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517Y1 - 헬스 벨트 - Google Patents

헬스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517Y1
KR200380517Y1 KR20-2005-0000392U KR20050000392U KR200380517Y1 KR 200380517 Y1 KR200380517 Y1 KR 200380517Y1 KR 20050000392 U KR20050000392 U KR 20050000392U KR 200380517 Y1 KR200380517 Y1 KR 200380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aist
ring
health
be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열
Original Assignee
김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열 filed Critical 김일열
Priority to KR20-2005-0000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5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5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헬스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에 착용 가능한 벨트의 외면에 대하여 전면, 좌/우측면 및 후면에 각각 2개의 연결고리를 설치하고, 내면에 자석, 세라믹, 옥돌 등이 장착된 허리벨트;와, 허벅지에 착용 가능한 한 쌍의 벨트의 외면에 대하여 전면 및 각 외측면에 각각 1개의 연결고리를 설치하고, 내면에 자석, 세라믹, 옥돌이 장착된 한 쌍의 다리벨트;와, 일단에 상기 연결고리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고리가 마련되고 타단에 지압돌기가 마련된 핸들이 구비되어 상호 탄성체로 연결된 탄성와이어;로 구성된 것으로, 상체 및 하체 어느 부위든지 탄성와이어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운동이 가능하면서도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헬스 벨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헬스 벨트{HEALTH BELTS}
본 고안은 헬스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주면 수 개소에 연결고리를 설치한 허리벨트 및 한 쌍의 다리벨트와, 일단에 상기 허리벨트 및 다리벨트에 형성된 연결고리에 체결 가능한 체결고리를 구비하고 타단에 핸들을 구비하여 상호 탄성수단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된 탄성와이어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탄성와이어를 잡아당겨서 상체 또는 하체부위를 자유롭게 단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신체를 단련시키기 위한 운동기구들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인 운동기구의 분류는, 운동종류에 따라서 벤치프레스, 런닝머신, 헬스싸이클, 싸이클론, 마사지기, 스탭퍼, 웨이트머신, 거꾸리, 트위스트, 바이브레이터 등 많은 종류의 운동기구가 시판되고 있고, 또한 운동기구는 가정용이나 클럽용 등과 같이 설치 장소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운동기구들은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없다. 즉 하나의 운동기구로 신체의 여러 곳을 단련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가정에서 사용시 한 종류의 운동만을 수행하게 되어 식상할 우려가 매우 높아서 사용빈도가 낮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하나의 운동기구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운동이 가능한 복합운동기구들이 시판되고는 있으나, 이것은 대단히 큰 설치공간이 필요함은 물론, 고가여서 가정 내에 설치하기는 실질적인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위 열거된 운동기구들이 대부분 갖추어진 헬스클럽이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헬스클럽은 운동기구를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서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할 수 있는 반면, 대부분 회원제로 운영하기 때문에 일정한 비용이 계속해서 지출될 뿐만 아니라, 운동을 할 수 있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따라서 불편하므로, 지속적인 운동을 할 수 없게 되는 우려가 있다.
즉, 헬스클럽은 일부러 시간을 정해서 이용해야 하므로, 시간적 낭비를 초래하고, 아울러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공간에서 자유롭게 할 수 없는 공간적 제약이 따르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여 운동하고자 하는 장소에 구애 없이 간편하게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면서도 상체나 하체 등 신체의 어떤 부위라도 단련하고자 하는 곳을 단련할 수 있게 하는 헬스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허리에 착용 가능한 허리벨트 및 허벅지에 착용 가능한 한 쌍의 다리벨트를 구비하되, 상기 허리벨트 및 다리벨트의 외면 수 개소에 연결고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고리에 체결 가능한 탄성와이어를 다양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팔이나 가슴, 허리 및 다리 등의 운동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허리벨트의 후면에서 하방으로 벨트를 늘어뜨린 연장부를 마련하고, 그 연장부 후면에 또 다른 고리를 설치하여 다리 운동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에서 기술될 설명은 본 고안의 최적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모두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벨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벨트 구성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 2a는 연결고리가 벨트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자석 및 옥돌 등이 벨트에 내장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허리벨트(10)는 인체의 허리에 착용 가능한 것으로, 허리띠와 같이 유연성을 가진 가죽이나 합성섬유 등으로 제조하고, 다양한 사이즈 조절을 위해 허리벨트(10)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면이 절단되어 임시 고정 가능하도록 찍찍이나 후크와 같은 패스너(FASTENER)(19)가 마련된다.
허리벨트(10)의 외면에 대하여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좌/우 대칭하게 2개의 전면고리(12) 및 후면1고리(14)가 설치되고 좌/우측면에 각각 1개의 측면고리(13)가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벨트(10)의 후방에는 벨트를 아래로 늘어뜨려서 연장부(11)를 마련하고, 상기 연장부(11)의 외면에 좌/우 대칭한 2개의 후면2고리(1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고리(12)(13)(14)(15)는 허리벨트(10)외 외면에 설치되고, 각 연결고리가 허리벨트(10)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고리와 일체로 된 지지판(부호 미표기)이 허리벨트(10)의 내면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허리벨트(10)에 대하여 각 연결고리(12)(13)(14)(15)가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게 한다.
