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0384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0384A
KR20240080384A KR1020220163676A KR20220163676A KR20240080384A KR 20240080384 A KR20240080384 A KR 20240080384A KR 1020220163676 A KR1020220163676 A KR 1020220163676A KR 20220163676 A KR20220163676 A KR 20220163676A KR 20240080384 A KR20240080384 A KR 20240080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disposed
duct
compresso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우
안광용
조수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3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0384A/ko
Priority to PCT/KR2023/015332 priority patent/WO2024117512A1/ko
Publication of KR2024008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0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1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using ai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정수기의 일 실시예는, 정수기의 하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기계실을 구비할 수 있다. 기계실은 압축기의 상측에 배치되고, 압축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제1덕트, 제1덕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덕트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및 송풍팬을 바라보도록 송풍팬의 일측에 배치되고,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정수기에서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하나의 송풍팬으로 냉각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압축기와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정수기는 수돗물인 원수를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정수기는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 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출수한다. 최근의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출수가 가능하며, 크기가 작고 다양한 환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은 한국등록특허 10-2413202 및 한국등록특허 10-0378671에 개시된다.
필터에 의한 정수,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온수 및 냉각된 냉수를 모두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된 정수기에는 상온의 물을 냉각하기 위해 냉각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장치는 액체에서 기체 그리고 기체에서 액체로 상(phase)변화 하면서 물을 냉각할 수 있는 냉매에 의해 작동하는 냉동사이클을 수행할 수 있다.
냉각장치가 냉동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기체상태인 냉매가 가진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를 구비할 수 있다.
압축기가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압축기에는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압축기가 과열되면 압축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압축기는 가열되어 팽창한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하기 위해 더욱 많은 일을 해야하고, 이에 따라 압축기에 투입되는 전기의 소모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축기가 과열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기를 냉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응축기에서 기체상태의 냉매를 액체로 응축하는 과정에서 응축기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응축기를 냉각시킴으로써 응축기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는 열을 빼앗겨 기체에서 액체로 응축될 수 있다.
압축기와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위해 냉각을 위한 외부공기가 압축기와 응축기를 지나도록 강제하는 공랭식 냉각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을 위해 정수기에는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될 수 있다.
정수기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기, 응축기 및 송풍팬 등의 부품은 상당한 체적을 차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 내부의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고 동시에 송풍팬이 차지하는 체적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정수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정수기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이 동작하면 정수기 외부의 공기가 정수기 내부로 유입된다.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정수기의 케이싱에는 공기가 정수기 내부를 출입하는 통기부위가 구비될 수 있다.
정수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케이싱에 형성된 통기부위에는 외부로부터 정수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될 수 있다.
정수기에서 통기부위가 사용자가 볼 수 있고, 사용자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통기부위에 흡착된 이물질은 사용자의 손, 옷 등에 묻을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통기부위가 사용자의 눈에 띄게 되면 통기부위에 흡착된 먼지가 정수기의 시각적인 심미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통기부위에 흡착된 이물질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하는 구조를 가진 정수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와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배치된 압축기, 응축기 및 송풍팬을 구비하는 구조를 가진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에 구비되는 통기부위에 흡착된 이물질이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 가진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정수기의 일 실시예는, 정수기의 하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기계실을 구비할 수 있다. 기계실은 압축기의 상측에 배치되고, 압축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제1덕트, 제1덕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덕트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및 송풍팬을 바라보도록 송풍팬의 일측에 배치되고,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정수기에서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하나의 송풍팬으로 냉각할 수 있다.
제1덕트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1파트, 제1파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제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파트는, 제1덕트의 상하방향으로 유동하여 제1덕트에 유입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1덕트의 측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압축기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유입구를 통해 제1덕트의 하단부로 유입되고,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공기배출구를 통해 제1덕트의 측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와 응축기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압축기를 통과한 공기가 다시 응축기를 통과하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정수기의 바닥판은, 송풍팬에 의해 기계실 내부를 강제유동하는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통기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의 동작에 따라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정수기의 바닥으로부터 기계실의 내부로 유입되고, 기계실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의 일부는 다시 정수기의 바닥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기영역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통기영역에 흡착된 이물질은 사용자의 손, 옷 등에 묻지않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정수기의 동작에 필요한 부품들이 구비되는 기계실, 케이싱의 상부에 배치되고,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음용하는 물이 배출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기계실은, 하부에 배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각부와 압축기 사이에 배치되고,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및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고, 응축기를 향하여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는 압축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정수기의 측방향으로 압축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압축기가 배치되고, 기계실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을 더 포함하고, 바닥판은, 송풍팬에 의해 기계실 내부를 강제유동하는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통기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은, 바닥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정수기를 지지하는 제1레그(leg), 및 통기영역에서 바닥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통기영역을 정수기가 놓이는 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압축기의 상측에 배치되고 압축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제1덕트를 더 포함하고, 제1덕트는, 제1덕트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 및 송풍팬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파트, 및 제1파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파트를 포함하고, 제1파트는 공기유입구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응축기는 제1덕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덕트는 압축기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는 정수기의 바닥판에 배치되고, 제1덕트는 압축기와 냉각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은, 상하방향으로 압축기와 냉각부 사이에 배치되고, 측방향으로 제1덕트와 응축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은, 송풍팬의 후방에 송풍팬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응축기를 수용하고,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공간을 제공하는 제2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케이싱의 외부에서 케이싱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는, 기계실 및 냉각부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기계실은, 압축기 및 제1덕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압축기와 연결되고 냉매를 팽창시켜 냉매의 온도를 저감시키는 팽창기, 및 몸체부를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
냉각부는, 냉매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저장탱크에 수용되고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 및 저장탱크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어부가 구비되는 메인회로기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기계실에 배치되고 양단이 정수기의 바닥판에 결합하고 압축기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제1덕트 및 제2덕트는 프레임에 결합하여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저장탱크는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 및 응축기는 제2덕트에 결합하여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은, 하단이 바닥판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제1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플레이트, 제2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제2플레이트와 단차를 가지는 제3플레이트, 및 제3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고 하단이 바닥판과 결합하는 제4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는 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저장탱크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프레임은, 제1플레이트 및 제3플레이트에 돌출되고, 제2덕트가 결합하는 제1결합돌기, 제2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제1덕트가 결합하는 제2결합돌기, 제3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제1덕트가 결합하는 제1결합홀, 제2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받침부가 결합하는 제1후크, 및 제1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받침부가 결합하는 제3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덕트는, 제1결합돌기와 결합하는 제4결합돌기, 및 송풍팬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결합홀을 포함하고, 송풍팬은 제2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는, 제2결합돌기와 결합하는 제5결합돌기, 및 제1결합홀에 삽입되어 제1덕트를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제2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는, 하면에 돌출되고 제3결합돌기와 결합하는 제6결합돌기, 및 하면에 돌출되고 제1후크가 삽입되는 후크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기계실, 기계실의 상측에 배치되고,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 기계실 및 냉각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 및 케이싱의 외부에 케이싱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기계실은, 하부에 배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기의 상측에 배치되고, 공기의 유동방향을 변경하는 제1덕트, 제1덕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덕트를 유동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송풍팬을 바라보도록 송풍팬의 일측에 배치되고,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압축기 및 제1덕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압축기와 연결되고 냉매를 팽창시켜 냉매의 온도를 저감시키는 팽창기, 및 몸체부를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는 압축기가 배치되고, 기계실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을 더 포함하고, 바닥판은, 송풍팬에 의해 기계실 내부를 강제유동하는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통기영역, 바닥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정수기를 지지하는 제1레그, 및 통기영역에서 바닥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통기영역을 정수기가 놓이는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는, 제1덕트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 송풍팬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파트, 및 제1파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제2파트를 포함하고, 제1파트는 공기유입구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압축기는 정수기의 바닥판에 배치되고, 제1덕트는 압축기와 냉각부 사이에 배치되고, 송풍팬은 상하방향으로 압축기와 냉각부 사이에 배치되고, 측방향으로 제1덕트와 응축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서, 기계실에 구비되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하나의 송풍팬으로 냉각함으로써, 비교적 적은 양의 전기로 압축기와 응축기를 냉각함으로써, 정수기의 부품에 대한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서, 제1덕트를 사용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압축기와 응축기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압축기를 통과한 공기가 다시 응축기를 통과하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기와 압축기는 서로 위치가 구속되지 않고 기계실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응축기와 압축기의 배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응축기를 기계실의 여유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 부품배치를 위한 기계실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 내부의 공간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서, 통기영역은 바닥판에 형성되므로, 정수기가 사용을 위해 설치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볼 수도 접촉할 수도 없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기영역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통기영역에 흡착된 이물질은 사용자의 손, 옷 등에 묻지않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통기영역은 사용자의 눈에 띠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통기영역에 흡착된 이물질을 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정수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시각적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케이싱을 생략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몸체부를 생략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정수기의 일부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덕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몸체부가 정수기에서 설정된 최상단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몸체부가 정수기에서 도 14와 비교하여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몸체부가 정수기에서 설정된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케이싱에서 몸체부와 가이드부를 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케이싱에서 몸체부와 가이드부를 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9는 몸체부와 가이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1은 몸체부와 가이드부가 결합한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2는 몸체부와 가이드부가 결합한 부위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23은 피니언기어와 랙기어가 치합한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서 기어박스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몸체부에서 단면을 자른 도면이다.
