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138A -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138A
KR20240066138A KR1020240054051A KR20240054051A KR20240066138A KR 20240066138 A KR20240066138 A KR 20240066138A KR 1020240054051 A KR1020240054051 A KR 1020240054051A KR 20240054051 A KR20240054051 A KR 20240054051A KR 20240066138 A KR20240066138 A KR 20240066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
applicator
base unit
locking hoo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5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호
류광열
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240054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6138A/ko
Publication of KR20240066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1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48Having means for aiding positioning of the piercing device at a location where the body is to be pierc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03Piercing procedure
    • A61B5/15107Piercing being assisted by a triggering mechanism
    • A61B5/15113Manu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pressing a drive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livering implantable medical measur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베이스 유닛 하우징 및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베이스 유닛을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과 맞물리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후크; 및 상기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시키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삽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과 함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셔틀을 포함하되, 상기 셔틀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록킹 후크에 접하여 상기 록킹 후크를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서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본 발명은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경피성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다양한 의료용 디바이스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의료용 디바이스는 만성질환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하거나, 치료를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모니터링하는데 신체에 부착되어 혈당을 측정하는 의료용 디바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당뇨병은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병이 진행되면 당뇨병 특유의 다음, 다식, 다뇨, 체중감소, 전신 권태, 피부 가려움증, 손과 발의 상처가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 등의 특유의 증상이 나타난다. 당뇨병이 한층 더 진행되면 시력 장애, 고혈압, 신장병, 중풍, 치주질환, 근육 경련 및 신경통, 괴저 등으로 진전되는 합병증이 나타난다. 이러한 당뇨병을 진단하고 합병증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혈당 측정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당뇨병 환자 및 당뇨병으로 진전되지 않았으나 혈액 내에 정상보다 많은 당이 검출되는 사람들을 위하여 많은 의료기기 제조업체에서는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혈당 측정기를 제공하고 있다.
혈당 측정기는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부터 채혈하여 혈당 측정을 1회 단위로 수행하는 방식과, 사용자의 배와 팔 등에 부착하여 혈당 측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 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혈당과 저혈당 상태를 오가게 되는데, 응급 상황은 저혈당 상태에서 찾아오고, 의식을 잃거나 당분 공급 없이 저혈당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저혈당 상태의 즉각적인 발견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나,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채혈식 혈당 측정기로는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 내에 삽입되어 수분 간격으로 혈당치를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시스템(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연속 혈당 측정시스템은 채혈에 따르는 사용자의 고통과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증이 상대적으로 덜한 배와 팔 등의 부위에 프로브 형태의 경피성 센서를 삽입한 후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시스템은 사용자의 피부 속에 삽입되어 체내에서 혈당을 측정하는 경피성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과, 경피성 센서에 의해 측정된 혈당 수치를 전송하기 위한 트랜스미터와, 전송받은 혈당 수치를 출력하는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피성 센서를 이용하는 의료용 시스템은 제조사마다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그 사용 방식 또한 다양하다. 현재, 대부분의 시스템은 1회용 센서 유닛을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신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 유통되고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센서 유닛을 피부에 부착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센서 유닛를 신체에 부착한 후, 경피선 센서와 함께 피부에 삽입된 니들을 직접 뽑아내야 하는 등 여러가지의 후속 절차들을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1회용 센서 유닛의 포장을 벗겨내 어플리케이터에 정확하게 장착해야 하고, 센서 유닛을 어플리케이터에 삽입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켜 센서 유닛을 피부에 부착해야 한다. 그리고 센서 유닛의 부착 후에는 피부에 삽입된 니들을 뽑아내고, 트랜스미터를 센서 유닛에 결합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127097호 (2020. 11. 1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경피성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이 조립된 상태로 제작 가능하여 경피성 센서를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사용자의 부가 작업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경피성 센서를 피부에 삽입하는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유닛과 분리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과 어플리케이터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베이스 유닛 하우징 및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베이스 유닛을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과 맞물리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후크; 및 상기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시키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삽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과 함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셔틀을 포함하되, 상기 셔틀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록킹 후크에 접하여 상기 록킹 후크를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서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 후크는, 피봇부와,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피봇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후크부와, 상기 셔틀이 접할 수 있도록 상기 피봇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봇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는, 상기 로킹 후크가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서 맞물림 해제되도록 틸팅될 때 상기 레버부를 떠받쳐서 상기 록킹 후크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우징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는, 상기 록킹 후크의 일측에 접하여 상기 록킹 후크를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맞물리도록 편향시키는 탄성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후크는, 피봇부와,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피봇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후크부와, 상기 셔틀이 접할 수 있도록 상기 피봇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레버부와, 상기 피봇부의 또 다른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암은 상기 로드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 베이스 유닛 하우징 및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과 이격되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을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과 맞물리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후크;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시키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삽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과 함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셔틀을 포함하되, 상기 셔틀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록킹 후크에 접하여 상기 록킹 후크를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서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유닛을 어플리케이터 내에 조립된 상태로 제작함으로써,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한 사용자의 부가 작업을 최소화하고, 단순히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유닛이 베이스 유닛에 결합되기 전에 베이스 유닛이 어플리케이터 바디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센서 유닛이 베이스 유닛에 결합된 후에는 베이스 유닛이 어플리케이터 바디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신체 부착 유닛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신체 부착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센서 유닛에 니들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센서 유닛과 베이스 유닛이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록킹 후크가 베이스 프레임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삽입 유닛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니들 어셈블리의 캐리어와 니들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삽입 유닛 조립체가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삽입 유닛의 센서 삽입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스토퍼부재가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센서 유닛의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록킹 후크가 베이스 프레임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록킹 후크가 베이스 유닛에 맞물린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록킹 후크가 베이스 유닛에서 맞물림 해제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신체 부착 유닛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신체 부착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0)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110)를 구비하는 센서 유닛(100)과, 센서 유닛(100)과 함께 신체 부착 유닛(20)을 구성하는 베이스 유닛(200)과,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3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0)는 어플리케이터(30)에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이 분리되어 장착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은 어플리케이터(30)의 작용으로 자동으로 조립되면서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5)로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5)로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나, 전용 의료 디바이스, PC, 서버 등 신체 부착 유닛(20)의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신체 부착 유닛(20)이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정보는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의 혈당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혈당 측정 정보를 외부 단말기(5)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유닛(100)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센서 유닛(100)과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200)을 포함한다. 베이스 유닛(200)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유닛(200)은 센서 유닛(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 유닛(100)이 측정한 생체 정보를 처리하고 외부 단말기(5)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 유닛(200)은 단순히 센서 유닛(100)을 사용자의 피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유닛(200)에는 센서 유닛(100)이 측정한 생체 정보를 처리하고 외부 단말기(5)로 송신할 수 있는 별도의 전자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센서 유닛(100)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센서(110)와, 센서(110)가 결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과,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결합되어 센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베이스 유닛(2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155)와, 접착 레이어(155)를 덮는 보호 시트(160)를 포함한다.
