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9886A -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 Google Patents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9886A
KR20240069886A KR1020220150531A KR20220150531A KR20240069886A KR 20240069886 A KR20240069886 A KR 20240069886A KR 1020220150531 A KR1020220150531 A KR 1020220150531A KR 20220150531 A KR20220150531 A KR 20220150531A KR 20240069886 A KR20240069886 A KR 20240069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reation unit
unit
avatar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스페이스엘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스페이스엘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스페이스엘비스
Priority to KR102022015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9886A/ko
Publication of KR20240069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988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은 확장현실(XR) 기반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객체 생성부와, 상기 객체 생성부에서 생성된 아바타에 모션 또는 제스쳐를 입력하여 상기 아바타에 활동력을 부여하는 객체 모션부여부와, 상기 객체 생성부에서 생성된 아바타에 연계할 의류, 악세서리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아바타와 연계하는 오브젝트 생성부와, 상기 객체 생성부에서 생성된 아바타 및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용할 수 있는 확장현실(XR) 기반의 가상공간을 조성하는 XR환경 조성부와, 상기 아바타, 오브젝트, 가상공간을 활용하여 라이브커머스 또는 O2O 서비스 형태의 컨텐츠를 제작하며, 상기 제작된 컨텐츠를 송출하는 컨텐츠 제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작부는, 상기 객체 생성부, 객체 모션부여부, XR환경 조성부, 오브젝트 생성부를 활용하여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를 제작하고, 제작한 컨텐츠를 활용하여 라이브커머스 형태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라이브커머스 제작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A live commerce platform that links digital fashion and goods based on extended reality}
본 발명은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쇼룸을 구축하고, 굿즈를 연계하여 라이브커머스 컨텐츠를 진행하기 위한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거래 증가와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유무선 인터넷 컨텐츠 제공자는 다양한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을 끌어들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채팅, 메신저, 단문서비스등이 서비스 되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아바타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고 있다.
이 아바타의 의미를 한번 되새겨 보면, 아바타(AVATA)란 '가상사회(VIRTUAL COMMUNITY)에서 자신의 분신을 의미하는 시각적 이미지'란 뜻을 가지고 있는 분신, 화신을 뜻하는 말로, 사이버공간에서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이다. 그 어원을 자세하게 살펴보면 원래 아바타는 산스크리트 '아바따라 (avataara)'에서 유래한 말이다. 아바따라는 '내려오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아바뜨르'의 명사형으로, '신이 지상에 강림함 또는 지상에 강림한 신의 화신'을 뜻한다. 산스크리트 '아바따라'는 힌디어에서 '아바따르'로 발음되는데 '아바타'는 힌디어'아바따르'에서 맨 끝의 '르'발음이 탈락된 형태이다. 고대 인도에서 땅으로 내려온 신의 화신을 지칭하는 말이었으나, 인터넷시대가 열리면서 3차원이나 가상현실게임 또는 웹에서의 채팅등에서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그래픽 아이콘을 가리킨다. 아바타는 그래픽 위주의 가상사회에서 자신을 대표하는 가상육체라고 할 수있다. 현재 아바타가 이용되는 분야는 채팅이나 온라인게임 외에도 사이버 복지몰, 가상교육, 가상오피스 등으로 확대되었고, 최근 가장 각광받는 분야는 온라인 채팅서비스로, 아이콘 채팅, 3차원 그래픽 채팅 등의 아바타를 이용한 채팅서비스가 도입되었다. 기존의 아바타는 2차원으로 된 그림이 대부분이었다. 머드게임이나 온라인채팅에 등장하는 아바타는 가장 초보적인 수준이었고 이러한 현실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등장한 것이 3차원 아바타다. 3차원 아바타는 입체감과 현실감을 함께 지닌 것이 장점이다. 아바타는 현실세계와 가상공간을 이어주며, 익명과 실명의 중간 정도에 존재하는데 과거 네티즌들은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에 매료되었지만 이제는 자신을 표현하려는 욕구를 느끼게 되어 이 두가지를 모두 충족시켜주는 아바타가 생겼다. 대부분의 게임이나 채팅서비스에는 주로 몇가지의 캐릭터를 조합하거나 이미 완성된 아바타를 제공하지만 그래픽 기술이 향샹되면서 서비스 제공자가 이미 만들어 놓은 기성품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 ID처럼 사용자가 자신만의 개성있는 아바타를 직접 만들 수 있는 나만의 아바타도 등장하였다.