도 26은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정수기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27은 정수기에 구비되는 일부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분해도이다.
도 29는 도 27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덕트 및 송풍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덕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덕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방향"은 정수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정수기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포함하는 의미를 가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상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상수(city water)를 필터링하는 기능, 물을 냉각하여 냉수로 만드는 기능, 물을 가열하여 온수로 만드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정수기는 기계실(100), 냉각부(200), 케이싱(400), 바닥판(500), 및 몸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100)은 케이싱(4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의 동작에 필요한 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기계실(100)은 정수기의 하부에 구비되고, 정수기를 동작시키는 각종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00)은 케이싱(400)이 형성하는 정수기의 내부공간의 하부일 수 있다.
냉각부(200)는 케이싱(400)의 상부에 배치되고, 기계실(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물을 냉각할 수 있다. 냉각부(200)는 케이싱(400)이 형성하는 정수기의 내부공간의 상부일 수 있다. 냉각부(200)에는 물을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220)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상변화하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정수기에 구비되는 냉동사이클을 먼저 설명한다.
냉동사이클은 압축기(110), 응축기(140), 팽창기(170) 및 증발기(220)를 포함하고, 각 장치를 연결하여 냉매가 이들 각 장치를 순환하도록 하는 배관이 구비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에서 작동유체(working fluid)의 역할을 하는 냉매는 예를 들어, HCFC화합물, HFC화합물, HFO화합물 등 다양한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220)에서 배출되는 기체상태의 냉매는 압축기(110)로 유입되고, 냉매는 압축기(110)에서 압축되어 고온 및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기(110)로부터 배출되어 응축기(140)로 유입될 수 있다.
냉매는 응축기(140)를 통과하면서 주위로 열을 빼앗기고 기체상태에서 액체상태로 응축되고, 응축기(140)로부터 배출되어 팽창기(170)로 유입될 수 있다.
냉매는 팽창기(170)를 통과하면서 단열팽창하고 일부가 기화되어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포화상태가 될 수 있다. 냉매는 단열팽창을 통해 기화열을 잃게 되고 이에 따라 온도가 급격히 낮아질 수 있다. 팽창기(170)로부터 배출되는 포화상태의 냉매는 증발기(220)로 유입될 수 있다.
냉매는 증발기(220)를 통과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기화하게 되고, 거의 대부분이 기화된 상태로 증발기(220)로부터 배출되어 압축기(110)로 유입될 수 있다.
냉매는 전술한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응축기(140)에서 주위로 열을 배출하고, 증발기(220)에서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사이클에서 증발기(220) 주위에서 물의 열을 빼앗아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정수기의 냉각부(200)에서는 증발기(220)와 물이 유동하는 냉각코일(250) 사이에서 열교환이 일어나, 증발기(220)를 유동하는 냉매는 열을 흡수하여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화하고 냉각코일(250)을 유동하는 물은 열을 빼앗겨 냉각될 수 있다.
케이싱(400)은 정수기의 외형을 형성하고, 또한 기계실(100) 및 냉각부(2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400)은 대체로 속이 빈 육각형 형태를 가지고,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된 형태로 수비될 수 있다. 케이싱(400)의 개방된 하단은 바닥판(500)과 결합하여 폐쇄될 수 있다.
케이싱(400)의 내부공간의 상부는 냉각부(200)를 형성하고, 내부공간의 하부는 기계실(100)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400)은 예를 들어, 가볍고 성형성이 양호한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정수기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고, 정수기에 구비되는 부품들을 내장하는 충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케이싱(400)은 평면으로 보아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고, 상하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타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기의 외형도 전체적으로 타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500)은 압축기(110)가 배치되고, 기계실(10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판(500)은 케이싱(400)의 다단에 결합하여 케이싱(400)의 하단을 폐쇄할 수 있다.
바닥판(500)의 상면에는 압축기(110)가 놓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110)는 정수기 내부에서 최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판(500)에는 정수기의 내부로 공기 유입되고, 정수기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통기영역(510)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00)는 케이싱(400)의 외부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음용하는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몸체부(300)는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340)를 포함하고, 기계실(100) 및 냉각부(200) 사이를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300)는 기계실(100)과 냉각부(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400)의 외부에 배치되고, 케이싱(400)을 따라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300)는 케이싱(400)의 외부에서 케이싱(40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300)는 케이싱(400)을 둘러싸도록 전체적으로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300)가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함으로써, 몸체부(3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컵의 상단의 높이에 상관없이 몸체부(300) 아래에 컵을 가져다 놓으면, 정수기의 제어부는 출수구(340) 끝에서 컵 상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물이 컵 밖으로 튀어오르지 않고 컵에 담기기에 적당한 거리가 되도록 몸체부(300)를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몸체부(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케이싱(400)을 생략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도면에서 명확한 설명을 위해 배관의 일부의 도시를 생략하였고, 또한 냉매배관(820)에 장착되는 단열부재의 일부도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0)는 기계실(100) 및 냉각부(200)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300)의 최고높이가 케이싱(400)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까지이고, 최저높이가 돌출된 출수구(340)가 정수기가 배치된 부위의 지면에 닿지 않을 높이가 되는 범위에서, 몸체부(300)의 정수기의 상하방향 이동범위가 적절히 정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계실(100)에는 상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상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는 예를 들어, 카본블럭필터, UF필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필터가 정수기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필터를 통과한 물은 그대로 출수구(340)로 배출되거나, 또는 냉각부(200)를 거쳐 냉각되어 출수구(340)로 배출되거나, 또는 가열부(160)를 거쳐 가열되어 출수구(340)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기계실(100)과 냉각부(20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서 몸체부(300)를 생략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배면도이다. 기계실(100)은 압축기(110), 제1덕트(120), 송풍팬(130), 응축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10)는 기계실(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배출할 수 있다. 압축기(110)는 바닥판(500)의 상면에 결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리 인해 압축기(110)는 정수기 내부에서 최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10)는 정수기를 구성하는 부품 중 상대적으로 하중이 큰 부품이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평면으로 보아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고, 상하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타워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타워형 정수기의 경우, 그 형상으로 인해 설치위치의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 전복될 우려가 있다. 실시예에서는 다른 부품보다 상대적으로 하중이 큰 압축기(110)를 정수기의 최하부에 배치하여, 정수기 전체의 무게중심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정수기의 무게중심이 정수기에서 낮은 곳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정수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충격 등에 의해 전복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제1덕트(120)는 압축기(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압축기(11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덕트(120)는 압축기(110)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팬(130)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기계실(100)로 유입 또는 기계실(100)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을 위한 공기의 통로는 기계실(100) 하측에 배치되는 바닥판(500)에 통기영역(51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응축기(140)는 제1덕트(1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덕트(120)는 압축기(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덕트(120)는 압축기(110)를 통과한 공기가 응축기(140)로 유동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1덕트(120)의 공기출구에는 송풍팬(13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판(500)의 통기영역(510)을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기계실(100)로 유입되고 통기영역(510)을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기계실(10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냉각을 위한 공기는 기계실(100) 내부에서 순환유동을 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적절하다.
