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235B1 -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235B1
KR102646235B1 KR1020210103243A KR20210103243A KR102646235B1 KR 102646235 B1 KR102646235 B1 KR 102646235B1 KR 1020210103243 A KR1020210103243 A KR 1020210103243A KR 20210103243 A KR20210103243 A KR 20210103243A KR 102646235 B1 KR102646235 B1 KR 102646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
applicator
column member
applicator body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1405A (ko
Inventor
최현호
류광열
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210103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235B1/ko
Priority to PCT/KR2022/007870 priority patent/WO2023013870A1/ko
Priority to CN202280053202.5A priority patent/CN117729883A/zh
Priority to JP2024505485A priority patent/JP2024528110A/ja
Priority to CA3227771A priority patent/CA3227771A1/en
Priority to AU2022322537A priority patent/AU2022322537A1/en
Priority to EP22853250.3A priority patent/EP4364657A1/en
Publication of KR20230021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405A/ko
Priority to KR1020240031190A priority patent/KR20240036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48Having means for aiding positioning of the piercing device at a location where the body is to be pierc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47Communication to or from blood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03Piercing procedure
    • A61B5/15107Piercing being assisted by a triggering mechanism
    • A61B5/15113Manu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pressing a drive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48Needles
    • A61B5/6849Needles in combination with a needle s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livering implantable medical measur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를 갖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삽입 유닛; 및 상기 삽입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에 대응하는 컬럼부재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컬럼부재 결합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고정되는 컬럼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본 발명은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경피성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다양한 의료용 디바이스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의료용 디바이스는 만성질환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하거나, 치료를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모니터링하는데 신체에 부착되어 혈당을 측정하는 의료용 디바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당뇨병은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병이 진행되면 당뇨병 특유의 다음, 다식, 다뇨, 체중감소, 전신 권태, 피부 가려움증, 손과 발의 상처가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 등의 특유의 증상이 나타난다. 당뇨병이 한층 더 진행되면 시력 장애, 고혈압, 신장병, 중풍, 치주질환, 근육 경련 및 신경통, 괴저 등으로 진전되는 합병증이 나타난다. 이러한 당뇨병을 진단하고 합병증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혈당 측정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당뇨병 환자 및 당뇨병으로 진전되지 않았으나 혈액 내에 정상보다 많은 당이 검출되는 사람들을 위하여 많은 의료기기 제조업체에서는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혈당 측정기를 제공하고 있다.
혈당 측정기는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부터 채혈하여 혈당 측정을 1회 단위로 수행하는 방식과, 사용자의 배와 팔 등에 부착하여 혈당 측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 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혈당과 저혈당 상태를 오가게 되는데, 응급 상황은 저혈당 상태에서 찾아오고, 의식을 잃거나 당분 공급 없이 저혈당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저혈당 상태의 즉각적인 발견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나,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채혈식 혈당 측정기로는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 내에 삽입되어 수분 간격으로 혈당치를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시스템(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연속 혈당 측정시스템은 채혈에 따르는 사용자의 고통과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증이 상대적으로 덜한 배와 팔 등의 부위에 프로브 형태의 경피성 센서를 삽입한 후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시스템은 사용자의 피부 속에 삽입되어 체내에서 혈당을 측정하는 경피성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과, 경피성 센서에 의해 측정된 혈당 수치를 전송하기 위한 트랜스미터와, 전송받은 혈당 수치를 출력하는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피성 센서를 이용하는 의료용 시스템은 제조사마다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그 사용 방식 또한 다양하다. 현재, 대부분의 시스템은 1회용 센서 유닛을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신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 유통되고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센서 유닛을 피부에 부착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센서 유닛를 신체에 부착한 후, 경피선 센서와 함께 피부에 삽입된 니들을 직접 뽑아내야 하는 등 여러가지의 후속 절차들을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1회용 센서 유닛의 포장을 벗겨내 어플리케이터에 정확하게 장착해야 하고, 센서 유닛을 어플리케이터에 삽입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켜 센서 유닛을 피부에 부착해야 한다. 그리고 센서 유닛의 부착 후에는 피부에 삽입된 니들을 뽑아내고, 트랜스미터를 센서 유닛에 결합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어플리케이터는 부품의 조립이 번거롭고, 제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127097호 (2020. 11. 1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중요 부품을 하나의 조립체로 만들어 다른 부품과 결합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부품의 조립이 용이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를 갖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삽입 유닛; 및 상기 삽입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에 대응하는 컬럼부재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컬럼부재 결합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고정되는 컬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홈을 포함하고, 상기 컬럼부재는 상기 삽입 유닛이 장착되는 공간이 내측에 형성된 컬럼부재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컬럼부재 결합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컬럼부재 바디의 일단에 구비되는 결합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는, \상기 결합 단부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홈 속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펜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단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컬럼부재 바디의 일단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컬럼부재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와 상기 컬럼부재 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냅 후크를 구비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상기 스냅 후크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스냅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과 함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셔틀과, 상기 셔틀에 대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컬럼부재는 상기 셔틀을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셔틀은, 상기 컬럼부재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셔틀과 상기 컬럼부재를 연결하는 클램핑부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킨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상기 컬럼부재에 임시 고정되되, 상기 컬럼부재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된 후 상기 클램핑부에 의한 임시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컬럼부재의 일측에 마련되는 컬럼부재 디텐트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셔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램핑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셔틀은, 상기 클램핑 후크가 상기 컬럼부재 디텐트에 맞물릴 때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킨 포지션을 유지하고, 상기 클램핑 후크가 상기 컬럼부재 디텐트에서 맞물림 해제될 때 임시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셔틀의 일측에 구비되는 셔틀 래치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컬럼부재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클램핑부 암을 포함하고, 상기 셔틀은, 상기 클램핑부 암이 상기 셔틀 레치에 맞물릴 때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킨 포지션을 유지하고, 상기 클램핑부 암이 상기 셔틀 래치에서 맞물림 해제될 때 임시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컬럼부재에는 상기 셔틀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셔틀의 일측에 접하여 상기 셔틀을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상기 셔틀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블록킹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과 함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셔틀과, 상기 셔틀에 대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컬럼부재는 상기 셔틀을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셔틀은, 상기 컬럼부재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컬럼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컬럼부재홀을 통과하여 상기 셔틀의 일측에 마련되는 셔틀홀에 삽입되는 안전핀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킨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상기 컬럼부재에 임시 고정되되, 상기 컬럼부재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된 후 상기 안전핀에 의한 임시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셔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안전핀이 삽입될 수 있는 캐리어홀을 갖는 캐리어와, 상기 센서와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에 결합되는 니들과, 상기 캐리어에 대해 상기 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서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니들 릴리즈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컬럼부재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캐리어홀에 상기 안전핀이 삽입되어 상기 니들 릴리즈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킨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상기 셔틀에 임시 고정되되, 상기 컬럼부재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된 후 상기 안전핀에 의한 임시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를 갖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 상기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삽입 유닛; 및 상기 삽입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에 대응하는 컬럼부재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컬럼부재 결합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고정되는 컬럼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는,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이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 하우징 및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과 이격되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유닛을 이동시키는 셔틀을 포함하는 삽입 유닛이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되는 컬럼부재와 함께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어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유닛의 설치가 용이하고, 제조 시간을 줄이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이 어플리케이터 바디의 외부에서 삽입 유닛에 결합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 유닛이 우발적인 동작이 방지되도록 잠긴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유닛이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된 후 간단한 조작을 통해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유닛을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한 후 삽입 유닛의 셔틀을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번거로운 후속 작업이 필요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유닛을 어플리케이터 내에 조립된 상태로 제작함으로써,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한 사용자의 부가 작업을 최소화하고, 단순히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신체 부착 유닛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신체 부착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센서 유닛에 니들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센서 유닛과 베이스 유닛이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삽입 유닛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니들 어셈블리의 캐리어와 니들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삽입 유닛의 셔틀에 센서 유닛이 장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컬럼부재와 삽입 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삽입 유닛의 셔틀 및 캐리어가 컬럼부재에 임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삽입 유닛 조립체가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삽입 유닛 조립체에서 안전핀이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셔틀의 클램핑부를 컬럼부재에서 맞물림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삽입 유닛의 센서 삽입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스토퍼부재가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센서 유닛의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센서 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삽입 유닛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캐리어와 니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셔틀에 센서 유닛이 장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1은 도 2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컬럼부재와 삽입 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컬럼부재와 삽입 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2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삽입 유닛 조립체가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4 및 도 35는 도 2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센서 유닛의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7 및 도 38은 도 3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삽입 유닛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캐리어와 니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3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컬럼부재를 절단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2는 도 3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컬럼부재와 삽입 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3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삽입 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3의 Ⅲ-Ⅲ 선 및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5는 도 3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삽입 유닛 조립체가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6 및 도 47은 도 3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센서 유닛의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신체 부착 유닛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신체 부착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0)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110)를 구비하는 센서 유닛(100)과, 센서 유닛(100)과 함께 신체 부착 유닛(20)을 구성하는 베이스 유닛(200)과,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3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0)는 어플리케이터(30)에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이 분리되어 장착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은 어플리케이터(30)의 작용으로 자동으로 조립되면서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5)로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5)로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나, 전용 의료 디바이스, PC, 서버 등 신체 부착 유닛(20)의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신체 부착 유닛(20)이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정보는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의 혈당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혈당 측정 정보를 외부 단말기(5)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유닛(100)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센서 유닛(100)과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200)을 포함한다. 베이스 유닛(200)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유닛(200)은 센서 유닛(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 유닛(100)이 측정한 생체 정보를 처리하고 외부 단말기(5)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 유닛(200)은 단순히 센서 유닛(100)을 사용자의 피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유닛(200)에는 센서 유닛(100)이 측정한 생체 정보를 처리하고 외부 단말기(5)로 송신할 수 있는 별도의 전자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센서 유닛(100)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센서(110)와, 센서(110)가 결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과,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결합되어 센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베이스 유닛(2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155)와, 접착 레이어(155)를 덮는 보호 시트(160)를 포함한다.
센서(110)는 일부분이 센서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110)는 센서 하우징(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116)를 구비한다.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는 센서(110)의 일부 및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니들(485)이 삽입되는 하우징 개구(140)가 센서 유닛 하우징(12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센서 유닛 하우징(120)은 하우징 바디(142)와, 하우징 바디(14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스(127)를 포함한다. 하우징 개구(140)는 하우징 바디(142)와 보스(127)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바디(142)는 베이스 유닛(200)의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 바디(142)는 보스(127)가 구비되는 바디부(143)와, 바디부(143)보다 넓은 커버부(144)를 포함한다.
