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9559A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9559A KR20240069559A KR1020220184529A KR20220184529A KR20240069559A KR 20240069559 A KR20240069559 A KR 20240069559A KR 1020220184529 A KR1020220184529 A KR 1020220184529A KR 20220184529 A KR20220184529 A KR 20220184529A KR 20240069559 A KR20240069559 A KR 202400695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electronic device
- projection
- light
- process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09 image seg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32 spati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37 ne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APTZNLHMIGJTEW-UHFFFAOYSA-N pyraflufen-ethyl Chemical compound C1=C(Cl)C(OCC(=O)OCC)=CC(C=2C(=C(OC(F)F)N(C)N=2)Cl)=C1F APTZNLHMIGJTE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66—Reflectors in illumination be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6—Image reproducers using prisms or semi-transparent mirr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5—Image reproducers using digital micromirror devices [DM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전자 장치는 프로젝션부,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젝션부는 광원에 의해 발광된 광 중 일부를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통해 상기 광 중 나머지 일부를 측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분할 프리즘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기 위한 다면 영상으로 변환하며, 분할 프리즘을 통해 변환된 다면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즘을 포함하는 프로젝션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 및 광학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프로젝터들이 활용되고 있다. 프로젝터란, 스크린(또는, 투사면)으로 빛을 투사하여, 스크린상에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의 프로젝션 등과 같은 전자 장치는 하나의 투사면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제공하였다. 복수의 투사면에 빛을 투사하더라도 투사면 사이의 경계면 및 투사면 사이의 각도 등에 의해 전자 장치로부터 투사된 영상이 왜곡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복수의 투사면을 이용하여 영상의 왜곡 없이 더욱 입체감 있는 360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젝션부;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젝션부는, 광원에 의해 발광된 광 중 일부를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통해 상기 광 중 나머지 일부를 측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분할 프리즘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기 위한 다면 영상으로 변환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분할 프리즘을 통해 상기 변환된 다면 영상을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부는, 광원에 의해 발광된 광 중 일부를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통해 상기 광 중 나머지 일부를 측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분할 프리즘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방법은,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기 위한 다면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 프리즘을 통해 상기 변환된 다면 영상을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부는, 광원에 의해 발광된 광 중 일부를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통해 상기 광 중 나머지 일부를 측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분할 프리즘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방법은,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기 위한 다면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 프리즘을 통해 상기 변환된 다면 영상을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프리즘을 포함하는 프로젝션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프리즘을 포함하는 프로젝션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되는 다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블록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다면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및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맵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위치 및 투사면의 유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분할 유형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렌즈를 이용하여 제1 투사 모드 및 제2 투사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이용하여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된 다면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a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을 포함하지 않고,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을 포함하지 않고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5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 형태의 DMD를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투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드 스크린 형태의 DMD를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투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4개의 면을 포함하는 DMD를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투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20 내지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프리즘을 포함하는 프로젝션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프리즘을 포함하는 프로젝션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되는 다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블록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다면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및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맵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위치 및 투사면의 유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분할 유형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렌즈를 이용하여 제1 투사 모드 및 제2 투사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이용하여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된 다면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a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을 포함하지 않고,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을 포함하지 않고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5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 형태의 DMD를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투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드 스크린 형태의 DMD를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투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4개의 면을 포함하는 DMD를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투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20 내지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벽 또는 스크린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등과 같은 영상 투사 장치일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광원에 의해 발광된 광 중 일부를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통해 광원에 의해 발광된 광 중 나머지 일부를 측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분할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기 위한 다면 영상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분할 프리즘을 통해 변환된 다면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10-1 내지 10-5)에 투사한다. 이때, 복수의 투사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영역(10-1), 바닥 영역(10-2), 우측 영역(10-3), 천장 영역(10-4) 및 좌측 영역(10-5)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4개 이외의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분할 프리즘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투사면(10-1 내지 10-5)에 투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각각 정면 영상, 바닥 영상, 우측 영상, 천장 영상 및 좌측 영상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정면 영상, 바닥 영상, 우측 영상, 천장 영상 및 좌측 영상을 각각 정면 영역(10-1), 바닥 영역(10-2), 우측 영역(10-3), 천장 영역(10-4) 및 좌측 영역(10-5)에 각각 투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자 장치는 복수의 투사면을 이용하여 360도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프로젝션부(112), 메모리(113) 및 프로세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젝션부(112)는 프로세서(111)에 의해 처리된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구성이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부(112)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으로 영상을 투사면으로 투사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식(예로, CRT(cathode-ray tube) 방식,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및 레이저 방식 등)으로 영상을 투사면에 투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프로젝션부(112)는 광원에 의해 발광된 광 중 일부를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통해 광원에 의해 발광된 광 중 나머지 일부를 측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분할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 프리즘을 포함하는 프로젝션부(112)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션부(112)는 광원(310), 반사 거울(320), 제1 프리즘(330),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340), 제2 프리즘(350) 및 분할 프리즘(36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2)는 광원(310)을 통해 반사 거울(320) 방향으로 광을 발광(또는 출력)할 수 있다. 반사 거울(320)은 광원(310)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제1 프리즘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다. 반사 거울(320)을 통해 반사된 광은 제1 프리즘(330)을 통과한 후 제1 프리즘(330)의 반사면에서 DMD(340)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이때, 제1 프리즘(330)은 광의 방향 전환 시에 사용되는 TIR(Total Internal Reflection;내부 전반사) 프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사면을 구비하여 반사 거울(320)부터 반사된 광을 DMD(Digital Micrometer Display)(340)쪽에 반사할 수 있다.
