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4286A -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4286A
KR20240084286A KR1020220168977A KR20220168977A KR20240084286A KR 20240084286 A KR20240084286 A KR 20240084286A KR 1020220168977 A KR1020220168977 A KR 1020220168977A KR 20220168977 A KR20220168977 A KR 20220168977A KR 20240084286 A KR20240084286 A KR 20240084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lt
grip
vibr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은지
Original Assignee
임은지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은지 filed Critical 임은지
Publication of KR2024008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4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5Reciprocating movement along, in or on a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61H11/02Massage devices with strips oscill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by torsion of the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정확하게 선택된 신체 부위에 대한 마사지와 근력 강화가 가능한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측에 결합되고 진동을 전달하는 벨트부를 구비하는 벨트진동장치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하체에 대한 상체의 움직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재가 레일부를 따라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그립장치를 포함하는 복합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COMPLEX EXERCISE DEVICE CAPABLE OF EXERCISING SELECTED BODY PARTS}
본 발명은 근육의 운동 및 스트레칭을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확하게 선택된 신체 부위에 대한 근력 강화와 마사지가 가능한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산업화 및 도시화되고 교통수단이 발달함에 따라 걷거나 움직이는 시간이 점차 감소할 뿐만 아니라, 운동할 수 있는 시간적, 공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운동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의 부족은 근육의 노화와 경직 현상을 발생시키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성인병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현대인들을 위하여 실내외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동을 할 수 있는 기구들이 지속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실외에서 운동을 수행하는 기구의 경우 이동이 번거롭고 공간이 크게 필요한 단점이 있고, 실내에서 운동하도록 하는 기구의 경우는 운동의 효과와 재미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코로나 판데믹의 영향으로 실외나 헬스장 등 다수가 모이는 장소에서의 운동에 대한 제약이 심화되고 있기에 외부 접촉을 하지 않고 실내에서 개인화된 운동기구에 대한 요청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실내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운동기구들에는 런닝머신, 푸시업바, 자전거형 운동기구, 벤치프레스, 덤벨, 짐볼, 줄넘기, 철봉 등이 있으며 실내 운동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운동방식을 융합하여 복합적인 운동을 할 수 있는 기구들도 다수 개발되고 있다.
한편, 근육을 풀고 마사지를 하기 위하여 벨트 마사지기가 있으며, 통상 이러한 벨트 마사지기는 베이스판에 모터가 내장된 본체가 입설되고, 마사지 벨트는 상기 모터에 진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상기 본체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베이스판 위에 올라서서 상기 벨트를 이용해 신체 각 부위를 마사지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139호는 종래기술의 벨트마사지기를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받침대(10)에 구비된 본체(40)와, 상기 본체(40)의 내부에 구비된 벨트진동장치(50)와, 상기 발판(20)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40)의 외부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벨트진동장치(50)에 연결된 벨트(60)를 포함하는 수평운동부(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벨트 마사지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발판진동장치(30)를 포함하는 수직운동부(a)를 부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벨트 마사지기의 경우 근육을 활용하는 운동과는 달리 이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스포츠센터와 같은 곳에 별도로 구비하여 운동 전후에 근육을 마사지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벨트 마사지기의 경우 원하는 부위에 정확한 진동의 전달에 한계가 있다. 통상의 사용 방식에 따르면 좌우 벨트가 연결되는 후방측에 허리나 복부를 지탱한 상태에서 소정의 장력을 만들어주어야 벨트진동장치의 진동이 벨트를 통하여 원활하게 전달되는데, 하중이 크게 가해지는 허리나 복부 부위에서만 강한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근래에 이러한 벨트 마사지기의 경우 복부보다는 옆구리에 진동을 가하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목적 달성이 어렵다. 