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955A -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의 신규 용도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의 신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955A
KR20240066955A KR1020230073225A KR20230073225A KR20240066955A KR 20240066955 A KR20240066955 A KR 20240066955A KR 1020230073225 A KR1020230073225 A KR 1020230073225A KR 20230073225 A KR20230073225 A KR 20230073225A KR 20240066955 A KR20240066955 A KR 20240066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group
subsp
lactobacillus
lac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혜지
차리나
이인옥
묵인희
최현정
김경환
김병국
신창훈
김혜림
김혜영
이수노
이혜림
홍리원
허진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주식회사 지놈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주식회사 지놈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Priority to PCT/KR2023/01743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96644A1/ko
Publication of KR2024006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9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37Delbruecki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57Lac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Amyloid beta Protein, Aβ) 또는 타우 단백질(Tau Protein, Tau)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우수하고 인지기능 향상 효과가 우수하므로,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의 신규 용도{NOVEL USE OF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STRAIN}
본 출원은 2022년 11월 02일자로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22-0144826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은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퇴행성 뇌 질환으로 치매(Dementia)의 가장 흔한 형태에 속한다. AD는 기억력, 언어능력, 판단력, 사고력 등 여러 인지적 기능이 점진적으로 퇴행하여 일상생활에 심각한 문제 및 불편을 야기하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발병 원인과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지금까지 보고된 바에 따르면, 뇌 조직 내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Amyloid beta protein, Aβ) 및 타우 단백질(Tau protein, Tau)의 비정상적인 축적,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etylcholinesterase, AChE)의 지속적인 작용으로 인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의 감소, 유전적 원인,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기능 저하로 인한 신경세포의 손상과 이로 인한 뇌 속 면역세포의 과도한 활성이 인지기능 저하의 가장 큰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AD 치료제의 대부분은 뇌 신경세포간 신호 전달 문제를 치료하기 위한 약물이며,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 또한 주로 뇌에 국한되어 진행되었다.
그러나, 장내 미생물이 뇌 질환의 발병 또는 치료와 관련이 있음이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해 새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장내 미생물이 장과 뇌 사이의 내분비계, 신경계, 면역계를 통한 양방향성 소통에 결정적 역할을 수행한다. 즉, 장내 미생물의 구성과 대사산물의 변화가 전신 면역,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등을 매개로 하는 장-뇌 연결축(Gut-Brain axis)을 통해 식욕, 수면, 기분조절 뿐만 아니라 기억력이나 학습 등의 뇌 기능에도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장과 뇌의 상관관계가 명백해지면서 장내 미생물의 뇌 질환 관련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정상 장내 미생물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유산균의 경우, 동일한 종(species)에 속하는 동속동종의 미생물이더라도 균주마다 전혀 다른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 특이성(strain specificity)을 갖는 바, 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 치료용 의약품 개발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8098호(2020.06.30. 공고)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장내 미생물을 이용하여 인지기능 장애 또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균주가 장벽 투과도를 개선하고, AD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의 지표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Amyloid beta protein, Aβ)과 타우 단백질(Tau protein, Tau)을 감소시키며,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또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etylcholinesterase, AChE) 활성을 저해하여 신경세포를 보호하고,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며, 동물 모델에서 단기 기억 능력, 공간 지각 능력 또는 인지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입증함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14149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균주"는 본 출원인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2020년 3월 3일에 수탁번호 KCTC14149BP로 기탁한 균주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균주' 용어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균체' 또는 '균주'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균주"는 생균체 및 사균체, 및 이들의 배양물, 파쇄물, 추출물, 세포질 분획물(cytoplasmic fraction)을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는 여과, 농축, 건조, 추출, 동결 등 후처리 또는 후가공된 것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배양물"은 배지에서 균주를 일정 기간 배양하여 수득한 균주 자체, 균주의 대사물, 전체 배지, 균주 배양 후 균주를 제거한 배양액 또는 배양 상층액(상등액)을 포함한다. 상기 균주의 배양법, 추출법, 분리법, 농축법, 건조법, 희석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균체를 배양하기 위한 배지로는 통상적으로 탈지유, 훼이, 카제인 등의 우유 단백질, 당류, 효모 엑기스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배양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각종 호기적 또는 혐기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양 온도로는 35~45℃를 설정하고, 배양 중에는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를 사용하여 배지의 pH를 중성으로부터 산성, 예를 들어 pH가 5~6정도가 되도록 유지하는 중화배양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중화배양법 외에 회분배양법 등의 임의의 배양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배양한 후에는 필요에 따라서 배양물이나 그 상층액을 농축, 건조, 희석 등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원심분리법이나 막분리법을 사용하여 배양물의 상층액과 균체를 분리하여 균체를 농축한 상태로 회수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균체에 초음파 처리나 효소 처리 등을 행하여 균체 내의 성분을 추출하거나, 배양물이나 그 상층액, 균체나 그 추출물 등을 건조할 수도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의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의 균체 성상은 다음과 같다:
- 균의 형태: 그람 양성의 막대모양 또는 구형 간균
- 생리적 성질: 최적 생장온도는 36~38℃, 최적 pH는 5.5~5.8이고 통성혐기성이다. 운동성이 없고 포자를 형성할 수 없다.
- 일반적으로 발효유 또는 치즈에서 분리되며, 식품에 사용하는 것에 대해 안전하다고 여겨진다(probiotics와 유제품).
상술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의 생화학적 특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균주의 16s rRNA 서열은 서열번호 1번로 나타내었다.
