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2179A - 감미료 제형 - Google Patents

감미료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2179A
KR20240072179A KR1020247011773A KR20247011773A KR20240072179A KR 20240072179 A KR20240072179 A KR 20240072179A KR 1020247011773 A KR1020247011773 A KR 1020247011773A KR 20247011773 A KR20247011773 A KR 20247011773A KR 20240072179 A KR20240072179 A KR 20240072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tion
edible
sweetener
protei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시비온
리론 비탄
나마 라하브
알렉산더 트라흐텐베르크
모란 파탈
Original Assignee
인크레도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IB2022/050065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149072A1/en
Priority claimed from PCT/IB2022/057310 external-priority patent/WO2023012741A1/en
Application filed by 인크레도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인크레도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72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21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4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06Products with modified nutritive value, e.g. with modified starch content
    • A21D13/062Products with modified nutritive value, e.g. with modified starch content with modified sugar content; Sugar-fre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21D2/18Carbohydrates
    • A21D2/181Sugars or 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6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가식성 제형 및 이의 생산 방법으로서, 제형은 (a) 감미료 탄수화물 및 감미료 폴리올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감미료 입자; 및 (b) 감미료 입자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백질을 포함하고, 제1 단백질은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되; 감미료 입자 내 감미료에 대한 제1 단백질의 중량 대 중량 비율은 0.02% 내지 0.7% 범위 내이고; 감미료 입자 내 감미료는 우세하게 결정질이다.

Description

감미료 제형
본 출원은 2021년 10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63/253,133호, 2021년 10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63/262,172호, 2022년 3월 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63/316,015호, 2022년 1월 5일자로 출원된 PCT 특허 출원 PCT/IB2022/050065, 및 2022년 8월 5일자로 출원된 PCT 특허 출원 PCT/IB2022/057310을 우선권으로 하며, 이들 출원은 마치 본 명세서에 전부 제시된 것처럼 모든 목적을 위하여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발명의 분야 및 배경
본 발명은 감미료 제형, 및 보다 구체적으로 감미료 입자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edible formulatio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a) 감미료 탄수화물 및 감미료 폴리올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감미료 입자; 및 (b) 감미료 입자 내에 배치된 제1 단백질로서,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이 제공되며; 여기서 감미료 입자 내 감미료에 대한 제1 단백질의 중량-대-중량 비율은 0.02% 내지 0.7% 범위 내이고; 감미료 입자 내 감미료는 우세하게 결정질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 따르면, 가식성 제형을 함유하고; 추가적으로 (b) 지방; (c) 선택적으로, 전분; 및 (d) 선택적으로, 가식성 충전제를 함유하는, 식품 제형이 제공되며; 여기서 식품 제형 내 상기 제1 단백질의 중량 함량은 건조 기준으로, 0.01% 내지 0.5% 범위 내이다.
추가 양상은 이하에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은 개선된 감미료 제형(또는 "가식성" 제형) 및 이러한 개선된 감미료 제형을 제조하고 이를 식품에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이러한 감미료 제형은 1종 이상의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감미료 제형, 또는 이 제형 내의 식물성 단백질은 임의의 다양한 점막접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식품에 다양한 단백질의 존재가 불리하게는 식품의 인지된 단맛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론에 얽매이는 것을 원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이것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떫은 맛과 같은 불쾌한 감각 인식에 대한 그러한 식물성 단백질의 기여 때문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결과적으로, 식품 단맛, 식품 맛, 식품 식감 등에 대한 식물성 단백질의 해로운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감미료(예컨대, 수크로스 또는 프럭토스)의 추가 양이 식품에 도입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는 결국 질감 및 베이킹 특성을 포함한 다양한 식품 특성을 손상시키거나 변화시킬 수 있어, 식품의 제형 및 이의 제법에 상당한 변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현상은 다양한 식물성 단백질 제형에 비해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의 경우에 더 심각할 수 있다. 특히, 완두콩 단백질은 식감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식물성 단백질의 일반적인 예로는 쌀, 완두콩, 및 병아리콩 단백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식품 내 단백질의 위치가 적어도 식품의 단맛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할 수 있음을 추가로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식물성 단백질과 같은 단백질이 감미료 입자 내에 혼입된 경우, 단백질이 식품 단맛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실제로,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특정 조건 하에서(예를 들어, 단백질/식물성 단백질의 특정 농도 범위 내에서), 식품 내에 이러한 단백질/식물성 단백질의 존재가 실제로 식품 단맛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론에 의해 제한되기를 원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혀 및 구강 내 점막 또는 점액 막에 대한 단백질의 점막접착이 감미료 탄수화물 및 감미료 폴리올의 보유에 기여하여 단맛의 감각을 향상시키고 확대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현상은 단백질/식물성 단백질이 감미료 입자 내에 혼입될 때 발생하거나 크게 향상되어, 뮤신 함유 점막과 감미료 입자 내 단백질 사이의 점막 접착이 감미료 입자를 구강 점막에 고정시키거나, 적어도 구강 점막에 대한 감미료 입자 사이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이는 예를 들어 혀의 단맛 센서/수용기 부위의 활성화 증가로 해석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감미료 입자 내에 배치된 특정한 낮은 농도 범위의 단백질, 예컨대 식물성 단백질 내에서 단백질의 증가된 점막 접착이 인지된 단맛을 비롯한, 맛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의 다양한 특성을 상쇄하는 것 이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유해한 특성으로는 식품의 점도 증가(특히 용해도 동역학을 감소시키고 단맛 센서/수용기 부위로 감미료 분자의 수송을 방해함), 구강 단맛 센서/수용기 부위를 덮고 차단하는 것, 및 단백질/식물성 단백질의 비-단맛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해한 특성을 상쇄하는 것 이상을 통해, 감미료 입자 내에 이들 단백질의 존재는 식품에 상당히 향상된 단맛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감미료의 점막접착성의 적당한 증가가 감미료 또는 이러한 감미료를 활용하는 식품의 단맛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감미료의 점막접착성의 다소 높은 증가는 감미료 또는 이러한 감미료를 활용하는 식품의 단맛을 반직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점막접착제" 등은 점막접착을 통해 인간 혀의 점막 표면의 뮤신층에 부착하기 위해 친화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감미료 탄수화물"은 탄수화물이 인체 내에서 처리되어 에너지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모이어티를 갖는 가식성 감미료를 지칭한다. 이 정의는 에너지 값이 적어도 0.1 kcal/g, 더 전형적으로는 적어도 0.2 kcal/g, 더 전형적으로는 적어도 0.5 kcal/g, 더욱 더 전형적으로는 적어도 1.0 kcal/g인 감미료 탄수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정의는 특히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감미료 탄수화물"이라는 용어는 특히 수크랄로스, 아스파탐 및 아세설팜-K와 같은 고강도 감미료를 제외하는 것을 의미한다.
"감미료"라는 용어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감미료 탄수화물 및 감미료 폴리올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감미료 탄수화물은 전형적인 인간 소비자가 섭취하는 경우 단 맛을 생성한다. 중량 기준으로 수크로스를 기준 1로 취한 정규화된 단맛 척도에서, 말토스가 약 0.31이고, 락토스가 약 0.22라면, "감미료 탄수화물"이라는 용어는 락토스, 및 임의의 당 또는 이 정규화된 단맛 척도에서 0.15 내지 2.5 범위 내의 단맛을 갖는 기타 영양성 탄수화물-함유 감미료에 적용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당 또는 기타 영양성 탄수화물-함유 감미료에 대한 최소 단맛은 라피노스(상기 언급된 등급에서 0.15의 단맛을 가짐)의 단맛일 것이라고 기술될 수 있다. 더욱 전형적으로, 이러한 감미료 탄수화물은 이 정규화된 단맛 척도에서 적어도 0.2, 적어도 0.23, 적어도 0.25, 적어도 0.27의 단맛, 또는 0.23 내지 2.5, 0.25 내지 2.5, 0.35 내지 2,5. 0.45 내지 2.5, 0.25 내지 1.8, 0.25 내지 1.5, 0.25 내지 1.2, 0.25 내지 1.05, 0.25 내지 1.0, 0.45 내지 1.7, 0.15 내지 1.7 또는 0.35 내지 1.5 범위 내의 단맛을 갖는다.
특히, 문헌에 보고된 프럭토스의 상대적 단맛은 적게는 0.91, 많게는 약 1.7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감미료 탄수화물"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이의 보고된 상대적 단맛 값에 상관없이 프럭토스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정규화된 단맛 척도"는 중량 기준으로 수크로스가 1.00의 값으로 할당된 상대적 단맛 척도를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규화된 단맛 척도는 문헌[Moscowitz, H. "Ratio Scales of Sugar Sweetness"; Perception & Psychophysics, 1970, Vol. 7(5)]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결정되며, 이 문헌에서 당 및 폴리올/당 알코올에 대한 멱함수는 이 문헌의 표 3에 개시되고 이하에 제공된 바와 같이 1.3의 지수(n=1.3)를 갖는다.
감미료 탄수화물은 단당류 또는 이당류일 수 있다. 감미료 탄수화물의 예로는 수크로스, 글루코스, 말토스, 프럭토스, 락토스, 또는 감미료 탄수화물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감미료 탄수화물은 하나 이상의 감미료 폴리올과 조합될 수 있다. 감미료 탄수화물은 자연 발생적 또는 합성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감미료 폴리올"은 전형적인 인간 소비자가 섭취할 때 단 맛을 생성하는 소모성 폴리올을 지칭한다. 감미료 폴리올의 비제한적 예로는 자일리톨, 말티톨,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트레이톨, 아라비톨, 수소화된 전분 가수분해물(HSH), 아이소말트, 락티톨, 만니톨 또는 갈락티톨(둘시톨)을 포함한다. 많은 경우에 폴리올은 당 알코올이다. 당 알코올은 산이나 알데하이드를 알코올로 환원시키는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변형을 통한) 임의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탄수화물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다른 경우, 모 탄수화물로부터 감미료 폴리올이 합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감미료 폴리올은 생물학적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용어 "감미료 폴리올"은 전술한 정규화된 단맛 척도에서 0.15 내지 2.5 범위의 단맛을 갖는 임의의 폴리올/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 전형적으로, 이러한 감미료 폴리올은 이 정규화된 단맛 척도에서 0.15 내지 1.5, 0.15 내지 1.0, 0.15 내지 0.8, 0.15 내지 0.7, 0.20 내지 0.7, 0.15 내지 0.6, 또는 0.25 내지 0.6 범위 내의 단맛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형 및 방법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단백질은 다양한 점막접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점막접착은 일반적으로 인간 혀의 점막 표면의 뮤신층에 대한 특정 거대분자의 부착을 지칭할 수 있다. 인간 혀의 점막 표면의 뮤신층에 부착하기 위한 점막접착제의 친화성은 다양한 특성화 방법에 의해 특성화되거나 정량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점막접착" 및 "점막 접착"은 인간 혀의 점막 표면의 뮤신층에 부착하기 위한 제형 또는 특정 거대분자(예를 들어, 다양한 단백질)의 경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점막접착제" 등은 점막접착을 통해 인간 혀의 점막 표면의 뮤신층에 부착하기 위한 친화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제형 및 방법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단백질의 점막접착 특성은 수소 결합 및 정전기적 상호작용과 같은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점막 또는 세포막에 대한 부착을 도울 수 있는 수많은 친수성 기, 예컨대 아민기, 메톡시기, 하이드록실기 등을 가질 수 있다. 점막접착은 얽힘을 비롯한 다양한 물리적 현상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미료 또는 가식성 제형은 특징적으로 높은 결정화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감미료 제형,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감미료 제형을 활용하는 식품 제형 내의 감미료는 우세하게 결정질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결정화도는 70 내지 100% 범위 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결정화도는 80 내지 100% 범위 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결정화도는 90 내지 100% 범위 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결정화도는 95 내지 100% 범위 내이다.