센서 유닛 하우징(120)은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센서(110)가 장착되고, 베이스 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는 센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배치된다.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는 일부분이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표면으로 노출됨으로써 센서(110)와 베이스 유닛(200)의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접착 레이어(155)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표면에 배치된다. 접착 레이어(155)는 양쪽 면이 접착성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접착 레이어(155)의 일면은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표면에 접착되고, 접착 레이어(155)의 타면은 보호 시트(160)로 덮인다. 접착 레이어(155)는 보호 시트(160)가 분리된 후 베이스 유닛(200)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 레이어(155)의 중간 부분에는 접착 레이어홀(156)과, 접착 레이어 개구(157)가 접착 레이어(155)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보호 시트(160)는 접착 레이어(155)를 덮어 보호한다. 보호 시트(160)는 접착 레이어(155)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접착 레이어(155)가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장시간 유지되면 접착 레이어(155)의 접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보호 시트(160)는 접착 레이어(155)를 덮음으로써 접착 레이어(155)의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고, 센서 유닛(100)의 제작 공정이나, 센서 유닛(100)을 어플리케이터(30)에 조립하는 공정에서 작업자에 의한 센서 유닛(100)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보호 시트(160)의 표면에는 접착부재(164)가 구비된다. 접착부재(164)는 양쪽 면이 접착성을 갖는 양면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부재(164)의 일면은 보호 시트(160)에 접착되고, 접착부재(164)의 타면은 어플리케이터(30)에 구비되는 리무빙부재(610)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시트(160)는 접착부재(164)를 통해 리무빙부재(610)와 결합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은 접착 레이어(155)에 보호 시트(160)가 부착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30)에 장착된다. 보호 시트(160)는 센서(110)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기 전에 어플리케이터(30)의 리무빙 유닛(600)에 의해 접착 레이어(15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은 보호 시트(160)가 분리된 상태로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이동하여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200)은 센서 유닛(100)이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과,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자부품을 포함한다. 전자부품은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접촉하는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와, 기판, 배터리,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 칩, 외부 단말기(5)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에는 센서(110)의 삽입부(116)와 니들(485)이 통과할 수 있는 삽입홀(211)과, 센서 유닛 하우징(120)이 결합되는 장착부(212)가 구비된다. 장착부(212)는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와,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의 내측에 마련되는 접촉면(216)을 포함한다.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는 삽입홀(211)과 연결되는 제 1 리세스(214)와, 제 1 리세스(214)보다 삽입홀(211)로부터 멀리 위치하여 제 1 리세스(214)와 연결되는 제 2 리세스(21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0)의 하우징 바디(142)가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에 안정적으로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하우징홈(217)이 형성된다. 하우징홈(217)에는 어플리케이터(30)에 구비되는 록킹 후크(36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의 표면에는 접착부(230)가 구비된다. 접착부(230)는 하부 하우징(219)의 표면에 부착되어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을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부(230)는 보호 시트로 덮여 보호될 수 있다. 접착부(230)를 덮는 보호 시트는 베이스 유닛(20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은 상호 분리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30)에 설치되고 어플리케이터(30)가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도록 동작되는 과정에서 상호 결합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을 형성한다. 센서 유닛(100)은 니들(485)이 결합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30)에 장착되고, 니들(485)이 결합된 상태로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움직여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된 후 니들(485)은 센서 유닛(100)에서 분리되고, 신체 부착 유닛(20)만 사용자의 피부에 남아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터(30)는 센서 유닛(100) 및 베이스 유닛(200)이 장착된 상태로 작동하여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을 결합시키고,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이 결합된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30)는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킨 후 신체 부착 유닛(20)과 분리되며, 신체 부착 유닛(20)은 접착부(230)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30)는 베이스 유닛(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와,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 유닛(430)을 포함하는 삽입 유닛 조립체(400)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부재(500)와, 센서 유닛(100)의 보호 시트(160)를 분리하기 위한 리무빙 유닛(600)을 포함한다. 삽입 유닛(430)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되는 컬럼부재(410)에 장착되어 센서 유닛(100)을 베이스 유닛(200)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은 제 2 위치에서 결합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20)을 형성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300)는 베이스 프레임(310)과, 베이스 프레임(310) 위에 배치되는 미들 프레임(330)과, 미들 프레임(330)에 결합되어 미들 프레임(330)의 상부를 덮는 탑 케이스(37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310)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312)를 갖는 프레임 베이스부(311)를 포함한다. 프레임 베이스부(311)의 바닥부(312)에는 베이스 유닛(200)이 장착되는 리세스(313)가 구비된다. 베이스 유닛(200)은 접착부(230)가 사용자의 피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리세스(3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센서 유닛(100)과 이격된 제 2 위치에 놓일 수 있다. 프레임 베이스부(311)의 중간에는 베이스 프레임 개구(314)가 프레임 베이스부(31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 개구(314)의 둘레에는 펜스부(316)와 받침대(318)가 돌출 구비된다. 베이스 프레임(310)이 미들 프레임(330)과 결합될 때 펜스부(316)와 받침대(318)가 미들 프레임(330)의 미들 프레임 개구(334)에 삽입된다. 펜스부(316)는 삽입 유닛 조립체(400)에 구비되는 컬럼부재(410)의 외면에 접하여 컬럼부재(410)를 지지할 수 있다. 펜스부(316)는 컬럼부재(410)의 외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받침대(318)는 리무빙 유닛(600)의 리무빙부재(610)를 떠받친다. 펜스부(316)의 안쪽에는 컬럼부재(410)를 고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321)가 구비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321)는 컬럼부재(410)에 맞물리는 스냅 후크(322)를 포함한다.
프레임 베이스부(311)의 베이스 프레임 개구(314) 양측에는 베이스 유닛(200)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록킹 후크(360)가 결합된다. 록킹 후크(360)는 리세스(313)에 장착된 베이스 유닛(200)에 맞물려 베이스 유닛(200)을 리세스(313)에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록킹 후크(360)는 신체 부착 유닛(20)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후 베이스 유닛(200)에서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록킹 후크(360)는 베이스 프레임(310)에 피봇 결합되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틸팅될 수 있다. 록킹 후크(360)는 베이스 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봇부(361)와, 피봇부(361)에 연결되는 후크부(362)와, 피봇부(361)로부터 돌출되는 레버부(365)를 포함한다. 후크부(362)는 베이스 유닛(200)의 하우징홈(217)에 삽입되어 베이스 유닛(200)에 맞물릴 수 있다. 레버부(365)는 피봇부(361)로부터 베이스 프레임 개구(314) 쪽으로 돌출된다. 록킹 후크(360)는 레버부(365)가 삽입 유닛(430)의 셔틀(431)에 의해 가압될 때 피봇부(36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틸팅됨으로써 베이스 유닛(20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록킹 후크(360)는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3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미들 프레임(330)은 베이스 프레임(310)과 결합되는 외곽 프레임(331)과, 외곽 프레임(331)의 안쪽에 배치되는 스테이지(333)와, 스테이지(333) 보다 높게 돌출되는 지지대(339)를 포함한다. 스테이지(333)는 프레임 베이스부(311)의 위에 배치된다. 스테이지(333)의 중간에는 베이스 프레임(310)의 펜스부(316)와 받침대(318)가 삽입되는 미들 프레임 개구(334)가 마련된다. 미들 프레임 개구(334)는 베이스 프레임(310)의 베이스 프레임 개구(314)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베이스 프레임(310)과 미들 프레임(330)이 결합될 때 미들 프레임 개구(334)와 베이스 프레임 개구(314)가 연결된다. 미들 프레임 개구(334)는 베이스 프레임 개구(314)와 연결되어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1)을 형성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1)은 펜스부(316) 및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321)와 함께 삽입 유닛 조립체(400)의 컬럼부재(410)를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343)를 구성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1)에 컬럼부재(41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삽입 유닛 조립체(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조립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 개구(334)의 양측으로는 록킹 후크(360)를 지지하는 탄성 암(335)이 구비된다. 탄성 암(335)은 록킹 후크(360)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록킹 후크(360)에 대해 베이스 유닛(200)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즉 탄성 암(335)은 록킹 후크(360)의 일측에 접하여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록킹 후크(360)를 베이스 유닛(200)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
스테이지(333)에는 가이드레일(336)과 고정돌기(337)가 구비된다. 가이드레일(336)은 스토퍼부재(500)를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돌기(337)는 스토퍼부재(500)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스토퍼부재 드라이버(540)를 지지한다.
지지대(339)는 스토퍼부재(5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345)를 지지한다. 지지대(339)에는 작동부재(345)의 설치를 위한 지지대홈(340)과 복수의 지지대 개구(341)(342)가 구비된다.
작동부재(345)는 버튼부(346)와, 버튼부(346)로부터 돌출되는 가압돌기(348)와, 작동부재 후크(350)를 포함한다. 작동부재(345)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스토퍼부재(500)를 움직이도록 작동한다. 작동부재(345)는 작동부재 후크(350)가 지지대(339)의 지지대 개구(341)에 삽입되어 지지대(339)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지지대홈(340) 속에서 움직일 수 있다. 작동부재(345)는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안쪽으로 눌릴 때 가압돌기(348)가 스토퍼부재(500)의 고정 후크(522)를 가압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는 고정 후크(522)에 의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고정되어 있다가 작동부재(345)가 고정 후크(522)를 가압할 때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대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움직일 수 있다.
작동부재(345)는 도시된 구성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설치되어 스토퍼부재(500)를 움직이도록 작동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탑 케이스(370)는 미들 프레임(330)과 결합되어 미들 프레임(330)의 상부를 덮는다. 탑 케이스(370)의 일측에는 탑 케이스 개구(371)가 미들 프레임(330)의 지지대(339)가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탑 케이스(37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탑 케이스(370)와 미들 프레임(330)의 결합 방식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프레임(310)과, 미들 프레임(330)과, 탑 케이스(370)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삽입 유닛 조립체(400)와 결합되어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는 록킹 후크를 이용하는 방식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
삽입 유닛 조립체(400)는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고정되는 컬럼부재(410)와, 센서 유닛(100)과 결합되도록 컬럼부재(410)에 지지되어 센서 유닛(100)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삽입 유닛(430)을 포함한다.
컬럼부재(410)는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고정되어 삽입 유닛(430)을 지지한다. 컬럼부재(410)는 컬럼부재 바디(411)를 포함한다. 컬럼부재 바디(411)는 내측에 삽입 유닛(4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일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된 컬럼부재 개구(412)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컬럼부재 바디(411)의 일단에는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1)에 삽입되는 결합 단부(417)가 구비된다. 결합 단부(417)는 복수의 컬럼부재 레그(413)를 포함한다. 복수의 컬럼부재 레그(413)는 컬럼부재 개구(412)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컬럼부재 레그(413)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컬럼부재(410)는 결합 단부(417)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단부(417)를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컬럼부재 레그(413)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결합 단부(417)가 더욱 원활하게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컬럼부재 바디(411)의 일단부에는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321)와 맞물릴 수 있는 컬럼부재 스냅부(414)가 구비된다. 컬럼부재 스냅부(414)는 결합 단부(417)와 함께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343)에 결합되는 컬럼부재 결합부(425)를 구성한다. 컬럼부재(410)는 컬럼부재 스냅부(414)가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321)와 맞물림으로써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컬럼부재 스냅부(414)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냅 암(415)을 포함한다. 스냅 암(415)에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321)의 스냅 후크(322)가 맞물리는 스냅홈(416)이 구비된다. 컬럼부재(41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1)에 삽입될 때 스냅 후크(322)와 스냅 암(415)이 맞닿고 스냅 후크(322)의 일부분이 스냅홈(416)에 삽입된다.
컬럼부재(410)는 결합 단부(417)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냅 후크(322)와 스냅 암(415)이 맞물림으로써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펜스부(316)가 컬럼부재(410)의 외면에 밀착되어 컬럼부재(4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컬럼부재(410)는 한쪽 끝단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어플리케이터 바디홈(34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와 컬럼부재(410)의 결합 방식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컬럼부재 바디(411)의 양쪽 측부에는 슬릿(418)이 센서 유닛(10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릿(418)의 중간 부분에는 릴리즈부(420)가 구비된다. 릴리즈부(420)는 삽입 유닛(430)의 캐리어(462)가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이동하는 중에 캐리어(462)의 일부분이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다. 릴리즈부(420)의 작용으로 캐리어(462)가 삽입 유닛(430)의 셔틀(431)에서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컬럼부재 바디(411)의 또 다른 양쪽 측부에는 가이드홈(422)이 센서 유닛(10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홈(422)에 셔틀(431)의 셔틀 후크(433)가 배치되어 셔틀 후크(433)가 가이드홈(4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홈(422)의 끝단에는 셔틀(431)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컬럼부재 디텐트(423)가 구비된다. 셔틀(431)이 센서 유닛(100)과 함께 제 1 위치에서 이동하여 제 2 위치에 도달할 때 셔틀 후크(433)가 컬럼부재 디텐트(423)에 접함으로써 셔틀(431)이 제 2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다. 컬럼부재 바디(411)의 일측에는 컬럼부재홀(424)이 컬럼부재 바디(411)의 측부를 내외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컬럼부재홀(424)에는 셔틀(431) 및 캐리어(462)를 임시 고정할 수 있는 안전핀(P)이 삽입될 수 있다. 컬럼부재 바디(411)의 또 다른 일측에는 덮개부(425)가 구비된다. 덮개부(425)에는 리무빙부재(610)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덮개부홈(426)이 마련된다. 컬럼부재(410)의 내부에는 리텐션부(427)가 구비된다. 리텐션부(427)는 셔틀(431)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셔틀 드라이버(49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삽입 유닛(430)은 컬럼부재(410)를 통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되어 센서 유닛(100)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삽입 유닛(430)은 컬럼부재(4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틀(431)과, 셔틀(431)과 함께 이동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는 니들(485)을 구비하는 니들 어셈블리(460)를 포함한다.