Source
L. lactis
KCTC14149BP
Temoin 0 +
Glycerol 1 -
Erythritol 2 -
D-Arabinose 3 -
L-Arabinose 4 -
D-Ribose 5 -
D-Xylose 6 -
L-Xylose 7 -
D-Adonitol 8 -
Methyl-lolXylopyranoside 9 -
D-Galactose 10 -
D-Glucose 11 +
D-Fructose 12 +
D-Mannose 13 +
L-Sorbose 14 -
L-Rhamnose 15 -
Dulcitol 16 -
Inositol 17 -
D-Mannitol 18 -
D-Sorbitol 19 -
Methyl-tolMannopyranoside 20 -
Methyl-ranGlucopyranoside 21 -
N-Acetylglucosamine 22 +
Amygdaline 23 -
Arbutine 24 -
Esculine, citrate de fer 25 -
Salicine 26 -
D-Cellobiose 27 -
D-Maltose 28 w
D-Lactose 29 +
D-Melibiose 30 -
D-Saccharose 31 +
D-Trehalose 32 +
Inuline 33 -
D-Melezitose 34 -
D-Raffinose 35 -
Amidon 36 -
Glycogene 37 -
Xylitol 38 -
Gentiobiose 39 -
D-Turanose 40 -
D-Lyxose 41 -
D-Tagatose 42 -
D-Fucose 43 -
L-Fucose 44 -
D-Arabitol 45 -
L-Arabitol 46 -
Potassium GlucoNaTe 47 -
Potassium 2-CetoGluconate 48 -
Potassium 5-CetoGluconate 49 -
본 발명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인지기능 장애"는 기억력, 주의력, 공간 지각 능력, 언어력 또는 판단력 등의 저하, 또는 이들의 조합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Amyloid beta Protein, Aβ) 또는 타우 단백질(Tau Protein, Tau)이 축적되어 발병하는 질환일 수 있다. 상기 Aβ는 가용성 또는 불용성 Aβ 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Aβ40, Aβ42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Tau는 가용성 또는 불용성 Tau일 수 있고, 인산화 Tau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phospho-Tau (Thr231), phospho-Tau (Ser202, Thr205) phospho-Tau (Thr181), phospho-Tau (Thr212, Ser214), phospho-Tau (Ser396), phospho-Tau (Ser42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Aβ가 축적되어 발병하는 질환은 AD, 파킨슨병 치매(Parkinson's disease dementia), 루이소체 치매(Dementia with Lewy bodies), 헌팅턴 치매(Huntington's dementia), 전임상 알츠하이머병(preclinical Alzheimer's disease) 및 다운 증후군(Down syndrom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Tau가 축적되어 발병하는 질환은 피질기저핵 변성(corticobasal degeneration, CBD), 진행성 핵상 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PSP), 픽 질환, 및 전두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FT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은 치매(Dementia)의 가장 흔한 형태에 속한 퇴행성 뇌 질환을 의미한다. AD는 점진적인 기억력 퇴행을 비롯하여 병이 진행될수록 언어능력, 판단력, 사고력 등의 여러 인지 기능이 감퇴하고 이는 결국 일상생활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는 뇌 조직 내 Aβ 또는 Tau의 생성을 저해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또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etylcholinesterase, AChE) 활성을 저해하고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및 종양 괴사 인자-α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을 감소시켜 염증 반응을 저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단기 기억 능력, 공간 지각 능력 또는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장벽 투과성의 감소효과를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리시펠로트리카세에(Erysipelotrichaceae), 에리시펠로트리칼레스(Erysipelotrichales), 투리치박터(Turicibacter), 펩토스트렙토코칼레스 티시에렐라레스(Peptostreptococcales Tissierellales), 안에어로보라카세에(Anaerovoracaceae) 및 유박테리움 자일라노필리움(Eubacterium xylanophil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장내 미생물의 증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펩톡 펩토코칼레스(Peptoc Peptococcales) 및 펩토코카세에(Peptococacea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장내 미생물의 감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장내 미생물 균총은 다발성 경화증, 파킨슨병 및 AD를 포함한 다양한 신경학적 상태에서 신경염증을 잠재적으로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장내 미생물 균총의 변화는 미생물 유래 대사산물과 말초 면역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신경 질환과 관련하여 잠재적으로 중추 신경계 면역 반응을 변화시킬 수 있다(Sidhanth Chandra et al., Molecular Neurodegeneration 18 (9), 01 February 2023).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균주를 유효량으로 포함하여,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 및 전달 시스템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물리적으로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투여는 예를 들어, 경구 투여, 정맥내, 근육내, 피하, 복강내, 척수 또는 다른 비경구 투여, 예컨대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한 투여 등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투여의 횟수는 예를 들어 단 회, 복수 회, 및 하나 이상의 연장된 기간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기의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활택제, 결합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붕해제로는 한천, 전분, 알긴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 무수인산일수소 칼슘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활택제로는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또는 이의 마그네슘염 또는 칼슘염,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결합제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딘,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락토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셀룰로오스. 글리신 등을 희석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등 혼합물,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감미제 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거나 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균주 단독을 포함하거나, 또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예를 들면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필요한 경우 항산화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완충액 및/또는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포함하여 산제, 과립제, 정제, 액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크림, 로션, 젤, 연고, 에어로졸, 분말 스프레이, 크림, 좌약, 환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수탁번호 KCTC 14149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서, 각 용어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서, 상기 수탁번호 KCTC14149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는 다른 치료제와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동시" 투여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 및 다른 치료제를 하나의 제제로 한 번에 투여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상기 균주 및 다른 치료제를 별도의 제제로 한 번에 투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상기 균주의 투여경로와 다른 치료제의 투여경로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순차적" 투여는 상기 균주 및 다른 치료제를 비교적 연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투여 간격에 소모되는 시간으로 가능한 최소한의 시간을 허락한다. 상기 "개별적" 투여는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균주 및 다른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균주 및 다른 치료제의 투여 방법은 대상체의 치료 효능,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당업계의 의사 또는 전문가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수탁번호 KCTC14149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서, 각 용어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의 유효량은 사용 목적(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제조 시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가 식품 조성물 중 0.001 내지 20 중량%, 0.001 내지 15 중량% 또는 0.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건강음료의 경우 100 mL를 기준으로 0.01 내지 2 g, 구체적으로 0.02 내지 2 g, 보다 구체적으로 0.3 내지 1 g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식품 조성물에 첨가되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는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유산균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성분은 예컨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로는 모노사카라이드(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를 들어,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균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대추 추출액 또는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식품,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천연소재의 가공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상기 유산균을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 통조림, 병조림, 잼, 마멀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요거트, 발효유,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 본 발명의 유산균을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환,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증진 또는 개선시키기 위한 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및/또는 다른 조성물, 또는 다른 요법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Amyloid beta Protein, Aβ) 또는 타우 단백질(Tau Protein, Tau)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우수하고 인지기능 향상 효과가 우수하므로,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균주를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동물 모델에 투여한 후 장내 미생물 균총 변화를 나타낸 Cladogram이다. 초록색은 증가한 균을 나타내며, 붉은색은 감소한 균을 나타낸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를 AD 동물 모델에 투여한 후 장내 미생물 균총 변화를 나타낸 Plot이다. NC는 PBS 투여 ADLPAPT 마우스, KCTC14149BP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투여 ADLPAPT 마우스를 의미한다.
