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0302A - 계단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계단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0302A
KR20240070302A KR1020220152019A KR20220152019A KR20240070302A KR 20240070302 A KR20240070302 A KR 20240070302A KR 1020220152019 A KR1020220152019 A KR 1020220152019A KR 20220152019 A KR20220152019 A KR 20220152019A KR 20240070302 A KR20240070302 A KR 20240070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board
inclined panel
unit
stairs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무일
Original Assignee
편무일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무일 filed Critical 편무일
Publication of KR20240070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0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 B66B9/0807Driving mechanisms
    • B66B9/0815Rack and pinion, fricti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 B66B9/0846Guide rai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Abstract

계단 승강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계단 승강장치는 계단의 상단부에 고정결합되는 상단고정패널부와, 계단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는 하단고정패널부 및 상기 상단고정패널부와 하단고정패널부를 연결하여 계단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패널부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경사패널부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람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탑승보드부; 상기 경사패널부와 탑승보드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탑승보드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안내부; 상기 탑승보드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여 상기 탑승보드부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탑승보드부의 측부에 구성되어 상기 탑승보드부와 함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며 탑승자의 측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안전난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단 승강장치{lift apparatus for stair}
본 발명은 계단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단에 설치되어 노인, 환자 등과 같이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든 노약자가 탑승하여 편하게 계단을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해주는 계단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인들이나 환자 등과 같이 보행이 힘들고 어려운 노약자들은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에 불편함이 있으며, 이에 건물 편의시설로서 노약자들 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건물의 두 층 사이를 편하고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에스컬레이터(escalator)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체인등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에 의해 연접식 계단을 구동시켜 자동적으로 위아래층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만든 이동 계단 장치로서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규모가 큰 빌딩에 설치되는 대규모 설비로서 일반 주택이나 빌라, 다세대 주택, 소형상가 등 과 같은 소형 건물 또는 층수가 높더라도 면적이 적은 건축물에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고장발생으로 운행이 멈춘 경우 정지된 에스컬레이터 계단블럭을 직접 걸어서 대피해야 하기 때문에 대피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에스컬레이터는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매우 어려워 설비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고장에 취약하여 고장발생시 수리가 어려워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할 수 없는 건물 중에서도 6층 이상의 건물에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도록 건축법 상으로 의무화함으로써 6층 이상의 건물에서는 노약자등의 건물이용자들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윗층 또는 아랫층으로 편하게 이동할 수 있었으나, 5층 이하의 건물에서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5층 이하의 건물에서는 건물 이용자가 계단으로만 층이동이 가능하여 힘들게 이동해야 하고 특히 노약자들에게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이 대단히 힘들고 고통스러운 문제가 아닐 수 없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는 계단과는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건축면적이 적은 소형 건물에서는 계단 이외에 에스컬레이터나 엘레비어터를 설치를 계획조차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20-1993-0018167호 등록특허 10-082825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건물의 계단에 설치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로 옮길 수 있어,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가 없는 소형 건물에 적용설치하여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든 노약자들이 계단을 편하고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는 계단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계단에 일측부로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기존 계단과 병렬로 배치하여 기존 계단과 함께 병행하여 사용이 가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탑승자를 안전하게 상하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승강구동이 중단되어도 탑승자가 용이하게 계단으로 보행할 수 있는 계단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단 승강장치는 계단의 상단부에 고정결합되는 상단고정패널부와, 계단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는 하단고정패널부 및 상기 상단고정패널부와 하단고정패널부를 연결하여 계단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패널부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경사패널부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람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탑승보드부; 상기 경사패널부와 탑승보드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탑승보드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안내부; 상기 탑승보드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여 상기 탑승보드부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탑승보드부의 측부에 구성되어 상기 탑승보드부와 함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며 탑승자의 측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안전난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경사패널부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구성되며, 상기 경사패널부와 계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계단에 대해 상기 경사패널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안내부는, 상기 경사패널부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레일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의 선단에 결합구성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탑승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패널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탑승보드부의 