셔틀(431)은 컬럼부재(410)의 내부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컬럼부재(41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셔틀(431)은 센서 유닛(100)과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셔틀(431)은 내측에 니들 어셈블리(460)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셔틀 바디(432)를 포함한다. 셔틀 바디(432)의 일측에는 셔틀(43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셔틀 후크(433)가 구비된다. 셔틀 후크(433)는 셔틀(4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컬럼부재(410)의 컬럼부재 디텐트(423)에 접함으로써 셔틀(43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셔틀(431)의 다른 일측에는 셔틀 돌기(435)가 구비된다. 셔틀 돌기(435)는 스토퍼부재(500)에 접할 수 있도록 셔틀 바디(432)로부터 돌출된다. 셔틀(431)은 셔틀 돌기(435)가 스토퍼부재(500)에 접함으로써 제 1 위치에 고정되고, 셔틀 돌기(435)가 스토퍼부재(500)로부터 벗어날 때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셔틀(431)은 셔틀 돌기(435)를 통해 록킹 후크(360)를 움직일 수 있다. 즉 셔틀(431)이 제 2 위치에 도달할 때 셔틀 돌기(435)가 록킹 후크(360)의 레버부(365)를 가압함으로써 록킹 후크(360)가 회전하여 베이스 유닛(200)과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셔틀 바디(432)의 양쪽 측부에는 한 쌍의 슬릿(436)이 셔틀(43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릿(436)의 중간 부분에는 캐리어(462)의 캐리어 래치(477)가 맞물릴 수 있는 셔틀 디텐트(438)가 구비된다. 캐리어 래치(477)가 셔틀 디텐트(438)에 맞물린 상태에서 캐리어(462)는 셔틀(431)과 함께 이동하고 셔틀(43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없다. 그리고 캐리어 래치(477)가 셔틀 디텐트(438)에 맞물림 해제될 때 캐리어(462)는 셔틀(43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셔틀 바디(432)의 한쪽 단부에는 센서 유닛(100)과 접하는 셔틀 바닥부(440)가 구비된다. 셔틀 바닥부(440)에는 셔틀 관통구(441)와 누름돌기(442)가 구비된다. 셔틀 바디(432)의 내측에서 움직일 수 있는 니들(485)이 셔틀 관통구(441)를 통해 셔틀 바디(43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누름돌기(442)는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홈(138)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센서 유닛(100)이 삽입 유닛(430)에 장착될 때 누름돌기(442)가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홈(138)에 삽입됨으로써 센서 유닛(100)이 움직이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셔틀 바디(432)에는 셔틀(431)을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부(443)가 구비된다. 클램핑부(443)는 셔틀 바디(432)의 일측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램핑 후크(444)를 포함한다. 클램핑 후크(444)는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셔틀(431)을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삽입 유닛 조립체(400)는 셔틀(431)이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된다. 셔틀(431)이 클램핑 후크(444)에 의해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셔틀(431)은 움직일 수 없다. 셔틀(431)이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로 삽입 유닛 조립체(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될 때 사용자가 작동부재(345)를 누르더라도 삽입 유닛(430)이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30)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하고 셔틀(431)의 임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셔틀(431)을 컬럼부재(410)의 내부에 삽입하여 클램핑 후크(444)가 컬럼부재(410)의 컬럼부재 디텐트(423)에 맞물릴 때 셔틀(431)이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때 클램핑 후크(444)가 컬럼부재 디텐트(423)에 맞물려 있으므로 셔틀(431)은 움직일 수 없다.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셔틀(431)을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하는 것은 여러가지로 이점이 있다. 즉 셔틀(431)을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하면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조립하는 과정이나,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셔틀(431)이 우발적으로 움직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틀(431)에는 날카로운 니들(485)이 결합되므로 제조 과정에서 니들(485)의 우발적인 이동에 의한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면에는 셔틀(431)에 구비되는 클램핑 후크(444)가 컬럼부재(410)의 컬럼부재 디텐트(423)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셔틀(431)이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셔틀(431)의 임시 고정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클램핑부는 셔틀(431)과 맞물릴 수 있도록 컬럼부재(4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클램핑 후크 이외에 다양한 다른 형태의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셔틀(431)을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셔틀 바디(432)의 일측에는 셔틀 록킹부(446)가 구비된다. 셔틀 록킹부(446)는 제 2 위치에 도달한 셔틀(431)을 제 2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어플리케이터(30)가 작동하여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한 후 어플리케이터(30)는 신체 부착 유닛(20)에서 분리되어 폐기될 필요가 있다. 어플리케이터(30)의 니들(485)은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었다가 사용자의 피부에서 빠져나오므로, 어플리케이터(30)의 사용 후 니들(485)은 오염된다. 또한 어플리케이터(30)의 사용 후 셔틀(431)이 제 1 위치로 이동하여 재장전되는 경우 니들(485)이 우발적으로 움직여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셔틀(431)은 제 2 위치로 이동한 후 셔틀 록킹부(446)에 의해 제 2 위치에 고정된다. 어플리케이터(30)의 사용 후 셔틀(431)이 제 2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어플리케이터(30)는 재사용될 수 없다. 셔틀 록킹부(446)는 스토퍼부재(500)의 록킹 돌기(525)가 삽입될 수 있는 록킹홈(447)을 포함한다. 셔틀(431)이 컬럼부재(410)의 내측에서 제 2 위치에 도달할 때 록킹홈(447)은 컬럼부재(410)의 개구(429)와 마주하게 된다.
셔틀(431)의 내측에는 리텐션부(449)와 고정부(451)가 구비된다. 리텐션부(449)는 셔틀 드라이버(490)를 지지한다. 고정부(451)에는 캐리어(462)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가 결합된다.
이 밖에, 셔틀(431)은 셔틀 개구(453)와, 셔틀홀(455)을 포함한다. 셔틀홀(455)에는 안전핀(P)이 삽입될 수 있다. 안전핀(P)이 컬럼부재홀(424)을 통과하여 셔틀홀(455)에 삽입될 때 셔틀(431)이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안전핀(P)이 셔틀홀(455)에 삽입됨으로써 셔틀(431)이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셔틀(431)은 셔틀 드라이버(490)로부터 이동력을 제공받아 움직인다. 셔틀 드라이버(490)는 셔틀(431)에 대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91)를 포함한다. 탄성부재(491)는 일단이 컬럼부재(410)의 리텐션부(427)에 접하고 타단이 셔틀(431)의 리텐션부(449)에 접한다. 셔틀(431)은 탄성부재(491)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클램핑 후크(444) 및 안전핀(P)에 의해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유닛 조립체(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된 후 클램핑 후크(444)가 컬럼부재(410)의 컬럼부재 디텐트(423)에서 맞물림 해제되고, 안전핀(P)이 셔틀(431)에서 분리되면 셔틀 돌기(435)가 스토퍼부재(500)에 접하면서 셔틀(431)은 작동부재(345)에 의해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도 20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500)가 셔틀 돌기(435)에 접하여 셔틀 돌기(435)를 떠받칠 때 셔틀(431)은 제 1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0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500)가 움직여 셔틀 돌기(435)에서 벗어나면 셔틀(431)이 탄성부재(491)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셔틀(431)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센서 유닛(100)을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이동시키고 제 2 위치에 도달하여 록킹 후크(360)를 릴리즈시킬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셔틀(431)이 제 2 위치에 도달할 때 셔틀 돌기(435)가 록킹 후크(360)의 레버부(365)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록킹 후크(360)는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탄성 암(335)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에서 맞물림 해제되도록 틸팅된다. 따라서 베이스 유닛(200)이 록킹 후크(360)에서 맞물림 해제되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와 분리될 수 있다.
셔틀 드라이버(490)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491)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셔틀(431)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니들 어셈블리(460)는 센서 유닛(1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어(462)와, 센서 유닛(100)을 관통하도록 캐리어(462)에 결합되는 니들(485)을 포함한다. 니들(485)은 센서 유닛(100)과 결합된 상태로 센서 유닛(100)과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전진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고, 제 2 위치에서 캐리어(462)와 함께 후퇴하여 사용자의 피부 및 센서 유닛(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캐리어(462)는 셔틀(431)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캐리어(462)는 일부분이 셔틀(431)에 맞물림으로써 셔틀(431)과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전진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어(462)는 제 2 위치에서 셔틀(431)로부터 맞물림 해제되어 센서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다.
캐리어(462)는 니들(485)이 결합되는 캐리어 바디(463)와, 캐리어 바디(463)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캐리어 윙(471)과, 캐리어 바디(463)의 측부에 연결되는 그립 암(479)을 포함한다.
캐리어 바디(463)의 일측에는 삽입홈(465)이 형성된다. 삽입홈(465)에는 니들(485)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465) 속에는 니들(485)과 맞물려 니들(485)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부가 구비될 수 있다. 캐리어 바디(463)의 일측에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가 결합되는 고정부(469)가 구비된다. 캐리어(462)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에 의해 셔틀(43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는 캐리어(462)에 이동력을 제공한다.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는 일단이 셔틀(431)의 고정부(451)에 결합되고 타단이 캐리어(462)의 고정부(469)에 결합되는 니들 릴리즈 탄성부재(496)를 포함한다. 니들 릴리즈 탄성부재(496)는 인장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캐리어(462)를 셔틀(431)의 고정부(451) 쪽으로 당겨지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즉 니들 릴리즈 탄성부재(496)는 캐리어(462)에 대해 센서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캐리어(462)에 결합되는 니들(485)을 센서 유닛(100)에서 분리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니들 릴리즈 탄성부재(496)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캐리어(462)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캐리어 바디(463)의 측부에는 캐리어홀(470)이 캐리어 바디(463)의 측부를 내외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캐리어홀(470)에는 안전핀(P)이 삽입될 수 있다. 안전핀(P)은 컬럼부재(410)의 컬럼부재홀(424) 및 셔틀(431)의 셔틀홀(455)을 차례로 통과하여 캐리어홀(470)에 삽입됨으로써 캐리어(462)를 셔틀(431)에 임시 고정할 수 있다.
안전핀(P)을 이용하여 셔틀(431) 및 캐리어(462)를 임시 고정함으로써,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조립하는 과정이나,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셔틀(431)과 캐리어(462)가 우발적으로 움직이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도 15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안전핀(P)은 컬럼부재(410)의 컬럼부재홀(424)과, 셔틀(431)의 셔틀홀(455)과, 캐리어(462)의 캐리어홀(470)에 삽입될 수 있다. 컬럼부재홀(424)과, 셔틀홀(455) 및 캐리어홀(470)이 일렬로 정렬된 상태에서 안전핀(P)이 컬럼부재홀(424)과 셔틀홀(455)을 차례로 통과하여 캐리어홀(47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셔틀(431)과 캐리어(462)는 움직일 수 없다. 따라서 안전핀(P)은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조립하는 과정이나,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셔틀(431)과 캐리어(462)의 우발적인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안전핀(P)이 캐리어(462)와 셔틀(431) 및 컬럼부재(410)에서 분리되면 삽입 유닛(430)이 작동부재(345)에 의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안전핀(P)의 구체적인 구성과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컬럼부재를 통과하는 안전핀이 캐리어까지 도달하지 않고 셔틀과 맞물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핀은 제 1 위치에서 셔틀의 이동을 구속하여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어플리케이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30)의 제조 과정에서 안전핀(P)의 사용은 배제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핑 후크(444)를 이용하여 셔틀(431)을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할 수 있다.
캐리어 윙(471)은 캐리어 바디(463)로부터 캐리어(46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캐리어 바디(463)에 연결된다. 캐리어 윙(471)은 캐리어 바디(463)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윙 바디(472)와, 윙 바디(472)로부터 돌출되는 트리거(474) 및 캐리어 래치(477)를 포함한다.
트리거(474)는 윙 바디(472)의 일측에 윙 바디(47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트리거(474)는 셔틀(431)의 슬릿(436) 및 컬럼부재(410)의 슬릿(418)에 삽입되어 이들 슬릿(436)(41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캐리어(462)는 셔틀(431)과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컬럼부재(410)의 릴리즈부(420)에 접촉하게 된다.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릴리즈부(420)는 트리거(474)를 가압할 수 있도록 컬럼부재(410)의 슬릿(418) 중간에 배치된다. 캐리어(462)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트리거(474)가 릴리즈부(420)에 접하여 캐리어 윙(471)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트리거(474)에는 릴리즈부(420)에 접촉하는 트리거 경사부(475)가 구비된다.
캐리어 래치(477)는 윙 바디(47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캐리어 래치(477)는 셔틀(431)의 셔틀 디텐트(438)에 맞물릴 수 있다. 캐리어 래치(477)가 셔틀 디텐트(438)에 맞물린 상태에서 캐리어(462)는 니들 릴리즈 탄성부재(496)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니들 릴리즈 탄성부재(496)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그리고 트리거(474)가 릴리즈부(420)에 접하여 캐리어 윙(471)이 탄성 변형될 때 캐리어 래치(477)가 셔틀 디텐트(438)에서 벗어나 캐리어(462)가 움직일 수 있다.
그립 암(479)은 캐리어 바디(463)의 측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립 암(479)은 캐리어 바디(463)의 양측으로 한 쌍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 하우징(120)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한다. 그립 암(479)에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맞물리는 그립 돌기(480)와, 컬럼부재(410)의 내벽(428)에 접하는 돌출부(481)가 구비된다. 캐리어(462)는 캐리어 바디(463)가 셔틀(431)의 내측에 위치하고 그립 암(479)의 끝단이 셔틀(431)로부터 돌출되도록 셔틀(431)에 결합된다. 캐리어(462)는 한 쌍의 그립 암(479)이 센서 유닛 하우징(120)과 맞물리는 방식으로 센서 유닛(100)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표면이 셔틀(431)의 셔틀 바닥부(440)에 밀착되고, 셔틀(431)의 누름돌기(442)가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센서 유닛홈(138)에 삽입된다. 따라서 센서 유닛(100)이 셔틀(431)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어(462)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 유닛 조립체(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될 때 센서 유닛(100)을 제 1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캐리어(462)가 컬럼부재(410)의 내측에 위치할 때 그립 암(479)의 돌출부(481)가 컬럼부재(410)의 내벽(428)에 접한다. 따라서 그립 암(479)이 센서 유닛 하우징(120)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편향되고, 캐리어(462)는 센서 유닛(100)과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유닛(100)과 캐리어(462)가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이동하여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될 때 돌출부(481)는 컬럼부재(410)의 내벽(428)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그립 암(479)의 고정력이 약해지며, 캐리어(462)가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에 의해 이동할 때 그립 암(479)이 센서 유닛(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캐리어(462)는 도시된 구성 이외에, 니들(485)과 결합되고 셔틀(431)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니들(485)은 캐리어(462)에 고정되어 센서 유닛(100)에 결합된 상태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니들(485)은 센서 유닛(100)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센서(110)보다 먼저 사용자의 피부를 뚫고 들어가 센서(110)가 안정적으로 피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니들(485)은 센서(110)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 후에는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분리된다. 니들(485)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는 니들 바디(486)와, 캐리어(462)에 결합되는 니들 헤드(487)를 포함한다.