센서(110)는 일부분이 센서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110)는 센서 하우징(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116)를 구비한다.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는 센서(110)의 일부 및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니들(485)이 삽입되는 하우징 개구(140)가 센서 유닛 하우징(12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센서 유닛 하우징(120)은 하우징 바디(142)와, 하우징 바디(14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스(127)를 포함한다. 하우징 개구(140)는 하우징 바디(142)와 보스(127)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바디(142)는 베이스 유닛(200)의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 바디(142)는 보스(127)가 구비되는 바디부(143)와, 바디부(143)보다 넓은 커버부(144)를 포함한다.
센서 유닛 하우징(120)은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센서(110)가 장착되고, 베이스 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는 센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배치된다.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는 일부분이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표면으로 노출됨으로써 센서(110)와 베이스 유닛(200)의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접착 레이어(155)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표면에 배치된다. 접착 레이어(155)는 양쪽 면이 접착성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접착 레이어(155)의 일면은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표면에 접착되고, 접착 레이어(155)의 타면은 보호 시트(160)로 덮인다. 접착 레이어(155)는 보호 시트(160)가 분리된 후 베이스 유닛(200)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 레이어(155)의 중간 부분에는 접착 레이어홀(156)과, 접착 레이어 개구(157)가 접착 레이어(155)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보호 시트(160)는 접착 레이어(155)를 덮어 보호한다. 보호 시트(160)는 접착 레이어(155)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접착 레이어(155)가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장시간 유지되면 접착 레이어(155)의 접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보호 시트(160)는 접착 레이어(155)를 덮음으로써 접착 레이어(155)의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고, 센서 유닛(100)의 제작 공정이나, 센서 유닛(100)을 어플리케이터(30)에 조립하는 공정에서 작업자에 의한 센서 유닛(100)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보호 시트(160)의 표면에는 접착부재(164)가 구비된다. 접착부재(164)는 양쪽 면이 접착성을 갖는 양면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부재(164)의 일면은 보호 시트(160)에 접착되고, 접착부재(164)의 타면은 어플리케이터(30)에 구비되는 리무빙부재(610)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시트(160)는 접착부재(164)를 통해 리무빙부재(610)와 결합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은 접착 레이어(155)에 보호 시트(160)가 부착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30)에 장착된다. 보호 시트(160)는 센서(110)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기 전에 어플리케이터(30)의 리무빙 유닛(600)에 의해 접착 레이어(15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은 보호 시트(160)가 분리된 상태로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이동하여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200)은 센서 유닛(100)이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과,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자부품을 포함한다. 전자부품은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접촉하는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와, 기판, 배터리,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 칩, 외부 단말기(5)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에는 센서(110)의 삽입부(116)와 니들(485)이 통과할 수 있는 삽입홀(211)과, 센서 유닛 하우징(120)이 결합되는 장착부(212)가 구비된다. 장착부(212)는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와,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의 내측에 마련되는 접촉면(216)을 포함한다.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는 삽입홀(211)과 연결되는 제 1 리세스(214)와, 제 1 리세스(214)보다 삽입홀(211)로부터 멀리 위치하여 제 1 리세스(214)와 연결되는 제 2 리세스(21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0)의 하우징 바디(142)는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과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하우징홈(217)이 형성된다. 하우징홈(217)에는 어플리케이터(30)에 구비되는 록킹 후크(36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의 표면에는 접착부(230)가 구비된다. 접착부(230)는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을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부(230)는 보호 시트로 덮여 보호될 수 있다. 접착부(230)를 덮는 보호 시트는 베이스 유닛(20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은 상호 분리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30)에 설치되고 어플리케이터(30)가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도록 동작되는 과정에서 상호 결합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을 형성한다. 센서 유닛(100)은 니들(485)이 결합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30)에 장착되고, 니들(485)이 결합된 상태로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움직여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된 후 니들(485)은 센서 유닛(100)에서 분리되고, 신체 부착 유닛(20)만 사용자의 피부에 남아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터(30)는 센서 유닛(100) 및 베이스 유닛(200)이 장착된 상태로 작동하여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을 결합시키고,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이 결합된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30)는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킨 후 신체 부착 유닛(20)과 분리되며, 신체 부착 유닛(20)은 접착부(230)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30)는 베이스 유닛(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와,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 유닛(430)을 포함하는 삽입 유닛 조립체(400)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부재(500)와, 센서 유닛(100)의 보호 시트(160)를 분리하기 위한 리무빙 유닛(600)을 포함한다. 삽입 유닛(430)은 센서 유닛(100)을 베이스 유닛(200)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은 제 2 위치에서 결합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20)을 형성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300)는 베이스 프레임(310)과, 베이스 프레임(310) 위에 배치되는 미들 프레임(330)과, 미들 프레임(330)에 결합되어 미들 프레임(330)의 상부를 덮는 탑 케이스(37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310)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312)를 갖는 프레임 베이스부(311)를 포함한다. 프레임 베이스부(311)의 바닥부(312)에는 베이스 유닛(200)이 장착되는 리세스(313)가 구비된다. 베이스 유닛(200)은 접착부(230)가 사용자의 피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리세스(3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센서 유닛(100)과 이격된 제 2 위치에 놓일 수 있다. 프레임 베이스부(311)의 중간에는 베이스 프레임 개구(314)가 프레임 베이스부(31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 개구(314)의 둘레에는 펜스부(316)와 받침대(318)가 돌출 구비된다. 베이스 프레임(310)이 미들 프레임(330)과 결합될 때 펜스부(316)와 받침대(318)가 미들 프레임(330)의 미들 프레임 개구(334)에 삽입된다. 펜스부(316)는 삽입 유닛 조립체(400)에 구비되는 컬럼부재(410)의 외면에 접하여 컬럼부재(410)를 지지할 수 있다. 받침대(318)는 리무빙 유닛(600)의 리무빙부재(610)를 떠받친다. 펜스부(316)의 안쪽에는 컬럼부재(410)를 고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321)가 구비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321)는 컬럼부재(410)에 맞물리는 스냅 후크(322)를 포함한다. 프레임 베이스부(311)의 베이스 프레임 개구(314) 양측에는 관통홀(324)이 프레임 베이스부(31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관통홀(324) 각각의 상부에는 지지부(326)와 받침부(328)가 구비된다.
지지부(326)에는 베이스 유닛(200)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록킹 후크(360)가 결합된다. 록킹 후크(360)는 리세스(313)에 장착된 베이스 유닛(200)에 맞물려 베이스 유닛(200)을 리세스(313)에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록킹 후크(360)는 신체 부착 유닛(20)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후 베이스 유닛(200)에서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록킹 후크(360)는 지지부(326)에 피봇 결합되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틸팅될 수 있다. 록킹 후크(360)는 지지부(32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봇부(361)와, 피봇부(361)에 연결되는 후크부(362)와, 피봇부(361)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로드(363) 및 레버부(365)를 포함한다. 후크부(362)는 베이스 유닛(200)의 하우징홈(217)에 삽입되어 베이스 유닛(200)에 맞물릴 수 있다. 후크부(362)는 피봇부(36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로드(363)는 피봇부(361)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돌출된다. 후크부(362)는 베이스 프레임(310)의 관통홀(324)에 삽입되며 그 일부분이 베이스 프레임(310)의 리세스(313) 속에 위치한다. 레버부(365)는 피봇부(361)와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즉 레버부(365)는 피봇부(361)로부터 베이스 프레임 개구(314) 쪽으로 돌출된다.