하중을 지지하고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보드지지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드지지부는 상기 탑승보드부의 하단에 결합설치되며 상기 경사패널부를 향해 연장설치되는 롤러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의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경사패널부에 접촉하여 구름운동하도록 구성된 롤러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패널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롤러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롤러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안내홈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승강계단장치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계단에 설치하여 설치장소면적을 최소화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에스컬레이터나 엘레베이터가 없는 소형 건물에 쉽게 적용설치하여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든 노약자들이 편하게 윗층이나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단의 폭 일부에 설치되어 기존계단과 병렬로 배치하여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선택을 자유롭게 해주며, 또한, 탑승보드부에 안전난간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승강시 사용자가 안전하게 잡고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난간에 비상개폐도어가 구성되어 있어, 탑승보드부가 승강도중 멈춘 비상상황시에도, 비상개폐도어를 열어 신속하게 탑승보드부 옆의 계단으로 빠져나가 계단을 이용해 계속해서 보행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계단의 경사도 및 계단 높이에 대해서도 용이한 서치가 가능할 뿐 아니라, 계단에 견고하게 결합설치할 수 있어 설치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승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계단 승강장치의 본체부가 계단에 설치된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탑승보드부의 내부 구조 및 본체부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승강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난간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승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계단 승강장치(100)는 본체부(110), 탑승보드부(200), 승강안내부(220), 승강구동부(240), 안전난간부(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본체부(110), 탑승보드부(200), 안전난간부(300) 등의 구성은 스테인레스(ex. STS 314)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그 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부(110)는 계단(s)의 상단부에 고정결합되는 상단고정패널부(112)와, 계단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는 하단고정패널부(113)와, 상단고정패널부(112)와 하단고정패널부(113)를 연결하며 계단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패널부(1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단고정패널부(112)는 계단(s)의 상단부에 정착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하단고정패널부(113)도 마찬가지로 계단(s)의 하단부에 정착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단고정패널부(112) 및 하단패널부(113)를 계단 구조물에 결합시키는 수단은 정착볼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타의 결합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본체부(110)는 상단고정패널부(112), 경사패널부(114), 하단고정패널부(113)의 폭방향 측부를 따라 상측으로 소정높이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면 커버패널부(115)가 구성되며, 이 커버패널부(115)는 탑승보드부(200)가 본체부(110)의 측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뿐 아니라, 본 발명의 계단승강장치(100)가 건물의 일측벽과 맞대어져 설치되는 경우 건물의 측벽과 볼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계단승강장치의 보다 견고한 고정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체부(110)는 경사패널부(114)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수직하게 하향되게 구성되고, 계단면과 고정결합되어 계단면에 대해 경사패널부(114)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1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각 지지프레임(120)은 상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계단의 경사도 및 경사패널부(114)와 계단면과의 간격차이에 따라 길이가 맞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각각 지지프레임(120)은 하단부가 계단면에 고정볼트로 고정결합되는 계단고정프레임(122)과, 계단고정프레임(122)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결합되며 상단이 경사패널부(114)에 결합되는 높이맞춤프레임(12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 높이맞춤프레임(124)은 계단고정프레임(122)과 경사패널부(114)와의 상하간격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구비되어 계단고정프레임(122)과 경사패널부(114)를 서로 연결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높이맞춤프레임(124)은 계단고정프레임(122)과 경사패널부(114)를 연결고정하도록 상하단에 각각 플랜지가 구성되어, 하단플랜지는 계단고정프레임(122)와 결합되고, 상단플랜지는 경사패널부(114)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탑승보드부(200)는 경사패널부(114)를 따라 상하 이동하여 탑승자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승강안내부(220)에 의해 경사패널부(114)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탑승보드부(200)는 전후 길이 40cm, 좌우 길이 60cm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장여건에 따라 탑승보드부(200)의 전후 폭, 좌우 길이 등의 사이즈는 다양하게 설계조정될 수 있다. 특히 장애인용 휠체어와 보조자를 함께 태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탑승보드부(200)는 전후 폭 1.0m, 좌우 길이 1.0m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탑승보드부(200)는 상면에 탑승자가 올라서기 위한 발판부(211)가 구비되며, 이 발판부(211)는 소정 요철이 구성되거나 무늬가 양각으로 돌출형성되어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안내부(220)는 탑승보드부(200)가 경사패널부(114)를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레일부(222)와 슬라이더(2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레일부(222)는 경사패널부(114)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슬라이더(224)는 탑승보드부(200)의 선단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레일부(222)를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더(224)는 탑승보드부(200)의 선단부 양측부에 구성되되, 양측부에 각각 상하 2개씩 구성되어 탑승보드부(200)가 레일부(222)를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상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탑승보드부(200)는 탑승자가 보다 편안하게 탑승하여 승강될 수 있도록 수평된 자세로 상하 이동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경사패널부(114)에 설치된 레일부(222)를 따라 상하 이동될 때 탑승보드부(200)는 경사패널부(114)와 소정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에, 탑승보드부(200)는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슬라이더(224)가 레일부(222)에서 분리되려는 힘이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탑승보드부(200)의 하중을 지지하고 탑승보드부(200)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보드지지부(230)가 구성된다.