이러한 아바타를 생성시켜서 유무선 인터넷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용자만의 독립적 3차원 케릭터 인터페이스(특허문헌 1)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단순히 아바타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안하는데 그치고 있고 상세한 기술적 수단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바타를 이용하여 전자쇼핑을 하는 기술로 (특허문헌 2)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다수의 아바타 케릭터가 동시에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웹사이트상에 형성된 다수의 가상 상점을 쇼핑하면서 특정상품에 대한 의견 및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고객에게 동일한 아바타를 제공하는 점에서 진부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매출하락을 보이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215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144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쇼룸을 구축하고, 굿즈를 연계하여 라이브커머스 컨텐츠를 진행하기 위한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은 확장현실(XR) 기반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객체 생성부;
상기 객체 생성부에서 생성된 아바타에 모션 또는 제스쳐를 입력하여 상기 아바타에 활동력을 부여하는 객체 모션부여부;
상기 객체 생성부에서 생성된 아바타에 연계할 의류, 악세서리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아바타와 연계하는 오브젝트 생성부;
상기 객체 생성부에서 생성된 아바타 및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용할 수 있는 확장현실(XR) 기반의 가상공간을 조성하는 XR환경 조성부;
상기 아바타, 오브젝트, 가상공간을 활용하여 라이브커머스 또는 O2O 서비스 형태의 컨텐츠를 제작하며, 상기 제작된 컨텐츠를 송출하는 컨텐츠 제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작부는, 상기 객체 생성부, 객체 모션부여부, XR환경 조성부, 오브젝트 생성부를 활용하여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를 제작하고, 제작한 컨텐츠를 활용하여 라이브커머스 형태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라이브커머스 제작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부는, 상기 라이브커머스 제작부에서 제작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과 동일한 형태의 굿즈 또는 외부로부터 콜라보를 받은 굿즈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라이브커머스 제작부와 연계할 수 있는 굿즈 데이터를 관리하는 굿즈 관리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굿즈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 제작부에 제공할 굿즈 데이터를 포토리얼리스틱 텍스처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하여 굿즈 데이터를 랜드링하여 상기 XR환경 조성부에 굿즈 데이터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부는, 라이브커머스 또는 O2O 서비스 형태의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송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부는, 상기 라이브커머스 제작부를 통해 송출된 컨텐츠를 고객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는 상기 라이브커머스 제작부에서 판매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선택하여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포토리얼리스틱 텍스처 기반의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하여 실사 기반의 아바타를 제작하여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고, 컨텐츠의 종류 및 상황에 맞게 가상공간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에서 촬영한 모션 또는 제스처를 수집하고, 자체제작한 아바타에 부여함으로써, 제작된 아바타에 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포토리얼리스틱 텍스처 기반의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하여 실사 기반의 오브젝트를 제작하여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고, 컨텐츠의 종류 및 상황에 맞게 가상공간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를 실시간 라이브하기 위한 가상 스튜디오를 조성하고, 스튜디오에서 촬영한 객체 또는 오브젝트를 자체제작한 객체 또는 오브젝트로 변경하여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확장현실 기반의 가상공간을 구축하고, 구축한 가상공간의 내부에 아바타 및 오브젝트를 배치함으로써, 디지털 쇼룸 또는 O2O 시스템에 관한 컨텐츠를 구축할 수 있으며, 구축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에서 사용자에게 판매할 오브젝트를 별도로 안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결제를 진행하여 오브젝트를 구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의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를 송출하는 과정을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의 서버의 구성요소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의 객체 생성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의 객체 모션부여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의 오브젝트 생성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의 XR환경 조성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의 컨텐츠 제작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은, 플랫폼을 구축한 서버(2) 및 유저가 메타버스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디바이스(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버(2)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다수의 스마트디바이스(1)가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다.