록킹 후크(360)는 레버부(365)가 삽입 유닛 조립체(400)의 셔틀(431)에 의해 가압될 때 피봇부(36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틸팅됨으로써 베이스 유닛(20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록킹 후크(360)가 베이스 유닛(20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때 레버부(365)는 베이스 프레임(310)의 받침부(328)에 접하게 된다. 레버부(365)가 받침부(328)에 접할 때 록킹 후크(360)는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받침부(328)는 록킹 후크(360)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고, 셔틀(431)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록킹 후크(360)는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부(365)는 피봇부(36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지 않고, 후크부(362)나 로드(363) 등 다른 부분에 피봇부(36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3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미들 프레임(330)은 베이스 프레임(310)과 결합되는 외곽 프레임(331)과, 외곽 프레임(331)의 안쪽에 배치되는 스테이지(333)와, 스테이지(333) 보다 높게 돌출되는 지지대(339)를 포함한다. 스테이지(333)는 프레임 베이스부(311)의 위에 배치된다. 스테이지(333)의 중간에는 베이스 프레임(310)의 펜스부(316)와 받침대(318)가 삽입되는 미들 프레임 개구(334)가 마련된다. 미들 프레임 개구(334)는 베이스 프레임(310)의 베이스 프레임 개구(314)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베이스 프레임(310)과 미들 프레임(330)이 결합될 때 미들 프레임 개구(334)와 베이스 프레임 개구(314)가 연결된다. 미들 프레임 개구(334)는 베이스 프레임 개구(314)와 연결되어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3)을 형성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3)에 삽입 유닛 조립체(40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삽입 유닛 조립체(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와 결합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 개구(334)의 양측으로는 록킹 후크(360)를 지지하는 탄성 암(335)이 구비된다.
탄성 암(335)은 록킹 후크(360)의 로드(363)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록킹 후크(360)에 대해 베이스 유닛(200)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즉 탄성 암(335)은 록킹 후크(360)의 일측에 접하여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록킹 후크(360)를 베이스 유닛(200)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탄성 암(335)이 미들 프레임 개구(334)에 위치하여 로드(363)에 대해 미들 프레임 개구(33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탄성 암(335)의 설치 위치나, 탄성 암(335)이 록킹 후크(360)와 접하는 부분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스테이지(333)에는 가이드레일(336)과 고정돌기(337)가 구비된다. 가이드레일(336)은 스토퍼부재(500)를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돌기(337)는 스토퍼부재(500)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스토퍼부재 드라이버(540)를 지지한다.
지지대(339)는 스토퍼부재(5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345)를 지지한다. 지지대(339)에는 작동부재(345)의 설치를 위한 지지대홈(340)과 복수의 지지대 개구(341)(342)가 구비된다.
작동부재(345)는 버튼부(346)와, 버튼부(346)로부터 돌출되는 가압돌기(348)와, 작동부재 후크(350)를 포함한다. 작동부재(345)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스토퍼부재(500)를 움직이도록 작동한다. 작동부재(345)는 작동부재 후크(350)가 지지대(339)의 지지대 개구(341)에 삽입되어 지지대(339)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지지대홈(340) 속에서 움직일 수 있다. 작동부재(345)는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안쪽으로 눌릴 때 가압돌기(348)가 스토퍼부재(500)의 고정 후크(522)를 가압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는 고정 후크(522)에 의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고정되어 있다가 작동부재(345)가 고정 후크(522)를 가압할 때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대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움직일 수 있다.
작동부재(345)는 도시된 구성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설치되어 스토퍼부재(500)를 움직이도록 작동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탑 케이스(370)는 미들 프레임(330)과 결합되어 미들 프레임(330)의 상부를 덮는다. 탑 케이스(370)의 일측에는 탑 케이스 개구(371)가 미들 프레임(330)의 지지대(339)가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탑 케이스(37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탑 케이스(370)와 미들 프레임(330)의 결합 방식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프레임(310)과, 미들 프레임(330)과, 탑 케이스(370)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삽입 유닛 조립체(400)와 결합되어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삽입 유닛 조립체(400)는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고정되는 컬럼부재(410)와, 센서 유닛(100)과 결합되도록 컬럼부재(410)에 지지되어 센서 유닛(100)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삽입 유닛(430)을 포함한다.
컬럼부재(410)는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고정되어 삽입 유닛(430)을 지지한다. 컬럼부재(410)는 컬럼부재 바디(411)를 포함한다. 컬럼부재 바디(411)는 내측에 삽입 유닛(4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일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된 컬럼부재 개구(412)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컬럼부재 바디(411)의 일단부에는 복수의 컬럼부재 레그(413)가 컬럼부재 개구(412)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컬럼부재 레그(413)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컬럼부재(410)는 컬럼부재 레그(413)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3)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컬럼부재 바디(411)의 일단부에는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321)와 맞물릴 수 있는 컬럼부재 스냅부(414)가 구비된다. 컬럼부재(410)는 컬럼부재 스냅부(414)가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321)와 맞물림으로써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컬럼부재 스냅부(414)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냅 암(415)을 포함한다. 스냅 암(415)에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321)의 스냅 후크(322)가 맞물리는 스냅홈(416)이 구비된다. 컬럼부재(41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3)에 삽입될 때 스냅 후크(322)와 스냅 암(415)이 맞닿고 스냅 후크(322)의 일부분이 스냅홈(416)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스냅 후크(322)와 스냅 암(415)이 맞물림으로써 컬럼부재(41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펜스부(316)가 컬럼부재(410)의 외면에 밀착되어 컬럼부재(4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컬럼부재(410)는 한쪽 끝단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3)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와 컬럼부재(410)의 결합 방식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컬럼부재 바디(411)의 양쪽 측부에는 슬릿(418)이 센서 유닛(10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릿(418)의 중간 부분에는 릴리즈부(420)가 구비된다. 릴리즈부(420)는 삽입 유닛(430)의 캐리어(462)가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이동하는 중에 캐리어(462)의 일부분이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다. 릴리즈부(420)의 작용으로 캐리어(462)가 삽입 유닛(430)의 셔틀(431)에서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컬럼부재 바디(411)의 또 다른 양쪽 측부에는 가이드홈(422)이 센서 유닛(10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홈(422)에 셔틀(431)의 셔틀 후크(433)가 배치되어 셔틀 후크(433)가 가이드홈(4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홈(422)의 끝단에는 셔틀(431)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컬럼부재 디텐트(423)가 구비된다. 셔틀(431)이 센서 유닛(100)과 함께 제 1 위치에서 이동하여 제 2 위치에 도달할 때 셔틀 후크(433)가 컬럼부재 디텐트(423)에 접함으로써 셔틀(431)이 제 2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다. 컬럼부재 바디(411)의 일측에는 컬럼부재홀(424)이 컬럼부재 바디(411)의 측부를 내외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컬럼부재홀(424)에는 셔틀(431) 및 캐리어(462)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안전핀(P)이 삽입될 수 있다. 컬럼부재 바디(411)의 또 다른 일측에는 덮개부(425)가 구비된다. 덮개부(425)에는 리무빙부재(610)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덮개부홈(426)이 마련된다. 컬럼부재(410)의 내부에는 리텐션부(427)가 구비된다. 리텐션부(427)는 셔틀(431)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셔틀 드라이버(49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삽입 유닛(430)은 컬럼부재(410)를 통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되어 센서 유닛(100)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삽입 유닛(430)은 컬럼부재(4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틀(431)과, 셔틀(431)과 함께 이동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는 니들(485)을 구비하는 니들 어셈블리(460)를 포함한다.
