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785A - 표면 실장 저항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실장 저항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785A
KR20240068785A KR1020247015015A KR20247015015A KR20240068785A KR 20240068785 A KR20240068785 A KR 20240068785A KR 1020247015015 A KR1020247015015 A KR 1020247015015A KR 20247015015 A KR20247015015 A KR 20247015015A KR 20240068785 A KR20240068785 A KR 2024006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nductive element
resistive element
resistor
resis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5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락 스미스
토드 와이어트
Original Assignee
비쉐이 데일 일렉트로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쉐이 데일 일렉트로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비쉐이 데일 일렉트로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4006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7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 H01C1/148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the terminals embracing or surrounding the resis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2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 H01C1/032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plural layers surrounding the resis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8Cooling, heat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 H01C1/084Cooling, heat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using self-cooling, e.g. fins, heat s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 H01C1/142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the terminals or tapping points being coated on the resis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 H01C1/14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the terminals or tapping points being welded or solde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01C17/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coating resistive material on a base
    • H01C17/06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coating resistive material on a base by thick film techniques, e.g. serigraph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01C17/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applying terminals
    • H01C17/28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applying terminals by thick fil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06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means to minimise changes in resistance with changes in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8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stacked between terminals

Abstract

저항기와 저항기 제조 방법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저항기는 저항성 소자 및 복수의 전도성 소자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전도성 소자들은 유전체 물질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복수의 전도성 소자들 각각과 저항성 소자의 표면 사이에 배치된 접착 물질을 통해 저항성 소자에 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전도성 소자들은 전도성 층과 납땜 가능 층을 통해 저항성 소자에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 실장 저항기 및 그 제조 방법{SURFACE MOUNT RESIS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본 출원은 2015년 10월 30일자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928,89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것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완전히 설명된 것처럼 참조로써 본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전자 부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저항기 및 저항기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저항기는 전기 에너지를 소산되는 열로 변환하여 전기 저항을 제공하는 회로에 사용되는 수동 부품이다. 저항기는 전류 제한, 전압 분배, 전류 레벨 감지, 신호 레벨 조정 및 능동 소자 바이어스를 포함하여 많은 목적을 위해 전기 회로에 사용될 수 있다. 자동차 제어 장치와 같은 용도에는 고 전력 저항기가 요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항기는 많은 와트의 전력을 소산시키도록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저항기가 비교적 높은 저항 값을 갖도록 요구되는 경우, 이러한 저항기는 매우 얇은 저항성 소자를 지지하고 또한 오랜 시간 동안 최대 전력 부하 하에서 자신의 저항 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공지된 전기 저항기에는 저항성 소자 및 저항성 소자의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종단(termination)이 제공된다. 종단은 저항성 요소 아래로 접혀 있으며, 저항성 요소와 종단 사이에 열 전도성이며 전기 절연성인 필러가 제공된다. 종단은 저항기를 전자 회로 어셈블리에 장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항기와 저항기 제조 방법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항기는 저항성 소자 및 복수의 분리된 전도성 소자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전도성 소자들은 유전체 물질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복수의 전도성 소자들 각각과 저항성 소자의 표면 사이에 배치된 접착 물질을 통해 저항성 소자에 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전도성 소자들은 또한 전도성 층과 납땜 가능 층을 통해 저항성 소자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부 표면, 하부 표면, 제 1 측면 및 대향하는 제 2 측면을 갖는 저항성 소자를 포함하는 저항기가 제공된다. 제 1 전도성 소자 및 제 2 전도성 소자가 접착제에 의해 저항성 소자의 상부 표면에 접합된다. 제 1 전도성 소자와 제 2 전도성 소자 사이에 간극(gap)이 제공된다. 제 1 전도성 소자와 제 2 전도성 소자의 위치 결정(positioning)은 저항성 소자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에 인접한 저항성 소자의 상부 표면의 노출된 부분을 남긴다. 제 1 전도성 층이 제 1 측면에 인접한 저항성 소자의 상부 표면의 노출된 부분을 커버하고, 접착제 및 제 1 전도성 소자와 접촉한다. 제 2 전도성 층이 제 2 측면에 인접한 저항성 소자의 상부 표면의 노출된 부분을 커버하고, 접착제 및 제 2 전도성 소자와 접촉한다. 제 3 전도성 층이 저항성 소자의 제 1 측면에 인접하게 저항성 소자의 하단 부분을 따라 배치된다. 제 4 전도성 층이 저항성 소자의 제 2 측면에 인접하게 저항성 소자의 하단 부분을 따라 배치된다. 유전체 물질이 제 1 전도성 소자 및 제 2 전도성 소자의 상부 표면을 커버하고, 제 1 전도성 소자와 제 2 전도성 소자 사이의 간극을 충전한다. 유전체 물질은 저항기의 외부 표면 상에 퇴적되고, 저항기의 상부 및 하부 양자 모두 상에 퇴적될 수 있다.