보드지지부(230)는 탑승보드부(200)의 양측에 구성되며, 각각은 탑승보드부(200)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며, 경사패널부(114)를 향하도록 연장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보드지지부(230)는 탑승보드부(230)의 하단에 결합설치되며 결사패널부(114)를 향해 연장설치되는 롤러프레임(231)과, 이 롤러프레임(231)의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경사패널부(114)에 접촉하여 구름운동하는 롤러부재(2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1과 같이, 보드지지부(230)는 탑승보드부(230)로부터 경사패널부(114)로 연장되게 구성되어, 탑승보드부(230)의 상하 이동시 경사패널부(114)를 타고 탑승보드부(230)와 함께 연동하여 상하 이동되면서, 탑승보드부(2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경사패널부(114)에는 롤러부재(233)가 삽입되어 롤러부재(233)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안내홈(117)이 구성된다. 이 롤러안내홈(117)는 경사패널부(114)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각 롤러안내홈(117)의 폭방향 양측에는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삽입된 롤러부재(233)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롤러유도부(117a)가 구성된다.
상기에서 보드지지부(230)는 롤러부재(233)가 경사패널부(114)를 타고 구름이동하는 형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탑승보드부(230)에 설치되어 탑승보드부(230)의 상하 이동시 함께 이동하면서 탑승보드부(2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다른 예로서, 보드지지부(230)는 탑승보드부(230)의 하단으로부터 경사패널부(114)를 향해 연장설치되는 지지바와, 이 지지바의 말단에 구성되어 레일부(222)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별도의 제2슬라이더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승강구동부(240)는 탑승보드부(200)를 승강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탑승보드부(200)와 본체부(110)를 연결하여 탑승보드부(200)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승강구동부(240)는 래크기어부(250), 구동휠(260), 구동모터(26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래크기어부(250)는 경사패널부(114)의 폭방향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저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구동휠(260)은 피니어 기어로 이루어지며, 탑승보드부(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탑승보드부(200)의 일면으로 형성된 휠노출홀(213)을 통해 외측부가 탑승보드부(200)의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구동휠(260)은 래크기어부(250)에 래크-피니언 기어연결되도록 구성되어 구동휠(260)의 회전에 따라 래크기어부(250)를 따라 이동하면서 탑승보드부(20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구동휠(260)은 구동모터(262)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구동모터(262)는 탑승보드부(200)의 내부에 형성된 모터수용부(212)에 내장되도록 구성되며, 구동모터(242)의 모터축과 구동휠(260)의 축은 동력전달기어(262)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구동모터(262)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회전, 역회전, 구동속도를 제어되며, 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탑승보드부(200)의 이동속도, 이동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262)에 필요한 전원공급을 위해 탑승보드부(200)의 일측부에 배터리수용부(214)를 구성하고, 이 배터리수용부(214)에 삽입되어 구동모터(26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70)가 구성된다. 이때, 탑승보드부(200)에는 배터리수용부(214)를 개폐하기 위한 배터리커버(215)가 구성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상용전원을 전선케이블로 구동모터(262)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성이 방식이 아니라, 배터리(270)를 교체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배터리(270)의 충전전원으로 구동모터(262)를 구동하는 방식으로서 전원공급을 위한 배선구조의 복잡함을 해소하고 배터리교체방식으로 사용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래크기어부(250)가 경사패널(114)의 중앙부에 한개가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래크기어부(250)에 래크-피니언 기어연결되는 구동휠(260)을 탑승보드부(200)에 한개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래크기어부(250)를 2개로 구성하여 경사패널(114)의 양측부에 각 레일부(222)에 인접하게 구성하며, 탑승보드부(200)의 양측에도 2개의 래크기어부(250)에 대응하게 2개의 구동휠(260)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2개의 구동휠(260)이 구동모터(262)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4와 같이, 탑승보드부(200)의 후측부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지면과 탑승보드부(200)의 중간 높이에서 사용자가 탑승보드부(200)에 올라가기 전에 먼저 딛고 탑승보드부(200)에 편하게 올라가기 위한 보조 디딤블럭(28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디딤블록(280)은 탑승보드부(200)에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전난간부(300)는 탑승보드부(200)의 측부에 상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탑승보드부(200)에 오른 탑승자가 측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막아주어 안전하게 승강하도록 해주는 구성이다. 