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328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328A
KR20240000328A KR1020220113427A KR20220113427A KR20240000328A KR 20240000328 A KR20240000328 A KR 20240000328A KR 1020220113427 A KR1020220113427 A KR 1020220113427A KR 20220113427 A KR20220113427 A KR 20220113427A KR 20240000328 A KR20240000328 A KR 2024000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rea
projection
electronic devi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기
성기범
구본석
김영태
소병석
이기성
이영철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567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49235A1/ko
Publication of KR2024000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04N13/117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the virtual viewpoint locations being selected by the viewers or determined by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3Equalis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image components, e.g. their average brightness or colour bal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전자 장치는 프로젝션부, 메모리, 센서부 및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식별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투사 이미지를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 및 제1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휘도값의 제1 이미지 영역 및 제1 휘도값과 상이한 제2 휘도값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투사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시선에 기초하여 투사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미지를 투사하는 전자 장치(예를 들어, 프로젝터)가 전원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충전을 위해 컨텐츠의 시청을 중단할 수 있다. 시청을 중단하지 않기 위해서는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전원 공급 장치를 찾아야 한다.
하지만, 휴대용 전자 장치의 경우 바로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전원 공급 장치가 주변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최대한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서 투사되는 이미지의 휘도값을 낮추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전체 이미지의 휘도값을 낮추는 경우 사용자의 시청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영역을 밝게 투사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젝션부, 메모리,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식별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투사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1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휘도값의 제1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1 휘도값과 상이한 제2 휘도값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투사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투사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투사 영역을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 및 상기 제1 투사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투사 이미지를 상기 제1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2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 데이터는 제1 센싱 데이터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제2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위치 및 기 설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센싱 데이터는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이고, 상기 제2 센싱 데이터는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거리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투사 영역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을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그룹을 상기 제1 투사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그룹의 나머지 그룹을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투사 영역에 대응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투사 방향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투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영역을 재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투사 영역에 대응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지 식별하고,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상기 투사 영역 중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제1 투사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시선이 변경되면, 상기 투사 이미지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3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3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4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휘도값의 제3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2 휘도값의 제4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 시선 및 제2 사용자 시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시선이 식별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과 상기 제2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제스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과 상기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투사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1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제1 휘도값의 제1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1 휘도값과 상이한 제2 휘도값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투사 이미지를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투사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투사 영역을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 및 상기 제1 투사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사 이미지를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투사 이미지를 상기 제1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2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 데이터는 제1 센싱 데이터이고, 상기 제어 방법은 제2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위치 및 기 설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센싱 데이터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이고, 상기 제2 센싱 데이터는 거리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투사 영역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을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그룹을 상기 제1 투사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그룹의 나머지 그룹을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투사 영역에 대응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투사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투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영역을 재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투사 영역에 대응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상기 투사 영역 중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제1 투사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시선이 변경되면, 상기 투사 이미지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3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3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4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제1 휘도값의 제3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2 휘도값의 제4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제1 사용자 시선 및 제2 사용자 시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시선이 식별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과 상기 제2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제스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과 상기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전자 장치의 회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투사면의 회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밝게 투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투사 이미지의 휘도값을 기준으로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의 휘도값을 작게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투사 이미지의 휘도값을 기준으로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영역의 휘도값을 크게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영역의 상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서버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휘도값을 보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사용자 시선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사용자 시선의 위치 및 기 설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사용자 시선의 위치 및 기 설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기 설정된 개수의 그룹으로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기 설정된 개수의 그룹으로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는 경계선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경계선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는 사용자 시선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는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7은 사용자 시선의 이동에 따라 휘도값이 변경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복수개의 사용자 시선에 따라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복수개의 사용자 시선에 따라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0은 멀티뷰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일부 컨텐츠의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멀티뷰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일부 컨텐츠의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2는 복수의 기기로 멀티뷰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일부 컨텐츠의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복수의 기기로 멀티뷰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일부 컨텐츠의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4는 구분된 이미지 영역 경계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현재 시점의 프레임과 과거 시점의 프레임을 동시에 투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오브젝트를 식별하여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오브젝트를 식별하여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1은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구분된 이미지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는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구분된 이미지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젝션 렌즈(101), 헤드(103), 본체(105), 커버(107) 또는 커넥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벽 또는 스크린으로 이미지를 확대하여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일 수 있으며, 프로젝터 장치는 LCD 프로젝터 또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사용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프로젝터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가정용 또는 산업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조명 장치일 수 있으며, 음향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기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기기들의 둘 이상의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10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의 조작에 따라 프로젝터 기능은 오프되고 조명 기능 또는 스피커 기능은 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조명 장치 또는 음향 장치로 활용될 수 있으며, 마이크 또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AI 스피커로 활용될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101)는 본체(105)의 일 면에 형성되어,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을 본체(105) 외부로 투사하도록 형성된다. 다양한 실시 예의 프로젝션 렌즈(101)는 색수차를 줄이기 위하여 저분산 코팅된 광학 렌즈일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101)는 볼록 렌즈 또는 집광 렌즈일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 예의 프로젝션 렌즈(101)는 복수의 서브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헤드(103)는 본체(105)의 일 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프로젝션 렌즈(101)를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다. 헤드(103)는 본체(105)의 일 면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스위블 가능하도록 본체(105)와 결합될 수 있다.
헤드(103)는 사용자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스위블되어 프로젝션 렌즈(101)의 투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헤드(103)는 본체(105)와 결합되며 본체(105)로부터 연장되는 넥을 포함하여, 헤드(103)는 젖혀지거나 기울어지며 프로젝션 렌즈(101)의 투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체(105)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으로, 본체(105)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 부품(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구성)을 지지하거나 보호할 수 있다. 본체(105)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에 가까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체(10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5)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기둥, 원뿔, 구와 같은 다양한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5)의 크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크기일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도록 초소형으로 구현될 수 있고, 테이블에 거치하거나 조명 장치에 결합 가능한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5)의 재질은 사용자의 지문 또는 먼지가 묻지 않도록 무광의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의 외관은 매끈한 유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5)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옮길 수 있도록 마찰 영역이 본체(105)의 외관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105)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절곡된 파지부 또는 지지대(108a, 도 4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본체(105)의 위치 및 각도가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103)의 방향을 조정하며 프로젝션 렌즈(101)의 투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광 또는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헤드(103)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뒤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5) 외주면에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오디오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가 전자 장치(100)의 본체(105)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 음성 출력 등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5) 내부에는 방열 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방열 팬(미도시)이 구동되면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본체(105) 내부의 공기 또는 열을 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고, 전자 장치(1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130)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30)는 외부 장치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130)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거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30)는 HDMI 연결 단자, USB 연결 단자, SD 카드 수용 홈, 오디오 연결 단자 또는 전력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블루투스, Wi-Fi 또는 무선 충전 연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30)는 외부 조명 장치에 연결되는 소켓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외부 조명 장치의 소켓 수용 홈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소켓 구조의 커넥터(130)의 사이즈 및 규격은 결합 가능한 외부 장치의 수용 구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제 규격 E26에 따라, 커넥터(130)의 접합 부위의 지름은 26 mm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구를 대체하여 스탠드와 같은 외부 조명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기존 천장에 위치한 소켓에 체결 시, 전자 장치(100)는 위에서 아래로 프로젝션되는 구조로서, 소켓 결합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 화면 역시 회전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소켓 결합이 되어 전원 공급이 되는 경우라도 전자 장치(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전자 장치(100)는 천장의 스탠드에 소켓 결합된 상태로 헤드(103)가 본체(105)의 일 면에서 스위블되며 투사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화면을 출사하거나 화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
커넥터(130)는 결합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 센서는 커넥터(130)와 외부 장치의 결합 여부, 결합 상태 또는 결합 대상을 센싱하여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전달받은 감지값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커버(107)는 본체(105)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커넥터(130)가 상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넥터(130)를 보호할 수 있다. 커버(107)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와 연속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커넥터(1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커버(107)는 전자 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커버(107)에 결합되어 외부 거치대에 결합되거나 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전자 장치(100)는 커버(107) 내부에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은 정지 이미지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며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보호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스탠드(미도시), 벽면 또는 파티션에 결합 가능한 브라켓(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의 카메라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연결된 카메라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나 현재 촬영 중인 이미지를 프로젝션부(112)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는 다양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다른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등)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 프로젝션부(112), 메모리(113) 및 센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에서 기재한다.
프로젝션부(112)는 이미지(투사 이미지, 컨텐츠 등)을 외부로 투사하는 구성이다. 프로젝션부(112)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에서 기재한다.
