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729B1 -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729B1
KR102409729B1 KR1020210137075A KR20210137075A KR102409729B1 KR 102409729 B1 KR102409729 B1 KR 102409729B1 KR 1020210137075 A KR1020210137075 A KR 1020210137075A KR 20210137075 A KR20210137075 A KR 20210137075A KR 102409729 B1 KR102409729 B1 KR 102409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hole
panel
out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차원
Original Assignee
(주)이에스에너지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에스에너지연구소 filed Critical (주)이에스에너지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137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25Ventilation using vent ports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0HVAC for high buildings, e.g. thermal or pressure dif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하면이 지하 주차장의 지면과 연결되고 상면은 건물의 옥상을 관통하여 설치된 바디(20); 상기 바디(20)의 상단부에 구비된 배기 루버(30); 상기 배기 루버(30)에 지지되어 상기 바디(20)의 상단부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상기 바디(20)의 상면과의 사이에 유로(120PH)를 형성하고 상기 바디(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바람이 들어오는 인렛홀(22)과 바람이 나가는 아울렛홀(24)을 형성하는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을 포함하며, 상기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바디(20)의 일측의 인렛홀(22)에서 타측의 아울렛홀(24) 사이에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환기홀을 구비한 환기 패널(120);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20)의 상기 인렛홀(22)과 상기 환기 패널(120)의 상기 환기홀과 상기 바디(20)의 상기 아울렛홀(24)에 연통되도록 이어진 유로(120PH);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은 상기 환기 패널(120)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20)의 상기 인렛홀(22)에서 상기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건물의 지하 주차장 또는 건물의 환기가 필요한 공간에 대기의 흐름을 이어줄 수 있는 홀을 형성하고 환기부와 연결된 옥상의 천장면이 개폐되어 있고, 천장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3면은 햇빛이 통과할 수 있는 유리(164) 나머지 1면은 열저장물질로 구성되며, 돌출부의 상부에 태양광 집열장치(132)를 설치하고 바람이 들어오는 곳과 나가는 곳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원활한 자연환기를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지비를 절약할 수 있고 자연적으로 항시 가동될 수 있으며, 제트팬 등을 설치하여 구획된 지점별 개별제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화재시 확산 방지 및 신속한 소화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Building one body type hybrid natural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 주차장 또는 환기가 필요한 공간의 자연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은 각 층의 실내에 구비된 공기통로를 하나의 통기실로 연결시키고, 송풍팬을 가동하여 강제적으로 통기실로 모여진 실내의 공기를 외기로 방출하는 강제통풍을 실시하거나, 각 층마다 구비된 개별적인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각 층별도 직접 외기로 실내의 탁한 공기를 방출하는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모두 각 층의 실내에서 필요로 하는 만큼의 환기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 아니라 그 장치가 복잡하여 설치 및 운영 비용이 증가하고, 강제통풍에 따른 소음 발생 및 신체에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층건물의 상층부는 태양의 복사열로 인하여 여름철 실내 온도가 상승하여 냉방설비 가동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냉방설비를 최대부하로 가동하여도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건물의 실내 공기 환경 개선을 만족시키기 위해 급기팬 및 배기팬을 항시 가동하여야 하지만, 유지관리비용의 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가동률은 저조하다.
따라서, 건물의 실내 공기 환경 개선과 건물 이용자의 쾌적함을 유지하고, 비용적인 측면 등에서 효율적인 건물용 환기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지하 주차장의 경우 실내 공기 환경 개선 및 이에 대한 법적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급기팬 및 배기팬을 항시 작동시켜야 하나, 실상은 유지관리비용의 상승으로 인해 가동률이 저조하며, 단기간 체류하는 일반 지하 주차장 뿐만 아니라 대형 쇼핑몰 등의 주차장 역시 일산화탄소 및 라돈 등의 다양한 오염물질들에 방문자 및 종사자들이 노출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07273호(2008년02월19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785399호(2007년12월06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785400호(2007년12월06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803315호(2008년02월04일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 주차장 또는 환기가 필요한 공간의 자연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기의 흐름을 이어줄 수 있는 홀을 형성하고 환기부와 연결된 옥상의 천장면이 개폐되어 있고, 천장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3면은 햇빛이 통과할 수 있는 유리 나머지 1면은 열저장물질로 구성되며, 돌출부의 상부에 태양광 집열장치를 설치하고 바람이 들어오는 곳과 나가는 곳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원활한 자연환기를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지비를 절약할 수 있는 등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고, 제트팬 등을 설치하여 구획된 지점별 개별제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화재시 확산 방지 및 신속한 소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면이 지하 주차장의 지면과 연결되고 상면은 건물의 옥상을 관통하여 설치된 바디;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 구비된 배기 루버; 상기 배기 루버에 지지되어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상기 바디의 상면과의 사이에 유로(120PH)를 형성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바람이 들어오는 인렛홀과 바람이 나가는 아울렛홀을 형성하는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은 상기 인렛홀에서부터 상기 아울렛홀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바디의 일측의 인렛홀에서 타측의 아울렛홀 사이에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환기홀을 구비한 환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상기 인렛홀과 상기 환기 패널의 상기 환기홀과 상기 바디의 상기 아울렛홀에 연통되도록 이어진 유로(120PH);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은 상기 환기 패널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의 상기 인렛홀에서 상기 아울렛홀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기 패널은 상기 바디의 상기 인렛홀과 상기 아울렛홀 사이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센터 환기홀을 구비한 센터 환기 패널; 상기 바디의 상기 인렛홀과 상기 센터 환기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인렛 환기홀을 구비한 인렛 환기 패널; 상기 센터 환기 패널과 상기 바디의 상기 아울렛홀 사이에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아울렛 환기홀을 구비한 아울렛 환기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인렛 환기 패널의 상기 인렛 환기홀의 직경은 상기 바디의 상기 인렛홀의 직경보다 더 작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의 상기 센터 환기홀의 직경보다는 더 크고, 상기 아울렛 환기 패널의 상기 아울렛 환기홀의 직경은 상기 센터 환기 패널의 상기 센터 환기홀의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바디의 상기 인렛홀의 직경보다 더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이 상기 환기 패널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의 상기 인렛홀에서 상기 아울렛홀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의 상기 인렛홀과 상기 센터 환기 패널 사이에 복수개의 인렛 