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2273A -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Google Patents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02273A KR20240102273A KR1020220184172A KR20220184172A KR20240102273A KR 20240102273 A KR20240102273 A KR 20240102273A KR 1020220184172 A KR1020220184172 A KR 1020220184172A KR 20220184172 A KR20220184172 A KR 20220184172A KR 20240102273 A KR20240102273 A KR 202401022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air
- cooking device
- food
- cooking
- air auxiliar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title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41000467686 Eschscholzia lobb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나 생선 등의 조리물을 조리하는 냄비나 프라이팬 등과 같은 다양한 쿠킹팬에 장착되어 쿠킹팬 내에서 열기류가 활발하게 생성되도록 하여 조리물을 신속하면서 골고루 조리할 있도록 보조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쿠킹팬에 구비되는 쿠킹 장치로서, 조리물이 놓이는 조리물 받침 부재; 상기 쿠킹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뚜껑 부재; 및 상기 뚜껑 부재에 구비되어 쿠킹팬 내부의 열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열풍 기류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류나 생선 등의 조리물을 조리하는 냄비나 프라이팬 등과 같은 다양한 쿠킹팬에 장착되어 쿠킹팬 내에서 열기류가 활발하게 생성되도록 하여 조리물을 신속하면서 골고루 조리할 있도록 보조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생선류 등의 구이는 금속이나 세라믹 등의 재질로 된 후라이팬이나 또는 금속재질로 되어 앞뒤로 뒤집는 구이판 형태의 조리기구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고 있다.
상기의 조리기구는 가열기구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직접 가해지는 조리물의 표면에서부터 열이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구이판과 접해 있는 면이 먼저 익게 되므로 반대 부위를 익히기 위해서는 조리물을 뒤집어서 조리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된다.
이런 번거로움을 덜어주고 조리물을 뒤집지 않고 한번에 익힐 수 있는 직화형 조리기구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직화형 조리기구들은 가열기구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조리기구내에 유입되어 뚜껑이나 반사판에 의해 열이 조리물의 표면에 가해져서 익히고 있어나 조리물의 표면에 가해지는 열이 일정하게 고르게 가해지지 않아서 조리물이 부분적으로 타거나 덜 익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내에 출원된 국내특허등록 제10-907608호 간편조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특허는 가열기구에서 발생되는 열이 조리기구에 유입되어 뚜껑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반사판에 부딪혀서 와류가 발생하여 조리물을 입체적으로 가열히여 신속하게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간편 조리기는 가열기구에서 발생하여 조리기구의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열은 뚜껑의 저면에 고정된 반사판의 골과 마루에 부딪혀서 와류가 발생한다고 하나 와류 발생강도는 미미한 것으로서 이것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조리물에 열이 골고루 가해지지 못하게 되고 이로인해 조리물이 균일하게 익혀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조리기구는 가열기구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직접 가해지는 조리물의 표면에서부터 열이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구이판과 접해 있는 면이 먼저 익게 되므로 반대 부위를 익히기 위해서는 조리물을 뒤집어서 조리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최근 가정 내에서는 전기 구이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 전기 구이 방식의 쿠킹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종래 전기 구이 방식의 쿠킹 장치를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외주면 일측에 제어부(102)가 설치된 베이스(101)와,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전기히터(111)와, 상기 전기히터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팬(121)과, 그리고 상기 팬의 상부를 덮는 덮개(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기히터(111)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히터 플레이트(112)와, 상기 히터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전열선(113)과, 상기 히터 플레이트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하로 탄성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114)와, 그리고 상기 히터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어 온도감지센서의 상하이동에 따라 전열선으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리미트 스위치(115)를 가진다.
