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648Y1 -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 - Google Patents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648Y1
KR200461648Y1 KR2020100003413U KR20100003413U KR200461648Y1 KR 200461648 Y1 KR200461648 Y1 KR 200461648Y1 KR 2020100003413 U KR2020100003413 U KR 2020100003413U KR 20100003413 U KR20100003413 U KR 20100003413U KR 200461648 Y1 KR200461648 Y1 KR 200461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
pleated
wrinkles
outer shell
se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570U (ko
Inventor
장정애
김혜림
Original Assignee
김혜림
장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림, 장정애 filed Critical 김혜림
Priority to KR2020100003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64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5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6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4Folded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절기에 겉옷 위에 착용하여 방한복 또는 방풍복 등으로 사용되는 외투에 있어서 외투 외피의 후면의 등판 일정 부분과 상기 외투 외피의 전면의 좌우 어깨 일정 부분을 절개하고 그 부분을 제거하여 공간을 만든 후, 좌우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는 다수 겹의 주름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섬유로 제작한 주름 신축부를 상기 공간에 삽입하고 상기 주름 신축부의 선단을 상기 외투 외피의 절개된 부위에 봉제하여 부착함으로써, 한팔 또는 양팔을 사용하여 동작을 하거나 운전 등 기타 조작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상기 동작이나 조작을 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외투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장점이 있는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COAT HAVING PLEATED ELASTIC SECTIONS}
본 고안은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절기에 겉옷 위에 착용하여 방한복 또는 방풍복 등으로 사용되는 외투에 있어서 등판에 대응되는 일정 부분과 어깨와 팔이 연결되는 일정 부분에 신축성을 가지는 섬유로 제작한 좌우 방향으로 확장되는 주름이 형성된 주름 신축부를 봉제하여 부착함으로써, 한팔 또는 양팔을 이용한 동작을 하거나 운전 등 기타 기구 조작을 하는 경우에 외투를 착용하고도 동작이나 기타 기구 조작에 불편이 없도록 하여 매우 자유로운 활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에 겉옷 위에 착용하는 외투는 방한복 또는 방풍복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모직물이나 면직물, 피혁 등의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외투는 한 종류의 비신축성 섬유를 사용하여 외투 자체의 디자인과 정해진 사이즈에 따라 재단된 여러 패턴을 봉제하여 사이즈 별로 대량 생산되어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비신축성 섬유를 이용하여 고정된 형태로 봉제된 외투는 착용자의 신체 치수에 알맞은 사이즈의 외투를 착용하더라도 겉옷 위에 덧입어 착용하는 외투의 특성상 활동성이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한팔 또는 양팔을 사용하여 특정한 동작을 하거나 특히 운전 등과 같은 기구 조작을 하는 경우에 매우 제한된 범위에서만 동작이나 조작을 할 수밖에 없어서 몸 전체를 비틀어야 하거나 외투를 탈의한 후에 동작이나 운전 기타 조작 등을 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외투를 착의한 상태에서 무리한 동작이나 조작을 하는 경우에는 외투의 봉합선이나 기타 부위가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 -0040468은 여러 접합부위를 절개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를 덧대어 봉제하는 방법으로 제작된 의복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단순하게 일정부위를 절개한 후 그 절개 부위를 탄성 가변 소재를 이용하여 그대로 덧붙여서 이어주는 형태여서 탄성 가변 소재의 크기가 제약되어 활동성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며, 절개되거나 봉제된 부위가 최소화되어야 하는 동절기용 의복의 특성상 외투에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어 실용성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절개부위가 외부에 그대로 확연하게 들어나 디자인적으로도 좋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투의 등판에 대응되는 부분과 어깨와 팔이 연결되는 일정 부분에 신축성이 있는 주름이 형성된 구성품을 부착함으로써 한팔 또는 양팔을 사용하여 동작을 하거나 운전 기타 기구 조작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상기의 동작이나 조작을 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의복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는, 어깨로부터 가슴까지 칼라가 부착되어 있으며 허벅지까지 내려오는 전면과 뒷목으로부터 허벅지까지 길게 내려오는 후면 및 양팔 소매로 구성되는 외투에 있어서, 외투 외피의 후면의 등판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외투 외피의 어깨와 팔이 연결되는 일정 부분을 절개하고 그 부분을 제거하여 공간을 만든 후, 좌우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는 다수 겹의 주름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섬유로 제작한 주름 신축부를 상기 공간에 삽입하고 상기 주름 신축부의 가장자리 둘레를 상기 외투 외피의 절개된 부위에 봉제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외투의 칼라의 가장자리에는 형상가변 와이어를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봉제하여 외투 착용자가 임의로 칼라의 형태를 조절하여 자신의 기호에 따라 외투 칼라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두 겹의 천으로 이루어진 이중 원단의 하단을 말아 올린 후 상기 이중원단의 상단과 하단을 함께 봉제하여 내부에 공기층을 내포하고 있는 퍼프 방풍부를 상기 외투의 전면과 후면의 하단부 끝단에 봉제한 후 부착하여 외투의 하부로 바람이나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외투의 전면과 접합되는 부분에 일정 길이의 주름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가공된 전면 포켓을 상기 외투의 