환기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바디의 상기 인렛홀에서 상기 센터 환기 패널의 상기 센터 환기홀 쪽으로 갈수록 복수개의 상기 인렛 환기 패널의 양면으로 연통된 각각의 인렛 환기홀의 직경은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바디의 상기 아울렛홀과 상기 센터 환기 패널 사이에 복수개의 아울렛 환기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의 상기 센터 환기홀에서 상기 바디의 상기 아울렛홀 쪽으로 갈수록 복수개의 아울렛 환기 패널의 각각의 아울렛 환기홀의 직경은 점차적으로 커져서,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이 상기 환기 패널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의 상기 인렛홀에서 상기 아울렛홀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개의 상기 인렛 환기 패널은 각각의 인렛 환기홀 주위에 배치되어 양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둘레부 인렛 환기홀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상기 둘레부 인렛 환기홀들의 직경은 상기 바디의 상기 인렛홀에서 상기 센터 환기 패널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둘레부 센터 환기홀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상기 둘레부 센터 환기홀은 바로 뒤쪽의 인렛 환기 패널의 복수개의 둘레부 인렛 환기홀의 직경보다 더 작고, 복수개의 상기 아울렛 환기 패널은 각각의 아울렛 환기홀 주위에 배치되어 양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둘레부 아울렛 환기홀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상기 둘레부 아울렛 환기홀들의 직경은 상기 센터 환기 패널에서 상기 바디의 상기 아울렛홀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지고, 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의 바로 앞쪽에 배치된 아울렛 환기 패널의 복수개의 둘레부 아울렛 환기홀의 직경은 상기 센터 환기 패널의 상기 둘레부 센터 환기홀의 직경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된 태양광 집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는, 지하 주차장의 모든 층(floor)와 연결되어 건물의 각각의 지하 주차장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에서 지하 주차장의 모든 층에 배치된 부분과 각각의 지상층에 제트팬이 설치되어, 건물에서 구획된 지점 별로 환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트팬의 가동에 의해 화재시 확산 방지를 하고 신속한 소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는 네 군데 사이드면이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디에서 3군데 사이드면에는 햇빛이 통과할 수 있는 유리로 구성하고, 상기 바디의 나머지 1군데 사이드면은 열저장물질로 구성되어, 상기 바디에 상기 3군데 사이드면의 상기 유리와 나머지 1군데 사이드면의 열저장물질에 의해 상기 바디에 열교환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에서 상기 3 군데 사이드면에는 유리 장착홀이 구비되고, 상기 유리 장착홀에는 베이스 창문틀이 결합되고, 상기 유리는 창문틀에 결합되어 유리 창문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리 창문의 하단부와 인접한 좌우 양쪽은 힌지에 의해 상기 베이스 창문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유리 창문이 상기 바디의 상기 유리 장착홀을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창문틀에서 좌측단과 우측단과 하단과 인접한 안쪽면에는 좌측 유리 지지편과 우측 유리 지지편과 하단 유리 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좌측 유리 지지편과 우측 유리 지지편과 상기 하단 유리 지지편에는 각각 폴딩 힌지를 기준으로 각각 좌측 폴딩편과 우측 폴딩편과 하부 폴딩편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폴딩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좌측 폴딩편과 상기 우측 폴딩편과 상기 하단 폴딩편을 상기 창문틀의 안쪽면 쪽으로 회동시켜서 폴딩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유리를 상기 좌측 폴딩편과 상기 우측 폴딩편과 상기 하단 폴딩편에 의해 상기 창문틀의 안쪽면에서 받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폴딩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좌측 폴딩편과 상기 우측 폴딩편과 상기 하단 폴딩편을 상기 창문틀의 안쪽면에서 벌려준 상태에서 상기 유리를 상기 창문틀의 상단에 구비된 유리 인출홀을 통해서 상기 창문틀에서 분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딩 지지수단은 상기 창문틀의 상기 좌측 유리 지지편과 상기 우측 유리 지지편과 상기 하단 유리 지지편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폴딩 지지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폴딩 지지볼트는 상기 좌측 폴딩편과 상기 우측 폴딩편과 상기 하단 폴딩편이 상기 폴딩 힌지를 기준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좌측 폴딩편과 상기 우측 폴딩편과 상기 하단 폴딩편을 밀어서 상기 폴딩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유리의 안쪽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하는 위치에서 상기 창문틀의 상기 좌측 유리 지지편과 상기 우측 유리 지지편과 상기 하단 유리 지지편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딩 지지편은 상기 창문틀의 상기 좌측 유리 지지편과 상기 우측 유리 지지편과 상기 하단 유리 지지편에 각각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좌측 폴딩 지지볼트와 우측 폴딩 지지볼트와 하단 폴딩 지지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은 건물의 지하 주차장 또는 건물의 환기가 필요한 공간에 대기의 흐름을 이어줄 수 있는 홀을 형성하고 환기부와 연결된 옥상의 천장면이 개폐되어 있고, 천장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3면은 햇빛이 통과할 수 있는 유리 나머지 1면은 열저장물질로 구성되며, 돌출부의 상부에 태양광 집열장치를 설치하고 바람이 들어오는 곳과 나가는 곳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원활한 자연환기를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지비를 절약할 수 있고 자연적으로 항시 가동될 수 있으며, 제트팬 등을 설치하여 구획된 지점별 개별제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화재시 확산 방지 및 신속한 소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고층건물의 상층부는 태양의 복사열로 인하여 여름철 실내 온도가 상승하여 냉방설비 가동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냉방설비를 최대부하로 가동하여도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상층부까지도 자연 환기로 인하여 여름철 실내 온도가 급상승하는 경우가 없어서 냉방설미 가동 비용이 절감되고 냉방설비를 최대 부하로 가동하지 않아도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건물의 실내 공기 환경 개선을 만족시키기 위해 급기팬 및 배기팬을 항시 가동하여야 할 필요가 없어서, 유지관리비용의 상승 등의 요인을 해소하여 건물의 환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의 주요부인 바디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환기 패널과 바디 내부의 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디 내부의 유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센터 환기 패널과 인렛 환기 패널과 아울렛 환기 패널에 의해 바디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의 주요부인 센터 환기 패널과 인렛 환기 패널과 아울렛 환기 패널에 의해 바디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바디와 유리를 창문형으로 바디에 장착한 유리 창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리 창문의 구조를 안쪽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주요부인 좌측 폴딩 지지볼트와 우측 폴딩 지지볼트를 풀어서 좌측 폴딩편과 우측 폴딩편을 폴딩 힌지를 기준으로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창문틀에서 유리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바디가 건물의 각 층에서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건물 각 층의 바디 내부에 제트팬을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센터 환기 패널과 인렛 환기 패널과 아울렛 환기 패널에 각각 주위 센터 환기홀괴 주위 인렛 환기홀과 주위 아울렛 환기홀을 형성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센터 환기 패널과 인렛 환기 패널과 아울렛 환기 패널에 환기 가이드판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센터 환기 패널과 복수개의 인렛 환기 패널과 복수개의 아울렛 환기 패널에 환기 가이드판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의 주요부인 바디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환기 패널과 바디 내부의 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디 내부의 유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센터 환기 패널과 인렛 환기 패널과 아울렛 환기 패널에 의해 바디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의 