따라서, 팬(121)에 요리물을 넣어 전기히터(111) 상부에 놓으면 팬(121)의 자중에 의하여 온도감지센서(114)가 하향이동함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115)가 ON됨으로써 전열선(113)에 전원이 공급되고, 이 전열선(113)의 발열에 의하여 팬(121)이 가열됨으로써 팬(121) 내부에 들어있는 요리물이 가열된다. 전열선(113)의 저항열은 팬(121)의 저면에 접촉하고 있는 온도감지센서(114)의 감지신호와 제어부(102)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전기 요리팬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플레이트(112)의 가장자리 상부로 돌출된 플랜지(117)와 팬(121)의 가장자리 상부로 돌출된 플랜지(127)와의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므로 히터 플레이트(112)와 팬(121)과의 사이로 유입되어 전열선(113)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상기 공간으로 이동하여 팬(121)의 외주면이 가열되지만 팬(121)의 플랜지(127) 끝부분과 베이스(101)의 가장자리 상부로 돌출된 플랜지(107) 상단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존재하므로 가열공기가 상기 간극을 통하여 전기 요리팬 외부로 그대로 빠져나가 버린다. 따라서, 팬(121)의 바닥과 팬(121)의 플랜지(127)만 가열이 되기 때문에 팬(121)의 바닥온도가 상승한다 하더라도 가열공기가 덮개(131)에 의하여 덮인 팬(12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이 될 수 없다. 이에 따라 팬(121)의 내부공간에서의 대류현상이 미약하여 공기분포가 거의 일정함에 따라 팬(121)의 내부공간의 온도는 팬(121)의 바닥온도보다 상당히 낮은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팬(121)의 내부공간의 온도분포도 일정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팬(121)의 바닥온도와 팬(121)의 내부공간의 온도와의 차이가 커지면 요리물의 아래쪽과 요리물의 위쪽의 익는 속도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요리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익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열효율도 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방식의 종래 쿠킹팬 및 전기 구이 방식의 쿠킹팬은 열원으로부터 발열되는 열기의 일부가 상기 조리대상물에 순환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열손실이 발생하여 제품의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열원의 열손실에 의해 상기 조리대상물이 안정적으로 조리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조리시간이 증가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육류나 생선 등의 요리물을 조리하는 냄비나 프라이팬 등과 같은 다양한 쿠킹팬에 장착되어 쿠킹팬 내에서 열기류가 활발하게 생성되도록 하여 요리물을 신속하면서 골고루 조리할 있도록 보조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쿠킹팬에 구비되는 쿠킹 장치로서, 조리물이 놓이는 조리물 받침 부재; 상기 쿠킹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뚜껑 부재; 및 상기 뚜껑 부재에 구비되어 쿠킹팬 내부의 열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열풍 기류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리물 받침 부재는 단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받침대 본체부; 상기 받침대 본체부에 복수 형성되는 열기유통 구멍부; 상기 받침대 본체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받침 지지부; 및 상기 받침대 본체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조리물 공간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형 또는 다각형의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뚜껑 본체부; 및 상기 뚜껑 본체부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풍 기류 발생 수단은 상기 뚜껑 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축이 상기 뚜껑 부재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구비되는 블레이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온/오프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풍 기류 발생 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구비되는 블레이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블레이드 높이 조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높이 조정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동모터 결합 브라켓; 상기 구동모터 결합 브라켓의 단부에 구비되는 조작 노브; 및 상기 조작 노브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 결합 브라켓은 "ㄱ"자형 브라켓으로 형성되고, 상기 "ㄱ"자형 브라켓의 일단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하면에서 회전축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홈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종방향으로 복수의 결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조작 노브에서 연장되는 결합 샤프트가 상기 구동모터 결합 브라켓의 결합 구멍에 나사산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조작 노브의 내측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결합 샤프트가 상기 결합 브라켓에 나사산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열풍 기류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 기류를 와류 또는 하향류의 흐름을 갖도록 하는 기류 유도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류 유도 수단은 상기 뚜껑 부재의 내면에 구비되고, 끼움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구; 및 상측 양단부에 상기 결합구의 끼움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와류 형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류 형성 부재는 전장에 걸쳐 폐쇄된 플레이트로 형성되거나, 관통로가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류 형성 부재는 트위스트(twist)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육류나 생선 등의 조리물을 신속하고 골고루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조리물을 뒤집을 필요가 없어 조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뚜껑 개방으로 인한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나 형태의 쿠킹팬에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경제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조리물에 