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4497A -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4497A
KR20240064497A KR1020230031853A KR20230031853A KR20240064497A KR 20240064497 A KR20240064497 A KR 20240064497A KR 1020230031853 A KR1020230031853 A KR 1020230031853A KR 20230031853 A KR20230031853 A KR 20230031853A KR 20240064497 A KR20240064497 A KR 20240064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ace
trailer
mobile home
mach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석
이원진
유중길
차현병
이상윤
안광운
오민규
육지민
황성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744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96646A1/ko
Priority to PCT/KR2023/017444 priority patent/WO2024096647A1/ko
Publication of KR20240064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449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rear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60P3/2215Mounting of tanks to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5Arrangements for hoses, tubes, or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4Toilet faci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8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에서는 내부의 주거 공간을 측면 방향으로 구획하는 주거 구획 구조물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측면 방향으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공기의 원활한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HOUSE TRAILER}
본 발명은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침대, 주방 등의 생활도구를 내부에 포함하는 박스 형태의 트레일러를 설치하고, 차량을 이용하여 견인하여 이동함으로써,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원하는 장소에서 숙박이 가능한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카라반, 캠핑 트레일러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워지고 있다.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내부에서 이용자가 취침, 조리 등의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여야 하므로, 일반 가정집에서 구비된 가전 기구, 화장실, 세면대, 취침을 위한 침실 등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냉난방을 위한 공조기기(Air conditioner)는 외부 온도에 따라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을 하기 위해,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에 필수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통상 공조기기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모세관,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어, 증발기에서 형성되는 냉기와 실외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온기를 실내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내보내어 실내의 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는 기기이다.
공조기기는 냉동 사이클 장치가 하나의 몸체내에 장착되어 대개 창문 틀에 장착되며, 창문 틀을 중심으로 실내부가 실 내측으로 향하고, 실외부가 실외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일체형 에어컨과, 실내기와 실외기를 분리하여 실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하는 분리형 에어컨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분리형 공조기기의 실외기는 통상 소음발생이 많은 압축기 등을 포함하고 있어, 가급적 실외에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경우에도, 공조기기를 적용할 때, 실외기를 외부에 설치하였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2391763호에 개시된 '캠핑카용 후방 도어에 설치되는 실외기 거치대'에서는 캠핑카의 후방 도어 측에 실외기가 설치되어 주행시 바람에 의한 외부 충격과 공기 저항을 최소화시킨 실외기 거치대를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에 외부에 실외기를 설치하는 경우,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전체 외관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한국등록특허에 개시된 실외기 거치대에 견고히 고정하더라도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실외기의 고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주변에서 날라오는 이물질 등에 의해 실외기 내부가 오염되고,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해 파손의 우려를 피할 수 없다.
한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경우, 일반 주택과는 다르게, 창문 같이 외부와의 환기를 위한 시설의 설치가 제한적일 수 있다. 이는 트레일러가 차량 등에 견인된 상태로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이동하는 점을 고려하여, 많은 창문을 강화 유리 등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제한이 있다.
또한, 창문을 열고 닫는 구조가 차량의 이동 중의 진동에 취약한 점에서, 창문을 설치하더라도 열고 닫을 수 없는 구조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구조적인 폐쇄성으로 인해,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경우,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구조가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라는 제한적인 상황에 맞게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에 있어서, 실내 공기의 효율적인 환기가 가능한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의 큰 변화없이 효율적인 환기가 가능한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빗물이나 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외관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 구조물의 파손에도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견인되어 이동할 때,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주거 공간으로 원활한 급수가 가능한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오수의 처리 및 재활용이 용이한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에서는 내부의 주거 공간을 측면 방향으로 구획하는 주거 구획 구조물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측면 방향으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공기의 원활한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로,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트레일러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일러 본체는 내부에 주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층간 구획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층간 구획 구조물은 주거 공간을 트레일러 본체의 전방 측에서 1층 공간과 중이층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주거 구획 구조물은 층간 구획 구조물의 하부 측의 1층 공간을 트레일러 본체의 측면 방향으로 제1 하부 공간과 제2 하부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부 공간을 통해 외부와 출입 가능하게 트레일러 본체에 출입문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주거 구획 구조물은 제1 하부 공간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측면 방향으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제1 하부 공간과 제2 하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출입문은 전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트레일러 본체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을 통해, 외부 공기가 제1 하부 공간을 통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는 프레임 구조물과 외관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은 트레일러 본체의 골격을 형성하고, 외관 구조물은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되어 트레일러 본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외관 구조물은 전방 외관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방 외관 구조물은 트레일러 본체의 전방 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외관 구조물은 상하로 각각 배치되는 전방 상부 구조물과 전방 하부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방 상부 구조물은 판면이 하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전방 하부 구조물은 판면이 하부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레임 구조물은 트레일러 본체의 전방 측 골격을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프레임은 전방 상부 프레임과 전방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방 상부 프레임은 전방 상부 구조물이 하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전방 상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하부 프레임은 전방 하부 구조물이 하부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전방 