주요부인 센터 환기 패널과 인렛 환기 패널과 아울렛 환기 패널에 의해 바디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바디와 유리를 창문형으로 바디에 장착한 유리 창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리 창문의 구조를 안쪽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주요부인 좌측 폴딩 지지볼트와 우측 폴딩 지지볼트를 풀어서 좌측 폴딩편과 우측 폴딩편을 폴딩 힌지를 기준으로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창문틀에서 유리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바디가 건물의 각 층에서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건물 각 층의 바디 내부에 제트팬을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센터 환기 패널과 인렛 환기 패널과 아울렛 환기 패널에 각각 주위 센터 환기홀괴 주위 인렛 환기홀과 주위 아울렛 환기홀을 형성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센터 환기 패널과 인렛 환기 패널과 아울렛 환기 패널에 환기 가이드판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센터 환기 패널과 복수개의 인렛 환기 패널과 복수개의 아울렛 환기 패널에 환기 가이드판을 설치한 정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은 하면이 지하 주차장의 지면과 연결되고 상면은 건물의 옥상을 관통하여 설치된 바디(20)와, 상기 바디(20)의 상단부에 구비된 배기 루버(30)와, 상기 배기 루버(30)에 지지되어 바디(20)의 상단부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바디(20)의 상면과의 사이에 유로(120PH)를 형성하고 바디(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바람이 들어오는 인렛홀(22)과 바람이 나가는 아울렛홀(24)을 형성하는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을 포함한다.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은 인렛홀(22)에서부터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유로(120PH)는 도 3 내지 도 5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유로(120PH)의 직경이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부터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센터 환기 패널(122)과 인렛 환기 널(124)과 아울렛 환기 패널(1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어퍼 패널(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20)는 네 군데 둘레부가 있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바디(20)의 내부에는 환기 챔버가 확보되고, 환기 챔버는 바디(20)의 상면과 하면으로 연통된 공간 구조를 취한다. 건물의 지하 주창장의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환기 바람(환기 공기)가 바디(20) 내부의 환기 챔버로 들어온다. 이때, 바디(20)는 지하 주차장의 모든 층(floor)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20)의 측면에 지하 주차장의 모든 층(floor)와 연결되어 공기가 배출되며 자동 환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바디(20)는 건물의 지하 주차장의 지면에서부터 건물의 최상측 옥상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이 지하 2층, 지하 1층, 지상 1층이라면, 상기 바디(20)는 건물의 지하 2층의 지면에서부터 지상 1층의 옥상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진 관형상으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디(20)는 일면이 지하 주차장의 지면과 연결되어 지면열에 따른 연돌 효과(Stack Effect)를 이용하여 공기를 환기할 수 있다.
연돌 효과란 부력을 이용한 환기라고도 하며, 온도 성층화 현상을 활용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공기 온도가 올라가면 밀도가 줄어들어 수직으로 상승한다. 이때주변 공기가 그 자리를 채운다. 이러한 자연대류 시스템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는 높은 지점으로 배출되고, 보다 시원한 실외 공기가 낮은 지점으로 유입됨으로써 고유한 공기 흐름이 창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돌 효과에 의한 환기는 실외 공기 온도가 요구된 실내온도보다 더 시원할 때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다.
상기 바디(20)는 열교환부를 구비한다. 상기 열교환부는 유리(164), 콘크리트(142),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바디(20)의 동측, 서측 및 남측면은 유리(164)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20)의 북측면은 콘크리트(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건물의 옥상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바디(20)의 동측, 서측 및 남측면에는 유리(164)로 삽입함으로써, 온실 효과 등을 이용하여 열 흡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표면적이 넓을수록 열 교환에 유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열 교환 및 흡수가 용이한 물질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바디(20)의 북측면은 콘트리트(142)로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크리트(142)로 이루어진 열교환부는 유리(164)로 이루어진 열교환부로부터 흡수된 열을 저장하는 집열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콘트리트(142)로 이루어진 열교환부는 검정색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검정색일 경우, 열 저장에 더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몰 후에도 저장된 열을 이용하여 환기를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열에 의해 상부층에 해당하는 유리(164)면 내부의 중공층 공기가 뜨거워지면서 상하부 온도차로 인해 대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로의 기류 발생을 유도하여 자연 환기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온도보다 실외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 역 연돌 현상을 방지하여, 기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연 환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루버(30)는 바디(20)의 상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배기 루버(30)의 하단부가 바디(2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배기 루버(30)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배기 루버(30)는 바디(20)의 상단부에 복수개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바디(20)가 네 군데 사이드면이 있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바디(20)의 네 군데 코너부와 인접한 상단부에 각각 하나씩 배기 루버(30)가 설치되어, 바디(20)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 나란한 네 개의 배기 루버(30)가 상기 바디(20)의 상단부에 설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 바디(20)의 최상부에 연결된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와 바디(20)를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와 연결하는 배기 루버(30)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 루버(30)는 상기와 같이 바디(20)의 4개 꼭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와 바디(20)를 결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풍향의 간섭을 최소화하며 상기 바디(20)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다.
상기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바디(20)의 일측의 인렛홀(22)에서 타측의 아울렛홀(24) 사이에 배치된 환기 패널(120)과, 상기 바디(20)의 인렛홀(22)과 환기 패널(120)에 형성된 환기홀과 바디(20)의 아울렛홀(24)에 연통되도록 이어진 유로(120PH)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20)의 최상부에 연결된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아울렛홀(24) 사이의 바람이 흐르는 유로(120PH)가 좁아졌다가 다시 넓어지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로(120PH)의 직경은 환기 패널(120)을 기준으로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환기 패널(120)은 센터 환기 패널(122)과 인렛 환기 패널(124)과 아울렛 환기 패널(1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은 바디(20)의 인렛홀(22)과 아울렛홀(24) 사이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센터 환기 패널(122)은 양면으로 연통된 센터 환기홀(122H)을 구비한다. 상기 센터 환기홀(122H)을 상기 바디(20)의 인렛홀(22)과 아울렛홀(24)과 연통된 홀이다. 본 발명에서 센터 환기 패널(122)은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센터 환기홀(122H)은 사각홀 형상이다.