DMD(340)는 제1 프리즘(330)의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을 제2 프리즘(350) 및 분할 프리즘(360)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다. 이때, DMD(340)는 제1 프리즘(330)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반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DMD(340)는 복수(예를 들어, 약 130만 개)의 마이크로 미러가 집적되어 있고, 마이크로 미러는 각각 개별적인 디지털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의 반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DMD(340)로부터 반사된 광은 제1 및 제2 프리즘(330, 350)을 거쳐 분할 프리즘(360)으로 입사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리즘(350)은 DMD(340)로부터 반사된 광을 분할 프리즘(360) 방향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분할 프리즘(360)은 DMD(340)로부터 반사된 광 중 일부를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통해 DMD(340)로부터 반사된 광 중 나머지 일부를 측면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분할 프리즘(36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의 일부를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기 위해 중앙 영역에 형성된 홀(361), 홀(361)의 제1 측면 방향(예로, 하측 방향)에 위치하며 제1 측면 방향(예로, 하측 방향)으로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1 경사면(362-1), 홀(361)의 제2 측면 방향(예로, 우측 방향)에 위치하며 제2 측면 방향(예로, 우측 방향)으로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2 경사면(362-2), 홀(361)의 제3 측면 방향(예로, 상측 방향)에 위치하며 제3 측면 방향(예로, 상측 방향)으로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3 경사면(362-3) 및 홀(361)의 제4 측면 방향(예로, 좌측 방향)에 위치하며 제4 측면 방향(예로, 좌측 방향)으로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4 경사면(362-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분할 프리즘(360)은 홀(361)을 통해 DMD(340)로부터 반사된 광 중 중앙 영역의 광을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복수의 경사면(362-1 내지 362-4)을 통해 DMD(340)로부터 반사된 광 중 측면 영역의 광을 복수의 측면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프리즘을 포함하는 프로젝션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즉, 광원(310)에 의해 광이 출력되면, 전자 장치(100)의 프로젝터(112)는 홀(361)에 의해 투과된 광을 통해 정면 영상을 투사할 뿐만 아니라 분할 프리즘(360)의 제2 경사면(362-2) 및 제4 경사면(362-4)에 반사된 광을 통해 우측 영상 및 좌측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프리즘을 포함하는 프로젝션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광원(310)에 의해 광이 출력되면, 전자 장치(100)의 프로젝터(112)는 홀(361)에 의해 투과된 광을 통해 정면 영상을 투사할 뿐만 아니라 분할 프리즘(360)의 제1 경사면(362-1) 및 제3 경사면(362-3)에 반사된 광을 통해 바닥 영상 및 천장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자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방향의 투사면(10-1) 뿐만 아니라, 측면 방향의 복수의 투사면(10-2 내지 10-5)을 통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분할 프리즘(360)은 도 3a 내지 도 4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361)과 네 개의 경사면(362-1 내지 362-4)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양한 형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 10a 내지 도 12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션부(112)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340)에 의해 반사된 광이 통과하는 제2 프리즘(350)과 분할 프리즘(360) 사이에 배치된 액정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2에 대해 설명하면, 메모리(113)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인스트럭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13)는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다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수신 모듈(510), 영역 분할 모듈(520), 다면 영상 생성 모듈(530), 관련 정보 획득 모듈(540), 관련 영상 생성 모듈(550) 및 투사 모듈(56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투사면에 다면 영상을 투사하는 기능(즉, 제2 투사 모드)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100)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다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이 각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로 로딩(loading)할 수 있다. 여기서, 로딩이란 프로세서(111)가 액세스할 수 있도록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불러들여 저장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한편, 메모리(113)는 비휘발성 메모리(ex: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프로세서(111) 내의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메모리(113)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1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APU (Accelerated Processing Unit), MIC (Many Integrated Cor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NPU (Neural Processing Unit), 하드웨어 가속기 또는 머신 러닝 가속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제어할 수 있으며, 통신에 관한 동작 또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instruction)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동작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 1 동작, 제 2 동작, 제 3 동작이 수행될 때, 제 1 동작, 제 2 동작, 및 제 3 동작 모두 제 1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은 제 1 프로세서(예를 들어,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고 제 3 동작은 제 2 프로세서(예를 들어,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single 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예를 들어, 동종 멀티 코어 또는 이종 멀티 코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멀티 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로 구현되는 경우,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각각은 캐시 메모리, 온 칩(On-chip) 메모리와 같은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에 의해 공유되는 공통 캐시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각각(또는 복수의 코어 중 일부)은 독립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 전체(또는 일부)가 연계되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중 하나의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 1 동작, 제 2 동작, 및 제 3 동작이 수행될 때, 제 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 모두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1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1 코어에 의해 수행되고 제 3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2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기타 전자 부품들이 집적된 시스템 온 칩(SoC), 단일 코어 프로세서, 멀티 코어 프로세서, 또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 또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코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코어는 CPU, GPU, APU, MIC, DSP, NPU, 하드웨어 가속기 또는 기계 학습 가속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영상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11)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프로세서(111) 분할된 복수의 영역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기 위한 다면 영상으로 변환한다. 프로세서(111)는 분할 프리즘(360)을 통해 변환된 다면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112)를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11)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정면 영역 및 제1 내지 제4 측면 방향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행렬을 통해 정면 영역 및 제1 내지 제4 측면 영역 각각을 정면 영상 및 제1 내지 제4 측면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정면 영상 및 제1 내지 제4 측면 영상을 포함하는 다면 영상을 획득(또는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 다른 영상과 관련된 정보 및 실시간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정면 영역 및 제1 내지 제4 측면 방향 중 일부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행렬을 통해 정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 각각을 정면 영상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 다른 영상과 관련된 정보 및 실시간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측면 방향 중 나머지 일부 방향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정면 영상,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상 및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을 포함하는 다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에 표시되는 영상의 유형 및 표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정면 방향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제1 투사 모드 및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다면 영상으로 변환하여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제2 투사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는 액정 렌즈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제1 투사 모드 및 제2 투사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센서(미도시)를 통해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전자 장치(100)의 위치 및 투사면의 유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사용자의 위치, 전자 장치(100)의 위치 및 투사면의 유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분할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다면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다면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되는 다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되는 다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신호 수신 모듈(510), 영역 분할 모듈(520), 다면 영상 생성 모듈(530), 관련 정보 획득 모듈(540), 관련 영상 생성 모듈(550) 및 투사 모듈(560)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수신 모듈(510)은 다양한 소스로부터 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수신 모듈(510)은 통신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외부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메모리(113)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은 일반 영상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VR 영상 또는 파노라마 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일 수 있다.
영역 분할 모듈(520)은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역 분할 모듈(520)은 분할 프리즘(360)에 포함된 경사면의 개수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분할할 수 있다. 일 예로, 분할 프리즘(360)에 포함된 경사면의 개수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인 경우, 영역 분할 모듈(520)은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1개의 정면 영역과 4개의 측면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즉, 도 6의 첫 번째 도면과 같은 영상(610)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영역 분할 모듈(520)은 도 6의 두 번째 도면과 같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610)을 정면 영역(620-1), 하측 영역(620-2), 우측 영역(620-3), 상측 영역(620-4) 및 좌측 영역(620-5)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도 6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영역(620-1)은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며, 하측 영역(620-2), 우측 영역(620-3), 상측 영역(620-4) 및 좌측 영역(620-5)은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다.
다면 영상 생성 모듈(530)은 분할된 영역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기 위한 다면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면 영상 생성 모듈(530)은 적어도 하나의 변환 행렬을 통해 분할된 복수의 영역을 복수의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면 영상 생성 모듈(530)은 제1 변환 행렬을 통해 정면 영역을 정면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고, 제2 변환 행렬을 통해 제1 측면 영역을 제1 측면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고, 제3 변환 행렬을 통해 제2 측면 영상을 제2 측면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고, 제4 변환 행렬을 통해 제3 측면 영상을 제3 측면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고, 제5 변환 행렬을 통해 제4 측면 영상을 제4 측면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다면 영상 생성 모듈(5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영역(620-1)을 정면 영상(630-1)으로 변환하고, 하측 영역(620-2)을 바닥 영상(630-2)으로 변환하고, 우측 영역(620-3)을 우측 영상(630-3)으로 변환하고, 상측 영역(620-4)을 천장 영상(630-4)으로 변환하고, 좌측 영역(620-5)을 좌측 영상(620-5)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제1 변환 행렬은 정면 영역(620-1)은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행렬일 수 있으며, 제2 내지 제5 변환 행렬을 하측 영역(620-2), 우측 영역(620-3), 상측 영역(620-4) 및 좌측 영역(620-5)의 사이즈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기 위한 행렬일 수 있다. 그리고, 다면 영상 생성 모듈(530)은 도 6의 세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영상(630-1), 바닥 영상(630-2), 우측 영상(630-3), 천장 영상(630-4) 및 좌측 영상(630-5)을 포함하는 십자 형태의 다면 영상을 생성(또는 획득)할 수 있다.