저항기 제조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저항성 소자에 전도체를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전도체를 복수의 전도성 소자들로 분할하기 위해 전도체를 마스킹 및 패터닝하는 단계; 저항성 소자로부터 접착 물질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저항성 소자를 복수의 전도성 소자들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저항성 소자를 하나 이상의 전도성 층들로 도금하는 단계; 및 복수의 전도성 소자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해 적어도 복수의 전도성 소자들 상에 유전체 물질을 퇴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저항기가 제공되고, 상기 저항기는 저항성 소자, 및 접착 물질을 통해 저항성 소자에 열적으로 결합되며, 유전체 물질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제 1 전도성 소자 및 제 2 전도성 소자를 포함한다. 제 1 전도성 층이 저항성 소자의 제 1 측면 및 제 1 전도성 소자의 측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 2 전도성 층이 저항성 소자의 제 2 측면 및 제 2 전도성 소자의 측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 1 납땜 가능 층 및 제 2 납땜 가능 층이 저항기의 측면을 형성한다.
보다 자세한 이해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예시로서 주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기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도 1a의 저항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a의 저항기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항기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저항기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기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저항기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특정 용어가 단지 편의를 위해 다음의 설명에서 사용되며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단어 "오른쪽", "왼쪽", "상부", "하부"는 참조가 이루어지는 도면에서의 방향을 지정한다. 청구 범위 및 명세서의 해당 부분에서 사용되는 "하나"라는 단어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참조된 항목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 용어에는 위에서 특별히 언급된 단어, 그 파생어 및 유사한 취지의 단어가 포함된다. 문구 "적어도 하나" 뒤에 "A, B 또는 C"와 같은 두 개 이상의 항목의 목록은, A, B 또는 C 중 임의의 개별적인 것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저항기(100)(도 1a에서 100A 및 도1b에서 100B로 표시됨)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 도시된 저항기(100A)는 저항기를 가로지르고 제 1 납땜 가능 층(160a)과 제 2 납땜 가능 층(160b)(이는 이하 상세하게 설명됨) 사이에 배치된 저항성 소자(120)를 포함한다. 예시를 목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방향에서, 저항성 소자는 상부 표면(122) 및 하부 표면(124)을 갖는다. 저항성 소자(120)는 포일 저항기(foil resistor)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성 소자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어, 구리, 합금(구리, 니켈, 알루미늄 또는 망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항성 소자는 구리-니켈-망간(CuNiMn)의 합금, 니켈-크롬-알루미늄(NiCrAl)의 합금 또는 니켈-크롬(NiCr)의 합금 또는 포일 저항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항성 소자(120)는 도 1a에서 "w"로 지정된 폭을 갖는다. 또한, 저항성 소자(120)는 도 1a에서 높이 "H"로 지정된 높이 또는 두께를 갖는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도성 소자(110a) 및 제 2 전도성 소자(110b)는 저항성 소자(120)의 대향 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 1 전도성 소자(110a)와 제 2 전도성 소자(110b) 사이에 간극(190)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은 예를 들어, C110 또는 C102 구리와 같은 구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양호한 열 전달 특성을 갖는 다른 금속이 전도성 소자에 사용될 수 있고, 당업자는 전도성 소자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른 허용 가능한 금속을 인식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전도성 소자(110a) 및 제 2 전도성 소자(110b)는 저항성 소자(120)의 외부 측면 에지(또는 외부 측면)까지 완전히 연장되지 않고, 저항성 소자(120)의 에지에 인접한 공간(s 및 s')을 남긴다. 저항성 소자(120)의 상부 표면(122)의 노출된 부분은 저항성 소자(120)의 측면 에지에 인접한 공간(s 및 s') 각각을 향한다.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은 접착 물질(130)을 통해 저항성 소자(120)에 라미네이팅(laminated)되거나, 다른 식으로 본딩(bonded), 접합(joined) 또는 부착(attached)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 물질(130)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DUPONT™ PYRALUX™ 또는 시트 혹은 액체 형태의 다른 아크릴(acrylic), 에폭시(epoxy), 폴리이미드(polyimide) 접착제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물질(130)은 제 1 전도성 소자(110a)의 측면 에지로부터 제 2 전도성 소자(110b)의 대향 측면 에지까지, 저항성 소자의 중앙 부분만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전도성 소자(110a), 제 2 전도성 소자(110b) 및 접착 물질(130)은 w'로 표시된 저항성 소자(120)의 상부 표면(122)에 인접한 폭을 따라 연장된다.
