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3454A -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 Google Patents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3454A
KR20240083454A KR1020220167610A KR20220167610A KR20240083454A KR 20240083454 A KR20240083454 A KR 20240083454A KR 1020220167610 A KR1020220167610 A KR 1020220167610A KR 20220167610 A KR20220167610 A KR 20220167610A KR 20240083454 A KR20240083454 A KR 20240083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air
bracket
adjustment
slid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윤
이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to KR1020220167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3454A/ko
Publication of KR20240083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3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좌석부에 마련된 가변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변대에 설치된 축핀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조작레버, 좌석부에 마련된 고정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홈 브래킷, 상기 홈 브래킷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브래킷 및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의 이동을 록킹 또는 해제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상기 가변대를 회전 변형시켜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SEAT ADJUST APPARATUS AND CHAI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하는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단순한 구조를 바탕으로 작업과 휴식에 주로 사용되나, 신체 재활을 비롯하여 특수한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다기능화되기도 한다. 근래 들어 사무 환경과 개인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체공학적 설계가 적용되고 있다.
즉, 의자에 착석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자신의 신체에 부합하는 편의성의 중요하다. 특히 사용자의 체중이 실리는 좌판에 대한 조절 기능이 편의성을 좌우한다.
예를 들어, 성인 남성은 여성이나 청소년, 어린이에 비해 다리 길이가 더 길다. 그래서 일반적인 규격의 의자에 착석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 조건, 특히 다리 길이의 차이로 인해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의자는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이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다리길이가 짧은 사용자의 경우, 좌판의 전단에 배치되는 오금 부분이 저리거나 통증이 발생하는 등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에 좌판의 깊이를 조절하거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하는 기술을 개시하여 특허출원한 바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본체의 전방프레임에 형성된 전방지지대와 본체의 후방프레임에 형성된 후방지지대를 갖춘 지지부재, 상기 전방지지대와 후방지지대에 각각 연결되고, 본체에 대한 위치변동을 허용하는 좌판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좌판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링크로 깊이를 변동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부합도록 좌판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고정대와 지지대의 전방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가변대를 갖춘 좌판, 상기 고정대와 가변대 사이에 상부신축부와 하부신축부가 형성된 연결대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좌판의 가변대에 인접한 위치에 작동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부재 및 상기 가변대와 지지대 사이에 하우징과 슬라이더를 길이변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작동레버와 연동하여 가변대의 탄성변형된 길이를 유지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의자의 좌판을 국부적으로 변동 가능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좌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반면,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며, 특허문헌 2는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좌판의 전후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나, 토션 스프링와 연결바 등을 적용하면서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366836호(2022년 2월 24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902770호(2018년 10월 1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좌판의 형상을 가변할 수 있는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해서 사용자의 다리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좌판 조절장치는 좌석부에 마련된 가변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변대에 설치된 축핀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조작레버, 좌석부에 마련된 고정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홈 브래킷, 상기 홈 브래킷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브래킷 및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의 이동을 록킹 또는 해제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변대를 회전 변형시켜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좌판 조절장치가 적용된 의자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의 후측에 연결되는 등받이 및 상기 좌석부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하는 좌판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 조절장치는 좌석부에 마련된 가변대와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변대를 회전 변형시켜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좌석부에 설치된 좌판 조절장치를 이용해서 홈 브래킷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브래킷을 록킹 또는 해제하고, 슬라이드 브래킷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좌석부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적 복잡화를 유발하지 않아 일반적인 의자에 적용 가능하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대응되도록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변동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하고 실질적인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판 조절장치가 적용된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석부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좌판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조작레버의 동작에 의한 좌판 조절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슬라이드 브래킷의 이동에 의한 좌판의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좌석부를 중심으로 등받이가 설치되는 방향을 '의자의 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의자의 전방'이라 한다.