니들(485)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니들(485)이 캐리어(462)에 결합되는 방식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삽입 유닛 조립체(400)는 셔틀(431)을 움직이기 위한 셔틀 드라이버(490)의 탄성부재(491)와 니들 어셈블리(460)를 움직이기 위한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의 니들 릴리즈 탄성부재(496)가 탄성 변형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삽입 유닛 조립체(400)는 센서 유닛(100)과 결합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5의 (a) 및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 유닛 조립체(400)는, 셔틀(431)이 클램핑 후크(444) 및 안전핀(P)에 의해 탄성부재(491)를 탄성 변형시킨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컬럼부재(410)에 임시 고정되고, 캐리어(462)가 안전핀(P)에 의해 니들 릴리즈 탄성부재(496)를 탄성 변형시킨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셔틀(431)에 임시 고정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셔틀(431)과 캐리어(462)가 임시 고정된 삽입 유닛 조립체(400)는 셔틀(431)과 캐리어(462)의 우발적인 움직임이 방지되므로, 조립 과정에서 작업자가 다루기 용이하다.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0)의 제조 과정에서 작업자는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셔틀(431)과 캐리어(462)가 임시 고정된 삽입 유닛 조립체(400)를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안전핀(P)을 제거하고 클램핑 후크(444)를 셔틀(431)에 대한 임시 고정 상태를 해제하도록 조작함으로써, 삽입 유닛(430)을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단순한 형태의 툴(T)을 이용하여 클램핑 후크(444)를 컬럼부재(410)의 안쪽으로 가압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클램핑 후크(444)를 컬럼부재(410)의 컬럼부재 디텐트(423)에서 맞물림 해제시킬 수 있다. 작업자가 클램핑 후크(444)를 컬럼부재(410)의 안쪽으로 가압할 때, 클램핑 후크(444)가 컬럼부재(410)의 컬럼부재 디텐트(423)에서 벗어나고 셔틀(431)이 셔틀 드라이버(490)의 탄성부재(491)에 의해 약간 밀림으로써 클램핑 후크(444)가 컬럼부재 디텐트(423)에서 벗어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0)는 삽입 유닛(430)을 구성하는 셔틀(431)과, 니들 어셈블리(460)와, 셔틀 드라이버(490) 및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가 컬럼부재(410)와 함께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유닛(430)의 설치가 용이하고, 삽입 유닛(430)을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설치하는 작업을 부분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으며,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00)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외부에서 삽입 유닛(430)에 결합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0)는 삽입 유닛(430)의 우발적인 동작이 방지되도록 잠긴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유닛(430)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된 후 간단한 조작을 통해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유닛(430)을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설치한 후 삽입 유닛(430)의 셔틀(431)과 캐리어(462)를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번거로운 후속 작업이 필요없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삽입 유닛(430)은 컬럼부재(410)를 통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된 후, 사용자에 의해 셔틀(431)과 캐리어(462)가 작동 가능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는 미들 프레임(330)의 스테이지(333)에 선형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스토퍼부재(500)는 센서 유닛(100)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도면에는 스토퍼부재(500)가 센서 유닛(100)의 이동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스토퍼부재(500)의 이동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는 셔틀(431)을 제 1 위치에 위치하도록 떠받치는 제 3 위치에서 셔틀(431)과 맞물림 해제되는 제 4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는 제 3 위치에서 제 1 위치에 위치한 셔틀(431)의 셔틀 돌기(435)와 접함으로써 제 1 위치에 놓인 셔틀(431)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제 4 위치로 이동할 때 셔틀(4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셔틀 돌기(435)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재(500)는 제 3 위치에서 리무빙 유닛(600)의 리무빙부재(610)가 제 1 위치에 위치한 센서 유닛(100)의 접착 레이어(155)와 결합된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리무빙부재(61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는 스토퍼부재 드라이버(540)로부터 이동력을 제공받아 움직일 수 있다. 스토퍼부재 드라이버(540)는 스토퍼부재(500)를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토퍼부재(500)에 이동력을 제공한다. 스토퍼부재 드라이버(540)는 스토퍼부재(500)에 대해 제 4 위치로 편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541)를 포함한다. 탄성부재(541)는 일단이 미들 프레임(330)의 고정돌기(337)에 결합되고 타단이 스토퍼부재(500)에 접하여 스토퍼부재(50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 드라이버(540)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41)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스토퍼부재(500)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는 스토퍼부재 바디(510)와, 셔틀(431)을 떠받치기 위한 받침부(519)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맞물릴 수 있는 스토퍼부재 고정부(521)와, 제 2 위치에 도달한 셔틀(431)을 제 2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부재 록킹부(524)와, 리무빙부재(610)를 떠받칠 수 있는 스토퍼부(527)를 포함한다.
스토퍼부재 바디(510)에는 스토퍼부재 개구(512)와 스토퍼부재홈(513)이 스토퍼부재 바디(5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스토퍼부재홈(513) 속에는 탄성부재(541)의 타단이 결합되는 고정돌기(514)가 구비된다. 스토퍼부재홈(513)의 위쪽에는 덮개부(515)가 구비되어 스토퍼부재홈(513) 속에 놓이는 탄성부재(541)를 덮는다.
미들 프레임(330)의 스테이지(333)와 마주하는 스토퍼부재 바디(510)의 일면에는 레일부(517)가 구비된다. 레일부(517)는 미들 프레임(330)의 가이드레일(336)과 맞물려 가이드레일(336)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받침부(519)는 스토퍼부재 바디(510)로부터 돌출되도록 스토퍼부재 개구(512)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받침부(519)는 셔틀(431)의 셔틀 돌기(435)를 떠받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가 제 3 위치에 위치할 때 받침부(519)는 셔틀(431)의 셔틀 돌기(435)를 떠받쳐서 제 1 위치에 놓인 셔틀(431)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재(500)가 제 4 위치로 이동할 때 받침부(519)가 셔틀 돌기(435)에서 벗어남으로써 셔틀(4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받침부(519)는 스토퍼부재 바디(510)로부터 돌출되는 형태 이외에 셔틀 돌기(435), 또는 셔틀(431)의 다른 일부분과 접하거나 맞물릴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 고정부(521)는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일측에 맞물림으로써 스토퍼부재(500)가 탄성부재(541)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토퍼부재(50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 고정부(521)는 미들 프레임(330)의 지지대(339)에 맞물릴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후크(522)를 포함한다. 고정 후크(522)는 작동부재(345)에 의해 지지대(339)에서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고정 후크(522)는 지지대(339)의 지지대 개구(342)에 삽입되어 지지대(339)의 일측에 맞물릴 수 있다. 이때, 스토퍼부재(500)는 제 3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작동부재(345)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 고정 후크(522) 쪽으로 전진할 때 작동부재(345)의 가압돌기(348)가 고정 후크(522)를 가압한다. 이때, 고정 후크(522)는 지지대(339)에서 맞물림 해제되도록 편향된다. 고정 후크(522)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지지대(339)에서 맞물림 해제되면, 스토퍼부재(500)가 탄성부재(541)의 탄성력에 의해 제 4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가 탄성부재(541)를 탄성 변형시킨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스토퍼부재(500)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스토퍼부재 고정부(521)의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스토퍼부재 고정부는 제 3 위치에 위치하는 스토퍼부재(500)와 맞물리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 록킹부(524)는 제 2 위치로 이동한 셔틀(431)의 셔틀 록킹부(446)와 맞물림으로써 셔틀(431)을 제 2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 록킹부(524)는 셔틀 록킹부(446)의 록킹홈(447)에 삽입될 수 있는 록킹 돌기(525)를 포함한다. 록킹 돌기(525)는 스토퍼부재 개구(512) 중으로 돌출되도록 스토퍼부재 바디(510)의 내면 일측에 구비된다.
도 20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500)가 제 3 위치에 위치할 때, 록킹 돌기(525)는 컬럼부재(410)의 개구(429)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인다. 이때, 스토퍼부재(500)의 받침부(519)가 셔틀(431)의 셔틀 돌기(435)를 떠받쳐서 셔틀(431)이 제 1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20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500)가 제 4 위치로 이동할 때, 셔틀(431)의 셔틀 돌기(435)가 스토퍼부재(500)의 받침부(519)에서 벗어나 셔틀(4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록킹 돌기(525)가 컬럼부재(410)의 개구(429)를 통과하여 셔틀(431)의 록킹홈(447)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토퍼부재(500)가 셔틀(431)에 맞물림으로써, 스토퍼부재(500)는 제 2 위치로 이동한 셔틀(431)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셔틀(431)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이때, 셔틀(431)은 제 1 위치 쪽으로 복귀할 수 없고, 어플리케이터(30)의 재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 록킹부(524)와 셔틀 록킹부(446)는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스토퍼부(527)는 스토퍼부재 바디(5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토퍼부재 개구(512) 중에 배치된다. 스토퍼부(527)는 리무빙부재(610)가 제 1 위치에 위치한 센서 유닛(100)의 보호 시트(160)와 결합된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리무빙부재(610)와 접하여 리무빙부재(610)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스토퍼부재(500)는 제 3 위치에서 셔틀(431)과 리무빙부재(610)의 움직임을 모두 구속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500)는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를 향해 움직이는 중에 리무빙부재(610)에 대한 구속력을 먼저 해제한 후 셔틀(431)에 대한 구속력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100)이 제 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보호 시트(160)의 분리 동작이 완료되고, 그 이후에 셔틀(431)이 움직여 센서 유닛(100)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리무빙부재(610)에 의한 보호 시트(160)의 분리 동작 중에 셔틀(431)이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동작이 개시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스토퍼부재(500)는 작동부재(345)에 의해 움직여 리무빙 유닛(600)과 삽입 유닛(430)을 차례로, 또는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리무빙 유닛(600)은 센서 유닛(100)이 제 2 위치에 도달하여 베이스 유닛(200)에 결합되기 전에 센서 유닛(100)의 보호 시트(160)를 접착 레이어(155)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설치된다. 리무빙 유닛(600)은 보호 시트(160)와 결합되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무빙부재(610)와, 리무빙부재(6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리무빙부재 드라이버(620)를 포함한다.
리무빙부재(610)는 센서 유닛(10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설치될 수 있다. 리무빙부재(610)에는 힌지부(611)가 구비된다. 리무빙부재(610)는 힌지부(611)가 베이스 프레임(310)의 받침대(318) 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힌지부(61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리무빙부재(610)의 일측에는 보호 시트(160)의 보호 시트 개구(162)에 대응하는 리무빙부재홈(613)이 형성된다. 리무빙부재(610)가 제 1 위치에 위치한 센서 유닛(100)의 보호 시트(160)와 결합될 때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보스(127)가 리무빙부재홈(613)에 위치할 수 있다. 리무빙부재(610)는 보호 시트(160)의 표면에 구비된 접착부재(164)를 통해 보호 시트(160)와 결합될 수 있다. 리무빙부재(610)와 보호 시트(160)의 결합 방식은 접착부재(164)를 이용하는 방식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리무빙부재 드라이버(620)는 리무빙부재(610)와 결합되어 리무빙부재(610)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무빙 탄성부재(621)를 포함한다. 리무빙 탄성부재(621)는 힌지부(611)에 감긴 토션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리무빙 탄성부재(621)는 일측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접함으로써 리무빙부재(6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리무빙부재(610)에 제공할 수 있다.
