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4498A -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4498A KR20240064498A KR1020230032752A KR20230032752A KR20240064498A KR 20240064498 A KR20240064498 A KR 20240064498A KR 1020230032752 A KR1020230032752 A KR 1020230032752A KR 20230032752 A KR20230032752 A KR 20230032752A KR 20240064498 A KR20240064498 A KR 202400644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chine room
- space
- mobile home
- trailer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63 superior colliculi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64—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caravans or trai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트레일러 본체와, 공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는 트레일러 본체에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된 기계실 내부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레일러 본체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이동 중이나 사용 중에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한 고장이나 파손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트레일러 본체와, 공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는 트레일러 본체에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된 기계실 내부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레일러 본체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이동 중이나 사용 중에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한 고장이나 파손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침대, 주방 등의 생활도구를 내부에 포함하는 박스 형태의 트레일러를 설치하고, 차량을 이용하여 견인하여 이동함으로써,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원하는 장소에서 숙박이 가능한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카라반, 캠핑 트레일러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워지고 있다.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내부에서 이용자가 취침, 조리 등의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여야 하므로, 일반 가정집에서 구비된 가전 기구, 화장실, 세면대, 취침을 위한 침실 등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냉난방을 위한 공조 장치(Air conditioner)는 외부 온도에 따라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을 하기 위해,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에 필수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통상 공조 장치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모세관,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어, 증발기에서 형성되는 냉기와 실외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온기를 실내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내보내어 실내의 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는 기기이다.
공조 장치는 냉동 사이클 장치가 하나의 몸체내에 장착되어 대개 창문 틀에 장착되며, 창문 틀을 중심으로 실내부가 실 내측으로 향하고, 실외부가 실외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일체형 에어컨과, 실내기와 실외기를 분리하여 실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하는 분리형 에어컨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분리형 공조 장치의 실외기는 통상 소음발생이 많은 압축기 등을 포함하고 있어, 가급적 실외에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경우에도, 공조 장치를 적용할 때, 실외기를 외부에 설치하였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2391763호에 개시된 '캠핑카용 후방 도어에 설치되는 실외기 거치대'에서는 캠핑카의 후방 도어 측에 실외기가 설치되어 주행시 바람에 의한 외부 충격과 공기 저항을 최소화시킨 실외기 거치대를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에 외부에 실외기를 설치하는 경우,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전체 외관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한국등록특허에 개시된 실외기 거치대에 견고히 고정하더라도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실외기의 고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주변에서 날라오는 이물질 등에 의해 실외기 내부가 오염되고,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해 파손의 우려를 피할 수 없다.
종래의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다른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2083740호에 개시된 '캠핑카용 에어컨'에서는 캠핑카의 하부 자축 사이 공간에 실외기를 설치하고, 실외기 근방에 압축기와 팽창밸브 등의 수용 가능한 공간을 확보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0-2083740호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 실외기가 캠핑카의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어, 실외기의 수리를 위해서는 캠핑카 차체를 들어올리는 등 수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캠핑카의 주행 중에 도로에서 튀어 올라오는 돌 등의 이물질에 의해 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있고,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고장 가능성 또한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또 다른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76955호에 개시된 '가변구조를 포함하는 캠핑카용 에어컨'에서는 캠핑카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압축기, 응축기 및 드라이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가변 구조를 갖는 캠핑카용 에어컨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76955호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 가변 구조를 갖는 공간에 맞는 사이즈의 압축기와 응축기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냉매 배관이 휘어지고,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에어컨 수리를 위해 작업자가 접근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에 있어서, 공조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조 장치의 수리나 교환에 필요한 작업자의 접근성을 보장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조 장치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주거 공간과의 분리가 가능한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조 장치를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내부에 설치하면서도, 공조 장치의 작동에 따른 원활한 공기 순환을 보장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조 장치의 급기 덕트가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내부 주거 공간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조 장치의 작동에 따른 소음의 영향이 주거 공간에 최소한으로 미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공조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트레일러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는 주거 공간과 기계실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기계실은 트레일러 본체의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는 트레일러 본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기계실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기계실은 트레일러 본체가 견인되는 견인 방향으로의 전방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주거 공간은 기계실로부터 견인 방향으로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내기는 기계실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실외기는 닐내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기계실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실내기는 기계실의 내측 벽면 중 후방 측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실외기는 기계실의 후방 측의 상기 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실내기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기계실의 내측 기계실의 내측 벽면 중 전방 측의 벽면의 하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 그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의 바닥면에는 트레일러 본체의 외부와 연통되는 하부 연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에 따라 하부 연통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실외기를 거쳐 연통 그릴을 통해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연통구는 실외기와 기계실의 후방 측의 벽면과의 이격 공간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유동 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동 차단판은 실내기와 실외기의 상하 방향으로의 사이에서 기계실의 후방 측의 벽면으로부터 전방 측의 벽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 차단판은 실외기의 작동에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실내기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급기 덕트와 흡기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급기 덕트는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주거 공간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흡기 덕트는 주거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기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층간 구획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층간 구획 구조물은 주거 공간을 1층 공간과 중이층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급기 덕트는 실내기로부터 층간 구획 구조물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층간 구획 구조물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급기 덕트는 실내기로부터의 공기를 층간 구획 구조물의 후방 측의 말단에서 주거 공간으로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 덕트는 실내기와 중이층 공간을 연통시켜, 중이층 공간으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층간 구획 구조물은 기계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주거 공간을 1층 공간과 중이층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기 덕트는 매립 급기 덕트와, 연결 급기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매립 급기 덕트는 층간 구획 구조물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급기 덕트는 실내기와 매립 급기 덕트를 견인 방향에 대한 측면 방향을 따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 급기 덕트는 제1 매립 덕트와, 제2 매립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매립 덕트는 연결 급기 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매립 덕트는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매립 덕트에는 측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후방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베인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베인은 제2 매립 덕트 내의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가이드 베인은 후방을 향해 부채꼴 형상을 갖도록 측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층간 구획 구조물은 기계실의 천장을 형성한 상태로, 기계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계실의 천장에는 중이층 공간과 기계실을 연통시키는 공조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흡기 덕트는 공조 흡입구와 실내기를 연통시켜, 공조 흡입구를 통해 중이층 공간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주거 구획 구조물과 배기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거 구획 구조물은 층간 구획 구조물의 하부의 1층 공간을 견인 방향에 대한 측면 방향으로 제1 하부 공간과 제2 하부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유닛은 제1 하부 공간과 제2 하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어 제1 하부 공간 또는 제2 하부 공간의 공기를 기계실로 배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배기 유닛은 배기용 흡입부, 배기용 토출부 및 배기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기용 흡입부는 제1 하부 공간과 제2 하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용 토출부는 기계실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 덕트는 배기용 흡입부 및 배기용 토출부을 연결하되, 적어도 일 영역이 층간 구획 구조물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배기용 흡입부는 층간 구획 구조물로부터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노출되어, 제1 하부 공간 또는 제2 하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기계실 구획 구조물, 계단 구획 벽체, 및 계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기계실 구획 벽체는 기계실과 주거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계단 구획 벽체는 기계실 구획 구조물로부터 부항으로 이격된다. 여기서, 계단은 기계실 구획 구조물과 계단 구획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중이층 공간으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주거 구획 구조물은 계단 구획 벽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배기 덕트는 배기용 흡입부로부터 층간 구획 구조물에 매립된 상태로 기계실을 향해 연장되고, 계단의 하부 공간을 통해 기계실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하부 공간과 제2 하부 공간 중 일측에는 주방용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부 공간과 제2 하부 공간 중 타측에는 욕실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레일러 본체의 무게 중심이 견인 방향으로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첫째, 공조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 중이나 사용 중에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한 고장이나 파손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둘째, 공조 장치를 기계실 내부에 설치하면서도, 수리 등을 위한 작업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제공된다.
