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9945A -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 Google Patents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9945A
KR20240079945A KR1020220163387A KR20220163387A KR20240079945A KR 20240079945 A KR20240079945 A KR 20240079945A KR 1020220163387 A KR1020220163387 A KR 1020220163387A KR 20220163387 A KR20220163387 A KR 20220163387A KR 20240079945 A KR20240079945 A KR 20240079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resin
film
weight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진
주천익
박미소
김민규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9945A/ko
Publication of KR2024007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994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4Copolymers of 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저온 열접착성이 우수하면서도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우수하여 인쇄성 또는 라미네이트성이 향상된 열잡착 필름의 제공을 가능케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a)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의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 90 내지 99중량%; 및 (b) 폴리에틸렌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a)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는 공단량체 중량 조성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을 제공한다.
[수학식 1]
15 <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에틸렌)×(C4 내지 C10의 α-올레핀+에틸렌) < 40.

Description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heat sealability and change on standing for wettability and fil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가격이 저렴하고 열접착성이 우수하여 식품 포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포장 시 포장 속도를 높이면 열접착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하므로 고온에서 접착하거나 열접착층에 사용되는 수지의 열접착온도가 낮아야 한다. 그러나 고온에서 접착하면 열에 의해 필름이 손상될 수 있고, 열접착온도를 낮추기 위해 낮은 용융온도의 폴리머를 사용하거나, 올레핀계 고무 성분을 첨가하여 열접착층에 적용하는 경우 다량의 저분자 물질을 포함함에 따라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저하되어 열접착 필름의 인쇄성, 라미네이트성 등의 품질 면에서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한국 등록특허 제1484854호는 열접착성 개선을 위해 삼원공중합체 외에 단일 활성점 촉매로 제조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접착용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저온 열접착성이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2104866는 삼원공중합체 80~90 중량%,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 및 에틸렌-옥텐 고무 공중합체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서, 올레핀계 고무 성분을 첨가하여 투명성과 가공성을 확인하고 있으나, 열접착 필름의 인쇄성, 라미네이트성 등의 품질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저온 열접착성이 우수하면서도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우수한, 즉, 필름 제조 후 젖음지수 감소 현상이 최소화되어 인쇄성 또는 라미네이트성이 향상된 열잡착 필름의 제공을 가능케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a)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의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 90 내지 99중량%; 및 (b) 폴리에틸렌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a)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는 공단량체 중량 조성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수학식 1]
15 <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에틸렌)×(C4 내지 C10의 α-올레핀+에틸렌) < 40.
또한 상기 (a)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는 상기 에틸렌 및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의 총 함량이 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은 1-부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는 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3-메틸-5-t-부틸-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3,5-디이소프로필-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3,6-디메틸-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4-t-부틸-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4-메틸-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1,2-나프탈렌 디벤조에이트 및 2,3-나프탈렌 디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페닐렌 방향족 디에스터 화합물을 포함하는 티타늄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된 열접착 온도가 121℃ 이하이고, 하기 방법으로 측정된 젖음지수가 38 dyne/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열접착 온도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로 30 ㎛ 두께의 필름을 성형하여 두 개의 필름을 서로 온도가 다른 금속 막대 5개를 이용하여 2 kgf/㎠ 조건으로 시간 1초 동안 필름 표면을 접착시킨 후, ASTM D638 규격에 따라 인장시험기로 인장강도를 측정하며, 1000 kgf/㎠ 이하에서 최대 강도를 갖는 온도를 열접착 온도로 함.