결정화도의 정량 또는 무정형 감미료 대 결정질 감미료의 상대적 양의 정량(예를 들어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됨)은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관련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분석 절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X선 분말 회절(XRPD)
Figure pct00003
등온 미세열량계(IMC)
Figure pct00004
용액 열량측정
Figure pct00005
동적 증기 흡착(DVS)
Figure pct00006
기존 시차 주사 열량계(DSC), 변조 온도 DSC(MTDSC), 고속DSC(hyper-DSC)
Figure pct00007
라만 분광법
Figure pct00008
근적외선 분광법(NIRS)
Figure pct00009
고상 핵자기공명(SS-NMR)
Figure pct00010
역상 기체 크로마토그래피(IGC)
Figure pct00011
밀도(비중) 측정.
고도의 결정질 감미료(감미료 탄수화물 및 감미료 폴리올)는 이들의 무정형 대응물에 비해 감소된 용해도 동역학(예: 물에서)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단맛 강화를 위한 이러한 고도의 결정질 감미료 탄수화물 및 감미료 폴리올의 사용은 반직관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본 발명의 고도의 결정질 단백질 함유 감미료 입자가 인식할 수 있을 만큼 단맛 지각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양한 유형 및 계열의 식물성 단백질이 본 발명의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백질은 구형 단백질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백질은 저장 단백질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장 단백질은 글로불린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장 단백질은 알부민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장 단백질은 종자 저장 단백질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장 단백질은 프롤라민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장 단백질은 글루텔린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장 단백질은 2S 알부민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글로불린 단백질은 7S 비실린(vicilin)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글로불린 단백질은 레구민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글로불린 단백질은 15S 글로불린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글로불린 단백질은 8S 콘비실린(convicilin)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글로불린 단백질은 γ-콘글루틴(conglutin)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글로불린 단백질은 β-콘글루틴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단백질은 식물성 단백질 농축물,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 및 부분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형태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단백질은 이하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필수(integral) 단백질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단백질은 주로 또는 우세하게 필수 단백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단백질은 본질적으로 필수 단백질로 이루어진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식물성 단백질은 쌀 단백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식물성 단백질은 완두콩 단백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식물성 단백질은 병아리콩 단백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식물성 단백질은 루핀(lupin) 단백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식물성 단백질은 녹두 단백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식물성 단백질은 제인(zein) 단백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식물성 단백질은 대두 단백질을 포함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단백질이 종종 다양한 매질에서의 용해도 및 이들의 침강 계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단백질 또는 단백질 계열의 "스베드버그 단위(Svedberg unit)"는 해당 단백질 또는 단백질 계열의 침강 계수와 관련이 있다. 단백질 또는 단백질 계열의 "스베드버그 단위"는 기호 S로 표시된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용어 "스베드버그 단위" 등은 단백질 분류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사용된다.
오스본 분별(Osborne fractionation)은 추출성 및 용해성에 기초한 식물 단백질의 분류에 관한 것이다. 식물 단백질은 물, 소금 용액, 알코올/물 혼합물, 및 알칼리 용액에서의 각각의 용해도에 기초하여 알부민, 글로불린, 프롤라민 및 글루텔린인 4가지 부류로 분류될 수 있다.
알부민 부류 및 계열의 알부민은 일반적으로 열에 의해 응고될 수 있는 수용성(오스본 분별 기준)의 구형 단백질로서 특징지어진다. 식물에서 알부민은 침강 계수에 기초하여 전형적으로 2S 저장 알부민으로 존재한다. 2S 알부민은 주로 콩과 식물 및 대두 단백질에서 발견된다. 저장 단백질인 알부민은 발달 중인 종자의 단백질체에 축적되며 식물이 후속 발아 및 묘목 성장 동안 영양분(아미노산 및 탄소 골격)의 공급원으로 활용된다. 많은 식물 종으로부터의 2S 알부민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전형적으로 황 함유 수용성 아미노산 함량이 높다.
글로불린은 전형적으로 알부민보다 더 높은 분자량을 갖는 구형 저장 단백질의 부류이다. 글로불린은 묽은 소금 용액에 용해되지만 물에는 실질적으로 불용성이다. 글로불린은 완두콩, 병아리콩, 루핀콩 및 대두와 같은 다양한 콩과 식물 중에서 주요 또는 우세한 단백질일 수 있다. 이들은 쌍자엽 식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떡잎식물, 겉씨식물, 및 양치식물에도 존재한다. 침강 계수에 기초하여 식물 글로불린은 7-8S, 11-12S 및 15S 계열로 분류될 수 있다. 7S 글로불린은 일반적으로 비실린형 글로불린(또는 "비실린 계열")으로 지칭되고, 8S는 콘비실린형 글로불린(또는 "콘비실린 계열")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11-12S 글로불린은 레구민형 글로불린(또는 "레구민 계열")로 지칭될 수 있다.
프롤라민 부류 및 계열, 뿐만 아니라 글루텔린 부류 및 계열의 단백질은 제인 및 쌀과 같은 풀의 종자에서 주로 발견되는 저장 단백질이다. 프롤라민은 에탄올/물에 용해성이며 물에는 실질적으로 불용성일 수 있다. 때때로 프롤라민인 것으로 간주되는 글루텔린은 쌀에서 가장 풍부한 저장 단백질이며 콩과 식물 계열과 상동성을 공유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형적으로 배유에 축적되는 글루텔린은 식염수 용액에 실질적으로 불용성일 수 있지만 묽은 산성 및 알칼리성 배지에는 용해성일 수 있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이러한 용어(예: "글로불린 부류", "비실린", "콘비실린 계열", "레구민 계열" 등)는 단백질 분류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대로 사용되어야 한다.
표 1은 다양한 식물 단백질 부류 및 계열의 일반적인 분류를 다양한 일반 식물 산물의 단백질 분포(중량 기준)에 대한 다양한 정량적 예와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제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품 제형에서 당의 감소된 양을 보충하기 위하여 가식성 충전제 물질이 전형적으로 활용된다. 전형적으로, 가식성 충전제는 식이 섬유 또는 가용성 식이 섬유와 같은 가용성 섬유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식성 충전제는 프럭탄과 같은 다당류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럭탄 중 이눌린이 전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식성 충전제는 프럭토올리고당과 같은 올리고당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용성 섬유는 저항성 말토덱스트린, 예를 들어 가용성 옥수수 섬유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용성 섬유는 폴리덱스트로스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감미료 제형 또는 가식성 제형에는 전형적으로 실리카와 같은 규소 함유 종이 없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감미료 제형 또는 가식성 제형 내의 규소의 농도는 최대 1%, 최대 0.5%, 최대 0.2%, 최대 0.1%, 최대 0.05%, 최대 0.02%, 최대 0.01%, 최대 0.005% 또는 최대 0.003%이다. 전형적으로, 감미료 제형 또는 가식성 제형 내 규소의 농도는 최대 0.002%, 최대 0.001%이거나, 또는 제형에는 규소가 없다.
실시예
이제 위의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을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예시하는 다음 실시예에 대해 언급한다.
장비
재료
다양한 일반 재료(당, 폴리올 등)는 이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
실시예 1: 단백질-감미료 분산액의 생산
단백질 및 탄수화물 감미료 분말을 혼합하거나 블렌딩한다. 생성된 분말 혼합물을 물에 점차적으로 첨가한다. 필요한 단백질 양은 탄수화물 감미료에 대한 비율(중량-중량)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탄수화물 감미료에 대해 단백질 0.1%를 함유한 약 1kg(전형적으로 65°Bx)의 시럽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단백질 0.65g을 탄수화물 감미료 650g과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전형적으로 실온에서 물 350g에 점차적으로(일정하게 혼합하면서) 첨가한다. 혼합 용기는 오버헤드 교반기를 사용하여 전형적으로 50 내지 800 RPM으로 적어도 45분 동안, 또는 고전단 믹서(IKA의 경우 최대 10,000 RPM; Silverson의 경우 최대 5,000 RPM)를 사용하여 적어도 7분 동안 단백질이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교반한다.
분산이 더 어려운 단백질인 경우에는 물 분획을 예열할 수 있다.
실시예 2: 단백질-감미료 분산액의 생산 - 완전 분산액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 감미료 및/또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전형적으로 당 알코올) 감미료를 함유한 농축 감미료 시럽은 단백질을 첨가하기 전에 실온에서부터 일부 경우에는 최대 80℃까지의 온도에서 제조한다. 디폴트 온도는 수크로스 및 임의의 다른 이당류의 경우에는 60℃이고, 다른 감미료 종의 경우에는 70℃이다. 대부분의 탄수화물과 폴리올 감미료의 경우 농도는 약 65 wt%이다. 용해도가 낮은 일부 감미료는 완전히 용해되기 위해 더 높은 물 농도 및/또는 온도를 필요로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백질은 일정한 혼합 하에 점진적으로 또는 순간적으로 첨가한다. 단백질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 용기는 오버헤드 교반기를 사용하여, 전형적으로 50 내지 800 RPM으로 적어도 45분 동안 계속 교반하거나, 또는 고전단 믹서(IKA의 경우 최대 10,000 RPM; Silverson의 경우 최대 5,000 RPM)를 사용하여 적어도 7분 동안 단백질이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교반한다.
필요한 경우, 단백질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시럽은 가열한다.
실시예 3: 단백질-감미료 분산액의 생산 - 완전 분산액
단백질은 먼저 물에 분산된다. 일부 경우에, 분산은 제조업체의 지시에 따라 가장 잘 수행될 수 있다(예: 뜨거운 물에 점진적으로 분산). 단백질이 완전히 분산되면 감미료(탄수화물 또는 폴리올)는 일정한 혼합 하에 실온에서부터 일부 경우에는 최대 80℃까지의 온도에서 점진적으로 도입된다. 디폴트 온도는 수크로스 및 임의의 다른 이당류의 경우에는 60℃이고, 다른 감미료 종의 경우에는 70℃이다. 혼합은 오버헤드 교반기를 사용하여(50 내지 800 RPM으로 적어도 45분 동안), 또는 고전단 믹서(IKA를 사용하는 경우 최대 10,000 RPM에서 적어도 7분; Silverson을 사용하는 경우 최대 5,000 RPM에서 적어도 7분 동안)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약 65%의 탄수화물 감미료와 탄수화물 감미료에 대해 0.1% 단백질을 함유하는 약 1kg의 탄수화물 또는 폴리올 감미료 시럽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0.65g의 단백질을 350g의 물에 분산시킨다. 이어서, 탄수화물 감미료 650g을 단백질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시럽을 생성한다.
실시예 4: 단백질-감미료 분산액의 생산 -- 부분 분산액
단백질의 부분 분산은 의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농축된 감미료 시럽(탄수화물 또는 폴리올)은 실시예 2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단백질을 첨가하기 전에 제조한다. 그런 다음 단백질을 혼합하지 않거나 부드럽게 혼합하면서, 전형적으로 최대 약 1분 동안 순간적인 또는 실질적으로 순간적인 방식으로 첨가하여 작은 집합체를 의도적으로 생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분 분산된 단백질을 함유하는 농축 시럽이 생산된다.
이 "부분 분산" 절차에서는 분산을 약화시키기 위해 단백질 제조업체의 분산 지침을 벗어나는 것이 가장 좋다.
실시예 5: 농축 시럽으로부터 건조 분말의 생산
농축된 시럽(예를 들어, 상기 제공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생산된 것)을 진공 건조기(예를 들어, Stephan)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긴다. 용기는 가열(전형적으로 60℃ 내지 70℃)하고, 진공(전형적으로 50 내지 300mbar) 하에서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혼합하여, 전형적으로 낮은 증발 속도로 물을 증발시켜 주로 또는 실질적으로 100% 결정질 생성물을 생산한다. 선택적으로, 분말은 몇 시간 또는 밤새 추가 건조를 위해 65℃로 작동하는 오븐으로 옮길 수 있다.
실시예 6: 단백질-감미료 분말의 크기 감소
전형적으로 분말 형태(예를 들어, 실시예 5에서 생산된 것)인 단백질-감미료 입자는 선택적으로 크기 감소를 겪을 수 있다. 단백질-감미료 분말은 농축물 내의 특정 단백질(들)에 따라 전형적으로 75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 범위 내인 D50을 갖는 미세 분말을 생성하도록 분쇄될 수 있다.