관련 정보 획득 모듈(540)은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 다른 영상과 관련된 정보 및 실시간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련 정보 획득 모듈(540)은 제목 정보, 줄거리 정보, 배우 및 제작진 정보 등과 같은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 및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의 자막 정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련 정보 획득 모듈(540)은 현재 방송되는 다른 채널에 대한 정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영상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다른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련 정보 획득 모듈(540)은 실시간 환경 정보(예를 들어, 날씨 정보 등) 및 현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IOT 장치에 관한 정보 등과 같은 실시간 환경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관련 영상 생성 모듈(550)은 관련 정보 획득 모듈(540)이 획득한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 다른 영상과 관련된 정보 및 실시간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관련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관련 영상 생성 모듈(550)은 획득된 제목 정보, 줄거리 정보, 배우 및 제작진 정보 등과 같은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관련 영상,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의 자막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관련 영상,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관련 영상, 현재 방송되는 다른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관련 영상,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5 관련 영상, 실시간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6 관련 영상 및 현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IOT 장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7 관련 영상 중 하나 이상의 관련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획득된 하나 이상의 관련 영상은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다면 영상 생성 모듈(530)은 영역 분할 모듈(520)로부터 획득된 정면 영상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상과 관련 영상 생성 모듈(550)로부터 획득된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을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수신 모듈(510)을 통해 영상(710)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영역 분할 모듈(520)은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710)을 정면 영역(720-1), 우측 영역(720-2) 및 좌측 영역(720-3)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관련 정보 획득 모듈(540)은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관련 정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의 자막 정보, 다른 채널에 대한 정보, 실시간 환경 정보 및 IOT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관련 정보(730)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관련 영상 생성 모듈(550)은 관련 정보(730)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관련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다면 영상 생성 모듈(530)은 적어도 하나의 변환 행렬을 통해 분할된 정면 영역(720-1), 우측 영역(720-2) 및 좌측 영역(720-3)을 각각 정면 영상(740-1), 우측 영상(740-3) 및 좌측 영상(740-5)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다면 영상 생성 모듈(530)은 제1 관련 영상을 바닥 영상(740-2)으로 변환하고, 제2 관련 영상을 천장 영상(740-4)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다면 영상 생성 모듈(530)은 도 7의 마지막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영상(740-1), 바닥 영상(740-2), 우측 영상(740-3), 천장 영상(740-4) 및 좌측 영상(740-5)을 포함하는 십자 형태의 다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다면 영상 생성 모듈(530)은 관련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관련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나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련 영상을 좌측이나 우측에 표시하는 경우, 관련 영상 생성 모듈(550)은 수직 방향으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련 영상을 바닥이나 천장에 표시하는 경우, 관련 영상 생성 모듈(550)은 수평 방향으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에 표시되는 영상의 유형 및 표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로, 사용자에 의해 실시간 환경 정보가 좌측 영상으로 표시되고,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가 우측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설정된 경우, 관련 영상 생성 모듈(550)은 제6 관련 영상을 좌측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제1 관련 영상을 우측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투사 모듈(560)은 다면 영상 생성 모듈(530)에 의해 생성된 다면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투사 모듈(560)은 다면 영상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사 모듈(560)은 줌, 키스톤, 퀵코너(4코너) 키스톤, 렌즈 시프트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일반 영상 뿐만 아니라, VR(virtual reality) 영상을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큐브맵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다면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도 8a는 등방형 투영법(Equirectangular Projection)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등방형 투형법에 의하면, 원형 영상(81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영상(820)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8b는 큐브 맵 투영법(Cube Map Projection)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큐브맵 투영법에 의해, 원형 영상(810)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큐브 영상(830)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큐브 영상(830)은 십자 형태의 평면도 영상(840)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태의 VR 영상(850)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평면 형태의 신호에 대응하는 VR 영상(850)을 별도의 영상 분할 없이 십자 형태의 평면도 영상(860)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등방형 투영법 및 큐브맵 투영법에 의해 획득된 기 설정된 변환 행렬에 기초하여 입력된 평면 형태의 VR 영상(850)을 십자 형태의 평면도 영상(860)으로 변환하여 다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특히, 평면 형태의 VR 영상(850)을 십자 형태의 평면도 영상(860)으로 변환할 때, 십자 형태의 평면도 영상(860) 중 일부 영상(865)이 VR 영상의 뒷면에 해당하는 영상이므로, 전자 장치(100)는 평면도 영상(860) 중 일부 영상(865)을 제거하여 다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1)는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전자 장치(100)의 위치 및 투사면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사용자의 위치, 전자 장치(100)의 위치 및 투사면의 유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 분할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도 9a의 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투사면에 네 개의 꼭지점(910-1,910-2,910-3,910-4)이 감지된 경우, , 프로세서(111)는 도 9a의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영상(910-1), 우측 영상(920-2) 및 좌측 영상(820-3)을 포함하는 다면 영상을 생성하여 3개의 투사면에 다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도 9b의 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투사면에 두 개의 꼭지점(930-1,930-2)이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11)는 도 9b의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꼭지점(930-1,930-2)을 잇는 모서리를 포함하는 정면 영상(940-1), 우측 영상(940-2) 및 좌측 영상(940-3)을 포함하는 다면 영상을 생성하여 2개의 투사면에 다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는 도 9a의 상황과 9b의 상황에서 서로 상이한 초점을 가지도록 프로젝션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9a의 상황에서 프로세서(111)는 제1 초점 거리를 가지도록 프로젝션부(112)를 제어할 수 있으며, 도 9b의 상태에서 프로세서(111)는 제1 초점 거리와 상이한 제2 초점 거리를 가지도록 프로젝션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다면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면의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인 경우, 프로세서(111)는 다면 영상에 포함된 정면 영역의 크기가 제1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정면의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인 경우, 프로세서(111)는 다면 영상에 포함된 정면 영역의 크기를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정면의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짧은 제3 거리인 경우, 프로세서(111)는 다면 영상에 포함된 정면 영역의 크기를 제1 크기보다 큰 제3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정면 방향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제1 투사 모드 및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다면 영상으로 변환하여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제2 투사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젝션부(112)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D(340)에 의해 반사된 광이 통과하는 제2 프리즘(350)과 분할 프리즘(360) 사이에 배치된 액정 렌즈(10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액정 렌즈(1010)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 렌즈(1010)의 초점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제1 투사 모드 및 제2 투사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제1 투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젝션부(112)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렌즈(1010)에 제1 전압을 인가하여 초점 거리를 제1 거리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액정 렌즈(1010)에 제1 전압이 인가되어, 액정 렌즈(910)는 볼록 렌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DMD(340)에서 반사된 광은 액정 렌즈(1010)에 의해 굴절되어 분할 프리즘(360)의 홀(361)에만 통과되어, 정면 방향으로만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정면 방향의 투사면에만 영상을 투사하는 제1 투사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제2 투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젝션부(112)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렌즈(1010)에 제2 전압을 인가하여 초점 거리를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로 조절할 수 있다. 