하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방 상부 구조물은 중이층 공간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상부 구조물은 중이층 공간으로부터 전방 외부를 주시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프레임은 전방 프레임은 기계실 프레임과, 출입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계실 프레임은 측면 방향으로의 일측에 기계실을 형성하고, 출입 프레임은 측면 방향으로의 타측에 출입문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외관 구조물은 트레일러 본체의 후방 측 외관을 형성하고,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경사진 후방 외관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레임 구조물은 트레일러 본체의 후방 측 골격을 형성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 프레임은 후방 수직 프레임과 후방 경사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후방 수직 프레임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방 경사 프레임은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후방 수직 프레임과의 이격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후방 외관 구조물을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후방 수직 프레임에는 주거 공간을 향해 배치되는 거울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레임 구조물은 트레일러 본체의 하부 골격의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트레일러 본체의 하부 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하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정수 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부 프레임은 측면 방향을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하부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 탱크에는 각각의 수평 하부 프레임이 상부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프레임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일측이 기계실로 연장되고, 타측이 정수 탱크에 연결되어 정수 탱크로 외부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정수 탱크의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주거 공간으로 정수 탱크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파이프가 정수 탱크의 후방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재활용 오수통, 오수 파이프, 재활용 파이프 및 오수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재활용 오수통은 하부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오수 파이프는 일측이 재활용 오수통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1 하부 공간 및 제2 하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로 연장될 수 있다. 오수 파이프는 제1 하부 공간 및 제2 하부 공간에서 사용한 오수를 재활용 오수통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재활용 파이프는 일측이 재활용 오수통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1 하부 공간과 상기 제2 하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변기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재활용 파이프는 재활용 오수통에 저장된 오수를 변기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오수 펌프는 재활용 오수통에 저장된 오수를 재활용 파이프를 통해 유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기계실 구획 구조물, 계단 구획 벽체, 계단, 및 변기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기계실 구획 구조물은 기계실과 주거 공간을 구획하도록 기계실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계단 구획 벽체는 기계실 구획 구조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다. 여기서, 계단은 기계실 구획 구조물과 계단 구획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중이층 공간으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변기통은 제2 공간에 설치된 변기의 오수를 수집하도록 계단의 하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변기통은 복수개가 계단의 하부 공간에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환기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환기 모듈은 트레일러 본체의 후방 측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주거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환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환기 모듈은 출입문에 대해 후방 측으로 대각선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첫째, 주거 공간을 가로지르는 주거 구획 구조물을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하여, 출입문의 개방시 원활한 공기 순환이 가능한 효과가 제공된다.
둘째,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환기 모듈과 출입문을 전후방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시켜, 주거 공간 전체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셋째, 트레일러 본체의 전방 측과 후방 측이 상하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빗물이나 눈 등의 이물질이 외관을 따라 흐르지 않고 하부로 낙하할 수 있어, 이물질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넷째, 트레일러 본체의 전방 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출입구 측으로 상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다섯째, 상부 측 외관이 아치 형상으로 구현되어, 빗물 등의 이물질이 측면 방향으로 쉽게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여섯째, 정수 탱크에 형성된 프레임 삽입홈이 수평 하부 프레임에 전후 방향으로 걸린 상태가 유지되어, 차량 등에 의한 이동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한 효과가 제공된다.
일곱째, 싱크대나 세탁기 등의 오수를 변기의 물로 재활용하여, 오수의 재활용과 함께 정수 탱크의 물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이동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트레일러 본체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기계실을 정면에서 바라면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급기 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공조 장치의 작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배기 유닛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의 프레임 구조물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전방 측과 후방 측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하부 측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하부 측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급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의 오수나 하수 처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후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트레일러 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트레일러 본체(100)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기계실(430)과, 주거 공간(4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이동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1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C)에 견인된 상태로 이동하거나, 트럭(T)과 같은 차량(C)의 화물칸 측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트레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동 트레이(30)는 이동형 휠(31) 및 견인 모듈(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 트레이(30)에는 트레일러 본체(100)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견인 모듈(32)은 이동 트레이(30)의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 형성되어, 차량(C)의 견인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동형 휠(31)은 좌우 방향으로 한 쌍씩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트레이(30)에 설치되어, 4개의 이동형 휠(31)이 이동 트레이(3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일 실시예로 하나의 이동형 휠(31)은 복륜 타이어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트레일러 본체(100)가 이동 트레이(30)에 안착된 상태로 차량(C)에 의해 견인되어 이동하거나, 트레일러 본체(100)가 트럭(T) 등의 차량(C)이 화물칸 측에 고정되어 이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로 정의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캠핑 트레일러', '카라반' 등의 명칭으로도 정의될 수 있는 바, 그 명칭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국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트레일러 본체(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기계실(430)과, 주거 공간(40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구획 구조물(210)은 트레일러 본체(100)에 형성된 주거 공간(400)을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으로 구획한다.
