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794A -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794A
KR20230135794A KR1020220033204A KR20220033204A KR20230135794A KR 20230135794 A KR20230135794 A KR 20230135794A KR 1020220033204 A KR1020220033204 A KR 1020220033204A KR 20220033204 A KR20220033204 A KR 20220033204A KR 20230135794 A KR20230135794 A KR 20230135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exercise
base frame
vibration
mass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은지
Original Assignee
임은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은지 filed Critical 임은지
Priority to KR1020220033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794A/ko
Publication of KR20230135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61H2011/005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with belt or strap expanding and contracting around an encircled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3Abdom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된 신체 부위에 정확한 마사지와 근육의 스트레칭이 가능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운동 공간을 마련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신체에 진동을 전달하는 벨트부를 구비하는 벨트진동장치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며 벨트부의 높낮이 내지는 각도의 조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WITH IMPROVED BELT MASSAGER}
본 발명은 운동 및 근육의 이완을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택된 신체 부위에 정확한 마사지와 근육의 스트레칭이 가능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산업화 및 도시화되고 교통수단이 발달함에 따라 걷거나 움직이는 시간이 점차 감소할 뿐만 아니라, 운동할 수 있는 시간적, 공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운동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의 부족은 근육의 노화와 경직 현상을 발생시키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성인병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현대인들을 위하여 실내외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동을 할 수 있는 기구들이 지속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실외에서 운동을 수행하는 기구의 경우 이동이 번거롭고 공간이 크게 필요한 단점이 있고, 실내에서 운동하도록 하는 기구의 경우는 운동의 효과와 재미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코로나 판데믹의 영향으로 실외나 헬스장 등 다수가 모이는 장소에서의 운동에 대한 제약이 심화되고 있기에 외부 접촉을 하지 않고 실내에서 개인화된 운동기구에 대한 요청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실내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운동기구들에는 런닝머신, 푸시업바, 자전거형 운동기구, 벤치프레스, 덤벨, 짐볼, 줄넘기, 철봉 등이 있으며 실내 운동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운동방식을 융합하여 복합적인 운동을 할 수 있는 기구들도 다수 개발되고 있다.
한편, 근육을 풀고 마사지를 하기 위하여 벨트 마사지기가 있으며, 통상 이러한 벨트 마사지기는 베이스판에 모터가 내장된 본체가 입설되고, 마사지 벨트는 상기 모터에 진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상기 본체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베이스판 위에 올라서서 상기 벨트를 이용해 신체 각 부위를 마사지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139호는 종래기술의 벨트마사지기를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받침대(10)에 구비된 본체(40)와, 상기 본체(40)의 내부에 구비된 벨트진동장치(50)와, 상기 발판(20)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40)의 외부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벨트진동장치(50)에 연결된 벨트(60)를 포함하는 수평운동부(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벨트 마사지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발판진동장치(30)를 포함하는 수직운동부(a)를 부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벨트 마사지기의 경우 근육을 활용하는 운동과는 달리 이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스포츠센터와 같은 곳에 별도로 구비하여 운동 전후에 근육을 마사지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벨트 마사지기의 경우 원하는 부위에 정확한 진동의 전달에 한계가 있다. 통상의 사용 방식에 따르면 좌우 벨트가 연결되는 후방측에 허리나 복부를 지탱한 상태에서 소정의 장력을 만들어주어야 벨트진동장치의 진동이 벨트를 통하여 원활하게 전달되는데, 하중이 크게 가해지는 허리나 복부 부위에서만 강한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근래에 이러한 벨트 마사지기의 경우 복부보다는 옆구리에 진동을 가하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목적 달성이 어렵다. 더군다나 신체의 다른 부위에 진동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은 더욱 어렵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벨트의 진동을 신체의 정확한 부위에 전달하여 마사지 또는 다이어트 등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의 다양한 부위를 동시에 마사지할 수 있으면서도 신체의 다른 부위를 효과적으로 지탱하고 마사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에 운동공간을 마련하는 베이스프레임(1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며 벨트부(1420)에서 진동을 발생하는 벨트진동장치(14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벨트진동장치와 이격 배치되는 가이드부(1430)와, 상기 벨트부와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440)를 포함하는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는,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높이가 변경됨으로써 벨트부의 높이 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진동이 전달되는 신체의 부위가 변화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벨트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부 대해 승하강 가능한 조절부재(1450)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벨트진동장치의 양측에 배치되어 각각 제1사이드벨트부(1420a)와 제2사이드벨트부(1420b)가 구성되는 제1사이드기구부(1400a) 및 제2사이드기구부(1400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사이드기구부(1400a) 및 제2사이드기구부(1400b)는 베이스프레임의 폭방향 중심측으로 각도를 형성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주프레임(1520)과,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측에서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 회동 가능한 그립 및 회동부(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발판부(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종래의 벨트 마사지기의 한계를 극복하여 다양한 부위에 선택적으로 진동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마사지 효과가 극대화된다.