따라 열풍 흐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기 구이 방식의 쿠킹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전기 구이 방식의 쿠킹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포함되는 뚜껑 부재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포함되는 열풍 기류 발생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포함되는 기류 유도 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포함되는 기류 유도 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전기 구이 방식의 쿠킹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포함되는 뚜껑 부재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포함되는 열풍 기류 발생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포함되는 기류 유도 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포함되는 기류 유도 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포함되는 뚜껑 부재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포함되는 열풍 기류 발생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는, 쿠킹팬에 구비되어 조리물의 조리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 쿠킹 장치로서,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조리물 받침 부재(100)와, 뚜껑 부재(200), 및 열풍 기류 발생 수단(300)을 포함하며, 기류 유도 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는, 쿠킹팬에 구비되어 조리물의 조리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 쿠킹 장치로서,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킹팬의 바닥부에 놓이고, 생선이나 육류 등의 조리물이 놓이는 조리물 받침 부재(100); 상기 쿠킹팬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그 쿠킹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뚜껑 부재(200); 및 상기 뚜껑 부재(200)에 구비되어 쿠킹팬 내부의 열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열풍 기류 발생 수단(30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는, 상기 뚜껑 부재(200)에 구비되어 상기 열풍 기류 발생 수단(300)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 기류를 와류 및/또는 하향류의 흐름을 갖도록 하는 기류 유도 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물 받침 부재(100)는 쿠킹팬의 바닥부에 놓이고, 생선이나 육류 등의 조리물이 놓여 상방과 하방를 포함하는 사방 측에서 열기에 의해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리물 받침 부재(100)는 단면 원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대 본체부(110)와, 상기 받침대 본체부(110)에 복수 형성되는 열기유통 구멍부(120)와, 상기 받침대 본체부(110)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받침대 본체부(110)의 하면이 쿠킹팬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받침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리물 받침 부재(100)는 상기 받침대 본체부(110)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조리물 공간 이격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물 공간 이격부(140)에는 복수의 기름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조리물 공간 이격부(140)는 장홈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리물 받침 부재(1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조리물 공간 이격부(140)는 조리물 받침 부재(100)에 올려진 조리물의 하면의 일부분에 대하여 공간을 확보하여 그 조리물 받침 부재(100)에 조리물이 들러붙는 현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열기에 의해 조리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또한 조리물에서 흘러나온 기름이 모이는 기름받이홈으로서의 기능도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뚜껑 부재(200)는 상기 쿠킹팬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그 쿠킹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부재(200)는 원형 돔 형상 또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커버체로 형성되는 뚜껑 본체부(210), 및 상기 뚜껑 본체부(210)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단계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턱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 본체부(210)는 쿠킹팬의 상부 개방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부재(200)에는 쿠킹팬의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인 경우, 이를 배압할 수 있는 배출구(211)가 구비된다.
상기 단턱부(220)는 뚜껑 본체부(210)의 중심점을 동심원으로 하여 상방 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단턱부(220)는 쿠킹팬의 상부 사이즈에 맞는 단턱부(220)의 단차 측면이 쿠킹팬의 테두리부 내측에 안착되어 쿠킹팬의 상부를 커버하게 된다.
상기 단턱부(22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열풍 기류 발생 수단(300)은 상기 뚜껑 부재(200)에 구비되어 쿠킹팬 내부의 열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풍 기류 발생 수단(300)은 상기 뚜껑 부재(200)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축(321)이 뚜껑 부재(200)의 중심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동모터(320)와, 상기 구동모터(320)의 회전축(321)의 단부(하단부)에 구비되는 블레이드(회전날개)(330)와,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320)에 구동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340), 및 상기 하우징(31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어 구동모터(320)의 구동을 온/오프(즉, 배터리(340)로부터의 전력을 공급/차단)하는 온/오프 스위치(35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10)에서 상기 배터리(34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커버(311)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320)가 뚜껑 부재(200)를 관통하는 부분에는 실링부재(322)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모터(320)는 