즉, DMD(340)에서 반사된 광은 분할 프리즘(360)의 홀(361)을 투과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경사면(362-1 내지 362-4)에 도달하여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정면 방향의 투사면 뿐만 아니라 측면 방향의 복수의 투사면에 다면 영상을 투사하는 제2 투사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가 제1 투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11)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정면 영상을 변경하고, 특정 색 및 밝기의 단색 화면을 이용하여 복수의 측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정면 영상 및 복수의 측면 영상을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다면 영상을 투사하여 정면 방향의 투사면에만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제2 투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11)는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면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다면 영상을 투사하여 복수의 투사면에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가 제1 투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11)는 DMD(340)에 의해 반사된 광이 분할 프리즘(360)을 투과하지 못하도록 분할 프리즘(36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제2 투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11)는 DMD(340)에 의해 반사된 광이 분할 프리즘(360)을 투과하도록 분할 프리즘(36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분할 프리즘(360)은 도 3a 내지 도 4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361)과 네 개의 경사면(362-1 내지 362-4)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양한 형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프리즘(360)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에 배치된 홀(1110), 홀(1110)의 제1 측면 방향(예로, 우측 방향)에 위치한 제1 경사면(1120-1) 및 홀(1110)의 제2 측면 방향(예로, 좌측 방향)에 위치한 제2 경사면(112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정면 영역(1130-1), 우측 영역(1130-2) 및 좌측 영역(1130-3)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분할된 정면 영역(1130-1), 우측 영역(1130-2) 및 좌측 영역(1130-3)을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투사면에 정면 영상(1140-1), 우측 영상(1140-2) 및 좌측 영상(1140-3)을 투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분할 프리즘(360)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에 배치된 홀(1210) 및 홀(1210)의 측면 방향에 위치한 경사면(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정면 영역(1230-1) 및 천장 또는 바닥 영역(1230-2)으로 분할하여 다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분할 프리즘(360)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홀을 구비하지 않고, 제1 경사면(1310-1) 및 제2 경사면(132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좌측 영역(1320-1) 및 우측 영역(1320-2)으로 분할하여 다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분할 프리즘(360)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긴 형태의 홀(1410), 홀(1410)의 제1 측면 방향(예로, 우측 방향)에 위치한 제1 경사면(1420-1) 및 홀(1410)의 제2 측면 방향(예로, 좌측 방향)에 위치한 제2 경사면(1420-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분할 프리즘(360)은 도브 프리즘일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정면 영역(1130-1), 우측 영역(1130-2) 및 좌측 영역(1130-3)으로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우측 영역(1130-2) 및 좌측 영역(1130-3)은 정면 영역(1130-1)에 비해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분할 프리즘(360)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에 배치된 홀(1510), 홀(1510)의 제1 측면 방향에 위치한 제1 경사면(1520-1), 홀(1510)의 제2 측면 방향에 위치한 제2 경사면(1520-2), 홀(1510)의 제3 측면 방향에 위치한 제3 경사면(1520-3) 및 홀(1410)의 제4 측면 방향에 위치한 제4 경사면(1520-4)을 포함하는 잘린 피라미드 형태의 프리즘일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영역(1530-1), 바닥 영역(1530-2), 우측 영역(1530-3) 및 좌측 영역(1530-4)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정면 영역(1530-1), 바닥 영역(1530-2), 우측 영역(1530-3) 및 좌측 영역(1530-4)을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영역(1540-1), 바닥 영역(1540-2), 우측 영역(1540-3), 천장 영역(1540-4) 및 좌측 영역(1540-5)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정면 영역(1540-1), 바닥 영역(1540-2), 우측 영역(1540-3), 천장 영역(1540-4) 및 좌측 영역(1540-5)을 이용하여 다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DMD(340)를 이용하여 복수의 투사면에 다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6a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면(1610-1 내지 1610-5)을 포함하는 십자 형태의 DMD(340)가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16a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 투사면(1620-1 내지 1620-5) 상에 다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6b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내지 제3면(1630-1 내지 1630-3)을 포함하는 와이드 스크린 형태의 DMD(340)가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16b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드 형태의 제1 내지 제3 투사면(1640-1 내지 1640-3) 상에 다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6c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면(1650-1 내지 1650-4)을 포함하는 "ㅜ" 형태의 DMD(340)가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16c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투사면(1660-1 내지 1660-4) 상에 다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이때, 도 16a 내지 도 16c에서 설명한 DMD(340)의 형태 각각은 분할 프리즘(360)의 형태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a에 설명한 DMD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6b에서 설명한 DMD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프로젝션부(112)를 포함하며, 프로젝션부(112)는 광원에 의해 발광된 광 중 일부를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통해 상기 광 중 나머지 일부를 측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분할 프리즘을 포함한다. 이때, 분할 프리즘(360)은 광의 일부를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기 위해 중앙 영역에 형성된 홀, 홀의 제1 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제1 측면 방향으로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1 경사면, 홀의 제2 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제2 측면 방향으로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2 경사면, 홀의 제3 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제3 측면 방향으로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3 경사면 및 홀의 제4 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제4 측면 방향으로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4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17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기 위한 다면 영상으로 변환한다(S1720).
이때,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정면 영역 및 제1 내지 제4 측면 방향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정면 영역 및 제1 내지 제4 측면 방향 중 일부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정면 영역 및 제1 내지 제4 측면 방향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정면 영역 및 제1 내지 제4 측면 방향 중 일부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행렬을 통해 정면 영역 및 제1 내지 제4 측면 영역 각각을 정면 영상 및 제1 내지 제4 측면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정면 영상 및 제1 내지 제4 측면 영상을 포함하는 다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행렬을 통해 정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 각각을 정면 영상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 다른 영상과 관련된 정보 및 실시간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측면 방향 중 나머지 일부 방향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정면 영상,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상 및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을 포함하는 다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에 표시되는 영상의 유형 및 표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분할 프리즘(360)을 통해 변환된 다면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한다(S1730).
한편,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정면 방향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제1 투사 모드 및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다면 영상으로 변환하여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제2 투사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DMD(340)에 의해 반사된 광이 통과하는 프리즘(350)과 분할 프리즘(360) 사이에 배치된 액정 렌즈(910)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제1 투사 모드 및 제2 투사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전자 장치(100)의 위치 및 투사면의 유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 전자 장치(100)의 위치 및 투사면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분할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다면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젝션 렌즈(101), 헤드(103), 본체(105), 커버(107) 또는 커넥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벽 또는 스크린으로 이미지를 확대하여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일 수 있으며, 프로젝터 장치는 LCD 프로젝터 또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사용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프로젝터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가정용 또는 산업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조명 장치일 수 있으며, 음향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기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기기들의 둘 이상의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10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의 조작에 따라 프로젝터 기능은 오프되고 조명 기능 또는 스피커 기능은 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조명 장치 또는 음향 장치로 활용될 수 있으며, 마이크 또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AI 스피커로 활용될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101)는 본체(105)의 일 면에 형성되어,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을 본체(105) 외부로 투사하도록 형성된다. 다양한 실시 예의 프로젝션 렌즈(101)는 색수차를 줄이기 위하여 저분산 코팅된 광학 렌즈일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101)는 볼록 렌즈 또는 집광 렌즈일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 예의 프로젝션 렌즈(101)는 복수의 서브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헤드(103)는 본체(105)의 일 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프로젝션 렌즈(101)를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다. 헤드(103)는 본체(105)의 일 면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스위블 가능하도록 본체(105)와 결합될 수 있다.