이에 따라, 등받이에서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가 접촉되는 면을 '등받이의 전면'이라 하고, 그 반대측 면을 '등받이의 후면'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 '우측',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과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판 조절장치가 적용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석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요추 지지대가 구비된 등받이가 적용된 의자(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바퀴가 부착된 다리부(11), 다리부(11)의 상측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석부(12) 및 좌석부(12)의 후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13)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부(12) 또는 등받이(13)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팔을 받칠 수 있도록 팔걸이(14)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등받이(13)의 상단에는 머리받침이 설치될 수 있다.
등받이(13)는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받이 프레임과 사용자의 허리 부위와 등 부위를 지지하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면 또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등받이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16)은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위에 대응되도록 양측단 중앙 부분이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 시트는 천이나 가죽 재질로 제조되거나, 메시 형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좌석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으로,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5)와 가변대(16)는 연결대(17)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지지대(15)의 하부에는 어셈블리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대(18)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는 좌석부(12) 및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의 재료로 제조되고, 레버 조작에 따라 좌석부(12)의 높낮이와 전후 방향 위치, 등받이(13)의 기울기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대(15)와 가변대(16)는 각각 상부에서 보았을 때 '┌┐' 형상과 '└┘'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에 마련된 한 쌍의 연결대(17)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좌석부(12)의 상부에는 쿠션재와 좌판이 설치되거나, 메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쿠션재와 좌판, 메시를 좌판으로 통칭한다.
각 연결대(17)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할 좌판 조절장치(20)의 동작에 의해 변형되어 좌판의 전단부, 즉 가변대(16)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연결대(17)는 가변대(16)에 작용하는 하중의 지탱을 위한 기계적 강도와 더불어 유연한 변형을 위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대(17)의 상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대략 'U' 형상을 갖는 복수의 탄성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대(17)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연결대(17)는 지지대(15) 및 가변대(16)와 동일한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일체로 성형되고, 가변대(16)의 회전 동작시 상기 복수의 탄성홈을 이용해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판 조절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좌판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조작레버의 동작에 의한 좌판 조절장치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슬라이드 브래킷의 이동에 의한 좌판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4에는 조작레버의 동작 이전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조작레버의 동작 이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슬라드 브래킷이 홈 브래킷으로부터 최대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슬라이드 브래킷이 상기 최대 이동거리의 중간만큼 이동한 상태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슬라이드 브래킷이 홈 브래킷에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판 조절장치(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부(12)에 마련되어 좌석부(12)의 전측부를 변형시켜서 전후 방향 길이(이하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이라 함)를 조절한다.
좌판 조절장치(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조작레버(30), 고정대(18)의 전단에 상하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홈 브래킷(40), 홈 브래킷(40)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브래킷(50) 및 조작레버(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슬라이드 브래킷(50)의 이동을 록킹 또는 해제하는 조절부(60)를 포함한다.
조작레버(30)는 가변대(16)에 설치되는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축핀(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변대(16)의 중앙부 하면에는 조작레버(30)와 축핀(31)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캡(32)은 상기 설치공간에 대응되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캡(32)의 상면에는 축핀(31)이 설치되는 축 설치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 설치공간과 축핀(31)은 캡(32)의 상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캡(32)은 볼트를 체결해서 가변대(16)에 고정될 수 있다.
조작레버(30)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노브(33)와 노브(33)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축핀(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축핀(31) 상에는 슬라이드 브래킷(40)의 양측 전단부와 조절부(60)의 전환 브래킷(6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홈 브래킷(40)은 상면과 전후면이 각각 개구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홈 브래킷(40)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브래킷(5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홈 브래킷(40)의 양측벽 내면에는 각각 조절부(60)에 마련되는 한 쌍의 키(62)에 형성되는 조절돌부(622)가 결합되는 복수의 조절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조절홈(41)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고,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은 복수의 조절홈(41)에 개수에 대응되는 단수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홈(41)은 대략 3개 내지 8개로 형성되고, 조절홈(41)의 개수는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하는 단수에 대응되도록 세분화될 수 있다.