스마트디바이스(1)는 유저가 소지할 수 있고, 메타버스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이며, 스마트폰, 노트북, 테블릿, 개인PC, 아이패드가 여기에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는 객체 생성부(10), 객체 모션부여부(20), 오브젝트 생성부(30), XR환경 조성부(40), 컨텐츠 제작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생성부(10)는 포토리얼리스틱 텍스처 기반의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하여 실사 기반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제1 생성부(11)와, 하드 메쉬 데이터 기반의 애니메이션 아바타를 생성하는 제2 생성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생성부(11)는 아바타를 제작하여 실사 기반의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아바타는 가상 인플루언서, 가상 가수, 가상 영화배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게임 엔진을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엔진은 크라이 엔진, 소스 엔진, 하복 엔진, 언리얼 엔진, 유니티 엔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유니티 엔진의 포토리얼리스틱 텍스처 기능을 활용하여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생성부(12)는 게임 엔진 기능의 하드 메쉬 데이터 기능을 활용하여 에니메이션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생성부(11)에서 생성되는 실사 기반의 아바타와는 별도의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객체 생성부(10)는 제1 생성부(11) 및 제2 생성부(1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아바타는 서버(2)의 데이터베이스(3)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객체 생성부(10)는 제1 생성부(11) 및 제2 생성부(12)에서 생성된 아바타가 XR환경 조성부(40)에서 형성된 가상공간 또는 가상 스튜디오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아바타와 가상공간을 연계하는 객체 연계부(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객체 연계부(13)는 XR환경 조성부(40)에서 형성된 가상공간에서 배치할 수 있도록 가상공간과 아바타가 호환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고, 또는 XR환경 조성부(40)에서 가상 스튜디오에서 실시간으로 송출할 때, 가상 스튜디오에 배치된 별도의 객체가 객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아바타로 변환할 수 있도록 별도의 호환 알고리즘을 거쳐 진행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모션부여부(20)는 객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아바타에 모션 또는 제스쳐를 입력하여 아바타가 가상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활동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객체 모션부여부(20)는 객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아바타와 동일한 형상의 객체로부터 모션 또는 제스처를 별도로 촬영하고, 촬영한 모션 또는 제스처를 가공하여 객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아바타에 부여할 수 있는 모션 또는 제스처를 제작하는 모션 제작부(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션 제작부(21)는 외부로부터 수집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베이스(3)에 기 저장된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아바타에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식으로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아바타에 병합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모션 제작부(21)는 모션 트래킹부(22), 모션 추출부(23), 모션 입력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션 트래킹부(22)는 외부환경에서 카메라를 통해 아바타에 부여할 모션 또는 제스처를 촬영하되, 카메라가 모션 또는 제스처를 촬영할 때 실시간으로 트래킹하여 모션 또는 제스처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수집한 모션 또는 제스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3)에 기 저장될 수 있다.
모션 추출부(23)는 모션 트래킹부(22)에서 수집한 모션 또는 제스처 데이터를 기반으로 3D 본(Bone) 형태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객체 생성부(10)에서 생성한 아바타와 호환될 수 있도록 생성할 수 있다.
