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4076A - 자성체 홀더 - Google Patents

자성체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4076A
KR20240084076A KR1020220168492A KR20220168492A KR20240084076A KR 20240084076 A KR20240084076 A KR 20240084076A KR 1020220168492 A KR1020220168492 A KR 1020220168492A KR 20220168492 A KR20220168492 A KR 20220168492A KR 20240084076 A KR20240084076 A KR 20240084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terial
frame
material holder
ho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8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4076A/ko
Priority to PCT/KR2023/020040 priority patent/WO2024123092A1/ko
Publication of KR20240084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407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는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면에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자성체, 및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관통홀 내면에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자성체 홀더{Magnetic material holder}
본 발명은 자성체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자성체를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는 거치형 홀더 구조를 가지는 자성체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페라이트 코어 비드(Ferrite Core Bead)는 전자장치의 방사되는 전자파에서 일정 주파수 이하의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블의 용량 값에 맞는 금속을 케이블에 관통하여 사용하는데, 기존 비드는 케이스를 사출하고, 산출된 케이스를 케이블 사이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케이블에 페라이트 코어 비드를 체결시, 주로 케이블 타이(Cable tie) 및 수축 튜브(Tube)로 케이블에 대해서만 고정이 이루어지고, 인버터와 같은 전자장치 내부에서는 고정되지 않는다. 코어에 포함되는 금속 무게가 있어, 고정되지 않은 페라이트 코어 비드가 전자장치 내부에서 유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주요 부품 또는 케이스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성체를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는 거치형 홀더 구조를 가지는 자성체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는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면에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자성체; 및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관통홀 내면에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이격거리가 상이한 복수의 제1 후크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의 위치는 상기 자성체의 길이방향에서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는 복수의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 중 길이방향으로 따라 적어도 하나의 평면형상의 면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형상의 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는 복수의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은 다각 형상을 가지고, 상기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면 중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는 제1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나사산에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자성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의 관통홀의 단면적 및 상기 고정부의 관통홀의 단면적은 상기 프레임의 단면적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자성체 홀더가 고정되는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3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이격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후크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의 외면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결합 시 형성되는 관통통로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의 관통홀을 가로질러 상기 자성체 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 홀더는 상기 기재된 자성체 홀더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성체를 케이블에 장착하되 케이스에 직접 고정하여 안정성, 취급 신뢰성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와 케이스 사이에 관통 통로에 자성체를 배치하여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고, 간편한 조립이 가능하여 케이블 중간에 관통할 수 있고 고정 공수 절약할 수 있다. 나아가, 자성체의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고정하여 호환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제외한 자성체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제외한 자성체 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자성체의 길이에 따른 자성체 홀더 조립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하우징 결합 관통통로에 위치하는 자성체 홀더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하우징과 결합된 자성체 홀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하우징과 결합된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하우징과 결합된 자성체 홀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가 하우징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제외한 자성체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제외한 자성체 홀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자성체의 길이에 따른 자성체 홀더 조립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하우징 결합 관통통로에 위치하는 자성체 홀더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7 내지 도 19는 하우징과 결합된 자성체 홀더를 도시한 것이고, 도 20은 하우징과 결합된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고, 도 21은 하우징과 결합된 자성체 홀더를 도시한 것이고, 도 22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가 하우징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 홀더(100)는 프레임(110), 자성체(130), 고정부(120)로 구성되고, 가스켓(1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고정부(120)는 프레임(110) 외면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된다. 자성체(130)는 프레임의 외면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되고, 고정부(120)는 프레임(110)의 외면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된다.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프레임(11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케이블 관통홀이라 할 수 있다. 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은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이 관통될 수 있도록 케이블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0) 또는 자성체(130)에는 프레임(1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자성체(130)는 관통홀(132)이 형성되는 몸체부(131)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120)는 관통홀(122)이 형성되는 몸체부(121)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130)의 관통홀의 단면적 또는 고정부(120)의 관통홀의 단면적은 프레임(110)의 단면적에 대응할 수 있다. 자성체(130)의 관통홀의 단면적 또는 고정부(120)의 관통홀의 단면적은 프레임(110)의 단면적과 같거나 클 수 있다. 자성체(130)의 관통홀의 내면의 형상 또는 고정부(120)의 관통홀의 내면의 형상은 프레임(110)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자성체(130) 또는 고정부(120)는 프레임(110)의 외면이 관통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자성체(magnetic material)는 자기력을 가질 수 있는 물질로, 자성을 가지거나, 자성을 가지는 물질의 자기력 내에 위치하면 자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는 강자성체, 상자성체, 반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는 페라이트(Ferrite)를 포함할 수 있다. 페라이트는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우며 철을 포함하는 다결정으로 형성되며, 산화철과 하나 이상의 다른 금속을 포함한다. 페라이트는 산화철과 마그네슘, 알루미늄, 바륨, 망간, 구리, 니켈, 코발트, 철 등의 여러 가지 다른 금속이 반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120)는 강자성을 띄고, 케이블(150)에 관통하여 장착되어 전자파에서 일정 주파수 이하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자성체로 사용되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성체(130)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코어 비드(Core Bead)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 자성체 코어, 자성체 비드, 자성체 코어 비드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리테이너(retainer) 역할을 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고정장치로 자성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부(120)는 자성체 홀더(100)를 덮는 형태가 되는 홀더 캡(holder cap)이라 할 수 있다.