더군다나 신체의 다른 부위에 진동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더욱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벨트의 진동을 신체의 정확한 부위에 전달하여 마사지 또는 다이어트 등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의 다양한 부위를 동시에 마사지할 수 있으면서도 신체의 부위를 효과적으로 지탱하고 마사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에 운동공간을 마련하는 베이스프레임(1100),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며 벨트부(1420)에서 진동을 발생하는 벨트진동장치(140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의 전방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전방프레임(1520)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1520)의 상측에서 좌우로 형성되는 레일부(1550)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송되는 그립부재(1560)를 구비하는 그립장치(1500)를 포함하는 복합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부는 중심보다 좌우가 후측으로 배치되는 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그립부재는 레일부를 전후로 감싸며 레일부를 추종하여 이동할 수 있는 접촉가이드(1561)와, 상기 접촉가이드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1562)와, 상기 바디의 하측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파지부(15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촉가이드는, 상단에 개구가 형성되고 레일부와 전방프레임 상측의 연결부위가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절프레임(1430) 및 상기 벨트부와 조절프레임을 연결하되 신축 가능한 연결부(1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프레임은, 연결부와의 접촉 부위가 가변되어 벨트부의 높이 또는 각도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진동이 전달되는 신체의 부위가 변화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하로 그립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프레임(1530)과, 좌우로 그립장치를 틸팅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1510)를 구비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종래의 벨트 마사지기의 진동의 전달 기능에 부가하여 신체의 다양한 포인트에 대한 진동 자극이 가능하기 때문에 마사지 기능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립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를 바꾸어 가면서 신체를 지탱할 수 있고 근력강화의 및 스트레칭이 동시에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벨트부의 적용 및 높낮이 선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립되는 부위의 전후 및 좌우 이동과 각도조절과 간격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체형, 자세 및 원하는 운동 부위의 선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에, 다양한 사용자의 유형과 운동의 목적에 유연하게 적응하여 근육의 강화 및 스트레칭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실내용 복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에서 벨트부의 높이 조절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벨트부의 높이 조절을 위한 구성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측에 결합되고 진동을 전달하는 벨트부를 구비하는 벨트진동장치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하체에 대한 상체의 움직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재가 레일부를 따라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그립장치를 포함하는 복합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는 운동공간에서 다양한 유형의 운동이 가능할 것인데, 사용자의 배치되는 위치나 방향 또는 신체의 변형에 따라 용어의 방향성은 이하의 설명과 다를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운동이란 근육을 사용하여 신체를 움직이는 것은 물론 진동 또는 마찰력을 통하여 근육을 이완 또는 스트레칭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베이스프레임(1100)은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하고 바닥면에 배치되는 부재를 의미하는데, 도시된 예에서는 평판 형태로 나타났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10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서거나, 앉거나, 눕거나, 엎드리거나, 상체를 굽히거나, 하체를 들어올리는 등의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운동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운동공간의 크기는 사용자의 배치나 자세 또는 크기 등의 요소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의 후방으로는 벨트진동장치(1400)가 결합되고, 전방으로는 그립장치(1500)가 결합되어 그 사이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진동의 제공 및 스트레칭이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상기 벨트진동장치(1400) 및/또는 그립장치(1500)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적절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후방프레임(1200)은 베이스프레임(1100)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벨트진동장치(1400)를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1200)은 벨트진동장치(140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신체의 지지에 따른 부하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벨트진동장치(140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의 완충과 관련하여서는 후술한다.
상기 벨트진동장치(1400)는 구동계통을 가지는 본체부(1410)와 상기 본체부(141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벨트부(14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410)는 예를 들어,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하여 편심 회전되는 축과 같은 공지의 다양한 진동발생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벨트부(1420)는 진동축에 양단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면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벨트부(1420)는 양측 말단에서 본체부(1410)에 연결되고 상호 전방측에서 연결된다.
