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8846A -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8846A
KR20240078846A KR1020220161450A KR20220161450A KR20240078846A KR 20240078846 A KR20240078846 A KR 20240078846A KR 1020220161450 A KR1020220161450 A KR 1020220161450A KR 20220161450 A KR20220161450 A KR 20220161450A KR 20240078846 A KR20240078846 A KR 20240078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installation
module
heat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경수
김도삼
오성식
김영두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7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8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Abstract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내부 실장 전장부품들을 감싸고 보호하기 위해 적어도 3면의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벽, 정면벽, 배면벽을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들의 3면이 만나는 지점에 4개소의 절곡 코너부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대; 및 상기 절곡 코너부를 중심으로 장착되어 상기 절곡 코너부의 조립 강도를 보강하고 정착시키는 픽서(fixer)로서의 기능, 또는 설치대에 가열 조리대를 설치 시 설치대와 가열 조리대의 간극을 메꿔 유격을 보상하는 익스텐션(extention)으로서의 기능, 또는 상기 케이싱을 받쳐주는 레그(leg)로서의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단독 또는 병행적으로 수행하는 브라켓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Multifunctional assembly module for built-in installation of heated countertops and assembling casings}
본 발명은 주방 싱크대 및 싱크대를 포함하는 설치대에 가열 조리대를 설치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고 가열 조리대를 다양한 설치 환경에 대응하여 호환성 있게 설치 할 수 있게 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에 관한 것이다.
주방 설치대 또는 조리대 및 싱크대(이하, '설치대'로 칭한다)에 빌트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가열 조리대(heated countertops)는 복수(통상 2~4개)의 가스 화구 또는 전기 열판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가지를 모두 갖춘 겸용 타입도 있다. 예를 들면 글라스 세라믹 전기레인지는 화구가 직접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매끈한 표면의 특수 유리판으로 덮여 있으며 충격과 급격한 온도 변화에 내구력을 갖도록 설계되고 있으며, 인덕션 레인지(또는 인덕션 플레이트) 또한 글라스 세라믹 상판으로 덮여 있다. 근래들어 가스레인지 및 전기레인지(이하, '가열 조리대'로 칭한다)의 설치는 탁상형 보다 빌트인 제품 위주로 판매되고 사용되어지고 있다.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방식은 주방 싱크대와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설치 외관을 미려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빌트인 방식의 가열 조리대 제품은 주방 싱크대에 일체감을 주도록 설치하기 위해 싱크대 상판을 따내기 가공으로 가공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가공 정밀도에 따라 가열 조리대 제품과 싱크대간 조립 유격 틈새가 발생하여 안정적인 제품 설치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더욱이 사용 및 청소 과정에서 제품이 크게 흔들릴 수 있어 제품 사용에 대한 소비자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가열 조리대 제품과 싱크대의 조립 부분을 규격화하여 유격 틈새를 없애는 방법이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지만 보통의 경우 빌트인 가열 조리대는 가로 사이즈는 규격화 되어있으나 세로 사이즈는 싱크장의 사이즈에 따라 구분되는 크기(550mm 싱크장 용 및 600mm 싱크장용...등)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가열 조리대 설치 과정에서 싱크대간 조립 유격을 없애 정밀한 조립 상태를 유지하는데 한계가 따르고 있다. 또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품종 소량 생산 방식으로 가열 조리대의 케이싱을 제작 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케이싱의 모서리 절곡부는 외부 충격에 취약하여 용접이나 별도의 보강 픽서(fixer)를 설치해야 하므로 부품수와 작업공수가 증가하여 비용을 상승시켜 원가절감에 배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빌트인 가열 조리대 제품은 이동 설치 및 설치 조건에 대한 제약이 크고 탁상형으로 사용시에는 별도의 지지대나 케이싱이 필요하여 이로 인해 부품 사용이 증가하여 비용이 상승되고 사용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열 조리대를 주방 싱크대에 빌트인 방식으로 조립 및 설치하는데 있어서, 비교적 간단한 부품 적용을 통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가열 조리대의 설치 및 품질 향상과 원가 절감 그리고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을 제안한다.