셋째, 공조 장치를 기계실 내부에 배치시켜, 트레일러 본체의 외관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효과가 제공된다.
넷째, 공조 장치가 트레일러 본체 내부에 설치되더라도, 주거 공간과 분리되어, 공조 장치의 작동에 따른 소음 등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다섯째, 공조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중이층 영역의 말단에서 토출하고, 중이층 영역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주거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 장치의 작동에 따른 원활한 공기 순환이 보장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여섯째, 공조 장치의 공기 순환을 위한 급기 덕트 및 흡기 덕트를 기계실, 트레일러 본체의 내부 구조물 내부에 매립시켜, 실내 공간 활용과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일곱째, 공조 장치가 설치된 기계실의 위치가 견인 방향으로의 전방에 편향되게 배치되고, 욕실 구조와 주방 구조가 기계실에 인접하게 전방에 편향되어 배치되어, 무게 중심이 견인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전방 측이 위치하게 한다. 이를 통해, 견인을 위한 차량과의 결착 과정이나 견인 후 주행 과정에서, 하중이 견인 방향으로의 전방에 걸리게 되어, 차량과의 결착을 용이하게 하고, 주행 중 결착 부위의 안정적인 결합을 보장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이동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트레일러 본체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기계실을 정면에서 바라면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급기 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공조 장치의 작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배기 유닛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의 프레임 구조물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전방 측과 후방 측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하부 측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하부 측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급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오수나 하수 처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이동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트레일러 본체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기계실을 정면에서 바라면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급기 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공조 장치의 작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배기 유닛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의 프레임 구조물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전방 측과 후방 측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하부 측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하부 측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급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오수나 하수 처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전방(FD)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후방(BD)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이동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을 이용하여 견인될 때, 견인 방향(TD)을 중심으로, 견인되는 방향을 전방(FD)으로 정의하고, 견인 방향(TD)의 반대측 방향을 후방(BD)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지면을 좌표 평면으로 할 때, 견인 방향(TD)과 수직한 방향을 측면 방향(SD)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트레일러 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트레일러 본체(100)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기계실(430)과, 주거 공간(4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1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C)에 견인된 상태로 이동하거나, 트럭(T)과 같은 차량(C)의 화물칸 측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트레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동 트레이(30)는 이동형 휠(31) 및 견인 모듈(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 트레이(30)에는 트레일러 본체(100)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견인 모듈(32)은 이동 트레이(30)의 전방(FD)으로 돌출된 위치에 형성되어, 차량(C)의 견인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동형 휠(31)은 좌우 방향으로 한 쌍씩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트레이(30)에 설치되어, 4개의 이동형 휠(31)이 이동 트레이(3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일 실시예로 하나의 이동형 휠(31)은 복륜 타이어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트레일러 본체(100)가 이동 트레이(30)에 안착된 상태로 차량(C)에 의해 견인되어 이동하거나, 트레일러 본체(100)가 트럭(T) 등의 차량(C)이 화물칸 측에 고정되어 이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로 정의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캠핑 트레일러', '카라반' 등의 명칭으로도 정의될 수 있는 바, 그 명칭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국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트레일러 본체(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기계실(430)과, 주거 공간(40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430)은 트레일러 본체(100)의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에로, 기계실(430)은 트레일러 본체(100)에 전방(FD)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주거 공간(400)은 기계실(430)로부터 후방(BD)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공조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공조 장치(300)가 트레일러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기계실(43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공조 장치(300)가 주거 공간(400)과 분리된 기계실(430) 내부에 수용되어, 트레일러 본체(100) 외부에 설치될 때의 문제점, 즉, 트레일러 본체(100) 외관의 미관을 해체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공조 장치(300)가 트레일러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차량(C) 등에 의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등에 의해 공조 장치(300)가 오염되거나 고장, 파손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300)의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기계실(430)을 정면에서 바라면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급기 덕트(3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공조 장치(300)의 작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300)는 실내기(310)와 실외기(32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즉, 실내기(310)와 실외기(320) 분리형의 공조 장치(300)가 적용되는 것을 예로 하는데, 실내기(310)와 실외기(320)가 일체로 구성되는 일체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실내기(310)는 기계실(430)의 상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310)는 기계실(430)의 상부 측에서 후술할 급기 덕트(330) 및 흡기 덕트(34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실외기(320)는 기계실(430) 내부에서 실내기(3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내기(310)가 기계실(430)의 내측 벽면 중 후방(BD) 측의 벽면(23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기계실(430)의 후방(BD) 측의 벽면(230)은 후술할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실외기(320)는 기계실(430)의 후방(BD) 측의 벽면(230)으로부터 전방(FD)으로 이격된 상태로, 실내기(310)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일 실시예로, 기계실(430)의 내측 벽면 중 전방(FD) 측의 벽면(234)의 하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 그릴(4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430)의 바닥면에는 트레일러 본체(100)의 외부와 연통되는 하부 연통구(4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320)의 작동에 따라 하부 연통구(43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실외기(320)를 거쳐 연통 그릴(431)을 통해 외부로 유동함으로써, 실외기(320)와 열교환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 연통구(432)는 실외기(320)와 기계실(430)의 후방(BD) 측의 벽면(230)과의 이격 공간 하부 측에 형성되어, 하부 연통구(43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실외기(320)가 기계실(430)의 후방(BD) 측의 벽면(230)과의 이격 공간을 따라 유동하면서 실외기(320) 측으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유동 차단판(4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차단판(433)은 실내기(310)와 실외기(3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사이에서 기계실(430)의 후방(BD) 측의 벽면(230)으로부터 전방(FD) 측의 벽면(234)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유동 차단판(433)은 실외기(320)의 작동에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실내기(310)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310)가 냉기를 주거 공간(400)으로 공급하도록 동작할 때, 실외기(320)의 열기가 실내기(310)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기(310)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하부 연통구(43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실외기(320) 측으로 보다 쉽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실외기(320)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동 차단판(433)이 기계실(430)의 후방(BD) 측의 벽면(230)과, 양측 측면 방향(SD)의 벽면(233)에 모두 연결되는 것을 예로 하며, 전방(FD) 측의 벽면(234)과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예로 한다.