사용자는 신체의 일부분에 벨트부(1420)의 부위를 접촉하거나 감싸도록 하면서 소정의 자세에 따라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후술될 바와 같이 상기 진동의 전달 부위를 가변 및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종래기술의 경우 단순 벨트 마사지기가 바닥에 고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를 허리에 감는 식으로 연결하여 진동을 전달받는 데 그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정확한 부위에 밀착하여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고, 허리 부분 외에 신체의 다른 부위에 적용하는 것은 더욱 어려웠다. 또한, 사용자가 상반을 굽히거나 뒤로 젖혀 스트레칭 하는 등의 자세를 취하는 것도 매우 어렵기 때문에 벨트 마사지기의 활용은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여 벨트진동장치(1400)의 반대측에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그립장치(1500)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베이스프레임(1100)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전방프레임(1520)의 상측에는 그립장치(1500)가 구성된다. 이러한 그립장치(150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부위와 상기 파지되는 부위가 전후 및/또는 좌우 및/또는 상하로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는 부위를 마련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그립장치(1500)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파지 부위를 잡은 상태에서 상체를 지지하거나 자세의 변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벨트진동장치(1400)에 의한 진동 전달 및 근력 강화의 효과가 동시에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진동 전달의 정확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벨트부(1420)를 전방측에 고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전방프레임(1520) 측에 조절프레임(143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프레임(1430)은 전방프레임(1520)에 인접된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전방프레임(15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며, 높이방향으로 벨트부(1420)의 위치를 이동하며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조절프레임(1430)이 전방프레임(1520)의 후측에 직립되어있고, 상기 조절프레임(1430)의 상하측을 따라 벨트부(1420)의 전단측 또는 전단에 연결되는 부위가 이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벨트부의 높이 조절을 위한 실시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에서 벨트부의 높이 조절을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전방프레임(152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조절프레임(1430)은 대략 전방프레임(1520)과 평행하게 베이스프레임(1100)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520)보다는 작은 직경의 환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절프레임(143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그 외주측의 일부분에서 벨트부(1420)와 연결되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 벨트부(1420)의 전단측는 연결부(1440)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1440)의 말단측이 상기 조절프레임(1430)에 상하 이송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1440)의 일단은 벨트부(1420) 전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조절부재(1450)에 결합된다. 상기 조절부재(1450)는 예를 들어, 조절프레임(1430)의 외연을 감싸는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절부재(1450)의 내면과 조절프레임(1430)의 외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선택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1450)가 배치되는 조절프레임(1430)의 높이에 따라 벨트부(1420)의 높이 및/또는 각도가 가변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440) 및 조절프레임(1430)은 제1기능으로 조절부재(1450)의 높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촉부위의 선택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440) 및 조절프레임(1430)은 제2기능으로 벨트 전단 측이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신체 부위에만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후방프레임(1200) 방향을 바라보고 서있을 때 허리 뒤쪽에서는 벨트부(1420)의 내주측과 이격되고 옆구리 부위에만 벨트부(1420)의 양측이 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측방을 바라보고 서 있을 때 허리 및 배 부위에만 벨트부(1420)의 양측이 밀착되어 진동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그립장치(1500)와의 관계에 따라 더욱 정확한 선택이 가능하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용상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1440)는 코일 스프링 또는 고무밴드 등과 같이 신축 가능하고 탄성 복원력이 있는 재질이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1440)의 길이는 벨트부(1420)의 길이 및 사용자의 위치 관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1450)와 조절프레임(1430)의 상대적 위치의 고정은 다양한 방식이 선택될 수 있을 것인데, 일실시예로 조절부재(1450)의 내주측에 고무나 벨크로 등의 마찰력이 높은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선택된 높이에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프레임(1430)의 조절부재(1450)와 마찰되는 부위에 소정의 높낮이 조절용 요철들을 가질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조절부재(1450)와 조절프레임(1430) 사이에 스냅버튼, 후크, 쐐기, 볼트 등의 선택된 높이를 고정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탈착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에 따른 벨트부(1420)의 처짐 등을 고려하여 벨트부(1420) 및/또는 연결부(1440)는 길이조절 기능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된 상태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벨트부(1420)의 높이를 사용자의 허리 높이로 선택하도록 조절부재(1450)의 높이를 조절하고, 전방프레임(1520)을 바라보고 서있을 때 벨트부(1420)는 연결부(1440)의 장력에 따라 형상을 어느 정도 유지한 상태에서 벨트부 전단이 사용자의 배에서 이격될 수 있다. 