전면 하부의 양측에 봉제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외투의 외피의 재질이 재생 나일론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외투의 후면 등판에 대응되는 부분과 어깨와 팔이 연결되는 일정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는 주름이 형성된 구성품을 부착함으로써, 한팔 또는 양팔을 사용하여 동작을 하거나 운전 등 기타 조작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상기 동작이나 조작을 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외투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투의 칼라에 형상가변 와이어를 삽입함으로써, 외투 착용자가 임의로 칼라의 형태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다양한 외투의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외투의 하단부에 이중원단으로 제작되어 공기층을 내포하는 구성품을 부착함으로써 외투의 하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여 보온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프를 이용한 우수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뛰어난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투의 전면 포켓에 주름을 형성하여 부피감을 줌으로써 수납공간의 다양한 활용과 디자인적 장점을 제공하며, 외투의 외피를 재생 나일론섬유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자원 재활용에 일조하여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의 전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의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의 등판 확대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의 어깨 확대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의 칼라 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의 착용 사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의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는 외투 후면의 등판에 대응되는 부분과 어깨와 팔이 연결되는 일정 부분에 봉제되어 부착된 주름 신축부(120, 110)와, 가장자리에 형상가변 와이어(131)가 삽입되어 봉제되어 있는 칼라(130)와, 외투의 하단부 끝단에 봉제되어 부착된 퍼프 방풍부(140)와, 외투의 전면 하부의 양측에 봉제되어 부착된 주름이 가공된 전면 포켓(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투의 외피는 재생 나일론섬유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현재 개발된 재생 나일론섬유의 제조방법을 활용하면 기존의 의류용 나일론섬유와 거의 균등한 품질의 재생 나일론섬유를 생산할 수 있고, 시중에도 아웃도어용 재생 나일론섬유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이렇게 재생 나일론섬유를 이용하게 되면 자원 재활용의 측면에서 환경보호에 일조하게 되고 비용면에서도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되어 저렴하면서도 품질이 뛰어난 제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의 등판 확대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의 어깨 확대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주름 신축부(110, 120)를 상세히 살펴보면, 본 고안에 따른 외투의 주름 신축부는 여러 겹의 연속적 주름이 형성되도록 가공한 신축성 섬유로 제작되는데, 상기 외투의 외피의 후면의 등판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외투의 외피의 어깨와 팔이 연결되는 일정부분을 절개하여 제거한 후 각각의 공간에 맞는 크기로 재단된 상기 주름 신축부를 상기 절개 부위에 삽입하여 주름 신축부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절개 부위의 가장자리를 봉제하여 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름 신축부는 세로 방향으로 주름골(111, 121)을 형성하여 가로 방향으로 여러 겹의 주름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가공한 후 일정한 세로 방향 간격을 두고 가로 방향으로 봉제를 하여 주름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통 외투를 착용하였을 때에 상하 방향으로 동작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으나 좌우 방향으로 등을 구부린다든지 또는 팔을 움직인다든지 등의 동작을 하는 데에는 불편함이 많은 것을 감안하여 상기 주름 신축부가 주로 좌우 방향으로 확장하고 신축하는데 역할을 하도록 주름을 형성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의 칼라 부분 절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외투의 칼라(130)는 상기 외투의 디자인에 따른 형태로 제작된 칼라의 가장자리에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 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가변 와이어(131)를 삽입한 후 칼라 가장자리에 상기 형상가변 와이어가 고정되도록 봉제하여 제작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칼라에 형상가변 와이어를 삽입함으로써 외투 착용자가 외투를 착용하기 전이나 착용한 후에 언제든지 기호에 맞게 칼라의 형태를 임의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천편일률적인 외투 디자인에 특색을 줄 수 있다. 상기 외투의 기본 칼라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외투의 하단부에는 퍼프 방풍부(140)가 위치하고 있는데, 상기 퍼프 방풍부는 두 겹의 천으로 이루어진 이중 원단의 하단을 말아 올린 후 상기 이중 원단의 상단과 하단을 함께 봉제하여 일정 크기의 퍼프(141)가 형성되도록 제작되며, 상기 외투의 전면과 후면의 하단부 끝단에 봉제되어 부착되어 진다. 상기 이중 원단으로 형성한 퍼프의 내부에는 일정 부피의 공기층이 내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퍼프를 형성함으로써 디자인적으로 심미감을 갖게 함과 동시에 상기 퍼프에 공기층을 내포하게 하여 기능적으로 상기 외투 하부로 유입되는 바람이나 냉기를 차단하여 보온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투의 전면 포켓(150)은 상기 외투의 전면과 접합되는 부분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름이 형성되도록 가공하여 상기 외투의 전면 하부의 양측에 봉제되어 부착하게 되는데, 상기 전면 포켓은 주름이 형성되면서 부피감을 가지게 되어 많은 양 또는 다양한 크기의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고, 수납된 소지품의 양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전면 포켓의 형상이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기능적, 디자인적 역할을 한다.