기계실(100)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유동이 원활하게 되려면, 공기는 바닥판(500)으로부터 상승하여 압축기(110)를 통과한 후. 정수기의 측방향으로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유동하여 송풍기와 응축기(140)를 통과한 후, 다시 정수기의 하측방향으로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하강하여 공기의 바닥판(5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공기가 바닥판(500)으로부터 상승하여 압축기(110)를 통과한 후, 공기의 유동방향이 정수기의 측방향으로 변경되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실시예에서 제1덕트(120)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정수기의 상하방향에서 측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압축기(110)를 통과한 공기는 제1덕트(120)에 의해 가이드되고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송풍팬(130)으로 유입되고, 다시 공기는 송풍팬(130)으로부터 배출되어 응축기(140)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압축기(110)를 통과하면서 압축기(110)를 냉각한 공기는 다시 응축기(140)를 통과하면서 응축기(140)를 냉각할 수 있다.
송풍팬(130)은 제1덕트(1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덕트(1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응축기(140)를 향하여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송풍팬(130)은 기계실(100)에 공기를 강제유동시켜 기계실(100)에 배치되는 압축기(110)와 응축기(140)가 강제유동 공기에 의해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응축기(140)는 송풍팬(130)을 바라보도록 송풍팬(130)의 일측에 배치되고, 냉매를 응축할 수 있다. 응축기(140)는 긴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140)의 체적을 줄이기 위해, 긴 배관을 다수의 절곡부위를 가진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하여 응축기(140)를 제작할 수 있다.
응축기(140)를 형성하는 배관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배관의 외부표면은 송풍기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가 스쳐 지나가고 이에 따라 응축기(140)를 유동하는 냉매는 열을 잃고 냉각되어 응축되고, 액체의 상태로 응축기(14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응축기(140)에서 냉각효과를 높이기 위해 응축기(140)의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응축기(140)를 형성하는 배관은 상면과 하면이 측면에 비해 훨씬 넓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기(140)를 형성하는 배관은 단면으로 보아 대체로 속이 빈 직사각형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응축기(140)는 압축기(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정수기의 측방향으로 압축기(1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응축기(140)는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압축기(110)의 바로 위에 배치되지 않고, 압축기(110)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압축기(110)의 상측과 응축기(140)의 일측에는 여유공간이 생기고, 여기에 송풍팬(13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압축기(110), 송풍팬(130) 및 응축기(140)를 중첩되도록 즉, 일직선상으로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계실(100)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정수기 전체의 높이와 전체 체적을 줄일 수 있다.
압축기(110)는 정수기의 바닥판(500)에 배치되어 압축기(110)의 하중으로 인해 정수기는 전체적으로 무게중심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정수기의 전복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제1덕트(120)는 압축기(110)와 냉각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판(50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상승하면서 압축기(110)를 통과하고, 다시 제1덕트(120)로 유입되어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정수기의 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덕트(120)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22)는 정수기의 후방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덕트(1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기계실(100) 내부에서 정수기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덕트(120)의 공기배출구(122)의 배치방향은 정수기의 전방을 향하거나 또는 정수기의 왼쪽 또는 정수기의 오른쪽으로 향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송풍팬(130)은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압축기(110)와 냉각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정수기의 측방향으로 제1덕트(120)와 응축기(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로 인해, 송풍팬(130)이 동작하면 공기는 바닥판(500)의 통기영역(510)을 통해 기계실(100) 내부로 유입되고, 다시 압축기(110)를 통과하고, 다시 덕트를 통과하면서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정수기의 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송풍팬(130)과 응축기(140)를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케이싱(400)의 내부에는 물배관(8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물배관(810)은 정수기의 기계실(100)과 냉각부(200) 전체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물배관(810)은 상수도관과 연결되어 상부도관으로부터 상수가 유입될 수 있다.
물배관(810)은 냉각부(200) 및 가열부(160)와 연결되고, 상온의 물, 냉각된 물 또는 가열된 물을 출수하는 출수관(811)과 연결될 수 있다. 정수기의 내부구조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각 도면들에서 물배관(810)의 일부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케이싱(400)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8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냉매배관(820)은 기계실(100)과 냉각부(200) 전체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냉매배관(820)은 압축기(110), 응축기(140), 팽창기(170) 및 증발기(220)를 연결하여 냉매가 이들 장치를 순환하면서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냉매배관(820)은 팽창기(170)를 통과한 이후에서 온도가 낮아지므로, 낮은 냉매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팽창기(170) 이후부터 증발기(220)까지의 부위에서 단열부재가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정수기의 내부구조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각 도면들에서 냉매배관(820)과 단열부재의 일부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기계실(100)에는 정수기의 작동에 필요한 전기를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전원단자부(83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단자부(830)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계실(100)은 가열부(160), 팽창기(170), 구동모터(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60)는 압축기(110) 및 제1덕트(120)의 일측에 배치되고, 물을 가열 수 있다. 가열부(160)는 물배관(810)과 연결되고 가열부(160)를 통과한 물은 가열되어 온수가 되어 출수구(340)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정수기 전체의 체적을 줄이기 위해, 가열부(160)는 압축기(110)와 제1덕트(120)의 일측에 배치되고, 평면으로 보아 단면이 사각형인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기에 적절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가열부(160)는 두께가 비교적 얇은 납작한 판형으로 제작되고 외형은 대략적으로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160)의 형상으로 인해 기계실(100)과 정수기 전체의 체적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160)는 전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전열식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팽창기(170)는 압축기(110)로부터 유입되는 액체상태의 냉매를 단열팽창시켜 냉매의 온도를 떨어트릴 수 있다. 팽창기(170)는 예를 들어 모세관 형태 또는 팽창밸브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모세관 형태의 팽창기(170)가 도시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팽창기(170)는 냉매배관(820)을 통해 응축기(140) 및 증발기(220)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180)는 케이싱(400)에 결합하여 기계실(100)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모터(180)는 몸체부(300)를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180)의 회전축(182)에는 피니언기어(181)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300)는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랙기어(730)에 결합할 수 있다. 랙기어(730)는 몸체부(3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181)와 랙기어(730)는 서로 치합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80)가 동작하여 피니언기어(181)가 회전하면 피니언기어(181)가 치합한 랙기어(730)는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랙기어(730)의 이동에 따라 이에 결합한 몸체부(300)는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저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500)에는 송풍팬(130)에 의해 기계실(100) 내부를 강제유동하는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통기영역(510)이 형성될 수 있다.
통기영역(510)은 바닥판(500)에서 압축기(110)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압축기(110)와 통기영역(510)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정수기를 평면으로 보는 경우, 통기영역(510)의 면적은 압축기(11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통기영역(510)을 통과한 공기는 상승하여 압축기(110)의 표면전체와 접촉하여 압축기(11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20)를 통과한 가열된 공기는 압축기(110)의 방해를 받지 않고 통기영역(510)을 통해 정수기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통기영역(510)은 큰 이물질이 기계실(100)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매쉬(mesh)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정수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통기영역(510)에는 공기 중의 먼지 등 미세한 이물질이 흡착될 수 있다.