옆구리 양측에 진동이 전달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허리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굽혀서 스트레칭을 하는 동시에 진동의 전달 강도와 부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조절프레임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높이의 선택 기능을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프레임이 전후방향의 요철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를 절곡형 조절프레임(1431)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절곡형 조절프레임(1431)은 전후방향 지그재그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높이 조절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절곡된 간격은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절곡된 형상은 각 쐐기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라운드지게 굽혀진 것도 절곡의 의미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는 조절부재(1450)를 전방측으로 소정 간격 당겨 이격시킨 다음 조절프레임의 높이방향을 선택하고 선택한 높이의 홈 부분에서 걸리도록 하여 높이를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조절프레임은 하단이 베이스프레임(11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측은 개방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사용과정에서 조절부재(1450)가 상방으로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상단측에 소정의 스토퍼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조절프레임의 상단측에는 말단을 덮는 형태로 상판부(152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판부(1521)는 조절프레임(1430, 1431)의 상단에 결합되는 원반 형상으로 된 것을 고려해볼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520)과 조절프레임(1430, 1431)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조절프레임(1430, 1431)에서 강한 힘을 받는 경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립장치(1500)는 벨트진동장치(1400)의 위치의 반대쪽에서 베이스프레임(1100)에 결합되는 전방프레임(15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선택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100)에 대해 전방프레임(1520) 및/또는 후방프레임(1200)은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자의 유형과 운동방식에 적응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벨트진동장치(1400)의 벨트부(1420)의 높이조절 기능을 제안하였다.
상기 그립장치(1500)는 대략 사용자가 벨트진동장치(14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손을 들었을 때 자연스럽게 파지할 수 있는 높이와 폭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신체 유형에 따라 상기 그립장치(1500)는 전방프레임(1520)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방프레임(1520)은, 저부의 프레임에 대해 인입출하는 방식으로 높이 조절되는 신축프레임(1530)을 포함하여 그립장치(15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그립장치(1500)는 전방프레임(1520)에 대해 좌우 스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전방프레임(1520)이 힌지부(1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510)는 허용 범위 안에서만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공지의 좌우 회동 제한용 스토퍼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힌지부(1510) 상측에서 그립장치(1500)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회동프레임(1540)으로 정의한다.
상기 전방프레임(1520)의 저부와 신축프레임(1530)의 높이 조절 상태 및 신축프레임(1530)과 회동프레임(1540)의 각도 설정 상태에서 움직임을 잠금하도록 소정의 로킹수단(미도시)이 추가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로킹수단은 예를 들어, 각 프레임 사이를 관통 연결할 수 있는 핀과 같은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그립장치(1500)에 의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그립장치(1500)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회동프레임(1540) 및/또는 전방프레임(1520)의 상단측에서 다소 후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그립장치(15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크게 양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레일부(1550)와 상기 레일부(1550)를 따라 이동 가능한 그립부재(1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1550)는 전방프레임(1520)의 상측의 선택된 높이에 배치되고 기본적으로 좌우로 길게 연장되는 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나 사용자가 폭방향 중심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중심에서 양측으로 갈 수록 후측에 배치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치 형의 환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그립부재(1560)의 상측이 레일부(1550)의 외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좌우 및/또는 전후로 이송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레일부(1550)는 소정의 각을 가지고 절곡된 형태도 고려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측에서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레일부(1550)는 경우에 따라 그립부재(1560)와 연결될 수 