헤드(103)는 사용자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스위블되어 프로젝션 렌즈(101)의 투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헤드(103)는 본체(105)와 결합되며 본체(105)로부터 연장되는 넥을 포함하여, 헤드(103)는 젖혀지거나 기울어지며 프로젝션 렌즈(101)의 투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헤드(103)에는 측면 방향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하여 측면 방향에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103)는 전자 장치(100)의 본체(105)와 탈부착될 수 있다.
본체(105)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으로, 본체(105)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 부품(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구성)을 지지하거나 보호할 수 있다. 본체(105)의 형상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에 가까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체(10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5)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기둥, 원뿔, 구와 같은 다양한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5)의 크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크기일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도록 초소형으로 구현될 수 있고, 테이블에 거치하거나 조명 장치에 결합 가능한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5)의 재질은 사용자의 지문 또는 먼지가 묻지 않도록 무광의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의 외관은 매끈한 유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5)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옮길 수 있도록 마찰 영역이 본체(105)의 외관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105)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절곡된 파지부 또는 지지대(108a, 도 20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본체(105)의 위치 및 각도가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103)의 방향을 조정하며 프로젝션 렌즈(101)의 투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광 또는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헤드(103)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뒤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5) 외주면에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오디오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가 전자 장치(100)의 본체(105)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 음성 출력 등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5) 내부에는 방열 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방열 팬(미도시)이 구동되면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본체(105) 내부의 공기 또는 열을 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고, 전자 장치(1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130)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30)는 외부 장치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130)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거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30)는 HDMI 연결 단자, USB 연결 단자, SD 카드 수용 홈, 오디오 연결 단자 또는 전력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블루투스, Wi-Fi 또는 무선 충전 연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30)는 외부 조명 장치에 연결되는 소켓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외부 조명 장치의 소켓 수용 홈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소켓 구조의 커넥터(130)의 사이즈 및 규격은 결합 가능한 외부 장치의 수용 구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제 규격 E26에 따라, 커넥터(130)의 접합 부위의 지름은 26 mm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구를 대체하여 스탠드와 같은 외부 조명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기존 천장에 위치한 소켓에 체결 시, 전자 장치(100)는 위에서 아래로 프로젝션되는 구조로서, 소켓 결합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 화면 역시 회전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소켓 결합이 되어 전원 공급이 되는 경우라도 전자 장치(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전자 장치(100)는 천장의 스탠드에 소켓 결합된 상태로 헤드(103)가 본체(105)의 일 면에서 스위블되며 투사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화면을 출사하거나 화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
커넥터(130)는 결합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 센서는 커넥터(130)와 외부 장치의 결합 여부, 결합 상태 또는 결합 대상을 센싱하여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1)는 전달받은 감지값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커버(107)는 본체(105)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커넥터(130)가 상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넥터(130)를 보호할 수 있다. 커버(107)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와 연속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커넥터(1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커버(107)는 전자 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커버(107)에 결합되어 외부 거치대에 결합되거나 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전자 장치(100)는 커버(107) 내부에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은 정지 이미지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며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보호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스탠드(미도시), 벽면 또는 파티션에 결합 가능한 브라켓(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의 카메라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연결된 카메라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나 현재 촬영 중인 이미지를 프로젝션부(112)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는 다양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다른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등)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1), 프로젝션부(112), 메모리(113), 통신 인터페이스(114), 조작 인터페이스(115), 입출력 인터페이스(116), 스피커(117), 마이크(118), 전원부(119), 구동부(120) 또는 센서부(12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구성은 다양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으며, 새로운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은 생략한다.
프로세서(111)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GPU(graphics-processing unit)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advanced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RISC) machines)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메모리(11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2)는 이미지를 외부로 투사하는 구성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부(112)는 다양한 투사 방식(예를 들어, CRT(cathode-ray tube) 방식,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레이저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CRT 방식은 기본적으로 CRT 모니터와 원리가 동일하다. CRT 방식은 브라운관(CRT) 앞의 렌즈로 상을 확대시켜서 스크린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브라운관의 개수에 따라 1관식과 3관식으로 나뉘며, 3관식의 경우 Red, Green, Blue의 브라운관이 따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LCD 방식은 광원에서 나온 빛을 액정에 투과시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LCD 방식은 단판식과 3판식으로 나뉘며, 3판식의 경우 광원에서 나온 빛이 다이크로익 미러(특정 색의 빛만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거울)에서 Red, Green, Blue로 분리된 뒤 액정을 투과한 후 다시 한 곳으로 빛이 모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DLP 방식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DLP 방식의 프로젝션부는 광원, 컬러 휠, DMD 칩, 프로젝션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에서 출력된 빛은 회전하는 컬러 휠을 통과하면서 색을 띌 수 있다. 컬러 휠을 통화한 빛은 DMD 칩으로 입력된다. DMD 칩은 수많은 미세 거울을 포함하고, DMD 칩에 입력된 빛을 반사시킨다. 프로젝션 렌즈는 DMD 칩에서 반사된 빛을 이미지 크기로 확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레이저 방식은 DPSS(Diode Pumped Solid State) 레이저와 검류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색상을 출력하는 레이저는 DPSS 레이저를 RGB 색상별로 3개를 설치한 후 특수 거울을 이용하여 광축을 중첩한 레이저를 이용한다. 검류계는 거울과 높은 출력의 모터를 포함하여 빠른 속도로 거울을 움직인다. 예를 들어, 검류계는 최대 40 KHz/sec로 거울을 회전시킬 수 있다. 검류계는 스캔 방향에 따라 마운트되는데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평면 주사를 하므로 검류계도 x, y축으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2)는 다양한 유형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부(112)는 램프, LED,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2)는 전자 장치(100)의 용도 또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4:3 화면비, 5:4 화면비, 16:9 와이드 화면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화면비에 따라 WVGA(854*480), SVGA(800*600), XGA(1024*768), WXGA(1280*720), WXGA(1280*800), SXGA(1280*1024), UXGA(1600*1200), Full HD(1920*1080) 등의 다양한 해상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2)는 프로세서(111)의 제어에 의해 출력 이미지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부(112)는 줌, 키스톤, 퀵코너(4코너)키스톤, 렌즈 시프트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12)는 스크린과의 거리(투사거리)에 따라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즉, 스크린과의 거리에 따라 줌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줌 기능은 렌즈를 이동시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하드웨어 방식과 이미지를 크롭(crop) 등으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소프트웨어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줌 기능이 수행되면, 이미지의 초점의 조절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은 수동 포커스 방식, 전동 방식 등을 포함한다. 수동 포커스 방식은 수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하고, 전동 방식은 줌 기능이 수행되면 프로젝터가 내장된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한다. 줌기능을 수행할 때, 프로젝션부(112)는 소프트웨어를 통한 디지털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부(120)를 통해 렌즈를 이동하여 줌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12)는 키스톤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면 투사에 높이가 안 맞으면 위 혹은 아래로 화면이 왜곡될 수 있다. 키스톤 보정 기능은 왜곡된 화면을 보정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면의 좌우 방향으로 왜곡이 발생되면 수평 키스톤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왜곡이 발생되면 수직 키스톤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퀵코너(4코너)키스톤 보정 기능은 화면의 중앙 영역은 정상이지만 모서리 영역의 균형이 맞지 않은 경우 화면을 보정하는 기능이다. 렌즈 시프트 기능은 화면이 스크린을 벗어난 경우 화면을 그대로 옮겨주는 기능이다.