메모리(113)는 프로젝션부(112)를 통해 투사되는 투사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 이미지는 정지 이미지뿐 아니라 연속 이미지(또는 동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투사 이미지는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센서부(121)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21)는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는 이미지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는 촬영(또는 촬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는 거리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거리 센서는 거리 센서는 ToF(Time of Flight) 센서 또는 라이다(Ridar) 센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센서부(121)를 통해 획득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식별하고, 메모리(113)에 저장된 투사 이미지를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 및 제1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휘도값의 제1 이미지 영역 및 제1 휘도값과 상이한 제2 휘도값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투사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센서부(121)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데이터 획득 시점에 따라 제1 센싱 데이터, 제2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점에 수신된 데이터는 제1 센싱 데이터로 기재되고, 제2 시점에 수신된 데이터는 제2 센싱 데이터로 기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센싱 데이터를 센싱하는 센서 종류에 따라 제1 센싱 데이터, 제2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제1 센싱 데이터로 기재되고, 제2 센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제2 센싱 데이터로 기재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20)의 시선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20)의 존재 자체는 이미지 센서 또는 거리 센서 등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20)가 어느 위치를 바라보고 있는지 여부를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센서부(이미지 센서 또는 거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통해 획득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20)의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20)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20)의 시선(이하 사용자 시선으로 기재)을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시선은 사용자(20)가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 중 어느 위치를 바라보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20)의 얼굴이 포함된 촬영 이미지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이미지에 포함된 사용자(20)의 눈동자(또는 홍채)를 인식하여 사용자(20)가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 투사 이미지가 투사되는 영역, 사용자(20)가 포함된 촬영 이미지 및 사용자(2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분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시선은 단말 장치(500)에서 획득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단말 장치(500)에 포함된 센서가 사용자(20)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할 수 있으며, 센싱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단말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 13에서 기재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이 투사 이미지 중 어느 영역을 바라보는지 분석할 수 있다.
투사 이미지가 투사되고 있는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투사면(10)에 투사된 투사 이미지의 전체 영역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과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영역은 주 영역으로 기재될 수 있고, 제2 이미지 영역은 보조 영역으로 기재될 수 있다.
투사 이미지가 투사되고 있지 않는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투사면(10)에 투사 이미지가 투사될 전체 투사 영역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과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투사 영역은 투사 이미지 중 제1 이미지 영역이 투사될 영역일 수 있다. 제2 투사 영역은 투사 이미지 중 제2 이미지 영역이 투사될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투사 영역은 주 화면으로 기재될 수 있고, 제2 투사 영역은 보조 화면으로 기재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과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제2 이미지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제1 이미지 영역이 제2 이미지 영역보다 밝게 투사되도록 프로젝션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특정 영역(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을 밝게 하기 위하여, 이미지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원본 투사 이미지에서 포함하는 기본 휘도값(또는 평균 휘도값)을 기초하여 이미지 보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은 기본 휘도값을 유지하고,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제2 이미지 영역은 기본 휘도값보다 낮은 휘도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은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하고,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제2 이미지 영역은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낮출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기본 휘도값(100%)의 제1 이미지 영역 및 변경된 휘도값(50%)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 9에서 기재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제2 이미지 영역은 기본 휘도값을 유지하고,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은 기본 휘도값보다 높은 휘도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제2 이미지 영역은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하고,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은 임계 비율(150%)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높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기본 휘도값(100%)의 제2 이미지 영역 및 변경된 휘도값(150%)의 제1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 10에서 기재한다.
여기서,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은 이미지에 적용되는 밝기값을 변경하는 동작 또는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값(예를 들어, R, G, B 값)을 변경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에 적용되는 밝기값을 변경하는 동작은 투사되는 이미지 전체에 적용되는 밝기값을 높이거나 낮추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픽셀값을 변경하는 동작은 투사될 이미지 전체의 평균 픽셀값을 높이거나 낮추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투사 영역을 식별하고, 투사 영역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 및 제1 투사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하고, 투사 이미지를 제1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 및 제2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투사 영역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그룹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그룹을 제1 투사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그룹의 나머지 그룹을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투사 영역은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사면(10)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투사면(10)에 전체 영역 중 투사 이미지가 투사되기 위한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투사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영역은 복수의 그룹으로 기재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투사 영역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과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사용자(20)가 전체 투사 영역 중 어느 영역을 바라보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센싱 데이터는 제1 센싱 데이터이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센서부(121)를 통해 획득한 제2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식별하고,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위치 및 기 설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제1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과 관련된 정보(시선 방향 또는 시선 위치) 및 기 설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전체 투사 영역을 제1 투사 영역 및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선 방향은 사용자(20)의 시선이 어느 방향으로 투사 영역을 바라보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시선 방향은 시선 각도로 기재될 수 있다. 시선 위치는 사용자(20)의 시선이 투사 영역 중 어느 위치를 바라보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8 및 도 19에서 기재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기 설정된 복수의 영역(또는 그룹)의 개수에 기초하여 전체 투사 영역을 제1 투사 영역 및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0 및 도 21에서 기재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투사면(10)에 포함된 경계선에 기초하여 전체 투사 영역을 제1 투사 영역 및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2 및 도 23에서 기재한다.
한편, 제1 센싱 데이터는 센서부(121)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이고, 제2 센싱 데이터는 센서부(121)에 포함된 거리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21)는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한 제1 센서(이미지 센서) 또는 투사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제2 센서(거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하는 제1 센싱 데이터 및 거리 센서를 통해 획득하는 제2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제1 센싱 데이터 및 제2 센싱 데이터를 모두 이용하여 이미지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하는 제1 센싱 데이터만을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제1 센싱 데이만을 이용하여 이미지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에 대응되지 않으면,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투사 방향을 변경하고, 변경된 투사 방향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재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현재 배치된 위치 및 센서부(121)의 센싱 방향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정면을 향하고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현재의 센싱 방향(정면)을 기준으로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이 식별된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시선이 식별된 투사 영역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영역을 투사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최초 식별된 투사 영역(도 25의 2511)을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재식별한 투사 영역(도 25의 2521)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시선이 정해진 임계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임계 범위는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투사 이미지가 투사되는 투사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변경된 투사 영역에 투사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5 및 도 26에서 기재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에 대응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지 식별하고,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투사 영역 중 기 설정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1 투사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데이터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 또는 거리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또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또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밝기를 조절할 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이동한 영역 또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위치한 영역을 나머지 영역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6 및 도 37에서 기재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이 변경되면, 투사 이미지를 변경된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3 이미지 영역 및 제3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4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휘도값의 제3 이미지 영역 및 제2 휘도값의 제4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사용자 시선이 변경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투사 영역의 구분 동작 및 이미지 영역의 구분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6에서 기재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제1 사용자 시선 및 제2 사용자 시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시선이 식별되면, 제1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과 제2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복수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시선을 식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제1 사용자(20-1)의 제1 사용자 시선 및 제2 사용자(20-2)의 제2 사용자 시선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제1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을 제1 휘도값으로 투사하고 제2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을 제2 휘도값을 투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휘도값 및 제2 휘도값이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8 내지 도 29에서 기재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제스쳐를 식별하고,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과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는 손가락으로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제스쳐, 양손을 이동하는 제스쳐, 손가락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스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복수의 사용자 제스쳐를 메모리(113)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복수의 사용자 제스쳐 중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별된 사용자 제스쳐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식별된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휘도값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을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크기를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8 내지 50에서 기재한다.
한편, 아래의 설명에서는 투사면(10)이 평면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투사면(10)이 곡면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는 동일한 이미지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투사 영역을 식별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투사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이 반드시 필수적이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과 투사 이미지의 투사 방향을 비교하여 이미지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시선의 방향 및 투사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영역을 이미지의 중앙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의 방향 및 투사 방향의 각도 차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시선에 기초하여 이미지 영역의 밝기를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특정 영역만을 상대적으로 밝게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어둡게 변경되는 경우,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10)과 사용자(20)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센서부(121)에 포함된 거리 센서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사면(10)과 사용자(20) 사이의 거리값을 나타내는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20)의 시야각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20)의 시야각은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120도)를 의미할 수 있다. 기 설정된 각도는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10)과 사용자(20) 사이의 거리 정보 및 사용자(20)의 시야각을 고려하여 투사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체 투사 영역 중 사용자(20)의 시야각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1 투사 영역(또는 주 화면)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체 투사 영역 중 사용자(20)의 시야각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을 제2 투사 영역(또는 보조 화면)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전자 장치(100)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1), 프로젝션부(112), 메모리(113), 통신 인터페이스(114), 조작 인터페이스(115), 입출력 인터페이스(116), 스피커(117), 마이크(118), 전원부(119), 구동부(120) 또는 센서부(12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다양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으며, 새로운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은 생략한다.
