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1624A - 바람에 날리지 않는 스카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람에 날리지 않는 스카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1624A
KR20240071624A KR1020220153331A KR20220153331A KR20240071624A KR 20240071624 A KR20240071624 A KR 20240071624A KR 1020220153331 A KR1020220153331 A KR 1020220153331A KR 20220153331 A KR20220153331 A KR 20220153331A KR 20240071624 A KR20240071624 A KR 20240071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rf
fabric
lining
fixing part
cor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3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란
Original Assignee
송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안희란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안희란 filed Critical 송원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40071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16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Abstract

본 발명은 직조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절단한 겉감, 안감과 직조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절단한 심재 또는 솜이 차례로 부착되어 형성된 원단; 상기 원단에서 폭 방향 중앙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 1 고정부; 상기 원단의 폭을 이등분하여 일 면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제 2 고정부; 를 포함함으로써, 매듭이 없고 길이감이 짧고 구김이 없으며, 바람에 잘 날리지 않고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착용이 간편하고 세련된 느낌과 다양한 개성을 나타낼 수 있고 보온, 보냉의 기능성을 높인 스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람에 날리지 않는 스카프 및 그 제조방법{SCARF PREVENTING BLOWING IN THE WIN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와이셔츠에 용이하게 착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매듭이 없이 고정부에 의해 양단을 결합하여 와이셔츠에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스카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남성들이 정장을 입을 때에는 와이셔츠와 함께 반드시 넥타이를 착용하게 되며 정장패션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을 제공하고 패션의 포인트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로 넥타이이다.
따라서 넥타이는 원단에서부터 최상급의 제품을 선택하여 현란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의 무늬를 도안화하여 이를 넥타이에 적용하고 있으며, 기하학적인 무늬나 고급스러운 느낌의 그림을 세련된 감각의 색상으로 인쇄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최근 들어 소비자들은 보다 발전되고 세련된 느낌의 디자인을 가진 넥타이를 요구하고 있으며, 현재와 같이 원단 및 다양한 디자인의 변화만으로는 이러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넥타이는 목에 맸을 때 구김이 생기고 바람에 쉽게 흩날려 스타일을 유지할 수 없으며, 배꼽까지 늘어지는 길이감 때문에 움직일 때마다 끝부분이 들뜨기 때문에 생활하는데 약간의 불편함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넥타이는 매듭을 통하여 착용하기 때문에 그 착용이 번거롭고 초보자들에게는 용이하지 않아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도 하며, 매듭이 미려하지 않게 묶인 경우에는 다시 풀고 새롭게 매듭을 묶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넥타이의 매듭이 획일적으로 동일하여 다양한 개성의 표현이 어렵고 딱딱한 분위기를 가지게 되며, 미적 효과 이외에 보온, 보냉의 효과가 거의 없어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넥타이가 가지는 장식적 효과에 더하여 착용이 편리하고, 흩날리지 않도록 고정이 용이하며, 종래 넥타이가 가지는 것보다 자유롭고 개성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보온, 보냉 효과가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를 가진 기존의 넥타이를 대체할 스카프의 발명이 요구된다.
또한, 본 스카프를 제조하기위해 사용되는 천의 컷팅방향과 여러겹의 천을 부착하는 방법에 특징이 있는 스카프 제조방법의 발명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219661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셔츠에 용이하게 탈부착 함으로써 착용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넥타이를 착용할 때느낄 수 있는 세련되고 품격있는 분위기를 용이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며, 길이감을 짧게 표현해 자유롭고 개성있는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스카프 양단끼리 고정한 후 스카프 자체가 와이셔츠에 고정되도록 하여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게 하고, 계절에 맞게 보온, 보냉 기능성도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카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카프는 직조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절단한 겉감 및 안감으로 이루어지거나 이에 추가하여 직조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절단한 심재 또는 솜이 차례로 부착되어 형성된 원단; 상기 원단에서 폭 방향으로 이등분하여 중앙 또는 어느 한 쪽 면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 1 고정부; 상기 원단의 폭을 이등분하여 어느 한 쪽 면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제 2 고정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단의 양측 끝단에 융천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는 스냅단추, 벨크로 및 단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어도 한 쌍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는 스냅단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는 스냅단추, 벨크로 및 단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어도 한 쌍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는 벨크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카프의 제조방법은,
1) 겉감, 안감, 심재 및 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직조방향과 사선으로 절단하는 단계;
2) 겉감위에 안감을 다림질로 부착하거나 추가로 안감의 상면에 심재 또는 솜을 다림질로 부착하여 원단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원단을 폭 방향으로 1/2로 접고, 테두리를 마감처리하여 스카프를 제작하는 단계;
4) 상기 스카프를 폭 방향으로 이등분하여 그 중앙 또는 폭 방향으로 이등분하여 생기는 두 면 중 어느 한 면 쪽으로 치우치게하여 양측 끝단에 제 1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스카프를 폭 방향으로 이등분하여 일 면의 양측 끝단에 제 2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3)단계 후에 상기 원단의 양측 끝단에 융천을 더 결합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는 스냅단추, 벨크로 및 단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어도 한 쌍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는 스냅단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는 스냅단추, 벨크로 및 단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어도 한 쌍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는 벨크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카프에 의하면 넥타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를 가지고 있어, 스카프의 양단을 단추, 아일렛(eyelet)등의 고정부를 통하여 고정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근 신세대들이 넥타이 착용을 기피하는 원인으로 되고 있는 착용시의 번거로움을 개선함과 동시에 넥타이를 착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매듭이 없으므로 새로운 심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미적인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스카프의 후면에 밸크로를 부착하여 와이셔츠에 부착하여 끝단이 고정되게 함으로써 바람에 날림이없고, 처음에 착용한 형상이 계속 유지되며, 길이부가 짧게 마감됨으로 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고 보다 편리한 효과를 가져다준다.