실시예 6A: 가식성 제형의 생산에 감미료 성분의 활용
단백질-감미료 농축물 제형(예를 들어, 실시예 3에 따라 생산되고 실시예 5에 따라 결정화된 것)을 한 성분으로서, 다른 성분과 함께 첨가하고, 혼합되고 선택적으로 추가 가공(예컨대, 베이킹)되어 가식성(식품) 제형(예컨대, 케이크, 머핀, 비스킷)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 7
0.1% 쌀 단백질 제형(LSP® +ZERO, 7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하였다: 0.65g의 쌀 단백질 제형을 650g의 수크로스 및 350g의 물을 함유하는 농축 수크로스 시럽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이어서, 쌀 단백질을 함유하는 시럽을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8
0.2% 쌀 단백질 제형(LSP® +ZERO, 7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하였다: 쌀 단백질 제형을 첨가하기 전에 650g의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농축 감미료 시럽을 제조하였다. 1.3g의 쌀 단백질 제형을 그 다음 농축 감미료 시럽에 분산시켰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9
0.3% 쌀 단백질 제형(LSP® +ZERO, 7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하였다: 쌀 단백질 제형을 첨가하기 전에 650g의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농축 감미료 시럽을 제조하였다. 1.95g의 쌀 단백질 제형을 그 다음 농축 감미료 시럽에 분산시켰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0
0.5% 쌀 단백질 제형(LSP® +ZERO, 7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하였다: 쌀 단백질 제형을 첨가하기 전에 650g의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농축 감미료 시럽을 제조하였다. 3.25g의 쌀 단백질 제형을 그 다음 농축 감미료 시럽에 분산시켰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1
0.8% 쌀 단백질 제형(LSP® +ZERO, 7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하였다: 쌀 단백질 제형을 첨가하기 전에 650g의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농축 감미료 시럽을 제조하였다. 5.2g의 쌀 단백질 제형을 그 다음 농축 감미료 시럽에 분산시켰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2
1% 쌀 단백질 제형(LSP® +ZERO, 7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하였다: 쌀 단백질 제형을 첨가하기 전에 650g의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농축 감미료 시럽을 제조하였다. 6.5g의 쌀 단백질 제형을 그 다음 농축 감미료 시럽에 분산시켰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3
1.2% 쌀 단백질 제형(LSP® +ZERO, 7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하였다: 쌀 단백질 제형을 첨가하기 전에 650g의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농축 감미료 시럽을 제조하였다. 7.8g의 쌀 단백질 제형을 그 다음 농축 감미료 시럽에 분산시켰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4
0.85% 쌀 단백질 제형(LSP® +ZERO, 7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하였다: 쌀 단백질 제형을 첨가하기 전에 650g의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농축 감미료 시럽을 제조하였다. 5.5g의 쌀 단백질 제형을 그 다음 농축 감미료 시럽에 분산시켰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단백질 농도가 약 0.67%인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5
0.02% 쌀 단백질 제형(LSP® +ZERO, 7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하였다: 쌀 단백질 제형을 첨가하기 전에 650g의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농축 감미료 시럽을 제조하였다. 0.13g의 쌀 단백질 제형을 그 다음 농축 감미료 시럽에 분산시켰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6
0.05% 쌀 단백질 제형(LSP® +ZERO, 7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하였다: 쌀 단백질 제형을 첨가하기 전에 650g의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농축 감미료 시럽을 제조하였다. 0.325g의 쌀 단백질 제형을 그 다음 농축 감미료 시럽에 분산시켰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7 내지 26
실시예 7 내지 16의 쌀 단백질 제형을 수크로스 대신 프럭토스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0.01%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Nutralys® S85XF, 83 내지 88%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0.06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28
0.1%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Nutralys® S85XF, 83 내지 88%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0.6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29
0.2%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Nutralys® S85XF, 83 내지 88%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1.3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30
0.3%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Nutralys® S85XF, 83 내지 88%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1.9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31
0.5%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Nutralys® S85XF, 83 내지 88%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3.2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32
약 0.7% 단백질을 함유하는 0.8%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Nutralys® S85XF, 83 내지 88%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5.2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33
1.0%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Nutralys® S85XF, 83 내지 88%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6.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34
1.2%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Nutralys® S85XF, 83 내지 88%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7.8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35
1.5%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Nutralys® S85XF, 83 내지 88%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9.7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36
0.02%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Nutralys® S85XF, 83 내지 88%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0.13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37
0.05%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Nutralys® S85XF, 83 내지 88%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0.32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38 내지 49
실시예 26 내지 37의 완두콩 단백질 제형은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대신 완두콩 단백질 가수분해물(Zammex® Nutrition LLC HydroPea 100% 가수분해 완두콩 단백질 분말, 약 95% 단백질 함유)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50
0.1% 병아리콩 제형(ChickP G910, 89.7%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병아리콩 제형 0.6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병아리콩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51
0.3% 병아리콩 제형(ChickP G910, 89.7%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병아리콩 제형 1.9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병아리콩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52
0.5% 병아리콩 제형(ChickP G910, 89.7%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병아리콩 제형 3.2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병아리콩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53
1.0% 병아리콩 제형(ChickP G910, 89.7%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병아리콩 제형 6.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병아리콩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54
0.1% 녹두 제형(H-Protein 008, 85%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녹두 제형 0.6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녹두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55
0.5% 녹두 제형(H-Protein 008, 85%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녹두 제형 3.2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녹두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56
1.2% 녹두 제형(H-Protein 008, 85%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녹두 제형 7.8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녹두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57
0.2% 혼합 단백질 제형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녹두 제형(H-Protein 008, 85% 단백질) 0.65g 및 병아리콩 제형(ChickP G910, 89.7% 단백질) 0.6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혼합 단백질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58
0.02% 녹두 제형(H-Protein 008, 85%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녹두 제형 0.13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녹두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59
0.1% 제인 제형(A.F. Suter 81.9% 내지 100%)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인 제형 0.6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제인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60
1.0% 제인(A.F. Suter 81.9% 내지 100%)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인 제형 6.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제인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61
0.5% 제인(A.F. Suter 81.9% 내지 100%)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인 제형 3.7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제인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62 내지 66
실시예 28, 30, 31, 34 및 36의 완두콩 단백질 분리 조성물을 실시예 2의 절차에 따라 제형화하였다. 각 시럽은 그 다음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67 내지 71
실시예 7, 9, 10, 12 및 15의 쌀 단백질 조성물을 실시예 1의 절차에 따라 제형화하였다. 각 시럽은 그 다음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72 내지 73
실시예 27 및 30의 완두콩 단백질 분리 조성물은 실시예 4의 절차에 따라 제형화하였다. 각 시럽은 그 다음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74 내지 78
실시예 7, 9, 10, 12 및 15의 쌀 단백질 조성물은 실시예 3의 절차에 따라 제형화하였다.
실시예 79
0.05% 쌀 단백질 제형(LSP® +ZERO, 7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쌀 단백질 제형 0.32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말티톨을 쌀 단백질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80
0.1% 쌀 단백질 제형(LSP® +ZERO, 7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쌀 단백질 제형 0.6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소르비톨을 쌀 단백질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81
0.3% 쌀 단백질 제형(LSP® +ZERO, 7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쌀 단백질 제형 1.9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락티톨을 쌀 단백질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82 내지 91
실시예 7 내지 16의 쌀 단백질 제형은 수크로스 대신 자일리톨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92
0.3%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Nutralys® S85XF, 83 내지 88%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1.9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소르비톨을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93
0.3%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Nutralys® S85XF, 83 내지 88%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1.9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325g의 소르비톨 및 325g의 자일리톨을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94
0.3%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Nutralys® S85XF, 83 내지 88%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1.9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325g의 소르비톨 및 325g의 수크로스를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95
0.3% 쌀 단백질 제형(LSP® +ZERO, 7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쌀 단백질 제형 1.9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550g의 소르비톨 및 100g의 수크로스를 쌀 단백질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96
0.02% 루핀 제형(ProLupin 90% 내지 9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ProLupin 0.13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97
0.05% 루핀 제형(ProLupin 90% 내지 9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ProLupin 0.32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98
0.1% 루핀 제형(ProLupin 90% 내지 9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하였다: ProLupin 0.65g을 650g의 수크로스 및 350g의 물을 함유하는 농축 수크로스 시럽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루핀을 함유하는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99
0.2% 루핀 제형(ProLupin 90% 내지 9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하였다: 루핀 제형을 첨가하기 전에 650g의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농축 감미료 시럽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농축 감미료 시럽에 1.3g의 루핀 제형을 분산시켰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00
0.3% 루핀 제형(ProLupin 90% 내지 9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루핀 제형 1.9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01
0.5% 루핀 제형(ProLupin 90% 내지 9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루핀 제형 3.2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02
0.8% 루핀 제형(ProLupin 90% 내지 9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루핀 제형 5.2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03
1.0% 루핀 제형(ProLupin 90% 내지 9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루핀 제형 6.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04
1.2% 루핀 제형(ProLupin 90% 내지 9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루핀 제형 7.8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05
1.5% 루핀 제형(ProLupin 90% 내지 99%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루핀 제형 9.75g을 물 350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650g의 수크로스를 분산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농축 시럽을 생성하였다. 시럽은 실시예 5에 따라 가열 및 진공하에 유지되는 진공 건조기의 가열된 이중 재킷 용기로 옮겨 미세한 건조 결정질 분말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06 내지 113
실시예 26 내지 33 및 36 내지 37의 완두콩 단백질 분리 제형은 수크로스 대신 글루코스를 사용하고 초기 분산액에 물 550g(350g 대신)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14 내지 115
실시예 39 및 31로부터 수득한 분말을 X선 회절계(D8 Advance Series II, Bruker)를 사용하여 X선 회절(XRD)로 처리하였다. XRD 플롯은 모두 뚜렷한 결정질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16: 머핀 샘플의 제조
3가지 유형의 머핀 샘플을 제조할 수 있다. 유형 I은 "전체 당(full sugar)" 대조용 머핀으로, 전형적인 시판 머핀과 조성이 유사할 수 있다. 유형 II는 본 발명의 단백질-감미료 또는 단백질-감미료 농축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저당(reduced-sugar) 머핀이다. 유형 III은 유형 II인 본 발명의 저당 머핀과 동일한 조성을 갖지만 감미료 입자에 단백질이 없는 저당 대조용 머핀이다.
각 머핀 유형의 반죽은 당, 해바라기유 14.2%, 밀가루 21.8%(전분 약 68% 함유), 계란 24.5%, 베이킹 파우더(1.1%), 향료 또는 향미제(0.1%), 소금(0.1%), 및 물 약 16.4%를 함유한다. 유형 I 머핀의 반죽은 21.8 wt%의 당을 함유한다.
유형 II 및 유형 III 샘플에서 당의 감소된 양을 보충하기 위해 프럭토올리고당이 충전제로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Gofos™(전형적으로, 2% 당 함유)가 활용된다.
유형 II 머핀은 다양한 예시적인 제형(이들 중 다수가 위에 설명되거나 예시됨)으로부터의 감미료 제형을 활용한다. 제형의 차이를 제외하고, 제법 및 베이킹 공정은 본 발명의 머핀과 대조용 머핀에서 동일하다.
실시예 116A
전형적으로, 유형 II의 본 발명의 저당 머핀은 유형 I "전체 당" 대조용 머핀에 비해 39.1% 적은 당을 함유한다. 이 예시적인 경우에 대해, 유형 II 및 유형 III 머핀은 반죽이 약 (100%-39.1%)·21.8% = 13.3 wt% 당을 함유하도록 제형화된다. 머핀 반죽의 프럭토올리고당(Gofos™) 함량은 약 8.5wt%(21.8% - 13.38%)이다.