통기영역(510)은 바닥판(500)에 형성되므로, 정수기가 사용을 위해 설치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볼 수도 접촉할 수도 없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기영역(510)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통기영역(510)에 흡착된 이물질은 사용자의 손, 옷 등에 묻지않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통기영역(510)은 사용자의 눈에 띠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통기영역(510)에 흡착된 이물질을 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정수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시각적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바닥판(500)은 제1레그(520)(leg) 및 제2레그(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레그(520)와 제2레그(530)는 정수기가 놓이는 바닥면에 대하여 정수기를 지지할 수 있고, 정수기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레그(520)는 바닥판(5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정수기를 지지할 수 있다. 제1레그(520)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바닥판(500)의 모서리 부위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정수기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레그(530)는 통기영역(510)에서 바닥판(5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통기영역(510)을 정수기가 놓이는 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제2레그(530)는 통기영역(510)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통기영역(510)에는 압축기(110)가 놓일 수 있다. 압축기(110)는 상당한 하중을 가지므로, 정수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압축기(110)의 하중에 의해 통기영역(510)이 변형되어 하측방향으로 늘어질 수 있다. 특히, 통기영역(510)에는 압축기(110)가 배치되고, 통기영역(510)이 매쉬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바닥판(500)의 다른 부위에 비해 통기영역(510)은 하중에 의한 변형에 취약할 수 있다.
통기영역(510)이 늘어져서 정수기가 놓이는 싱크대 기타 대상체의 면에 근접하거나 이러한 면에 접촉하는 경우 외부의 공기가 통기영역(510)을 통해 기계실(100) 내부로 유동하는 것이 방해를 받을 수 있다.
외부공기는 바닥판(500)의 하면과 정수기가 놓이는 면 사이에 이격된 틈새를 통해 통기영역(5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통기영역(510)이 늘어지면 이러한 틈새의 폭이 줄어들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의 유동이 방해를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제2레그(530)가 정수기가 놓이는 면을 지지하도록 하여, 바닥판(500)의 하면과 정수기가 놓이는 면 사이의 틈새의 이격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레그(530)가 통기영역(510)을 지지함으로써, 압축기(110)의 하중에 의해 통기영역(510)이 변형되어 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동시에 바닥판(500)의 하면과 정수기가 놓이는 면 사이의 틈새의 이격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는 이러한 틈새를 통해 통기영역(510)에 원활하게 도달하여 통기영역(51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압축기(110)와 응축기(14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로인해, 정수기가 지속적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도 압축기(110)와 응축기(140)의 냉각성능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냉각부(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냉각부(200)는 물을 냉각하기 위한 구조로써, 저장탱크(210), 증발기(220), 냉각코일(250), 교반기(260), 격벽(27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탱크(210)는 냉매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냉각수는 증발기(220)의 냉매에 의해 냉각되고 냉각된 상태에서 냉각코일(250)을 유동하는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냉매는 냉각수를 냉각하고, 냉각수는 다시 사용자가 음용하는 물을 냉각하는 간접냉각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냉매가 직접 음용하는 물을 냉각하는 직접냉각 방식은 이를 구현하는 구조가 어렵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직접냉각 방식을 사용할 경우, 영하 10℃이하인 증발기(220)의 냉매에 의해 냉각코일(250)을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면 냉각코일(250)에 얼음이 생기게 되고 냉각코일(250)이 막힐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직접냉각 방식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간접냉각 방식을 사용하여 냉각코일(250)을 유동하는, 사용자가 음용하는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저장탱그에 유입되는 냉각수는 물배관(810)을 통해 저장탱크(210)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배관(810)과 저장탱크(210)를 유동하는 배관이 설치되고 이러한 배관에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밸브가 개방되면 저장탱크(210)에 필요한 냉각수가 유입되고, 필요한 양만큼 냉각수가 저장탱크(210)에 채워지면 밸브를 닫을 수 있다. 냉각수는 저장탱크(210)에 주기적으로 적절한 양이 채워질 수 있고, 저장탱크(210)로부터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구비될 수 있다.
저장탱크(210)에는 저온의 냉각수가 저장되고, 이보다 더 낮은 온도의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220)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냉각수와 냉매에 열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저장탱크(210)는 단열용기로 제작될 수 있다.
증발기(220)는 저장탱크(210)에 수용되고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냉매는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저온의 포화상태에서 증발기(220)로 유입되고 냉각수로부터 열을 빼앗아 지속적으로 기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탱크(210)에 저장된 냉각수는 냉각되어 냉각코일(250)을 유동하는 물을 냉각할 수 있다.
증발기(220)는 코일형태로 형성된 배관으로 구비되고, 냉각수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220)와 냉각수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 냉각수는 증발기(22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냉각코일(250)은 저장탱크(210)에 수용되고, 증발기(2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코일(250)에는 사용자가 음용하는 물이 유동할 수 있다. 냉각코일(250)은 코일형태로 형성된 배관으로 구비되고, 냉각수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냉각수와 냉각코일(250)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 냉각코일(250)을 유동하는 물은 냉각수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교반기(260)는 냉각수를 교반할 수 있다. 교반기(260)는 냉각수에 잠기게 되고, 교반기(260)의 상부에는 교반모터(261)가 구비될 수 있다. 교반모터(261)는 냉각수에 잠기지 않도록 저장탱크(210)의 청정부위에 결합하고, 교반기(260)는 적어도 일부가 냉각수에 잠기도록 저장탱크(210)에 배치될 수 있다.
교반모터(261)가 동작하면, 교반기(260)는 회전하여 냉각수를 교반시킬 수 있다. 냉각수의 상부에 증발기(220)가 잠기도록 배치되고, 냉각수의 하부에 냉각코일(250)이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냉각수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교반기(260)를 사용하여 냉각수를 교반함으로써, 저장탱크(210)에 채워진 냉각수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가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용하는 물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매우 낮은 온도의 증발기(220)로 인해 냉각수의 일부가 얼 수 있는데, 교반기(260)를 사용하여 냉각수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냉각수의 온도 불균일로 인해 냉각수의 일부영역에 얼음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격벽(270)은 증발기(220)와 냉각코일(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270)은 매쉬구조로 구비되므로, 증발기(220)와 냉각코일(250)은 격벽(270)의 방해를 받지 않고 냉각수에 잠길 수 있다.
격벽(270)은 증발기(220)를 지지할 수 있다. 증발기(220)는 격벽(270)에 장착되어 그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격벽(270)은 증발기(220)와 냉각코일(250)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증발기(220)와 냉각코일(250)이 서로 접촉하는 경우, 냉각코일(250)의 이러한 접촉부위에서 냉각코일(250)을 유동하는 물이 순간적으로 크게 냉각되고 이에 따라 냉각코일(250) 내부에 얼음이 생길 수 있다.
격벽(270)은 증발기(220)와 냉각코일(250)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분리함으로써, 냉각코일(250)을 유동하는 물이 증발기(220)와 접촉하여 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이에 따라 얼음으로 인한 냉각코일(250)의 막힘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냉각부(200)는 탁도센서(240)와 메인회로기판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탁도센서(240)는 냉각부(200)에서 저장탱크(210)의 외부에 배치되고, 물배관(810)과 연결될 수 있다. 탁도센서(240)는 물배관(810)을 유동하는 물의 혼탁정도를 센싱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탁도센서(240)로부터 전송받은 물의 혼탁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필터교체 또는 물배관(810) 청소의 시기가 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부(230)는 저장탱크(2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부(230)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정수기의 모든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부(230)는 인쇄회로기판과 이를 수용하는 커버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는 전자기파 차단을 위해, 예를 들어 금속, 더욱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정수기의 일부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덕트(12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덕트(120)는 공기유입구(121), 공기배출구(122), 제1파트(123), 제2파트(12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구(121)는 제1덕트(12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송풍팬(130)이 작동함에 따라, 통기영역(510)으로부터 기계실(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통기영역(510)과 중첩된 위치에 배치된 압축기(110)를 통과하면서 압축기(110)를 냉각하고 계속 상승하여 공기유입구(121)를 통해 제1덕트(120)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배출구(122)는 송풍팬(130)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공기배출구(122)는 제1덕트(120)의 측면에 배치된 송풍팬(130)을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공기유입구(121)로 유입된 공기는 제1덕트(120)에서 유동방향이 정수기의 상하방향에서 측방향으로 변경되어 공기배출구(122)를 통해 송풍팬(1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파트(123)는 공기유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파트(124)는 제1파트(123)와 일체로 형성되고, 공기배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파트(123)는 공기유입구(121)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121)에서 제1파트(123)의 상하방향 단면적은 최대가 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유입구(121) 즉, 제1파트(123)의 하단에서의 단면적은 압축기(110)의 상하방향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압축기(110)를 통과하면서 압축기(110)의 외부로 분산되어 유동하는 공기는 넓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공기유입구(121)를 통해 원활하게 제1덕트(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파트(124)는 제1덕트(120)의 상하방향으로 유동하여 제1덕트(120)에 유입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1덕트(120)의 측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1파트(123)를 통과하여 제2파트(124)로 유입된 공기는 제2파트(124)의 천정에 부딪혀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송풍팬(130)을 마주보도록 형성된 공기배출구(122)를 통해 정수기의 측방향으로 유동하여 공기배출구(122)를 빠져나갈 수 있다.