일 실시예로, 기계실(430)의 전방(FD) 측의 벽면(234)은 기계실(43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계실(430)의 전방(FD) 측의 벽면(234)의 하부 측에는 연통 그릴(431)이 형성되며, 그 상부 측에 착탈 가능한 전방(FD) 측의 벽면(234)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실내기(310)나 실외기(320)와 같은 공조 장치(300)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교체가 필요할 때, 기계실(430)의 전방(FD) 측 벽면(234)과, 연통 그릴(431)을 탈거한 후 수리나 교체가 가능하게 되어, 작업자의 접근성을 보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구획 구조물(210)은 트레일러 본체(100)에 형성된 주거 공간(400)을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으로 구획한다.
여기서, 중이층은 복층, 메자닌(Mezzanine) 등의 표현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1층 공간(410) 대비 일부 공간이 2층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계단(350)을 통해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이 연결되는 구조를 중이층 공간(420)의 정의하며, 그 명칭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급기 덕트(330)와 흡기 덕트(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급기 덕트(330)는 공조 장치(300)의 실내기(310)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주거 공간(400)으로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흡기 덕트(340)는 주거 공간(4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 장치(300)의 실내기(31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급기 덕트(330)가 실내기(310)로부터 층간 구획 구조물(210) 내부로 매립된 상태로 층간 구획 구조물(210)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급기 덕트(330)는 실내기(310)에서 토출된 공기를 층간 구획 구조물(2120)의 기계실(430) 반대측 말단, 즉 후방(BD) 측 말단에서 주거 공간(400)으로 토출시키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흡기 덕트(340)가 실내기(310)와 중이층 공간(420)을 연통시키는 것을 예로 하다. 이를 통해 흡기 덕트(340)는 중이층 공간(42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기(31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 공조 장치(3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주거 공간(400)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급기 덕트(330)가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을 구획하는 층간 구획 구조몰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급기 덕트(330)가 주거 공간(400) 내부에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주거 공간(400)의 실내 디자인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거 공간(400)의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계실(430)이 트레일러 본체(100)의 전방(FD)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되고, 주거 공간(400)이 기계실(430)의 후방(BD)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구획 구조물(210)은 기계실(430)으로부터 후방(BD) 측으로 연장되어 주거 공간(400)을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을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층간 구획 구조물(210)에 매립된 상태로 후방(BD) 측으로 연장되는 급기 덕트(330)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을 따라 기계실(430)로부터 후방(BD)으로 연장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기 덕트(330)는 매립 급기 덕트(331)와, 연결 급기 덕트(3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 급기 덕트(331)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후방(BD)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급기 덕트(332)는 공조 장치(300), 예컨대, 실내기(310)와 매립 급기 덕트(331)를 측면 방향(SD)을 따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연결 급기 덕트(3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310)의 하부 측에서 실내기(310)와 결합된 상태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측면 방향(SD)으로 연장되어, 매립 급기 덕트(33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상부 측 영역, 즉 중이층 공간(420)의 바닥을 제거하여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 급기 덕트(331)는 제1 매립 덕트(3311)와, 제2 매립 덕트(3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매립 덕트(3311)는 일측이 연결 급기 덕트(332)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매립 덕트(3312)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매립 덕트(3311)는 제2 매립 덕트(33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계단(350)의 상부 측에서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을 연결하는 연결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연결 공간의 일 측면에 배치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매립 덕트(3312)는 일측이 제1 매립 덕트(3311)와 연결되고, 타측이 층간 구획 공간의 후방(BD) 측 말단에 형성된 공조 토출구(341)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매립 덕트(3312)는 도 8의 확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BD)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공조 토출구(341)는 제2 매립 덕트(3312)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후방(BD) 측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실외기(320)로부터 연결 매립 덕트, 제1 매립 덕트(3311)를 통해 유동하던 공기는 제2 매립 덕트(3312)에서 측면 방향(SD)으로 넓게 퍼진 상태로 공조 토출구(341)를 통해 토출되어, 넓은 범위에서 주거 공간(400)으로 토출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가이드 베인(3313)이 제2 매립 덕트(3312)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가이드 베인(3313)은 측면 방향(SD)을 따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전방(FD) 측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 베인(3313)은 전방(FD)을 향해 부체꼴 형상을 갖도록 측면 방향(SD)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매립 덕트(3311)로부터 제2 매립 덕트(3312)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측면 방향(SD) 어느 일측으로 집중되지 않고, 각각의 가이드 베인(3313)의 가이드에 따라 측면 방향(SD)으로 분기되어 유동함으로써, 공조 토출구(341)를 통해 측면 방향(SD)으로 보다 고르게 토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구획 구조물(2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430)의 천장을 형성한 상태로, 기계실(430)의 후방(BD) 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기계실(430)의 천장, 즉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기계실(430) 상부 측에는 중이층 공간(420)과 기계실(430)을 연통시키는 공조 흡입구(34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기 덕트(340)는 기계실(430)의 천장에 형성된 공조 흡입구(342)와 공조 장치(300)의 실내기(310)를 연통시켜, 공조 흡입구(342)를 통해 중이층 공간(420)의 공기를 실내기(310) 측으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공조 장치(300)가 작동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300)가 작동하게 되면, 실외기(32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연결 급기 덕트(332), 제1 매립 덕트(3311), 제2 매립 덕트(3312)를 거쳐,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후방(BD) 측 발단에 형성된 공조 토출구(341)를 통해 주거 공간(400) 측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층간 구획 구조몰이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을 형성하는 구조물이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거 공간(4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중간 영역에서 주거 공간(400)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공조 토출구(341)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주거 공간(400)을 순환하게 되는데, 중이층 공간(420)의 전방(FD) 측에 형성된 공조 흡입구(342)를 통해 실외기(320)가 공기를 흡입하게 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 모두 고른 난방 또는 냉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기계실(43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력의 연결을 위한 단자함(27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단자함(270) 및 후술할 배터리(B)와 연결되는 배전반(360)이 기계실(430)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주거 구획 구조물(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거 구획 구조물(220)은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하부 측의 1층 공간(410)을 제1 하부 공간(411), 제2 하부 공간(412)으로 구획한다. 