하우징(310)의 내부에서 회전방향으로는 구속되고, 상하방향으로는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블레이드 높이 조정 수단(360)에 의해 높이가 조정될 때 구동모터(32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열풍 기류 발생 수단(300)은 구동모터(320)의 회전축(321)의 단부에 구비되는 블레이드(3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블레이드 높이 조정 수단(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높이 조정 수단(360)은 일단부는 상기 구동모터(320)의 일측(도면에는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동모터 결합 브라켓(361)과, 상기 결합 브라켓(361)의 단부에 구비되어 결합 브라켓(361)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조작하도록 구비되는 조작 노브(362), 및 상기 조작 노브(362)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킨 위치에서 상기 조작 노브(362)가 하우징(310)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브라켓(361)은 "ㄱ"자형 브라켓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상기 구동모터(320)의 하면에서 회전축(32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홈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종방향으로 복수의 결합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 노브는 다이얼 노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조작 노브(362)의 내측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결합 샤프트(371)가 상기 결합 브라켓(361)에 나사산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블레이드 높이 조정 수단(360)은 쿠킹팬의 바닥부로부터의 이격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각기 높이(깊이)가 다른 쿠킹팬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뚜껑 부재(200)에 구비되어 상기 열풍 기류 발생 수단(300)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 기류를 와류 및/또는 하향류의 흐름을 갖도록 하는 기류 유도 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포함되는 기류 유도 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포함되는 기류 유도 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기류 유도 수단(400)은 뚜껑 부재(200)의 내면에 구비되고, 끼움 결합공(411)이 형성된 결합구(410), 및 상측 양단부에 상기 결합구(410)의 끼움 결합공(41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 돌기(421)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구(4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와류 형성 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와류 형성 부재(42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장에 걸쳐 폐쇄된 플레이트로 형성되거나,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로가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류 형성 부재(420)는 트위스트(twist)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와류 형성 부재(420)는 상기한 열풍 기류 발생 수단(300)의 블레이드(33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평면 측으로의 열풍 기류(열풍 흐름)가 그 와류 형성 부재(420)에 부딪혀 하향 기류를 형성시켜 조리물로 전달함으로써 조리물이 더욱 신속하고 골고루 익혀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 9에 나타낸 기류 유도 수단(400)의 와류 형성 부재(420)의 경우, 일부는 하향 기류를 형성하고, 일부는 관통로를 통해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다방향이고 복합적인(즉, 와류와 멤돌이류) 열풍 기류를 발생시켜 조리물이 보다 골고루 익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 결합 돌기(421)는 와류 형성 부재(4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끼움 결합 돌기(421)는 상부측 샤프트와 하부측 샤프트로 분할되고, 이 두 샤프트가 나사산 결합되게 형성되어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쿠킹팬의 높이에 따라 와류 형성 부재(4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끼움 결합 돌기(421)는 텔레스코핑(telescoping)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에 의하면, 육류나 생선 등의 조리물을 신속하고 골고루 조리할 수 있고, 조리물을 뒤집을 필요가 없어 조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뚜껑 개방으로 인한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나 형태의 쿠킹팬에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경제성이 뛰어나며, 조리물에 따라 열풍 흐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리물 받침 부재
110: 받침대 본체부
120: 열기유통 구멍부
130: 받침 지지부
140: 조리물 공간 이격부
200: 뚜껑 부재
210: 뚜껑 본체부
211: 배출구
220: 단턱부
300: 열풍 기류 발생 수단
310: 하우징
311: 개폐커버
320: 구동모터
321: 회전축
322: 씰링부재
330: 블레이드(회전날개)
340: 배터리
350: 온/오프 스위치
360: 블레이드 높이 조정 수단
361: 구동모터 결합 브라켓
362: 조작 노브
371: 결합 샤프트
400: 기류 유도 수단
410: 결합구
411: 끼움 결합공
420: 와류 형성 부재
421: 끼움 결합 돌기
110: 받침대 본체부
120: 열기유통 구멍부
130: 받침 지지부
140: 조리물 공간 이격부
200: 뚜껑 부재
210: 뚜껑 본체부
211: 배출구
220: 단턱부
300: 열풍 기류 발생 수단
310: 하우징
311: 개폐커버
320: 구동모터
321: 회전축
322: 씰링부재
330: 블레이드(회전날개)
340: 배터리
350: 온/오프 스위치
360: 블레이드 높이 조정 수단
361: 구동모터 결합 브라켓
362: 조작 노브
371: 결합 샤프트
400: 기류 유도 수단
410: 결합구
411: 끼움 결합공
420: 와류 형성 부재
421: 끼움 결합 돌기
Claims (12)
- 쿠킹팬에 구비되는 쿠킹 장치로서,
조리물이 놓이는 조리물 받침 부재;
상기 쿠킹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뚜껑 부재; 및
상기 뚜껑 부재에 구비되어 쿠킹팬 내부의 열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열풍 기류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물 받침 부재는
단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받침대 본체부;
상기 받침대 본체부에 복수 형성되는 열기유통 구멍부;
상기 받침대 본체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받침 지지부; 및
