D3)의 농도가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할수록 더 커지는 농도 구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기능층(132)은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D) 중 더 작은 정렬성(예: 광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의 경우, 농도가 상부를 향할수록 더 커지는 농도 구배를 가질 수 있다. 반대로, 다기능층(132)은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D) 중 더 큰 정렬성(예: 광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의 경우, 농도가 하부를 향할수록 더 커지는 농도 구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색성 색소(D1)의 정렬성이 가장 작은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색성 색소(D1)가 제1 부분(DP1)에서 가장 큰 농도를 갖고, 제3 부분(DP3)에서 가장 작은 농도를 갖도록 다기능층(132)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기능층(132)에 함유된 이색성 색소들(D)은 밀도차 또는 중량차에 따라 위치될 수 있다. 고밀도의 이색성 색소는 하부로, 저밀도의 이색성 색소는 상부로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색성 색소(D1), 제2 이색성 색소(D2), 제3 이색성 색소(D3) 순으로 밀도가 큰 경우, 제3 이색성 색소(D3), 제2 이색성 색소(D2), 제1 이색성 색소(D1) 순서대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분(DP1)에는 저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가 위치되어야 하므로, 저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는 저 밀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부분(DP2)에는 중간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가 위치되어야 하므로, 중간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는 중간 밀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부분(DP3)에는 고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가 위치되어야 하므로, 고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는 고 밀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우수한 품질의 선 편광부(132b)를 형성하기 위하여, 고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는 UV광이 조사되지 않더라도 스스로 정렬되는 특성이 우수하여 설계 시 요구되는 수준의 정렬도를 달성할 수 있다. 반대로 저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는 UV광에 의해 지원될 때 설계 시 요구되는 수준의 정렬도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적용되는 다기능층(132)의 경우에는, 고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는 하부에, 저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는 상부에 위치하도록, 밀도에 따라, 위치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우수한 정렬도가 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이색성 색소(D1)는 시안 색상 색소, 제2 이색성 색소(D2)는 마젠타 색상 색소, 제3 이색성 색소(D3)는 엘로우 색상 색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다기능층(132)의 색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구현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 이색성 색소(D3)들의 함유랑을 부분 별로 조절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이색성 색소(D1, D2, D3)들의 함유량을 부분 별로 조절함으로써, 다기능층(132)의 반사 색상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L, a*, b* 색공간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명세서가 해당 예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기능층(132)의 반사 색상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 부분(DP1)에서 최고 농도를 갖는 이색성 색소(D)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표 1]에서, 제1 조건은 제1 부분(DP1)에서 제1 이색성 색소(D1)(시안 색상)가 최고 농도를 갖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고, 제2 조건은 제1 부분(DP1)에서 제2 이색성 색소(D2)(마젠타 색상)가 최고 농도를 갖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고, 제3 조건은 제3 부분(DP3)에서 제3 이색성 색소(D3)(옐로우 색상)가 최고 농도를 갖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제1 내지 제3 조건에서, 제1 부분(DP)을 제외한, 제2 부분(DP2), 제3 부분(DP3)에는 각각 다른 이색성 색소들이 함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건의 경우에는, 제2 부분(DP2) 및 제3 부분(DP)에 제2 이색성 색소(D2), 제3 이색성 색소(D3)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건의 경우에는, 제2 부분(DP2) 및 제3 부분(DP)에 제1 이색성 색소(D1), 제3 이색성 색소(D3)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조건의 경우에는, 제2 부분(DP2) 및 제3 부분(DP)에 제1 이색성 색소(D1), 제2 이색성 색소(D2)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조건 제2 조건 제3 조건