특허문헌 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16267호(공고일2015년05월04일) 특허문헌 2.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2016-0003194호(공개일2016년09월22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가스 및 전기레인지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대를 설치대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X,Y,Z축 방향의 3차원 유격을 조절하면서 가열 조리대를 설치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가스 및 전기레인지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대를 설치대의 다양한 설치 환경 변화에 추종하여 호환성 있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비교적 간단한 부품 적용을 통해 가열 조리대의 설치 및 품질 향상과 원가 절감 그리고 가열 조리대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실장 전장부품들을 감싸고 보호하기 위해 적어도 3면의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벽, 정면벽, 배면벽을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들의 3면이 만나는 지점에 4개소의 절곡 코너부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대; 및 상기 절곡 코너부를 중심으로 장착되어 상기 절곡 코너부의 조립 강도를 보강하고 정착시키는 픽서(fixer)로서의 기능, 또는 설치대에 가열 조리대를 설치 시 설치대와 가열 조리대의 간극을 메꿔 유격을 보상하는 익스텐션(extention)으로서의 기능, 또는 상기 케이싱을 받쳐주는 레그(leg)로서의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단독 또는 병행적으로 수행하는 브라켓 모듈;을 포함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의 절곡 코너부를 기준으로 측면벽에는 측면 체결홀이, 정면벽에는 정면 체결홀이, 그리고 배면벽에는 배면 체결홀이 각각 구멍으로 뚫려져 파스너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의 절곡 코너부가 위치하는 측면벽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의 장공 홀로 뚫려진 제1 상단 끼움부; 및 상기 제1 상단 끼움부를 기준으로 그 하부에는 제1 하단 끼움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상단 끼움부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방향의 장공 홀로 뚫려진 복수의 위치 조절 끼움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상단 끼움부와 상기 위치 조절 끼움부의 상단에는 브라켓 모듈의 접속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문자 또는 기호로 마킹되거나 프린팅된 위치 표시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의 절곡 코너부가 위치하는 정면벽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의 장공 홀로 뚫려진 제2 상단 끼움부; 및 상기 제2 상단 끼움부를 기준으로 그 하부에는 제2 하단 끼움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 모듈은 X,Y,Z축으로 구분되는 3면의 벽면을 구비하는 한편 위치 이동에 따라 가변적으로 상기 케이싱의 측면 체결홀, 정면 체결홀 그리고 배면 체결홀에 각각 조립되도록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장공형의 측면 가이드홀과 정면 가이드 홀 그리고 배면 가이드 홀들을 구비하며, 상부에는 상기 케이싱의 제1 상단 끼움부와 제2 상단 끼움부에 각각 조립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를 상기 케이싱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절곡 돌출형으로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 모듈을 익스텐션(extention) 브라켓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위치 조절 끼움부를 복수의 사각홀로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의 제2 가이드와 복수의 사각홀 중 하나와 우선 조립되어 필요한 거리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 모듈과 상기 케이싱의 거리 조절을 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의 배면 체결홀과 상기 브라켓 모듈의 배면 가이드 홀을 연계하여 파스너를 체결하고, 상기 케이싱의 측면 체결홀과 상기 브라켓 모듈의 측면 가이드 홀을 연계하여 파스너를 체결하여 상기 브라켓 모듈의 거리 조절 양에 따라 1점의 끼임부와 2점의 파스너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 모듈의 거리 조절을 위한 이동에 있어서 측면 가이드 홀과 배면 가이드 홀이 장공형의 홀로 가공되어 파스너를 완전히 풀지 않은 가조립 상태에서 파스너의 나사산부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가면서 상기 브라켓 모듈의 전체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 조리대를 탁상형으로 변형 사용을 위해 상기 브라켓 모듈을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로 이동 조립시켜 상기 브라켓 모듈이 자체적으로 레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 조리대를 탁상형으로 변형 사용 시 상기 가열 조리대에 대한 견고한 고정력과 지지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 모듈측은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가 접속되는 2점의 끼임부로 구성되는 한편 파스너는 측면 가이드 홀과 정면 가이드 홀을 통과하여 각각 상기 케이싱측 측면 체결홀과 정면 체결홀에 각각 체결되는 2개소의 파스너 체결부를 통해 결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열 조리대를 주방 설치대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브라켓 모듈 부품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드라이버 하나만으로 쉽게 조립 위치를 변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열 조리대와 설치대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3축 방향 유격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면서 가열 조리대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조리대의 케이싱에서 상대적으로 외부 충격에 취약한 모서리 절곡 코너부를 용접이나 별도의 보강 픽서(fixer)에 의존하지 않고 단일 브라켓 모듈 부품을 통해 취약한 모서리 절곡 코너부를 고강도로 보강할 수 있으므로, 보강을 위한 별도 부품과 복잡한 작업공수를 배제시켜 제품 원가와 설치 비용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빌트인 가열 조리대 제품 특성 상 이동 설치 및 설치 조건에 대한 제약이 큰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탁상형으로 사용시에는 별도의 지지대나 케이싱의 소요 없이 단일의 브라켓 모듈을 통해 탁상형의 가열 조리대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부품 증가 없이 가열 조리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불편을 소요 비용없이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조리 가열대의 한 종류로서 가스레인지를 보인 것으로 케이싱 절곡 코너부를 용접 및 코너 픽서로 처리한 종래 가스레인지의 예시이다.