[젖음지수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30 ㎛ 두께의 필름에 대하여 JIS K6768에 의거하여 10일 경과 후 젖음지수를 측정함.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름은 식품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닐렌 방향족 디에스터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로 중합된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으로 조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서, 특정 공단량체 중량 조성을 통해 열접착 특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동시에 향상된 필름의 제조가 가능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을 제공하여, 이러한 물성이 요구되는 증착용 필름의 열접착층 재료로 적용 시 필름을 이용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열접착 필름의 인쇄성, 라미네이트성 등의 품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a)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의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 90 내지 99중량%; 및 (b) 폴리에틸렌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a)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는 공단량체 중량 조성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는 저분자 물질의 함량이 저감된 결정성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로서, 그 결과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블로킹 발생으로 인한 가공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무기물 또는 금속 증착 시 증착 강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이 공중합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공단량체인 에틸렌 및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의 중량 조성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킬 때 최종 수지 조성물의 목적하는 수준의 저온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수학식 1]
15 <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에틸렌)×(C4 내지 C10의 α-올레핀+에틸렌) < 40.
즉, 상기 수학식 1에 기재된 파라미터 값이 15 이하일 경우에는 저온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만족스럽지 않고, 다만, 그 값이 40 이상일 경우에는 중합 반응장치에서 원활한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오히려 열접착 특성도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때, 상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 중에 에틸렌 및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의 총 함량이 1 내지 10 중량%일 때 최종 수지 조성물의 저온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고, 그 함량이 과도할 경우에는 성형품 상에 피쉬아이(Fish Eye)가 다량 발생할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은 바람직하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또는 1-옥텐 수 있으며, 저온 열접착성 향상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1-부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의 중합방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티타늄계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중합 반응장치에서 촉매와 함께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이 동시에 투입된 후 중합되어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지글러-나타 촉매로서, 전이금속 화합물이 주성분인 주촉매, 유기금속 화합물인 조촉매, 그리고 전자공여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촉매계를 말하며, 예컨대, 티타늄, 마그네슘, 할로겐을 중심으로 한 고체 촉매 성분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촉매계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티타늄계 촉매에 페닐렌 방향족 디에스터 화합물이 포함됨으로써 목적하는 수준의 저온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페닐렌 방향족 디에스터 화합물은 예컨대, 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3-메틸-5-t-부틸-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3,5-디이소프로필-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3,6-디메틸-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4-t-부틸-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4-메틸-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1,2-나프탈렌 디벤조에이트, 2,3-나프탈렌 디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는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9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92 내지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98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a)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 함량이 90 중량% 미만일 경우 성형품에서 피쉬아이가 발생하고, 99 중량%를 초과할 경우 성형품 상에 끈적임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b)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이며, 중합 반응장치에 에틸렌을 단독으로 투입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의 중합방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것으로, 본 발명에 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b) 폴리에틸렌은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b) 폴리에틸렌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블로킹성이 우수해져 끈적임 현상이 개선되고,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극적으로 개선되고, 피쉬아이가 발생하는 현상이 억제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b) 폴리에틸렌의 구체적인 성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밀도가 0.90 내지 0.96 g/cm3, 바람직하게는 0.94 내지 0.96 g/cm3일 수 있고, 용융지수(MI, ASTM D1238, 230℃, 2.16 kg 하중)가 10 내지 40 g/10min,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g/10min 일 경우 상기 (a)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와의 혼화성이 우수하여, 필름의 저온 열접착성 향상과 함께 내블로킹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 향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업계에서 공지된 첨가제 및 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산화방지제, 핵제,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난연제, 안료,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내열 및 내후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적절하게 그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통상적으로 알려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이용하거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일부분을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성분들을 혼합기 또는 압출기에 투입 및 혼합 또는 용융 혼련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특별한 순서 제한이 없이 원하는 순서에 따라 선택하여 혼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은 각 성분들과 기타 첨가제를 필요한 양만큼 니더(kneader), 롤(roll), 밴배리 믹서(Banbury mixer) 등의 혼련기 또는 1축/2축 압출기 등에 투입한 후 상기 기기들을 사용하여 투입된 원료들을 혼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이 제공된다. 예컨대, 상기 성형품은 냉장 용기, 냉동 용기, 다용도 수납함, 자동차 내외장재, 식품 포장 용기, 병마개, 포장용 필름, 보호필름, 데코시트, 레토르트 파우치, 의약 용기 및 압출중공 성형품에 이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접착용 필름에 이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품 포장에 사용되는 필름에 이용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열접착 특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동시에 향상된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된 열접착 온도가 121℃ 이하이고, 하기 방법으로 측정된 젖음지수가 38 dyne/cm 이상일 수 있다.