실시예 116B
많은 경우에, 유형 II의 본 발명의 저당 머핀은 39.1%의 전형적인 감소 외에 다른 양으로 감소된 당을 함유할 수 있다. (비배타적) 예로서, 유형 II 머핀은 50% 적은 당, 35% 적은 당, 20% 적은 당, 또는 10% 적은 당을 함유할 수 있다. 20% 적은 당의 예시적인 경우에, 유형 II 머핀은 반죽이 약 (100%-20%)·21.8% = 17.44 wt% 당, 및 4.36 wt% Gofos™(21.8% 내지 17.44%)을 함유하도록 제형화된다. 어쨌든 엄밀히 비교 목적을 위해 유형 II 머핀은 유형 I "전체 당" 대조용 머핀에 비해 적어도 10% 적은 당을 함유한다.
실시예 117: 버터 쿠키 샘플의 제조
3가지 유형의 버터 쿠키 샘플을 제조할 수 있다. 유형 I은 "전체 당" 대조용 버터 쿠키로서, 전형적인 시중에서 판매되는 버터 쿠키와 조성이 유사할 수 있다. 유형 II는 본 발명의 단백질-감미료 또는 단백질-감미료 농축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저당 버터 쿠키이다. 유형 III은 유형 II인 본 발명의 저당 버터 쿠키와 동일한 조성을 갖지만 감미료 입자에 단백질이 없는 저당 대조용 버터 쿠키이다.
각 버터 쿠키 유형의 반죽은 당, 팜유 14.6%, 밀가루 49.42%(전분 약 68% 함유), 옥수수 전분(4.2%), 물(5.7%), 계란(3.6%), 대두 레시틴(0.19%), 베이킹파우더(0.3%), 소금(0.2%), 전화당 1.2%(물 5% 함유), 헤비크림 1.5%(지방 37%, 및 락토스 3.5% 함유), 향료 또는 향미제(0.1%)를 함유하고, 나머지는 물이다. 유형 I의 버터 쿠키의 당 함량은 약 19.0%이다.
이눌린은 유형 II 및 유형 III 샘플에서 당의 감소된 양을 보충하기 위한 충전제로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Orafti 고 가용성 이눌린(10% 당 함유)이 활용된다.
유형 II 버터 쿠키는 다양한 예시적인 제형(이들 중 다수가 위에서 설명되거나 예시됨)으로부터의 감미료 제형을 활용한다. 제형의 차이를 제외하면, 본 발명의 버터 쿠키와 대조용 버터 쿠키에 대한 제법 및 베이킹 공정은 동일하다.
실시예 117A
전형적으로, 유형 II의 본 발명의 저당 버터 쿠키는 유형 I "전체 당" 대조용 버터 쿠키에 비해 약 40% 적은 당을 함유한다. 이 예시적인 경우에, 유형 II 및 유형 III 버터 쿠키는 반죽이 약 (100%-40.45%)·19.0% = 11.3 wt% 당을 함유하도록 제형화된다. 반죽의 이눌린 함량은 약 7.7wt%(19.0% 내지 11.3%)이다.
실시예 117B
실질적으로 상기에 제공된 머핀 샘플의 경우에서와 같이, 많은 경우에, 유형 II의 본 발명의 저당 버터 쿠키는 약 40%의 전형적인 감소 외에 다른 양으로 감소된 당을 함유할 수 있다. (비배타적) 예로서, 유형 II 버터 쿠키는 50% 적은 당, 40% 적은 당, 35% 적은 당, 20% 적은 당, 또는 10% 적은 당을 함유할 수 있다. 엄밀히 비교 목적을 위해 유형 II 버터 쿠키는 유형 I "전체 당" 대조용 버터 쿠키에 비해 적어도 10% 적은 당을 함유한다.
실시예 118: 헤이즐넛 스프레드 샘플의 제조
3가지 유형의 헤이즐넛 스프레드 샘플을 제조할 수 있다. 유형 I은 "전체 당" 대조용 헤이즐넛 스프레드로서, 전형적인 시중에서 판매되는 헤이즐넛 스프레드와 조성이 유사할 수 있다. 유형 II는 본 발명의 단백질-감미료 또는 단백질-감미료 농축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저당 헤이즐넛 스프레드이다. 유형 III은 유형 II의 본 발명의 저당 헤이즐넛 스프레드와 동일한 조성을 갖지만 감미료 입자에 단백질이 없는, 저당 대조용 헤이즐넛 스프레드이다.
각 유형의 헤이즐넛 스프레드는 당, 헤이즐넛 페이스트(15%), 팜유(21.7%), 12% 지방을 갖는 코코아 파우더(7.4%), 탈지 분유(6.6%), 평지씨 레시틴(0.2%) 및 향료 또는 향미제(0.1%)를 함유한다. 유형 I의 헤이즐넛 스프레드의 당 함량은 49%이다.
유형 II 및 유형 III 샘플에서 당의 감소된 양을 보충하기 위해 프럭토올리고당이 충전제로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Gofos™가 활용된다.
유형 II 헤이즐넛 스프레드는 다양한 예시적인 제형(이들 중 다수가 위에 설명되거나 예시됨)으로부터의 감미료 제형을 활용한다. 제형의 차이를 제외하면, 본 발명의 헤이즐넛 스프레드와 대조용 헤이즐넛 스프레드에 대한 제조 공정은 동일하다.
실시예 118A
전형적으로, 유형 II의 본 발명의 저당 헤이즐넛 스프레드는 유형 I "전체 당" 대조용 헤이즐넛 스프레드에 비해 약 41% 적은 당을 함유한다. 이 예시적인 경우에, 유형 II 및 유형 III 헤이즐넛 스프레드는 약 (100%-41.2%)·49% = 28.8wt% 당을 함유하도록 제형화된다. 헤이즐넛 스프레드의 이눌린 함량은 약 20.2 wt%(49% 내지 29.4%)이다.
실시예 118B
실질적으로 상기에 제공된 헤이즐넛 스프레드 샘플의 경우에서와 같이, 많은 경우에, 유형 II의 본 발명의 저당 헤이즐넛 스프레드는 약 40%의 전형적인 감소 외에 다른 양으로 감소된 당을 함유할 수 있다. (비배타적) 예로서, 유형 II 헤이즐넛 스프레드는 50% 적은 당, 35% 적은 당, 20% 적은 당, 또는 10% 적은 당을 함유할 수 있다. 엄밀히 비교 목적을 위해 유형 II 헤이즐넛 스프레드는 유형 I "전체 당" 대조용 헤이즐넛 스프레드에 비해 적어도 10% 적은 당을 함유한다.
실시예 119: 관능 평가
예시적인 감미료 또는 가식성 제형(예를 들어, 머핀, 버터 쿠키 및 헤이즐넛 스프레드)는 쌍 비교 테스트를 사용하여 훈련된 관능 패널리스트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쌍 비교 테스트는 두 제품에 대한 블라인드 테스트이며, 패널리스트의 임무는 두 제품 또는 샘플 중 더 단 것을 선택/표시하는 것이다(Sensory Evaluation Practices, 4th Ed., Stone, Bleibaum, Thomas, eds.). 결과는 관능 과학자가 샘플 간의 인지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이항 분포표를 사용하여 분석된다.
비교 단맛 지수는 모든 패널리스트로부터 수집된 쌍 비교 테스트 결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7명의 패널리스트 중 10명은 본 발명의 제품이 더 단맛인 것으로 선택한 반면, 다른 7명의 패널리스트는 비교 또는 대조 제품을 선택하였다면, 비교 단맛 지수(CS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것이다:
CSI = (10/17)·100 = 58.8 = 59(반올림)
실시예 119A
샘플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또 다른 관능법은 차이 크기 추정(DME)이다. 여기에서 각 패널리스트는 2가지 샘플을 맛보고, 다음 목록에서 가장 단 것을 선택하고, 단맛의 차이도 선택한다:
Figure pct00015
전혀 차이가 없음
Figure pct00016
매우 작은 차이
Figure pct00017
작은 차이
Figure pct00018
중등도의 차이
Figure pct00019
큰 차이
Figure pct00020
매우 큰 차이
각 선택 사항에는 숫자 값 0 내지 5("0"은 "전혀 차이가 없음"임)가 부여되고 패널의 평균이 계산된다. 본 발명의 단백질-함유 샘플이 더 단 것으로 표시되면, 그 값은 양수로 간주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일반적으로 최대 ±1.0(즉, 절대값 1 이내)의 차이, 일부 경우에 최대 ±0.8 또는 최대 ±0.5의 차이는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즉, 샘플의 단맛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미미한 차이는 대조용 제형 대비 본 발명의 제형에 대한 양호한 결과인 것으로 간주된다.
실시예 120 내지 121
위에 예시된 다양한 제형을 사용하여 실시예 116 및 116A에 따라 머핀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9 및 119A에 따라 수행 및 평가된 쌍 비교 테스트의 쌍 비교 테스트 결과는 이하 표 2에 나열된다.
실시예 122 내지 126
위에 예시된 다양한 제형을 사용하여 실시예 117 및 117A에 따라 버터 쿠키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9 및 119A에 따라 수행 및 평가된 쌍 비교 테스트의 쌍 비교 테스트 결과는 이하 표 3에 나열된다.
실시예 127: 예시적인 전분 함량 계산
쿠키는 지방(팜유, 17%), 흰 밀가루(61%), 본 발명의 당(수크로스, 12%; 0.1% WPI), 및 프럭탄(이눌린, 10%)으로 만든다. 유일한 전분 함유 성분은 약 68%의 전분을 함유하는 흰 밀가루이다. 따라서, 쿠키의 전분 함량은 61% 중 68%, 즉 약 41.5%이다.
실시예 128: 예시적인 지방 함량 계산
헤이즐넛 스프레드는 지방(팜유, 24%), 본 발명의 당(수크로스, 30%; 0.1% 쌀 단백질 제형), 순수 헤이즐넛 페이스트(13%, 지방 함량 61%), 무지방 분유(6%), 코코아 파우더(7%, 지방 함량 12%) 및 프럭탄(이눌린, 20%)으로 만든다. 헤이즐넛 스프레드의 총 지방 함량은 24% + (13% 중 61%) + (7% 중 12%) 또는 약 32.8%이다.
실시예 129: 인장 강도/분리력 - 질감 분석
감미료 제형의 점막접착 특성은 TX.XTplus Texture 분석기를 사용한 분리(detachment) 테스트를 수행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감미료 제형의 접착성에 대한 식물성 단백질의 다양한 점막접착 종의 효과도 다양한 농도에서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분리 테스트를 실시하기 전에 다음 단계를 수행하였다: 당 샘플의 정제 제조, 인공 타액 완충액의 제조 및 신선한 돼지 혀를 30mm×30mm 크기, 두께 약 20mm의 조각으로 손질하기. 혀 조직은 -20℃에서 동결시켰다. 테스트 전, 혀 조직은 37℃에서 5분간 가열하였다. 인공 타액 측면에서, 용액은 하기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표 4):
정제 제조
위에서 제공된 다양한 감미료 샘플로 만든 정제는 분리 테스트를 위해 Tableting Minipress MII 기계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건조 믹스" 샘플을 분쇄하고 텀블 믹서에서 2 w/w%로 (윤활제로서) 스테아르산마그네슘과 2분 동안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미니프레스에 넣고 11 mm의 상부 펀치 침투력으로 압착하여 편평한 정제를 생성하였다. 실시예 3에 따라 생성되고 실시예 5에 따라 추가 가공된(밤새 추가 건조 포함) 감미료 샘플은 7.5 내지 9mm의 더 낮은 상부 펀치 침투력으로 압착하였다. 모든 샘플에서 제조 속도는 자동 모드일 때 약 40정/분이었다. 정제의 직경은 10mm이다.
분리 테스트
손질된 돼지 혀 조각을 4개의 나사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플랫폼과 뚜껑 사이에 압박 고정하였다. 뚜껑 중앙에 배치된 구멍(직경 13mm)은 정제와 혀의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플라스틱 플랫폼과 돼지 혀 배열은 37℃의 일정한 온도 하에서 인공 타액 용액에서 유지시켰다.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감미료 정제를 질감 분석기(TA) 프로브(실린더)에 부착시켰다. 측정은 다음 절차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프로브는 소정의 적용 힘이 고정된 접촉 시간 동안 혀 조직에 발휘될 때까지 정제와 함께 일정한 속도로 저하시켰다. 완료 즉시, 프로브와 정제를 들어올리고, 각 감미료 정제에 대한 (최대) 분리력(Fmax) 및 분리 작업(곡선과 X축 사이의 면적, 또한 "총 접착 작업"이라고도 함)을 기록하였다. 전체 과정은 표 5에 제공된 설정을 활용하여 TA 접착 테스트 장치로 제어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전술한 분리 테스트 절차는 "표준 분리 테스트"라고 지칭된다.