셔틀(431)은 컬럼부재(410)의 내부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컬럼부재(41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셔틀(431)은 센서 유닛(100)과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셔틀(431)은 내측에 니들 어셈블리(460)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셔틀 바디(432)를 포함한다. 셔틀 바디(432)의 일측에는 셔틀(43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셔틀 후크(433)가 구비된다. 셔틀 후크(433)는 셔틀(4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컬럼부재(410)의 컬럼부재 디텐트(423)에 접함으로써 셔틀(43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셔틀(431)의 다른 일측에는 셔틀 돌기(435)가 구비된다. 셔틀 돌기(435)는 스토퍼부재(500)에 접할 수 있도록 셔틀 바디(432)로부터 돌출된다. 셔틀(431)은 셔틀 돌기(435)가 스토퍼부재(500)에 접함으로써 제 1 위치에 고정되고, 셔틀 돌기(435)가 스토퍼부재(500)로부터 벗어날 때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셔틀(431)은 셔틀 돌기(435)를 통해 록킹 후크(360)를 움직일 수 있다. 즉 셔틀(431)이 제 2 위치에 도달할 때 셔틀 돌기(435)가 록킹 후크(360)의 레버부(365)를 가압함으로써 록킹 후크(360)가 회전하여 베이스 유닛(200)과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셔틀 바디(432)의 양쪽 측부에는 한 쌍의 슬릿(436)이 셔틀(43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릿(436)의 중간 부분에는 캐리어(462)의 캐리어 래치(477)가 맞물릴 수 있는 셔틀 디텐트(438)가 구비된다. 캐리어 래치(477)가 셔틀 디텐트(438)에 맞물린 상태에서 캐리어(462)는 셔틀(431)과 함께 이동하고 셔틀(43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없다. 그리고 캐리어 래치(477)가 셔틀 디텐트(438)에 맞물림 해제될 때 캐리어(462)는 셔틀(43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셔틀 바디(432)의 한쪽 단부에는 센서 유닛(100)과 접하는 셔틀 바닥부(440)가 구비된다. 셔틀 바닥부(440)에는 셔틀 관통구(441)와 누름돌기(442)가 구비된다. 셔틀 바디(432)의 내측에서 움직일 수 있는 니들(485)이 셔틀 관통구(441)를 통해 셔틀 바디(43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누름돌기(442)는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홈(138)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센서 유닛(100)이 삽입 유닛(430)에 장착될 때 누름돌기(442)가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홈(138)에 삽입됨으로써 센서 유닛(100)이 움직이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셔틀 바디(432)의 측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토퍼 암(444)이 구비된다. 스토퍼 암(444)은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셔틀(431)을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삽입 유닛 조립체(400)는 셔틀(431)이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될 수 있다. 셔틀(431)이 스토퍼 암(444)에 의해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셔틀(431)은 움직일 수 없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30)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하고 셔틀(431)의 임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셔틀(431)을 컬럼부재(410)의 내부에 삽입하여 스토퍼 암(444)이 컬럼부재(410)의 컬럼부재 디텐트(423)에 맞물릴 때 셔틀(431)이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셔틀(431)을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하면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조립하는 과정이나,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셔틀(431)이 우발적으로 움직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셔틀(431)의 임시 고정 방식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셔틀 바디(432)의 일측에는 셔틀 록킹부(446)가 구비된다. 셔틀 록킹부(446)는 제 2 위치에 도달한 셔틀(431)을 제 2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어플리케이터(30)의 사용 후 셔틀(431)이 제 2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어플리케이터(30)는 재사용될 수 없다. 셔틀 록킹부(446)는 스토퍼부재(500)의 록킹 돌기(525)가 삽입될 수 있는 록킹홈(447)을 포함한다.
셔틀(431)의 내측에는 리텐션부(449)와 고정부(451)가 구비된다. 리텐션부(449)는 셔틀 드라이버(490)를 지지한다. 고정부(451)에는 캐리어(462)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가 결합된다.
이 밖에, 셔틀(431)은 셔틀 개구(453)와, 셔틀홀(455)을 포함한다. 셔틀홀(455)에는 안전핀(P)이 삽입될 수 있다. 안전핀(P)이 컬럼부재홀(424)을 통과하여 셔틀홀(455)에 삽입될 때 셔틀(431)의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안전핀(P)이 셔틀홀(455)에 삽입됨으로써 셔틀(431)이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셔틀(431)은 셔틀 드라이버(490)로부터 이동력을 제공받아 움직인다. 셔틀 드라이버(490)는 셔틀(431)에 대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91)를 포함한다. 탄성부재(491)는 일단이 컬럼부재(410)의 리텐션부(427)에 접하고 타단이 셔틀(431)의 리텐션부(449)에 접한다. 셔틀(431)은 탄성부재(491)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스토퍼 암(444) 및 안전핀(P)에 의해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유닛 조립체(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된 후 스토퍼 암(444)이 컬럼부재(410)의 컬럼부재 디텐트(423)에서 맞물림 해제되고, 안전핀(P)이 셔틀(431)에서 분리되면 셔틀 돌기(435)가 스토퍼부재(500)에 접하면서 셔틀(431)은 작동부재(345)에 의해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도 16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500)가 셔틀 돌기(435)에 접하여 셔틀 돌기(435)를 떠받칠 때 셔틀(431)은 제 1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500)가 움직여 셔틀 돌기(435)에서 벗어나면 셔틀(431)이 탄성부재(491)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셔틀(431)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센서 유닛(100)을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이동시키고 제 2 위치에 도달하여 록킹 후크(360)를 릴리즈시킬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셔틀(431)이 제 2 위치에 도달할 때 셔틀 돌기(435)가 록킹 후크(360)의 레버부(365)에 접하여 레버부(365)를 가압한다. 이때, 록킹 후크(36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탄성 암(335)을 편향시키면서 피봇부(36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틸팅됨으로써 후크부(362)가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 유닛(200)이 록킹 후크(360)에서 맞물림 해제되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와 분리될 수 있다.
셔틀 드라이버(490)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491)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셔틀(431)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니들 어셈블리(460)는 센서 유닛(1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어(462)와, 센서 유닛(100)을 관통하도록 캐리어(462)에 결합되는 니들(485)을 포함한다. 니들(485)은 센서 유닛(100)과 결합된 상태로 센서 유닛(100)과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전진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고, 제 2 위치에서 캐리어(462)와 함께 후퇴하여 사용자의 피부 및 센서 유닛(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캐리어(462)는 셔틀(431)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캐리어(462)는 일부분이 셔틀(431)에 맞물림으로써 셔틀(431)과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전진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어(462)는 제 2 위치에서 셔틀(431)로부터 맞물림 해제되어 센서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다.
캐리어(462)는 니들(485)이 결합되는 캐리어 바디(463)와, 캐리어 바디(463)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캐리어 윙(471)과, 캐리어 바디(463)의 측부에 연결되는 그립 암(479)을 포함한다.