제 1 전도성 층(150a) 및 제 2 전도성 층(150c)이 저항성 소자(120)의 상부 표면(122)에 인접하고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의 외부 측면 에지(또는 외부 측면)를 따라, 공간(s 및 s')에 제공되어 이들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전도성 층(150a) 및 제 2 전도성 층(150c)은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의 외부 측면 에지(또는 외부 측면)를 따라 그리고 저항성 소자의 상부 표면(122) 상에 도금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리가 전도성 층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도금 가능하고 전도성이 높은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제 3 전도성 층(150b) 및 제 4 전도성 층(150d)이 저항성 소자(120)의 하부 표면(124)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그리고 대향 측면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전도성 층들(150b 및 150d)은 저항성 소자(120)의 대향 외부 측면 에지(또는 외부 측면), 및 제 1 전도성 층(150a)과 제 2 전도성 층(150c)의 대향 외부 측면 에지(또는 외부 측면)와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한 대향 외부 에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 3 전도성 층(150b) 및 제 4 전도성 층(150d)은 저항성 소자(120)의 하부 표면(124)에 도금된다.
저항성 소자(120)의 정렬된 외부 측면 에지(또는 외부 측면) 및 전도성 층들(150a, 150b, 150c, 150d)의 외부 측면 에지(또는 외부 측면)는 납땜 가능 층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납땜 가능 표면을 형성한다. 납땜 가능 층들(160a 및 160b)은 저항기(100A)가 회로 기판에 납땜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저항기(100A)의 측 방향 단부(165a 및 165b)에 개별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b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땜 가능 층들(160a 및 160b)은 전도성 층들(150b 및 150d)의 하부 표면(152b 및 152d)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땜 가능 층들(160a 및 160b)은 전도성 층들(150a 및 150c)의 상부 표면(152a 및 152c)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의 상부 표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체 물질(140)이 예를 들어, 코팅에 의해 저항기(100)의 하나의 표면 또는 표면들 상에 퇴적될 수 있다. 유전체 물질(140)은 공간 또는 간극을 충전하여 구성 요소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전체 물질(140a)이 저항기의 상단 부분에 퇴적된다. 제 1 유전체 물질(140a)은 납땜 가능 층들(160a 및 160b)의 부분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의 노출된 상부 표면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유전체 물질(140a)은 또한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 사이의 간극(190)을 충전하여, 간극(190)을 향하는 접착 물질(130)의 노출된 부분을 커버한다. 제 2 유전체 물질(140b)이 저항성 소자(120)의 하부 표면을 따라 납땜 가능 층들(160a 및 160b)의 부분들 사이에 퇴적되고, 전도성 층들(150b 및 150d)의 노출된 부분 및 저항성 소자(120)의 하부 표면(124)을 커버한다.
도 1b는 회로 기판(170) 상에 장착된 예시적인 저항기(110B)의 다이어그램이다. 저항기(100B)는 저항기(100A)와 동일하고, 동일한 부분들은 도 1b에서 동일한 번호가 지정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된 예에서, 저항기(100B)는 납땜 가능 층들(160a 및 160b)과 회로 기판(170) 상의 대응하는 솔더 패드들(175a 및 175b) 사이에 솔더 연결부(180a 및 180b)를 사용하여 회로 기판(170)에 장착된다.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은 접착 물질(130)을 통해 저항성 소자(120)에 결합되고, 전도성 층(150a 및 150c)을 통해 측면 또는 외부 측면 단부 또는 표면에서 저항성 소자에 연결된다.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은 저항성 소자(120)에 열적으로 및/또는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결합/연결되거나 다른 식으로 본딩, 접합 또는 부착될 수 있음을 인식한다.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은 전도성 층들(150a 및 150c)에 열적으로 및/또는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결합/연결되거나 다른 식으로 본딩, 접합 또는 부착될 수 있음을 또한 인식한다. 특히, 전도성 층(150a 및 150c)은 저항기(100B)가 회로 기판에 장착될 때 회로 기판(170)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저항성 소자의 표면(122)으로부터 저항성 소자(120)와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만든다는 것을 유념한다. 