프로세서(111)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GPU(graphics-processing unit)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advanced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RISC) machines)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메모리(11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2)는 이미지를 외부로 투사하는 구성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부(112)는 다양한 투사 방식(예를 들어, CRT(cathode-ray tube) 방식,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레이저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CRT 방식은 기본적으로 CRT 모니터와 원리가 동일하다. CRT 방식은 브라운관(CRT) 앞의 렌즈로 상을 확대시켜서 스크린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브라운관의 개수에 따라 1관식과 3관식으로 나뉘며, 3관식의 경우 Red, Green, Blue의 브라운관이 따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LCD 방식은 광원에서 나온 빛을 액정에 투과시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LCD 방식은 단판식과 3판식으로 나뉘며, 3판식의 경우 광원에서 나온 빛이 다이크로익 미러(특정 색의 빛만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거울)에서 Red, Green, Blue로 분리된 뒤 액정을 투과한 후 다시 한 곳으로 빛이 모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DLP 방식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DLP 방식의 프로젝션부는 광원, 컬러 휠, DMD 칩, 프로젝션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에서 출력된 빛은 회전하는 컬러 휠을 통과하면서 색을 띌 수 있다. 컬러 휠을 통화한 빛은 DMD 칩으로 입력된다. DMD 칩은 수많은 미세 거울을 포함하고, DMD 칩에 입력된 빛을 반사시킨다. 프로젝션 렌즈는 DMD 칩에서 반사된 빛을 이미지 크기로 확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레이저 방식은 DPSS(Diode Pumped Solid State) 레이저와 검류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색상을 출력하는 레이저는 DPSS 레이저를 RGB 색상별로 3개를 설치한 후 특수 거울을 이용하여 광축을 중첩한 레이저를 이용한다. 검류계는 거울과 높은 출력의 모터를 포함하여 빠른 속도로 거울을 움직인다. 예를 들어, 검류계는 최대 40 KHz/sec로 거울을 회전시킬 수 있다. 검류계는 스캔 방향에 따라 마운트되는데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평면 주사를 하므로 검류계도 x, y축으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2)는 다양한 유형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부(112)는 램프, LED,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2)는 전자 장치(100)의 용도 또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4:3 화면비, 5:4 화면비, 16:9 와이드 화면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화면비에 따라 WVGA(854*480), SVGA(800*600), XGA(1024*768), WXGA(1280*720), WXGA(1280*800), SXGA(1280*1024), UXGA(1600*1200), Full HD(1920*1080) 등의 다양한 해상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2)는 프로세서(111)의 제어에 의해 출력 이미지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부(112)는 줌, 키스톤, 퀵코너(4코너)키스톤, 렌즈 시프트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12)는 스크린과의 거리(투사거리)에 따라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즉, 스크린과의 거리에 따라 줌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줌 기능은 렌즈를 이동시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하드웨어 방식과 이미지를 크롭(crop) 등으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소프트웨어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줌 기능이 수행되면, 이미지의 초점의 조절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은 수동 포커스 방식, 전동 방식 등을 포함한다. 수동 포커스 방식은 수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하고, 전동 방식은 줌 기능이 수행되면 프로젝터가 내장된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한다. 줌기능을 수행할 때, 프로젝션부(112)는 소프트웨어를 통한 디지털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부(120)를 통해 렌즈를 이동하여 줌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12)는 키스톤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면 투사에 높이가 안 맞으면 위 혹은 아래로 화면이 왜곡될 수 있다. 키스톤 보정 기능은 왜곡된 화면을 보정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면의 좌우 방향으로 왜곡이 발생되면 수평 키스톤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왜곡이 발생되면 수직 키스톤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퀵코너(4코너)키스톤 보정 기능은 화면의 중앙 영역은 정상이지만 모서리 영역의 균형이 맞지 않은 경우 화면을 보정하는 기능이다. 렌즈 시프트 기능은 화면이 스크린을 벗어난 경우 화면을 그대로 옮겨주는 기능이다.
한편, 프로젝션부(112)는 사용자 입력없이 자동으로 주변 환경 및 프로젝션 환경을 분석하여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12)는 센서(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적외선 센서, 조도 센서 등)를 통해 감지된 전자 장치(100)와 스크린과의 거리, 현재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한 정보, 주변 광량에 대한 정보 등을 바탕으로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12)는 광원을 이용하여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션부(112)는 LED를 이용하여 광원을 출력함으로써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젝션부(112)는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2)는 구현 예에 따라 면발광 LED를 이용하여 광원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면발광 LED는 광원이 고르게 분산하여 출력되도록 LED의 상측에 광학 시트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LED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를 통해 광원이 출력되면 광원이 광학 시트를 거쳐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광학 시트를 통해 분산된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입사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2)는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디밍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 인터페이스(115)(예를 들어, 터치 디스플레이 버튼 또는 다이얼)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젝션부(112)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광원의 세기를 출력하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12)는 사용자 입력 없이 프로세서(111)에 의해 분석된 컨텐츠를 바탕으로 디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12)는 현재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컨텐츠 유형, 컨텐츠 밝기 등)를 바탕으로 광원의 세기를 출력하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2)는 프로세서(111)의 제어에 의해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1)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출력되기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11)는 출력이 결정된 컨텐츠의 프레임별 색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획득된 프레임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1)는 프레임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임의 주요 색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색상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가 조절할 수 있는 색온도는 웜 타입(warm type) 또는 콜드 타입(cold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될 프레임(이하 출력 프레임)이 화재가 일어난 장면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서(111)는 현재 출력 프레임에 포함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주요 색상이 적색이라고 식별(또는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식별된 주요 색상(적색)에 대응되는 색온도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적색에 대응되는 색온도는 웜 타입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1)는 프레임의 색상 정보 또는 주용 색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인공 지능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인공 지능 모델은 전자 장치(100)(예를 들어, 메모리(113))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공 지능 모델은 전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13)는 프로세서(111)에 포함된 롬(ROM)(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11)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모리(113)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고,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 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3)는 전자 장치(10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13)에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3)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113)는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디스크(Hard Disk) 등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13)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이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1)는 메모리(113)에 저장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메모리(113)는 프로세서(111)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11)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메모리(113)라는 용어는 저장부, 프로세서(111)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4)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14)는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또는 기타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와이파이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 모듈은 가시 광선과 밀리미터파 사이에 있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기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기타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은 LAN(Local Area Network) 모듈, 이더넷 모듈,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UWB(Ultra Wide-Band)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인터페이스(115)는 다양한 유형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인터페이스(115)는 물리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리적 버튼은 기능키(function key), 방향키(예를 들어, 4방향 키) 또는 다이얼 버튼(dial 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물리적 버튼은 복수의 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물리적 버튼은 하나의 키(one key)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버튼이 하나의 키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키가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키가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인터페이스(115)는 비접촉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접촉 방식을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물리적인 힘이 전자 장치(100)에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물리적인 힘에 관계없이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방식이 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 인터페이스(115)는 사용자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인터페이스(115)는 센서(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인터페이스(115)는 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인터페이스(115)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터치 방식은 비접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임계 거리 이내로 사용자 신체가 접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접촉하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조작 인터페이스(115)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원격 제어 장치는 전자 장치(100)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전용 제어 기기)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휴대용 통신 기기는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휴대용 통신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는 외부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사용자 음성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음성은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STT(Speech To Text) 기능을 이용하여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STT(Speech To Text) 기능은 전자 장치(100)에서 직접 수행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TT(Speech To Text) 기능은 외부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 명령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제어 명령 데이터(이때, 텍스트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음.)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제어 명령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어시스턴스(또는 인공지능 비서, 예로, 빅스비TM 등)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다양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어시스턴스를 통해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어시스턴스에 대응되는 트리거 워드 또는 리모컨에 존재하는 특정 키를 바탕으로 복수의 어시스턴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스크린 인터렉션이란, 전자 장치(100)가 스크린(또는 투사면)에 투사한 이미지를 통해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식별하고, 기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이벤트는 특정 위치(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UI가 투사된 위치)에 특정 위치에 기 결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 지시봉 또는 레이저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투사된 UI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 결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투사된 UI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에 UI를 표시하도록 가이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투사된 UI를 선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기 결정된 이벤트가 투사된 UI의 위치에서 식별되면, 사용자가 투사된 UI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되는 UI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item)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기 결정된 이벤트가 투사된 UI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하여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센서(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등)를 통해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공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위치(UI가 투사된 위치)에서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위치(UI가 투사된 위치)에서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UI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오디오 신호 및 이미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출력 하기 위한 구성이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디오 및 이미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 제어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오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와 이미지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오디오 신호 및 이미지 신호를 모두 입출력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 (Mobile High- Definition Link), USB (Universal Serial Bus), USB C-type, DP(Display Port), 썬더볼트 (Thunderbolt), VGA(Video Graphics Array)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및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와 이미지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오디오 신호 및 이미지 신호를 모두 입출력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는 다양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USB C-type을 통해 외부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거나 전원 어뎁터를 통해 콘센트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DP를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어, 노트북이나 모니터 등)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신호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고, 이미지 신호는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신호는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고, 이미지 신호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117)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스피커(117)는 오디오 출력 믹서, 오디오 신호 처리기,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믹서는 출력할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출력 믹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다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예: 외부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스피커 또는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모듈은 복수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음향 출력 모듈은 본체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출력 모듈의 진동판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고 방사되는 음향은 음도관(waveguide)을 통과하여 본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이 본체의 외관에 대칭 배치됨으로써 모든 방향으로, 즉 360도 전 방향으로 음향을 방사할 수 있다.