상기 받침대 본체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조리물 공간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또는 다각형의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뚜껑 본체부; 및
상기 뚜껑 본체부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기류 발생 수단은
상기 뚜껑 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축이 상기 뚜껑 부재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구비되는 블레이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온/오프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기류 발생 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구비되는 블레이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블레이드 높이 조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높이 조정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동모터 결합 브라켓;
상기 구동모터 결합 브라켓의 단부에 구비되는 조작 노브; 및
상기 조작 노브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 결합 브라켓은 "ㄱ"자형 브라켓으로 형성되고,
상기 "ㄱ"자형 브라켓의 일단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하면에서 회전축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홈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종방향으로 복수의 결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조작 노브에서 연장되는 결합 샤프트가 상기 구동모터 결합 브라켓의 결합 구멍에 나사산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조작 노브의 내측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결합 샤프트가 상기 결합 브라켓에 나사산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열풍 기류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 기류를 와류 또는 하향류의 흐름을 갖도록 하는 기류 유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유도 수단은
상기 뚜껑 부재의 내면에 구비되고, 끼움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구; 및
상측 양단부에 상기 결합구의 끼움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와류 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형성 부재는
전장에 걸쳐 폐쇄된 플레이트로 형성되거나, 관통로가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형성 부재는 트위스트(twist)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4172A KR20240102273A (ko) | 2022-12-26 | 2022-12-26 |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4172A KR20240102273A (ko) | 2022-12-26 | 2022-12-26 |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2273A true KR20240102273A (ko) | 2024-07-03 |
Family
ID=9190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4172A KR20240102273A (ko) | 2022-12-26 | 2022-12-26 |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02273A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2131A (ko) | 1995-06-09 | 1997-01-24 | 강제대류식 조리장치 | |
KR200170825Y1 (ko) | 1999-09-07 | 2000-03-15 | 주식회사창성어플라이언스 | 분리식 전기 요리팬의 대류장치 |
KR20080005316A (ko) | 2006-07-08 | 2008-01-11 | 김병연 | 조리용 보조기구 |
KR100907608B1 (ko) | 2008-06-09 | 2009-07-14 | 박준규 | 간편 조리기 |
KR101791560B1 (ko) | 2017-05-04 | 2017-10-30 | (주)조이쿡 |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
KR20200011812A (ko) | 2018-07-25 | 2020-02-04 | 강예찬 | 조리 기구에 탈부착 가능한 가열 보조 기구 |
-
2022
- 2022-12-26 KR KR1020220184172A patent/KR20240102273A/ko unknow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2131A (ko) | 1995-06-09 | 1997-01-24 | 강제대류식 조리장치 | |
KR200170825Y1 (ko) | 1999-09-07 | 2000-03-15 | 주식회사창성어플라이언스 | 분리식 전기 요리팬의 대류장치 |
KR20080005316A (ko) | 2006-07-08 | 2008-01-11 | 김병연 | 조리용 보조기구 |
KR100907608B1 (ko) | 2008-06-09 | 2009-07-14 | 박준규 | 간편 조리기 |
KR101791560B1 (ko) | 2017-05-04 | 2017-10-30 | (주)조이쿡 |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
KR20200011812A (ko) | 2018-07-25 | 2020-02-04 | 강예찬 | 조리 기구에 탈부착 가능한 가열 보조 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51722B2 (en) |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 |
EP2799778B1 (en) | Cooking apparatus | |
KR100869185B1 (ko) | 간편 조리기 | |
EP2133014B1 (en) | Cooker for use with gas stoves | |
KR200476906Y1 (ko) | 적외선 조사부의 회전이동이 가능한 적외선 가열 구이기 | |
JPWO2017145793A1 (ja) |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グリル皿 | |
KR200477329Y1 (ko) | 적외선 가열 구이기 | |
JP7272963B2 (ja) | 蒸気発生器を備えた調理器 | |
KR101236868B1 (ko) | 휴대용 숯불 구이 장치 | |
KR20240102273A (ko) | 열풍식 보조 쿠킹 장치 | |
JP4366236B2 (ja) | 電磁誘導調理器具における換気補助装置 | |
US20190069353A1 (en) | Dimpled Wok | |
CN111374567A (zh) | 烘烤器具 | |
KR102204408B1 (ko) |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 |
CN215899395U (zh) | 烹饪器具 | |
KR20110003628U (ko) |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 |
KR101935866B1 (ko) |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 |
JP2017029655A (ja) | 熱風対流機能付き調理器具 | |
KR20110037278A (ko) | 버너 조립형 직화오븐 | |
KR20110003992U (ko) | 상하 조절이 가능한 반사판을 구비한 직화형 요리기기의 뚜껑 | |
KR20100118433A (ko) | 직화 오븐 | |
KR20110007650U (ko) | 무동력 방열 구이기 | |
JPH1089700A (ja) | 厨房設備 | |
KR20110008794U (ko) | 일체형 반사판을 장착한 직화요리기기 | |
KR20110003644A (ko) | 구이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