저항성 소자(120)와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 각각의 측 방향 단부 사이의 열적,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 결합/연결은,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이 저항성 소자(120)에 대한 지지체로서 그리고 열 확산기(heat spreader)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저항성 소자(120)에 대한 지지체로서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의 사용은, 저항성 소자(120)가 자립 저항성 소자(self-supporting resistive elements)에 비해 더 얇게 만들어질 수 있게 하고, 이는 저항기(100B)가 약 0.015"와 약 0.001" 사이의 포일 두께를 사용하여 1mΩ 내지 20Ω의 저항 값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저항성 소자(120)에 대한 지지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열 확산기로서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의 효율적인 사용은 열 확산기를 사용하지 않는 저항기에 비해 저항기(100B)가 보다 높은 전력을 소산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512 크기의 금속 스트립 저항기의 일반적인 정격 전력은 1W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사용하면, 2512 크기의 금속 스트립 저항기에 대한 정격 전력은 3W일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170)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저항성 소자의 표면 상에 저항성 소자(120)와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만드는 것은, 저항기(100)와 회로 기판(170) 사이의 솔더 접합부(solder joint)에 대한 저항성 소자 대 전도성 소자 연결부의 노출을 피할 수 있으며, 이는 열 팽창 계수(thermal coefficient of expansion; TCE)로 인해 저항기의 고장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PCB에 가장 근접한 저항성 소자의 측면 상에 전도성 층(예컨대, 150b 및 150d)의 사용은, 강한 솔더 접합부를 생성하고 솔더 리플로우(solder reflow) 동안 PCB 패드 상에 저항기를 센터링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른 저항기 설계 및 그 제조 방법의 예시가 저항기(100A, 100B)와 동일한 일반적인 설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상이한 설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개시의 범위 내에서 다른 저항기 설계 및 그 제조 방법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저항기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200)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에서, 전도성 층 및 저항성 소자(120)는 세정되고(205) 예를 들어, 원하는 시트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210). 전도성 층 및 저항성 소자(120)는 접착 물질(130)을 사용하여 함께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215). 저항성 소자(120) 및 전도성 층은 원하는 대로 마스킹되고(220) 패터닝될 수 있다(225). 예를 들어, 저항기(100)의 경우 전도성 층의 마스킹 및 패터닝은 예를 들어 전도성 층을 분리하여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과 저항성 소자(120)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만들 전도성 층(150a 및 150c)에 대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접착 물질(130)의 적어도 일부가 저항성 소자(120)의 표면(122)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230).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 및 저항성 소자(120)는 도금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원하는 대로 마스킹될 수 있고, 그런 다음 도금될 수 있다(235). 도금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전도성 층들(150a, 150b, 150c 및 150d)을 퇴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단 도금이 완료되면, 마스킹은 저항성 소자가 교정(calibrated)될 수 있도록 제거될 수 있고(240), 이러한 교정은 예를 들어 저항기에 대한 목표 저항 값에 기초하여, 특정 위치에서 저항성 포일을 절단하여 전류 경로를 조작함으로써 또는 저항성 포일을 얇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유전체 물질(140)이 저항기(100)의 상부 표면, 하부 표면 또는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양자 모두 상에 퇴적된다. 유전체 물질(140)은 예를 들어, 코팅에 의해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의 노출된 상부 표면 상에 퇴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45). 유전체 물질(140a)은 전도성 소자들(110a 및 110b) 사이의 임의의 공간을 충전하여 이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이 방법에 의해 형성된 플레이트가 개개의 조각으로 개별화되어 개별 저항기(100)를 형성할 수 있다(250). 그런 다음, 납땜 가능 층들(160a 및 160b)이 예를 들어, 도금에 의해 개별 저항기들(100)의 측 방향 에지(165a 및 165b)에 부착되거나 그 위에 형성될 수 있다(255).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저항기(300)의 다이어그램이다. 저항기(100)와 유사하게, 도 3에 도시된 저항기(300)는 저항기를 가로지르고 제 1 납땜 가능 층(360a)과 제 2 납땜 가능 층(360b)(이는 이하 상세하게 설명됨) 사이에 배치된 저항성 소자(320)를 포함한다. 예시를 목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방향에서, 저항성 소자(320)는 상부 표면(322) 및 하부 표면(324)을 갖는다. 저항성 소자는 포일 저항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성 소자(320)는 도 3에서 w로 지정된 폭을 갖는다. 또한, 저항성 소자(320)는 도 3에서 높이 "H"로 지정된 높이 또는 두께를 갖는다. 