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9488A - 조명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9488A
KR20240079488A KR1020220162447A KR20220162447A KR20240079488A KR 20240079488 A KR20240079488 A KR 20240079488A KR 1020220162447 A KR1020220162447 A KR 1020220162447A KR 20220162447 A KR20220162447 A KR 20220162447A KR 20240079488 A KR20240079488 A KR 20240079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ire rope
lighting
length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영
Original Assignee
박수영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영 filed Critical 박수영
Publication of KR20240079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9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조명등의 높이에 상관없이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승강장치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로프; 상기 본체의 아래쪽에 위치되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길이 조절을 통해 승강 동작되는 승강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동유닛; 일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체에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선은, 소정 지름을 가지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체의 상승 동작시, 상기 승강체의 내부에 수축된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승강체의 하강 동작시, 상기 승강체의 내부에서 상기 전원선이 인출되면서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 승강장치{Light Elevating Lift Device}
본 발명은 조명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을 필요에 따라 승강시켜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천장에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조명등이 설치되는데, 건물의 층고가 높은 경우에는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등의 유지 보수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층고가 높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에는 필요시 조명을 하강시켜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장치가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목적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2280972호의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정해진 높이에 설치되고 와이어로프가 감길 수 있는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 상기 와이어로프에 매달리고 하부에는 고소설치기기가 장착되는 승강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체와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용 구조물과, 상기 수용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체의 추락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토퍼가 마련된 커플링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 상기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전력이상 감지부; 및 차단기의 오프 직후에 상기 전력이상 감지부를 통해 전력이상 여부를 체크하여 전력이상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차단기가 다시 온이 되었을 때에는 기억된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정보를 확인하여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소설치기기는 전원을 차단하고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고소설치기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복수개의 고소 설치기기들에 대해 일대일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마련되고, 상기 차단기가 다시 온이 되었을 때에, 상기 마이컴의 확인 결과 과전압 또는 과전류를 포함하는 전력이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마이컴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는 릴레이를 오프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마이컴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에 대해서는 릴레이를 온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승강체의 하부 접점부가 본체의 상부 접점부에 접촉된 상태에서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조명등을 유지 보수한 다음,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승강체를 상승시켜 상, 하부 접점부를 서로 접촉시켜야 하고, 이때 조명등이 정상적으로 켜지지 않는 경우에는 재차 승강체를 하강시켜 조명등을 점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조명등의 높이에 상관없이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명등용 승강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280972 B1 (2021. 07. 19.) KR 10-2019-0047587 A (2019. 05. 08.) KR 10-2088492 B1 (2020. 03. 06.) KR 10-2050020 B1 (2019. 11. 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강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조명등의 높이에 상관없이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승강장치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로프; 상기 본체의 아래쪽에 위치되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길이 조절을 통해 승강 동작되는 승강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동유닛; 일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체에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선은, 소정 지름을 가지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체의 상승 동작시, 상기 승강체의 내부에 수축된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승강체의 하강 동작시, 상기 승강체의 내부에서 상기 전원선이 인출되면서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승강체가 상면이 개방되는 소정 지름의 외부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내부하우징; 및 상기 외부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전원선이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선의 타단이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다음, 상기 후크 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한 쌍의 관통공을 경유하여 "U"자 모양이 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관통공을 통과한 다음,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소정 지름의 권취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권취롤러가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로프가 상기 권취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체가 본체 사이에 코일형 전원선이 설치되므로 승강체의 높이에 상관없이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가 "U"자 모양으로 설치되므로 승강 동작시 승강체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되고, 그 결과 조명등의 설치 방향이 임의로 달라지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승강장치의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체의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승강장치를 통해 승강체가 하강되는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조명등의 높이에 상관없이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와이어로프(20), 승강체(30), 구동유닛(40) 및 전원선(5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내부에 제어회로와 후술되는 구동유닛(40)이 수용되면서 천장에 설치되거나 또는 별도의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천장과 근접하여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이 개방된 소정 지름을 가지는 원통 또는 사각 함체 모양의 상부케이스(11)와, 상기 상부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대(12) 및 상기 설치대(12)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하부케이스(13)를 포함한다.
