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0610A - 차 추출용 드립백 - Google Patents

차 추출용 드립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0610A
KR20240080610A KR1020220164120A KR20220164120A KR20240080610A KR 20240080610 A KR20240080610 A KR 20240080610A KR 1020220164120 A KR1020220164120 A KR 1020220164120A KR 20220164120 A KR20220164120 A KR 20220164120A KR 20240080610 A KR20240080610 A KR 20240080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drip bag
user
filter she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성
Original Assignee
강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성 filed Critical 강민성
Priority to KR1020220164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0610A/ko
Publication of KR2024008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06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uspended from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remain in contact with the prepared in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85/812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with features facilitating their manipulation or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 추출용 드립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꽃차의 주원료인 꽃잎 또는 다른 차용으로 사용되는 차잎 등을 사용하고, 사용자의 음용컵에 다단 형식으로 거치하여, 차의 농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차 추출용 드립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은, 개별 포장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출 또는 여행시에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며,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은, 한 쌍의 거치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여과 시트의 내부에 온수를 부었을 때에 하중이 가해져도,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차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은, 한 쌍의 거치부재가 다단형식의 홈을 포함하고 있어서, 차의 농도를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은, 일회성인 기존의 드립백과 다르게 차 추출용 드립백 1개에 240ml 음용컵에 2~3번 우려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은, 포함된 여과 시트가 옥수수 전분을 사용한 생분해성 PLA 소재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이 끝난 후에 폐기처분 될 때 환경오염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차 추출용 드립백{DRIPBACK FOR FLOWER TEA EXTRACTION}
본 발명은 차 추출용 드립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차의 주원료인 꽃잎이나 다른 차용으로 사용되는 차잎 등을 사용하고, 사용자의 음용컵에 다단 형식으로 거치하여, 꽃차 또는 잎차의 농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차 추출용 드립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드립 커피는, 볶은 커피콩을 갈아서 만든 커피가루를, 드립퍼에 놓인 시트필터에 담은 후, 그 위에 온수를 부어 내림으로써, 커피원액을 제조하고 원하는 취향으로 희석하여 음용하는 방식의 커피를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핸드드립 기구들은 주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사용하여, 대부분의 일반 소비자들은 앞서 설명한 핸드드립용 기구들이 아니라, 주로 일회용으로 판매되는 드립백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회용 드립백에 관련되어 많은 연구 개발이 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은 일회용 드립백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국화꽃잎 분말을 커피가루와 혼합하여 기능성 국화커피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커피가 가지 고 있는 따뜻한 성질과 영양 및 풍미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기능성 국화커피차 드립백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 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의 기능성 국화커피차의 제조방법은 국화꽃잎의 향미와 커피의 맛을 함께 맛볼 수 있도록 커피생두를 로 스팅한 후 분쇄된 0.1~0.4mm 크기의 커피가루 100중량부에 국화꽃잎을 덖음공정으로 덖은 후 분쇄시킨 0.2~0.5mm 크기의 국화꽃잎 분쇄물 10~4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10~20g을 드립백으로 포장하여 제품화한 기술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 커피 및 차 중에 어느 하나를 우려낼 수 있는 횟수가 1회로 한정되어 있어서, 드립백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아직도 존재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일회용 드립백 경우에는 음용컵에 안정적으로 고정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화상 사고가 많다.
따라서, 드립백 1개당, 사용자가 커피 및 차 중에 어느 하나를 우려낼 수 있는 횟수가 1회로 제한된다는 문제점과, 사용자의 음용컵에 드립백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까지 해결할 수 있는 드립백 관련 기술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특허 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14786호(2022. 08. 17.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드립백의 내용물을 차의 주원료인 꽃잎 또는 다른 차용으로 사용되는 차잎 등을 사용하고, 사용자의 음용컵에 다단 형식으로 거치하여, 꽃차 또는 잎차를 포함한 다양한 우려먹는 차의 농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차 추출용 드립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의 수용공간에 꽃잎 또는 차잎이 수용되고, 일면은 사용자에 의해 오픈이 가능하도록 절취선이 형성된 여과 시트; 및
상기 여과 시트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여과 시트를 음용컵에 거치시키는 한 쌍의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차 추출용 드립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여과 시트를, 옥수수 전분을 사용한 생분해성 PLA 소재로 제작되는, 차 추출용 드립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여과 시트는, 상단의 상기 절취선을 포함하여서, 1회 사용후에 상기 수용된 내용물을 변경 및 폐기 중에 어느 하나를 수행할 때 용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드립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부재는, 상단은 상기 여과 시트의 측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외측으로 벌어지며 상기 여과 시트에 포함된 홈을 통해, 상기 음용컵의 테두리에 다단형식으로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드립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여과 시트 및 상기 거치부재를 압착된 상태로 수용하는 포장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드립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수용된 꽃잎 또는 차잎의 모양으로 상기 거치부재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드립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은, 개별 포장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출 또는 여행시에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며,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은, 한 쌍의 거치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여과 시트의 내부에 온수를 부었을 때에 하중이 가해져도,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차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은, 한 쌍의 거치부재가 다단형식의 홈을 포함하고 있어서, 차의 농도를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은, 일회성인 기존의 드립백과 다르게 차 추출용 드립백 1개에 240ml 음용컵에 2~3번 우려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은, 포함된 여과 시트가 옥수수 전분을 사용한 생분해성 PLA 소재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이 끝난 후에 폐기처분 될 때 환경오염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의 압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리백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은, 여과 시트(100) 및 한 쌍의 거치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 시트(100)는, 내부의 수용공간에 꽃잎 또는 차잎이 수용되고, 일면은 사용자에 의해 오픈이 가능하도록 절취선(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옥수수 전분을 사용한 생분해성 PLA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또한, 상기 여과 시트(100)는, 상단의 상기 절취선(120)을 포함하여서, 1회 사용후에 상기 수용된 내용물을 변경 및 폐기 중에 어느 하나를 수행할 때 용이하다.
또한, 여과 시트(100)는, 여과시트(100)에 포함된 절취선(120)을 오픈함으로써, 여과 시트(100)의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확보된 여과시트(100)의 내부공간은 네모난 형태가 유지가 되어서, 사용자는 차 제조를 위하여 꽃잎이나 차잎 또는 온수를 투입하거나, 사용후에 내용물을 버리기 용이하다.
상기 여과 시트(100)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여과 시트(100)를 사용자의 음용컵에 거치시키는 한 쌍의 거치부재(110)를 포함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거치부재(110)는, 상단은 상기 여과 시트(100)의 측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외측으로 벌어지며 상기 여과 시트(100)에 포함된 홈(130)을 통해, 사용자의 음용컵에 다단 형식으로 거치 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차의 농도를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의 경우, 우림 방식으로 차를 음용할 수 있는 분야에 폭 넓게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일반 차용 드립백과 달리 빠른 우림이 가능한 동시에 간편하고 색 및 향의 추출이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티백이 물에 오래 담겨져 있으면 쓴맛이 강해지는 현상을 예방하고, 우림 시간을 후술하는 높이 조절부를 통하여 조절이 가능하여 차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거치부재(110)는, 사용자 음용컵의 외부 측면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여과 시트(100)의 내부에 꽃잎 또는 차잎을 넣은 상태에서 온수를 부어도 흔들림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의 압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은 여과 시트(100) 및 한 쌍의 거치부재(110)가 압착된 상태로 개별 포장되어 있기에, 사용자는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시트(100) 및 상기 거치부재(110)를, 압착된 상태로 수용하는 포장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시트(100)는, 옥수수 전분을 사용한 생분해성 PLA 소재를 사용하여서, 환경오염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추출용 드립백을 1회 사용후, 다시 재사용시에 여과 시트(100)에 포함된 절취선(120)을 오픈하여, 새로운 꽃잎 또는 차잎을 투입하고, 한 쌍의 거치부재(110)를 사용자의 음용컵 외부 측면에 고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여과 시트(100)의 내부에 온수를 부어서 꽃차 또는 잎차를 추출할 수 있으며, 여과 시트(100)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꽃잎이나 차잎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거치부재(110)는, 상기 수용된 꽃잎 또는 차잎의 모양으로 상기 거치부재(110)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꽃잎 또는 차잎과 유사한 모양만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여과 시트
110 : 거치부재
120 : 절취선
130 : 홈