기계실(100)은 송풍팬(130)의 후방에 송풍팬(130)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응축기(140)를 수용하고, 송풍팬(1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공간을 제공하는 제2덕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덕트(150)는 응축기(14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덕트(150)는 양측이 개방되어 일측 개방부위에서는 송풍팬(130)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타측 개방부위에서는 응축기(140)를 통과한 공기가 응축기(14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송풍팬(1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제2덕트(150) 내부를 유동하고 제2덕트(150) 내부에 수용된 응축기(140)를 냉각할 수 있다. 제2덕트(150)는 송풍팬(1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최대한 응축기(140)를 통과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시 10을 참조하면, 압축기(110)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유입구(121)를 통해 제1덕트(120)의 하단부로 유입되고,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공기배출구(122)를 통해 제1덕트(120)의 측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0에서 송풍팬(130)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화살표로 도시되었다. 송풍팬(130)이 동작하면, 외부의 공기는 바닥판(500)의 통기영역(510)을 통과하여 기계실(100) 내부로 유입되고 계속 상승하여 압축기(110)를 냉각할 수 있다.
압축기(110)를 통과한 공기는 제1덕트(120)로 유입되고, 제1덕트(120)의 천정에 부딪혀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정수기의 측방향으로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제1덕트(120)의 일측에 배치된 송풍팬(1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송풍팬(130)을 통과한 공기는 송풍팬(1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응축기(140)로 유입되고, 제2덕트(150)에 의해 가이드되어 응축기(140)를 냉각하고 배출될 수 있다.
응축기(140)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케이싱(400)에 부딪혀 일부는 냉각부(200)로 유동하고 일부는 기계실(100)의 하부로 하강할 수 있다. 기계실(100)의 하부로 하강하는 공기중 일부는 기계실(100)을 순환하고 일부는 바닥판(500)의 통기영역(510)을 통해 정수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케이싱(400)의 후면패널 즉, 복수의 패널이 결합하여 중공의 사각기둥을 형성하는 케이싱(400)에서, 케이싱(400)의 후면을 형성하는 패널에 송풍팬(130) 및 응축기(140)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응축기(14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는 바로 케이싱(400)의 후면패널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바닥판(500)으로 유입되어 케이싱(400)의 후면패널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활한 공기유동으로 인해 압축기(110)와 응축기(140)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기계실(100)에 구비되는 압축기(110)와 응축기(140)를 하나의 송풍팬(130)으로 냉각함으로써, 비교적 적은 양의 전기로 압축기(110)와 응축기(140)를 냉각함으로써, 정수기의 부품에 대한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덕트(120)를 사용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압축기(110)와 응축기(140)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압축기(110)를 통과한 공기가 다시 응축기(140)를 통과하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기(140)와 압축기(110)는 서로 위치가 구속되지 않고 기계실(100)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응축기(140)와 압축기(110)의 배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응축기(140)를 기계실(100)의 여유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 부품배치를 위한 기계실(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 내부의 공간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4는 몸체부(300)가 정수기에서 설정된 최상단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몸체부(300)가 정수기에서 도 14와 비교하여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몸체부(300)가 정수기에서 설정된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몸체부(300)가 케이싱(400)에 결합하고, 또한 몸체부(300)가 케이싱(40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정수기는 가이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00)에는 가이드부(700)의 장착을 위한 슬릿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00)는 몸체부(300)를 케이싱(400)에 결합시키고 몸체부(300)의 케이싱(400)에 대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케이싱(400)에는 가이드부(700)가 삽입되고 길이방향이 케이싱(400)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릿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400)과 마찬가지로, 가이드부(700)는 예를 들어, 가볍고 성형성이 양호한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슬릿홀(410)은 케이싱(400)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가이드부(700)는 한 쌍의 슬릿홀(41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300)가 케이싱(4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가이드부(700)가 슬릿홀(410)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슬릿홀(410)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슬릿홀(410)에 결합하는 가이드부(700)도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슬릿홀(410)은 폭이 상대적으로 좁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릿홀(410)은 길이방향이 케이싱(400)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폭방향이 케이싱(400)의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700)는 삽입부(710), 돌출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710)는 슬릿홀(410)에 삽입되어 슬릿홀(410)을 폐쇄할 수 있다. 돌출부(720)는 몸체부(300)가 결합하고 삽입부(71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710)는 슬릿홀(410)을 폐쇄하기 위해 슬릿홀(4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710)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형태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릿홀(410)을 통해 케이싱(400)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이 케이싱(400)의 내부에 쌓이면, 케이싱(400)의 내부에 수용된 부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슬릿홀(410)을 통해 정수기의 내부가 보이는 경우에 미관상으로 좋지 않다.
따라서, 몸체부(300)가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어떠한 경우에도 슬릿홀(410)이 개방되지 않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케이싱(400)에서 몸체부(300)와 가이드부(700)를 케이싱(40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케이싱(400)에서 몸체부(300)와 가이드부(700)를 케이싱(40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슬릿홀(410)이 폐쇄되도록 하기 위해, 삽입부(710)는 길이 및 폭이 슬릿홀(410)의 길이(L2) 및 폭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710)의 폭이 슬릿홀(410)의 폭보다 크게 구비됨으로써 삽입부(710)는 슬릿홀(410)을 폭방향으로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즉, 삽입부(710)는 슬릿홀(410)을 통해 케이싱(400)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케이싱(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릿홀(410)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삽입부(710)는, 몸체부(300)가 케이싱(400)에 대하여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슬릿홀(410)을 폭방향으로 폐쇄할 수 있다.
몸체부(300)는 설정된 범위에서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몸체부(300)가 설정된 범위에서 정수기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삽입부(710)는 항상 슬릿홀(410)을 폐쇄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슬릿홀(410)의 길이(L2)와 삽입부(710)의 길이(L3)는 다음과 같이 상대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몸체부(300)가 정수기에서 설정된 최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삽입부(710)의 하단은 슬릿홀(41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슬릿홀(410)의 길이(L2)와 삽입부(710)의 길이(L3)가 상대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300)가 정수기에서 설정된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삽입부(710)의 상단은 슬릿홀(410)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슬릿홀(410)의 길이(L2)와 삽입부(710)의 길이(L3)가 상대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렇게 슬릿홀(410)의 길이(L2)와 삽입부(710)의 길이(L3)를 정하면, 몸체부(300)가 설정된 범위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 상관없이 삽입부(710)는 슬릿홀(410)을 항상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기의 사용시 슬릿홀(410)을 통해 정수기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삽입부(710)는 그 폭이 슬릿홀(4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또한 몸체부(300)가 설정된 범위에서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 하더라도 항상 슬릿홀(410)를 폐쇄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기의 사용시 삽입부(710)는 슬릿홀(410)을 항상 폐쇄하므로, 슬릿홀(410)을 통해 정수기의 케이싱(400)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삽입부(710) 및 돌출부(720)는 길이방향이 슬릿홀(410)의 길이(L2)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720)의 길이(L1)는 삽입부(710)의 길이(L3)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720)의 길이(L1)는 슬릿홀(410)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710)의 길이(L3), 슬릿홀(410)의 길이(L2), 돌출부(720)의 길이(L1)는 다음의 관계를 가진다.