마이크(118)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 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마이크(118)는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18)는 전자 장치(100)의 상측이나 전면 방향, 측면 방향 등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118)는 아날로그 형태의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증폭하는 앰프 회로, 증폭된 사용자 음성을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회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9)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19)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전원부(119)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130)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9)는 220V의 DC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100)는 USB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거나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9)는 내부 배터리 또는 외부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19)는 내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전원부(119)는 220V의 DC 전원 코드, USB 전원 코드 및 USB C-Type 전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내부 배터리의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된 내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19)는 외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USB 전원 코드, USB C-Type 전원 코드, 소켓 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전자 장치(100)와 외부 배터리의 연결이 수행되면, 전원부(119)는 외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전원부(119)는 외부 배터리로부터 바로 전력을 공급받거나, 외부 배터리를 통해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내부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원부(119)는 상술한 복수의 전력 공급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소비 전력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소켓 형태 및 기타 표준 등을 이유로 기설정된 값(예로, 43W) 이하의 소비 전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이용 시에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소비 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전원 공급 방법 및 전원 사용량 등을 바탕으로 소비 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구동부(12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을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물리적인 힘을 생성하여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2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의 이동(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이동) 또는 구성의 회전(예를 들어, 프로젝션 렌즈의 회전) 동작을 위해 구동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120)는 프로젝션부(122)의 투사 방향(또는 투사 각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20)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20)는 전자 장치(1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 부재(109)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20)는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 부재(109)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2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21)는 전자 장치(100)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기울기 센서, 이미지를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울기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일 수 있고,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 또는 뎁스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기울기 센서는 움직임 센서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1)는 기울기 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 이외에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21)는 조도 센서,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센서는 ToF(Time of Flight)일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1)는 라이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조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로부터 조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정보는 외부 기기에서 설정된 밝기 정보 또는 색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예를 들어, 동일한 홈/회사 네트워크에 포함된 IoT 기기) 또는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는 아니지만 전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기기(예를 들어, 원격 제어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포함된 외부 조명 기기(IoT 기기)가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외부 조명 기기(IoT 기기)는 조명 정보(예를 들어,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조명 기기로부터 수신된 조명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조명 기기로부터 수신된 조명 정보가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는 정보를 포함하면, 전자 장치(100)는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1)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체온, 심장 박동 수, 혈압, 호흡,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상술한 정보 이외에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생체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수면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면 중(또는 수면 준비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11)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 단말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화면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고, 휴대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라캐스트(Miracast), Airplay, 무선 DEX, Remote PC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여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음악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 장치와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연결 방식으로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전자 장치(100)를 검색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검색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특정 컨텐츠 또는 음악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전자 장치(100) 근처에 위치시킨 후 휴대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기 설정된 제스처가 감지되면(예로, 모션 탭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특정 컨텐츠 또는 음악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거나(예로, 비접촉 탭뷰) 휴대 단말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짧은 간격으로 두 번 접촉되면(예로, 접촉 탭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고 있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휴대 단말 장치와 전자 장치(100) 간 연결이 구축되면,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1 화면이 출력되고, 전자 장치(100)에서는 제1 화면과 상이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2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이며, 제2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면과 제2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서로 상이한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1 화면은 제2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형식의 UI를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는 입력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대기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조건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대기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블루 스크린 형태의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서 특정 오브젝트의 형태만을 추출하여 비정형 오브젝트를 획득하고, 획득된 비정형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미도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미도시)내에는 a-si TFT(amorphou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미도시)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three-dimensional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미도시)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하우징하는 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베젤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셔터부(미도시)는 셔터, 고정 부재, 레일 또는 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셔터는 프로젝션부(112)에서 출력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는 셔터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레일은 셔터 및 고정 부재를 이동시키는 경로일 수 있다. 여기서, 몸체는 셔터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의 실시 예(4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지대(또는 “손잡이”라는 함.)(108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a)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손잡이 또는 고리일 수 있으며, 또는 지지대(108a)는 본체(105)가 측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본체(105)를 지지하는 스탠드일 수 있다.
지지대(108a)는 본체(105)의 외주면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체(105) 외주면에서 분리 및 고정될 수 있다. 지지대(108a)의 개수, 형상 또는 배치 구조는 제약이 없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대(108a)는 본체(105) 내부에 내장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꺼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지지대(108a)는 별도의 액세서리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지지대(108a)는 제1 지지면(108a-1)과 제2 지지면(108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면(108a-1)은 지지대(108a)가 본체(105)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105) 바깥 방향을 마주보는 일 면일 수 있고, 제2 지지면(108a-2)은 지지대(108a)가 본체(105)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105) 내부 방향을 마주보는 일 면일 수 있다.
제1 지지면(108a-1)은 본체(105) 하부로부터 본체(105) 상부로 전개되며 본체(105)로부터 멀어질 수 있으며, 제1 지지면(108a-1)은 평탄하거나 균일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면(108a-1)은 전자 장치(100)가 본체(105)의 외측면이 바닥면에 닿도록 거치 되는 경우, 즉 프로젝션 렌즈(101)가 전면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본체(105)를 지지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지지대(108a)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 있어서는, 2개의 지지대(108a)의 간격 또는 힌지 개방된 각도를 조절하여 헤드(103)와 프로젝션 렌즈(101)의 투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지지면(108a-2)은 지지대(108a)가 사용자 또는 외부 거치 구조에 의하여 지지가 될 때 사용자 또는 외부 거치 구조에 맞닿는 면으로, 전자 장치(100)를 지지하거나 이동시키는 경우 미끄러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손의 파지 구조 또는 외부 거치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프로젝션 렌즈(101)를 전면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헤드(103)를 고정하고 지지대(108a)를 잡고 전자 장치(100)를 이동시키며, 손전등과 같이 전자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지지대 홈(104)은 본체(105)에 마련되어 지지대(108a)가 사용되지 않을 때 수용 가능한 홈 구조로, 본체(105)의 외주면에 지지대(108a)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지지대 홈(104)을 통하여 지지대(108a)가 사용되지 않을 때 본체(105)의 외주면에 지지대(108a)가 보관될 수 있으며, 본체(105) 외주면은 매끄럽게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지지대(108a)가 본체(105) 내부에 보관되고 지지대(108a)가 필요한 상황에서 지지대(108a)를 본체(105) 외부로 빼내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대 홈(104)은 지지대(108a)를 수용하도록 본체(105) 내부로 인입된 구조일 수 있으며, 제2 지지면(108a-2)이 본체(105)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별도의 지지대 홈(104)을 개폐하는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이용 또는 보관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며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보호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삼각대(미도시) 또는 외부 면에 결합되어 전자 장치(100)를 고정 가능한 브라켓(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 예(420)는 실시 예(410)의 전자 장치(100)가 바닥면에 닿도록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의 실시 예(5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지대(또는 “받침대”라고 함)(108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c)는 전자 장치(100)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8c-1) 및 두 개의 지지 부재(108c-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지지 부재(108c-2)는 베이스 플레이트(108c-1)와 본체(105)를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로, 두 개의 지지 부재(108c-2)의 높이는 동일하여, 두 개의 지지 부재(108c-2)의 일 단면 각각이 본체(105)의 일 외주면에 마련된 홈과 힌지 부재(108c-3)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 부재는 본체(105)의 기 설정된 지점(예를 들어, 본체 높이의 1/3 ~ 2/4 지점)에서 본체(105)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 부재와 본체가 힌지 부재(108c-3)에 의해 결합되면, 두 개의 힌지 부재(108c-3)로 인해 형성되는 가상의 수평 축을 기준으로 본체(105)가 회전되어 프로젝션 렌즈(101)의 투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 예(520)는 실시 예(510)의 전자 장치(100)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전자 장치(100)의 회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실시 예(610)는 x, y, z축에 따른 회전 방향을 정의한 그래프이다.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roll로 정의하고,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pitch로 정의하고, z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yaw로 정의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 예(620)는 전자 장치(100)의 회전 방향을 실시 예(610)에서 정의한 회전 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x축 회전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x축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roll에 해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y축 회전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y축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pitch에 해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z축 회전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z축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yaw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x축 회전 정보는 제1축 회전 정보, 제1 축 기울기 정보 또는 수평 틀어짐 정보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y축 회전 정보는 제2 축 회전 정보, 제2 축 기울기 정보 또는 수직 기울기 정보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z축 회전 정보는 제3 축 회전 정보, 제3축 기울기 정보 또는 수평 기울기 정보로 기재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21)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또는 기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회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21)는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x축 회전 정보 및 전자 장치(100)의 y축 회전 정보는 센서부(121)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z축 회전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라 얼마만큼 회전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z축 회전 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z축으로 얼마만큼 회전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z축 회전 정보는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2 시점에 전자 장치(100)가 z축으로 얼마만큼 회전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z축 회전 정보는 전자 장치가 투사면(10)을 바라보는 가상의 xz평면 및 투사면(10)과 수직한 가상의 면 사이의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사면(10)과 전자 장치(100)가 정면으로 바라보는 경우 z축 회전 정보는 0도 일 수 있다.