상기 인렛 환기 패널(124)은 바디(20)의 인렛홀(22)과 센터 환기 패널(12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인렛 환기 패널(124)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인렛 환기홀(124H)이 구비된다. 상기 인렛 환기홀(124H)은 바디(20)의 인렛홀(22)과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과 연통된 홀이다. 본 발명에서 인렛 환기 패널(124)은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렛 환기홀(124H)은 사각홀 형상이다.
상기 아울렛 환기 패널(126)은 센터 환기 패널(122)과 바디(20)의 아울렛홀(2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아울렛 환기 패널(126)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아울렛 환기홀(126H)이 구비된다. 상기 아울렛 환기홀(126H)은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과 바디(20)의 인렛홀(22)과 연통된 홀이다. 본 발명에서 아울렛 환기 패널(126)은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아울렛 환기홀(126H)은 사각홀 형상이다.
본 발명에서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은 사각홀 형상 이외에 원형홀과 같이 환기를 위한 여러 가지 형상의 홀로 구성될 수 있다. 인렛 환기 패널(124)의 인렛 환기홀(124H)과 아울렛 환기 패널(126)의 아울렛 환기홀(126H)도 사각홀 형상 이외에 원형홀과 같이 환기를 위한 여러 가지 형상의 홀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인렛 환기 패널(124)의 인렛 환기홀(124H)의 직경은 바디(20)의 인렛홀(22)의 직경보다 더 작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의 직경보다는 더 크고, 상기 아울렛 환기 패널(126)의 아울렛 환기홀(126H)의 직경은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의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바디(20)의 아울렛홀(24)의 직경보다 더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이 환기 패널(120)을 기준으로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이 환기 패널(120)을 구성하는 센터 환기 패널(122)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까지는 유로(120PH)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에서부터 바디(20)의 아울렛홀(24)까지는 유로(120PH)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된다.
베르누이 방정식에 의하면 상기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유로(120PH)가 좁아지는 부분에서의 유속이 유로(120PH)가 넓은 부분에서의 유속보다 빠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120PH)가 좁은 부분에서의 압력보다 유로(120PH)가 넓은 부분에서의 압력이 더 클 수 있다. 또한, 유로(120PH)가 넓은 부분에서의 압력이 대기압과 같다면, 유로(120PH)가 좁은 부분에서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작게 된다. 이에 따라, 유로(120PH)가 좁은 부분에서의 압력이 대기압 이하로 낮아져, 상기 수직바디(20) 이면에 개방된 부분으로부터 공기가 빨려 올라와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본 발명은 연돌 효과, 열교환부인 유리(164)에 의해 태양열에 의한 상부층에 해당하는 유리(164)면 내부의 중공층 공기가 뜨거워지면서 상하부 온도차로 인해 대류가 발생하는 원리와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에 의한 베르누이 원리의 조합에 의해 자연 환기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은 환기 패널(120)을 기준으로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상기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되며, 이때 환기 패널(120)은 바디(20)의 인렛홀(22)과 아울렛홀(24) 사이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센터 환기홀(122H)을 구비한 센터 환기 패널(122)과, 상기 바디(20)의 인렛홀(22)과 센터 환기 패널(122) 사이에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인렛 환기홀(124H)을 구비한 인렛 환기 패널(124)과,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과 바디(20)의 아울렛홀(24) 사이에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아울렛 환기홀(126H)을 구비한 아울렛 환기 패널(126)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인렛 환기 패널(124)의 인렛 환기홀(124H)의 직경은 바디(20)의 인렛홀(22)의 직경보다 더 작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의 직경보다는 더 크고, 상기 아울렛 환기 패널(126)의 아울렛 환기홀(126H)의 직경은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의 직경보다 더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이 환기 패널(120)을 기준으로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에 의한 자연 환기를 더 확실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디(20)의 인렛홀(22)과 센터 환기 패널(122) 사이에 복수개의 인렛 환기 패널(124)이 설치되고, 상기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 쪽으로 갈수록 복수개의 상기 인렛 환기 패널(124)의 양면으로 연통된 각각의 인렛 환기홀(124H)의 직경은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바디(20)의 아울렛홀(24)과 센터 환기 패널(122) 사이에 복수개의 아울렛 환기 패널(126)이 설치되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에서 상기 바디(20)의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복수개의 아울렛 환기 패널(126)의 각각의 아울렛 환기홀(126H)의 직경은 점차적으로 커져서,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이 상기 환기 패널(120)을 기준으로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바디(20)의 인렛홀(22)과 센터 환기 패널(122)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인렛 환기 패널(124)이 설치되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과 바디(20)의 아울렛홀(24) 사이에 두 개의 이상의 아울렛 환기 패널(126)이 설치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경우, 상기 유로(120PH)에서 지하 주창장의 지면에서부터 환기 공기를 더 확실하게 부상시켜줌으로써 건물의 지하 주차장과 같은 필요한 건물의 장소에서 자연 환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바디(20)의 상부 위치에 환기 패널 모듈(120MD)을 설치함으로써, 바디(20)의 상부에 센터 환기 패널(122)과 인렛 환기 패널(124)과 아울렛 환기 패널(126)을 보다 쉽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과 인렛 환기 패널(124)과 아울렛 환기 패널(126)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청소 등의 유지 보수 작업도 쉽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환기 패널 모듈(120MD)은 좌우 상부 모듈 프레임바(120UFB)와 복수개의 수직 모듈 프레임바(120EFB)와 좌우 하부 모듈 프레임바(120LFB)로 이루어진 환기 패널 모듈 프레임(120MDF)과, 상기 환기 패널 모듈 프레임(120MDF)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환기 패널(120)과, 상기 환기 패널 모듈 프레임(120MDF)의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어퍼 패널(127)을 포함한다.