Ts / PE
(단체 투과율 / 편광도)
48.5% / 85.5%
투과 색상
Target (0, 0)
0.1 / -0.1 0.0 / -0.1 -0.1 / 0.0
반사 색상Target (5, -0.5) 6.3 / -2.2 6.1 / -1.5 4.6 / -2.2
표 1의 색 좌표는 각각 a*, b* 좌표에 관한 것이으로서, 투과 색상은 (0, 0) 색 좌표를 타겟으로 하고, 반사 색상은 (5, -0.5) 색 좌표를 타겟으로 하여 실험되었다. 결과를 참조하면, 제1 조건에 비해 제2 조건이 레디쉬(Reddish)한 반사 색상을 나타내고, 제2 조건에 비해 제3 조건이 레디쉬한 반사 색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각각의 조건에서 투과 색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확인된다.도 4a 내지 도 4c는 다기능층(132)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기재층(131) 상에는 초기 복합층(132i)이 배치될 수 있다. 초기 복합층(132i)은 액정 혼합물(LDM)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혼합물(LDM)은 액정 화합물(LC) 및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D)을 함유할 수 있다. 초기 복합층(132i)에 함유된 액정 혼합물(LDM)과 이색성 색소들(D)은 일 방향으로 배향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액정 화합물(LC)과 이색성 색소들(D)은 밀도차 또는 중량차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 예로, 액정 화합물(LC)은 이색성 색소들(D)보다 고 밀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공정이 없더라도 액정 화합물(LC)은 이색성 색소들(D)보다 하부에 위치된다. 다른 예로, 액정 화합물(LC)은 이색성 색소들(D)보다 저 밀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공정이 없더라도 액정 화합물(LC)은 이색성 색소들(D)보다 상부에 위치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액정 화합물(LC)이 이색성 색소들(D)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밀도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다기능층(132)이 해당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초기 복합층(132i)은 스핀 코팅과 같은 습식 코팅, 또는 스크린 프린팅이나 잉크젯 프린팅과 같은 프린팅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초기 복합층(132i)의 상하부에는 각각 LPUV광(linearly polarized UV light)이 조사될 수 있다. 제1 LPUV광(UV1)은 0도 또는 90도의 각도로 선편광된 UV광이고, 제2 LPUV광(UV2)은 45도 또는 135도의 각도로 선편광된 UV광이다. 제1 LPUV광(UV1)은 제2 LPUV광(UV2)과 ±45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선편광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LPUV광(UV1)은 선 편광자를 형성하기 위한 광으로서, 이색성 색소들(D)의 농도가 높은 제1 면을 향해 조사된다. 제1 면은 초기 복합층(132i)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어느 하나로서, 이색성 색소의 밀도가 액정 화합물(LC)보다 큰 경우에는 하부면, 이색성 색소의 밀도가 액정 화합물(LC)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부면이 제1 면이 될 수 있다.
제2 LPUV광(UV2)은 위상 지연부(132a)를 형성하기 위한 광으로서, 액정 화합물(LC)의 농도가 높은 제2 면을 향해 조사된다. 제2 면은 초기 복합층(132i)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어느 하나로서, 액정 화합물(LC)의 밀도가 이색성 색소보다 큰 경우에는 하부면, 액정 화합물(LC)의 밀도가 이색성 색소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부면이 제2 면이 될 수 있다. 제1 면과 제2 면은 서로에 대해 대향하는 면으로서, 제1 면이 상부면이면 제2 면은 하부면이고, 제1 면이 하부면이면 제1 면은 상부면이 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1 LPUV광(UV1), 제2 LPUV광(UV2)이 조사된 초기 복합층(132i)의 각 면에 함유된 액정 혼합물(LDM)은 제1 LPUV광(UV1), 제2 LPUV광(UV2)에 의해 배향된다. 이색성 색소의 농도가 높은 면에는 제1 LPUV광(UV1)이 조사되며, 이색성 색소들(D) 및 액정 화합물(LC)은 제1 배향방향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들(D)은 액정 화합물(LC)이 제1 LPUV광(UV1)에 의해 배향됨에 따라, 상기 액정 화합물(LC)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액정 화합물(LC)의 농도가 높은 면에는 제2 LPUV광(UV2)이 조사되며, 액정 화합물(LC)들은 제2 배향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LPUV광(UV2)에 의해 배향된 액정 화합물(LC)과, 제1 LPUV광(UV1)에 이해 배향된 액정 화합물(LC)은 서로에 대해, 적어도 45도의 각도차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제1 LPUV광(UV1), 제2 LPUV광(UV2)에 의해 배향된 액정 혼합물(LDM)은 포스트-베이킹 공정을 통해 경화될 수 있다. 