도 7은 투사면(10)의 회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실시 예(710)는 x, y, z축에 따른 회전 방향을 정의한 그래프이다.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roll로 정의하고,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pitch로 정의하고, z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yaw로 정의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 예(720)는 투사면(10)의 회전 방향을 실시 예(710)에서 정의한 회전 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투사면(10)의 x축 회전 정보는 투사면(10)의 x축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roll에 해당할 수 있다. 투사면(10)의 y축 회전 정보는 투사면(10)의 y축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pitch에 해당할 수 있다. 투사면(10)의 z축 회전 정보는 투사면(10)의 z축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yaw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x축 회전 정보는 제1축 회전 정보 또는 제1 축 기울기 정보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y축 회전 정보는 제2 축 회전 정보 또는 제2축 기울기 정보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z축 회전 정보는 제3 축 회전 정보 또는 제3축 기울기 정보로 기재될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밝게 투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20)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20)는 전자 장치(100)의 주변에서 식별됨을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센서부(121)를 통해 사용자(20)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센서부(121)를 통해 획득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20)의 시선(이하 사용자 시선)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시선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시선 방향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과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이미지 영역을 구분하여 휘도값을 다르게 투사할 수 있다.
투사 이미지(11)는 이미지 영역(11-1), 이미지 영역(11-2) 및 이미지 영역(1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영역(11-1, 11-2, 11-3)이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는 영역이 구분됨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로 구분되지 않은 하나의 이미지가 투사면(10)에 투사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810)를 참조하면, 사용자(20)가 이미지 영역(11-2)을 보고 있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2)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이미지 영역(11-1, 11-2)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의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3)의 휘도값을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출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820)를 참조하면, 사용자(20)가 이미지 영역(11-1)을 보고 있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1)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이미지 영역(11-2, 11-3)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1)의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2) 및 이미지 영역(11-3)의 휘도값을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출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을 밝게 또는 어둡게 설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원본 이미지의 휘도값을 기준으로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의 휘도값을 임계 비율만큼 낮추는 방법을 도 9에서 기재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원본 이미지의 휘도값을 기준으로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영역의 휘도값을 임계 비율만큼 크게하는 방법을 도 10에서 기재한다.
한편, 도 8 및 아래의 도면에서는 투사면(10)이 평면인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투사면(10)의 곡률과 관계 없이 투사 영역 및 이미지 영역이 구분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평면인 형태의 투사면(10) 뿐 아니라 도 22의 실시 예(2210) 및 실시 예(2220)와 같이 투사면(10)이 평면이 아닌 경우에도 앞서 기재한 동작 및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투사 이미지의 휘도값을 기준으로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의 휘도값을 작게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실시 예(910)를 참조하면, 여기서, 투사 이미지(11)는 이미지 영역(11-1), 이미지 영역(11-2) 및 이미지 영역(11-3)을 포함할 수 있다. 투사 이미지(11)는 원본 이미지의 휘도값에 기초하여 투사될 수 있다. 실시 예(910)의 투사 이미지(11)는 평균 휘도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구현 예에 따라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영역들 각각이 휘도값이 상이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원본 투사 이미지(11)의 휘도값이 영역별로 동일함을 가정한다.
도 9의 실시 예(920)를 참조하면, 사용자(20)가 이미지 영역(11-2)이 투사되는 위치를 바라본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을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3)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의 휘도값을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3)의 휘도값을 원본 이미지의 휘도값보다 임계 비율만큼 작은 휘도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이미지의 휘도값이 100%이면 이미지 영역(11-2)의 휘도값을 100%로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3)의 휘도값을 30%로 낮출 수 있다.
도 10은 투사 이미지의 휘도값을 기준으로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영역의 휘도값을 크게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실시 예(1010)를 참조하면, 여기서, 투사 이미지(11)는 이미지 영역(11-1), 이미지 영역(11-2) 및 이미지 영역(11-3)을 포함할 수 있다. 투사 이미지(11)는 원본 이미지의 휘도값에 기초하여 투사될 수 있다. 실시 예(1010)의 투사 이미지(11)는 평균 휘도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구현 예에 따라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영역들 각각이 휘도값이 상이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원본 투사 이미지(11)의 휘도값이 영역별로 동일함을 가정한다.
도 10의 실시 예(1020)를 참조하면, 사용자(20)가 이미지 영역(11-2)이 투사되는 위치를 바라본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을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3)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3)의 휘도값을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2)의 휘도값을 원본 이미지의 휘도값보다 임계 비율만큼 큰 휘도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이미지의 휘도값이 100%이면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3)의 휘도값을 100%로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2)의 휘도값을 150%로 높일 수 있다.
도 11은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영역의 상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투사 이미지(11)는 복수의 이미지 영역(11-1, 11-2, 11-3, 11-4, 11-5, 11-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20)가 이미지 영역(11-5)을 보고 있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5)을 나머지 영역(11-1, 11-2, 11-3, 11-4, 11-6)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도 12는 서버(300)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시스템(1200)은 전자 장치(1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와 서버(300)를 연결하는 라우터(400)가 존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20)의 위치 및 사용자 시선을 획득하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11)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2)휘도값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이미지 영역(11-1, 11-3)의 휘도값보다 높도록 이미지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보정된 투사 이미지(11)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와 서버(300) 사이의 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라우터(400)가 존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과 관련된 정보를 라우터(400)에 전송하고, 라우터(400)는 사용자 시선과 관련된 정보를 다시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보정된 투사 이미지(11)를 라우터(400)에 전송하고, 라우터(400)는 보정된 투사 이미지(11)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보정된 투사 이미지(11)를 투사할 수 있다.
도 13은 단말 장치(500)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시스템(1300)은 전자 장치(100) 및 단말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단말 장치(500)가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500)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500)는 AR 글래스(Augmented Reality Glass, 501), 넥 밴드 기기(neck band device, 502), 스마트폰(Smart Phone, 503)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500)는 사용자(20)의 위치 및 사용자(20)의 시선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500)는 사용자(20)의 위치 및 사용자(20)의 시선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단말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또는 사용자 시선의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2)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이미지 영역(11-1, 11-3)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휘도값을 보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S1405). 여기서, 센싱 데이터는 센서부(12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식별할 수 있다 (S1410). 여기서, 사용자 시선은 사용자(20)가 어느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시선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 또는 사용자의 시선 영역 등으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휘도값을 보정할 수 있다 (S1415).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이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나머지 영역보다 더 밝게 투사되도록 투사 이미지 자체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보정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1420).
도 15는 도 14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식별할 수 있다 (S1510).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 및 제1 투사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S1520). 여기서, 투사 영역은 투사면(10)의 전체 영역 중 투사 이미지(11)이 투사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투사 영역은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 중 제1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 및 제2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과 이미지 영역을 각각 별도로 구분할 수 있다. 투사 영역은 투사 이미지가 투사되는 현실 공간 내지 가상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미지 영역은 투사 이미지에 포함된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 영역은 이미지 영역이 투사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1 휘도값의 제1 이미지 영역 및 제2 휘도값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1540).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 영역을 제1 휘도값으로 투사하고 제2 이미지 영역을 제2 휘도값으로 투사하기 위해 이미지 보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의 제1 이미지 영역 및 제2 이미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휘도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S1550).