여기서, 중이층은 복층, 메자닌(Mezzanine) 등의 표현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1층 공간(410) 대비 일부 공간이 2층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계단(350)을 통해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이 연결되는 구조를 중이층 공간(420)의 정의하며, 그 명칭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공조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조 장치(300)는 트레일러 본체(100)의 기계실(43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급기 덕트(330)와 흡기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급기 덕트(330)는 공조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주거 공간(400)으로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흡기 덕트는 주거 공간(4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급기 덕트(330)가 공조 장치(300)로부터 층간 구획 구조물(210) 내부로 매립된 상태로 층간 구획 구조물(210)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급기 덕트(330)는 공조 장치(300)에서 토출된 공기를 층간 구획 구조몰의 기계실(430) 반대측 말단에서 주거 공간(400)으로 토출시키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흡기 덕트가 공조 장치(300)와 중이층 공간(420)을 연통시키는 것을 예로 하다. 이를 통해 흡기 덕트는 중이층 공간(42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 장치(30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공조 장치(300)에 주거 공간(400)과 분리된 기계실(430) 내부에 수용되어, 트레일러 본체(100) 외부에 설치될 때의 문제점, 즉, 트레일러 본체(100) 외관이 미관을 해체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공조 장치(300)가 트레일러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차량(C) 등에 의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등에 의해 공조 장치(300)가 유염되거나 고장, 파손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조 장치(3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주거 공간(400)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급기 덕트(330)가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을 구획하는 층간 구획 구조몰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급기 덕트(330)가 주거 공간(400) 내부에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주거 공간(400)의 실내 디자인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거 공간(400)의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계실(430)이 트레일러 본체(100)의 전방 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주거 공간(400)은 기계실(430)로부터 후방 측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구획 구조물(210)은 기계실(430)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연장되어 주거 공간(400)을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을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층간 구획 구조물(210)에 매립된 상태로 후방 측으로 연장되는 급기 덕트(330)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을 따라 기계실(430)로부터 후방 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계실(430)이 설치된 위치를 트레일러 본체(100)의 전방으로 정의하고, 주거 공간(400)이 형성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전후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측면 방향으로 정의하고, 높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트레일러 본체(100)의 전방 측으로 견인 모듈(32)이 위치하여 차량(C)에 견인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후방 측으로 견인 모듈(32)이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전방, 후방, 측면 방향, 상하 방향은 상대적인 표현으로, 각 구성요소들 간의 상호 간의 위치 관계를 정의하기 이해 임의로 정의된 표현으로, 차량(C)의 이동 방향 등을 정의하는 표현이 아님을 밝힌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300)의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기계실(430)을 정면에서 바라면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급기 덕트(3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공조 장치(300)의 작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300)는 실내기(310)와 실외기(32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즉, 실내기(310)와 실외기(320) 분리형의 공조 장치(300)가 적용되는 것을 예로 하는데, 실내기(310)와 실외기(320)가 일체로 구성되는 일체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실내기(310)는 기계실(430)의 상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310)는 기계실(430)의 상부 측에서 급기 덕트(330) 및 흡기 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실외기(320)는 기계실(430) 내부에서 실내기(3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내기(310)가 기계실(430)의 후방 측 벽면(23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기계실(430)의 후방측 벽면(230)은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실외기(320)는 기계실(430)의 후방 측 벽면(230)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실내기(310)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일 실시예로, 기계실(430)의 전방 측 벽면(234) 중 하부 측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 그릴(4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430)의 바닥면에는 트레일러 본체(100)의 외부와 연통되는 하부 연통구(4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320)의 작동에 따라 하부 연통구(43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실외기(320)를 거쳐 연통 그릴(431)을 통해 외부로 유동함으로써, 실외기(320)와 열교환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 연통구(432)는 실외기(320)와 기계실(430)의 후방 측 벽면(230)과의 이격 공간 하부 측에 형성되어, 하부 연통구(43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실외기(320)가 기계실(430)의 후방 측 벽면(230)과의 이격 공간을 따라 유동하면서 실외기(320) 측으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유동 차단판(4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차단판(433)은 실내기(310)와 실외기(3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사이에서 기계실(430)의 후방 측 벽면(230)으로부터 전방 측 벽면(234)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유동 차단판(433)은 실외기(320)의 작동에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실내기(310)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310)가 냉기를 주거 공간(400)으로 공급하도록 동작할 때, 실외기(320)의 열기가 실내기(310)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기(310)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하부 연통구(43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실외기(320) 측으로 보다 쉽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실외기(320)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동 차단판(433)이 기계실(430)의 후방 측 벽면(230)과, 양측 측면의 벽면(233)에 모두 연결되는 것을 예로 하며, 전방 측 벽면(234)과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예로 한다.
일 실시예로, 기계실(430)의 전방 측 벽면(234)은 기계실(43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계실(430)의 전방 측 벽면(234)의 하부 측에는 연통 그릴(431)이 형성되며, 그 상부 측에 착탈 가능한 전방 측 벽면(234)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실내기(310)나 실외기(320)와 같은 공조 장치(300)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교체가 필요할 때, 기계실(430)의 전방 측 벽면(234)과, 연통 그릴(431)을 탈거한 후 수리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기 덕트(330)는 매립 급기 덕트(331)와, 연결 급기 덕트(3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 급기 덕트(331)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후방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급기 덕트(332)는 공조 장치(300), 예컨대, 실내기(310)와 매립 급기 덕트(331)를 측면 방향을 따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연결 급기 덕트(3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310)의 하부 측에서 실내기(310)와 결합된 상태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매립 급기 덕트(33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상부 측 영역, 즉 중이층 공간(420)의 바닥을 제거하여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 급기 덕트(331)는 제1 매립 덕트(3311)와, 제2 매립 덕트(3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매립 덕트(3311)는 일측이 연결 급기 덕트(332)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매립 덕트(3312)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매립 덕트(3311)는 제2 매립 덕트(33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계단(350)의 상부 측에서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을 연결하는 연결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연결 공간의 일 측면에 배치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매립 덕트(3312)는 일측이 제1 매립 덕트(3311)와 연결되고, 타측이 층간 구획 공간의 후방 측 말단에 형성된 공조 토출구(341)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매립 덕트(3312)는 도 8의 확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공조 토출구(341)는 제2 매립 덕트(3312)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후방 