안전난간부(300)는 탑승보드부(200)의 양측부에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체부(110)가 도 2와 같이 계단의 측벽에 맞대어져 설치되는 경우, 안전난간부(300)는 계단의 측벽와 대향되는 탑승보드부(200)의 일측부에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탑승보드부(200)에 안전난간부(300)가 구성되어 있어, 탑승자는 안전난간부(300)를 잡고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안전난간부(300) 상단부 일측에는 탑승보드부(200)에 오른 탑승자가 탑승보드부(200)의 승강동작 온/오프, 이동방향, 이동속도를 제어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성될 수 있다. 이 조작부는 제어부에 조작신호를 전달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262)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예로, 계단승강장치의 폭 즉, 본체부(110)의 좌우 폭은 50~110cm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계단의 규모나 폭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계단승강장치는 도 2와 같이 계단 상에 설치되되, 계단의 폭 전체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계단의 폭에 대해 1/4 ~ 3/4의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계단의 폭 일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계단(s)과 병렬로 배치되어, 계단(s)과 병행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계단승강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하여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의 계단에 폭 일부를 차지하도록 설치구성함으로써, 일반적인 계단(s)의 사용과 계단승강장치의 사용을 병행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단승강장치의 사용 도중, 탑승보드부(200)의 승강동작이 멈추는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탑승자가 신속하게 옆에 위치하는 계단으로 내려 계단(S)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안전난간부(300)에 비상개폐도어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전난간부(300')는 난간본체프레임(310), 비상개페도어(320), 도어잠금부(3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난간본체프레임(310)은 중앙에 탑승자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출입구(312)가 형성되도록 "U"자 형으로 구성되며, 탑승보드부(200)에 고정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난간본체프레임(310)은 탑승보드부(200)의 측부에 전후로 결합고정되는 난간고정프레임(310a)과, 난간고정프레임(310a)의 후측부에 수직하게 구성되어 비상개페도어(320)의 회전을 지지하는 도어회전지지프레임(310b)과, 난간고정프레임(310a)의 전측부에 수직하게 구성되어 비상개폐도어(320)의 도어잠금이 이루어지는 도어잠금프레임(310c)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비상개페도어(320)은 격자형태의 사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단부 상측 및 하측에 힌지부(322)가 구성되고, 이 힌지부(322)가 도어회전지지프레임(310b)에 힌지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난간본체프레임(310)에 대해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어잠금부(330)는 비상개폐도어(320)에 구성되어 비상개폐도어(320)를 선택적으로 도어잠금프레임(310c)에 고정하여 잠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잠그핀(332), 탄성수단(334), 잠금해제버튼(336)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잠금핀(332)은 비상개페도어(320)의 측부 상측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탄성수단(334)에 의해 비상개폐도어(330)의 측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탄성수단(33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잠금핀(332)은 비상개폐도어(320)의 측부로 돌출되어 핀고정홀(314)에 삽입됨으로써 비상개폐도어(320)에 난간본체프레임(310)을 고정되어 출입구(312)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잠금해제버튼(336)은 비상개폐도어(320)의 상단측부에 전후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잠금핀(332)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이동조작에 따라 잠금핀(332)을 후퇴시켜 잠금핀(332)이 핀고정홀(314a)에 분리이탈되도록 함으로써 비상개폐도어(320)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잠금해제버튼(336)을 후퇴시키면 잠금핀(332)도 후퇴하여 잠금핀(332)이 핀고정홀(314a)에서 이탈되어 도어잠금해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비상개페도어(320)를 열어 탑승보드부(200)에 있는 탑승자가 출입구(312)를 통해 탑승보드부(200)의 옆에 있는 계단면으로 이동하여 계단(s)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출입구(312)를 통해 탑승보드부(200)에서 계단(s)을 빠져나온 후, 비상개페도어(320)를 닫은 다음 잠금해제버튼(336)을 후퇴시키고 있는 외력을 제거하면, 잠금핀(332)은 탄성수단(3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진하여 핀고정홀(314a)이 삽입되면서 다시 도어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본체부
112...상단고정패널부
113...하단고정패널부
114...경사패널부
115...측면커버패널부
117...롤러안내홈
117a...롤러유도부
120...지지프레임
122...계단고정프레임
124...높이맞춤프레임
200...탑승보드부
211...발판부
212...모터수용부