한편, 프로젝션부(112)는 사용자 입력없이 자동으로 주변 환경 및 프로젝션 환경을 분석하여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12)는 센서(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적외선 센서, 조도 센서 등)를 통해 감지된 전자 장치(100)와 스크린과의 거리, 현재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한 정보, 주변 광량에 대한 정보 등을 바탕으로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12)는 광원을 이용하여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션부(112)는 LED를 이용하여 광원을 출력함으로써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젝션부(112)는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2)는 구현 예에 따라 면발광 LED를 이용하여 광원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면발광 LED는 광원이 고르게 분산하여 출력되도록 LED의 상측에 광학 시트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LED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를 통해 광원이 출력되면 광원이 광학 시트를 거쳐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광학 시트를 통해 분산된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입사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2)는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디밍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 인터페이스(115)(예를 들어, 터치 디스플레이 버튼 또는 다이얼)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젝션부(112)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광원의 세기를 출력하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12)는 사용자 입력 없이 프로세서(111)에 의해 분석된 컨텐츠를 바탕으로 디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12)는 현재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컨텐츠 유형, 컨텐츠 밝기 등)를 바탕으로 광원의 세기를 출력하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2)는 프로세서(111)의 제어에 의해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1)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출력되기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11)는 출력이 결정된 컨텐츠의 프레임별 색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획득된 프레임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1)는 프레임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임의 주요 색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색상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가 조절할 수 있는 색온도는 웜 타입(warm type) 또는 콜드 타입(cold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될 프레임(이하 출력 프레임)이 화재가 일어난 장면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서(111)는 현재 출력 프레임에 포함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주요 색상이 적색이라고 식별(또는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식별된 주요 색상(적색)에 대응되는 색온도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적색에 대응되는 색온도는 웜 타입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1)는 프레임의 색상 정보 또는 주용 색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인공 지능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인공 지능 모델은 전자 장치(100)(예를 들어, 메모리(113))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공 지능 모델은 전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13)는 프로세서(111)에 포함된 롬(ROM)(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11)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모리(113)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고,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 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3)는 전자 장치(10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13)에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3)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113)는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디스크(Hard Disk) 등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13)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이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1)는 메모리(113)에 저장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메모리(113)는 프로세서(111)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11)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메모리(113)라는 용어는 저장부, 프로세서(111)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4)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14)는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또는 기타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와이파이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 모듈은 가시 광선과 밀리미터파 사이에 있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기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기타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은 LAN(Local Area Network) 모듈, 이더넷 모듈,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UWB(Ultra Wide-Band)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인터페이스(115)는 다양한 유형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인터페이스(115)는 물리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리적 버튼은 기능키(function key), 방향키(예를 들어, 4방향 키) 또는 다이얼 버튼(dial 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물리적 버튼은 복수의 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물리적 버튼은 하나의 키(one key)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버튼이 하나의 키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키가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키가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인터페이스(115)는 비접촉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접촉 방식을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물리적인 힘이 전자 장치(100)에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물리적인 힘에 관계없이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방식이 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 인터페이스(115)는 사용자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인터페이스(115)는 센서(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인터페이스(115)는 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인터페이스(115)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터치 방식은 비접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임계 거리 이내로 사용자 신체가 접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접촉하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조작 인터페이스(115)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원격 제어 장치는 전자 장치(100)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전용 제어 기기)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휴대용 통신 기기는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휴대용 통신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는 외부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사용자 음성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음성은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STT(Speech To Text) 기능을 이용하여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STT(Speech To Text) 기능은 전자 장치(100)에서 직접 수행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TT(Speech To Text) 기능은 외부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 명령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제어 명령 데이터(이때, 텍스트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음.)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제어 명령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어시스턴스(또는 인공지능 비서, 예로, 빅스비TM 등)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다양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어시스턴스를 통해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어시스턴스에 대응되는 트리거 워드 또는 리모컨에 존재하는 특정 키를 바탕으로 복수의 어시스턴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스크린 인터렉션이란, 전자 장치(100)가 스크린(또는 투사면)에 투사한 이미지를 통해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식별하고, 기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이벤트는 특정 위치(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UI가 투사된 위치)에 특정 위치에 기 결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 지시봉 또는 레이저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투사된 UI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 결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투사된 UI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에 UI를 표시하도록 가이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투사된 UI를 선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기 결정된 이벤트가 투사된 UI의 위치에서 식별되면, 사용자가 투사된 UI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되는 UI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item)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기 결정된 이벤트가 투사된 UI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하여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센서(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등)를 통해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공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위치(UI가 투사된 위치)에서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위치(UI가 투사된 위치)에서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UI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오디오 신호 및 이미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출력 하기 위한 구성이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디오 및 이미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 제어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오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와 이미지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오디오 신호 및 이미지 신호를 모두 입출력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 (Mobile High- Definition Link), USB (Universal Serial Bus), USB C-type, DP(Display Port), 썬더볼트 (Thunderbolt), VGA(Video Graphics Array)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및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와 이미지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오디오 신호 및 이미지 신호를 모두 입출력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는 다양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USB C-type을 통해 외부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거나 전원 어뎁터를 통해 콘센트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DP를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어, 노트북이나 모니터 등)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신호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고, 이미지 신호는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신호는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고, 이미지 신호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117)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스피커(117)는 오디오 출력 믹서, 오디오 신호 처리기,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믹서는 출력할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출력 믹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다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예: 외부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스피커 또는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모듈은 복수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음향 출력 모듈은 본체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출력 모듈의 진동판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고 방사되는 음향은 음도관(waveguide)을 통과하여 본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이 본체의 외관에 대칭 배치됨으로써 모든 방향으로, 즉 360도 전 방향으로 음향을 방사할 수 있다.
