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6353A -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6353A
KR20240076353A KR1020230059649A KR20230059649A KR20240076353A KR 20240076353 A KR20240076353 A KR 20240076353A KR 1020230059649 A KR1020230059649 A KR 1020230059649A KR 20230059649 A KR20230059649 A KR 20230059649A KR 20240076353 A KR20240076353 A KR 20240076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unit
conveyor device
magne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9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천섭
홍종하
Original Assignee
엄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천섭 filed Critical 엄천섭
Publication of KR2024007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6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5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lates or platforms attached to a singl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8Food-conveying devices for tables; Movable or rotary food-serv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326Chains, cables or the like
    • B65G2812/02336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42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 B65G2812/0245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8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9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load-carrying surfaces using platforms or 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Mechanical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는 주행레일(200)의 상단에 구비되는 운반체(300)와 주행레일(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구동체(400)가 서로 완전히 분리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내측 및 주행레일(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구동체(400), 구동체(400)를 이동시키는 스프로켓(110) 및 모터와 같은 구성들이 주행레일(200)에 의해 주행레일(200)의 상단부로부터 완전히 폐쇄된다.
이에 따라, 운반체(300)에 놓여진 상태로 운반되는 음식물 등 외부의 이물질이 주행레일(200)의 하단 및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컨베이어 장치가 외부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해 고장이 나는 것이 방지되고 컨베이어 장치의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없어 컨베이어 장치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관리가 간편하다.

Description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conveyer device of easy cleaning}
본 발명은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행레일의 상단에 구비되는 운반체와 주행레일의 하단에 형성되는 구동체가 서로 완전히 분리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의 내측 및 주행레일의 하단에 형성되는 구동체, 구동체를 이동시키는 스프로켓 및 모터와 같은 구성들이 주행레일에 의해 주행레일의 상단부로부터 완전히 폐쇄됨으로써 운반체에 올려진 상태로 운반되는 음식물 등 외부의 이물질이 주행레일의 하단 및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순환형 음식물 이송장치는 음식물(예컨대, 초밥)을 보기 좋게 담은 접시를 순환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순환형 음식물 이송장치는 조리인이 주방과 손님과의 사이를 이동하지 않고 조리할 수 있고, 손님은 앉아 있으면서 본인 앞으로 이송되는 음식물 중에서 원하는 음식물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초밥 등을 파는 음식점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순환형 음식물 이송장치(회전 초밥 컨베이어, 퇴식 컨베이어 등)는 테이블에 설치되어 다양한 순환궤도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순환궤도 양단에 각각 축설되는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 상기 구동스프로킷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에 연결되는 체인 컨베이어, 상기 체인 컨베이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시를 순환 이송시키는 다수의 반원형 스터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순환형 음식물 이송장치는 구조적으로 구동스프로킷, 모터, 체인 컨베이어 등이 외부로부터 완전히 폐쇄되어 있지 않아 외부의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고장을 유발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없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체인 컨베이어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컨베이어에 손이나 신체 일부가 끼이게 되면 컨베이어의 엄청난 구동력에 의해 심한 신체 손상을 입게 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25027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행레일의 상단에 구비되는 운반체와 주행레일의 하단에 형성되는 구동체가 서로 완전히 분리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의 내측 및 주행레일의 하단에 형성되는 구동체, 구동체를 이동시키는 스프로켓 및 모터와 같은 구성들이 주행레일에 의해 주행레일의 상단부로부터 완전히 폐쇄됨으로써 운반체에 올려진 상태로 운반되는 음식물 등 외부의 이물질이 주행레일의 하단 및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하면 둘레에 결합되는 주행레일(200); 상기 주행레일(200)의 위쪽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운반체 유닛(310)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운반체(300); 및 상기 주행레일(200)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구동체 유닛(410)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구동체(4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주행레일(200)은, 상기 운반체(300)가 결합되는 돌출부(210); 상기 구동체(400)가 결합되는 홈부(220); 및 상기 돌출부(210) 및 홈부(2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장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레일(200)이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완전히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반체(300)를 형성하는 상기 운반체 유닛(310)은, 양측 벽체에 장공형태의 자석수용홈(311a)이 형성되는 운반몸체(311); 상기 운반몸체(3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수단(313); 및 상기 운반몸체(311)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아암(312);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아암(312)의 전단부(312a)에 자석(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반몸체(311)의 상기 자석수용홈(311a)에 형성되는 자석(10) 및 상기 연결아암(312)의 상기 전단부(312a)에 형성되는 자석(10)은 인력에 의해 상기 운반체 유닛(310)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운반체 유닛(310)을 상기 구동체 유닛(410)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
또한, 상기 구동체(400)를 형성하는 상기 구동체 유닛(410)은, 상호 간에 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전단부에 결합공(412a)이 형성되는 연결암(412);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회동연결부(411); 및 상기 회동연결부(411)의 내측 공간에 결합되며 상부에 한 쌍의 자석(10)이 형성되는 지지몸체(41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는 주행레일(200)의 상단에 구비되는 운반체(300)와 주행레일(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구동체(400)가 서로 완전히 분리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내측 및 주행레일(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구동체(400), 구동체(400)를 이동시키는 스프로켓(110) 및 모터와 같은 구성들이 주행레일(200)에 의해 외부로부터 완전히 폐쇄된다.