[열접착 온도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로 30 ㎛ 두께의 필름을 성형하여 두 개의 필름을 서로 온도가 다른 금속 막대 5개를 이용하여 2 kgf/㎠ 조건으로 시간 1초 동안 필름 표면을 접착시킨 후, ASTM D638 규격에 따라 인장시험기로 인장강도를 측정하며, 1000 kgf/㎠ 이하에서 최대 강도를 갖는 온도를 열접착 온도로 함.
[젖음지수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30 ㎛ 두께의 필름에 대하여 JIS K6768에 의거하여 10일 경과 후 젖음지수를 측정함.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4
중합 반응장치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내부전자공여체가 함유된 상용 지글러-나타 촉매 및 프로필렌, 에틸렌 및 1-부텐을 투입하여 벌크 중합반응을 시켜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성분 A) 내에 에틸렌 및 1-부텐이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된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성분 B)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비로 이축 압출기(스크류 길이/직경(L/D) 비 25, 직경 40 mm)를 통해 용융 혼련 후 냉각 고화하여 펠렛 상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상용 지글러-나타 촉매는 마그네슘, 티타늄 및 염소를 중심으로 한 고체 촉매 성분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을 포함하되, 각각 사용된 내부전자공여체만이 상이한 촉매이다.
시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 방법에 따라 물성 등을 측정 또는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 또는 평가 방법]
(1) 용융지수
ASTM D1238 규격에 따라 230℃, 2.16 kg 하중 하에서 측정하였다.
(2) 용융 온도(Tm)
차동 주사 열량계(상표명 DSC, Perkin-Elmer Co.)를 사용하여 질소가스 대기 하에 220℃에서 5분 동안 시험편 10 mg을 예비 용융시킨 후, 온도를 5 ℃/min의 감온 속도로 40℃로 강하시킨다. 그 후, 온도를 5 ℃/min의 승온 속도로 상승시키고, 수득된 용융 흡열 곡선의 최대 피크의 피크 온도를 융점(Tm)으로서 정의하였다. 또한 5 ℃/min의 승온 속도에서 상기한 측정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측정된 인듐(In)의 융점은 156.6℃이었다.
(3) 열접착 온도
상기 수지 조성물로 30 ㎛ 두께의 필름을 성형하여 두 개의 필름을 서로 온도가 다른 금속 막대 5개를 이용하여 2 kgf/㎠ 조건으로 시간 1초 동안 필름 표면을 접착시킨 후, ASTM D638 규격에 따라 인장시험기로 인장강도를 측정하며, 1000 kgf/㎠ 이하에서 최대 강도를 갖는 온도를 열접착 온도로 표시하였다.