213...휠노출홀
214...배터리수용부
215...배터리커버
220...승강안내부
222...레일부
224...슬라이더
230...보드지지부
231...롤러프레임
233....롤러부재
240...승강구동부
250...레크기어부
260...구동휠
270...배터리
280...보조 디딤블럭
300...안전난간부
310...난간본체프레임
310a...난간고정프레임
310b...도어회전지지프레임
310c...도어잠금프레임
312...출입구
320...비상개폐도어
322...힌지부
330...도어잠금부
332...잠금핀
334...탄성수단
336...잠금해제버튼

Claims (6)

  1. 계단의 상단부에 고정결합되는 상단고정패널부와, 계단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는 하단고정패널부 및 상기 상단고정패널부와 하단고정패널부를 연결하여 계단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패널부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경사패널부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람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탑승보드부;
    상기 경사패널부와 탑승보드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탑승보드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안내부;
    상기 탑승보드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여 상기 탑승보드부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탑승보드부의 측부에 구성되어 상기 탑승보드부와 함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며 탑승자의 측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안전난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장치.
  2. 상기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경사패널부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구성되며, 상기 경사패널부와 계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계단에 대해 상기 경사패널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부는,
    상기 경사패널부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레일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의 선단에 결합구성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패널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탑승보드부의 하중을 지지하고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보드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지지부는 상기 탑승보드부의 하단에 결합설치되며 상기 경사패널부를 향해 연장설치되는 롤러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의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경사패널부에 접촉하여 구름운동하도록 구성된 롤러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패널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롤러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롤러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안내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장치.


KR1020220152019A 2022-11-14 계단 승강장치 KR20240070302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0302A true KR20240070302A (ko) 2024-05-2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7332B1 (en) A lift for telescopic passenger stairs for boarding passengers in wheelchairs on a plane
KR102153477B1 (ko)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WO2007091461A1 (ja) 乗降用車両
KR100936020B1 (ko)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US8104600B2 (en) Escalator
KR20240070302A (ko) 계단 승강장치
KR200290893Y1 (ko)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JP2005349993A (ja) タラップ車
KR102529583B1 (ko)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피난용 슬라이드
JP4742363B2 (ja) バス昇降床装置
JP3148482U (ja) 多目的階段昇降機
KR101644622B1 (ko)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KR102276299B1 (ko) 계단 겸용 리프트 장치
KR102434694B1 (ko) 휠체어 리프트용 추락방지장치
JPH11310377A (ja) 移動歩道用フロア
RU99704U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адки и высадки пассажира в кресле-коляске, установленное 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вагоне
RU175479U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адки и высадки пассажира в кресле-коляске, установленное 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вагоне
JPH09194198A (ja) 昇降ステップ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CN117023320A (zh) 一种平台升降系统
JP2014161555A (ja) バリアフリー乗下船設備
JP2003048675A (ja) 階段昇降機
JP3721225B2 (ja) 中間乗降口付きエスカレータ
KR102060087B1 (ko)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
GB2448887A (en) Aircraft access method &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