모션 입력부(24)는 모션 추출부(23)에서 추출한 3D 본 형태의 모션 또는 제스처 데이터를 객체 생성부(10)에서 생성한 아바타에 입력하여 아바타가 해당하는 모션 또는 제스처를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객체 모션부여부(20)는 모션 입력부(24)를 통해 객체 생성부(10)에서 생성한 아바타에 모션 또는 제스처를 입력하여 아바타에 활동력을 부여할 수 있고, 활동력이 부여된 아바타는 컨텐츠 제작부(50)에서 제작하는 라이브커머스 또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 관련 컨텐츠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 생성부(30)는 객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아바타에 연계할 의류, 악세서리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생성 및 관리하고, 오브젝트를 아바타와 연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오브젝트 생성부(30)는 오브젝트 제작부(31), 오브젝트 호환부(32), 모션 최적화부(33), 오브젝트 연계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오브젝트 제작부(31)는 포토리얼리스틱 텍스처 기반의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하여 실사 기반의 의류,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제작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포토리얼리스틱 텍스처 기반의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할 수 있는 게임 엔진을 활용하여 오브젝트를 구현할 수 있으며, 게임 엔진은 크라이 엔진, 소스 엔진, 하복 엔진, 언리얼 엔진, 유니티 엔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유니티 엔진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오브젝트 호환부(32)는 오브젝트 제작부(31)에서 제작한 실사 기반의 오브젝트를 객체 생성부(10)에서 생성한 아바타에 적용하기 위하여 아바타와 오브젝트 간이 용이하게 호환될 수 있도록 호환데이터를 설정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션 최적화부(33)는 아바타가 객체 모션부여부(20)를 통해 모션 또는 제스처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때(더욱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제작부에서 실시간으로 라이브커머스 또는 O2O 서비스 형태의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송출 할 때)아바타가 모션 또는 제스처를 수행할 때 오브젝트가 아바타의 모션 또는 제스처가 어색하지 않고 아바타 및 오브젝트에 알맞은 모션을 최적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브젝트 연계부(34)는 오브젝트 제작부(31)에서 제작된 오브젝트가 XR환경 조성부(40)에서 형성된 가상공간 또는 가상 스튜디오에서 진행하는 실시간 컨텐츠에서 아바타 및 오브젝트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아바타와 가상공간 또는 가상 스튜디오와의 연계를 진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오브젝트가 가상공간 또는 가상 스튜디오와 용이하게 호환될 수 있도록 호환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R환경 조성부(40)는 객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아바타 및 오브젝트 생성부(30)에서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용할 수 있는 확장현실(XR) 기반의 가상공간을 조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촬영현장 조성부(41) 및 가상공간 구축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촬영현장 조성부(41)는 확장현실(XR) 기반의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전용 스튜디오를 조성할 수 있으며, 바닥부(41a), 벽체부(41b), 천장부(4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닥부(41a), 벽체부(41b), 천장부(41c)를 결합하여 하나의 가상 스튜디오를 조성할 수 있으며, 바닥부(41a), 벽체부(41b), 천장부(41c)에 각각 LED 디스플레이를 각각 설치하고, 디스플레이에 배경이미지 또는 배경영상을 출력하여 촬영현장 조성부(41)가 확장현실(XR) 기반의 스튜디오를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현장 조성부(41)는 카메라 트래킹부(42), 객체 감지부(43), 실시간 합성부(44), 합성 선택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트래킹부(42)는 가상 스튜디오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촬영현장 조성부(41)의 내부에 위치하는 객체 또는 오브젝트를 실시간으로 트래킹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트래킹하여 촬영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트래킹부(42)는 객체 또는 오브젝트를 중심으로 촬영을 진행할 때 객체 감지부(43)를 통해 객체 또는 오브젝트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카메라가 객체 또는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합성부(44)는 촬영현장 조성부(41)에서 촬영한 객체를 대신하여 객체 생성부(10) 및 오브젝트 생성부(30)에서 생성된 아바타 및 오브젝트로 합성하여 실시간 컨텐츠에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간 합성부(44)는 객체 감지부(43)에서 감지한 객체 또는 오브젝트 중에서 합성하고자 하는 객체 또는 오브젝트를 합성 선택부(45)를 통해 선택하고, 선택한 객체 또는 오브젝트 대신하여 객체 생성부(10) 및 오브젝트 생성부(30)에서 생성된 아바타 및 오브젝트로 합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촬영은 A 객체(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객체)를 하였지만,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컨텐츠는 B 객체(객체 생성부에서 생성한 아바타)를 송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가상공간 구축부(46)는 확장현실 기반의 가상공간을 구축하고, 구축한 가상공간의 내부에 아바타 또는 오브젝트를 배치하여 예컨대, 디지털 쇼룸 또는 O2O 아울렛과 같은 가상공간을 활용한 컨텐츠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공간 구축부(46)는 컨텐츠의 용도에 알맞게 배경을 꾸밀 수 있는데, 배경셋업부(47)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3)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배경이미지 또는 배경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가상공간을 꾸밀 수 있다.