마이크(118)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 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마이크(118)는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18)는 전자 장치(100)의 상측이나 전면 방향, 측면 방향 등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118)는 아날로그 형태의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증폭하는 앰프 회로, 증폭된 사용자 음성을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회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9)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19)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전원부(119)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130)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9)는 220V의 DC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100)는 USB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거나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9)는 내부 배터리 또는 외부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19)는 내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전원부(119)는 220V의 DC 전원 코드, USB 전원 코드 및 USB C-Type 전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내부 배터리의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된 내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19)는 외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USB 전원 코드, USB C-Type 전원 코드, 소켓 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전자 장치(100)와 외부 배터리의 연결이 수행되면, 전원부(119)는 외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전원부(119)는 외부 배터리로부터 바로 전력을 공급받거나, 외부 배터리를 통해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내부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원부(119)는 상술한 복수의 전력 공급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소비 전력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소켓 형태 및 기타 표준 등을 이유로 기설정된 값(예로, 43W) 이하의 소비 전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이용 시에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소비 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전원 공급 방법 및 전원 사용량 등을 바탕으로 소비 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구동부(12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을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물리적인 힘을 생성하여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2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의 이동(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이동) 또는 구성의 회전(예를 들어, 프로젝션 렌즈의 회전) 동작을 위해 구동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120)는 프로젝션부(122)의 투사 방향(또는 투사 각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20)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20)는 전자 장치(1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 부재(109)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20)는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 부재(109)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2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21)는 전자 장치(100)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기울기 센서, 이미지를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울기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일 수 있고,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 또는 뎁스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기울기 센서는 움직임 센서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1)는 기울기 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 이외에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21)는 조도 센서,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센서는 ToF(Time of Flight)일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1)는 라이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조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로부터 조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정보는 외부 기기에서 설정된 밝기 정보 또는 색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예를 들어, 동일한 홈/회사 네트워크에 포함된 IoT 기기) 또는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는 아니지만 전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기기(예를 들어, 원격 제어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포함된 외부 조명 기기(IoT 기기)가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외부 조명 기기(IoT 기기)는 조명 정보(예를 들어,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조명 기기로부터 수신된 조명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조명 기기로부터 수신된 조명 정보가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는 정보를 포함하면, 전자 장치(100)는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1)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체온, 심장 박동 수, 혈압, 호흡,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상술한 정보 이외에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생체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수면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면 중(또는 수면 준비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11)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 단말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화면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고, 휴대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라캐스트(Miracast), Airplay, 무선 DEX, Remote PC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여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음악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 장치와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연결 방식으로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전자 장치(100)를 검색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검색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특정 컨텐츠 또는 음악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전자 장치(100) 근처에 위치시킨 후 휴대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기 설정된 제스처가 감지되면(예로, 모션 탭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특정 컨텐츠 또는 음악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거나(예로, 비접촉 탭뷰) 휴대 단말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짧은 간격으로 두 번 접촉되면(예로, 접촉 탭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고 있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휴대 단말 장치와 전자 장치(100) 간 연결이 구축되면,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1 화면이 출력되고, 전자 장치(100)에서는 제1 화면과 상이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2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이며, 제2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면과 제2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서로 상이한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1 화면은 제2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형식의 UI를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는 입력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대기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조건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대기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블루 스크린 형태의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서 특정 오브젝트의 형태만을 추출하여 비정형 오브젝트를 획득하고, 획득된 비정형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미도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미도시)내에는 a-si TFT(amorphou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미도시)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three-dimensional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미도시)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하우징하는 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베젤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셔터부(미도시)는 셔터, 고정 부재, 레일 또는 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셔터는 프로젝션부(112)에서 출력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는 셔터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레일은 셔터 및 고정 부재를 이동시키는 경로일 수 있다. 여기서, 몸체는 셔터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의 실시 예(20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지대(또는 "손잡이"라는 함.)(108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a)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손잡이 또는 고리일 수 있으며, 또는 지지대(108a)는 본체(105)가 측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본체(105)를 지지하는 스탠드일 수 있다.
지지대(108a)는 본체(105)의 외주면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체(105) 외주면에서 분리 및 고정될 수 있다. 지지대(108a)의 개수, 형상 또는 배치 구조는 제약이 없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대(108a)는 본체(105) 내부에 내장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꺼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지지대(108a)는 별도의 액세서리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지지대(108a)는 제1 지지면(108a-1)과 제2 지지면(108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면(108a-1)은 지지대(108a)가 본체(105)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105) 바깥 방향을 마주보는 일 면일 수 있고, 제2 지지면(108a-2)은 지지대(108a)가 본체(105)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105) 내부 방향을 마주보는 일 면일 수 있다.
제1 지지면(108a-1)은 본체(105) 하부로부터 본체(105) 상부로 전개되며 본체(105)로부터 멀어질 수 있으며, 제1 지지면(108a-1)은 평탄하거나 균일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면(108a-1)은 전자 장치(100)가 본체(105)의 외측면이 바닥면에 닿도록 거치 되는 경우, 즉 프로젝션 렌즈(101)가 전면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본체(105)를 지지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지지대(108a)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 있어서는, 2개의 지지대(108a)의 간격 또는 힌지 개방된 각도를 조절하여 헤드(103)와 프로젝션 렌즈(101)의 투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지지면(108a-2)은 지지대(108a)가 사용자 또는 외부 거치 구조에 의하여 지지가 될 때 사용자 또는 외부 거치 구조에 맞닿는 면으로, 전자 장치(100)를 지지하거나 이동시키는 경우 미끄러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손의 파지 구조 또는 외부 거치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프로젝션 렌즈(101)를 전면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헤드(103)를 고정하고 지지대(108a)를 잡고 전자 장치(100)를 이동시키며, 손전등과 같이 전자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지지대 홈(104)은 본체(105)에 마련되어 지지대(108a)가 사용되지 않을 때 수용 가능한 홈 구조로, 본체(105)의 외주면에 지지대(108a)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지지대 홈(104)을 통하여 지지대(108a)가 사용되지 않을 때 본체(105)의 외주면에 지지대(108a)가 보관될 수 있으며, 본체(105) 외주면은 매끄럽게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지지대(108a)가 본체(105) 내부에 보관되고 지지대(108a)가 필요한 상황에서 지지대(108a)를 본체(105) 외부로 빼내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대 홈(104)은 지지대(108a)를 수용하도록 본체(105) 내부로 인입된 구조일 수 있으며, 제2 지지면(108a-2)이 본체(105)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별도의 지지대 홈(104)을 개폐하는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이용 또는 보관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며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보호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삼각대(미도시) 또는 외부 면에 결합되어 전자 장치(100)를 고정 가능한 브라켓(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실시 예(2020)는 실시 예(2010)의 전자 장치(100)가 바닥면에 닿도록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의 실시 예(21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지대(또는 "손잡이"라는 함.)(108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b)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손잡이 또는 고리일 수 있으며, 또는 지지대(108b)는 본체(105)가 측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본체(105)가 임의의 각도로 향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탠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108b)는 본체(105)의 기설정된 지점(예를 들어, 본체 높이의 2/3~ 3/4 지점)에서 본체(105)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108)가 본체 방향으로 회전되면, 본체(105)가 측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본체(105)가 임의의 각도로 향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21의 실시 예(2120)는 실시 예(2110)의 전자 장치(100)가 바닥면에 닿도록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의 실시 예(22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지대(또는 "받침대"라고 함)(108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c)는 전자 장치(100)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8c-1) 및 두 개의 지지 부재(108c-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지지 부재(108c-2)는 베이스 플레이트(108c-1)와 본체(105)를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로, 두 개의 지지 부재(108c-2)의 높이는 동일하여, 두 개의 지지 부재(108c-2)의 일 단면 각각이 본체(105)의 일 외주면에 마련된 홈과 힌지 부재(108c-3)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 부재는 본체(105)의 기 설정된 지점(예를 들어, 본체 높이의 1/3 ~ 2/4 지점)에서 본체(105)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 부재와 본체가 힌지 부재(108c-3)에 의해 결합되면, 두 개의 힌지 부재(108c-3)로 인해 형성되는 가상의 수평 축을 기준으로 본체(105)가 회전되어 프로젝션 렌즈(101)의 투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2의 실시 예(2220)는 실시 예(2210)의 전자 장치(100)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에서는 두 개의 지지 부재(108c-2)가 본체(105)와 연결되는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3과 같이 하나의 지지 부재와 본체(105)가 하나의 힌지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의 실시 예(23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지대(또는 "받침대"라고 함)(108d)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d)는 전자 장치(100)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8d-1)와 베이스 플레이트(108c-1)와 본체(105)를 연결하는 하나의 지지 부재(108d-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지지 부재(108d-2)의 단면은 본체(105)의 일 외주 면에 마련된 홈과 힌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하나의 지지 부재(108d-2)와 본체(105)가 하나의 힌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면, 하나의 힌지 부재(미도시)로 인해 형성되는 가상의 수평 축을 기준으로 본체(105)가 회전될 수 있다.