도 3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를 AD 동물 모델에 투여한 후 실험동물의 장벽 투과도 결과 영상사진 및 그래프이다. WT는 PBS 투여 ADLPWT 마우스, NC는 PBS 투여 ADLPAPT 마우스, KCTC14149BP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투여 ADLPAPT 마우스를 의미한다.
도 4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를 AD 동물 모델에 투여한 후의 뇌조직의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Amyloid beta Protein, Aβ) 면역 염색 결과를 사진 및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면역 염색 사진에서, 파란색은 DAPI로 염색된 세포 핵, 초록색은 1차 항체와 결합한 Aβ plaque다. NC는 PBS 투여 ADLPAPT 마우스, KCTC14149BP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투여 ADLPAPT 마우스, 4G8은 1차 항체인 Biotin-labeled 4G8를 의미한다.
도 5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를 AD 동물 모델에 투여한 후의 뇌조직의 Aβ의 ELISA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C는 PBS 투여 ADLPAPT 마우스, KCTC14149BP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투여 ADLPAPT 마우스, **는 P value < 0.01를 의미한다.
도 6은 균주의 신경세포 보호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NC는 대조군, H2O2는 H2O2 처리 대조군, MRS는 MRS 처리군, KCTC14149BP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처리군, Soy-PS는 Soy-PS 처리군, ***는 P value < 0.001를 의미한다.
도 7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의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신경세포 내 글루타치온(Glutathione) 양을 측정한 후 대조군(NC)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NC는 대조군, H2O2는 H2O2 처리 대조군, MRS는 MRS 처리군, KCTC14149BP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처리군, Soy-PS는 Soy-PS 처리군, ***는 P value < 0.001를 의미한다.
도 8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etylcholinesterase, AChE)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NC는 대조군, H2O2는 H2O2 처리 대조군, MRS는 MRS 처리군, KCTC14149BP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처리군, Soy-PS는 Soy-PS 처리군, ***는 P value < 0.001를 의미한다.
도 9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의 항염증 활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미세아교세포 내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NC는 대조군, Aβ는 Aβ1-42 처리 대조군, MRS는 MRS 처리군, KCTC14149BP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처리군, Soy-PS는 Soy-PS 처리군, *는 P value < 0.05, ***는 P value < 0.001를 의미한다.
도 10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의 항염증 활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미세아교세포 내 종양 괴사 인자-α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NC는 대조군, Aβ는 Aβ1-42 처리 대조군, MRS는 MRS 처리군, KCTC14149BP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처리군, Soy-PS는 Soy-PS 처리군, *는 P value < 0.05, ***는 P value < 0.001를 의미한다.
도 11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를 스코폴라민(Scopolamine) 유도 인지기능 저하 동물 모델에 투여한 후, Y 미로 시험을 통하여 실험동물의 단기 기억 능력 및 공간 지각 능력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G1은 대조군, G2는 부형제 투여군, G3은 도네페질(Donepezil) 투여군, G4는 데커신(Decursin) 투여군, G5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저농도 투여군, G6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중농도 투여군, G7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고농도 투여군, ##은 G1에 대한 P value < 0.01, **는 G2에 대한 P value < 0.01을 의미한다.
도 12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를 스코폴라민 유도 인지기능 저하 동물 모델에 투여한 후, Passive avoidance test를 통하여 실험동물의 인지능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G1은 대조군, G2는 부형제 투여군, G3은 도네페질 투여군, G4는 데커신 투여군, G5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저농도 투여군, G6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중농도 투여군, G7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고농도 투여군, ##은 G1에 대한 P value < 0.01, *은 G2에 대한 P value < 0.05, **는 G2에 대한 P value < 0.01을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제조예 1: 프로바이오틱스 제조
본 실험에 사용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는 원유 발효물로부터 분리하였다. 유산균 종균 배양은 MRS Broth를 포함하는 플라스크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종균 배양액은 최적화된 자체 제작 배지에 접종하였다. 배양 조건은 pH 5.5 ~ 6.0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고, 55 ~ 65 RPM으로 교반하면서 37℃에서 18~20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40X 농축 세포의 동결 건조는 매뉴얼에 따라 수행되었다. 동결 건조 후, 각각의 프로바이오틱스 분말 1g당 콜로니 형성 단위(colony-forming unit, CFU)를 연속 희석법으로 측정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를 1X PBS에 현탁시키고, 사용전에 5 x 109 CFU/200μL의 밀도로 조정하였다.
제조예 2.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동물모델의 제작
형질전환 ADLP (Alzheimer's disease-like pathology) 동물모델은 다음과 같이 제작하였다. i) Thy1 promoter 조절 하에 Swedish (K670N/M671L), Florida (I716V) 및 London (V717I)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인간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유전자와, M146L과 L286V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인간 프리세니린-1(Presenilin-1, PSEN1) 유전자가 발현되는, 5XFAD 마우스(Tg6977, Jackson Laboratory, Stock #006554)와, ii) prion protein promoter 조절 하에 P301L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인간 Tau 유전자가 발현되는, JNPL3 마우스(TauP301L-JNPL3, Taconic, Stock#2508 homozygote)를 교배시켰다.
총 3개의 돌연변이 인간 유전자를 발현하는 ADLPAPT 마우스는 수컷보다 암컷에서 AD의 병리 변화와 인지기능 장애가 더 이른 시기에 나타나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는 모두 암컷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장내 미생물 균총 변화
본 발명에 따른 균주의 투여가 장내 미생물 균총을 변화시켜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균주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균주 경구투여에 의한 AD 동물 모델의 장내 미생물 균총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2.5개월령의 ADLPAPT 마우스에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의 PBS 현탁액(균주 투여군) 또는 PBS (Negative Control, NC)를 200μL씩 투여하였으며, 정상 모델인 ADLPWT 마우스에는 PBS를 200μL 투여(Wild Type, WT)하였다. 투여는 5개월 동안 주 5회씩 경구를 통해 수행하였다.