다양한 감미료 샘플의 정제는 최대 분리력 및 분리 작업을 결정하기 위해 실시예 129에 개시된 장비 및 절차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최대 분리력으로서 특징지어지는 감미료 제형의 점막 접착은 대조용 조성물(즉, 식물성 단백질이 없지만, 그 외 조성 및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감미료 제형과 동일함)보다 크다. 전형적으로, 최대 분리력(또는 이하에 정의되는 최대 분리 결정력(FD-D)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감미료 제형의 점막 접착은 대조용 조성물의 점막 접착보다 적어도 1%, 적어도 1.5%, 적어도 2%, 적어도 3% 또는 적어도 4%, 일부 경우에는 적어도 5%, 적어도 7%, 적어도 10%, 적어도 12% 또는 적어도 15% 더 크다.
본 발명자들은 점막 접착(즉, 최대 분리력 및 분리 작업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특징지어짐)의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식물성 단백질의 존재는 맛 테스트에 의해 인식되는 식품 또는 제형의 단맛에 사실상 유해할 수 있음을 추가로 발견하였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최대 분리력(또는 FD-D)으로 특징지어지는 감미료 제형의 점막 접착은 대조용 조성물의 점막 접착보다 최대 200%, 최대 150%, 최대 100%, 최대 80%, 보다 전형적으로는 최대 60%, 최대 50%, 최대 40%, 최대 35% 또는 최대 30% 더 크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최대 분리력(또는 FD-D)으로 특징지어지는 감미료 제형의 점막 접착은 대조용 조성물의 점막 접착보다 1% 내지 200%, 1% 내지 120%, 1% 내지 80%, 1% 내지 60%, 1% 내지 40%, 1% 내지 30%, 1% 내지 25%, 1% 내지 20%, 1.5% 내지 60%, 1.5% 내지 40%, 1.5% 내지 30%, 1.5% 내지 25%, 1.5% 내지 20%, 2% 내지 200%, 2% 내지 120%, 2% 내지 80%, 2% 내지 60%, 2% 내지 50%, 2% 내지 40%, 2% 내지 30%, 2% 내지 25%, 2% 내지 20%, 3% 내지 80%, 3% 내지 60%, 3% 내지 40%, 3% 내지 30%, 3% 내지 25%, 3% 내지 20%, 4% 내지 60%, 4% 내지 40%, 4% 내지 30%, 4% 내지 25%, 4% 내지 20%, 5% 내지 60%, 5% 내지 40%, 5% 내지 30%, 5% 내지 25%, 5% 내지 20%, 6% 내지 60%, 6% 내지 40%, 6% 내지 30%, 6% 내지 25%, 6% 내지 20%, 8% 내지 50%, 8% 내지 30%, 8% 내지 25%, 8% 내지 20%, 10% 내지 50%, 10% 내지 30%, 10% 내지 25% 또는 10% 내지 20% 범위 내의 값만큼 더 크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분리 작업(또는 이하에 정의된 분리 작업(WD))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감미료 제형의 점막 접착은 대조용 조성물(즉, 상기와 같이, 식물성 단백질이 없지만 그 외 조성 및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감미료 제형과 동일한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더 크다. 전형적으로, 분리 작업으로 특징지어지는 감미료 제형의 점막 접착은 대조용 조성물의 점막 접착보다 적어도 1%, 적어도 1.5%, 적어도 2%, 적어도 3%, 적어도 5%, 적어도 7%, 적어도 10%, 적어도 20%, 적어도 30%, 적어도 40% 또는 적어도 45% 더 크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분리 작업(또는 WD)으로 특징지어지는 감미료 제형의 점막 접착은 대조용 조성물의 점막 접착보다 최대 200%, 최대 150%, 최대 125%, 최대 110%, 최대 100%, 최대 90%, 최대 80%, 최대 70%, 최대 60% 또는 최대 50% 더 크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분리 작업(또는 WD)으로 특징지어지는 감미료 제형의 점막 접착은 대조용 조성물의 점막 접착보다 10% 내지 150%, 10% 내지 125%, 10% 내지 100%, 10% 내지 80%, 20% 내지 150%, 20% 내지 125%, 20% 내지 100%, 20% 내지 80%, 30% 내지 150%, 30% 내지 125%, 30% 내지 100%, 30% 내지 80%, 40% 내지 150%, 40% 내지 125%, 40% 내지 100%, 40% 내지 80%, 50% 내지 150%, 50% 내지 125%, 50% 내지 100% 또는 50% 내지 90% 범위 내의 값만큼 더 크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용어 "최대 분리력"(FDmax)은 표준 분리 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최대 분리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용어 "분리 작업"(WD)은 표준 분리 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분리 작업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 및 다음의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감미료 입자 내에 특정 식물성 단백질 종을 함유하는 감미료 제형에 대한 "분리 작업 결정"(WD-D)이라는 용어는 동일한 식물성 단백질 함유 감미료 제형이지만, 감미료에 대해 1% 농도의 특정 식물성 단백질 종을 갖고, 실시예 129의 표준 절차에 따라 제조 및 측정된 제형에 대한 분리 작업을 지칭하며, 수득된 분리 작업(WD)은 이후 제형의 감미료 입자 내에 배치된 특정 식물성 단백질의 실제 농도(Cactual) %에 기초한 계수 Kconc를 사용하여 선형으로 적용된다. 유사하게,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감미료 입자 내에 특정 식물성 단백질 종을 함유하는 감미료 제형에 대한 "최대 분리력 결정"(FD-D)이라는 용어는 동일한 식물성 단백질 함유 감미료 제형이지만, 감미료에 대해 1% 농도의 특정 식물성 단백질 종을 갖고, 실시예 129의 표준 절차에 따라 제조 및 측정된 제형에 대한 최대 분리력(FDmax)을 지칭하며, 수득된 최대 분리력(FDmax)은 이후 제형의 감미료 입자 내에 배치된 특정 식물성 단백질 종의 실제 농도(Cactual)%에 기초한 계수 Kconc를 사용하여 선형으로 적용된다. 즉: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용어 "점막 접착" 등은 제형과 관련하여 최대 분리력(FDmax), 최대 분리력 결정(FD-D), 분리 작업(WD), 및 분리 작업 결정(WD-D)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나타나는 점막 접착을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30: 점막접착성의 유변학적 특성화
다양한 식물성 단백질 종의 점막접착 특성은 유변학적 측정을 사용하여 특성화하였다. 점막접착성 식물성 단백질 및 뮤신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유변학적 거동은 두 종 사이의 화학적 상호작용, 형태 변화 및 사슬 맞물림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변학 기법은 재료의 변형 및 전단 하에서 재료의 유동 거동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측정을 통해 중합체 간의 상호작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Hassan and Gallo, 1990). 점막접착성 식물성 단백질과 뮤신 사이의 상호작용은 혼합물의 점도가 뮤신과 식물성 단백질의 개별 점도의 합을 초과할 정도의 점도 향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뮤신-식물성 단백질 혼합물의 점도와 함께 개별 점도를 측정함으로써, 뮤신과 식물성 단백질 사이의 점막접착력이 다음 방정식에 따라 특징지어질 수 있다:
여기서, ηt는 시스템(혼합물)의 총(측정된) 점도이고, ηb는 생체접착(점도 향상)의 점도 구성요소이며, ηm 및 ηp는 뮤신 및 식물성 단백질 단일-구성요소 분산액 각각의 개별적으로 측정된 점도이다.
증류수에 2 wt%의 다양한 식물성 단백질 분산액은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제조했고 3시간 동안 부드럽게 혼합하였다. 건조된 뮤신은 증류수(10wt% 분산액을 만들기에 충분함)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부드럽게 교반한 후 10분간 초음파 처리(실온에서)하여 수화시켰다. 이어서, 뮤신 용액을 2시간 동안 부드럽게 교반하여 10wt% 뮤신 분산액을 산출하였다. 각 식물성 단백질 분산액과 10wt% 뮤신 분산액을 동일한 양으로 혼합하여 각 혼합 분산액에 대해 1wt% 식물성 단백질과 5wt% 뮤신의 최종 농도를 산출하였다. 모든 혼합 시스템은 분석 전에 평형을 이루도록 37℃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모든 측정은 Peltier 온도 챔버: C-PTD 180/공기, 회전 보브(CC27 동축 실린더) 및 직경 28.992mm인 고정 컵(C-CC27/SS/AIR)을 갖춘 Anton Paar MRC92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측정 전, 각 샘플 제형은 추가 2분 동안 정치시켰다. 측정은 0.1 내지 350 s-1(대수 경사) 범위의 전단 속도로 37℃에서 수행하였다.
개별 점도(ηp, ηm)를 산출하기 위해 각 식물성 단백질(1wt%) 분산액 및 5wt% 뮤신 분산액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였다. 강화된 점도(생체접착)는 그 다음 위에 제공된 방정식에 따라 각 식물성 단백질-뮤신에 대해 계산하였다.
실시예 130에 제공된 유변학적 장비 및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샘플의 점막접착 특성을 특징지었다.
1%의 식물성 단백질 농도에서 실시예 130의 표준 절차에 따라 측정한 생체접착 점도 구성요소(ηb)가 적어도 3 mPa·s라면, 특정 식물성 단백질 종은 점막접착성 또는 점막접착성 제제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더 전형적으로, ηb는 적어도 5 mPa·s, 적어도 7 mPa·s, 또는 적어도 10 mPa·s이다. 본 명세서 및 다음의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점막접착성의 결정(즉, 식물성 단백질이 점막접착성인지 또는 점막접착성 제제인 것으로 간주되는지 여부)은 "표준 유변학적 결정"인 것으로 지칭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생체접착 점도 구성요소(ηb)는 2 내지 400 mPa·s, 2.5 내지 400 mPa·s, 2 내지 350 mPa·s, 2.5 내지 350 mPa·s, 3 내지 400 mPa·s, 3 내지 350 mPa·s, 3 내지 300 mPa·s, 3 내지 250 mPa·s, 3 내지 200 mPa·s, 3 내지 150 mPa·s, 4 내지 400 mPa·s, 4 내지 350 mPa·s, 4 내지 300 mPa·s, 4 내지 250 mPa·s, 5 내지 400 mPa·s, 5 내지 350 mPa·s, 5 내지 300 mPa·s, 5 내지 250 mPa·s, 5 내지 200 mPa·s, 5 내지 150 mPa·s, 6 내지 400 mPa·s, 6 내지 350 mPa·s, 6 내지 300 mPa·s, 6 내지 200 mPa·s, 6 내지 150 mPa·s, 7 내지 200 mPa·s, 7 내지 150 mPa·s, 8 내지 200 mPa·s, 8 내지 150 mPa·s, 10 내지 200 mPa·s, 10 내지 150 mPa·s, 10 내지 100 mPa·s, 12 내지 200 mPa·s, 12 내지 150 mPa·s, 15 내지 200 mPa·s, 15 내지 150 mPa·s, 20 내지 200 mPa·s, 20 내지 150 mPa·s 또는 20 내지 100 mPa·s 범위 내이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용어 "식물성 단백질의 생체접착성 농도" 등은 제형의 감미료 입자 내에 배치된 적어도 1종의 식물성 단백질의 특정 농도를 지칭하며, 이러한 적어도 1종의 식물성 단백질의 특정 농도는 실시예 130의 표준 절차에 따라 측정하지만, 해당 특정 농도일 때 생체접착 점도 구성요소(ηb)에 대해 적어도 3 mPa·s의 값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식물성 단백질의 생체접착성 함량" 등은 식물성 단백질 함유 제형과 관련하여, 제형의 감미료 입자 내에 배치된 적어도 1종의 식물성 단백질의 실제 농도(Cactual)를 지칭하며, 상기 실제 농도는 적어도 1.0 mPa·s의 생체접착 점도 증가(ΔηPS)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것이고, 생체접착 점도 구성요소(ηb)는 1% 식물성 단백질 농도에서 실시예 130의 표준 절차를 따라 측정되고, 그 다음 제형의 감미료 입자 내에 배치된 적어도 1종의 식물성 단백질의 실제 농도(Cactual)%에 기초한 계수 Kconc를 사용하여 선형적으로 적용하여 ΔηPS를 수득한다:
생체접착 점도 증가
따라서, Cactual에 대한 생체접착 점도 증가(ΔηPS)가 적어도 1.0 mPa·s인 경우, 제형은 식물성 단백질의 생체접착 함량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생체접착성 제형", "생체접착성 단 제형" 등은 식물성 단백질의 생체접착성 농도 및 식물성 단백질의 생체접착성 함량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제형을 지칭한다.