측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실외기(320)로부터 연결 매립 덕트, 제1 매립 덕트(3311)를 통해 유동하던 공기는 제2 매립 덕트(3312)에서 측면 방향으로 넓게 퍼진 상태로 공조 토출구(341)를 통해 토출되어, 넓은 범위에서 주거 공간(400)으로 토출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가이드 베인(3313)이 제2 매립 덕트(3312)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가이드 베인(3313)은 측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전방 측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 베인(3313)은 전방을 향해 부체꼴 형상을 갖도록 측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매립 덕트(3311)로부터 제2 매립 덕트(3312)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측면 방향 어느 일측으로 집중되지 않고, 각각의 가이드 베인(3313)의 가이드에 따라 측면 방향으로 분기되어 유동함으로써, 공조 토출구(341)를 통해 측면 방향으로 보다 고르게 토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구획 구조물(2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430)의 천장을 형성한 상태로, 기계실(430)의 후방 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기계실(430)의 천장, 즉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기계실(430) 상부 측에는 중이층 공간(420)과 기계실(430)을 연통시키는 공조 흡입구(34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기 덕트는 기계실(430)의 천장에 형성된 공조 흡입구(342)와 공조 장치(300)의 실내기(310)를 연통시켜, 공조 흡입구(342)를 통해 중이층 공간(420)의 공기를 실내기(310) 측으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공조 장치(300)가 작동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300)가 작동하게 되면, 실외기(32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연결 급기 덕트(332), 제1 매립 덕트(3311), 제2 매립 덕트(3312)를 거쳐,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후방 측 발단에 형성된 공조 토출구(341)를 통해 주거 공간(400) 측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층간 구획 구조몰이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을 형성하는 구조물이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거 공간(4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중간 영역에서 주거 공간(400)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공조 토출구(341)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주거 공간(400)을 순환하게 되는데, 중이층 공간(420)의 전방 측에 형성된 공조 흡입구(342)를 통해 실외기(320)가 공기를 흡입하게 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 모두 고른 난방 또는 냉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기계실(43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력의 연결을 위한 단자함(27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단자함(270) 및 후술할 배터리(B)와 연결되는 배전반(360)이 기계실(430)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주거 구획 구조물(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거 구획 구조물(220)은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하부 측의 1층 공간(410)을 제1 하부 공간(411), 제2 하부 공간(412)으로 구획한다. 즉, 주거 공간(400)의 전방 측이 층간 구획 구조물(21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으로 구획되고, 1층 공간(410)이 주거 구획 구조물(220)에 의해 측면 방향으로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1층 공간(410)이 제1 하부 공간(411), 제2 하부 공간(412), 그리고, 후방 측의 거실 공간(413)으로 구분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거실 공간(413)의 층고가 제1 하부 공간(411) 및 제2 하부 공간(412)의 층고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은 도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하부 공간(411)에 출입구(261) 측이 형성되고, 주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주방 공간에, 냉장고(51), 싱크대(52), 조리 기구(53), 접이식 테이블(54), 세탁기(57)가 배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설치되는 가전이나 가구의 유형이나 배치가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2 하부 공간(412)에 욕실과 화장실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화장실에는 세면대(56)와 변기(55)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배기 유닛(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기 유닛(500)이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어 제1 하부 공간(411) 및/또는 제2 하부 공간(412)의 공기를 기계실(430)로 배기시키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하부 공간(411)에 조리 기구(53)가 설치되고, 제2 하부 공간(412)에 욕실 및 화장실이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배기 유닛(500)이 조리 기구(53)의 상부와 욕실 및 화장실의 상부 측에서 공기를 배기시키는 것을 예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배기 유닛(500)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유닛(500)은 배기용 흡입부(510), 배기용 토출부(520) 및 배기 덕트(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기용 흡입부(510)는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용 흡입부(510)가 제1 하부 공간(411)의 조리기구 상부 측과, 제2 하부 공간(412)의 욕실 및 화장실의 상부 측에 하부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용 토출부(520)는 배기 덕트(530)를 통해 배기용 토출부(520)와 연결되어, 배기용 토출부(520)를 통해 흡입되는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의 공기를 기계실(430)로 토출한다. 도 6에서는 배기용 토출부(520)가 기계실(430)의 유동 차단판(433)의 하부 측으로 연통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덕트(530)는 배기용 흡입부(510)와 배기용 토출부(52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기 덕트(530) 중 적어도 일 영역이 층간 구획 구조몰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도 10에서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하부 판, 즉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의 천장을 형성하는 하부 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 판의 하부에서 하부 판과의 사이에 매립되는 것을 예로 한다. 도 8에서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하부 판의 상부에 배기 덕트(530)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배기용 흡입부(510)에는 제1 하부 공간(411) 또는 제2 하부 공간(412)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팬(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부 공간(412), 즉, 욕실 및 화장실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배기용 흡입부(510)에는 제1 하부 공간(411)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제2 하부 공간(41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개폐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판은 배기팬의 동작과 연동하여 개방되어, 제2 하부 공간(412)의 공기를 흡입 가능하게 하고, 배기팬의 동작이 멈출 때 배기용 흡입부(510)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은, 도 4,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430)과 주거 공간(400)을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의 기계실(430) 측 벽면은 앞서 설명한 기계실(430)의 후방 측 벽면(230)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계단 구획 벽체(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계단 구획 벽체(240)는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로부터 후방 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과 계단 구획 벽체(240) 사이에는 계단(350)이 형성되어,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으로의 이동을 보장하게 된다. 여기서, 계단(350)의 상부 측의 층간 구획 구조물(210)에는 연결 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이용자는 계단(350)으로 올라가 연결 공간을 통해 중이층 공간(420)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을 구획하는 주거 구획 구조물(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구획 벽체(240)로부터 후방 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계단(350)의 하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 덕트(530)는 배기용 흡입부(510)로부터 전방 측으로 연장된 후, 층간 구획 구조물(210)에 매립된 상태로 기계실(430)을 향해 연장되는데, 층간 구획 구조물(210)로부터 계단(350)의 하부 공간을 통해 기계실(430)로 연결되는 것을 예로 한다.
따라서, 배기 유닛(500)을 구성하는 배기용 흡입부(510) 만이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의 천장 영역에 노출된 상태로, 배기 덕트(530)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 계단(350)의 하부 공간, 그리고 기계실(430)로 연장되어, 배기를 위한 구조가 주거 공간(400) 내부에 노출되는 영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트레일러 본체(100)의 골격과, 외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레일러 본체(100)는 내부에 주거 공간(40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층간 구획 구조물(2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거 공간(400)을 트레일러 본체(100)의 전방 측에서 1층 공간(410)과 중이층 공간(420)으로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입문(260)이 제1 하부 공간(411)을 통해 외부와 출입 가능하도록 트레일러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거 구획 구조물(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공간(411)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측면 방향으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을 구획하는 것을 예로 한다.