한편, 허리벨트(10)의 내면에는 자석(16)이나 옥돌(17)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로 내장시킴으로서 자력과 음이온에 의한 혈액순환 개선이나 피부의 활성화 등, 인체에 이로운 작용을 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상기 자석 및 옥돌의 기재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등을 방출하는 음이온석 또는 원적외선석, 예컨대 상기 기재된 자석 및 옥돌을 비롯하여, 세라믹, 토르마린(전기석), 모나자이트, 맥반석, 의왕석, 석영, 몬조나이트, 귀신석 등을 포함하여 이들과 균등한 물질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허리벨트(10)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16) 또는/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옥돌(17)을 내장시키고, 그 표면을 망사로 재봉하여 자석(16)이나 옥돌(17)이 허리벨트(10)에서 떨어지거나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더욱이, 본 고안에서 상기 열거된 광석들이 설치될 위치는 도 1 및 후술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벨트(10) 또는 다리벨트(20)의 내면 후방에만 장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각 벨트의 측면이나 전방에 선택적으로, 또는 전체면에 대해 설치될 수도 있는 바, 따라서 이하에서는 광석들의 설치 위치를 "내면"이라 칭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다리벨트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다리벨트(20) 역시 상기 허리벨트(10)의 구성과 동일하게 패스너(29)로써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그 내면에 음이온 또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자석(26) 및/또는 옥돌(27)을 망사(28)로 재봉하여 자석이나 옥돌의 박리를 방지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기 도 1 및 도 2로써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다리벨트(20)는 좌/우 다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한 쌍이 1세트로 마련되고, 다리벨트(20)의 외면에 대하여 전면에 전면고리(21)가 각각 1개씩, 그리고 측면에는 외측 1개소에만 외측고리(22)가 설치된 것이 상기 허리벨트(10)와 상이하지만, 그 고정구조는 도 2a에서 도시된 예와 같다.
만약, 한 쌍의 다리벨트(20)의 각 내측에 연결고리가 설치되면, 허벅지 사이에 고리가 형성되는 결과가 되어 활동에 방해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다리벨트(20)의 측면 연결고리는 외측에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와이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한 탄성와이어(30)는 일단이 상기 허리벨트(10) 또는 다리벨트(20)에 형성된 각 연결고리(12)(13)(14)(15)(21)(22)에 체결 가능한 체결고리(32)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손으로 잡기가 용이한 핸들(31)을 마련하되, 핸들(31)의 외면은 지압을 위한 다수개의 지압돌기(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고리(32) 및 핸들(31)은 신축 가능한 탄성체(33)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33)는 탄성 또는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제한이 없고, 예컨대 와이어 스프링이나 고탄력 고무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탄성력 및 길이는 다양하게 하여 사용자에서 적절한 것을 선택하거나 교환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와이어(30)는 후술하는 도 5의 설명과 같이 양 손으로 각각 하나씩 잡고 운동해야 하므로 헬스 벨트 운동시 적어도 2개 이상 구비해야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벨트의 사용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용상태도로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헬스 벨트의 사용 예를 몇 가지 설명하기로 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하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와 같이 한 쌍의 다리벨트(20)를 각각 좌/우측 허벅지에 감착시켜 패스너(29)로써 허벅지 사이즈에 맞게 착용한 후, 2개의 탄성와이어(30)를 준비하여 각 체결고리(32)를 좌/우측 전면고리(21)에 각각 연결시킨다.
그리고, 양손으로 핸들(31)을 쥐고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당겼다가 놓는 형태를 반복하여 운동을 하면 탄성체(3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신체의 가슴과 팔 등을 단련시킬 수 있다.
도 5b의 운동상태는 2개의 탄성와이어(30)의 각 체결고리(32)를 다리벨트(20)의 각 외측고리(22)에 연결시킨 것으로, 이와 같이 연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양 팔을 옆으로 벌려서 들어 올렸다 내리기를 반복하면 팔 근육 단련과 함께 옆구리 근육이 단면되어 도 5a의 단련운동과 다른 신체부위를 단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탄성와이어(30)를 허리벨트(10)의 각 연결고리(12)(13)(14)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원하는 신체부위를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도 5c는 후면2고리에 탄성와이어(30)를 체결하여 핸들(31)을 뒷꿈치에 걸어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을 하게 함으로서 하체를 단련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그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헬스 벨트에 의하면, 탄성와이어를 허리벨트 및 다리벨트에 형성된 연결고리에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서 운동자의 필요성에 따라서 신체의 다양한 부위를 단련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자석 및 옥돌로써 혈액순환의 촉진 및 활성화를 가하게 되므로, 운동과 더불어 신진대사에 도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헬스 벨트는 설치장소가 별도로 마련될 필요가 없어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고,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장소에서도 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운동방법이 간단하면서도 운동방법이 다양해서 운동자의 호기심과 재미를 불러일으켜 지속적인 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매우 실효성 높은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벨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벨트 구성 요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다리벨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와이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벨트의 사용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허리벨트 11 : 연장부
12, 21 : 전면고리 13 : 측면고리
14 : 후면1고리 15 : 후면2고리
16, 26 : 자석 17, 27 : 옥돌
19, 29 : 패스너(FASTENER)
20 : 다리벨트 22 : 외측고리
30 : 탄성와이어 31 : 핸들
32 : 체결고리 33 : 탄성체