이에 따라, 운반체(300)에 놓여진 상태로 운반되는 음식물 등 외부의 이물질이 주행레일(200)의 하단 및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컨베이어 장치가 외부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해 고장이 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청결이 유지되며 컨베이어 장치의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없어 컨베이어 장치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관리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운반체(300)가 연속연결구조체이면서 동시에 분리가 가능한 구조이며, 구동체(4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동체 유닛(410)이 운반체(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과 1:1로 자석(10)을 통해 연결되어 이동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구동체 유닛과 운반체 유닛이 1:1로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2, 1:3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연결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에 가해지는 구동력이 분산되어서 1개의 운반체 유닛(310)에는 작은 힘만 작동하며,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 끼었을 때에 손이 다치지 않게되고, 또한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을 연결하는 자석(10)의 인력을 넘어서는 외력이 가해지면 운반체 유닛(310)이 분리되어 이탈되어 버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에 크게 기여한다.
구체적으로, 도 9(a)와 같이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는 운반체가 분리가 안되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구동체가 최전방에 위치한 운반체에만 연결되어 전체 운반체(300)를 이동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견인용 모터 등과 같은 컨베이어 장치의 주구동부가 구동체를 30의 힘으로 이동시키면 구동체와 연결된 최전방의 운반체 뿐만 아니라 후방에 연결된 각각의 운반체에 모두 30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즉, 도 9(a)에 붉은색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는 구동체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운반체의 전방에 연결되어 1개의 일체형 운반체를 30의 힘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동일한 원리이며, 따라서 운반체의 모든 지점에 동일하게 30의 구동력 전체가 가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경우 구동력 전체가 손에 가해지면서 큰 부상을 입게 될 수 있으며,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는 운반체가 서로 분리가 안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위험성이 더욱 가중된다.
반면, 도 9(b)와 같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이 자석(10)에 의해 연결되는 연속연결구조체이면서 동시에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구동체(4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동체 유닛(410)이 운반체(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과 1:1로 자석(10)을 통해 연결되어 이동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견인용 모터 등과 같은 컨베이어 장치의 주구동부가 구동체(400)를 30의 힘으로 이동시키면 각각의 구동체 유닛(410)과 1:1로 연결된 운반체 유닛(310) 각각에 10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구동체 유닛(410)이 자석(10)을 통해 운반체 유닛(310) 각각과 1:1로 연결되어 있어 운반체 유닛(310)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주구동부에 의해 구동체(400) 전체에 30의 힘이 가해지면 각각의 구동체 유닛(410)은 10의 힘으로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을 1:1로 이동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에는 10의 힘의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경우 손에 가해지는 힘이 줄어들게 되어 다치지 않게 되고, 또한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을 연결하는 자석(10) 간의 인력을 넘어서는 외력이 가해지면 운반체 유닛(310)이 분리되어 이탈되어 버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주행레일(200) 중앙부 상단의 돌출부(210)에 운반체 유닛(310)이 설치되어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 내측면이 주행레일(200)의 돌출부(210)의 외측면에 위치하게되고, 주행레일(200)의 중앙부 하단의 홈부(220)에 구동체 유닛(410)이 설치되어 구동체 유닛(410)의 지지몸체(413)에 형성된 한쌍의 자석(10)이 홈부(220)에 인입된다.