투여 완료 후, 실험 동물의 희생 전 대변 샘플을 채취하여 분석 전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QIAamp DNA 분변 미니 키트(Qiagen, 51304)를 사용하여 대변 샘플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16s rRNA 유전자의 V3-V4 영역을 341F 프라이머(5'-CCTACGGGNGGCWGCAG-3')와 805R 프라이머(5'-GACTACHVGGGTATCTAATCC3')를 사용하여 PCR로 증폭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을 HiAccuBead(AccuGene, ACN01.50)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Metagenome 시퀀싱은 Ion Torrent S5 Sequencer System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생성된 염기서열은 QIIME2(버전 2022.2) 파이프라인을 활용하여 장내 미생물의 전체 유전정보를 확인하였다. 균주 투여군과 NC 사이의 미생물 속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선형 판별 분석(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효과 크기(LDA effect size, LEfSe) 알고리즘을 속(Genus) 수준에서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주 투여군에서 에리시펠로트리카세에(Erysipelotrichaceae), 에리시펠로트리칼레스(Erysipelotrichales), 투리치박터(Turicibacter), 펩토스트렙토코칼레스 티시에렐라레스(Peptostreptococcales Tissierellales), 안에어로보라카세에(Anaerovoracaceae), 유박테리움 자일라노필리움(Eubacerium xylanophilum)의 장내 분포가 증가하였으며, 펩톡 펩토코칼레스(Peptoc Peptococcales), 펩토코카세에(Peptococaceae)의 장내 분포는 감소하였다.
실시예 2. 장벽 투과도 감소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 환자는 장관 장벽 기능에 이상이 생겨 장벽 투과도가 감소한 "새는 장(leaky gut)" 상태를 나타내며, 이로 인하여 전신 염증 반응이 활성화되어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Vanessa Stadlbauer et al., BMC Geriatrics 20 (248), 20 July 202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균주가 장관 장벽 기능 이상을 개선하여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균주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균주의 경구투여에 의한 AD 동물 모델의 장벽 투과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AD 동물 모델에 균주를 투여하였다. 투여 완료 후, 장벽 투과도 평가 전 4시간 동안은 금식시켰으며, 4kDa의 형광 물질 0.6 mg/g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형광물질 투여 2시간 후 장에 존재하는 물질을 영상화하고 잔류량을 측정함으로써 장벽 투과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DLPAPT 마우스(NC)에서는 ADLPWT 마우스(WT)에 비해 장관 내에 남아있는 형광 물질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균주 투여군에서는 장관 내 형광 물질의 잔류량이 NC에 비해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가 장관의 증가된 장벽 투과도를 감소시켜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3.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Amyloid beta Protein, Aβ) 감소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는 Aβ가 축적되어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균주가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균주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 염색(Immunohistochemistry) 및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균주 경구투여에 의한 AD 동물 모델의 뇌 내 Aβ plaque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3-1. 면역 염색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AD 동물 모델에 균주를 투여하였다. 투여 완료 후, 실험 동물을 Tiletamine-Zolazepam 및 Xylazine (1.2 mg/kg)의 혼합물로 마취시키고 PBS로 관류시켰다. 실험 동물의 뇌 조직은 면역 형광 염색을 위해 4% paraformaldehyde로 24시간 동안 고정한 30% sucrose 용액에서 약 72시간 동안 탈수시켰다. 전처리된 뇌 조직은 -80℃에서 동결시킨 다음 -25℃ 유지가 가능한 마이크로톰(Microtome)을 통해 관상 절편으로 절단하였다. 뇌 조직 절편은 PBS로 세척하여 blocking 및 permeabilization 과정을 거친 후 1차 항체인 Biotin-labeled 4G8 (1:700, Covance, SIG-39240), GFAP (1:1,000, Invitrogen, 13-0300) 및 Iba1 (1:500, Wako, 019-19741)과 반응시켰다. 1차 항체와 반응시킨 뇌 조직 절편은 PBS 세척 후 형광 물질이 표지된 2차 항체와 추가적으로 반응시킨 후 DAPI 염색을 진행하여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주 투여군은 대조군(NC)에 비하여 뇌 내 Aβ plaque가 차지하는 영역이 약 30%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가 뇌 내 축적된 Aβ plaque를 제거하여 인지기능 장애 또는 알츠하이머 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3-2. ELISA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AD 동물 모델에 균주를 투여하였다. 투여 완료 후, 실험 동물을 Tiletamine-Zolazepam 및 Xylazine (1.2mg/kg)의 혼합물로 마취시키고 PBS로 관류시켰다. 실험 동물의 뇌 조직은 ELISA 실험을 위해 RIPA buffer (50mM Tris-HCL, pH 7.4; 150mM NaCl; 1% Nonidet P-40; 0.1% SDS; 05% deoxycholic acid sodium salt)에서 균질화한 다음, 조직 추출물의 상층액 내 단백질 농도를 정량하였다. 100μg의 단백질을 초원심분리화하여 RIPA-soluble 부분과 RIPA-insoluble 부분으로 분리하였다. RIPA-insoluble 부분은 70% formic acid에 재현탁하고, ELISA 실험 전에 1M Tris-base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RIPA-soluble Aβ40 및 Aβ42와 RIPA-insoluble Aβ40 및 Aβ42의 농도는 인간 Aβ 특이적 ELISA kit의 프로토콜에 따라 측정되었다.
그 결과,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균주 투여군에서는 대조군(NC)에 비하여 뇌 내 RIPA-soluble Aβ40는 약 27%, Aβ42는 약 19%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RIPA-insoluble Aβ40은 약 22%, Aβ42는 약 16%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가 뇌 내 존재하는 soluble 또는 insoluble 형태의 Aβ양을 감소시켜 인지기능 장애 또는 알츠하이머 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4. 신경세포 보호
본 발명의 균주가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균주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감소로 대표되는, 신경세포 보호에 대한 상기 균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ROS인 과산화 수소(Hydrogen peroxide, H2O2)를 신경세포에 첨가한 후,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H2O2와 같은 ROS는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세포 분화, 유전자 발현, 사이토카인(Cytokine)에 대한 반응 정도를 조절하므로, ROS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은 세포 성장과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Sang Won Kang, Hanyang Med. Rev. 2013; 33:77-82).