도 2는 조리 가열대의 한 종류로서 가스레인지를 보인 것으로 설치대에 빌트 인 설치를 위해 별도의 대면적 브라켓을 케이싱을 따라 장착한 종래 가스레인지의 예시이다.
도 3은 조리 가열대의 한 종류로서 전기 또는 인덕션레인지를 보인 것으로 별도의 탁상형 케이싱이 적용된 종래 전기 또는 인덕션레인지의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대의 케이싱부에 구성되는 절곡 코너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대의 케이싱부 절곡 코너부에 장착되는 브라켓 모듈을 보인 것으로, (a)는 정면, (b)는 이면을 보인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대를 보인 것으로, (a)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이 적용된 가열 조리대의 사시도이다. (b)는 (a)의 케이싱 절곡 코너부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브라켓 모듈이 케이싱 절곡 코너부의 강도 보강용 픽서로서 기능하도록 설치한 상태의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대를 보인 것으로, (a)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이 적용된 가열 조리대의 사시도이다. (b)는 (a)의 케이싱 절곡 코너부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제품 설치 시 브라켓 모듈이 제품 설치 고정용 익스텐션 브라켓으로 기능하도록 설치한 상태의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대를 보인 것으로, (a)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이 적용된 가열 조리대의 사시도이다. (b)는 (a)의 케이싱 절곡 코너부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가열 조리대를 탁상형으로 변환 설치하는 경우 브라켓 모듈이 레그로 기능하도록 설치한 상태의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설치대'의 용어는 주방이나 실내에서 흔히 사용되는 싱크대, 조리대 및 이와 균등하거나 비교되는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빌트인 방식의 가열 조리대 제품은 주방 싱크대에 일체감을 주도록 설치하기 위해 설치대의 상판을 따내기 가공으로 가공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가공 정밀도에 따라 가열 조리대 제품과 설치대간 조립 유격 틈새가 발생하여 안정적인 제품 설치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또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품종 소량 생산 방식으로 가열 조리대의 케이싱을 제작 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케이싱의 모서리 절곡부는 외부 충격에 취약하여 용접이나 별도의 보강 픽서(fixer)를 설치해야 하므로 부품수와 작업공수가 증가하여 비용을 상승시켜 원가절감에 배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빌트인 가열 조리대 제품은 이동 설치 및 설치 조건에 대한 제약이 크고 탁상형으로 사용시에는 별도의 지지대나 케이싱이 필요하여 이로 인해 부품 사용이 증가하여 비용이 상승되고 사용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설치대에 빌트 인 방식으로 설치하기 위한 기존 가열 조리대의 문제점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조리 가열대의 한 종류로서 가스레인지를 보인 것으로 케이싱 절곡 코너부를 용접 및 코너 픽서로 처리한 기존의 가스레인지의 예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가스레인지(10)는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품종 소량 생산으로 제품의 케이싱을 제작하게 되는데 이 경우 케이싱(11)의 코너부(12)가 외부 충격에 취약하여 코너부를 별도의 용접가공이나 코너를 보강하는 단일 기능의 픽서(13)를 설치하여 보강하고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형식의 가열 조리대는 부품수와 작업공수가 증가하여 비용을 상승시켜 제품 원가를 상승시키고 있다.