또한, 복수의 벨트부의 적용 및 높낮이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부위에 정확하게 마사지가 가능함은 물론, 신체의 좌우 회전 또는 좌우 기울임에 따라 자극 부위를 달리할 수 있어 근육의 이완 및 다이어트의 기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실내운동이 많아지는 현대사회에서 공간적 이점과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벨트 마사지에서 무리하게 하중을 가하여 밀착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편안하게 서거나 앉은 상태에서 필요한 부위에 정확한 부위의 마사지가 가능하고, 마사지 방식의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류의 건강한 삶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실내용 복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의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의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에 대한 사숑상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부에 운동 공간을 마련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신체에 진동을 전달하는 벨트부를 구비하는 벨트진동장치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벨트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연결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는 운동공간에서 다양한 유형의 운동이 가능한데 사용자가 자세나 위치에 따라 방향성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나, 벨트진동장치의 본체가 배치되는 측을 전방으로 정의하며 벨트부를 연결하는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측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운동이란 근육을 사용하여 신체를 움직이는 것은 물론 진동 또는 마찰력을 통하여 근육을 이완 또는 스트레칭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따른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베이스프레임(1100)은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하며 바닥면에 배치되는 부재를 의미하며 전방측에서 벨트측프레임(1200)을 지지하고 후방측에서 가이드부(1430)를 지지한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10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서거나, 앉거나, 눕거나, 엎드리는 등의 다양한 상태에서 운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운동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운동공간의 크기는 사용자의 배치나 자세 또는 크기 등의 요소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이 사각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사용자가 배치될 수 있는 운동공간과 벨트측프레임(120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벨트진동장치(1400) 및/또는 가이드부(1430) 및/또는 지주프레임(1520)을 지지할 수 있다면 상기 형태는 선택적이다.
벨트측프레임(1200)은 베이스프레임(1100)의 전방측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벨트진동장치(1400)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벨트측프레임(1200)은 벨트진동장치(140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신체의 지지에 따른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진의 기능과 관련하여서는 후술될 것인데, 상기 벨트측프레임(1200)에도 바닥면으로 벨트진동장치(1400)로부터의 진동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 또는 재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벨트진동장치(1400)는 구동계통을 가지는 본체부(1410)와 상기 본체부(1410)에 연결되는 벨트부(14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410)는 예를 들어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축과 같은 공지의 다양한 진동발생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벨트부(1420)는 편심축에 양단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면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벨트부(1420)는 양측 말단에서 본체부(1410)에 연결되고 그 중심측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벨트부(1420)의 후단측 연결 부위를 벨트후단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벨트후단에 연결되는 연결부(1440)는 베이스프레임(1100)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기둥 형태의 가이드부(1430)와 벨트부(1420)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부(1440)의 일단은 벨트후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조절부재(1450)가 배치된다. 상기 조절부재(1450)가 배치되는 가이드부(1430)의 높이에 따라 벨트부(1420)의 높이 및/또는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440) 및 가이드부(1430)는 제1기능으로 조절부재(1450)의 높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촉부위의 선택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440) 및 가이드부(1430)는 제2기능으로 벨트후단 측이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신체 부위에만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벨트측프레임(1200) 방향을 바라보고 서있을 때 허리 뒤쪽에서는 벨트부(1420)의 내주측과 이격되고 옆구리 부위에만 벨트부(1420)의 양측이 밀착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용상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1440)는 코일 스프링 또는 고무밴드 등과 같이 신축 가능하고 탄성 복원력이 있는 재질이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1450)는 가이드부(1430)를 감싸면서 상하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1450)와 가이드부(1430)의 상대적 위치의 고정은 다양한 방식이 선택될 수 있을 것인데, 일실시예로 조절부재(1450)의 내주측에 고무나 벨크로 등의 마찰력이 높은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선택된 높이에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430)의 조절부재(1450)와 마찰되는 부위에 소정의 높낮이 조절용 요철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1450)와 가이드부(1430)가 상호 스냅버튼, 후크, 쐐기 등의 선택된 높이를 고정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탈착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에 따른 벨트부(1420) 또는 연결부(1440)의 처짐 등을 고려하여 벨트부(1420) 및/또는 연결부(1440)는 길이조절 기능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된 상태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벨트부(1420)의 높이를 사용자의 허리 높이로 선택하도록 조절부재(1450)의 높이를 조절하고, 벨트측프레임(1200)을 바라보고 서있을 때 벨트부(1420)는 연결부(1440)의 장력에 따라 형상을 어느 정도 유지한 상태에서 벨트후단 측이 사용자의 허리에서 이격될 수 있다. 