포스트-베이킹 공정 이후에, 제1 LPUV광(UV1)에 의해 배향되고, 이색성 색소의 농도가 높은 초기 복합층(132i)의 일 부분은 선 편광부(132b)가 된다. 포스트-베이킹 공정 이후에, 제2 LPUV광(UV2)에 의해 배향되고, 액정 화합물(LC)의 농도가 높은 초기 복합층(132i)의 나머지 부분은 위상 지연부(132a)가 된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합지 공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하나의 싱글 레이어 상에 선 편광부(132b)와 위상 지연부(13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합지 공정에 필요한 점착제가 레이어 구조에서 생략될 수 있으며, 공정의 복잡도가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점착제가 생략됨으로써,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 또한 더 얇아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다기능층(132)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기재층(131) 상에는 초기 복합층(132i)이 배치될 수 있다. 초기 복합층(132i)은 액정 혼합물(LDM)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혼합물(LDM)은 액정 화합물(LC) 및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D)을 함유할 수 있다. 초기 복합층(132i)에 함유된 액정 혼합물(LDM)과 이색성 색소들(D)은 일 방향으로 배향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초기 복합층(132i)은 스핀 코팅과 같은 습식 코팅, 또는 스크린 프린팅이나 잉크젯 프린팅과 같은 프린팅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정 화합물(LC)과 이색성 색소들(D)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이색성 색소들(D)은 초기 복합층(132i)의 전체 영역에 걸쳐 상당히 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색성 색소들(D)과 액정 화합물(LC)을 상하로 분리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로 도입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이색성 색소들(D)과 액정 화합물(LC)을 분리하기 위한 프리-베이킹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조방법은 초기 복합층(132i) 내의 액정 화합물(LC)과 이색성 색소들(D)을 분리하기 위한 프리-베이킹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조방법은 상분리 공정과 프리-베이킹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131) 상의 초기 복합층(132i)은 도 5a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 혼합물(LDM)을 함유할 수 있다.
상분리 공정은 기재층(131) 상에 배치된 초기 복합층(132i)을 고온으로 가열 후, 액상으로 혼합된 액정 혼합물(LDM)의 온도를 점진적으로 낮춤으로써, 액정 혼합물(LDM)에 함유된 각각의 재료(예: 액정 화합물(LC), 이색성 색소들(D))을 각각의 상으로 분리하는 공정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스피노달 상분리(spinodal decomposition)을 이용하여 상분리 공정을 실현할 수 있다.
프리-베이킹 공정은 상분리 공정에 의해 분리된 액정 혼합물(LDM)의 재료들(예: 액정 화합물(LC), 이색성 색소들(D))의 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소정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공정이다. 프리-베이킹 공정은 상분리 공정 이후에 수행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프리-베이킹 공정은 상분리 공정과 연속적으로, 또는 일체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분리 공정, 또는 상분리 공정과 프리-베이킹 공정에 의해, 초기 복합층(132i)은 제1 중간 상태부(132ia)와 제2 중간 상태부(132i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중간 상태부(132ia)는 액정 화합물(LC)과 이색성 색소들(D)을 함유할 수 있다. 제1 중간 상태부(132ia)에 함유된 액정 화합물(LC)과 이색성 색소들(D)은 랜덤하게 배향된 상태로 존재한다. 제2 중간 상태부(132ib)는 액정 화합물(LC)을 함유하고, 이색성 색소들(D)은 전혀 존재하지 않거나,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제2 중간 상태부(132ib)에 함유된 액정 화합물(LC)은 랜덤하게 배향된 상태로 존재한다. 제1 중간 상태부(132ia)는 제2 중간 상태부(132ib)보다 상부로 배열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1 중간 상태부(132ia)와 제2 중간 상태부(132ib)에는 각각 LPUV광이 조사될 수 있다. 제1 중간 상태부(132ia)에는 제1 LPUV광(UV1)이 조사되고, 제2 중간 상태부(132ib)에는 제2 LPUV광(UV2)이 조사될 수 있다. 제1 LPUV광(UV1)은 0도 또는 90도의 각도로 선편광된 UV광이고, 제2 LPUV광(UV2)은 45도 또는 135도의 각도로 선편광된 UV광이다. 제1 LPUV광(UV1)은 제2 LPUV광(UV2)과 ±45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선편광된다.