즉, XR환경 조성부(40)는 촬영현장 조성부(41)를 통해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촬영하되, 필요한 요소만 합성하여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가상공간을 구축하고, 가상공간의 내부에서 컨텐츠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작부(50)는 아바타, 오브젝트, 가상공간을 활용하여 라이브커머스 또는 O2O 서비스 형태의 컨텐츠를 제작하고, 제작된 컨텐츠를 고객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디바이스에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실시간으로 라이브커머스 형태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라이브커머스 제작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부(50)는 라이브커머스 제작부(51)에서 제작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또는 물품)와 동일한 형태의 굿즈 또는 외부로부터 협찬 받은 콜라보와 동일한 굿즈 중 하나를 선택하여 라이브커머스 제작부(51)와 연계할 수 있는 굿즈 데이터를 제작관리하는 굿즈 관리부(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굿즈 관리부(52)는 컨텐츠 제작부(50)에 제공할 굿즈 데이터를 포토리얼리스틱 텍스처 기반의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하여 굿즈 데이터를 랜드링하여 XR환경 조성부(40)에 굿즈 데이터를 별도로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라이브커머스 제작부(51)는 라이브커머스 또는 O2O 서비스 형태의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송출할 수 있으며, 고객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디바이스(1)를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별도의 플랫폼이 서버(2)에 구축될 수 있다.
아울러, 컨텐츠 제작부(50)는 스마트디바이스(1)를 통해 컨텐츠에 접속한 경우, 라이브커머스 제작부(51)에서 판매하고 있는 물품 중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하여 선택한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제작부(50)는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를 제공하고, 컨텐츠에 있는 물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는 실사 기반의 물품을 스마트디바이스(1)를 통해 제공하기 때문에 물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스마트디바이스 2 - 서버
3 - 데이터베이스 10 - 객체 생성부
11 - 제1 생성부 12 - 제2 생성부
13 - 객체 연계부 20 - 객체 모션부여부
21 - 모션 제작부 22 - 모션 트래킹부
23 - 모션 추출부 24 - 모션 입력부
30 - 오브젝트 생성부 31 - 오브젝트 제작부
32 - 오브젝트 호환부 33 - 모션 최적화부
34 - 오브젝트 연계부 40 - XR환경 조성부
41 - 촬영현장 조성부 42 - 카메라 트래킹부
43 - 객체 감지부 44 - 실시간 합성부
45 - 합성 선택부 46 - 가상공간 구축부
47 - 배경셋업부 50 - 컨텐츠 제작부
51 - 라이브커머스 제작부 52 - 굿즈 관리부

Claims (5)

  1. 확장현실(XR) 기반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객체 생성부;
    상기 객체 생성부에서 생성된 아바타에 모션 또는 제스쳐를 입력하여 상기 아바타에 활동력을 부여하는 객체 모션부여부;
    상기 객체 생성부에서 생성된 아바타에 연계할 의류, 악세서리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아바타와 연계하는 오브젝트 생성부;
    상기 객체 생성부에서 생성된 아바타 및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오브젝트를 수용할 수 있는 확장현실(XR) 기반의 가상공간을 조성하는 XR환경 조성부;
    상기 아바타, 오브젝트, 가상공간을 활용하여 라이브커머스 또는 O2O 서비스 형태의 컨텐츠를 제작하며, 상기 제작된 컨텐츠를 송출하는 컨텐츠 제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작부는, 상기 객체 생성부, 객체 모션부여부, XR환경 조성부, 오브젝트 생성부를 활용하여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를 제작하고, 제작한 컨텐츠를 활용하여 라이브커머스 형태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라이브커머스 제작부; 를 더 포함하는,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부는, 상기 라이브커머스 제작부에서 제작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과 동일한 형태의 굿즈 또는 외부로부터 콜라보를 받은 굿즈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라이브커머스 제작부와 연계할 수 있는 굿즈 데이터를 관리하는 굿즈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굿즈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 제작부에 제공할 굿즈 데이터를 포토리얼리스틱 텍스처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하여 굿즈 데이터를 랜드링하여 상기 XR환경 조성부에 굿즈 데이터를 