옆구리 양측에 진동이 전달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허리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굽혀서 스트레칭을 하는 동시에 진동의 전달 강도와 부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베이스프레임(1100)에 서있을 뿐이므로 상기와 같은 상체의 움직임을 지탱하여줄 부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프레임(1100)의 전방 또는 후방측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서 있는 상태를 고정하거나 좌우로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도록 그립 및 회동부(150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로, 상기 그립 및 회동부(1500)는 벨트측프레임(1200)에 대향되는 베이스프레임(1100)의 부위에 결합되는 지주프레임(15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선택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그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프레임(1520)은 가이드부(143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나 가이드부(1430)가 지주프레임(1520)의 일부로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대략 사용자가 벨트진동장치(14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손을 들었을 때 자연스럽게 파지할 수 있는 높이와 폭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신체 유형에 따라 상기 그립 및 회동부(1500)는 지주프레임(1520)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 및 회동부(1500)의 양측 그립부 사이의 간격도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 및 회동부(1500)는 지주프레임(1520)에 대해 좌우 스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힌지부(1510)가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1510)는 허용 범위 안에서만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공지의 스토퍼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설정된 각도에서 회동을 잠금하도록 로킹수단(미도시)이 추가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로킹수단은 예를 들어, 그립 및 회동부(1500)의 부위와 지주프레임(1520)의 부위를 관통할 수 있는 핀과 같은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 및/또는 벨트측프레임(1200) 및/또는 그립 및 회동부(1500) 및/또는 가이드부(1430) 및/또는 지주프레임(1520)에는 다양한 운동의 선택을 위하여 추가적인 운동 디바이스들을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베이스프레임(1100) 측에 구성되는 푸쉬업(Push up) 기구, 윗몸일으키기 운동이 가능하도록 베이스프레임(1100) 또는 벨트측프레임(1200) 측에서 발을 걸 수 있는 기구, 베이스프레임(1100)에 배치될 수 있는 벤치, 그립 및 회동부(1500)로부터 연장되어 상체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튜빙밴드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다만, 상기의 예시에서의 운동 디바이스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 따른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의 평면도이다.
상기된 기본 개념에 따라 벨트부(1420)의 높낮이 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마사지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도 2와 같이 하나의 벨트부(1420)를 구성하면 신체의 다른 부위를 하고자 하는 경우는 높낮이를 다시 조절하여 부위를 옮기고 재작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특히, 과도한 운동 후에 신체의 여러 부위의 마사지가 동시에 필요한 경우가 있으나 상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벨트부를 복수로 배치하여 신체의 복수의 부위에 마사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폭방향 중심측에 배치되는 벨트진동장치(1400)의 양측으로 제1사이드기구부(1400a)와 제2사이드기구부(1400b)가 추가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사이드기구부(1400a) 및 제2사이드기구부(1400b)는 벨트진동장치(1400)와 마찬가지로 진동의 발생을 위한 구동요소들을 포함하며 각각 제1사이드벨트부(1420a) 및 제2사이드벨트부(1420b)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1사이드벨트부(1420a) 및 제2사이드벨트부(1420b)의 벨트후단에는 제1사이드연결부(1440a) 및 제2사이드연결부(1440b)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사이드연결부(1440a) 및 제2사이드연결부(1440b)의 말단에는 제1사이드조절부재(1450a) 및 제2사이드조절부재(1450b)가 결합되어 개별적으로 높낮이 내지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벨트부(1420)가 몸통을 감싸는 형태로 진동을 제공할 때, 상기 제1사이드벨트부(1420a) 및 제2사이드벨트부(1420b)는 사지를 위주로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부(1420)가 옆구리에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면, 제1사이드벨트부(1420a) 및 제2사이드벨트부(1420b)는 종아리 부위에 마사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는 벨트부(1420)의 높이보다 제1사이드벨트부(1420a) 및 제2사이드벨트부(1420b)의 높이가 더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팔을 마사지하고자 하는 경우는 제1사이드벨트부(1420a)와 제2사이드벨트부(1420b)가 벨트부(1420)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것이다.