각 조절홈(41)은 각 조절돌부(62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조절부(60)의 조절돌부(622)가 복수의 조절홈(41) 중에서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슬라이드 브래킷(50)과 홈 브래킷(40)의 전후 방향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판의 전측부가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좌판의 전후 방향 폭도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홈 브래킷(40)은 후단부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축부(42)를 통해 고정대(18)의 전단부에 축 결합되고, 슬라이드 브래킷(50)의 슬리이딩 이동에 따른 슬라이드 브래킷(50)과 홈 브래킷(40)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전체 길이의 변화에 기초해서 한 쌍의 결합축부(42)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슬라이드 브래킷(50)은 홈 브래킷(40)의 내부 공간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홈 브래킷(40)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브래킷(40)의 하측벽 상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가이드 리브(43)가 길게 연장 형성되고, 슬라이드 브래킷(50)의 하면에는 가이드 리브(43)에 대응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홈 브래킷(40)의 상면에는 조절부(60)에 마련된 한 쌍의 키(62)가 볼트가 체결되는 전측부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 공간(52)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 공간(52)에는 각각 한 쌍의 키(62)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최대 회전 가능 거리를 제한하는 한 쌍의 스토퍼(53)가 형성되고, 한 쌍의 키(6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복원 스프링(54)이 설치될 수 있다.
조절부(60)는 축핀(31) 상에 조작레버(30)의 결합부(34)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전환 브래킷(61) 및 한 쌍의 전환 브래킷(61)의 회전 동작에 연동해서 후단부가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회전해서 슬라이드 브래킷(50)의 슬라이딩 이동을 록킹 또는 해제하는 한 쌍의 키(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전환 브래킷(61)은 각각 조작레버(30)의 결합부(34)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부(34)의 회전 동작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34)의 양측단부는 각각 대략 '<' 형상과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전환 브래킷(61)에서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각각 결합부(34)의 양측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조작레버(30)의 회전 동작시, 축핀(31)을 중심으로 결합부(34)가 회전하면 한 쌍의 전환 브래킷(61)은 서로 멀어지도록 양측, 즉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전환 브래킷(61) 양측과 각각 캡(32)의 설치공간 양측벽 사이에는 각각 한 쌍의 전환 브래킷(61)을 서로 근접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탄성 스프링(63)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키(62)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키(62)의 전단에는 각 전환 브래킷(61)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는 회전돌부(621)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각 키(62)의 후단에는 홈 브래킷(40)의 양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조절홈(41)에 결합되는 조절돌부(62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키(62)는 각각 전측부를 관통해서 슬라이드 브래킷(50)에 체결되는 한 쌍의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키(62)에서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한 쌍의 탄성 스프링(63)이 설치됨에 따라, 각 키(62)는 탄성 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각 회전돌부(621)가 서로 근접하고, 각 결합돌부(622)는 서로 멀어지도록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좌석부에 설치되는 조절부를 이용해서 홈 브래킷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브래킷을 록킹 또는 해제함으로써, 좌석부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되는 의자의 작동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자, 사용자는 좌석부(12)의 전단에 설치되는 좌판 조절장치(20)의 조작레버(30)를 상방으로 당김 조작해서 좌판 조절장치(20)의 록킹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조작레버(30)가 당김 조작되기 이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60)에 마련된 한 쌍의 전환 브래킷(61)은 각각 한 쌍의 탄성 스프링(63)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조작레버(30)의 결합부(32) 양측면에 밀착된 상태이다.
그리고 한 쌍의 키(62)는 각각 슬라이드 브래킷(50)에 설치된 한 쌍의 복원 스프링(54)에서 복원력을 제공받는다. 그래서 한 쌍의 키(62)에서 양측 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조절돌부(622)는 각각 슬라이드 브래킷(50)의 양측벽을 관통해서 홈 브래킷(40)의 양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조절홈(41) 중에서 하나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좌판 조절장치(20)의 초기 상태에서 한 쌍의 결합돌부(622)는 각각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절홈(41) 중에서 최전단에 형성된 조절홈(41)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조절돌부(622)가 각각 홈 브래킷(40)의 조절홈(41)에 결합되면, 슬라이드 브래킷(50)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불가능하게 록킹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레버(30)를 당김 조작하면, 조작레버(30)는 축핀(31)에 결합된 결합부(34)를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회전 동작한다.