상기 환기 패널 모듈 프레임(120MDF)의 좌우 나란한 좌우 상부 모듈 프레임바(120UFB)에는 싱면에서 하면까지 연통된 복수의 패널 삽입 슬릿(120US)이 구비되고, 상기 좌우 하부 모듈 프레임바(120LFB)에는 상면에서부터 하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로 오목한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복수개의 상기 패널 삽입 슬릿(120US)과 상하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패널 삽입 지지홈(120LIG)이 구비된다. 상기 패널 삽입 슬릿(120US)은 가운데의 센터 패널 삽입 슬릿(120USCP)과 환기 패널 모듈 프레임(120MDF)의 바람이 들어오는 유입단과 상기 센터 패널 삽입 슬릿(120USCP) 사이에 배치된 인렛 패널 삽입 슬릿(120USIP)과, 환기 패널 모듈 프레임(120MDF)의 바람이 나오는 유출단과 상기 센터 패널 삽입 슬릿(120USCP) 사이에 배치된 아울렛 패널 삽입 슬릿(120USOP)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널 삽입 지지홈(120LIG)은 센터 패널 삽입 슬릿(120USCP)과 상하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센터 패널 삽입 지지홈(120LICG)과, 상기 인렛 패널 삽입 슬릿(120USIP)과 상하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인렛 패널 삽입 지지홈(120LIIG)과, 상기 아울렛 패널 삽입 슬릿(120USOP)과 상하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아울렛 패널 삽입 지지홈(120LIOG)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환기 패널 모듈 프레임(120MDF)의 상면 위에서 상기 센터 패널 삽입 슬릿(120USCP)을 통과하는 센터 환기 패널(122)을 결합하고 내려서 상기 센터 패널 삽입 지지홈(120LICG)에 센터 환기 패널(122)의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환기 패널 모듈 프레임(120MDF)의 상면 위에서 상기 인렛 패널 삽입 슬릿(120USIP)을 통과하는 인렛 환기 패널(124)을 결합하고 내려서 상기 인렛 패널 삽입 지지홈(120LIIG)에 인렛 환기 패널(124)의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환기 패널 모듈 프레임(120MDF)의 상면 위에서 상기 아울렛 패널 삽입 슬릿(120USOP)을 통과하는 아울렛 환기 패널(126)을 결합하고 내려서 상기 아울렛 패널 삽입 지지홈(120LIOG)에 아울렛 환기 패널(126)의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환기 패널 모듈 프레임(120MDF)에 센터 환기 패널(122)과 인렛 환기 패널(124)과 아울렛 환기 패널(126)을 결합한 다음, 상기 환기 패널 모듈 프레임(120MDF)의 상면에 나사못이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구에 의해 상기 어퍼 패널(127)을 결합하면, 상기 환기 패널 모듈(120MD)이 완성된다.
상기 환기 패널 모듈(120MD)에서 상기 어퍼 패널(127) 부분을 상기 바디(20)의 상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기 배기 루버(30)의 상단부에 얹혀놓은 다음, 상기 어퍼 패널(127)을 상기 배기 루버(30)의 상단부에 나사못이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구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상기 바디(20)의 상부 위쪽에 상기 환기 패널 모듈(120MD)을 손쉽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20)의 상부 위쪽에 상기 환기 패널 모듈(120MD)을 설치함으로 인하여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과 인렛 환기 패널(124) 및 아울렛 환기 패널(126)을 상기 바디(20)의 상부 위쪽에 설치하여 상기 유로(120PH)를 손쉽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인렛 환기 패널(124)은 각각의 인렛 환기홀(124H) 주위에 배치되어 양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주위 인렛 환기홀(124PH)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상기 주위 인렛 환기홀(124PH)들의 직경은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센터 환기 패널(122)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주위 센터 환기홀(122PH)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주위 센터 환기홀(122PH)은 바로 뒤쪽의 인렛 환기 패널(124)의 복수개의 주위 인렛 환기홀(124PH)의 직경보다 더 작고, 복수개의 아울렛 환기 패널(126)은 각각의 아울렛 환기홀(126H) 주위에 배치되어 양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주위 아울렛 환기홀(126PH)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주위 아울렛 환기홀(126PH)들의 직경은 센터 환기 패널(122)에서 바디(20)의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지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의 바로 앞쪽에 배치된 아울렛 환기 패널(126)의 복수개의 주위 아울렛 환기홀(126PH)의 직경은 센터 환기 패널(122)의 주위 센터 환기홀(122PH)의 직경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120PH)를 통해서는 환기 바람(공기)의 대부분이 통과하고 나머지 환기 바람은 상기 주위 인렛 환기홀(124PH)에서 주위 센터 환기홀(122PH)과 주위 아울렛 환기홀(126PH)을 통해서 지나가므로, 상기 유로(120PH)를 통해서 환기 바람이 지나갈 때에 충돌 저항이 발생되는 경우를 방지하여 환기 바람이 상기 인렛 환기 패널(124)과 센터 환기 패널(122)과 아울렛 환기 패널(126)의 각각의 인렛 환기홀(124H)과 센터 환기홀(122H)과 아울렛 환기홀(126H)의 둘레부 쪽으로 원활하게 통과할 뿐만 아니라 상기 주위 인렛 환기홀(124PH)은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상기 주위 센터 환기홀(122PH)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더 작고, 상기 주위 아울렛 환기홀(126PH)의 직경은 상기 주위 센터 환기홀(122PH)에서 상기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더 커지게 되면서, 상기 유로(120PH)를 통해서는 지나가는 대부분의 환기 바람 이외의 나머지 환기 바람도 상기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점 속도가 빨라지게 되므로, 상기 지하 주차장의 지면에서 상기 유로(120PH)로 환기 바람이 더 확실하게 부상하여 환기 효율을 더 확실하게 높여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된 태양광 집열장치(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태양광 집열장치(132)에 의해 상기 바디(20)의 상부쪽을 데워서 아래 부분보다 온도가 높게 하여, 태양열에 의해 바디(20)의 상부쪽의 공기가 뜨거워지면서 상하부 온도차로 인해 대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외부로의 기류 발생을 더 원활하게 유도하여 자연 환기를 더 원활하게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온도보다 실외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 역 연돌 현상을 더 확실하게 방지하여, 기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연환기가 더 확실하게 가능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0)는 지하 주차장의 모든 층(floor)와 연결되어 건물의 각각의 지하 주차장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0)에서 지하 주차장의 모든 층에 배치된 부분과 각각의 지상층에 제트팬(192)이 설치된다. 