캐리어 바디(463)의 일측에는 삽입홈(465)이 형성된다. 삽입홈(465)에는 니들(485)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465) 속에는 니들(485)과 맞물려 니들(485)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부가 구비될 수 있다. 캐리어 바디(463)의 일측에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가 결합되는 고정부(469)가 구비된다. 캐리어(462)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에 의해 셔틀(43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는 캐리어(462)에 이동력을 제공한다.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는 일단이 셔틀(431)의 고정부(451)에 결합되고 타단이 캐리어(462)의 고정부(469)에 결합되는 탄성부재(496)를 포함한다. 탄성부재(496)는 인장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캐리어(462)를 셔틀(431)의 고정부(451) 쪽으로 당겨지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즉 탄성부재(496)는 캐리어(462)에 대해 센서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캐리어(462)에 결합되는 니들(485)을 센서 유닛(100)에서 분리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496)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캐리어(462)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캐리어 바디(463)의 측부에는 캐리어홀(470)이 캐리어 바디(463)의 측부를 내외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캐리어홀(470)에는 안전핀(P)이 삽입될 수 있다. 안전핀(P)은 컬럼부재(410)의 컬럼부재홀(424) 및 셔틀(431)의 셔틀홀(455)을 차례로 통과하여 캐리어홀(470)에 삽입됨으로써 캐리어(462)를 셔틀(431)에 임시 고정할 수 있다.
안전핀(P)을 이용하여 셔틀(431) 및 캐리어(462)를 임시 고정함으로써,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조립하는 과정이나,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셔틀(431)과 캐리어(462)가 우발적으로 움직이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안전핀(P)이 캐리어(462)와 셔틀(431) 및 컬럼부재(410)에서 분리되면 삽입 유닛(430)이 작동부재(345)에 의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캐리어 윙(471)은 캐리어 바디(463)로부터 캐리어(46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캐리어 바디(463)에 연결된다. 캐리어 윙(471)은 캐리어 바디(463)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윙 바디(472)와, 윙 바디(472)로부터 돌출되는 트리거(474) 및 캐리어 래치(477)를 포함한다.
트리거(474)는 윙 바디(472)의 일측에 윙 바디(47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트리거(474)는 셔틀(431)의 슬릿(436) 및 컬럼부재(410)의 슬릿(418)에 삽입되어 이들 슬릿(436)(41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캐리어(462)는 셔틀(431)과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컬럼부재(410)의 릴리즈부(420)에 접촉하게 된다.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릴리즈부(420)는 트리거(474)를 가압할 수 있도록 컬럼부재(410)의 슬릿(418) 중간에 배치된다. 캐리어(462)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트리거(474)가 릴리즈부(420)에 접하여 캐리어 윙(471)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트리거(474)에는 릴리즈부(420)에 접촉하는 트리거 경사부(475)가 구비된다.
캐리어 래치(477)는 윙 바디(47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캐리어 래치(477)는 셔틀(431)의 셔틀 디텐트(438)에 맞물릴 수 있다. 캐리어 래치(477)가 셔틀 디텐트(438)에 맞물린 상태에서 캐리어(462)는 탄성부재(496)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496)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그리고 트리거(474)가 릴리즈부(420)에 접하여 캐리어 윙(471)이 탄성 변형될 때 캐리어 래치(477)가 셔틀 디텐트(438)에서 벗어나 캐리어(462)가 움직일 수 있다.
그립 암(479)은 캐리어 바디(463)의 측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립 암(479)은 캐리어 바디(463)의 양측으로 한 쌍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 하우징(120)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한다. 그립 암(479)에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맞물리는 그립 돌기(480)와, 컬럼부재(410)의 내벽(428)에 접하는 돌출부(481)가 구비된다. 캐리어(462)는 캐리어 바디(463)가 셔틀(431)의 내측에 위치하고 그립 암(479)의 끝단이 셔틀(431)로부터 돌출되도록 셔틀(431)에 결합된다. 캐리어(462)는 한 쌍의 그립 암(479)이 센서 유닛 하우징(120)과 맞물리는 방식으로 센서 유닛(100)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표면이 셔틀(431)의 셔틀 바닥부(440)에 밀착되고, 셔틀(431)의 누름돌기(442)가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센서 유닛홈(138)에 삽입된다. 따라서 센서 유닛(100)이 셔틀(431)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어(462)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 유닛 조립체(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될 때 센서 유닛(100)을 제 1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캐리어(462)가 컬럼부재(410)의 내측에 위치할 때 그립 암(479)의 돌출부(481)가 컬럼부재(410)의 내벽(428)에 접한다. 따라서 그립 암(479)이 센서 유닛 하우징(120)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편향되고, 캐리어(462)는 센서 유닛(100)과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유닛(100)과 캐리어(462)가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이동하여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될 때 돌출부(481)는 컬럼부재(410)의 내벽(428)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그립 암(479)의 고정력이 약해지며, 캐리어(462)가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에 의해 이동할 때 그립 암(479)이 센서 유닛(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캐리어(462)는 도시된 구성 이외에, 니들(485)과 결합되고 셔틀(431)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니들(485)은 캐리어(462)에 고정되어 센서 유닛(100)에 결합된 상태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니들(485)은 센서 유닛(100)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센서(110)보다 먼저 사용자의 피부를 뚫고 들어가 센서(110)가 안정적으로 피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니들(485)은 센서(110)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 후에는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분리된다. 니들(485)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는 니들 바디(486)와, 캐리어(462)에 결합되는 니들 헤드(487)를 포함한다.
니들(485)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니들(485)이 캐리어(462)에 결합되는 방식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삽입 유닛 조립체(400)는 셔틀(431)을 움직이기 위한 셔틀 드라이버(490)의 탄성부재(491)와 니들 어셈블리(460)를 움직이기 위한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의 탄성부재(496)가 탄성 변형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삽입 유닛 조립체(400)는 센서 유닛(100)과 결합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될 수 있다. 삽입 유닛 조립체(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된 후, 안전핀(P)이 제거되고 스토퍼 암(444)이 셔틀(431)에 대한 구속력을 해제하도록 조작됨으로써 삽입 유닛(430)이 작동부재(345)에 의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삽입 유닛(430)은 컬럼부재(410)를 통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된 후, 사용자에 의해 셔틀(431)과 캐리어(462)가 작동 가능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는 미들 프레임(330)의 스테이지(333)에 선형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스토퍼부재(500)는 센서 유닛(100)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도면에는 스토퍼부재(500)가 센서 유닛(100)의 이동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스토퍼부재(500)의 이동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는 셔틀(431)을 제 1 위치에 위치하도록 떠받치는 제 3 위치에서 셔틀(431)과 맞물림 해제되는 제 4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는 제 3 위치에서 제 1 위치에 위치한 셔틀(431)의 셔틀 돌기(435)와 접함으로써 제 1 위치에 놓인 셔틀(431)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제 4 위치로 이동할 때 셔틀(4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셔틀 돌기(435)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재(500)는 제 3 위치에서 리무빙 유닛(600)의 리무빙부재(610)가 제 1 위치에 위치한 센서 유닛(100)의 접착 레이어(155)와 결합된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리무빙부재(61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는 스토퍼부재 드라이버(540)로부터 이동력을 제공받아 움직일 수 있다. 스토퍼부재 드라이버(540)는 스토퍼부재(500)를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토퍼부재(500)에 이동력을 제공한다. 스토퍼부재 드라이버(540)는 스토퍼부재(500)에 대해 제 4 위치로 편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541)를 포함한다. 탄성부재(541)는 일단이 미들 프레임(330)의 고정돌기(337)에 결합되고 타단이 스토퍼부재(500)에 접하여 스토퍼부재(50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 드라이버(540)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41)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스토퍼부재(500)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는 스토퍼부재 바디(510)와, 셔틀(431)을 떠받치기 위한 받침부(519)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맞물릴 수 있는 스토퍼부재 고정부(521)와, 제 2 위치에 도달한 셔틀(431)을 제 2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부재 록킹부(524)와, 리무빙부재(610)를 떠받칠 수 있는 스토퍼부(527)를 포함한다.