리무빙부재(610)가 스토퍼부재(500)의 스토퍼부(527)에 의해 떠받쳐져서 제 1 위치에 위치한 센서 유닛(100)의 보호 시트(160)와 거의 평행하게 놓일 때, 보호 시트(160)가 접착 레이어(155)를 덮은 상태로 리무빙부재(61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부재(500)가 제 4 위치를 향해 움직일 때 스토퍼부(527)가 리무빙부재(610)에서 벗어나면서 스토퍼부(527)에 의한 리무빙부재(610)의 구속력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리무빙부재(610)는 리무빙 탄성부재(621)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보호 시트(160)를 접착 레이어(155)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리무빙 유닛(600)을 구성하는 리무빙부재(610)나 리무빙부재 드라이버(620)의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리무빙 유닛(600)은 센서 유닛(100)이 제 1 위치에서 움직이기 전에 보호 시트(160)의 분리 동작을 완료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500)가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로 이동하면서 리무빙부재(610)에 대한 구속력을 먼저 해제한 후 셔틀(431)에 대한 구속력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리무빙부재(610)가 셔틀(431)이 움직이기 전에 보호 시트(160)를 분리하는 작업을 완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센서 유닛(100)이 제 1 위치에서 움직이기 전에 보호 시트(160)의 분리 동작을 완료함으로써 보호 시트(160)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에 도달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30)를 이용하여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해 베이스 유닛(200)이 접착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어플리케이터(30)의 바닥부(312)를 사용자의 피부에 위치시킨다. 작동부재(345)가 조작되기 전에, 캐리어(462)에 결합된 센서 유닛(100)은 보호 시트(160)가 접착 레이어(155)를 덮은 상태로 제 1 위치에 위치한다. 이때, 스토퍼부재(500)의 받침부(519)가 셔틀(431)을 떠받쳐서 셔틀(431)이 제 1 위치에 정지된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재(500)의 스토퍼부(527)가 리무빙부재(610)를 떠받쳐서 리무빙부재(610)는 보호 시트(160)와 결합된 포지션을 유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작동부재(345)를 누르면 작동부재(345)가 스토퍼부재(500)의 스토퍼부재 고정부(521)를 어플리케이터 바디(300)로부터 맞물림 해제시킨다. 이때, 도 2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500)가 스토퍼부재 드라이버(540)에 의해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스토퍼부재(500)가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리무빙부재(610)에 대한 구속력이 먼저 해제된 후 셔틀(431)에 대한 구속력이 차례로 해제된다. 따라서 리무빙부재(610)가 회전하여 보호 시트(160)를 센서 유닛(100)의 접착 레이어(155)로부터 분리한 후, 셔틀(4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셔틀(4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니들(485) 및 센서(110)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고, 센서 유닛(100)이 접착 레이어(155)에 의해 베이스 유닛(200)에 부착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20)이 조립된다. 그리고 스토퍼부재(500)의 록킹 돌기(525)가 제 2 위치로 이동한 셔틀(431)의 록킹홈(447)에 삽입된다. 따라서 셔틀(431)의 움직임이 구속되고 셔틀(431)은 제 1 위치로 복귀할 수 없다.
또한 셔틀(431)이 제 2 위치에 도달할 때, 셔틀(431)이 록킹 후크(360)를 움직여 록킹 후크(360)가 베이스 유닛(20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캐리어(462)의 트리거(474)가 컬럼부재(410)의 릴리즈부(420)에 접하게 된다. 이때 캐리어(462)의 캐리어 윙(471)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캐리어 래치(477)가 셔틀 디텐트(438)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캐리어(462)가 셔틀(431)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면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캐리어(462)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95)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니들(485)이 사용자의 피부에서 빠져나오고 신체 부착 유닛(20)은 접착부(230)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신체 부착 유닛(20)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후, 어플리케이터(30)는 신체 부착 유닛(20)에서 분리되고,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외부 단말기(5)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700)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110)를 구비하는 센서 유닛(710)과, 센서 유닛(710)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720)를 포함한다. 센서 유닛(710)은 컬럼부재(410)를 통해 어플리케이터 바디(722)에 설치되는 삽입 유닛(430)에 의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삽입 유닛(430)은 컬럼부재(410)에 장착되며, 컬럼부재(41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722)에 결합됨으로써 컬럼부재(410)와 함께 어플리케이터 바디(722)에 조립될 수 있다.
도 2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센서 유닛(710)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센서(110)와, 센서(110)가 결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과,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155)와, 접착 레이어(155)를 덮는 보호 시트(160)와, 전자부품(715)을 포함한다. 전자부품(715)은 센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과, 기판에 설치되어 센서(110)가 측정한 생체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프로세스 칩과,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칩과,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710)은 니들(485)과 결합된 상태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720)는 리무빙 유닛(600)을 이용하여 센서 유닛(710)에서 보호 시트(160)를 제거하고, 삽입 유닛(430)을 이용하여 센서 유닛(710)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센서 유닛(710)은 제 2 위치에서 센서(110)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고, 접착 레이어(155)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센서 유닛(710)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후, 니들(485)은 피부에서 분리되고, 센서 유닛(710)은 어플리케이터(720)와 분리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700)는 센서 유닛(710)이 직접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고 신호 처리 기능과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으므로, 별도의 베이스 유닛이 필요없이 작동할 수 있다. 즉 센서 유닛(710)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정보를 외부 단말기(5) 등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000)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110)를 구비하는 센서 유닛(100)과, 센서 유닛(100)과 함께 신체 부착 유닛을 구성하는 베이스 유닛(200)과, 신체 부착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1100)를 포함한다.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은 상호 분리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1100)에 설치되고, 어플리케이터(1100)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신체 부착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1100)는 베이스 유닛(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와, 사용자 조작을 위해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설치되는 작동부재(1365)와,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 유닛(1440)을 포함하는 삽입 유닛 조립체(1400)와,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부재(150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는 베이스 프레임(1310)과, 베이스 프레임(1310)의 상부를 덮는 탑 케이스(136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310)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1312)를 갖는다. 베이스 프레임(1310)의 바닥부(1312)에는 베이스 유닛(200)이 장착되는 리세스(1313)가 구비된다. 베이스 프레임(1310)의 상부에는 스토퍼부재(1500)를 떠받치는 스테이지(1331)가 구비된다. 스테이지(1331)의 중간에는 삽입 유닛 조립체(1400)가 삽입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홈(1347)이 마련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홈(1347)의 내측에는 삽입 유닛 조립체(1400)의 컬럼부재(1410)를 고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1320)가 구비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1320)는 컬럼부재(1410)가 맞물릴 수 이는 스냅홈(1321)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1320)는 어플리케이터 바디홈(1347)과 함께 컬럼부재(1410)를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고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1323)를 형성한다.
베이스 프레임(1310)의 일측에는 스토퍼부재(1500)를 원위치시킬 수 있는 리턴부재(1345)가 설치된다. 리턴부재(1345)는 스토퍼부재(1500)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작동부재(1365)에 의해 움직인 스토퍼부재(1500)를 원상 복귀시킬 수 있다. 리턴부재(1345)는 작동부재(1365)에 의해 전진한 스토퍼부재(1500)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스토퍼부재(1500)에 대해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탑 케이스(1360)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작동부재(1365)가 설치된다. 작동부재(1365)는 버튼부(1366)와, 버튼부(1366)로부터 돌출되는 가압돌기(1367)를 포함한다. 작동부재(1365)는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의 안쪽으로 눌릴 때 가압돌기(1367)가 스토퍼부재(1500)를 리턴부재(1345) 쪽으로 밀어 스토퍼부재(1500)를 움직일 수 있다.
삽입 유닛 조립체(1400)는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고정되는 컬럼부재(1410)와, 센서 유닛(100)과 결합되도록 컬럼부재(1410)에 지지되어 센서 유닛(100)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삽입 유닛(1440)을 포함한다. 삽입 유닛(1440)은 컬럼부재(1410)를 통해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결합된다. 삽입 유닛(1440)은 컬럼부재(14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틀(1441)과, 셔틀(1441)과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니들 어셈블리(1460)를 포함한다. 셔틀(1441)은 센서 유닛(100)과 결합되어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의 내측에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니들 어셈블리(1460)는 셔틀(144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는 캐리어(1462)와, 캐리어(1462)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는 니들(1485)을 포함한다.
컬럼부재(1410)는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고정되어 삽입 유닛(1440)을 지지한다. 컬럼부재(1410)는 컬럼부재 바디(1411)를 포함한다. 컬럼부재 바디(1411)는 내측에 삽입 유닛(144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일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된 컬럼부재 개구(1412)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컬럼부재 바디(1411)의 일단에는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의 어플리케이터 바디홈(1347)에 삽입되는 결합 단부(1435)가 구비된다. 결합 단부(1435)는 복수의 컬럼부재 레그(1413)를 포함한다. 컬럼부재 레그(1413)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컬럼부재 바디(1411)의 일단부에는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의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1320)와 맞물릴 수 있는 컬럼부재 스냅부(1414)가 구비된다. 컬럼부재 스냅부(1414)는 결합 단부(1435)와 함께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1323)에 결합되는 컬럼부재 결합부(1434)를 구성한다. 컬럼부재(1410)는 컬럼부재 스냅부(1414)가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1320)와 맞물림으로써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컬럼부재 스냅부(1414)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냅 암(1415)을 포함한다. 스냅 암(1415)에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1320)의 스냅홈(1321)에 맞물리는 스냅 후크(1416)가 구비된다. 컬럼부재(141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홈(1347)에 삽입될 때 스냅 후크(1416)의 일부분이 스냅홈(132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컬럼부재(1410)는 한쪽 끝단이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의 어플리케이터 바디홈(1347)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결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와 컬럼부재(1410)의 결합 방식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구비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1320)의 위치나 개수, 컬럼부재(1410)에 구비되는 컬럼부재 스냅부(1414)의 위치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컬럼부재(1410)는 어플리케이터 바디홈(1347)에 압입되는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컬럼부재(1410)의 컬럼부재 개구(1412)에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컬럼부재(141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1323)와 컬럼부재 결합부(1434)는 도시된 구성 이외에 상호 맞물릴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컬럼부재 바디(1411)의 양쪽 측부에는 슬릿(1418)이 셔틀(144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릿(1418)의 중간 부분에는 릴리즈부(1419)가 구비된다. 릴리즈부(1419)는 캐리어(1462)가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이동하는 중에 캐리어(1462)의 일부분이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다. 릴리즈부(1419)의 작용으로 캐리어(1462)가 셔틀(1441)에서 맞물림 해제되어 셔틀(144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컬럼부재 바디(1411)의 양쪽 측부에는 가이드홈(1420)이 셔틀(144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홈(1420)에 셔틀(1441)의 셔틀 후크(1443)가 배치되어 셔틀 후크(1443)가 가이드홈(14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홈(1420)의 끝단에는 셔틀(1441)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컬럼부재 디텐트(1421)가 구비된다. 셔틀(1441)이 센서 유닛(100)과 함께 제 1 위치에서 이동하여 제 2 위치에 도달할 때 셔틀 후크(1443)가 컬럼부재 디텐트(1421)에 접함으로써 셔틀(1441)이 제 2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다.
컬럼부재 바디(1411)의 또 다른 양쪽 측부에는 셔틀(1441)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는 클램핑부(1424)와 블록킹부(1429)가 구비된다.
클램핑부(1424)는 셔틀(1441)과 맞물릴 수 있으며, 삽입 유닛 조립체(14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셔틀(1441)을 컬럼부재(1410)에 임시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클램핑부(1424)는 클램핑부 디텐트(1426)가 구비된 클램핑부 암(1425)과, 사용자 조작을 위해 클램핑부 암(1425)에 연결되는 노브(1427)를 포함한다. 클램핑부 디텐트(1426)는 컬럼부재 바디(1411)의 안쪽으로 돌출된 형태, 또는 셔틀(1441)의 일측에 맞물릴 수 있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램핑부 암(1425)은 컬럼부재 바디(1411)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자가 노브(1427)를 당길 때 클램핑부 암(1425)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삽입 유닛 조립체(1400)는 셔틀(1441)이 클램핑부(1424)에 의해 컬럼부재(1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결합될 수 있다. 셔틀(1441)이 클램핑부(1424)에 의해 컬럼부재(1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셔틀(1441)은 움직일 수 없다. 도 3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셔틀(1441)이 컬럼부재(1410)의 내부에 삽입된 후 클램핑부(1424)의 클램핑부 디텐트(1426)가 셔틀(1441)의 셔틀 래치(1448)에 맞물릴 때, 셔틀(1441)이 컬럼부재(1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셔틀 래치(1448)가 클램핑부 디텐트(1426)에 맞물려 있으므로 셔틀(1441)은 컬럼부재(141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없다.
도 3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 유닛 조립체(1400)를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결합한 후, 사용자가 노브(1427)를 당겨 클램핑부 암(1425)을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클램핑부 디텐트(1426)를 셔틀 래치(1448)에서 맞물림 해제시킬 수 있다.
셔틀(1441)을 컬럼부재(1410)에 임시 고정하는 방식은 컬럼부재(1410)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클램핑부(1424)를 이용하는 방식 이외에 다양한 다른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블록킹부(1429)는 제 2 위치에 도달한 셔틀(1441)을 제 2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블록킹부(1429)는 블록킹부 디텐트(1431)가 구비된 블록킹부 암(1430)과, 사용자 조작을 위해 블록킹부 암(1430)에 연결되는 노브(1432)를 포함한다. 블록킹부 디텐트(1431)는 컬럼부재 바디(1411)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형태, 또는 셔틀(1441)의 일측에 접할 수 있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킹부 암(1430)은 컬럼부재 바디(1411)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다.
어플리케이터(1100)가 작동하여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한 후 어플리케이터(1100)는 신체 부착 유닛에서 분리되어 폐기될 필요가 있다. 블록킹부(1429)는 셔틀(1441)이 제 2 위치로 이동한 후 셔틀(1441)의 움직임을 구속함으로써 어플리케이터(1100)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셔틀(1441)이 제 2 위치로 이동한 후 블록킹부 디텐트(1431)가 셔틀(1441)의 일측에 접함으로써 셔틀(1441)이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터(1100)의 사용 후 셔틀(1441)이 제 2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어플리케이터(1100)는 재사용될 수 없다.