즉, 주거 공간(400)의 전방(FD) 측이 층간 구획 구조물(21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으로 구획되고, 1층 공간(410)이 주거 구획 구조물(220)에 의해 측면 방향(SD)으로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1층 공간(410)이 제1 하부 공간(411), 제2 하부 공간(412), 그리고, 후방(BD) 측의 거실 공간(413)으로 구분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거실 공간(413)의 층고가 제1 하부 공간(411) 및 제2 하부 공간(412)의 층고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은 도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하부 공간(411)에 출입구(261) 측이 형성되고, 주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주방 공간에, 주방용 구조물, 예컨대, 냉장고(51), 싱크대(52), 조리 기구(53), 접이식 테이블(54), 세탁기(57)가 배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설치되는 가전이나 가구의 유형이나 배치가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2 하부 공간(412)에 욕실 구조물 예컨대, 욕실과 화장실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일 실시예로, 화장실에는 세면대(56)와 변기(55)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공조 장치(300)가 설치된 기계실(430)의 위치가 견인 방향(TD)으로의 전방(FD)에 편향되게 배치되고, 욕실 구조와 주방 구조가 기계실(430)에 인접하게 전방(FD)에 편향되어 배치되어, 무게 중심이 견인 방향(TD)의 중심으로부터 전방(FD) 측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견인을 위한 차량(C)과의 결착 과정이나 견인 후 주행 과정에서, 하중이 견인 방향(TD)으로의 전방(FD)에 걸리게 되어, 차량(C)과의 결착을 용이하게 하고, 주행 중 결착 부위의 안정적인 결합을 보장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배기 유닛(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기 유닛(500)이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어 제1 하부 공간(411) 및/또는 제2 하부 공간(412)의 공기를 기계실(430)로 배기시키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하부 공간(411)에 조리 기구(53)가 설치되고, 제2 하부 공간(412)에 욕실 및 화장실이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배기 유닛(500)이 조리 기구(53)의 상부와 욕실 및 화장실의 상부 측에서 공기를 배기시키는 것을 예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배기 유닛(500)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유닛(500)은 배기용 흡입부(510), 배기용 토출부(520) 및 배기 덕트(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기용 흡입부(510)는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용 흡입부(510)가 제1 하부 공간(411)의 조리기구 상부 측과, 제2 하부 공간(412)의 욕실 및 화장실의 상부 측에 하부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용 토출부(520)는 배기 덕트(530)를 통해 배기용 토출부(520)와 연결되어, 배기용 토출부(520)를 통해 흡입되는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의 공기를 기계실(430)로 토출한다. 도 6에서는 배기용 토출부(520)가 기계실(430)의 유동 차단판(433)의 하부 측으로 연통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덕트(530)는 배기용 흡입부(510)와 배기용 토출부(52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기 덕트(530) 중 적어도 일 영역이 층간 구획 구조몰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도 10에서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하부 판, 즉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의 천장을 형성하는 하부 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 판의 하부에서 하부 판과의 사이에 매립되는 것을 예로 한다. 도 8에서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하부 판의 상부에 배기 덕트(530)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배기용 흡입부(510)에는 제1 하부 공간(411) 또는 제2 하부 공간(412)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팬(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부 공간(412), 즉, 욕실 및 화장실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배기용 흡입부(510)에는 제1 하부 공간(411)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제2 하부 공간(41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개폐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판은 배기팬의 동작과 연동하여 개방되어, 제2 하부 공간(412)의 공기를 흡입 가능하게 하고, 배기팬의 동작이 멈출 때 배기용 흡입부(510)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은, 도 4,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430)과 주거 공간(400)을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의 기계실(430) 측 벽면은 앞서 설명한 기계실(430)의 후방(BD) 측 벽면(230)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계단 구획 벽체(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계단 구획 벽체(240)는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로부터 후방(BD) 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과 계단 구획 벽체(240) 사이에는 계단(350)이 형성되어,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으로의 이동을 보장하게 된다. 여기서, 계단(350)의 상부 측의 층간 구획 구조물(210)에는 연결 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이용자는 계단(350)으로 올라가 연결 공간을 통해 중이층 공간(420)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을 구획하는 주거 구획 구조물(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구획 벽체(240)로부터 후방(BD) 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계단(350)의 하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 덕트(530)는 배기용 흡입부(510)로부터 전방(FD) 측으로 연장된 후, 층간 구획 구조물(210)에 매립된 상태로 기계실(430)을 향해 연장되는데, 층간 구획 구조물(210)로부터 계단(350)의 하부 공간을 통해 기계실(430)로 연결되는 것을 예로 한다.
따라서, 배기 유닛(500)을 구성하는 배기용 흡입부(510) 만이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의 천장 영역에 노출된 상태로, 배기 덕트(530)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 계단(350)의 하부 공간, 그리고 기계실(430)로 연장되어, 배기를 위한 구조가 주거 공간(400) 내부에 노출되는 영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트레일러 본체(100)의 골격과, 외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레일러 본체(100)는 내부에 주거 공간(40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층간 구획 구조물(2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거 공간(400)을 트레일러 본체(100)의 전방(FD) 측에서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으로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입문(260)이 제1 하부 공간(411)을 통해 외부와 출입 가능하도록 트레일러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거 구획 구조물(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공간(411)이 전방(FD)으로부터 후방(BD)으로 갈수록 측면 방향(SD)으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을 구획하는 것을 예로 한다.