도 4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LPUV광(UV1)은 선 편광자를 형성하기 위한 광으로서, 이색성 색소들(D)의 농도가 높은 제1 면을 향해 조사된다. 예를 들어, 제1 LPUV광(UV1)은 제1 중간 상태부(132ia)의 일 면을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제2 LPUV광(UV2)은 위상 지연부(132a)를 형성하기 위한 광으로서, 액정 화합물(LC)의 농도가 높은 제2 면을 향해 조사된다. 예를 들어, 제2 LPUV광(UV2)은 제2 중간 상태부(132ib)의 일 면을 향해 조사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제1 LPUV광(UV1), 제2 LPUV광(UV2)이 조사된 제1 중간 상태부(132ia), 제2 중간 상태부(132ib)에 각각 함유된 액정 혼합물(LDM)은 제1 LPUV광(UV1), 제2 LPUV광(UV2)에 의해 배향된다.
제1 중간 상태부(132ia)에는 제1 LPUV광(UV1)이 조사되며, 이색성 색소들(D) 및 액정 화합물(LC)은 제1 배향방향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들(D)은 액정 화합물(LC)이 제1 LPUV광(UV1)에 의해 배향됨에 따라, 상기 액정 화합물(LC)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제2 중간 상태부(132ib)에는 제2 LPUV광(UV2)이 조사되며, 액정 화합물(LC)들은 제2 배향방향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LPUV광(UV2)에 의해 배향된 액정 화합물(LC)과, 제1 LPUV광(UV1)에 이해 배향된 액정 화합물(LC)은 서로에 대해, 적어도 45도의 각도차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제1 LPUV광(UV1), 제2 LPUV광(UV2)에 의해 배향된 액정 혼합물(LDM)은 포스트-베이킹 공정을 통해 경화될 수 있다.
포스트-베이킹 공정 이후에, 제1 LPUV광(UV1)에 의해 배향되고, 이색성 색소의 농도가 높은 초기 복합층(132i)의 일 부분은 선 편광부(132b)가 된다. 다시 말해, 제1 중간 상태부(132ia)는 포스트-베이킹 공정에 의해, 선 편광부(132b)가 된다.
포스트-베이킹 공정 이후에, 제2 LPUV광(UV2)에 의해 배향되고, 액정 화합물(LC)의 농도가 높은 초기 복합층(132i)의 나머지 부분은 위상 지연부(132a)가 된다. 다시 말해, 제2 중간 상태부(132ib)는 포스트-베이킹 공정에 의해, 위상 지연부(132a)가 된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합지 공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하나의 싱글 레이어 상에 선 편광부(132b)와 위상 지연부(13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합지 공정에 필요한 점착제가 레이어 구조에서 생략될 수 있으며, 공정의 복잡도가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점착제가 생략됨으로써,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 또한 더 얇아질 수 있다.
나아가, 밀도에 따라, 액정 화합물(LC)과 이색성 색소가 층 분리되지 않더라도, 스피노달 상분리와 같은 중간 공정을 도입함으로써, 액정 화합물(LC)과 이색성 색소들(D)을 상하로 분리할 수 있다. 이후에는, 2종의 LPUV광을 조사함으로써, 하나의 초기 복합층(132i)을 선 편광과 위상 지연의 기능을 모두 갖는 다기능층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또한, 이처럼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선 편광부와 위상 지연부가 별개의 층(즉, 선 편광층, 위상 지연층)으로 마련되지 않고, 선 편광층과 위상 지연층을 본딩시키는 합지 공정도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선 편광층을 위상 지연층 상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양자를 본딩시킬 수도 있을 것이나,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선 편광층과 위상 지연층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 편광부와 위상 지연부는 하나의 싱글 레이어로 구현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합지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며, 나아가 박리 현상도 야기되지 않는다.