대략 중심측에 배치되는 벨트진동장치(1400)를 마주보고 사용자가 위치할 것이므로, 제1사이드기구부(1400a) 및 제2사이드기구부(140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후방 중심측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사이드기구부(1400a) 및 제2사이드기구부(1400b)의 본체가 생략되고 벨트진동장치(1400)의 진동축이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1사이드벨트부(1420a) 및 제2사이드벨트부(1420b)를 구동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연결부(1440a) 및 제2사이드연결부(1440b)의 높이 제어를 위하여 가이드부(143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제1사이드가이드부(1430a) 및 제2사이드가이드부(1430b)가 배치되어 독립적인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사이드가이드부(1430a) 및 제2사이드가이드부(1430b)가 생략되고 가이드부(1430)가 3개의 조절부재(1450), 제1사이드조절부재(1450a) 및 제1사이드조절부재(1450a)를 함께 지지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0)의 전방측으로는 중심의 벨트측프레임(1200)에 벨트진동장치(140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벨트진동장치(1400)의 양측으로 제1사이드기구부(1400a) 및 제2사이드기구부(1400b)가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진동장치(1400), 제1사이드기구부(1400a) 및 제2사이드기구부(1400b)는 같은 높이로 소정의 프레임에 의하여 베이스프레임(1100)에 연결되거나 상호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벨트진동장치(1400) 및/또는 제1사이드기구부(1400a) 및/또는 제2사이드기구부(1400b)는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의 상측으로는 소정의 운동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다양한 방향으로 서거나 앉을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스트레칭 및 마사지 부위의 유연한 변화를 위하여 상기 운동공간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발판부(1600)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부(1420)를 옆구리에 대고 사용자가 발판부(1600)에 선 상태에서 회전하여 마사지하는 부위를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발판부(1600)는 베이스프레임(1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되, 탈착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발판부(1600)가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파지하여 위치를 고정하거나 손으로 밀 수 있는 고정부재가 필요하다. 상기 그립 및 회동부(1500)의 회동을 로킹한 상태로 이를 파지하여 조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상기 그립 및 회동부(1500)는 손을 든 상태로 파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회전 동작시 지지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의 전방측에서 상반신의 높이에 대응되는 정도의 높이로 고정지지부(16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부(1610)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높이가 가변적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벨트부(1420), 제1사이드벨트부(1420a) 및 제2사이드벨트부(1420b)를 가로질러 파지 부위가 긴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산택적이다. 경우에 따라 벨트측프레임(1200)에 결합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에 대한 사용상태도들이다.
도 5에서는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이며, 사용자가 발판부(1600)에 올라선 상태로 마사지를 하고 있다.
벨트부(1420)는 엉덩이 부위를 감싸며 벨트후단이 신체에서 다소 이격되어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제1사이드벨트부(1420a) 및 제2사이드벨트부(1420b)는, 제1사이드조절부재(1450a) 및 제2사이드조절부재(1450b)가 제1사이드가이드부(1430a) 및 제2사이드가이드부(1430b)에서 이탈되면 장력이 제거되고 미사용 상태로 처져 있다.
상기 고정지지부(1610)는 미사용하는 벨트를 걸어놓는 역할을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사이드벨트부(1420a) 및 제2사이드벨트부(1420b)가 상기의 회전 운동 과정에서 신체의 다른 부위를 마사지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인데, 이 경우 벨트진동장치(1400), 제1사이드기구부(1400a) 및 제2사이드기구부(1400b)의 진동 주파수 또는 강도는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발판부(1600)에 선 상태에서 사용자는 고정지지부(1610)를 파지하고 힘을 주어 좌우로 신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골반이 벨트부(1420)에 마찰하는 부위가 가변될 수 있고 이는 신체의 부위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이러한 벨트 마사지기가 실내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음을 고려하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이 바닥면에 직접 안착되는 경우보다 그 사이에 방진구조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0)의 하측에는 하나 이상의 아이졸레이터(17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졸레이터(1710)는 벨트진동장치의 작동에 따른 진동이 바닥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착되는 것으로 공지의 다양한 아이졸레이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 상태에서는 소정 케이싱 내에 금속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이다.
도 6에서는 후측에서 바라본 상태이며, 사용자가 그립 및 회동부(1500)를 이용하고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연결부(1440) 및 지주프레임(1520)의 도시는 생략되어 나타내었다.
좌우측의 제1사이드벨트부(1420a)와 제2사이드벨트부(1420b)에서는 종아리 부위에 마사지를 하고 있으며, 벨트부(1420)는 허리 부위에 마사지를 수행하고 있다.
