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517A - 시각 장애인용 점자인식 모니터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용 점자인식 모니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517A
KR20240068517A KR1020230063122A KR20230063122A KR20240068517A KR 20240068517 A KR20240068517 A KR 20240068517A KR 1020230063122 A KR1020230063122 A KR 1020230063122A KR 20230063122 A KR20230063122 A KR 20230063122A KR 20240068517 A KR20240068517 A KR 20240068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monitor
visually impaired
tou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지훈
문효정
Original Assignee
문지훈
문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지훈, 문효정 filed Critical 문지훈
Publication of KR20240068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5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모니터 패널을 이용하는 기기에 적용하여 시각장애인이 모니터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점자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를 인식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에 인식된 터치 좌표를 패턴화하는 처리부와, 점자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패턴화한 터치 패턴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점자 데이터를 매칭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처리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점자인식 모니터 장치{Monitor apparatus of braille awareness for the blin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모니터 패널을 이용하는 기기에 적용하여 시각장애인이 모니터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점자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으로 이루어진 아파트 또는 빌딩과 같은 건물에 설치되어 편리하게 각 층을 왕래할 수 있는 승강기로,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일측에 설치된 조작반을 이용하여 가고자하는 목적층을 선택하게 된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조작반은 현재의 층수를 표시하는 층방향표시부와, 외부의 안내 방송 등을 알리기 위한 인터 폰 스피커와, 비상시 직원을 호출하기 위한 호출버튼과, 아라비아 숫자로 목적층이 표시된 층선택버튼과, 열려진 엘리베이터 문을 닫기 위한 문닫힘버튼과, 닫혀진 엘리베이터 문을 열기 위한 문열림 버튼, 엘리베이터의 진단 및 수리시 사용되는 수동스위치박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의 조작반이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탑승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층에 해당하는 층선택버튼을 누르면, 엘리베이터는 목적층을 향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목적층으로 이동하는 동안, 층방향표시부에는 현재 통과하고 있는 층은 물론 상승 또는 하강중임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이 표시되기도 한다.
한편, 엘레베이터가 목적층에 도달하면, 층방향표시부에는 도달한 목적층이 표시되고, 엘리베이터 문이 열린다.
이때, 엘리베이터 조작반의 각 버튼에는 돌출되게 형성되어 시각장애인들이 인식 가능한 점자를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점자를 포함하는 버튼들은 장기간 사용시 점자의 돌출 부위가 마모될 수 있고, 고의나 부주의로 인해 점자 주변에 돌출형 이물질이 부착되면 시각장애인이 숫자나 글자를 오인식할 우려가 있다.
또한, 기계식 접점을 갖은 스위치, 램프의 고장 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시인성이 좋지 않으며 제품을 생산하는 입장에서도 운행층수에 따라서 외함 및 표판의 규격과 크기를 달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버튼의 종류도 여러 가지를 생산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불편하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긴급상황발생시 엘리베이터 내부에 스피커 외에 별도의 안내 장치 등이 없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에 노약자나 장애인이 내부에 갇혔을 경우에 대처요령을 모르거나 공포심 때문에 2차적인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내부 버튼 및 층표시 정보를 모니터에 영상으로 출력하고 모니터 전면에 터치스크린을 부착하며, 모니터의 특성을 이용하여 문자 및 영상정보를 제공하여 더욱 편리하게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반은 시각장애인이 터치스크린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고, 목적층을 정확히 입력하였는지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26730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발명의 목적은 각종 모니터 패널을 이용하는 기기에 적용하여 시각장애인이 모니터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점자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를 인식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에 인식된 터치 좌표를 패턴화하는 처리부와, 점자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패턴화한 터치 패턴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점자 데이터를 매칭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처리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수표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연산부는 수표 패턴 데이터와 매칭되는 터치 패턴 이후부터 숫자로 인식하여 매칭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모니터의 일측을 길게 터치하고 있는 것을 패턴 입력중의 신호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모니터를 문지르는 것을 이전에 입력된 패턴의 입력취소 신호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음성 인식 후 입력되는 터치 좌표를 패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모니터 패널을 이용하는 기기에 적용하여 시각장애인이 모니터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점자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를 도식화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를 이용하여 숫자 1을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를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를 이용하여 숫자 1을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모니터 패널을 이용하는 기기에 적용하여 시각장애인이 모니터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점자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터치를 인식하는 모니터(110)와, 상기 모니터(110)에 인식된 터치 좌표를 패턴화하는 처리부(120)와, 점자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130)와, 상기 처리부(120)에서 패턴화한 터치패턴과 데이터저장부(130)에 저장된 점자 데이터를 매칭하는 연산부(140)와, 상기 연산부(140)에서 처리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모니터(110)는 터치 패널이 구비되며,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고 있어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가락끝이나 손톱, 볼펜, 터치펜 등의 다양한 도구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시각장애인이 입력하고자 하는 내용을 점자(點字) 형태로 터치하여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니터(110)는 전술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 터치 스크린 패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110)는 태블릿,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ATM, 엘리베이터 등 다양한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비 시각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메뉴버튼이 물리적 버튼으로 구비되거나, 화면에 표시되어 터치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처리부(120)는 모니터(110)에 입력한 좌표를 패턴화하는 것으로, 점자의 위치와 점 입력 횟수에 대한 허용 범위를 미리 설정하고 있어 시각장애인 이 입력한 점자가 정확한 위치를 벗어나더라도 미리 설정해둔 허용 범위 내에서 허용 데이터로 인정하게 된다.