스토퍼부재 바디(510)에는 스토퍼부재 개구(512)와 스토퍼부재홈(513)이 스토퍼부재 바디(5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스토퍼부재홈(513) 속에는 탄성부재(541)의 타단이 결합되는 고정돌기(514)가 구비된다. 스토퍼부재홈(513)의 위쪽에는 덮개부(515)가 구비되어 스토퍼부재홈(513) 속에 놓이는 탄성부재(541)를 덮는다.
미들 프레임(330)의 스테이지(333)와 마주하는 스토퍼부재 바디(510)의 일면에는 레일부(517)가 구비된다. 레일부(517)는 미들 프레임(330)의 가이드레일(336)과 맞물려 가이드레일(336)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받침부(519)는 스토퍼부재 개구(512)의 양쪽 가장자리에 한 쌍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받침부(519)는 스토퍼부재 바디(510)로부터 돌출되어 셔틀(431)의 셔틀 돌기(435)를 떠받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가 제 3 위치에 위치할 때 받침부(519)는 셔틀(431)의 셔틀 돌기(435)를 떠받쳐서 제 1 위치에 놓인 셔틀(431)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재(500)가 제 4 위치로 이동할 때 받침부(519)가 셔틀 돌기(435)에서 벗어남으로써 셔틀(4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받침부(519)는 스토퍼부재 바디(510)로부터 돌출되는 형태 이외에 셔틀 돌기(435), 또는 셔틀(431)의 다른 일부분과 접하거나 맞물릴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 고정부(521)는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일측에 맞물림으로써 스토퍼부재(500)가 탄성부재(541)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토퍼부재(50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 고정부(521)는 미들 프레임(330)의 지지대(339)에 맞물릴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후크(522)를 포함한다. 고정 후크(522)는 작동부재(345)에 의해 지지대(339)에서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도 16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정 후크(522)는 지지대(339)의 지지대 개구(342)에 삽입되어 지지대(339)의 일측에 맞물릴 수 있다. 이때, 스토퍼부재(500)는 제 3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6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동부재(345)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 고정 후크(522) 쪽으로 전진할 때 작동부재(345)의 가압돌기(348)가 고정 후크(522)를 가압한다. 이때, 고정 후크(522)는 지지대(339)에서 맞물림 해제되도록 편향된다. 고정 후크(522)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지지대(339)에서 맞물림 해제되면, 도 16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500)가 탄성부재(541)의 탄성력에 의해 제 4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가 탄성부재(541)를 탄성 변형시킨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스토퍼부재(500)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스토퍼부재 고정부(521)의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스토퍼부재 록킹부(524)는 제 2 위치로 이동한 셔틀(431)의 셔틀 록킹부(446)와 맞물림으로써 셔틀(431)을 제 2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 록킹부(524)는 셔틀 록킹부(446)의 록킹홈(447)에 삽입될 수 있는 록킹 돌기(525)를 포함한다. 록킹 돌기(525)는 스토퍼부재 개구(512) 중으로 돌출되도록 스토퍼부재 바디(510)의 내면 일측에 구비된다. 도 16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500)가 제 4 위치로 이동할 때 록킹 돌기(525)가 제 2 위치에 도달한 셔틀(431)의 록킹홈(447)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부재 록킹부(524)가 셔틀 록킹부(446)와 맞물림으로써 셔틀(431)이 제 2 위치에 고정되고, 어플리케이터(30)는 재사용될 수 없다.
스토퍼부재 록킹부(524)와 셔틀 록킹부(446)는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스토퍼부(527)는 스토퍼부재 바디(5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토퍼부재 개구(512) 중에 배치된다. 스토퍼부(527)는 리무빙부재(610)가 제 1 위치에 위치한 센서 유닛(100)의 보호 시트(160)와 결합된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리무빙부재(610)와 접하여 리무빙부재(610)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스토퍼부재(500)는 제 3 위치에서 셔틀(431)과 리무빙부재(610)의 움직임을 모두 구속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는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를 향해 움직이는 중에 리무빙부재(610)에 대한 구속력을 먼저 해제한 후 셔틀(431)에 대한 구속력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100)이 제 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보호 시트(160)의 분리 동작이 완료되고, 그 이후에 셔틀(431)이 움직여 센서 유닛(100)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리무빙부재(610)에 의한 보호 시트(160)의 분리 동작 중에 셔틀(431)이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동작이 개시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스토퍼부재(500)는 작동부재(345)에 의해 움직여 리무빙 유닛(600)과 삽입 유닛(430)을 차례로, 또는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리무빙 유닛(600)은 센서 유닛(100)이 제 2 위치에 도달하여 베이스 유닛(200)에 결합되기 전에 센서 유닛(100)의 보호 시트(160)를 접착 레이어(155)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설치된다. 리무빙 유닛(600)은 보호 시트(160)와 결합되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무빙부재(610)와, 리무빙부재(6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리무빙부재 드라이버(620)를 포함한다.
리무빙부재(610)는 센서 유닛(10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설치될 수 있다. 리무빙부재(610)에는 힌지부(611)가 구비된다. 리무빙부재(610)는 힌지부(611)가 베이스 프레임(310)의 받침대(318) 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힌지부(61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리무빙부재(610)의 일측에는 리무빙부재홈(613)이 형성된다. 리무빙부재(610)가 제 1 위치에 위치한 센서 유닛(100)의 보호 시트(160)와 결합될 때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보스(127)가 리무빙부재홈(613)에 위치할 수 있다. 리무빙부재(610)는 보호 시트(160)의 표면에 구비된 접착부재(164)를 통해 보호 시트(160)와 결합될 수 있다. 리무빙부재(610)와 보호 시트(160)의 결합 방식은 접착부재(164)를 이용하는 방식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리무빙부재 드라이버(620)는 리무빙부재(610)와 결합되어 리무빙부재(610)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무빙 탄성부재(621)를 포함한다. 리무빙 탄성부재(621)는 힌지부(611)에 감긴 토션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리무빙 탄성부재(621)는 일측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접함으로써 리무빙부재(6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리무빙부재(610)에 제공할 수 있다.