일 실시예로, 출입문(260)은 전방(FD)을 향해 개방되도록 트레일러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가 출입문(260)을 개방한 후, 제1 하부 공간(411)을 통해 트레일러 본체(100) 내부로 들어오면서 주거 공간(400) 내부를 바라볼 때, 내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져, 내부 공간이 넓게 느껴지는 개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공조 장치(300)에 의한 공기 순환의 경우에도, 공기의 유동 단면적이 가변되어 보다 원활한 공기의 유동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입문(260)을 개방하여 외부 공기로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때, 출입문(26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의 단면적이 넓어져, 원활한 공기 순환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환기 모듈(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환기 모듈(350)은 트레일러 본체(100)의 후방(BD) 측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주거 공간(4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환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환기 모듈(3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260)에 대해 후방(BD) 측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환기 모듈(350)은 외부와 연통되는 환기구(352)와, 환기구(352)를 통해 주거 공간(4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환기시키는 환기팬(35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환기 모듈(350)은 주거 공간(400)의 후방(BD) 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수납 가구(58)의 측면 방향(SD)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출입문(260)이 개방되면, 출입구(261)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환기팬(351)의 작동에 따라, 제1 하부 공간(411)을 지나 거실 공간(413)을 대각선 방향으로 유동하여 환기구(352)를 통해 외부로 유동하게 되어, 주거 공간(400)의 전면적에 걸쳐 효과적인 환기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100)는 프레임 구조물(110)과, 외관 구조물(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110)은 트레일러 본체(100)의 전체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외관 구조물(130)은 프레임 구조물(110)에 설치되어, 트레일러 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외관 구조물(130)은 트레일러 본체(100)의 외부 표면 뿐만 아니라, 트레일러 본체(100)의 내부 벽면, 천장, 바닥 등을 형성하는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100)의 프레임 구조물(110)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레임 구조물(110)은 전후 방향, 측면 방향(SD),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트레일러 본체(1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11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은 상호 연결된 상태도 일부 프레임은 중첩되게, 전방 프레임(111), 후방 프레임(112), 층간 구획 프레임(211)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외관 구조물(130)은 전방 외관 구조물(1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외관 구조물(13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 본체(100)의 전방(FD) 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방 외관 구조물(131)은 상하로 각각 배치되는 전방(FD) 상구 구조물과 전방 하부 구조물(13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전방(FD) 측과 후방(BD) 측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방 외관 구조물(131)의 전방 상부 구조물(1311)은 판면이 하부로 갈수록 전방(FD)을 향해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도 12의 θ1 참조). 그리고, 전방 하부 구조물(1312)은 판면이 하부로 갈수록 후방(BD)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도 12의 θ2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비나 눈, 또는 이물질이 상부에서 떨어지더라도 전방 외관 구조물(131)을 따라 하부로 내려가면서, 전방 상부 구조물(1311)과 전방 하부 구조물(1312) 간의 경계 영역에서 지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 등이 출입구(26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1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방 프레임(111)은 트레일러 본체(100)의 전방(FD) 측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방 외관 구조물(131)은 전방 프레임(111)에 설치되어, 트레일러 본체(100)의 전방(FD)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방 프레임(111)이 전방 상부 프레임(1111)과 전방 하부 프레임(1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일 실시예로, 전방 상부 프레임(1111)은 전방 상부 구조물(1311)이 하부로 갈수록 전방(FD)을 향해 경사지도록 전방 상부 구조물(1311)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전방 상부 프레임(1111)은 대각 사각 틀 형태로 구현되며, 하부로 갈수록 전방(FD)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하부 프레임(1112)은 전방 하부 구조물(1312)이 하부로 갈수록 후방(BD)을 향해 경사지도록 전방 하부 구조물(1312)을 지지할 수 있다. 전방 하부 프레임(1112) 또한, 대각 사각 틀 형태로 구현되며, 하부로 갈수록 후방(BD)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 상부 프레임(1111)과 전방 하부 프레임(1112)의 경계 영역은 하나의 프레임을 공유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방 상부 구조물(1311)은 중이층 공간(420)의 전방(FD)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상부 구조물(1311)은 중이층 공간(420)으로부터 전방(FD) 외부를 주시 가능한 재질, 예를 들어 유리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중이층 공간(420)에서 전방 상부 구조물(1311)을 통해 트레일러 본체(100) 외부를 조망하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전방 프레임(111)은 측면 방향(SD)으로 일측에 기계실(430)을 형성하기 위한 기계실 프레임(1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111)은 측면 방향(SD)으로의 타측에 출입문(260)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261)를 형성하기 위한 출입 프레임(11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계실 프레임(1113)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직육면체의 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 프레임(1113)의 후방(BD) 측 벽면, 즉 계단(250)과 마주하는 벽면은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에 의해 형성되는데,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의 내부에 기계실 프레임(1113)이 내장되어, 벽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430)의 측면 방향(SD)으로의 벽면(233)은 기계실 프레임(1113)에 의해 고정되는 벽체나, 구획 구조물을 통해 형성 가능한다.