이때 상부케이스(11)의 상면에는 링 모양의 고리(도면부호 없음) 또는 소정 길이의 앵커볼트(도면부호 없음)가 설치되고, 이러한 고리 또는 앵커볼트를 통해 천장에 직접 설치되거나 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설치대(12)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원판 모양의 수평판(도면부호 없음)과, 상기 수평판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수직판(도면부호 없음)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판에는 후술되는 구동유닛(40)의 제1, 2, 3 풀리(42, 43, 44)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판에는 구동유닛(40)의 모터(41)와 권취롤러(R)가 서로 대향되는 면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수평판에는 모터(4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에는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되어 리모컨 등을 통해 사용자가 원격으로 모터(41)의 동작을 제어하여 후술되는 승강체(30)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로프(20)는 본체(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승강체(30)를 필요에 따라 승강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와이어로프(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본체(10)의 수평판 또는 수직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승강체(30)의 관통공(32A)을 통과하여 수평판에 설치되는 구동유닛(4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와이어로프(20)는 외력에도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복수 개의 철사를 꼬아 만든 것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소정 지름의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체(30)는 본체(10)의 아래쪽에 위치되면서 조명등(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함께 승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승강체(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는 소정 지름의 외부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내부하우징(32) 및 상기 외부하우징(31)의 저면에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후크(33)를 포함한다.
이때 외부하우징(31)의 내측면과 내부하우징(32)의 외측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후술되는 전원선(50)이 내부하우징(32)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또한, 내부하우징(32)의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의 관통공(32A)이 형성되고, 와이어로프(20)가 일측 관통공(32A)을 내부하우징(32)의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타측 관통공(32A)을 통해 내부하우징(32)의 외측으로 인출되게 되고, 이를 통해 와이어로프(20)가 "U" 자 모양을 이루게 되어 승강체(30)가 와이어로프(2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본체(10)의 하부로 연장되는 와이어로프(20)의 길이와 승강체(30)의 자중에 의해 승강체(30)의 높이가 조절되게 된다.
이때 와이어로프(2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에 맞추어 와이어로프(20)가 관통공(32A)을 쉽고 빠르게 통과되어 승강체(30)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과도하게 흔들리지 않고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안정되게 승강 동작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관통공(32A)의 지름이 와이어로프(20)의 지름보다 1.5~2배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32)의 내부에 소정 지름을 가지는 보조롤러(34)가 설치되고, 와이어로프(20)가 내부하우징(32)의 내부에서 보조롤러(34)를 경유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승강체(30)의 승강 동작시 길이 조절되는 와이어로프(20)를 따라 보조롤러(34)가 회전 동작되면서 와이어로프(20)가 관통공(32A)을 쉽고 빠르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하우징(32)의 하부 일측면과 저면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제1, 2 연통공(32B, 32C)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연통공(32B, 32C)을 통해 내부하우징(3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전원선(50)의 일단이 내부하우징(32)을 통과하여 후크(33) 쪽으로 소정 길이 노출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구동유닛(40)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동유닛(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설치대(12)의 수직판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41)와, 수직판의 타측에 설치되면서 모터(41)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는 소정 지름의 권취롤러(R)와, 설치대(12)의 수평판에 설치되면서 권취롤러(R)의 하부 일측에 위치되는 소정 지름의 제1 풀리(42)와, 수평판에 설치되면서 권취롤러(R)의 하부 타측에 위치되는 소정 지름의 제2 풀리(43)와, 모터(41)의 하부 일측 수평판에 설치되는 소정 지름의 제3 풀리(44)를 포함한다.
이때 제1 풀리(42)는 수평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되도록 설치되고, 제2, 3 풀리(43, 44)는 수직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되도록 설치되며, 제1 풀리(42)와 제2 풀리(43) 사이에는 제2 풀리(43)와 반대되는 방향에서 와이어로프(20)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G)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가이드롤러(G)를 통해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수직에서 수평 방향으로 와이어로프(20)의 각도가 변경되는 부분에서 와이어로프(20)가 제1, 2 풀리(42, 43)로부터 위치 이탈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리모컨 등을 통해 모터(41)를 동작시키면, 회전축에 설치된 권취롤러(R)가 회전 동작되면서 와이어로프(20)가 권취롤러(R)에 권취되거나 또는 풀리게 되고, 이에 의해 승강체(30)를 경유하는 와이어로프(20)의 수직의 길이가 조절되게 되면서 와이어로프(20)에 설치되는 승강체(30)의 높이가 조절되게 된다.