그러면, 한 쌍의 전환 브래킷(61)은 각각 결합부(34)의 회전 동작에 의해 서로 멀어지도록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고, 각 전환 브래킷(61)에 회전돌부(621)가 배치된 한 쌍의 키(62)는 전측부를 관통해서 슬라이드 브래킷(50)에 체결된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전환 브래킷(61)은 조작레버(30)의 회전 동작을 한 쌍의 전환 브래킷(61)을 양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 동작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면 각 키(62)의 전단에 마련된 한 쌍의 회전돌부(621)는 각각 외측, 즉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해서 서로 멀어지고, 각 키(62)의 후단에 마련된 한 쌍의 결합돌부(622)는 각각 내측, 즉 서로 근접하도록 상기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한다. 그래서 한 쌍의 결합돌부(622)거 홈 브래킷(40)의 양측벽에 형성된 조절홈(41)에서 분리됨에 따라, 슬라이드 브래킷(5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브래킷(5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만약, 슬라이드 브래킷(5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일정 거리, 예컨대 최대 이동 거리의 절반정도 이동한 후, 사용자가 조작레버(30)의 당김 조작을 해제하면, 한 쌍의 전환 브래킷(61)은 각각 한 쌍의 탄성 스프링(63)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서로 근접하도록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한 쌍의 키(62)는 한 쌍의 전환 브래킷(61)의 이동 및 한 쌍의 복원 스프링(54)에서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회전돌부(621)가 서로 근접하고 한 쌍의 조절돌부(622)는 서로 멀어지도록 회전 동작한다.
한 쌍의 키(62) 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조절돌부(622)는 각각 복수의 조절홈(41) 중에서 대략 중간에 형성된 조절홈(41)에 결합되고, 슬라이드 브래킷(50)은 슬라이딩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록킹된다.
물론, 사용자는 조작레버(30)를 당김 조작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브래킷(50)을 후방으로 최대 이동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면, 슬라이드 브래킷(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브래킷(40)의 후단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후, 사용자가 당김 조작을 해제하면, 한 쌍의 키(62) 후단에 마련된 한 쌍의 조절돌부(622)는 각각 홈 브래킷(40)에 형성된 복수의 조절홈(41) 중에서 최후단 조절홈(41)에 각각 결합되어 슬라이드 브래킷(50)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록킹할 수 있다.
한편, 홈 브래킷(40)은 슬라이드 브래킷(50)이 전후 방향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 또는 거리에 따라 양측 후단에 형성된 결합축부(42)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한다.
즉, 슬라이드 브래킷(50)이 홈 브래킷(40)의 전단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면, 홈 브래킷(40)은 전측 상방으로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반면, 슬라이드 브래킷(50)이 후측으로 이동할수록, 홈 브래킷(40)은 결합축부(42)를 중심으로 하방을 향해 회전하고, 슬라이드 브래킷(50)이 최대 이동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하면, 홈 브래킷(40)은 전측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래서 도 6 내지 도 8에서 슬라이드 브래킷(50) 전단과 홈 브래킷(40) 후단 사이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면(D1>D2>D3), 좌석부(12)의 가변대(16)가 연결대(17)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 변형함에 따라, 좌판의 전후 방향 폭도 점차적으로 감소한다(W1>W2>W3).
따라서 사용자는 신체 조건에 따라 조작레버를 당긴 상태에서 슬라이드 브래킷의 전후 방향 위치를 변경해서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좌석부에 설치된 좌판 조절장치를 이용해서 홈 브래킷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브래킷을 록킹 또는 해제하고, 슬라이드 브래킷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좌석부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구조적 복잡화를 유발하지 않아 일반적인 의자에 적용 가능하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대응되도록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변동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하고 실질적인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할 있는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기술에 적용된다.