그리고, 기계실 프레임(1113)의 전방(FD) 측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한 전방(FD) 측 벽면(234)과, 연통 그릴(431)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계실 프레임(1113)과 출입 프레임(1114)은 전방 프레임(111) 중 전방 하부 프레임(1112)보다 후방(BD) 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출입구(261) 및 기계실(430)과, 전방 외관 구조물(131) 간에 이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입문(260)을 개방하더라도, 이격 공간을 통해 이물질 등이 출입구(26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 외관 구조물(130)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외관 그릴이 적용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기계실(430)의 전방(FD) 측의 연통 그릴(431)을 통해 배출되는 실외기(320)의 공기가 외관 그릴을 통해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100)는 출입 계단(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입 계단(350)은 전방 프레임(111)의 출입 프레임(1114)의 하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출입 계단(350)은 접이식으로 마련되고, 접힌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계단(350) 수용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가 차량(C) 등에 견인된 상태로 이동할 때에는 출입 계단(350)을 접어 계단(350) 수용부에 인입시킨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를 이용할 때에는 출입 계단(350)을 계단(350) 수용부로부터 인출시켜 계단(350)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관 구조물(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BD) 외관 구조물(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BD) 외관 구조물(130)은 트레일러 본체(100)의 후방(BD) 측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후방(BD) 외관 구조물(130)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FD)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나 눈, 또는 이물질이 상부로부터 낙하하더라도, 후방(BD) 외관 구조물(130)에 걸리거나 붙지 않고, 쉽게 하부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방(BD) 외관 구조물(130)이 투명한 재질, 예를 들어 강화 유리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후방(BD) 외관 형상의 디자인적 요소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1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 본체(100)의 후방(BD) 측 골격을 형성하는 후방 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후방 프레임(112)은 후방 수직 프레임(1121)과, 후방 경사 프레임(1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방 수직 프레임(112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후방 경사 프레임(1122)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후방 수직 프레임(1121)과의 이격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도 12의 θ3 참조). 여기서, 후방 경사 프레임(1122)은 후방(BD) 외관 구조물(130)을 지지하여, 후방(BD) 외관 구조물(130)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지도록 설치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후방 수직 프레임(1121)에는 실내 후방(BD) 측의 벽면을 형성하는 내부 후방(BD) 구조물(59)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후방(BD) 구조물(59)로 내측으로 주시할 수 있는 거울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후방(BD) 구조물(59)과 후방(BD) 외관 구조물(130) 사이에는 후방 수직 프레임(1121)과 후방 경사 프레임(1122) 간의 경사 구조에 의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통해, 차량(C)의 주행 중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내부 후방(BD) 구조물, 예컨대 거울이 파손되더라도 후방(BD) 외관 구조물(130)과의 사이 공간으로 파손된 조각이 떨어져 보다 안전한 주거 환경을 보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구획 프레임(211)이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내부에서 층간 구획 구조물(210)을 지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층간 구획 프레임(211)은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상부 판과 하부 판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층간 구획 구조물(210)을 지지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층간 구획 구조물(210)이 기계실(430)의 천장을 형성하며 후방(BD) 측을 향해 연장되는 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구획 프레임(211) 또한 기계실(430)의 상부로부터 후방(BD) 측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층간 구획 프레임(211)에 의해 지지되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상부 판 및 하부 판이 각각, 중이층 공간(420)의 바닥과, 1층 공간(410)의 천장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이 상부 판과 하부판,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층간 구획 프레임(211)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그러나, 층간 구획 구조물(210)은 상부 판과 하부 판을 연결하는 측판, 내측에서 상부 판과 하부 판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 기둥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11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틀 형상으로 마련되어 트레일러 본체(100)의 하부 측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프레임(113)은 전술한 이동 트레이(30)와 결합되어, 이동 트레이(3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113)의 상부에는 주거 공간(400)의 바닥면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부 프레임(113)에는 측면 방향(SD)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하부 수평 프레임(1131)을 포함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114)은 트레일러 본체(100)의 상부 골격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14)에는 트레일러 본체(100)의 상부측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외관 구조물(133)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외관 구조물(133)이 전후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아치 형상(A)을 갖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비, 눈 또는 이물질이 상부 외관 구조물(133)에 낙하하더라도 측면 방향(SD)으로 쉽게 이동하여 외부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 외관 구조물(133)에 적어도 하나의 태양광 패널(1331)이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태양광 패널(1331)을 통해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어, 배터리(B)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배터리(B)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 본체(100)의 하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태양광 패널(1331) 또한 아치 형상으로 설치되어, 빗물 등이 측면 방향(SD)으로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측의 측면 프레임(115)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 본체(100)의 측면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프레임(115)에는 측면 외관 구조물(134)이 설치되어, 트레일러 본체(10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하부 측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하부 측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정수 탱크(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 탱크(600)는 트레일러 본체(100)의 하부 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하부 프레임(1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정수 탱크(600)에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프레임 삽입홈(610)이 각각 측면 방향(SD)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프레임 삽입홈(610)에는 앞서 설명한 하부 수평 프레임(1131)이 상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형태가 되도록 정수 탱크(600)가 하부 프레임(113)이 설치된다.
이를 통해, 차량(C)의 이동에 따라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가 이동할 때, 정수 탱크(600)의 프레임 삽입홈(610)이 하부 수평 프레임(1131)에 걸려 정수 탱크(600)의 전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보다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정수 탱크(600)에 물이 저장되는 경우, 정수 탱크(600)의 무게가 무거워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이동시, 급정거나 급출발에 의해 정수 탱크(600)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프레임 삽입홈(610)에 삽입되는 하부 수평 프레임(1131)으로 제한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공급 파이프(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급 파이프(620)는 외부의 물을 정수 탱크(600)로 공급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공급 파이브는 일측이 기계실(430)로 연장되고, 타측이 정수 탱크(600)에 연결되어, 정수 탱크(600)로 외부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 파이프(620)의 기계실(430) 측 말단에는 외부로부터의 물 공급을 위한 호스가 접속 가능한 공급 단자(62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공급 단자(621)가 기계실(430)의 전방(FD) 측 벽면 외부, 예를 들어, 연통 그릴(43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일 실시예로, 정수 탱크(600)의 바닥면은 후방(BD) 측으로 갈수록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주거 공간(400)으로 정수 탱크(600)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파이프(630)가 정수 탱크(600)의 후방(BD)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정수 탱크(600)의 바닥면이 후방(BD)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정수 탱크(600)의 물은 최종적으로 후방(BD) 측으로 모이게 됨으로써, 정수 탱크(600)의 물을 최대한 활용 가능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급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수 탱크(600)의 후방(BD) 측으로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630)는 트레일러 본체(100)의 하부 측에서 전방(FD)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 탱크에 저장된 물을 급수 파이프(63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 펌프(640)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 본체(100)의 하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급수 파이프(630)는 급수 분배기(631)를 통해, 주거 공간(400)으로 분배되어 공급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세탁기(57) 측으로 공급하는 파이프(632), 싱크대(52) 측으로 공급하는 파이프(633), 욕실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샤워기로 공급하는 파이프(634), 세면대(56) 측으로 공급하는 파이프(635), 변기(55) 측으로 공급하는 파이프(636)가 급수 분배기(631)를 통해 분배되는 것을 예로 한다.