여기서, 시각장애인이 상기 모니터(110)를 터치할 때, 중심부를 터치할 수 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처음 터치하는 부분을 기준점으로 하여 이후 터치되는 부분을 감지하여 점자 패턴을 이식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점자 패턴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120)는 상기 모니터(110)의 일측을 길게 터치하고 있는 것을 패턴 입력중의 신호로 처리하여 모니터(110)를 임의의 터치에 의해 잘못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일 예로 오른손으로 모니터(110)의 일측을 터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왼손으로 모니터(110)에 점자를 터치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에만 유효한 데이터로서 입력이 인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처리부(120)는 모니터(110)를 왕복하여 문지르는 것을 이전에 입력된 패턴의 입력취소 신호로 처리하여 잘못 입력 시 정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 예로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패턴을 입력한 후에 모니터(110)를 문지르게 되면, 이전에 입력한 패턴에 대해서 취소 처리되어 연산부(140)에서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저장부(130)는 숫자, 수표, 한글, 영어 등의 점자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연산부(140)는 상기 처리부(120)에서 처리된 패턴과 데이터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 및 매칭하여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140)는 데이터저장부(130)의 수표 데이터와 매칭되는 터치 패턴 이후에 입력된 패턴은 숫자로 인식하여 매칭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50)는 연산부(140)에서 도출된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입력한 내용이 정확하게 인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존의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인식된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150)는 직접 연결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로 구비되는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하여 연결되는 무선 이어폰(미도시)을 통하여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해당 음성이 주변 사람들에게 소음공해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어폰에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어폰에 적용된 터치 기능을 통하여 시각장애인이 상기 모니터(110)를 터치하지 않고, 양쪽에 착용한 이어폰을 터치하는 조합을 통하여 점자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렇게 양측 이어폰을 터치한 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연산부(140)에서 이를 해석하여 점자화하며, 점자화된 내용은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하여 음성정보로 변환되어 이어폰을 통하여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확인한 결과가 입력한 내용과 일치하는 경우 시각장애인은 모니터(110)를 일측으로 쓸어 넘기게 되면 연산부(140)는 이를 입력확인 신호로 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100)가 설치된 기기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연산부(140)는 입력된 점자를 수표나 저장된 점자 패턴에 따른 문자로 인식하고, 이렇게 인식된 패턴을 연결된 기기의 제어 명령을 위한 신호로 변환하여 연결된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확인한 결과가 입력한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각장애인은 모니터(110)를 타측으로 쓸어 넘기게 되면 연산부(140)는 이를 입력취소 신호로 처리하여 이전 결과값이 취소되며, 재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100)는, 음성인식부(160)를 더 포함하어 시각장애인 사용자가 점자를 직접 입력하기 전에 음성으로서 시각장애인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시각장애인이 모니터장치 사용 전에 "시각장애인모드", "점자모드" 등 정해진 명령어를 음성으로 인식시키면 처리부(120)는 음성 이후 입력되는 터치 좌표를 패턴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100)에 의하면, 각종 모니터 패널을 이용하는 기기에 적용하여 시각장애인이 모니터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점자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모니터 패널을 이용하는 기기에 적용하여 시각장애인이 모니터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점자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
110: 모니터 120: 처리부
130: 데이터저장부 140: 연산부
150: 음성출력부 160: 음성인식부

Claims (5)

  1. 터치를 인식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에 인식된 터치 좌표를 패턴화하는 처리부와,
    점자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패턴화한 터치 패턴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점자 데이터를 매칭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처리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수표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연산부는 수표 패턴 데이터와 매칭되는 터치 패턴 이후부터 숫자로 인식하여 매칭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모니터의 일측을 길게 터치하고 있는 것을 패턴 입력중의 신호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모니터를 문지르는 것을 이전에 입력된 패턴의 입력취소 신호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음성 인식 후 입력되는 터치 좌표를 패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인식 모니터장치.
KR1020230063122A 2022-11-10 2023-05-16 시각 장애인용 점자인식 모니터 장치 KR202400685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275 2022-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517A true KR20240068517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5554B2 (ja) エレベータの行先階登録装置
US9718641B2 (en) Retrofitting an elevator call input device
JP5159723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場操作装置
EP2396263B1 (en) Call panel
US10494225B2 (en) Control panel with accessibility wheel
KR101773405B1 (ko) 브라이유보드 및 점자버튼입력부가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기
JP2005330102A (ja) ケージ操作パネルを備えたエレベータ
JP6971469B2 (ja) トイレ用ドア開閉スイッチおよびトイレ用自動ドアシステム
JP2010163249A (ja) エレベータ戸の開閉操作装置
US20220274803A1 (en) Operating method for an elevator operating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screen system
CN116157346A (zh) 电梯的基于增强数据集的无接触电梯服务
KR101026730B1 (ko) 시각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조작장치
KR20120123866A (ko)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JP201600313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
KR20240068517A (ko) 시각 장애인용 점자인식 모니터 장치
JP2006056700A (ja) エレベータ用案内装置
CN114127001A (zh) 用于行驶方向呼叫的触敏的电梯操纵装置
KR101114145B1 (ko) 엘리베이터 텐키 조작 안내 장치
KR101845970B1 (ko) 승강기용 승장조작 및 안내장치
KR101154459B1 (ko)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승강기 조작 장치 및 승강기 제어 장치
CN109835784B (zh) 电梯系统
JP2018184223A (ja) タッチパネル操作盤付き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216403465U (zh) 一种一体式触摸屏操纵箱
JPH04298464A (ja) エレベータの情報入力装置
JP4855266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ボタ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