10: 의자 11: 다리부
12: 좌석부 13: 등받이
14: 팔걸이 15: 지지대
16: 가변대 17: 연결대
18: 고정대
20: 좌판 조절장치
30: 조작레버
31: 축핀 32: 캡
33: 노브 34: 결합부
40: 홈 브래킷
41: 조절홈 42: 결합축부
43: 가이드 리브
50: 슬라이드 브래킷
51: 가이드 홈 52: 회전 공간
53: 스토퍼 54: 복원 스프링
60: 조절부
61: 전환 브래킷
62: 키 621: 회전돌부
622: 결합돌부
63: 탄성 스프링

Claims (5)

  1. 좌석부에 마련된 가변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변대에 설치된 축핀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조작레버,
    좌석부에 마련된 고정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홈 브래킷,
    상기 홈 브래킷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브래킷 및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의 이동을 록킹 또는 해제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변대를 회전 변형시켜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사용자로부터 당김 조작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축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핀에는 상기 조절부와 슬라이드 브래킷의 전측부가 결합되며,
    상기 홈 브래킷의 양측벽 내면에는 각각 상기 조절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키에 각각 형성되는 조절돌부가 결합 또는 해제되는 복수의 조절홈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축핀 상에서 상기 조작레버의 결합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전환 브래킷 및
    상기 한 쌍의 전환 브래킷의 회전 동작에 연동해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의 슬라이딩 이동을 록킹 또는 해제하는 한 쌍의 키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키 후단에는 각각 상기 홈브래킷에 형성된 복수의 조절홈 중에서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상기 조절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전환 브래킷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전환 브래킷을 서로 근접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은 상기 홈 브래킷의 내부 공간에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에는 상기 한 쌍의 키가 회전 동작하는 회전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공간에는 상기 한 쌍의 키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는 한 쌍의 스토퍼와,
    상기 한 쌍의 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복원 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조절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좌판 조절장치가 적용된 의자에 있어서,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의 후측에 연결되는 등받이 및
    상기 좌석부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하는 좌판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 조절장치는 좌석부에 마련된 가변대와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변대를 회전 변형시켜 좌판의 전후 방향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조절장치가 적용된 의자.
KR1020220167610A 2022-12-05 2022-12-05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KR20240083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610A KR20240083454A (ko) 2022-12-05 2022-12-05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610A KR20240083454A (ko) 2022-12-05 2022-12-05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3454A true KR20240083454A (ko) 2024-06-12

Family

ID=9146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610A KR20240083454A (ko) 2022-12-05 2022-12-05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345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770B1 (ko) 2018-03-12 2018-10-0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2366836B1 (ko) 2021-08-23 2022-02-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770B1 (ko) 2018-03-12 2018-10-0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2366836B1 (ko) 2021-08-23 2022-02-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3362B2 (ja) シート家具、特に、事務用椅子におけるシートと背もたれの配置構造
JP6244364B2 (ja) 椅子アームアセンブリ
US9414684B2 (en) Tilting type chair
MX2008012133A (es) Silla reclinable con ajustabilidad mejorada.
KR20190079955A (ko) 의자의 좌판부 슬라이드 구조
KR102130324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
KR101413697B1 (ko) 의자의 머리받침 부재 조절 장치
EP3854264A1 (en) Armchair
KR102100599B1 (ko) 다양한 신체에 적당한 형태로 변형되는 포위드 슬로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접이식 의자
KR102161119B1 (ko) 의자용 럼버 서포트 장치
JP4697894B2 (ja) 椅子
US7431397B2 (en) Chair
JP3967150B2 (ja) 椅子
CA1324313C (en) Rocking chair
KR20240083454A (ko)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JP5026783B2 (ja) 椅子
KR101759479B1 (ko) 의자용 등받이
KR102210240B1 (ko)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의자 등받이 경사 조절기구
JP7469860B2 (ja) 椅子
KR102074844B1 (ko) 안락성이 개선된 의자
KR102072935B1 (ko) 일체형 등좌판의 이동고정기능을 구비한 의자좌판
KR101850790B1 (ko) 의자의 좌판
KR101753786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KR200304618Y1 (ko) 좌판 깊이 조절 구조
JP2007151738A (ja) 椅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