삽입부(710)의 길이(L3) > 슬릿홀(410)의 길이(L2) > 돌출부(720)의 길이(L1)
도 14를 참조하면, 몸체부(300)가 정수기에서 설정된 최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돌출부(720)의 상단은 슬릿홀(410)의 상단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300)는 설정된 범위를 넘어 케이싱(400)에 대하여 더욱 상승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몸체부(300)가 정수기에서 설정된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돌출부(720)의 하단은 슬릿홀(410)의 하단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300)는 설정된 범위를 넘어 케이싱(400)에 대하여 더욱 하강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돌출부(720)는 슬릿홀(410)을 통해 케이싱(400) 외부로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720)는 몸체부(300)가 설정된 최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단이 슬릿홀(410)의 상단과 접촉하고, 몸체부(300)가 설정된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하단이 슬릿홀(410)의 하단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720)는 몸체부(300)가 설정된 범위를 넘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부, 구동모터(180) 등의 오동작으로 인해 몸체부(300)가 설정된 범위를 넘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정수기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는 돌출부(720)가 몸체부(300)가 설정된 범위를 넘어 상승 또는 하강하지 않도록 하여 제어부, 구동모터(180) 등의 오동작으로 인한 몸체부(300)의 비정상적인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9는 몸체부(300)와 가이드부(7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1은 몸체부(300)와 가이드부(700)가 결합한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2는 몸체부(300)와 가이드부(700)가 결합한 부위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돌출부(720)는 삽입부(710)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710)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데, 각각의 삽입부(710)에 한 쌍의 돌출부(72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돌출부(720)는 총 2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720)는 삽입부(710)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한 쌍의 돌출부(720) 사이에 결합홈(74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740)은 한 쌍의 돌출부(720)와 이들 사이에 상대적으로 함몰된 구조를 형성하는 삽입부(710)의 외부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00)는 결합홈(740)에 결합하는 결합돌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00)의 결합돌기(310)가 가이드부(700)의 결합홈(740)에 끼워짐으로써 몸체부(300)와 가이드부(70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결합돌기(310)는 결합홈(740)에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00)와 가이드부(700)가 서로 더욱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결합돌기(310)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홈(74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돌출부(720)는 몸체부(300)가 돌출부(720)에 결합하는 부위에 몸체부(300)가 안착하는 안착홈(721)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721)은 돌출부(720)의 표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721)은 복수의 돌출부(720)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정수기에서는 총 4개의 돌출부(720)가 구비되므로 안착홈(721)도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300)의 결합돌기(310)가 가이드부(700)의 결합홈(740)에 결합하면, 몸체부(300)는 안착홈(721)에 안착될 수 있다. 안착홈(721)은 몸체부(300)의 하중을 지지하여, 몸체부(300)가 가이드부(700)에 결합한 후에 하중에 의해 가이드부(700)에 대해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기계실(100)은 몸체부(300)를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18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80)는 회전축(182)과 결합하는 피니언기어(18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700)는 구동모터(180)에 구비되는 피니언기어(181)와 치합하고 가이드부(700)를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기어(730)를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730)는 선형의 기어로 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81)의 회전에 따라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랙기어(730)는 길이방향이 돌출부(720)의 길이(L1)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직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랙기어(730)는 삽입부(710)에서 돌출부(720)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서 삽입부(710)로부터 돌출되고, 길이방향이 삽입부(710)의 길이(L3)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랙기어(730)는 삽입부(710)에서 케이싱(400) 내부를 향하도록 돌출되고, 가이드부(700)가 케이싱(400)에 결합하면 랙기어(730)는 케이싱(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400) 내부에 배치되는 피니언기어(181)는 랙기어(730)와 치합할 수 있다.
랙기어(730)는 한 쌍의 삽입부(7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할 수 있다. 랙기어(730)는 삽입부(710)의 일면에 결합하는 베이스(731)를 포함하고, 베이스(731)로부터 돌출되는 선형의 치형을 가질 수 있다.
도 23은 피니언기어(181)와 랙기어(730)가 치합한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서 기어박스(183)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동모터(180)는 기계실(100)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냉각부(200)에 구비되는 메인회로기판부(23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랙기어(730)와 치합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180)의 회전축(182)은 랙기어(73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랙기어(730)와 치합하는 위치에 놓이는 피니언기어(181)가 구동모터(180)와 결합하기 위해 구동모터(180)에는 기어박스(183)가 구비될 수 있다.
기어박스(183)는 구동모터(180)의 회전축(182)으로부터 나오는 동력을 피니언기어(181)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기어들이 서로 치합되어 배치되는 기어트레인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80)가 동작하면 구동모터(180)의 회전축(182)은 회전하고 회전축(182)의 구동력은 기어박스(183)를 통해 피니언기어(181)로 전달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181)의 회전에 따라 이에 치합된 랙기어(730)는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랙기어(730)가 고정적으로 결합 가이드부(700)가 이동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부(700)에 고정적으로 결합된 몸체부(300)는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몸체부(300)는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300)는 가이드부(700)에 가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700)는 기계실(100)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8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구동모터(180)의 동작을 제어하여 몸체부(300)의 정수기 상하방향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기는 컵의 상단의 높이에 따라 몸체부(300)의 출수구(340)의 끝과 적당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고, 출수되는 물이 컵에서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수기는 컵 밖으로 튀어나온 뜨거운 물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몸체부(300)에서 단면을 자른 도면이다. 몸체부(300)는 케이싱(400)을 둘러싸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출수관(811)이 배치되는 공간부(301)가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300)는 속이 빈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의 공간부(301)에는 출수에 필요한 각종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간부(301)에는 밸런스웨이트(320)가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300)에서 가이드부(700)와 결합하는 부위인 정수기의 후방부위에서는 가이드부(700)가 몸체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몸체부(300)에서 정수기의 전방부위에서는 가이드부(700)가 없다.
따라서, 정수기의 전방부위에 놓인 몸체부(300)의 영역에서는 몸체부(300)의 하중에 의해 몸체부(300)가 아래로 처질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몸체부(300)는 전방부위에서 아래로 처진 상태가 되고 전방부위의 일부가 케이싱(400)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몸체부(300) 전체가 정수기의 상하방향 이동하는 것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몸체부(300)에서 가이드부(700)와 결합하는 부위에 밸런스웨이트(320)를 배치하여 몸체부(300)의 전방부위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밸런스웨이트(320)는 몸체부(300)의 후방부위가 몸체부(300)의 전방부위와 하중의 균형을 이루어 몸체부(300)의 전방부위가 하중으로 인해 아래로 처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밸런스웨이트(320)는 가이드부(700)가 결합하는 케이싱(400)의 일면과 동일한 면에서 몸체부(300)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3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301)는 제1영역(301a), 제2영역(301b), 제3영역(30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301a)은 정수기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영역(301a)에는 출수구(3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301b)은 정수기의 후방에 배치되고, 가이드부(700)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3영역(301c)은 정수기의 측방에 배치되고, 제1영역(301a) 및 제2영역(301b)과 연결될 수 있다.
제3영역(301c)은 정수기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3영역(301c)에는 물배관(810)이 배치될 수 있다. 물배관(810)은 예를 들어, 케이싱(400) 내부로부터 제2영역(301b)으로 나오도록 배치되고, 제2영역(301b)을 지나서 제1영역(301a)에 있는 출수밸브(330)에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300)는 정수기의 전방에 출수구(340), 출수밸브(330) 등이 배치되므로, 정수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영역(301a)은 비교적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1영역(301a)은 상기 제2영역(301b)보다 큰 체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300)는 정수기의 후방에서 가이드부(700)와 결합하며, 여기에 배치되는 부품이 적다. 따라서 정수기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영역(301b)은 제1영역(301a)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영역(301b)과 마찬가지로, 제3영역(301c)에는 제1영역(301a)과 비교하여 배치되는 부품의 수가 적으므로, 제3영역(301c)은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밸런스웨이트(320)는 공간부(301)의 제2영역(301b)에 배치될 수 있다. 밸런스웨이트(320)는 제2영역(301b)에 배치되어 몸체부(300)의 제1영역(301a) 부위와 제2영역(301b) 부위의 하중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제1영역(301a)이 하중에 의해 아래로 처져서 몸체부(300) 전체가 케이싱(400)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몸체부(300)의 제1영역(301a)에는 출수를 위한 각종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역(301a)에는 출수밸브(330), 출수관(811), 출수구(340), 감지센서(350)가 구비될 수 있다.