일 실시예로, 출입문(260)은 전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트레일러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가 출입문(260)을 개방한 후, 제1 하부 공간(411)을 통해 트레일러 본체(100) 내부로 들어오면서 주거 공간(400) 내부를 바라볼 때, 내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져, 내부 공간이 넓게 느껴지는 개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공조 장치(300)에 의한 공기 순환의 경우에도, 공기의 유동 단면적이 가변되어 보다 원활한 공기의 유동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입문(260)을 개방하여 외부 공기로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때, 출입문(26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의 단면적이 넓어져, 원활한 공기 순환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환기 모듈(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환기 모듈(350)은 트레일러 본체(100)의 후방 측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주거 공간(4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환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환기 모듈(3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260)에 대해 후방 측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환기 모듈(350)은 외부와 연통되는 환기구(352)와, 환기구(352)를 통해 주거 공간(4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환기시키는 환기팬(35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환기 모듈(350)은 주거 공간(400)의 후방 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수납 가구(58)의 측면 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출입문(260)이 개방되면, 출입구(261)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환기팬(351)의 작동에 따라, 제1 하부 공간(411)을 지나 거실 공간(413)을 대각선 방향으로 유동하여 환기구(352)를 통해 외부로 유동하게 되어, 주거 공간(400)의 전면적에 걸쳐 효과적인 환기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100)는 프레임 구조물(110)과, 외관 구조물(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110)은 트레일러 본체(100)의 전체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외관 구조물(130)은 프레임 구조물(110)에 설치되어, 트레일러 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외관 구조물(130)은 트레일러 본체(100)의 외부 표면 뿐만 아니라, 트레일러 본체(100)의 내부 벽면, 천장, 바닥 등을 형성하는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100)의 프레임 구조물(110)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레임 구조물(110)은 전후 방향, 측면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트레일러 본체(1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A는 프레임 구조물(110) 중 전방 프레임(111) 및 후방 프레임(112)을 구별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프레임 구조물(110) 중 층간 구획 프레임(211)을 구별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C는 프레임 구조물(110) 중 하부 프레임(113)을 구별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D는 프레임 구조물(110) 중 상부 프레임(114)을 구별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E는 프레임 구조물(110) 중 양측의 측면 프레임(115)을 구별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11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은 상호 연결된 상태도 일부 프레임은 중첩되게, 전방 프레임(111), 후방 프레임(112), 층간 구획 프레임(211) 등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외관 구조물(130)은 전방 외관 구조물(1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외관 구조물(13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 본체(100)의 전방 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방 외관 구조물(131)은 상하로 각각 배치되는 전방 상구 구조물과 전방 하부 구조물(13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전방 측과 후방 측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방 외관 구조물(131)의 전방 상부 구조물(1311)은 판면이 하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도 12의 θ1 참조). 그리고, 전방 하부 구조물(1312)은 판면이 하부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도 12의 θ2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비나 눈, 또는 이물질이 상부에서 떨어지더라도 전방 외관 구조물(131)을 따라 하부로 내려가면서, 전방 상부 구조물(1311)과 전방 하부 구조물(1312) 간의 경계 영역에서 지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 등이 출입구(26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110)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방 프레임(111)은 트레일러 본체(100)의 전방 측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방 외관 구조물(131)은 전방 프레임(111)에 설치되어, 트레일러 본체(100)의 전방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방 프레임(111)이 전방 상부 프레임(114)(1111)과 전방 하부 프레임(113)(1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일 실시예로, 전방 상부 프레임(114)(1111)은 전방 상부 구조물(1311)이 하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전방 상부 구조물(1311)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전방 상부 프레임(114)(1111)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 사각 틀 형태로 구현되며, 하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하부 프레임(113)(1112)은 전방 하부 구조물(1312)이 하부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전방 하부 구조물(1312)을 지지할 수 있다. 전방 하부 프레임(113)(1112) 또한, 대각 사각 틀 형태로 구현되며, 하부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 상부 프레임(114)(1111)과 전방 하부 프레임(113)(1112)의 경계 영역은 하나의 프레임을 공유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방 상부 구조물(1311)은 중이층 공간(4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상부 구조물(1311)은 중이층 공간(420)으로부터 전방 외부를 주시 가능한 재질, 예를 들어 유리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중이층 공간(420)에서 전방 상부 구조물(1311)을 통해 트레일러 본체(100) 외부를 조망하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전방 프레임(111)은 측면 방향으로 일측에 기계실(430)을 형성하기 위한 기계실 프레임(1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111)은 측면 방향으로의 타측에 출입문(260)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261)를 형성하기 위한 출입 프레임(11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계실 프레임(1113)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직육면체의 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 프레임(1113)의 후방 측 벽면, 즉 계단(250)과 마주하는 벽면은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에 의해 형성되는데, 기계실 구획 구조물(230)의 내부에 기계실 프레임(1113)이 내장되어, 벽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430)의 측면 방향으로의 벽면(233)은 기계실 프레임(1113)에 의해 고정되는 벽체나, 구획 구조물을 통해 형성 가능한다.