리무빙부재(610)가 스토퍼부재(500)의 스토퍼부(527)에 의해 떠받쳐져서 제 1 위치에 위치한 센서 유닛(100)의 보호 시트(160)와 거의 평행하게 놓일 때, 보호 시트(160)가 접착 레이어(155)를 덮은 상태로 리무빙부재(61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부재(500)가 제 4 위치를 향해 움직일 때 스토퍼부(527)가 리무빙부재(610)에서 벗어나면서 스토퍼부(527)에 의한 리무빙부재(610)의 구속력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리무빙부재(610)는 리무빙 탄성부재(621)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보호 시트(160)를 접착 레이어(155)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리무빙 유닛(600)을 구성하는 리무빙부재(610)나 리무빙부재 드라이버(620)의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리무빙 유닛(600)은 센서 유닛(100)이 제 1 위치에서 움직이기 전에 보호 시트(160)의 분리 동작을 완료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500)가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로 이동하면서 리무빙부재(610)에 대한 구속력을 먼저 해제한 후 셔틀(431)에 대한 구속력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리무빙부재(610)가 셔틀(431)이 움직이기 전에 보호 시트(160)를 분리하는 작업을 완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센서 유닛(100)이 제 1 위치에서 움직이기 전에 보호 시트(160)의 분리 동작을 완료함으로써 보호 시트(160)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에 도달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30)를 이용하여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해 베이스 유닛(200)이 접착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어플리케이터(30)의 바닥부(312)를 사용자의 피부에 위치시킨다. 작동부재(345)가 조작되기 전에, 캐리어(462)에 결합된 센서 유닛(100)은 보호 시트(160)가 접착 레이어(155)를 덮은 상태로 제 1 위치에 위치한다. 이때, 스토퍼부재(500)의 받침부(519)가 셔틀(431)을 떠받쳐서 셔틀(431)이 제 1 위치에 정지된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재(500)의 스토퍼부(527)가 리무빙부재(610)를 떠받쳐서 리무빙부재(610)는 보호 시트(160)와 결합된 포지션을 유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작동부재(345)를 누르면 작동부재(345)가 스토퍼부재(500)의 스토퍼부재 고정부(521)를 어플리케이터 바디(300)로부터 맞물림 해제시킨다. 이때,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500)가 스토퍼부재 드라이버(540)에 의해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스토퍼부재(500)가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리무빙부재(610)에 대한 구속력이 먼저 해제된 후 셔틀(431)에 대한 구속력이 차례로 해제된다. 따라서 리무빙부재(610)가 회전하여 보호 시트(160)를 센서 유닛(100)의 접착 레이어(155)로부터 분리한 후, 셔틀(4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셔틀(4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니들(485) 및 센서(110)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고, 센서 유닛(100)이 접착 레이어(155)에 의해 베이스 유닛(200)에 부착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20)이 조립된다. 그리고 셔틀(431)이 제 2 위치에 도달할 때, 스토퍼부재(500)의 스토퍼부재 록킹부(524)가 셔틀(431)의 셔틀 록킹부(446)와 맞물려 셔틀(431)이 제 2 위치에 고정되고, 셔틀(431)이 록킹 후크(360)를 움직여 록킹 후크(360)가 베이스 유닛(20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셔틀(4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센서(110)의 삽입부(116) 및 니들(485)이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때, 캐리어(462)의 트리거(474)가 컬럼부재(410)의 릴리즈부(420)에 접하게 된다. 이때 캐리어(462)의 캐리어 윙(471)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캐리어 래치(477)가 셔틀 디텐트(438)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캐리어(462)가 셔틀(431)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면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캐리어(462)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니들(485)이 사용자의 피부에서 빠져나오고 신체 부착 유닛(20)은 접착부(230)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신체 부착 유닛(20)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후, 어플리케이터(30)는 신체 부착 유닛(20)에서 분리되고,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외부 단말기(5)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0)는 센서 유닛(100)과 조립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을 형성하는 베이스 유닛(200)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설치되는 록킹 후크(360)에 의해 센서 유닛(100)과 이격되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유닛(100)이 움직여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될 때 록킹 후크(360)가 센서 유닛(100)과 함께 움직이는 셔틀(431)에 의해 베이스 유닛(200)에서 맞물림 해제되어 베이스 유닛(200)이 어플리케이터(30)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록킹 후크가 베이스 프레임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3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는 변형된 베이스 프레임과, 변형된 록킹 후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다른 구성 요소는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베이스 프레임(710)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712)를 갖는다. 베이스 프레임(710)의 바닥부(712)에는 베이스 유닛(200)이 장착되는 리세스(713)가 구비된다. 베이스 유닛(200)은 접착부(230)가 사용자의 피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리세스(7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센서 유닛(100)과 이격된 제 2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710)의 중간에는 베이스 프레임 개구(714)가 베이스 프레임(71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 개구(714)의 둘레에는 컬럼 부재(410)를 지지하기 위한 펜스부(716)가 돌출 구비된다. 베이스 프레임 개구(714)의 양측에는 지지부(718)와, 받침부(720)와, 탄성 암(722)이 구비된다. 지지부(718)는 베이스 유닛(200)을 록킹 후크(730)를 틸팅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받침부(720)는 록킹 후크(730)의 일부분을 떠받칠 수 있다. 탄성 암(722)은 록킹 후크(7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록킹 후크(730)는 리세스(713)에 장착된 베이스 유닛(200)에 맞물려 베이스 유닛(200)을 리세스(713)에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록킹 후크(730)는 신체 부착 유닛(20)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후 베이스 유닛(200)에서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록킹 후크(730)는 지지부(718)에 피봇 결합되어 틸팅될 수 있다. 록킹 후크(730)는 지지부(7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봇부(731)와, 피봇부(731)에 연결되는 후크부(732)와, 피봇부(731)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로드(733) 및 레버부(735)를 포함한다. 후크부(732)는 베이스 유닛(200)의 일측에 맞물릴 수 있다. 후크부(732)는 피봇부(73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로드(733)는 피봇부(731)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돌출된다. 후크부(732)는 그 일부분이 베이스 프레임(710)의 리세스(713) 속에 위치한다. 레버부(735)는 피봇부(731)로부터 베이스 프레임 개구(714) 쪽으로 돌출된다. 록킹 후크(730)는 레버부(735)가 삽입 유닛(440)의 셔틀(441)에 의해 가압될 때 탄성 암(722)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틸팅될 수 있다.