(4) 젖음지수 경시변화
상기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30 ㎛ 두께의 필름에 대하여 인쇄성과 라미네이트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젖음지수 경시변화를 JIS K676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10일 경과 후 젖음지수가 38 dyne/cm 이상일 경우 "○", 38 dyne/cm 미만일 경우 "X"로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내부전자공여체 1,2-Phenylene Dibenzoate 1,2-Phenylene Dibenzoate 1,3-Diether 1,3-Diether Diisobutyl phthalate
성분(A) 함량(wt%) 97 97 97 97 97
성분(B) 함량(wt%) 3 3 3 3 3
성분(A)의 에틸렌 함량(wt%) 2.4 3.3 3.1 3.3 1.0
성분(A)의 1-부텐 함량(wt%) 5.5 3.5 4.6 3.5 7.5
(1-부텐/에틸렌)*(1-부텐+에틸렌) 18.1 7.2 11.4 7.2 63.8
용융 지수(g/10min) 7.0 7.0 7.0 7.0 7.0
용융 온도(Tm, ℃) 132 130 132 133 132
열접착 온도(℃) 120 120 122 122 122
젖음지수 경시변화 O X X X O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페닐렌 방향족 디에스터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로 중합된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으로 조성하되,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의 공단량체 중량 조성을 특정 범위로 한정할 경우(실시예) 저온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동시에 향상된 필름의 제조가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페닐렌 방향족 디에스터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로 중합된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를 사용하더라도 공단량체 중량 조성 관련 파라미터 값이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비교예 1)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좋지 않고, 내부전자공여체로 종래 1,3-Diether계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저온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모두 저하되고, 또한 내부전자공여체로 종래 Diisobutyl phthalate(DIBP)를 사용할 경우 저온 열접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a)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의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 90 내지 99중량%; 및
    (b) 폴리에틸렌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a)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는 공단량체 중량 조성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수학식 1]
    15 <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에틸렌)×(C4 내지 C10의 α-올레핀+에틸렌) < 4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는 상기 에틸렌 및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의 총 함량이 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4 내지 C10의 α-올레핀은 1-부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는 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3-메틸-5-t-부틸-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3,5-디이소프로필-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3,6-디메틸-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4-t-부틸-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4-메틸-1,2-페닐렌 디벤조에이트, 1,2-나프탈렌 디벤조에이트 및 2,3-나프탈렌 디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페닐렌 방향족 디에스터 화합물을 포함하는 티타늄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된 열접착 온도가 121℃ 이하이고, 하기 방법으로 측정된 젖음지수가 38 dyne/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열접착 온도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로 30 ㎛ 두께의 필름을 성형하여 두 개의 필름을 서로 온도가 다른 금속 막대 5개를 이용하여 2 kgf/㎠ 조건으로 시간 1초 동안 필름 표면을 접착시킨 후, ASTM D638 규격에 따라 인장시험기로 인장강도를 측정하며, 1000 kgf/㎠ 이하에서 최대 강도를 갖는 온도를 열접착 온도로 함;
    [젖음지수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30 ㎛ 두께의 필름에 대하여 JIS K6768에 의거하여 10일 경과 후 젖음지수를 측정함.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식품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KR1020220163387A 2022-11-29 2022-11-29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KR20240079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387A KR20240079945A (ko) 2022-11-29 2022-11-29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387A KR20240079945A (ko) 2022-11-29 2022-11-29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9945A true KR20240079945A (ko) 2024-06-05

Family

ID=9147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3387A KR20240079945A (ko) 2022-11-29 2022-11-29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99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2027B2 (en) Polypropylene film and laminated material thereof
US20080268221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ilm or Sheet, Stretched Film Obtained From the Film or the Sheet, Laminate and Stretched Film Obtained From the Laminate
KR101200341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EP2424729B1 (en) Composition and film comprising a c4-c10 alpha olefin containing polyolefin
JPH0243242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US6727000B2 (en) Multilayer heat-shrinkable sealable films
EP1216824B1 (en) Sealant for polypropylene and easily openable hermetically sealed package including the same
US6998441B2 (en) Polyethylene/low molecular weight hydrogenated aliphatic resin blends
KR20000068128A (ko) 신장성 다층 필름
KR20240079945A (ko)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JPS6341945B2 (ko)
KR102111340B1 (ko) 저온 열봉합성 및 이지필성이 우수한 열접착필름용 삼원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JP3396153B2 (ja) 熱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シート
JPH0241539B2 (ko)
KR102551304B1 (ko) 투명성, 연질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의료용 필름
JP2003170555A (ja) 二軸延伸多層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102104866B1 (ko)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JP4574462B2 (ja) ポリプロピレン多層延伸フィルム
JP3900688B2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のシーラント層用樹脂組成物およびシーラントフィルム
EP4163323B1 (en) Biaxially oriented film
JP2772655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KR20210065313A (ko)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H11170454A (ja) ポリプロピレン系シート
KR20210066218A (ko) 충격강도 및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20230165538A (ko)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