도 2는 조리 가열대의 한 종류로서 가스레인지를 보인 것으로 설치대에 빌트 인 설치를 위해 별도의 대면적 브라켓을 케이싱을 따라 장착한 종래 가스레인지의 예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트 인 설치를 위한 기존의 가스레인지(10)는 가스레인지(10)의 설치를 위해 설치대(미도시)의 상판을 따내기 가공으로 공간을 확보해야만 하고 이 과정에서 가공 정밀도에 따라 제품과 설치대간 공간 유격이 발생하여 사용시 제품이 흔들릴 수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뒤로 대면적을 브라켓(20)을 장착하여 미리 타공된 설치대의 공간에 가스레인지(10)를 끼워넣고 적당히 맞춘다. 그러나 별도의 대면적 브라켓(20)의 적용을 통한 고정 거리 설정으로 미세 조정이 불가하고 여기서 브라켓은 유격 공간을 줄이는 단일 기능만을 하게될 뿐만 아니라 설치대간 조립 유격 틈새를 충분히 줄여줄 수 없기 때문에 안정적인 제품 설치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도 3은 조리 가열대의 한 종류로서 전기 또는 인덕션레인지를 보인 것으로 별도의 탁상형 케이싱이 적용된 종래 전기 또는 인덕션레인지의 예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전기 또는 인덕션레인지(30)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단가도 비싼 탁상형 케이싱을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고, 탁상형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케이싱(31)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고, 받침대로서 별도의 레그(32)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설치 및 보관 그리고 휴대성도 떨어져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가열 조리대를 주방 설치대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브라켓 모듈 부품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드라이버 하나만으로 쉽게 조립 위치를 변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열 조리대와 설치대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3축 방향 유격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면서 가열 조리대를 설치할 수 있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열 조리대의 케이싱에서 상대적으로 외부 충격에 취약한 모서리 절곡 코너부를 용접이나 별도의 보강 픽서(fixer)에 의존하지 않고 단일 브라켓 모듈 부품을 통해 취약한 모서리 절곡 코너부를 고강도로 보강할 수 있게하여 보강을 위한 별도 부품과 복잡한 작업공수를 배제시켜 제품 원가와 설치 비용을 줄이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빌트인 가열 조리대 제품 특성 상 이동 설치 및 설치 조건에 대한 제약이 큰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탁상형으로 사용시에는 별도의 지지대나 케이싱의 소요 없이 단일의 브라켓 모듈을 통해 탁상형의 가열 조리대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부품 증가 없이 가열 조리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불편을 소요 비용없이 개선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을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대의 케이싱부에 구성되는 절곡 코너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대의 케이싱부 절곡 코너부에 장착되는 브라켓 모듈을 보인 것으로, (a)는 정면, (b)는 이면을 보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대의 케이싱부에 구성되는 절곡 코너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예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을 구성하는 주요 부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실장 전장부품들을 감싸고 보호하기 위해 적어도 3면의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벽(101), 정면벽(102), 배면벽(103)을 포함하는 케이싱(110), 상기 케이싱(110)들의 3면이 만나는 지점에 4개소의 절곡 코너부(120)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조리대(100)를 구성하는 케이싱(110)측 절곡 코너부(120)를 중심으로 장착되어 절곡 코너부(120)의 조립 강도를 보강하고 정착시키는 픽서(fixer)로서의 기능, 또는 설치대에 가열 조리대를 설치 시 설치대와 가열 조리대의 간극을 메꿔 유격을 보상하는 익스텐션(extention)으로서의 기능, 또는 상기 케이싱(110)을 받쳐주는 레그(leg)로서의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단독 또는 병행적으로 수행하는 브라켓 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04'는 브라켓 모듈의 코너 도피부이다. '205'는 지면에 닿거나 밀착되어 케이싱(110)을 지면과 이격시켜 받쳐주는 레그(leg)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절곡 코너부(120)를 기준으로 측면벽(101)에는 측면 체결홀(101a)이, 정면벽(102)에는 정면 체결홀(102a) 및 배면벽(103)에는 배면 체결홀(103a)이 각각 구멍으로 뚫어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10)의 절곡 코너부(120)가 위치하는 측면벽(101)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의 장공 홀로 뚫려진 제1 상단 끼움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상단 끼움부(130)를 기준으로 그 하부에는 제1 하단 