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7365A -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7365A
KR20240077365A KR1020230008900A KR20230008900A KR20240077365A KR 20240077365 A KR20240077365 A KR 20240077365A KR 1020230008900 A KR1020230008900 A KR 1020230008900A KR 20230008900 A KR20230008900 A KR 20230008900A KR 20240077365 A KR20240077365 A KR 20240077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video
terminal
transmitted
swit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영
Original Assignee
정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영 filed Critical 정도영
Publication of KR20240077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7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Abstract

공연 또는 오디션에 임하는 아티스트를 다각도로 촬영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이 촬영 중인 촬영영상들을 제공받아 실시간 모니터링하되, 상기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송출영상으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처(switcher) 단말; 및 상기 스위처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송출영상을 제공받고, 상기 송출영상을 외부단말에 실시간 중계하는 중계 플랫폼 서버; 를 포함하는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IVE RELAY SERVICE,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라이브 중계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중계를 위한 전문 인력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공연 또는 오디션에 참가한 아티스트를 촬영 중인 영상 콘텐츠가 대중에게 라이브 중계될 수 있도록 아티스트와 대중 간의 비대면 중개를 위한 기술의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이 확산됨에 따라 국가는 국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전파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연극, 뮤지컬, 콘서트 등 다수의 사람이 모이게 되는 문화예술 공연을 일정 기간 중지하거나, 그 관람 인원수를 제한한 바 있다.
이러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과 같은 팬데믹(pandemic)이 닥칠 때마다 대중매체 속 자주 등장하는 소수의 문화예술 종사자(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티스트’로 통칭함)외 대다수의 아티스트는 대중 앞에 나설 수 있는 무대가 줄어 이로 인한 경제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정보통신의 비약적인 발달로 온라인상의 가상공간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에, 오프라인 무대가 줄어든 현시점에서 아티스트들의 예술 활동이 지속될 수 있도록 그 무대를 온라인상으로 옮겨 대중에게 라이브 중계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중계방식은 고가의 중계 장비(중계 카메라, 중계 케이블, 중계 차량, 영상 모니터, 영상스위치 등을 포함함)와 중계 장비를 전문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므로, 저자본 무대에 서는 아티스트들은 엄두를 내지 못한다.
이에, 중계를 위한 전문 장비 및 인력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공연 또는 오디션에 참가한 아티스트를 촬영 중인 영상 콘텐츠가 대중에게 라이브 중계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아티스트들은 특정 기획사에 가수 또는 연기자로 발굴되거나, 연극, 뮤지컬, 영화, 드라마 등 공연에 캐스팅되기 위한 오디션을 치르게 된다.
기존 오디션의 경우, 오디션을 주최하는 주최 측에 참가자별로 미리 제작한 영상 콘텐츠를 제출하고, 이에 대한 주최 측 평가를 통해 최종 선발을 위한 이후 평가들을 준비하게 되거나, 탈락하게 되는 식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존 오디션 방식은 참가자들의 최초 평가에서 비공개로 이루어지다 보니, 참가자들은 오디션 성패에 따른 이유를 알 수 없었다. 또한, 신인 아티스트의 경우 상업적 가치가 입증되어 있지 않기에 기존 상업적 가치가 입증된 아티스트보다 불리한 위치에서 오디션을 치르게 될 수 있었다.
게다가, 참가자별로 제출하는 영상 콘텐츠의 경우, 개인 별로 촬영이 이루어지다 보니, 투자 자본에 따른 제작 영상 콘텐츠의 퀄리티 격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부터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었다.