이때, 건물의 각 층마다 이어져서 설치된 바디(20)에 팬도어를 달고, 팬도어의 안쪽면에 제트팬(192)을 장착하여 건물의 각 층마다 있는 팬도어를 열어서 제트팬(192)을 장착하거나 제트팬(192)을 분리하고, 제트팬(192)이 장착된 팬도어를 닫아서 건물의 각 층마다 이어져서 설치된 바디(20)마다 제트팬(192)을 달아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에서 구획된 지점 별(각 층별)로 환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트팬(192)의 가동에 의해 화재시 확산 방지를 하고 신속한 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복수개의 제트팬(192)에 의한 제트팬 원리에 의해 상기 지하 주차장의 지면에서 바디(20)의 내부 환기 챔버로 공기가 올라오는 작용을 더욱 확실하게 하므로, 상기 제트팬(192)으로 인한 건물 환기 효율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디(20)는 네 군데 사이드면이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디(20)에서 3군데 사이드면에는 햇빛이 통과할 수 있는 유리(164)로 구성하고, 상기 바디(20)의 나머지 1군데 사이드면은 열저장물질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20)에서 3 군데 사이드면에는 유리 장착홀이 구비되고, 상기 유리 장착홀에는 베이스 창문틀(150)이 결합되고, 상기 유리(164)는 창문틀(162)에 결합되어 유리 창문(160)을 형성하여, 상기 유리(164)가 창문처럼 바디(20)의 사이드면에 형성된 유리 장착홀에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유리(164)가 창문틀(162)에 결합되어 있는 유리 창문(160)은 하단부와 인접한 좌우 양쪽이 힌지에 의해 상기 베이스 창문틀(150)에 결합되고, 두 개의 제1링크 바아의 상단부와 제2링크 바아의 하단부가 중간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중간 힌지를 기준으로 절첩 가능한 링크에서 상기 제1링크 바아의 하단부는 상기 유리 창문(160)의 창문틀(162)의 하단부 쪽의 힌지와 상단부 사이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링크 바아의 상단부는 상기 베이스 창문틀(150)에 베이스 창문틀 연결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유리 창문(160)이 하단부 쪽의 베이스 창문틀(150)과 연결된 좌우 양쪽 하부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바디(20)의 외표면에서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열리고, 상기 링크의 제1링크와 제2링크를 중간 힌지를 기준으로 일자형으로 펼쳐져서 상기 유리 창문이 바디(20)의 유리 장착홀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열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유리(164)와 창문틀(162)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유리 창문(160)이 베이스 창문틀(150)과 연결된 하부 힌지를 기준으로 바디(20)의 외표면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열리고 바디(20)의 유리 장착홀을 닫아줌으로써, 유리 창문(160)이 바디(20)의 유리 장착홀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리 창문(160)에는 록커가 구비되어, 상기 유리 창문(160)이 바디(20)의 유리 장착홀을 닫은 상태에서는 록커가 유리 창문(160)을 베이스 창문틀(150)에 걸려져서 유리 창문(160)이 바디(20)의 유리 장착홀을 닫은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상기 창문틀(162)에서 좌측단과 우측단과 하단과 인접한 좌측 유리 지지편(165)과 우측 유리 지지편(166)과 하단 유리 지지편(167)이 구비되고, 상기 좌측 유리 지지편(165)과 우측 유리 지지편(166)과 상기 하단 유리 지지편(167)에는 각각 폴딩 힌지(182)를 기준으로 각각 좌측 폴딩편(175)과 우측 폴딩편(176)과 하단 폴딩편(177)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폴딩 힌지(182)를 기준으로 좌측 폴딩편(175)과 상기 우측 폴딩편(176)과 상기 하단 폴딩편(177)을 상기 창문틀(162)의 안쪽면 쪽으로 회동시켜서 폴딩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유리(164)를 좌측 폴딩편(175)과 우측 폴딩편(176)과 상기 하단 폴딩편(177)에 의해 상기 창문틀(162)의 안쪽면에서 받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폴딩 힌지(182)를 기준으로 좌측 폴딩편(175)과 우측 폴딩편(176)과 하단 폴딩편(177)을 창문틀(162)의 안쪽면에서 벌려준 상태에서 유리(164)를 창문틀(162)의 상단에 구비된 유리(164) 인출홀을 통해서 상기 창문틀(162)에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폴딩 지지수단은 창문틀(162)의 좌측 유리 지지편(165)과 우측 유리 지지편(166)과 하단 유리 지지편(167)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폴딩 지지볼트(18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폴딩 지지볼트(184)는 좌측 폴딩편(175)과 우측 폴딩편(176)과 하단 폴딩편(177)이 폴딩 힌지(182)를 기준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좌측 폴딩편(175)과 우측 폴딩편(176)과 하단 폴딩편(177)을 밀어서 상기 폴딩 힌지(182)를 기준으로 유리(164)의 안쪽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하는 위치에서 창문틀(162)의 좌측 유리 지지편(165)과 우측 유리 지지편(166)과 하단 유리 지지편(167)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폴딩 지지수단은 상기 폴딩 힌지(182)와 폴딩 지지볼트(184)로 구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폴딩 지지볼트(184)는 창문틀(162)의 좌측 유리 지지편(165)과 우측 유리 지지편(166)과 하단 유리 지지편(167)에 각각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좌측 폴딩 지지볼트(184LEB)와 우측 폴딩 지지볼트(184RIB)와 하단 폴딩 지지볼트(184LOB)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폴딩 지지볼트(184LEB)와 우측 폴딩 지지볼트(184RIB)와 하단 폴딩 지지볼트(184LOB)가 상기 좌측 유리 지지편(165)과 우측 유리 지지편(166)과 하단 유리 지지편(167)에서 좌측 폴딩편(175)과 우측 폴딩편(176)과 하단 폴딩편(177)을 밀어주는 위치로 후퇴되어 있으면, 상기 좌측 폴딩편(175)과 우측 폴딩편(176)과 하단 폴딩편(177)이 힌지를 기준으로 각각 좌측 유리 지지편(165)과 우측 유리 지지편(166)과 하단 유리 지지편(167)에서 벌어져서 유리(164)를 창문틀(162)에 고정하는 힘이 해제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상태태애서 유리(164)를 창문틀(162)의 상단부에 있는 인출홀을 통해서 창문틀(162)에서 빼낼 수 있다. 이때, 하단 폴징 지지볼트를 후퇴되어 있지 않고 제자리에 체결되어 있어서 하단 유리 지지편(167)은 상기 폴딩 힌지(182)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켜서 유리(164)가 창문틀(162)에서 밑으로 빠지는 경우를 방지하는 한편, 상기 유리(164)를 창문틀(162)에서 위로 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창문틀(162)에 유리(164)가 결합되어 좌측 유리 지지편(165)과 우측 유리 지지편(166)과 하단 유리 지지편(167)이 각각 유리(164)의 좌측단과 우측단와 하단을 받치고 있는 상태인 동시에 상기 좌측 폴딩편(175)과 우측 폴딩편(176)과 하단 폴딩편(177)이 힌지를 기준으로 각각 좌측 유리 지지편(165)과 우측 유리 지지편(166)과 하단 유리 지지편(167)에서 벌어져서 유리(164)를 창문틀(162)에 고정하는 힘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좌측 유리 지지편(165)과 우측 유리 지지편(166)과 하단 유리 지지편(167)에서 상기 좌측 폴딩 지지볼트(184LEB)와 우측 폴딩 지지볼트(184RIB)와 하단 폴딩 지지볼트(184LOB)를 각각 전진하도록 회전시켜주면, 상기 좌측 폴딩 지지볼트(184LEB)와 우측 폴딩 지지볼트(184RIB)와 하단 폴딩 지지볼트(184LOB)가 각각 좌측 폴딩편(175)과 우측 폴딩편(176)과 하단 폴딩편(177)을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유리(164)의 후면 쪽으로 폴딩시켜서 유리(164)의 후면을 좌측 폴딩편(175)과 우측 폴딩편(176)과 하단 폴딩편(177)이 받치고 있도록 전환하면 상기 창문틀(162)에 유리(164)를 결합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창문틀(162)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좌측 폴딩 