이에 따라,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에 형성된 자석(10)과 구동체 유닛(410)의 지지몸체(413)에 형성된 자석(10) 간의 인력이 상호 균형을 이루게 된다. 즉,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좌측 벽체에 형성된 자석(10)과 구동체(400)의 지지몸체(413) 좌측에 형성된 자석(10) 간의 인력 및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우측 벽체에 형성된 자석(10)과 구동체(400)의 지지몸체(413) 우측에 형성된 자석(10) 간의 인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 내측의 공간인 가이드홈(311c)에 주행레일(200)의 돌출부(210)가 인입된 상태에서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의 내측면이 주행레일(200)의 돌출부(210)의 외측면과 항상 좌우 동일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운반체(300)를 이동시킬 때 마찰손실이 최소화되어 동력 손실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에 형성된 자석수용홈(311a)이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자석(10)이 이동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갖는다. 따라서, 하나의 운반체 유닛(310)의 연결아암(312)의 전단부(312a)가 그 앞에 위치한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에 자석(10)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앞에 위치한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에 형성된 자석(10)이 자석수용홈(311a) 내에서 이동하면서 뒤에 위치한 운반체 유닛(310)의 연결아암(312)의 전단부(312a)가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운반체(300)가 곡선 구간을 주행할 때 운반체 유닛(310)들 간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면서 전체 운반체(300)의 좌측 및 우측의 주행경로길이가 동일해져 원활한 곡선주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본체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운반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운반체 유닛의 자석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운반체 유닛들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구동체 유닛들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구동체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운반체 유닛과 구동체 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와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에서 운반체 유닛 및 구동체 유닛에 형성되는 자석의 다양한 배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본체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운반체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운반체 유닛의 자석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운반체 유닛들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구동체 유닛들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구동체 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운반체 유닛과 구동체 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와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에서 운반체 유닛 및 구동체 유닛에 형성되는 자석의 다양한 배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는 대략 사각 형상의 본체(100)의 상하단 둘레에 형성되는 주행레일(200), 주행레일(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구동체(400), 주행레일(2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운반체(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주행레일(200)은 운반체(300) 및 구동체(400)의 이동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체(300)에 삽입되는 돌출부(210)와 구동체(400)가 삽입되는 홈부(220)가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210) 및 홈부(220)의 양측으로 연장부(230)가 형성되어 본체(100)에 주행레일(200)이 결합되면 본체(100)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완전히 폐쇄된다.
운반체(300)는 다수개의 운반체 유닛(310)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체 유닛(310)은 운반몸체(311)와 운반몸체(3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수단(313)과 운반몸체(311)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아암(312)으로 구성된다.
운반몸체(311)는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수단(313)을 떠받쳐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에는 장공형태의 자석수용홈(311a)이 형성되어 자석수용홈(311a)에 자석(10)이 내장된다. 자석수용홈(311a)에 자석(10)이 내장된 후에는 덮개(311b)를 고정하여 자석수용홈(311a)에서 자석(10)이 이탈되지 않게 한다.
자석(10)은 장공형태의 자석수용홈(311a)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자석수용홈(311a)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의 내측에는 가이드홈(311c)이 형성되며, 운반몸체(311)의 가이드홈(311c)이 주행레일(200)의 돌출부(210)에 끼워지는 형태로 운반체 유닛(310)이 주행레일(200)에 설치되어 운반체 유닛(310)이 주행레일(200)의 돌출부(210)를 따라 이동한다.
지지수단(313)은 음식물 등의 이송대상물을 떠받치는 기능을 수행하며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만큼 날개 형상으로 연장되어 큰 크기의 대상물을 떠받칠 수 있다.
연결아암(312)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의 전방으로 연장되는데, 중간에서 절곡된 구조를 가져서 한 쌍의 연결아암(312)의 전단부(312a) 내측면 사이의 거리가 운반몸체(311)의 좌우 벽체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와 거의 일치하게 형성된다. 또한, 연결아암(312)의 전단부(312a) 내측에는 자석(10)이 내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운반체 유닛(310)들이 상호 간에 자석(10)의 인력에 의해 연결되어 운반체(30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운반체 유닛(310)의 연결아암(312)의 전단부(312a)가 그 앞에 위치한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 외측면을 좌우측에서 감싸면 연결아암(312)의 전단부(312a)의 자석(10)과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의 자석수용홈(311a)에 내장된 자석(10)이 인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겨서 2개의 운반체 유닛(310)이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개의 운반체 유닛(310)들이 서로 연결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면 무한궤도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운반체 유닛(310)들이 서로 자석(10)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운반체 유닛(310)들에 자석(10)의 인력을 초과하는 외력이 작용하면 상호 간의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된 운반체 유닛(310)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홈(311c)이 주행레일(200)의 사각의 돌출부(210)에 끼워짐으로써 주행레일(200)에 설치되어 운반체 유닛(310)이 주행레일(200)에서 좌우로 이탈되지 않고 주행레일(200)의 돌출부(210)를 따라 이동한다.