여름용 스카프의 경우, 심재의 결합으로 인하여 구김이 없고 빳빳한 각을 유지한채 목 둘레에 고정되므로 목덜미에 직접 닿지 않아 통기가 잘되고 시원한 감촉을 느낄 수 있게 하고, 목 둘레에 매끄러운 감촉을 주기 때문에 상쾌함을 주며, 딱딱한 느낌의 스카프라는 새로운 형태의 미감을 나타내게 한다.
겨울용 스카프의 경우, 부드럽게 흘러내리는 재질을 사용하여 목덜미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는바 보온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내부에는 압축된 솜을 적층하여 보다 상승된 보온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본 스카프는 기존의 넥타이 또는 스카프와 다른 형태를 갖추게 되는바 보다 세련된 느낌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스카프의 제조방법을 통해 안감과 겉감, 심재 등이 다림질이라는 간편한 방법에 의하여 부착하게 함으로써 부착이 용이하고, 다림질로 알맞은 폭으로 접은 후 각을 만들 수 있으며, 안감과 겉감, 심재 등을 사선방향으로 컷팅하여 목에 감을 때 들뜨지 않고 고르게 목을 감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카프는 손빨래를 하거나 세탁기를 사용하여 손쉽게 물세탁이 가능한바 세탁 방법이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여름용 스카프의 3층 구조로 된 원단의 사시도, (b)는 본 발명의 겨울용 스카프의 3층 구조로 된 원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단을 반 접어 테두리를 마감한 스카프의 개략도.
도 3은 여름용 스카프에 스냅단추와 벨크로를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겨울용 스카프에 스냅단추, 벨크로, 융천을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5의 (a)는 여름용 스카프의 스냅단추 간 결합시킨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b)는 겨울용 스카프의 스냅단추 간 결합시킨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에 착용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넥타이를 대체할 수 있는 스카프(50)에 관한 것으로, 스카프를 구성하는 원단(10), 스카프 양 끝끼리 결합시킬 수 있는 제 1 고정부(20), 상기 제 1 고정부(20)에 의해 고정된 스카프의 양 끝을 와이셔츠에 부착하여 고정 시킬 수 있는 제 2 고정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단(10)은 3종류의 천으로 이루어지며, 겉감(1), 안감(2) 및 심재(3)가 차례로 3층 구조로 결합하여 형성되고 이는 사계절 내내 사용이 가능하고 특히 여름용으로 적합하다. 심재(3)의 결합으로 인하여 구김이 없고 빳빳한 각을 유지한 채 목 둘레에 고정되므로 목덜미에 직접 닿지 않아 통기가 잘되고 시원한 감촉을 느낄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상기 원단(10)에 심재(3) 대신 솜(4)을 사용한 3층 구조의 원단(10)으로 스카프(50)를 만드는 경우 이는 겨울용으로 적합하다. 솜(4)이 적층되어 있으므로 보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압축된 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 솜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얇은 두께로 제작되므로 스타일도 살리고 보온성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겨울용 스카프는 겉감(1) 및 안감(2)으로만 이루어진 2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름용과 달리 심재(3)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뻣뻣하지 않고 목에 감았을 때 부드럽게 흘러내려 목덜미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는바 보온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원단(10)에 사용되는 겉감(1), 안감(2), 심재(3) 및 솜(4)은 모두 직물의 직조방향과 사선으로 절단하여 제작한다. 직조 방향과 나란하게 절단하는 경우 원단을 접어 목에 둘렀을 때 뜨거나 직조 방향대로 접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목에 맞는 곡선 모양이 잡히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원단(10)에 사용되는 겉감(1), 안감(2), 심재(3) 및 솜(4)을 모두 직조방향과 사선으로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원단(10)이 사선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게 하여 스카프(50)를 목에 감을 때 들뜨지 않고 고르게 밀착되게 할 수 있다.