그렇기에, 오디션을 참가하는 아티스트들의 실력뿐 아니라 상업적 가치에 대한 평가가 공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디션 관계자뿐 아니라 대중에게도 평가받을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3417호 (등록일 : 2003.07.21.)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4576호 (공개일 : 2015.06.1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계를 위한 전문 장비 및 인력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공연 또는 오디션에 임하는 아티스트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 또는 오디션에 임하는 아티스트를 다각도로 촬영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이 촬영 중인 촬영영상들을 제공받아 실시간 모니터링하되, 상기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송출영상으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처(switcher) 단말; 및 상기 스위처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송출영상을 제공받고, 상기 송출영상을 외부단말에 실시간 중계하는 중계 플랫폼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처 단말은, 상기 촬영영상들 및 상기 송출영상들을 출력하되, 상기 촬영영상들 각각이 출력되는 제1 출력영역, 상기 송출영상이 출력되는 제2 출력영역 및 상기 송출영상에 추가할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출력되는 제3 출력영역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출력영역을 한 화면 상에 노출시키며, 상기 스위처 단말은 상기 제1 출력영역에 출력되는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촬영영상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를 통해 외부단말에 실시간 중계되고 있는 송출영상을 선택신호에 부합하는 촬영영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는, 상기 스위처 단말 및 외부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위처 단말로부터 실시간 송출되는 송출영상을 수신하는 송출영상 수신부; 기 신청된 오디션 및 공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중계채널들이 저장된 중계채널 저장부; 상기 중계채널 저장부에 저장된 중계채널들 중 상기 송출영상의 수신이 이루어진 시점에 라이브 중계가 설정된 중계채널을 매칭하는 중계채널 매칭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채널 매칭부에서 매칭된 중계채널(이하, ‘매칭채널’이라 칭함)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에 상기 송출영상을 중계하는 중계부; 및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한 라이브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과 스위처 단말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페어링되는 페어링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들이 촬영 중인 촬영 영상을 상기 스위처 단말에 제공하는 촬영영상 제공단계; 상기 스위처 단말이 상기 촬영영상 제공단계에서 제공된 촬영영상들을 실시간 출력하되, 상기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중계 플랫폼 서버를 통해 중계될 송출영상으로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송출영상 선택단계; 상기 스위처 단말이 송출영상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송출영상을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에 제공하는 송출영상 제공단계; 및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가 상기 송출영상 제공단계에서 제공받은 송출영상을 중계채널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에 라이브 중계하는 중계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송출영상 선택단계에서 상기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촬영영상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스위처 단말은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를 통해 외부단말에 실시간 중계되고 있는 송출영상을 선택신호에 부합하는 촬영영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한 라이브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과 스위처 단말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페어링되는 페어링기능;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들이 촬영 중인 촬영 영상을 상기 스위처 단말에 제공하는 촬영영상 제공기능; 상기 스위처 단말이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제공된 촬영영상들을 실시간 출력하되, 상기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중계 플랫폼 서버를 통해 중계될 송출영상으로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송출영상 선택기능; 송출영상 선택기능에 의해 선택된 송출영상을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에 제공하는 송출영상 제공기능; 및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가 상기 송출영상 제공기능으로부터 제공받은 송출영상을 중계채널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에 라이브 중계하는 중계기능; 을 포함하고, 상기 송출영상 선택기능은, 상기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촬영영상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스위처 단말이 중계 플랫폼 서버를 통해 외부단말에 실시간 중계되고 있는 송출영상을 선택신호에 부합하는 촬영영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아티스트의 오디션 또는 공연 무대를 온라인상으로 옮겨 대중에게 라이브 중계함으로써, 아티스트들이 무대에 설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둘째, 중계를 위한 전문 장비 및 인력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누구나 쉽게 공연 또는 오디션이 임하는 아티스트들의 퍼포먼스를 대중에게 라이브 중계할 수 있다.
셋째, 기존 중계카메라 대비 소형인 스마트 단말들을 무대 곳곳에 숨겨 놓을 수 있어, 오프라인 공연을 관람하는 관람객들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프라인 공연과 동시에 온라인상으로 해당 공연을 라이브 중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오디션 참가자에게 오디션 관계자뿐 아니라 대중에게도 평가 받을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모두 동일한 촬영영상 편집 및 전환 기술을 적용하여 촬영 중인 중계영상을 통해 평가가 이루어지기에 아티스트 자체 실력 및 매력만으로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오디션 성패에 따른 이유를 아티스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처 단말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플랫폼 서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한 라이브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5는 도1 내지 도4에 따른 라이브 중계 영상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하, ‘라이브 중계 시스템’이라 칭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처 단말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플랫폼 서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중계 시스템(10)은 스마트 단말(100), 스위처 단말(200) 및 중계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한다.