한편, 운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에 형성된 자석수용홈(311a)이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자석(10)이 이동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갖기 때문에 하나의 운반체 유닛(310)의 연결아암(312)의 전단부(312a)가 그 앞에 위치한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에 자석(10)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앞에 위치한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에 형성된 자석(10)이 자석수용홈(311a) 내에서 이동하면서 뒤에 위치한 운반체 유닛(310)의 연결아암(312)의 전단부(312a)가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운반체(300)가 곡선 구간을 주행할 때 운반체 유닛(310)들 간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면서 전체 운반체(300)의 좌측 및 우측의 주행경로길이가 동일해져 원활한 곡선주행이 가능하다.
구동체(400)는 다수개의 구동체 유닛(410)들이 상호 연결되어 폐곡선으로 된 무한궤도를 형성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체 유닛(410)은 한 쌍의 연결암(412)과 회동연결부(4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연결암(412)은 상호 간에 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고 각각의 연결암(412)의 전단부에는 결합공(412a)이 형성된다.
회동연결부(411)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며, 내측 공간에는 한 쌍의 자석(10)이 형성된 지지몸체(413)가 결합된다. 즉, 회동연결부(411)의 내측 공간으로 지지몸체(413)의 하단부가 인입되는 방식으로 지지몸체(413)가 회동연결부(411)에 결합되며, 결합이 완료되면 지지몸체(413)의 한 쌍의 자석(10)이 회동연결부(411)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회동연결부(411)의 대향하는 양측에는 각각 장공(411a)이 형성되며, 지지몸체(413)의 하단부에는 관통공(413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구동체 유닛(410)의 한 쌍의 연결암(412)의 전단부 결합공(412a)이 다른 구동체 유닛(410)의 회동연결부(411)의 양측 장공(411a)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연결핀(20)을 결합하면, 연결핀(20)이 연결암(412) 전단부의 일측 결합공(412a), 회동연결부(411)의 일측 장공(411a), 지지몸체(413) 하단의 관통공(413a), 회동연결부(411)의 타측 장공(411a), 연결암(412) 전단부의 타측 결합공(412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결합됨으로써 2개의 구동체 유닛(410)이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개의 구동체 유닛(410)들이 서로 연결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면 무한궤도 형태의 구동체(400)가 형성되며, 구동체(400)는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견인용 모터 등의 주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스프로켓(110)에 장착되어 스프로켓(11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에 의해 구동체(400)가 곡선 구간을 주행할 때 앞쪽에 위치한 구동체 유닛(410)이 회동하면 한 쌍의 아암에 결합된 연결핀(20)이 뒤쪽에 위치한 구동체 유닛(410)의 회동연결부(411)의 장공(411a)에서 길이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결과 뒤쪽에 위치한 구동체 유닛(410)의 지지몸체(413)가 회동연결부(411)의 내부 공간에서 회동한다.
따라서, 인접한 2개의 구동체 유닛(410)은 상호 간에 수평선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몸체(413)의 하단부 관통공(413a)에 연결핀(20)이 힌지 결합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인접한 2개의 구동체 유닛(410)은 수평선 상에서 상하방향으로도 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체(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동체 유닛(410)의 지지몸체(413)의 상단으로 돌출된 한 쌍의 자석(10)이 주행레일(200)의 홈부(220)에 삽입됨으로써 주행레일(200)에 설치되며, 구동체 유닛(410)의 지지몸체(413)에 형성된 한 쌍의 자석(10)에서 발생하는 자력이 주행레일(200)의 홈부(220)의 상단면을 거쳐서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의 자석수용홈(311a)에 내장된 자석(10)으로 전해진다.