프레임(110)과 결합시 자성체(130) 및 고정부(120) 순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자성체(130) 결합된 이후 결합되어, 프레임(110)에 끼워진 자성체(13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10)의 외면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고정부(120)의 관통홀 내면에는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시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는 끼움결합, 후크결합 또는 나사결합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체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크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2 체결부는 제1 후크 결합부와 후크 결합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크 결합부(112)와 홈(123)은 체결시 체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면접합되어 고정부(120)가 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120)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몸체(121)와 내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0)의 내면은 프레임(110)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제1 후크 결합부(112 내지 114)로 구현되는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제2 체결부로 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3)은 제1 후크 결합부(112 내지 114)와 체결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후크 결합부(112 내지 114)의 후크와 홈(123)의 걸림턱이 걸려 고정부(120)가 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를 통해 프레임(110)과 고정부(120)가 체결되면, 고정부(120) 안쪽에 위치하는 자성체(130) 역시 고정되어 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성체(130)와 고정부(120) 사이에 가스켓(14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140)은 관통홀(142)이 형성되는 몸체부(141)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140)은 자성체(130)와 고정부(120) 사이에 배치되는 띠 형상을 가지며, 자성체(130)와 고정부(120)가 접하는 면 사이에 배치되어 자성체(130)와 고정부(120)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조임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자성체(130)가 고정부(120)에 의해 고정되기 위해서 자성체(130)와 고정부(12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야 하고, 이격 공간이 있는 경우, 자성체(130)가 이동할 공간이 생겨, 외부 충격시 자성체(130)가 고정되지 않아, 결합이 이탈되거나 다른 부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성체(130)와 고정부(120) 사이에 이격 공간은 공차가 있거나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140)은 자성체(130)와 고정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자성체(130)와 고정부(120) 사이의 공간을 메꾸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공차에 따른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자성체(130)의 길이가 고정부(120)의 위치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간격을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스켓(14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140)은 금속,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140)은 패킹이라고도 할 수 있다. 프레임(110)과 결합시, 자성체(130), 가스켓(140), 및 고정부(120) 순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체결부는 프레임(11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거리가 상이한 복수의 제1 후크 결합부(112 내지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130)는 길이방향으로의 길이가 다른 종류의 자성체들을 이용할 수 있다. 자성체(13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는 프레임(110)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케이블의 전류, 전압, 전력, 노이즈의 크기에 따라 필요로 하는 자성체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적용가능한 자성체(130)의 길이의 종류에 따라 해당 길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제1 후크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길이가 상이한 3 종류의 자성체(130)를 이용하는 경우, 프레임(110)의 일단과 3 개의 이격거리를 가지는 제1 후크 결합부(112 내지 1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자성체(130)를 이용하는 경우, 고정부(120)의 제2 체결부는 프레임(110)의 일단과 가장 먼 이격거리를 가지는 제1 후크 결합부(114)와 체결될 수 있다. 중간 길이를 가지는 자성체(230)를 이용하는 경우, 고정부(120)의 제2 체결부는 프레임(110)의 일단과 중간 이격거리를 가지는 제1 후크 결합부(113)와 체결될 수 있다.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지는 자성체(330)를 이용하는 경우, 고정부(120)의 제2 체결부는 프레임(110)의 일단과 가장 짧은 이격거리를 가지는 제1 후크 결합부(112)와 체결될 수 있다. 자성체(130)의 종류에 따라 제1 후크 결합부의 개수도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제1 체결부는 복수의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프레임(110)의 외면 중 길이방향으로 따라 적어도 하나의 평면형상의 면(119)을 포함하고, 평면형상의 면(119)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부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내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프레임의 외면도 원형으로 형성되되, 제1 체결부가 배치되는 위치는 평면형상을 가지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외면은 다각 형상을 가지고, 상기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면 중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기본 원형의 형상에서 6방향에서 평면형상의 면(1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10)의 외면은 육각 형상을 가지되, 모서리영역은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6방향으로 6 개의 면이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프레임(110)의 일단과 동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는 제1 체결부가 양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두 개의 제1 체결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제2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다.