추가 실시형태
추가 실시형태 1 내지 196이 이하에 제공된다:
실시형태 1. 가식성 제형으로서,
(a) 감미료 탄수화물 및 감미료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감미료를 함유하는 감미료 입자; 및
(b) 감미료 입자 내에 배치된 제1 단백질로서,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단백질
을 포함하되; 감미료 입자 내 감미료에 대한 제1 단백질의 중량 대 중량 비율은 0.02% 내지 0.7% 범위 내이고;
감미료 입자 내의 감미료는 우세하게 결정질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은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더 크며, 대조용 제형에는 제1 단백질이 없지만 다른 것은 가식성 제형과 동일하며,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은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을 3% 내지 200% 초과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3. 가식성 제형으로서,
(a) 감미료 탄수화물 및 감미료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감미료를 함유하는 감미료 입자; 및
(b) 감미료 입자 내에 배치된 제1 단백질로서,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단백질
을 포함하되; 감미료 입자 내 감미료에 대한 제1 단백질의 중량 대 중량 비율은 0.02% 내지 0.7% 범위 내이고;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은 제1 단백질이 없지만 다른 것은 가식성 제형과 동일한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3 내지 200% 더 큰,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4. 실시형태 2 또는 3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을 최대 125% 초과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5. 실시형태 4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을 최대 100%, 최대 75%, 최대 50%, 최대 40%, 최대 30% 또는 최대 25% 초과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6. 실시형태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대조용 제형의 점착 접착을 적어도 4%, 적어도 5%, 적어도 6%, 적어도 7%, 적어도 10%, 적어도 15% 또는 적어도 20% 초과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7.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가 정규화된 단맛 척도에서 적어도 0.25의 단맛을 갖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7A.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가 감미료 탄수화물을 포함하거나, 우세하게 포함하거나, 또는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8. 실시형태 7A에 있어서, 감미료 탄수화물이 수크로스, 또는 우세하게 수크로스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9.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및 제1 단백질이 가식성 제형의 적어도 80%를 구성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0.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제1 단백질의 적어도 25%를 구성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1.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표준 최대 분리력 결정에 의해 결정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표준 분리 작업 결정에 의해 결정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A.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입자의 결정화도가 XRPD와 같은 정량적 XRD 분석에 의해 결정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B.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입자의 결정화도가 등온 미세열량계(IMC)에 의해 결정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C.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입자의 결정화도가 용액 열량측정법에 의해 결정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D.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입자의 결정화도가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DSC)에 의해 결정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E.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입자의 결정화도가 비중 측정에 의해 결정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3. 가식성 또는 식품 제형으로서,
(a) 실시형태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가식성 제형; 및
다음을 포함하는 추가 성분:
(b) 지방;
(c) 선택적으로 전분; 및
(d) 선택적으로, 가식성 충전제
를 포함하되, 식품 제형 내 제1 단백질의 중량 함량은 건조 기준으로 0.01% 내지 0.5% 범위 내인, 가식성 또는 식품 제형.
실시형태 14. 실시형태 13에 있어서, 적어도 3%의 가식성 충전제를 함유하는, 식품 제형.
실시형태 15. 실시형태 13 또는 14에 있어서, 식품 제형 내 지방, 가식성 충전제, 전분, 및 가식성 제형, 감미료 및 감미료 입자 중 어느 하나의 총 농도가 적어도 30%인, 식품 제형.
실시형태 16. 실시형태 15에 있어서, 이 총 농도가 적어도 60%인, 식품 제형.
실시형태 17. 실시형태 13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10%의 지방, 적어도 10%의 전분, 적어도 5%의 가식성 충전제, 및 적어도 8%의 가식성 제형, 감미료, 및 감미료 입자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식품 제형.
실시형태 18. 실시형태 13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15%의 전분을 함유하는, 식품 제형.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13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품 제형 내 감미료의 총량에 대한 감미료 입자 내 감미료의 비율이 적어도 50%인, 식품 제형.
실시형태 19A. 실시형태 19에 있어서, 비율이 적어도 65%인, 식품 제형.
실시형태 19B. 실시형태 19에 있어서, 비율이 적어도 75%인, 식품 제형.
실시형태 19C. 실시형태 19에 있어서, 비율이 적어도 85%인, 식품 제형.
실시형태 19D. 실시형태 13 내지 19C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품 제형 내 총 감미료 입자 집단의 결정화도가 적어도 75%인, 식품 제형.
실시형태 19E. 실시형태 19D에 있어서, 총 감미료 입자 집단의 결정화도가 정량적 XRD 분석에 의해 결정되는, 식품 제형.
실시형태 19F. 실시형태 19D에 있어서, 총 감미료 입자 집단의 결정화도가 등온 미세열량계(IMC)에 의해 결정되는, 식품 제형.
실시형태 19G. 실시형태 19D에 있어서, 총 감미료 입자 집단의 결정화도가 용액 열량측정법에 의해 결정되는, 식품 제형.
실시형태 19H. 실시형태 19D에 있어서, 총 감미료 입자 집단의 결정화도가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DSC)에 의해 결정되는, 식품 제형.
실시형태 19I. 실시형태 19D에 있어서, 총 감미료 입자 집단의 결정화도가 비중 측정에 의해 결정되는, 식품 제형.
실시형태 20. 실시형태 13 내지 19I 중 어느 하나의 식품 제형을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a) 실시형태 1 내지 12E 중 어느 하나의 가식성 제형를 제공하는 단계;
(b) 가식성 제형를 추가 성분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c) 선택적으로, 단계 (b)의 생성물을 승온으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형태 20A. 실시형태 20에 있어서, 접촉시키는 단계가 혼합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형태 20B. 실시형태 20 또는 20A에 있어서, 단계 (b)의 생성물이 승온으로 처리되는, 방법.
실시형태 21. 가식성 제형으로서,
(a) 감미료 탄수화물 및 감미료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감미료를 함유하는 감미료 입자; 및
(b) 감미료 입자 내에 배치된 제1 단백질 또는 식물성 단백질
을 포함하되; 상기 가식성 제형 내 제1 단백질 또는 식물성 단백질의 중량 함량은 건조 기준으로 0.005% 내지 1.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21A. 실시형태 21에 있어서, 제1 단백질이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21B. 실시형태 21에 있어서, 제1 단백질이 식물성 단백질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21C. 실시형태 21에 있어서, 제1 단백질이 주로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22. 실시형태 21 내지 21C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가 감미료 탄수화물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23. 실시형태 21 내지 21C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가 감미료 폴리올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24. 실시형태 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의 감미료 및 적어도 하나의 지방의 총 농도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1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25.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저장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26.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종자 저장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27.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글로불린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28.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글루텔린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29.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알부민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30.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프롤라민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31.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적어도 하나의 필수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32.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적어도 하나의 필수 식물성 단백질을 우세하게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32A. 실시형태 1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적어도 하나의 부분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33.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글로불린, 글루텔린, 알부민, 및 프롤라민의 총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적어도 8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34. 실시형태 33에 있어서, 글로불린과 글루텔린의 총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적어도 3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35 실시형태 33에 있어서, 글로불린과 글루텔린의 총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적어도 6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36. 실시형태 33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글로불린과 글루텔린의 총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최대 98%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37. 실시형태 27에 있어서, 글로불린의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적어도 3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38. 실시형태 27에 있어서, 글로불린의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적어도 6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39. 실시형태 37 또는 38에 있어서, 글로불린의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최대 99%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40. 실시형태 39에 있어서, 글로불린의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최대 9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41. 실시형태 28에 있어서, 글루텔린의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적어도 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42. 실시형태 28에 있어서, 글루텔린의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적어도 2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43. 실시형태 41 또는 42에 있어서, 글루텔린의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최대 9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44. 실시형태 43에 있어서, 글루텔린의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최대 2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45. 실시형태 30에 있어서, 프롤라민의 총 농도가 적어도 2%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46. 실시형태 30에 있어서, 프롤라민의 총 농도가 적어도 1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47. 실시형태 45 또는 46에 있어서, 프롤라민의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최대 7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48. 실시형태 47에 있어서, 프롤라민의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최대 2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49. 실시형태 29에 있어서, 알부민의 총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적어도 2%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50. 실시형태 29에 있어서, 알부민의 총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적어도 1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51. 실시형태 49 또는 50에 있어서, 알부민의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최대 6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52. 실시형태 51에 있어서, 알부민의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최대 3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53. 실시형태 27에 있어서, 글로불린이 콘글루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콘글루틴의 총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적어도 3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54. 실시형태 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콘글루틴의 총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최대 8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55.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레구민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56. 실시형태 55에 있어서, 레구민의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20% 내지 8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57.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비실린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58.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레구민 및 비실린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59. 실시형태 58에 있어서, 레구민과 비실린의 총 농도가 식물성 단백질의 총 농도의 20% 내지 9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60.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완두콩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61. 실시형태 60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주로 완두콩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62.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병아리콩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63. 실시형태 62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주로 병아리콩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64.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루핀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65. 실시형태 64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주로 루핀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66.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쌀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67. 실시형태 66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주로 쌀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68.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렌틸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69. 실시형태 68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주로 렌틸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70.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녹두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71. 실시형태 70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주로 녹두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72.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제인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73. 실시형태 72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주로 제인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74.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대두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75. 실시형태 21 내지 7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입자 내 감미료에 대한 제1 단백질 또는 식물성 단백질의 중량 대 중량 비율이 0.02% 내지 1.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76. 실시형태 21 내지 7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입자 내 제1 단백질 또는 식물성 단백질의 중량 대 중량 비율이 0.005% 내지 0.7%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77.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의 감미료, 적어도 하나의 지방, 및 적어도 하나의 전분의 총 농도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3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78.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입자 내 감미료에 대한 제1 단백질 또는 식물성 단백질의 중량 대 중량 비율이 0.03% 내지 0.7%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79.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 제1 단백질 또는 식물성 단백질의 중량 함량이 건조 기준으로 0.005% 내지 0.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80.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 감미료 입자의 중량 기준 평균 입자 크기가 적어도 80μm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81.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크고, 대조용 제형에는 제1 단백질 또는 식물성 단백질이 없지만, 다른 것은 가식성 제형과 동일한 것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82.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적어도 10%, 선택적으로 적어도 20%, 적어도 30%, 적어도 40%, 적어도 50%,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100%의 값만큼 더 크고, 대조용 제형에는 제1 단백질 또는 식물성 단백질이 없지만, 다른 것은 가식성 제형과 동일한 것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83. 실시형태 1 내지 8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5% 내지 200%의 값만큼 더 크고, 대조용 제형에는 제1 단백질이 없지만, 다른 것은 가식성 제형과 동일한 것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84. 실시형태 83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3% 내지 90%의 값만큼 더 큰,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85. 실시형태 83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10% 내지 90%의 값만큼 더 큰,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86. 실시형태 81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3% 내지 50%, 3% 내지 30%, 5% 내지 50%, 10% 내지 50%, 15% 내지 90%, 15% 내지 80%, 15% 내지 70%, 15% 내지 50%, 20% 내지 90%, 20% 내지 70%, 25% 내지 90% 또는 25% 내지 70%의 값만큼 더 큰,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87. 실시형태 8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10% 내지 70%의 값만큼 더 큰,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88.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 값이 표준 최대 분리력 결정에 의해 결정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89.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표준 분리 작업 결정에 의해 결정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90.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의 감미료 입자의 총 중량 함량이 적어도 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91. 실시형태 90에 있어서, 감미료의 중량 함량이 적어도 8%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92. 실시형태 90에 있어서, 감미료의 중량 함량이 적어도 1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93. 실시형태 90에 있어서, 감미료의 중량 함량이 적어도 1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94. 실시형태 90에 있어서, 감미료의 중량 함량이 적어도 2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95. 실시형태 90에 있어서, 감미료의 중량 함량이 적어도 2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96. 실시형태 90에 있어서, 감미료의 중량 함량이 적어도 3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97. 실시형태 90에 있어서, 감미료의 중량 함량이 적어도 4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98. 실시형태 90에 있어서, 감미료의 중량 함량이 적어도 5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99. 실시형태 90에 있어서, 감미료의 중량 함량이 적어도 6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00. 실시형태 90에 있어서, 감미료의 중량 함량이 적어도 7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01. 실시형태 90에 있어서, 감미료의 중량 함량이 적어도 8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02. 실시형태 90에 있어서, 감미료의 중량 함량이 적어도 9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03. 실시형태 90에 있어서, 감미료의 중량 함량이 적어도 9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04.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의 감미료 입자의 총 중량 함량이 8% 내지 8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05. 실시형태 104에 있어서, 이 총 중량 함량이 10% 내지 7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06. 실시형태 104에 있어서, 이 총 중량 함량이 15% 내지 7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07.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v50)가 적어도 30μm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08. 실시형태 107에 있어서, Dv50이 30μm 내지 1500μm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09. 실시형태 107 또는 108에 있어서, Dv50이 적어도 50μm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10. 실시형태 109에 있어서, Dv50이 적어도 100μm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11. 실시형태 109에 있어서, Dv50이 적어도 200μm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12. 실시형태 109에 있어서, Dv50이 적어도 350μm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13.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입자 내의 감미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단백질의 중량 대 중량 비율이 0.03% 내지 0.7%, 0.03% 내지 0.6%, 0.03% 내지 0.5%, 0.05% 내지 0.7%, 0.1% 내지 0.65%, 0.1% 내지 0.6%, 0.2% 내지 0.7%, 0.2% 내지 0.6%, 0.25% 내지 0.7% 또는 0.25% 내지 0.6%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14.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입자 내의 감미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단백질의 중량 대 중량 비율이 0.1% 내지 0.7%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15.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 제1 단백질의 중량 함량이 건조 기준으로, 적어도 0.005%, 적어도 0.007%, 적어도 0.01%, 적어도 0.025%, 적어도 0.05%, 적어도 0.075%, 적어도 0.1%, 적어도 0.2% 또는 적어도 0.3%, 및 최대 0.7% 또는 최대 0.6%인, 가식성(식품) 제형.