도 1의 (a), (b)와 같이 직조방향과 사선으로 절단된 겉감(1) 위에 안감(2)을 덧대고 다리미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후, 안감(2) 위에 심재(3) 또는 솜(4)을 덧대고 마찬가지로 다림질로 부착시켜 3층 구조로 된 원단(10)을 제작한다.
도 1의 (c)와 같이 직조방향과 사선으로 절단된 겉감(1) 위에 안감(2)을 덧대고 다리미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경우 2층 구조로 된 겨울용 스카프의 원단을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안감(2), 심재(3) 및 솜(4)에는 각각 풀을 먹여 놓아 다리미의 열에 의하여 접착력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안감(2), 심재(3) 및 솜(4)을 모두 접착심지(fusible interlining) 종류를 사용하여 이들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부착시킨다. 다림질을 통하여 3종류의 천을 겹쳐서 원단(10)을 만드는 경우, 천 사이가 들뜨지 않고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며, 주름이 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겉감(1)으로는 부드러운 소재의 천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카프 또는 넥타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직물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크, 폴리에스터, 샤무즈(샤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감(2)으로는 부드럽고 얇은 모든 직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두께는 약 0.1mm 이하의 얇은 나일론 소재 또는 경편(經編, warp knitting)심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심재(3)는 약간 뻣뻣한 재질이 적합하며, 여름용 스카프에 사용되기 때문에 메시(mesh) 구조를 갖는것이 바람직하고, 모든 심지(Interlining)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모심지(Hair Canvas) 또는 TC 심지 소재가 적합하다.
상기 원단(10)을 제작한 후에, 도 2와 같이 원단(10)의 폭을 이등분하여 겉감(1)이 바깥으로 나오고 심재(3) 또는 솜(4)이 안으로 들어가도록 접어서 모든 테두리를 바느질 등으로 마감처리(11) 하여 스카프(50)의 형상을 완성한다.
2층 구조로 된 겨울용 스카프(50)는 원단의 폭을 이등분하여 겉감(1)이 바깥으로 나오고 안감(2)이 안으로 들어가도록 접어서 모든 테두리를 바느질 등으로 마감처리 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스카프(50)의 총 길이는 70 ~ 90 cm 이고, 폭은 6 ~ 8 cm이며, 두께는 약 1mm 내외이다. 다만, 겨울용 스카프는 솜을 넣는 경우에 두께가 약 1 - 5 mm가 될 수 있다.
상기 스카프(50)를 도 3과 같이 폭 방향으로 이등분 하여 다리미로 접고, 그 때 생기는 중앙의 주름 위에 제 1 고정부(20)를 형성한다. 스카프(50)의 양 끝단으로부터 10 내지 20 cm 떨어진 부위에 제 1 고정부(20)를 형성하여야 하며, 양쪽이 대칭되도록 형성하여야 목에 두르고 난 후 길게 남는 양 끝단을 서로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고정부(20)는 한 쌍 또는 필요에 따라 그 이상 형성 할 수 있으며, 스냅 단추(snap button), 단추, 벨크로 등 일반적으로 직물의 결합에 쓰이는 모든 결합재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스냅단추가 크기가 작고 작은 힘으로도 쉽게 탈착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스카프(50)에는 와이셔츠에 부착할 수 있는 제 2 고정부(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고정부(30)는 도 3과 같이 상기 스카프(50)를 폭 방향으로 이등분 하여 생기는 두 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할 수 있다. 스카프(50)의 양 끝단으로부터 제 1 고정부가 형성된 위치 사이에 형성할 수 있고, 양 쪽이 대칭이 되도록 형성한다.
제 2 고정부(30)는 한 쌍 또는 필요에 따라 그 이상 형성 할 수 있으며, 스냅 단추, 단추, 벨크로 등 일반적으로 직물의 결합에 쓰이는 모든 결합재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벨크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겨울용 스카프(50)이며, 2층 구조 또는 솜을 포함하는 3층 구조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겨울용은 스카프(50)는 스카프의 폭 방향으로 이등분하여 생기는 두 면 중 어느 한 면 쪽으로 치우치게 제 1 고정부(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재질이 부드럽게 흘러내리는 특성을 가지므로 자연스럽게 구겨지는 형태대로 목에 감길 수 있게 여름용 스카프와는 달리 한쪽 면으로 치우치게 제 1 고정부(20)를 형성한다.