도 6, 도 7 및 도 8은 표시 장치의 층 구조물들의 적층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도 1의 표시 장치(100))는 다양한 층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층 구조물은 표시 패널(110), 제1 점착제(120), 광학 적층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광학 적층체(130)는 표시 패널(110) 위에 배치된다. 광학 적층체(130)는 제1 점착층(120)에 의해, 표시 패널(110)과 본딩될 수 있다. 제1 점착층(120)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점착층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6을 참조하면, 광학 적층체(130)는 기재층(131), 다기능층(132), 제2 점착층(134), 보호층(133)을 포함할 수 있다. 다기능층(132)은 기재층(131) 상에 배치되며, 기재층(131) 상에 코팅되거나 프린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보호층(133)은 다기능층(132) 상에 배치되며, 제2 점착층(134)에 의해 다기능층(132)과 본딩될 수 있다. 제2 점착층(134)는 제1 점착층(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점착층(120)와 다른 물질이나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광학 적층체(330)는 다기능층(132), 제2 점착층(134), 보호층(1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재층(131)이 제외될 수 있다. 즉, 광학 적층체(330)는 전사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조방법에서, 기재층(131)은 전사용 기재일 수 있다. 전사용 기재는 상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사용 기재는 상부에 배치된 다기능층(132)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기재층(131)을 포함하지 않는 광학 적층체(330)가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다기능층(132)은 제1 점착층(120)에 의해 표시 패널(110)과 본딩될 수 있다.
기재층(131)을 포함하지 않는 광학 적층체(330)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광학 적층체(330)와 비교하여 기재층(131)의 두께에 상응하는 치수만큼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7에 도시된 광학 적층체(330)를 구비한 표시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광학 적층체(330)를 구비한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광학 적층체(430)는 다기능층(132), 보호층(1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재층(131), 보호층(133)이 제외될 수 있다. 도 8의 다기능층(132)은 보호층(133) 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4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조방법에서, 기재층(131)을 보호층(133)이 대신할 수 있다. 초기 복합층(132i)은 보호층(133) 상에 도포될 수 있으며, 초기 복합층(132i)에 대해 제1 LPUV광(UV1), 제2 LPUV광(UV2)이 조사된다. 제1 LPUV광(UV1), 제2 LPUV광(UV2)에 의해 초기 복합층(132i)의 액정 혼합물(LDM)이 배향성을 갖게된 이후 포스트-베이킹 공정을 통해 초기 복합층(132i)을 경화시키면, 도 8에 도시된 광학 적층체(430)가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층(133)과 인접하게는 선 편광부(132b)가 형성되고, 보호층(133)과 멀어지게는 위상 지연부(13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조과정에서는, 이색성 색소들(D)을 함유하는 액정 혼합물(LDM)이, 액정 화합물(LC) 보다 아래에 위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액정 화합물(LC)보다 밀도가 큰 이색성 색소들(D)을 포함하는 액정 혼합물(LDM)을 이용함으로써, 액정 혼합물(LDM)이 아래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분리 공정을 통해, 이색성 색소들(D)을 함유하는 액정 혼합물(LDM)이 아래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광학 적층체(430)는 표시 패널(110)과 제1 점착제(120)에 의해 본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광학 적층체(430)의 다기능층(132)과 표시 패널(110)이 제1 점착제(120)에 의해 본딩될 수 있다.
이처럼, 보호층(133) 상에 광학 적층체(430)를 형성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광학 적층체(430)의 보호층(133)과 기재층(131)을 일체화하고, 나아가 일체화된 보호층(133) 상에 다기능층(132)까지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그들에 대한 합지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합지 공정이 생략됨에 따라, 점착제가 도입될 필요가 없어지며, 초-박형화된 표시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도 4a 및 도 5a의 초기 복합층(132i)을 잉크젯 프린팅으로 도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5a를 참조하면, 기재층(131) 상에는 초기 복합층(532i)이 도포될 수 있다. 초기 복합층(532i)은 액정 혼합물(LDM)을 함유할 수 있으며, 액정 혼합물(LDM)은 액정 화합물(LC)과 이색성 색소들(D)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의 용어 '프린팅'은 '잉크젯 프린팅'을 전제로 설명하는 것이나, 본 명세서의 프린팅 방식이 잉크젯 프린팅으로 제한해석될 것은 아니다.