따라서, 구동체 유닛(410)이 움직이면 주행레일(200) 상단의 돌출부(210)에 설치된 운반체 유닛(310)이 구동체 유닛(410)의 자력에 끌려서 그에 대응되게 움직이며,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구동체 유닛(410)이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과 1:1로 자석(10)을 통해 연결되어 구동체 유닛(410) 1개가 운반체 유닛(310) 1개를 자석(10)의 인력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전체 운반체(300)를 이동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구동체 유닛과 운반체 유닛이 1:1로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2, 1:3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연결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구동체(400)가 견인용 모터 등의 주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된 다수의 스프로켓(110)에 의해 이동하게 되면, 주행레일(200)의 위쪽에 있는 운반체(300)가 자석(10)에 의해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서 주행레일(200) 위를 이동하게 된다.
이때, 구동체(40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구동체 유닛(410)들은 서로 간에 연결핀(20)을 통해 고정된 연결 구조를 가져서 구동체 유닛(410)들은 서로 분리되지 않지만, 운반체(30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운반체 유닛(310)들은 서로 간에 자석(10)의 인력에 의한 분리 가능한 연결을 하고 있어서 특정 운반체 유닛(310)에 인접한 운반체 유닛(310)과의 자력을 넘어서는 외력이 가해지면 해당 운반체 유닛(310)은 운반체(300)에서 분리되어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운반체(300)의 특정 운반체 유닛(310)에 사용자의 손이나 신체가 잘못 끼이는 경우 그 해당 운반체 유닛(310)이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체(4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동체 유닛(410)이 운반체(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과 1:1로 자석(10)을 통해 연결되어 이동시키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에 가해지는 구동력이 분산되어서 1개의 운반체 유닛(310)에는 작은 힘만 작동하며,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나 신체가 잘못 끼었을 때에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이 보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운반체(300)와 구동체(400)가 주행레일(200)을 통해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주행레일(200)에는 어떠한 틈새나 구멍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운반체(300)에서 음식물을 이송하다가 접시에서 음식물이 떨어지더라도 음식물은 주행레일(200)의 위쪽에만 머무르게 되며 주행레일(200) 아래쪽으로는 침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떨어진 음식물에 의해 주행레일(200) 아래쪽에 위치한 부품들이 오염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본체(100) 내측 부품들의 오염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주행레일(200) 위쪽만을 세척, 청소하면 되므로 청소가 매우 간편해진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이하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는 주행레일(200)의 상단에 구비되는 운반체(300)와 주행레일(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구동체(400)가 서로 완전히 분리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내측 및 주행레일(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구동체(400), 구동체(400)를 이동시키는 스프로켓(110) 및 모터와 같은 구성들이 주행레일(200)에 의해 외부로부터 완전히 폐쇄된다.
이에 따라, 운반체(300)에 놓여진 상태로 운반되는 음식물 등 외부의 이물질이 주행레일(200)의 하단 및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컨베이어 장치가 외부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해 고장이 나는 것이 방지되고 컨베이어 장치의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없어 컨베이어 장치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관리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운반체(300)가 연속연결구조체이면서 동시에 분리가 가능한 구조이며, 구동체(4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동체 유닛(410)이 운반체(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과 1:1로 자석(10)을 통해 연결되어 이동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구동체 유닛과 운반체 유닛이 1:1로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2, 1:3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연결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에 가해지는 구동력이 분산되어서 1개의 운반체 유닛(310)에는 작은 힘만 작동하며,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 끼었을 때에 손이 다치지 않게되고, 또한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을 연결하는 자석(10)의 인력을 넘어서는 외력이 가해지면 운반체 유닛(310)이 분리되어 이탈되어 버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에 크게 기여한다.
구체적으로, 도 9(a)와 같이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는 운반체가 분리가 안되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구동체가 최전방에 위치한 운반체에만 연결되어 전체 운반체(300)를 이동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견인용 모터 등과 같은 컨베이어 장치의 주구동부가 구동체를 30의 힘으로 이동시키면 구동체와 연결된 최전방의 운반체 뿐만 아니라 후방에 연결된 각각의 운반체에 모두 30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즉, 도 9(a)에 붉은색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는 구동체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운반체의 전방에 연결되어 1개의 일체형 운반체를 30의 힘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동일한 원리이며, 따라서 운반체의 모든 지점에 동일하게 30의 구동력 전체가 가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경우 구동력 전체가 손에 가해지면서 큰 부상을 입게 될 수 있으며,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는 운반체가 서로 분리가 안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위험성이 더욱 가중된다.