끼움부(14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단 끼움부(130)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방향의 장공 홀로 뚫려진 복수의 위치 조절 끼움부(15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단 끼움부(130)와 위치 조절 끼움부(150)의 상단에는 브라켓 모듈(200)의 접속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문자 또는 기호로 마킹되거나 프린팅된 위치 표시부(16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10)의 절곡 코너부(120)가 위치하는 정면벽(102)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의 장공 홀로 뚫려진 제2 상단 끼움부(131)를 구성하고, 제2 상단 끼움부(131)를 기준으로 그 하부에는 제2 하단 끼움부(141)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모듈(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Y,Z축(측면,정면,배면)으로 구분되는 3면의 벽면을 구비하는 한편 위치 이동에 따라 가변적으로 케이싱(110)의 측면 체결홀(101a), 정면 체결홀(102a) 그리고 배면 체결홀(103a)에 각각 조립될 되도록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장공형의 측면 가이드홀(201)과 정면 가이드 홀(202) 그리고 배면 가이드 홀(103)들을 구비하며, 상부에는 상기 케이싱(110)의 제1 상단 끼움부(130)와 제2 상단 끼움부(131)에 각각 조립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231)를 상기 케이싱(110)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절곡 돌출형으로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231)를 케이싱(110)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절곡 돌출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브라켓 모듈(200)을 케이싱(110)에 쉽고 빠르게 결합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모듈(200)을 익스텐션(extention) 브라켓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케이싱(110)에 형성된 위치 조절 끼움부(150)를 복수의 사각홀로 형성하고, 브라켓 모듈(200)의 제2 가이드(231)와 복수의 사각홀 중 하나와 우선 조립하여 필요한 거리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모듈(200)과 케이싱(110)의 거리를 조절하는 동시에 케이싱(110)의 배면 체결홀(103a)과 브라켓 모듈(200)의 배면 가이드 홀(203)을 연계하여 파스너(300)를 체결하고, 케이싱(110)의 측면 체결홀(101a)과 상기 브라켓 모듈(200)의 측면 가이드 홀(201)을 연계하여 파스너(300)를 체결하여 브라켓 모듈(200)의 정면방향으로 거리 조절 양에 따라 어디든 1점의 끼임부와 2점의 파스너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스너로는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볼트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볼트를 대체할 수 있는 이와 균등한 체결요소 또는 기계적 체결요소로도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모듈(200)의 거리 조절을 위한 이동에 있어서 측면 가이드 홀(201)과 배면 가이드 홀(203)이 장공형의 홀로 가공되어 파스너(300)를 완전히 풀지 않은 가조립 상태에서 파스너(300)의 나사산부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가면서 상기 브라켓 모듈(200)의 전체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조리대(100)를 탁상형으로 변형 사용을 위해 상기 브라켓 모듈(200)을 상기 케이싱(110)의 하단부로 이동 조립시켜 상기 브라켓 모듈(200)이 자체적으로 레그의 기능과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조리대(100)를 탁상형으로 변형 사용 시 상기 가열 조리대(100)에 대한 강한 고정력과 지지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 모듈(200)측은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231)가 접속되는 2점의 끼임부로 구성되는 한편 파스너(300)는 측면 가이드 홀(201)과 정면 가이드 홀(202)을 통과하여 각각 상기 케이싱(110)측 측면 체결홀(101a)과 정면 체결홀(102a)에 각각 체결되는 2개소의 파스너 체결부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이 적용된 예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대를 보인 것으로, (a)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이 적용된 가열 조리대의 사시도이다. (b)는 (a)의 케이싱 절곡 코너부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브라켓 모듈이 케이싱 절곡 코너부의 강도 보강용 픽서로서 기능하도록 설치한 상태의 예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이 적용된 예에 따르면, 브라켓 모듈(200)을 통해 케이싱(110)의 가장 취약부인 절곡 코너부(120)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된다.
브라켓 모듈(200)의 제1 가이드(230)는 케이싱(110)의 제1 상단 끼움부(130)에 조립되고 제2 가이드(231)는 제2 상단끼움부(131)에 각각 조립되어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브라켓 모듈(200)은 브라켓 모듈(200)의 측면 가이드 홀(201), 정면 가이드 홀(202) 및 배면 가이드 홀(203)과 케이싱(110)의 측면 체결홀(101a), 정면 체결홀(102a)을 볼트 등의 파스너(300)로 고정하여 케이싱(110)의 X,Y,Z축의 3면을 감싸고 둘러 싸는 구조로 조립된다.