도 2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록킹 후크(730)는 베이스 프레임(710)에 결합된 베이스 유닛(200)의 일측에 맞물려 베이스 유닛(200)을 베이스 프레임(71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710)의 탄성 암(722)이 록킹 후크(730)의 일측에 접하여 록킹 후크(730)를 베이스 유닛(200)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따라서 록킹 후크(730)는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베이스 유닛(200)과 안정적으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셔틀(431)이 제 2 위치로 움직여 베이스 유닛(200)에 센서 유닛(100)이 결합될 때 셔틀(431)의 셔틀 돌기(435)가 록킹 후크(730)의 레버부(735)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록킹 후크(730)가 탄성 암(722)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레버부(735)가 받침부(720)에 접하는 각도까지 틸팅되어 베이스 유닛(20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따라서 베이스 유닛(200)이 베이스 프레임(7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한 쌍의 록킹 후크가 베이스 유닛의 양측에서 베이스 유닛과 맞물리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록킹 후크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록킹 후크가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봇부를 구비하여 피봇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록킹 후크는 적어도 일부분이 틸팅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록킹 후크의 피봇부가 샤프트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피봇부는 어플리케이터 바디의 구비되는 샤프트에 결합되는 홈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록킹 후크가 셔틀의 셔틀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셔틀 돌기와 접하여 틸팅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록킹 후크는 셔틀의 다른 부분에 접하여 틸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록킹 후크가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구비되는 탄성 암에 의해 베이스 유닛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탄성 암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셔틀과 접할 수 있도록 록킹 후크에 구비되는 레버부의 개수나, 위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20 : 신체 부착 유닛
30 : 어플리케이터 100 : 센서 유닛
110 : 센서 116 : 삽입부
120 : 센서 유닛 하우징 146 :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
160 : 보호 시트 200 : 베이스 유닛
210 : 베이스 유닛 하우징 225 :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
230 : 접착부 300 : 어플리케이터 바디
310, 710 : 베이스 프레임 311 : 프레임 베이스부
312, 712 : 바닥부 313, 713 : 리세스
316, 718 : 지지부 318 : 받침대
321 :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
322 : 스냅 후크
330 : 미들 프레임 331 : 외곽 프레임
333 : 스테이지 335 : 탄성 암
336 : 가이드레일 339 : 지지대
345 : 작동부재 346 : 버튼부
348 : 가압돌기 350 : 작동부재 후크
360, 730 : 록킹 후크 361, 731 : 피봇부
362, 732 : 후크부 363, 733 : 로드
365, 735 : 레버부 370 : 탑 케이스
400 : 삽입 유닛 조립체 410 : 컬럼부재
411 : 컬럼부재 바디 413 : 컬럼부재 레그
414 : 컬럼부재 스냅부 415 : 스냅 암
420 : 릴리즈부 423 : 컬럼부재 디텐트
430 : 삽입 유닛 431 : 셔틀
432 : 셔틀 바디 433 : 셔틀 후크
435 : 셔틀 돌기 436 : 슬릿
438 : 셔틀 디텐트 440 : 셔틀 바닥부
442 : 누름돌기 444 : 스토퍼 암
446 : 셔틀 록킹부 460 : 니들 어셈블리
462 : 캐리어 463 : 캐리어 바디
471 : 캐리어 윙 472 : 윙 바디
474 : 트리거 477 : 캐리어 래치
479 : 그립 암 480 : 그립 돌기
481 : 돌출부 485 : 니들
490 : 셔틀 드라이버 491 : 탄성부재
495 :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 496 : 탄성부재
500 : 스토퍼부재 510 : 스토퍼부재 바디
519 : 받침부 521 : 스토퍼부재 고정부
522 : 고정 후크 524 : 스토퍼부재 록킹부
525 : 록킹 돌기 527 : 스토퍼부
540 : 스토퍼부재 드라이버 541 : 탄성부재
600 : 리무빙 유닛 610 : 리무빙부재
620 : 리무빙부재 드라이버 621 : 리무빙 탄성부재

Claims (11)

  1. 베이스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베이스 유닛에 맞물려 상기 베이스 유닛을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시키는 록킹 후크;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 내부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셔틀을 포함하고,
    상기 셔틀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록킹 후크에 접하여 상기 록킹 후크를 상기 베이스 유닛에서 맞물림 해제시켜 상기 베이스 유닛을 상기 어플리케이터로부터 분리시키는, 어플리케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후크는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록킹 후크와 접하여 상기 록킹 후크가 상기 베이스 유닛에서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록킹 후크를 틸팅시키는, 어플리케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위에 배치되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 후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는 베이스 유닛에 맞물려 있는, 어플리케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는, 상기 록킹 후크의 일측에 접하여 상기 록킹 후크를 상기 베이스 유닛에 맞물리도록 편향시키는 탄성 암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후크는,
    피봇부와,
    상기 피봇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암은 상기 로드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후크는,
    피봇부와,
    상기 베이스 유닛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피봇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후크부와,
    상기 셔틀이 접할 수 있도록 상기 피봇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봇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어플리케이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는, 상기 로킹 후크가 상기 베이스 유닛에서 맞물림 해제되도록 틸팅될 때 상기 레버부를 떠받쳐서 상기 록킹 후크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우징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유닛에 맞물리는, 어플리케이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센서 유닛을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과 결합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어플리케이터.
  11. 베이스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유닛과 결합 가능한 록킹 후크;
    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 후크와 상기 베이스 유닛이 결합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부터 분리되는, 어플리케이터.
KR1020240054051A 2021-08-05 2024-04-23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40066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54051A KR20240066138A (ko) 2021-08-05 2024-04-23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241A KR102565316B1 (ko) 2021-08-05 2021-08-05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0230101962A KR102661647B1 (ko) 2021-08-05 2023-08-04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0240054051A KR20240066138A (ko) 2021-08-05 2024-04-23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962A Division KR102661647B1 (ko) 2021-08-05 2023-08-04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138A true KR20240066138A (ko) 2024-05-14

Family

ID=8515606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241A KR102565316B1 (ko) 2021-08-05 2021-08-05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0230101962A KR102661647B1 (ko) 2021-08-05 2023-08-04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0240054051A KR20240066138A (ko) 2021-08-05 2024-04-23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241A KR102565316B1 (ko) 2021-08-05 2021-08-05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0230101962A KR102661647B1 (ko) 2021-08-05 2023-08-04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60549A1 (ko)
KR (3) KR102565316B1 (ko)
CN (1) CN117729884A (ko)
AU (1) AU2022322410A1 (ko)
CA (1) CA3226787A1 (ko)
WO (1) WO202301386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097A (ko) 2019-04-30 2020-11-10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어플리케이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1422B (zh) * 2011-09-09 2016-03-16 泰尔茂株式会社 传感器插入装置
US10335066B2 (en) * 2014-09-03 2019-07-02 Nova Biomedical Corporation Subcutaneous sensor inserter and method
US11179107B2 (en) * 2017-06-02 2021-11-23 I-Sens, Inc.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EP3925522A1 (en) * 2017-06-23 2021-12-22 Dexcom, Inc. Transcutaneous analyte sensors, applicators therefor, and associated methods
KR102200137B1 (ko) * 2018-07-31 2021-01-11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KR102200136B1 (ko) * 2018-07-31 2021-01-11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102197577B1 (ko) * 2018-07-31 2021-01-05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097A (ko) 2019-04-30 2020-11-10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어플리케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322410A1 (en) 2024-02-08
CA3226787A1 (en) 2023-02-09
CN117729884A (zh) 2024-03-19
KR20230021403A (ko) 2023-02-14
KR20230121696A (ko) 2023-08-21
KR102565316B1 (ko) 2023-08-10
WO2023013869A1 (ko) 2023-02-09
KR102661647B1 (ko) 2024-05-03
EP4360549A1 (en) 202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647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EP4344624A1 (en)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KR102646234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646235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597679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665620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664738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566020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EP4344625A1 (en)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KR102637367B1 (ko) 생체 정보 측정용 센서 유닛
KR20230146278A (ko)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108829A (ko) 메디컬 디바이스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146279A (ko)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108828A (ko) 메디컬 디바이스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002015A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