도 15에서는 급수 파이브들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주거 공간(400)의 바닥, 주거 구획 구조물(220), 층간 구획 구조물(210) 내부에 매설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오수나 하수 처리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재활용 오수통(710), 오수 파이프(711), 재활용 파이프(712) 및 오수 펌프(7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오수통(710)은 하부 프레임(113)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재활용 오수통(710)은 주거 공간(400)의 바닥면 하부 측에 배치된 상태로 하부 프레임(113)에 고정되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파이프(711)는 일측이 재활용 오수통(710)과 연결된다. 그리고, 오수 파이프(711)의 타측은 제1 하부 공간(411) 및 제2 하부 공간(412) 중 적어도 하나로 연장되어, 오수를 재활용 오수통(710)으로 유동시킨다.
일 실시예로, 오수 파이프(71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공간(411)의 세탁기(57), 싱크대(52)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유동시키는 파이프(711a)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711a)는 주거 구획 구조물(220)을 관통하여 제1 하부 공간(41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오수 파이프(711)는 제2 하부 공간(412), 즉 욕실과 화장실에서 세면대(56)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유동시키는 파이프(711b), 욕실의 바닥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유동시키는 파이프(71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수 파이프(711)는 재활용 오수통(710)의 전단에서 합쳐서, 각각의 위치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재활용 오수통(710)으로 회수하게 된다.
재활용 파이프(712)는 일측이 재활용 오수통(71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재활용 파이프(712)의 타측은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변기(55)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하부 공간(412)에 변기(55)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여기서, 오수 펌프(713)는 재활용 오수통(710)에 저장된 오수를 재활용 파이프(712)를 통해 유동시켜, 변기(55)에 재활용 오수통(710)에 수집된 오수를 공급함으로써, 생활 오수를 변기(55)에 사용죄는 물로 재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부 공간(412)에 설치된 변기(55)의 오수를 수집하도록 계단(350)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변기통(7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변기통(720)이 계단(350)의 하부 공간에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적층된 복수의 변기통(720) 중 하부측 말단의 변기통(720)이, 변기(55) 파이프(721)와 연결되어, 변기(55)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수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여분의 변기통(720)을 계단(350)의 하부 공간에 보관하여, 하나의 변기통(720)이 포화된 상태에서 이를 처분하지 못할 때 다른 변기통(720)으로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통(720)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변기통(72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 본체(722), 그리고 손잡이(7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 본체(722)의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이동용 휠(724)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723)는 통 본체(7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관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은 상태로 유지하고, 변기통(720) 내의 오물 처리를 위해 이동시에는 손잡이(723)를 펼쳐 이동용 휠(724)을 이용하여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100 : 트레일러 본체
110 : 프레임 구조물 111 : 전방 프레임
1111 : 전방 상부 프레임 1112 : 전방 하부 프레임
1113 : 기계실 프레임 1114 : 출입 프레임
112 : 후방 프레임 1121 : 후방 수직 프레임
1122 : 후방 경사 프레임 113 : 하부 프레임
1131 : 하부 수평 프레임 114 : 상부 프레임
115 : 측면 프레임 130 : 외관 구조물
131 : 전방 외관 구조물 1311 : 전방 상부 구조물
1312 : 전방 하부 구조물 133 : 상부 외관 구조물
1331 : 태양광 패널 134 : 측면 외관 구조물
210 : 층간 구획 구조물 220 : 주거 구획 구조물
230 : 기계실 구획 구조물 240 : 계단 구획 벽체
250 : 계단 260 : 출입문
300 : 공조 장치 310 : 실내기
320 : 실외기 330 : 급기 덕트
331 : 매립 급기 덕트 3311 : 제1 매립 덕트
3312 : 제2 매립 덕트 3313 : 가이드 베인
332 : 연결 급기 덕트 340 : 흡기 덕트
341 : 공조 토출구 342 : 공조 흡입구
350 : 환기 모듈 351 : 환기팬
352 : 환기구 400 : 주거 공간
410 : 1층 공간 411 : 제1 하부 공간
412 : 제2 하부 공간 413 : 거실 공간
420 : 중이층 공간 430 : 기계실
431 : 연통 그릴 432 : 하부 연통구
433 : 유동 차단판 500 : 배기 유닛
510 : 배기용 흡입부 520 : 배기용 토출부
530 : 배기 덕트 600 : 정수 탱크
610 : 프레임 삽입홈 620 : 공급 파이프
621 : 공급 단자 630 : 급수 파이프
631 : 급수 분배기 640 : 급수 펌프
710 : 오수통 711 : 오수 파이프
712 : 재활용 파이프 713 : 오수 펌프
720 : 변기통 721 : 변기 파이프
110 : 프레임 구조물 111 : 전방 프레임
1111 : 전방 상부 프레임 1112 : 전방 하부 프레임
1113 : 기계실 프레임 1114 : 출입 프레임
112 : 후방 프레임 1121 : 후방 수직 프레임
1122 : 후방 경사 프레임 113 : 하부 프레임
1131 : 하부 수평 프레임 114 : 상부 프레임
115 : 측면 프레임 130 : 외관 구조물
131 : 전방 외관 구조물 1311 : 전방 상부 구조물
1312 : 전방 하부 구조물 133 : 상부 외관 구조물
1331 : 태양광 패널 134 : 측면 외관 구조물
210 : 층간 구획 구조물 220 : 주거 구획 구조물
230 : 기계실 구획 구조물 240 : 계단 구획 벽체
250 : 계단 260 : 출입문
300 : 공조 장치 310 : 실내기
320 : 실외기 330 : 급기 덕트
331 : 매립 급기 덕트 3311 : 제1 매립 덕트
3312 : 제2 매립 덕트 3313 : 가이드 베인
332 : 연결 급기 덕트 340 : 흡기 덕트
341 : 공조 토출구 342 : 공조 흡입구
350 : 환기 모듈 351 : 환기팬
352 : 환기구 400 : 주거 공간
410 : 1층 공간 411 : 제1 하부 공간
412 : 제2 하부 공간 413 : 거실 공간
420 : 중이층 공간 430 : 기계실
431 : 연통 그릴 432 : 하부 연통구
433 : 유동 차단판 500 : 배기 유닛
510 : 배기용 흡입부 520 : 배기용 토출부
530 : 배기 덕트 600 : 정수 탱크
610 : 프레임 삽입홈 620 : 공급 파이프
621 : 공급 단자 630 : 급수 파이프
631 : 급수 분배기 640 : 급수 펌프
710 : 오수통 711 : 오수 파이프
712 : 재활용 파이프 713 : 오수 펌프
720 : 변기통 721 : 변기 파이프
Claims (22)
- 주거 공간과 기계실을 형성하되, 상기 기계실이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된 트레일러 본체와;
상기 트레일러 본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는 공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트레일러 본체가 견인되는 견인 방향으로의 전방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주거 공간은 상기 기계실로부터 상기 견인 방향으로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장치는 상기 기계실의 상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기계실의 내측 벽면 중 후방 측의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실외기는 상기 기계실의 후방 측의 상기 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실내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내측 벽면 중 전방 측의 벽면의 하부 적어도 일 영역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 그릴이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의 바닥면에는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외부와 연통되는 하부 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실외기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하부 연통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실외기를 거쳐 상기 연통 그릴을 통해 외부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통구는