구체적으로, 96-well plate에 1.0 x 104 cells/well 농도로 신경세포주 PC-12를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well에 대조군 및 실험군 별로 H2O2, 균주, Soy-PS를 선택적으로 첨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조군 및 실험군은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Soy-PS는 식약처에서 인정한 두뇌건강 기능성 원료로, 뇌 세포막을 형성하는 주요 인지질이며, 치매 예방, 기억력, 인지력, 학습력, ADHD 주의력 결핍 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1) 대조군(NC): H2O2, 균주 및 Soy-PS를 첨가하지 않음
(2) H2O2 처리 대조군(H2O2): H2O2 800μM를 첨가함
(3) MRS broth 처리군(MRS): 각 양의 MRS broth(0.05mL, 0.1mL, 0.5mL, 1.0mL)를 H2O2 800μM과 동시에 첨가함
(4) 균주 처리군(KCTC14149BP): 각 농도의 균주(0.05%, 0.1%, 0.5%, 1.0%)를 H2O2 800μM과 동시에 첨가함
(5) Soy-PS 처리군(Soy-PS): 각 농도의 Soy-PS (50μg/mL, 100μg/mL, 200μg/mL, 400μg/mL)를 H2O2 800μM과 동시에 첨가함
상기와 같이 대조군 및 실험군 별로 물질을 첨가하여 24시간 반응시킨 후, 각 well에 MTT 용액을 첨가해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각 well에 100μL의 DMSO를 첨가하여 보라색의 포르마잔(Formazan)을 용해시킨 후, 형광광도계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NC)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실험은 3반복 수행 뒤 통계처리 하였다(실험군 n=3).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12 세포에서 균주의 세포 보호능을 확인한 결과 H2O2 처리 대조군에 비해 균주 처리군(KCTC14149BP)은 0.05% 농도에서 약 1.3배, 0.1% 농도에서 약 1.2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Soy-PS 처리군(Soy-PS)은 H2O2 처리 대조군에 비해 200μg/mL 농도 및 400μg/mL 농도에서 약 1.2배 증가하여, 균주 처리군(KCTC14149BP)의 0.05% 및 0.1% 농도에서의 결과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는 신경세포 생존률을 증가시켜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과는 기존 두뇌건강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던 Soy-PS와 유사하므로,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실시예 5. 항산화 활성
본 발명의 균주가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균주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에 대한 상기 균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ROS인 H2O2를 투여한 신경세포 내의 글루타치온 페록시다제(Glutatione Peroxidase, GSH-Px)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글루타치온(Glutatione, GSH) 양을 측정하였다. GSH는 항산화 효소인 GSH-Px의 구성 성분이며, GSH-Px는 H2O2를 물(H2O)로 환원시킴으로써 DNA 손상 방지 및 비정상적 세포의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하여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96-well plate에 1.0 x 104 cells/well 농도로 신경세포주 PC-12를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well에 대조군 및 실험군 별로 H2O2, 균주, Soy-PS를 선택적으로 첨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조군 및 실험군은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1) 대조군(NC): H2O2, 균주 및 Soy-PS를 첨가하지 않음
(2) H2O2 처리 대조군(H2O2): H2O2 800μM를 첨가함
(3) MRS broth 처리군(MRS): 각 양의 MRS broth(0.1mL, 0.5mL, 1.0mL)를 H2O2 800μM과 동시에 첨가함
(4) 균주 처리군(KCTC14149BP): 각 농도의 균주(0.1%, 0.5%, 1.0%)를 H2O2 800μM과 동시에 첨가함
(5) Soy-PS 처리군(Soy-PS): 각 농도의 Soy-PS (50μg/mL, 100μg/mL, 200μg/mL)를 H2O2 800μM과 동시에 첨가함
상기와 같이 대조군 및 실험군 별로 물질을 첨가하여 24시간 반응시킨 후, 각 대조군 및 실험군을 PBS (pH 7.4)로 2회 세척한 다음 RIPA buffer로 균질화 하였다. 상기 RIPA buffer는 150mM NaCl, 0.5% Triton X-100, 50mM Tris-HCl, pH 7.4, 25 mM NaF, 20mM EGTA, 1mM DTT, 1mM Na3VO4 및 protease inhibitor cocktail을 포함한다. 균질화 한 후, 1,890 x g, 4℃조건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세포 상층액(상등액)을 제거하였다. 그 후, glutathione assay buffer 400μL를 가하여 용해한 다음 12,000 x g, 36℃ 조건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세포 상층액을 수득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글루타치온 분석 시약(BioVision)의 generation mix, 글루타치온 환원 효소(glutathione reductase) 및 글루타치온 반응 버퍼(glutathione reaction buffer) 혼합액 160μL를 96-well plate에 가한 뒤 실온에서 10분 간 배양하였다. 이후, 표준용액 또는 시료(세포 상층액)를 각각 20μL씩 well에 첨가하고 다시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기질용액 20μL를 첨가하여 발색시킨 후 형광광도계로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 중의 GSH 농도는 표준 검량 곡선으로부터 환산한 후 대조군(NC)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실험은 3반복 수행 뒤 통계처리 하였다(실험군 n=3).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12 세포에서 GSH 양을 확인한 결과 H2O2 처리 대조군에 비해 균주 처리군(KCTC14149BP)은 0.5% 농도 및 1.0% 농도에서 약 1.9배 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균주 처리군(KCTC14149BP)은 Soy-PS 처리군(Soy-PS) GSH 양의 약 84%에 달하는 GSH 양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균주와 Soy-PS는 항산화 활성에 있어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는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켜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과는 기존 두뇌건강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던 Soy-PS와 유사하므로,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실시예 6.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etylcholinesterase, AChE) 저해
본 발명의 균주가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균주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AChE 활성을 저해에 대한 상기 균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H2O2로 AChE 활성을 유도한 후 각 대조군 및 실험군의 AChE 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PBS를 150μL씩 넣은 후, 각 대조군 및 실험군 별로 H2O2, 균주, Soy-PS를 선택적으로 첨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조군 및 실험군은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1) 대조군(NC): H2O2, 균주 및 Soy-PS는 첨가하지 않고, 0.2U/mL 농도의 AChE은 첨가하였다.