지지볼트(184LEB)와 우측 폴딩 지지볼트(184RIB)와 하단 폴딩 지지볼트(184LOB)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창문틀(162)에서 유리(164)를 위로 빼내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열교환부를 구성하는 유리(164)를 바디(20)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부를 형성하기 위한 유리(164)의 교체와 같은 유지 보수 작업이 손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창문틀(162)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좌측 폴딩 지지볼트(184LEB)와 우측 폴딩 지지볼트(184RIB)와 하단 폴딩 지지볼트(184LOB)를 전진시켜서 창문틀(162)에 유리(164)를 견고하게 결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바디(20)에 열교환부를 형성하는 유리(164)를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과 인렛 환기 패널(124)의 인렛 환기홀(124H)과 아울렛 환기 패널(126)의 아울렛 환기홀(126H)에는 환기 가이드판(210)이 결합되어, 상기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부터 들어오는 환기 바람이 환기 가이드판(210)의 안쪽면을 따라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면서 인렛 환기 패널(124)의 인렛 환기홀(124H)과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과 아울렛 환기 패널(126)의 아울렛 환기홀(126H)과 바디(20)의 아울렛홀(24) 쪽으로 보다 원활하게 넘어가게 되어서, 상기 바디(20)의 유로(120PH)를 통해서 지하층의 지면에서부터 환기 바람이 더 확실하게 올라와서 상기 바디(20)의 상기 유로(120PH)를 통한 자연 환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환기 가이드판(210)에서 지하층의 지면을 향하는 아래쪽 면에는 환기 바람 부상홀(210H)이 구비되어, 지하층의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환기 바람이 상기 환기 가이드판(210)의 아래에서 상기 환기 바람 부상홀(210H)을 지나서 상기 유로(120PH)로 원활하게 올라올 수 있고, 유로(120PH)로 올라온 바람은 속도가 빨라져서 지하층의 지면에서부터 유로(120PH)로 바람을 부상시켜서 바디(20)의 유출홀을 통해서 빠져나가면서 원활한 자연 환기가 더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0. 바디 22. 인렛홀
24. 아울렛홀 30. 배기 루버
120. 환기 패널 122. 센터 환기 패널
122H. 센터 환기홀 122PH. 주위 센터 환기홀
124. 인렛 환기 패널 124H. 인렛 환기홀
124PH. 주위 인렛 환기홀 126. 아울렛 환기 패널
126H. 아울렛 환기홀 126PH. 주위 아울렛 환기홀
127. 어퍼 패널 120PH. 유로(120PH)
120MD. 환기 패널 모듈 120UFB. 상부 모듈 프레임바
120US. 패널 삽입 슬릿 120USCP. 센터 패널 삽입 슬릿
120USIP. 인렛 패널 삽입 슬릿 120USOP. 아울렛 패널 삽입 슬릿
120EFB. 수직 모듈 프레임바 120UFB. 상부 모듈 프레임바
120LFB. 하부 모듈 프레임바 120LIG. 패널 삽입 지지홈
120LICG. 센터 패널 삽입 지지홈 120LIIG. 인렛 패널 삽입 지지홈
120LIOG. 아울렛 패널 삽입 지지홈 132. 태양광 집열장치
142. 콘크리트 150. 베이스 창문틀
160. 유리 창문 162. 창문틀
164. 유리 165. 좌측 유리 지지편
166. 우측 유리 지지편 167. 하단 유리 지지편
175. 좌측 폴딩편 176. 우측 폴딩편
177. 하단 폴딩편 182. 폴딩 힌지
184. 폴딩 지지볼트 184LEB. 좌측 폴딩 지지볼트
184RIB. 우측 폴딩 지지볼트 184LOB. 하단 폴딩 지지볼트
192. 제트팬 210. 환기 가이드판

Claims (2)

  1. 하면이 지하 주차장의 지면과 연결되고 상면은 건물의 옥상을 관통하여 설치된 바디(20);
    상기 바디(20)의 상단부에 구비된 배기 루버(30);
    상기 배기 루버(30)에 지지되어 상기 바디(20)의 상단부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상기 바디(20)의 상면과의 사이에 유로(120PH)를 형성하고 상기 바디(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바람이 들어오는 인렛홀(22)과 바람이 나가는 아울렛홀(24)을 형성하는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을 포함하며,
    상기 환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바디(20)의 일측의 인렛홀(22)에서 타측의 아울렛홀(24) 사이에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환기홀을 구비한 환기 패널(120);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20)의 상기 인렛홀(22)과 상기 환기 패널(120)의 상기 환기홀과 상기 바디(20)의 상기 아울렛홀(24)에 연통되도록 이어진 유로(120PH);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은 상기 환기 패널(120)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20)의 상기 인렛홀(22)에서 상기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기 패널(120)은 상기 바디(20)의 상기 인렛홀(22)과 상기 아울렛홀(24) 사이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센터 환기홀(122H)을 구비한 센터 환기 패널(122);
    상기 바디(20)의 상기 인렛홀(22)과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 사이에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인렛 환기홀(124H)을 구비한 인렛 환기 패널(124);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과 상기 바디(20)의 상기 아울렛홀(24) 사이에 배치되며 양면으로 연통된 아울렛 환기홀(126H)을 구비한 아울렛 환기 패널(126);을 포함하며,
    상기 인렛 환기 패널(124)의 상기 인렛 환기홀(124H)의 직경은 상기 바디(20)의 상기 인렛홀(22)의 직경보다 더 작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의 상기 센터 환기홀(122H)의 직경보다는 더 크고, 상기 아울렛 환기 패널(126)의 상기 아울렛 환기홀(126H)의 직경은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의 상기 센터 환기홀(122H)의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바디(20)의 상기 인렛홀(22)의 직경보다 더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이 상기 환기 패널(120)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20)의 상기 인렛홀(22)에서 상기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20)의 상기 인렛홀(22)과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 사이에 복수개의 인렛 환기 패널(124)이 설치되고, 상기 바디(20)의 상기 인렛홀(22)에서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의 상기 센터 환기홀(122H) 쪽으로 갈수록 복수개의 상기 인렛 환기 패널(124)의 양면으로 연통된 각각의 인렛 환기홀(124H)의 직경은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바디(20)의 상기 아울렛홀(24)과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 사이에 복수개의 아울렛 환기 패널(126)이 설치되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의 상기 센터 환기홀(122H)에서 상기 바디(20)의 상기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복수개의 아울렛 환기 패널(126)의 각각의 아울렛 환기홀(126H)의 직경은 점차적으로 커져서,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이 상기 환기 패널(120)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20)의 상기 인렛홀(22)에서 상기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20)의 인렛홀(22)과 센터 환기 패널(122) 사이에 복수개의 인렛 환기 패널(124)이 설치되고, 상기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 쪽으로 갈수록 복수개의 상기 인렛 환기 패널(124)의 양면으로 연통된 각각의 인렛 환기홀(124H)의 직경은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바디(20)의 아울렛홀(24)과 센터 환기 패널(122) 사이에 복수개의 아울렛 환기 패널(126)이 설치되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의 센터 환기홀(122H)에서 상기 바디(20)의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복수개의 아울렛 환기 패널(126)의 각각의 아울렛 환기홀(126H)의 직경은 점차적으로 커져서, 상기 유로(120PH)의 직경이 상기 환기 패널(120)을 기준으로 바디(20)의 인렛홀(22)에서 아울렛홀(24)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디(20)의 인렛홀(22)과 센터 환기 패널(122)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인렛 환기 패널(124)이 설치되고, 상기 센터 환기 패널(122)과 바디(20)의 아울렛홀(24) 사이에 두 개의 이상의 아울렛 환기 패널(12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