상기 실외기와 상기 기계실의 후방 측의 상기 벽면과의 이격 공간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의 상하 방향으로의 사이에서 상기 기계실의 후방 측의 상기 벽면으로부터 전방 측의 상기 벽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실외기의 작동에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실내기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동 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주거 공간으로 토출시키는 급기 덕트와;
상기 주거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내기로 전달하는 흡기 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 공간을 1층 공간과 중이층 공간으로 구획하는 층간 구획 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급기 덕트는 상기 실내기로부터 상기 층간 구획 구조물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상기 층간 구획 구조물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실내기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층간 구획 구조물의 후방 측의 말단에서 상기 주거 공간으로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덕트는 상기 실내기와 상기 중이층 공간을 연통시켜, 상기 중이층 공간으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구획 구조물은 상기 기계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거 공간을 상기 1층 공간과 상기 중이층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덕트는
상기 층간 구획 구조물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매립 급기 덕트와;
상기 실내기와 상기 매립 급기 덕트를 상기 견인 방향에 대한 측면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연결 급기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급기 덕트는
상기 연결 급기 덕트와 연결되는 제1 매립 덕트와,
상기 제1 매립 덕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매립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매립 덕트는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립 덕트에는 측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상태로 후방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2 매립 덕트 내의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베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1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가이드 베인은 후방을 향해 부채꼴 형상을 갖도록 측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구획 구조물은 상기 기계실의 천장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기계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계실의 천장에는 상기 중이층 공간과 상기 기계실을 연통시키는 공조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기 덕트는 상기 공조 흡입구와 상기 실내기를 연통시켜, 상기 공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중이층 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구획 구조물의 하부의 상기 1층 공간을 상기 견인 방향에 대한 측면 방향으로 제1 하부 공간과 제2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는 주거 구획 구조물과;
상기 제1 하부 공간과 상기 제2 하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어 상기 제1 하부 공간 또는 상기 제2 하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기계실로 배기시키는 배기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제1 하부 공간과 상기 제2 하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는 배기용 흡입부와;
상기 기계실과 연통되는 배기용 토출부와;
상기 배기용 흡입부 및 상기 배기용 토출부을 연결하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층간 구획 구조물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용 흡입부는 상기 층간 구획 구조물로부터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노출되어, 상기 제1 하부 공간 또는 상기 제2 하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과 상기 주거 공간을 구획하는 기계실 구획 구조물과,
상기 기계실 구획 구조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계단 구획 벽체와,
상기 기계실 구획 구조물과 상기 계단 구획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중이층 공간으로 이동을 보장하는 계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거 구획 구조물은 상기 계단 구획 벽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배기용 흡입부로부터 상기 층간 구획 구조물에 매립된 상태로 상기 기계실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계단의 하부 공간을 통해 상기 기계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공간과 상기 제2 하부 공간 중 일측에는 주방용 구조물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하부 공간과 상기 제2 하부 공간 중 타측에는 욕실 구조물이 설치되어,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무게 중심이 상기 견인 방향으로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3/017442 WO2024096646A1 (ko) | 2022-11-04 | 2023-11-03 |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PCT/KR2023/017444 WO2024096647A1 (ko) | 2022-11-04 | 2023-11-03 |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146475 | 2022-11-04 | ||
KR1020220146475 | 2022-11-0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4498A true KR20240064498A (ko) | 2024-05-13 |
Family
ID=91073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2752A KR20240064498A (ko) | 2022-11-04 | 2023-03-13 |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64498A (ko) |
-
2023
- 2023-03-13 KR KR1020230032752A patent/KR20240064498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46327A (en) | Air conditioner conversion kits for vans and recreational vehicles | |
US6701741B2 (en) | Room air-conditioner | |
CN203793071U (zh) | 一种汽车用空调器 | |
US4699207A (en) | Recreational vehicle incorporating an integrated venting system | |
CN201438008U (zh) | 建筑结构空调系统 | |
KR102266507B1 (ko) | 캠핑카를 기반으로 한 건축 구조물 호환형 이동 주거 시스템 | |
JP5438430B2 (ja) | 建物構造 | |
KR20240064498A (ko) |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
CN206234941U (zh) | 一种多功能中央空调系统 | |
KR20240064497A (ko) |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
US20240367723A1 (en) | Single-level fifth wheel travel trailer with pass-through storage compartment | |
JP6306276B1 (ja) | 移動施設のエアコン搭載構造 | |
KR102409729B1 (ko) |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 | |
CN207268502U (zh) | 空调室内机 | |
KR20240118034A (ko) |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
JP2021092146A (ja) | 電化住宅 | |
KR101052173B1 (ko) | 벽걸이 양변기 급수설비 일체형의 냉방기능 보강 환기장치 및 그 설치구조 | |
CN207268501U (zh) | 空调室内机 | |
CN213777921U (zh) | 一种柜式空调器 | |
CN204943680U (zh) | 分体落地式空调器 | |
CN217672055U (zh) | 纵向分布暗藏式房车空调内机及应用该内机的车辆 | |
CN216953241U (zh) | 风管机安装结构 | |
CN213973769U (zh) | 一种越野旅居拖车 | |
CN218316440U (zh) | 一种新型内部布局的b型房车 | |
CN216942597U (zh) | 驻车空调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