그리고, 브라켓 모듈(200)의 절곡 코너부(120)는 설치대 상판 따내기 가공부가 직각이 나오지 않아도 쉽게 안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끼임부는 2개소에, 파스터 체결부는 1 내지 3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대를 보인 것으로, (a)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이 적용된 가열 조리대의 사시도이다. (b)는 (a)의 케이싱 절곡 코너부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제품 설치 시 브라켓 모듈이 제품 설치 고정용 익스텐션 브라켓으로 기능하도록 설치한 상태의 예시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이 적용된 예에 따르면, 브라켓 모듈(200)은 가열 조리대(100)를 설치대에 설치 시 설치대와 가열 조리대(100)의 간극을 메꿔 유격을 보상하는 익스텐션(extention) 브라켓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설치대 상판에 가공된 따내기 공간과 제품간 세로 유격 매꿈을 통해 가열 조리대(100) 양호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브라켓 모듈(200)의 제1 가이드(230)를 케이싱(110)의 위치조절끼움부(160)에 틈새를 매꿀 수 있는 위치에 조립하고 브라켓 모듈(200)의 측면 및 배면 가이드홀(201)(203)과 케이싱(110)의 측면 체결홀(101a)을 파스너(300)로 고정하여 설치대 상판 가공부와 제품간 틈새를 효과적으로 매꾸어 유격을 줄일 수 있게된다.
그리고, 케이싱(100)의 위치조절끼움부(150) 위의 위치표시부(160)를 각 단별로 문자 또는 기호로 표기하여 브라켓 모듈(200)의 측면 가이드 홀(201)의 장공 형상과 케이싱(110)의 위치조절끼움부(150)의 다단 형상으로 각 단별로 미세한 거리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브라켓 모듈(200)의 배면 가이드 홀(203)은 레일식의 장공으로 볼트 등의 파스너(300)를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 슬라이딩 식으로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대를 보인 것으로, (a)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이 적용된 가열 조리대의 사시도이다. (b)는 (a)의 케이싱 절곡 코너부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가열 조리대를 탁상형으로 변환 설치하는 경우 브라켓 모듈이 레그로 기능하도록 설치한 상태의 예시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모듈(200)은 가열 조리대(100)의 케이싱(110)을 받쳐주는 레그(leg)로 기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은 설치 환경에 영향 받지 않고 제품을 손쉽게 이동하여 설치할 있도록 한다.
즉, 브라켓 모듈(200)의 제1,2 가이드(230)(231)가 케이싱(110)의 제1 및 제2 하단끼움부(140)(141)에 각각 끼워져 조립되고, 브라켓 모듈(200) 측면 및 정면 가이드 홀(201)(202)의 상단과 케이싱(110)의 측면 및 정면 체결홀(101a)(102a)을 각각 볼트 등의 파스너(300)로 체결 고정하여 브라켓 모듈(200)의 레그부(205)가 케이싱(110)의 바닥면보다 낮게 위치하고 지면과 닿는 위치에 자리잡도록 조립 된다. 따라서, 별도의 부품이나 구조물 설치 없이 하나의 브라켓 모듈(200) 만으로 케이싱(110) 하단 배기구 바닥과 이격되도록 케이싱 하단부를 받쳐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측면 가이드 홀(201)은 정면 가이드홀(202)과 대응되는 제1 측면 가이드홀(201a), 제1 측면 가이드홀(201a)의 일단에서 연장되되, 배면 가이드홀(203)과 대응되는 제2 측면 가이드홀(201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면가이드홀(201a)과 정면 가이드홀(202)은 배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측면가이드홀(201B)과 배면 가이드홀(203)은 정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서로 대응되는 가이드 홀은 동일길이의 장공홀로 형성되어, 거리 조절시 최대 조절길이를 제한하며, 파스너(300) 체결시 케이싱(110)과 픽서의 조립위치를 확정하고, 비틀림 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 측면 가이드홀(201b)과 배면 가이드홀(203)은 동일길이의 장공형의 홀로 가공되되, 정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파스너(300)를 제2 측면 가이드홀(201b)과 측면 체결홀(101a)에 체결하고, 다른 파스너를 배면 가이드홀(203)과 배면 체결홀(103a)에 체결하되, 정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의 홀에 파스너(300)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정면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위치조절끼움부(150)는 정면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정면방향으로 이동거리를 안내하며, 제1 가이드(230)를 체결하여 이동거리를 조절한 후 파스너(300)를 정조립하여 견고하고 간단하게 이동거리를 이동시켜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케이싱(110)의 정면벽(102)과 배면벽(103)에 복수개로 파스너를 형성하여, 설치대 상판에 가공된 따내기 공간과 제품간 유격 매꿈을 제품 설치전에 정면벽 또는 배면벽에 원하는 거리만큼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게된다.