(2) H2O2 처리 대조군(H2O2): H2O2 800μM 및 0.2U/mL 농도의 AChE를 첨가함
(3) MRS broth 처리군(MRS): 각 양의 MRS broth(0.1mL, 0.5mL, 1.0mL)를 H2O2 800μM 및 0.2U/mL 농도의 AChE와 동시에 첨가함
(4) 균주 처리군(KCTC14149BP): 각 농도의 균주(0.1%, 0.5%, 1.0%)를 H2O2 800μM 및 0.2U/mL 농도의 AChE와 동시에 첨가함
(5) Soy-PS 처리군(Soy-PS): 각 농도의 Soy-PS (50μg/mL, 100μg/mL, 200μg/mL)를 H2O2 800μM 및 0.2U/mL 농도의 AChE와 동시에 첨가함
상기와 같이 대조군 및 실험군 별로 물질을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10 mM 농도의 DTNB 30μL 및 15 mM 농도의 ATCI 20μL를 첨가하여 37℃ 배양기에서 30분간 정치시킨 후, 형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ChE 저해 활성은 nM 타크린 당량(nM tacrine equivalents)으로 나타내었고, 실험은 3반복 수행 뒤 통계처리 하였다(실험군 n=3).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AChE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 H2O2 처리 대조군에 비해 균주 처리군(KCTC14149BP)은 0.1% 농도 및 1.0% 농도에서 약 70%, 0.5% 농도에서 약 60%로 감소하였다. 특히, Soy-PS 처리군(Soy-PS)은 H2O2 처리 대조군에 비해 50μg/mL 농도에서 약 70%, 100μg/mL 농도에서 90%, 200μg/mL 농도에서 약 80% 감소하여 균주 처리군(KCTC14149BP)에서의 결과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균주와 Soy-PS는 AChE 활성 저해에 있어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는 AChE 활성을 저해하여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과는 기존 두뇌건강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던 Soy-PS와 유사하므로,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실시예 7. 항염증 활성
본 발명의 균주가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항염증 활성에 대한 상기 균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뇌에서 Aβ의 침착은 염증반응과 관련이 있으며, Aβ plaque 주변에 존재하는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Microglial cell)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된다. 미세아교세포는 Aβ를 제거하기 위해 면역반응 중 하나인 식균작용을 통해 활성화되며, 세포 외 환경으로부터의 신호에 쉽게 반응하여 뇌 염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Aβ로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는 염증 매개 인자인 cyclooxygenase-2 (COX-2),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를 생성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Interleukin-1 beta (IL-1β), Interleukin-6 (IL-6) 또는 종양 괴사 인자-α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의 합성 및 분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활성화에도 조절이 필요하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염증과정을 항 염증제의 장기적인 사용으로 조절하는 것이 AD의 진행을 억제하고 개선할 수 있다고 입증되었다(Hui-Jin Mun et al., JKSCI, Vo. 25 No. 6, 165-170).
실시예 7-1.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감소
구체적으로, Aβ로 염증이 유도된 미세아교세포 내의 NO의 양을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1.0 x 104 cells/well 농도로 미세아교세포 BV-2를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well에 대조군 및 실험군 별로 Aβ1-42, 균주, Soy-PS를 선택적으로 첨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조군 및 실험군은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1) 대조군(NC): Aβ1-42, 균주 및 Soy-PS를 첨가하지 않음
(2) Aβ1-42 처리 대조군(Aβ): Aβ1-42 20μM를 첨가함
(3) MRS broth 처리군(MRS): 각 양의 MRS broth (0.1mL, 0.5mL, 1.0mL)를 Aβ1-42 20μM과 동시에 첨가함
(4) 균주 처리군(KCTC14149BP): 각 농도의 균주(0.1%, 0.5%, 1.0%)를 Aβ1-42 20μM과 동시에 첨가함
(5) Soy-PS 처리군(Soy-PS): 각 농도의 Soy-PS (50μg/mL, 100μg/mL, 200μg/mL, 400μg/mL)를 Aβ1-42 20μM과 동시에 첨가함
상기 방법과 같이 대조군 및 실험군 별로 물질을 첨가하여 24시간 반응시킨 후, 세포 배양액을 획득하여 NO의 양을 Griess Reagent System으로 측정하였다. NO의 양은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 표준 곡선으로 환산하였으며, 실험은 3반복 수행 뒤 통계처리 하였다(실험군 n=3).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BV-2 세포에서의 NO 양을 확인한 결과 Aβ1-42 처리 대조군(Aβ)에 비해 균주 처리군(KCTC14149BP)은 0.1% 농도, 0.5% 농도 및 1.0% 농도에서 약 20% 감소하였다. 특히, Soy-PS 처리군(Soy-PS)은 Aβ1-42 처리 대조군(Aβ)에 비해 50μg/mL 농도에서 약 10%, 100μg/mL 농도 및 200μg/mL 농도에서 약 30%, 400μg/mL 농도에서 약 40% 감소하여, 균주 처리군(KCTC14149BP)에서의 결과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는 NO를 감소시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효과는 기존 두뇌건강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던 Soy-PS와 유사하므로,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실시예 7-2. 염증성 사이토카인 감소
구체적으로, Aβ로 염증이 유도된 미세아교세포 내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양을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1.0 x 104 cells/well 농도로 미세아교세포 BV-2를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well에 대조군 및 실험군 별로 Aβ1-42, 균주, Soy-PS를 선택적으로 첨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조군 및 실험군은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1) 대조군(NC): Aβ1-42, 균주 및 Soy-PS를 첨가하지 않음
(2) Aβ1-42 처리 대조군(Aβ): Aβ1-42 20μM를 첨가함
(3) MRS broth 처리군(MRS): 각 양의 MRS broth (0.1mL, 0.5mL, 1.0μmL)를 Aβ1-42 20μM과 동시에 첨가함