그리고, 기계실 프레임(1113)의 전방 측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한 전방 측 벽면(234)과, 연통 그릴(431)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계실 프레임(1113)과 출입 프레임(1114)은 전방 프레임(111) 중 전방 하부 프레임(113)(1112)보다 후방 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출입구(261) 및 기계실(430)과, 전방 외관 구조물(131) 간에 이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입문(260)을 개방하더라도, 이격 공간을 통해 이물질 등이 출입구(26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 외관 구조물(130)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외관 그릴이 적용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기계실(430)의 전방 측의 연통 그릴(431)을 통해 배출되는 실외기(320)의 공기가 외관 그릴을 통해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본체(100)는 출입 계단(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입 계단(350)은 전방 프레임(111)의 출입 프레임(1114)의 하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출입 계단(350)은 접이식으로 마련되고, 접힌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계단(350) 수용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가 차량(C) 등에 견인된 상태로 이동할 때에는 출입 계단(350)을 접어 계단(350) 수용부에 인입시킨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를 이용할 때에는 출입 계단(350)을 계단(350) 수용부로부터 인출시켜 계단(350)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관 구조물(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외관 구조물(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외관 구조물(130)은 트레일러 본체(100)의 후방 측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후방 외관 구조물(130)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나 눈, 또는 이물질이 상부로부터 낙하하더라도, 후방 외관 구조물(130)에 걸리거나 붙지 않고, 쉽게 하부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방 외관 구조물(130)이 투명한 재질, 예를 들어 강화 유리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후방 외관 형상의 디자인적 요소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110)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 본체(100)의 후방 측 골격을 형성하는 후방 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후방 프레임(112)은 후방 수직 프레임(1121)과, 후방 경사 프레임(1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방 수직 프레임(112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후방 경사 프레임(1122)은, 도 11A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후방 수직 프레임(1121)과의 이격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도 12의 θ3 참조). 여기서, 후방 경사 프레임(1122)은 후방 외관 구조물(130)을 지지하여, 후방 외관 구조물(130)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지도록 설치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후방 수직 프레임(1121)에는 실내 후방 측의 벽면을 형성하는 내부 후방 구조물(59)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후방 구조물(59)로 내측으로 주시할 수 있는 거울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후방 구조물(59)과 후방 외관 구조물(130) 사이에는 후방 수직 프레임(1121)과 후방 경사 프레임(1122) 간의 경사 구조에 의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통해, 차량(C)의 주행 중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내부 후방 구조물, 예컨대 거울이 파손되더라도 후방 외관 구조물(130)과의 사이 공간으로 파손된 조각이 떨어져 보다 안전한 주거 환경을 보장하게 된다.
도 11B는 프레임 구조물(110)의 층간 구획 프레임(211)을 구별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층간 구획 프레임(211)이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내부에서 층간 구획 구조물(210)을 지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층간 구획 프레임(211)은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상부 판과 하부 판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층간 구획 구조물(210)을 지지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층간 구획 구조물(210)이 기계실(430)의 천장을 형성하며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되는 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구획 프레임(211) 또한 기계실(430)의 상부로부터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층간 구획 프레임(211)에 의해 지지되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의 상부 판 및 하부 판이 각각, 중이층 공간(420)의 바닥과, 1층 공간(410)의 천장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층간 구획 구조물(210)이 상부 판과 하부판,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층간 구획 프레임(211)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그러나, 층간 구획 구조물(210)은 상부 판과 하부 판을 연결하는 측판, 내측에서 상부 판과 하부 판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 기둥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1C는 프레임 구조물(110) 중 하부 프레임(113)을 구별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113)은 사각 틀 형상으로 마련되어 트레일러 본체(100)의 하부 측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프레임(113)은 전술한 이동 트레이(30)와 결합되어, 이동 트레이(3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113)의 상부에는 주거 공간(400)의 바닥면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부 프레임(113)에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하부 수평 프레임(1131)을 포함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1D는 프레임 구조물(110) 중 상부 프레임(114)을 구별되게 도시한 도면이다. 상부 프레임(114)은 트레일러 본체(100)의 상부 골격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14)에는 트레일러 본체(100)의 상부측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외관 구조물(133)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외관 구조물(133)이 전후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아치 형상(A)을 갖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비, 눈 또는 이물질이 상부 외관 구조물(133)에 낙하하더라도 측면 방향으로 쉽게 이동하여 외부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 외관 구조물(133)에 적어도 하나의 태양광 패널(1331)이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태양광 패널(1331)을 통해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어, 배터리(B)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배터리(B)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 본체(100)의 하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태양광 패널(1331) 또한 아치 형상으로 설치되어, 빗물 등이 측면 방향으로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E는 프레임 구조물(110) 중 양측의 측면 프레임(115)을 구별되게 도시한 도면이다. 측면 프레임(115)은 트레일러 본체(100)의 측면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프레임(115)에는 측면 외관 구조물(134)이 설치되어, 트레일러 본체(10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하부 측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하부 측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정수 탱크(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 탱크(600)는 트레일러 본체(100)의 하부 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하부 프레임(1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정수 탱크(600)에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프레임 삽입홈(610)이 각각 측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프레임 삽입홈(610)에는 앞서 설명한 하부 수평 프레임(1131)이 상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형태가 되도록 정수 탱크(600)가 하부 프레임(113)이 설치된다.