스카프(50)는 양측 끝단에 융천(4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융천(40)은 수벨크로와 직접 결합이 가능한 재질 특성을 가지는바, 와이셔츠에 수벨크로를 부착하는 경우에 스카프의 융천(40)부분이 직접 수벨크로와 결합되어 스카프(50)를 와이셔츠 앞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스카프(50)의 제 1고정부(20)로서 스냅단추가 사용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스카프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스냅단추의 수놈과 암놈을 결합시키면 착용자가 활동을 하거나 바람이 불더라도 스카프가 쉽게 풀리지 않고 양단이 결합된 채 목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등록특허 제10-0847197호에는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가 개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의 스카프(50)는 일실시예로 상기 등록특허의 와이셔츠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스카프 착용시 와이셔츠 깃 사이 뿐만 아니라 목위에 직접 착용할 수도 있으며, 셔츠 맨 윗 단추를 풀고 착용하여 자연스럽고 편안한 느낌을 연출할 수도 있다.
도 6은 상기 등록 특허인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와 본원발명인 스카프(50)를 함께 착용하여 와이셔츠 앞판에 부착된 벨크로(30)가 본 발명의 스카프의 양 끝단에 부착된 벨크로(30)와 결합 고정되는 경우를 나타낸 모습이다. 이 경우 본 발명 스카프의 양 끝단이 덮개 안쪽으로 들어가서 고정되므로 외관이 깔끔하고, 착용자가 활동을 하더라도 스카프의 끝단이 밖으로 빠져 나오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넥타이처럼 바람에 날리거나 활동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카프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겉감, 안감, 심재 및 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직조방향과 사선으로 절단하는 단계;
2) 겉감 위에 안감을 다림질로 부착하거나, 추가로 안감의 상면에 심재 또는 솜을 다림질로 부착하여 원단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원단을 폭 방향으로 1/2로 접고, 테두리를 마감처리하여 스카프를 제작하는 단계;
4) 상기 스카프를 폭 방향으로 이등분하여 중앙 또는 폭 방향으로 이등분하여 생기는 두 면 중 어느 한 면 쪽으로 치우치게 하여 양 끝단에 제 1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스카프를 폭 방향으로 이등분하여 일 면의 양측 끝단에 제 2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
또 다른 일실시예로 본 발명 스카프의 제조방법은 상기 3)단계 후에 상기 원단의 양측 끝단에 융천을 더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 단계에서 사용되는 겉감(1), 안감(2), 심재(3) 및 솜(4)은 모두 직물의 직조방향과 사선으로 절단하여 제작한다. 직조 방향과 나란하게 절단하는 경우 원단을 접어 목에 둘렀을 때 뜨거나 직조 방향대로 접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목에 맞는 곡선 모양이 잡히지 않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겉감(1), 안감(2), 심재(3) 및 솜(4)을 모두 직조방향과 사선으로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원단(10)이 사선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게 하여 스카프(50)를 목에 감을 때 들뜨지 않고 고르게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원단은 도 1의 (a), (b)와 같이 직조방향과 사선으로 절단된 겉감(1) 위에 안감(2)을 덧대고 다리미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후, 안감(2) 위에 심재(3) 또는 솜(4)을 덧대고 마찬가지로 다림질로 부착시켜 3층 구조로 된 원단(10)을 제작한다.
또는 도 1의 (c)와 같이 직조방향과 사선으로 절단된 겉감(1) 위에 안감(2)을 덧대고 다리미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경우 2층 구조로 된 겨울용 스카프의 원단(10)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스카프는 상기 원단(10)을 제작한 후에, 도 2와 같이 원단(10)의 폭을 이등분하여 겉감(1)이 바깥으로 나오고 심재(3) 또는 솜(4)이 안으로 들어가도록 접어서 모든 테두리를 바느질 등으로 마감처리(11) 하여 스카프(50)의 형상을 완성한다.