출수밸브(330)는 출수관(811)과 연결되고, 출수를 제어할 수 있다. 출수밸브(330)는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출수밸브(330)는 개방되어 물배관(810)으로 유입된 여과된 상온의 정수, 정수를 냉각한 냉수, 정수를 가열한 온수를 출수관(811)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출수관(811)은 출수밸브(330)와 출수구(340)를 연결하는 배관이다. 출수관(811)은 출수구(340)와 직접 연결되므로, 출수관(811)이 길어지는 경우 출수구(340)로 배출되는 물이 주위의 영향을 받아서 냉수인 경우 가열되고, 온수의 경우 식을 수 있다.
따라서, 출수관(811)을 통과하는 냉수 또는 온수의 온도가 주위의 영향을 받아 변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출수관(811)의 길이는 되도록 짧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는 출수구(340)가 배치되는 몸체부(300)의 제1영역(301a)에 출수밸브(330)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밸브(330)와 출수구(340)를 연결하는 출수관(811)의 길이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출수관(811)을 통과하는 냉수 또는 온수의 온도가 주위의 영향을 받아 변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출수구(340)는 출수밸브(330)의 출구와 연결되고,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출수구(34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출수구(340)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 그 단부가 몸체부(300) 아래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출수구(340)의 위치에 대응하는 몸체부(300)의 상면에 출수구(340)를 나타내는 표시를 하여 사용자가 출수구(340)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감지센서(350)는 출수구(34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출수구(34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담는 용기 예를 들어 컵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350)는 컵까지의 거리, 컵에 담긴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감시센서는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감지센서(350)는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센서(350)로부터 전송받을 정보를 기초로 몸체부(300)의 상하방향 이동동작, 이동거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감지센서(350)는 컵의 상단과 출수구(340)의 끝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350)는 컵에 담긴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센서(35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기초로, 물이 컵이 담길 때 물이 컵 밖으로 튀지않는 컵의 상단과 출수구(340)의 끝 사이의 거리를 정하고, 이러한 거리에 출수구(340)의 끝이 위치하도록 몸체부(300)를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감지센서(350)로부터 전송받은 수위를 기초로 컵에 물이 설정된 만큼 담긴 경우에 출수밸브(330)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정수기에서는, 몸체부(300)의 이동동작, 감지센서(350)와 제어부의 동작으로 컵의 크기에 상관없이 안전하고 정숙하게 컵에 물을 담고, 또한 컵에 적절한 양의 물을 담을 수 있다.
응축기(140), 제1덕트(120), 제2덕트(150) 및 송풍팬(130)은 기계실에서 압축기(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품들을 기계실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실시예에서는 이들 부품들의 고정을 위해 기계실에 프레임(6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프레임(6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6은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600)이 구비된 정수기의 정면 단면도이다. 정수기에서 압축기(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압축기(110)의 위쪽에 떠있는 부품들을 정수기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기계실에는 프레임(600)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600)은 기계실에 배치되고 양단이 정수기의 바닥판(500)에 결합하고 압축기(1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600)은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보아 대략적으로 거꾸로 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600)은, 압축기(110), 응축기(140), 제1덕트(120), 제2덕트(150) 및 송풍팬(130)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압축기(110), 응축기(140), 제1덕트(120), 제2덕트(150) 및 송풍팬(130)은 프레임(6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냉각부(200)에는 받침부(280)가 구비되고, 받침부(280)는 프레임(600)에 결합하여 프레임(6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부(200)는 기계실의 상측에 떠있는 상태로 케이싱(400)의 내부에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8은 도 27의 분해도이다. 도 29는 도 27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7은 정수기에 구비되는 일부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덕트(120) 및 제2덕트(150)는 프레임(600)에 결합하여 프레임(6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부(200)는 저장탱크(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저장탱크(210)를 지지하는 받침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탱크(210)와 메인회로기판부(230)는 하부가 받침부(280)에 장착되어 받침부(28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받침부(280)는 프레임(600)에 결합하여 프레임(6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부(280)에 장착되는 저장탱크(210)는 프레임(6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냉각부(200)는 기계실의 상측에 떠있는 상태로 케이싱(400)에 수용될 수 있다.
송풍팬(130) 및 응축기(140)는 제2덕트(150)에 결합하여 프레임(6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기(140)는 제2덕트(150)에 억지끼워맞춤 또는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송풍팬(130)과 응축기(140)는 제2덕트(150)에 결합하고, 제2덕트(150)는 프레임(600)에 결합함으로써, 송풍기, 응축기(140) 및 제2덕트(150)는 프레임(60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덕트(120)와 냉각부(200)의 받침부(280)는 제2덕트(150)와 별개로 프레임(60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600)의 양단은 바닥판(5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응축기(140), 제1덕트(120), 제2덕트(150), 송풍팬(130) 및 냉각부(200)는 모두 프레임(600)에 결합하여 케이싱(400) 내부에서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600)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사시도이다. 프레임(600)은 제1플레이트(610), 제2플레이트(620), 제3플레이트(630), 제4플레이트(640), 단차플레이트(650), 결합플레이트(66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플레이트들은 대체로 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610)는 하단이 상기 바닥판(500)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기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620)는 제1플레이트(61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620)는 길이방향이 정수기의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플레이트(630)는 제2플레이트(62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620)와 단차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플레이트(630)는 길이방향이 정수기의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4플레이트(640)는 제3플레이트(630)로부터 절곡되고 하단이 상기 바닥판(500)과 결합할 수 있다. 제4플레이트(640)는 길이방향이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단차플레이트(650)는 제2플레이트(620)와 제3플레이트(630)의 단부를 연결하고, 단차플레이트(650)에 의해 제2플레이트(620)와 제3플레이트(630)는 서로 단차를 가질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660)는 각각 제1플레이트(610)와 제4플레이트(640)의 하단에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바닥판(500)과 결합하고, 나사못 등의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660) 각각은, 바닥판(500)과 결합위치, 바닥판(500)의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610)는 다른 부품들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 결합홀,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결합돌기에는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결합돌기들은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체결기구에 의해 체결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610)는 제1결합돌기(601), 제2결합돌기(602), 제1결합홀(603), 제1후크(604), 제3결합돌기(6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돌기(601)는 제1플레이트(610) 및 상기 제3플레이트(630)에 돌출되고, 상기 제2덕트(150)가 결합할 수 있다. 제2덕트(150)는 판형의 부재들이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덕트(150)의 각 부재들이 제1결합돌기(601)에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제1결합돌기(60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1결합돌기(601)의 일부는 제1플레이트(610)에 구비되고, 나머지는 제3플레이트(630)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총3개의 제1결합돌기(601)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결합돌기(602)는 제2플레이트(620)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덕트(120)가 결합할 수 있다. 제2결합돌기(602)는 제2플레이트(620)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홀(603)은 제3플레이트(63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덕트(120)가 결합할 수 있다. 제1덕트(120)에 형성되는 후크가 제1결합홀(603)에 삽입되어 제1덕트(120)는 제3플레이트(630)에 결합할 수 있다.
제1후크(604)는 제2플레이트(620)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받침부(280)가 결합할 수 있다. 받침부(280)에는 제1후크(604)가 결합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후크(604)는 제2플레이트(620)의 단부로부터 프레임(600)의 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제1후크(604)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단차플레이트(650)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부위는 제1후크(604)가 돌출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3결합돌기(605)는 제1플레이트(610)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받침부(280)가 결합할 수 있다. 받침부(280)는 프레임(6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결합돌기(605)가 제1플레이트(610)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받침부(280)는 프레임(600)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프레임(60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28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받침부(280)는 제1장착홈(281), 제2장착홈(282), 제6결합돌기(283), 후크삽입부(2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장착홈(281) 받침부(280)의 상면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냉각부(200)의 하부가 장착될 수 있다. 제2장착홈(282) 마찬가지로 받침부(280)의 상면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1장착홈(281)의 옆에 배치되고, 메인회로기판부(230)가 장착될 수 있다.