이를 통해, 차량(C)의 이동에 따라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가 이동할 때, 정수 탱크(600)의 프레임 삽입홈(610)이 하부 수평 프레임(1131)에 걸려 정수 탱크(600)의 전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보다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정수 탱크(600)에 물이 저장되는 경우, 정수 탱크(600)의 무게가 무거워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이동시, 급정거나 급출발에 의해 정수 탱크(600)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프레임 삽입홈(610)에 삽입되는 하부 수평 프레임(1131)으로 제한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공급 파이프(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급 파이프(620)는 외부의 물을 정수 탱크(600)로 공급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공급 파이브는 일측이 기계실(430)로 연장되고, 타측이 정수 탱크(600)에 연결되어, 정수 탱크(600)로 외부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 파이프(620)의 기계실(430) 측 말단에는 외부로부터의 물 공급을 위한 호스가 접속 가능한 공급 단자(62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공급 단자(621)가 기계실(430)의 전방 측 벽면 외부, 예를 들어, 연통 그릴(43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일 실시예로, 정수 탱크(600)의 바닥면은 후방 측으로 갈수록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주거 공간(400)으로 정수 탱크(600)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파이프(630)가 정수 탱크(600)의 후방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정수 탱크(600)의 바닥면이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정수 탱크(600)의 물은 최종적으로 후방 측으로 모이게 됨으로써, 정수 탱크(600)의 물을 최대한 활용 가능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급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수 탱크(600)의 후방 측으로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630)는 트레일러 본체(100)의 하부 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 탱크에 저장된 물을 급수 파이프(63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 펌프(640)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 본체(100)의 하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급수 파이프(630)는 급수 분배기(631)를 통해, 주거 공간(400)으로 분배되어 공급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세탁기(57) 측으로 공급하는 파이프(632), 싱크대(52) 측으로 공급하는 파이프(633), 욕실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샤워기로 공급하는 파이프(634), 세면대(56) 측으로 공급하는 파이프(635), 변기(55) 측으로 공급하는 파이프(636)가 급수 분배기(631)를 통해 분배되는 것을 예로 한다.
도 15에서는 급수 파이브들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주거 공간(400)의 바닥, 주거 구획 구조물(220), 층간 구획 구조물(210) 내부에 매설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의 오수나 하수 처리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재활용 오수통(710), 오수 파이프(711), 재활용 파이프(712) 및 오수 펌프(7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오수통(710)은 하부 프레임(113)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재활용 오수통(710)은 주거 공간(400)의 바닥면 하부 측에 배치된 상태로 하부 프레임(113)에 고정되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파이프(711)는 일측이 재활용 오수통(710)과 연결된다. 그리고, 오수 파이프(711)의 타측은 제1 하부 공간(411) 및 제2 하부 공간(412) 중 적어도 하나로 연장되어, 오수를 재활용 오수통(710)으로 유동시킨다.
일 실시예로, 오수 파이프(71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공간(411)의 세탁기(57), 싱크대(52)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유동시키는 파이프(711a)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711a)는 주거 구획 구조물(220)을 관통하여 제1 하부 공간(41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오수 파이프(711)는 제2 하부 공간(412), 즉 욕실과 화장실에서 세면대(56)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유동시키는 파이프(711b), 욕실의 바닥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유동시키는 파이프(71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수 파이프(711)는 재활용 오수통(710)의 전단에서 합쳐서, 각각의 위치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재활용 오수통(710)으로 회수하게 된다.
재활용 파이프(712)는 일측이 재활용 오수통(71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재활용 파이프(712)의 타측은 제1 하부 공간(411)과 제2 하부 공간(41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변기(55)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하부 공간(412)에 변기(55)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여기서, 오수 펌프(713)는 재활용 오수통(710)에 저장된 오수를 재활용 파이프(712)를 통해 유동시켜, 변기(55)에 재활용 오수통(710)에 수집된 오수를 공급함으로써, 생활 오수를 변기(55)에 사용죄는 물로 재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1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부 공간(412)에 설치된 변기(55)의 오수를 수집하도록 계단(350)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변기통(7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변기통(720)이 계단(350)의 하부 공간에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적층된 복수의 변기통(720) 중 하부측 말단의 변기통(720)이, 변기(55) 파이프(721)와 연결되어, 변기(55)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수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여분의 변기통(720)을 계단(350)의 하부 공간에 보관하여, 하나의 변기통(720)이 포화된 상태에서 이를 처분하지 못할 때 다른 변기통(720)으로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통(720)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변기통(72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 본체(722), 그리고 손잡이(7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 본체(722)의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이동용 휠(724)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723)는 통 본체(7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관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은 상태로 유지하고, 변기통(720) 내의 오물 처리를 위해 이동시에는 손잡이(723)를 펼쳐 이동용 휠(724)을 이용하여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100 : 트레일러 본체
110 : 프레임 구조물 111 : 전방 프레임
1111 : 전방 상부 프레임 1112 : 전방 하부 프레임
1113 : 기계실 프레임 1114 : 출입 프레임
112 : 후방 프레임 1121 : 후방 수직 프레임
1122 : 후방 경사 프레임 113 : 하부 프레임
1131 : 하부 수평 프레임 114 : 상부 프레임
115 : 측면 프레임 130 : 외관 구조물
131 : 전방 외관 구조물 1311 : 전방 상부 구조물
1312 : 전방 하부 구조물 133 : 상부 외관 구조물
1331 : 태양광 패널 134 : 측면 외관 구조물
210 : 층간 구획 구조물 220 : 주거 구획 구조물
230 : 기계실 구획 구조물 240 : 계단 구획 벽체
250 : 계단 260 : 출입문
300 : 공조 장치 310 : 실내기
320 : 실외기 330 : 급기 덕트
331 : 매립 급기 덕트 3311 : 제1 매립 덕트
3312 : 제2 매립 덕트 3313 : 가이드 베인
332 : 연결 급기 덕트 340 : 흡입 덕트
341 : 공조 토출구 342 : 공조 흡입구
350 : 환기 모듈 351 : 환기팬
352 : 환기구 400 : 주거 공간
410 : 1층 공간 411 : 제1 하부 공간
412 : 제2 하부 공간 413 : 거실 공간
420 : 중이층 공간 430 : 기계실
431 : 연통 그릴 432 : 하부 연통구
433 : 유동 차단판 500 : 배기 유닛
510 : 배기용 흡입부 520 : 배기용 토출부
530 : 배기 덕트 600 : 정수 탱크
610 : 프레임 삽입홈 620 : 공급 파이프
621 : 공급 단자 630 : 급수 파이프
631 : 급수 분배기 640 : 급수 펌프
710 : 오수통 711 : 오수 파이프
712 : 재활용 파이프 713 : 오수 펌프
720 : 변기통 721 : 변기 파이프

Claims (18)

  1. 내부에 주거 공간을 형성하는 트레일러 본체와,
    상기 주거 공간을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전방 측에서 1층 공간과 중이층 공간으로 구획하는 층간 구획 구조물과,
    상기 층간 구획 구조물의 하부 측의 상기 1층 공간을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측면 방향으로 제1 하부 공간과 제2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는 주거 구획 구조물과,