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의 위치는 이웃하는 양 면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의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또는, 프레임(110)의 외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되, 하나의 평면형상의 면 또는 중심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두 개의 평면형상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평면형상의 면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평면형상의 면에 프레임(110)의 일단과 서로 다른 이격거리를 가지는 복수의 제1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평면형상의 면을 포함하는 경우, 서로 대응되도록 복수의 제1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는 이탈방향으로 걸리도록 체결되는바, 결합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다. 즉, 고정부(120)가 자성체(130)에 의해 결합방향으로 이동이 막히는 위치까지 제2 체결부가 프레임(110)의 일단과 가장 먼 이격거리를 가지는 제1 후크 결합부(114)부터 프레임(110)의 일단과 가장 짧은 이격거리를 가지는 제1 후크 결합부(112)까지 순차적으로 체결되며 이동될 수 있다. 최종 체결되는 위치에서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체결되어 프레임(110), 자성체(130), 및 고정부(120)가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체결부는 하나의 제1 후크 결합부(114)를 포함하고, 자성체(130)와 고정부(120) 사이의 간격은 가스켓(140)을 이용하여 메꾸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즉,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체결에 따라 자성체(130)와 고정부(120) 사이에 간격이 생기면 그 간격에 맞는 가스켓을 끼워 간격을 메꾸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130)는 프레임(110)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자성체(130)와 케이블(700) 사이에 오버랩되는 구성이 없어야 노이즈 제거 효과가 커질 수 있다. 즉, 자성체(130)와 프레임(110) 내부를 관통하는 케이블(700)이 다른 구성없이 바로 대향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의 내면과 외면을 연결하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위치 이외에 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일단에는 자성체 홀더(100)가 고정되는 하우징(400)과 결합하는 제3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하우징(400)과 고정되지 위하여, 프레임(110)의 일단에 제3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체결부는 후크 결합을 통해 하우징(400)과 결합할 수 있다.
제3 체결부는 프레임(110)의 외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16), 가이드부(116)와 이격되고 프레임(1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후크 결합부(117) 및 프레임(110)의 외면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0)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결합부에 프레임(110)이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일단을 하우징(400)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삽입하여 하우징(4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16)는 프레임(110)의 외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가이드부(116)에 대응하여 하우징(400)의 결합홀 중 일부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져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후크 결합부(117)는 하우징(400)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끼워져 하우징(400)의 결합부의 내측의 일면과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후크 결합부(117)와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프레임(110)의 외면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118)와 제2 후크 결합부(117) 사이에 하우징(400)의 결합부(410)가 위치하여, 걸림턱부(118)와 제2 후크 결합부(117)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후크 결합부(117)가 형성되는 위치에는 걸림턱부(118)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해당 위치에 걸림턱부(118)가 형성되면 제2 후크 결합부(117)가 탄성을 가지기 어렵기 때문에, 제2 후크 결합부(117)가 탄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는 후크 결합이 아닌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11과 같이, 고정부(120)가 프레임(110)과 결합시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110)의 외면 및 고정부(120)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110)의 제1 체결부는 제1 나사산(212)을 포함하고, 고정부(120)의 제2 체결부는 제1 나사산(212)에 대응하는 제2 나사산(22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는 몸체부(211)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212)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의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홀(215)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130)는 프레임(110)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자성체(130)와 케이블(700) 사이에 오버랩되는 구성이 없어야 노이즈 제거 효과가 커질 수 있다. 즉, 자성체(130)와 프레임(110) 내부를 관통하는 케이블(700)이 다른 구성없이 바로 대향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의 내면과 외면을 연결하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홀(2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산(212)이 형성되는 위치에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홀(215)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0)의 몸체부(221)에 형성되는 관통홀(222) 내면에 제2 나사산(223)이 형성되어 제1 나사산(212)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0)의 몸체부(221)의 외면은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120)와 프레임(110)의 나사결합시, 육각 렌치 등을 통해 조립이 용이할 수 있다.