저항성 소자(320)의 상부 표면(322)의 노출된 부분은 저항성 소자(320)의 측면 에지에 인접한 공간(s 및 s') 각각을 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도성 소자(310a) 및 제 2 전도성 소자(310b)는 저항성 소자(320)의 대향 측면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 1 전도성 소자(310a)와 제 2 전도성 소자(310b) 사이에 간극(390)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은 구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은 접착 물질(330)을 통해 저항성 소자(320)에 라미네이팅되거나 다른 식으로 접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물질(330)은 저항성 소자의 중앙 부분만을 따라 연장되며, w'로 설계된 저항성 소자(320)의 상부 표면에 인접한 폭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전도성 소자(310a 및 310b)가 간극(390)의 외부 에지로부터 접착 물질(330)의 개개의 외부 에지까지 저항성 소자(320)의 상부 표면(322)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고, 각각이 공간(s 및 s')에 배치되고 저항성 소자(320)의 상부 표면(322)과 직접 접촉하도록 저항성 소자(320)를 향해 바깥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놓이는 부분을 갖도록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은 형상화된다.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의 각진 부분은,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과 저항성 소자(320)의 표면(322) 사이에 s로 지정된 영역에서 전기적, 열적 및 기계적으로 긴밀한 접촉을 제공하고,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과 저항성 소자(320)의 표면(322) 사이에 s'로 지정된 영역에서 전기적, 열적 및 기계적으로 긴밀한 접촉을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의 상단 부분(312a 및 312b)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영역이 설명된 바와 같이 긴밀한 접촉을 제공하는 한 거의 인지하기 힘든 단차부터 둥근 에지와 같은 둥근 모양, 및 몇 도에서 90도 미만의 경사를 갖는 각도까지 다양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도성 층(350a) 및 제 2 전도성 층(350b)이 저항성 소자(320)의 하부 표면(324)을 따라 대향 측면 단부를 따라 배치된다. 전도성 층들(350a 및 350b)은 저항성 소자(320)의 대향 외부 에지, 및 전도성 층들(310a 및 310b)의 대향 외부 에지와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한 대향 외부 에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전도성 층(350a) 및 제 2 전도성 층(350b)은 저항성 소자(320)의 하부 표면(324)에 도금된다.
저항성 소자(320)의 외부 측면 에지(또는 외부 측면), 전도성 소자들(310a, 310b)의 외부 측면 및 전도성 층들(350a 및 350b)의 외부 측면 에지(또는 외부 측면)는 납땜 가능 층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납땜 가능 표면을 형성한다. 납땜 가능 층들(360a 및 360b)은 저항기(300)가 회로 기판에 납땜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저항기(300)의 측 방향 단부(365a 및 365b)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땜 가능 층들(360a 및 360b)은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의 기울어진 상단 부분(312a 및 312b)을 따라 연장되고,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의 상부 표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또한 전도성 층들(350a 및 350b)의 하부 표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체 물질(340)이 예를 들어, 코팅에 의해 저항기(300)의 표면들 상에 퇴적될 수 있다. 유전체 물질(340)은 공간 또는 간극을 충전하여 구성 요소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전체 물질(340a)이 저항기의 상단 부분에 퇴적된다. 제 1 유전체 물질(340a)은 납땜 가능 층들(360a 및 360b)의 부분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의 노출된 상부 표면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유전체 물질(340a)은 또한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 사이의 간극(390)을 충전하여, 간극(390)을 향하는 접착 물질(330)의 노출된 부분을 커버한다. 제 2 유전체 물질(340b)이 저항성 소자(320)의 하부 표면을 따라 납땜 가능 층들(360a 및 360b)의 부분들 사이에 퇴적되고, 전도성 층들(350a 및 350d)의 노출된 부분 및 저항성 소자(320)의 하부 표면(324)을 커버한다.
도 4는 저항기(300)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400)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에서, 전도성 층 및 저항성 소자(320)는 세정되고(405) 예를 들어, 원하는 시트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410). 전도성 층 및 저항성 소자(320)는 접착 물질(330)을 사용하여 함께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415). 저항성 소자(320) 및 전도성 층은 원하는 대로 마스킹되고(420) 패터닝될 수 있다(425). 예를 들어, 저항기(300)의 경우 전도성 층의 마스킹 및 패터닝은 예를 들어 전도성 층을 분리하여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과의 직접적 연결을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접착 물질(330)의 적어도 일부가 저항성 소자(320)의 표면(322)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430).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 및 저항성 소자(320)는 도금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원하는 대로 마스킹될 수 있고, 그런 다음 도금될 수 있다(435). 도금은 예를 들어, 저항성 소자(320)의 표면(324) 상에 하나 이상의 전도성 층들(350a 및 350b)을 퇴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단 도금이 완료되면, 마스킹은 저항성 소자가 교정될 수 있도록 제거될 수 있고(440), 이러한 교정은 예를 들어 저항기에 대한 목표 저항 값에 기초하여, 특정 위치에서 저항성 포일을 절단하여 전류 경로를 조작함으로써 또는 저항성 포일을 얇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은 접착 물질(330)의 선택적 제거에 의해 노출되었던 저항성 소자(320)의 표면(322) 부분을 커버하도록 스웨이징(swaged)될 수 있다(445).