반면, 도 9(b)와 같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이 자석(10)에 의해 연결되는 연속연결구조체이면서 동시에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구동체(4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동체 유닛(410)이 운반체(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과 1:1로 자석(10)을 통해 연결되어 이동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견인용 모터 등과 같은 컨베이어 장치의 주구동부가 구동체(400)를 30의 힘으로 이동시키면 각각의 구동체 유닛(410)과 1:1로 연결된 운반체 유닛(310) 각각에 10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구동체 유닛(410)이 자석(10)을 통해 운반체 유닛(310) 각각과 1:1로 연결되어 있어 운반체 유닛(310)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주구동부에 의해 구동체(400) 전체에 30의 힘이 가해지면 각각의 구동체 유닛(410)은 10의 힘으로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을 1:1로 이동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에는 10의 힘의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경우 손에 가해지는 힘이 줄어들게 되어 다치지 않게 되고, 또한 각각의 운반체 유닛(310)을 연결하는 자석(10) 간의 인력을 넘어서는 외력이 가해지면 운반체 유닛(310)이 분리되어 이탈되어 버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주행레일(200) 중앙부 상단의 돌출부(210)에 운반체 유닛(310)이 설치되어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 내측면이 주행레일(200)의 돌출부(210)의 외측면에 위치하게되고, 주행레일(200)의 중앙부 하단의 홈부(220)에 구동체 유닛(410)이 설치되어 구동체 유닛(410)의 지지몸체(413)에 형성된 한쌍의 자석(10)이 홈부(220)에 인입된다.
이에 따라,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에 형성된 자석(10)과 구동체 유닛(410)의 지지몸체(413)에 형성된 자석(10) 간의 인력이 상호 균형을 이루게 된다. 즉,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좌측 벽체에 형성된 자석(10)과 구동체(400)의 지지몸체(413) 좌측에 형성된 자석(10) 간의 인력 및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우측 벽체에 형성된 자석(10)과 구동체(400)의 지지몸체(413) 우측에 형성된 자석(10) 간의 인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 내측의 공간인 가이드홈(311c)에 주행레일(200)의 돌출부(210)가 인입된 상태에서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의 내측면이 주행레일(200)의 돌출부(210)의 외측면과 항상 좌우 동일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운반체(300)를 이동시킬 때 마찰손실이 최소화되어 동력 손실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에 형성된 자석수용홈(311a)이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자석(10)이 이동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갖는다. 따라서, 하나의 운반체 유닛(310)의 연결아암(312)의 전단부(312a)가 그 앞에 위치한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에 자석(10)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앞에 위치한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에 형성된 자석(10)이 자석수용홈(311a) 내에서 이동하면서 뒤에 위치한 운반체 유닛(310)의 연결아암(312)의 전단부(312a)가 운반몸체(311)의 양측 벽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운반체(300)가 곡선 구간을 주행할 때 운반체 유닛(310)들 간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면서 전체 운반체(300)의 좌측 및 우측의 주행경로길이가 동일해져 원활한 곡선주행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에서 자석(10)의 배치는 자석(10) 간의 힘(인력)의 균형을 이루는 형태의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설명에서는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에 형성된 자석(10)과 구동체 유닛(410)의 지지몸체(413)의 양측 벽체에 형성된 자석(10)이 주행레일(200)을 기준으로 도 10(a)와 같이 배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도 10(b)와 같이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한다.