도 16은 사용자 시선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의 S1610, S1620, S1630, S1640, S1650 단계는 도 15의 S1510, S1520, S1530, S1540, S1550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투사 이미지를 투사한 이후,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재식별할 수 있다 (S1660). 전자 장치(100)는 S1610 단계에서 획득한 센싱 데이터와 다른 새로운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새로운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S1670). 사용자 시선이 변경되면 (S1670-Y), 전자 장치(100)는 S1620 내지 S1650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사용자 시선에 따라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 및 이미지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시선이 변경되지 않으면 (S1670-N),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의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680). 투사 이미지의 종료는 사용자가 투사 이미지를 더 이상 투사하지 않기 위한 명령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투사 이미지가 종료되지 않으면 (S1680-N), 전자 장치(100)는 S1650 내지 S1680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투사 이미지가 종료되면 (S1680-Y), 전자 장치(100)는 더 이상 투사 이미지를 투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7은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S1705).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을 기 설정된 복수의 단위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S1710).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식별할 수 있다 (S1715). 전자 장치(100)는 구분된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과 제1 투사 영역 이외의 잔존 영역인 제2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S1720).
전자 장치(100)는 제1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과 제2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1725).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보정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이미지 영역의 일부에 대한 휘도값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또는 보정된) 투사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S1730).
도 18은 사용자 시선의 위치 및 기 설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10)의 전체 영역 중 투사 이미지가 투사되는 전체 투사 영역(1810)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1810)을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구분(또는 분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1810) 중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위치(p0)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위치(p0)에서 임계 거리(x1/2)만큼 확장된 투사 영역(1810-2)을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투사 영역(1810-2)은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투사 영역으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식별된 투사 영역(1810-2)의 가로 길이(x1)는 임계 거리(x1/2)의 2배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체 투사 영역(1810)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투사 영역(1810-2)과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투사 영역(1810-1, 1810-3)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8에서는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동일한 동작이 이미지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9는 사용자 시선의 위치 및 기 설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의 S1910, S1930, S1940, S1950 단계는 도 15의 S1510, S1530, S1540, S1550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시선이 식별된 후, 전자 장치(100)는 전체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S1921).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위치 및 기 설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S1922). 전자 장치(100)는 전체 투사 영역 중 제1 투사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S1923).
이후, 전자 장치(100)는 S1930 내지 S19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은 기 설정된 개수의 그룹으로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10)의 전체 영역 중 투사 이미지가 투사되는 전체 투사 영역(2010)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2010)을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구분(또는 분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2010) 중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위치(p0)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3개)만큼 투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구분된 투사 영역의 가로 길이(예를 들어, 3/d)가 동일할 수 있다. 전체 투사 영역의 가로 길이는 d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체 투사 영역을 복수의 투사 영역(2010-1, 2010-2, 2010-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투사 영역(2010-1, 2010-2, 2010-3) 중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특정 영역(2010-2)을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투사 영역(2010-2)은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투사 영역으로 기재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체 투사 영역(2010)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투사 영역(2010-2)과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투사 영역(2010-1, 2010-3)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20에서는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동일한 동작이 이미지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1은 기 설정된 개수의 그룹으로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의 S2110, S2130, S2140, S2150 단계는 도 15의 S1510, S1530, S1540, S1550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시선이 식별된 후,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S2121).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을 기 설정된 개수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S2122). 여기서, 기 설정된 개수의 그룹은 가로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개수의 그룹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 및 제1 투사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S2123).
이후, 전자 장치(100)는 S2130 내지 S21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2는 경계선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의 실시 예(22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10)의 전체 영역 중 투사 이미지가 투사되는 전체 투사 영역(2611)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2611)을 투사면(10)의 경계선(10-1, 10-2)에 기초하여 구분(또는 분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2611) 중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위치(p0)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체 투사 영역(2611)을 투사면(10)의 경계선(10-1, 10-2)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투사 영역(2611-1, 2611-2, 2611-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투사 영역(2611-1, 2611-2, 2611-3) 중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특정 영역(2611-2)을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투사 영역(2611-2)은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투사 영역으로 기재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체 투사 영역(2611)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투사 영역(2611-2)과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투사 영역(2611-1, 2610-3)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22의 실시 예(2220)를 참조하면, 투사면(10)이 곡면일 수 있다. 투사면(10)이 곡면인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는 전체 투사 영역(2621)을 투사면(10)의 경계선(10-1, 10-2)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투사 영역(2621-1, 2621-2, 2621-3)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2220)에서 경계선(10-1, 10-2)이 식별되지 않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곡면 형태의 투사면(10)에서 경계선이 식별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시야각 또는 기 설정된 거리 등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투사면(10)의 형태는 평면, 곡면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10)의 형태와 관계 없이 투사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도 23은 경계선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의 S2310, S2330, S2340, S2350 단계는 도 15의 S1510, S1530, S1540, S1550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시선이 식별된 후,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 및 투사면(10)의 경계선을 식별할 수 있다 (S2321).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 및 투사면의 경계선에 기초하여 전체 투사 영역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S2322). 여기서, 복수의 그룹은 투사면의 경계선에 기초하여 구분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그룹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 및 제1 투사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S2330 내지 S23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전원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값 변경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정보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여 전원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원 정보에 기초하여 잔여 전원값이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잔여 전원값이 임계값 이하이면, 전자 장치(100)는 전원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전원을 절약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한 휘도값을 낮추는 동작을 통해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 예(920)와 같이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3)의 휘도값을 낮추는 경우,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절약될 수 있다.
잔여 전원값이 임계값 이하이면, 전자 장치(100)는 절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도 15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잔여 전원값이 임계값 이하가 아니면, 전자 장치(100)는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휘도값 변경 동작 없이 투사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도 24는 사용자 시선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 및 사용자 시선의 이동 속도를 식별할 수 있다 (S2405).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S2410).
사용자 시선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 이상이 아니면 (S2410-N),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투사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S2415).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체 투사 영역에서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상이한 휘도값을 갖는 구분된 투사 영역들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242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사용자 시선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 이상이면 (S2410-Y),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저장할 수 있다 (S2430). 전자 장치(100)는 이동 경로 및 임계 속도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S2435). 이후, 전자 장치(100)는 S2420 내지 S242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시선이 너무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의 이동 속도에 대응하여 이미지 보정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끊김 현상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이 너무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임계 속도 이상인 경우), 사용자 시선의 이동 경로를 메모리(112)에 저장하고, 일정한 임계 속도(또는 한계 속도)에 기초하여 이미지 보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5는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의 실시 예(2510)를 참조하면, 사용자 시선이 투사 이미지(11)가 표시되는 영역(또는 투사 영역)(2511)을 벗어난 것으로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의 분석하여 사용자 시선이 투사 이미지(11)가 표시되는 영역(2511)을 벗어났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을 밝게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2510)에서, 사용자 시선이 마지막까지 머무른 영역은 이미지 영역(11-1)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영역(11-1)은 이미지 영역(11-2) 및 이미지 영역(11-3)보다 밝게 투사될 수 있다.
도 25의 실시 예(2520)를 참조하면, 사용자 시선이 투사 이미지(11)가 표시되는 영역(또는 투사 영역)을 벗어나면,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251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변경된 투사 영역(2521)의 위치는 사용자 시선의 이동 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시선이 기존 투사 영역(2511)을 벗어나는 경우에도, 사용자 시선에 따라 계속하여 투사 이미지(11)의 투사 위치가 변경된다는 점에서, 사용자는 투사 이미지(11)가 투사되는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도 26은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6의 S2610, S2620, S2630, S2640, S2650 단계는 도 15의 S1510, S1520, S1530, S1540, S1550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시선이 식별된 후,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S261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S2616).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에서 벗어나는 경우 (S2616-Y),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투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S3317). 여기서, 투사 방향을 변경하는 것은 투사 이미지가 투사되는 투사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투사 방향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재식별할 수 있다 (S2618).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S2620 내지 S26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경우 (S2616-N), 전자 장치(100)는 S2620 내지 S26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7은 사용자 시선의 이동에 따라 휘도값이 변경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의 실시 예(2710)를 참조하면, 사용자(20)가 이미지 영역(11-1)을 본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1)을 이미지 영역(11-2) 및 이미지 영역(11-3)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1)의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2) 및 이미지 영역(11-3)의 휘도값을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출 수 있다.
도 27의 실시 예(2720)를 참조하면, 사용자(20)가 이미지 영역(11-2)을 본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을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3)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영역(11-1)은 이전 시점에 사용자(20)가 바라본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1)을 이미지 영역(11-3)보다 밝게 투사하고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1)을 이미지 영역(11-2)보다 어둡게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의 기본 휘도값(100%)에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1)의 휘도값을 제1 임계 비율(80%)에 기초하여 낮추고, 이미지 영역(11-3)의 휘도값을 제2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출 수 있다. 제1 임계 비율은 제2 임계 비율보다 클 수 있다.