배치하는,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부는, 라이브커머스 또는 O2O 서비스 형태의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송출하여 제공하는,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부는, 상기 라이브커머스 제작부를 통해 송출된 컨텐츠를 고객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는 상기 라이브커머스 제작부에서 판매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선택하여 물품을 구매하는,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KR1020220150531A 2022-11-11 2022-11-11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KR20240069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531A KR20240069886A (ko) 2022-11-11 2022-11-11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531A KR20240069886A (ko) 2022-11-11 2022-11-11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9886A true KR20240069886A (ko) 2024-05-21

Family

ID=9132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531A KR20240069886A (ko) 2022-11-11 2022-11-11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988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446A (ko) 2000-03-15 2001-10-23 신성균 다수의 가상 캐릭터를 적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그것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030021525A (ko) 2001-09-06 2003-03-15 유주성 사용자(나)만의 독립적 3차원 캐릭터 인터페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446A (ko) 2000-03-15 2001-10-23 신성균 다수의 가상 캐릭터를 적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그것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030021525A (ko) 2001-09-06 2003-03-15 유주성 사용자(나)만의 독립적 3차원 캐릭터 인터페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725B1 (ko) 컨텐츠 생성 툴
US20110234591A1 (en) Personalized Apparel and Accessories Inventory and Display
CN107210949A (zh) 利用角色的消息服务方法、执行所述方法的用户终端、包括所述方法的消息应用程序
JP2009252240A (ja) リフレクション組み込み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ho et al. X‐person asymmetric interaction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ies
CN111142967B (zh) 一种增强现实显示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1996370A (zh) 具3d展示模块的游戏商城系统
Raajan et al. Augmented reality based virtual reality
WO2022221042A1 (en) Producing a digital image representation of a body
US20160367893A1 (en) Digital content creation
JP2010218107A (ja) パノラマvrファイル提供装置、プログラム、方法及び、システム
Gao et al. The performance of self in the context of shopping in a virtual dressing room system
KR20200085029A (ko) 아바타 가상피팅 시스템
KR20230060985A (ko) 가상 인플루언서를 접목한 확장현실 기반의 라이브커머스 시스템
KR20240069886A (ko) 확장현실 기반의 디지털 패션 및 굿즈를 연계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TWM594767U (zh) 虛擬人物直播系統
KR20240069218A (ko) 포토리얼리스틱 기술을 활용한 아바타 피팅 3d 패션재화 제작 시스템
KR20240069880A (ko) 포토리얼리스틱 기술을 활용한 아바타 및 애니메이션 제작 시스템
KR20240069884A (ko) 확장현실 기반의 가상공간 환경 조성 시스템
KR20240069213A (ko) 모션캡처 기반의 아바타 및 애니메이션 동작 부여 시스템
Xu et al. Sharing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between hmd and non-hmd user
KR20000049906A (ko) 사이버 공간에서 실질적인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인간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7004442A (ja) パノラマvrファイル提供装置、プログラム、方法及びシステム
KR20240057880A (ko) 디지털 휴먼 생성기술 및 3d 아바타 피팅 기술을 활용한 xr 라이브커머스 시스템
KR20240057892A (ko) 가상 인플루언서 제작 기술 및 디지털 트윈기술을 활용한 xr 라이브커머스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