즉, 주행레일(200)의 돌출부(210)가 하단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단부에 홈부(220)가 형성되고,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벽부가 서로 이격되지 않고 이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N극과 S극을 갖는 2개의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체 유닛(410)의 지지몸체(410)가 주행레일(200)의 돌출부(210)의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주행레일의 돌출부(210)의 양측면에 자석(10)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c)와 같이 주행레일(200)의 돌출부(210)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벽부가 대각으로 배치되어 내측에 형성된 자석(10)이 사다리꼴 형태의 주행레일(200)의 돌출부(210)의 양측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구동체 유닛(410)의 지지몸체(410)에도 자석(10)이 대각으로 배치되어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에 형성된 자석(10)과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 하단에 이송바퀴(314)가 형성되어 운반체 유닛(310)이 이동되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운반체 유닛(310)과 주행레일(200) 간의 마찰력을 대폭 낮출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자석의 배치 이외에도 운반체 유닛(310)의 운반몸체(311)의 양측벽부가 각각 앞뒤로 2개씩 형성되어 내부에 자석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운반체 유닛(310)에 좌우 2개씩 총 4개의 자석(1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자석(10) 배치 구조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자석(10) 간의 힘(인력)의 균형을 이루는 형태의 다양한 구조로 운반체 유닛(310) 및 구동체 유닛(410)의 자석(10)이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자석
20 : 연결핀
100 : 본체
110 : 스프로켓
200 : 주행레일
210 : 돌출부
220 : 홈부
230 : 연장부
300 : 운반체
310 : 운반체 유닛
311 : 운반몸체
311a : 자석수용홈
311b : 덮개
311c : 가이드홈
312 : 연결아암
312a : 전단부
313 : 지지수단
400 : 구동체
410 : 구동체 유닛
411 : 회동연결부
411a : 장공
412 : 연결암
412a : 결합홈
413 : 지지몸체
413a : 관통공

Claims (5)

  1.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하면 둘레에 결합되는 주행레일(200);
    상기 주행레일(200)의 위쪽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운반체 유닛(310)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운반체(300); 및
    상기 주행레일(200)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구동체 유닛(410)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구동체(4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200)은,
    상기 운반체(300)가 결합되는 돌출부(210);
    상기 구동체(400)가 결합되는 홈부(220); 및
    상기 돌출부(210) 및 홈부(2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장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레일(200)이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완전히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체(300)를 형성하는 상기 운반체 유닛(310)은,
    양측 벽체에 장공형태의 자석수용홈(311a)이 형성되는 운반몸체(311);
    상기 운반몸체(3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수단(313); 및
    상기 운반몸체(311)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아암(312);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아암(312)의 전단부(312a)에 자석(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몸체(311)의 상기 자석수용홈(311a)에 형성되는 자석(10) 및 상기 연결아암(312)의 상기 전단부(312a)에 형성되는 자석(10)은 인력에 의해 상기 운반체 유닛(310)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운반체 유닛(310)을 상기 구동체 유닛(410)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400)를 형성하는 상기 구동체 유닛(410)은,
    상호 간에 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전단부에 결합공(412a)이 형성되는 연결암(412);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회동연결부(411); 및
    상기 회동연결부(411)의 내측 공간에 결합되며 상부에 한 쌍의 자석(10)이 형성되는 지지몸체(41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
KR1020230059649A 2022-11-23 2023-05-09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 KR202400763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363 2022-11-23
KR20220158363 2022-1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6353A true KR20240076353A (ko) 2024-05-30

Family

ID=9127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649A KR20240076353A (ko) 2022-11-23 2023-05-09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63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6901B2 (en) Snap-on side guards
KR101003606B1 (ko) 적재물의 수송 및 제어된 하역을 위한 기구
KR101613597B1 (ko) 음식물 반송 장치
US20120031741A1 (en) Food and drink conveying device
KR20020021357A (ko) 이송 설비
JP3616625B2 (ja) コンベヤチェーン
US4184588A (en) Product transport conveyor system
JPH05278828A (ja) チェーンコンベヤー用のベンドセグメント
KR20240076353A (ko) 청소가 용이한 컨베이어 장치
US8191702B2 (en) Article lifting device
KR20240076354A (ko) 안전성이 증가된 컨베이어 장치
EP0671349A1 (en) Sorting device for discharging goods
US6119880A (en) Shelf carousel
US20070034486A1 (en) Low cost flight attachment for modular belts
JPH11286306A (ja) 製品を運搬するコンベヤマットおよびシステム
US11802002B2 (en) Modular conveyor belt having fluid guiding structures
KR102122481B1 (ko) 체인 컨베이어
KR102122485B1 (ko) 체인 컨베이어
JP7161524B2 (ja) 受動ガイドレールを有するモノレールトレイコンベヤ
CA1197487A (en) Device for moving conveyor containers
KR102148798B1 (ko) 순환형 이송장치
JP2017075011A (ja) バケットコンベヤ
US920602A (en) Elevating device.
JP2012121635A (ja) トレー降ろし装置、トレー載せ装置、およびこれらトレー降ろし装置、トレー載せ装置において使用するトレー
WO2024075652A1 (ja) コンベヤ用ガイド、並びに、搬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