상기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된 형상가변 와이어(131)가 삽입된 칼라(130), 퍼프 방풍부(140), 및 주름이 가공된 전면 포켓(150)은 특히 여성용 외투의 경우에 여러 가지 다양한 디자인으로 적극적으로 표현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지만, 남성용 또는 아동용 기타 용도의 외투에도 용도에 맞게 디자인이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 주름신축부 (어깨) 111 - 주름골 (어깨)
120 - 주름신축부 (등판) 121 - 주름골 (등판)
130 - 칼라 131 - 형상기억와이어
140 - 퍼프방풍부 141 - 퍼프
150 - 전면포켓

Claims (5)

  1. 어깨로부터 가슴까지 칼라가 부착되어 있으며 허벅지까지 내려오는 전면과 뒷목으로부터 허벅지까지 길게 내려오는 후면 및 양팔 소매로 구성되는 외투에 있어서,
    외투 외피 후면의 등판에서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일정 너비를 가지는 부분과 상기 외투 외피의 어깨와 팔이 연결되는 일정 부분을 절개 후 제거하여 공간을 만든 후, 좌우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는 다수 겹의 주름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섬유로 제작한 주름 신축부를 상기 공간에 삽입하고 상기 주름신축부의 가장자리 전체 둘레를 상기 외투 외피의 절개된 부위에 봉제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투의 칼라의 가장자리에는 형상가변 와이어를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봉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투의 전면과 후면의 하단부 끝단에 형성되며, 두 겹의 천으로 이루어진 이중원단의 하단을 말아 올려 이중원단의 상단과 함께 봉제하여 내부에 공기층을 내포하는 퍼프방풍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투의 전면 하부의 양측에는 봉제되어 부착되며, 상기 외투의 전면과 접합되는 부분에는 일정 길이의 주름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가공된 전면 포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투의 외피의 재질이 재생 나일론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
KR2020100003413U 2010-04-02 2010-04-02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 KR200461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413U KR200461648Y1 (ko) 2010-04-02 2010-04-02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413U KR200461648Y1 (ko) 2010-04-02 2010-04-02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570U KR20110009570U (ko) 2011-10-10
KR200461648Y1 true KR200461648Y1 (ko) 2012-07-26

Family

ID=4559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413U KR200461648Y1 (ko) 2010-04-02 2010-04-02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6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194A (ko) * 2014-10-22 2016-05-02 최재윤 기능성 셔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414A (ja) 2000-10-18 2002-05-09 Hiroko Kumanishi 介護用下着
JP2005248391A (ja) 2004-03-05 2005-09-15 Kanebo Ltd アンダーシャ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414A (ja) 2000-10-18 2002-05-09 Hiroko Kumanishi 介護用下着
JP2005248391A (ja) 2004-03-05 2005-09-15 Kanebo Ltd アンダーシャ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570U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04654B (zh) 坯布的层叠体以及衣服、寝具
JP6776340B2 (ja) 隠し伸縮背面層を備えた上着
US3144660A (en) Combination garment
US20140013486A1 (en) Reversible storage visor, cap and sun hat
US20140223636A1 (en) Reversible sun visor
KR200461648Y1 (ko) 주름 신축부가 구비된 외투
ES2228849T3 (es) Materiales y productos que utilizan cintas de piel o piel artificial.
US20160255887A1 (en) Scarf with Pockets and Hood
KR101121007B1 (ko) 다용도 스카프
CN204104891U (zh) 多功能作战服
CN208016935U (zh) 一种可调节领口大小的女士卫衣
JP3158867U (ja) 衣服
CN209331200U (zh) 一种保温、修身西装
JP4995887B2 (ja) シャツ
CN213307496U (zh) 一种用于袖笼透明条的固定结构
CN210538968U (zh) 一种石墨烯针织毛衣
CN221012041U (zh) 一种新型肩缝弹力茄克
CN220529323U (zh) 石墨烯面料的运动卫衣
CN202950008U (zh) 一种羽绒服
CN202950020U (zh) 一种棉袄
CN211407716U (zh) 翻领t恤
CN214382199U (zh) 一种拼装针织衫
CN215013726U (zh) 一种高弹拼接修身运动外套
CN214354734U (zh) 一种含有防皱面料的围巾
CN209135512U (zh) 一种可防水防油用羽绒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