스마트 단말(100)은 공연 또는 오디션에 임하는 아티스트를 다각도로 촬영하기 위한 구성으로,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100, 이하, ‘스마트 단말들’이라 칭함)은 아티스트가 공연 또는 오디션을 수행하는 수행 공간(예컨대, 무대)에 설치되어서 상이한 화각으로 아티스트를 촬영하거나, 각기 다른 장소에 배치되어 아티스트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다.
참고로, 공연 또는 오디션에 임하는 아티스트를 촬영할 경우, 그 무대는 특정 장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소극장과 같은 공연 장소이거나, 아티스트의 연습실, 집 등의 개인 장소일 수 있다. 즉, 아티스트들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퍼포먼스에 대해 촬영 중인 촬영영상을 대중에게 중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들(100)은 누구나 휴대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스위처 단말(200)은 스마트 단말들(100) 및 후술할 중계 플랫폼 서버(300)와 통신하며, 스마트 단말들(100)이 촬영 중인 촬영영상들을 제공받아 실시간 모니터링하되, 모니터링 중인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송출영상으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스위처 단말(200)은 누구나 휴대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스마트 단말(100)과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페어링 가능한 기기면 그 어떠한 것도 적용 가능하다.
도2를 참조하면, 스위처 단말(200)은 제어신호의 입력 및 이미지, 영상 등의 콘텐츠의 출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데, 촬영영상들(A,B,C) 각각이 출력되는 제1 출력영역(S1), 송출영상(L)이 출력되는 제2 출력영역(S2) 및 송출영상에 추가할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효과 콘텐츠가 출력되는 제3 출력영역(S3)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출력영역을 한 화면 상에 노출시킨다.
이러한 스위처 단말(200)은 제1 출력영역(S1)에 출력되는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촬영영상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외부단말에 실시간 중계되고 있는 송출영상을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으로 전환하는 구성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위처 단말(200)은 스마트 단말들(100)로부터 촬영 중인 촬영영상들 중 아티스트의 무대를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어느 하나의 촬영영상이 선택되면, 입력된 선택신호에 부합하는 촬영영상이 외부단말(400)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라이브 중계될 수 있도록 현 송출영상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만약, 송출영상을 전환한 뒤, 또 다른 선택신호가 입력될 경우, 스위처 단말(200)은 또 다른 선택신호에 부합하는 촬영영상을 현 송출영상으로 전환하게 된다. 즉, 스위처 단말(200)은 선택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송출영상이 해당 선택신호에 부합하는 촬영영상으로 전환되어 중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위처 단말(200)은 송출영상뿐 아니라, 송출영상에 부가 적용할 효과 콘텐츠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처 단말(200)은 제1 출력영역(S1) 및 제3 출력영역(S3)에 출력되는 실시간 촬영영상들과 효과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선택신호를 입력받게 되고, 해당 선택신호에 부합되는 촬영영상 혹은 촬영영상에 효과 콘텐츠가 부가된 편집영상을 후술할 중계 플랫폼 서버(300)에 송출영상으로 송출하게 된다.
참고로, 스마트 단말들(100)과 스위처 단말(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에는 촬영영상을 송/수신하고, 수신한 촬영영상들을 모니터링하며 선택한 어느 하나의 촬영영상 또는 촬영영상 및 효과 콘텐츠를 선택하여 제작한 편집영상 중 어느 하나를 라이브 중계될 송출영상으로 실시간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술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고자 한다.
상술한 스마트 단말들(100)과 스위처 단말(200)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에 따라 누구나 손쉽게 중계영상을 촬영, 편집 및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중계 플랫폼 서버(300)는 스위처 단말(200)과 통신하며 송출영상을 제공받고, 송출영상을 외부단말(400)에 실시간 중계하는 구성이다.