사용자는 그립 및 회동부(1500)를 파지하고 여기에 힘을 가하여 좌우로 스윙 동작을 할 수 있다. 힌지부(1510)에서 지주프레임(1520)에 대해 그립 및 회동부(1500)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고 상반신에 각도를 형성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상체를 기울이면 왼쪽 옆구리 측은 이완되고 오른쪽 옆구리 측은 수축된다. 그러면 왼쪽 옆구리쪽에서 벨트부(1420)의 일측으로 가해지는 진동은 근육의 늘어남에 따라 자극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좌우 틸팅 운동의 경우 발판부(1600)의 회동을 로킹시키거나 발판부(1600)를 제거하여 수평방향의 회전을 고정한 상태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에 의하여, 종래의 벨트 마사지기의 단순한 신체 지지 및 진동의 전달에서 벗어나 다양한 부위에 선택적으로 진동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마사지 효과가 극대화된다.
또한, 복수의 벨트부의 적용 및 높낮이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시에 정확한 부위에 마사지가 가능함은 물론, 신체의 좌우 회전 또는 좌우 기울임에 따라 자극 부위를 달리할 수 있어 근육의 이완 및 다이어트의 기능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100...베이스프레임 1200...벨트측프레임
1400...벨트진동장치 1400a...제1사이드기구부
1400b...제2사이드기구부 1410...본체부
1420...벨트부 1420a...제1사이드벨트부
1420b...제2사이드벨트부 1430...가이드부
1430a...제1사이드가이드부 1430b...제2사이드가이드부
1440...연결부 1440a...제1사이드연결부
1440b...제1사이드연결부 1450...조절부재
1450a...제1사이드조절부재 1450b...제2사이드조절부재
1500...그립 및 회동부 1510...힌지부
1520...제주프레임 1600...발판부
1610...고정지지부 1710...아이졸레이터

Claims (6)

  1. 상측에 운동공간을 마련하는 베이스프레임(1100);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며 벨트부(1420)에서 진동을 발생하는 벨트진동장치(1400);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벨트진동장치와 이격 배치되는 가이드부(1430);
    상기 벨트부와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44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높이가 변경됨으로써 벨트부의 높이 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진동이 전달되는 신체의 부위가 변화되도록 하는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벨트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부 대해 승하강 가능한 조절부재(1450)에 결합되는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진동장치의 양측에 배치되어 각각 제1사이드벨트부(1420a)와 제2사이드벨트부(1420b)가 구성되는 제1사이드기구부(1400a) 및 제2사이드기구부(1400b);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기구부(1400a) 및 제2사이드기구부(1400b)는 베이스프레임의 폭방향 중심측으로 각도를 형성하여 배치되는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주프레임(1520);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측에서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 회동 가능한 그립 및 회동부(1500);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발판부(1600);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KR1020220033204A 2022-03-17 2022-03-17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KR20230135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204A KR20230135794A (ko) 2022-03-17 2022-03-17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204A KR20230135794A (ko) 2022-03-17 2022-03-17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794A true KR20230135794A (ko) 2023-09-26

Family

ID=8819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204A KR20230135794A (ko) 2022-03-17 2022-03-17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57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9533A (en) Swivel platform with detachable backrest and resilient exercise cords
US4848742A (en) Lumbar stretch rocker
KR100902602B1 (ko) 요추관절 재활치료 운동기구
US7524283B1 (en) Sex table
US11696864B2 (en) Upper body attachment apparatus for whole body vibration equipment
CN112739301A (zh) 用于执行振动训练的具有可调节的手柄的设备
US6695796B1 (en) Chiropractic massage device
KR20230135794A (ko) 개선된 벨트 마사지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KR101935587B1 (ko) 교체 장착이 가능한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KR101438054B1 (ko) 직립형 재활 운동장치
JP2008264249A (ja) トレーニング板及びそのトレーニング板を備えたトレーニング器具
US20220218553A1 (en) Fitness devices
KR102570514B1 (ko) 마사지 기능을 가지는 다용도 운동기구
KR100408628B1 (ko) 진동 안마장치
KR101476989B1 (ko) 하체운동기구
KR101741515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코어운동용 의자
KR101559703B1 (ko) 거꾸리 운동기
CN219440564U (zh) 一种多功能跑步机
US11877972B2 (en) Programmable multi-therapy inversion table
KR200252203Y1 (ko) 진동 안마장치
KR200325555Y1 (ko) 다기능 벨트 맛사지기
KR200252206Y1 (ko) 다단 진동 안마장치
CA2689927A1 (en) Multifunctional vibratile exercise apparatus
KR200380517Y1 (ko) 헬스 벨트
EP3976212A1 (en) Holistic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