고정부(120)와 프레임(110)이 나사결합되는바, 나사결합 정도를 통해 프레임(110)의 일단으로부터 고정부(120)까지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자성체(13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가 다양하더라도 모두 고정이 가능하다. 후크 결합을 이용하는 경우, 후크의 위치에 따라 적용가능한 자성체(130)의 길이가 한정될 있으나, 나사 결합을 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길이의 자성체(130)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자성체 종류에 대해 호환성이 높아진다. 또한, 후크 결합시 결합강도 조절이 어려우나, 나사결합시 결합강도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제1 하우징(400), 제2 하우징(500), 및 자성체 홀더(100)를 포함하고, 제1 하우징(400)과 제2 하우징(500)을 관통하는 케이블(700) 또는 전자장치가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 홀더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15의 자성체 홀더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되는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자성체 홀더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연결되고, 하우징 간에 전력 또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이 연결되되, 케이블에 자성체가 적용된 장치로, 예를 들어, PV 인버터 모듈일 수 있다. PV 인버터 모듈은 PV 패널 또는 PV 컨버터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가정 또는 건물 내에 사용가능한 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로, PV 컨버터 등 DC 전력을 입력받아,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DC 전력은 와이어링 박스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인버터 구동부로 전달되고, 인버터 구동부에서 전력을 변환하고, 다시 와이어링 박스를 통해 부하로 변환된 전력을 전송한다. 인버터 구동부는 전력을 변환하기 위하여, 전력변환 소자 및 이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내지 MC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변환 소자로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 등의 수동소자를 포함하고, FET 또는 다이오드 등으로 구현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MCU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전력을 변환하기 위한 다양한 소자들이 포함되거나, 전력 변환 이외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PV 인버터 모듈은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가 태양광 발전량 등에 따라 변화가 큰바, 입출력 케이블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어, 자성체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전자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400)과 제2 하우징(500)은 서로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서로 접하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중 하나의 결합부의 끝단에는 결합부의 외곽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결합부의 끝단에는 결합부의 외곽을 따라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위치하여, 결합시 방수 및 방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 결합을 통해 제1 하우징(400)과 제2 하우징(500)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이 서로 연결되어 제1 하우징(400)과 제2 하우징(500)은 관통홀을 통해 서로 내부 공간이 연결된다.
여기서, 제1 하우징(400)과 제2 하우징(500)은 케이블(700)을 통해 전력 또는 신호를 송수신하되, 케이블(700)은 결합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결합부(600)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고, 두 개의 관통홀 중 하나에는 입력 케이블이 관통되고, 다른 하나에는 출력 케이블이 관통될 수 있다.
자성체 홀더(100)는 제1 하우징(400) 및 제2 하우징(500)의 결합 시 형성되는 관통통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400) 및 제2 하우징(500) 중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에는 자성체 홀더(1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해당 하우징의 관통홀을 가로질러 자성체 홀더(100)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10)는 도 18과 같이, 자성체 홀더(100)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결합부(411) 및 하우징의 측면으로 관통홀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결합부와 연결되는 두 개의 연결부(412, 41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홀에는 프레임(110)의 가이드부(116)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홀에 프레임(110)이 삽입되어 제2 후크 결합부(117)와 결합부의 일면이 후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자성체 홀더(10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면에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의 외면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자성체(13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외면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20)의 관통홀 내면에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된다. 자성체 홀더(100)는 제1 하우징(400) 및 제2 하우징(500)의 결합부의 결합에 따라 형성되는 관통통로 상에 배치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거리가 상이한 복수의 제1 후크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의 위치는 상기 자성체(130)의 길이방향에서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체결부는 복수의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프레임(110)의 외면 중 길이방향으로 따라 적어도 하나의 평면형상의 면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형상의 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부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외면은 다각 형상을 가지고, 기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면 중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110)의 외면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스켓(140)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140)은 상기 고정부(120)와 상기 자성체(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자성체(130)의 관통홀의 단면적 및 상기 고정부(120)의 관통홀의 단면적은 상기 프레임(110)의 단면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일단에는 상기 자성체 홀더(100)가 고정되는 하우징(400)과 결합하는 제3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16) 상기 가이드부와 이격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후크 결합부(117) 및 상기 프레임(110)의 외면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이 제1 하우징(400)의 결합홀에 고정한 이후, 자성체(130)를 프레임(110)의 외면에 끼우고, 고정부(120)를 프레임(110)의 외면에 끼워 프레임(110)의 제1 체결부와 고정부(120)의 제2 체결부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자성체(130)를 프레임(110)의 외면에 끼우고, 고정부(120)를 프레임(110)의 외면에 끼우기 전에 가스켓(140)을 끼워 자성체(130)와 고정부(120) 사이에 가스켓(140)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자성체(130)의 일단은 제1 하우징(400)의 지지부(410)에 접하고, 자성체(130)의 타단은 고정부(120) 또는 가스켓(140)에 접하여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제1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나사산에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을 포함하여, 프레임(110)과 고정부(120)는 나사결합할 수 있다. 