중계 플랫폼 서버(300)는 통신부(310), 송출영상 수신부(320), 중계채널 저장부(330), 중계채널 매칭부(340), 중계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스위처 단말(200) 및 외부단말(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송출영상 수신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해 스위처 단말(200)로부터 실시간 송출되는 송출영상을 수신한다. 이때, 송출영상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위처 단말(200)에 선택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선택신호에 부합되는 촬영영상 또는 편집영상으로 전환된 라이브 중계용 영상 콘텐츠를 의미한다.
중계채널 저장부(330)는 기 신청된 오디션 및 공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중계채널들이 저장된다.
이때, 중계채널들은 라이브 중계가 예정된 시간에 활성화되어 라이브 중계를 개시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중계 플랫폼 서버(300)는 후술할 제어부(36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제어를 통해, 중계 플랫폼 서버(300)에 접속한 외부단말(400)에서 기획사 관계자, 제작사 관계자 및 아티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오디션이나, 공연이 접수 신청되면 이에 대한 중계채널을 개설하고, 접수할 때 입력된 정보(예컨대, 오디션 또는 공연에 대한 일시)를 기반으로 라이브 중계 예정시간을 설정하여 중계채널 저장부(330)에 저장할 수 있다.
중계채널 매칭부(340)는 중계채널 저장부에 저장된 중계채널들 중 상기 송출영상의 수신이 이루어진 시점에 라이브 중계가 설정된 중계채널을 매칭한다.
참고로, 중계채널들의 경우 라이브 중계가 설정된 시간이 겹칠 수 있는데, 송출영상이 다른 중계채널에서 중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 단말(200)은 송출하고자 하는 송출영상 데이터에 해당 중계채널에 대한 식별 ID를 조합하여 중계 플랫폼 서버(300)에 송출하고, 이를 제공받은 중계 플랫폼 서버(300)는 중계채널 매칭부(340)를 통해 송출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ID를 분석하여, 해당 송출영상이 중계될 중계채널을 매칭할 수 있다.
중계부(350)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채널 매칭부에서 매칭된 중계채널(이하, ‘매칭채널’이라 칭함)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400)에 상기 송출영상을 중계한다. 즉, 중계부(350)는 매칭채널에 스위처 단말(200)을 통해 실시간 전환되어 제공된 송출영상을 대중에게 라이브 중계하는 구성이다.
제어부(360)는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이 제안하는 라이브 중계 시스템(10)의 중계 플랫폼 서버(300)는 모집부(미도시), 평가부(미도시), 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모집부, 평가부 및 후원부는 상술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모집부는 기 신청된 오디션 및 공연에 대한 중계채널들이 설정되면, 설정된 중계채널에 대한 참가 아티스트 또는 시청자를 모집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모집부는 중계채널들에 대한 중계채널 리스트와 더불어 각 중계채널에 대한 정보(예컨대, 중계종류(오디션/공연), 일시, 출연 아티스트 정보 등)를 제공한다. 외부단말(400)을 통해 중계 플랫폼 서버(300)에 접속한 아티스트 또는 시청자는 모집부에서 제공하는 중계채널 리스트 및 각 중계채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뒤 자신이 참가 혹은 시청할 중계채널에 지원할 수 있다. 참고로, 동일 시간대에 라이브 중계가 예정된 중계채널에는 중복 지원할 수 없다.
평가부는 중계채널을 시청하는 시청자들로부터 입력된 아티스트 또는 중계채널에 대한 의견 및 평가를 수집 분석하는 구성이다.
일예로, 평가부는 오디션에 참가한 아티스트별 심사관과 시청자의 의견 및 평가를 수집 분석하되, 후술할 후원부로부터 아티스트별 후원 내역을 제공받아 이를 반영한 아티스트 별 상업적 가치에 대한 평가결과를 도출해낸다.