Claims (5)

  1. 내부의 수용공간에 꽃잎 또는 차잎이 수용되고, 일면은 사용자에 의해 오픈이 가능하도록 절취선이 형성된 여과 시트;
    상기 여과 시트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여과 시트를 음용컵에 거치시키는 한 쌍의 거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 시트는 옥수수 전분을 사용한 생분해성 PLA 소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드립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시트는,
    상단의 상기 절취선을 포함하여서, 1회 사용후에 상기 수용된 내용물을 변경 및 폐기 중에 어느 하나를 수행할 때 용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드립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단은 상기 여과 시트의 측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외측으로 벌어지며,
    상기 여과 시트에 포함된 홈을 통해 상기 음용컵의 테두리에 다단형식으로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드립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시트 및 상기 거치부재를 압착된 상태로 수용하는 포장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드립백.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수용된 꽃잎 또는 차잎의 모양으로 상기 거치부재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드립백.
KR1020220164120A 2022-11-30 2022-11-30 차 추출용 드립백 KR20240080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4120A KR20240080610A (ko) 2022-11-30 2022-11-30 차 추출용 드립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4120A KR20240080610A (ko) 2022-11-30 2022-11-30 차 추출용 드립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0610A true KR20240080610A (ko) 2024-06-07

Family

ID=9148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4120A KR20240080610A (ko) 2022-11-30 2022-11-30 차 추출용 드립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06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661B1 (ko) 드립 커피용 컵 세트
KR101378808B1 (ko)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US20160007795A1 (en) 3 in 1 mini coffee tube as a container, a filter, and a stirring tool
KR20240080610A (ko) 차 추출용 드립백
EP20913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tea concentrate
RU91513U1 (ru) Одноразовый пластиковый стакан с двойным дном
US10624487B2 (en) Anti-overflow brewing filter and spiral hanging-ear structure coupled thereto
CN104798969B (zh) 研磨冲调咖啡包的制作工艺
KR200404021Y1 (ko) 여과기가 마련된 종이컵
US20190343322A1 (en) Edo Cup 2.0
JP6465918B2 (ja) 緑茶抽出用ティーバッグ
CN201029697Y (zh) 一种设置有夹层底的杯子
KR102576031B1 (ko) 기호성 음료 추출용 드립백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용 포장용기
CN201356359Y (zh) 袋泡茶袋
KR100883163B1 (ko)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JPH0947268A (ja) 松葉混入茶
JP3238121U (ja) 紙製濃し具
RU142240U1 (ru) Заварочный пакетик
US20130270175A1 (en) Edo Cup
KR102337485B1 (ko)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CN106387167A (zh) 固化颗粒压缩块八宝茶及其制作工艺
KR200408819Y1 (ko) 걸이 형태 1회용 차 여과기
TWM622928U (zh) 咖啡濾掛包結構改良(二)
CN105361577B (zh) 用于保健茶的冲泡装置
JP3023099U (ja) にんにく入りティーパッ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