도 9를 참조하면, 초기 복합층(532i)은 잉크젯 프린팅으로 도포될 수 있다. 초기 복합층(532i)은 기재층(131)의 전 영역에 걸쳐 프린팅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재층(131)의 일부 영역에만 프린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초기 복합층(532i)은 제1 길이(w1)로 프린팅될 수 있으며, 제1 길이(w1)로 프린팅된 초기 복합층(532i)들 사이에는 제2 길이(w2)의 간격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복합층(532i)들은 임의의 길이로 프린팅될 수 있으나, 초기 복합층(532i)들 사이는 제2 길이(w2)의 간격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발광 소자는 캐소드, 애노드 및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마련된 발광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캐소드와 애노드를 이용하여 발광 재료에 전압차를 인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발광 재료를 통해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발광 영역(EMA)은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로서 발광 재료가 마련된 일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발광 영역(EM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발광 재료가 마련되지 않았거나, 발광 소자의 광 경로를 차단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가 위치하여 광이 투과할 수 없다. 이처럼 광이 투과되지 못하는 영역은 비발광 영역(BM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길이(w1)는 표시 패널(110)에 마련된 발광 소자의 비발광 영역(BMA)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길이(w2)는 표시 패널(110)에 마련된 발광 소자의 발광 영역(EMA)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길이(w2)는 동일한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발광 영역(EMA)의 길이와 같거나 클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길이(w2)는 동일한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발광 영역(EMA)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처럼, 발광 영역(EMA)의 크기와, 초기 복합층(532i)이 프린팅되는 영역의 길이(또는 면적)을 정합시킴으로써, 다기능층(132)에 의해 광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고, 광학 적층체는 다기능층을 포함하고, 다기능층은 액정 화합물 및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을 포함하는 액정 혼합물을 함유하고, 다기능층의 하부에는 액정 화합물이 함유되되,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가 포함되지 않고, 다기능층의 상부에는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가 함유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액정 혼합물은 다기능층의 상부에서는 선 편광부로 경화되고, 다기능층의 하부에서는 위상 지연부로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선 편광부의 편광축은 위상 지연부의 편광축에 대하여 ±45도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위상 지연부는 λ/4 리타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선 편광부에는 액정 화합물 및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이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위상 지연부에는 액정 화합물이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연부에는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선 편광부에 함유된 액정 화합물 및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은 수평 방향으로 배향되고, 위상 지연부에 함유된 액정 화합물은 수평 방향과 소정의 예각을 이루도록 배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선 편광부를 이루는 2 종류 이상의 색소들은 액정 화합물에 비해 고 밀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선 편광부와 위상 지연부 사이에는 접착제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은 고 정렬성 이색성 색소, 저 정렬성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고, 고 정렬성 이색성 색소는 선 편광부의 하부에서 고 농도를 이루는 농도 구배를 갖고, 저 정렬성 이색성 색소는 선 편광부의 상부에서 고 농도를 이루는 농도 구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는 저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보다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선 편광부는 고 정렬성 이색성 색소가 가장 높은 농도로 함유되는 제1 부분, 저 정렬성 이색성 색소가 가장 높은 농도로 함유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경계는 고 정렬성 이색성 색소와 저 정렬성 이색성 색도의 농도가 동일한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선 편광부에 함유된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들은 제1 LPUV광에 의해 배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위상 지연부에 함유된 액정 화합물은 제2 LPUV광에 의해 배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LPUV광은 0도 또는 90도로 선편광된 UV광이고, 제2 LPUV광은 45도 또는 135도로 선편광된 UV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다기능층은 일 면이 제1 LPUV광에 의해 조사되고, 타 면이 제2 LPUV광에 의해 조사된 이후에 베이킹 공정에 따라 열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LPUV광이 조사되는 일 면에는 액정 화합물과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이 존재하고, 액정 화합물과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이 열 경화됨에 따라 선 편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LPUV광이 조사되는 타 면에는 액정 화합물이 존재하고, 액정 화합물이 열 경화됨에 따라 위상 지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선 편광부와 위상 지연부는 베이킹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같이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표시 패널
120 : 제1 점착제, 제1 점착층
130, 330, 430 : 광학 적층체
131 : 기재층
132 : 다기능층
133 : 보호층
134 : 제2 점착제, 제2 점착층
132a : 위상 지연부
132b : 선편광부
DR1 : 제1 방향, 수평 방향
DR2 : 제2 방향, 수직 방향
LDM : 액정 혼합물
LC : 액정 화합물
D : 이색성 색소
D1 : 제1 이색성 색소
D2 : 제2 이색성 색소
D3 : 제3 이색성 색소
DP1 : 제1 부분
DP2 : 제2 부분
DP3 : 제3 부분
132i, 532i : 초기 복합층
132ia : 제1 중간 상태부
132ib : 제2 중간 상태부
BMA : 비발광 영역
EMA : 발광 영역

Claims (18)