  2. 삭제
KR1020210137075A 2021-10-15 2021-10-15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 KR102409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75A KR102409729B1 (ko) 2021-10-15 2021-10-15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75A KR102409729B1 (ko) 2021-10-15 2021-10-15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729B1 true KR102409729B1 (ko) 2022-06-16

Family

ID=8221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075A KR102409729B1 (ko) 2021-10-15 2021-10-15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250B1 (ko) 2023-06-26 2024-05-10 송차원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건물 배기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554U (ko) * 1999-05-03 2000-12-05 박종필 무동력 배기구
JP2002194826A (ja) * 2000-12-27 2002-07-10 Taisei Corp 建物の自然換気システム
KR200394913Y1 (ko) * 2005-05-07 2005-09-07 주식회사 해훈건설 무동력 벤츄리 흡출기
KR20070111696A (ko) * 2006-05-18 2007-11-22 주식회사 에어화인 배기용 후드
KR100785399B1 (ko) 2006-12-08 2007-12-13 조병남 수직통로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100785400B1 (ko) 2007-02-16 2007-12-13 조병남 복사열 및 연돌효과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100803315B1 (ko) 2007-04-19 2008-02-13 조병남 복사열 차단기능이 구비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100807273B1 (ko) 2006-10-02 2008-02-28 조병남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KR20120007600A (ko) * 2010-07-15 2012-01-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연환기장치
KR101376962B1 (ko) * 2012-11-07 2014-03-20 한신공영 주식회사 벤츄리효과 및 연돌효과를 이용하여 환기 및 풍력발전이 가능한 건물일체형 제연시스템
KR20160096106A (ko) * 2013-12-11 2016-08-12 스탈크랩 액체 볼륨을 통해 공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200140452A (ko) * 2019-06-06 2020-12-16 송차원 지하 주차장용 환기 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554U (ko) * 1999-05-03 2000-12-05 박종필 무동력 배기구
JP2002194826A (ja) * 2000-12-27 2002-07-10 Taisei Corp 建物の自然換気システム
KR200394913Y1 (ko) * 2005-05-07 2005-09-07 주식회사 해훈건설 무동력 벤츄리 흡출기
KR20070111696A (ko) * 2006-05-18 2007-11-22 주식회사 에어화인 배기용 후드
KR100807273B1 (ko) 2006-10-02 2008-02-28 조병남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KR100785399B1 (ko) 2006-12-08 2007-12-13 조병남 수직통로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100785400B1 (ko) 2007-02-16 2007-12-13 조병남 복사열 및 연돌효과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100803315B1 (ko) 2007-04-19 2008-02-13 조병남 복사열 차단기능이 구비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20120007600A (ko) * 2010-07-15 2012-01-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연환기장치
KR101376962B1 (ko) * 2012-11-07 2014-03-20 한신공영 주식회사 벤츄리효과 및 연돌효과를 이용하여 환기 및 풍력발전이 가능한 건물일체형 제연시스템
KR20160096106A (ko) * 2013-12-11 2016-08-12 스탈크랩 액체 볼륨을 통해 공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200140452A (ko) * 2019-06-06 2020-12-16 송차원 지하 주차장용 환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250B1 (ko) 2023-06-26 2024-05-10 송차원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건물 배기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711921A2 (pt) método e aprelho para a refrigeração de ar de ventilação para um edifìcio
KR100399310B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JP2009503285A (ja) 温度、熱及び/又は冷気のバリア
KR102409729B1 (ko) 건물 일체형 하이브리드 자연 환기 시스템
CA2559641C (en) Solar air heating system
KR100943859B1 (ko) 풍량조절구가 구비된 바닥 공조용 취출구
JP5370880B2 (ja) 省エネルギー建物
US8132374B2 (en) External wall panel unit for saving energy and external wall structure system using the same
KR101650811B1 (ko) 리노베이션 건물의 에너지절약 외피통풍구조
KR100854760B1 (ko) 바닥용 선회 취출구
JP6208448B2 (ja) 建物の自然換気システム
JP2005009840A (ja) 建物の通風換気システム
KR20070095575A (ko) 창문형 공조장치
JP3944181B2 (ja) 建物空調システム
KR101204305B1 (ko) 바닥용 디퓨저
US4076073A (en) Combination re-conditioning unit and illuminating appliance for use with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9084936A (ja) 断熱住宅及び換気システム
JP2008038497A (ja) 換気システム
JP2018048500A (ja) 建物
WO2022031236A1 (en) Solar chimney
JP4562024B2 (ja) 集熱ダクトを利用した寒暑期両用換気システム
ES2509219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reducir el consumo de energía de un centro que consta de unos equipos que consumen mucha energía
JP2010189949A (ja) 建物の換気構造
KR200238298Y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KR101590723B1 (ko) 수직통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