Claims (6)

  1. 운동용 기구에 있어서,
    허리에 착용 가능하고 패스너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게 된 벨트의 외면에 대하여 전면, 좌/우측면, 후면에 각각 연결고리가 설치된 허리벨트;와,
    허벅지에 착용 가능하고 패스너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게 된 한 쌍의 벨트의 각 외면에 대하여 전면 및 각 외측면에 각각 1개의 연결고리가 설치된 한 쌍의 다리벨트;와,
    일단에 상기 연결고리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고리가 마련되고 타단에 지압돌기가 마련된 핸들이 구비되어 상호 탄성체로 연결된 탄성와이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리벨트의 연결고리는 전면에 2개의 전면고리, 좌/우측면에 각 1개의 측면고리, 후면에 2개의 후면1고리가 각각 좌/우 대칭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리벨트의 후방에서 아래로 늘어뜨린 벨트 연장부를 마련하고, 상기 연장부의 후면에 좌우 대칭한 2개의 후면2고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
  4.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벨트 내면 전체 또는 국소 위치에 음이온 방사석 및 원적외선 방사석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거나 혼용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벨트 내면 전체 또는 국소 위치에 음이온 방사석 및 원적외선 방사석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거나 혼용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 와이어, 고탄성 고무줄에서 선택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벨트.
KR20-2005-0000392U 2005-01-06 2005-01-06 헬스 벨트 KR200380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392U KR200380517Y1 (ko) 2005-01-06 2005-01-06 헬스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392U KR200380517Y1 (ko) 2005-01-06 2005-01-06 헬스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517Y1 true KR200380517Y1 (ko) 2005-03-30

Family

ID=4368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392U KR200380517Y1 (ko) 2005-01-06 2005-01-06 헬스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5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008B2 (en) Looped suspension exercise system
US2018017805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argeted isolation and exercising of the gluteal muscles
KR200445958Y1 (ko) 다목적 운동기구
US9833651B2 (en) Aquatic exercise device
US5279533A (en) Swivel platform with detachable backrest and resilient exercise cords
US20180021624A1 (en) Wearable Gym
JP2009502262A (ja) 運動装置及び運動方法
US20150148204A1 (en) Hands Free Exercise Device
US20050059537A1 (en) Exercise device
US20180185693A1 (en) Rehabilitation fitness and exercise system
WO2014131446A1 (en) Training harness and training system
US9387353B2 (en) Fitness and exercise device
KR100759174B1 (ko) 탄성체를 이용한 근력 운동기구
ES2288053B1 (es) Dispositivo para realizar ejercicios, deportes, gimnasias y diversas actividades fisicas que aunan tecnicas, conceptos y teorias occidentales y orientales relacionadas con el ejercicio, el deporte y la salud.
KR200485362Y1 (ko) 코어 근육 강화 및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 장치
KR200380517Y1 (ko) 헬스 벨트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CN107073309A (zh) 核心肌肉训练设备和方法
TWI624256B (zh) Core muscle training electrode clothing
US20050054497A1 (en) Exercise device
KR100603746B1 (ko) 신체를 상하 양측으로 동시 견인하는 스트레칭운동 및 물리치료용 장치
KR200409335Y1 (ko) 복근강화의자
KR101863428B1 (ko) 다양한 자세를 연출하는 감각통합 치료용 기구
KR200463301Y1 (ko) 바디 슬림 벨트
KR200437772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