또는 2층 구조로 된 겨울용 스카프(50)를 제작하기 위하여 원단(10)의 폭을 이등분하여 겉감(1)이 바깥으로 나오고 안감(2)이 안으로 들어가도록 접어서 모든 테두리를 바느질 등으로 마감처리 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상기 4) 단계에서는 도 3과 같이 폭 방향으로 이등분 하여 다리미로 접고, 그 때 생기는 중앙의 주름 위에 제 1 고정부(20)를 형성한다. 스카프(50)의 양 끝단으로부터 10 내지 20 cm 떨어진 부위에 제 1 고정부(20)를 형성하여야 하며, 양쪽이 대칭되도록 형성하여야 목에 두르고 난 후 길게 남는 양 끝단을 서로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4) 단계에서 제 1 고정부(20)는 한 쌍 또는 필요에 따라 그 이상 형성 할 수 있으며, 스냅 단추(snap button), 단추, 벨크로 등 일반적으로 직물의 결합에 쓰이는 모든 결합재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스냅단추가 크기가 작고 작은 힘으로도 쉽게 탈착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5) 단계에서 제 2 고정부(30)는 도 3과 같이 상기 스카프(50)를 폭 방향으로 이등분 하여 생기는 두 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할 수 있다. 스카프(50)의 양 끝단으로부터 제 1 고정부가 형성된 위치 사이에 형성할 수 있고, 양 쪽이 대칭이 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5) 단계에서 제 2 고정부(30)는 한 쌍 또는 필요에 따라 그 이상 형성 할 수 있으며, 스냅 단추, 단추, 벨크로 등 일반적으로 직물의 결합에 쓰이는 모든 결합재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벨크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과 동일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1: 겉감
2: 안감
3: 심재
4: 솜
10: 원단
11: 마감
20: 제 1 고정부
30: 제 2 고정부
40: 융천
50: 스카프

Claims (5)

  1. 스카프에 있어서,
    겉감과 상기 겉감의 상부에 부착되는 안감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겉감이 부착되는 안감의 상부에 심재 또는 솜이 부착된 원단;
    상기 원단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스카프가 목에서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와이셔츠에 마련된 결합재와 체결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스카프의 양단부가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고정부;
    를 포함하되,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및 상기 심재는 직조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절단하여 제공되고,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원단을 폭 방향으로 접어 형성되는 접힘선상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원단을 상기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어 목에 두르고, 상기 제 1 고정부를 서로 체결할 경우 상기 원단이 목의 곡면을 따라 들뜨지 않고 고르게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의 양측 끝단에 융천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스냅단추 및 벨크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어도 한 쌍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스냅단추 및 벨크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어도 한 쌍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프.
  5. 1) 겉감 위에 안감을 다림질로 부착하되, 선택적으로 안감의 상면에 심재 또는 솜을 다림질로 부착하여 원단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원단을 폭 방향으로 1/2로 접고, 테두리를 마감처리하여 스카프를 제작하는 단계;
    3) 상기 스카프의 양단에 상호 결합 가능한 제 1 고정부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4) 와이셔츠에 마련된 결합재와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고정부와 인접한 위치에 제 2 고정부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및 상기 심재는 직조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절단하여 제공되고,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스카프를 폭 방향으로 접어 형성되는 접힘선상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스카프를 상기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어 목에 두르고, 상기 제 1 고정부를 서로 체결할 경우 상기 스카프가 목의 곡면을 따라 들뜨지 않고 고르게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프의 제조방법.
KR1020220153331A 2022-11-16 바람에 날리지 않는 스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71624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1624A true KR20240071624A (ko) 2024-05-2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6522B2 (en) Bandana headwear with flexible headband, having options of reversibility, attachable visor, attached cap and 3-way visor
JP4769956B2 (ja) ズボン
JP4744566B2 (ja) 首部覆いを兼ねる帽子
US20110055999A1 (en) Scarf allowing changeful styling possibilities
US20140013486A1 (en) Reversible storage visor, cap and sun hat
KR100981761B1 (ko) 코팅을 이용한 방수용 이중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제조된 이중장갑
US20140223636A1 (en) Reversible sun visor
ES2228849T3 (es) Materiales y productos que utilizan cintas de piel o piel artificial.
JP4147332B1 (ja) 新しい軽装帯
KR20240071624A (ko) 바람에 날리지 않는 스카프 및 그 제조방법
CN109831906B (zh) 衣服
KR101838714B1 (ko) 스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63222A (ko) 다용도 스카프
JP3218364U (ja) 二部式着物
JP7304605B1 (ja) セパレート着物
JP3238219U (ja) 作り帯
KR100938494B1 (ko) 원단의 연결무늬 및 이의 형성방법
CN216165275U (zh) 一种兜袋式休闲服饰
CN213096157U (zh) 一种多种穿法的连衣裙
JP3197944U (ja) 女袴
KR101371283B1 (ko) 라운드 깃을 갖는 양복의 제조방법 및 그 양복
KR102085479B1 (ko) 구분 구조의 넥 워머
KR200461648Y1 (ko)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
KR200257730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치마
JP2010106417A (ja) バチ衿型形状の衿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