셔틀(1441)은 컬럼부재(1410)의 내부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셔틀(1441)은 내측에 니들 어셈블리(1460)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셔틀 바디(1442)를 포함한다. 셔틀 바디(1442)의 일측에는 셔틀(144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셔틀 후크(1443)가 구비된다. 셔틀(1441)의 다른 일측에는 셔틀 돌기(1444)가 구비된다. 셔틀 돌기(1444)는 스토퍼부재(1500)에 접할 수 있도록 셔틀 바디(1442)로부터 돌출된다. 셔틀(1441)은 셔틀 돌기(1444)가 스토퍼부재(1500)에 접함으로써 제 1 위치에 고정되고, 셔틀 돌기(1444)가 스토퍼부재(1500)로부터 벗어날 때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셔틀 바디(1442)의 양쪽 측부에는 한 쌍의 슬릿(1445)이 셔틀(144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릿(1445)의 중간 부분에는 캐리어(1462)의 캐리어 래치(1477)가 맞물릴 수 있는 셔틀 디텐트(1446)가 구비된다. 캐리어 래치(1477)가 셔틀 디텐트(1446)에 맞물린 상태에서 캐리어(1462)는 셔틀(1441)과 함께 이동하고 셔틀(144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없다. 그리고 캐리어 래치(1477)가 셔틀 디텐트(1446)에서 맞물림 해제될 때 캐리어(1462)는 셔틀(144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셔틀 바디(1442)의 또 다른 양쪽 측부에는 컬럼부재(1410)의 클램핑부(1424)와 맞물릴 수 있는 셔틀 래치(1448)와, 블록킹부(1429)에 접할 수 있는 디텐트부(1449)가 구비된다.
셔틀 래치(1448)가 클램핑부(1424)의 클램핑부 디텐트(1426)와 맞물릴 때 셔틀(1441)은 컬럼부재(14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클램핑부(1424)에 의한 임시 고정 상태가 해제될 때 클램핑부 디텐트(1426)는 셔틀 래치(1448)와 인접하도록 셔틀 바디(1442)에 형성된 가이드홈(1450)에 삽입된다. 가이드홈(1450)은 셔틀(144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셔틀(1441)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클램핑부 디텐트(1426)는 가이드홈(1450) 속에서 셔틀(144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셔틀 래치(1448)의 형태나 위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디텐트부(1449)는 블록킹부(1429)의 블록킹부 디텐트(1431)와 접할 수 있도록 셔틀 바디(1442)의 끝단에 구비된다. 셔틀(1441)이 제 2 위치로 이동한 후 디텐트부(1449)가 블록킹부 디텐트(1431)와 마주하도록 놓임으로써 셔틀(1441)이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 블록킹부 디텐트(1431)는 셔틀 바디(1442)에 형성된 가이드홈(1451) 속에 삽입되어 셔틀(144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홈(1451)은 셔틀(144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홈(1451)의 일측에는 셔틀 경사부(1452)가 배치된다. 셔틀 경사부(1452)는 셔틀(1441)의 이동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된다. 셔틀(1441)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블록킹부 디텐트(1431)가 가이드홈(1451)을 따라 상대 이동하다가 셔틀 경사부(1452)에 도달할 때 블록킹부 암(1430)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블록킹부 암(1430)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블록킹부 디텐트(1431)가 셔틀 경사부(1452)를 원활하게 통과하여 디텐트부(1449)와 마주하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디텐트부(1449)의 형태나 위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셔틀 바디(1442)의 한쪽 단부에는 센서 유닛(100)과 접하는 셔틀 바닥부(1453)가 구비된다. 셔틀 바닥부(1453)에는 니들(1485)이 삽입되는 셔틀 관통구(1454)와,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홈(138)에 삽입되는 누름돌기(1455)가 구비된다.
이 밖에, 셔틀(1441)은 셔틀 개구(1458)를 포함한다. 셔틀 개구(1458)는 셔틀 바디(1442)의 한쪽 측부에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삽입 유닛 조립체(14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니들 어셈블리(1460)가 셔틀 개구(1458)를 통해 셔틀 바디(1442)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셔틀(1441)은 셔틀 드라이버(1490)로부터 이동력을 제공받아 움직인다. 셔틀 드라이버(1490)는 셔틀(1441)에 대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491)를 포함한다. 도 3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셔틀(1441)은 컬럼부재(141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결합되기 전에 탄성부재(1491)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클램핑부(1424)에 의해 컬럼부재(1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 유닛 조립체(1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결합된 후 클램핑부(1424)가 셔틀 래치(1448)에서 맞물림 해제되면 셔틀 돌기(1444)가 스토퍼부재(1500)에 접하면서 셔틀(1441)은 스토퍼부재(1500)에 의해 제 1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니들 어셈블리(1460)는 센서 유닛(1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어(1462)와, 센서 유닛(100)을 관통하도록 캐리어(1462)에 결합되는 니들(1485)을 포함한다. 니들(1485)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는 니들 바디(1486)와, 캐리어(1462)에 결합되는 니들 헤드(1487)를 포함한다.
캐리어(1462)는 니들(1485)이 결합되는 캐리어 바디(1463)와, 캐리어 바디(1463)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캐리어 윙(1471)과, 캐리어 바디(1463)의 측부에 연결되는 그립 암(1479)을 포함한다. 캐리어 바디(1463)의 일측에는 니들(1485)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1465)이 형성된다. 캐리어 윙(1471)은 캐리어 바디(1463)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다. 캐리어 윙(1471)은 트리거(1474) 및 캐리어 래치(1477)를 포함한다. 트리거(1474)는 셔틀(1441)의 슬릿(1445) 및 컬럼부재(1410)의 슬릿(1418)에 삽입되고, 컬럼부재(1410)의 릴리즈부(1419)에 접촉할 수 있다. 캐리어 래치(1477)는 셔틀(1441)의 셔틀 디텐트(1446)에 맞물릴 수 있다. 캐리어 래치(1477)가 셔틀 디텐트(1446)에 맞물린 상태에서 캐리어(1462)는 탄성부재(1496)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1496)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그리고 트리거(1474)가 릴리즈부(1419)에 접하여 캐리어 윙(1471)이 탄성 변형될 때 캐리어 래치(1477)가 셔틀 디텐트(1446)에서 벗어나 캐리어(1462)가 움직일 수 있다. 그립 암(1479)은 캐리어 바디(1463)의 측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센서 유닛(100)과 맞물릴 수 있다. 그립 암(1479)에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맞물리는 그립 돌기(1480)와, 컬럼부재(1410)의 내벽에 접하는 돌출부(1481)가 구비된다.
도 30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캐리어(1462)는 캐리어 바디(1463)가 셔틀(1441)의 내측에 위치하고 그립 암(1479)의 끝단이 셔틀(1441)로부터 돌출되도록 셔틀(1441)에 결합된다. 그리고 도 30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캐리어(1462)는 한 쌍의 그립 암(1479)이 센서 유닛(100)과 맞물리는 방식으로 센서 유닛(100)을 셔틀(1441)에 고정할 수 있다.
캐리어(1462)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1495)에 의해 셔틀(144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1495)는 캐리어(1462)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496)를 포함한다.
도 3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 유닛 조립체(1400)는 셔틀(1441)을 움직이기 위한 셔틀 드라이버(1490)의 탄성부재(1491)와 니들 어셈블리(1460)를 움직이기 위한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1495)의 탄성부재(1496)가 탄성 변형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삽입 유닛 조립체(1400)는 센서 유닛(100)과 결합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삽입 유닛 조립체(1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셔틀(1441)은 클램핑부(1424)에 의해 컬럼부재(14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셔틀(1441)의 우발적인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 유닛 조립체(1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결합된 후, 클램핑부(1424)가 셔틀(1441)에 대한 구속력을 해제하도록 조작됨으로써 삽입 유닛(1440)이 작동부재(1365)에 의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클램핑부(1424)는 간단하게 셔틀(1441)의 셔틀 래치(1448)에서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노브(1427)를 당겨 클램핑부 암(1425)을 탄성 변형시키면 클램핑부 디텐트(1426)가 셔틀 래치(1448)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때, 셔틀(1441)의 셔틀 돌기(1444)가 스토퍼부재(1500)에 접하여 셔틀(1441)은 탄성부재(1491)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제 1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클램핑부 디텐트(1426)가 셔틀 래치(1448)에서 벗어날 때, 셔틀(1441)이 셔틀 드라이버(1490)의 탄성부재(1491)에 의해 약간 밀림으로써 클램핑부 디텐트(1426)가 셔틀(1441)의 가이드홈(1450)에 위치하여 셔틀 래치(1448)에서 벗어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000)는 삽입 유닛(1440)을 구성하는 셔틀(1441)과, 니들 어셈블리(1460)와, 셔틀 드라이버(1490) 및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1495)가 컬럼부재(1410)와 함께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어 어플리케이터 바디(1300)에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유닛(1440)의 설치가 용이하고,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스토퍼부재(1500)는 미들 프레임(1330)의 스테이지(1331)에 선형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스토퍼부재(1500)는 셔틀(1441)을 제 1 위치에 위치하도록 떠받치는 제 3 위치에서 셔틀(1441)과 맞물림 해제되는 제 4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1500)는 제 3 위치에서 제 1 위치에 위치한 셔틀(1441)의 셔틀 돌기(1444)와 접하여 제 1 위치에 놓인 셔틀(1441)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제 4 위치로 이동할 때 셔틀(1441)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셔틀 돌기(1444)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스토퍼부재(1500)는 스토퍼부재 바디(1510)와, 셔틀(1441)을 떠받치기 위한 받침부(1516)를 포함한다. 스토퍼부재 바디(1510)의 중간 부분에는 삽입 유닛 조립체(1400)가 삽입되는 스토퍼부재 개구(1512)가 구비된다. 스토퍼부재 바디(1510)의 한쪽 단부에는 작동부재(1365)가 접할 수 있는 브라켓부(1514)가 구비된다. 작동부재(1365)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작동부재(1365)의 가압돌기(1367)가 브라켓부(1514)에 접하여 스토퍼부재(1500)를 밀 수 있다. 받침부(1516)는 스토퍼부재 개구(1512)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받침부(1516)는 스토퍼부재 바디(1510)로부터 돌출되어 셔틀(1441)의 셔틀 돌기(1444)를 떠받칠 수 있다.
도 3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1500)가 제 3 위치에 위치할 때 받침부(1516)는 셔틀 돌기(1444)를 떠받쳐서 제 1 위치에 놓인 셔틀(1441)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한편, 도 3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작동부재(1365)를 누르면, 스토퍼부재(1500)가 리턴부재(1345)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제 4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받침부(1516)가 셔틀 돌기(1444)에서 벗어남으로써 셔틀(1441)이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니들(1485)과 센서 유닛(100)의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다. 이후 니들(1485)은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1495)에 의해 피부로부터 빠져나온다. 셔틀(1441)이 제 2 위치로 이동한 후 셔틀(1441)의 디텐트부(1449)가 블록킹부(1429)의 블록킹부 디텐트(1431)가 마주하게 되며, 셔틀(1441)은 제 1 위치로 복귀될 수 없다.
한편,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7 및 도 38은 도 36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2000)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110)를 구비하는 센서 유닛(100)과, 센서 유닛(100)과 함께 신체 부착 유닛을 구성하는 베이스 유닛(200)과, 신체 부착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2100)를 포함한다.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은 상호 분리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2100)에 설치되고, 어플리케이터(2100)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신체 부착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2100)는 베이스 유닛(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와, 사용자 조작을 위해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설치되는 작동부재(2365)와,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 유닛(2440)을 포함하는 삽입 유닛 조립체(2400)와,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부재(250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는 베이스 프레임(2310)과, 베이스 프레임(2310)의 상부를 덮는 탑 케이스(236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2310)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2312)를 갖는다. 베이스 프레임(2310)의 바닥부(2312)에는 베이스 유닛(200)이 장착되는 리세스(2313)가 구비된다. 베이스 프레임(2310)의 상부에는 스토퍼부재(2500)를 떠받치는 스테이지(2331)가 구비된다. 스테이지(2331)의 중간에는 삽입 유닛 조립체(2400)가 삽입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홈(2347)이 마련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홈(2347)의 내측에는 삽입 유닛 조립체(2400)의 컬럼부재(2410)를 고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2320)가 구비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2320)는 삽입 유닛 조립체(2400)의 컬럼부재(2410)에 맞물리는 스냅 후크(2322)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2320)는 어플리케이터 바디홈(2347)과 함께 컬럼부재(2410)를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고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2324)를 형성한다.
베이스 프레임(2310)의 일측에는 스토퍼부재(2500)를 원위치시킬 수 있는 리턴부재(2345)가 설치된다. 리턴부재(2345)는 스토퍼부재(2500)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작동부재(2365)에 의해 움직인 스토퍼부재(2500)를 원상 복귀시킬 수 있다. 리턴부재(2345)는 작동부재(2365)에 의해 전진한 스토퍼부재(2500)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스토퍼부재(2500)에 대해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작동부재(2365)는 버튼부(2366)와, 버튼부(2366)로부터 돌출되는 가압돌기(2367)를 포함한다. 작동부재(2365)는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의 안쪽으로 눌릴 때 가압돌기(2367)가 스토퍼부재(2500)를 리턴부재(2345) 쪽으로 밀어 스토퍼부재(2500)를 움직일 수 있다.