도 27의 실시 예(2730)를 참조하면, 사용자(20)가 이미지 영역(11-3)을 본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3)을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2)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영역(11-2)은 이전 시점에 사용자(20)가 바라본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을 이미지 영역(11-1)보다 밝게 투사하고 이미지 영역(11-2)을 이미지 영역(11-3)보다 어둡게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3)의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2)의 휘도값을 제1 임계 비율(80%)에 기초하여 낮추고, 이미지 영역(11-1)의 휘도값을 제2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출 수 있다. 제1 임계 비율은 제2 임계 비율보다 클 수 있다.
도 28은 복수개의 사용자 시선에 따라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20-1, 20-2)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용자(20-1)의 사용자 시선과 제2 사용자(20-2)의 사용자 시선을 각각 식별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0-1)의 사용자 시선이 제2 사용자(20-2)의 사용자 시선보다 먼저 식별되었음을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용자(20-1)의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2)을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3)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2 사용자(20-2)의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3)을 이미지 영역(11-1)보다 밝게 투사하고 이미지 영역(11-2)보다 어둡게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의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3)의 휘도값을 제1 임계 비율(80%)에 기초하여 낮추고, 이미지 영역(11-1)의 휘도값을 제2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출 수 있다. 제1 임계 비율은 제2 임계 비율보다 클 수 있다.
도 29는 복수개의 사용자 시선에 따라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시선(제1 사용자의 시선) 및 제2 사용자 시선(제2 사용자의 시선)을 식별할 수 있다 (S2910).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 중 제1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S2921).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 중 제2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2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S2922).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 중 제1 투사 영역 및 제2 투사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3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S2923).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제1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의 제1 휘도값을 식별할 수 있다 (S2931). 전자 장치(100)는 제2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영역의 제2 휘도값을 식별할 수 있다 (S2932). 전자 장치(100)는 제3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제3 이미지 영역의 제3 휘도값을 식별할 수 있다 (S2933).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제1 휘도값의 제1 이미지 영역, 제2 휘도값의 제2 이미지 영역, 제3 휘도값의 제3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294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휘도값이 제2 휘도값 및 제3 휘도값보다 높고, 제2 휘도값 및 제3 휘도값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휘도값이 제2 휘도값 및 제3 휘도값보다 높고, 제2 휘도값은 제3 휘도값보다 높을 수 있다.
도 30은 멀티뷰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일부 컨텐츠의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1) 및 제2 컨텐츠(12)를 투사하는 멀티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20)가 제1 컨텐츠(11)가 표시되는 투사 영역을 본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1)를 제2 컨텐츠(12)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1)를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함으로써 투사하고, 제2 컨텐츠(12)를 휘도값을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춤으로써 투사할 수 있다.
도 31은 멀티뷰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일부 컨텐츠의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투사 이미지를 투사하는 멀티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S3105). 전자 장치(100)는 제1 투사 이미지(병합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S3110).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식별할 수 있다 (S3115).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이 제1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S3120). 사용자 시선이 제1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하면 (S3120-Y), 전자 장치(100)는 휘도값이 유지된 제1 컨텐츠 및 휘도값이 임계 비율에 기초하여 낮아진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2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3125). 전자 장치(100)는 제2 투사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S3130).
사용자 시선이 제1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하지 않으면 (S3120-N),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이 제2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S3135).
사용자 시선이 제2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하면 (S3135-Y), 전자 장치(100)는 휘도값이 유지된 제2 컨텐츠 및 휘도값이 임계 비율에 기초하여 낮아진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3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3140). 전자 장치(100)는 제3 투사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S3145).
사용자 시선이 제2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하지 않으면 (S3135-N), 전자 장치(100)는 제1 투사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S3110 내지 S3145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도 32는 복수의 기기로 멀티뷰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일부 컨텐츠의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1)를 투사하고 외부 장치(100-2)는 제2 컨텐츠(12)를 투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컨텐츠(11) 및 제2 컨텐츠(12)를 서로 다른 기기에서 투사하는 것도 멀티뷰 기능으로 기재할 수 있다. 사용자(20)가 제1 컨텐츠(11)가 표시되는 투사 영역을 본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1)를 제2 컨텐츠(12)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1)를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함으로써 투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2 컨텐츠(12)를 휘도값을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춤으로써 투사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외부 장치(100-2)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보정된 제2 컨텐츠(12)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100-2)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2 컨텐츠(12)를 투사할 수 있다.
도 33은 복수의 기기로 멀티뷰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일부 컨텐츠의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멀티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S3305). 전자 장치(100)는 제2 휘도값의 제2 컨텐츠를 외부 장치(100-2)에 전송할 수 있다 (S3310).
외부 장치(100-2)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제2 휘도값의 제2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100-2)는 제2 휘도값의 제2 컨텐츠를 투사할 수 있다 (S3315).
전자 장치(100)는 제1 휘도값의 제1 컨텐츠를 투사할 수 있다 (S3320).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사용자 시선을 식별할 수 있다 (S3325). 예를 들어, 사용자(20)는 제1 컨텐츠가 투사되는 영역을 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을 식별하여 사용자(20)가 제1 컨텐츠가 투사된 영역을 바라보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휘도값을 제3 휘도값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휘도값을 제2 휘도값보다 임계 비율만큼 낮은 휘도값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3 휘도값에 기초하여 제2 컨텐츠를 보정할 수 있다 (S3335). 전자 장치(100)는 제3 휘도값의 제2 컨텐츠를 외부 장치(100-2)에 전송할 수 있다 (S3340).
외부 장치(100-2)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제3 휘도값의 제2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100-2)는 제3 휘도값의 제2 컨텐츠를 투사할 수 있다 (S3345).
전자 장치(100)는 제1 휘도값의 제1 컨텐츠를 투사할 수 있다 (S3350).
도 34는 구분된 이미지 영역 경계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체 투사 영역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과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전체 이미지 영역을 제1 투사 영역에 투사되는 제1 이미지 영역과 제2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 영역과 제2 이미지 영역의 경계 영역(3411, 3412)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그라데이션 효과가 반영된 경계 영역(3411, 3412)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11)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과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이미지 영역의 경계에 그라데이션 효과가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는 휘도 차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구분된 이미지 영역 경계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의 S1510 내지 S1530 단계를 수행한 후, 전자 장치(100)는 제1 휘도값의 제1 이미지 영역 및 제2 휘도값의 제2 이미지 영역 사이의 경계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1 휘도값 및 제2 휘도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그라데이션 효과를 경계 영역에 반영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도 15의 S15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5는 현재 시점의 프레임과 과거 시점의 프레임을 동시에 투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현재 시점과 과거 시점이 모두 포함된 투사 이미지(11)를 투사할 수 있다. 컨텐츠는 시간 순서에 따라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이 가장 먼저 투사된 프레임이고 제3 프레임이 가장 최근에 투사된 프레임일 수 있다. 투사 이미지(11)는,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또는 제3 프레임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5의 실시 예(3510)를 참조하면, 사용자(20)가 이미지 영역(11-2)을 바라본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에 가장 최근 프레임인 제3 프레임을 투사하고, 이미지 영역(11-3)에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 프레임인 제2 프레임을 투사하고, 이미지 영역(11-1)에 제2 프레임 이전 프레임인 제1 프레임을 투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을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3)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에 제3 프레임의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3)에 제2 프레임의 휘도값을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추고, 이미지 영역(11-1)에 제1 프레임의 휘도값을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출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이미지 영역(11-1, 11-2, 11-3)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11)를 획득하고, 투사 이미지(11)를 투사할 수 있다.
도 35의 실시 예(3520)를 참조하면, 사용자(20)가 이미지 영역(11-2)을 바라본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에 가장 최근 프레임인 제3 프레임을 투사하고, 이미지 영역(11-3)에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 프레임인 제2 프레임을 투사하고, 이미지 영역(11-1)에 제2 프레임을 투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을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3)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에 제3 프레임의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1, 11-3)에 제2 프레임의 휘도값을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출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이미지 영역(11-1, 11-2, 11-3)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11)를 획득하고, 투사 이미지(11)를 투사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현재 시점의 프레임과 과거 시점의 프레임을 동시에 투사할 수 있다.
도 15의 S1510 내지 S1530 단계를 수행한 후,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의 제2 프레임이 투사되는 제1 휘도값의 제1 이미지 영역 및 컨텐츠의 제1 프레임이 투사되는 제2 휘도값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은 제2 프레임 이전에 투사되는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도 15의 S15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6은 오브젝트를 식별하여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30)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30)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11)를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오브젝트(30)는 공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의 이동 방향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오브젝트(30)의 이동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30)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10)를 보정할 수 있다.