  1.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적층체는 다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층은 액정 화합물 및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을 포함하는 액정 혼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다기능층의 하부에는 액정 화합물이 함유되되, 상기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가 포함되지 않고, 상기 다기능층의 상부에는 상기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가 함유되는,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혼합물은 상기 다기능층의 상부에서는 선 편광부로 경화되고, 상기 다기능층의 하부에서는 위상 지연부로 경화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 편광부의 편광축은 위상 지연부의 편광축에 대하여 ±45도의 차이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부는 λ/4 리타더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 편광부에는 상기 액정 화합물 및 상기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이 함유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 편광부에 함유된 상기 액정 화합물 및 상기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은 수평 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위상 지연부에 함유된 액정 화합물은 상기 수평 방향과 소정의 예각을 이루도록 배향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 편광부를 이루는 2 종류 이상의 색소들은 상기 액정 화합물에 비해 고 밀도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 편광부와 상기 위상 지연부 사이에는 접착제가 배치되지 않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은 고 정렬성 이색성 색소, 저 정렬성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고,
    상기 고 정렬성 이색성 색소는 상기 선 편광부의 하부에서 고 농도를 이루는 농도 구배를 갖고, 상기 저 정렬성 이색성 색소는 상기 선 편광부의 상부에서 고 농도를 이루는 농도 구배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는 상기 저 정렬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 편광부는,
    상기 고 정렬성 이색성 색소가 가장 높은 농도로 함유되는 제1 부분, 상기 저 정렬성 이색성 색소가 가장 높은 농도로 함유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경계는, 상기 고 정렬성 이색성 색소와 상기 저 정렬성 이색성 색도의 농도가 동일한 지점으로 정의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 편광부에 함유된 상기 액정 화합물 및 상기 이색성 색소들은 제1 LPUV광에 의해 배향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부에 함유된 상기 액정 화합물은 제2 LPUV광에 의해 배향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PUV광은 0도 또는 90도로 선편광된 UV광이고,
    상기 제2 LPUV광은 45도 또는 135도로 선편광된 UV광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층은 일 면이 제1 LPUV광에 의해 조사되고, 타 면이 제2 LPUV광에 의해 조사된 이후에, 베이킹 공정에 따라 열 경화됨으로써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PUV광이 조사되는 일 면에는 상기 액정 화합물과 상기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이 존재하고, 상기 액정 화합물과 상기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들이 열 경화됨에 따라 선 편광부가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LPUV광이 조사되는 타 면에는 상기 액정 화합물이 존재하고, 상기 액정 화합물이 열 경화됨에 따라 위상 지연부가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 편광부와 상기 위상 지연부는 상기 베이킹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같이 경화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220185091A 2022-12-26 2022-12-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40102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478,137 US20240215412A1 (en) 2022-12-26 2023-09-2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2737A true KR20240102737A (ko) 2024-07-0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348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955445B1 (ko) 편광 소자, 편광 광원 및 이들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782827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24382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14196637A1 (ja) 光学シート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975320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105870148B (zh) 有机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US8491139B2 (en) Display apparatus
CN111190308A (zh) 液晶显示装置
KR20150144631A (ko) 코팅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KR101740639B1 (ko) 흡수염료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90090560A (ko) 다층 액정 필름,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
KR101950813B1 (ko) 코팅형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KR20160027552A (ko) 나노캡슐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24010273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476447B2 (en) Foldable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KR101737181B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20240215412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743693B1 (ko) 다층 필름, 위상차 제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4478B1 (ko)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3054595A1 (ja) 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WO2023054463A1 (ja) 積層フィルム、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US20240224760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20180074856A (ko) 미러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90090580A (ko) 다층 액정 필름,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