(4) 균주 처리군(KCTC14149BP): 각 농도의 균주(0.1%, 0.5%, 1.0%)를 Aβ1-42 20μM과 동시에 첨가함
(5) Soy-PS 처리군(Soy-PS): 각 농도의 Soy-PS (50μg/mL, 100μg/mL, 200μg/mL)를 Aβ1-42 20μM과 동시에 첨가함
상기 방법과 같이 대조군 및 실험군 별로 물질을 첨가하여 24시간 반응시킨 후, 세포 배양액을 획득하여 TNF-α의 양을 측정하였다. 시료(세포 배양액) 중의 TNF-α의 양은 표준 검량 곡선으로부터 환산하였다. 실험은 3반복 수행 뒤 통계처리 하였다(실험군 n=3).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BV-2 세포에서의 TNF-α 양을 확인한 결과 Aβ1-42 처리 대조군(Aβ)에 비해 균주 처리군(KCTC14149BP)은 0.1% 농도에서 약 20%, 0.5% 농도 및 1.0% 농도에서 약 10% 감소하였다. 특히, Soy-PS 처리군(Soy-PS)은 Aβ1-42 처리 대조군(Aβ)에 비해 50μg/mL 농도, 100μg/mL 농도 및 200μg/mL 농도에서 약 20% 감소하여 균주 처리군(KCTC14149BP)의 TNF-α 양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균주와 Soy-PS는 TNF-α 감소에 있어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는 TNF-α를 감소시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효과는 기존 두뇌건강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던 Soy-PS와 유사하므로,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실시예 8. Y 미로 실험(Y maze test)
본 발명의 균주가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균주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Y 미로 실험을 통해 단기 기억 능력 및 순간 공간 지각 능력에 대한 상기 균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Y 미로 실험은 직전에 탐색한 가지를 기억하여 동일한 가지에 들어가지 않을수록 높은 기억력 수치를 나타내는 실험으로, 단기 기억 능력 및 순간 공간 지각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부형제(생리식염수, Saline),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 치료제인 도네페질(Donepezil) 또는 데커신(Decursin), 또는 본 발명의 균주를 기억력 손상을 유발하는 스코폴라민(Scopolamine)과 함께 투여한 후, Y 미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스코폴라민은 콜린성 신경계 후시냅스에 있는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로, 전시냅스에서 유리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과 무스카린성 수용체의 결합을 방해하여, 정보전달을 막음으로써 학습력과 기억력을 손상시킨다. 이로 인해, 학습력과 기억력 등의 인지기능 개선효과를 검증할 때, 흔히 사용되고 있다(Dae-eok Kim et al.,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8; 29(3):121-134).
상기 도네페질은 AChE 억제제로, 미국 FDA에서 승인되어 AD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은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로 학습력 및 기억력에 도움을 주는데, AD 환자에서는 상기 아세틸콜린이 감소한다. 이로 인해, AD 환자에게는 Ach를 아세테이트 이온(Acetate ion)과 콜린(Choline)으로 분해하는 AChE를 억제하기 위해, 도네페질과 같은 AChE 억제제가 처방된다.
상기 데커신은 인지기능 개선 기능성 인증 원료로, 기억 및 학습력과 관련성이 깊은 해마조직에서 AChE를 저해하여, 기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Ki Yong Lee et al.,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008; 39(2):86~90).
상기 Y 미로는 길이 40cm, 넓이 3cm, 높이 15cm인 가지 3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지 사이의 각도는 120℃의 규격으로 제작되었다.
구체적으로, 실험 동물을 7개 군으로 분리하여 대조군(G1) 및 실험군(G2 내지 G7)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물질은 200μL씩 투여하였다.
(1) 대조군(G1): 스코폴라민, 도네페질, 데커신 또는 균주를 투여하지 않음
(2) 부형제 투여군(G2): 스코폴라민 및 부형제 투여
(3) 도네페질 투여군(G3): 스코폴라민 및 5mg/kg 도네페질 투여
(4) 데커신 투여군(G4): 스코폴라민 및 5mg/kg 데커신 투여
(5) 균주 저농도 투여군(G5): 스코폴라민 및 1 x 108 CFU/head 균주 투여
(6) 균주 중농도 투여군(G6): 스코폴라민 및 5 x 108 CFU/head 균주 투여
(7) 균주 고농도 투여군(G7): 스코폴라민 및 1 x 109 CFU/head 균주 투여
상기 대조군 및 실험군을 Y 미로의 중앙에 배치하고, 개체당 8분동안 미로 장치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개체의 움직임은 EthoVision XT16 (Noldus,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는 자발적 변경 행동력(Spontaneous alternation, %) 값으로 얻어지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자발적 변경 행동력(%)= (자발적 교대 수 / (총 가지 진입 수-2)) x 100
자발적 교대 수(The number of triplet)는 연속적으로 세 개의 다른 가지에 들어간 횟수이며, 총 가지(팔) 진입 수(Total arm entries)는 실험 동물이 가지에 들어간 횟수다. 실험은 각 군당 10마리씩 수행한 뒤 통계처리 하였다(실험군 n=10).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기 기억 능력 및 순간 공간 지각 능력을 확인한 결과 균주 저농도 투여군(G5), 균주 중농도 투여군(G6) 및 균주 고농도 투여군(G7)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부형제 투여군(G2)에 비해 균주 중농도 투여군(G6)은 약 1.3배, 균주 고농도 투여군(G7)은 약 1.4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도네페질 투여군(G3) 및 데커신 투여군(G4)은 부형제 투여군(G2)에 비해 약 1.3배 증가하여 균주 중농도 투여군(G6) 및 균주 고농도 투여군(G7)에서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는 단기 기억력 및 순간 공간 지각 능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과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 치료제인 도네페질 또는 데커신과 유사하므로,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실시예 9. 수동 회피 실험(Passive avoidance test)
본 발명의 균주가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균주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수동 회피 실험을 통해 인지 능력에 대한 상기 균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수동 회피 실험은 어두운 곳에 머무르기를 선호하는 설치류의 습성을 이용한, 인지능 평가 실험이다.