도 36의 실시 예(3610)를 참조하면, 기 설정된 오브젝트(30)가 이미지 영역(11-2)으로 이동하였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30)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2)을 기 설정된 오브젝트(30)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지 않는 이미지 영역(11-1, 11-2)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의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3)의 휘도값을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출 수 있다.
도 36의 실시 예(3620)를 참조하면, 기 설정된 오브젝트(30)가 이미지 영역(11-1)을 보고 있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30)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1)을 기 설정된 오브젝트(30)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지 않는 이미지 영역(11-2, 11-3)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1)의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2) 및 이미지 영역(11-3)의 휘도값을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출 수 있다.
도 37은 오브젝트를 식별하여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7의 S3710, S3720, S3730, S3740, S3750 단계는 도 15의 S1510, S1520, S1530, S1540, S1550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시선이 식별된 후,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S371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S3716).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경우 (S3716-N), 전자 장치(100)는 S3720 내지 S37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에서 벗어나는 경우 (S3716-Y),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3717).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지 않으면 (S3717-N),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S3750).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S3717-Y),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 중 기 설정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 및 제1 투사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투사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S3718). 이후, 전자 장치(100)는 S3730 내지 S37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제스쳐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11)를 보정할 수 있다.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을 나머지 영역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도 38의 실시 예(38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 및 사용자 제스쳐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시선은 이미지 영역(11-2)에 대응되고 사용자 제스쳐는 이미지 영역(11-3)에 대응된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2) 및 이미지 영역(11-3)을 이미지 영역(11-1)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 및 이미지 영역(11-3)의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1)의 휘도값을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출 수 있다.
도 38의 실시 예(38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 및 사용자 제스쳐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시선은 이미지 영역(11-2)에 대응되고 사용자 제스쳐는 이미지 영역(11-3)에 대응된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2)을 이미지 영역(11-1) 및 이미지 영역(11-3)보다 밝게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3)을 이미지 영역(11-1)보다 밝게 투사하고 이미지 영역(11-2)보다 어둡게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의 기본 휘도값(100%)을 유지하고 이미지 영역(11-3)의 휘도값을 제1 임계 비율(80%)에 기초하여 낮추고, 이미지 영역(11-1)의 휘도값을 제2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낮출 수 있다. 제1 임계 비율은 제2 임계 비율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 및 사용자 제스쳐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제2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도 29의 S2923 내지 S29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의 실시 예(39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변경할 이미지 영역을 특정하고,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얼마나 변경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영역(11-2)은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변경하고,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11-1, 11-3)은 휘도값을 임계 비율(50%)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낮출 수 있다.
사용자 시선이 이미지 영역(11-2)에 대응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의 휘도값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제스쳐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영역(11-2)에 대응되는 휘도값을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변경할 수 있다.
반시계 방향으로 손가락을 회전시키는 사용자 제스쳐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2)의 휘도값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시계 방향으로 손가락을 회전시키는 사용자 제스쳐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2)의 휘도값을 높일 수 있다.
도 39의 실시 예(39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영역(11-2)을 특정하고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이미지 영역(11-1, 11-3)의 휘도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영역(11-2)의 휘도값을 유지하고,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영역(11-2)은 기본 휘도값을 유지하고,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11-1, 11-3)은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변경할 수 있다.
시계 방향으로 손가락을 회전시키는 사용자 제스쳐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이미지 영역(11-1, 11-2)의 휘도값을 높일 수 있다. 반시계 방향으로 손가락을 회전시키는 사용자 제스쳐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지 않는 이미지 영역(11-1, 11-2)의 휘도값을 낮출 수 있다.
도 4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0의 S4010, S4020, S4030, S4040, S4050 단계는 도 15의 S1510, S1520, S1530, S1540, S1550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S4050 단계 후,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가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4055).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가 식별되지 않으면 (S4055-N), 전자 장치(100)는 S4050 내지 S4055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가 식별되면 (S4055-Y),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제1 휘도값을 제3 휘도값을 변경할 수 있다 (S406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3 휘도값의 제1 이미지 영역 및 제2 휘도값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406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S4070).
도 40은 도 39의 실시 예(3910)와 관련된 동작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1은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구분된 이미지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4110)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4110)는 두 손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제스쳐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4110)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11-2)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영역(11-2)의 크기는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4110)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42는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구분된 이미지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2의 S4210, S4220, S4230, S4240, S4250 단계는 도 15의 S1510, S1520, S1530, S1540, S1550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S4250 단계 후, 전자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가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4255).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가 식별되지 않으면 (S4255-N), 전자 장치(100)는 S4250 내지 S4255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사용자 제스쳐가 식별되면 (S4255-Y),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 영역을 제3 이미지 영역으로 변경하고, 제3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제4 이미지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S426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1 휘도값의 제3 이미지 영역 및 제2 휘도값의 제4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426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이미지 영역은 도 41의 이미지 영역(11-2)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이미지 영역은 도 41의 이미지 영역(11-1, 11-2)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식별하는 단계 (S4305),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투사 이미지를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 및 제1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S4310), 제1 휘도값의 제1 이미지 영역 및 제1 휘도값과 상이한 제2 휘도값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S4315) 및 획득된 투사 이미지를 투사하는 단계 (S4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투사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투사 영역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 및 제1 투사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투사 이미지를 구분하는 단계 (S4310)는 투사 이미지를 제1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 및 제2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센싱 데이터는 제1 센싱 데이터이고, 제어 방법은 제2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위치 및 기 설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제1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1 센싱 데이터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이고, 제2 센싱 데이터는 거리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는 투사 영역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그룹을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그룹을 제1 투사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그룹의 나머지 그룹을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에 대응되지 않으면,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투사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투사 방향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재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사용자 시선이 투사 영역에 대응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지 식별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투사 영역 중 기 설정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1 투사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사용자 시선이 변경되면, 투사 이미지를 변경된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3 이미지 영역 및 제3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4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제1 휘도값의 제3 이미지 영역 및 제2 휘도값의 제4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제1 사용자 시선 및 제2 사용자 시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시선이 식별되면, 제1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과 제2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제스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과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도 43과 같은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2 또는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전자 장치: 100
프로세서: 111
프로젝션부: 112
메모리: 113
센서부: 121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로젝션부;
    메모리;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식별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투사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1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휘도값의 제1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1 휘도값과 상이한 제2 휘도값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투사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투사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투사 영역을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 및 상기 제1 투사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투사 이미지를 상기 제1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2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는 제1 센싱 데이터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제2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위치 및 기 설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투사 영역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데이터는,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이고,
    상기 제2 센싱 데이터는,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거리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인,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투사 영역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을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그룹을 상기 제1 투사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그룹의 나머지 그룹을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하는, 전자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투사 영역에 대응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투사 방향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투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영역을 재식별하는, 전자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투사 영역에 대응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지 식별하고,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상기 투사 영역 중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제1 투사 영역으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시선이 변경되면, 상기 투사 이미지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3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3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4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휘도값의 제3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2 휘도값의 제4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 시선 및 제2 사용자 시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시선이 식별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과 상기 제2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제스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과 상기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투사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1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제1 휘도값의 제1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1 휘도값과 상이한 제2 휘도값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투사 이미지를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투사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투사 영역을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투사 영역 및 상기 제1 투사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사 이미지를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투사 이미지를 상기 제1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2 투사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는 제1 센싱 데이터이고,
    제2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위치 및 기 설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투사 영역을 식별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데이터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이고,
    상기 제2 센싱 데이터는,
    거리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인,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투사 영역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을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1 그룹을 상기 제1 투사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그룹의 나머지 그룹을 제2 투사 영역으로 구분하는,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투사 영역에 대응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시선에 기초하여 투사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투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영역을 재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투사 영역에 대응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상기 투사 영역 중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제1 투사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선이 변경되면, 상기 투사 이미지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제3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3 이미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인 제4 이미지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제1 휘도값의 제3 이미지 영역 및 상기 제2 휘도값의 제4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제1 사용자 시선 및 제2 사용자 시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시선이 식별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과 상기 제2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제스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과 상기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의 휘도값이 상이한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220113427A 2022-06-23 2022-09-07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0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5676 WO2023249235A1 (ko) 2022-06-23 2023-04-26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142 2022-06-23
KR20220077142 2022-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328A true KR20240000328A (ko) 2024-01-02

Family

ID=8951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427A KR20240000328A (ko) 2022-06-23 2022-09-07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3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6043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037686A1 (en) Electronic device, contents searching system and searching method thereof
KR20240000328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0329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04896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4018574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4000032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08042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4329316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40040094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jecting imag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433346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40015494A (ko) 이미지를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9148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02903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00325A (ko)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EP4287615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4016002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EP4391528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30157217A (ko) 슬라이딩 가능한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4535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15499A (ko) 이미지를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0336A (ko) 영상을 크롭하여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92682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23472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1053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