참고로, 아티스트의 상업적 가치에 대한 평가결과는 오디션을 주최한 주최 측에만 전달되며 상업적 가치가 높은 신인 아티스트를 발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오디션 참가 아티스트에게는 아티스트의 상업적 가치에 대한 평가 결과를 제외한, 아티스트별 심사관과 시청자의 의견 및 평가를 수집 분석한 오디션 평가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평가부는 공연을 시청한 시청자의 의견 및 평가를 수집 분석하되, 후술할 후원부를 통해 해당 공연에 대한 후원 내역을 반영하여, 해당 공연의 수익성에 대한 결과를 도출해낸다. 이러한 수익성에 대한 결과는 공연을 제작한 제작관계자, 공연에 출연한 아티스트 및 관련 관계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해당 공연에 대한 추가 투자자를 유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후원부는 중계채널에 대한 라이브 중계를 시청하거나 시청 예정인 시청자들로부터 공연 또는 오디션 참가 아티스트에게 후원 포인트 지급 요청이 입력된 경우, 해당 시청자들로부터 후원 포인트를 제공받아, 시청자 개개인이 후원하고자하는 대상에게 적립한다.
후원부에 적립된 적립 내역은 상술한 평가부에 제공될 수 있고, 후원부는 해당 중계 채널의 라이브 중계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일정기간이 지난 뒤 혹은 라이브 중계가 종료된 시점까지의 적립 내역을 토대로 후원 대상에게 후원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이때, 후원 포인트는 카드, 상품권, 현금 결제 등을 통해 중계 플랫폼 서버(300)에서 사용 가능한 포인트로 전환된 충전 포인트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중계 시스템(10)은 상술한 구성들을 포함하되, 저장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서버는 스마트 단말들(100)과 통신하며 스마트 단말들(100)이 촬영 중인 촬영영상들을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저장서버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만약, 스마트 단말들(100)과 스위처 단말(200) 간의 통신 혹은 스위처 단말(200)과 중계 플랫폼 서버(300) 간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 중계 플랫폼 서버(300)는 저장서버에 실시간 저장되어지는 스마트 단말들(100)의 촬영영상을 요청하고, 저장서버는 중계 플랫폼 서버(300)의 촬영영상 요청에 따라 해당 촬영영상들을 제공하여 라이브 중계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라이브 중계 시스템에 의한 라이브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설명>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한 라이브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이하, ‘라이브 중계 제공 방법’이라 칭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5는 도1 내지 도4에 따른 라이브 중계 영상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라이브 중계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라이브 중계 방법을 수행하는 주체 즉,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하였기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1. 페이링 단계<S100>
페어링 단계(S100)는 스마트 단말들(100)과 스위처 단말(200)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상호 간이 페어링되는 단계이다. 이때, 스마트 단말들(100)과 스위처 단말(2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페어링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2. 촬영영상 제공단계<S200>
촬영영상 제공단계(S200)는 스마트 단말들(100)이 촬영 중인 촬영영상을 스위처 단말(200)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스마트 단말들(100)은 공연 또는 오디션에 임하는 공간(이하, ‘무대’라 통칭함)에 설치되어, 아티스트를 다각도로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처 단말(200)은 아티스트가 직접 휴대하며 스위처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모니터링 및 조작하거나, 아티스트외 또 다른 인물이 휴대하며 조작할 수 있다. 만약 아티스트가 직접 휴대해야할 경우 예컨대, 1인 라이브 중계의 경우, 스위처 단말(200)에 촬영영상 전환시점을 기 설정해놓고 자동으로 송출화면이 전환되도록 이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해 놓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3. 송출영상 선택단계<S300>
송출영상 선택단계(S300)는 스위처 단말(200)이 촬영영상 제공단계(S300)에서 제공된 촬영영상들을 실시간 출력하되, 상기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중계 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중계될 송출영상으로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이때, 송출영상 선택단계(S300)는 스위처 단말(200)의 화면상에 노출되는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촬영영상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계 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외부단말(400)에 실시간 중계되고 있는 송출영상을 선택신호에 부합하는 촬영영상으로 전환한다.