구체적으로, 부형제(생리식염수, Saline),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 치료제인 도네페질 또는 인지기능 개선 기능성 인증 원료인 데커신, 또는 본 발명의 균주를 기억력 손상을 유발하는 스코폴라민과 함께 투여한 후, 수동 회피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 동물을 7개 군으로 분리하여 대조군(G1) 및 실험군(G2 내지 G7)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물질은 200μL씩 투여하였다.
(1) 대조군(G1): 스코폴라민, 도네페질, 데커신 또는 균주를 투여하지 않음
(2) 부형제 투여군(G2): 스코폴라민 및 부형제(생리식염수, Saline) 투여
(3) 도네페질 투여군(G3): 스코폴라민 및 5mg/kg 도네페질 투여
(4) 데커신 투여군(G4): 스코폴라민 및 5mg/kg 데커신 투여
(5) 균주 저농도 투여군(G5): 스코폴라민 및 1 x 108 CFU/head 균주 투여
(6) 균주 중농도 투여군(G6): 스코폴라민 및 5 x 108 CFU/head 균주 투여
(7) 균주 고농도 투여군(G7): 스코폴라민 및 1 x 109 CFU/head 균주 투여
동일한 크기의 밝은 챔버(chamber)와 어두운 챔버 상기 대조군 및 실험군을 배치하고, 밝은 챔버에서 어두운 챔버로 개체가 진입하였을 때, 0.5mA의 전류를 3초 동안 가하였다. 24시간 후, 대조군 및 실험군을 다시 밝은 챔버에 배치하고 어두운 챔버로 들어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최대 300초까지 측정하여 기억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지 능력을 확인한 결과 균주 저농도 투여군(G5), 균주 중농도 투여군(G6) 및 균주 고농도 투여군(G7)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부형제 투여군(G2)에 비해 균주 고농도 투여군(G7)은 약 2.2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도네페질 투여군(G3)의 약 74%, 데커신 투여군(G4)의 약 87%에 달하는 기억력 회복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균주, 도네페질 또는 데커신은 인지 능력 회복에 있어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는 인지 능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과는 AD 치료제인 도네페질 또는 데커신과 유사하므로, 인지기능 장애 또는 AD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KCTC14149BP 20200303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0)

  1. 수탁번호 KCTC14149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생균체 및 사균체, 및 이의 배양물, 파쇄물, 추출물 및 세포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는 기억력 저하, 주의력 저하, 공간 지각 능력 저하, 언어력 저하, 또는 이들의 조합의 증상을 나타내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Amyloid beta Protein) 축적 질환 또는 타우 단백질(Tau Protein) 축적 질환인, 약제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은 가용성 또는 불용성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인, 약제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리시펠로트리카세에(Erysipelotrichaceae), 에리시펠로트리칼레스(Erysipelotrichales), 투리치박터(Turicibacter), 펩토스트렙토코칼레스 티시에렐라레스(Peptostreptococcales Tissierellales), 안에어로보라카세에(Anaerovoracaceae) 및 유박테리움 자일라노필리움(Eubacerium xylanophil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장내 미생물의 증가를 나타내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펩톡 펩토코칼레스(Peptoc Peptococcales) 및 펩토코카세에(Peptococacea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장내 미생물의 감소를 나타내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8. 수탁번호 KCTC14149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생균체 및 사균체, 및 이의 배양물, 파쇄물, 추출물 및 세포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식품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는 기억력 저하, 주의력 저하, 공간 지각 능력 저하, 언어력 저하, 또는 이들의 조합의 증상을 나타내는 것인, 식품 조성물.
KR1020230073225A 2022-11-02 2023-06-07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의 신규 용도 KR20240066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7436 WO2024096644A1 (ko) 2022-11-02 2023-11-02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의 신규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44826 2022-11-02
KR1020220144826 2022-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955A true KR20240066955A (ko) 2024-05-16

Family

ID=9127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3225A KR20240066955A (ko) 2022-11-02 2023-06-07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의 신규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66955A (ko)
TW (1) TW2024196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098B1 (ko) 2020-03-23 2020-06-30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CKDB00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098B1 (ko) 2020-03-23 2020-06-30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CKDB00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419628A (zh)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1111B2 (en) Lactobacillus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egenerative brain diseases or cognitive function disorders
JP7556077B2 (ja) 新規乳酸菌及びその用途
KR101807328B1 (ko) 경구용 dna 손상 수복 촉진제 및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제
US20230034847A1 (en) Composition for suppressing fat accumulation
KR101737332B1 (ko)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페시움 l11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EA030356B1 (ru) Штамм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animalis
WO2022065848A1 (ko)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US11801276B2 (en) Microorganism having ability to degrade ethanol and acetaldehyde, and composition and kit each including the same
KR20180118363A (ko) 항염증 및 대사성 질환 개선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79953B1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subsp. 락티스 LM1185 균주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42996B1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srk414 균주를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및 알츠하이머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4050702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肥満または肥満から誘導された代謝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KR20240066955A (ko)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의 신규 용도
WO2024096644A1 (ko)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균주의 신규 용도
JP2021505528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その培養液またはその死菌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筋肉の減退、低下及び筋萎縮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の薬学組成物、食品組成物及び食品添加剤
JP2023534496A (ja) ペディオコッカスイノピナタス又はそれに由来する細胞外小胞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脳疾患の治療用組成物
KR20220057323A (ko) 락토바실러스 무단지앙엔시스 ckdb001 균주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비만, 또는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16412B1 (ko)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락티스 mg741 균주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756859B1 (ko) 신규 유산균 및 이의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06366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u15120 균주 또는 이의 용도
KR102726231B1 (ko) 락티카제이바실러스 파라카제이 opt-a3 균주의 배양용해물인 메타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지방산화 증가 및 지방합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2726225B1 (ko)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룸 opt-a1 균주의 배양용해물인 메타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지방산화 증가 및 지방합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20210095775A (ko)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ubc-u80, 및 이의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 용도
KR20240173341A (ko) 장내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기억,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40145096A (ko) 면역 조절 기능을 가지는 신규한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이 CNSC001WB (Latilactobacillus sakei CNSC001WB) 균주 및 이의 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