실시형태 116.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 제1 단백질의 중량 함량이 건조 기준으로, 0.005% 내지 0.45% 범위 내인, 가식성(식품) 제형.
실시형태 117. 실시형태 116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 제1 단백질의 중량 함량이 건조 기준으로, 0.015% 내지 0.3% 범위 내인, 가식성(식품) 제형.
실시형태 118. 실시형태 116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 제1 단백질의 중량 함량이 건조 기준으로 0.015% 내지 0.1% 범위 내인, 가식성(식품) 제형.
실시형태 119.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탄수화물이 수크로스, 글루코스, 프럭토스, 말토스, 락토스, 만노스, 알룰로스, 타가토스, 자일로스, 갈락토스, 아라비노스, 갈락토프럭토스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0.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탄수화물이 수크로스를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1.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탄수화물이 글루코스를 포함하거나 주로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2.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탄수화물이 프럭토스를 포함하거나 주로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3.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폴리올이 당 알코올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4.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폴리올을 포함하거나 감미료 폴리올을 추가로 포함하되, 감미료 폴리올은 자일리톨, 말티톨,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트레이톨, 아라비톨, 수소화된 전분 가수분해물(HSH), 아이소말트, 락티톨, 만니톨 및 갈락티톨(둘시톨)로 이루어지는 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5.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형이 분말, 예를 들어 자유 유동 분말과 같은 미립자 고체 형태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6.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적어도 5%의 제1 값만큼 더 크고, 대조용 제형에는 제1 단백질이 없지만, 다른 것은 가식성 제형과 동일하고, 가식성 제형 및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은 표준 분리 작업 결정에 의해 결정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7. 실시형태 127에 있어서, 제1 값이 최대 20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8. 실시형태 127에 있어서, 제1 값이 5% 내지 18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29. 실시형태 127에 있어서, 제1 값이 10% 내지 15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30. 실시형태 127에 있어서, 제1 값이 10% 내지 12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31. 실시형태 127에 있어서, 제1 값이 15% 내지 11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32. 실시형태 127에 있어서, 제1 값이 5% 내지 150%, 5% 내지 125%, 10% 내지 100%, 10% 내지 80%, 15% 내지 125%, 20% 내지 180%, 20% 내지 150%, 20% 내지 125%, 20% 내지 100%, 20% 내지 80%, 30% 내지 150%, 30% 내지 125%, 30% 내지 100%, 30% 내지 80%, 40% 내지 150%, 40% 내지 125%, 40% 내지 100%, 40% 내지 80%, 50% 내지 150%, 50% 내지 125%, 50% 내지 100% 또는 50% 내지 9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33. 실시형태 127 내지 1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값이 최대 100%, 최대 90%, 최대 80%, 최대 70%, 최대 60%, 최대 50% 또는 최대 4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34.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적어도 3%의 제2 값만큼 더 크고, 대조용 제형에는 제1 단백질이 없지만, 다른 것은 가식성 제형과 동일하고, 가식성 제형 및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은 표준 최대 분리력 결정에 의해 결정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35. 실시형태 134에 있어서, 제2 값이 최대 15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36. 실시형태 134에 있어서, 제2 값이 3% 내지 12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37. 실시형태 134에 있어서, 제2 값이 5% 내지 12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38. 실시형태 134에 있어서, 제2 값이 5% 내지 10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39. 실시형태 134에 있어서, 제2 값이 5% 내지 7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40. 실시형태 134에 있어서, 제2 값이 5% 내지 5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41. 실시형태 134에 있어서, 제2 값이 5% 내지 3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42. 실시형태 134에 있어서, 제2 값이 7% 내지 5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43. 실시형태 134에 있어서, 제2 값이 7% 내지 2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44. 실시형태 134에 있어서, 제2 값이 10% 내지 5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45. 실시형태 134에 있어서, 제2 값이 3% 내지 100%, 3% 내지 60%, 3% 내지 40%, 7% 내지 100%, 7% 내지 80%, 7% 내지 70%, 7% 내지 60%, 7% 내지 40%, 8% 내지 60%, 8% 내지 40%, 8% 내지 30%, 10% 내지 80%, 10% 내지 60%, 10% 내지 35% 또는 10% 내지 30%의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46. 실시형태 134 내지 1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값이 최대 65%, 최대 60%, 최대 55%, 최대 50%, 최대 45%, 최대 40%, 최대 35%, 최대 30%, 최대 25% 또는 최대 2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47.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적어도 5%의 제1 값만큼 더 크고, 대조용 제형에는 제1 단백질이 없지만, 다른 것은 가식성 제형과 동일하며, 제1 값은 표준 분리 작업 결정에 의해 결정되며;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은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적어도 3%의 제2 값만큼 더 크고, 제2 값은 표준 최대 분리력 결정에 의해 결정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48. 실시형태 147에 있어서, 제1 값이 5% 내지 150% 범위 내이고, 제2 값이 3% 내지 7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49. 실시형태 147에 있어서, 제1 값이 10% 내지 125% 범위 내이고, 제2 값이 5% 내지 5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50. 가식성 제형으로서,
(a) 감미료 탄수화물 및 감미료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감미료를 함유하는 감미료 입자;
(b) 감미료 입자 내에 배치된 식물성 단백질;
(c) 지방;
(d) 선택적으로 전분; 및
(e) 선택적으로 가식성 충전제
를 포함하되, 감미료 입자 내 감미료에 대한 식물성 단백질의 중량 대 중량 비율이 0.02% 내지 1.5% 범위 내이고;
가식성 제형 내 감미료, 지방 및 전분의 총 농도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3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51.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52.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의 가식성 충전제의 농도가 적어도 3.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53. 실시형태 152에 있어서, 가식성 충전제의 농도가 적어도 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54. 실시형태 152에 있어서, 가식성 충전제의 농도가 적어도 7%, 적어도 10%, 적어도 12% 또는 적어도 1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55. 실시형태 152에 있어서, 가식성 충전제의 농도가 3% 내지 3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56. 실시형태 152에 있어서, 가식성 충전제의 농도가 3% 내지 3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57. 실시형태 152에 있어서, 가식성 충전제의 농도가 5% 내지 30%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58. 실시형태 152에 있어서, 가식성 충전제의 농도가 7% 내지 2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59. 실시형태 152에 있어서, 가식성 충전제의 농도가 10% 내지 3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60. 실시형태 152에 있어서, 가식성 충전제의 농도가 10% 내지 2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61. 실시형태 152에 있어서, 가식성 충전제의 농도가 12% 내지 2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62. 실시형태 152에 있어서, 가식성 충전제의 농도가 15% 내지 25% 범위 내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63.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의 가식성 충전제가 가용성 섬유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64.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의 가식성 충전제가 식이섬유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65. 실시형태 164에 있어서, 식이섬유가 가용성 식이섬유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66.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의 가식성 충전제가 다당류 충전제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67. 실시형태 166에 있어서, 다당류 충전제가 프럭탄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68. 실시형태 167에 있어서, 프럭탄이 이눌린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69. 실시형태 167에 있어서, 프럭탄이 이눌린을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70.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의 가식성 충전제가 올리고당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71. 실시형태 170에 있어서, 올리고당이 프럭토올리고당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72.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의 가용성 섬유가 저항성 말토덱스트린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73.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의 가용성 섬유가 가용성 옥수수 섬유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74.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의 가용성 섬유가 폴리덱스트로스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75.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미료 및 지방의 총 농도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1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76. 실시형태 175에 있어서, 실시형태 256의 총 농도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1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77. 실시형태 175에 있어서, 실시형태 256의 총 농도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20% 이상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78. 실시형태 175에 있어서, 실시형태 256의 총 농도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25%, 적어도 30% 또는 적어도 4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79.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의 감미료, 지방 및 전분의 총 농도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32%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80. 실시형태 179에 있어서, 실시형태 261의 총 농도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4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81. 실시형태 179에 있어서, 실시형태 261의 총 농도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5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82. 실시형태 179에 있어서, 실시형태 261의 총 농도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6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83.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의 감미료, 지방, 전분, 및 가식성 충전제의 총 농도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50%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84. 실시형태 183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 실시형태 268의 총 농도가 적어도 5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85. 실시형태 183에 있어서, 실시형태 268의 총 농도가 적어도 6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86. 실시형태 183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 실시형태 268의 총 농도가 적어도 75%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87.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식성 제형 내 코코아 분말의 농도가 적어도 2%인,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88.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5%의 감미료, 적어도 5%의 지방, 및 적어도 5%의 전분을 함유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89. 실시형태 188에 있어서, 적어도 2%의 가식성 충전제를 함유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90. 실시형태 188 또는 실시형태 278에 있어서, 적어도 10%의 감미료, 적어도 10%의 지방, 적어도 10%의 전분을 함유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91. 실시형태 188에 있어서, 적어도 5%의 가식성 충전제를 함유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92. 실시형태 188에 있어서, 적어도 8%의 가식성 충전제를 함유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93. 선행하는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제1 단백질의 적어도 40%를 구성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94. 실시형태 193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제1 단백질의 적어도 60%를 구성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95. 실시형태 193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제1 단백질의 적어도 80%를 구성하는, 가식성 제형.