삽입 유닛 조립체(2400)는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고정되는 컬럼부재(2410)와, 센서 유닛(100)과 결합되도록 컬럼부재(2410)에 지지되어 센서 유닛(100)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삽입 유닛(2440)을 포함한다. 삽입 유닛(2440)은 컬럼부재(2410)를 통해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결합된다. 삽입 유닛(2440)은 컬럼부재(24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틀(2441)과, 셔틀(2441)과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니들 어셈블리(2460)를 포함한다. 셔틀(2441)은 센서 유닛(100)과 결합되어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의 내측에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니들 어셈블리(2460)는 셔틀(244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는 캐리어(2462)와, 캐리어(2462)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는 니들(2485)을 포함한다.
컬럼부재(2410)는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고정되어 삽입 유닛(2440)을 지지한다. 컬럼부재(2410)는 컬럼부재 바디(2411)를 포함한다. 컬럼부재 바디(2411)는 내측에 삽입 유닛(244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일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된 컬럼부재 개구(2412)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컬럼부재 바디(2411)의 일단에는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의 어플리케이터 바디홈(2347)에 삽입되는 결합 단부(2437)가 구비된다. 또한 컬럼부재 바디(2411)의 일단부에는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의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2320)와 맞물릴 수 있는 컬럼부재 스냅부(2414)가 구비된다. 컬럼부재 스냅부(2414)는 결합 단부(2437)와 함께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2343)에 결합되는 컬럼부재 결합부(2436)를 구성한다. 컬럼부재(2410)는 컬럼부재 스냅부(2414)가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2320)와 맞물림으로써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컬럼부재 스냅부(2414)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스냅부(2320)의 스냅 후크(2322)가 삽입되는 스냅 홈(2415)을 포함한다.
컬럼부재(2410)는 한쪽 끝단이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의 어플리케이터 바디홈(2347)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결합될 수 있다.
컬럼부재 바디(2411)의 측부에는 슬릿(2418)이 셔틀(244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릿(2418)의 중간 부분에는 릴리즈부(2419)가 구비된다. 릴리즈부(2419)는 캐리어(2462)가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이동하는 중에 캐리어(2462)의 일부분이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다. 릴리즈부(2419)의 작용으로 캐리어(2462)가 셔틀(2441)에서 맞물림 해제되어 셔틀(244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컬럼부재 바디(2411)의 양쪽 측부에는 가이드홈(2420)이 셔틀(244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홈(2420)에 셔틀(2441)의 셔틀 후크(2443)가 배치되어 셔틀 후크(2443)가 가이드홈(24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홈(2420)의 끝단에는 셔틀(2441)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컬럼부재 디텐트(2421)가 구비된다. 셔틀(2441)이 센서 유닛(100)과 함께 제 1 위치에서 이동하여 제 2 위치에 도달할 때 셔틀 후크(2443)가 컬럼부재 디텐트(2421)에 접함으로써 셔틀(2441)이 제 2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다.
컬럼부재 바디(2411)의 또 다른 측부에는 셔틀(2441)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는 클램핑부(2424)와 블록킹부(2429)가 구비된다.
클램핑부(2424)는 셔틀(2441)과 맞물릴 수 있으며, 삽입 유닛 조립체(24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셔틀(2441)을 컬럼부재(2410)에 임시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클램핑부(2424)는 셔틀(2441)의 일측에 맞물릴 수 있는 클램핑부 디텐트(2426)를 포함한다. 클램핑부 디텐트(2426)는 컬럼부재 바디(2411)의 안쪽으로 돌출된 형태, 또는 셔틀(2441)의 일측에 맞물릴 수 있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 유닛 조립체(2400)는 셔틀(2441)이 클램핑부(2424)에 의해 컬럼부재(2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결합될 수 있다. 셔틀(2441)이 클램핑부(2424)에 의해 컬럼부재(2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셔틀(2441)은 움직일 수 없다. 도 44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셔틀(2441)이 컬럼부재(2410)의 내부에 삽입된 후 클램핑부(2424)의 클램핑부 디텐트(2426)가 셔틀(2441)의 셔틀 래치(2448)에 맞물릴 때, 셔틀(2441)이 컬럼부재(2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셔틀 래치(2448)가 클램핑부 디텐트(2426)에 맞물려 있으므로 셔틀(2441)은 컬럼부재(241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없다. 삽입 유닛 조립체(2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결합된 후, 클램핑부 디텐트(2426)가 셔틀 래치(2448)에서 맞물림 해제된 후에 삽입 유닛(2440)이 작동할 수 있다.
블록킹부(2429)는 제 2 위치에 도달한 셔틀(2441)을 제 2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블록킹부(2429)는 셔틀(2441)의 일측에 접할 수 있는 블록킹부 디텐트(2429)를 포함한다. 블록킹부 디텐트(2429)는 컬럼부재 바디(2411)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형태, 또는 셔틀(2441)의 일측에 접할 수 있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2100)가 작동하여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한 후 어플리케이터(2100)는 신체 부착 유닛에서 분리되어 폐기될 필요가 있다. 블록킹부(2429)는 셔틀(2441)이 제 2 위치로 이동한 후 셔틀(2441)의 움직임을 구속함으로써 어플리케이터(2100)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셔틀(2441)이 제 2 위치로 이동한 후 블록킹부 디텐트(2429)가 셔틀(2441)의 일측에 접함으로써 셔틀(2441)이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클램핑부(2424)와 블록킹부(2428)는 컬럼부재 바디(2411)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컬럼부재 암(2431)에 구비된다. 컬럼부재 암(2431)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노브(2434)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노브(2434)를 당길 때 클램핑 암(2425)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도 4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 유닛 조립체(2400)를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결합한 후, 사용자가 노브(2434)를 당겨 컬럼부재 암(2431)을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클램핑부 디텐트(2426)를 셔틀 래치(2448)에서 맞물림 해제시킬 수 있다.
셔틀(2441)은 컬럼부재(2410)의 내부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셔틀(2441)은 내측에 니들 어셈블리(2460)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셔틀 바디(2442)를 포함한다. 셔틀 바디(2442)의 일측에는 셔틀(244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셔틀 후크(2443)가 구비된다. 셔틀(2441)의 다른 일측에는 셔틀 돌기(2444)가 구비된다. 셔틀 돌기(2444)는 스토퍼부재(2500)에 접할 수 있도록 셔틀 바디(2442)로부터 돌출된다. 셔틀(2441)은 셔틀 돌기(2444)가 스토퍼부재(2500)에 접함으로써 제 1 위치에 고정되고, 셔틀 돌기(2444)가 스토퍼부재(2500)로부터 벗어날 때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셔틀 바디(2442)의 측부에는 슬릿(2445)이 셔틀(244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릿(2445)의 중간 부분에는 캐리어(2462)의 캐리어 래치(2477)가 맞물릴 수 있는 셔틀 디텐트(2446)가 구비된다. 캐리어 래치(2477)가 셔틀 디텐트(2446)에 맞물린 상태에서 캐리어(2462)는 셔틀(2441)과 함께 이동하고 셔틀(244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없다. 그리고 캐리어 래치(2477)가 셔틀 디텐트(2446)에서 맞물림 해제될 때 캐리어(2462)는 셔틀(244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셔틀 바디(2442)의 또 다른 양쪽 측부에는 컬럼부재(2410)의 클램핑부(2424)와 맞물릴 수 있는 셔틀 래치(2448)와, 블록킹부(2429)에 접할 수 있는 디텐트부(2449)가 구비된다.
셔틀 래치(2448)가 클램핑부(2424)의 클램핑부 디텐트(2426)와 맞물릴 때 셔틀(2441)은 컬럼부재(24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클램핑부(2424)에 의한 임시 고정 상태가 해제될 때 클램핑부 디텐트(2426)는 셔틀 래치(2448)와 인접하도록 셔틀 바디(2442)에 형성된 가이드홈(2450)에 삽입된다. 가이드홈(2450)은 셔틀(244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셔틀(2441)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클램핑부 디텐트(2426)는 가이드홈(2450) 속에서 셔틀(244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셔틀 래치(2448)의 형태나 위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디텐트부(2449)는 블록킹부(2429)의 블록킹부 디텐트(2429)와 접할 수 있도록 셔틀 바디(2442)의 끝단에 구비된다. 셔틀(2441)이 제 2 위치로 이동한 후 디텐트부(2449)가 블록킹부 디텐트(2429)와 마주하도록 놓임으로써 셔틀(2441)이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 블록킹부 디텐트(2429)는 셔틀 바디(2442)에 형성된 가이드홈(2451) 속에 삽입되어 셔틀(244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홈(2451)은 셔틀(244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홈(2451)의 일측에는 셔틀 경사부(2452)가 배치된다. 셔틀 경사부(2452)는 셔틀(2441)의 이동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된다. 셔틀(2441)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블록킹부 디텐트(2429)가 가이드홈(2451)을 따라 상대 이동하다가 셔틀 경사부(2452)에 도달할 때 컬럼부재 암(2431)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컬럼부재 암(2431)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블록킹부 디텐트(2429)가 셔틀 경사부(2452)를 원활하게 통과하여 디텐트부(2449)와 마주하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디텐트부(2449)의 형태나 위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셔틀 바디(2442)의 한쪽 단부에는 센서 유닛(100)과 접하는 셔틀 바닥부(2453)가 구비된다. 셔틀 바닥부(2453)에는 니들(2485)이 삽입되는 셔틀 관통구(2454)와,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홈(138)에 삽입되는 누름돌기(2455)가 구비된다.
이 밖에, 셔틀(2441)은 셔틀 록킹부(2456)와, 셔틀 개구(2458)를 포함한다. 셔틀 록킹부(2456)는 스토퍼부재(500)의 록킹 돌기(525)가 삽입될 수 있는 록킹홈(2457)을 포함한다. 셔틀(2441)이 컬럼부재(2410)의 내측에서 제 2 위치에 도달할 때 록킹홈(2457)은 컬럼부재(2410)의 개구(2438)와 마주하게 된다. 셔틀 개구(2458)는 셔틀 바디(2442)의 한쪽 측부에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삽입 유닛 조립체(24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니들 어셈블리(2460)가 셔틀 개구(2458)를 통해 셔틀 바디(2442)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셔틀(2441)은 셔틀 드라이버(2490)로부터 이동력을 제공받아 움직인다. 셔틀 드라이버(2490)는 셔틀(2441)에 대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491)를 포함한다. 도 44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셔틀(2441)은 컬럼부재(241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결합되기 전에 탄성부재(2491)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클램핑부(2424)에 의해 컬럼부재(2410)에 임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유닛 조립체(2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결합된 후 클램핑부(2424)가 셔틀 래치(2448)에서 맞물림 해제되면, 셔틀 돌기(2444)가 스토퍼부재(2500)에 접하면서 셔틀(2441)은 제 1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니들 어셈블리(2460)는 센서 유닛(1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어(2462)와, 센서 유닛(100)을 관통하도록 캐리어(2462)에 결합되는 니들(2485)을 포함한다. 니들(2485)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는 니들 바디(2486)와, 캐리어(2462)에 결합되는 니들 헤드(2487)를 포함한다.
캐리어(2462)는 니들(2485)이 결합되는 캐리어 바디(2463)와, 캐리어 바디(2463)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캐리어 윙(2471)과, 캐리어 바디(2463)의 측부에 연결되는 그립 암(2479)을 포함한다. 캐리어 바디(2463)의 일측에는 니들(2485)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2465)이 형성된다. 캐리어 윙(2471)은 캐리어 바디(2463)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다. 캐리어 윙(2471)은 트리거(2474) 및 캐리어 래치(2477)를 포함한다. 트리거(2474)는 셔틀(2441)의 슬릿(2445) 및 컬럼부재(2410)의 슬릿(2418)에 삽입되고, 컬럼부재(2410)의 릴리즈부(2419)에 접촉할 수 있다. 캐리어 래치(2477)는 셔틀(2441)의 셔틀 디텐트(2446)에 맞물릴 수 있다. 캐리어 래치(2477)가 셔틀 디텐트(2446)에 맞물린 상태에서 캐리어(2462)는 탄성부재(2496)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2496)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그리고 트리거(2474)가 릴리즈부(2419)에 접하여 캐리어 윙(2471)이 탄성 변형될 때 캐리어 래치(2477)가 셔틀 디텐트(2446)에서 벗어나 캐리어(2462)가 움직일 수 있다. 그립 암(2479)은 캐리어 바디(2463)의 측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센서 유닛(100)과 맞물릴 수 있다. 그립 암(2479)에는 센서 유닛 하우징(220)에 맞물리는 그립 돌기(2480)와, 컬럼부재(2410)의 내벽에 접하는 돌출부(2481)가 구비된다.