제6결합돌기(283)는 받침부(280)의 하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3결합돌기(605)와 결합할 수 있다. 제6결합돌기(283)에는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280)가 프레임(600)에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제6결합돌기(283)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후크삽입부(284)는 받침부(280)의 하면에 돌출되고 제1후크(604)가 삽입될 수 있다. 후크삽입부(284)는 제1후크(604)와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후크삽입부(284)에는 제1후크(604)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덕트(150) 및 송풍팬(13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덕트(15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송풍팬(130)은 제2덕트(150)의 일측에 체결기구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제2덕트(150)는 제4결합돌기(151), 제2결합홀(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결합돌기(151)는 제1결합돌기(601)와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4결합돌기(151)는 프레임(600)의 제1결합돌기(60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결합돌기(601)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홀(152)은 송풍팬(130)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130)은 제2결합홀(15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결합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30)은 공기를 송풍하는 회전날개(130a)와 회전날개(130a)가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브라켓(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결합홀(131)은 예를 들어 브라켓(130b)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30b)은 회전날개(130a)를 지지하도록 2중의 피스로 형성되고, 따라서 제3결합홀(131)은 2중의 피스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총 8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 2개씩의 제3결합홀(131)이 제2덕트(150)의 제2결합홀(152)에 대응할 수 있다.
제2결합홀(152)은 제3결합홀(131)에 대응하도록 총4개로 구비되고, 각각의 제2결합홀(152)은 제2덕트(150)에서 송풍팬(130)의 브라켓(130b)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제3결합홀(131)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기구가 제2결합홀(152)과 제3결합홀(131)에 체결되어, 송풍팬(130)과 제2덕트(15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도 3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덕트(1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덕트(120)는 제5결합돌기(125), 제2후크(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5결합돌기(125)는 제2결합돌기(602)와 결합할 수 있다. 제5결합돌기(125)는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602)와 제5결합돌기(125)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602)와 제5결합돌기(125)가 체결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프레임(600)과 제1덕트(120)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2후크(126)는 제1결합홀(603)에 삽입되어 상기 제1덕트(120)를 상기 프레임(6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2후크(126)와 제1결합홀(603)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덕트(120)는 제5결합돌기(125)와 제2후크(126)에 의해 최소 2개의 위치에서 프레임(6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덕트(120)는 프레임(60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응축기(140), 제1덕트(120), 제2덕트(150), 송풍팬(130), 냉각부(200)는 기계실에 설치되는 프레임(600)에 모두 결합되어 케이싱(4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400) 내벽에는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기계실에 구비되는 각 부품들을 프레인에 모두 결합시켜 조립하므로 조립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00) 내벽에 별도의 고정구조가 없으므로, 케이싱(400)을 분해하고, 프레임(600)에 결합된 부품을 분해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하고 견고한 조립구조를 가지므로, 부품의 조립시 조립오차의 발생을 줄여 제품의 조립불량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기계실
200: 냉각부
110: 압축기
120: 제1덕트
200: 냉각부
210: 저장탱크
220: 증발기
300: 몸체부
310: 결합돌기
320: 밸런스웨이트
400: 케이싱
410: 슬릿홀
500: 바닥판
510: 통기영역
700: 가이드부
710: 삽입부
720: 돌출부

Claims (20)

  1.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의 동작에 필요한 부품들이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배치되고,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음용하는 물이 배출되는 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실은,
    하부에 배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냉각부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배치되고,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를 향하여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을 포함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압축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의 측방향으로 상기 압축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가 배치되고, 상기 기계실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기계실 내부를 강제유동하는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통기영역이 형성되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정수기를 지지하는 제1레그(leg); 및
    상기 통기영역에서 상기 바닥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통기영역을 상기 정수기가 놓이는 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레그
    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제1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덕트는,
    상기 제1덕트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 및
    상기 송풍팬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
    를 포함하는,
    정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는,
    상기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파트; 및
    상기 제1파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트는 상기 공기유입구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확장되는,
    정수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1덕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덕트는 상기 압축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정수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정수기의 바닥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1덕트는 상기 압축기와 상기 냉각부 사이에 배치되는,
    정수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하방향으로 상기 압축기와 상기 냉각부 사이에 배치되고, 측방향으로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배치되는,
    정수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 상기 송풍팬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를 수용하고,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공간을 제공하는 제2덕트를 포함하는,
    정수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싱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정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기계실 및 상기 냉각부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정수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제1덕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고 냉매를 팽창시켜 냉매의 온도를 저감시키는 팽창기; 및
    상기 몸체부를 상기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
    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냉매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되고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 및
    상기 저장탱크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어부가 구비되는 메인회로기판부
    를 포함하는,
    정수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정수기의 바닥판에 결합하고 상기 압축기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덕트 및 상기 제2덕트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2덕트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정수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하단이 상기 바닥판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기 정수기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와 단차를 가지는 제3플레이트; 및
    상기 제3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고 하단이 상기 바닥판과 결합하는 제4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정수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탱크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3플레이트에 돌출되고, 상기 제2덕트가 결합하는 제1결합돌기;
    상기 제2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덕트가 결합하는 제2결합돌기;
    상기 제3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덕트가 결합하는 제1결합홀;
    상기 제2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받침부가 결합하는 제1후크; 및
    상기 제1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받침부가 결합하는 제3결합돌기
    를 포함하는,
    정수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덕트는,
    상기 제1결합돌기와 결합하는 제4결합돌기; 및
    상기 송풍팬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결합홀
    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제2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결합홀을 포함하는,
    정수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는,
    상기 제2결합돌기와 결합하는 제5결합돌기; 및
    상기 제1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덕트를 상기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제2후크
    를 포함하는,
    정수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하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3결합돌기와 결합하는 제6결합돌기; 및
    하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후크가 삽입되는 후크삽입부
    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220163676A 2022-11-30 2022-11-30 정수기 KR20240080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676A KR20240080384A (ko) 2022-11-30 2022-11-30 정수기
PCT/KR2023/015332 WO2024117512A1 (ko) 2022-11-30 2023-10-05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676A KR20240080384A (ko) 2022-11-30 2022-11-30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0384A true KR20240080384A (ko) 2024-06-07

Family

ID=9132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3676A KR20240080384A (ko) 2022-11-30 2022-11-30 정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80384A (ko)
WO (1) WO202411751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2634B2 (ja) * 2001-12-07 2006-11-08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貯蔵庫
KR101635647B1 (ko) * 2010-03-25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13202B1 (ko) * 2015-08-27 2022-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10670333B2 (en) * 2017-04-21 2020-06-02 Elkay Manufacturing Company Modular water cooler and method
KR102374449B1 (ko) * 2018-11-19 202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17512A1 (ko) 2024-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787B1 (ko) 냉장고
EP2054671A2 (en) Water-cooled air conditioner
CN1322292C (zh) 减震型冰箱
JP2024536490A (ja) 底部放熱コンパートメント内に蒸発皿が配置された冷蔵庫
KR20210058238A (ko) 기계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40080384A (ko) 정수기
KR20240080386A (ko) 정수기
WO2004113806A1 (ja) 冷却装置
JP5906540B2 (ja) 空調装置
CN101038120A (zh) 冰箱
KR20210058240A (ko) 냉장고
KR20040097582A (ko) 냉방용 축냉식 공기냉각기
CN216424007U (zh) 驻车空调
KR1011958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7187434A (ja) コンデンシングユニットとコンデンシングユニットを備えた冷却機器
CN214841906U (zh) 一种层板高度可调的双温柜
JP2008002797A (ja) 冷蔵庫
CN101737850A (zh) 柜式空调器的室内机底盘
EP3171106A1 (en) Refrigerated display case, use of a refrigerated display case
CN220370595U (zh) 直饮机
CN220042032U (zh) 空调
CN218864359U (zh) 除湿机
CN218119938U (zh) 空调室内机
CN220582593U (zh) 一种风冷储能制冷设备
CN219624164U (zh) 一种空调室内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