실시형태 196. 실시형태 193에 있어서, 식물성 단백질이 제1 단백질 전부를 구성하는, 가식성 제형.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용어 "식물성 단백질"은 콩과 식물, 곡물, 지방종자, 견과류, 가식성 종자, 괴경, 잎 및 열매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임의의 천연 식물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식물성 단백질"은 또한 관련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천연 단백질의 변성 단백질, 또는 천연 단백질의 변형 단백질을 포함하는 비천연 식물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용어 "식물성 단백질"은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 예를 들어 완두콩 단백질 가수분해물 또는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것을 추가로 의미한다.
"천연" 단백질은 4가지 수준의 생체분자 구조를 모두 소유할 수 있으며, 여기서 2차 구조부터 4차 구조까지는 공유 결합된 백본을 따라 약한 상호작용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용어 "필수 단백질" 등은 가수분해되지 않거나 최대한 부분 가수분해된 단백질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용어 "필수 식물성 단백질" 등은 가수분해되지 않거나 최대한 부분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을 의미한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변성 단백질"(또는 "변성 식물성 단백질" 등)이라는 용어는 공유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붕괴와 같은 1차 단백질 구조의 붕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가수분해된 단백질", "완전 가수분해된 단백질"(또는 이와 유사물)이라는 용어는 공유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파괴와 같은 1차 단백질 구조의 붕괴를 겪은 단백질 구조를 의미한다는 것을 추가로 강조한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용어 "글로불린"은 글로불린 부류 내의 적어도 하나의 글로불린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용어 "알부민"은 알부민 계열(전형적으로 2S)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알부민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프롤라민"은 프롤라민 계열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프롤라민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글루텔린"은 글루텔린 계열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프롤라민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레구민", "콘비실린", "비실린" 등은 특정 계열 내의 그러한 종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제형 내의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용어 "주로 포함한다"는 중량 기준으로 제형 내의 주요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우세하게 포함한다"는 제형 내의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적어도 65%의 중량 함량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분"은 식품에 사용되거나 사용될 수 있는 가식성 전분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전분에는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더욱 전형적으로는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이 모두 포함된다. 특정 식품 또는 그 안의 전분에, 예를 들어 저온에서의 겔화 방지, 낮은 pH에 대한 내성 또는 고전단 또는 고온에 대한 저항성을 포함하는 특정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전분의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종종 전분은 밀가루와 같은 성분에 존재한다. 흰 밀가루에서, 전분 함량은 전형적으로 약 68%이다. 귀리에서, 전분 함량은 전형적으로 약 58%이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 사용된 바와 같이 실온(25℃)에서 고체인 지방, 예를 들어, 소 지방, 쇼트닝, 팜유, 및 버터를 포함할 뿐 아니라, 용어 "지방"은 실온에서 액체인 지방, 예를 들어 쿠킹 오일을 포함하는 가식성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식성 오일의 구체적인 예는 올리브유, 호두유, 옥수수유, 및 면실유이다.
지방은 별도의 성분일 수 있거나, 또는 식품 성분 내의 성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헤이즐넛 페이스트 및 코코아 파우더는 모두 지방을 함유한다.
평균 입자 크기(D50)는 집단 내의 입자 수("DN50")에 기초할 수 있거나, 또는 입자의 부피(DV50)에 기초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은 정적 광산란(SLS), 동적 광산란(DLS), 체질 및 다양한 현미경 방법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일부 방법은 더 큰 범위의 입자에 바람직할 수 있고, 다른 방법은 더 작은 범위의 입자에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다음의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퍼센트" 또는 "%"는 달리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중량%를 지칭한다. 그러나, 특히 적어도 하나의 단백질과 적어도 하나의 감미료를 함유하는 제형과 관련하여, 단백질의 중량%는 감미료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650g의 수크로스 및 350g의 물을 함유하는 시럽에 분산된 1.95g의 단백질(예,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 내)을 함유하는 이러한 제형에서 단백질의 중량%는 1.95/650 = 0.3%이다.
본 명세서 및 다음의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농도"는 달리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의 농도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및 다음 청구범위 부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비율"은 달리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중량 비율을 지칭한다.
수량과 관련하여 사용된 수식어 "약" 및 "실질적으로"는 명시된 값을 포함하며 문맥에 따라 의미가 결정된다(예를 들어, 적어도 특정 수량의 측정과 연관된 오차 정도를 포함함). 특정 값과 함께 사용될 경우 해당 값을 개시하는 것으로도 간주되어야 한다.
본 출원 및 청구범위의 문맥에서, "A와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어구는 포괄적인 "또는"과 동등하며, "A만", "B만", "A와 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포괄적인 "또는"과 동등하며, "A만", "B만", "C만", "A와 B", "A와 C", "B와 C" 또는 "A와 B와 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명확성을 위해 별도의 실시형태의 문맥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특정 특징은 단일 실시형태에 조합으로 제공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반대로, 간략화를 위해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별도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조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의 특정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관련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는 많은 대안, 수정 및 변형이 명백할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넓은 범위에 속하는 모든 그러한 대안, 수정 및 변형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각각의 개별 간행물,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것으로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표시된 것처럼 동일한 정도로 명세서에 참고로 전체가 포함된다. 또한, 본 출원의 임의의 참고문헌의 인용 또는 식별은 그러한 참고문헌이 본 발명에 대한 선행 기술로서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0)

  1. 가식성 제형(edible formulation)으로서,
    (a) 감미료 탄수화물 및 감미료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감미료를 함유하는 감미료 입자; 및
    (b) 상기 감미료 입자 내에 배치된 제1 단백질로서,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단백질
    을 포함하되; 상기 감미료 입자 내 상기 감미료에 대한 상기 제1 단백질의 중량 대 중량 비율은 0.02% 내지 0.7% 범위 내이고;
    상기 감미료 입자 내의 상기 감미료는 우세하게 결정질인, 가식성 제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은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더 크며, 상기 대조용 제형에는 상기 제1 단백질이 없지만 다른 것은 상기 가식성 제형과 동일하며, 상기 가식성 제형의 상기 점막 접착은 상기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을 3% 내지 200% 초과하는, 가식성 제형.
  3. 가식성 제형으로서,
    (a) 감미료 탄수화물 및 감미료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감미료를 함유하는 감미료 입자; 및
    (b) 상기 감미료 입자 내에 배치된 제1 단백질로서,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단백질
    을 포함하되; 상기 감미료 입자 내 상기 감미료에 대한 상기 제1 단백질의 중량 대 중량 비율은 0.02% 내지 0.7% 범위 내이고;
    상기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은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보다 3 내지 200% 더 크고, 상기 대조용 제형에는 상기 제 1 단백질이 없지만 다른 것은 상기 가식성 제형과 동일한 것인, 가식성 제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성 제형의 상기 점막 접착이 상기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을 최대 125% 초과하는, 가식성 제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성 제형의 상기 점막 접착이 상기 대조용 제형의 점막 접착을 최대 100%, 최대 75%, 최대 50%, 최대 40%, 최대 30% 또는 최대 25% 초과하는, 가식성 제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성 제형의 상기 점막 접착이 상기 대조용 제형의 점착 접착을 적어도 4%, 적어도 5%, 적어도 6%, 적어도 7%, 적어도 10%, 적어도 15% 또는 적어도 20% 초과하는, 가식성 제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가 정규화된 단맛 척도에서 적어도 0.25의 단맛을 갖는, 가식성 제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가 수크로스를 포함하거나, 수크로스를 우세하게 포함하거나, 또는 수크로스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식성 제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 및 상기 제1 단백질이 상기 가식성 제형의 적어도 80%를 구성하는, 가식성 제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단백질이 상기 제1 단백질의 적어도 25%를 구성하는, 가식성 제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표준 최대 분리력 결정에 의해 결정되는, 가식성 제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성 제형의 점막 접착이 표준 분리 작업 결정에 의해 결정되는, 가식성 제형.
  13. 식품 제형으로서,
    (a)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식성 제형; 및
    추가 성분으로서,
    (b) 지방;
    (c) 선택적으로 전분; 및
    (d) 선택적으로, 가식성 충전제
    를 포함하는, 상기 추가 성분
    을 포함하되, 상기 식품 제형 내 상기 제1 단백질의 중량 함량은 건조 기준으로 0.01% 내지 0.5% 범위 내인, 식품 제형.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3%의 상기 가식성 충전제를 함유하는, 식품 제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제형 내 상기 지방, 상기 가식성 충전제, 상기 전분, 및 상기 가식성 제형, 상기 감미료 및 상기 감미료 입자 중 어느 하나의 총 농도가 적어도 30%인, 식품 제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총 농도가 적어도 60%인, 식품 제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0%의 상기 지방, 적어도 10%의 상기 전분, 적어도 5%의 상기 가식성 충전제, 및 적어도 8%의 상기 가식성 제형, 상기 감미료, 및 상기 감미료 입자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식품 제형.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5%의 상기 전분을 함유하는, 식품 제형.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제형 내 감미료의 총량에 대한 상기 감미료 입자 내 상기 감미료의 비율이 적어도 50%, 적어도 65%,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85%인, 식품 제형.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식품 제형을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a)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식성 제형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가식성 제형을 상기 추가 성분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c) 선택적으로, 단계 (b)의 생성물을 승온으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품 제형을 생산하는 방법.
KR1020247011773A 2021-10-06 2022-10-06 감미료 제형 KR202400721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62172P 2021-10-06 2021-10-06
US63/262,172 2021-10-06
US202163253133P 2021-10-07 2021-10-07
US63/253,133 2021-10-07
IBPCT/IB2022/050065 2022-01-05
PCT/IB2022/050065 WO2022149072A1 (en) 2021-01-05 2022-01-05 Sweetener formulations
IBPCT/IB2022/057310 2022-08-05
PCT/IB2022/057310 WO2023012741A1 (en) 2021-08-05 2022-08-05 Sweetener concentrate formulations
PCT/IB2022/059568 WO2023057956A1 (en) 2021-10-06 2022-10-06 Sweetener formul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2179A true KR20240072179A (ko) 2024-05-23

Family

ID=8580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773A KR20240072179A (ko) 2021-10-06 2022-10-06 감미료 제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91832A1 (ko)
KR (1) KR20240072179A (ko)
CA (1) CA3233709A1 (ko)
IL (1) IL311417A (ko)
WO (1) WO2023057956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8002254A (es) * 2015-08-28 2018-09-11 Douxmatok Ltd Metodo para producir composiciones de edulcorantes y composiciones edulcorantes.
US20210045420A1 (en) * 2018-05-08 2021-02-18 Weiyao Shi Sweetener and flavor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91832A1 (en) 2024-07-03
IL311417A (en) 2024-05-01
CA3233709A1 (en) 2023-04-13
WO2023057956A1 (en)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850B2 (en) Functional mung bean-derived compositions
US8551544B2 (en) Protein isolat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MXPA04004958A (es) Mezcla de proteina de soya para barras blandas de alimento dulce.
EP4271198A1 (en) Oat protein composition of high solubility
CA2544879C (en) Cream fill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it
KR20240072179A (ko) 감미료 제형
WO2022248601A1 (en) Leguminous protei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acid-gelling properties
Khalid et al. The effect of pH on foaming properties of cowpea (Vigna ungiculata L. walp) flour and protein isolates
JP2008200031A (ja) 焼き菓子類
CN118076241A (zh) 甜味剂制剂
KR20240047988A (ko) 감미료 농축물 제형
CN118139534A (zh) 甜味剂制剂
WO2023057966A1 (en) Sweetener formulations
WO2020083860A1 (en) Caseinate powder for a confectionary product
US20230148625A1 (en) Pongamia protein product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using thereof
WO2021246469A1 (ja) 油性固形食品
WO2024115521A1 (en) Leguminous protein extract having improved acid-gelling properties
CN117500381A (zh) 具有改善的酸胶凝特性的豆类蛋白质组合物
WO2024008334A1 (en) Low-lipid pea protein isolate
US20240060108A1 (en) Low lipid content oat protein composition without traces of organic solvent or surfac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