캐리어(2462)는 캐리어 바디(2463)가 셔틀(2441)의 내측에 위치하고 그립 암(2479)의 끝단이 셔틀(2441)로부터 돌출되도록 셔틀(2441)에 결합된다. 그리고 캐리어(2462)는 한 쌍의 그립 암(2479)이 센서 유닛(100)과 맞물리는 방식으로 센서 유닛(100)을 셔틀(2441)에 고정할 수 있다.
캐리어(2462)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2495)에 의해 셔틀(244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2495)는 캐리어(2462)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496)를 포함한다.
도 44 및 도 4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 유닛 조립체(2400)는 셔틀 드라이버(2490)의 탄성부재(2491)와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2495)의 탄성부재(2496)가 탄성 변형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삽입 유닛 조립체(2400)는 센서 유닛(100)과 결합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삽입 유닛 조립체(2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셔틀(2441)은 클램핑부(2424)에 의해 컬럼부재(24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셔틀(2441)의 우발적인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 유닛 조립체(2400)가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결합된 후, 클램핑부(2424)가 셔틀(2441)에 대한 구속력을 해제하도록 조작됨으로써 삽입 유닛(2440)이 작동부재(2365)에 의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노브(2434)를 당겨 컬럼부재 암(2431)을 탄성 변형시키면 클램핑부 디텐트(2426)가 셔틀 래치(2448)에서 벗어날 수 있다.
클램핑부 디텐트(2426)가 셔틀 래치(2448)에서 벗어날 때, 셔틀(2441)이 셔틀 드라이버(2490)의 탄성부재(2491)에 의해 약간 밀림으로써 클램핑부 디텐트(2426)가 셔틀(2441)의 가이드홈(2450)에 위치하여 셔틀 래치(2448)에서 벗어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셔틀(2441)의 셔틀 돌기(2444)가 스토퍼부재(2500)에 접하여 셔틀(2441)은 탄성부재(2491)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제 1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2000)는 삽입 유닛(2440)을 구성하는 셔틀(2441)과, 니들 어셈블리(2460)와, 셔틀 드라이버(2490) 및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2495)가 컬럼부재(2410)와 함께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어 어플리케이터 바디(2300)에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유닛(2440)의 설치가 용이하고,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스토퍼부재(2500)는 미들 프레임(2330)의 스테이지(2331)에 선형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스토퍼부재(2500)는 셔틀(2441)을 제 1 위치에 위치하도록 떠받치는 제 3 위치에서 셔틀(2441)과 맞물림 해제되는 제 4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2500)는 제 3 위치에서 제 1 위치에 위치한 셔틀(2441)의 셔틀 돌기(2444)와 접하여 제 1 위치에 놓인 셔틀(2441)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제 4 위치로 이동할 때 셔틀(2441)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셔틀 돌기(2444)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스토퍼부재(2500)는 스토퍼부재 바디(2510)와, 셔틀(2441)을 떠받치기 위한 받침부(2516)와, 제 2 위치로 이동한 셔틀(2441)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스토퍼부재 록킹부(2518)를 포함한다. 스토퍼부재 록킹부(2518)는 셔틀(2441)의 록킹홈(2457)에 삽입되는 록킹 돌기(2519)를 구비한다.
스토퍼부재 바디(2510)의 중간 부분에는 삽입 유닛 조립체(2400)가 삽입되는 스토퍼부재 개구(2512)가 구비된다. 스토퍼부재 바디(2510)의 한쪽 단부에는 작동부재(2365)가 접할 수 있는 브라켓부(2514)가 구비된다.
도 3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2500)가 제 3 위치에 위치할 때 받침부(2516)는 셔틀 돌기(2444)를 떠받쳐서 제 1 위치에 놓인 셔틀(2441)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한편, 도 46 및 도 4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작동부재(2365)를 누르면, 스토퍼부재(2500)가 리턴부재(2345)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제 4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받침부(2516)가 셔틀 돌기(2444)에서 벗어남으로써 셔틀(2441)이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니들(2485)과 센서 유닛(100)의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다. 이후, 니들(2485)은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2495)에 의해 피부로부터 빠져나온다. 셔틀(2441)이 제 2 위치로 이동한 후 셔틀(2441)의 디텐트부(2449)가 블록킹부(2428)의 블록킹부 디텐트(2429)가 마주하게 되며, 셔틀(2441)은 제 1 위치로 복귀될 수 없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작동부재(2365)에 가해졌던 힘이 제거되면, 스토퍼부재(2500)가 리턴부재(2345)의 탄성력에 의해 제 3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스토퍼부재(2500)의 록킹 돌기(2519)가 컬럼부재(2410)의 개구(2438)를 통과하여 제 2 위치로 이동한 셔틀(2441)의 록킹홈(2457)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 2 위치로 이동한 셔틀(2441)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20 : 신체 부착 유닛
30 : 어플리케이터 100, 710 : 센서 유닛
110 : 센서 120 : 센서 유닛 하우징
160 : 보호 시트 200 : 베이스 유닛
210 : 베이스 유닛 하우징 300 : 어플리케이터 바디
310 : 베이스 프레임 330 : 미들 프레임
343 :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 345 : 작동부재
360 : 록킹 후크 370 : 탑 케이스
400 : 삽입 유닛 조립체 410 : 컬럼부재
430 : 삽입 유닛 431 : 셔틀
446 : 셔틀 록킹부 460 : 니들 어셈블리
462 : 캐리어 485 : 니들
490 : 셔틀 드라이버 495 :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
500 : 스토퍼부재 540 : 스토퍼부재 드라이버
600 : 리무빙 유닛 610 : 리무빙부재
620 : 리무빙부재 드라이버 1000 :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1100 : 어플리케이터 1300 : 어플리케이터 바디
1310 : 베이스 프레임 1323 :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
1345 : 리턴부재 1360 : 탑 케이스
1365 : 작동부재 1400 : 삽입 유닛 조립체
1410 : 컬럼부재 1424 : 클램핑부
1429 : 블록킹부 1434 : 컬럼부재 결합부
1440 : 삽입 유닛 1441 : 셔틀
1460 : 니들 어셈블리 1462 : 캐리어
1485 : 니들 1490 : 셔틀 드라이버
1495 :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 1500 : 스토퍼부재
2000 :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2100 : 어플리케이터
2300 : 어플리케이터 바디 2310 : 베이스 프레임
2345 : 리턴부재 2360 : 탑 케이스
2365 : 작동부재 2400 : 삽입 유닛 조립체
2410 : 컬럼부재 2424 : 클램핑부
2428 : 블록킹부 2440 : 삽입 유닛
2441 : 셔틀 2460 : 니들 어셈블리
2462 : 캐리어 2485 : 니들
2490 : 셔틀 드라이버 2495 :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
2500 : 스토퍼부재

Claims (14)

  1.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를 갖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제 1 이격 거리를 갖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제 2 이격 거리를 갖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삽입 유닛;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고정되는 컬럼부재 결합부를 갖는 컬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홈을 포함하고,
    상기 컬럼부재는 상기 삽입 유닛을 수용하는 컬럼부재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컬럼부재 결합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컬럼부재 바디의 일단에 배치되는 결합 단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는,
    상기 결합 단부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홈 속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펜스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컬럼부재 바디의 일단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컬럼부재 레그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4.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를 갖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제 1 이격 거리를 갖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제 2 이격 거리를 갖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삽입 유닛;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고정되는 컬럼부재 결합부를 갖는 컬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 및 상기 컬럼부재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냅 후크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스냅 후크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스냅 홈이 배치되는, 어플리케이터.
  5.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를 갖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제 1 이격 거리를 갖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제 2 이격 거리를 갖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삽입 유닛;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고정되는 컬럼부재 결합부를 갖는 컬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과 함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셔틀과,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셔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컬럼부재는 상기 셔틀을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셔틀은,
    상기 컬럼부재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셔틀과 상기 컬럼부재를 연결하는 클램핑부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킨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상기 컬럼부재에 임시 고정되되, 상기 컬럼부재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된 후 상기 클램핑부에 의한 임시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어플리케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컬럼부재의 일측에 마련되는 컬럼부재 디텐트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셔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램핑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셔틀은,
    상기 클램핑 후크가 상기 컬럼부재 디텐트에 맞물릴 때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킨 포지션을 유지하고, 상기 클램핑 후크가 상기 컬럼부재 디텐트에서 맞물림 해제될 때 임시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어플리케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셔틀의 일측에 구비되는 셔틀 래치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컬럼부재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클램핑부 암을 포함하고,
    상기 셔틀은,
    상기 클램핑부 암이 상기 셔틀 래치에 맞물릴 때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킨 포지션을 유지하고, 상기 클램핑부 암이 상기 셔틀 래치에서 맞물림 해제될 때 임시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어플리케이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부재에는 상기 셔틀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셔틀의 일측에 접하여 상기 셔틀을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상기 셔틀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블록킹부가 구비되는, 어플리케이터.
  9.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를 갖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제 1 이격 거리를 갖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제 2 이격 거리를 갖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삽입 유닛;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고정되는 컬럼부재 결합부를 갖는 컬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과 함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셔틀과,
    상기 셔틀에 대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컬럼부재는 상기 셔틀을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셔틀은,
    상기 컬럼부재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컬럼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컬럼부재홀을 통과하여 상기 셔틀의 일측에 마련되는 셔틀홀에 삽입되는 안전핀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킨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상기 컬럼부재에 임시 고정되되, 상기 컬럼부재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된 후 상기 안전핀에 의한 임시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어플리케이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셔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안전핀이 삽입될 수 있는 캐리어홀을 갖는 캐리어와,
    상기 센서와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에 결합되는 니들과,
    상기 캐리어에 대해 상기 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서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니들 릴리즈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컬럼부재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캐리어홀에 상기 안전핀이 삽입되어 상기 니들 릴리즈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킨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상기 셔틀에 임시 고정되되, 상기 컬럼부재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결합된 후 상기 안전핀에 의한 임시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어플리케이터.
  11.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를 갖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는 센서 유닛;
    상기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제 1 이격 거리를 갖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제 2 이격 거리를 갖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삽입 유닛;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고정되는 컬럼부재 결합부를 갖는 컬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 결합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홈을 포함하고,
    상기 컬럼부재는 상기 삽입 유닛을 수용하는 컬럼부재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컬럼부재 결합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컬럼부재 바디의 일단에 배치되는 결합 단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이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 하우징 및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과 이격되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13. 삭제
  14. 삭제
KR1020210103243A 2021-08-05 2021-08-05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646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243A KR102646235B1 (ko) 2021-08-05 2021-08-05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PCT/KR2022/007870 WO2023013870A1 (ko) 2021-08-05 2022-06-02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CN202280053202.5A CN117729883A (zh) 2021-08-05 2022-06-02 经皮传感器用敷贴器及敷贴器组件
JP2024505485A JP2024528110A (ja) 2021-08-05 2022-06-02 経皮性センサー用アプリケーター及びアプリケーター組立体
CA3227771A CA3227771A1 (en) 2021-08-05 2022-06-02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AU2022322537A AU2022322537A1 (en) 2021-08-05 2022-06-02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EP22853250.3A EP4364657A1 (en) 2021-08-05 2022-06-02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KR1020240031190A KR20240036532A (ko) 2021-08-05 2024-03-05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243A KR102646235B1 (ko) 2021-08-05 2021-08-05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1190A Division KR20240036532A (ko) 2021-08-05 2024-03-05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405A KR20230021405A (ko) 2023-02-14
KR102646235B1 true KR102646235B1 (ko) 2024-03-11

Family

ID=851560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243A KR102646235B1 (ko) 2021-08-05 2021-08-05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0240031190A KR20240036532A (ko) 2021-08-05 2024-03-05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1190A KR20240036532A (ko) 2021-08-05 2024-03-05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364657A1 (ko)
JP (1) JP2024528110A (ko)
KR (2) KR102646235B1 (ko)
CN (1) CN117729883A (ko)
AU (1) AU2022322537A1 (ko)
CA (1) CA3227771A1 (ko)
WO (1) WO202301387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583B1 (ko) 2016-06-03 2017-09-01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1184B2 (en) * 2002-11-05 2008-06-03 Abbott Diabetes Care Inc. Sensor inserter assembly
EP3632315A4 (en) * 2017-06-02 2021-03-03 I-sens, Inc. SENSOR APPLICATOR ARRANGEMENT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222049B1 (ko) * 2018-09-27 2021-03-04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어플리케이터
US11224361B2 (en) * 2019-04-23 2022-01-18 Medtronic Minimed, Inc. Flexibl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sensor assembly
KR102237092B1 (ko) 2019-04-30 2021-04-13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어플리케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583B1 (ko) 2016-06-03 2017-09-01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532A (ko) 2024-03-20
EP4364657A1 (en) 2024-05-08
CN117729883A (zh) 2024-03-19
JP2024528110A (ja) 2024-07-26
AU2022322537A1 (en) 2024-02-22
WO2023013870A1 (ko) 2023-02-09
CA3227771A1 (en) 2023-02-09
KR20230021405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5620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40124257A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646235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646234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661647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664738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597679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002013A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108828A (ko) 메디컬 디바이스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108829A (ko) 메디컬 디바이스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146279A (ko)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146278A (ko)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