유전체 물질(340)이 예를 들어, 코팅에 의해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 및 저항성 소자(320)의 하부 표면(324)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 상에 퇴적될 수 있다(450). 유전체 물질(340a)은 전도성 소자들(310a 및 310b) 사이의 임의의 공간을 충전하여 이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이 방법에 의해 형성된 플레이트가 개개의 조각으로 개별화되어 개별 저항기(300)를 형성할 수 있다(455). 그런 다음, 납땜 가능 층들(360a 및 360b)이 예를 들어, 도금에 의해 개별 저항기들(300)의 측 방향 에지(365a 및 365b)에 부착되거나 그 위에 형성될 수 있다(46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저항기(500)의 다이어그램이다. 저항기(100 및 300)와 유사하게, 도 5에 도시된 저항기(500)는 저항기를 가로지르고 제 1 납땜 가능 층(560a)과 제 2 납땜 가능 층(560b)(이는 이하 상세하게 설명됨) 사이에 위치한 저항성 소자(520)를 포함한다. 예시를 목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방향에서, 저항성 소자는 상부 표면(522) 및 하부 표면(524)을 갖는다. 저항성 소자(520)는 포일 저항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성 소자(520)는 도 5에서 w'로 지정된 폭을 갖는다. 또한, 저항성 소자(520)는 도 5에서 높이 "H"로 지정된 높이 또는 두께를 갖는다. 저항성 소자(520)의 노출된 측면은 저항성 소자(520)의 측면 에지에 인접한 도 5에서 s 및 s'로 표시된 공간 각각을 향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도성 소자(510a) 및 제 2 전도성 소자(510b)는 저항성 소자(520)의 대향 측면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 1 전도성 소자(510a)와 제 2 전도성 소자(510b) 사이에 간극(590)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소자들(510a 및 510b)은 구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 전도성 소자(510a)와 제 2 전도성 소자(510b)는 저항성 소자(520)의 외부 에지와 정렬된다.
전도성 소자들(510a 및 510b)은 접착 물질(530)을 통해 저항성 소자(520)에 라미네이팅되거나 다른 식으로 접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물질(530)은 저항성 소자(520)의 전체 상부 표면(522)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성 소자(520) 및 접착 물질(530)은 w'로 표시된 폭을 갖는다.
제 1 전도성 층(550a) 및 제 2 전도성 층(550b)이 저항성 소자(520), 접착 물질(530) 및 전도성 소자들(510a 및 510b) 각각의 외부 측면 에지(또는 외부 측면)를 따라, 공간(s 및 s')에 제공되어, 이들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전도성 층(550a) 및 제 2 전도성 층(550b)은 전도성 소자들(510a 및 510b) 및 저항성 소자(520)의 외부 에지를 따라 그리고 저항성 소자(520)의 하부 표면(524)에 도금된다.
저항성 소자(520), 접착 물질(530) 및 전도성 층들(550a, 550b)의 정렬된 외부 측면 에지(또는 외부 측면)는, 납땜 가능 층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납땜 가능 표면을 형성한다. 납땜 가능 층들(560a 및 560b)은 저항기(500)가 회로 기판에 납땜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저항기(500)의 측 방향 단부(565a 및 565b)에 개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땜 가능 층들(560a 및 560b)은 전도성 층들(550a 및 550b)의 하부 표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도성 층들(550a 및 550b) 및 전도성 소자들(510a 및 510b)의 상부 표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체 물질(540)이 예를 들어, 코팅에 의해 저항기(500)의 표면들 상에 퇴적될 수 있다. 유전체 물질(540)은 공간 또는 간극을 충전하여 이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전체 물질(540a)이 저항기의 상단 부분 상에 퇴적된다. 제 1 유전체 물질(540a)은 납땜 가능 층들(560a 및 560b)의 부분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전도성 소자들(510a 및 510b)의 노출된 상부 표면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유전체 물질(540a)은 또한 전도성 소자들(510a 및 510b) 사이의 간극(590)을 충전하여, 간극(590)을 향하는 접착 물질(530)의 노출된 부분을 커버한다. 제 2 유전체 물질(540b)이 저항성 소자(520)의 하부 표면을 따라 납땜 가능 층들(560a 및 560b)의 부분들 사이에 퇴적되고, 전도성 층들(550a 및 550b)의 노출된 부분 및 저항성 소자(520)의 하부 표면(524)을 커버한다.