도 22와 같이, 후크 결합뿐만 아니라 나사결합을 통해 프레임(110)과 고정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후크 결합을 이용하면 간편한 조립이 가능하고, 나사결합을 이용하면, 자성체 길이에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면에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자성체; 및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관통홀 내면에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는 자성체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이격거리가 상이한 복수의 제1 후크 결합부를 포함하는 자성체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의 위치는 상기 자성체의 길이방향에서의 길이에 대응하는 자성체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복수의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 중 길이방향으로 따라 적어도 하나의 평면형상의 면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형상의 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부가 배치되는 자성체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복수의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은 다각 형상을 가지고,
    상기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면 중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부가 배치되는 자성체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제1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나사산에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을 포함하는 자성체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자성체 홀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자성체 사이에 배치되는 자성체 홀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의 관통홀의 단면적 및 상기 고정부의 관통홀의 단면적은 상기 프레임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자성체 홀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자성체 홀더가 고정되는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3 체결부를 포함하는 자성체 홀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이격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후크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의 외면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자성체 홀더.
  12. 서로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결합 시 형성되는 관통통로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의 관통홀을 가로질러 상기 자성체 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 홀더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자성체 홀더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0220168492A 2022-12-06 2022-12-06 자성체 홀더 KR20240084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492A KR20240084076A (ko) 2022-12-06 2022-12-06 자성체 홀더
PCT/KR2023/020040 WO2024123092A1 (ko) 2022-12-06 2023-12-06 자성체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492A KR20240084076A (ko) 2022-12-06 2022-12-06 자성체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4076A true KR20240084076A (ko) 2024-06-13

Family

ID=9137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492A KR20240084076A (ko) 2022-12-06 2022-12-06 자성체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84076A (ko)
WO (1) WO202412309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04B1 (ko) * 2010-05-10 2012-02-09 씨케이티주식회사 이엠아이용 보빈 케이스
US9500836B2 (en) * 2014-07-21 2016-11-22 Raytheon Company Precision optical mount for optical devices
DE102014112614A1 (de) * 2014-09-02 2016-03-03 Schaffner Emv Ag Filterbauteil mit wicklungslosen magnetischem Ringkern
WO2019232193A1 (en) * 2018-05-31 2019-12-05 Power Integrations, Inc. Housing for ferrite beads and other pass-through electrical filter components
KR102127841B1 (ko) * 2018-12-10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 노이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23092A1 (ko) 202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1485B2 (en) Inverter terminal board installed in motor case and packing
US10523090B2 (en) Inverter terminal block installed in a motor case
US9112397B2 (en) Inverter terminal board installed in motor case
US9345179B2 (en) Wire harness
WO2012000392A1 (en) Junction box for solar battery
WO2014024555A1 (ja) リアクトル、リアクトル用の組物、コンバータ、及び電力変換装置
US8894449B2 (en) Terminal block
CN210535480U (zh) 变压器
JP2014017900A (ja) 電気自動車用のインバータ
JP6551250B2 (ja) 電力変換装置
KR20240084076A (ko) 자성체 홀더
CN213402283U (zh) 一种智能三角形支架
KR20230138621A (ko) 페라이트 홀더
CN218568623U (zh) 电感、滤波电路、电气设备、充电桩和逆变器
KR101187944B1 (ko) 태양전지 모듈용 정션박스 체결장치
JP2019041482A (ja) 電力変換装置
US20030223179A1 (en) Capacitor for low voltage
US6912133B2 (en) Ruggedized inverter chassis
JP2014078549A (ja) コンデンサユニット
US20210316622A1 (en) Coil unit, moving object,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0877199B1 (ko) 전력용 버스 바의 체결 장치
CN215872330U (zh) 一种电容固定装置以及变频器
CN209912723U (zh) 一种电容固定结构及变频器
CN118280702A (zh) 一种电感、功率变换器及功率变换系统
CN217243716U (zh) 新型智能窗帘驱动器机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