또한, 제1 측면 가이드홀(201a)과 정면 가이드홀(202)은 동일 길이의 장공형의 홀로 가공되되, 배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파스너를 제1 측면 가이드홀(201a)과 측면 체결홀(101a)에 체결하고, 다른 파스너(300)를 정면 가이드홀(202)과 정면 체결홀(102a)에 체결하되, 배면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의 홀에 파스너(300)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배면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 2 가이드(230)(231)를 제1,2 하단 끼움부(140)(141)에 삽입 체결하여 체결강도를 보강하고, 최대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은, 가열 조리대를 주방 설치대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브라켓 모듈 부품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드라이버 하나만으로 쉽게 조립 위치를 변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열 조리대와 설치대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3축 방향 유격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면서 가열 조리대를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열 조리대의 케이싱에서 상대적으로 외부 충격에 취약한 모서리 절곡 코너부를 용접이나 별도의 보강 픽서(fixer)에 의존하지 않고 단일 브라켓 모듈 부품을 통해 취약한 모서리 절곡 코너부를 고강도로 보강할 수 있으므로, 보강을 위한 별도 부품과 복잡한 작업공수를 배제시켜 제품 원가와 설치 비용을 줄이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빌트인 가열 조리대 제품 특성 상 이동 설치 및 설치 조건에 대한 제약이 큰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탁상형으로 사용시에는 별도의 지지대나 케이싱의 소요 없이 단일의 브라켓 모듈을 통해 탁상형의 가열 조리대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부품 증가 없이 가열 조리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불편을 소요 비용없이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가열 조리대 101: 측면벽
101a: 측면 체결홀 102: 정면벽
102a: 정면 체결홀 103: 배면벽
103a: 배면 체결홀 110: 케이싱
120: 절곡 코너부 130: 제1 상단 끼움부
131: 제2 상단 끼움부 140: 제1 하단 끼움부
141: 제2 하단 끼움부 150: 위치 조절 끼움부
160: 위치 표시부 200: 브라켓 모듈
201: 측면 가이드홀 201a: 제1 측면 가이드홀
201b: 제1 측면 가이드홀 202: 정면 가이드 홀
203: 배면 가이드 홀 230: 제1 가이드
231: 제2 가이드 300: 파스너(fastener)

Claims (12)

  1. 내부 실장 전장부품들을 감싸고 보호하기 위해 적어도 3면의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벽, 정면벽, 배면벽을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들의 3면이 만나는 지점에 4개소의 절곡 코너부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대; 및 상기 절곡 코너부를 중심으로 장착되어 상기 절곡 코너부의 조립 강도를 보강하고 정착시키는 픽서(fixer)로서의 기능, 또는 설치대에 가열 조리대를 설치 시 설치대와 가열 조리대의 간극을 메꿔 유격을 보상하는 익스텐션(extention)으로서의 기능, 또는 상기 케이싱을 받쳐주는 레그(leg)로서의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단독 또는 병행적으로 수행하는 브라켓 모듈;을 포함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절곡 코너부를 기준으로 측면벽에는 측면 체결홀이, 정면벽에는 정면 체결홀이, 그리고 배면벽에는 배면 체결홀이 각각 구멍으로 뚫려져 파스너가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절곡 코너부가 위치하는 측면벽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의 장공 홀로 뚫려진 제1 상단 끼움부; 및 상기 제1 상단 끼움부를 기준으로 그 하부에는 제1 하단 끼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단 끼움부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방향의 장공 홀로 뚫려진 복수의 위치 조절 끼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단 끼움부와 상기 위치 조절 끼움부의 상단에는 브라켓 모듈의 접속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문자 또는 기호로 마킹되거나 프린팅된 위치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절곡 코너부가 위치하는 정면벽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의 장공 홀로 뚫려진 제2 상단 끼움부; 및 상기 제2 상단 끼움부를 기준으로 그 하부에는 제2 하단 끼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모듈은 