도 6은 저항기(500)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에서, 전도성 층 및 저항성 소자(520)는 세정되고(605) 예를 들어, 원하는 시트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610). 전도성 층 및 저항성 소자(520)는 접착 물질(530)을 사용하여 함께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615). 저항성 소자(520) 및 전도성 층은 원하는 대로 마스킹되고(620) 패터닝될 수 있다(625). 예를 들어, 저항기(500)의 경우 전도성 층의 마스킹 및 패터닝은 예를 들어 전도성 층을 분리하여 전도성 소자들(510a 및 510b)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도성 소자들(510a 및 510b) 및 저항성 소자(520)는 도금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원하는 대로 마스킹될 수 있고, 그런 다음 도금될 수 있다(630). 도금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전도성 층들(550a 및 550b)을 퇴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단 도금이 완료되면, 마스킹은 저항성 소자가 교정될 수 있도록 제거될 수 있고(635), 이러한 교정은 예를 들어 저항기에 대한 목표 저항 값에 기초하여, 특정 위치에서 저항성 포일을 절단하여 전류 경로를 조작함으로써 또는 저항성 포일을 얇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유전체 물질(540)이 (예를 들어, 코팅에 의해) 전도성 소자들(510a 및 510b) 및 저항성 소자(520)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 상에 퇴적될 수 있다(640). 유전체 물질(540a)은 전도성 소자들(510a 및 510b) 사이의 임의의 공간을 충전하여 이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이 방법에 의해 형성된 플레이트가 개개의 조각으로 개별화되어 개별 저항기(500)를 형성할 수 있다(645). 그런 다음, 납땜 가능 층들(560a 및 560b)이 예를 들어, 도금에 의해 개별 저항기들(500)의 측 방향 에지(565a 및 565b)에 부착되거나 그 위에 형성될 수 있다(650).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접착 물질(530)은 개별화(singulation) 동안 전단 가공될 수 있으므로, 도금 전에 저항성 소자를 노출시키기 위한 2차 레이징(lasing) 작업에서 캡톤(Kapton)과 같은 특정 접착 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요소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설명되었지만, 각 특징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다른 특징 및 요소들 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요소들과 함께 또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요소들 없이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1)

  1. 저항기에 있어서,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포함하는 저항성 소자(resistive element);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저항성 소자의 상부 표면에 열적으로 결합된 제 1 전도성 소자로서,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는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의 외측 부분은 그 외측 부분의 하부 부분이 상기 저항성 소자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상화된 것인,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저항성 소자의 상기 상부 표면에 열적으로 결합된 제 2 전도성 소자로서,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는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의 외측 부분은 그 외측 부분의 하부 부분이 상기 저항성 소자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상화되고,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는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의 내측 및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의 내측에 인접한 간극에 의해 분리되어 서로 절연되고,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는 제 1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저항성 소자의 제 1 외측에 인접한 제 1 외측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는 제 2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저항성 소자의 제 2 외측에 인접한 제 2 외측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
    상기 제 1 측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제 1 납땜 가능 층(solderable layer); 및
    상기 제 2 측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제 2 납땜 가능 층
    를 포함하는, 저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 모두는 열확산기(heat spreader)들을 포함하는 것인, 저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 각각은 단차형, 경사형, 또는 둥근 모양인 상부 외측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저항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는, 상기 저항성 소자로부터 제 1 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부 표면을 가지는 내측 부분과, 상기 저항성 소자로부터 제 2 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부 표면을 가지는 외측 부분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거리는 상기 제 2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는 상기 저항성 소자로부터 제 3 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부 표면을 가지는 내측 부분과, 상기 저항성 소자로부터 제 4 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부 표면을 가지는 상기 외측 부분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거리는 상기 제 4 거리보다 큰 것인, 저항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납땜 가능 층의 적어도 일부는, 단차형, 경사형 또는 둥근 모양인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의 형상을 따르고, 상기 제 2 납땜 가능 층의 적어도 일부는, 단차형, 경사형 또는 둥근 모양인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의 형상을 따르는 것인, 저항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유전체 물질이 상기 간극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제 2 유전체 물질이 상기 저항기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면서 제공되는 것인, 저항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성 소자의 상기 제 1 외측에 인접한 상기 저항성 소자의 하부 표면을 따라 배치된 제 1 전도성 층, 및 상기 저항성 소자의 상기 제 2 외측에 인접한 상기 저항성 소자의 상기 하부 표면을 따라 배치된 제 2 전도성 층을 더 포함하는, 저항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납땜 가능 층은,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1 전도성 층의 하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 2 납땜 가능 층은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전도성 층의 하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것인, 저항기.