있는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1560)는 레일부(1550)를 추종하며 상하 방향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접촉가이드(1561)와, 하측에 파지가 가능한 파지부(15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같이 상기 레일부(1550)가 환봉 형태로 이루어진다면 접촉가이드(1561)는 하측에 바디(1562)가 연장되고 내주측이 레일부(155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가이드(1561)의 상단측은 좌우로 개방된 개구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레일부(1550)와 전방프레임(1520)의 상단측의 연결부위가 상기 개구를 가로지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립부재(1560)가 좌우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고려하면 상기 전방프레임(1520)의 상단측 부위와 레일부(1550)의 연결부위는 판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촉가이드(1561)로부터 하측으로 선택된 길이로 바디(1562)가 연장되고, 상기 바디(1562)의 하측에서 좌우로 파지가 가능한 파지부(1563)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1563)의 양측을 손으로 잡고 원하는 위치에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립부재(1560)의 구성에 따라 레일부(1550)를 추종하여 좌우 및/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부(1510) 및/또는 신축프레임(1530)의 구성에 의하여 상하 높이 조절 및 좌우 틸팅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추가하여 상기 레일부(1550) 측을 사용자에 대한 인접 및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전후 틸트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레일부(1550) 측 및/또는 회동프레임(1540) 측 및/또는 전방프레임(1520) 측에는 전후로 틸팅 가능한 전후회동부(미도시)를 추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러한 전후 틸팅 각도를 조정하여 전후 거리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후 틸팅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힌지부(1510)의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520)에서 상판부(1521)가 연장되어 베이스프레임(1100)과의 사이에 조절프레임(1430)을 상하로 지지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기본적으로 도 5의 실시예를 측면에서 바라보고 있으며 추가되는 구성의 경우 후술하도록 한다.
전방으로 그립장치(1500)가 구성되고 후방으로 벨트진동장치(1400)가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그립장치(1500)를 지향하여 서 있는 상태이다. 다만, 상기 사용자의 배치는 반전될 수 있고 측면을 지향하거나 다양한 자세를 이룰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벨트부(1420)의 말단은 사용자의 전방 부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골반 전방에 다소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은 연결부(1440)에 의하여 기능한다. 이때, 상기 조절부재(1450)의 조절프레임(1430)에 대한 위치를 변경함으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부위를 가변할 수 있다.
도시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골반 측면 및 허벅지 부위를 스트레칭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베이스프레임(1100)의 상측으로 회전발판(1600)이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밟고 서있을 때 좌우로 회전하면서 마사지 부위를 조정하거나 신체를 스트레칭할 수 있을 것이다.
회전발판(1600)에 선 상태에서 사용자는 그립장치(1500)의 파지부(1563)를 잡고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반신을 하반신에 대해 굽히는 동작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그립부재(1560)가 레일부(1550)에 대해 이송 가능하기 때문에 좌우 및/또는 전후로 위치를 바꾸어가면서 자세를 조정하고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신체에 벨트부(1420)가 마찰하는 부위가 가변될 수 있고 이는 신체의 부위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그립부재(1560)가 레일부(1550)에 대하여 전후로 스윙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상체를 전후방 및/또는 측방으로 굽히는 동작이 가능하고, 하반을 들어올리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의 과정에서 사용자의 부하를 지탱할 수 있을 것이며 움직임의 과정에서 근육을 사용하기 때문에 근력 강화의 효과도 있다.
한편, 이러한 벨트 마사지기가 실내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음을 고려하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이 바닥면에 직접 안착되는 경우보다 그 사이에 방진구조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의 하측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부(17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710)는 벨트진동장치(1400)의 작동에 따른 진동이 바닥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착되는 것으로 공지의 다양한 아이솔레이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 상태에서는 소정 케이싱 내에 금속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이나 상기 재질 및 형상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 및/또는 후방프레임(1200) 및/또는 그립장치(1500) 및/또는 조절프레임(1430) 및/또는 전방프레임(1520)에는 다양한 운동의 선택을 위하여 추가적인 운동 디바이스들을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베이스프레임(1100) 측에 구성되는 푸쉬업(Push up) 기구, 윗몸일으키기 운동이 가능하도록 베이스프레임(1100) 또는 후방프레임(1200) 측에서 발을 걸 수 있는 기구, 베이스프레임(1100)에 배치될 수 있는 벤치, 그립장치(1500)로부터 연장되어 상체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튜빙밴드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다만, 상기의 예시에서의 운동 디바이스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에 의하여, 종래의 벨트 마사지기의 진동의 전달 기능에 부가하여 신체의 다양한 포인트에 대한 진동 자극이 가능하기 때문에 마사지 효과가 극대화된다.