    상기 제1 하부 공간을 통해 외부와 출입 가능하게 상기 트레일러 본체에 설치되는 출입문을 포함하며;
    상기 주거 구획 구조물은 상기 제1 하부 공간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측면 방향으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상기 제1 하부 공간과 상기 제2 하부 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은 전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트레일러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본체는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구조물은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전방 측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 외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외관 구조물은 상하로 각각 배치되는 전방 상부 구조물과 전방 하부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상부 구조물은 판면이 하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고,
    상기 전방 하부 구조물은 판면이 하부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전방 측 골격을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프레임은
    상기 전방 상부 구조물이 하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상기 전방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전방 상부 프레임과,
    상기 전방 하부 구조물이 하부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상기 전방 하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전방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상부 구조물은
    상기 중이층 공간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중이층 공간으로부터 전방 외부를 주시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은
    측면 방향으로의 일측에 기계실을 형성하기 위한 기계실 프레임과;
    측면 방향으로의 타측에 상기 출입문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를 형성하기 위한 출입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구조물은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후방 측 외관을 형성하고,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경사진 후방 외관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후방 측 골격을 형성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프레임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후방 수직 프레임과,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방 수직 프레임과의 이격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후방 외관 구조물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후방 경사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수직 프레임에는 상기 주거 공간을 향해 배치되는 거울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하부 골격의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하부 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하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정수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측면 방향을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하부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정수 탱크에는 각각의 상기 수평 하부 프레임이 상부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프레임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전방 측 골격을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은
    측면 방향으로의 일측에 기계실을 형성하기 위한 기계실 프레임과,
    측면 방향으로의 타측에 상기 출입문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를 형성하기 위한 출입 프레임을 포함하며;
    일측이 상기 기계실로 연장되고, 타측이 상기 정수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 탱크로 외부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탱크의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주거 공간으로 정수 탱크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파이프가 상기 정수 탱크의 후방 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재활용 오수통과;
    일측이 상기 재활용 오수통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하부 공간 및 상기 제2 하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하부 공간 및 상기 제2 하부 공간에서 사용한 오수를 상기 재활용 오수통으로 유동시키는 오수 파이프와;
    일측이 상기 재활용 오수통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하부 공간과 상기 제2 하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변기로 연장되어, 상기 재활용 오수통에 저장된 오수를 변기로 공급하는 재활용 파이프와;
    상기 재활용 오수통에 저장된 오수를 상기 재활용 파이프를 통해 유동시키는 오수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과 상기 주거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기계실 프레임에 설치되는 기계실 구획 구조물과,
    상기 기계실 구획 구조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계단 구획 벽체와,
    상기 기계실 구획 구조물과 상기 계단 구획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중이층 공간으로 이동을 보장하는 계단과,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된 변기의 오수를 수집하도록 상기 계단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변기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변기통은 복수개가 상기 계단의 하부 공간에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본체의 후방 측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주거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환기시키는 환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모듈은 상기 출입문에 대해 후방 측으로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KR1020230031853A 2022-11-04 2023-03-10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KR20240064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7442 WO2024096646A1 (ko) 2022-11-04 2023-11-03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PCT/KR2023/017444 WO2024096647A1 (ko) 2022-11-04 2023-11-03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46476 2022-11-04
KR1020220146476 2022-1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4497A true KR20240064497A (ko) 2024-05-13

Family

ID=9107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853A KR20240064497A (ko) 2022-11-04 2023-03-10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44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6327A (en) Air conditioner conversion kits for vans and recreational vehicles
US20020157415A1 (en) Room air-conditioner
CN205561012U (zh) 落地空调的室内机及落地空调
KR102253177B1 (ko) 가변형 욕실을 구비한 캠핑카
CN106482221A (zh) 一种空调室内机的封闭式外壳、空调器室内机及空调器
JPH11350759A (ja) バス・トイレ用のコンテナ
JP5438430B2 (ja) 建物構造
KR20240064497A (ko)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CN201438008U (zh) 建筑结构空调系统
KR20240064498A (ko) 이동 주택형 트레일러
US8109109B2 (en) System for cooling residential structures such as garages and attics
CN204126302U (zh) 干湿分离型一体化卫浴板房
KR102409729B1 (ko)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
KR101131466B1 (ko) 이동식 화장실
CN213395640U (zh) 带条状出风口的空调外机及空调外机与建筑物外立面组合模块
CN214492683U (zh) 一种生活保障车
CN210220092U (zh) 干湿帘一体冷风机
CN218316440U (zh) 一种新型内部布局的b型房车
CN217672055U (zh) 纵向分布暗藏式房车空调内机及应用该内机的车辆
CN111853970A (zh) 带条状出风口的空调外机及空调外机与建筑物外立面组合模块
KR200485034Y1 (ko) 컴팩트한 차량 적재형 캠핑하우스
CN205724530U (zh) 一种暗装箱
CN213973769U (zh) 一种越野旅居拖车
CN217078993U (zh) 一种可移动环保厕所
CN218343356U (zh) 新型自行式c型双层顶结构斜升顶露营旅居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