X,Y,Z축으로 구분되는 3면의 벽면을 구비하는 한편 위치 이동에 따라 가변적으로 상기 케이싱의 측면 체결홀, 정면 체결홀 그리고 배면 체결홀에 각각 조립되도록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장공형의 측면 가이드홀과 정면 가이드 홀 그리고 배면 가이드 홀들을 구비하며, 상부에는 상기 케이싱의 제1 상단 끼움부와 제2 상단 끼움부에 각각 조립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를 상기 케이싱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절곡 돌출형으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모듈을 익스텐션(extention) 브라켓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위치 조절 끼움부를 복수의 사각홀로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의 제2 가이드와 복수의 사각홀 중 하나와 우선 조립되어 필요한 거리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모듈과 상기 케이싱의 거리 조절을 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의 배면 체결홀과 상기 브라켓 모듈의 배면 가이드 홀을 연계하여 파스너를 체결하고, 상기 케이싱의 측면 체결홀과 상기 브라켓 모듈의 측면 가이드 홀을 연계하여 파스너를 체결하여 상기 브라켓 모듈의 거리 조절 양에 따라 1점의 끼임부와 2점의 파스너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모듈의 거리 조절을 위한 이동에 있어서 측면 가이드 홀과 배면 가이드 홀이 장공형의 홀로 가공되어 파스너를 완전히 풀지 않은 가조립 상태에서 파스너의 나사산부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가면서 상기 브라켓 모듈의 전체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조리대를 탁상형으로 변형 사용을 위해 상기 브라켓 모듈을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로 이동 조립시켜 상기 브라켓 모듈이 자체적으로 레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12.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조리대를 탁상형으로 변형 사용 시 상기 가열 조리대에 대한 견고한 고정력과 지지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 모듈측은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가 접속되는 2점의 끼임부로 구성되는 한편 파스너는 측면 가이드 홀과 정면 가이드 홀을 통과하여 각각 상기 케이싱측 측면 체결홀과 정면 체결홀에 각각 체결되는 2개소의 파스너 체결부를 통해 결속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KR1020220161450A 2022-11-28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KR20240078846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8846A true KR20240078846A (ko) 2024-06-0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5605A (en) Decorative panel construction for office furniture
US11029032B2 (en) Stove
US11297694B2 (en) Range with suspended cooktop
US10481646B2 (en) Computer cabinet
KR20240078846A (ko) 가열 조리대의 빌트인 설치 및 케이싱 조립용 다기능 조립 모듈
CN109196282A (zh) 烹饪炉盘框架
US20090127247A1 (en) Arrangement for a cooktop and a worktop
JP2018204852A (ja) レンジフードパネル取付具
JP5213623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の組立方法およびキャビネット
EP2225972B1 (en) Drawer with adjustable front plate
SE543129C2 (en) Interlocking Means, a Piece of Furniture Comprising Said Interlocking Means, and a Method for Making Said Pieces of Furniture
JP4993250B2 (ja) アジャスタ受け、アジャスタとスペーサとアジャスタ受けとの組合せ
EP3324127B1 (en) Cooking oven
JPH08131851A (ja) 実験台
KR100762009B1 (ko)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CN219661504U (zh) 防护网安装结构和烹饪设备
JP2002253375A (ja) 蹴込み付き引き出しの製造方法
CN219473736U (zh) 集成灶
CN220355499U (zh) 吸油烟机用挂钩安装结构
CN215014476U (zh) 组合桌及其扩展支撑结构
CN220378793U (zh) 集成灶
US11578874B2 (en) Cooking appliance with control housing spill control support
JP4491467B2 (ja) アジャスタ取付構造
CN214370376U (zh) 灶具
CN213344716U (zh) 一种具有屏风组件的办公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