도 23의 실시 예(2320)는 실시 예(2310)의 전자 장치(100)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의 실시 예(24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지대(또는 "받침대"라고 함)(108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e)는 전자 장치(100)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8e-1) 및 두 개의 지지 부재(108e-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지지 부재(108e-2)는 베이스 플레이트(108e-1)와 본체(105)를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로, 두 개의 지지 부재(108e-2)의 높이는 동일하여, 두 개의 지지 부재(108e-2)의 일 단면 각각이 본체(105)의 일 외주면에 마련된 홈과 힌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 부재는 본체(105)의 기 설정된 지점(예를 들어, 본체 높이의 1/3 ~ 2/4 지점)에서 본체(105)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 부재와 본체가 힌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면, 두 개의 힌지 부재(미도시)로 인해 형성되는 가상의 수평 축을 기준으로 본체(105)가 회전되어 프로젝션 렌즈(101)의 투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프로젝션 렌즈(101)를 포함하는 본체(105)를 회전시킬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8e-1)의 중심점에서 가상의 수직 축을 기준으로 본체(105) 및 지지대(108e)가 회전될 수 있다.
도 24의 실시 예(2420)는 실시 예(2410)의 전자 장치(100)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지지대는 다양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위치나 형태로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의 실시 예(25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이동 부재(10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109)는 전자 장치(100)가 배치된 공간에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구동부(120)에서 생성된 힘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가 이동되도록 이동 부재(109)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5의 실시 예(2520)는 실시 예(2510)의 전자 장치(1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헤드(103) 상에 정면 방향의 광 뿐만 아니라 측면 방향의 광을 투사하기 위하여 복수의 투사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의 실시 예(26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헤드(103) 상에 정면 방향의 광을 투사하기 위한 제1 투사 렌즈(2610-1)가 배치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측면 방향의 광을 투사하기 위한 제2 내지 제5 투사 렌즈(2610-2 내지 261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투사 렌즈(2610-1 내지 2610-5)를 이용하여 다섯 개의 투사면에 다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에 홀과 4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3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의 실시 예(26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헤드(103) 상에 정면 방향의 광을 투사하기 위한 제1 투사 렌즈(2620-1)가 배치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측면 방향의 광을 투사하기 위한 제2 및 제3 투사 렌즈(2620-2 및 262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투사 렌즈(2620-1 내지 2620-3)를 이용하여 세 개의 투사면에 다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에 홀과 2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분할 프리즘(36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TV)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1: 프로세서
112: 프로젝션부
113: 메모리 114: 통신 인터페이스
115: 조작 인터페이스 116: 입출력 인터페이스
117: 스피커 118: 마이크
119: 전원부 120: 구동부
121: 센서부
113: 메모리 114: 통신 인터페이스
115: 조작 인터페이스 116: 입출력 인터페이스
117: 스피커 118: 마이크
119: 전원부 120: 구동부
121: 센서부
Claims (18)
-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로젝션부;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션부는,
광원에 의해 발광된 광 중 일부를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통해 상기 광 중 나머지 일부를 측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분할 프리즘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기 위한 다면 영상으로 변환하며,
상기 분할 프리즘을 통해 상기 변환된 다면 영상을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프리즘은,
상기 광의 일부를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기 위해 중앙 영역에 형성된 홀;
상기 홀의 제1 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1 경사면;
상기 홀의 제2 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2 경사면;
상기 홀의 제3 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3 경사면; 및
상기 홀의 제4 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4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4 경사면;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정면 영역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방향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 영역으로 분할하고,
적어도 하나의 변환 행렬을 통해 상기 정면 영역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영역 각각을 정면 영상 및 제1 내지 제4 측면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정면 영상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다면 영상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 다른 영상과 관련된 정보 및 실시간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정면 영역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방향 중 일부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으로 분할하고,
적어도 하나의 변환 행렬을 통해 상기 정면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 각각을 정면 영상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 상기 다른 영상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실시간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방향 중 나머지 일부 방향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정면 영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상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을 포함하는 다면 영상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에 표시되는 영상의 유형 및 표시 위치가 변경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정면 방향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제1 투사 모드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다면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제2 투사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부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에 의해 반사된 광이 통과하는 프리즘과 상기 분할 프리즘 사이에 배치된 액정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정 렌즈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액정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투사 모드 및 상기 제2 투사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및 투사면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상기 투사면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분할 유형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투사면과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투사면과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면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키스톤 보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 프로젝션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부는,
광원에 의해 발광된 광 중 일부를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통해 상기 광 중 나머지 일부를 측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분할 프리즘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방법은,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기 위한 다면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 프리즘을 통해 상기 변환된 다면 영상을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프리즘은,
상기 광의 일부를 정면 방향으로 투과시키기 위해 중앙 영역에 형성된 홀;
상기 홀의 제1 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1 경사면;
상기 홀의 제2 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2 경사면;
상기 홀의 제3 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3 경사면; 및
상기 홀의 제4 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4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4 경사면;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정면 영역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방향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변환 행렬을 통해 상기 정면 영역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영역 각각을 정면 영상 및 제1 내지 제4 측면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정면 영상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다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 다른 영상과 관련된 정보 및 실시간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정면 영역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방향 중 일부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변환 행렬을 통해 상기 정면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 각각을 정면 영상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 상기 다른 영상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실시간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방향 중 나머지 일부 방향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정면 영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상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을 포함하는 다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측면 영상에 표시되는 영상의 유형 및 표시 위치가 변경되는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정면 방향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제1 투사 모드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다면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하는 제2 투사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부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에 의해 반사된 광이 통과하는 프리즘과 상기 분할 프리즘 사이에 배치된 액정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액정 렌즈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액정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투사 모드 및 상기 제2 투사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및 투사면의 유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상기 투사면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분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투사면과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투사면과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면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키스톤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3/012848 WO2024101616A1 (ko) | 2022-11-11 | 2023-08-30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US18/483,189 US20240160029A1 (en) | 2022-11-11 | 2023-10-09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0325 | 2022-11-11 | ||
KR20220150325 | 2022-11-1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9559A true KR20240069559A (ko) | 2024-05-20 |
Family
ID=9128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4529A KR20240069559A (ko) | 2022-11-11 | 2022-12-26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69559A (ko) |
-
2022
- 2022-12-26 KR KR1020220184529A patent/KR20240069559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299189A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US20230037686A1 (en) | Electronic device, contents searching system and searching method thereof | |
US20230260434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220337943A1 (en) | Sound outputting apparatus | |
US11991484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240069559A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20230014518A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US20240160029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 |
KR20240000336A (ko) | 영상을 크롭하여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30157217A (ko) | 슬라이딩 가능한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20240040094A1 (en) | Electronic apparatus for projecting imag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20230328209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240185749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4391528A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240000325A (ko) |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 |
US20240280887A1 (en) | Electronic apparatus | |
US20240080422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240015494A (ko) | 이미지를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20230026947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230048968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20240259538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240000326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WO2023219246A1 (ko) | 슬라이딩 가능한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40000328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30029038A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