또한, 와이어로프(20)가 권취롤러(R)에 직접 권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비해 모터(41)에 작용하는 부하가 감소되게 되고, 이에 의해 승강체(30) 및 승강체(30)에 설치되는 조명등(도시하지 않음)의 무게가 다소 무겁더라도 모터(41)를 통해 승강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원선(50)은 천장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승강체(30)에 설치되는 조명등에 전달하기 위해 본체(10)와 승강체(30)를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전원선(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체(30)가 승강될 때에는 승강체(30)의 내부에 코일 형태로 수납되고, 승강체가(30)가 하강될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체(30)의 내부에서 인출되어 본체(10)와 승강체(30)의 이격된 거리에 맞추어 길이가 늘어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원선(50)은 내부하우징(32)의 외측면을 감싸는 소정 지름의 코일 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와 승강체(30)가 이격된 거리에 맞추어 적절하게 길이가 늘어난 다음, 재차 승강체(3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코일 모양의 강선이 전원선(5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선(50)의 하단에는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단자(51)가 설치되고, 이러한 접속단자(51)는 승강체(30)의 후크(33) 쪽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이를 통해 필요시 조명등의 단자와 접속단자(51)를 쉽게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체가 본체를 연결하도록 코일형 전원선이 설치되므로 승강체의 높이에 상관없이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고, 또한, "U"자 모양으로 설치되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승강체의 승강 동작시 승강체에 설치되는 조명등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본체 11: 상부케이스
12: 설치대 13: 하부케이스
20: 와이어로프 30: 승강체
31: 외부하우징 32: 내부하우징
32A: 관통공 32B: 제1 연통공
32C: 제2 연통공 33: 후크
34: 보조롤러 40: 구동유닛
41: 모터 42: 제1 풀리
43: 제2 풀리 44: 제3 풀리
50: 전원선 51: 접속단자
G: 가이드롤러 R: 권취롤러

Claims (5)

  1. 소정 크기를 가지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로프(20);
    상기 본체(10)의 아래쪽에 위치되면서 상기 와이어로프(20)의 길이 조절을 통해 승강 동작되는 승강체(3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면서 상기 와이어로프(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동유닛(40);
    일단이 상기 본체(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체(30)에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전원선(50);
    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선(50)은,
    소정 지름을 가지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체(30)의 상승 동작시,
    상기 승강체(30)의 내부에 수축된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승강체(30)의 하강 동작시,
    상기 승강체(30)의 내부에서 상기 전원선(50)이 인출되면서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승강체(3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승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30)는,
    상면이 개방되는 소정 지름의 외부하우징(31);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내부하우징(32); 및
    상기 외부하우징(31)의 저면에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후크(33);
    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하우징(31)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하우징(32)의 외측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전원선(50)이 상기 내부하우징(32)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승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50)의 타단은,
    상기 내부하우징(32)의 내부로 삽입된 다음, 상기 후크(33) 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승강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32)의 상부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의 관통공(32A)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로프(20)는,
    상기 한 쌍의 관통공(32A)을 경유하여 "U" 자 모양이 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승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20)는,
    일단이 상기 본체(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관통공(32A)을 통과한 다음,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소정 지름의 권취롤러(R)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유닛(40)에 의해 상기 권취롤러(R)가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로프(20)가 상기 권취롤러(R)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승강장치.
KR1020220162447A 2022-11-29 조명 승강장치 KR20240079488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9488A true KR20240079488A (ko) 2024-06-05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3302B2 (en) Elevated support system
KR890002276B1 (ko) 엘레베이터 장치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US6464190B1 (en) Self-winding-type fixture-lifting/lowering device
KR101639417B1 (ko) 건설 리프트용 비상 제동장치
EP0757204B1 (en) Hoisting device for lighting fixture
KR20240079488A (ko) 조명 승강장치
EP3702315A1 (en) Elevating device for high-elevation installa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10605407U (zh) 一种多功能升降式综合杆的智能控制装置以及控制系统
CN108240580B (zh) 动力卷轴升降器及其升降灯
JP2914630B2 (ja) 支柱式昇降装置
KR101647766B1 (ko) 승강형 cctv 카메라 시스템
KR102041113B1 (ko) 깃발 엉킴을 저감하는 깃발 게양대
KR100640268B1 (ko) 등기구 승강 장치
KR200364503Y1 (ko) 승하강 조명기
KR100283680B1 (ko) 천정설치용 등기구 승강제어시스템
KR10165833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JP3956451B2 (ja) 照明ポール
JPH0329844Y2 (ko)
KR102280972B1 (ko)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54132B2 (en) Safety brake for telescopic mast of several segments
JPH07137991A (ja) ワイヤロープの巻上げ装置
KR102213827B1 (ko) 무대장치 바텐의 추락방지 안전 시스템 운용방법
KR102179010B1 (ko)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JP2000195329A (ja) 昇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