4. 송출영상 제공단계<S400>
송출영상 제공단계(S400)는 송출영상 선택단계(S300)에서 선택된 송출영상을 중계 플랫폼 서버(300)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5. 중계단계<S500>
중계단계(S500)는 중계 플랫폼 서버(300)가 송출영상 제공단계(S400)에서 제공받은 송출영상을 중계채널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400)에 라이브 중계하는 단계이다.
이때, 중계단계(S500)는 중계채널 매칭단계 및 라이브 중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채널 매칭단계는, 중개채널 저장부에 저장된 중개채널들 중 송출영상 제공단계(S400)에서 송출영상이 제공된 시점 즉, 송출영상의 수신이 이루어진 시점에 라이브 중계가 설정된 중계채널을 매칭하는 단계이다.
라이브 중계단계는, 중계채널 매칭단계에서 매칭된 매칭채널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400)에 송출영상을 라이브 중계하는 단계이다. 이때, 송출영상이라 함은 스위처 단말(200)의 촬영영상 선택신호 입력에 따라 실시간 전환되어진 촬영영상 또는 편집영상이 송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도5는 상술한 중계단계(S500)를 통해 외부단말(400)에 중계되어지는 라이브 중계 상황을 예시한 것이다. 외부단말(400)을 통해 해당 중계채널을 시청하는 시청자들은 심사에 참가할 수 있고, 해당 아티스트에 대한 리뷰를 추가적으로 남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라이브 중계 시스템에 의한 라이브 중계 제공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과 스위처 단말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페어링되는 페어링기능;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들이 촬영 중인 촬영 영상을 상기 스위처 단말에 제공하는 촬영영상 제공기능; 상기 스위처 단말이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제공된 촬영영상들을 실시간 출력하되, 상기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중계 플랫폼 서버를 통해 중계될 송출영상으로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송출영상 선택기능; 송출영상 선택기능에 의해 선택된 송출영상을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에 제공하는 송출영상 제공기능; 을 포함한다.
이때, 송출영상 선택기능은,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촬영영상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스위처 단말이 중계 플랫폼 서버를 통해 외부단말에 실시간 중계되고 있는 송출영상을 선택신호에 부합하는 촬영영상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록매체는,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가 상기 송출영상 제공기능으로부터 제공받은 송출영상을 중계채널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에 라이브 중계하는 중계기능;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계기능은, 중개채널 저장부에 저장된 중개채널들 중 송출영상 제공기능에 의해 송출영상이 제공된 시점 즉, 송출영상의 수신이 이루어진 시점에 라이브 중계가 설정된 중계채널을 매칭하는 중계채널 매칭기능; 및 중계채널 매칭기능에 의해 매칭된 매칭채널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400)에 송출영상을 라이브 중계하는 라이브 중계기능; 을 세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단말들(100), 스위처 단말(200) 및 외부단말(300)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마련되어, 상술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중계 시스템
100 : 스마트 단말
200 : 스위처 단말
300 : 중계 플랫폼 서버
400 : 외부단말

Claims (4)

  1. 공연 또는 오디션에 임하는 아티스트를 다각도로 촬영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이 촬영 중인 촬영영상들을 제공받아 실시간 모니터링하되, 상기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송출영상으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처(switcher) 단말; 및
    상기 스위처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송출영상을 제공받고, 상기 송출영상을 외부단말에 실시간 중계하는 중계 플랫폼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처 단말은, 상기 촬영영상들 및 상기 송출영상들을 출력하되, 상기 촬영영상들 각각이 출력되는 제1 출력영역, 상기 송출영상이 출력되는 제2 출력영역 및 상기 송출영상에 추가할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출력되는 제3 출력영역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출력영역을 한 화면 상에 노출시키며,
    상기 스위처 단말은 상기 제1 출력영역에 출력되는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촬영영상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를 통해 외부단말에 실시간 중계되고 있는 송출영상을 선택신호에 부합하는 촬영영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는,
    상기 스위처 단말 및 외부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위처 단말로부터 실시간 송출되는 송출영상을 수신하는 송출영상 수신부;
    기 신청된 오디션 및 공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중계채널들이 저장된 중계채널 저장부;
    상기 중계채널 저장부에 저장된 중계채널들 중 상기 송출영상의 수신이 이루어진 시점에 라이브 중계가 설정된 중계채널을 매칭하는 중계채널 매칭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채널 매칭부에서 매칭된 중계채널(이하, ‘매칭채널’이라 칭함)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에 상기 송출영상을 중계하는 중계부; 및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3. 제1항 내지 제2항에 따른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한 라이브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과 스위처 단말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페어링되는 페어링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들이 촬영 중인 촬영 영상을 상기 스위처 단말에 제공하는 촬영영상 제공단계;