  9. 저항기에 있어서,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포함하는 저항성 소자(resistive element);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저항성 소자의 상부 표면에 열적으로 결합된 제 1 전도성 소자로서,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는 상기 저항성 소자로부터 제 1 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부 표면을 가지는 내측 부분과, 상기 저항성 소자로부터 제 2 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부 표면을 가지는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거리는 제 2 거리보다 큰 것인,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저항성 소자의 상기 상부 표면에 열적으로 결합된 제 2 전도성 소자로서,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는 상기 저항성 소자로부터 제 3 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부 표면을 가지는 내측 부분과, 상기 저항성 소자로부터 제 4 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부 표면을 가지는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거리는 상기 제 4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는 간극에 의해 분리되어 서로 절연되고,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는, 제 1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저항성 소자의 제 1 외측에 인접한 제 1 외측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는, 제 2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저항성 소자의 제 2 외측에 인접한 제 2 외측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
    상기 제 1 측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제 1 납땜 가능 층(solderable layer); 및
    상기 제 2 측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제 2 납땜 가능 층
    를 포함하는, 저항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의 상기 외측 부분의 하부 표면은 상기 저항성 소자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의 상기 외측 부분의 하부 표면은 상기 저항성 소자를 향해 연장되는 것인, 저항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 모두는 열확산기(heat spreader)들을 포함하는 것인, 저항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 각각은 단차형, 경사형, 또는 둥근 모양인 상부 외측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저항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납땜 가능 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측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의 형상을 따르고, 상기 제 2 납땜 가능 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측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의 형상을 따르는 것인, 저항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유전체 물질이 상기 간극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제 2 유전체 물질이 상기 저항기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면서 제공되는 것인, 저항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성 소자의 상기 제 1 외측에 인접한 상기 저항성 소자의 하부 표면을 따라 배치된 제 1 전도성 층, 및 상기 저항성 소자의 상기 제 2 외측에 인접한 상기 저항성 소자의 상기 하부 표면을 따라 배치된 제 2 전도성 층을 더 포함하는, 저항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납땜 가능 층은,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1 전도성 층의 하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 2 납땜 가능 층은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전도성 층의 하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것인, 저항기.
  17. 저항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전도성 소자 및 제 2 전도성 소자가 간극에 의해 분리되도록,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를 저항성 소자의 상부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
    상기 간극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의 일부의 하부 부분 및 상기 간극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의 일부의 하부 부분이 상기 저항성 소자를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를 형상화하는 단계;
    각각 제 1 납땜 가능 층 및 제 2 납땜 가능 층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저항성 소자의 측면들과,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저항성 소자의 측면들을 커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하기 위해 유전체 물질을 퇴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항기를 제조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는 각각, 상기 저항성 소자로부터 제 1 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부 표면을 가지는 상기 간극에 인접한 내측 부분 및 상기 저항성 소자로부터 제 2 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부 표면을 가지는 상기 간극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외측 부분을 형성하도록 형상화되고, 상기 제 1 거리는 상기 제 2 거리보다 큰 것인, 저항기를 제조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 각각이, 상부 외측 부분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를 형상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외측 부분은 상기 간극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고 단차형, 경사형, 또는 둥근 모양인 것인, 저항기를 제조하는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전도성 소자, 각각은, 상기 간극에 인접하게 배치된 내측 부분 및, 상기 간극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부분은 상기 외측 부분의 높이보다 큰 것인, 저항기를 제조하는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성 소자의 제 1 외측에 인접한 상기 저항성 소자의 하부 표면을 따르는 제 1 전도성 층과, 상기 저항성 소자의 대향하는 제 2 외측에 인접한 상기 저항성 소자의 상기 하부 표면을 따라 배치된 제 2 전도성 층을 퇴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납땜 가능 층은 상기 제 1 전도성 층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납땜 가능 층은 상기 제 2 전도성 층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저항기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47015015A 2015-10-30 2016-10-26 표면 실장 저항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68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28,893 2015-10-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893A Division KR102665148B1 (ko) 2015-10-30 2016-10-26 표면 실장 저항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785A true KR20240068785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5148B1 (ko) 표면 실장 저항기 및 그 제조 방법
US10438729B2 (en) Resistor with upper surface heat dissipation
US20070018774A1 (en) Reactive fuse element with exothermic reactive material
US9460882B2 (en) Laminated electrical fuse
JP6124793B2 (ja) Ptcデバイス
JP2002353071A (ja) 複合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021704A1 (en) Over-current and over-temperature protection device
US20220277916A1 (en) Fuse element, fuse device, and protection device
KR20240068785A (ko) 표면 실장 저항기 및 그 제조 방법
CN110070969B (zh) 尤其用于医用植入体的电阻
JP2009290184A (ja) チップ抵抗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246238A (en) Over-current and over-temperature protection device
JP2000311801A (ja) チップ型有機質サーミ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