또한, 그립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를 바꾸어 가면서 신체를 지탱할 수 있고 근력강화의 및 스트레칭이 동시에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벨트부의 적용 및 높낮이 선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립되는 부위의 전후 및 좌우 이동과 각도조절과 간격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체형, 자세 및 원하는 운동 부위의 선택이 가능하다.
이에, 다양한 사용자의 유형과 운동의 목적에 유연하게 적응하여 근육의 강화 및 스트레칭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100...베이스프레임 1200...후방프레임
1400...벨트진동장치 1410...본체부
1420...벨트부 1430...조절프레임
1431...절곡형 조절프레임 1440...연결부
1450...조절부재 1500...그립장치
1510...힌지부 1520...전방프레임
1521...상판부 1530...신축프레임
1540...회동프레임 1550...레일부
1560...그립부재 1561...접촉가이드
1562...바디 1563...파지부
1600...회전발판 1710...완충부

Claims (6)

  1. 상측에 운동공간을 마련하는 베이스프레임(1100);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며 벨트부(1420)에서 진동을 발생하는 벨트진동장치(140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의 전방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전방프레임(1520);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1520)의 상측에서 좌우로 형성되는 레일부(1550)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송되는 그립부재(1560)를 구비하는 그립장치(1500);를 포함하는 복합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중심보다 좌우가 후측으로 배치되는 아치 형태로 형성되는 복합 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레일부를 전후로 감싸며 레일부를 추종하여 이동할 수 있는 접촉가이드(1561)와 상기 접촉가이드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1562)와 상기 바디의 하측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파지부(1563)를 구비하는 복합 운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가이드는,
    상단에 개구가 형성되어 레일부와 전방프레임 상측의 연결부위가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을 허용하는 복합 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절프레임(1430);
    상기 벨트부와 조절프레임을 연결하되 신축 가능한 연결부(14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프레임은,
    연결부와의 접촉 부위가 가변되고 벨트부의 높이 또는 각도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진동이 전달되는 신체의 부위가 변화되도록 하는 복합 운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하로 그립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프레임(1530)과, 좌우로 그립장치를 틸팅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1510)를 구비하는 복합 운동장치.
KR1020220168977A 2022-12-06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 KR20240084286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4286A true KR20240084286A (ko) 2024-06-1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734B1 (en) Exercising and physiotherapy system
US5971901A (en) Exercise machine
US7090628B2 (en) Exercise apparatus
JP2003511169A (ja) 運動促進及び背中痛軽減のための装置と方法
JP2013526979A (ja) 方向可変マシ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レーニング方法
US7604580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8052585B2 (en) Rehabilitation apparatus
US20050079964A1 (en) Spherical back exerciser apparatus
US11696864B2 (en) Upper body attachment apparatus for whole body vibration equipment
US7601109B2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20070275833A1 (en) Tibialis Anterior Strength Training Machine
CN112739301A (zh) 用于执行振动训练的具有可调节的手柄的设备
WO1989007471A1 (en) Abdominal musculature development method and device
JP2000024138A (ja) 腹筋を孤立させて鍛錬する装置
KR200463833Y1 (ko) 복근운동기구
KR20240084286A (ko) 선택 부위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장치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JP2008264249A (ja) トレーニング板及びそのトレーニング板を備えたトレーニング器具
US20220218553A1 (en) Fitness devices
KR20230135794A (ko)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KR102570514B1 (ko) 마사지 기능을 가지는 다용도 운동기구
KR100408628B1 (ko) 진동 안마장치
KR20200136529A (ko)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KR102656150B1 (ko) 풀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풀업 보조 기구
KR20110011844U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