    상기 스위처 단말이 상기 촬영영상 제공단계에서 제공된 촬영영상들을 실시간 출력하되, 상기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중계 플랫폼 서버를 통해 중계될 송출영상으로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송출영상 선택단계;
    상기 스위처 단말이 송출영상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송출영상을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에 제공하는 송출영상 제공단계; 및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가 상기 송출영상 제공단계에서 제공받은 송출영상을 중계채널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에 라이브 중계하는 중계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송출영상 선택단계에서 상기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촬영영상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스위처 단말은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를 통해 외부단말에 실시간 중계되고 있는 송출영상을 선택신호에 부합하는 촬영영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한 라이브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4.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과 스위처 단말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페어링되는 페어링기능;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마트 단말들이 촬영 중인 촬영 영상을 상기 스위처 단말에 제공하는 촬영영상 제공기능;
    상기 스위처 단말이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제공된 촬영영상들을 실시간 출력하되, 상기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중계 플랫폼 서버를 통해 중계될 송출영상으로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송출영상 선택기능;
    송출영상 선택기능에 의해 선택된 송출영상을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에 제공하는 송출영상 제공기능; 및
    상기 중계 플랫폼 서버가 상기 송출영상 제공기능으로부터 제공받은 송출영상을 중계채널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에 라이브 중계하는 중계기능; 을 포함하고,
    상기 송출영상 선택기능은, 상기 촬영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촬영영상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스위처 단말이 중계 플랫폼 서버를 통해 외부단말에 실시간 중계되고 있는 송출영상을 선택신호에 부합하는 촬영영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230008900A 2022-11-24 2023-01-20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2400773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588 2022-1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7365A true KR20240077365A (ko) 2024-05-3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44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capturing, and distributing customized event recordings
KR100336091B1 (ko) 통신시스템
EP1472871B1 (en) Remote server switching of video streams
CN107578777B (zh) 文字信息显示方法、装置及系统、语音识别方法及装置
JP2007082182A (ja) 対話型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製作方法
KR102011327B1 (ko) 소비자 지향형 멀티 카메라 촬영 영상 선택 시청 서비스 시스템
JP2014011682A (ja) 映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242371B1 (ko) 라이브 언택트 스튜디오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240077365A (ko) 라이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2271749B1 (ko) 라이브 언택트 스튜디오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CN112601110B (zh) 用于内容记录和分享的方法和设备
JP5682376B2 (ja) 通信装置
KR2022002360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멀티뷰 중계 시스템
KR100336162B1 (ko) 인터넷을 통한 영상물 제작 지원 시스템 및 방법
JP7344610B2 (ja) 管理サーバ
Takegawa et al. PokeRepo Go++ One-man Live Reporting System with a Commentator Function
Molchina Television Production: Managing the Technology
BE1029675B1 (nl) Systeem voor het verrijken van een online meeting
Reti et al. Section Meetings
RU136663U1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просмотра театрального представления или подобного зрелища
JP2011018213A (ja) 求人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求職フェア会場の設置構造
KR100425752B1 (ko) Dvd 극장에서의 주문형 비디오 상영에 따른 관람객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080126177A1 (en) Stage play advertising and distribution methodology
CN117119222A (zh) 用于节目录制的多画面连线互动方法、装置及可读介质
JP2013020514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